KR20140096943A - 메모리카드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메모리카드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6943A
KR20140096943A KR1020130040817A KR20130040817A KR20140096943A KR 20140096943 A KR20140096943 A KR 20140096943A KR 1020130040817 A KR1020130040817 A KR 1020130040817A KR 20130040817 A KR20130040817 A KR 20130040817A KR 20140096943 A KR20140096943 A KR 20140096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memory card
portions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타 요시다
요시후미 오카베
히데히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6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9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6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duplex wall recepta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겹쳐진 구조이면서, 커넥터가 소형인 경우이더라도 제1커넥터의 제1테일부와 제2커넥터의 제2테일부가 회로기판에 대하여 실장성이 좋으며 제조가격도 저렴한 메모리카드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1메모리카드(MCa)를 삽입할 수 있는 제1수납부(38)을 가지며 정방형 또는 각형을 이루는 제1하우징(15)(60) 및 제1수납부에 삽입된 제1메모리카드의 단자(MC1)와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제1컨택트(17~24)를 가지는 제1커넥터(11)와, 제2메모리카드(MCb)를 삽입할 수 있는 제2수납부(87)를 가지며 정방형 또는 각형을 이루는 제2하우징(75)(90) 및 제2수납부에 삽입된 제2메모리카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제2컨택트(77~84)를 가지는 제2커넥터(70)를 구비하며, 제1컨택트가 제1하우징의 제1측면(34)의 외주측에 위치하면서 회로기판(CB)에 대해 실장 가능한 제1테일부(17b~24b)를 구비하며, 제2하우징이 제2측면(37)의 외주측에 위치하면서 회로기판에 대해 실장가능한 제2테일부(77b~84b)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메모리카드용 커넥터{Connector for memory card}
본 발명은 micro SD카드, SIM카드 및 micro sim카드 등의 메모리카드를 탈착시킬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2장의 메모리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메모리카드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메모리카드용 커넥터의 일예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다.
상기 메모리카드용 커넥터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양자를 서로 두께방향으로 겹쳐 구성한 것이다.
제1커넥터는 제1메모리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제1수납부를 가지며 전체형상이 각형을 이루는 제1하우징과, 제1수납부에 삽입된 제1메모리카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제1컨택트들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제2커넥터는 제2메모리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제2수납부를 가지며 제1하우징과 같은 형상의 제2하우징과, 제2수납부에 삽입된 제2메모리카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제2컨택트들을 구비하고 있다.
제1커넥터의 제1컨택트들은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의 두께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하우징의 일측면인 제1측면의 외주측에 위치하며 회로기판에 대하여 실장가능한 제1테일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하우징은 상기 제1측면과 같은 쪽에 위치하는(상기 제1측면과 평행한) 제1측면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2커넥터의 제2컨택트들은 상기 두께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2하우징의 제1측면의 외주측에 위치하며 회로기판에 대하여 실장가능한 제2테일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1컨택트의 제1테일부군의 일부와 제2커넥터의 제2테일부군의 일부들은(2개의 제1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서로 번갈아 정렬하고 있다.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는 회로기판에 대하여 실장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회로기판,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의 순서로 각 부재들을 겹친 상태로 제1컨택트들의 단부에 형성된 각 테일부 및 제2컨택트들의 단부에 형성된 각 테일부를 회로기판에 납땜하여 실장할 수 있다.
JP 특개 2003-323943
제1커넥터의 제1테일부군의 일부와 제2커넥터의 제2테일부군의 일부가 서로 번갈아 정렬하고 있으므로, 인접하는 제1테일부와 제2테일부의 간격(피치)은 매우 좁다. 따라서 제1테일부와 제2테일부의 회로기판에 대한 실장성이 저하되기 쉽다. 즉, 화상인식수단에 의한 제1테일부와 제2테일부의 화상인식(위치인식)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제1테일부 및 제2테일부와 회로기판의 사이에서 납땜불량이 생기기 쉬운 것이다.
또한, 번갈아 정렬된 제1커넥터의 제1테일부(제1컨택트)와 제2커넥터의 제2테일부(제2컨택트)는 서로 다른 형상이므로 회로기판에 대한 제1테일부와 제2테일부의 얼라이먼트 조정(제1테일부 및 제2테일부를 동일평면상에 위치시키기 위한 조정)이 곤란한다. 제1테일부에서 회로기판까지의(회로기판의 두께 방향) 거리(간격)와 제1테일부에서 회로기판까지의 거리와의 사이에는 차이(격차)가 생기기 쉽다. 따라서, 일측의 테일부는 회로기판에 접촉하지만 타측의 테일부는 반드시 회로기판과 이격되므로 이격거리가 큰 경우에는 타측의 테일부와 회로기판의 사이에서 납땜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메모리카드용 커넥터(메모리카드)가 소형의 경우에 제1테일부와 제2테일부를 번갈아 정렬하려고 하면, 인접하는 제1테일부와 제2테일부의 간격(피치)이 매우 좁아지므로 제1테일부와 제2테일부를 회로기판에 실장하기가 곤란해진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기술로는 소형의 메모리카드용 커넥터에 적용하는 것이 어렵다.
더욱이 제1커넥터의 제1테일부군의 일부와 제2커넥터의 제2테일부군의 일부들을 번갈아 정렬하기 위해서는, 제1테일부와 제2테일부의 일측을 복잡한 형상(예를 들면 크랭크형상)으로 가공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커넥터의 제조가격이 높아지기 쉽다.
본 발명이 목적은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겹쳐진 구성이면서, 커넥터가 소형의 경우더라도 제1커넥터의 제1테일부와 제2커넥터의 제2테일부의 회로기판에 대한 실장성이 좋으며 제조가격이 저렴한 메모리카드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1메모리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제1수납부를 가지며 정방형 또는 각형을 이루는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수납부에 삽입된 상기 제1메모리카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제1컨택트를 가지는 제1커넥터와, 제2메모리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제2수납부를 가지며 정방형 또는 각형을 이루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2수납부에 삽입된 상기 제2메모리카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제2컨택트를 가지는 제2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를 서로 두께방향으로 겹쳐놓은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두께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면인 제1측면의 외주측에 위치하면서 회로기판에 실장 가능한 제1테일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두께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측면과는 다른 곳에 위치하는 제2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두께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측면의 외주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회로기판에 대해 실장가능한 제2테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측면이 상기 두께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측면과 직교하는 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 상기 제1커넥터 및 상기 제2커넥터의 순서로 3부재가 겹쳐지고, 상기 제1수납부 및 상기 제2수납부가 상기 제1메모리카드와 상기 제2메모리카드를 각각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과 같은 방향에 위치하는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두께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개구부와는 다른 곳에 위치하는 상기 제1측면을 가지고,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두께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개구부 또는 상기 제1측면과는 다른 곳에 위치하는 한 쌍의 상기 제2측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에는 서로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를 겹친 상태로 유지시키는 잠금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메모리카드용 커넥터는 제1커넥터의 제1컨택트의 제1테일부가 커넥터의 두께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하우징의 일측면에 있는 제1측면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편으로, 제2커넥터의 제2컨택트의 제2테일부는 커넥터의 두께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측면과는 다른 곳에 위치하는 제2측면의 외주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테일부들을 간격(피치) 및 제2테일부끼리의 간격을 넓히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화상인식수단에 의한 제1테일부와 제2테일부의 화상인식(위치인식)이 용이해지므로 제1테일부 및 제 2테일부와 회로기판의 사이에서 땜납불량이 생기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테일부 및 제2테일부를 회로기판상의 다른 곳에 실장하므로(번갈아 정렬하지 않으므로) 제1테일부와 제2테일부는 서로 영향을 받기 어렵다. 그 때문에 제1테일부와 제2테일부의 사이의 얼라이먼트 조정이 비교적 용이하므로 땜납불량이 일어나기 어렵다.
더욱이, 제1테일부와 제2테일부를 번갈아 정렬시키지 않아되 되므로 커넥터가 소형의 경우이더라도 인접하는 제1테일부들의 간격(피치) 및 인접하는 제2테일부들의 간격이 좁아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메모리카드용 커넥터가 소형의 경우이더라도, 제1테일부와 제2테일부의 회로기판에 대한 실장성이 좋아진다.
더욱이 커넥터의 두께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컨택트의 제1테일부와 제2컨택트의 제2테일부가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하므로(제1테일부와 제2테일부가 번갈아 정렬되지 않으므로), 제1테일부와 제2테일부의 일측을 복잡한 형상(예를 들면 크랭크형상)으로 가공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말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회로기판과 제1,2메모리카드의 사시도.
도 2는 커넥터와 제1,2메모리카드의 저면사시도.
도 3은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커넥터의 후방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의 V-V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제1커넥터의 사시도.
도 7은 제1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8은 제1금속부재의 사시도.
도 9는 제1상부하우징을 떼어낸 제1커넥터의 평면도.
도 10은 제1메모리카드를 제1커넥터의 내부에 삽입하기 시작했을 때 제1상부하우징 및 압축코일스프링을 생략한 제1커넥터의 평면도.
도 11은 제1메모리카드가 초기위치에서 위치하는 슬라이더본체의 카드접촉부에 접촉했을 때의 도 10에 대응되는 평면도.
도 12는 슬라이더가 압입위치까지 슬라이드 되었을 때의 도 10에 대응되는 평면도.
도 13은 제2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제2금속부재의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 중의 전후, 상하 및 좌우의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실선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메모리카드용 커넥터(10)는 예를 들면 휴대단말에 대하여 설치가능하며 micro sim카드로 이루어진 제1메모리카드(MCa)와 제2메모리카드(MCb)를 삽입할 수 있는 커넥터이다.
메모리카드용 커넥터(10)는 제1커넥터(11) 및 제2커넥터(70)로 크게 구성된다.
먼저 제1커넥터(11)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커넥터(11)는 제1하부하우징(15)(제1하우징), 슬라이더(40), 캠부(55), 제1하부하우징(60)(제1하우징) 및 압축코일스프링(S1)을 구비하고 있다.
평면에서 볼 때, 각형의 제1하부하우징(15)은 제1금속부재(16)와 인슐레이터(26)를 구비하는 일체성형품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금속부재(16)는 8개의 제1컨택트(17~24)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컨택트(17~24)는 제1접촉편(17a~24a)과 제1테일부(17b~24b)를 각각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제1테일부(17b~24b)의 후단부는 그 직전부위에 비해 1단 하향에 위치하는 제1실장부(17c~24c)를 가진다.
제1인슐레이터(26)는 도시를 생략한 금형내에서 제1금속부재(16)에 아웃서트성형을 시행하여 제1금속부재(16)와 일체화한 것이며, 제1금속부재(16)의 하면(다만, 제1테일부(17b~24b)를 제외함)과 제1인슐레이터(26)의 하면은 동일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다(도 2, 도 5 참조). 제1인슐레이터(26)는 좌우의 측벽부(27)와, 제1하부하우징(15)의 하면부를 구성하는 저면구성부(28)와, 캠부지지부(32)와, 후부벽(34)을 구비하고 있다. 후부벽(34)의 좌우양단부에는 한 쌍의 위치결정용 제1돌기(34a)가 상향으로 돌출된다.
저면구성부(28)에는 제1접촉편(17a~24a)를 노출시키기 위한 총 8개의 컨택트노출구멍(29)이 형성되어 있다. 제1하부하우징(15)의 좌측부의 전단부를 구성하는 캠부지지부(32)의 상면에는 하향으로 요설된 캠부지지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제1하부하우징(15)의 후단부를 구성하는 후단벽(34)의 좌측부에는 스프링지지용 돌기(35)가 전방을 향해 돌출형성된다. 더욱이 저면구성부(28)의 좌측부에는 주변부에 비해 1단 낮은 슬라이드부(37)가 구비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부하우징(15)의 내부공간은 좌우의 측벽부(27), 저면구성부(28) 및 후부벽(34)에 의해 둘러싸인 제1수납부(38)로 되어 있다. 좌우의 측벽부(27)의 외측면에는 전후 한 쌍의 상부캠부 결합돌기(30)가 돌출되어 있다. 더욱이 좌우의 측벽부(27)의 외측면 및 후부벽(34)의 후면에는 총 5개의 커넥터 연결용 돌기(31)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1인슐레이터(26)의 전단의 좌우측 모서리부에는 빠짐용 요부(39)가 각각 요설되어 있다. 더욱이 제1인슐레이터(26)의 전단의 좌측 모서리부의 상면에는 전방위치결정용 돌기(39a)가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인슐레이터(26)는 평면에서 볼 때 각형이며, 좌우의 측벽부(27)의 외측면은 서로 평행이며, 후단벽(34)의 후면은 좌우의 측벽부(27)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그리고 제1컨택트(17~24)의 제1테일부(17b~24b)(제1실장부(17c~24c))는, 평면에서 볼 때(제1커넥터(11)의 두께방향에서 보았을 때)후단벽(34)의 후면(제1측면)의 외주측에 위치한다.
슬라이더(40)는 슬라이더본체(41)와 보강부재(50)를 일체화한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40)는 내열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더본체(41)와, 슬라이더부(37)에 하단부가 슬라이드자재에 결합되는 직선상부(42)와, 직선상부(42)의 후단부에서 좌측으로 돌출된 접촉용 단부(43)를 구비하고 있다.
직선상부(42)의 상면의 전방에는 평면에서 볼 때 하트 형상을 이루는 하트캠부(44)가 요설되어 있다. 하트캠부(44)는 하트형돌부(45)의 주위에 요설된 다수의 단차를 가지는 홈이며, 상기 홈 없이 전후방향으로 직선적으로 형성되는 초기결합부(44a)와, 하트형돌부(45)의 좌측에 위치하는 통과부(44b)와, 하트형돌부(45)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보호유지부(44c)와, 하트형돌부(45)의 좌측에 위치하는 통과부(44d)를 지니고 있다.
슬라이더본체(41)의 후방좌측에는 후방을 향해 형성된 원주형상의 스프링지지축(46)이 돌출되어 있다. 접촉용 단부(43)의 우측단부에는 평면에서 볼 때 후방으로 경사진 평면인 카드접촉부(49)가 형성되고 있다.
금구재의 보강부재(50)는 슬라이더본체(41)의 후방에 고정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40)는 도 9,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초기위치와, 도 12에 도시된 압입위치 사이를 슬라이드부(37)를 따라 제1하부하우징(15)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더욱이 슬라이더(40)의 후단부와 후부벽(34)의 좌측부 사이에는 압축코일스프링(S1)이 자유상태보다 줄어든(탄성변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압축코일스프링(S1)의 전단부에는 스프링지지축(46)이 삽입되며 압축코일스프링(S1)의 후단부에는 스프링지지용 돌기(35)가 결합된다. 따라서, 압축코일스프링(S1)에서 슬라이더(40)의 전방으로 외력이 가해지므로 슬라이더(40)에 압축코일스프링(S1) 이외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 슬라이더(40)는 초기위치에 위치된다.
금속부재인 캠부(55)는 제1하부하우징(15)와 슬라이더본체(41)를 연계하는 부재이다. 캠부(55)는 전후 양단부에 하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전단결합돌부(56)와 후단결합돌부(57)를 가진다. 전단결합돌기(56)는 제1하부하우징(15)(캠부지지부(32))의 캠부지지구(3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전단결합돌부(57)는 슬라이더본체(41)의 하트캠부(44)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더(40), 캠부(55) 및 압축코일스프링(S1)을 수납하는 제1하부하우징(15)의 상부는 제1상부하우징(60)에 의해 덮여 있다.
금속판의 프레스 성형품인 제1상부하우징(60)의 좌우 양측부에는 전후로 형성된 한 쌍의 돌출편(61)과, 전후의 돌출편(61) 사이에 위치하는 제1도통용 돌출편(63)이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편(61)에는 결합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제1상부하우징(60)은 각 돌출편(61)의 결합구멍(62)에 제1하부하우징(15)에 대응되는 상부커버결합돌기(30)를 결합시켜 제1하부하우징(15)에 장착된다. 제1상부하우징(60)의 전방의 좌측 모서리 근처에는 프레스성형을 통해 성형된 캠부 가압용 판스프링(64)이 설치되어 있다. 캠부 가압용 판스프링(64)은 전단부에서 후방으로 하향경사진 편(片) 지지 타입의 판스프링이며, 캠부 가압용 판스프링(64)은 자유상태에서 제1상부하우징(60)의 천정면보다 아래에 위치된다. 따라서, 캠부 가압용 판스프링(64)이 캠부(55)를 항상 제1하부하우징(15)의 저면측(하향)을 향해 가압하므로 캠부(55)의 전단결합돌부(56)와 캠부지지구(33)의 결합상태 및 후단결합돌부(57)와 캠부(44)의 결합상태가 항상 유지된다.
계속해서 제2커넥터(70)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커넥터(70)는 제2하부하우징(75)(제2하우징), 슬라이더(40), 캠부(55) 및 제2상부하우징(90)(제2하우징) 및 압축코일스프링(S1)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평면형상은 제1커넥터(11)와 거의 동일하다.
평면에서 볼 때, 각형의 제2하부하우징(75)은 제2금속부재(76)와 제2인슐레이터(86)를 구비하는 일체 성형품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금속부재(76)는 8개의 제2컨택트(77~84)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2컨택트(77~84)는 제2접촉편(77a~84a)과 제2테일부(77b~84b)를 각각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테일부(77b,78b,82b,79b,84b,83b)는 제2금속부재(76)에서 좌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제2테일부(77b~84b)의 선단부는 그 인접부 보다 1단 하향되게 위치하는 제2실장부(77c~84c)를 가진다.
제2인슐레이터(86)는 도시를 생략한 금구 내에서 제2금속부재(76)에 아웃서트성형을 시행하여 제2금속부재(76)와 일체화한 것이며, 좌우의 측벽부(27)와, 저면구성부(28)와, 컨택트노출구멍(29)과, 상부캠부 결합돌기(30)와, 캠부지지부(32)와, 캠부지지구(33)와, 후부벽(34)와, 스프링지지용 돌기(35)와, 슬라이드부(37)와, 수납부(38)에 상당하는 제2수납부(87)를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후부벽(34)의 좌우 양단 근방부에는 한 쌍의 위치결정용 제2돌기(34b)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2인슐레이터(86)의 하면 전단의 좌측 모서리부에는 전방위치결정용 요부(88)가 요설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인슐레이터(86)는 평면에서 볼 때 각형이며, 좌우의 전방부(27)의 외측면은 서로 평행이고, 후부벽(34)의 후면은 좌우의 측벽부(27)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그리고 제2컨택트(77, 78, 81, 82)의 제2테일부(77b, 78b, 81b, 82b)(제2실장부(77c, 78c, 81c, 82c))는 평면에서 볼 때(제2커넥터(70)의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좌측의 전방부(27)의 외측면(제2측면)의 외주측에 위치한다. 한편, 제2컨택트(79,80,83,84)의 제2테일부(79b, 80b, 83b, 84b)(제2실장부(79c, 80c, 83c, 84c))는 평면에서 볼 때(제2커넥터(70)의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좌측의 전방부(27)의 외측면(제2측면)의 외주측에 위치한다.
제2하부하우징(75)에는 슬라이더(40), 캠부(55) 및 압축코일스프링(S1)이 제1하부하우징(15)과 동일한 모습으로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40), 캠부(55) 및 압축코일스프링(S1)을 수납하는 제2하부하우징(75)의 상부는 제2상부하우징(90)에 의해 덮여 있다.
금속판의 프레스성형품인 제2상부하우징(90)의 좌우 양측부에는 전후 한 쌍의 돌출편(61)과, 전후의 돌출편(61)의 사이에 위치하는 전후 한 쌍의 커넥터 연결용 돌출편(91)과, 전후의 커넥터 연결용 돌출편(91)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도통용 돌출편(93)이 각각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커넥터 연결용 돌출편(91)에는 커넥터연결구멍(92)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제2상부하우징(90)의 좌우 양측부의 전단부에는 돌출편(61), 커넥터 연결용 돌출편(91) 및 제2도통용 돌출편(93)보다 아래쪽으로 형성된 접지도통용 돌출편(94)이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접지도통용 돌출편(94)의 선단부에는 내부를 향해 수평으로 형성된 접지용 테일부(95)가 형성되어 있다. 제2상부하우징(90)은 각돌출편(61)의 결합구멍(62)을 제2하부하우징(75)에 대응되는 상부캠부 결합돌기(30)에 결합시켜 제2하부하우징(75)에 장착된다. 제2하부하우징(90)을 제2하부하우징(75)에 장착하면, 제2컨택트(77~84)의 제2장착부(77c~84c)와 각 접지도통용 돌출편(94)의 접지용 테일부(95)가 동일평면상에서 위치하게 된다. 제2상부하우징(90)의 캠부 가압용 판스프링(64)도 자유상태에서 제2상부하우징(90)의 천정면보다 하향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캠부 가압용 판스프링(64)이 캠부(55)를 항상 제2하부하우징(75)의 저면측(하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캠부(55)의 전단결합돌부(56)와 캠부지지구(33)의 결합상태 및 후단결합돌부(57)와 하트캠부(44)의 결합상태가 항상 유지된다.
이상 설명한 제1커넥터(11)와 제2커넥터(70)는 제1커넥터(11)의 상면에 제2커넥터(70)을 덮어서 좌우의 위치결정용 제1돌기(34a)의 내측면에 좌우의 위치결정용 제2돌기(34b)의 외측면을 접촉시키는 것과 함께 전방위치결정용 요부(88)에 전방위치결정용 돌기(39a)를 결합시키며, 제2커넥터(70)의 전면, 후면 및 좌우양측면의 위치를 제1커넥터(11)의 전면, 후면 및 좌우 양측면과 각각 일치시킨 상태로(제1커넥터(11)의 전면, 후면 및 좌우 양측면과 각각 평행하며), 제2상부하우징(90)의 각 커넥터 연결용 돌출편(91)의 커넥터연결구멍(92)을 제1하부하우징(15)에 대응되는 커넥터연결용 돌기(31)와 결합시켜 서로 일체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일체화하는 것에 의해 메모리카드용 커넥터(10)가 완성된다. 제1커넥터(11)와 제2커넥터(70)를 일체화하면, 제2커넥터(70)의 제2인슐레이터(86)의 하면이 제1커넥터(11)의 제1상부하우징(60)의 상면에 접촉된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넥터(70)의 제2금속부재(76)의 제2컨택트(77~84)를 제외한 부분은 제2인슐레이터(86)의 내부에 위치하므로(제2인슐레이터(86)의 하면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제2금속부재(76)와 제1상부하우징(60)이 전기적으로 단락될 일은 없다.
또한 제2커넥터(70)의 좌우의 제2도통용 돌출편(93)이 제1커넥터(11)의 좌우의 제1도통용 돌출편(63)에 외측으로 각각 결합(접촉)된다.
더욱이, 좌우의 접지도통용 돌출편(94)이 빠짐용 요부(39) 내에 위치하며, 제2커넥터(70)의 제2컨택트(77~84)의 제2실장부(77c~84c) 및 각 지지도통용 돌출편(94)의 접지용 테일부(95)가 제1커넥터(11)의 제1컨택트(17~24)의 제1실장부(17c~24c)와 동일평면상에 위치된다.
메모리카드용 커넥터(10)는 회로기판(CB)(도 1, 도 5의 가상선 참조)의 상면(회로형성면)에 실장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카드용 커넥터(10)의 상향에 위치하는 흡인수단(도시생략)을 이용하여 제2상부하우징(90)의 상면을 흡착한 다음 흡인수단을 상향에 이동시켜 메모리카드용 커넥터(10)를 상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흡인수단을 이용하여 커넥터(10)를 회로기판(CB)의 회로패턴(도시 생략) 상향으로 이동시킨 다음 화상인식수단(도시생략)을 이용하여 제1컨택트(17~24)의 제1실장부(17c~24c) 및 제2컨택트(77~84)의 제2실장부(77c~84c)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제1컨택트(17~24)의 제1실장부(17c~24c) 및 제2컨택트(77~84)의 제2실장부(77c~84c)를 회로기판(CB)상의 회로패턴에 도포된 납땜 페이스트상에 위치시키며, 각 접지용 테일부(95)를 회로기판(CB)상의 접지패턴(도시 생략)에 도포된 납땜 페이스트상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리플로우로에 각 납땜 페이스트를 가열용해(리플로우)하며, 제1실장부(17c~24c), 제2실장부(77c~84c) 및 접지용 테일부(95)를 상기 각 패턴에 납땜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메모리카드용 커넥터(10)에 제1메모리카드(MCa)와 제2메모리카드(MCb)를 삽입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평면에서 볼 때 각형을 이루는 제1메모리카드(MCa)와 제2메모리카드(MCb)의 하면에는 8개의 단자(MC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메모리카드(MCa)와 제2메모리카드(MCb)의 4개의 모서리부 내의 1개(우측 후방의 모서리부)는 상기 모서리부를 통과하는 대각선에 직교하는 직선에 의해 절단된(노치된) 절단모서리부(MC2)를 가진다.
제1커넥터(11)에 제1메모리카드(MCa)를 삽입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는, 압축코일스프링(S1)의 가압력에 의해 슬라이더(40)는 초기위치에 위치하며, 캠부(55)의 후단결합돌부(57)는 하트캠부(44)의 초기결합부(44a)에 결합된다(도 9 내지 도 11 참조).
이 상태에서 정규자세(단자(MC1)이 하향에 위치하며, 좌측후방에 모서리부가 절단모서리부(MC2)가 되는 자세)로 하는 제1메모리카드(MCa)를 제1커넥터(11)의 제1수납부(38)의 전면개구부에서 제1수납부(38)의 내부로 삽입하며(도 10 참조), 제1메모리카드(MCa)를 후방으로 밀어넣으면, 절단모서리부(MC2)가 슬라이더본체(41)(접촉용 단부(43))의 카드접촉부(49)에 접촉하면서 제1메모리카드(MCa)와 슬라이더(40)가 일체화된다(도 11 참조).
이 상태에서 제1메모리카드(MCa)를 후방에 가압하면, 슬라이더(40)가 압축코일스프링(S1)의 가압력에 대항하여(압압코일스프링(S1)을 압축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키면서. 도 12에서는 압축코일스프링(S1)의 도시 생략) 후방으로 슬라이드하므로, 초기결합부(44a)의 중앙부에 결합하고 있던 캠부(55)의 후단결합돌부(57)가 초기결합부(44a)의 전부 및 통과부(44b)의 후방을 향해 이동한다(초기결합부(44a)의 전부와 통과부(44b)에 대하여 순서대로 결합한다). 그리고 캠부(55)의 후단결합돌부(57)가 통과부(44b)의 전단부(하트형돌부(45)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까지 이동했을 때 슬라이더(40)는 압입위치에 도달한다(도 12 참조).
슬라이더(40)가 압입위치에 도달한 뒤에 제1메모리카드(MCa)에 후방으로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압축코일스프링(S1)의 가압력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된(되밀린) 슬라이더본체(41)의 보호유지부(44c)가 캠부(55)의 후단결합돌부(57)에 결합되므로, 슬라이더(40)는 압입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슬라이더(40)의 전방으로의 슬라이드가 규제된다). 슬라이더(40)가 압입위치에 도달하면, 제1메모리카드(MCa)의 각 단자(MC1)에 대응되는 제1컨택트(17~24)(제1접촉편17a~24a)와 각각 접촉하므로, 제1컨택트(17~24(제1실장부(17c~24c))를 사이에 두고 제1커넥터(11)에 삽입된 제1메모리카드(MCa)와 회로기판(CB)이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슬라이더(40)가 압입위치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메모리카드(MCa)를 다시 한번 압축코일스프링(S1)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밀어넣은 후에 카드(MC)에 대한 후방으로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압축코일스프링(S1)에 의한 전방으로의 가압력에 의해 후단결합돌부(57)가 보호유지부(44c)에서 후방으로 떨어진 후에 통과부(44d)측으로 이동하며(결합하며), 통과부(44d)를 통과하여 초기결합부(44a)의 중앙부까지 자동적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슬라이더(40)는 초기위치로 복귀한다(도 11참조). 따라서 메모리카드(MCa)를 손으로 잡아 메모리카드용 커넥터(10)에서 전방으로 꺼낼 수 있게 된다.
제2커넥터(70)의 내부구조는 제1커넥터(11)와 동일하므로(제2하부하우징(75)에는 슬라이더(40), 캠부(55) 및 압축코일스프링(S1)이 제1하부하우징(15)와 같은 모습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2커넥터(70)에 제2메모리카드(MCb)를 제1커넥터(11)와 같은 요령으로 삽입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메모리카드용 커넥터(10)는 상하로 겹쳐진 제1커넥터(11)와 제2커넥터(7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메모리카드용 커넥터(10)에 제1메모리카드(MCa)와 제2메모리카드(MCb)를 접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에 내장된 메모리카드용 커넥터(10)에 제1메모리카드(MCa)(micro SIM카드)와 제2메모리카드(MCb)(micro SIM카드)를 삽입하면, 1개의 휴대단말로(번호가 다른) 2개의 전화번호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커넥터(11)의 제1컨택트(17~24)의 제1테일부(17b~24b)(제1실장부(17c~24c))가 제1커넥터(11)의 두께방향(상하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하부하우징(15)의 일측면에 있는 제1측면(후부벽(34)의 후면)의 외주측(후방)에 위치하고, 제2커넥터(70)의 제2컨택트(77~84)의 제2테일부(77b~84b)(제2실장부(77c~84c))는 제2커넥터(70)의 두께방향(상하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측면과는 다른 곳(방향)에 위치하는 제2측면(좌우 양측의 측벽부(27)의 외측면)의 외주측(좌측의 측벽부(27)의 외측면의 좌측, 우측의 측벽부(27)의 외측면의 우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테일부(17b~24b)(제1실장부(17c~24c)들의 간격(피치) 및 제2테일부(77b~84b) 제2실장부(77c~84c))들의 간격을 넓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1테일부(17b~24b)와 제2테일부(77b~84b)의 화상인식(위치인식)이 용이해지며, 인접하는 테일부 사이에서의 납땜에 의한 단락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1실장부(17c~24c) 및 제2실장부(77c~84c)와 회로기판(CB)의 사이에서 납땜불량이나 단락이 생기기 어렵다.
또한, 제1테일부(17b~24b)(제1실장부(17c~24c)들의 간격(피치) 및 제2테일부(77b~84b)(제2실장부(77c~84c))를 회로기판(B)상의 다른 곳에 실장하므로(번갈아 정렬하지 않으므로), 제1테일부(17b~24b)와 제2테일부(77b~84b)는 서로 영향을 받기 어렵다. 따라서 제1테일부(17b~24b)와 제2테일부(77b~84b)의 사이의 얼라이먼트조정이 비교적 용이해지므로 납땜불량이 일어나기 어렵다.
더욱이, 제1테일부(17b~24b)와 제2테일부(77b~84b)를 번갈아 정렬하지 않으므로 메모리카드용 커넥터(10)가 소형의 경우라고 해도 인접하는 제1테일부(17b~24b)들의 간격(피치) 및 인접하는 제2테일부(77b~84b)들의 간격이 좁아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메모리카드용 커넥터(10)가 소형의 경우라고 해도, 제1실장부(17c~24c)와 제2실장부(77c~84c)의 회로기판(CB)에 대한 실장성은 좋다.
더욱이 메모리카드용 커넥터(10)의 두께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컨택트(17~24)의 제1테일부(17b~24b)(제1실장부(17c~24c))와 제2컨택트(77~84)의 제2테일부(77b~84b)(제2실장부(77c~84c))가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하므로(제1테일부(17b~24b)와 제2테일부(77b~84b)를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번갈아 정렬하지 않으므로), 제1테일부(17b~24b)와 제2테일부(77b~84b)의 한쪽을 복잡한 형상(예를 들면 크랭크 형상)으로 가공할 필요는 없다.
더욱이 제2커넥터(70)의 좌측의 제2테일부(77b, 78b, 82b, 81b)와 좌측의 제2테일부(80b, 79b, 83b, 84b)가 제1커넥터(11)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며(제2커넥터(70)가 제1커넥터(11)에 끼워져 있음) 회로기판(CB)의 회로패턴에 땜납을 한다(고정시킨다). 즉 제2커넥터(70)(좌측의 제2테일부(77b, 78b, 82b, 81b)와 우측의 제2테일부(80b, 79b, 83b, 84b)는 제1커넥터(10)(제1실장부(17c~24c))와는 다른 2곳에서 회로기판(CB)에 실장되므로 제2커넥터(70)의 회로기판(CB)에 대한 실장강도는 높다. 따라서, 제1커넥터(11)에 제1메모리카드(MCa)를 과잉의 힘으로 삽입 혹은 인출하거나, 잠금수단을 생략하더라도(제1커넥터(11)를 실장할 때보다) 제1커넥터(11)가 회로기판(CB)로부터 박리될 우려는 적다.
또한, 제1커넥터(11)와 제2커넥터(70)가 잠금수단(커넥터연결용 돌기(31)과 커넥터연결구멍(92))를 통해 일체화된 상태로 메모리카드용 커넥터(10)의 제1컨택트(17~24)의 제1테일부(17b~24b)(제1실장부(17c~24c))와 제2컨택트(77~84)의 제2테일부(77b~84b)(제2실장부(77c~84c)가 회로기판(CB)의 회로패턴에 땜납되므로, 1회의 땜납작업에 의해 메모리카드용 커넥터(10)(제1커넥터(11)와 제2커넥터(70))를 회로기판(CB)에 실장할 수 있다.
더욱이 제1상부하우징(60)과 제2상부하우징(90)이 제1도통판돌출편(63)과 제2도통용 돌출편(93)을 사이에 두고 접속하며 접지도통용 돌출편(94)(접지용 테일부(95))이 회로기판(CB)상의 접지패턴과 접지되어 도통하므로, 제1컨택트(17~24) 및 제2컨택트(77~84)에 외부노이즈가 들어오거나, 제1컨택트(17~24) 및 제2컨택트(77~84)의 노이즈가 외부로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제1메모리카드(MCa)나 제2메모리카드(MCb)를 삽입하고 빼는 작업자에게 정전기가 발생할 경우, 상기 정전기가 제1상부하우징(60) 및 제2하부하우징(90)의 사이에 있는 회로기판(CB)상의 접지패턴으로 빠져나가 버리게 되므로 커넥터(10)가 탑재된 기기나 제1메모리카드(MCa) 및 제2메모리카드(MCb)는 정전기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을 시행하면서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micro SIM카드(제1메모리카드(MCa)와 제2메모리카드(MCb))이외의 메모리카드(예를 들면, micro SD카드, SIM카드 등)를 삽입하기 위한 메모리카드용 커넥터를 본 발명에 적용하여도 좋다.
또한, 메모리카드용 커넥터(10)를 휴대단말 이외의 기기(예를 들면 PDA, 퍼스널컴퓨터, 디지털카메라, 디지털비디오카메라 등)에 실장하여도 좋다.
더욱이, 제1커넥터(11)(제1하부하우징(15)와 제1상부하우징(60))와 제2커넥터(70)(제2하부하우징(75)와 제2상부하우징(90))는 평면에서 볼 때 각형이 아니라 정방형이어도 좋다.
또한 제1커넥터(11)(제1하부하우징(15)과 제1상부하우징(60))와 제2커넥터(70)(제2하부하우징(75)과 제2상부하우징(90))을 평면에서 볼 때 각형인 경우나 평면에서 볼 때 정방형인 경우에도 4개의 모서리부는 엄밀한 직각이어도 좋으며 상기 실시예와 같은 직각이어도 좋다.
더욱이 제1커넥터(11)(제1하부하우징(15)과 제1상부하우징(60))와 제2커넥터(70)(제2하부하우징(75)과 제2상부하우징(90))의 전체 수치를 바꾸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1커넥터(11)(제1하부하우징(15)과 제1상부하우징(60))에 비해 제2커넥터(70)(제2하부하우징(75)과 제2상부하우징(90))을 작게 하여도 좋다. 다만, 이 경우도 제1커넥터(11)(제1하부하우징(15)과 제1상부하우징(60))와 제2커넥터(70)(제2하부하우징(75)과 제2상부하우징(90))의 4개의 측면들을 서로 평행으로 한다.
또한 제1커넥터(11)의 제1테일부(제1실장부)를 제1하우징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시키며, 제2커넥터(70)의 각 제2테일부(제2실장부)를 제2하우징의 후방에만 위치시켜도 좋다.
제1커넥터(11)를 상기 실시예와 같이 실행한 다음에, 제2커넥터(70)의 각 제2테일부(제2실장부)를 제2하우징의 좌측에만 혹은 우측에만 위치시켜도 좋다. 또한, 제1커넥터(11)의 각 제1테일부(제1실장부)를 제1하우징의 좌측에만 혹은 우측에만 위치시키고, 제2커넥터(70)의 각 제2테일부(제2실장부)를 제2하우징의 후방에만 위치시켜도 좋다.
더욱이 제1커넥터(11)와 제2커넥터(70)의 적어도 한쪽에서 슬라이더(40). 캠부(55) 및 압축코일스프링(S1)을 생략하여도 좋다. 이 경우, 슬라이더(40), 캠부(55) 및 압축코일스프링(S1)을 대신하는 제품은 설치하여도 좋고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대신하는 제품의 예를 들면, 하우징 안에 슬라이드 자재로 설치된 트레이가 있다. 이 트레이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끌어당겼을 때에 메모리카드를 끼울 수 있으면서 메모리카드를 끼운 상태에서 하우징으로 밀어넣는 것이 가능하다. 트레이를 하우징 내에 밀어넣으면, 트레이의 저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해 메모리카드의 단자와 하우징에 고정된 컨택트가 접촉한다.
10...메모리카드용 커넥터 11...제1커넥터
12...제1하부하우징(제1하우징) 16...제1금속부재
17~24...제1컨택트 17a~24a...제1접촉편
17b~24b...제1테일부 17c~24c...제1실장부
26...제1인슐레이터 27...측부벽(제2측면)
28...저면구성부 29...컨택트 노출구멍
30...상부캠부 결합돌기 31...커넥터연결용돌기(잠금수단)
32...캠부지지부 33...캠부지지구
34...후부벽(제1측면) 34a...위치결정용 제1돌기
34b...위치결정용 제2돌기 35...스프링지지용돌기
37...슬라이드구 38...제1수납부
39...빠짐용 요부 39a...전측위치결정용 돌기
40...슬라이더 41...슬라이더본체
42...직선상부 43...접촉용 단부
44...하트캠구 44a...초기결합부
44b...통과부 44c...보호유지부
44d...통과부 45...하트형돌부
46...스프링지지축 49...카드접촉부
50...보강부재 55...캠부
56...전단결합돌부 57...훈단결합돌부
60...제1상부하우징(제1하우징) 61...돌출편
62...결합구멍 63...제1도통용 돌출편
64...캠부가압용 판스프링 70...제2커넥터
75...제2하부하우징(제2하우징) 76...제2금속부재
77~84...제2컨택트 77a~84a...제2접촉편
77b~84b...제2테일부 77c~84c...제2실장부
86...제2인슐레이터 87...제2수납부
88...전방위치결정용 요부 90...제2상부하우징 (제2하우징)
91...커넥터연결용 돌출편 92...커넥터연결구멍 (잠금수단)
93...제2도통용 돌출편 94...접지도통용 돌출편
95...접지용테일부 CB...회로기판
MCa...제1메모리카드(micro SIM카드)
MCb...제2메모리카드(micro SIM카드)
MC1...단자 MC2...절단모서리부
S1...압축코일스프링

Claims (4)

  1. 제1메모리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제1수납부를 가지며 정방형 또는 각형을 이루는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수납부에 삽입된 상기 제1메모리카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제1컨택트를 가지는 제1커넥터와, 제2메모리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제2수납부를 가지며 정방형 또는 각형을 이루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2수납부에 삽입된 상기 제2메모리카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제2컨택트를 가지는 제2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를 서로 두께방향으로 겹쳐놓은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두께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면인 제1측면의 외주측에 위치하면서 회로기판에 실장 가능한 제1테일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두께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측면과는 다른 곳에 위치하는 제2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두께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측면의 외주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회로기판에 대해 실장가능한 제2테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드용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은 상기 두께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측면과 직교하는 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드용 커넥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 상기 제1커넥터 및 상기 제2커넥터의 순서로 3부재가 겹쳐지고,
    상기 제1수납부 및 상기 제2수납부가 상기 제1메모리카드와 상기 제2메모리카드를 각각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과 같은 방향에 위치하는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두께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개구부와는 다른 곳에 위치하는 상기 제1측면을 가지고,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두께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개구부 또는 상기 제1측면과는 다른 곳에 위치하는 한 쌍의 상기 제2측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드용 커넥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에는 서로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를 겹친 상태로 유지시키는 잠금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드용 커넥터.
KR1020130040817A 2013-01-28 2013-04-15 메모리카드용 커넥터 KR201400969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12820 2013-01-28
JP2013012820A JP5808763B2 (ja) 2013-01-28 2013-01-28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943A true KR20140096943A (ko) 2014-08-06

Family

ID=51223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817A KR20140096943A (ko) 2013-01-28 2013-04-15 메모리카드용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09538B2 (ko)
JP (1) JP5808763B2 (ko)
KR (1) KR20140096943A (ko)
CN (1) CN1039726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80126B (zh) * 2015-01-05 2017-04-21 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卡連接器及其製造方法
CN105977666A (zh) * 2016-05-07 2016-09-2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安装有该电连接器的电子设备
JP1553879S (ko) * 2015-11-03 2016-07-11
JP1553611S (ko) * 2015-11-03 2016-07-11
JP1552812S (ko) * 2015-11-03 2016-06-27
JP1552814S (ko) * 2015-11-04 2016-06-27
JP1552813S (ko) * 2015-11-04 2016-06-27
JP1552815S (ko) * 2015-11-06 2016-06-27
KR102483702B1 (ko) * 2016-03-03 2023-01-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 수용부를 갖는 커넥터 장치
CN106159535B (zh) * 2016-06-20 2018-08-21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一种卡座以及移动终端
CN106159534B (zh) * 2016-06-20 2018-09-18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一种卡座、卡托以及移动终端
JP6462634B2 (ja) * 2016-06-27 2019-01-30 株式会社フジクラ コネクタ
CN107959182B (zh) * 2016-10-17 2020-10-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卡连接器
CN106571558B (zh) * 2016-11-10 2018-10-12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一种卡座以及移动终端
CN108270098A (zh) * 2018-01-31 2018-07-10 昆山鑫泰利精密组件股份有限公司 一种nano sim卡座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9458B2 (ja) * 2000-06-12 2008-10-22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のコンタクト配列方法
JP2003323943A (ja) 2002-04-30 2003-11-14 Alps Electric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4271560B2 (ja) * 2003-12-10 2009-06-03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CN201048175Y (zh) * 2007-01-24 2008-04-16 硕民企业有限公司 微型记忆卡连接器的结构改良
CN201303077Y (zh) * 2008-10-27 2009-09-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1752697B (zh) * 2008-12-10 2011-12-1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549643U (zh) * 2009-07-02 2010-08-1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8469747B2 (en) * 2011-07-14 2013-06-25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ar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09538B2 (en) 2015-12-08
JP2014146432A (ja) 2014-08-14
CN103972680A (zh) 2014-08-06
US20140213116A1 (en) 2014-07-31
CN103972680B (zh) 2018-04-24
JP5808763B2 (ja) 201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6943A (ko) 메모리카드용 커넥터
US7252549B2 (en) Connector, receptacle for connector and plug for connector
US950281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23231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means
US807052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terminals
US7726983B2 (en) Electrical connector mounted on edge of PCB
US7179095B1 (en) Matrix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US1019977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evice securing shielding plate and insulator together before molding
JP6123004B1 (ja) コネクタ
US10381776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n improved latch member having a shorter length
US20120115364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grounding members
CA2572283C (en) Device for a precise contact guidance in card edge connectors
CN111628313A (zh) 板缘连接器
KR101452626B1 (ko) 회로기판 수직 접속용 커넥터 조립체
US20140080345A1 (en) Card edge connector
US7955129B2 (en) Camera socket having fold-back contact terminals arranged in high density
US7775832B2 (en) Holding structure of a contact member for an electrical connector
JP5083690B2 (ja) メモリーカード用コネクタ
KR100567587B1 (ko) 접지 연결용 홀드다운을 갖춘 전기 커넥터
US20090163052A1 (en) Board to board connector with low board mounting profile
US7892035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moveable housing
JP6076953B2 (ja) 基板用端子
US7604504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having grounding plate
US8052435B1 (en) Connector
US20080160829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