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0297A -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는 화상 형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는 화상 형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0297A
KR20140090297A KR1020120149760A KR20120149760A KR20140090297A KR 20140090297 A KR20140090297 A KR 20140090297A KR 1020120149760 A KR1020120149760 A KR 1020120149760A KR 20120149760 A KR20120149760 A KR 20120149760A KR 20140090297 A KR20140090297 A KR 20140090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content
nf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9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0297A/ko
Priority to EP13178770.7A priority patent/EP2747402A1/en
Priority to US13/956,432 priority patent/US9116652B2/en
Priority to CN201310632316.8A priority patent/CN103885732A/zh
Publication of KR20140090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297A/ko
Priority to US14/800,118 priority patent/US925084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9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in server-client-printer device configuration, e.g. the server does not see the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8Job submission, e.g. submitting print job order or request not the print data itsel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nother still picture apparatus, e.g. hybrid still pictur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04N1/00416Multi-level menus
    • H04N1/00419Arrangements for navigating between pages or parts of the menu
    • H04N1/00427Arrangements for navigating between pages or parts of the menu using a menu li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74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functional options, e.g. scan, copy or 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82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job set-up options, e.g. number of copies, paper size or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501Tailoring a user interface [UI] to specific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62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 H04N1/00973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from a remote device, e.g. receiving via the internet instructions input to a comput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1/3335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according to the available bandwidth used for a single communication, e.g. the number of ISDN channels u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6Detecting or check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41Point to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5By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6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e.g. an inductive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74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74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 H04N2201/0075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by a user operated remote control device, e.g. receiving instructions from a user via a computer terminal or mobile telephone hand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96Portabl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통해 모바일 단말을 검출하는 NFC 모듈;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나타나는 인터렉티브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제스처를 입력받는 터치 패널; 및 상기 NFC 모듈과 상기 터치 패널 간의 상대적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제스처를 해석하고, 상기 제스처의 해석 결과에 따라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 상기 오브젝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는 화상 형성 방법 및 장치{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of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NFC)를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화상 형성 장치가 모바일 단말과 연동하여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은 13.56MHz 주파수를 사용하여 10cm 이내의 짧은 거리에서 낮은 전력으로 전자 기기들 간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으로, 2002년 네덜란드 NXP 반도체와 일본 소니에 의해 공동 개발되었다. NFC의 초당 전송 속도는 424 Kbps이며, 근접성의 특성과 암호화 기술로 보안성이 뛰어나고, 단말기들끼리 인식하는데 복잡한 페어링 절차가 필요없이 1/10초 이하로 인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NFC는 RFID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카드식 비접촉 무선 통신 기술로, 스마트카드에 비하여 양방향성을 갖고, 저장 메모리 공간이 상대적으로 크며, 적용 가능한 서비스의 폭이 넒은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상용화되고 있는 모바일 단말, PC 등과 같은 전자 기기들에는 이 기술이 채택되어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NFC)를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화상 형성 장치가 모바일 단말와 연동하여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통해 모바일 단말을 검출하는 NFC 모듈;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나타나는 인터렉티브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제스처를 입력받는 터치 패널; 및 상기 NFC 모듈과 상기 터치 패널 간의 상대적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제스처를 해석하고, 상기 제스처의 해석 결과에 따라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 상기 오브젝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NFC 모듈 및 터치 패널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한 화상 형성 방법은, NFC 모듈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통해 모바일 단말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나타나는 인터렉티브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제스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NFC 모듈과 상기 터치 패널 간의 상대적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제스처를 해석하고, 상기 제스처의 해석 결과에 따라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 상기 오브젝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제1 터치 패널 및 제1 NFC 모듈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를 검출하는 제2 NFC 모듈;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content)가 나타나는 인터렉티브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트에 대한 제스처를 입력받는 제2 터치 패널; 및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제1 NFC 모듈과 상기 제1 터치 패널 간의 상대적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제스처를 해석하고, 상기 제스처의 해석 결과에 따라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상기 컨텐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이 화상 형성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은, 제2 NFC 모듈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통해 제1 터치 패널 및 제1 NFC 모듈을 구비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검출하는 단계; 제2 터치 패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content)가 나타나는 인터렉티브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트에 대한 제스처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제1 NFC 모듈과 상기 제1 터치 패널 간의 상대적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제스처를 해석하고, 상기 제스처의 해석 결과에 따라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상기 컨텐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와 모바일 단말 간의 상대적 위치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시 화상 형성 장치와 모바일 단말의 터치 스크린을 보다 직관적이고 일체감 있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a와 유사한 NFC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 및 모바일 단말이 존재하는 무선 통신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NFC 및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의 데이터 전송 속도(data rate) 및 통신 거리(range)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NFC 기술과 관련된 표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3b는 NFC의 3가지 통신 모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기본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b의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되는 NFC 태그와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와 모바일 단말의 G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화상 형성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인쇄, 스캐닝, 복사, 팩스, 파일 서버 및 웹 브라우징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구비한 복합기(MFP)인 것을 가정하고 설명한다. 모바일 단말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모바일 단말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 등이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오브젝트"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대상을 의미한다. 아이콘, 링크, 그림, 텍스트, 인덱스 항목 등이 오브젝트의 일 예이다. "인터렉티브 화면"은 정보 또는 오브젝트가 포함된 화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 컨텐트 리스트, 썸네일 리스트, 사진이 배열된 트레이, 아이콘이 배열된 트레이, 메뉴 항목이 배열된 트레이 등이 인터렉티브 화면의 일 예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스처"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손짓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등이 있을 수 있다.
"탭"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stylus)를 이용하여 화면을 매우 빠르게 터치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즉,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가 화면에 닿는 시점인 터치-인 시점과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가 화면에서 떨어지는 시점인 터치-아웃 시점 간의 시간 차이가 매우 짧은 경우를 의미한다.
"터치&홀드"는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stylus)를 이용하여 화면을 터치한 후 임계 시간 이상 터치 입력을 유지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즉, 터치-인 시점과 터치-아웃 시점 간의 시간 차이가 임계 시간 이상인 경우를 의미한다. 터치 입력이 탭인지 터치&홀드인지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터치 입력이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되면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피드백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더블 탭"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stylus)를 이용하여 화면을 빠르게 두 번 터치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드래그"는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화면에 터치한 후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화면 내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드래그 동작으로 인하여 오브젝트가 이동되거나 후술할 패닝 동작이 수행된다.
"패닝"은 사용자가 오브젝트를 선택하지 않고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패닝은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하지 않기 때문에 오브젝트가 인터렉티브 화면 내에서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인터렉티브 화면 자체가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거나, 오브젝트의 그룹이 인터렉티브 화면 내에서 이동한다.
"플릭"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이용하여 매우 빠르게 드래그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의 이동 속도가 임계 속도 이상인지에 기초하여 드래그(또는 패닝)와 플릭을 구별할 수 있다.
"드래그 앤드 드롭"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이용해 오브젝트를 화면 내 소정 위치에 드래그한 후 놓는 동작을 의미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환경(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고하면, NFC 환경(1)에는 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10) 및 NFC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20)이 존재한다. 도 1a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10)는 NFC 칩이 미리 내장되어 있어 모바일 단말(20)과 NFC 기능을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a과 유사한 NFC 환경(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를 참고하면, 마찬가지로 NFC 환경(1)에는 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10) 및 NFC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20)이 존재한다. 특히, 도 1a과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면, 도 1a의 화상 형성 장치(10)에는 NFC 태그(30)가 미리 내장되어 있으나, 도 1b의 화상 형성 장치(10)는 NFC 태그(30)가 미리 내장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따라서, 도 1b의 화상 형성 장치(10)는 추후에 NFC 태그(30)가 설치될 경우에만 모바일 단말(20)과 NFC 기능을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NFC 환경(1)의 동작은 화상 형성 장치(10)에 NFC 태그(30)가 추후에라도 설치된 경우라면, 미리 내장되어 있는 경우(도 1a)와 마찬가지임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NFC 환경(1)에는 화상 형성 장치(10) 및 모바일 단말(20) 한 쌍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하겠으나, NFC 환경(1)에는 NFC 기능을 지원하는 다른 종류의 전자 기기들도 다수 존재할 수 있고 이들도 본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NFC 환경(1)에는 본 실시예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화상 형성 장치(10) 및 모바일 단말(20)은 서로 다른 물리적 공간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모바일 단말(20)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NFC 태그(30)와 매우 근거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모바일 단말(20)은 NFC 태그(30)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 및 모바일 단말(20)이 존재하는 무선 통신 환경(2)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를 참고하면, NFC 환경(1)과 함께 다른 주변 유/무선 네트워크들이 도시되어 있다. NFC 환경(1)은 Wi-Fi Direct, Bluetooth, Ethernet, 802.11a/b/g/n 등과 같은 주변 유/무선 네트워크와 함께 연동되어 동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기본적인 NFC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NFC 기술은 13.56MHz 주파수를 사용하여 10cm 이내의 짧은 거리에서 낮은 전력으로 전자 기기들 간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이다. NFC의 초당 전송 속도는 424 Kbps이며, 근접성의 특성과 암호화 기술로 보안성이 뛰어나고, 단말기들끼리 인식하는데 복잡한 페어링 절차가 필요 없이 1/10초 이하로 인식할 수 있다. 특히, NFC 기술은 RFID 기술에 기반한 것이나, 스마트 카드에 비하여 양방향성을 갖고 저장 메모리 공간이 상대적으로 크며 적용 가능한 서비스의 폭이 보다 넓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NFC는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지 않고 단말기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0) 및 모바일 단말(20) 간에 직접 데이터를 교환하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RFID 방식의 일종이다. RFID를 이용한 무선 통신 방식은 사용되는 주파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카드, 출입카드 등과 같은 스마트카드에 주로 사용되는 13.56MHz 대역의 RFID와 물류에 주로 활용되는 900MHz 대역의 RFID가 있다. NFC는 스마트카드와 같이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RFID에 해당된다. 그러나, NFC는 단방향으로만 통신 가능한 스마트카드와는 달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는 결정적 차이가 있다. 따라서, 특정 정보를 저장하여 리더기(reader)에 전송하는 태그(tag) 역할만을 갖는 스마트카드와는 다르다. NFC는 필요에 따라 태그 역할뿐만 아니라 태그에 정보를 기록하는 기능도 지원하며, NFC가 장착된 단말기들간의 P2P(Peer to Peer) 정보 교환에도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RFID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된 NFC는, Wi-Fi, Bluetooth, Zigbee 등과 같은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과 도 2a와 같이 비교될 수 있다.
도 2a는 NFC 및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의 데이터 전송 속도(data rate) 및 통신 거리(range)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고하면,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과 비교할 때, NFC는 약 10cm 내외의 거리에서만 동작할 수 있다.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까지 통신이 가능한 Bluetooth, Wi-Fi 등과는 달리 NFC는 극단적으로 짧은 거리(약 10cm 내외)에서만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NFC는, Bluetooth, Zigbee 등과 같은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과 표 1과 같이 비교될 수도 있다.
기술 사용 주파수 보안성 표준 범위 주 서비스 영역
NFC 13.56 MHz 암호화 적용 국제 표준 비접촉 결제, RFID, 파일 전송
Bluetooth 2.4 GHz 미적용 국제 표준 파일 전송
Zigbee 2.4 GHz 미적용 국제 표준 기기 제어, RFID
900MHz RFID 900 MHz 미적용 국내(KR) 표준 RFID
즉,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과 비교할 때, NFC는 10cm 이내의 거리에서만 동작되고 또한 암호화 기술이 적용되는바, 보안성이 높다. 따라서, 3G, Wi-Fi 등과 같은 고속의 다른 무선 통신 방식들과 결합되어 사용될 경우 단말기들간에 보다 효율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기술과 Bluetooth 기술을 조합할 경우, NFC 기술은 단말기들간의 연결(인증)에 사용되고, Bluetooth 기술은 단말기들간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됨으로써, 단말기들은 보다 효율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도 2b는 NFC 기술과 관련된 표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를 참고하면, NFC 표준 기술은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를 따르면서 ISO 14443 비접촉식 카드(Proximity-card Standard) 표준을 확장한 것으로서, NFC IP-1(NFC Interface Protocol-1)(ISO/IEC 18092)과 NFC IP-2(ISO/IEC 21481)의 표준의 포함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ISO/IEC 14443 Type A 및 Type B, FeliCa, ISO/IEC 15693은 13.56MHz에서 동작하는 비접촉식 카드를 위한 4개 부문의 국제표준이다. 그리고, ISO/IEC 18092 표준은 NFC 인터페이스 및 프로토콜에 대한 통신 모드를 정의한다.
도 3a 및 3b는 NFC의 3가지 통신 모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NFC 포럼은 NFC의 주요 통신 모드들을 Reader/Writer 모드(301), P2P 모드(302) 및 Card Emulation 모드(303)의 3가지로 분류하여 표준화하고 있다. 요약하자면, NFC의 3가지 통신 모드들은 표 2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ISO/IEC 15693 ISO/IEC 18092 ISO/IEC 14443
동작 모드 리더/태그간 통신
(VCD2 mode)
기기간 통신
(P2P mode)
리더/태그간 통신
(PCD1 mode)
전력 공급 수동 능동 및 수동 수동
통신 범위 1m 10~20cm 10cm
데이터 속도 26kbps 이하 106, 212, 424Kbps 106Kbps
(PCD: Proximity Coupling Device, VCD: Vicinity Coupling Device)
먼저, Reader/Writer 모드(301)에 따르면, NFC 태그가 내장된 모바일 단말(20)이 다른 NFC 태그를 읽는 reader로 동작하거나 다른 NFC 태그에 정보를 입력하는 writer로 동작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P2P 모드(302)는 두 개의 NFC 단말기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0) 및 모바일 단말(20)간의 링크 수준의 통신을 지원하는 모드이다. 연결 수립을 위하여, 클라이언트(NFC P2P initiator, 모바일 단말(20))는 호스트(NFC P2P target, 화상 형성 장치(10))를 검색하고 NDEF 메시지 포맷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Card Emulation 모드(303)는 NFC 태그가 내장된 모바일 단말(20)이 스마트카드(ISO/IEC 14443)처럼 동작하는 모드이다. 따라서, 비접촉식 카드의 국제표준인 ISO 14443은 물론, SONY의 펠리카(Felica)와 Philips의 마이페어(MiFare)와도 호환된다.
한편, NFC의 3가지 통신 모드들이 유기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도 3b와 같이 프로토콜이 표준화되어 있다. 도 3b를 참고하면, NFC 시스템에서의 S/W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LLCP(Logical Link Control Protocol)는 계층간의 통신 연결 및 제어의 역할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이다. NDEF(NFC Data Exchange Format) 메시지는 NFC 통신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기본 메시지 구조이다. NDEF는 NFC 포럼에 호환되는 디바이스 및 태그간에 이뤄지는 메시지 교환에 대한 레코드 형식을 정의하는 것으로서,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스마트포스터 및 그 밖의 것에 대한 표준 교환 형식이다. NDEF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NDEF 레코드를 포함한다. NDEF 레코드는 유형, 길이 및 옵션 식별자별로 설명된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한다. NDEF 페이로드는 NDEF 레코드 내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데이터를 의미한다. RTD(Record Type Definition)는 NDEF 레코드에 해당될 수 있는 레코드 유형 및 유형 이름을 정의한다.
도 4는 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기본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CPU(110), NFC 모듈(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 HDD(140), RAM/ROM(150), 무선랜 인터페이스부(Wireless LAN interface unit)(160), 이더넷 인터페이스부(Ethernet interface unit)(170), 프린트 엔진(181), 스캐너(182) 및 팩스 모듈(183)을 포함한다. 만약 무선랜만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10)인 경우, 이더넷 인터페이스부(170)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가 프린터인 경우, 스캐너(182) 및 팩스 모듈(183)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CPU(1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HDD(140) 및 RAM/ROM(150)에는 제어에 필요한 정보 및 인쇄 데이터 등이 저장되고 필요할 때에 읽힌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10)의 정보를 확인하고 화상 형성 장치(10)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하드웨어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제품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LCD 또는 LED 등의 디스플레이에 2 또는 4 라인의 형태로 단순하게 구성되거나, 혹은 다양한 그래픽적 표현이 가능하도록 그래픽 UI(GUI)로 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인터페이스부(160)는 IEEE 802.11 b/g/n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하며,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을 통해 CPU(110)가 탑재된 화상 형성 장치(10)의 메인 보드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랜 인터페이스부(160)는 Wi-Fi Direct 기능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이더넷 인터페이스부(170)는 IEEE 802.3에 따라 유선 이더넷 통신을 수행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프린트 엔진(181), 스캐너(182) 및 팩스 모듈(183)은 각각 인쇄 기능, 스캔 기능 및 팩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특히, 화상 형성 장치(10)는 NFC 모듈(120)을 구비하여 다른 NFC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20)과 NFC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NFC 모듈(120)은 NFC 기능을 담당하며 NFC 태그에 대하여 정보를 읽거나 쓸 수 있고, 또한, 메인 보드와의 통신은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I2C(Inter Integrated Circui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Bus) 등으로 통신한다. 도 1a 및 1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NFC 모듈(120)은, 공장 출하시 화상 형성 장치(10)에 미리 내장되어 있거나, 또는 추후에 사용자에 의해 NFC 태그(30)가 설치됨으로써 이용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 4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화상 형성 장치(10)는 Bluetooth 모듈, Zigbee 모듈 등과 같은 다른 무선 통신 모듈들도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NFC 태그(30)와 NFC 태그(30)에 저장된 정보(5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의 화상 형성 장치(10)의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에 미리 구비된 슬롯에 NFC 태그(30)가 삽입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0)는 비로소 NFC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NFC 태그(30)의 정보(510),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0)의 성능 정보 등은 Reader/Writer 모드(301)에 의해 다른 NFC 디바이스들에 의해 기록되거나, 또는 관리자에 의해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NFC 태그(30)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와 NFC 모듈(120)간의 상대적 위치관계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에 포함된 터치 패널과 NFC 모듈(120)간의 상하좌우의 방향 및/또는 거리에 대한 정보가 NFC 태그(30)에 저장될 수 있다. 상대적인 위치관계는 벡터 정보로 NFC 태그(30)에 기록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된 하드웨어 구성요소(hardware component)들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60)는 도 4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들 중 본 실시예와 관련된 하드웨어 구성들만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하지만, 도 6에서 생략된 하드웨어 구성이라 하더라도 도 4의 화상형성장치(1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60)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60)는 제1 NFC 모듈(620), 제1 무선 통신 모듈(650), 제1 터치 패널(630), 저장부(640) 및 제어부(610)를 포함한다. 도 6에서, 제어부(610)는 도 4의 CPU(110)에 해당되고, 제1 NFC 모듈(620)는 도 4의 NFC 모듈(120)에 해당되고, 제1 터치 패널(630)는 도 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에 해당되고, 저장부(640)는 도 4의 HDD(140)에 해당된다. 한편, 제1 무선 통신 모듈(650)은 Wifi 모듈, Bluetooth 모듈, Zigbee 모듈 등과 같이, NFC 외의 다른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하드웨어를 통칭하여 의미한다.
제1 NFC 모듈(620)은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통해 모바일 단말(20)을 검출한다. 즉, 제1 NFC 모듈(620)은 NFC 프로토콜에 따라 NFC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20)의 접근을 인식한다. NFC 기능이 활성되어 연결이 수립되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에 해당되는 어느 NFC 디바이스(모바일 단말(20))가 호스트에 해당되는 다른 NFC 디바이스(화상형성장치(60))에 10cm 이내의 근접 범위 내로 접근하여야만 한다. 제1 NFC 모듈(620)은 모바일 단말(20)이 도킹(docking)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60)의 거치대(미도시)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20)을 거치대에 도킹시킴으로서, 모바일 단말(20)과 제1 NFC 모듈(620)간의 NFC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NFC 모듈(620)은 도 5에 도시된 NFC 태그(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NFC 태그(30)에는 제1 NFC 모듈(620)과 제1 터치 패널(630) 간의 상대적 위치관계가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NFC 태그(30)에 기록된 정보를 참조하면, 제1 터치 패널(630)을 기준으로 제1 NFC 모듈(620)이 어느 방향에 위치하는지 또는 제1 NFC 모듈(620)이 얼마나 이격되어 떨어져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과 제1 NFC 모듈(620) 간에 NFC 연결이 수립되었을 때, 제1 NFC 모듈(620)과 동일한 위치에 모바일 단말(20)이 위치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NFC 태그(30)에 기록된 정보를 통해, 모바일 단말(2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제1 NFC 모듈(620)과 모바일 단말(20)의 NFC 연결이 수립되는 과정에서, NFC 태그에 기록된 정보는 모바일 단말(20)에 의해 독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NFC 모듈(620)과 제1 터치 패널(630) 간의 상대적 위치관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NDEF 메세지가 모바일 단말(20)으로 전송된다. NDEF 메세지에는 화상 형성 장치(60)가 제1 무선 통신 모듈(650)을 통해서 또 다른 무선 통신(이하, 제2 무선 통신)을 할 수 있음을 알리는 정보, 화상 형성 장치(60)의 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정보, 모바일 단말(20)에서 실행되어야하는 어플리케이션(이하, 모바일 단말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모바일 단말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60)와 GUI를 공유하고, 화상 형성 장치(60)과 컨텐트 또는 메뉴 항목을 송수신하고, 화상 형성 장치(60)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모바일 단말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NFC 연결 수립 이전에 사용자가 직접 실행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NFC 연결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NDEF 메세지를 통해서 자동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화상 형성 장치(60)에는 모바일 단말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 장치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오픈 아키텍쳐 기반의 OSGi의 번들로 제공될 수 있으며, 화상 형성 장치(60)에서 백그라운드로 실행될 수 있다.
제어부(610)는 제1 NFC 모듈(620)에 의해 모바일 단말(20)이 검출되고 모바일 단말(20)과의 NFC 연결 수립이 완료되면, 제어부(610)는 제1 무선 통신 모듈(650)을 통해서 모바일 단말(20)과 제2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제2 무선 통신은 근거리 무선 통신(NFC) 보다 데이터 전송률(data rate)가 높은 무선 통신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NFC 연결이 이미 존재하는데에도 제2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이유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NFC는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적합하기 때문에, 이미지 데이터와 같이 용량이 큰 컨텐트를 전송하는데에는 제2 무선 통신이 더 적합하기 때문이다.
제어부(610)는 제2 무선 통신 연결이 완료되면, 제2 무선 통신 모듈(650)을 통해서 모바일 단말(20)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인증은 NFC 연결과 제2 무선 통신 연결 중 어느 것을 이용하여 수행되더라도 무방하다. 이하, 제2 무선 통신 연결이 완료되면, 화상 형성 장치(60)와 모바일 단말(20)은 제2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저장부(640)는 팩스 문서, 스캔 문서, 이메일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640)에는 화상 형성 장치(60)의 파일 서버 기능에 따라서 생성된 폴더(이하, 문서 박스)가 존재할 수 있다. 문서 박스는 사용자별로 생성된 개인화 박스와 모든 사용자들의 사용이 허락된 공용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문서 박스에 저장될 수 있는 파일에는 전술한 팩스 문서, 스캔 문서, 이메일과 함께 프린트 잡(print job), PDL 언어의 인쇄 데이터, 랜더링된 인쇄 데이터, 이미지 파일, 워드 문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터치 패널(630)은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정전식 또는 정압식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터치 패널(630)은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촉각 센서 또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상기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제1 터치 패널(63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스처 또는 패턴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드래그, 플릭, 탭, 터치&홀드, 더블 탭, 패닝, 스윕(sweep) 등의 사용자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 터치 패널(630)은 제스처의 방향, 제스처의 속도, 제스처의 길이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화상 형성 장치(6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H/W 버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터치 패널(630)은 LCD, LED 등 액정 패널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터치 패널(630)은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나타나는 인터렉티브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오브젝트에 대한 제스처를 입력받는다. 예컨대,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인터렉티브 화면들이 제1 터치 패널(630)상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인터렉티브 화면에 포함된 오브젝트는, 저장부(640)에 저장된 컨텐트(content) 또는 화상 형성 장치(60)의 기능에 대한 메뉴 항목(menu item)을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장치(60)의 기능에 대한 메뉴 항목은, 화상 형성 장치의 인쇄, 스캐닝, 복사, 팩스, 파일 서버 및 웹 브라우징 기능을 선택하거나 또는 그 기능들에 대한 세부 설정을 할 수 있는 오브젝트를 말한다. 컨텐트는 팩스 문서, 스캔 문서, 이메일 또는 문서 박스에 저장된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부(610)는 제1 NFC 모듈(620)과 제1 터치 패널(630) 간의 상대적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제1 터치 패널(630)에 입력된 사용자로부터의 제스처를 해석한다. 제어부(610)는 제스처의 해석 결과에 따라서 모바일 단말(20)에 제스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전송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제어부(61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610)는 인증부(611), 제스처 분석부(612), GUI 관리부(613) 및 Job 수행부(614)를 포함한다.
인증부(611)는 화상 형성 장치(6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화상 형서 장치(60)는 인증된 사용자만이 화상 형성 장치(6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요구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계정에 대한 정보는 저장부(640)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계정마다 서로 상이한 권한이 할당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한 사용자 계정에 대해서는 인쇄 매수를 제한하거나 또는 복사 기능을 금지시킬 수 있다.
인증부(611)는 사용자 인증뿐 아니라 디바이스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증부(611)는 제1 NFC 모듈(620)에 의해 모바일 단말(20)이 검출되면, 모바일 단말(20)이 화상 형성 장치(60)에 등록된 장치인지를 검사할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단말(20)의 식별 정보로서, 모바일 단말(20)의 MAC address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증부(611)는 모바일 단말(20)이 본 발명에 따르는 화상 형성 방법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장치인지를 검사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단말(20)이 제2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인지 여부 등을 검사할 수 있다. 한편, 인증부(611)의 모바일 단말(20)의 모델 번호와 저장부(640)에 기 저장된 모델 번호를 비교함으로써, 모바일 단말(20)이 본 발명에 따르는 화상 형성 방법을 수행하기 적합한 장치인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인증부(611)가 인증을 수행하는 시기는, NFC 연결 수립 전, NFC 연결 수립 후 제2 무선 통신 연결 수립 전, NFC 연결 수립이후 중 어느 하나의 시기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후술 하는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20) 측에서도 화상 형성 장치(60)의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 인증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인증부(611)는 모바일 단말(20)이 요청하는 소정의 인증 정보를 모바일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스처 분석부(612)는 제1 터치 패널(630)에 입력된 사용자의 제스처를 분석한다. 제스처 분석부(612)는 제스처의 진행 방향, 입력 회수, 속도, 접촉시간에 기초하여 제스처를 분석할 수 있다. 제스처 분석부(612)는 제1 NFC 모듈(620)과 제1 터치 패널(630) 간의 상대적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제스처를 해석한다. 예컨대, 사용자의 제스처가 인터렉티브 화면에 나타난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제스처인 경우, 제스처 분석부(612)는 제스처의 진행 방향이 제1 터치 패널(630)으로부터 제1 NFC 모듈(620)로 진행하는 제스처인지를 분석한다. 제스처 분석부(612)는 분석한 제스처를 화상 형성 장치(60)의 명령어로 변환한다. 예컨대, 오브젝트를 제1 터치 패널(630)로부터 제1 NFC 모듈(620)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스처가 제1 터치 패널(630)에 입력된 경우, 제스처 분석부(612)는 그 오브젝트를 모바일 단말(20)에 전송하는 명령어로 변환한다.
이와 반대로, 오브젝트를 제1 NFC 모듈(620)로부터 제1 터치 패널(630)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스처가 제1 터치 패널(630)에 입력된 경우, 제스처 분석부(612)는 오브젝트를 삭제하는 명령어로 변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NFC 모듈(620)로부터 제1 터치 패널(630)이 위치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제스처가 제1 터치 패널(630)에 입력되면, 인터렉티브 화면을 이전 페이지 또는 다음 페이지로 넘기는 명령어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된 실시예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함이며, 제스처의 진행 방향, 입력 회수, 속도, 접촉시간에 따라서 다양한 명령어들이 맵핑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다.
GUI 관리부(613)는 제1 터치 패널(630)에 표시되는 인터렉티브 화면을 관리한다. 즉, GUI 관리부(613)는 GUI를 생성 또는 변경하고, 제1 터치 패널(630)에 입력된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그래픽 영상을 인터렉티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Job 수행부(614)가 인터렉티브 화면에 나타난 오브젝트를 모바일 단말(20)에 전송하는 경우, GUI 관리부(613)는 오브젝트가 인터렉티브 화면의 내측에서 상기 인터렉티브 화면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표현하는 그래픽 영상을 인터렉티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모바일 단말(20)로부터 컨텐트가 수신되는 경우, GUI 관리부(613)는 컨텐트가 인터렉티브 화면의 외측에서 인터렉티브 화면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표현하는 그래픽 영상을 인터렉티브 화면에 표시한다.
GUI 관리부(613)는 모바일 단말(20)에 전송된 오브젝트를 인터렉티브 화면에서 삭제할 수 있다. 예컨대, 소정의 메뉴 항목이 모바일 단말(20)에 전송되는 경우, 소정의 메뉴 항목이 더 이상 제1 터치 패널(630)에 나타나지 않도록 메뉴 항목을 인터렉티브 화면에서 삭제할 수 있다.
인증부(611)에 의해서 인증이 실패되거나 또는 모바일 단말(20)의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경우와 같이 오브젝트를 전송할 수 없는 경우, GUI 관리부(613)는 오브젝트가 전송될 수 없음을 알리는 그래픽 영상을 인터렉티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전송 대상 오브젝트가 사용자의 제스처를 따라서 이동하지 않거나 인터렉티브 화면의 경계를 넘어갈 수 없거나, 또는 이동하는 제스처가 인터렉티브 화면의 경계로부터 바운스되는 그래픽 영상을 인터렉티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Job 수행부(614)는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의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인쇄, 스캔, 복사, 팩스 전송 등의 작업 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말(20)과 오브젝트를 송수신하는 작업을 모두 포함한다. Job 수행부(614)는 제스처 분석부(612)가 제스처를 해석한 결과에 따라서, 모바일 단말(20)에 인터렉티브 화면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전송한다. 이 때, 오브젝트는 제1 무선 통신 모듈(650)을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제스처 분석부(612)가 오브젝트를 모바일 단말(20)에 전송하라는 명령어를 Job 수행부(614)에 전달하면, Job 수행부(614)는 전송 대상 오브젝트가 컨텐트인지 아니면, 메뉴 항목인지를 판단한다.
Job 수행부(614)는 전송 대상 오브젝트가 컨텐트인 경우 컨텐트를 전송하고, 전송 대상 오브젝트가 메뉴 항목인 경우 그 메뉴 항목에 대응되는 메뉴 식별자를 전송한다.
Job 수행부(614)는 컨텐트를 전송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20)에 컨텐트를 열람 또는 편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Job 수행부(614)는 컨텐트의 전송률(data rate) 또는 컨텐트의 사이즈에 따라서 컨텐트의 섬네일 또는 요약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컨텐트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전송할 수 있다. Job 수행부(614)는 제2 무선 통신이 원활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전송 대상 이미지를 스케일링 다운하여 전송하거나, 인코딩하여 전송하거나 또는 전송 대상 문서의 일부 페이지만을 전송할 수 있다. Job 수행부(614)에 의해 전송된 컨텐트는 모바일 단말(20)의 소정의 영역에 저장된다.
Job 수행부(614)는 메뉴 항목을 전송하는 경우,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메뉴 식별자를 전송한다. Job 수행부(614)는 메뉴 항목이 전송되면, 전송된 메뉴 항목을 인터렉티브 화면에서 삭제할 것을 GUI 관리부(613)에 요청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60)에서 전송된 오브젝트는 모바일 장치(20)의 화면에 표시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60)의 GUI가 seamless하게 확장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화상 형성 장치(60)에서 컨텐트와 메뉴 항목을 전송하는 G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서 모바일 단말(20)은 화상 형성 장치(60)의 제1 NFC 모듈(620) 상에 위치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터치 패널(630)에는 인터렉티브 화면(631)이 디스플레이되고, 인터렉티브 화면(631)에는 컨텐트(633)가 나타난다. 컨텐트(633)은 화상 형성 장치(60)에 의해서 스캔된 스캔 문서인 것으로 가정한다. 사용자는 컨텐트(633)를 터치하고, 제1 터치 패널(630)로부터 모바일 단말(20)이 위치한 방향으로 컨텐트(633)를 드래그 앤 드롭한다. 화상 형성 장치(60)은 컨텐트(633)를 모바일 단말(20)에 전송한다. 그 결과, 전송된 컨텐트(633)는 모바일 단말(20)에 저장되고, 모바일 단말(20)에는 컨텐트(633)의 축소된 이미지(212)가 표시된다. 이 때, 인터렉티브 화면(631)과 모바일 단말(20)의 화면(210)이 일체화된 효과를 보여주기 위하여, 이미지(212)가 모바일 단말(20)의 화면 우측에서 화면 좌측으로 이동하는 그래픽 영상이 모바일 단말(2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터치 패널(630)에는 인터렉티브 화면(631)이 디스플레이되고, 인터렉티브 화면(631)에는 메뉴 항목들(634)가 나타난다. 메뉴 항목들(634)은 화상 형성 장치(60)의 복사, 스캔, 팩스 또는 세부 설정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메뉴 항목들인 것으로 가정한다. 사용자는 메뉴 항목(636)을 터치하고, 제1 터치 패널(630)로부터 모바일 단말(20)이 위치한 방향으로 메뉴 항목(636)을 드래그 앤 드롭한다. 화상 형성 장치(60)은 메뉴 항목(636)에 대응하는 메뉴 식별자를 모바일 단말(20)에 전송한다. 그 결과, 모바일 단말(20)에는 메뉴 항목(214)가 표시된다. 전송 후, 메뉴 항목(636)은 인터렉티브 화면(631)에서 삭제될 수 있다. 메뉴 항목(214)는 메뉴 항목(636)과 동일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메뉴 항목(214)는 메뉴 항목(636) 축소 또는 변형된 숏컷(shortcut)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20)에서 메뉴 항목들(210) 중 어느 하나, 예컨대 메뉴 항목(215)를 터치하여 제1 터치 패널(630)이 위치한 방향으로 드래그 앤 드롭하면, 메뉴 항목(215)은 모바일 단말(20)의 화면에서 삭제된다. 메뉴 항목(215)에 대응하는 메뉴 식별자가 화상 형성 장치(60)로 전송되고, 삭제되었던 메뉴 항목(637)에 인터렉티브 화면(631)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20)에서 메뉴 항목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하면, 그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메뉴 식별자가 화상 형성 장치(60)에 전송된다. 화상 형성 장치(60)는 그 메뉴 항목에 대한 소정의 작업을 실행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60)의 인터렉티브 화면(631)이 다른 페이지로 넘어가더라도,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20)에 표시된 메뉴 항목들(210)을 선택하여 손쉽게 메뉴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Job 수행부(614)는 제1 NFC 모듈(620)로부터 제1 터치 패널(630) 방향으로 진행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모바일 단말(20)에서 감지되면, 모바일 단말(20)로부터 모바일 단말(20)의 화면에 표시된 소정의 컨텐트를 수신한다. GUI 관리부(613)는 수신된 소정의 컨텐트를 인터렉티브 화면에 표시한다. 이 때, GUI 관리부(613)는 수신된 컨텐트가 인터렉티브 화면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표현하는 그래픽 영상을 인터렉티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Job 수행부(614)는 수신된 소정의 컨텐트에 대한 인쇄 작업, 팩스 전송 작업, 문서 박스에 저장하는 작업 또는 이메일로 전송하는 작업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20)에 대한 제스처의 입력만으로 화상 형성 장치(60)에 대한 소정의 화상 형성 작업을 바로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모바일 단말(20)에서 화상 형성 장치(60)로 컨텐트를 전송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20)의 화면(210)에는 다수의 컨텐트들이 나타난다. 모바일 단말(20)에 표시되는 컨텐트는 예컨대, 모바일 단말(20)에 저장된 이미지, 동영상, 스크린 샷, 문서, 이메일, 주소록 및 웹 페이지에 포함된 HTTP 오브젝트 또는 UR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1에서 후술한다. 도 8에서, 모바일 단말(20)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제1 NFC 모듈(620)상에 위치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컨텐트(211)를 화상 형성 장치(60)의 제1 NFC 모듈(620)로부터 제1 터치 패널(630)이 위치한 방향으로 드래그 앤 드롭한다. 모바일 단말(20)은 컨텐트(211)를 화상 형성 장치(60)에 전송한다. 그 결과, 컨텐트(211)는 화상 형성 장치(60)의 인터렉티브 화면(631)의 오브젝트(632)로 표시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60)는 컨텐트(211)를 인쇄한다. 다만, 인쇄가 아닌 다른 작업이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도 1 내지 도 10의 설명과 중복하는 내용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서 모바일 단말(20)은 스마트폰인 것을 가정하고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20)은 제2 터치 패널(1110), 제2 NFC 모듈(1120), 제2 무선 통신 모듈(1130), 음성 처리부(1140), 메모리(1150) 및 제어부(1160)를 포함한다.
제2 NFC 모듈(112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제1 터치 패널(630) 및 제1 NFC 모듈(620)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60)를 검출한다. 제2 NFC 모듈(1120)은 화상 형성 장치(60)에서 제1 NFC 모듈(620)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로서, 보다 상세한 내용은 제1 NFC 모듈(620)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제2 NFC 모듈(1120)은 제1 NFC 모듈(620)과 제1 터치 패널(630) 간의 상대적 위치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NDEF 메세지를 수신한다.
제2 터치 패널(1110)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content)가 나타나는 인터렉티브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컨텐트에 대한 제스처를 입력받는다. 컨텐트는, 모바일 단말(20)에 저장된 이미지, 동영상, 스크린 샷, 문서, 이메일, 주소록 및 웹 페이지에 포함된 HTTP 오브젝트 또는 UR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터치 패널(1110)은 화상 형성 장치(60)의 제1 터치 패널(630)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로서, 보다 상세한 내용은 제1 터치 패널(630)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제2 무선 통신 모듈(1130)은 화상 형성 장치(60)와 제2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한다. 제2 무선 통신 모듈(11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화상 형성 장치(60)의 제1 무선 통신 모듈(650)을 참조한다.
제어부(1160)는 제2 NFC 모듈(1120)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60)가 검출되면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여 제2 무선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화상 형성 장치(60)와 송수신한다. 제어부(1160)는 제2 무선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제2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60)에 후술하는 컨텐트를 전송한다.
음성 처리부(1140)는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로폰(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한편, 모바일 단말(20)이 스마트폰이 아닌 경우 음성 처리부(1140)는 생략될 수 있다.
메모리(1150)에는 컨텐트, 모바일 단말(20)의 운용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다.
제어부(1160)는 화상 형성 장치(60)의 제1 NFC 모듈(620)과 제1 터치 패널 (630)간의 상대적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제스처를 해석하고, 제스처의 해석 결과에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60)에 컨텐트를 전송한다. 제어부(1160)는 제2 터치 패널(1110)에 입력된 제스처가, 화상 형성 장치(60)의 제1 NFC 모듈(620)로부터 제1 터치 패널(630)이 위치한 방향으로 진행되는 경우, 컨텐트를 화상 형성 장치(60)에 전송한다. 제어부(1160)는 컨텐트의 전송률(data rate)에 따라서 컨텐트의 섬네일 또는 요약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컨텐트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전송할 수 있다.
컨텐트가 동영상인 경우, 제어부(1160)는 제스처가 입력된 시점에서 동영상의 정지영상을 캡쳐하여 화상 형성 장치(60)에 전송할 수 있다. 컨텐트는 모바일 단말(20)이 구비한 카메라 모듈(미도시)로부터 바로 생성 및 전송될 수도 있다. 즉, 모바일 단말(20)은 제스처가 입력된 시점에서 사진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화상 형성 장치(60)에 전송할 수 있다. 컨텐트는 모바일 단말(20)이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스크린 샷일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20)은 제스처가 입력된 시점에서 화면의 스크린 샷을 생성하여 화상 형성 장치(60)에 전송한다. 컨텐트는 모바일 단말(20)이 접속중인 웹페이지 또는 웹페이지에 포함된 HTTP 오브젝트일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단말(20)은 웹페이지 또는 HTTP 오브젝트의 스크립트를 전송하거나 또는 웹페이지 또는 HTTP 오브젝트의 URL을 화상 형성 장치(60)에 전송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컨텐트는 모바일 단말의 주소록, 이메일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1160)는 컨텐트를 화상 형성 장치(60)에 전송할 때, 컨텐트에 대한 인쇄 작업, 팩스 전송 작업, 문서 박스에 저장하는 작업 또는 이메일로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할 것을 화상 형성 장치(60)에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1160)는 또한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60)와 사용자 인증 또는 디바이스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160)는 인증이 실패되거나 또는 화상 형성 장치(60)의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경우 또는 컨텐트가 화상 형성 장치(60)에서 지원되지 않는 파일 형식인 경우, 컨텐트가 전송될 수 없음을 알리는 그래픽 영상을 인터렉티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전송 대상 컨텐트가 사용자의 제스처를 따라서 이동하지 않거나 인터렉티브 화면의 경계를 넘어갈 수 없거나, 또는 이동하는 제스처가 인터렉티브 화면의 경계로부터 바운스되는 그래픽 영상을 인터렉티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60)의 제1 터치 패널(630)로부터 제1 NFC 모듈(620) 방향으로 진행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화상 형성 장치(60)에서 감지되면, 제어부(1160)는 화상 형성 장치(60)로부터 제1 터치 패널(630)의 인터렉티브 화면에서 나타나는 오브젝트를 수신한다. 제어부(1160)는 수신된 오브젝트를 제2 터치 패널(1110)에 디스플레이한다.
수신된 오브젝트가 화상 형성 장치(60)의 기능에 대한 메뉴 항목인 경우, 제어부(1160)는 메뉴 항목에 대응되는 메뉴 식별자를 화상 형성 장치(60)로부터 수신한다. 제어부(1160)는 메뉴 식별자에 대응하는 아이콘 등을 모바일 단말(20)에서 검색하고, 이를 기초로 메뉴 항목을 제2 터치 패널(1110)에 디스플레이한다.
수신된 오브젝트가 화상 형성 장치(60)에 저장된 소정의 컨텐트인 경우, 제어부(1160)는 수신된 컨텐트를 열람 또는 편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수신된 컨텐트는 모바일 단말(2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160)는 화상 형성 장치(60)와 컨텐트 또는 메뉴 항목을 송수신할 때, 컨텐트 또는 메뉴 항목의 이동하는 동작을 표현하는 그래픽 영상을 제2 터치 패널(11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160)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20)에서 메뉴 항목들(210) 중 어느 하나, 예컨대 메뉴 항목(215)를 터치하여 제1 터치 패널(630)이 위치한 방향으로 드래그 앤 드롭하면, 메뉴 항목(215)을 모바일 단말(20)의 화면에서 삭제한다. 제어부(1160)는 메뉴 항목(215)에 대응하는 메뉴 식별자를 화상 형성 장치(6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2 내지 15에서 도 1 내지 11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하는 부분은 설명을 생략한다. 당업자라면 도 1 내지 11을 참조하여 도 12 내지 15의 실시예들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60)는 제1 NFC 모듈(620)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통해 모바일 단말(20)을 검출한다(S1205).
화상 형성 장치(60)는 제1 터치 패널(63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나타나는 인터렉티브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제스처를 감지한다(S1210).
화상 형성 장치(60)는 제1 NFC 모듈(620)과 제1 터치 패널(630) 간의 상대적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제스처를 해석하고, 제스처의 해석 결과에 따라서 모바일 단말(20)에 오브젝트를 전송한다(S1215).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화상 형성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2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제1 터치 패널(630) 및 제1 NFC 모듈(620)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60)를 검출한다(S1305).
모바일 단말(20)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content)가 나타나는 인터렉티브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컨텐트에 대한 제스처를 입력받는다(S1310).
모바일 단말(20)은 화상 형성 장치(60)의 제1 NFC 모듈(620)과 제1 터치 패널(630) 간의 상대적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제스처를 해석하고, 상기 제스처의 해석 결과에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60)에 컨텐트를 전송한다(S1315).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60)와 모바일 단말(20)은 NFC 연결을 수립한다(S1405). 모바일 단말(20)이 화상 형성 장치(60)의 NFC 태그(30)를 포함하는 거치대(미도시)에 도킹(docking)되면, 화상 형성 장치(60)와 모바일 단말(20)은 전술한 NDEF 메세지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거쳐서 NFC 연결을 수립한다. 이 때, NDEF 메세지에는 화상 형성 장치(60)의 제1 NFC 모듈(620)과 제1 터치 패널(630) 간의 상대적 위치관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모바일 단말(20)은 자신이 도킹된 거치대에서 어느 방향 또는 거리에 화상 형성 장치(60)의 제1 터치 패널(630)이 위치하는지를 알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60)와 모바일 단말(20)은 상호 인증을 수행한다(S1410). 상호 인증에는 전술한 사용자 인증 또는 디바이스의 인증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S1410 단계는 S1415 단계 이후에 실시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60)와 모바일 단말(20)은 NFC 연결을 이용하여 제2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한다(S1415). 화상 형성 장치(60)와 모바일 단말(20)은 NFC 연결을 통해서 제2 무선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정보들을 송수신한다. 제2 무선 통신에 대한 패스워드 등의 보안 정보, 제2 무선 통신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등이 제2 무선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정보가 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60)와 모바일 단말(20)은 각각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420,S1425). 여기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그램을 말하며,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화상 형성 장치(60) 및 모바일 단말(20)에서 백그라운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모바일 단말(20)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화상 형성 장치(60)는 모바일 단말(20)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프로그램을 제공하거나 또는 설치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웹 서버의 URL을 모바일 단말(20)에 전송하여 자동으로 모바일 단말(20)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S1420, S1425 단계들은 S1405 단계 전, S1410 단계 전 또는 S1415 단계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S1420, S1425 단계가 S1405 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경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는 S1405 단계 내지 S1415 단계를 실행하는 기능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60)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나타나는 인터렉티브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제스처를 입력받는다(S1430).
화상 형성 장치(60)는 제1 NFC 모듈(620)과 제1 터치 패널(630)에 대한 상대적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제스처를 해석한다(S1435). 제1 NFC 모듈(620)과 제1 터치 패널(630)에 대한 상대적 위치관계는 화상 형성 장치(6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60)는 제스처가 제1 터치 패널(630)로부터 제1 NFC 모듈(620)이 위치한 방향으로 진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40).
화상 형성 장치(60)는 제스처가 제1 터치 패널(630)로부터 제1 NFC 모듈(620)이 위치한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60)는 그 방향에 맵핑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한다(S1445). 화상 형성 장치(60)는 인터렉티브 화면을 다음 페이지로 넘기거나, 다른 오브젝트들을 인터렉티브 화면에 표시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스처의 진행 방향만을 고려하였으나, 제스처의 접촉 회수, 속도, 접촉 면적 등이 더 고려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60)는 제스처가 제1 터치 패널(630)로부터 제1 NFC 모듈(620)이 위치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6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가 컨텐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450).
오브젝트가 컨텐트인 경우, 화상 형성 장치(60)는 그 컨텐트를 모바일 단말(20)에 전송한다(S1445).
모바일 단말(20)은 수신된 컨텐트를 열람 또는 편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또는 컨텐트를 모바일 단말(20)에 저장한다(S1460).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 컨텐트를 이용하는 다른 작업이 모바일 단말(20)에 수행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오브젝트가 컨텐트가 아닌 경우, 화상 형성 장치(60)는 오브젝트가 메뉴 항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465).
오브젝트가 메뉴 항목인 경우, 화상 형성 장치(60)는 그 메뉴 항목에 대응되는 메뉴 식별자를 모바일 단말(20)에 전송한다(S1470).
모바일 단말(20)은 수신한 메뉴 식별자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60)에서 선택된 메뉴 항목과 동일한 오브젝트 또는 축소된 숏컷(shortcut)을 모바일 단말(2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1475).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의 실시예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S1405 내지 S1425 단계가 이미 수행되었다고 가정한다. 다만, S1505 단계는 전술한 S1405 단계에서 NDEF 메세지의 송수신을강조하기 위해 도시되었다.
모바일 단말(20)은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나타나는 인터렉티브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오브젝트에 대한 제스처를 입력받는다(S1510).
모바일 단말(20)은 화상 형성 장치(60)의 제1 NFC 모듈(62)과 제1 터치 패널(630) 간의 상대적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해석한다(S1515).
모바일 단말(20)은 제스처가 화상 형성 장치(60)의 제1 NFC 모듈(62)로부터 제1 터치 패널(630)이 위치한 방향으로 진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20). 즉, 모바일 단말(20)은 모바일 단말에 입력된 사용자의 제스처가 화상 형성 장치(60)의 제1 터치 패널(630) 쪽으로 향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모바일 단말(20)은 제스처가 화상 형성 장치(60)의 제1 NFC 모듈(62)로부터 제1 터치 패널(630)이 위치한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20)은 그 제스처의 진행 방향에 대응되는 소정의 작업을 수행한다(S1525). 소정의 작업이란, 예컨대, 컨텐트의 삭제, 인터렉티브 화면의 페이지 이동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모바일 단말(20)은 제스처가 화상 형성 장치(60)의 제1 NFC 모듈(62)로부터 제1 터치 패널(630)이 위치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20)은 오브젝트가 컨텐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530).
오브젝트가 컨텐트인 경우, 모바일 단말(20)은 그 컨텐트를 화상 형성 장치(60)에 전송한다(S1535).
화상 형성 장치(60)는 수신된 컨텐트를 화상 형성 장치(60)의 제1 터치 패널(630)에 디스플레이하고, 그 컨텐트에 대한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한다(S1540).
오브젝트가 컨텐트가 아닌 경우, 모바일 단말(20)은 오브젝트가 메뉴 항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545). 여기서, 메뉴 항목이란, 도 14의 S1470 및 S1475 단계에 의해 모바일 단말(20)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항목을 의미할 수 있다.
오브젝트가 메뉴 항목인 경우, 모바일 단말(20)은 그 메뉴 항목을 모바일 단말(20)의 인터렉티브 화면에서 삭제한다(S1550). 즉, 모바일 단말(20)의 인터렉티브 화면에서 표시된 메뉴 항목을 화상 형성 장치(60)의 제1 터치 패널(63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그 메뉴 항목은 모바일 단말(20)에서 삭제된다. 이 때, 메뉴 항목에 대응되는 메뉴 식별자가 화상 형성 장치(60)로 전송될 수 있다. 다만, 메뉴 항목의 삭제는 일 실시예에 해당하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9)

  1. 인쇄, 스캐닝, 복사, 팩스 및 웹 브라우징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통해 모바일 단말을 검출하는 NFC 모듈;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나타나는 인터렉티브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제스처를 입력받는 터치 패널; 및
    상기 NFC 모듈과 상기 터치 패널 간의 상대적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제스처를 해석하고, 상기 제스처의 해석 결과에 따라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 상기 오브젝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가 상기 터치 패널로부터 상기 NFC 모듈이 위치한 방향으로 진행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티브 화면에 나타나는 오브젝트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저장된 컨텐트(content) 또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에 대한 메뉴 항목(menu item)이고,
    상기 컨텐트는 팩스 문서, 스캔 문서, 이메일 또는 문서 박스에 저장된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기능에 대한 메뉴 항목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항목에 대응되는 메뉴 식별자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메뉴 항목을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것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컨텐트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트를 열람 또는 편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 요청하거나 또는 상기 컨텐트를 저장할 것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컨텐트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트의 전송률(data rate)에 따라서 상기 컨텐트의 섬네일 또는 요약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컨텐트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보다 전송률(data rate)이 높은 제2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C 모듈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이 검출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수립된 상기 제2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 상기 오브젝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상기 제2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FC 모듈로부터 상기 터치 패널 방향으로 진행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소정의 컨텐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소정의 컨텐트를 상기 인터렉티브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소정의 컨텐트에 대한 인쇄 작업, 팩스 전송 작업, 문서 박스에 저장하는 작업 또는 이메일로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트가 상기 인터렉티브 화면의 외측에서 상기 인터렉티브 화면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표현하는 그래픽 영상을 상기 인터렉티브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NFC 모듈 및 터치 패널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한 화상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NFC 모듈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통해 모바일 단말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나타나는 인터렉티브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제스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NFC 모듈과 상기 터치 패널 간의 상대적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제스처를 해석하고, 상기 제스처의 해석 결과에 따라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 상기 오브젝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스처가 상기 터치 패널로부터 상기 NFC 모듈이 위치한 방향으로 진행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티브 화면에 나타나는 오브젝트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저장된 컨텐트(content) 또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에 대한 메뉴 항목(menu item)이고,
    상기 컨텐트는 팩스 문서, 스캔 문서, 이메일 또는 문서 박스에 저장된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기능들에 대한 메뉴 항목인 경우 상기 오브젝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메뉴 항목에 대응되는 메뉴 식별자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메뉴 항목을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것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컨텐트인 경우 상기 오브젝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트의 전송률(data rate)에 따라서 상기 컨텐트의 섬네일 또는 요약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컨텐트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전송하고,
    상기 컨텐트를 열람 또는 편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 요청하거나 또는 상기 컨텐트를 저장할 것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NFC 모듈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이 검출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보다 전송률(data rate)가 높은 제2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브젝트를 전송하는 단계는 수립된 상기 제2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 상기 오브젝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상기 제2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NFC 모듈로부터 상기 터치 패널 방향으로 진행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감지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소정의 컨텐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소정의 컨텐트를 상기 인터렉티브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소정의 컨텐트에 대한 인쇄 작업, 팩스 전송 작업, 문서 박스에 저장하는 작업 또는 이메일로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소정의 컨텐트를 상기 인터렉티브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의 컨텐트가 상기 인터렉티브 화면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표현하는 그래픽 영상을 상기 인터렉티브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21.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제1 터치 패널 및 제1 NFC 모듈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를 검출하는 제2 NFC 모듈;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content)가 나타나는 인터렉티브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트에 대한 제스처를 입력받는 제2 터치 패널; 및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제1 NFC 모듈과 상기 제1 터치 패널 간의 상대적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제스처를 해석하고, 상기 제스처의 해석 결과에 따라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상기 컨텐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NFC 모듈을 통해서 상기 제1 NFC 모듈과 상기 제1 터치 패널 간의 상대적 위치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NDEF 메세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스처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제1 NFC 모듈로부터 상기 제1 터치 패널이 위치한 방향으로 진행되는 경우, 상기 컨텐트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 동영상, 스크린 샷, 문서, 이메일, 주소록 및 웹 페이지에 포함된 HTTP 오브젝트 또는 UR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트의 전송률(data rate)에 따라서 상기 컨텐트의 섬네일 또는 요약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컨텐트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트에 대한 인쇄 작업, 팩스 전송 작업, 문서 박스에 저장하는 작업 또는 이메일로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할 것을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보다 전송률(data rate)이 높은 제2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NFC 모듈에 의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검출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수립된 상기 제2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상기 컨텐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패널로부터 상기 제1 NFC 모듈 방향으로 진행하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터치 패널의 인터렉티브 화면에서 나타나는 오브젝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오브젝트를 상기 제2 터치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오브젝트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에 대한 메뉴 항목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항목에 대응되는 메뉴 식별자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메뉴 항목을 상기 제2 터치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오브젝트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저장된 소정의 컨텐트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컨텐트를 열람 또는 편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소정의 컨텐트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29.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이 화상 형성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2 NFC 모듈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통해 제1 터치 패널 및 제1 NFC 모듈을 구비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검출하는 단계;
    제2 터치 패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content)가 나타나는 인터렉티브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트에 대한 제스처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제1 NFC 모듈과 상기 제1 터치 패널 간의 상대적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제스처를 해석하고, 상기 제스처의 해석 결과에 따라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상기 컨텐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20149760A 2012-12-20 2012-12-20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는 화상 형성 방법 및 장치 KR2014009029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760A KR20140090297A (ko) 2012-12-20 2012-12-20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는 화상 형성 방법 및 장치
EP13178770.7A EP2747402A1 (en) 2012-12-20 2013-07-31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to communicate with a mobile terminal
US13/956,432 US9116652B2 (en) 2012-12-20 2013-08-01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CN201310632316.8A CN103885732A (zh) 2012-12-20 2013-12-02 使用近场通信的成像方法和装置
US14/800,118 US9250847B2 (en) 2012-12-20 2015-07-15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760A KR20140090297A (ko) 2012-12-20 2012-12-20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는 화상 형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297A true KR20140090297A (ko) 2014-07-17

Family

ID=48917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760A KR20140090297A (ko) 2012-12-20 2012-12-20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는 화상 형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116652B2 (ko)
EP (1) EP2747402A1 (ko)
KR (1) KR20140090297A (ko)
CN (1) CN1038857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217A (ko) * 2016-12-16 2018-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 추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0297A (ko) 2012-12-20 2014-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는 화상 형성 방법 및 장치
JP5761256B2 (ja) * 2013-05-31 2015-08-1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共用データ管理システム、共用データ管理装置、共用データ管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179228B2 (ja) * 2013-07-09 2017-08-16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10366264B2 (en) * 2013-08-09 2019-07-30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content among devices
WO2015030786A1 (en) * 2013-08-30 2015-03-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gmented reality device interfacing
JP6399681B2 (ja) * 2013-09-03 2018-10-03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55826B2 (ja) * 2013-09-13 2018-01-10 株式会社リコー 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画像表示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6338344B2 (ja) * 2013-10-04 2018-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598174A (zh) * 2013-10-30 2015-05-06 诚研科技股份有限公司 打印装置及其操作方法
JP2015093395A (ja) * 2013-11-11 2015-05-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方法
US9232343B2 (en) * 2013-12-09 2016-01-05 Xerox Corporation Placing commands through close proximity communication tapping patterns
US9582186B2 (en) * 2013-12-20 2017-02-28 Mediatek Inc. Signature verificat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 computing device
JP6307889B2 (ja) * 2014-01-16 2018-04-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方法
CN104808831B (zh) * 2014-01-29 2018-06-22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数据共享方法、传送装置与接收装置
JP6002704B2 (ja) * 2014-02-20 2016-10-05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利用者認証システム、および利用者認証方法
JP2015169946A (ja) * 2014-03-04 2015-09-28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端末
JP2015204526A (ja) * 2014-04-14 2015-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携帯端末、画像通信システム、ファクス装置、およびこれら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632183B2 (ja) * 2014-05-20 2020-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6137068B2 (ja) * 2014-06-24 2017-05-3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同装置におけるロック中画面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6401523B2 (ja) 2014-07-04 2018-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端末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ネットワーク処理システム
JP2016019044A (ja) * 2014-07-04 2016-02-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104102890B (zh) * 2014-07-18 2018-07-13 Tcl通讯(宁波)有限公司 Nfc移动通信终端及其检测卡的方法
JP6482205B2 (ja) 2014-08-21 2019-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60023159A (ko) * 2014-08-21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이용하여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CN105404459B (zh) * 2014-08-25 2021-01-0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近场通信装置及其工作模式启动方法
KR20160025283A (ko) * 2014-08-27 2016-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풀 프린팅을 지원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및 시스템, 그리고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풀 프린팅 방법
WO2016105044A1 (en) * 2014-12-22 2016-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establishing connection between mobil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obile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160076371A (ko) 2014-12-22 201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US10110767B2 (en) 2014-12-22 2018-10-23 S-Printing Solution Co., Ltd. Method of generating workform by using BYOD service and mobile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JP6137207B2 (ja) * 2015-01-26 2017-05-3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179531B2 (ja) * 2015-01-29 2017-08-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161978A (ja) * 2015-02-26 2016-09-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力制御装置、電力制御プログラム、画像形成装置
JP2016159552A (ja) * 2015-03-03 2016-09-0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システム及び異常の通知方法
JP2016178385A (ja) * 2015-03-18 2016-10-0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425600B2 (ja) * 2015-03-30 2018-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4980882B (zh) * 2015-05-12 2018-09-14 德佟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在打印设备自动开机和蓝牙自动配对过程中调用nfc的方法
WO2016205000A1 (en) * 2015-06-16 2016-12-22 Thomson Licensing Wireless audio/video streaming network
EP4044040B1 (en) * 2015-08-20 2023-10-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eripheral device pairing
KR20170022676A (ko) * 2015-08-21 2017-03-02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화상독취장치 및 잡 수행 방법
JP6222190B2 (ja) * 2015-09-03 2017-11-0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文書処理装置およびその通信制御方法
JP6354737B2 (ja) * 2015-11-30 2018-07-1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通信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10089564B2 (en) * 2016-02-09 2018-10-02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method
JP6564717B2 (ja) * 2016-02-19 2019-08-21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システム
JP6908970B2 (ja) * 2016-03-24 2021-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86598B2 (ja) * 2016-03-24 2020-04-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766469B2 (ja) * 2016-06-24 2020-10-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6201372A (zh) * 2016-06-28 2016-12-0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文件打印方法
CN109710202A (zh) * 2016-09-30 2019-05-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和移动终端
CN106851360A (zh) * 2016-10-12 2017-06-13 珠海艾派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nfc多媒体播放设备和多媒体数据处理方法
CN110462584B (zh) * 2017-02-24 2022-11-25 葳葳维尔股份有限公司 控制方法、信息处理***及装置、和计算机可读储存介质
CN106850234A (zh) * 2017-03-20 2017-06-13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成像装置与驱动程序之间的安全认证方法
JP6859819B2 (ja) * 2017-04-12 2021-04-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検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15843129A (zh) 2017-04-24 2023-03-24 华为技术有限公司 分享图像的方法及电子设备
JP2019008365A (ja) * 2017-06-20 2019-01-1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885326B2 (ja) * 2017-12-26 2021-06-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装置
CN108733331B (zh) * 2018-05-16 2021-06-22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打印方法、打印设备和打印***
US10659525B1 (en) * 2019-04-26 2020-05-19 Capital One Services, Llc Computer-based platforms/systems, computing devices/components and/or computing methods for one or more technological applications involving real-time data processing between a server, one or more mobile computing devices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connected interactive posters
CN111132108B (zh) * 2019-12-24 2021-11-16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9775B2 (ja) * 1999-07-30 2008-01-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通信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システムを構成する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JP2006518507A (ja) 2003-02-19 2006-08-1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ポータブル装置間でのコンテンツアイテムのアドホック共有のためのシステムと、その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
US7840237B2 (en) * 2007-02-08 2010-11-23 Microsoft Corporation Enabling user interface elements based on short range wireless devices
EP2026615B1 (en) * 2007-07-30 2014-10-29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product
US8159706B2 (en) * 2007-09-12 2012-04-17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US8077157B2 (en) * 2008-03-31 2011-12-13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transfer of files
US20100156887A1 (en) * 2008-12-18 2010-06-24 Nokia Corporation Extended user interface
US8547342B2 (en) * 2008-12-22 2013-10-0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Gesture-based delivery from mobile device
CN101827363B (zh) * 2009-03-03 2015-07-01 夏普株式会社 通信***、信息处理***及装置、图像形成***及装置、便携信息终端装置
JP5240170B2 (ja) 2009-03-18 2013-07-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8312392B2 (en) * 2009-10-02 2012-11-13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terface gestures and methods for providing file sharing functionality
US20110090155A1 (en) 2009-10-15 2011-04-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ombining gestural input from multiple touch screens into one gestural input
US8315673B2 (en) * 2010-01-12 2012-11-20 Qualcomm Incorporated Using a display to select a target object for communication
JP5817196B2 (ja) * 2010-09-29 2015-11-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携帯装置の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装置の制御方法
EP2442600B1 (en) * 2010-10-14 2013-03-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Near-field communication (NFC) system providing nfc tag geographic position authentication and related methods
US10303357B2 (en) * 2010-11-19 2019-05-28 TIVO SOLUTIONS lNC. Flick to send or display content
US9142122B2 (en) * 2010-11-25 2015-09-2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mmunication devic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server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via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1787750B1 (ko) 2010-12-01 2017-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전식 스타일러스 펜
US20150019459A1 (en) * 2011-02-16 2015-01-15 Google Inc. Processing of gestures related to a wireless user device and a computing device
US8681362B2 (en) * 2011-04-14 2014-03-25 Kabushiki Kaisha Toshiba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position detecting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699959B2 (ja) * 2012-02-13 2015-04-1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印刷指示プログラム並びに印刷指示方法
US8830512B2 (en) * 2012-07-19 2014-09-09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 location of an image forming device using mobile device localization
US9047541B2 (en) * 2012-09-26 2015-06-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bile device printing through print service provider
US20140085658A1 (en) * 2012-09-27 2014-03-27 Michael F. Fallon Adding functionality to a printer
US20140113652A1 (en) * 2012-10-24 2014-04-24 Yael G. Maguire Sensing Distance Between Wireless Devices Using Multiple Scales of Controlled Bandwidth
US20140160029A1 (en) * 2012-12-06 2014-06-12 Jenny Yuen Systems and Methods for a Trackpad Within a Keyboard
US10032303B2 (en) * 2012-12-14 2018-07-24 Facebook, Inc. Scrolling 3D presentation of images
KR20140090297A (ko) * 2012-12-20 2014-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는 화상 형성 방법 및 장치
KR102051093B1 (ko) * 2013-02-01 2019-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217A (ko) * 2016-12-16 2018-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 추천 시스템
US11727047B2 (en) 2016-12-16 2023-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for recommending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50847B2 (en) 2016-02-02
US9116652B2 (en) 2015-08-25
US20150317117A1 (en) 2015-11-05
CN103885732A (zh) 2014-06-25
US20140176991A1 (en) 2014-06-26
EP2747402A1 (en)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0847B2 (en)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US10289351B2 (en)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US10229297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write tag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2064500B1 (ko) 화상형성장치의 서비스 제공 제어 방법 및 서비스 제공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US962897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ustomizing configuration of printing application
KR102041452B1 (ko)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nfc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상 작업의 설정을 수행하는 방법
KR20150014319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US20150248265A1 (en) System and method of mobile printing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US20150138597A1 (en) Mobile terminal,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storing a program
US20160217617A1 (en) Augmented reality device interfacing
KR20150114765A (ko)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nfc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
KR101961799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
KR20150001186A (ko)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nfc 디바이스에 커스터마이즈된 유저 인터페이스(ui)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KR20170022676A (ko) 모바일 디바이스, 화상독취장치 및 잡 수행 방법
US20150207957A1 (en) Image forming device to provide preview image, display apparatus to display the preview image, and methods thereof
JP677968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6052716A1 (ja) 情報処理装置、制御プログラム、表示装置、端末装置、近距離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