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2140A - 유량 제어 밸브 및 유량 제어 밸브를 구비한 고압 펌프 - Google Patents

유량 제어 밸브 및 유량 제어 밸브를 구비한 고압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2140A
KR20140062140A KR20147009596A KR20147009596A KR20140062140A KR 20140062140 A KR20140062140 A KR 20140062140A KR 20147009596 A KR20147009596 A KR 20147009596A KR 20147009596 A KR20147009596 A KR 20147009596A KR 20140062140 A KR20140062140 A KR 20140062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low control
control valve
valve member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09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이너 빌름스
마티아스 메쓰
도미닉 브루너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62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1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86Braking, pressure equilibration, shock absorbing
    • F16K31/0689Braking of the valv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20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 F02M59/36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by variably-timed valves controlling fuel passages to pumping elements or overflow passages
    • F02M59/366Valves being actuated electrically
    • F02M59/367Pump inlet valves of the check valve type being open when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28Details of throttles in fuel-injec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30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mechanical parts, the movement of which is damped
    • F02M2200/304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mechanical parts, the movement of which is damped using hydraulic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5978With pump
    • Y10T137/85986Pumped fluid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하류에 배치된 고압 펌프(2)를 위한 유체의 계량을 위한 유량 제어 밸브(10)에 관한 것이며, 상기 유량 제어 밸브는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밸브 니들(14), 및 상기 밸브 니들(14)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는 밸브 부재(16)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부재(16)는 댐핑 챔버(26)를 제한하고, 댐핑 챔버(26)의 벽(25)과 밸브 부재(16) 사이에 환형 갭(31)이 제공되고, 상기 갭은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3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량 제어 밸브 및 유량 제어 밸브를 구비한 고압 펌프{QUANTITY CONTORL VALVE AND HIGH-PRESSURE PUMP WITH QUANTITY CONTROL VALVE}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유량 제어 밸브 및 독립 청구항 제 10 항에 따른 유랑 제어 밸브를 구비한 고압 펌프에 관한 것이다.
특히, 하류에 배치된 고압 펌프를 위한 유체의 계량을 위한 유량 제어 밸브들이 공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밸브들은 차량의 커먼 레일 연료 시스템에서, 고압 송출 펌프에 의해 커먼 레일로 송출되는 연료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유량 제어 밸브로서 이용된다. 이러한 유량 제어 밸브는 전자기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니들-아마추어-유닛을 포함한다. 니들-아마추어-유닛의 부분인 전자석과 스프링은 유량 제어 밸브의 밸브 부재에 작용한다. 유량 제어 밸브의 개방 또는 폐쇄 위치의 단부 위치에서 니들-아마추어-유닛의 충돌은 특히 회전 속도가 낮은 경우에 음향 및 기계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진동 여기를 일으킨다.
DE 10 2009 046 079 A1호에는 이동 가능한 피스톤에 의해 제한된 유체 용기를 포함하는 댐핑 장치를 구비한 유량 제어 밸브가 개시되어 있다. 피스톤은, 스토퍼에 충돌 직전에 밸브 부재에 의해 작동되어 유체를 유체 용기로부터 스로틀 위치를 통해 가압하도록 배치된다.
WO 2011 067026 A1호에는 유압식 실드를 포함하는 유량 제어 밸브가 개시되어 있고, 상기 실드는 밸브 부재로부터 역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저지한다. 실드는 밸브 하우징에 고정 결합된 포트형 부품이다. 실드는 밸브 부재와 관련해서, 밸브 부재의 축방향 단부면이 포트 형태의 부품에 의해 커버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소음 발생이 감소하고 안정성이 증가한 유량 제어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범위 제 1 항에 따른 유량 제어 밸브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제시된다. 본 발명에 중요한 특징들은 하기 설명 및 도면에 제시되고, 이 경우 특징들은 다시 명시되지 않더라도 단독으로 및 다양하게 조합된 형태로 본 발명에 중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은, 삽입 바디로서 밸브 부재를 포트 형태의 댐핑 챔버와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유량 제어 밸브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압식 스로틀 위치를 갖는 댐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스로틀 위치는, 댐핑 작용이 댐핑 챔버에 대한 밸브 부재의 상대 위치에 따라 변경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밸브 부재의 속도 변화는 다양한 용도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추가 부품 없이 유량 제어 밸브에 직접 통합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추가 비용을 야기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댐핑 장치는 대량 제조시 불가피한 부품 치수의 편차에 대해 민감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제어 밸브는, 스토퍼에 대한 밸브 부재의 충돌 속도의 감소에 의해 소음 발생이 감소하고, 또한 유량 제어 밸브의 안정성은 증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감소한 충돌 속도는 니들-아마추어-유닛에 대한 스토퍼로부터 밸브 부재의 리바운싱 위험도 감소시킨다. 감소한 기계적 응력은 이동 질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즉 니들은 더 경량으로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자기 회로도 더 약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전자기 작동식 유량 제어 밸브의 전력 손실을 감소시킨다.
유량 제어 밸브의 본 발명에 따른 댐핑 장치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개방 운동시 액추에이터의 니들-아마추어-유닛은 플레이트 형태의 밸브 부재에 부딪히고, 상기 밸브 부재를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정지 시트로부터 들어올린다. 밸브 부재는 댐핑 챔버 내의 유체에 작용한다. 유체는 가압되고, 댐핑 챔버로부터 밸브 부재와 댐핑 챔버의 벽 사이에 형성된 갭을 통해 누출된다. 갭의 스로틀 작용에 의해 유체는 유체 용기로부터 천천히 누출될 수밖에 없고, 밸브 부재는 효과적으로 지연된다. 이로 인해 스토퍼에 대한 밸브 부재의 충돌 속도는 감소하고, 소음 발생이 감소한다.
플레이트 형태의 밸브 부재와 댐핑 챔버의 벽 사이에 형성된 좁고 긴 갭은 밸브 부재와 벽의 제조 공차에 비교적 심하게 의존하기 때문에, 상기 갭은 본 발명에 따라 규정된 크기(횡단면 및 깊이)의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다수의(예를 들어 3개) 오목부를 갖는다. 상기 오목부는 갭을 부분적으로 확장한다. 갭은 플레이트 형태의 밸브 부재와 벽 사이의 슬라이딩 시트로서 형성되고, 특히 밸브 부재의 안내에 사용된다.
특히 유체의 유동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오목부의 횡단면으로 형성된 유효 유동 횡단면은 갭의 유동 횡단면보다 훨씬 크다. 따라서 댐핑 챔버와 밸브 부재의 불가피한 제조 공차는 밸브 부재의 안내에만 영향을 미치고, 유량 제어 밸브의 댐핑 거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유효 유동 횡단면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제어 밸브에서 특히 오목부의 횡단면에 의존한다. 그 결과 소정의 스로틀 효과는 오목부의 치수와 형태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벽과 밸브 부재 사이의 갭의 폭에 의해 결정될 수 없다. 오목부의 제조 공차는 경미하게만 스로틀 효과에 영향을 미치므로, 대량 제조된 유량 제어 밸브의 상이한 견본들의 댐핑 거동의 편차는 작다.
이러한 효과는 특히, 갭의 원주에서 오목부가 차지하는 부분이 50%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미만인 경우에 달성될 수 있다.
제조 기술적으로 간단한 해결 방법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는 유량 제어 밸브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수직으로, 댐핑 챔버의 벽에 방사방향 외측으로 또는 밸브 부재 내에 방사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댐핑 챔버는 박판 성형품으로서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댐핑 챔버는 유량 제어 밸브의 하우징의 일체형 부품일 수 있다.
밸브 부재의 댐핑 거동을 가능한 한 사용 조건에 맞게 조정할 수 있기 위해, 갭의 개방 유동 횡단면은 댐핑 챔버에 대한 밸브 부재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오목부의 깊이(T)는 갭의 깊이보다 작다. 갭의 깊이는 밸브 부재가 그 개방 위치에서 부딪히는 제 1 돌출부에 의해 제한된다.
오목부의 깊이가 전술한 갭보다 작으면, 밸브 부재는 개방 위치를 향한 경로에서 오목부를 완전히 커버하고, 갭에 의해 형성된 유효 유동 횡단면만이 누출되는 유체에 대해 개방된다. 이로 인해 스로틀 효과가 강화되고, 밸브 부재의 속도는 다시 감소한다. 따라서 유량 제어 밸브의 개방은 2단계로 구현된다. 제 1 단계에서, 방사방향 갭과 오목부로 형성된, 비교적 큰 유효 유동 횡단면만이 제공된다. 이로써 유체는 신속하게 그리고 약간만 댐핑되어 댐핑 챔버로부터 누출될 수 있고, 밸브 부재는 신속하게 개방 위치로 이동된다. 밸브 부재의 에지가 제 2 돌출부를 지나 돌출하고 따라서 오목부가 완전히 커버되는 경우에, 제 2 단계가 활성화된다. 유효 유동 횡단면은 제 1 단계에 비해 작아진다. 이로 인해 유체는 더 천천히 댐핑 챔버로부터 누출된다. 이로써 밸브 부재는 더 지연되고, 더 감소한 속도로 제 1 돌출부에 부딪힌다. 이로써 바람직하게 유량 제어 밸브의 짧은 개방 시간이 매우 작은 소음 발생과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오목부는 (전방)에지로부터 좁은 지점으로 테이퍼링된다. 따라서 유효 유동 횡단면이 스토퍼를 향해, 즉 제 1 돌출부를 향해 일정하게 감소할 수 있다. 이로써, 밸브 부재가 스토퍼에 근접할수록, 일정하게 증가하는 스로틀 효과가 달성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장점들이 제공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고로 설명된다.
도 1은 고압 펌프, 커먼 레일 시스템 및 유량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연료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유량 제어 밸브의 단면도.
도 3은 제 1 실시예의 밸브 부재와 내부 부품을 도시한 도면.
도 3a는 제 2 실시예의 밸브 부재와 내부 부품을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제 3 실시예의 밸브 부재와 내부 부품을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제 4 실시예의 밸브 부재와 내부 부품을 도시한 확대도.
모든 도면에서 기능적으로 동일한 부재들 및 치수에 대해 상이한 실시예들에서도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된다.
도 1은 내연기관의 연료 시스템(1)을 매우 간단하게 도시한다.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피스톤 펌프로서 형성된 고압 펌프(2)는 상류에서 흡입 라인(3), 예비 송출 펌프(4) 및 저압 라인(5)을 통해 연료 탱크(6)에 연결된다. 하류에서 고압 어큐뮬레이터(8;"커먼 레일")는 고압 라인(7)을 통해 고압 펌프(2)에 접속된다. 하기에서 액추에이터(11)라고 하는 전자기 작동 장치를 포함하는 유량 제어 밸브(10)는 저압 라인(5)과 고압 펌프(2) 사이에 유압식으로 배치되고, 고압 펌프(2)의 유입 밸브를 형성한다. 예컨대 고압 펌프(2)의 배출 밸브와 같은 그 밖의 부재들은 도 1에 도시되지 않는다. 물론, 유량 제어 밸브(10)는 고압 펌프(2)에 통합될 수 있다.
연료 시스템(1)의 작동시 예비 송출 펌프(4)는 연료 탱크(6)로부터 저압 라인(5)으로 연료를 송출한다.
고압 펌프(2)는 저압 라인(5)으로부터 연료를 흡입하여 고압 라인(7) 및 고압 어큐뮬레이터(8)로 송출한다.
고압 펌프(2)는 피스톤 펌프이기 때문에 흡입 행정과 송출 행정을 갖는다. 고압 펌프(2)의 송출량은 유량 제어 밸브(10)에 의해, 예를 들면 유량 제어 밸브가 고압 펌프(2)의 송출 행정 동안 대체로 오래 개방되어 유지됨으로써 제어된다.
도 2는 유량 제어 밸브(10)의 부분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유량 제어 밸브(10)는 하우징(12), 자기 밸브 스프링(13)에 의해 작동되고 거기에 배치된 아마추어(15)를 포함하는 밸브 니들(14), 플레이트 형태의 밸브 부재(16), 및 상기 밸브 부재와 함께 작동하는 하우징 고정형 밸브 시트(17;"정지 시트")를 포함한다. 유량 제어 밸브(10)의 부재들은 실질적으로 중심선(18)에 대해 회전 대칭이다. 밸브 니들(14)과 아마추어(15)는 니들-아마추어-유닛을 형성한다.
도 1에서 고압 펌프(2)는 유량 제어 밸브(10)의 우측에 배치되고, 예비 송출 펌프(4)에서 시작되는 저압 라인(5)은 유량 제어 밸브(10)의 좌측에 배치된다.
고압 펌프(2)의 흡입 행정 동안 밸브 부재(16)는 밸브 시트(17)로부터 들어 올려지므로(도 2에 도시되지 않음), 연료는 저압 라인(5)으로부터 밸브 부재(16)와 밸브 시트(17) 사이의 갭 및 환형 유동 채널(20)을 통해 고압 펌프(2)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환형 유동 채널(20)은 외부로는 하우징(12)에 의해 제한되고, 내부로는 내측부(23)에 의해 제한된다. 내측부(23)는 하우징(12)의 부분일 수 있거나 또는 하우징(12)에 연결되는 별도의 부품일 수 있다.
내측부(23)는 포트 형태로 형성되고, "베이스"(24)와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벽"(25)을 포함한다. 내측부(23)는 밸브 부재(16)를 향한 단부측에 댐핑 챔버(26)를 포함한다. 댐핑 챔버(26) 내에 스프링(30)이 제공되고, 상기 스프링은 밸브 부재(16)를 밸브 시트(17)에 대해 가압한다.
내측부(23)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예컨대 박판 성형품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플레이트 형태의 밸브 부재(1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측부(23) 내로 돌출하고, 이로 인해 댐핑 챔버(26)를 제한한다.
댐핑 챔버(26)는 연료로 채워지고, 스로틀로서 작용하는 좁은 지점(27)을 통해 유동 채널(20)에 연결된다.
내측부(23) 또는 댐핑 챔버(26)의 벽(25)에 제 1 돌출부(28)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밸브 부재(16)의 개방 위치에서 밸브 시트(17)로부터 떨어져 있는 밸브 부재(16)의 면(29)을 위한 스토퍼를 형성한다. 이 경우, 제 1 돌출부(28)가 방사방향으로 환형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제 1 돌출부(28)가 원주에 분포되며 환형 실드 섹션(25)에 배치된 하나 또는 다수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면, 밸브 부재(16)를 지지하기에 충분하다. 도 2의 하부에 이러한 세그먼트가 도면부호 28로 도시되는 한편, 도 2의 상부에는 이러한 세그먼트가 없다.
도 2는 유량 제어 밸브(10)를 폐쇄 위치에서 도시한다. 폐쇄 위치에서 밸브 부재(16)는 하우징(12)의 밸브 시트(17) 상에 배치된다. 개방 위치에서 밸브 부재(16)는 환형 실드 섹션(25)의 제 1 돌출부(28)에 대해 지지된다.
유량 제어 밸브(1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액추에이터(11)가 무전류로 전환되면, 자기 밸브 스프링(13)의 스프링력은 밸브 니들(14)과 거기에 고정 연결된 아마추어(15)를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밸브 니들(14)은 밸브 부재(16)에 부딪히고, 상기 밸브 부재를 마찬가지로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유체 용기(26) 내의 연료가 가압되고, 좁은 지점(27)을 통해 유동 채널(20) 내로 누출되어야 한다. 이는 도 2에서 화살표(도면부호 없음)로 표시된다. 이 경우 좁은 지점(27)은 스로틀로서 작용하므로, 연료는 느리게 누출될 수밖에 없다. 그로 인한 유압력은 자기 밸브 스프링(13)의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댐핑 작용을 하므로, 밸브 부재(16)가 제 1 돌출부(28)에 부딪히는 속도는 감소한다.
액추에이터(11)에 전류가 공급되면, 밸브 니들(14)은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되므로, 밸브 부재(16)는 일반적인 유입 밸브처럼 밸브 시트(17)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유량 제어 밸브(10)는 무전류로 폐쇄될 수도 있다.
도 3은 밸브 부재(16)로부터 본 내측부(23)의 등각 투영도를 도시한다. 명확성을 위해 밸브 부재(16)는 절단되어 도시된다. 좁은 지점은 실질적으로 갭(31)의 원주에 분포된 다수의 오목부(32)로 이루어진다. 대안으로서 오목부(32)는 밸브 부재(16)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갭(31)의 환형 면과 유량 제어 밸브(10)의 중심선(18)에 대해 수직인 오목부(32)의 횡단면은 함께 좁은 지점(27)의 유효 유동 횡단면을 형성한다. 이 경우 오목부(32)는 좁은 지점(27)의 댐핑 거동에 결정적인데, 그 이유는 댐핑 챔버(26)로부터 배출되거나 또는 댐핑 챔버(26) 내로 역류하는 연료의 대부분이 오목부(32)를 통해 유동하기 때문이다.
이는 밸브 부재(16) 또는 벽(25)의 직경의 제조에 따른 치수 편차가 댐핑 챔버(26)의 댐핑 거동에 매우 약간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써 대량 제조된 유량 제어 밸브들(10)의 다양한 견본 내에서 편차가 크게 감소할 수 있고, 이는 내연기관의 작동시 상당한 장점을 수반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서 중심선(18)을 따른 오목부(32)의 폭은 댐핑 챔버(26)에서 밸브 부재(16)를 위한 스토퍼로서 사용되는 돌출부(28)보다 깊다. 그러나 상기 돌출부는 내측부(23)의 베이스(24)에 미치지 못한다. 도 3a에 오목부(32)가 베이스(24)까지 미치는 변형예가 도시된다.
도 4에는 오목부(32)가 제 1 돌출부(28) 전에 끝나는 변형예가 도시된다.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 오목부(32)의 깊이(T)는 제 2 돌출부(34)에 의해 제한된다. 이로써, 밸브 부재(16)가 제 1 돌출부(28)에 부딪히기 전에 오목부(32)의 유효 유동 횡단면을 커버하는 것이 달성된다. 이로 인해 밸브 부재(16)의 개방 운동의 시작시, 갭(31)의 유동 횡단면과 오목부(32)의 유동 횡단면으로 이루어진, 큰 전체 유동 횡단면이 제공된다. 이로써 연료는 신속하게 댐핑 챔버(26)로부터 누출될 수 있고, 밸브 부재(16)는 신속하게 제 1 돌출부(28)를 향해 이동된다.
밸브 부재(16)가 정지 시트(17)로부터 떨어져 있는 (단부)면(29)으로 오목부(32)를 커버하도록 제 1 돌출부(28)를 향해 멀리 이동되는 즉시, 갭(31)의 유동 횡단면이 작용하므로, 댐핑 효과가 높아지고 밸브 부재(16)는 제 1 돌출부(28)에 부딪히기 전에 더 지연된다. 그 결과 밸브 부재(16)는 더 천천히 제 1 돌출부(28)를 향해 이동된다. 이로써 제 1 돌출부(28)에 충돌 시 밸브 부재(16)의 충격은 더 감소한다. 그 결과 발생하는 소음도 약해진다. 이로써 밸브 부재(16)의 위치에 의존하는 가변적인 댐핑이 달성된다. 그에 따른 댐핑 특성곡선은 하나의 단계만을 포함한다.
도 5는 도 4와 유사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이 경우 오목부(32)는 벽(25)의 에지(36)로부터 좁은 지점(27)을 향해 테이퍼링된다. 이로써 갭(31)은 내측부(23)의 에지(36)로부터 좁은 지점(27)까지 연장되는 제 1 섹션에서 원뿔대 형상을 갖는다. 에지(36)는 갭(31)의 시작을 표시한다. 이어지는 제 2 섹션은 원통형형으로 구현되고, 좁은 지점(27)부터 제 1 돌출부(28)까지 연장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본적인 기능은 도 4에 도시된 기능과 유사하다. 그러나 좁은 지점(27)에서 유효 유동 횡단면의 일정한 감소로 인해 개방 위치로, 즉 제 1 돌출부(28)를 향해 밸브 부재(16)가 이동하는 속도도 일정하게 감소한다. 따라서 밸브 부재(16)는 균일하게 지연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모든 실시예들에서 오목부(32)는 내측부(23)의 벽(25)에 형성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장점들은 오목부(32)가 밸브 부재(16) 내에 제공되는 경우에도 달성된다. 또한, 벽(25) 및 밸브 부재(16) 내의 오목부들(32)의 조합도 가능하다.
10 유량 제어 밸브
14 밸브 니들
16 밸브 부재
20 유동 채널
26 댐핑 챔버
31 갭
32 오목부

Claims (11)

  1.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밸브 니들(14)과 상기 밸브 니들(14)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는 밸브 부재(16)를 포함하는 유량 제어 밸브(10)로서, 상기 밸브 부재(16)는 댐핑 챔버(26)를 제한하고, 상기 댐핑 챔버(26)의 벽(25)과 상기 밸브 부재(16) 사이에 갭(31)이 형성되고, 상기 갭은 상기 댐핑 챔버(26)를 유동 채널(20)에 연결하는 유량 제어 밸브(10)에 있어서,
    상기 갭(31)은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갭(31)은 상기 밸브 니들(14)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면에 원주를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32)는 상기 원주의 50%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미만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갭(31)의 유동 횡단면은 상기 댐핑 챔버(26)에 대한 상기 밸브 부재(16)의 위치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32)의 깊이(T)는 상기 갭(31)의 깊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32)의 깊이(T)는 상기 갭(31)의 깊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32)는 상기 벽(25)의 에지(36)로부터 상기 댐핑 챔버(26)의 베이스(24)를 향해 테이퍼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챔버(26) 내에 1 돌출부(28)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밸브 부재(16)의 단부 스토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토퍼(28)는 원주에 걸쳐 분포된 2개 이상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부재(26)는 상기 하우징(12) 내에 또는 내측부(23) 내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부(23)는 상기 유량 제어 밸브(10)의 상기 하우징(12)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12)에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10. 펌프 부재와 유입 밸브를 포함하는 고압 펌프(2)에 있어서,
    상기 유입 밸브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량 제어 밸브(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펌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유동 채널(20)은 상기 고압 펌프(2)의 펌프실을 저압 라인(5)에 유압식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펌프.
KR20147009596A 2011-12-20 2012-11-15 유량 제어 밸브 및 유량 제어 밸브를 구비한 고압 펌프 KR201400621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110089288 DE102011089288A1 (de) 2011-12-20 2011-12-20 Mengensteuerventil, und Hochdruckpumpe mit Mengensteuerventil
DE102011089288.5 2011-12-20
PCT/EP2012/072673 WO2013092019A1 (de) 2011-12-20 2012-11-15 Mengensteuerventil, und hochdruckpumpe mit mengensteuerventil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216A Division KR101931101B1 (ko) 2011-12-20 2012-11-15 유량 제어 밸브 및 유량 제어 밸브를 구비한 고압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140A true KR20140062140A (ko) 2014-05-22

Family

ID=472787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09596A KR20140062140A (ko) 2011-12-20 2012-11-15 유량 제어 밸브 및 유량 제어 밸브를 구비한 고압 펌프
KR1020157013216A KR101931101B1 (ko) 2011-12-20 2012-11-15 유량 제어 밸브 및 유량 제어 밸브를 구비한 고압 펌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216A KR101931101B1 (ko) 2011-12-20 2012-11-15 유량 제어 밸브 및 유량 제어 밸브를 구비한 고압 펌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791064B2 (ko)
EP (1) EP2795096B1 (ko)
JP (1) JP6092246B2 (ko)
KR (2) KR20140062140A (ko)
CN (1) CN104011369B (ko)
DE (1) DE102011089288A1 (ko)
ES (1) ES2651123T3 (ko)
WO (1) WO20130920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15774B4 (de) * 2014-08-08 2016-06-3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orrichtung für eine Hochdruckpump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6201474A1 (de) * 2016-02-01 2017-08-03 Robert Bosch Gmbh Ventilanker für ein Magnetventil und Ventilpatrone für ein Magnetventil
WO2019207906A1 (ja) * 2018-04-26 2019-10-3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高圧燃料供給ポンプ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7754A (en) * 1988-02-03 1995-11-21 Servojet Electronic Systems, Ltd. Accumulator fuel injection system
GB9008403D0 (en) * 1990-04-12 1990-06-13 Lucas Ind Plc Fuel injection nozzle
US5537972A (en) * 1994-07-28 1996-07-23 Servojet Electronics Systems Fuel injection system having a pressure intensifier incorporating an overtravel safety feature
KR0162118B1 (ko) 1994-09-14 1998-12-01 이상만 정유량 역지밸브
US5954312A (en) 1996-01-31 1999-09-21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Groove means in a fuel injector valve seat
JPH10176762A (ja) 1996-10-17 1998-06-30 Akume:Kk 流量調整弁
JPH11182706A (ja) 1997-12-17 1999-07-06 Miura Co Ltd 逆止機能付定流量弁
DE19834121A1 (de) 1998-07-29 2000-02-03 Bosch Gmbh Robert Kraftstoffversorgungsanlage einer Brennkraftmaschine
DE19834120A1 (de) 1998-07-29 2000-02-03 Bosch Gmbh Robert Kraftstoffversorgungsanlage einer Brennkraftmaschine
JP2000161522A (ja) * 1998-11-27 2000-06-16 Toyota Motor Corp 電磁弁
JPWO2002055870A1 (ja) * 2001-01-05 2004-05-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高圧燃料供給ポンプ
JP4259466B2 (ja) * 2004-12-24 2009-04-30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燃料噴射弁
JP2007040423A (ja) 2005-08-03 2007-02-15 Denso Corp バルブ装置
DE102007016134A1 (de) 2006-04-25 2007-11-08 Robert Bosch Gmbh Kraftstoff-Hochdruckpumpe
SE530779C2 (sv) 2007-01-08 2008-09-09 Scania Cv Ab Bränslepump och en metod för att styra en bränslepump
JP5126606B2 (ja) 2008-12-26 2013-01-23 株式会社デンソー 高圧ポンプ
JP2010168901A (ja) 2009-01-20 2010-08-05 Nissan Motor Co Ltd 高圧燃料ポンプ
DE102009046082A1 (de) 2009-10-28 2011-05-12 Robert Bosch Gmbh Elektromagnetisch betätigtes Mengensteuerventil, insbesondere zur Steuerung der Fördermenge einer Kraftstoff-Hochdruckpumpe
DE102009046079A1 (de) 2009-10-28 2011-05-12 Robert Bosch Gmbh Mengensteuerventil, insbesondere zur Mengensteuerung einer Kraftstoff-Hochdruckpumpe
DE102010039691A1 (de) 2009-12-01 2011-06-09 Robert Bosch Gmbh Schaltvenitl, insbesondere zur Zumessung eines Fluids für eine stromabwärts angeordnete Förderpumpe
DE102009055356A1 (de) 2009-12-29 2011-06-30 Robert Bosch GmbH, 70469 Elektromagnetisch betätigtes Mengensteuerventil, insbesondere zur Steuerung der Fördermenge einer Kraftstoff-Hochdruckpumpe
JP5741024B2 (ja) 2011-02-02 2015-07-0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膨張弁及びこれを用いた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03057A (ja) 2015-01-29
US20150047726A1 (en) 2015-02-19
DE102011089288A1 (de) 2013-06-20
EP2795096A1 (de) 2014-10-29
EP2795096B1 (de) 2017-09-06
ES2651123T3 (es) 2018-01-24
CN104011369B (zh) 2018-10-09
US9791064B2 (en) 2017-10-17
KR101931101B1 (ko) 2018-12-21
KR20150063597A (ko) 2015-06-09
JP6092246B2 (ja) 2017-03-08
CN104011369A (zh) 2014-08-27
WO2013092019A1 (de)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2873B2 (ja) 流量制御弁及び高圧燃料供給ポンプ
US10400723B2 (en) Fuel injection valve
CN109215933B (zh) 具有液压阻尼的燃料泵螺线管
KR101796911B1 (ko) 밸브 바디 및 상기 밸브 바디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개방 방향으로 작용하는 밸브 니들을 포함한 전환 밸브
KR101871299B1 (ko) 밸브 제어 방법 및 장치
EP3362670B1 (en) Fuel injection valve with an anti bounce device, combustion engine and vehicle
US11542903B2 (en) High-pressure fuel supply pump provided with electromagnetic intake valve
US20110147636A1 (en) Constant residual pressure valve
KR101931101B1 (ko) 유량 제어 밸브 및 유량 제어 밸브를 구비한 고압 펌프
JP6507235B2 (ja) 高圧燃料ポンプ
EP1845254A1 (en) Valve assembly
KR102067395B1 (ko) 밸브 장치
JP2015169080A (ja) 燃料ポンプ
CN113167203B (zh) 燃料喷射阀
US20120247592A1 (en) Control valve, in particular for metering in a fluid for a delivery pump which is arranged downstream
EP2166220A1 (en) Injection valve
JPWO2018221158A1 (ja) 高圧燃料供給ポンプ
KR102196142B1 (ko) 분사 밸브를 위한 밸브 조립체 및 분사 밸브
JP6689153B2 (ja) 燃料供給ポンプ
WO2023105024A1 (en) Fuel pump
JP6225648B2 (ja) 高圧ポンプ
EP2236812B1 (en) Injection valve
JP2017061863A (ja) 高圧燃料供給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114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226

Effective date: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