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9715A - Sub-boom device for high-lift working vehicle - Google Patents

Sub-boom device for high-lift working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9715A
KR20140059715A KR1020130126942A KR20130126942A KR20140059715A KR 20140059715 A KR20140059715 A KR 20140059715A KR 1020130126942 A KR1020130126942 A KR 1020130126942A KR 20130126942 A KR20130126942 A KR 20130126942A KR 20140059715 A KR20140059715 A KR 20140059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boom
swinging
workbench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9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쯔토무 호우조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치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4659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4094798A/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20529A external-priority patent/JP6113518B2/en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치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치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059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71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27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A sub-boom device (70) comprises a first sub-boom support member (72) mounted around a first moving pin (72) horizontally extended from a rotating object (71) to move freely and a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mounted on the first sub-boom support member (71) around a second moving pin (73a) which is at right angles to the first moving pin (72a) to move freely. The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is moved on the first sub-boom support member (72) to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is extended to be parallel to the first moving pin (72a). The first sub-boom support member (72) is formed to be set in a housing posture so that a sub-room member (74) is located on the side of a work table (40).

Description

고소 작업차의 서브붐 장치{SUB-BOOM DEVICE FOR HIGH-LIFT WORKING VEHICL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 boom device for a high-

본 발명은 차체 상에 설치된 붐의 선단부에 작업대와 함께 설치되는 고소 작업차의 서브붐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 boom device for a high-performance work car installed together with a work platform at a front end portion of a boom provided on a vehicle body.

원하는 고소(高所) 위치에서 작업을 행하기 위한 고소 작업차에는, 차체 상에 적어도 기복(起伏)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붐(boom)과, 그 붐의 선단부에 작업대 지지부재를 통해 장착된 작업대와, 작업대 지지부재의 상부에 설치된 서브붐(sub-boom) 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서브붐 장치는 작업대 지지부재의 상부에 수평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선회부와, 그 선회부 상에 장착된 서브붐 지지부재와, 서브붐 지지부재의 상단부에 장착된 서브붐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이러한 서브붐 장치는 윈치(winch) 기구를 더 구비하고, 이 윈치기구에 의해 서브붐 부재 선단의 활차(滑車)에 걸린 로프의 감김 및 풀림을 행하여 작업용 부재 등을 달아 올리는 작업을 행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 또한, 간접 활선(活線) 작업에 있어서, 전신주 사이에 가설된 전선을 임시 지지하기 위해 서브붐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A high-altitude working vehicle for performing work at a desired high altitude position includes a boom mounted at least on a vehicle body so as to be capable of undulating movement, a workbench mounted on a workbench support member at a tip end of the boom, And a sub-boom devic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work bench support member. The sub boom device is constituted by a swivel part provided horizontally rotatably on an upper part of a workbench support member, a subboom support member mounted on the swivel part, and a sub boom member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ubboom support member For example, see Patent Document 1). Such a sub-boom device further includes a winch mechanism, and is used for winding and unloading a rope caught by a pulley at the front end of the sub-boom member by the winch mechanism, . Further, in an indirect live line operation, a sub boom device is used to temporarily support electric wires installed between electric poles.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1-171989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171989

그런데, 서브붐 장치는 작업대보다 상방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고소 작업차의 주행시에는 서브붐 장치가 다른 것과 접촉하여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브붐 장치를 작업대와 거의 같은 높이가 되도록 격납하여, 서브붐 장치를 붐의 선단부에 장착한 채 주행 가능하게 구성된 고소 작업차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서브붐 장치는 상당한 중량을 갖고 있기 때문에, 서브붐 장치의 격납 작업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행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그 격납 작업이 중노동이기 때문에 작업자에 대한 부담이 크고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유압 또는 전동 액추에이터에 의해 서브붐 장치를 격납시키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해당 액추에이터를 배치하는 스페이스나 구동회로 등을 새롭게 설치할 필요가 있어 서브붐 장치의 대형화나 고가격화라는 문제가 있다.Meanwhile, the sub boom device is installed above the work platform.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sub-boom device from being damaged by contact with another during the running of the high-performance work car, the sub-boom device is stored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workbench, A high-altitude work vehicle has been proposed. However, the sub-boom device has a considerable weight. Therefore, in the cas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operator performs the storing operation of the sub-boom device manual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oad of the operator is large and the workability is poor there was. Further, when the sub-boom device is configured to be housed by the hydraulic pressure or the electric actuator, a space for disposing the actuator, a drive circuit, and the like must be newly provided, which causes a problem of enlarging the sub-boom device and increasing its cost.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장치 구성이며, 또한 작업자에 의한 간단한 조작으로 격납할 수 있는 고소 작업차의 서브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b boom device for a high-performance work vehicle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and can be stored by a simple operation by an operato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서브붐 장치는, 차체에 적어도 기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붐과, 상기 붐의 선단부에 작업대 지지부재(예를 들면,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직 포스트(32) 및 작업대 브래킷(38))을 통해 장착된 작업대를 구비하는 고소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 지지부재의 상부에 설치된 고소 작업차의 서브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 지지부재에 수평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선회부재(예를 들면, 실시예에 있어서의 선회체 (71))와, 상기 선회부재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요동축 (예를 들면,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 요동핀(72a))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자유롭게 장착된 제1 요동부재 (예를 들면,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 서브붐 지지부재(72))와, 상기 제1 요동부재에 상기 제1 요동축과 직교하는 제2 요동축 (예를 들면,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 요동핀(73a))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자유롭게 장착된 제2 요동부재 (예를 들면,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와, 상기 제2 요동부재의 선단부에 상기 제2 요동축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장착된 장척(長尺) 모양의 서브붐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요동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2 요동부재를 상기 제1 요동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까지 요동시킨 작업자세와, 상기 작업자세의 상기 서브붐 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작업대의 선단측을 향하도록 상기 선회부재를 상기 작업대 지지부재에 대하여 선회시키고, 상기 제1 요동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2 요동부재를 상기 제1 요동축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위치까지 요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서브붐 부재가 상기 작업대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요동부재를 요동시킨 격납자세를 설정 가능하게 구성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sub boo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om provided at least at a lower portion of a vehicle body so as to freely move up and down; a workbench support member (for example, And a workbench mounted through a workbench bracket (38),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boom device for a high-performance work car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workbench support member comprises a pivot member (For example, the first swinging pin 72a in the embodiment)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swinging member and a second swinging shaft (for example, the first swinging pin 72a in the embodiment) (For example, the first sub-boom support member 72 in the embodiment) mounted on the first pivotal member and pivotally mounted on the first pivotal member and a second pivotal member Coaxial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For example, the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in the embodiment) mounted pivotally about the second swinging pin 73a (the second swinging pin 73a in the first swinging member 73a) And an elongated shape (not shown) mounted to the distal end portion so as to exten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econd pivot axis And a sub-boom member. The work posture in which the second pivotal member is pivoted to a posi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pivotal axis with respect to the first pivotal member and a working posture in which the distal end of the sub- And the second pivotal member is pivo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pivotal member to a position extend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 pivotal axis, and the sub-boom member is pivotally moved with respect to the first pivotal member, And a storage position in which the first swinging member is swung such that the member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work table.

또한, 상기 구성의 서브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요동부재는 유압 또는 전동 액추에이터 (예를 들면, 실시예에 있어서의 요동 실린더(77))에 의해 상기 선회부재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 요동부재는 수동으로 상기 제1 요동부재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작업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요동부재의 요동위치와 상기 격납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요동부재의 요동위치의 각각에서 상기 제2 요동부재를 고정 유지하는 고정유지수단 (예를 들면, 실시예에 있어서의 잠금핀(80) 및 잠금핀 삽입공 (81, 82, 84))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sub boom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wing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swingable with respect to the swinging member by an oil pressure or an electric actuator (for example, a rocking cylinder (77) in the embodiment) Wherein the second pivot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pivot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pivoting member by manual operation, and a pivoting position of the second pivoting member in the working posture and a pivoting position of the second pivoting member in the retracting posture (For example, the lock pin 80 and the lock pin insertion holes 81, 82, 84 in the embodiment) for holding the second pivotal member in a fixed position Do.

또한, 상기 구성의 서브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브붐 부재의 선단부에 설치된 활차에 걸린 로프의 감김 및 풀림을 행하는 윈치기구와, 상기 작업자세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지수단에 의해 상기 제2 요동부재의 요동위치가 고정 유지되었을 때에만 상기 윈치기구의 작동을 허용하고, 상기 고정유지수단에 의해 상기 제2 요동부재의 요동위치가 고정 유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윈치기구를 작동시키는 윈치 조작장치가 조작되었을 때에 경보작동을 행하는 경보수단 (예를 들면, 실시예에 있어서의 컨트롤러(50)의 경보부(52)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경보작동이란 해당 장치의 작동을 규제하는 작동이나, 경보 부저, 경보 램프 등을 이용하여 경보를 행하는 작동을 포함시킨 작동을 의미한다.In the sub boom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winch mechanism for winding and unwinding the rope caught by the pulley provided at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ub-boom member, and a winch mechanism for pulling and loosening the rope, The winch operating device which allows the operation of the winch mechanism only when the swing position is fixed and operates the winch mechanism in a state in which the swing position of the second swinging member is not fixed by the fixed holding means, (For example, the alarm unit 52 of the controller 50 in the embodiment) for performing an alarm operation when the alarm is detec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 alarm operation means an operation for regulating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or an operation including an alarm operation using an alarm buzzer or an alarm lamp.

또한, 상기 구성의 서브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은 상기 격납자세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지수단에 의해 상기 제2 요동부재의 요동위치가 고정 유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고소 작업차를 주행시키는 주행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에 경보작동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ub boom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alarm mean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in the storage position, the high-movement work vehicle travels in the state where the swing position of the second swinging member is not fixedly held by the fixed holding means And to perform an alarm operation when an operation is performed.

또한, 상기 구성의 서브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유압 또는 전동 액추에이터(예를 들면, 실시예에 있어서의 작업대 승강장치(36)(승강 실린더(37))에 의해 상기 작업대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작업대가 상기 작업대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작업대와 상기 작업자세의 상기 서브붐 부재가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제1 및 제2 요동부재의 치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ub boom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workbench is moved up and down relative to the workbench support member by a hydraulic or electric actuator (for example, a workbench lifting device 36 (lifting cylinder 37) And when the work table is moved up and down relative to the work table support member, the dimens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wing members are adjusted so that the work table and the sub-boom member in the work posture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Is set.

또한, 상기 구성의 서브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상기 작업대 지지부재를 통해 상기 붐의 선단부에 수평면 내에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선회부재는 상기 작업대 지지부재에 상기 작업대의 회전운동축과 동축(同軸) 상에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선회부재와 상기 작업대 지지부재를 결합시켜서 상기 서브붐 장치가 상기 작업대와 함께 선회되는 연동상태와, 상기 선회부재와 상기 작업대 지지부재의 결합을 해제시켜서 상기 서브붐 장치가 상기 작업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선회 가능하게 되는 비연동상태를 전환하는 전환수단(예를 들면,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환장치(10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sub boom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work table is mounted on the work table support member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horizontal plane on the front end of the boom, and the turning member is supported by the work table support member, And is rotatable on the same axis. In the interlocking state in which the sub-boom device is pivoted together with the workbench by engaging the pivot member and the workbench support member and the interlocking state in which the sub-boom device is disengaged from the workbench by releasing the coupling between the pivotal member and the workbench support member (For example, the switching device 100 in the embodiment) for switching the non-interlocked state in which the vehicle can be relatively swiveled.

또한, 상기 구성의 서브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회부재를 선회시키는 선회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환수단은 상기 비연동상태에 있어서, 상기 선회구동장치의 구동력을 상기 선회부재에 전달시키지 않고 상기 서브붐 장치가 자유선회 가능하게 되는 자유선회상태와, 상기 선회구동장치의 구동력을 상기 선회부재에 전달시켜서 상기 서브붐 장치가 상기 선회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선회되는 구동 선회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ub-boom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b-boom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swing drive device for swinging the swinging member, wherein the switching means switches the drive force of the swing drive device The sub-boom device is configured so as to be capable of freely pivoting and to transfer the driving force of the pivot drive device to the pivotal device so as to switch the drive pivot state in which the sub-boom device is pivo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pivot drive device .

본 발명에 따른 서브붐 장치에 의하면, 서로 직교하는 제1 및 제2 요동핀을 각각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한 제1 및 제2 요동부재에 의해 서브붐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요동부재에 대하여 제2 요동부재를 요동시키는 것만으로 서브붐 부재를 작업대의 측방에 위치시킨 격납자세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단한 조작으로 서브붐 장치를 격납할 수 있고, 이 격납자세에서는 서브붐 장치의 높이 위치를 작업대의 상단부와 거의 같은 높이 위치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서브붐 장치를 붐의 선단부에 장착한 채 고소 작업차를 주행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ub boom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sub-boom member is constituted by the first and second swinging members that are pivotable about the first and second pivot pins which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set the sub-boom member to the retracted position in which the sub-boom member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work table only by pivoting the second pivotal member with respect to the first pivotal member. Since the sub-boom device can be housed in such a simple manner and the height position of the sub-boom device can be suppressed to a height position substantially equal to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workbench in this storage posture, You can drive a complaint car.

또한, 제1 요동부재를 유압 또는 전동 액추에이터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제2 요동부재를 수동으로 제1 요동부재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구성하면,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1 요동부재를 하방으로 요동시켜서 제2 요동부재가 대략 수평으로 연장된 상태로 할 수 있고, 그 상태에서, 작업자가 수동으로 제2 요동부재를 제1 요동부재에 대하여 요동(수평선회)시키고,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1 요동부재를 상방으로 요동시켜서 서브붐 장치를 격납자세로 할 수 있다. 이 때, 작업자는 제2 요동부재를 거의 수평한 면 내에서 요동(선회)시킬 뿐이기 때문에 제2 요동부재 및 서브붐 부재가 무거운 물체라 하더라도 작업자에게 큰 부담을 주지 않고 수동으로 제2 요동부재를 요동(선회)시켜서 격납자세로 할 수 있다.When the first swing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swingable by the hydraulic pressure or the electric actuator and the second swing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swingable manually with respect to the first swinging member, the first swinging member is swung downward And the second pivoting member is allowed to extend substantially horizontally. In this state, the worker manually swings the second pivoting member about the first pivoting member (horizontal line rotation), and the first pivoting member The member can be pivoted upward and the sub boom device can be put in the retracted position. At this time, since the worker simply pivots (turns) the second pivoting member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plane, even if the second pivoting member and the sub-boom member are heavy objects, So that the storage position can be set.

또한, 고정유지수단에 의해 제2 요동부재의 요동위치가 작업자세에서 고정 유지되었을 때에만 윈치기구의 작동을 허용하고, 고정유지수단에 의해 제2 요동부재의 요동위치가 고정 유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윈치기구의 작동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경보작동을 행하도록 구성하면, 제2 요동부재가 작업자세에서 고정 유지되어 있지 않은, 즉 서브붐 장치가 바르게 작업자세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알아차리지 못하고 윈치기구를 이용하여 작업을 행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그러한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winch mechanism is permitted only when the swinging position of the second swinging member is fixedly held in the working posture by the fixed holding means and the swinging position of the second swinging member is not fixedly held by the fixed holding means The second swinging member is not fixedly held in the working posture, that is, the sub-boom device can not recognize the state in which the sub-boom device is not correctly set to the working posture The work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erformed using the winch mechanism, and the safety of such work can be improved.

또한, 고정유지수단에 의해 제2 요동부재의 요동위치가 격납자세에서 고정 유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고소 작업차를 주행시키는 주행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경보작동을 행하도록 구성하면, 제2 요동부재가 격납자세에서 고정 유지되어 있지 않은, 즉 서브붐 장치가 작업자세인 채로인, 또는 서브붐 장치가 바르게 격납자세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알아차리지 못하고 고소 작업차를 주행시키는 것을 막을 수 있어, 고소 작업차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when the traveling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high-movement work vehicle is driven in the state where the swinging position of the second swinging member is not fixedly held in the retracting position by the fixed holding means, the second swinging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igh-altitude operation car from traveling because the sub-boom device is not fixedly held in the stowed position, that is, the sub-boom device remains in the work posture or the sub-boom device is not properly set in the stowed position, The safety of the work vehicle can be improved.

또한, 작업대를 유압 또는 전동 액추에이터에 의해 작업대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작업대를 상하 이동시켰을 때에 작업대와 작업자세의 서브붐 부재가 간섭하지 않도록 제1 및 제2 요동부재의 치수를 설정하면, 서브붐 장치가 작업대의 상하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작업대를 상하방향에 이동시킬 수 있다.The work table may be configured to be vertical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work table support member by hydraulic or electric actuators so that the work table and the sub-boom members in the work posture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when the work table is moved up and down. When the dimensions are set, the sub boom can move the workbench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workbench.

또한, 전환수단에 의해 선회부재와 작업대 지지부재를 결합시켜서 서브붐 장치가 작업대와 함께 선회되는 연동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면, 서브붐 장치를 격납한 상태인 채라도 작업대를 진동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서브붐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격납한 상태인 채 고소작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킨 사용하기 좋은 서브붐 장치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turning means is engaged with the workbench support member by the switching means so that the sub-boom device can be switched to the interlocking state in which the sub-boom device is pivoted together with the workbench, even if the sub- . Therefore, in the case where the sub boom device is not used, the high boom operation can be performed while the stored sub boom device is in a stored state.

또한, 전환수단을 서브붐 장치가 작업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선회 가능하게 되는 비연동상태로 전환하고 있을 때에 있어서, 서브붐 장치가 자유선회 가능하게 되는 자유선회상태와, 서브붐 장치가 선회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선회되는 구동선회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하면, 서브붐 장치에 있어서의 작업대와의 연동 및 선회구동장치와의 접속을 하나의 전환수단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환조작부도 하나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복수의 전환조작부가 있는 경우에 작업자가 어느 조작부를 조작하면 좋은지 망설이는 등의 번잡함을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대와의 연동을 전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수동으로 선회 가능한 상태와, 선회구동장치에 의해 선회 가능한 상태로도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때의 작업에 맞춘 적절한 선회수단을 선택하여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킨 서브붐 장치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free-wheeling state in which the sub-boom device can freely turn when the sub-boom device is being switched to the non-interlocked state in which the sub-boom device can be pivoted relative to the workbench,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interlocking with the workbench and the connection with the swivel drive device in the sub boom device as one switching means when the drive pivot state is switched by the driving force. Therefore, since the switching operation portion can be made as on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roubles such as a problem that the operator should operate the operation por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witching operation portions, for example. Further, not only the interlocking with the workbench can be switched as described above, but also the worker can be switched to the manually pivotable state and the swivelable state by the swivel drive device. Therefore, The pivoting means can be selected to perform the work, and the sub boom apparatus can be improved in workabi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붐 장치를 구비하는 고소 작업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붐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붐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고소 작업차의 구동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작업대가 최상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붐 장치를 작업자세로부터 격납자세로 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붐 장치에 있어서의 자세유지용의 잠금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잠금핀의 빼냄조작 방지용의 커버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붐 장치를 구성하는 선회구동장치 및 전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선회구동장치 및 전환장치에 의한 연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선회구동장치 및 전환장치에 의한 비연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a high-performance work vehicle having a sub-boo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a sub boo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b boo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rive configuration of the high-side work car.
5 (a) and 5 (b) are sid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orkbench has moved to the uppermost posi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dure for changing the sub-boo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working posture to the retracted posture;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 pin for holding the posture in the sub-boo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ver member for preventing the removal of the lock pi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wivel drive device and the switching device constituting the sub boo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de view showing an interlocked state by the swing drive device and the switching device.
11 is a side view showing the non-interlocked state by the swing drive device and the switching devic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브붐 장치를 구비하는 고소 작업차(1)를 도 1에 나타내고 있다. 고소 작업차(1)는 차체(2)의 전부(前部)에 운전 캡(7)을 갖고, 차체(2)의 전후에 배치된 좌우 한쌍의 전륜(5f) 및 후륜(5r)에 의해 주행 가능한 트럭 차량을 기초로 구성되어 있다. 차체(2)는 섀시 프레임과 섀시 프레임 상에 장착된 서브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차체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 1 shows a high-performance work vehicle 1 having a sub-boo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 altitude operation car 1 has a driving cap 7 on the front portion of the vehicle body 2 and is driven by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wheels 5f and rear wheels 5r, It is based on possible truck vehicles. The vehicle body 2 is composed of a chassis frame and a body frame made up of subframes mounted on the chassis frame.

차체(2)의 전후에는 후술하는 붐(30) 등을 이용하여 고소작업을 행할 때에 차량을 들어올려 지지하여 안정시키기 위한 좌우 한 쌍의 프론트 잭(jack)(10f) 및 리어 잭(10r)이 설치되어 있다. 프론트 및 리어 잭(10f, 10r)는 각각의 내부에 설치된 잭 실린더(11)를 구동시킴으로써 하방으로 신장되어 차체(2)를 들어 올려 지지하고, 차량을 안정시킨 상태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차체(2)에는 각 잭(10f, 10r)의 작동 조작을 행하는 조작 레버 등을 구비하는 잭 조작장치(15)(도 4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In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body 2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jacks 10f and a rear jack 10r are provided for raising and stabilizing the vehicle when performing a high-altitude operation using a boom 30 or the like to be described later. The front and rear jacks 10f and 10r extend downwardly by driving jack cylinders 11 provided inside the front and rear jacks 10f and 10r to lift the vehicle body 2 and stabilize the vehicle. The vehicle body 2 is provided with a jack operation device 15 (see Fig. 4) provided with an operation lever or the like for operating operation of each of the jacks 10f and 10r.

차체(2)에 있어서의 운전 캡(7) 후방의 가장(架裝)영역의 전부에는 선회 모터(24)에 의해 구동되어 수평선회 가능하게 구성된 선회대(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선회대(2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지지기둥(21, 21)에는 푸트 핀(foot pin)(22)에 의해 붐(30)이 상하방향으로 요동 자유롭게(기복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차체(2)의 가장영역 상의 좌우에는 작업 공구나 작업 기재 등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공구상자(26)가 배치되어 있다.A swivel base 20 is provided on the entire body of the vehicle body 2 behind the operation cap 7 so as to be able to rotate horizontally by a swivel motor 24. The boom 30 is mounted on the support pillars 21 and 21 extending upward from the pivot 20 so as to freely pivot freely in a vertical direction by a foot pin 22. A plurality of tool boxes 26 for accommodating working tools and working substrates ar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st area of the vehicle body 2. [

붐(30)은 푸트 핀(foot pin)(22)에 의해 지지기둥(21, 21)에 기복 자유롭게 장착된 기단 붐(30a)과, 중간 붐(30b)과, 선단 붐(30c)이 찬합식으로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붐(30)은 내부에 설치된 신축 실린더(31)를 구동시킴으로써 붐(30)을 길이방향으로 신축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붐(30)은 기단 붐(30a)과 지지기둥(21) 사이에 걸쳐 설치된 기복 실린더(23)를 구동시킴으로써 상하면 내에서 기복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boom 30 has a base boom 30a which is freely mounted on the support pillars 21 and 21 by a foot pin 22 and a middle boom 30b and a tip boom 30c, As shown in FIG. The boom 3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xpand and contract the boom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driving the extensible cylinder 31 installed therein. The boom 30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undulating operation 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by driving the undulation cylinder 23 provided between the base boom 30a and the support column 21. [

선단 붐(30c)의 선단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핀(33)에 의해 수직 포스트(32)가 상하방향으로 요동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수직 포스트(32)는 선단 붐(30c)의 선단부와의 사이에 걸쳐 설치된 상부 레벨링 실린더(도시 생략)와 기단 붐(30a)과 지지기둥(21) 사이에 걸쳐 설치된 하부 레벨링 실린더(25)(도 1 참조)에 의해 붐(30)의 기복 각도에 관계없이 항상 수직자세가 유지되도록 요동 제어(레벨링 제어)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a vertical post 32 is pivotally mounted on the tip end of the tip boom 30c by a swinging pin 33 in a vertical direction. The vertical post 32 includes an upper leveling cylinder (not shown) provided between the front end boom 30c and a lower leveling cylinder 25 provided between the base boom 30a and the support post 21 (Leveling control) so that the vertical posture is always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relief angle of the boom 30 by the operation of the boom.

수직 포스트(32)의 상부에는 작업대 브래킷(38)이 수직 포스트(3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선회 가능(수평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작업대 브래킷(38)의 측부에 작업대 승강장치(36)를 통해 상자형상의 작업대(40)가 장착되어 있다. 수직 포스트(32)의 상부 및 작업대 브래킷(38)은 커버(35)로 그 주변을 덮고 있다. 커버(35)의 내부에는 진동 모터(34)가 설치되어 있고, 진동 모터(34)를 구동시킴으로써 도시하지 않는 웜 기어 및 휠 기어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전달기구를 통해 작업대 브래킷(38) 및 작업대(40)를 수직 포스트(32) 둘레에 수평선회(진동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 workbench bracket 38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post 32 so as to be pivotable relative to the vertical post 32 and a workbench lifting device 36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workbench bracket 38 Shaped worktable 40 is mounted thereon. The top of the vertical posts 32 and the workbench brackets 38 cover their periphery with a cover 35. A vibrating motor 34 is provided inside the cover 35 and the vibrating motor 34 is driven to drive the workbench bracket 38 and the workbench 40 through a rotation transmitting mechanism such as a worm gear, (Vibration operation) around the vertical posts 32. [0041]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 포스트(32)는 항상 수직자세가 유지되도록 레벨링 제어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대(40)의 바닥면은 붐(30)의 기복 각도에 관계없이 항상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작업대 승강장치(36)는 승강 실린더(37)(도 4 참조)로 구성되어 있고, 이 승강 실린더(37)를 구동시킴으로써 작업대 브래킷(38)에 대하여 작업대(40)를 승강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작업대(40)에는, 선회대(20), 붐(30) 및 작업대(40)의 작동 조작을 행하는 조작 레버나 각종 조작 스위치 등을 구비하는 작업조작장치(45)가 설치되어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table 40 is always kept horizontal regardless of the relief angle of the boom 30 because the vertical post 32 is always leveled and controlled to maintain the vertical posture as described above. The work platform elevating and lowering device 36 is constituted by an elevating cylinder 37 (see FIG. 4), and is configured to move the work platform 40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work platform bracket 38 by driving the elevating cylinder 37 . The workbench 40 is provided with a work operating device 45 having an operation lever for operating operations of the swivel pedestal 20, the boom 30 and the workbench 40, various operation switches, and the like.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잭 실린더(11), 선회 모터(24), 신축 실린더(31), 기복 실린더(23), 진동 모터(34) 및 승강 실린더(37)는 차체(2) 내에 설치된 유압 펌프(60)로부터 토출되어 제어밸브군(63)을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구동된다. 제어밸브군(63)은 각 실린더 및 모터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제어 밸브(V1∼V6)로 구성되어 있다. 유압 펌프(60)는 펌프 구동모터(61)에 의해 구동된다. 펌프 구동모터(61)는 차체(2)에 탑재된 가장(架裝) 배터리(65)로부터 펌프 구동용 인버터(62)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잭 실린더(11)는 차체(2)에 설치된 잭 조작장치(15)의 조작에 따라 작동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회 모터(24), 신축 실린더(31), 기복 실린더(23), 진동 모터(34) 및 승강 실린더(37)는 작업대(40) 내에 설치된 작업조작장치(45)의 조작에 따라 작동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4, the jack cylinder 11, the swing motor 24, the extensible cylinder 31, the undulation cylinder 23, the vibration motor 34, and the lifting cylinder 37 are disposed in the vehicle body 2, And is driven by operating oil that is discharged from the pump 60 and supplied through the control valve group 63. The control valve group 63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trol valves V1 to V6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cylinders and the motors. The hydraulic pump 60 is driven by a pump drive motor 61. The pump drive motor 61 is rotationally driven by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a mounting battery 65 mounted on the vehicle body 2 via a pump drive inverter 62. [ The jack cylinder 11 is configured to be operated and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jack operation device 15 provided on the vehicle body 2. [ The swing motor 24, the stretching cylinder 31, the relief cylinder 23, the vibration motor 34 and the elevating cylinder 37 are controlled to be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work operating device 45 installed in the work table 40 .

작업조작장치(45)는 선회대(20)의 선회조작을 행하는 선회조작 레버와, 붐(30)의 기복조작을 행하는 기복조작 레버와, 붐(30)의 신축조작을 행하는 신축조작 레버와, 작업대(40)의 진동 조작을 행하는 진동조작 레버와, 작업대(40)의 승강조작을 행하는 승강조작 레버로 구성되어 있다. 각 조작 레버는 각각 수직상태의 중립위치부터 전후방향으로 경동조작(傾動操作) 가능하게 구성되고, 경동 조작상태에서 손을 떼었을 때에는 내장된 스프링의 힘에 의해 자동으로 중립위치로 복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조작 레버가 각각 조작되면, 중립위치를 기준으로 한 조작방향(경동방향) 및 조작량 (경동량)에 대응한 전압신호가 출력되고, 각각 작업조작신호로서 컨트롤러(50)의 작업제어부(51)에 입력된다. 또한, 차체(2)에 설치된 잭 조작장치(15)가 조작되면, 잭 조작신호가 컨트롤러(50)의 작업제어부(51)에 입력된다.The work operation device 45 includes a swing operation lever for swinging the swing platform 20, a swing operation lever for performing swing operation of the boom 30, a swing operation lever for performing the swing operation of the boom 30, A vibration operation lever for performing a vibration operation of the work table 40 and a lift operation lever for performing a lift operation of the work table 40. [ Each of the operation levers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tilting operation (tilting operation) from the neutral position in the vertical state to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utomatically returning to the neutral position by the built-in spring force when the tilting operation is released . A volta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direction (tilting direction) and the operation amount (tilting amount) with reference to the neutral position is output, and as the operation operation signal, the operation control unit 51 of the controller 50, . When the jack operation device 15 provided on the vehicle body 2 is operated, a jack operation signal is input to the job control section 51 of the controller 50. [

작업제어부(51)는 입력되는 작업조작신호(잭 조작신호)에 따른 방향 및 양으로 대응하는 제어 밸브(V1∼V6)의 스풀을 전자(電磁) 구동하여 유압 펌프(60)에서 각 실린더 및 모터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공급방향 및 공급량을 제어하고, 각 실린더 및 모터의 작동 방향 및 작동 속도를 제어한다. 또한, 작업제어부(51)는 입력되는 작업조작신호에 따라서 펌프 구동용 인버터(62)를 통해 가장(架裝) 배터리(65)에서 펌프 구동모터(61)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고, 유압 펌프(60)에서 토출되는 작동유의 양을 제어한다.The operation control unit 51 electronically drives the spools of the control valves V1 to V6 corresponding to the input operation signal (jack operation signal) in the direction and amount, And controls the operating direction and operating speed of each cylinder and the motor. The operation control unit 51 control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mounting battery 65 to the pump driving motor 61 through the pump driving inverter 62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operation operation signal, (60).

이와 같이 구성된 고소 작업차(1)에서는, 지상 혹은 차체(2) 상에 있는 작업자는 잭 조작장치(15)를 조작함으로써 프론트 및 리어 잭(10f, 10r)을 하방으로 신장시켜서 차량을 들어올려 지지하여, 차량을 안정시킨 상태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작업대(40)에 탑승한 작업자는 작업조작장치(45)의 각 조작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붐(30)을 기복 및 신축시키고, 선회대(20)를 선회시키고, 작업대(40)를 진동 작동 및 승강 이동시켜서 작업대(40)를 원하는 고소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worker on the ground or on the vehicle body 2 can extend the front and rear jacks 10f and 10r downward by operating the jack operating device 15 to raise the vehicle So that the vehicle can be stabilized. The worker aboard the workbench 40 undo and extend the boom 30 by manipulating the respective operation levers of the work operation device 45 and turn the swivel base 20 to rotate the workbench 40 And to move the work table 40 to a desired high position by moving up and down.

또한, 작업조작장치(45)의 각 조작 레버의 조작에 의해 출력되는 작업조작신호의 전압 수준은 그 조작량에 거의 비례하도록 되어 있고, 조작 레버의 조작량을 조절함으로써 대응하는 각 실린더(31, 23, 37) 및 모터(24, 34)의 작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작업조작장치(45)는 차체(2)에도 설치되어 있고, 지상 혹은 차체(2) 상에 있는 작업자에 의해서도 선회대(20), 붐(30) 및 작업대(40)의 작동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voltage level of the work operation signal output by the operation of each operation lever of the work operation device 45 is made substantially proportional to the operation amount, and by adjusting the operation amount of the operation lever, 37 and the motors 24, 34, respectively. The work operation device 45 is also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2 and can be operated by an operator on the ground or the vehicle body 2 to operate the turning platform 20, the boom 30 and the work platform 40 .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서브붐 장치(70)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브붐 장치(7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 포스트(32)의 상단부에 수평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선회체(71)와, 선회체(71)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요동 자유롭게 장착된 제1 서브붐 지지부재(72)와, 제1 서브붐 지지부재(72)에 제1 서브붐 지지부재(72)의 요동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요동 자유롭게 장착된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와,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척(長尺) 모양의 서브붐 부재(74)로 구성되어 있다.Next, the sub boom device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sub boom device 70 includes a swing body 71 that is horizontally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ost 32, A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2 mounted on the first sub-boom support member 72 so as to be swingabl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ocking surface of the first sub-boom support member 72, And a long submoving member 74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bmoving support member 73. The submoving member 73 includes a first submoving member 73,

선회체(71)는 수직 포스트(32)의 상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선회부재(71a)와, 선회부재(71a)의 주변을 덮는 커버(7lb)로 구성된다. 선회부재(71a)는 서브붐 선회모터(92)(도 4 참조)를 구동시킴으로써 작업대(40)(작업대 브래킷(38))의 선회축 A와 동축 상에서 선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회부재(71a)의 상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요동핀(72a)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제1 요동핀(72a)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요동 자유롭게 제1 서브붐 지지부재(72)가 장착되어 있다.The revolving structure 71 comprises a revolving member 71a pivotally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ost 32 and a cover 7lb covering the periphery of the revolving member 71a. The revolving member 71a is configured to revolve coaxially with the pivot axis A of the work table 40 (work table bracket 38) by driving the sub-boom pivotal motor 92 (see Fig. 4). The first swinging pin 72a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volving member 71a and is rotatable about the first swinging pin 72a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Respectively.

제1 서브붐 지지부재(72)는 선회체(71)의 커버(7lb)의 내부에 설치된 요동 실린더(77)(도4 참조)를 구동시킴으로써 선회부재(71a)에 대하여 제1 요동핀(72a)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서브붐 지지부재(72)에는 제1 요동핀(72a)과 직교하는 방향이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요동핀(73a)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제2 요동핀(73a)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자유롭게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가 장착되어 있다. 즉, 제1 서브붐 지지부재(72)가 일어난 상태일 때에는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는 상하방향으로 요동 자유롭다.The first sub-boom support member 72 drives the swing cylinder 77 (see FIG. 4) provided in the cover 71b of the revolver 71 to rotate the first swing pin 72a As shown in Fig. The first sub-boom support member 72 is provided with a second swing pin 73a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swing pin 72a. And the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is freely swingable. That is, when the first sub-boom support member 72 is in a state of being raised, the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is free to sw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제1 서브붐 지지부재(72)에 대하여 제2 요동핀(73a)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의 상부에는 제2 요동핀(73a)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서브붐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서브붐 장착공에 서브붐 부재(74)가 삽입되어 고정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고정 유지되고, 서브붐 부재(74)가 제2 요동핀(73a)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 상태에서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에 장착된다.The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is configured such that an operator can pivot about the second pivot pin 73a with respect to the first sub-boom support member 72 manually. A sub-boom mounting hole extend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econd swinging pin 73a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A sub-boom member 74 is inserted into the sub- (Not shown), and the sub-boom member 74 is mounted on the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in a state in which it extend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econd pivot pin 73a.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의 상단부에는, 서브붐 부재(74)의 선단부에 설치된 활차(74a)에 걸린 로프(75a)의 감김 및 풀림을 행하는 윈치기구(75)가 장착되어 있다. 윈치기구(75)는 내장된 윈치 모터(78)(도 4 참조)를 구동시킴으로써 로프(75a)의 감김 및 풀림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 winch mechanism 75 for winding and unwinding the rope 75a caught by the pulley 74a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sub-boom member 74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ub- The winch mechanism 75 is configured to wind and loosen the rope 75a by driving the winch motor 78 (see Fig. 4) incorporated therein.

서브붐 선회모터(92), 요동 실린더(77) 및 윈치 모터(78)는 작업대(40) 내의 작업조작장치(45)에 설치된 서브붐 선회조작 레버, 서브붐 요동조작 레버 및 윈치 조작 레버의 조작에 따라 작동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의 조작 레버도 상기 기복조작 레버 등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각 조작 레버가 경동조작되면, 중립위치를 기준으로 한 조작방향(경동방향) 및 조작량(경동량)에 대응한 전압신호가 출력되고, 각각 서브붐 조작신호로서 컨트롤러(50)의 작업제어부(51)에 입력된다. 작업제어부(51)는 입력된 서브붐 조작신호에 따른 방향 및 양으로 대응하는 제어밸브(V7∼V9)의 스풀을 전자구동하여 유압 펌프(60)로부터 각 모터(76, 78) 및 요동 실린더(77)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공급방향 및 공급량을 제어하고, 각 모터(76, 78) 및 요동 실린더(77)의 작동 방향 및 작동 속도를 제어한다.The sub-boom pivoting motor 92, the swing cylinder 77 and the winch motor 78 are connected to the sub-boom pivoting operation lever, the sub-boom pivoting operation lever and the winch operation lever provided on the work operation device 45 in the work platform 40 As shown in Fig. These operation levers are configured similarly to the above-mentioned undulation operation lever and the like. When each of the operation levers is tilted, a volta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direction (tilting direction) and the operation amount (tilting amount) with reference to the neutral position is outputted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51 . The operation control unit 51 electronically drives the spools of the corresponding control valves V7 to V9 in directions and amounts corresponding to the input sub-boom operation signal to drive the respective motors 76, 78 and the swing cylinder 77, and controls the operating direction and the operating speed of each of the motors 76, 78 and the swing cylinder 77. [0053]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의 기단부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요동핀(73a)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잠금핀 삽입공(8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서브붐 지지부재(72)에는 후술하는 서브붐 장치(70)의 작업자세에 있어서 이 제1 잠금핀 삽입공(84)과 정합하는 위치에 제2 잠금핀 삽입공(81)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 및 제2 잠금핀 삽입공(84, 81)에 봉 형상의 잠금핀(80)이 삽입됨으로써 제1 서브붐 지지부재(72)에 대한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의 요동위치가 작업자세에서 고정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서브붐 지지부재(72)에는 후술하는 서브붐 장치(70)의 격납자세에서 상기 제1 잠금핀 삽입공(84)과 정합하는 위치에 제3 잠금핀 삽입공(82)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 및 제3 잠금핀 삽입공(84,82)에 잠금핀(80)이 삽입됨으로써 제1 서브붐 지지부재(72)에 대한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의 요동위치가 격납자세에서 고정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a first locking pin insertion hole 84 extend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econd swinging pin 73a is formed at the base end of the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As shown in Fig. The first sub-boom support member 72 is provided with a second lock pin insertion hole 81 at a position matching the first lock pin insertion hole 84 in the working posture of the sub boom device 70 to be described later have. The lock pin 80 is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lock pin insertion holes 84 and 81 so that the swing position of the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relative to the first sub- Is fixedly held in the working posture. The first sub-boom support member 72 is provided with a third lock pin insertion hole 82 at a position that matches with the first lock pin insertion hole 84 in the storage posture of the sub boom device 70 . The swinging position of the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with respect to the first sub-boom support member 72 is set to the retracted position by inserting the lock pin 80 into the first and third lock pin insertion holes 84, As shown in FIG.

제1 서브붐 유지부재(72)에는 잠금핀(80)이 제1 및 제2 잠금핀 삽입공(84, 81) 또는 제1 및 제3 잠금핀 삽입공(84,82)에 삽입되었을 때에 잠금핀(80)이 간단하게 빠지지 않도록 잠금핀(80)을 유지하는 스토퍼 기구(83, 8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서브붐 유지부재(72)에는 잠금핀(80)이 제1 및 제2 잠금핀 삽입공(84, 81)에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작업측 잠금 검출기(85)(도 4 참조)와, 잠금핀(80)이 제1 및 제3 잠금핀 삽입공(84, 82)에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격납측 잠금 검출기(86)(도 4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작업측 및 격납측 잠금 검출기(85, 86)는, 예를 들면 리미트 센서에 의해 구성되며, 잠금핀(80)이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검출신호를 컨트롤러(50)의 경보부(52)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도 4 참조).The first sub-boom holding member 72 is provided with a lock pin 80 when the lock pin 80 is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lock pin insertion holes 84, 81 or the first and third lock pin insertion holes 84, There are disposed stopper mechanisms 83 and 83 for holding the lock pin 80 so that the pin 80 can not be easily released. The first sub-boom holding member 72 is provided with a work side lock detector 85 (also referred to as a " bottom lock detector ")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lock pin 80 is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lock pin insertion holes 84 and 81 Side lock detector 86 (see FIG. 4)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lock pin 80 is inserted into the first and third lock pin insertion holes 84, 82 . The operation-side and containment-side lock detectors 85 and 86 are constituted by, for example, a limit sensor, and transmit a detection signal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lock pin 80 is inserted to the alarm section 52 of the controller 50 (See Fig. 4).

이상과 같이 구성된 서브붐 장치(70)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서브붐 지지부재(72)에 대하여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를 제1 요동핀(72a)에 거의 직교하는 위치까지 요동시키는(기립시키는) 동시에, 요동 실린더(77)에 의해 선회체(71)에 대하여 제1 서브붐 지지부재(72)를 상방으로 요동시켜서 서브붐 장치(70)의 작업자세가 설정된다. 이 때, 제1 및 제2 서브붐 지지부재(72, 73)의 제2 및 제1 잠금핀 삽입공(81, 84)에 잠금핀(80)이 삽입되어, 제1 서브붐 지지부재(72)에 대한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의 요동위치가 작업자세에서 고정 유지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때의 잠금핀(80)의 기단측 단부를 덮는 커버부재(88)가 선회체(7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작업자세에서 잠금핀(80)이 제2 및 제1 잠금핀 삽입공(81, 84)로부터 빠지는 것이 커버부재(88)에 의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2 and 3, the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is attached to the first swing pin 72a with respect to the first sub-boom support member 72, The first sub-boom supporting member 72 is pivoted upward relative to the turning body 71 by the swing cylinder 77 so as to move the working position of the sub-boom device 70 Is set. At this time, the lock pin 8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and first lock pin insertion holes 81 and 84 of the first and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s 72 and 73, and the first sub-boom support member 72 Of the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is fixedly held in the work posture. 8, a cover member 88 covering the base end of the lock pin 80 at this time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volving structure 71, and in the working posture, And the first locking pin insertion holes 81 and 84 are prevented by the cover member 88. [

이와 같이 설정된 서브붐 장치(70)의 작업자세에 있어서, 작업자는 로프(75a)의 선단부에 장착된 후크(75b)에 달아올려지는 물체(작업용 부재 등)를 걸고, 윈치기구(75)(윈치 모터(78))를 작동시켜서 로프(75a)의 감김 및 풀림을 행하여, 달아올려지는 물체를 지상에서 끌어올리거나 지상으로 내릴 수 있다. 또한, 이 작업자세에 있어서, 선회체(71)(서브붐 선회모터(92))를 작동시켜서 서브붐 부재(74)의 선단부가 작업대(40)의 선단측을 향한 상태로부터 좌우 양측에 최대 90도씩(합계 180도) 서브붐 부재(74)를 선회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the work posture of the sub boom device 70 set in this manner, the worker hangs an object (work member or the like) raised to the hook 75b mounted o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rope 75a and pushes the winch mechanism 75 The motor 78) is operated to wind and unroll the rope 75a so that the object to be lifted can be pulled up from the ground or lowered to the ground. In this working posture, the turning member 71 (the sub-boom swing motor 92) is operated so th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ub-boom member 74 faces the front end side of the work table 40, (180 degrees in total) of the sub-boom member 74. The sub-

이와 같이 서브붐 장치(70)를 이용하여 작업을 행할 때에 있어서, 작업 위치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생겼을 때에는, 작업자는 작업대 승강장치(36)(승강 실린더(37))를 작동시켜서 작업대(40)를 작업대 브래킷(38)에 대하여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작업대(40)는 최대로 도 5에 나타내는 최상위치까지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작업대(40)가 최상위치까지 이동해도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가 충분한 길이 치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서브붐 부재(74)가 작업대(40) 및 작업조작장치(45)의 상단부와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작업대(40)를 최상위치까지 이동시킨 상태에서, 선회체(71)를 작동시켜서 서브붐 장치(70)(서브붐 부재(74))을 선회시켜도 서브붐 장치(70)가 작업대(40) 및 작업조작장치(45)와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붐(30)의 기복 및 신축 작동의 복합 조작을 행하여 작업대(40)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숙련된 조작 기능이 필요하지만, 고소 작업차(1)에서는 작업대 승강장치(3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숙련된 조작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작업대(40)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When it is necessary to move the work position upward in the operation using the sub boom device 70 as described above, the worker operates the work platform elevating device 36 (the elevating cylinder 37) Can be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work platform bracket 38. The work table 40 is moved to the highest position shown in Fig. 5 at the maximum. Thus, even if the work table 40 is moved to the uppermost position, the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is set to a sufficient length dimension so that the sub-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upper end. Even if the sub boom device 70 (the sub-boom member 74) is turned by operating the turning body 71 while the workbench 40 is moved to the uppermost position, And the work operation device 45, as shown in Fig. In order to move the work table 40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performing the combined operation of the undulation and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oom 30, a skillful operation function is required. In the elevator work car 1, however, It is possible to move the work table 40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out requiring such skillful operation function.

서브붐 장치(70)를 이용하는 작업이 종료되면, 서브붐 장치(70)는 격납자세로 된다. 서브붐 장치(70)의 상기 작업자세로부터 격납자세로의 조작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요동 실린더(77)를 신장 작동시켜서 선회체(71)에 대하여 제1 서브붐 지지부재(71)를 하방으로 요동시키고,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가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되, 제2 요동핀(73a) 및 서브붐 부재(74)가 거의 수직으로 연장된 상태가 되는 위치까지 제1 서브붐 지지부재(72)를 하방으로 요동시킨다. 그리고, 제1 및 제2 서브붐 지지부재(72, 73)의 제2 및 제1 잠금핀 삽입공(81, 84)으로부터 잠금핀(80)을 빼내고 (도 7 참조),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가 제1 서브붐 지지부재(72)에 대하여 요동 가능한 상태로 한다.When the operation of using the sub-boom device 70 is completed, the sub-boom device 70 is put in the retracted position. The operation of the sub boom device 70 from the working posture to the retracted posture is performed by first stretching the swing cylinder 77 to move the first sub-boom support member 71 To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extends substantially horizontally and the second pivot pin 73a and the sub-boom member 74 are extended substantially vertically, The sub-boom support member 72 is pivoted downward. Then, the lock pin 80 is pulled out from the second and first lock pin insertion holes 81 and 84 of the first and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s 72 and 73 (see FIG. 7) The member 73 is allowed to sw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sub-boom support member 72. [

이 때, 작업측 잠금 검출기(85)에 의해 제2 및 제1 잠금핀 삽입공(81, 84)으로부터 잠금핀(80)이 빠진 것을 나타내는 신호(정보)가 컨트롤러(50)의 경보부(52)에 입력된다. 그리고, 경보부(52)는 작업조작장치(45)에 있어서의 윈치 조작 레버로부터 조작신호가 컨트롤러(50)의 작업제어부(51)에 입력되어도(윈치기구(75)의 작동 조작이 행하여져도), 윈치 모터(78)(윈치기구(75))의 작동을 규제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경보부(52)는 작업조작장치(45)에 있어서의 서브붐 요동 조작 레버로부터 조작신호가 컨트롤러(50)의 작업제어부(51)에 입력되어도(요동 실린더(77)의 작동 조작이 행하여져도), 요동 실린더(77)의 작동을 규제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경보부(52)는 작업조작장치(45)에 있어서의 서브붐 선회조작 레버로부터 조작신호가 컨트롤러(50)의 작업제어부(51)에 입력되어도(선회체(71)의 선회조작이 행하여져도), 서브붐 선회모터(92)(선회체(71))의 작동을 규제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경보부(52)는 작업조작장치(45)에 설치된 경보 부저, 경보 램프 등(도시 생략)을 이용하여 잠금핀(80)이 제2 및 제1 잠금핀 삽입공(81, 84)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리는 경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경보부(52)는 윈치기구(75)의 작동 규제, 요동 실린더(77)의 작동 규제, 서브붐 선회모터(92)의 작동 규제 및 경보 부저 등을 이용한 경보를 모두 행하도록 구성하지 않아도 되고, 어느 하나를 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경보부(52)는 작업측 잠금 검출기(85)에 의해 잠금핀(80)이 제2 및 제1 잠금핀 삽입공(81, 84)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경보부(52)에 입력되어 있을 때에만 윈치기구(75)의 작동 및 서브붐 선회모터(92)의 작동(선회체(71)의 선회작동)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At this time, a signal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lock pin 80 has disappeared from the second and first lock pin insertion holes 81 and 84 is detected by the alarm portion 52 of the controller 50, . The warning section 52 is configured so that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winch operation lever of the work operation device 45 is inputted to the operation control section 51 of the controller 50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winch mechanism 75 is performed)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inch motor 78 (winch mechanism 75). Even if an operation signal is inputted from the sub-boom pivoting operation lever of the work operating device 45 to the operation control section 51 of the controller 50 (when the operation of the rocking cylinder 77 is performed , The control for regulating the operation of the rocking cylinder 77 is performed. Even when the opera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sub-boom swing operation lever of the work operation device 45 to the operation control section 51 of the controller 50 (when the swing operation of the swing structure 71 is performed ),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ub-boom swing motor 92 (the slewing body 71). The alarm unit 5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and first lock pin insertion holes 81 and 84 by using an alarm buzzer and an alarm lamp (not shown) provided in the work operation device 45 And an alarm is issued to notify that it is not turned on. Here, the alarm unit 52 is not required to be configured to perform all of the alarms using the operation restriction of the winch mechanism 75, the restriction of the operation of the swing cylinder 77, the operation of the sub-pivoting motor 92, and the alarm buzzer , Or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ny one of them. The alarm section 52 also receive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lock pin 8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and first lock pin insertion holes 81 and 84 by the operation side lock detector 85 into the alarm section 52 The operation of the winch mechanism 75 and the operation of the sub-pivoting motor 92 (turning operation of the slewing body 71) are allowed only when the sub-

이어서, 작업자가 수동으로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를 제1 요동핀(72a)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위치까지 제1 서브붐 지지부재(72)에 대하여 요동(수평선회)시킨다. 이 때,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를 거의 수평한 면 내에 있어서 요동(선회)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 서브붐 부재(74) 및 윈치기구(75)가 중량물이어도 작업자에게 큰 부담을 주지 않고 수동으로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를 요동(선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서브붐 지지부재(72, 73)의 제3 및 제1 잠금핀 삽입공(82, 84)에 잠금핀(80)을 삽입하여,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의 요동위치를 고정 유지한다. 이 때, 격납측 잠금 검출기(86)에 의해 잠금핀(80)이 제3 및 제1 잠금핀 삽입공(82, 84)에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정보)가 컨트롤러(50)의 경보부(52)에 입력된다. 그리고, 경보부(52)는 요동 실린더(77)의 작동 규제를 해제하는 한편, 윈치 모터(78)(윈치기구(75))의 작동을 규제하는 제어 및 서브붐 선회모터(92)(선회체(71))의 작동을 규제하는 제어는 계속해서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Subsequently, the operator manually swings (horizontally turns) the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relative to the first sub-boom support member 72 to a position extend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 swing pin 72a. The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the sub-boom member 74, and the winch mechanism 75 are arranged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plane at this time, The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can be manually pivoted (swiveled) without imposing a large burden on the operator. The lock pin 80 is inserted into the third and the first lock pin insertion holes 82 and 84 of the first and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s 72 and 73 so that the second sub- And the swinging position of the swing arm is fixed. At this time, a signal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lock pin 80 has been inserted into the third and first lock pin insertion holes 82, 84 by the containment side lock detector 86 is transmitted to the alarm part 52 . The alarm unit 52 is a control unit for canceling the operation restriction of the rocking cylinder 77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inch motor 78 (winch mechanism 75) and the sub- 71) is controlled to be continuously performed.

이어서, 요동 실린더(77)를 축소 작동시켜서 선회체(71)에 대하여 제1 서브붐 지지부재(72)를 제2 요동핀(73a)이 거의 수평이 되도록 상방에 요동시켜서, 서브붐 부재(74)를 작업대(40)의 측방에 위치시킨 서브붐 장치(70)의 격납자세가 설정된다. 이 격납자세에 있어서는, 서브붐 장치(70)의 높이 위치가 작업대(40)의 상단부와 거의 같은 높이 위치로 억제되기 때문에 고소 작업차(1)는 서브붐 장치(70)를 붐(30)의 선단부(작업대 브래킷(30) 상)에 장착한 채 주행할 수 있다. 단, 컨트롤러(50)의 경보부(52)는 격납측 잠금 검출기(86)로부터 잠금핀(80)이 제3 및 제1 잠금핀 삽입공(82, 84)에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정보)가 입력되어 있지 않을 때에 있어서, 고소 작업차(1)를 주행시키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작업조작장치(45)에 설치된 경보 부저, 경보 램프 등(도시 생략)을 이용하여 서브붐 장치(70)이 정상적으로 격납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리는 경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고소 작업차(1)의 주행을 규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한편, 고소 작업차(1)를 주행시키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란, 예를 들어 프론트 및 리어 잭(11f, 11r)의 미접지상태, 주차 브레이크(도시 생략)의 오프상태(해제), 및 유압 펌프(60)를 구동하는 동력을 엔진으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PTO 기구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이 PTO기구의 오프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출함으로써 주행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단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서브붐 장치(70)를 격납자세로부터 작업자세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의 순서로 행해진다.Subsequently, the swing cylinder 77 is contracted to cause the first sub-boom support member 72 to pivot upward relative to the slewing body 71 so that the second pivot pin 73a is substantially horizontal, and the sub-boom member 74 Is placed on the side of the work table 40 is set. In this storage position, the height position of the sub boom device 70 is suppressed to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position as the upper end of the workbench 40, (On the workbench bracket 30). Note that the alarm part 52 of the controller 50 has a signal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lock pin 80 has been inserted into the third and first lock pin insertion holes 82, 84 from the containment side lock detector 86 The boom device 70 is operated normally by using an alarm buzzer or an alarm lamp (not shown) provided in the work operation device 45 when an operation to drive the high-altitude operation car 1 is performed It is configured to perform an alarm notifying that it is not stored. At this time, the running of the high-altitude operation car 1 may be regulated. On the other hand, the case where the operation for driving the high-altitude working vehicle 1 is performed is, for example, an ungrounded state of the front and rear jacks 11f and 11r, an off state of the parking brake When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the PTO mechanism for pulling the power for driving the engine 60 from the engine,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veling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by detecting at least one of the OFF states of the PTO mechanism. In the case where the sub-boom device 70 is set to the work posture from the retracted posture, the reverse sequence is perform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서브붐 장치(70)에서는 서로 직교하는 제1 및 제2 요동핀(72a, 73a)을 각각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한 제1 및 제2 서브붐 지지부재(72, 73)에 의해 서브붐 부재(74)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서브붐 지지부재(72)에 대하여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를 요동시키는 것만으로 서브붐 부재(74)를 작업대(40)의 측방에 위치시킨 격납자세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단한 조작으로 서브붐 장치(70)를 격납할 수 있고, 이 격납자세에 있어서는 서브붐 장치(70)의 높이 위치를 작업대의 상단부와 거의 같은 높이 위치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서브붐 장치(70)를 붐(30)의 선단부에 장착한 채 고소 작업차(1)를 주행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ub-boom device 70, the first and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s 72, 73 capable of swinging about the first and second swinging pins 72a, 73a, The sub boom member 74 can be moved to the workbench 74 only by oscillating the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with respect to the first subboom support member 72 because the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subboom member 74 is configured, (See FIG. 3). Since the sub-boom device 70 can be stored by this simple operation and the height position of the sub-boom device 70 can be suppressed to a height position substantially equal to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workbench, 70 can be mounted o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boom (30), and the elevation work car (1) can be driven to run.

또한, 서브붐 장치(70)에서는 제1 서브붐 지지부재(72)가 요동 실린더(77)(유압 실린더)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가 수동으로 제1 서브붐 지지부재(72)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요동 실린더(77)에 의해 제1 서브붐 지지부재(72)를 하방으로 요동시켜서,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를 거의 수평으로 연장된 상태로 할 수 있고, 그 상태에서 작업자가 수동으로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를 제1 서브붐 지지부재(72)에 대하여 요동(수평선회)시키고, 요동 실린더(77)에 의해 제1 서브붐 지지부재(72)를 상방으로 요동시켜서 서브붐 장치(70)를 격납자세로 할 수 있다. 이 때, 작업자는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를 거의 수평한 면 내에서 요동(선회)시킬 뿐이기 때문에,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 서브붐 부재(74) 및 윈치기구(75)가 중량물이어도 작업자에게 큰 부담을 주지 않고 수동으로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를 요동(선회)시켜서 격납자세로 할 수 있다.In the sub boom device 70, the first sub-boom support member 72 is configured to be swingable by the swing cylinder 77 (hydraulic cylinder), and the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is manually pivoted by the first The first sub-boom support member 72 is pivoted downward by the swing cylinder 77 so that the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can be swung substantially horizontally The operator can manually pivot the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relative to the first sub-boom support member 72 (horizontally revolving), and the swinging cylinder 77 The first sub-boom support member 72 is pivoted upward so that the sub-boom device 70 can be put in the retracted position. At this time, since the operator only pivots (turns) the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plane, the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the sub-boom member 74 and the winch mechanism The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can be manually pivoted (pivoted) to a retracted position without giving a heavy burden to the operator.

또한, 서브붐 장치(70)에서는 잠금핀(80)에 의해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의 요동위치가 작업자세에서 고정 유지되어 있을 때에만 윈치기구(75)의 작동을 허용하고, 잠금핀(80)에 의해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의 요동위치가 작업자세로 고정 유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윈치기구(75)의 작동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윈치기구(75)의 작동을 규제하는 제어, 및 작업조작장치(45)에 설치된 경보 부저, 경보 램프 등을 이용하여 경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서브붐 장치(70)가 바르게 작업자세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알아차리지 못하고 윈치기구(75)를 이용하여 작업을 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그러한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ub-boom device 70 allows the operation of the winch mechanism 75 only when the swing position of the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is fixedly held in the work posture by the lock pin 80, The operation of the winch mechanism 75 is regulated when the operation of the winch mechanism 75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swing position of the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is not fixedly held in the working posture by the pin 80 And an alarm buzzer and an alarm lamp provided in the work operation device 45 to perform an alarm.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b-boom device 70 from performing a work using the winch mechanism 75 without being aware of a state in which the sub-boom device 70 is not correctly set to the work posture, and the safety of such work can be improved.

또한, 서브붐 장치(70)에서는 잠금핀(80)에 의해 제2 서브붐 지지부재(73)의 요동위치가 격납자세에서 고정 유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고소 작업차(1)를 주행시키는 주행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작업조작장치(45)에 설치된 경보 부저, 경보 램프 등을 이용하여 경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서브붐 장치(70)가 바르게 격납자세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알아차리지 못하고 고소 작업차를 주행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고소 작업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sub boom device 70, when the swing position of the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73 is not fixedly held in the retracted position by the lock pin 80, And is configured to perform an alarm by using an alarm buzzer or an alarm lamp provided in the work operation device 45 when the runn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b-boom device 70 from running in the high-altitude operation car without recognizing the state in which the sub-boom device 70 is not properly set in the collapsing posture, and the safety of the high-altitude operation car can be improved.

또한, 서브붐 장치(70)에서는 작업대(40)가 작업대 승강장치(36)(승강 실린더(37))에 의해 작업대 브래킷(38)에 대하여 승강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작업대(40)를 승강 이동시켰을 때에 작업대(40)와 작업자세의 서브붐 부재(74)가 간섭하지 않도록 제1 및 제2 서브붐 지지부재(72, 73)의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서브붐 장치(70)가 작업대(40)의 승강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작업대(40)를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In the sub boom device 70, the work table 40 is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work table bracket 38 by the work table elevator 36 (elevating cylinder 37) The dimens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s 72, 73 are set so that the workbench 40 and the sub-boom member 74 in the working posture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sub boom apparatus 70 can move the work table 40 up and down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up / down movement of the work table 40.

이어서, 서브붐 장치(70)의 선회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브붐 장치(70)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체(71)를 수직 포스트(32)에 대하여 선회시키는 선회구동장치(90)와, 선회체(71)가 선회구동장치(90)에 의해 선회되는 구동선회상태와 선회체(71)가 자유선회 가능하게 되는 자유선회상태를 전환하는 전환장치(100)로 구성되어 있다.Next, the turning structure of the sub boom device 70 will be described. 9 and 10, the sub boom device 70 includes a swivel drive device 90 for swiveling the swivel body 71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ost 32 and a swivel drive device 90 for swiveling the swivel body 71 to the swivel drive device And a switching device 100 for switching between a drive pivotal state pivoted by the pivotal member 90 and a free pivoted state where the pivotal member 71 can freely rotate.

선회구동장치(90)는 수직 포스트(32)의 상단부에 고정상태로 장착된 기어 라이너(91)와, 선회체(71)의 선회부재(71a)에 장착된 서브붐 선회모터(92)와, 기어 라이너(91) 및 서브붐 선회모터(92)의 스플라인 샤프트(92a)를 접속시키는 피니언 기어(93)로 구성된다. 서브붐 선회모터(92)는 선회부재(71a)의 저부에 고정상태로 장착되고, 그 저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관통공으로부터 스플라인 샤프트(92a)를 하방으로 토출시켜서 기어 라이너(91)의 측방에 위치시키도록 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93)는 둥근 고리모양으로 형성되고, 서브붐 선회모터(92)의 스플라인 샤프트(92a)와 맞물리는 내기어 및 기어 라이너(91)와 맞물리는 외기어를 갖고 구성되며, 스플라인 샤프트(92a)와는 상시 맞물려 있다. 피니언 기어(93)는 전환장치(100)에 의해 기어 라이너(91)와 맞물려 기어 라이너(91) 및 스플라인 샤프트(92a)를 접속시키는 접속위치와, 기어 라이너(91)와 맞물리지 않는 비접속위치로 이동되도록(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선회부재(71a)는 기어 라이너(91)를 통해 수직 포스트(32)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The swivel drive device 90 includes a gear liner 91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ost 32, a sub-boom swivel motor 92 mounted on the swivel member 71a of the swivel body 71, And a pinion gear 93 for connecting the gear liner 91 and the spline shaft 92a of the sub-boom revolving motor 92. [ The sub-boom revolving motor 92 is mounted in a fixed state on the bottom of the revolving member 71a and the spline shaft 92a is downwardly discharged from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sub- As shown in Fig. The pinion gear 93 i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has an inner gear engaged with the spline shaft 92a of the sub-boom revolving motor 92 and an outer gear engaged with the gear liner 91, 92a. The pinion gear 93 is engaged with the gear liner 91 by the switching device 100 to connect the gear liner 91 and the spline shaft 92a to a connecting position where the gear liner 91 and the spline shaft 92a are connected, (To be switched). On the other hand, the revolving member 71a is rotatably mounted to the vertical post 32 through the gear liner 91. [

전환장치(100)는 선회부재(71a)와 기어 라이너(91) 사이에 선회부재(71a) 및 기어 라이너(91)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톱퍼 플레이트(101)와, 작업대 브래킷(38)에 고정 상태로 장착된 스톱퍼 부재(102)와, 선회부재(71a)에 상하방향으로 수직운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연동전환 핀(103) 및 구동전환 핀(104)과, 구동전환 핀(104)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피니언 기어(9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어 브래킷(106)과, 연동전환 핀(103) 및 구동전환 핀(104)을 각각 상하 이동시키는 링크기구(110)로 구성된다.The switching device 100 includes a stopper plate 101 provided between the pivotal member 71a and the gear liner 91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pivotal member 71a and the gear liner 91, A stopper member 102 mounted in a fixed state, an interlocking switching pin 103 and a driving switching pin 104 respectively provided so as to vertically move vertically in the up-and-down direction on the swinging member 71a, A gear bracket 106 mounted on the pinion gear 93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pinion gear 93 and a link mechanism 110 for moving the interlocking switching pin 103 and the driving switching pin 104 up and down respectively.

스톱퍼 플레이트(101)는 단부에 스톱퍼부재(102)가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맞춤홈(101a)이 형성되고, 이 끼워맞춤홈(101a)에 스톱퍼부재(102)가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작업대 브래킷(38)에 대한 상대회전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톱퍼 플레이트(101)에는 연동전환 핀(103)을 끼워넣을 수 있는 끼워넣음공(10l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워넣음공(10lb)은 서브붐 장치(70)가 후술하는 격납자세일 때에 연동전환 핀(103)과 상하방향으로 정합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The stopper plate 101 is formed with a fitting groove 101a into which the stopper member 102 is fitted at the end and the stopper member 102 i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101a, So that the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haft is regulated. Further, the stopper plate 101 is provided with a fitting hole 101b in which the interlocking switching pin 103 can be inserted. The fitting hole 101b is formed at a position vertically aligned with the interlocking switching pin 103 when the sub boom device 70 is in the holding position described later.

연동전환 핀(103)은 선회부재(71a)에 상하방향으로 수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링크기구(110)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선회부재(71a)의 저부에 관통 형성된 제1 삽입통과공(76a)를 통해 스톱퍼 플레이트(101)의 끼워넣음공(10lb)에 끼워넣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9 참조). 또한, 링크기구(110)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연동전환 핀(103)의 하단부가 끼워넣음공(10lb)으로부터 빠져나와 제1 삽입통과공(76a)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1 참조).The interlocking switching pin 103 is vertically movably provided on the revolving member 71a and is provided with a first insertion hole 71a formed through the bottom of the revolving member 71a when moved downward by the link mechanism 110, (See Fig. 9) through the through hole 76a of the stopper plate 101 in the fitting hole 101b. Further, when the link mechanism 110 is moved upward, the lower end of the interlocking switching pin 103 is configured to come out of the fitting hole 101b and be positioned in the first insertion hole 76a Reference).

구동전환 핀(104)은 선회부재(71a)에 상하방향으로 수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전환 핀(104)의 하부가 선회부재(71a)의 저부에 관통 형성된 제2 삽입통과공(76b)을 통해 선회부재(71a)의 저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전환 핀(104)은 링크기구(110)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구동전환 핀(104)의 하단부에 장착된 기어 브래킷(106)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피니언 기어(93)를 기어 라이너(91)와 맞물리는 접속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1(b) 참조). 또한, 링크기구(110)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기어 브래킷(106)을 하방으로 이동시켜서 피니언 기어(93)를 기어 라이너(91)와 맞물리지 않는 비접속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0 참조).The driving switching pin 104 is vertically movably provided on the turning member 71a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driving switching pin 104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hole 76b formed in the bottom of the turning member 71a, And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revolving member 71a. When the drive switching pin 104 is moved upward by the link mechanism 110, the gear bracket 106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drive switching pin 104 is moved upward, And is moved to a connecting position where it is engaged with the liner 91 (see Fig. 11 (b)). When the link mechanism 110 is moved downward, the gear bracket 106 is moved downward to move the pinion gear 93 to a non-engagement position where the pinion gear 93 is not engaged with the gear liner 91 10).

링크기구(110)는 선회부재(71a)의 측면에 제1 지점(f1)을 중심으로 상하면 내에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링크부재(111)와, 선회부재(71a)의 측면에 제2 지점(f2)을 중심으로 상하면 내에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링크부재(112)와, 제1 링크부재(111)의 일방 단부(111a)와 구동전환 핀(104)의 상단부를 연결시키는 제3 링크부재(113)와, 제1 링크부재(111)에 장착되고 제1 링크부재(111)를 회전운동시키는 전환조작 레버(115)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링크부재(111)의 타방 단부(11lb)와 제2 링크부재(112)의 일방 단부(112a)는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링크부재(112)의 일방 단부(112a)에는 장공(112c)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공(112c)에 의해 제1 링크부재(111)의 타방 단부(11lb)와 제2 링크부재(112)의 일방 단부(112a)는 상대적으로 수직운동 가능하게도 연결되어 있다. 제2 링크부재(112)의 타방 단부(112b)는 연동전환 핀(103)의 상단부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3 링크부재(113)는 제1 링크부재(111)의 일방 단부(111a) 및 구동전환 핀(104)의 상단부에 대하여 각각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The link mechanism 110 includes a first link member 111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revolving member 71a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first point f1 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A second link member 112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upper and lower planes about a point f2 and a second link member 112 for connecting the one end 111a of the first link member 111 and the upper end of the drive switching pin 104 3 link member 113 and a switching operation lever 115 mounted on the first link member 111 and rotating the first link member 111. [ The other end portion 111b of the first link member 111 and the one end portion 112a of the second link member 112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n elongated hole 112c is formed at one end 112a of the second link member 112. The other end 112b of the first link member 111 and the second link member 112b Is also connected to be vertically movable relatively. The other end 112b of the second link member 112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interlocking switching pin 103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The third link member 113 is relatively rotatably connected to the one end 111a of the first link member 111 and the upper end of the drive switching pin 104, respectively.

링크기구(110)에서는 전환조작 레버(115)를 거의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위치시키면 (도 10에 나타내는 상태), 제1 및 제2 링크부재(111, 112)에 의해 연동전환 핀(103)을 하방으로 이동시켜서 연동전환 핀(103)의 하단부를 스톱퍼 플레이트(101)의 끼워넣음공(10lb)에 끼워 넣게 한다. 또한 이 때, 제1 및 제3 링크부재(111, 113)에 의해 구동전환 핀(104)(기어 브래킷(106))을 하방으로 이동시켜서 피니언 기어(93)를 기어 라이너(91)와 맞물리지 않는 비접속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link mechanism 110, when the switching operation lever 115 is positioned so as to extend in the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the state shown in Fig. 10),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111, And the lower end of the interlocking switching pin 103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101b of the stopper plate 101. [ At this time, the drive switching pin 104 (the gear bracket 106) is moved downward by the first and third link members 111 and 113 so that the pinion gear 93 is not engaged with the gear liner 91 To the non-connection position.

또한, 링크기구(110)에서는 전환조작 레버(115)의 상부를 연직방향에서 연동전환 핀(103)측으로 요동시키면(도 11(a)에 나타내는 상태), 제1 링크부재(111)의 타방 단부(11lb)가 하방으로 회전운동하는 동시에, 제2 링크부재(112)의 일방 단부(112a)가 상방으로 회전운동함으로써 연동전환 핀(103)을 상방으로 이동시켜서 연동전환 핀(103)의 하단부를 끼워넣음공(10lb)으로부터 빼내서 제1 삽입통과공(76a) 내에 위치시킨다. 또한 이 때, 제1 링크부재(111)의 일방 단부(111a)가 상방으로 회전운동하지만 이것을 제3 링크부재(113)가 흡수하여 구동전환 핀(104)을 상방으로 이동시키지 않는, 즉 피니언 기어(93)를 기어 라이너(91)와 맞물리지 않는 비접속위치에 유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11 (a)) in the link mechanism 110, the upper end of the switching lever 115 is swung toward the interlocking switching pin 103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ne end portion 112a of the second link member 112 is rotated upward so that the interlocking switching pin 103 is moved upwar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interlocking switching pin 103 is moved downward And is taken out from the fitting hole 10lb and positioned in the first insertion hole 76a. At this time, the one end portion 111a of the first link member 111 rotates upward but the third link member 113 does not absorb the upward movement of the drive conversion pin 104, that is, (93) is not engaged with the gear liner (91).

그리고, 전환조작 레버(115)의 상부를 연동전환 핀(103)측으로 더욱 요동시키면(도 11(b)에 나타내는 상태), 제1 링크부재(111)의 타방 단부(11lb)가 하방으로 회전운동하지만 이것을 제2 링크부재(112)의 장공(112c)에 의해 흡수하여 연동전환 핀(103)을 더욱 상방으로 이동시키지 않는, 즉 연동전환 핀(103)의 하단부가 끼워넣음공(10lb)으로부터 빠져서 제1 삽입통과공(76a) 내에 위치하는 상태를 유지시킨다. 또한 이 때, 제1 링크부재(111)의 일방 단부(111a)가 상방으로 회전운동함으로써(이 회전운동은 제3 링크부재(103)에서는 흡수할 수 없다) 구동전환 핀(104)을 상방으로 이동시켜서 피니언 기어(93)를 기어 라이너(91)와 맞물리는 접속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11 (b)), the other end portion 111b of the first link member 111 is rotated downward (in the state shown in Fig. 11 (b)), However, this is absorbed by the elongated hole 112c of the second link member 112 so that the interlocking switching pin 103 is not moved further upward,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interlocking switching pin 103 is removed from the fitting hole 101b And maintains the state of being located in the first insertion hole 76a. At this time, since the one end portion 111a of the first link member 111 rotates upward (this rotational motion can not be absorbed by the third link member 103), the drive switching pin 104 is moved upward And the pinion gear 93 is moved to a connecting position where the pinion gear 93 is engaged with the gear liner 91.

이상과 같이 구성된 서브붐 장치(7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작업자세(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서브붐 장치(70)를 수직 포스트(32)(작업대(40))에 대하여 선회시켜서 서브붐 부재(74)의 선단부를 원하는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는 선회체(71)의 커버(7lb)의 상부에 형성되어 조작공(78)을 통해 전환장치(100)의 전환조작 레버(115)를 조작함으로써 서브붐 장치(70)를 선회구동장치(90)에 의해 선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구동선회상태와, 서브붐 장치(70)를 예를 들면 작업자가 수동으로 선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자유선회상태로 전환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2 and 3), the sub-boom device 70 is mounted on the vertical post 32 (work table 40) in the work posture (state shown in Figs. 2 and 3)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ub boom member 74 can be directed in a desired direction. Here, the worker is provided on the cover 71b of the slewing body 71 and operates the switching operation lever 115 of the switching device 100 through the operation hole 78 to swing the sub-boom device 70 A drive pivot state in which the apparatus 90 can be pivoted by the apparatus 90 and a free pivot state in which the operator can manually turn the sub boom apparatus 70, for example.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조작 레버(115)의 상부를 연동전환 핀(103)측으로 최대한 요동 조작하면, 제1 링크부재(111)의 일방 단부(111a)가 상방으로 회전운동되고, 제3 링크부재(113)을 통해 구동전환 핀(104) 및 기어 브래킷(106)이 상방으로 이동된다. 기어 브래킷(106)이 상방으로 이동되면, 피니언 기어(93)가 기어 라이너(91)와 맞물리는 접속위치로 이동되고, 피니언 기어(93)에 의해 서브붐 선회모터(92)의 스플라인 샤프트(92a)와 기어 라이너(91)가 접속되어 서브붐 선회모터(92)와 기어 라이너(91) 사이에서 동력전달을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서브붐 선회모터(92)를 구동시킴으로써 서브붐 장치(70)를 선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구동선회상태로 설정된다. 한편 이 때, 제1 링크부재(111)의 타방 단부(11lb)가 하방으로 회전운동되고, 제2 링크부재(112)를 통해 연동전환 핀(103)이 상방으로 이동되며, 연동전환 핀(103)의 하단부가 스톱퍼 플레이트(101)의 끼워넣음공(10lb)으로부터 빠진 상태가 된다.11 (b),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switching operation lever 115 is pivoted to the side of the interlocking switching pin 103 as much as possible, the one end 111a of the first link member 111 is rotated upward , The drive switching pin 104 and the gear bracket 106 are moved upward through the third link member 113. [ When the gear bracket 106 is moved upward, the pinion gear 93 is moved to a connecting position where it meshes with the gear liner 91, and the pinion gear 93 rotates the spline shaft 92a And the gear liner 91 are connected to be in a state where power can be transmitted between the sub-pom swivel motor 92 and the gear liner 91. [ Thus, the sub-boom swing motor 92 is driven to set the drive sub-boom device 70 in a drive-pivotal state capable of turning. At this time, the other end portion 111b of the first link member 111 is rotated downward, the interlocking switching pin 103 is moved upward through the second link member 112, and the interlocking switching pin 103 Of the stopper plate 101 is missing from the fitting hole 101b of the stopper plate 101.

한편, 전환조작 레버(115)의 상부를 도 11(b)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도 11 (a)에 나타내는 위치로 되돌리는 요동 조작을 행하면, 제1 링크부재(111)의 일방 단부(111a)가 하방으로 회전운동되고, 제3 링크부재(113)을 통해 구동전환 핀(104) 및 기어 브래킷(106)이 하방으로 이동된다. 기어 브래킷(106)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피니언 기어(93)가 기어 라이너(91)와 맞물리지 않는 비접속위치로 이동되고, 서브붐 선회모터(92)와 기어 라이너(91) 사이에서 동력전달을 행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작업자가 수동으로 서브붐 장치(70)를 선회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자유선회상태로 설정된다. 또한 이 때, 제1 링크부재(111)의 타방 단부(11lb)가 상방으로 회전운동되지만 이것을 제2 링크부재(112)의 장공(112c)이 흡수하기 때문에 연동전환 핀(103)이 하방으로 이동되지 않고, 연동전환 핀(103)의 하단부가 스톱퍼 플레이트(101)의 끼워넣음공(10lb)으로부터 빠진 상태가 유지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pper part of the switching operation lever 115 is pivoted back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11 (a) from the position shown in Fig. 11 (b), the one end 111a of the first link member 111 And the drive switching pin 104 and the gear bracket 106 are moved downward through the third link member 113. [ When the gear bracket 106 is moved downward, the pinion gear 93 is moved to a disconnection position where the pinion gear 93 is not engaged with the gear liner 91, and power transmission is performed between the sub-boom swing motor 92 and the gear liner 91 It is impossible to perform the operation. Thus, for example, it is set to a free-wheeling state in which it is possible for the operator to manually turn the sub-boom device 70. At this time, the other end portion 111b of the first link member 111 rotates upward, but since the long hole 112c of the second link member 112 absorbs this, the interlocking switching pin 103 moves downward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interlocking switching pin 103 is retained in the state of being missing from the fitting hole 101b of the stopper plate 101. [

또한, 상술한 서브붐 장치(70)의 격납자세에 있어서, 선회체(71)의 커버(7lb)의 상부에 형성되어 조작공(78)(도 7을 참조)을 통해 전환장치(100)의 전환조작 레버(115)를 조작함으로써 서브붐 장치(70)가 작업대(40)(작업대 브래킷(38))와 함께 선회되는 연동상태와, 서브붐 장치(70)를 작업대(4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선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비연동상태로 전환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7) of the switching device 100 through the operation hole 78 (see Fig. 7) formed on the cover 71b of the slewing body 71 in the above- The interlocking state in which the sub boom device 70 is pivoted together with the workbench 40 (the workbench bracket 38) by operating the switching operation lever 115 and the interlocking state in which the sub boom device 70 is rotated relative to the workbench 40 It is possible to switch to a non-interlocked state in which the vehicle can be turned.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조작 레버(115)를 거의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위치시키면, 제1 링크부재(111)의 타방 단부(11lb)가 상방으로 회전운동되고, 제2 링크부재(112)를 통해 연동전환 핀(103)이 하방으로 이동되고, 연동전환 핀(103)의 하단부가 스톱퍼 플레이트(101)의 끼워넣음공(10lb)에 끼워넣어진 상태가 된다. 즉, 스톱퍼 플레이트(101) 및 스톱퍼부재(102)를 통해 서브붐 장치(70)와 작업대 브래킷(38)(작업대(40))이 결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진동 모터(34)를 구동시켜서 작업대 브래킷(38) 및 작업대(40)를 수직 포스트(32) 둘레에 수평선회(진동 작동)시키면, 그 선회 구동력이 스톱퍼부재(102), 스톱퍼 플레이트(101) 및 연동전환 핀(103)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서브붐 장치(70)가 작업대(40)(작업대 브래킷(38))와 함께 선회되는 연동상태로 설정된다. 한편 이 때, 제1 링크부재(111)의 일방 단부(111a)가 하방으로 회전운동되고, 제3 링크부재(113)을 통해 구동전환 핀(104) 및 기어 브래킷(106)이 하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피니언 기어(93)가 기어 라이너(91)와 맞물리지 않는 비접속위치로 이동되고, 서브붐 선회모터(92)와 기어 라이너(91) 사이에서 동력전달을 행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The other end portion 111b of the first link member 111 is rotated upward and the second link member 112 is rotated upward as shown in Fig. The interlocking switching pin 103 is moved downward and the lower end of the interlocking switching pin 103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101b of the stopper plate 101. [ In other words, the sub boom device 70 and the work platform bracket 38 (work platform 40) are coupled through the stopper plate 101 and the stopper member 102. Therefore, when the work table bracket 38 and the work table 40 are horizontally turned (vibrated) around the vertical posts 32 by driving the vibration motor 34, the swiveling driv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topper member 102, the stopper plate 101 And the interlocking switching pin 103, the sub boom device 70 is set in an interlocking state in which it is pivoted together with the work table 40 (work table bracket 38). At this time, the one end portion 111a of the first link member 111 is rotated downward, and the drive switching pin 104 and the gear bracket 106 are moved downward through the third link member 113 . The pinion gear 93 is moved to the non-connected position where the pinion gear 93 does not engage with the gear liner 91 and the power transmission between the sub-pivoting motor 92 and the gear liner 91 can not be performed.

한편, 도 11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조작 레버(115)의 상부를 연동전환 핀(103) 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제1 링크부재(111)의 타방 단부(11lb)가 하방으로 회전운동되고, 제2 링크부재(112)를 통해 연동전환 핀(103)이 상방으로 이동되고, 연동전환 핀(103)의 하단부가 스톱퍼 플레이트(101)의 끼워넣음공(10lb)으로부터 빠진 상태가 된다. 즉, 스톱퍼 플레이트(101) 및 스톱퍼부재(102)를 개재하는 서브붐 장치(70)와 작업대 브래킷(38)(작업대(40))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진동 모터(34)를 구동시켜서 작업대 브래킷(38) 및 작업대(40)를 수직 포스트(32) 둘레에 수평선회(진동 작동)시켜도 서브붐 장치(70)는 선회되지 않고, 서브붐 장치(70)를 작업대(4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선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비연동상태로 설정된다. 한편 이 때, 전환조작 레버(115)의 연직위치부터의 요동 조작량에 따라 상기와 같이 서브붐 장치(70)를 선회구동장치(90)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되는 구동선회상태와, 서브붐 장치(70)를 예를 들면 작업자가 수동으로 선회 가능하게 되는 자유선회상태로 전환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11 (a) and 11 (b),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switching operation lever 115 is pivoted toward the interlocking switching pin 103 side, the other end portion 111b of the first link member 111 The interlocking switching pin 103 is moved upward through the second link member 112 and the lower end of the interlocking switching pin 103 is removed from the fitting hole 101b of the stopper plate 101 State. In other words, the sub boom device 70 interposed between the stopper plate 101 and the stopper member 102 and the work platform bracket 38 (work platform 40) are disengaged. Therefore, even if the vibrating motor 34 is driven so that the workbench bracket 38 and the workbench 40 are horizontally rotated (vibrated) around the vertical posts 32, the sub-boom device 70 is not turned, 70 to be relative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work table 40. In this case,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swing operation amount from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witching operation lever 115, the drive pivot state in which the sub-boom device 70 can be pivoted by the pivot drive device 90, 70 can be switched to a free-wheeling state in which the operator can manually turn, for exampl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서브붐 장치(70)에서는 전환장치(100)에 의해 서브붐 장치(70)과 작업대(40)(작업대 브래킷(38))를 결합시켜 서브붐 장치(70)가 작업대(40)와 함께 선회되는 연동상태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서브붐 장치(70)를 격납한 상태인 채라도 작업대(40)을 진동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서브붐 장치(7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격납한 상태인 채로 고소작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킨 사용하기 좋은 서브붐 장치로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ub-boom device 70, the sub-boom device 70 is connected to the workbench 40 (workbench bracket 38) by the switching device 100 so that the sub- So that the work table 40 can be vibrated even when the sub boom device 70 is stored. Therefore, in the case where the sub boom device 70 is not used, since the high-altitude operation can be performed while being stored, it is possible to use a sub-boom device which is improved in workability and is easy to use.

또한, 전환장치(100)는 서브붐 장치(70)가 작업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선회 가능하게 되는 비연동상태로 전환하고 있을 때에 있어서, 서브붐 장치(70)가 자유선회 가능하게 되는 자유선회상태와, 서브붐 장치(70)가 선회구동장치(90)의 구동력에 의해 선회되는 구동선회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서브붐 장치(70)에 있어서의 작업대(40)와의 연동 및 선회구동장치(90)의 접속을 하나의 전환장치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환조작부도 하나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복수의 전환조작부가 있는 경우에 작업자가 어느 조작부를 조작하면 좋은지 망설여지는 등의 번잡함을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대(40)와의 연동을 전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수동으로 선회 가능한 상태와, 선회구동장치(90)에 의해 선회 가능한 상태로도 전환되기 때문에, 그 때의 작업에 맞춘 적절한 선회수단을 선택하여 작업을 행할 수 있고,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킨 서브붐 장치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tching device 100 is in a free-wheeling state in which the sub-boom device 70 can freely turn when the sub-boom device 70 is switching to the non-interlocking state in which the sub- , And the sub-boom device (70) is configured to switch the drive pivot state in which the sub-boom device (70) is pivo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swing drive device (90). Therefore, interlocking with the workbench 40 of the sub-boom device 70 and connection of the swivel drive device 90 can be performed by one switching device. Therefore, since the switching operation portion can be made as on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troubles such as being hesitant to know which operating portion the operator should operat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witching operation portions. As described above, not only can the interlocking with the workbench 40 be switched, but also the worker is switched to the manually pivotable state and to the pivotable state by the swivel drive device 90, It is possible to select an appropriate pivoting means adapted to the sub-boom device and to perform the work,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ovide a sub-boom device with further improved workability.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나타낸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서브붐 지지부재(72)가 요동 실린더(77)(유압 실린더)에 의해 선회체(71)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요동 실린더(77)를 전동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작업대 승강장치(36)의 승강 실린더(37)나, 그 밖의 실린더 및 모터도 전동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Although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above embodiments. 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sub-boom support member 72 is configured to be swingable with respect to the slewing body 71 by the swinging cylinder 77 (hydraulic cylinder), but the swinging cylinder 77, May be constituted by an electric actuator. Similarly, the elevating cylinder 37 of the work platform elevating and lowering device 36 and other cylinders and motors may be constituted by electric actuators.

또한,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환장치(100)가 서브붐 장치(70)에 있어서의 작업대(40)와의 연동 및 선회구동장치(90)와의 접속의 양방을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작업대(40)와의 연동을 전환하는 전환장치와, 선회구동장치(90)와의 접속을 전환하는 전환장치를 각각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witching device 10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witch both the interlocking with the workbench 40 and the connection with the swivel drive device 90 in the sub-boom device 70, A switching device for switching interlocking with the swing drive device 40 and a switching device for switch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wing drive device 90 may be provided.

1 : 고소 작업차 2 : 차체
30 : 붐 32 : 수직 포스트(작업대 지지부재)
35 : 작업대 브래킷(작업대 지지부재) 40 : 작업대
50 : 컨트롤러 52 : 경보부 (경보수단)
70 : 서브붐 장치 71 : 선회체 (선회부재)
72 : 제1 서브붐 지지부재(제1 요동부재)
72a : 제1 요동핀(제1 요동축)
73 : 제2 서브붐 지지부재(제2 요동부재)
73a : 제2 요동핀(제2 요동축)
74 : 서브붐 부재 75 : 윈치기구
80 : 잠금핀(고정유지수단)
81, 82, 84 : 잠금핀 삽입공(고정유지수단)
100 : 전환장치 101 : 스톱퍼 플레이트
102 : 스톱퍼부재 103 : 연동전환 핀
104 : 구동전환 핀 106 : 기어 브래킷
110 : 링크기구
1: High work car 2: Body
30: boom 32: vertical post (work table support member)
35: work platform bracket (work platform support member) 40: work platform
50: controller 52: alarm unit (alarm means)
70: Sub boom device 71: Swivel (swivel)
72: first sub-boom support member (first pivot member)
72a: first pivot pin (first pivot shaft)
73: second sub-boom support member (second pivot member)
73a: Second pivot pin (second pivot shaft)
74: Sub boom member 75: Winch mechanism
80: Lock pin (fixed holding means)
81, 82, 84: Lock pin insertion hole (fixed holding means)
100: switching device 101: stopper plate
102: stopper member 103: interlocking switching pin
104: drive switching pin 106: gear bracket
110: Link mechanism

Claims (7)

차체에 적어도 기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붐과, 상기 붐의 선단부에 작업대 지지부재를 통해 장착된 작업대를 구비하는 고소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 지지부재의 상부에 설치된 고소 작업차의 서브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 지지부재에 수평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선회부재와,
상기 선회부재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요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자유롭게 장착된 제1 요동부재와,
상기 제1 요동부재에 상기 제1 요동축과 직교하는 제2 요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자유롭게 장착된 제2 요동부재와,
상기 제2 요동부재의 선단부에 상기 제2 요동축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장착된 장척(長尺) 모양의 서브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요동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2 요동부재를 상기 제1 요동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까지 요동시킨 작업자세와,
상기 작업자세의 상기 서브붐 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작업대의 선단측을 향하도록 상기 선회부재를 상기 작업대 지지부재에 대하여 선회시키고, 상기 제1 요동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2 요동부재를 상기 제1 요동축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위치까지 요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서브붐 부재가 상기 작업대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요동부재를 요동시킨 격납자세를 설정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의 서브붐 장치.
A boom provided at least on a vehicle body so as to be capable of undulating movement, and a workbench mounted on a front end of the boom through a workbench suppor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 boom device of the high work vehicle mounted on the workbench support member ,
A pivot member installed to be horizontally rotatable on the work table support member,
A first pivotal member pivotally mounted on the pivotal member about a first pivotal axis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 second swinging member pivotally mounted on the first pivoting member about a second pivoting axis orthogonal to the first pivoting axis,
And an elongated sub-boom member attached to a distal end portion of the second pivotal member so as to exten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econd pivotal axis,
A working posture in which the second swinging member is swung with respect to the first swinging member to a posi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swinging axis,
The turning member is pivoted relative to the workbench support member so that the tip end portion of the sub-boom member in the working posture is directed toward the front end side of the workbench, and the second swinging member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winging member, And a storage position in which the first swinging member is swung such that the sub-boom member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work table can be set.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동부재는 유압 또는 전동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선회부재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2 요동부재는 수동으로 상기 제1 요동부재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작업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요동부재의 요동위치와 상기 격납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요동부재의 요동위치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제2 요동부재를 고정 유지하는 고정유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의 서브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ivoting member is pivotable with respect to the pivoting member by a hydraulic pressure or an electric actuator,
Wherein the second pivot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pivot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pivoting member manually,
And a fixed holding means for holding and holding the second swinging member in each of the swinging position of the second swinging member in the working posture and the swinging position of the second swinging member in the storing position The sub boom device of the high-altitude operation ca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붐 부재의 선단부에 설치된 활차에 걸린 로프의 감김 및 풀림을 행하는 윈치(winch)기구와,
상기 작업자세에서 상기 고정유지수단에 의해 상기 제2 요동부재의 요동위치가 고정 유지되었을 때에만 상기 윈치기구의 작동을 허용하고, 상기 고정유지수단에 의해 상기 제2 요동부재의 요동위치가 고정 유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윈치기구를 작동시키는 윈치 조작장치가 조작되었을 때에 경보작동을 행하는 경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의 서브붐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winch mechanism for winding and unwinding the rope caught by the pulley provided at the tip of the sub-boom member,
The operation of the winch mechanism is allowed only when the swinging position of the second swinging member is fixedly held by the fixed holding means in the working posture and the swinging position of the second swinging member is fixed And an alarm means for performing an alarm operation when the winch operating device for operating the winch mechanism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winch operating device is not operat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은 상기 격납자세에서 상기 고정유지수단에 의해 상기 제2 요동부재의 요동위치가 고정 유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고소 작업차를 주행시키는 주행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경보작동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고소 작업차의 서브붐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the warning means performs an alarm operation when a traveling operation for traveling the high-performance work car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swinging position of the second swinging member is not fixedly held by the fixed holding means in the storage position The sub boom device of the high-altitude working c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유압 또는 전동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작업대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작업대가 상기 작업대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작업대와 상기 작업자세의 상기 서브붐 부재가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제1 및 제2 요동부재의 치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의 서브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ork table is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work table support member by a hydraulic or electric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mens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winging members are set such that when the workbench moves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workbench support member, the workbench and the sub-boom member in the working posture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 sub boom device of the work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상기 작업대 지지부재를 통해 상기 붐의 선단부에 수평면 내에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선회부재는 상기 작업대 지지부재에 상기 작업대의 회전운동축과 동축(同軸) 상에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선회부재와 상기 작업대 지지부재를 결합시켜서 상기 서브붐 장치가 상기 작업대와 함께 선회되는 연동상태와, 상기 선회부재와 상기 작업대 지지부재의 결합을 해제시켜서 상기 서브붐 장치가 상기 작업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선회 가능하게 되는 비연동상태를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의 서브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orkbench is rotatably mounted on a front end of the boom through a workbench support member in a horizontal plane,
Wherein the pivotal member is pivotally mounted on the workbench support member on a coaxial axis with the rotational axis of the workbench,
An interlocking state in which the sub-boom device is pivoted together with the workbench by engaging the pivotal member and the workbench support member, and an interlocking state in which the sub-boom device is disengaged from the workbench by releasing the coupling between the pivotal member and the workbench support member And a switching means for switching a non-interlocked state in which the vehicle can be pivot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부재를 선회시키는 선회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환수단은 상기 비연동상태에서 상기 선회구동장치의 구동력을 상기 선회부재에 전달시키지 않고 상기 서브붐 장치가 자유선회 가능하게 되는 자유선회상태와, 상기 선회구동장치의 구동력을 상기 선회부재에 전달시켜서 상기 서브붐 장치가 상기 선회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선회되는 구동선회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의 서브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swing drive device for swinging the swinging member,
Wherein the switching means is a free-wheeling state in which the sub-boom device is freely rotatable without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swing drive device to the swing member in the non-operative state, and a free-wheeling state in which the driving force of the swing drive device is transmitted Wherein the sub-boom device is configured to switch the drive pivot state in which the sub-boom device is pivo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pivot drive device.
KR1020130126942A 2012-11-08 2013-10-24 Sub-boom device for high-lift working vehicle KR2014005971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46591 2012-11-08
JP2012246591A JP2014094798A (en) 2012-11-08 2012-11-08 Sub boom device for vehicle for high lift work
JP2013020529A JP6113518B2 (en) 2013-02-05 2013-02-05 Aerial work platform
JPJP-P-2013-020529 2013-0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715A true KR20140059715A (en) 2014-05-16

Family

ID=50700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942A KR20140059715A (en) 2012-11-08 2013-10-24 Sub-boom device for high-lift working vehic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59715A (en)
CN (1) CN103803458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77794B2 (en) * 2015-08-31 2019-09-18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Communication device for work equipment
CN105329786B (en) * 2015-11-26 2017-08-29 兰考神力工程机械有限公司 Lifting work high above the ground integrate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03458A (en)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6809B2 (en) Lifting floor for cargo handling
JP2008303038A (en) Crane working vehicle
KR101981340B1 (en) Sub-boom device for high-lift working vehicle
US603603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ing and storing jib of crane
KR20140059715A (en) Sub-boom device for high-lift working vehicle
JP7122224B2 (en) aerial work platform
JP2007063015A (en) High lift working vehicle
JP5944722B2 (en) Aerial work platform
JP7213666B2 (en) Safety device for aerial work platform
JP2008110840A (en) Controller for high-lift work vehicle
JP5121350B2 (en) Mobile crane
JP4754167B2 (en) Work vehicle control device
JP2014094798A (en) Sub boom device for vehicle for high lift work
JP2001016725A (en) Cable work device
JP6113518B2 (en) Aerial work platform
JP4628000B2 (en) Safety equipment for aerial work platforms
JP7286284B2 (en) guide unit
JP2012030943A (en) High lift working vehicle
JP6041639B2 (en) Sub-boom device for aerial work platforms
JP2003226492A (en) Horizontally controlling device of workbench in vehicle for work at height
JP2022110797A (en) Safety device of aerial work platform vehicle
JP2006036525A (en) Safety device for boom working vehicle
JP2587189Y2 (en) Workbench storage and holding device for aerial work vehicles
JP2008162709A (en) Vehicle for high lift work
JP2023026960A (en) Safety device for work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