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9071A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9071A
KR20140059071A KR1020120125699A KR20120125699A KR20140059071A KR 20140059071 A KR20140059071 A KR 20140059071A KR 1020120125699 A KR1020120125699 A KR 1020120125699A KR 20120125699 A KR20120125699 A KR 20120125699A KR 20140059071 A KR20140059071 A KR 20140059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put
display
image area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3981B1 (ko
Inventor
이욱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5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981B1/ko
Priority to US13/789,051 priority patent/US9235290B2/en
Publication of KR20140059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영역 제어 방법은 터치를 입력 받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와 중첩되고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표시 영역 내의 화상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폐루프(closed loop)로 이루어지는 연속적인 터치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 입력되는, 상기 화상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폐루프의 내부 영역을 상기 화상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화상을 설정된 상기 화상 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에 적합하도록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area of a flexible display devic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area of a flexible display device}
최근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의 발달과 함께, 접거나 롤(Roll) 형상으로 말 수 있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한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시야각, 콘트라스트(contrast), 응답속도, 소비전력 등의 측면에서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MP3 플레이어나 휴대폰 등과 같은 개인용 휴대기기에서 텔레비젼(TV)에 이르기까지 응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또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자발광 특성을 가지므로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라스틱 기판을 이용하여 플렉서블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유연성은 더욱 증가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평면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유연성에 의하여 변형된 3차원의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3차원의 형태는 사용자에 따라,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사용되는 상황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3차원의 형태로 변형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영역 내에서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평면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와는 다른 제어 방법이 필요하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 영역 제어 방법은 터치를 입력 받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와 중첩되고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표시 영역 내의 화상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폐루프(closed loop)로 이루어지는 연속적인 터치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 입력되는, 상기 화상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폐루프의 내부 영역을 상기 화상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화상을 설정된 상기 화상 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된 화상 영역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화상 영역 제어 장치는 터치를 입력 받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와 중첩되고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터치를 입력 받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표시 영역 내의 화상 영역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폐루프(closed loop)로 이루어지는 연속적인 터치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 입력되는, 상기 화상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를 획득하는 신호 획득부, 획득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폐루프의 내부 영역을 상기 화상 영역으로 설정하는 화상 영역 설정부 및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화상을 설정된 상기 화상 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에 적합하도록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부(2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는 제1 입력 신호와 제2 입력 신호의 예를 표시부(100)와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제1 입력 신호와 제2 입력 신호의 예를 변형된 표시부(100’)와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화상 영역 설정부(231)가 화상 영역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화상(60)이 표시되어 있는 변형된 표시부(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6b는 화상 영역 설정부(231)에 의해 설정된 화상 영역에 화상이 표시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신호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의 입력 신호를 변형된 표시부(100’)와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8의 화상 영역에 화상을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영역 설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1002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1003 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터치를 입력받는 표시부(100)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표시부(100)에 입력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 내의 화상 영역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유연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접거나 말을 수 있으므로, 보관 및 휴대성이 우수할 수 있고, 사용 환경에 따라 변형된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변형된 형태에 적합한 화상이 제공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가 변형된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표시부(100)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 발광형에 한정하지 않으며, 후면 발광형 또는 양면 발광형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제어부(2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신호 획득부(210)와 결정부(220)와 화상 영역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획득부(210)는 폐루프(closed loop)로 이루어지는 연속적인 터치에 의해 표시부(100)에 입력되는, 화상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를 획득한다. 여기서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는 제1 입력 신호와 제2 입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나선 구조로 변형 가능하고,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나선 구조로 변형된 상태에서 표시부(100)에 연속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는 나선 구조로 변형된 디스플레이 장치(10) 상에서 하나의 폐루프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는 제1 입력 신호와 제2 입력 신호의 예를 표시부(100)와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신호 획득부(210)는 연속적인 터치에 의해 표시부(100)에 입력되는, 화상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제1 입력 신호(211)와 제2 입력 신호(212)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제1 입력 신호와 제2 입력 신호의 예를 변형된 표시부(100’)와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나선 구조로 변형 가능하고, 제1 입력 신호(211)와 제2 입력 신호(212)는 변형된 표시부(100’) 상에서의 연속적인 터치에 의해 연속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입력 신호(211)와 제2 입력 신호(212)는 나선 구조로 변형된 표시부(100’) 상에서 하나의 폐루프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나선 구조로 변형된 경우의 예를 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변형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실시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입체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 개의 입력 신호를 다양한 입체 구조로 변형된 표시부(100’) 상에서 하나의 폐루프를 구성하도록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폐루프를 구성하는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표시부(100)의 일면을 드래그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표시부(100)의 일면을 드래그하면 드래그 경로에 해당하는 곡선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드래그는 하나의 포인트에서 입력을 시작하고 다른 포인트에서 입력을 종료하는 입력 방법을 말하며, 드래그 입력은 연속적인 입력일 수 있다.
제1 입력 신호(211)와 제2 입력 신호(212) 각각은 한 번의 드래그로 입력될 수도 있으나, 복수 개의 드래그 신호로 입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연속적인 드래그가 제1 입력 신호(211)의 중간점(211C)에서 시작하여 제2 입력 신호(212)를 연속적으로 입력한 후, 다시 제1 입력 신호(211)의 중간점(211C)을 통과함에 따라, 변형된 표시부(100’) 상에서 폐루프를 구성하는 제1 입력 신호(211)와 제2 입력 신호(212)가 입력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별도의 입력 장치(미도시) 또는 표시부(100)에 연결된 입력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표시부에 터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또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이용하여 표시부(100)를 직접 터치함으로써 터치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입력 장치의 예로는 터치 패널에 접촉 또는 근접하면 터치 패널에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 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표시부(100)는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에 발광 소자를 포함하지 않는 별도의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나, 별도의 지지부 없이 표시부(100) 전체가 표시 패널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부(100)의 가장자리의 일부분을 제1 엣지부(110)라고 하고, 제1 엣지부(110)와 마주보는 가장자리의 일부분을 제2 엣지부(120)라고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결정부(220)는 신호 획득부(210)로부터 획득한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의 입력이 시작된 시간 또는 종료된 시간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가 화상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인지 결정한다.
예를 들어, 결정부(220)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신호의 입력이 종료되는 시간으로부터, 제1 임계 시간 내에 그 다음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입력이 시작되면 상기 입력 신호들이 상기 화상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이하에서 제1 조건이라고 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결정부(220)는 제1 입력 신호(211)의 입력이 종료되는 시간으로부터 제1 임계 시간 내에 제2 입력 신호(212)의 입력이 시작되면 제1 입력 신호(211)와 제2 입력 신호(212)가 화상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결정부(220)는 제2 입력 신호(212)의 입력이 종료되는 시간으로부터 제1 임계시간 내에 제1 입력 신호(211)의 입력이 시작되면 제2 입력 신호(212)와 제1 입력 신호(211)가 화상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임계시간이 아주 작은 경우의 예를 들면, 제1 입력 신호(211)의 입력이 종료된 직후 제2 입력 신호(212)의 입력이 시작될 수 있다. 즉, 제1 입력 신호(211)와 제2 입력 신호(212)는 연속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정부(220)는 연관성이 없는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가 화상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것으로 잘못 인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정부(220)는 어느 하나의 입력 신호의 입력이 끝나고 제1 임계 시간 동안만 다음 입력 신호를 기다리게 되고, 제1 임계 시간을 초과하면 프로세스를 종료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지나치게 오랜 시간동안 불필요한 대기 상태에 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결정부(220)는 제1 입력 신호(211)와 제2 입력 신호(212)의 입력이 제2 임계 시간 내에 모두 종료되면, 제1 입력 신호(211)와 제2 입력 신호(212)가 화상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이하에서 제2 조건이라고 한다. 이에 따라, 제2 임계 시간 내에 제1 입력 신호(211)와 제2 입력 신호(212)로 구성되는 하나의 폐루프가 획득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조건은 입력 신호를 획득함에 있어 총 제한 시간을 두는 조건이다.
위와 같은 제2 조건은 하나의 입력이 시작되는 시간부터 종료되는 시간의 차이가 지나치게 크거나, 복수의 입력 신호의 입력 시작시간 또는 종료시간의 차이가 지나치게 큰 경우, 그러한 입력 신호는 화상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아닌 것으로 결정하기 위한 조건이다. 제2 조건에 따라 결정부(220)는 일정한 제한시간 내에 모든 입력 신호의 입력이 완료되는 경우에, 그러한 입력 신호가 화상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신호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정부(220)는 제2 임계시간 내에 입력 신호들로 구성되는 폐루프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 프로세스를 종료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지나치게 오랜 시간동안 불필요한 대기 상태에 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정부(220)는 본 발명이 실시되어지는 상황에 따라서 입력 신호가 제1 조건과 제2 조건을 모두 만족하면 입력 신호들이 화상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결정부(220)는 제1 조건과 제2 조건중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면 입력 신호들이 화상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조건과 제2 조건 중 어떠한 조건을 판단할 것인가의 여부는 본 실시예가 실시되어지는 상황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의 화상 영역 제어부(230)는 화상 영역 설정부(231)와 출력 신호 생성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 영역 설정부(231)는 신호 획득부(210)로부터 획득한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폐루프의 내부 영역을 화상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화상 영역 설정부(231)는 결정부(220)에 의해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가 화상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폐루프의 내부 영역을 화상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화상 영역은 복수 개의 분할된 화상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영역은 제1 화상 영역과 제2 화상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화상 영역 설정부(231)가 화상 영역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상 영역 설정부(231)는 제1 입력 신호(211)와 표시부(100)의 제1 엣지부(110)로부터 제1 화상 영역(A1)을 설정하고, 제2 입력 신호(212)와 표시부(100)의 제2 엣지부(120)로부터 제2 화상 영역(A2)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영역 설정부(230)는 제1 입력 신호(211)와 표시부(100)의 제1 엣지부(110)로 구성되는 폐루프의 내부 영역을 제1 화상 영역(A1)으로 설정하고, 제2 입력 신호(212)와 표시부(100)의 제2 엣지부(120)로 구성되는 폐루프의 내부 영역을 제2 화상 영역(A2)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부(100)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표시 영역은 표시부(100) 상에서 서로 떨어져서 위치하는 제1 서브 표시 영역(S1)과 제2 서브 표시 영역(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 신호(211)와 제2 입력 신호(212)는 표시 영역 상에서의 연속적인 터치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표시 영역은 디스플레이 장치(10)가 변형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영역으로, 변형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표시 영역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변형된 상태에서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상에 터치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제1 입력 신호(211)와 제2 입력 신호(212)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변형된 상태에서 서브 표시 영역 상에 터치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제1 입력 신호(211)와 제2 입력 신호(212)를 입력할 수 있다.
제1 입력 신호(211)는 서브 표시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입력되고, 제2 입력 신호(212)는 서브 표시 영역들 중 다른 하나에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화상 영역(A1)은 서브 표시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고, 제2 화상 영역(A2)은 서브 표시 영역들 중 다른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 신호(211)는 제1 서브 표시 영역(S1)에 입력되고, 제2 입력 신호(212)는 제2 서브 표시 영역(S2)에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입력 신호(211)와 제1 엣지부(110)로부터 설정되는 제1 화상 영역(A1)은 제1 서브 표시 영역(S1)에 포함되고, 제2 입력 신호(212)와 제2 엣지부(120)로부터 설정되는 제2 화상 영역(A2)은 제2 서브 표시 영역(S2)에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출력 신호 생성부(232)는 화상 영역 설정부(231)에 의해 설정된 화상 영역(A1, A2)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출력 신호 생성부(232)는 상기 화상이 표시되는 좌표를, 기존의 상기 화상이 표시되어 있던 제1 좌표로부터 설정된 상기 화상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좌표로 변환함에 따라 출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출력 신호 생성부(232)는 아직 표시 영역에 표시되지 않은 화상을, 설정된 화상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좌표에 표시하기 위한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화상 영역이 복수 개의 분할된 화상 영역으로 구성되는 경우, 출력 신호 생성부(232)는 분할된 각 화상 영역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화상을 분할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분할된 화상은, 표시부가 변형되었을 때 하나의 화상으로 연속적으로 보여질 수 있다.
출력 신호 생성부(232)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연산 도중, 영상이 화면에 표시되지 않도록 표시 영역에 버퍼(buffer) 화면을 출력하는 등의 방법으로, 버퍼링을 수행할 수 있다. 출력 신호의 생성이 완료되면 버퍼 화면의 출력이 종료될 수 있다.
표시 제어부(233)는 도 2의 출력 신호 생성부(232)로부터 생성된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에 표시된 화상을 설정된 화상 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한다.
버퍼 화면이 출력되고 있었던 경우, 표시 제어부(233)는 버퍼 화면의 출력을 종료하고, 출력 신호 생성부(232)로부터 생성된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하여 표시할 화상을 선택하기 위하여,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가 입력되기 전에, 이동하여 표시할 화상의 영역을 터치하는 등의 동작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동하여 표시할 화상을 더블 클릭 하는 등의 입력을 수행한 후, 적어도 두 개의 입력신호를 입력함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입력신호가 어떠한 화상에 대한 화상 영역을 설정하고자 하는지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하여 표시하고자 하는 화상을 더블 클릭 하는 방법 외에도 다양한 입력 방법에 의하여 화상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표시 제어부(233)는 표시 영역에 표시된 화상을 설정된 화상 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아직 표시 영역에 표시되지 않은 화상을 설정된 화상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직 표시되고 있지 않은 화상을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표시 제어부(233)는 그러한 화상을 설정된 화상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a는 화상(60)이 표시되어 있는 변형된 표시부(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화상(60)은 입력 신호들이 입력되기 전에 제1 좌표(x-y)에 표시되어 있다. 도 6a의 변형된 표시부(100’)에 사용자의 연속적인 터치에 의해 제1 입력 신호(211)와 제2 입력 신호(212)가 입력될 수 있다.
결정부(220)에 의해 제1 입력 신호(211)와 제2 입력 신호(212)가 화상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것으로 결정되면, 화상 영역 설정부(231)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연속적인 터치에 의해 입력된 제1 입력 신호(211)와 제2 입력 신호(212)로 이루어지는 폐루프의 내부 영역을 화상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b는 화상 영역 설정부(231)에 의해 설정된 화상 영역에 화상이 표시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표시 제어부(233)는 제1 입력 신호(211)와 제2 입력 신호(212)가 입력되기 전에 화상(60)이 표시되어 있던 제1 좌표(x-y)로부터, 화상 영역 설정부(231)에 의해 설정된 화상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좌표(x’-y’)로, 화상을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한, 제1 입력 신호(211)와 제2 입력 신호(212)가 입력되기 전에 화상(60)이 표시되어 있던 제1 좌표(x-y)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임의의 좌표로 도시된 것으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1 좌표(x-y)는 표시 영역 내에 포함되는 어떠한 영역에 대응되는 좌표라도 될 수 있다. 또한, 일부의 표시 영역 내에만 포함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좌표일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 6b에 도시한, 제2 좌표(x’-y’) 역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임의의 좌표로 도시된 것으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2 좌표(x’-y’)는 제1 입력 신호(211)와 제2 입력 신호(212)에 의하여 구성되는 폐루프의 내부 영역의 형태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면, 도 6a에 도시된 화상(60)의 제1 좌표(x-y)의 x축과 y축 간의 각도와, 도 6b에 도시된 화상의 제2 좌표(x’-y’)의 x’축과 y’축 간의 각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출력 신호 생성부(232)는 서로 다른 스케일과 각도를 갖는 좌표계 간의 좌표 이동 연산 방법에 의하여, 화상이 표시되는 좌표를 제1 좌표로부터 제2 좌표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신호 생성부(232)는 제1 좌표와 제2 좌표의 축 길이의 비를 산출하여, 산출된 비에 따라 화상을 축소 또는 확대할 수 있다. 또는, 출력 신호 생성부(232)는 제1 좌표와 제2 좌표 각각에서의 축간 각도에 기초하여, 화상을 비스듬히 기울일 수 있다. 도 6a와 도 6를 참조하면, 제1 좌표와 제2 좌표 각각에서의 축간 각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화상이 표시되는 좌표가 제1 좌표로부터 제2 좌표로 변환됨에 따라 화상이 비스듬이 기울어짐을 알 수 있다.
제1 좌표와 제2 좌표는 화상 영역의 형태에 따라, 펼쳐진 디스플레이 상에서 서로 분할된 복수의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좌표에서 제2 좌표로 곧바로 화상을 이동하는 연산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출력 신호 생성부(232)는 먼저 제1 좌표와 제2 좌표를 원점 좌표계로의 좌표 연산을 통해 면형 이동할 수 있다. 면형 이동된 제1 좌표와 제2 좌표 각각에서, 분할된 복수의 화상 영역은 서로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놓이게 된다. 그 다음 출력 신호 생성부(232)는 화상이 표시되는 좌표를, 면형 이동된 기존의 제1 좌표로부터 설정된 화상 영역에 대응되는 면형 이동된 제2 좌표로 변환함에 따라,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 신호 생성부(232)는 면형 이동된 제1 좌표와, 면형 이동된 제2 좌표의 축간 길이의 비를 산출하여, 산출된 비에 따라 화상을 축소 또는 확대할 수 있다. 또는, 출력 신호 생성부(232)는 면형 이동된 제1 좌표와, 면형 이동된 제2 좌표의 축간 각도에 따라, 화상을 기울일 수 있다.
좌표를 면형 이동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한 경우, 출력 신호 생성부(232)는 면형 이동된 제2 좌표를, 좌표 연산을 통해 원래의 제2 좌표로 거꾸로 이동함에 따라, 원래의 제2 좌표 상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최종적인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신호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신호 획득부(230)는 폐루프로 이루어지는 연속적인 터치에 의해 표시부(100)에 입력되는, 화상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네 개의 입력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적어도 네 개의 입력 신호는 제1 입력 신호(211), 제2 입력 신호(212), 제3 입력 신호(213), 및 제4 입력 신호(214)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입력 신호(211, 212, 213, 214)는 사용자의 연속적인 터치에 의해 입력되는 드래그 신호일 수 있다.
제3 입력 신호(213)와 제4 입력 신호(214) 각각은 표시부(100)의 제1 엣지부(110) 및 제1 엣지부(110)와 마주보는 제2 엣지부(120) 중 어느 하나에서부터 다른 하나로 이어지고 서로 대향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 입력 신호(213)는 표시부(100)의 제2 엣지부(120)로부터 제1 엣지부(110)로 이어지고, 제4 입력 신호(214)는 표시부(100)의 제1 엣지부(110)로부터 제2 엣지부(120)로 이어진다.
도 8은 도 7의 입력 신호를 변형된 표시부(100’)와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입력 신호(211) 내지 제4 입력 신호(214)는 변형된 표시부(100’)상에서의 하나의 폐루프를 그리는 사용자의 연속적인 터치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입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변형된 표시부(100’)상에서 하나의 폐루프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입력 신호(211) 내지 제4 입력 신호(214)가 변형된 표시부(100’)상에서 하나의 폐루프를 구성하기 위하여, 제3 입력 신호(213)와 제4 입력 신호(214)는 서로 교차하지 않고 대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연속적인 터치는 제1 입력신호(211) 내지 제4 입력신호(214)로 구성되는 하나의 폐루프 상의 어떤 위치에서라도 시작될 수 있으며, 터치가 시작된 위치를 다시 통과함으로써 폐루프를 완성할 수 있다.
결정부(220)는 신호 획득부(210)로부터 획득한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신호의 입력이 종료되는 시간으로부터, 제1 임계 시간 내에 그 다음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입력이 시작되면 상기 입력 신호들이 상기 화상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입력 신호는, 제1 입력 신호, 제3 입력 신호, 제2 입력 신호, 제4 입력 신호의 순서로 입력될 수 있다. 도 8의 경우를 예로 들면, 결정부(220)는 제1 입력 신호(211)의 입력이 종료되는 시간으로부터 제1 임계 시간 내에 제3 입력 신호(213)의 입력이 시작되고, 제3 입력 신호(213)의 입력이 종료되는 시간으로부터 제1 임계 시간 내에 제2 입력 신호(212)의 입력이 시작되고, 제2 입력 신호(212)의 입력이 종료되는 시간으로부터 제1 임계 시간 내에 제4 입력 신호(214)의 입력이 시작되는 경우, 입력 신호들이 화상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임계시간이 아주 작은 경우의 예를 들면, 제1 입력 신호(211)의 입력이 종료된 직후 제3 입력 신호(213)의 입력이 시작될 수 있다. 즉, 제1 입력 신호(211)와 제3 입력 신호(212)는 연속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3 입력 신호(213)의 입력이 종료된 직후 제2 입력 신호(212)가 입력되고, 제2 입력 신호(212)의 입력이 종료된 직후, 제4 입력 신호(214)가 종료될 수 있다. 즉, 제1 입력신호(211), 제3 입력신호(213), 제2 입력신호(212), 제4 입력신호(214)는 연속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정부(220)는 연관성이 없는 적어도 네 개의 입력 신호가 화상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것으로 잘못 인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정부(220)는 어느 하나의 입력 신호의 입력이 끝나고 제1 임계 시간 동안만 다음 입력 신호를 기다리게 되고, 제1 임계 시간을 초과하면 프로세스를 종료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지나치게 오랜 시간동안 불필요한 대기 상태에 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결정부(220)는 제1 입력 신호(211) 내지 제4 입력 신호(214)의 입력이 제2 임계 시간 내에 모두 종료되면, 제1 입력 신호(211) 내지 제4 입력 신호(214)가 화상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임계 시간 내에 제1 입력 신호(211) 내지 제4 입력 신호(214)로 구성되는 하나의 폐루프가 획득될 수 있다. 이것은 전술한 제2 조건에 대응되며, 입력 신호를 획득함에 있어 총 제한 시간을 두는 조건이다.
제2 조건에 따라 결정부(220)는 일정한 제한시간 내에 모든 입력 신호의 입력이 완료되는 경우에, 그러한 입력 신호가 화상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신호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정부(220)는 제2 임계시간 내에 입력 신호들로 구성되는 폐루프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 프로세스를 종료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지나치게 오랜 시간동안 불필요한 대기 상태에 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정부(220)는 본 발명이 실시되어지는 상황에 따라서 적어도 네 개의 입력 신호가 제1 조건과 제2 조건을 모두 만족하면 적어도 네 개의 입력 신호가 화상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결정부(220)는 제1 조건과 제2 조건중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면 적어도 네 개의 입력 신호가 화상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조건과 제2 조건 중 어떠한 조건을 판단할 것인가의 여부는 본 실시예가 실시되어지는 상황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입력 신호들이 입력되는 구체적인 순서는 예시일 뿐이며, 결정부(230)의 구체적인 결정 방법은 입력 신호들이 입력되는 순서와, 입력 신호의 입력이 시작되는 위치와 종료되는 위치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다.
화상 영역 설정부(231)는 신호 획득부(210)로부터 획득한 적어도 네 개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폐루프의 내부 영역을 화상 영역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화상 영역은 복수 개의 분할된 화상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영역은 서로 분리된 제1 화상 영역과 제2 화상 영역과 제3 화상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화상 영역 설정부(231)는 제1 내지 제4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4 입력 신호로 구성되는 폐루프의 내부 영역을 화상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화상 영역은 서로 분리된 제1 화상 영역(A1), 제2 화상 영역(A2), 제3 화상 영역(A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 영역 설정부(231)는 제1 입력 신호(211)와 제1 엣지부(110)로 구성되는 폐루프의 내부 영역을 제1 화상 영역(A1)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제2 입력 신호(212)와 제2 엣지부(120)로 구성되는 폐루프의 내부 영역을 제2 화상 영역(A2)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제3 입력 신호(213)와 제1 엣지부(110)와 제4 입력 신호(214)와 제2 엣지부(120)로 구성되는 폐루프의 내부 영역을 제3 화상 영역(A3)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8의 제1 입력 신호(211) 내지 제4 입력 신호(214)는 변형된 표시부(100’)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영역인 표시 영역에 입력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제1 입력 신호(211) 내지 제4 입력 신호(214)는 서브 표시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신호(211)는 제1 서브 표시 영역(S1)에 입력되고, 제2 입력 신호(212)는 제2 서브 표시 영역(S2)에 입력되고, 제3 입력신호(213)와 제4 입력신호(214)는 제3 서브 표시 영역(S3)에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입력 신호(211)와 제1 엣지부(110)로부터 설정되는 제1 화상 영역(A1)은 제1 서브 표시 영역(S1)에 포함되고, 제2 입력 신호(212)와 제2 엣지부(120)로부터 설정되는 제2 화상 영역(A2)은 제2 서브 표시 영역(S2)에 포함되고, 제3 입력 신호(213)와 제1 엣지부(110)와 제4 입력 신호(214)와 제2 엣지부(120)로부터 설정되는 제3 화상 영역(A3)은 제3 서브 표시 영역(S3)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화상 영역(A1), 제2 화상 영역(A2), 제3 화상 영역(A3)의 모양은 제1 내지 제4 입력신호로 구성되는 폐루프의 패턴에 따라서 결정된다. 도 8의 제1 내지 제4 입력신호로부터 설정되는 제1 화상 영역(A1)과 제2 화상 영역(A2)은 사다리꼴의 모양을 가질 수 있고, 제3 화상 영역(A3)은 기울어진 평행사변형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제1 화상 영역(A1)과 제2 화상 영역(A2)과 제3 화상 영역(A3)의 모양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제1 내지 제4 입력신호로 구성되는 폐루프의 패턴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출력 신호 생성부(232)는 화상 영역 설정부(231)에 의해 설정된 화상 영역(A1, A2, A3)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출력 신호 생성부(232)는 상기 화상이 표시되는 좌표를, 기존의 상기 화상이 표시되어 있던 제1 좌표로부터 설정된 상기 화상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좌표로 변환함에 따라 출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 신호 생성부(232)는 복수 개의 분할된 화상 영역들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화상을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신호 생성부(232)는 제1 화상 영역(A1), 제2 화상 영역(A2), 제3 화상 영역(A3)에 화상을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는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제1 화상 영역(A1), 제2 화상 영역(A2), 제3 화상 영역(A3)을 포함하는 전체 화상 영역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할된 화상 영역에, 화상을 분할하여 표시하여야 하는 경우, 제1 좌표에서 제2 좌표로 곧바로 화상을 이동하는 연산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출력 신호 생성부(232)는 먼저 제1 좌표와 제2 좌표를 원점 좌표계로의 좌표 연산을 통해 면형 이동한 후, 화상이 표시되는 좌표를 변환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도 8의 제1 화상 영역(A1), 제2 화상 영역(A2) 및 제3 화상 영역(A3)은, 이들로 구성되는 화상 영역의 좌표가 면형이동됨에 따라, 서로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놓일 수 있다.
출력 신호 생성부(232)는 면형 이동된 제1 좌표와, 면형 이동된 제2 좌표의 축간 길이의 비를 산출하여, 산출된 비에 따라 화상을 축소 또는 확대할 수 있다. 또는, 출력 신호 생성부(232)는 면형 이동된 제1 좌표와, 면형 이동된 제2 좌표의 축간 각도에 따라, 화상을 기울일 수 있다.
좌표를 면형 이동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한 경우, 출력 신호 생성부(232)는 면형 이동된 제2 좌표를, 좌표 연산을 통해 원래의 제2 좌표로 거꾸로 이동함에 따라, 원래의 제2 좌표 상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최종적인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233)는 표시부(100)가 출력 신호 생성부(232)로부터 생성된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에 표시된 화상을 설정된 화상 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233)에 의해 표시부(100)는 출력 신호 생성부(232)로부터 생성된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제1 화상 영역, 제2 화상 영역, 제3 화상 영역에 화상을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233)는 표시 영역에 표시된 화상을 설정된 화상 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아직 표시 영역에 표시되지 않은 화상을 설정된 화상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직 표시되고 있지 않은 화상을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표시 제어부(233)는 그러한 화상을 설정된 화상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화상 영역에 화상을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시부(100)는 복수 개의 화상 영역에 화상을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00)는 제1 입력신호(211), 제2 입력 신호(212), 제3 입력 신호(213), 제4 입력 신호(214), 제1 엣지부(110) 및 제2 엣지부(120)로부터 설정된 제1 화상 영역(A1), 제2 화상 영역(A2), 제3 화상 영역(A3)에, 화상을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분할되어 표시된 화상은, 변형된 표시부(100’) 상에서 연결되어 보여짐에 따라 하나의 화상으로 보여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영역 설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1001 단계에서 신호 획득부(210)는 폐루프(closed loop)로 이루어지는 연속적인 터치에 의해 표시부에 입력되는, 화상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를 획득한다.
1002 단계에서 화상 영역 설정부(231)는 획득한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폐루프의 내부 영역을 화상 영역으로 설정한다.
1003 단계에서 표시 제어부(233)는 표시 영역에 표시된 화상을 설정된 화상 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11은 도 10의 1002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1002a 단계에서 결정부(220)는 획득한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의 입력이 시작된 시간 또는 종료된 시간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가 화상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인지 결정한다.
1002b 단계에서 화상 영역 설정부(231)는 결정하는 단계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가 화상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인 것으로 결정되면, 폐루프의 내부 영역을 화상 영역으로 설정한다.
도 12는 도 10의 1003 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1003a 단계에서 출력 신호 생성부(232)는 설정된 화상 영역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1003b 단계에서 표시 제어부(233)는 생성된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에 표시된 화상을 설정된 화상 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에 적합하도록 화상 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터치에 의한 입력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변형된 상태에 적합하도록 화상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변형된 상태의 예로 나선 구조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다양한 의도 변형에 따라 자유롭게 화상을 표시할 수 있고, 변형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직접 사용자가 터치 신호를 입력하므로, 직관적으로 화상 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구조 변형에 맞추어, 화상 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영역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화상 영역이 2개 또는 3개의 화상 영역으로 분할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화상 영역은 본 발명이 실시되어지는 상황의 필요에 따라 4개 이상의 화상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영역이 몇 개로 분할되어지는가의 여부는 표시부(100)가 변형된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입력 신호를 표시 영역 상의 어느 위치에 입력하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디스플레이 장치
100: 표시부
200: 제어부
210: 신호 획득부
220: 결정부
230: 결정부
231: 화상 영역 결정부
232: 출력 신호 생성부
233: 표시 제어부

Claims (19)

  1. 터치를 입력 받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와 중첩되고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표시 영역 내의 화상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폐루프(closed loop)로 이루어지는 연속적인 터치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 입력되는, 상기 화상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폐루프의 내부 영역을 상기 화상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화상을 설정된 상기 화상 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영역 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설정된 상기 화상 영역에 상기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영역 제어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이 표시되는 좌표를, 기존의 상기 화상이 표시되어 있던 제1 좌표로부터 설정된 상기 화상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좌표로 변환함에 따라 생성되는 화상 영역 제어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획득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의 입력이 시작된 시간 또는 종료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가 상기 화상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인지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가 상기 화상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폐루프의 내부 영역을 상기 화상 영역으로 설정하는 화상 영역 제어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신호의 입력이 종료되는 시간으로부터, 제1 임계 시간 내에 그 다음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입력이 시작되면 상기 입력 신호들이 상기 화상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것으로 결정하는 화상 영역 제어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나선 구조로 변형 가능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나선 구조로 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에 연속적으로 입력됨에 따라, 상기 나선 구조로 변형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하나의 폐루프를 구성하는 화상 영역 제어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는 제1 입력 신호와 제2 입력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입력 신호와 상기 표시부의 제1 엣지부로부터 제1 화상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제2 입력 신호와 상기 표시부의 제2 엣지부로부터 제2 화상 영역을 설정하는 화상 영역 제어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부 상에서 서로 떨어져서 위치하는 서브 표시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상 영역은 상기 서브 표시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고, 상기 제2 화상 영역은 상기 서브 표시 영역들 중 다른 하나에 포함되는 화상 영역 제어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는 제3 입력 신호와 제4 입력 신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입력 신호와 제4 입력 신호 각각은 상기 제1 엣지부 및 상기 제1 엣지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2 엣지부 중 어느 하나에서부터 다른 하나로 이어지고 서로 대향하는 화상 영역 제어 방법.
  10. 터치를 입력 받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와 중첩되고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표시 영역 내의 화상 영역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폐루프(closed loop)로 이루어지는 연속적인 터치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 입력되는, 상기 화상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를 획득하는 신호 획득부;
    획득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폐루프의 내부 영역을 상기 화상 영역으로 설정하는 화상 영역 설정부; 및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화상을 설정된 상기 화상 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영역 제어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설정된 상기 화상 영역에 상기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출력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생성된 상기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화상 영역 제어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는 상기 화상이 표시되는 좌표를, 기존의 상기 화상이 표시되어 있던 제1 좌표로부터 설정된 상기 화상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좌표로 변환함에 따라 생성되는 화상 영역 제어 장치.
  13. 제10 항에 있어서,
    획득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의 입력이 시작된 시간 또는 종료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가 상기 화상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인지 결정하는 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상 영역 설정부는 상기 결정부에 의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가 상기 화상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폐루프의 내부 영역을 화상 영역으로 설정하는 화상 영역 제어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신호의 입력이 종료되는 시간으로부터, 제1 임계 시간 내에 그 다음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입력이 시작되면 상기 입력 신호들이 상기 화상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것으로 결정하는 화상 영역 제어 장치.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나선 구조로 변형 가능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나선 구조로 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에 연속적으로 입력됨에 따라, 상기 나선 구조로 변형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하나의 폐루프를 구성하는 화상 영역 제어 장치.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는 제1 입력 신호와 제2 입력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입력 신호와 상기 표시부의 제1 엣지부로부터 제1 화상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제2 입력 신호와 상기 표시부의 제2 엣지부로부터 제2 화상 영역을 설정하는 화상 영역 제어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부 상에서 서로 떨어져서 위치하는 서브 표시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상 영역은 상기 서브 표시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고, 상기 제2 화상 영역은 상기 서브 표시 영역들 중 다른 하나에 포함되는 화상 영역 제어 장치.
  18.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입력 신호는 제3 입력 신호와 제4 입력 신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입력 신호와 제4 입력 신호 각각은 상기 제1 엣지부 및 상기 제1 엣지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2 엣지부 중 어느 하나에서부터 다른 하나로 이어지고 서로 대향하는 화상 영역 제어 장치.
  19.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20125699A 2012-11-07 2012-11-07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83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699A KR102083981B1 (ko) 2012-11-07 2012-11-07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3/789,051 US9235290B2 (en) 2012-11-07 2013-03-07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ing area of flexibl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699A KR102083981B1 (ko) 2012-11-07 2012-11-07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071A true KR20140059071A (ko) 2014-05-15
KR102083981B1 KR102083981B1 (ko) 2020-03-04

Family

ID=50621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699A KR102083981B1 (ko) 2012-11-07 2012-11-07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35290B2 (ko)
KR (1) KR1020839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3677A (ko) * 2013-12-02 201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4391624B (zh) * 2014-12-15 2018-03-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操作输入方法及电子设备
KR102390437B1 (ko) * 2017-12-12 2022-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구동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0050A (ja) * 2004-07-28 2006-02-09 Olympus Corp 再生装置、カメラおよび再生装置の表示切換方法
US20080303782A1 (en) * 2007-06-05 2008-12-11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ptic enabled flexible touch sensitive surface
US20120032979A1 (en) * 2010-08-08 2012-02-09 Blow Anthony T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display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45705A1 (en) * 2006-03-30 2010-02-25 Roel Vertegaal Interaction techniques for flexible displays
KR20080104546A (ko) * 2007-05-28 2008-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서 실제 크기 프리뷰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397397B1 (ko) 2007-10-30 2014-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커플링을 이용한 영상 확대 시스템및 방법
US8677284B2 (en) * 2009-11-04 2014-03-18 Alpine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displaying contents in a user interface
DE102009058145A1 (de) * 2009-12-12 2011-06-16 Volkswagen Ag Bedienverfahren für eine Anzeigevorrichtung eines Fahrzeugs
US20120050314A1 (en) 2010-09-01 2012-03-01 Panavio Technology Limited Automatic split-screen controller
KR101251547B1 (ko) 2010-11-04 2013-04-08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터치센서를 이용한 화면이동시스템 및 방법
KR20110124745A (ko) 2011-11-01 2011-11-17 안재석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바이스에서 화면 회전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116567B2 (en) * 2012-04-25 2015-08-2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the display of content on an electronic device
JP2014147511A (ja) * 2013-01-31 2014-08-21 Gree Inc プログラム、表示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0050A (ja) * 2004-07-28 2006-02-09 Olympus Corp 再生装置、カメラおよび再生装置の表示切換方法
US20080303782A1 (en) * 2007-06-05 2008-12-11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ptic enabled flexible touch sensitive surface
US20120032979A1 (en) * 2010-08-08 2012-02-09 Blow Anthony T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display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981B1 (ko) 2020-03-04
US20140125604A1 (en) 2014-05-08
US9235290B2 (en) 201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185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м интерфейсом на основе движений
US11443453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planes and/or quadtrees for use as a virtual substrate
US9013368B1 (en) Foldable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0169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240619B2 (ja) 画面に表示された客体のサイズ調整方法及び装置
KR102378570B1 (ko)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변경방법
US201401845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ual display
KR2014009205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JP5620440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74244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40098904A (ko)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20110148774A1 (en) Handling Tactile Inputs
CN103258491A (zh) 一种控制电子设备的方法及电子设备
CN103914258A (zh) 移动终端及其操作方法
KR20140074141A (ko)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JP2010092086A (ja) ユーザ入力装置、デジタルカメラ、入力制御方法、およ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KR10210395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영역 제어 방법,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EP39335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bending state of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15140395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ligining images viewed across multiple displays
CN104699249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20140059071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40009461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vement of Objects in a Stereoscopic Display
CN104423919A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208454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117107A (ko) 듀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