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9460A - 동축 커넥터 및 커넥터 유닛 - Google Patents

동축 커넥터 및 커넥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9460A
KR20140049460A KR1020130108289A KR20130108289A KR20140049460A KR 20140049460 A KR20140049460 A KR 20140049460A KR 1020130108289 A KR1020130108289 A KR 1020130108289A KR 20130108289 A KR20130108289 A KR 20130108289A KR 20140049460 A KR20140049460 A KR 20140049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connector
mating
fpc
connection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8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6880B1 (ko
Inventor
오사무 하시구치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9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2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flat conductive elements, e.g. flat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4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for shielded flat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동축 커넥터 (10) 는 접지 전도체 (63) 및 신호 전도체 (62) 를 가지는 연결 대상물 (60) 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메이팅 커넥터 (70) 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동축 커넥터 (10) 는 연결 대상물 (60) 을 유지하기 위한 쉘 (20) 을 갖는다. 쉘 (20) 은 배럴형 쉘 콘택트부 (31) 를 가지는 제 1 쉘 부분 (30), 쉘 연결부 (43, 44) 를 가지는 제 2 쉘 부분 (40), 동축 커넥터 (10) 와 메이팅 커넥터 (70) 의 끼움 방향으로 보았을 때 연결 대상물 (60) 의 신호 전도체 (62) 의 콘택트부 (62A) 가 배럴형 쉘 콘택트부 (31) 내부에 위치하도록 연결 대상물 (60) 을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부 (42, 45, 47, 48), 및 연결 대상물 (60) 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48)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축 커넥터 및 커넥터 유닛 {COAXIAL CONNECTOR AND CONNECTOR UNIT}
본 출원은 2012 년 10 월 17 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2-229921 호를 기초로 우선권 이익을 주장하고, 이 특허 출원의 내용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된다.
본 발명은 동축 커넥터 및 커넥터 유닛에 관한 것이고, 특히 평판부를 가지는 연결 대상물을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 에 나타난 것처럼, 동축 케이블 (150) 의 내부 전도체 (151) 에 연결되도록 된 연결 단자 (120), 동축 케이블 (150) 의 외부 전도체 (152) 에 연결되도록 된 금속 쉘 (130; metal shell), 및 연결 단자 (120) 와 쉘 (130) 사이에 개재된 절연부 (140) 를 포함하는 동축 커넥터 (110) 가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JP-A-2002-324636 참조). 도 1 에서, 도면부호 153 은 동축 케이블 (150) 의 외부 재킷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154 는 동축 케이블 (150) 의 절연체를 나타낸다.
그러나, JP-A-2002-324636 의 동축 커넥터에 대해, 동축 케이블 (150) 을 동축 커넥터 (110) 에 연결할 때, 동축 케이블 (150) 의 외부 전도체 (차폐 와이어; 152) 의 연결 작업이 복잡하여서, 조립 단계의 수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JP-A-2002-324636 의 동축 커넥터 (110) 에 대해, 메이팅 커넥터 (미도시) 의 메이팅 콘택트 (미도시) 와 접촉하기 위한 연결 단자 (120) 가 제공되므로, 이 연결 단자 (120) 에 대응하는 부품의 수가 증가하여서, 동축 커넥터 (110) 의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고 동축 커넥터 (110) 의 소형화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의 수, 제조 비용, 및 조립 단계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커넥터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고 또한 이런 동축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가 제공되며, 이 동축 커넥터는 접지 전도체, 및 연결 대상물의 평판부의 정면에 배치된 신호 전도체를 가지는 상기 연결 대상물을 유지하면서 메이팅 커넥터에 끼워지도록 되어서, 상기 연결 대상물과 상기 메이팅 커넥터 간 전기 접속을 달성하고, 상기 동축 커넥터는 상기 연결 대상물을 유지하기 위한 전도성 쉘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쉘은: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메이팅 쉘과 접촉하기 위한 중공의 원통형 또는 각기둥 형상의 쉘 콘택트부를 가지는 제 1 쉘 부분; 상기 연결 대상물의 상기 접지 전도체에 연결하기 위한 쉘 연결부를 가지는 제 2 쉘 부분; 상기 연결 대상물의 상기 신호 전도체의 콘택트부가 상기 동축 커넥터와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끼움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쉘 콘택트부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 대상물을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부; 및 상기 연결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한다.
도 1 은 관련된 동축 커넥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사용 방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은 동축 커넥터에 연결 대상물을 부착하는 중간 스테이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는 동축 커넥터로 연결 대상물의 부착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는 동축 커넥터를 형성하는 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은 연결 대상물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 은 메이팅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은 메이팅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메이팅 커넥터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에 연결 대상물을 부착하는 중간 스테이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에 연결 대상물의 부착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에 나타난 것처럼, 연결 대상물로서 FPC (가요성 인쇄 회로; 60) 를 유지할 때,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커넥터 (10) 는 메이팅 커넥터 (70) 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어서, FPC (60) 와 메이팅 커넥터 (70) 사이에 전기 접속을 달성한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난 것처럼, 동축 커넥터 (10) 는 FPC (60) 를 유지하기 위한 전도성 쉘 (20) 을 포함한다.
쉘 (20) 은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되고, 도 5 에 나타난 것처럼, 제 1 쉘 부분 (30), 제 2 쉘 부분 (40), 및 제 1 쉘 부분 (30) 과 제 2 쉘 부분 (40) 을 함께 결합하는 결합부 (50) 를 포함하며, 제 1 쉘 부분, 제 2 쉘 부분 및 결합부는 함께 일체로 형성된다.
도 5 에 나타난 것처럼, 쉘 (20) 의 제 1 쉘 부분 (30) 은 메이팅 커넥터 (70) 의 메이팅 쉘 (72; 도 7 참조) 과 접촉하기 위한 배럴형 쉘 콘택트부 (31) 및 제 2 쉘 부분 (40) 에 제 1 쉘 부분 (30) 을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제 1 로킹부 (32) 를 갖는다.
도 5 에 나타난 것처럼, 쉘 콘택트부 (31) 는 슬릿부 (31A) 를 가지고 형성된다. 이 슬릿부 (31A) 를 형성함으로써, 탄력성 (springiness) 이 쉘 콘택트부 (31) 에 부여된다. 구체적으로, 배럴형 쉘 콘택트부 (31) 는 동축 커넥터 (10) 를 메이팅 커넥터 (70) 에 끼울 때 메이팅 쉘 (72) 의 메이팅 끼움부 (72C, 도 7 참조) 로 인해 일단 팽창한 후 메이팅 커넥터 (70) 로 끼움이 완료되었을 때 쉘 콘택트부의 초기 형상으로 복귀된다. 이런 식으로, 탄력성이 쉘 콘택트부 (31) 에 부여된다. 또한, 도 5 에 나타난 것처럼, 쉘 콘택트부 (31) 에는 그것의 내주연에 끼움부 (31B) 가 형성되며, 이 끼움부는 동축 커넥터 (10) 가 메이팅 커넥터 (70) 에 끼워질 때 메이팅 쉘 (72) 의 메이팅 끼움부 (72C) 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난 것처럼, 제 1 로킹부 (32) 는 각각 제 2 쉘 부분 (40) 의 한 쌍의 제 2 로킹부 (46) 중 대응하는 하나와 맞물리도록 되어 있어서, 제 1 쉘 부분 (30) (쉘 콘택트부 (31)) 을 제 2 쉘 부분 (40) 에 고정한다. 이런 식으로, 제 1 로킹부 (32) 와 제 2 로킹부 (46) 는 쉘 콘택트부 (31) 를 제 2 쉘 부분 (40) 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형성한다.
도 5 에 나타난 것처럼, 쉘 (20) 의 제 2 쉘 부분 (40) 은 몸체부 (41), 한 쌍의 측벽부 (42), 제 1 스프링부 (43), 한 쌍의 제 2 스프링부 (44), 한 쌍의 맞물림부 (45), 한 쌍의 제 2 로킹부 (46),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47), 및 한 쌍의 고정부 (48) 를 갖는다.
몸체부 (41) 는 도면에서 상면에 FPC (60) 를 배치하기 위한 판상부이다. 도 5 에 나타난 것처럼, 측벽부 (42) 는 몸체부 (41) 의 폭 방향으로 양측에서 몸체부 (41) 에 수직으로 형성된 판상부이다.
도 5 에 나타난 것처럼, 제 1 스프링부 (43) 는, 동축 커넥터 (10) 및 메이팅 커넥터 (70) 가 함께 끼워지는 끼움 방향으로 탄성 변형가능하도록 몸체부 (41) 에 의해 캔틸레버식으로 지지된다.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FPC (60) 를 유지하는 동축 커넥터 (10) 및 메이팅 커넥터 (70) 가 함께 끼워질 때, 제 1 스프링부 (43) 는 도면에서 상면에 배치된 FPC (60) 를 메이팅 커넥터 (70) 를 향해 밀어준다. 결과적으로, FPC (60) 의 콘택트부 (62A; 도 6 참조) 및 메이팅 커넥터 (70) 의 신호 콘택트부 (71A; 도 7 참조) 는 서로 확실히 접촉하게 될 수 있다. FPC (60) 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동축 커넥터 (10) 에 부착될 때 제 1 스프링부 (43) 가 FPC (60) 의 접지 연결부 (63A; 도 6 참조) 와 접촉하게 되도록 일 위치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제 1 스프링부 (43) 는 FPC (60) 의 접지 전도체 (63; 도 6 참조) 에 연결하기 위한 쉘 연결부로서 또한 역할을 한다.
도 5 에 나타난 것처럼, 제 2 스프링부 (44) 는 몸체부 (41) 에 형성된다. 쉘 (20) 에 배치된 FPC (60) 가 고정부 (48) 에 의해 고정될 때 제 2 스프링부 (44) 는 FPC (60) 의 접지 전도체 (63) 를 도면에서 상부로 밀도록 되어 있다. 제 2 스프링부 (44) 는 고정부 (48) 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쉘 (20) 과 FPC (60) 의 접지 전도체 (63) 는 서로 확실히 접촉하게 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제 2 스프링부 (44) 는 FPC (60) 의 접지 전도체 (63) 에 연결하기 위한 쉘 연결부로서 또한 역할을 한다. 제 2 스프링부 (44) 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몸체부 (41) 의 부분 (41A) 은 쉘 연결부로서 역할을 한다.
도 5 에 나타난 것처럼, 맞물림부 (45) 는 각각 측벽부 (42) 에 형성된다. 맞물림부 (45) 는 FPC (60) 의 한 쌍의 컷아웃부 (66; 도 6 참조) 와 각각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 에 나타난 것처럼, FPC (60) 가 쉘 (20) 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맞물림부 (45) 는 FPC (60) 의 컷아웃부 (66) 로 진입하여 FPC (60) 의 길이방향으로 FPC (60) 와 맞물린다. 결과적으로, 맞물림부 (45) 는 길이방향으로 FPC (60) 의 운동을 막아서 FPC (60) 가 쉘 (20) 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쉘 (20) 에 대한 FPC (60) 의 위치결정을 달성한다. 이런 식으로, 맞물림부 (45) 는 쉘 (20) 에 대해 FPC (60) 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부로서 또한 역할을 한다.
도 5 에 나타난 것처럼, 제 2 로킹부 (46) 는 각각 측벽부 (42) 에 형성된다. 제 2 로킹부 (46) 는 제 1 로킹부 (32) 와 각각 맞물리도록 되어 있어서, 제 1 쉘 부분 (30) 및 제 2 쉘 부분 (40) 을 함께 고정한다.
도 5 에 나타난 것처럼,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47) 는 몸체부 (41) 에 형성된다. 돌출부 (47) 는 FPC (60) 를 쉘 (20) 에 부착할 때 FPC (60) 를 가이드하고 FPC (60) 를 쉘 (20) 에 부착 (특히, FPC (60) 의 콘택트부 (62A) 의 위치결정) 한 후에 FPC (60) 의 위치결정을 달성하는 역할을 한다. 한 쌍의 돌출부 (47) 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 폭 방향 (FPC (60) 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 으로 FPC (60) 의 평판부 (61; 도 6 참조) 를 끼워넣는다면, FPC (60) 의 콘택트부 (62A) 의 위치결정은 보다 신뢰성있게 수행될 수 있다.
도 5 에 나타난 것처럼, 고정부 (48) 는 측벽부 (42) 에 각각 형성된다. 고정부 (48) 는 FPC (60) 를 쉘 (20) 에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에 나타난 것처럼, 고정부 (48) 의 자유 단부측이 FPC (60) 의 평판부 (61) 의 정면측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FPC (60) 가 쉘 (20) 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된 후 고정부 (48) 가 코킹 (벤딩) 되어서, FPC (60) 를 쉘 (20) 에 고정한다.
도 6 에 나타난 것처럼, FPC (60) 는 기다란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 절연 평판부 (61), 평판부 (61) 의 정면측에서 평면 형상 (박막 형상) 으로 형성된 신호 전도체 (62), 평판부 (61) 의 후면측에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접지 전도체 (63), 신호 전도체 (62) 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평판부 (61) 의 정면측에 형성된 전방측 절연층 (64), 접지 전도체 (63) 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평판부 (61) 의 후면측에 형성된 후방측 절연층 (65), 및 FPC (60) 의 폭 방향으로 양측에 형성된 컷아웃부 (66) 를 갖는다.
도 6 에 나타난 것처럼, 신호 전도체 (62) 는 메이팅 커넥터 (70) 의 메이팅 콘택트 (71; 도 7 참조) 와 접촉하기 위한 콘택트부 (62A) 를 갖는다. 콘택트부 (62A) 는 전방측 절연층 (64) 으로 덮여있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다.
도 6 에 나타난 것처럼, 접지 전도체 (63) 는 쉘 (20) 의 쉘 연결부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스프링부 (43) 및 제 2 스프링부 (44)) 에 연결하기 위한 접지 연결부 (63A) 를 갖는다. 접지 연결부 (63A) 는 후방측 절연층 (65) 으로 덮여있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다.
메이팅 커넥터 (70) 는 인쇄 기판 (미도시), FPC (미도시) 등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고 플러그 커넥터로서 동축 커넥터 (10) 에 끼워져 전기 접속되도록 된 리셉터클 커넥터이다.
도 7 및 도 8 에 나타난 것처럼, 메이팅 커넥터 (70) 는 FPC (60) 의 신호 전도체 (62) 에 연결되도록 된 전도성 메이팅 콘택트 (71), 동축 커넥터 (10) 의 쉘 (20) 에 연결되도록 된 전도성 메이팅 쉘 (72), 및 메이팅 콘택트 (71) 와 메이팅 쉘 (72) 을 유지하고 그것을 서로 절연시키는 절연 메이팅 하우징 (73) 을 포함한다. 메이팅 쉘 (72) 은 메이팅 콘택트 (71) 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도 7 및 도 8 에 나타난 것처럼, 메이팅 콘택트 (71) 는 FPC (60) 의 콘택트부 (62A) 와 접촉하기 위한 신호 콘택트부 (71A), 납땜 등에 의해 인쇄 기판, FPC 등의 전극 패드 (미도시) 에 연결되도록 된 신호 연결부 (71B), 및 신호 콘택트부 (71A) 와 신호 연결부 (71B) 사이에 형성된 스프링부 (71C) 를 갖는다.
이 실시형태에서, 도 8 에 나타난 것처럼, 메이팅 콘택트 (71) 가 스프링부 (71C) 를 가지므로, 동축 커넥터와 메이팅 커넥터가 함께 끼워질 때 신호 콘택트부 (71A) 는 동축 커넥터 (10) 와 메이팅 커넥터 (70) 의 끼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하지만, 전술한 대로, FPC (60) 의 콘택트부 (62A) 와 메이팅 커넥터 (70) 의 신호 콘택트부 (71A) 간 접촉 신뢰도는 쉘 (20) 의 제 1 스프링부 (43) 에 의해 보장된다. 따라서, 도 9 에 나타난 것처럼, 메이팅 콘택트 (71) 는 스프링부 (71C) 를 가지지 않을 수도 있고 메이팅 콘택트 (71) 의 신호 콘택트부 (71A) 는 메이팅 하우징 (73) 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 에 나타난 것처럼, 메이팅 쉘 (72) 은 쉘 (20) 의 쉘 콘택트부 (31) 와 접촉하기 위한 접지 콘택트부 (72A), 및 납땜 등에 의해 인쇄 기판, FPC 등의 전기 패드 (미도시) 에 연결되도록 된 접지 연결부 (72B) 를 갖는다. 접지 콘택트부 (72A) 에는 그것의 외주연에 메이팅 끼움부 (72C) 가 형성되고, 이 메이팅 끼움부는 쉘 (20) 의 쉘 콘택트부 (31) 의 끼움부 (31B; 도 5 참조) 에 일치하는 형상을 갖는다.
다음으로, 동축 커넥터 (10) 에 FPC (60) 를 부착하는 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도 3 에 나타난 것처럼, 제 1 쉘 부분 (30) 이 제 2 쉘 부분 (40) 과 약간 이격되도록 제 1 로킹부 (32) 와 제 2 로킹부 (46) 가 서로 맞물리지 않는 상태에서 FPC (60) 가 쉘 (20) 에 대해 삽입되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쉘 (20) 의 맞물림부 (45) 가 FPC (60) 의 컷아웃부 (66) 로 진입하고 또한 FPC (60) 의 전방 말단부가 제 1 쉘 부분 (30) 과 제 2 쉘 부분 (40) 사이로 (쉘 콘택트부 (31) 와 제 1 스프링부 (43) 사이로) 진입하도록 FPC (60) 가 쉘 (20) 에 대해 삽입된다. 이 경우에, 쉘 (20) 의 측벽부 (42), 돌출부 (47), 고정부 (48) 등은 FPC (60) 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로서 역할을 한다.
FPC (60) 가 쉘 (20) 에 대해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FPC (60) 의 콘택트부 (62A) 가 동축 커넥터 (10) 및 메이팅 커넥터 (70) 의 끼움 방향으로 보았을 때 배럴형 쉘 콘택트부 (31) 내부에 위치하도록 FPC (60) 는 쉘 (20) 에 의해 위치결정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쉘 (20) 의 측벽부 (42), 맞물림부 (45), 돌출부 (47), 고정부 (48) 등은 FPC (60) 의 위치결정을 위한 위치결정부로서 역할을 한다. 이런 위치결정부는 그것이 FPC (60) (특히 콘택트부 (62A)) 를 적절히 위치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한 임의의 특정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본원에서, FPC (60) 가 쉘 (20) 에 대해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전방측 절연층 (64) 이 배럴형 쉘 콘택트부 (31) 와 신호 전도체 (62) 사이에 개재되도록 FPC (60) 의 절연 평판부 (61) 와 전방측 절연층 (64) 에 의해 쉘 (20) 과 FPC (60) 의 신호 전도체 (62) (콘택트부 (62A)) 가 서로 절연된다.
끝으로, 도 4 에 나타난 것처럼, 제 1 로킹부 (32) 및 제 2 로킹부 (46) 가 서로 맞물리고 고정부 (48) 는 코킹되어서, FPC (60) 를 쉘 (20) 에 고정한다.
위의 설명에서, 도 3 에 나타난 것처럼, 제 1 쉘 부분 (30) 이 제 2 쉘 부분 (40) 으로부터 약간 이격되도록 제 1 로킹부 (32) 및 제 2 로킹부 (46) 가 서로 맞물리지 않는 상태에서 동축 커넥터 (10) 로 FPC (60) 의 부착이 개시된다. 하지만, 제 1 쉘 부분 (30) 이 제 2 쉘 부분 (40) 에 고정되도록 제 1 로킹부 (32) 및 제 2 로킹부 (46) 가 미리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FPC (60) 는 동축 커넥터 (10) 에 대해 삽입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미리 정해진 위치에 FPC (60) 를 유지하는 동축 커넥터 (10) 에 메이팅 커넥터 (70) 를 연결하는 방법을 도 2, 도 4, 도 5 및 도 7 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도 2 에 나타난 것처럼, 메이팅 커넥터 (70) 의 신호 콘택트부 (71A) 와 FPC (60) 의 콘택트부 (62A) 가 서로 대향한 상태에서, 쉘 (20) 의 배럴형 쉘 콘택트부 (31) 는 메이팅 커넥터 (70) 에 끼워진다.
이 경우에, 슬릿부 (31A) 는 배럴형 쉘 콘택트부 (31) 에 형성되므로, 메이팅 커넥터 (70) 의 삽입으로 인해 배럴형 쉘 콘택트부 (31) 가 일단 팽창된 후, 쉘 콘택트부 (31) 의 끼움부 (31B) 및 메이팅 쉘 (72) 의 메이팅 끼움부 (72C) 가 함께 끼워질 때, 배럴형 쉘 콘택트부 (31) 는 그것의 초기 형상으로 복귀된다.
이런 식으로, 동축 커넥터 (10) 와 메이팅 커넥터 (70) 는, 단일 작동에 의해, 즉 쉘 콘택트부 (31) 로 메이팅 커넥터 (70) 를 삽입함으로써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이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10) 에 따르면, FPC (60) 를 동축 커넥터 (10) 에 부착할 때, 전술한 관련 기술에서 필요한, 동축 케이블의 차폐 와이어의 연결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서, 조립 단계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쉘 (20) 에 의해 유지되는 FPC (60) 의 콘택트부 (62A) 가 메이팅 콘택트 (71) 와 접촉을 위한 콘택트로서 사용되므로, FPC (60) 의 신호 전도체 (62) 와 메이팅 콘택트 (71) 간 연결을 위한 콘택트를 별도로 제공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동축 커넥터 (10) 의 부품의 수와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동축 커넥터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쉘 (20) 의 맞물림부 (45) 는 FPC (60) 가 쉘 (20) 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및 쉘 (20) 에 대해 FPC (60) 를 위치결정하는 기능 둘 다 가지고 있으므로, 쉘 (20) 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FPC (60) 의 평면 콘택트부 (62A) 와 메이팅 커넥터 (70) 의 신호 콘택트부 (71A) 가 쉘 (20) 의 제 1 스프링부 (43) 를 사용해 서로 접촉하게 되므로, 동축 커넥터 (10) 및 메이팅 커넥터 (70) 의 끼움 방향으로 동축 커넥터 (10) 의 높이 감소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쉘 (20) 의 제 1 스프링부 (43) 는 FPC (60) 의 접지 전도체 (63) 에 연결하기 위한 쉘 연결부로서 또한 역할을 하므로, 연결 단계의 수를 감소시키고 또한 쉘 (20) 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FPC (60) 의 평판부 (61) 와 전방측 절연층 (64) 이 쉘 (20) 과 FPC (60) 의 신호 전도체 (62) 를 서로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체로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쉘 (20) 과 FPC (60) 의 신호 전도체 (62) 간 절연을 위한 절연체를 별도로 제공할 필요가 없다.
다음,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10 및 도 11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제 2 실시형태 사이의 차이점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품에는 제 1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한 도면부호가 지정된다.
본원에서,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는 주로 FPC (60) 를 쉘 (20) 에 고정하는 방법이 서로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제 1 실시형태에서, 도 3 및 도 4 에 나타난 것처럼, FPC (60) 가 쉘 (20) 에 배치된 후, 고정부 (48) 의 자유 단부측이 FPC (60) 를 직접 덮도록 쉘 (20) 의 고정부 (48) 가 코킹되어서, FPC (60) 를 쉘 (20) 에 고정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제 2 실시형태에서,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난 것처럼, FPC (60) 는 쉘 (20) 의 제 1 쉘 부분 (30) 과 제 2 쉘 부분 (40) 사이에 끼워진 후 고정부 (48') 의 자유 단부측이 쉘 (20) 의 프레임부 (33) 를 덮도록 쉘 (20) 의 한 쌍의 고정부 (48') 가 코킹되어서, FPC (60) 가 쉘 (20) 에 고정되도록 제 1 쉘 부분 (30) 과 제 2 쉘 부분 (40) 을 함께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제 2 실시형태에서,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난 것처럼, 쉘 (20) 의 제 1 쉘 부분 (30) 은 배럴형 쉘 콘택트부 (31), 쉘 콘택트부 (31) 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된 프레임부 (33), 및 프레임부 (33) 에 형성되고 FPC (60) 의 한 쌍의 컷아웃부 (66) 와 각각 맞물리도록 된 한 쌍의 맞물림부 (34) 를 갖는다. 맞물림부 (34) 는 제 1 실시형태의 맞물림부 (45) 와 동일한 방식으로 역할하므로, 그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난 것처럼, 쉘 (20) 의 제 2 쉘 부분 (40) 은 몸체부 (41), 한 쌍의 측벽부 (42), 제 1 스프링부 (43), 및 한 쌍의 고정부 (48') 를 갖는다. 도 11 에 나타난 것처럼, 고정부 (48') 의 자유 단부측이 제 1 쉘 부분 (30) 의 프레임부 (33) 를 덮도록 FPC (60) 가 제 1 쉘 부분 (30) 과 제 2 쉘 부분 (40) 사이에 끼워진 후 고정부 (48') 가 코킹되어서, 제 1 쉘 부분 (30) 과 제 2 쉘 부분 (40) 을 함께 고정하여 FPC (60) 를 쉘 (20) 에 고정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 도 10 에 나타난 것처럼, 쉘 (20) 이 제 1 실시형태에서처럼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 1 쉘 부분 (30) 과 제 2 쉘 부분 (40) 을 함께 결합하는 결합부 (50) 가 제공된다.
제 2 실시형태에서, 제 1 스프링부 (43), 및 몸체부 (41) 중 도 10 에서 도면부호 41A 로 나타낸 부분이 FPC (60) 의 접지 전도체 (63) 에 연결하기 위한 쉘 연결부로서 역할을 한다. 또한, 고정부 (48') 는 제 1 쉘 부분 (30) (쉘 콘택트부 (31)) 을 제 2 쉘 부분 (40) 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으로서 역할을 한다. 또한, 쉘 (20) 의 맞물림부 (34), 프레임부 (33), 측벽부 (42) 등은 쉘 (20) 에 대해 FPC (60) (특히 콘택트부 (62A)) 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부로서 역할을 한다.
전술한 실시형태들에서는, 동축 커넥터의 쉘에 의해 유지되는 연결 대상물이 FPC (가요성 인쇄 회로) 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되었다. 하지만, 연결 대상물이 접지 전도체 및 평판부의 표면에 배치된 신호 전도체를 갖는 한 그것은 어떠한 연결 대상물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대상물은 FFC (가요성 평면 케이블) 일 수도 있다. 또한, 평판부가 얇은 FPC 또는 FFC 가 연결 대상물의 예로서 위에서 인용되었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연결 대상물의 평판부는 임의의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들에서는, 신호 전도체가 연결 대상물 (FPC) 의 정면측에 형성되고 접지 전도체는 연결 대상물 (FPC) 의 후면측에 형성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되었다. 하지만, 접지 전도체는 쉘과 원활한 연결을 보장할 수 있기만 하면 접지 전도체는 어떤 위치에서도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지 전도체는, 신호 전도체가 형성되는 연결 대상물 (FPC) 의 정면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제 1 실시형태의 고정부 (48) 의 자유 단부 또는 제 2 실시형태의 프레임부 (33) 는 쉘 연결부로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들에서, 제 1 쉘 부분 (30) 과 제 2 쉘 부분 (40) 은 결합부 (50) 에 의해 일체화된다. 하지만, 제 1 쉘 부분 (30) 과 제 2 쉘 부분 (40) 은 분리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제 1 쉘 부분 (30) 과 제 2 쉘 부분 (40) 을 함께 로킹하기 위한 로킹부는 결합부 (50) 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제 1 쉘 부분 (30) 과 제 2 쉘 부분 (40) 에 각각 제공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들에서, 쉘 콘택트부 (31) 와 접지 콘택트부 (72A) 는 각각 배럴 형상, 즉 중공의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하지만, 그것은 중공의 다각형 (직사각형, 육각형 등) 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지 않고 그것의 일부 또는 전부가 또한 다음 보주 (supplementary notes) 로서 설명될 수 있지만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주 1)
동축 커넥터 (10) 로서,
접지 전도체 (63), 및 연결 대상물의 평판부 (61) 의 정면에 배치된 신호 전도체 (62) 를 가지는 상기 연결 대상물 (60) 을 유지하면서 메이팅 커넥터 (70) 에 끼워지도록 되어서, 상기 연결 대상물과 상기 메이팅 커넥터 (70) 간 전기 접속을 달성하고,
상기 동축 커넥터는 상기 연결 대상물을 유지하기 위한 전도성 쉘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쉘 (20) 은: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메이팅 쉘 (72) 과 접촉하기 위한 중공의 원통형 또는 각기둥 형상의 쉘 콘택트부 (31) 를 가지는 제 1 쉘 부분 (30);
상기 연결 대상물의 상기 접지 전도체에 연결하기 위한 쉘 연결부 (43, 44) 를 가지는 제 2 쉘 부분 (40);
상기 연결 대상물의 상기 신호 전도체의 콘택트부 (62A) 가 상기 동축 커넥터와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끼움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쉘 콘택트부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 대상물을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부 (42, 45, 47, 48); 및
상기 연결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48) 를 포함하는, 동축 커넥터.
본 발명에서는, 연결 대상물을 동축 커넥터에 부착할 때 전술한 관련 기술에서 필요한 동축 케이블의 차폐 와이어의 연결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서, 조립 단계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쉘에 의해 유지되는 연결 대상물의 신호 전도체의 콘택트부가 메이팅 커넥터의 메이팅 콘택트와 접촉하기 위한 콘택트로서 사용되므로, 연결 대상물의 신호 전도체와 메이팅 커넥터의 메이팅 콘택트 간 연결을 위한 콘택트를 별도로 제공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동축 커넥터의 부품의 수와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동축 커넥터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보주 2)
보주 1 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쉘은 상기 쉘 콘택트부를 상기 제 2 쉘 부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32, 46, 48') 를 가지는, 동축 커넥터.
(보주 3)
보주 1 또는 보주 2 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쉘은, 상기 연결 대상물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 대상물과 맞물리도록 된 맞물림부를 가지고, 상기 맞물림부는 또한 상기 위치결정부로서 역할을 하는, 동축 커넥터.
(보주 4)
보주 1 내지 보주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쉘은, 상기 연결 대상물이 상기 위치결정부에 의해 위치결정될 때 상기 연결 대상물의 상기 평판부의 후면과 대향한 위치에 형성된 스프링부를 가지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연결 대상물의 상기 신호 전도체의 상기 콘택트부를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메이팅 콘택트를 향하여 밀도록 된, 동축 커넥터.
(보주 5)
보주 4 에 있어서, 상기 연결 대상물의 상기 접지 전도체는 상기 연결 대상물의 상기 평판부의 상기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부는 또한 상기 쉘 연결부로서 역할을 하는, 동축 커넥터.
(보주 6)
보주 1 내지 보주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쉘은 상기 제 1 쉘 부분과 상기 제 2 쉘 부분을 함께 결합하는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쉘 부분, 상기 제 2 쉘 부분, 및 상기 결합부는 일체로 함께 형성되는, 동축 커넥터.
(보주 7)
보주 1 내지 보주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쉘 콘택트부에는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상기 메이팅 쉘에 끼우기 위한 끼움부가 형성되는, 동축 커넥터.
(보주 8)
보주 1 내지 보주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동축 커넥터 및 상기 연결 대상물을 포함하는, 커넥터 유닛.
(보주 9)
보주 1 내지 보주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동축 커넥터 및 상기 메이팅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유닛.
본 발명은 그것의 예시적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특히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은 청구항에 정의된 대로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형태 및 세부사항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9)

  1. 동축 커넥터로서,
    접지 전도체, 및 연결 대상물의 평판부의 정면에 배치된 신호 전도체를 가지는 상기 연결 대상물을 유지하면서 메이팅 커넥터에 끼워지도록 되어서, 상기 연결 대상물과 상기 메이팅 커넥터 간 전기 접속을 달성하고,
    상기 동축 커넥터는 상기 연결 대상물을 유지하기 위한 전도성 쉘 (shell) 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쉘은: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메이팅 쉘과 접촉하기 위한 중공의 원통형 또는 각기둥 형상의 쉘 콘택트부를 가지는 제 1 쉘 부분;
    상기 연결 대상물의 상기 접지 전도체에 연결하기 위한 쉘 연결부를 가지는 제 2 쉘 부분;
    상기 연결 대상물의 상기 신호 전도체의 콘택트부가 상기 동축 커넥터와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끼움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쉘 콘택트부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 대상물을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부; 및
    상기 연결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동축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쉘은 상기 쉘 콘택트부를 상기 제 2 쉘 부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가지는, 동축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쉘은, 상기 연결 대상물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 대상물과 맞물리도록 된 맞물림부를 가지고,
    상기 맞물림부는 또한 상기 위치결정부로서 역할을 하는, 동축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쉘은, 상기 연결 대상물이 상기 위치결정부에 의해 위치결정될 때 상기 연결 대상물의 상기 평판부의 후면과 대향한 위치에 형성된 스프링부를 가지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연결 대상물의 상기 신호 전도체의 상기 콘택트부를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메이팅 콘택트를 향하여 밀도록 된, 동축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대상물의 상기 접지 전도체는 상기 연결 대상물의 상기 평판부의 상기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부는 또한 상기 쉘 연결부로서 역할을 하는, 동축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쉘은 상기 제 1 쉘 부분과 상기 제 2 쉘 부분을 함께 결합하는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쉘 부분, 상기 제 2 쉘 부분, 및 상기 결합부는 일체로 함께 형성되는, 동축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쉘 콘택트부에는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상기 메이팅 쉘에 끼우기 위한 끼움부가 형성되는, 동축 커넥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축 커넥터 및 상기 연결 대상물을 포함하는, 커넥터 유닛.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축 커넥터 및 상기 메이팅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유닛.
KR1020130108289A 2012-10-17 2013-09-10 동축 커넥터 및 커넥터 유닛 KR1015168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29921 2012-10-17
JP2012229921A JP5943806B2 (ja) 2012-10-17 2012-10-17 同軸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460A true KR20140049460A (ko) 2014-04-25
KR101516880B1 KR101516880B1 (ko) 2015-05-04

Family

ID=50475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289A KR101516880B1 (ko) 2012-10-17 2013-09-10 동축 커넥터 및 커넥터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33732B2 (ko)
JP (1) JP5943806B2 (ko)
KR (1) KR101516880B1 (ko)
CN (1) CN1037797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2974A (ja) * 2013-07-23 2015-02-02 Smk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装置
US9405331B2 (en) * 2014-08-07 2016-08-02 Dell Products L.P. Cable grounding system for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JP6576798B2 (ja) * 2015-11-13 2019-09-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8365360B (zh) * 2017-01-20 2020-06-16 第一精工株式会社 电连接器、及电连接器的锁定部件
JP7096966B2 (ja) * 2018-02-13 2022-07-07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平角線の先端部構造の製造方法
CN109256638B (zh) * 2018-08-16 2020-06-16 安徽信息工程学院 粘贴式的接线装置
JP7151868B2 (ja) * 2019-03-18 2022-10-12 I-Pex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装置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CN215418638U (zh) * 2019-05-10 2022-01-04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同轴连接器组的接地连接构造及同轴连接器组
KR102355290B1 (ko) * 2020-05-25 2022-01-25 주식회사 센서뷰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1973U (ko) * 1987-04-27 1988-11-09
JPH0450667Y2 (ko) * 1987-11-06 1992-11-30
JPH02167U (ko) * 1988-06-10 1990-01-05
JP3293806B2 (ja) 1999-09-28 2002-06-17 エヌイーシー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のレセプタクル
US6416357B1 (en) * 2001-03-12 2002-07-0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end connector with low profile after assembly
JP4148339B2 (ja) 2001-04-26 2008-09-10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同軸コネクタ
JP2003282195A (ja) * 2002-03-22 2003-10-03 Jst Mfg Co Ltd 同軸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同軸コネクタ
JP3938701B2 (ja) * 2002-03-22 2007-06-2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ハウジングおよびそれを備えた同軸コネクタ
US6971913B1 (en) * 2004-07-01 2005-12-06 Speed Tech Corp. Micro coaxial connector
US7217156B2 (en) * 2005-01-19 2007-05-15 Insert Enterprise Co., Ltd. RF microwave connector for telecommunication
JP2008219437A (ja) * 2007-03-03 2008-09-18 Jst Mfg Co Ltd チップアンテナの装着具及び電子部品実装基板
US8096828B2 (en) * 2008-06-24 2012-01-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terminating a coaxial cable
CN102725921B (zh) * 2010-03-30 2015-08-19 株式会社藤仓 同轴连接器
JP5606157B2 (ja) 2010-05-28 2014-10-15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高周波対応の配線材
JP5522410B2 (ja) * 2011-10-12 2014-06-18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装置
JP6278586B2 (ja) * 2012-09-10 2018-02-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CN103715572B (zh) * 2012-09-29 2016-12-21 春源科技(深圳)有限公司 同轴线缆连接器总成及板端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82119A (ja) 2014-05-08
CN103779745B (zh) 2017-04-12
JP5943806B2 (ja) 2016-07-05
CN103779745A (zh) 2014-05-07
KR101516880B1 (ko) 2015-05-04
US20140106581A1 (en) 2014-04-17
US9033732B2 (en) 2015-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9460A (ko) 동축 커넥터 및 커넥터 유닛
US7815467B2 (en) Connector device
JP5785011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CN110915068B (zh) 连接器组件
US10741973B2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US9048554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with a circuit board
US9039463B2 (en) Connector and wire harness
US8662927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to cables
US9343835B2 (en) Terminal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WO2018008374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9373907B2 (en) Flexible flat cable, electrical connector, and flexible flat cable assembly
KR20120022624A (ko) 전기 커넥터 및 회로 보드 어셈블리
CN110021847B (zh) 屏蔽端子单元和连接器
US8870606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to cables
US9209533B2 (en) Coaxial connector suitable for connection of a flat plate-like connection object
KR20180002019A (ko)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US9106817B2 (en) In-vehicle camera device
US9231352B2 (en) Module, and connection structure of module and mating connector
US10645264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harness-side connector
CN113196583B (zh) 带端子电线、端子模块及连接器
KR100780727B1 (ko) 차폐 전선과 차폐쉘의 접속 장치
US7556530B2 (en) Connector in which defectiv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plurality of shell components is suppressed
CN109755782B (zh) 连接器装置
JP2017092020A (ja) 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
JP2006147473A (ja) 多極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