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9314A -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9314A
KR20140049314A KR1020120115432A KR20120115432A KR20140049314A KR 20140049314 A KR20140049314 A KR 20140049314A KR 1020120115432 A KR1020120115432 A KR 1020120115432A KR 20120115432 A KR20120115432 A KR 20120115432A KR 20140049314 A KR20140049314 A KR 20140049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layer
forming
photoresist pattern
see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우
구재본
임상철
오지영
정순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15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9314A/ko
Priority to US13/840,299 priority patent/US9040337B2/en
Publication of KR20140049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3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being formed on, or in,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3Stretcha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9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formed through a semiconductor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3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being formed on, or in,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5387Flexible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03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substrate or suppor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Alternating conductors, e.g. alternating different shaped pads, twisted pairs; Alternating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44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building the multilayer layer by layer, i.e. build-up multilaye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machine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 및 그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그의 제조방법은, 제 1 기판 상에 코일 배선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코일 배선을 덮는 제 1 신축 절연 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신축 절연 층 상에 제 2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코일 배선 및 상기 제 1 신축 절연 층으로부터 상기 제 1 기판을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코일 배선 상에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 및 그의 제조방법{stretchable electr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 디바이스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는 외부에서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기판이 확장(expended)되더라도 전기적인 기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는 단순한 휨 (bendable) 및/또는 유연(flexible) 소자의 한계를 뛰어넘어 로봇용 센서 피부, wearable 통신 소자, 인체내장/부착형 바이오 소자, 차세대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분야의 응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는 금속 배선의 확장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금속 배선은 미리 당겨진(pre-strained) 신축성 기판 표면에 전사된 뒤에 상기 신축성 기판의 수축에 의해 물결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배선은 전자 디바이스의 확장능력(stretchability)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신축 전자 디바이스는 초기에 기판에 가해진 pre-strain의 양에 의해 금속 배선의 확장능력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물결 모양의 금속 배선은 일반적인 반도체 소자 제작공정에 비해 과정이 복잡하여 대면적 적용 및 신뢰성 확보가 어렵다는 단점을 갖는다.
다른 종래의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는 금속 대신 전도성을 갖는 신축성 소재의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신축 소재는 주로 전도성 고분자,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등의 전도성 물질을 포함한다. 그러나, 전도성 신축 소재는 확장능력이 높은 반면 금속에 비해 전기저항이 높고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미세 패터닝이 어렵다는 단점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종래의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는 2차원 평면 스프링 모양의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모양의 배선은 배선제작 공정이 일반적인 반도체 소자 공정과 호환되어 비용 절감 및 신뢰성 확보가 용이하고, 높은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스프링 모양의 배선은 신축될 때, 배선의 특정 부위에만 국부적으로 변형량이 집중되어 파손을 유발하므로 확장율을 높이는 데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입체적 코일 배선을 갖는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코일 배선의 단선을 최소화 또는 제거할 수 있는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방법은, 제 1 기판 상에 코일 배선들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코일 배선을 덮는 제 1 신축 절연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신축 절연 층 상에 제 2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일 배선 및 상기 제 1 신축 절연 층으로부터 상기 제 1 기판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코일 배선 상에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코일 배선의 형성 단계는, 상기 제 1 기판 상에 희생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 층 상에 제 1 배선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배선들 상에 기둥 배선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둥 배선들 상에 제 2 배선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희생 층은 포토레지스트, 폴리 실리콘,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기판의 분리 단계는, 상기 희생 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배선들의 형성 단계는, 상기 희생 층 상에 제 1 씨드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씨드 층의 일부 상에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제 1 씨드 층 상에 제 1 캡 배선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캡 배선 층은 전해 도금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둥 배선들의 형성 단계는, 상기 제 1 캡 배선 층의 일부와, 상기 제 1 씨드 층 상에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캡 배선 층 상에 기둥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배선의 형성 단계는, 상기 기둥 배선 및 상기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 상에 제 2 씨드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씨드 층의 일부에 제 3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포토레지스트 패턴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제 2 씨드 층 상에 제 2 캡 배선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코일 배선의 형성 단계는, 상기 제 3 포토 레지스트 패턴과, 상기 제 2 캡 배선 층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제 2 씨드 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씨드 층은 식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코일 배선의 형성 단계는, 상기 제 2 포토 레지스트 패턴과, 상기 제 1 캡 배선 층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제 1 씨드 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씨드 층은 식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트랜지스터의 형성 후에, 제 2 신축성 절연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기판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는, 신축 절연 층; 상기 신축 절연 층 내의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트랜지스터들 사이에 지그재그로 연결되고 상기 신축 절연 층의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해 신축(stretched)되는 배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신축 절연 층은 탄성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 중합체는 피디엠에스(PDMS)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선은 코일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코일 배선은, 제 1 배선; 상기 제 1 배선 상에 형성된 기둥 배선; 및 상기 기둥 배선 상에 형성된 제 2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배선은 제 1 씨드 층과 제 1 캡 배선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배선은 제 2 씨드 층과 제 2 캡 배선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는 트랜지스터와, 코일 배선과, 신축 절연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와 코일 배선은 신축 절연 층 내에 배치된다. 코일 배선은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및 전해도금방법에 의해 입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 배선은 하부 배선들, 상부 배선들, 및 기둥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배선들과 하부 배선들은 지그 재그 모양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그 재그 모양의 코일 배선은 신축 절연 층의 수축 팽창 시에 변형의 집중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는 코일 배선의 단선을 최소화 또는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코일 배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21은 도 3에 근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들이다.
앞의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들은 모두 청구된 발명의 부가적인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 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이는 그 외의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코일 배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는 트랜지스터(10), 코일 배선(20) 및 신축 절연 층(30)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10) 및 코일 배선(20)은 신축 절연 층(3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10)는 활성 층(12), 게이트 절연막(14) 및 게이트 전극(16)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 층(12)은 코일 배선(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활성 층(12)은 코일 배선(20) 상의 소스/드레인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소스/드레인 영역은 도전성 불순물로 도핑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4)은 활성 층(12)을 덮는다. 게이트 전극(16)은 활성 층(12)에 오버랩(overlap)된다.
코일 배선(20)은 신축 절연 층(30) 내에서 신장(stretchable)될 수 있다. 코일 배선(20)은 하부 배선(24), 기둥 배선(28), 및 상부 배선(2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배선(24), 기둥 배선(28) 상부 배선(22)은 입체적(three dimensional)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둥 배선(28)은 하부 배선(24) 및 상부 배선(22)을 연결할 수 있다. 하부 배선(24) 및 상부 배선(22)은 지그재그로 연장될 수 있다. 신축 절연 층(30)이 신축될 때, 하부 배선(24) 및 상부 배선(22)은 균일하게 신축(stretched)될 수 있다. 코일 배선(20)은 국부적인 변형 집중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는 코일 배선(20)의 단선(open)을 최소화 또는 제거할 수 있다.
하부 배선(24)은 하부 씨드 층(25) 및 하부 캡 배선 층(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배선(22)은 상부 씨드 층(21) 및 상부 캡 배선 층(23)을 포함할 수 있다. 기둥 배선(28)은 상부 캡 배선 층(23)과 하부 씨드 층(25)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신축 절연 층(30)은 코일 배선(20)을 신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코일 배선(20)은 신축 절연 층(30)의 팽창 또는 수축에 의해 신축(stretched)될 수 있다. 신축 절연 층(30)은 외부의 인장응력(tensile stress)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신축 절연 층(30)은 PDMS(Poly-Dimethyllesiloxane)와 같은 탄성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21은 도 3에 근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기판(42) 상에 희생 층(40) 및 상부 씨드 층(21)을 형성한다. 제 1 기판(42)은 실리콘 웨이퍼 또는 글래스와 같은 평판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희생 층(40)은 스핀 코팅으로 형성된 포토레지스트, 폴리 실리콘,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씨드 층(21)은 금(Au), 은(Ag), 구리(Cu), 알미늄(Al), 텅스텐(W), 타이타늄(Ti), 크롬(Cr)과 같은 금속을 포함한다. 금속은 스퍼터링 방법 또는 열증착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씨드 층(21) 상에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52)을 형성한다.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52)은 일반적인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52)으로부터 노출된 상부 씨드 층(21) 상에 상부 캡 배선 층(23)을 형성한다. 상부 씨드 층(21)은 전해 도금 방법으로 형성된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52)는 제거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부 캡 배선 층(23)의 일부와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52) 상(위에서 이미 제거됨)에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54)을 형성한다.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54)은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52)와 동일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54)은 콘택 홀(53)을 가질 수 있다. 콘택 홀(53)은 상부 캡 배선 층(23)을 노출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콘택 홀(53) 내에 기둥 배선(28)을 형성한다. 기둥 배선(28)은 상부 캡 배선 층(2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기둥 배선(28)은 전해 도금 방법으로 형성된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기둥 배선(28) 및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54) 상에 하부 씨드 층(25)을 형성한다. 하부 씨드 층(25)은 스퍼터링 방법 또는 열증착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씨드 층(25)은 금(Au), 은(Ag), 구리(Cu), 알미늄(Al), 텅스텐(W), 타이타늄(Ti), Cr(크롬)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부 씨드 층(25) 상의 일부에 제 3 포토레지스트 패턴(56)을 형성한다. 제 3 포토레지스트 패턴(56)은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3 포토레지스트 패턴(56)에 의해 노출된 하부 씨드 층(25) 상에 하부 캡 배선 층(26)을 형성한다. 하부 캡 배선 층(26)은 전해 도금 방법으로 형성된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 3 포토레지스트 패턴(56)과, 하부 씨드 층(25)의 일부를 제거한다. 제 3 포토레지스트 패턴(56)은 유기 용매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유기 용매는 휘발성이 높은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캡 배선 층(26)으로부터 노출된 하부 씨드 층(25)은 식각 공정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54)과, 상부 씨드 층(21)의 일부를 제거한다.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54)은 유기 용매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상부 캡 배선 층(23)으로부터 노출된 상부 씨드 층(21)은 식각 공정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14를 참조하면, 코일 배선(20)을 덮는 하부 신축 절연 층(32)을 형성한다. 하부 신축 절연 층(32)은 PDMS(Poly-Dimethyllesiloxane)과 같은 탄성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신축 절연 층(32)은 코일 배선(20)을 매립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하부 신축 절연 층(32) 상에 제 2 기판(44)을 형성한다. 제 2 기판(44)은 실리콘 웨이퍼, 플라스틱 기판, 또는 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희생 층(40)을 제거하여 상부 배선(22) 및 하부 신축 절연 층(32)으로부터 제 1 기판(42)을 분리한다. 희생 층(40)은 포토레지스트 층일 때, 유기 용매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희생 층(40)은 실리콘 산화막일 때, 제 1 기판(42)의 제거 후에 습식 식각 공정으로 제거될 수 있다. 제 1 기판(42)은 화학적기계적 연마공정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부 씨드 층(21)은 기판의 전면에서 제거될 수 있다. 코일 배선(20)과 하부 신축 절연 층(32)은 제 2 기판(44)에 전이될 수 있다.
도 2 및 도 17을 참조하면, 제 2 기판(44), 코일 배선(20)을 뒤집는다. 상부 배선(22)의 상부 씨드 층(21)이 제 2 기판(4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부 배선들(22) 및 상기 상부 배선들(22) 사이의 하부 신축 절연 층(32) 상에 활성 층(12)을 형성한다. 활성 층(12)은 폴리 실리콘, 유기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 실리콘은 화학기상증착 공정,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및 식각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유기반도체 물질은 잉크젯 프린팅, 스핀코팅 등의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활성 층(12) 상에 게이트 절연막(14)을 형성한다. 게이트 절연막(14)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 유기 절연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4)은 증착 공정,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및 식각 공정, 잉크젯 프린팅, 스핀 코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게이트 절연막(14) 상에 게이트 전극(16)을 형성한다. 게이트 전극(16)은 도전성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은 증착 공정,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및 식각 공정, shadow 마스크를 통한 증착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1를 참조하면, 트랜지스터(10) 및 코일 배선(20) 상에 상부 신축 절연 층(34)을 형성한다. 상부 신축 절연 층(34)은 PDMS와 같은 탄성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하부 신축 절연 층(32)으로부터 제 2 기판(44)을 분리한다. 제 2 기판(44)은 외력에 의해 하부 신축 절연 층(32)으로부터 제거 또는 박리될 수 있다. 또한, 제 2 기판(44)은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트랜지스터 20: 코일 배선
30: 신축 절연 층 40: 희생 층

Claims (20)

  1. 제 1 기판 상에 코일 배선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일 배선을 덮는 제 1 신축 절연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신축 절연 층 상에 제 2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일 배선 및 상기 제 1 신축 절연 층으로부터 상기 제 1 기판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코일 배선 상에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배선의 형성 단계는,
    상기 제 1 기판 상에 희생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 층 상에 제 1 배선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배선들 상에 기둥 배선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둥 배선들 상에 제 2 배선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 층은 포토레지스트, 폴리 실리콘,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을 포함하는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의 분리 단계는,
    상기 희생 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선들의 형성 단계는,
    상기 희생 층 상에 제 1 씨드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씨드 층의 일부 상에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제 1 씨드 층 상에 제 1 캡 배선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선들의 형성 단계 후에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캡 배선 층은 전해 도금 방법으로 형성된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배선들의 형성 단계는,
    상기 제 1 캡 배선 층과 상기 제 1 씨드 층 상에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캡 배선 층 상에 기둥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선의 형성 단계는,
    상기 기둥 배선 및 상기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 상에 제 2 씨드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씨드 층의 일부에 제 3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포토레지스트 패턴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제 2 씨드 층 상에 제 2 캡 배선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배선의 형성 단계는,
    상기 제 3 포토 레지스트 패턴과, 상기 제 2 캡 배선 층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제 2 씨드 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씨드 층은 식각되는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과 상기 제 1 캡 배선 층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제 1 씨드 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씨드 층은 식각되는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의 형성 후에, 제 2 신축성 절연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기판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15. 신축 절연 층;
    상기 신축 절연 층 내의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트랜지스터들 사이에 지그재그로 연결되고 상기 신축 절연 층의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해 신축(stretched)되는 배선을 포함하는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절연 층은 탄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중합체는 피디엠에스(PDMS)를 포함하는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코일 배선을 포함하는 신축성 전자 디비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배선은,
    제 1 배선;
    상기 제 1 배선 상에 형성된 기둥 배선; 및
    상기 기둥 배선 상에 형성된 제 2 배선을 포함하는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선은 제 1 씨드 층과 제 1 캡 배선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배선은 제 2 씨드 층과 제 2 캡 배선 층을 포함하는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
KR1020120115432A 2012-10-17 2012-10-17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49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432A KR20140049314A (ko) 2012-10-17 2012-10-17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 및 그의 제조방법
US13/840,299 US9040337B2 (en) 2012-10-17 2013-03-15 Stretch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432A KR20140049314A (ko) 2012-10-17 2012-10-17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314A true KR20140049314A (ko) 2014-04-25

Family

ID=50475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432A KR20140049314A (ko) 2012-10-17 2012-10-17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40337B2 (ko)
KR (1) KR2014004931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797A (ko) * 2014-04-30 2015-11-10 한국과학기술원 스트레쳐블 기판
KR20170023383A (ko) * 2015-08-21 2017-03-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신축성 배선의 제조 방법 및 신축성 집적회로의 제조 방법
KR20200082370A (ko) * 2018-12-28 2020-07-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신축성을 가지는 배선용 기판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상기 배선용 기판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CN112470554A (zh) * 2018-10-22 2021-03-09 东洋纺株式会社 器件连接体的制造方法及器件连接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7637B2 (en) 2012-06-11 2016-01-26 Mc10, Inc. Strain relief structures for stretchable interconnects
US9226402B2 (en) * 2012-06-11 2015-12-29 Mc10, Inc. Strain isolation structures for stretchable electronics
US9318475B2 (en) 2014-05-15 2016-04-19 LuxVue Technology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and method of formation with sacrificial release layer
WO2015183264A1 (en) * 2014-05-28 2015-12-03 Intel Corporation Wavy interconnect for bendable and stretchable devices
US9538641B2 (en) * 2014-07-08 2017-01-03 David T. Markus Elastic circuit
US9513666B2 (en) * 2014-07-25 2016-12-06 VivaLnk, Inc. Highly compliant wearable wireless patch having stress-relief capability
JP6470524B2 (ja) * 2014-08-12 2019-02-13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伸縮性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および伸縮性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製造方法
EP2991460B1 (en) 2014-08-29 2018-11-21 Nokia Technologies OY A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deformable electronics
US9378450B1 (en) * 2014-12-05 2016-06-28 Vivalnk, Inc Stretchable electronic patch having a circuit layer undul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JP6377241B2 (ja) * 2015-02-20 2018-08-22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高伸縮性配線及びその製造方法、製造装置
KR102271598B1 (ko) 2015-04-01 2021-07-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쳐블 소자
JP6712764B2 (ja) * 2015-05-25 2020-06-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伸縮性フレキシブル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7052567A1 (en) * 2015-09-24 2017-03-30 Aleksandar Aleksov Stretchable electronic assembly
US9832863B2 (en) * 2015-09-25 2017-11-28 Intel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a stretchable computing device
US10327331B2 (en) 2015-09-25 2019-06-18 Intel Corporation Stretchable computing device
KR20170069018A (ko) * 2015-12-10 2017-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신축성 전자 소자 및 그 제작 방법
US10206277B2 (en) * 2015-12-18 2019-02-12 Intel Corporation Gradient encapsulant protection of devices in stretchable electronics
US10076025B2 (en) * 2016-02-22 2018-09-11 Nippon Mektron, Ltd. Stretchable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3639281A4 (en) * 2017-06-12 2021-04-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XPANDABLE CONDUCTORS
KR102003644B1 (ko) * 2018-06-28 2019-10-01 조현민 신축 전도성 연결 기반 신축성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30672B1 (ko) * 2018-07-20 2023-05-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쳐블 표시 장치
KR102554048B1 (ko) 2018-07-20 2023-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쳐블 표시 장치
EP3608964B1 (en) 2018-08-08 2022-05-11 LG Display Co., Ltd. Stretchable display device
KR102664207B1 (ko) 2018-10-08 2024-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쳐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20149796A1 (en) * 2019-01-16 2020-07-23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A stretchable interconnect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13450951A (zh) * 2020-03-26 2021-09-28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弹性连接件及其制备方法、弹性电子设备及其制备方法
TWI759828B (zh) * 2020-08-20 2022-04-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可伸縮電子裝置
US11832391B2 (en) * 2020-09-30 2023-11-28 Qualcomm Incorporated Terminal connection routing and method the same
KR20220049895A (ko) * 2020-10-15 2022-04-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쳐블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5974A (ko) 2000-01-21 2001-08-11 이서헌 반도체 집적회로 공정에 의한 인덕터 및 제조 방법
US7337012B2 (en) * 2003-04-30 2008-02-26 Lawrence Livermore National Security, Llc Stretchable polymer-based electronic device
US7265298B2 (en) * 2003-05-30 2007-09-0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erpentine and corduroy circuits to enhance the stretchability of a stretchable electronic device
US7521292B2 (en) 2004-06-04 2009-04-2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Stretchable form of single crystal silicon for high performance electronics on rubber substrates
US8207473B2 (en) * 2008-06-24 2012-06-26 Imec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retchable electronic device
WO2010086033A1 (en) 2009-01-30 2010-08-05 Interuniversitair Microelektronica Centrum Vzw Stretchable electronic device
US8329493B2 (en) * 2009-03-20 2012-12-11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Stretchable circuit configuration
US20120279762A1 (en) * 2011-05-03 2012-11-08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Composition for forming stretchable conductive pattern, method of producing the stretchable conductive pattern using the compositio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tretchable conductive electrode
KR102043703B1 (ko) * 2012-11-12 2019-11-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신축성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20140100299A (ko) * 2013-02-06 2014-08-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회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797A (ko) * 2014-04-30 2015-11-10 한국과학기술원 스트레쳐블 기판
KR20170023383A (ko) * 2015-08-21 2017-03-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신축성 배선의 제조 방법 및 신축성 집적회로의 제조 방법
CN112470554A (zh) * 2018-10-22 2021-03-09 东洋纺株式会社 器件连接体的制造方法及器件连接体
CN112470554B (zh) * 2018-10-22 2024-03-22 东洋纺株式会社 器件连接体的制造方法及器件连接体
KR20200082370A (ko) * 2018-12-28 2020-07-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신축성을 가지는 배선용 기판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상기 배선용 기판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04793A1 (en) 2014-04-17
US9040337B2 (en) 2015-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9314A (ko) 신축성 전자 디바이스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43703B1 (ko) 신축성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US20140299362A1 (en) Stretchable electr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50173186A1 (en) Stretchabl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200098796A1 (en) Printable device wafers with sacrificial layers
KR102104311B1 (ko) 전자회로의 제조 방법
US9842669B2 (en) Stretchable wi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40121325A (ko) 신축성 전자회로 및 그의 제조방법
US9299940B2 (en) Carbon nanotube network thin-film transistors on flexible/stretchable substrates
US8927338B1 (en) Flexible, stretchable electronic devices
CN110945674A (zh) 伸缩性基板结构体及其制作方法、伸缩性显示器及其制作方法以及伸缩性显示器使用方法
US20150349136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40077297A1 (en) Thin film transis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TW201408581A (zh) Mems裝置及其製造方法
US986555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tchable w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tchable integrated circuit
CN113471223B (zh) 显示基板及显示装置
WO2014208442A1 (ja) 薄膜トランジスタ
KR20070105579A (ko) 촉각센서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TW200910590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ixel structure
KR102333170B1 (ko) 신축성 배선의 제조 방법 및 신축성 집적회로의 제조 방법
KR101396665B1 (ko)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30091070A1 (en) Stretchable electronic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79725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semiconductor device
KR101098560B1 (ko) 플렉서블 소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플렉서블 소자
KR101215305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