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8616A - 철재상자 - Google Patents

철재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8616A
KR20140038616A KR1020120104882A KR20120104882A KR20140038616A KR 20140038616 A KR20140038616 A KR 20140038616A KR 1020120104882 A KR1020120104882 A KR 1020120104882A KR 20120104882 A KR20120104882 A KR 20120104882A KR 20140038616 A KR20140038616 A KR 20140038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ide panel
base panel
steel box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8096B1 (ko
Inventor
최병민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20104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096B1/ko
Publication of KR20140038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19/12Collapsible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49Materials for the base surface
    • B65D2519/00059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154Materials for the side walls
    • B65D2519/00164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935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nesting or st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재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베이스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어느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는 한 쌍의 제1측면 패널; 및 상기 베이스 패널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나머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는 한 쌍의 제2측면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제1측면 패널의 하단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의 하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하단부를 따라 보강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보강재는 외측으로 개방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지게차 포크로 미는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보강재는 '디귿자' 형상이므로 두께가 보강되어 포크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지게차 포크가 보강재의 내측에 수용되어 밀어줌으로써, 포크가 미끄러져서 접촉하는 구간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포크로 미는 구간을 쉽게 찾을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재상자{Mesh container}
본 발명은 보강재의 두께를 보강하고 작업효율을 높이기 위한 철재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이나 부품 등을 각각의 상자에 담아서 보관하거나 운반하여 사용하며, 상자 보관시에는 상자를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절첩식 상자가 두루 사용되고 있다.
특히, 철재상자는 각종 제품들을 보관 또는 운반시에 사용하는 상자로서 철제로 제작하여 고하중 제품에 많이 사용되는 운반 상자이다.
이러한 철재상자의 실시예들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22112호(파렛트용 지지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09093호(자동차 부품 전용 파렛트) 등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철재상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무거운 철재상자의 제품 특성상 지게차로 핸들링 하기 위해서 측면패널의 하단부를 지게차 포크로 밀어내는 작업을 많이 하게 된다. 이때, 이러한 미는 작업을 반복할 경우 해당면이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해당면에 포크를 갖다 대어도 미끄러지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해당면을 지게차 포크로 정확하게 미는 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그리고 비숙련자인 지게차 작업자들은 해당면 이외에 다른 면을 포크로 미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는 포크와 닿는 부분에 파손이 일어나는 결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두께를 보강하여 포크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포크가 미끄러져서 접촉하는 구간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가 포크로 미는 구간을 쉽게 찾을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철재상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 패널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어느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는 한 쌍의 제1측면 패널; 및 상기 베이스 패널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나머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는 한 쌍의 제2측면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제1측면 패널의 하단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의 하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하단부를 따라 보강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보강재는 외측으로 개방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 패널은 가로로 길게 상면과 하면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상기 상면은 상기 하면에 힌지 연결되어 있어, 상기 하면의 외측으로 절첩가능하고, 상기 하면은 상기 베이스 패널에 힌지 연결되어 있어,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부로 절첩가능하며, 상기 제2측면 패널이 기립되는 상기 베이스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연장된 연장패널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2측면 패널은 상기 연장패널의 내측으로 절첩가능하고, 절첩시 상기 제1측면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널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베이스 패널의 모서리와 상기 연장패널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모서리 브래킷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제2측면 패널은 상기 모서리 브래킷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모서리 브래킷에는 상기 제2측면 패널의 기립시 상기 제2측면 패널에 형성된 체결돌기가 수용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에는 측방으로 돌출 가능한 락킹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측면 패널에는 돌출된 상기 락킹수단이 수용되는 락킹홈이 형성되어 있어, 측방으로 돌출된 상기 락킹수단이 상기 락킹홈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1측면 패널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 패널이 기립되는 상기 베이스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배치된 지지대가 마련되어 있되, 상기 지지대는 하방으로 개방된 형상이며, 상기 제1측면 패널 및 상기 제2측면 패널이 기립된 상태에서 철재상자의 다단 적재시 위쪽에 위치한 철재상자의 지지대 내측에 아래쪽에 위치한 철재상자의 제2측면 패널의 상단부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제1측면 패널 및 상기 제2측면 패널이 절첩된 상태에서 철재상자의 다단 적재시 위쪽에 위치한 철재상자의 지지대 내측에 아래쪽에 위치한 철재상자의 연장패널의 상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철재상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지게차 포크로 미는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보강재는 '디귿자' 형상이므로 두께가 보강되어 포크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게차 포크가 보강재의 내측에 수용되어 밀어줌으로써, 포크가 미끄러져서 접촉하는 구간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포크로 미는 구간을 쉽게 찾을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재상자의 측면 패널이 모두 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제1측면 패널이 절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서 측면 패널이 모두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일부분을 잘라서 도시한 일부 단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일부 단면 사시도.
도 7은 제1보강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 사시도.
도 8은 도 1의 철재상자를 다단으로 적재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4의 철재상자를 다단으로 적재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연장패널의 하단에 제2보강재가 마련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재상자는 베이스 패널(100)과 한 쌍의 제1측면 패널(200)과 한 쌍의 제2측면 패널(300)을 포함한다.
베이스 패널(100)은 철재상자의 바닥을 구성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 형태이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 패널(100)은 정사각형 형태도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패널(100)이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제1측면 패널은 베이스 패널(100)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길이가 긴 양변을 따라 기립되는 장측면 패널(200)이 되고, 제2측면 패널은 베이스 패널(100)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길이가 짧은 양변을 따라 기립되는 단측면 패널(300)이 된다. 따라서, 하기에서는 제1측면 패널을 장측면 패널(200)로, 제2측면 패널을 단측면 패널(300)로 각각 표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베이스 패널(100)의 하부에는 베이스 패널(100)의 보강을 위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의 단측면 패널(300)을 가로지르며 배치되는 다수의 보강 파이프(110)가 마련되어 있다.
특히, 장측면 패널(200) 하단을 따라 외측 보강 파이프(111)가 마련되어 있으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보강 파이프(111)의 상단 일부분이 베이스 패널(100)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어 외측 보강 파이프(111)는 일부분이 베이스 패널(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이고, 베이스 패널(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 보강 파이프(111)의 상단에는 장측면 패널(200)의 하단인 제2사각 파이프(252)의 일부분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 파이프(110, 111)는 사각 파이프 형상이나, 보강 파이프(110, 111)의 형상 및 배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먼저, 장측면 패널(2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로 길게 상면(210)과 하면(250)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면(210)은 메쉬(mesh) 형태이고, 하면(250)은 패널(panel)의 형태이다.
상면(210)은 직사각형 형태의 제1그물망(211)과, 제1그물망(211)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1사각 파이프(212)로 구성되어 있다.
제1그물망(211)의 상단을 따라 마련된 제1사각 파이프(212)에는 락킹수단(220)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락킹수단(220)은 상면(21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락킹수단(220)은 제1사각 파이프(212)의 하방으로 연결된 지지부(221)와, 상면(210)의 측면으로 돌출가능하도록 지지부(221)에 설치되는 핀부(222)와, 핀부(222)에 핀부(222)를 이동시키기 편리하도록 마련되는 손잡이부(223)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락킹수단(220)의 핀부(222)는 상면(210)의 측방으로 돌출가능하며, 돌출된 핀부(222)는 하기에서 설명할 단측면 패널(300)에 형성된 락킹홈(304)에 수용되며,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서 다시 하기로 한다.
제1그물망(211)의 하단을 따라 마련된 제1사각 파이프(212)에는 하면(250)과 힌지 연결되는 제1힌지부(260)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힌지부(260)는 상면(210)의 하단에 서로 이격하도록 두 개가 마련되어 있다.
이렇게, 상면(210)은 제1힌지부(260)에 의해 하면(250)과 힌지 연결되어 있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250)의 외측으로 접히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면(210)와 하면(250)은 지그재그 형태로 베이스 패널(100)의 내측으로 접힌다.
하면(250)은 직사각형 형태의 패널(251)과, 패널(251)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2사각 파이프(252)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단의 제2사각 파이프(252)와 하단의 제2사각 파이프(252)를 연결하며 제1보강 파이프(253)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면(250)은 베이스 패널(100)에 힌지 연결되어 있어 베이스 패널(100)의 상면에 얹힌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측면 패널(200)의 하단부를 따라 제1보강재(150)가 마련된다.
제1보강재(150)는 외측으로 개방된 형상이며, 특히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보강재(150)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자른 단면이 '디귿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보강재(150)는 수직부(151)와, 수직부(151)의 상, 하단에서 외측으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수평부(152, 153)로 구성된다.
수직부(151)는 베이스 패널(100)의 하부에 고정된 외측의 보강 파이프(111) 외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수직부(15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된 수평부(152, 153)는 장측면 패널(200)의 하단인 제2사각 파이프(252)의 하부를 지지하고 있다.
즉, 제2사각 파이프(252)는 외측 보강 파이프(111)의 상부 및 수평부(152, 153)의 상부에 지지되어 있으며, 수평부(152, 153)는 제2사각 파이프(252)의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보강재(150)는 '디귿자'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외측이 개방된 반원 형상이거나 '<' 형상일 수도 있으며, 외측으로 개방된 형상이면 충분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패널(100)의 보강을 위하여 마련된 보강 파이프(110)의 외측에 제1보강재(150)가 고정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파이프과 제1보강재(150)가 일체로 이루어져, 제1보강재(150a)의 수평부(152a, 153a)가 길어진 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측면 패널(3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의 제2그물망(301)과, 제2그물망(301)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제3사각 파이프(302)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단의 제3사각 파이프(302)와 하단의 제3사각 파이프(302)를 연결하며 제2보강 파이프(303)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단측면 패널(300)은 베이스 패널(100)의 모서리에 마련되어 있는 모서리 브래킷(140)에 힌지 연결된다. 모서리 브래킷(140)은 하기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단측면 패널(300)이 기립되는 베이스 패널(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패널(13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장패널(130)은 베이스 패널(100)의 길이가 짧은 양변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패널(130)의 하단부를 따라 제2보강재(131)가 마련될 수도 있다. 제2보강재(131)는 제1보강재(150)와 형상이 동일하게 외측으로 개방된 형상이며, 특히 제2보강재(131)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자른 단면이 '디귿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장패널(130)의 하단부를 따라 제2보강재(131)가 마련되어 있고, 장측면 패널(200)의 하단부를 따라 제1보강재(150)가 마련된 것으로 도 10에서 도시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보강재(150)와 제2보강재(131)는 어느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2보강재(131)는 연장패널(130)이 없는 철재상자의 경우에는 단측면 패널(300)의 하단부를 따라 마련될 수도 있다.
베이스 패널(100)의 각 모서리에는 베이스 패널(100)의 모서리와 연장패널(130)의 가장자리를 감싸며 상부로 연장된 '기역자' 형상의 모서리 브래킷(14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모서리 브래킷(14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홀(142)이 형성되어 있고, 단측면 패널(300)의 제3사각 파이프(302)의 외측면에는 가이드홀(142)에 삽입되어 가이드홀(142)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핀(302b)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가이드홀(142)에 삽입된 가이드핀(302b)은 가이드홀(142)을 따라 이동하기도 하고 회전도 가능하므로 단측면 패널(300)은 모서리 브래킷(140)에 대해 상부로 이동이 가능한 동시에 회전도 가능하다. 따라서, 단측면 패널(300)은 모서리 브래킷(140)에 상부 이동 및 힌지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단측면 패널(300)이 연장패널(130)의 내측으로 접히는 것이 가능하고, 단측면 패널(300)의 절첩시 베이스 패널(100)의 상부에 절첩되어 있는 장측면 패널(200)의 상면(210) 상부에 얹힌다.
또한, 모서리 브래킷(140)의 상면에는, 단측면 패널(300)의 기립시 제3사각 파이프(302)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 체결돌기(302a)가 수용되는 체결홈(141)이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단측면 패널(300)의 양측에 배치된 제3사각 파이프(302)의 상측에는 락킹홈(304)이 형성되어 있다.
락킹홈(304)은 제3사각 파이프(302)의 장측면 패널(200) 상면(210)과 인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210)에 마련된 락킹수단(220)의 핀부(222)가 돌출되어 락킹홈(304)에 수용된다.
또한, 단측면 패널(300)의 양측에 배치된 제3사각 파이프(302)의 하측에는 체결돌기(302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체결돌기(302a)는 제3사각 파이프(302)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모서리 브래킷(140)에 형성된 체결홈(141)에 수용된다.
한편, 단측면 패널(300)이 기립되는 베이스 패널(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배치된 지지대(170)가 마련되어 있다. 즉, 지지대(170)는 연장패널(1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대(170)는 연결부(171)와 삽입부(173)로 구성된다.
연결부(171)는 베이스 패널(100)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패널(100)의 양측 모서리와 중간부분의 세 지점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삽입부(173)는 연결부(171)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하방으로 개방된 형상이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부(173)는 하방이 개방된 '디귿자' 형상이고, 삽입부(173)의 양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7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측면 패널(200) 및 단측면 패널(300)이 기립된 상태에서 철재상자의 다단 적재시 위쪽에 위치한 철재상자의 삽입부(173) 내측에 아래쪽에 위치한 철재상자의 단측면 패널(300) 상단부인 제3사각 파이프(302)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측면 패널(200) 및 단측면 패널(300)이 절첩된 상태에서 철재상자의 다단 적재시 위쪽에 위치한 철재상자의 삽입부(173) 내측에 아래쪽에 위치한 철재상자의 연장패널(130) 상단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삽입부(173)가 하방이 개방된 '디귿자'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실시예에 따라 삽입부(173)에 끼워져 고정되는 부분의 형상이 달라지면 삽입부(173)의 형상도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재상자는 접히는 절첩 형태의 철제 대형 상자로서, 각종 제품들을 보관 또는 운반시에 사용하는 상자이며, 철제로 제작하여 고하중 제품에 많이 사용되는 운반 상자에 적합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재상자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철재상자 내부에 물품이나 부품 등을 수용하여 사용할 시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측면 패널(200)과 단측면 패널(300)이 베이스 패널(100)에 대해 모두 기립된 상태에서 내부에 물품이나 부품을 담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장측면 패널(200)과 단측면 패널(300)이 베이스 패널(100)에 대해 모두 기립된 상태에서 철재상자의 가까운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정렬시키기 위하여 지게차를 이용하여 핸들링할 때 제1보강재(150) 부분을 지게차 포크로 밀게 된다.
이러한 지게차 포크로 미는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제1보강재(150)는 '디귿자' 형상이므로 두께가 보강되어 포크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게차 포크가 제1보강재(150)의 내측에 수용되어 밀어줌으로써, 포크가 미끄러져서 접촉하는 구간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포크로 미는 구간을 쉽게 찾을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철재상자를 사용하지 않고 회수하여 이동하거나 보관할 시에는 도 4와 같이 장측면 패널(200)과 단측면 패널(300)을 절첩한다.
먼저, 장측면 패널(200)을 절첩한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락킹홈(304)에 삽입있는 락킹수단(220)의 핀부(222)를 손잡이부(223)를 이용하여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핀부(222)가 락킹홈(304)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립된 상태의 상면(210)와 하면(250)을 지그재그의 형태로 베이스 패널(100)의 내측으로 절첩할 수 있다.
즉, 상면(210)은 하면(250)의 외측으로 접히고, 하면(250)은 베이스 패널(100)의 상면 상에 완전히 눕히며 절첩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측면 패널(300)을 장측면 패널(200)의 상부에 완전히 눕히도록 절첩한다.
즉, 기립된 단측면 패널(3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돌기(302a)와 체결홈(141)에 의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단측면 패널(300)을 상부로 들어올리면 핀(302b)은 가이드 홀(142)을 따라 이동하면서 체결돌기(302a)가 체결홈(141)으로부터 이탈되고, 이 상태에서 단측면 패널(300)을 내측으로 회전시켜 절첩한다.
이때, 양측에 배치된 단측면 패널(300)은 서로 일부분이 포개어진 상태에서 절첩된 장측면 패널(200)의 상부인 상면(210)의 상부에 완전히 눕힌 상태로 절첩된다.
도 4와 같이, 장측면 패널(200)과 단측면 패널(300)이 모두 절첩된 상태에서 도 9과 같이 다수의 철재상자를 다단으로 적재하여 보관 및 회수가 가능하다.
이때, 위쪽에 위치한 철재상자의 삽입부(173) 내측에 아래쪽에 위치한 철재상자의 연장패널(130) 상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므로 다단 적재시에도 흔들림 없이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장측면 패널(200)과 단측면 패널(300)이 모두 절첩된 상태에서 철재상자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절첩된 단측면 패널(300)을 기립시킨다.
즉, 단측면 패널(300)을 외측으로 회전시켜 베이스 패널(100)에 대해 완전히 기립되도록 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패널(130)의 상부에 단측면 패널(300)의 하단부가 위치하게 되고, 체결돌기(302a)가 모서리 브래킷(140)에 형성된 체결홈(141)에 수용됨으로써, 단측면 패널(300)은 쓰러지지 않고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장측면 패널(200)의 하면(250)을 외측으로 회전시켜 완전히 기립되도록 하고, 상면(210)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하면(250)에 대해 기립되도록 한 다음, 락킹수단(220)의 핀부(222)를 외측으로 돌출시켜 락킹홈(304)에 수용되도록 하면, 장측면 패널(200)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측면 패널(200)과 단측면 패널(300)이 모두 기립된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다수의 철재상자를 다단으로 적재하여 보관 및 이동이 가능하다.
이때, 위쪽에 위치한 철재상자의 삽입부(173) 내측에 아래쪽에 위치한 철재상자의 단측면 패널(300) 상단부인 제3사각 파이프(302)가 끼워져 되므로 다단 적재시에도 흔들림 없이 이동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베이스 패널 130 : 연장패널
140 : 모서리 브래킷 141 : 체결홈
150 : 제1보강재 151 : 수직부
152, 153 : 수평부 170 : 지지대
171 : 연결부 173 : 삽입부
200 : 장측면 패널 210 : 상면
220 : 락킹수단 250 : 하면
300 : 단측면 패널

Claims (5)

  1. 베이스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어느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는 한 쌍의 제1측면 패널; 및
    상기 베이스 패널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나머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는 한 쌍의 제2측면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제1측면 패널의 하단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의 하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하단부를 따라 보강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보강재는 외측으로 개방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자른 단면이 '디귿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상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 패널은 가로로 길게 상면과 하면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상기 상면은 상기 하면에 힌지 연결되어 있어, 상기 하면의 외측으로 절첩가능하고,
    상기 하면은 상기 베이스 패널에 힌지 연결되어 있어,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부로 절첩가능하며,
    상기 제2측면 패널이 기립되는 상기 베이스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연장된 연장패널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2측면 패널은 상기 연장패널의 내측으로 절첩가능하고, 절첩시 상기 제1측면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상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널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베이스 패널의 모서리와 상기 연장패널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모서리 브래킷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제2측면 패널은 상기 모서리 브래킷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모서리 브래킷에는 상기 제2측면 패널의 기립시 상기 제2측면 패널에 형성된 체결돌기가 수용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에는 측방으로 돌출 가능한 락킹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측면 패널에는 돌출된 상기 락킹수단이 수용되는 락킹홈이 형성되어 있어,
    측방으로 돌출된 상기 락킹수단이 상기 락킹홈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1측면 패널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상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 패널이 기립되는 상기 베이스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배치된 지지대가 마련되어 있되, 상기 지지대는 하방으로 개방된 형상이며,
    상기 제1측면 패널 및 상기 제2측면 패널이 기립된 상태에서 철재상자의 다단 적재시 위쪽에 위치한 철재상자의 지지대 내측에 아래쪽에 위치한 철재상자의 제2측면 패널의 상단부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제1측면 패널 및 상기 제2측면 패널이 절첩된 상태에서 철재상자의 다단 적재시 위쪽에 위치한 철재상자의 지지대 내측에 아래쪽에 위치한 철재상자의 연장패널의 상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상자.
KR1020120104882A 2012-09-21 2012-09-21 철재상자 KR101458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882A KR101458096B1 (ko) 2012-09-21 2012-09-21 철재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882A KR101458096B1 (ko) 2012-09-21 2012-09-21 철재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616A true KR20140038616A (ko) 2014-03-31
KR101458096B1 KR101458096B1 (ko) 2014-11-05

Family

ID=50646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882A KR101458096B1 (ko) 2012-09-21 2012-09-21 철재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0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27237A1 (en) * 2022-02-01 2023-08-16 K. Hartwall Oy AB Contai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701Y1 (ko) * 2018-03-15 2018-10-24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농산물 보관 전용으로 사용되는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000612D0 (sv) * 2000-02-25 2000-02-25 Arca Systems Ab Collapsible container for transport and storage
US3883026A (en) * 1973-04-23 1975-05-13 John C Selz Collapsible wall container
KR100987869B1 (ko) * 2010-03-11 2010-10-13 현기훈 접철식 컨테이너형 파레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27237A1 (en) * 2022-02-01 2023-08-16 K. Hartwall Oy AB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8096B1 (ko) 201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6264B2 (en) Freight rack
KR20120114264A (ko) 팰릿 랙, 팰릿 랙 유닛 및 팰릿 랙을 구비한 컨테이너
KR101458096B1 (ko) 철재상자
KR102268567B1 (ko) 확장형 파렛트
KR101165568B1 (ko) 접철식 컨테이너 파레트
CN204078302U (zh) 一种锁具及托盘箱
KR200485420Y1 (ko) 롤 타입 화물 운송용 거치장치
EP1295800A1 (en) Shipping base for appliances
KR101517015B1 (ko)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
JP5047836B2 (ja) ボックスパレット
CN217918934U (zh) 钢制折叠托盘
RU164170U1 (ru) Сборно-разборная тара
JP5431032B2 (ja) 箱型容器
JP2006347617A (ja) 箱状コンテナの壁面構造
KR200336018Y1 (ko) 자동차 부품용 접철식 파렛트
WO2019207491A1 (en) Stillage box
KR101486045B1 (ko) 강판 운송 및 적층 보관이 가능한 파렛트
CN209939230U (zh) 一种可回收器具
KR102464080B1 (ko) 조립식 파레트
CN214931464U (zh) 一种便于折叠及堆叠的液体周转箱
KR102545936B1 (ko)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포장박스
JP2019069785A (ja) 折畳み容器
CN210793997U (zh) 一种可折叠的托盘箱
KR20190037498A (ko) 절첩식 상자 및 절첩식 상자의 브라켓
JP5554978B2 (ja) 梱包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