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1717A -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1717A
KR20140031717A KR20120098385A KR20120098385A KR20140031717A KR 20140031717 A KR20140031717 A KR 20140031717A KR 20120098385 A KR20120098385 A KR 20120098385A KR 20120098385 A KR20120098385 A KR 20120098385A KR 20140031717 A KR20140031717 A KR 20140031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list
erro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98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호
최윤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098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1717A/ko
Priority to US14/015,300 priority patent/US9746838B2/en
Publication of KR20140031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7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e.g. by using checking codes
    • G06F11/10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 G06F11/1008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in individual solid state devices
    • G06F11/1048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in individual solid state devices using arrangements adapted for a specific 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fea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1Design,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of databases
    • G06F16/215Improving data quality; Data cleansing, e.g. de-duplication, removing invalid entries or correcting typographical err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5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7License processing; Key processing
    • G06F21/1078Logging; Met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12Applications of a database
    • Y10S707/913Multimed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텐츠의 재생, 조회 및 보관이 가능한 전자기기에서 효율적인 콘텐츠 관리를 통해 사용자에게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관리 방법은 저장장치로부터 콘텐츠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여 콘텐츠 DB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DB에 등록된 속성정보들을 이용하여 콘텐츠 재생기로 재생할 콘텐츠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콘텐츠들에 대응되는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텐츠의 재생, 조회 및 보관이 가능한 전자기기에서 효율적인 콘텐츠 관리를 통해 사용자에게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전자기기는 비디오, 오디오, 이미지 콘텐츠를 관리하고 이를 재생하고 있다. 콘텐츠의 종류와 양이 매우 증대하고 있다. 기존의 PC 중심이 아니라 휴대용 전자기기 및 가전기기 등과 같이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콘텐츠를 조회하고 관리하고 있다. 또한 전자기기들끼리 서로의 콘텐츠를 공유하거나 전달하여 재생한다.
콘텐츠 관리의 가장 큰 목적은 전자기기 내에 있는 파일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쉽게 찾고 이를 조회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자기기는 주로 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가 조회, 검색 및 정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콘텐츠를 비교적 쉽게 찾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스트는 콘텐츠 재생기 또는 콘텐츠 종류별로 구성된다. 즉, 전자기기는 비디오 플레이어의 경우에는 비디오 콘텐츠를, 오디오 플레이어의 경우에는 오디오 콘텐츠만을 따로 리스트로 작성하여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는 콘텐츠의 파일 확장자를 통해 콘텐츠를 종류별로 분류한다. 또한 전자기기는 콘텐츠 내의 헤더와 구조 등을 분석하여 해당 콘텐츠의 종류를 분류하기도 한다. 이 때 가장 많이 쓰이는 콘텐츠 분류 정보는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이다.
콘텐츠의 리스트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콘텐츠의 검색 및 콘텐츠의 파싱(parsing) 등의 작업이 필요하다. 콘텐츠의 종류가 많고 시스템의 성능이 낮은 경우에는 이러한 작업에 매우 많은 시스템 자원과 시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리스트 작업은 사용자가 사용하는데 불편함을 초래하기 때문에, 전자기기는 콘텐츠의 확장자 및 콘텐츠의 MIME 타입을 이용하여 콘텐츠들을 구별한다. 예를 들어 3gp, mp4 및 avi 등과 같은 확장자는 비디오를 나타내고, mp3, aac, amr 및 wmv 등은 오디오를 나타내고, bmp, png, jpeg 및 gif 등은 이미지를 나타낸다. 그러나 확장자로는 분류가 어려운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dcf는 OMADRM (Open Mobile Alliance Digital Right management) 기법으로 인코딩된 확장자이다. 전자기기는 이미지, 비디오 및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확장자가 dcf인 파일로 인코딩한다. 전자기기는 DRM 디코더로 dcf 파일을 디코딩하여 콘텐츠 타입이 무엇인지 알아낸다.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폰은 콘텐츠의 MIME 타입을 분석하여 콘텐츠를 구별한다.
이렇듯 콘텐츠의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제한된 정보를 이용해야 하므로 콘텐츠가 재생될 때 문제가 발생된다. 예를 들어, 미지원 콘텐츠이거나 동영상임에도 불구하고 소리만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FF(Fast forward)/RW(Reward)의 경우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콘텐츠의 데이터 스트림이 비정상적이어서 노이즈가 발생하거나 멈추는 경우가 있다. DRM 콘텐츠의 경우에는 사용 가능 횟수를 초과하거나 재생 가능 시간이 종료되어 더 이상 재생이나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심지어는 재생 중 재생프로그램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거나 시스템이 멈추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가방이나 주머니에 전자기기를 넣고 헤드셋으로 MP3 연속 재생 기능을 사용하다가 에러(error)가 발생하면 기기를 꺼내어 조작하여 다음 곡을 선택해야 한다.
도 1의 (a)는 기존의 콘텐츠 리스트, 도 1의 (b) 내지 (d)는 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 발생하는 여러 에러의 예들을 보여준다.
더욱이 한 번 에러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사후 처리가 없기 때문에 같은 현상이 이후에도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당 콘텐츠를 삭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사용자가 많은 파일들 중에서 이를 찾아 삭제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이다. 리스트 상에서 콘텐츠를 삭제하는 경우 비교적 편리하나 이 또한 문제가 있다. 즉 해당 콘텐츠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지원되지 않지만 다른 애플리케이션에는 지원될 수도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전자기기의 펌웨어가 업데이트되는 경우 문제가 해결될 수도 있다. 또한 빨리감기, 되감기, 특정위치에서 재생을 위한 시크(seek)와 같은 일부 기능만 문제가 있고 재생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시간과 비용을 들여서 저장한 콘텐츠를 삭제해버리는 것은 사용자 입장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콘텐츠 리스트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콘텐츠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리스트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스트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최대한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관리 방법은 저장장치로부터 콘텐츠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여 콘텐츠 DB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DB에 등록된 속성정보들을 이용하여 콘텐츠 재생기로 재생할 콘텐츠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콘텐츠들에 대응되는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관리 장치는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콘텐츠 재생기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무선통신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저장장치로부터 콘텐츠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여 콘텐츠 DB에 등록하고, 상기 콘텐츠 DB에 등록된 속성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재생기로 재생할 콘텐츠들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콘텐츠들에 대응되는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표시된 콘텐츠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저장장치는 상기 저장부 및 상기 외부장치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콘텐츠 DB는 상기 저장부 및 상기 외부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콘텐츠 리스트를 통해 신뢰성 있는 정보의 제공 및 편리한 플레이어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의 (a)는 기존의 콘텐츠 리스트, 도 1의 (b) 내지 (d)는 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 발생하는 여러 에러의 예들을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리스트 처리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콘텐츠는 인터넷이나 컴퓨터 통신을 통해 제공 가능한 각종 데이터를 일컫는 것으로 예컨대, 텍스트, 이메일, 사진,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문서 등이 있다. 콘텐츠는 상기 텍스트, 이메일, 사진,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문서 등과 같은 실제 내용물과, 실제 내용물의 속성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속성 정보는 콘텐츠를 구별하고 선택된 재생기에서 재생이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로 이용된다. 예컨대 속성 정보는 확장자(컨테이너라고 하기도 함), 데이터 크기(예, 2Mbyte), 만든 날짜, 수정된 날짜, 상세 정보 및 에러 정보 등이 있다. 여기서 상세 정보는 전자기기가 해당 콘텐츠를 분석(parsing)하여 얻은 정보로써 예컨대, 데이터 통신 규약, 코덱 정보, 재생 시간, 해상도, 썸네일(Thumbnail), 아티스트, 재생 가능한 기간(duration), 재생 가능한 횟수, 비트 레이트(bit rate), FPS(Frames per second) 및 미디어 타입(media type)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에러 정보는 콘텐츠의 재생시 발생한 에러와 관련한 정보이다.
본 발명에서 전자기기는 PC, 노트북 등의 컴퓨터 장치와, 스마트폰, 휴대전화, PMP, 태블릿 PC, 네비게이터, 휴대용 게임기와 같은 휴대 단말과, AV(Audio/Video) 기기, TV, 스마트 허브 장치, 파일 서버 등과 같은 가전기기와, 착용형(wearable)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아래 설명과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휴대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PC, 노트북, 태블릿 PC, PMP, 서버, TV, HMD(Head Mounted Display)가 장착된 컴퓨팅 장치 등에서 구현 가능하다. 또한 입력 장치로써 터치스크린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입력 장치는 마우스, 조이스틱, 데이터 글로브(Data Glove), HMD(Head mounted Display) 등 다양하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장치(200)는 터치스크린(210), 키 입력부(220), 저장부(230), 무선 통신부(240), 오디오 처리부(250), 스피커(SPK), 마이크(MIC),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터치스크린(210)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interaction)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써, 터치패널(211)과 표시패널(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터치패널(211)은 표시패널(212)에 안착(place on the display unit)될 수 있다. 터치패널(211)은 터치패널(211)에 대한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아날로그 신호(예, 터치이벤트)를 발생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A/D 변환하여 제어부(270)로 전달한다. 제어부(270)는 전달된 터치이벤트로부터 사용자의 제스처를 검출한다. 사용자 제스처는 터치(Touch)와 터치 제스처(Touch gesture)로 구분된다. 다시 터치 제스처는 탭(Tap), 드래그(Drag) 및 플릭(Flic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터치는 터치스크린에 접촉(contact)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터치제스처는 터치가 터치스크린에 접촉(touch-on)해서 터치 해제(touch-off)까지의 터치의 변화를 의미한다. 터치패널(211)은 손 제스처를 감지하는 손 터치패널과 펜 제스처를 감지하는 펜 터치패널를 포함하여 구성된 복합 터치패널일 수 있다. 여기서 손 터치패널은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손 터치패널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손 터치패널은 사용자의 손 제스처에 의해서만 터치이벤트를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물체(예, 정전용량 변화를 가할 수 있는 전도성 재질의 물체)에 의해서도 터치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펜 터치패널은 전자 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펜 터치패널은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특수 제작된 터치용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터치이벤트를 생성한다.
표시패널(212)은 제어부(270)의 제어 하에, 제어부(27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즉, 표시패널(212)은 장치(200)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잠금 화면, 홈 화면, 환경 설정 화면, 어플리케이션(줄여서 '앱(App)') 실행 화면, 키패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잠금 화면은 표시패널(211)이 켜지면, 표시패널(212)에 표시되는 영상이다. 잠금 해제를 위한 사용자 제스처가 검출되면 제어부(270)는 표시되는 영상을 잠금 화면에서 홈 화면 또는 앱 실행 화면 등으로 전환(changing)할 수 있다. 홈 화면은 다수의 앱(예, 환경 설정, 브라우저, 통화, 메시지 등)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영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수의 앱 아이콘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예, 아이콘을 탭)된 경우, 제어부(270)는 해당 앱을 실행하고, 그 실행 화면을 표시패널(212)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패널(212)은 제어부(270)의 제어 하에, 상기 화면들 중에서 하나 예컨대, 앱 실행 화면을 배경(background)으로 표시하고 다른 하나 예컨대, 키패드를 전경(foreground)으로써 상기 배경에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212)은 제어부(270)의 제어 하에, 다수의 화면을 서로 오버랩되지 않게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패널(212)은 상기 화면들 중 하나를 제 1 스크린 영역에 표시하고 다른 하나를 제 2 스크린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패널(212)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플랙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전자 잉크(Digital Ink) 중 한 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키입력부(2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키(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키들은 메뉴 불러오기 키, 화면 온/오프 키, 전원 온/오프 키 및 볼륨 조절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키입력부(220)는 사용자 설정 및 장치(2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이벤트를 생성하여 제어부(270)로 전달한다. 키 이벤트는 전원 온/오프 이벤트, 볼륨 조절 이벤트, 화면 온/오프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이러한 키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한다. 한편 키입력부(220)의 키(버튼)는 하드 키(hard key)라 하고 터치스크린(110)에 표시되는 키(버튼)는 소프트 키(soft key)로 지칭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제어부(270)의 보조기억장치(secondary memory unit)로써, 디스크, 램(RAM), 롬(ROM) 및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제어부(270)의 제어 하에, 장치(200)에서 생성되거나 무선통신부(24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0)를 통해 외부장치(예, 서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등)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예, 콘텐츠 및 속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장치(200)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각종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230)는 콘텐츠 재생기와 콘텐츠 관리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콘텐츠 재생기는 예컨대, 비디오 재생기, 오디오 재생기, 이미지 뷰어, 문서 뷰어 등이 될 수 있다. 콘텐츠 관리 프로그램은 저장 장치에서 콘텐츠를 읽어오고(reading) 읽어온 콘텐츠에서 속성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속성 정보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에 등록하는 기능과, 콘텐츠 DB에 등록된 속성 정보들을 이용하여 콘텐츠 리스트를 처리(구체적으로, 생성, 수정, 삭제 및 저장)하는 기능과, 콘텐츠 리스트를 출력(표시)하는 기능과, 콘텐츠 리스트를 통해 선택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기능과, 재생 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표시)하는 기능과, 재생 중에 에러 발생한 콘텐츠의 디코딩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과, 수집된 디코딩 정보를 콘텐츠 리스트 및 콘텐츠 DB에 등록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여기서 저장장치는 저장부(230) 또는 외부장치일 수 있다. 즉 제어부(270)는 무선통신부(24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0)를 통해 외부장치와 연결되고 외부장치로부터 콘텐츠 및 그 속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콘텐츠 DB는 저장부(230) 또는 외부장치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집된 디코딩 정보는 에러의 종류(오디오의 재생 불량, 화면 깨짐 현상, 잡음 발생) 및 에러의 위치(예컨대, 재생이 되지 않는 시간)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디코더에서 수집 가능한 에러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집된 디코딩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예, 에러 종류, 에러 위치, 에러 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내재화 어플리케이션(embedded application) 및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3rd party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내재화 어플리케이션은 장치(200)에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예컨대 내재화 어플리케이션은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등이 될 수 있다.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은 주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온라인 마켓으로부터 장치(200)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하며, 매우 다종다양하다. 이러한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은 설치 및 제거가 자유롭다. 장치(200)가 켜지면 먼저 부팅 프로그램이 제어부(270)의 주기억장치(예, RAM)로 로딩(loading)된다. 이러한 부팅 프로그램은 장치(200)가 동작할 수 있게 운영체제를 주기억장치로 로딩한다. 또한 운영체제는 프로그램(특히, 콘텐츠 관리 프로그램)을 주기억장치로 로딩하여 실행한다. 이러한 부팅 및 로딩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무선통신부(240)는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통신부(24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240)는 이동 통신 모듈(예컨대, 3세대(3-Generation) 이동통신모듈, 3.5(3.5-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또는 4(4-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등), 디지털 방송 모듈(예컨대, DMB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예, 와이파이(Wi-Fi)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50)는 스피커(SPK) 및 마이크(MIC)와 결합하여 음성 인식, 음성 녹음, 디지털 레코딩(recording) 및 통화 기능을 위한 오디오 신호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250)는 제어부(27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로 D/A 변환하고 증폭한 후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오디오 처리부(250)는 마이크(MIC)으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로 A/D 변환한 후 제어부(270)로 제공한다. 스피커(SPK)는 오디오 처리부(250)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음파(sound wave)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마이크(MIC)는 사람이나 기타 소리원(sound source)들로부터 전달된 음파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60)는 유선을 통해 외부장치 예컨대, 헤드폰, 스마트폰이나 데스크탑 PC 등과 연결된다.
제어부(270)는 무선 통신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무선 통신 단말(200)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응용프로그램 및 운영체제를 저장하는 주기억장치와, 저장부(230)에 기록(write)할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저장부(230)로부터 읽어 온(read)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캐시메모리와,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와 프로그램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면서, CPU, GPU,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등의 컴퓨터 자원을 관리한다. 즉, 운영체제는 무선 통신 단말(200)를 동작시키고 작업(task)의 순서를 정하며 CPU의 연산 및 GPU의 연산을 제어한다. 또한 운영체제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제어하는 기능과, 데이터와 파일의 저장을 관리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한편 주지된 바와 같이 CPU는 자료의 연산 및 비교와, 명령어의 해석 및 실행 등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적인 제어 유닛이다. GPU는 CPU를 대신하여, 그래픽과 관련한 자료의 연산 및 비교와, 명령어의 해석 및 실행 등을 수행하는 그래픽 제어 유닛이다. CPU와 GPU은 각각, 두 개 이상의 독립 코어(예, 쿼드 코어(quad-core))가 단일 집적 회로로 이루어진 하나의 패키지(package)로 통합될 수 있다. 또한 CPU와 GPU는 하나의 칩으로 통합(SoC; System on Chip)된 것일 수 있다. 또한 CPU와 GPU는 멀티 레이어(multi layer)로 패키징(packaging)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CPU 및 GPU를 포함하는 구성은 AP(Application Processor)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270)의 본 발명과 관련된 특징적인 기능 즉, 콘텐츠 관리를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관리 장치(200)는 GPS 모듈, NFC(Near Filed Communication) 모듈, 진동 모터, 카메라,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관리 장치(2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들에서 특정 구성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01에서 제어부(270)는 콘텐츠 등록 단계를 수행한다. 콘텐츠 등록 단계는 저장장치로부터 콘텐츠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속성 정보를 콘텐츠 DB에 등록하기 위한 단계이다. 콘텐츠 등록 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저장장치에서 콘텐츠를 읽어 오고, 읽어 온 콘텐츠를 분석하여 속성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속성 정보를 콘텐츠 DB에 등록한다. 이 때 콘텐츠 DB가 이미 생성된 경우, 제어부(70)는 콘텐츠 DB를 업데이트한다. 즉 제어부(270)는 저장장치에서 신규 콘텐츠를 검색하고, 신규 콘텐츠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여 콘텐츠 DB에 등록한다. 제어부(270)는 검색된 콘텐츠들을 직접 접근(access)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인 속성 정보를 콘텐츠 DB에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제어부(270)는 콘텐츠에 직접 접근하지 않고, 다른 DB나 룩업(lookup) 테이블 등에서 속성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하여 콘텐츠 DB에 저장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두 가지 방법이 모두 사용될 수도 있다.
콘텐츠 DB에 등록되는 속성 정보는 콘텐츠에서 속성 정보의 추출이나 분석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접근 가능한 직접적 혹은 간접적 경로 정보(예컨대, 해당 콘텐츠를 저장한 서버의 위치를 나타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웹사이트 주소) 또는 콘텐츠의 인덱스(Index)와 같이 간단한 정보들을 포함한다. 또한 속성 정보는 MIME 타입, 사용 기간(duration), 미디어 타입(비디오, 오디오, 이미지), 썸네일, 작곡가, 제작자, 비트 레이트(bit rate), FPS(Frames per second) 및 해상도 등 콘텐츠와 관련한 다양하고 상세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세 정보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얻을 수 있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MP3의 경우 ID3 Tag, JPEG 이미지의 경우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MPEG4의 경우 ftyp(file type)이나 moov 등을 분석하여 상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새로 등록해야 할 콘텐츠들이 많은 경우, 콘텐츠를 직접 분석하여 상세 정보를 얻는 것은 시간이 매우 많이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70)는 콘텐츠의 확장자만을 콘텐츠 DB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콘텐츠의 헤더에서 MIME 타입, 오디오나 비디오의 코덱 정보 등과 같은 다른 정보들을 추출하여 콘텐츠 DB에 등록할 수도 있다.
단계 302에서 제어부(270)는 콘텐츠 리스트 처리 단계를 수행한다. 콘텐츠 리스트 처리 단계는 콘텐츠 재생기로 재생할 콘텐츠들을 결정하고, 결정된 콘텐츠들에 대응되는 콘텐츠 리스트를 처리(구체적으로, 생성, 수정, 삭제 및 저장)하기 위한 단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리스트 처리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3021에서 제어부(270)는 사용자의 재생기 실행 요청(예, 터치스크린(110)에 표시된 재생기 아이콘을 사용자가 탭)에 응답하여 콘텐츠 재생기를 실행한다.
단계 3022에서 제어부(270)는 상기 실행된 콘텐츠 재생기로 재생할 콘텐츠들을 결정한다. 여기서 콘텐츠 DB는 콘텐츠들과 이들에 각각 대응되는 속성 정보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콘텐츠 DB는 저장부(230) 또는 외부장치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는 외부장치에 저장되고 속성 정보는 저장부(230)에 저장될 수 있다. 속성 정보는 확장자 정보, 데이터 크기, 데이터 통신 규약(예컨대, MIME), 코덱 정보, 재생 시간, 해상도, 썸네일(Thumbnail), 아티스트, 재생가능시간(duration), 비트 레이트(bit rate), FPS(Frames per second) 및 미디어 타입(media typ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단계 3023에서 제어부(270)는 결정된 콘텐츠들에 대응되는 리스트를 생성한다. 예컨대 상기 실행된 콘텐츠 재생기가 비디오 플레이어인 경우 제어부(270)는 콘텐츠 DB에서 확장자가 avi, wmv 등인 콘텐츠들을 비디오 재생기로 재생할 콘텐츠들로 결정하고 결정된 콘텐츠들에 대응되는 리스트를 생성한다. 다른 콘텐츠(예, 오디오나 이미지 등)의 리스트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생성된다. 제어부(270)는 간단하게는 콘텐츠 DB에 등록된 콘텐츠의 확장자 및 데이터 통신 규약 등을 기반으로 콘텐츠를 리스트에 포함시킬지 여부를 결정한다. 그러나 상기 정보들로는 리스트에 포함시킬지 여부를 결정하지 못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확장자로는 콘텐츠 정보를 파악할 수 없는 경우이다. 즉, OMADRM으로 암호화된 콘텐츠의 경우 확장자가 dcf이다. 제어부(270)는 해독(decryption)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콘텐츠를 해독하여 콘텐츠의 미디어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270)는 콘텐츠의 디코딩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디코딩이 가능한 경우 리스트에 포함되고 그렇지 않으면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다. 예컨대, 확장자는 WMV로 동일하지만 인코딩 버전이 다를 수 있다. 콘텐츠 재생기의 디코더가 WMV7 및 WMV8은 지원하지만 WMV9는 지원하지 못할 경우, WMV9으로 인코딩된 콘텐츠는 디코딩이 안 될 수 있다. 디코더가 지원하는 코덱의 종류에 따라 리스트의 수정이 요구된다. 이상으로 제어부(270)는 리스트를 생성하고, 저장을 위한 입력(예, 터치스크린(210)에 표시된 '저장 버튼'을 탭)이 검출되면, 생성된 리스트를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270)는 콘텐츠의 종류별로 리스트용 데이터베이스들(예, 비디오 데이터베이스, 오디오 데이터베이스 등)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콘텐츠 DB를 콘텐츠의 종류별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기와 관련된 태그나 정보를 콘텐츠 DB의 해당 속성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생성된 콘텐츠 리스트에서 에러 정보가 포함된 콘텐츠는 촉각 즉, 햅틱(haptic) 피드백이 설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270)는 해당 콘텐츠에 대해 촉각 즉, 햅틱(haptic) 피드백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리스트에서 해당 콘텐츠를 선택하거나 연속 재생 기능에 의해 해당 컨텐츠가 자동으로 선택될 때 제어부(270)는 사용자에게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에러를 발생하는 콘텐츠를 리스트에서 선택할 경우 제어부(270)는 재생 전에, 진동, 피에조(piezo), 공기 압력, 정전기력 등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콘텐츠 관리 장치(200)는 진동 모터, 전기활성 폴리머(electro-active polymer), 피에조 액튜에이터(piezo actuator), 열 발생기, 냉각기,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외에도 스피커를 통해 경고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70)는 각각의 에러 상황들에 대해 해당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처리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에러 정보를 포함한 콘텐츠를 선택할 경우 제어부(270)는 터치스크린(210)을 제어하여 재생 여부를 묻기 위한 메시지(예, 다이얼로그, 팝업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된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가 재생을 요청할 경우 해당 제어부(270)는 해당 콘텐츠를 재생한다.
단계 3024에서 제어부(270)는 생성된 리스트의 수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수정이 필요한 경우 단계 3025에서 제어부(270)는 생성된 리스트를 수정한다. 예를 들어 mp4 파일은 대부분 비디오 파일에 해당된다. 따라서 제어부(270)는 일단 mp4 파일을 비디오 리스트에 포함시킨다. 그런데 mp4 파일을 분석한 결과 해당 mp4 파일이 비디오 트랙이 부재하고 오디오 트랙만 들어 있는 경우, 제어부(270)는 비디오 리스트를 수정하기로 결정한다. 예컨대, 제어부(270)는 오디오 트랙만 있는 mp4 파일을 비디오 리스트에서 제거하고 그 대신에 오디오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70)는 오디오만 존재한다는 정보를 비디오 리스트 및 콘텐츠 DB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암호화된 콘텐츠를 해독한 결과 비디오가 아닌 오디오인 경우 제어부(270)는 해당 콘텐츠를 비디오 리스트에서 제거하고 오디오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를 재생한 결과 디코딩이 안 되는 경우 제어부(270)는 해당 콘텐츠를 비디오 리스트에서 제거할 수 있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단계 303에서 제어부(270)는 콘텐츠 리스트 출력 단계를 수행한다. 콘텐츠 리스트 출력 단계에서는 콘텐츠 리스트가 출력장치 예컨대,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출력된다. 즉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270)의 제어 하에,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한다. 콘텐츠 리스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0)를 통해 외부장치로 출력될 수도 있다. 예컨대, 콘텐츠 리스트는 프로젝터를 통해 스크린에 영사되거나 TV에 표시될 수 있다. 콘텐츠 리스트는 흔히 볼 수 있는 1차원 가로 혹은 세로 배열 방식, 2차원 배열 방식, 무작위 배치 방식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예제에서는 설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1차원 세로 배열 방식을 주로 이용하도록 한다. 다만 이에 적용된 사상은 다른 레이아웃 방식에서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콘텐츠 리스트에서 각 항목은 통상적으로 썸네일, 아이콘 혹은 콘텐츠 이름 등으로 구성된다. 이에 부가적으로 재생가능 시간(duration), 콘텐츠 타입, 파일 크기 등의 정보를 가지게 된다. 콘텐츠들은 종류, 수정 날짜 혹은 이름 등의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270)는 콘텐츠들을 종류별로 분리하여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210)을 제어한다.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콘텐츠들 중 재생이 불가능하거나 이상이 있는 콘텐츠 항목, 혹은 DRM 항목들은 별도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 5 (a)와 같이 하나의 리스트에서 재생 불가능한 콘텐츠를 나타내는 항목(510)은 선택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알리기 위해 회색조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DRM 파일과 같이 사용자에게 주의를 촉구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도 해당 항목의 색조가 다른 항목의 색조와 다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270)는 도 5 (b)와 같이 리스트를 지원, 미지원 및 DRM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지원은 재생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DRM으로 암호화된 콘텐츠들은 재생 횟수나 재생 가능 기간이 정해진 경우가 많다. 이러한 콘텐츠들의 경우에는 다른 콘텐츠들과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70)는 콘텐츠의 특이 정보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210)을 제어한다. 터치스크린(210)은 제어부(270)의 제어 하에, 콘텐츠 리스트에서 콘텐츠의 특이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비디오나 오디오의 경우 기간(duration) 정보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혹은 콘텐츠가 비정상적이어서 재생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시크(seek) 기능이 불가능하다면 제어부(270)는 이러한 특이 정보를 리스트에 함께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210)을 제어한다. 비디오에서 비디오 트랙이나 오디오 트랙이 재생되지 않는다면 이러한 특이사항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정보가 표시된다. 도 6 (a) 및 (b)에서 비디오 1은 소리 없음, 비디오 2는 비디오 없음, 비디오 3은 시크 기능 지원 안됨, 비디오 4는 재생 시 시스템 에러나 재생기의 심각한 에러 발생, 비디오 5는 DRM 콘텐츠의 경우 허용 시간 지남 혹은 허용 횟수 초과 등으로 인한 플레이 안됨, 비디오 6은 08:00시까지 재생 허용, 비디오 7은 재생 가능 횟수 3회 남음, 비디오 8은 자동 재생 안됨, 비디오 9는 DRM 정책 등으로 인해 TV-Out 출력이 안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미지원 콘텐츠 및 해상도 초과 등과 같이 재생과 관련한 여러 가지 특이 사항이 출력된다.
콘텐츠 리스트를 구성하는 중요한 목적 중의 하나는 연속 재생을 지원하는 것이다. 즉, 리스트 상에서 하나의 콘텐츠를 재생시키면 해당 콘텐츠의 재생 종료 (play done)시 리스트 상의 다음 콘텐츠로 자동적으로 이어서 재생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재생 방법에 따라서는 재생 순서가 무작위로 바뀌거나 단 하나의 콘텐츠만 무한 반복 재생될 수 있다. 이러한 연속 재생의 경우 제어부(270)는 재생 불가능한 콘텐츠를 자동적으로 재생 대상에서 제외하도록 처리한다. 제어부(270)는 콘텐츠가 미지원 포맷인 경우, 콘텐츠가 미지원 코덱으로 인코딩된 경우, 콘텐츠가 사용 가능한 횟수나 시간을 초과한 경우, DRM 에러를 발생시키는 콘텐츠인 경우, 콘텐츠의 에러로 인한 재생 불가인 경우, 또는 콘텐츠가 재생기나 시스템에 심각한 에러를 초래하는 경우 해당 콘텐츠를 재생 불가능한 콘텐츠로 결정하고 자동 재생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자동 재생 대상에서 제외된 콘텐츠에 대해서는 도 6 (a) 및 (b)의 비디오 8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직접 재생이나 자동 재생의 불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콘텐츠가 선택(예, 롱 탭)되면 제어부(270)는 재생 불가 설정, 자동 재생 불가 설정, 해제 등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메뉴나 버튼)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210)을 제어한다.
단계 304에서 제어부(270)는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콘텐츠의 선택(예, 탭)을 검출한다. 단계 305에서 제어부(270)는 선택된 콘텐츠를 재생한다. 제어부(270)는 선택된 콘텐츠의 속성 정보(예, 확장자, 에러 정보, 재생 설정 정보 등)를 기반으로 콘텐츠의 재생 가능 여부를 결정한다. 재생이 가능한 경우 제어부(270)는 재생기를 구동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재생한다. 에러, 코덱의 미지원, 재생 불가로 설정 등의 이유로 재생이 불가능한 경우 제어부(270)는 재생기 구동이 안 되도록 하고, 관련한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터치스크린(210)을 제어한다. 에러 메시지는 음성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이미지 뷰어는 이미지 슬라이드 기능, 자동 넘김 기능, 월페이퍼 설정 기능, exif 정보 등을 제공한다. 오디오 재생기(예, mp3 플레이어)는 자동 넘김, 오디오 이펙트(3D 사운드, 장르, 이퀄라이저(EQ), 음장효과 등) 적용, FF/RW 등의 재생 위치 설정(seek), 볼륨 크기, 콘텐츠 부가 정보(작곡가, 앨범 이미지 등) 등을 제공한다. 비디오 재생기도 오디오 재생기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기능과 함께 화면 비율 및 크기 조정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 305에서 제어부(270)는 선택된 콘텐츠에 해당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210)을 제어한다. 일례로써, 선택된 콘텐츠의 비디오 트랙이 미지원 코덱으로 인코딩된 경우, 제어부(270)는 비디오 재생기가 아닌 오디오 재생기를 구동하여 해당 콘텐츠를 재생한다. 또는 제어부(270)는 비디오 재생기를 구동하여 해당 콘텐츠의 소리를 재생하고, 미리 설정되거나 소정의 이미지(예를 들어 해당 콘텐츠의 이름이나 재생 정보, 에러 정보, 임의의 그림, 광고 등)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210)을 제어한다. 다른 예로써, 선택된 콘텐츠의 일부 구간에서 시크(seek)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270)는 seek 관련 UI (FF/RW 및 progressive bar)가 해당 부분만 지원되지 않음을 보여주도록 터치스크린(210)을 제어한다. 또 다른 예로써, 선택된 콘텐츠의 오디오가 지원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270)는 볼륨 조절를 비활성화시키거나 볼륨 조절키를 보이지 않게 터치스크린(210)을 제어한다. 이때 터치스크린(210)은 제어부(270)의 제어 하에, 오디오가 지원되지 않는다는 내용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팝업, 토스트(toast) 메시지, 아이콘 등을 표시한다.
단계 306에서 제어부(270)는 재생 중에 에러가 발생되는지 여부 또는 사용자 입력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콘텐트 재생 단계에서는 분석(parsing)을 통해 획득한 속성 정보나 콘텐츠의 헤더 정보에서 알 수 없었던 에러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을 구성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 에러가 있는 경우 재생 중에 언제라도 에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에러 발생을 사전에 예측하기 어렵다. 다른 예로는 파일의 헤더, 메타데이터 정보와 실제 파일의 정보가 다른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확장자는 mp3이나 실제로는 WMA인 경우가 있다. 가장 흔한 경우는 다양한 이유로 인한 미지원 콘텐츠인 사례이다. 해상도, 파일 크기, 재생 가능 시간, 재생 가능 비트레이트, 코덱 버전 등과 같이 재생기의 지원 가능 제원을 벗어나는 경우도 있고, 파일의 손상, 지원 불가능한 정보의 포함 등과 같은 원인도 있다.
이런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 단계 307에서 제어부(270)는 에러와 관련된 디코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디코딩 정보란 에러의 종류, 에러의 위치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는 디코더에서 수집이 가능한 에러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제어부(270)는 수집된 디코딩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에러의 종류, 에러의 위치 등을 수정, 삭제 및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에러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터치스크린(210)을 제어하여 시각적인 피드백(예, 경고 메시지를 포함하는 팝업창을 표시)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오디오 처리부(250)를 제어하여 청각적인 피드백(예, 경고 음성)을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270)는 상술한 진동 모터 등을 제어하여 촉각적인(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
단계 308에서 제어부(270)는 수집된 디코딩 정보 또는 수정된 디코딩 정보를 해당 리스트 또는 콘텐츠 DB에 등록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러한 등록 단계에서는 에러 종류, 에러 발생 위치, 발생 후 현상 등과 같이 다양한 에러 정보가 리스트나 콘덴트 DB에 등록된다. 이에 따라 리스트나 콘텐츠 DB에서 정보의 수정, 삭제, 추가 등과 같은 작업이 발생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디코더로부터 지원 해상도 초과와 같은 이벤트를 받으면, "에러 종류는 해상도", "발생위치는 00:00:00", "발생 후 현상은 재생 불가" 등과 같은 에러 정보를 리스트 혹은 콘텐츠 DB에 업데이트한다. 따라서 이후 리스트가 표시될 때 에러 정보도 표시된다. 또한 해당 콘텐츠는 재생 불가로 분류된다. 다른 예로 오디오 재생에 있어서 현재 재생 위치가 1분 30초이고 재생 위치가 2분 30초로 변경될 경우 2분 30초에서부터 재생되지 않고 다시 1분 30초로 되돌아와 재생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에러는 콘텐츠에 에러가 있거나 seek 관련 정보가 1분 30초까지만 정상적이고 이후엔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발생한다. 제어부(270)는 "에러 종류는 seek 불능", "발생위치는 00:01:30 이후", "발생 후 현상은 00:01:30로 복귀함" 등과 같은 에러 정보를 리스트 혹은 콘텐츠 DB에 업데이트한다.
디코딩 정보는 디코더에 의해 수집 가능한 에러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메뉴)를 통해 장치(200)에 입력한 사용자 입력 정보일 수도 있다. 일례로 비디오나 오디오 재생 중 특정 시간에 영상이나 음향이 비정상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에러는 디코더가 감지하지 못한 경우로써 사용자 입장에서는 확연히 알 수 있는 이상 현상에 해당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에러 정보를 직접 장치(200)에 입력할 수 있다. "에러 종류는 재생 불량", "발생 시점은 00:10:00 부터 00:10:15 까지", "에러 현상은 화면 깨짐 및 잡음 발생" 등과 같은 에러 정보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에러 정보의 입력 기능은 사용자가 재생하기 싫은 영역만 선택하여 해당 부분은 재생되지 않거나 조회하지 않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비디오에서 공포스럽거나 혐오스러운 부분을 스킵(skip)하거나 숨기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비디오에서 공포스럽거나 혐오스러운 부분은 사용자에 의해 비밀번호가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보인 것이다. 도 7(a)는 비디오 트랙은 이상이 없으나 오디오 트랙에 이상이 있어서 재생이 불가능함을 스피커 아이콘 표시를 통해 보여 주며 볼륨 조정이 안됨을 나타낸다. 또한 진행 막대를 통해 15:00 ~ 25:00 구간 동안은 시크(seek) 기능이 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만약 현재 재생되는 지점이 시크 불가능 구간이라면 FF와 RW 아이콘도 불능 상태로 바뀐다. 사용자는 도 7 (b)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비디오 재생과 관련한 에러 정보(예, 오류 종류, 오류 위치 및 오류 조치)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콘텐츠의 재생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터치스크린(210)으로부터 입력된 비밀번호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비밀번호를 저장부(23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터치스크린(210)으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비밀번호와 기 저장된 암호화된 비밀번호가 일치한 경우 비밀번호가 설정된 부분을 재생한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단계 309에서 제어부(270)는 선택된 콘텐츠의 재생 완료 여부를 결정한다. 재생 완료된 경우 단계 310에서 제어부(270)는 연속 재생 여부를 결정한다. 재생과 관련된 설정값이 "연속재생"인 경우 단계 311에서 제어부(270)는 리스트에서 다음 콘텐츠를 선택하고, 단계 305로 복귀하여 선택된 다음 콘텐츠를 재생하고 선택된 다음 콘텐츠에 해당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재생과 관련된 설정값이 "연속재생"이 아닌 경우 단계 312에서 제어부(270)는 재생기의 종료 여부를 결정한다. 재생기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270)는 단계 303으로 복귀하여 리스트를 출력하도록 터치스크린(210)을 제어한다.
기존에는 재생기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콘텐츠에 대해 콘텐츠 리스트에서 별도 관리가 되지 않아 해당 문제가 다시 발생하였다. 해당 콘텐츠를 리스트 상에서 삭제하는 것은 해당 콘텐츠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지원되지 않지만 다른 애플리케이션에는 지원될 수도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전자기기의 펌웨어가 업데이트되는 경우 문제가 해결될 수도 있다. 또한 시크(seek)와 같이 일부 기능만 문제가 있고 재생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시간과 비용을 들여서 저장한 콘텐츠를 삭제해버리는 것은 사용자 입장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하지만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리스트에서 콘텐츠의 존재(예, 아이콘, 썸네일)를 지우지 않고 유지시키면서도 여러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분류하여 관리한다. 따라서 콘텐츠의 활용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리스트 및 재생 지원 방식은 전자 기기뿐만 아니라 all share, DLNA 등과 같이 네트워크를 통한 기기간의 공유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와,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롬(ROM)과, 램(RAM)과,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200: 콘텐츠 관리 장치
210: 터치스크린
211: 터치패널212: 표시패널
220: 키입력부
230: 저장부
240: 무선통신부
250: 오디오 처리부
26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270: 제어부

Claims (18)

  1. 저장장치로부터 콘텐츠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여 콘텐츠 DB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DB에 등록된 속성정보들을 이용하여 콘텐츠 재생기로 재생할 콘텐츠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콘텐츠들에 대응되는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콘텐츠의 재생 중에 에러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에러가 발생된 경우 상기 에러와 관련된 디코딩 정보를 상기 선택된 콘텐츠의 속성 정보로써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디코딩 정보를 상기 콘텐츠 리스트 및 상기 콘텐츠 DB 중 적어도 하나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에러가 발생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에러 정보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가 발생된 경우 사용자에게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정보는 에러의 종류 및 에러의 위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확장자, 콘텐츠의 재생 중에 발생한 에러 정보, 사용자 입력 정보, 재생 가능한 기간, 재생 가능한 횟수, 코덱 정보, 데이터 통신 규약 및 미디어 타입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재생기로 재생할 콘텐츠들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에 해당되는 콘텐츠는 상기 재생할 콘텐츠로 결정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에러 정보,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 상기 재생 가능 기간 및 상기 재생 가능한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콘텐츠 리스트와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콘텐츠에 비밀번호가 설정된 경우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 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선택된 콘텐츠의 재생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콘텐츠 DB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콘텐츠에 에러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콘텐츠 재생기에서 지원 불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서 에러 정보가 포함된 콘텐츠에 대해 햅틱(haptic) 피드백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13.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콘텐츠 재생기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무선통신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저장장치로부터 콘텐츠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여 콘텐츠 DB에 등록하고, 상기 콘텐츠 DB에 등록된 속성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재생기로 재생할 콘텐츠들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콘텐츠들에 대응되는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표시된 콘텐츠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저장장치는 상기 저장부 및 상기 외부장치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콘텐츠 DB는 상기 저장부 및 상기 외부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콘텐츠의 재생 중에 에러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에러가 발생된 경우 상기 에러와 관련된 디코딩 정보를 상기 선택된 콘텐츠의 속성 정보로써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디코딩 정보를 상기 콘텐츠 리스트 및 상기 콘텐츠 DB 중 적어도 하나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확장자, 콘텐츠의 재생 중에 발생한 에러 정보, 사용자 입력 정보, 재생 가능한 기간, 재생 가능한 횟수, 코덱 정보, 데이터 통신 규약 및 미디어 타입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재생기로 재생할 콘텐츠들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에 해당되는 콘텐츠는 상기 재생할 콘텐츠로 결정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러 정보,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 상기 재생 가능 기간 및 상기 재생 가능한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콘텐츠 리스트와 함께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콘텐츠에 비밀번호가 설정된 경우 입력된 비밀번호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선택된 콘텐츠의 재생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
KR20120098385A 2012-09-05 2012-09-05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40031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8385A KR20140031717A (ko) 2012-09-05 2012-09-05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US14/015,300 US9746838B2 (en) 2012-09-05 2013-08-3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8385A KR20140031717A (ko) 2012-09-05 2012-09-05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717A true KR20140031717A (ko) 2014-03-13

Family

ID=50188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98385A KR20140031717A (ko) 2012-09-05 2012-09-05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46838B2 (ko)
KR (1) KR2014003171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53145S1 (en) * 2013-12-30 2016-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JP2015173335A (ja) * 2014-03-11 2015-10-01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10650038B2 (en) * 2014-03-26 2020-05-12 Google Llc Mechanism to handle interrupted playback experience for media items in playlists
USD763882S1 (en) * 2014-04-25 2016-08-16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Portion of a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5110S1 (en) * 2014-04-25 2016-08-30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Portion of a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8386S1 (en) * 2014-04-29 2016-06-07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Portion of a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0487S1 (en) * 2014-04-30 2016-11-01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0488S1 (en) * 2014-04-30 2016-11-01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Portion of a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275207B2 (en) * 2014-09-01 2019-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audio files
CN105792002B (zh) * 2014-12-18 2019-07-02 广州市动景计算机科技有限公司 视频渲染方法及装置
KR20160085076A (ko) * 2015-01-07 2016-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 서버를 판단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USD797133S1 (en) * 2016-01-07 2017-09-12 Invisalert Solutions, LL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41669S1 (en) * 2016-03-18 2019-02-26 Twitter,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live video sharing
US9818272B2 (en) * 2016-04-04 2017-11-14 Apple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ound level based driving of haptic actuator and related methods
US10896590B2 (en) 2016-09-14 2021-01-19 Invisalert Solutions, Inc. Tamper resistant one-time use wristband and clasp and algorithm to enhance the practical use of radio frequency for proximity between two or more entities
KR102609363B1 (ko) * 2016-10-18 2023-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멀티미디어 콘텐트 재생 방법
US11526922B2 (en) * 2017-08-04 2022-12-13 Iris.TV Inc.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and system for presentation of digital media assets based on assessed value
USD906359S1 (en) 2018-07-05 2020-12-29 Invisalert Solutions,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9068160B (zh) * 2018-09-20 2021-05-07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链接视频的方法、装置和***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758B1 (ko) 2001-10-10 2004-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편집/재생장치 및 그 방법
JP4673542B2 (ja) * 2003-07-18 2011-04-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書類引継装置、書類引継システム及び書類引継方法
KR100631518B1 (ko) 2005-01-21 2006-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파일 재생오류 처리방법
US7949529B2 (en) * 2005-08-29 2011-05-24 Voicebox Technologies, Inc. Mobile systems and methods of supporting natural language human-machine interactions
US20070277196A1 (en) * 2006-02-24 2007-11-29 Steengaard Bodil H Methods of user behavior learning and acting in a pervasive system
WO2007103491A2 (en) * 2006-03-07 2007-09-13 Construction Imaging & Archiving, Inc. Construction imaging and archiving method, system and program
KR101328364B1 (ko) 2006-12-22 2013-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플레이어의 파일 리드 에러 복구 장치 및 방법
KR100905657B1 (ko) 2007-10-29 2009-06-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미디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KR20100050338A (ko) 2008-11-05 2010-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00098124A (ko) 2009-02-27 2010-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60770B1 (ko) * 2011-09-22 2013-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 기기 및 휴대 전자기기에서 컨텐츠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
WO2014028069A1 (en) * 2012-08-17 2014-02-20 Flextronics Ap, Llc Epg aggregation from multiple sour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46838B2 (en) 2017-08-29
US20140067770A1 (en)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1717A (ko)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US12008232B2 (en) User interfaces for viewing and accessing content on an electronic device
US20220342519A1 (en) Content Presentation and Interaction Across Multiple Displays
US11750683B2 (en) Computer application promotion
US9507780B2 (en) Media playback queuing for playback management
US8819043B2 (en) Combining song and music video playback using playlists
US91046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ading multifunctional electronic books on portable readers
US8977963B1 (en) In place expansion of aggregated views
US95243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edly managing contents in portable terminal
US201200899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on within a multi-level application
US20110302493A1 (en) Visual shuffling of media icons
US20160006678A1 (en) User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lock screen thereof
US20090077491A1 (en) Method for inputting user command using user's motion and multimedia apparatus thereof
US20100318939A1 (en) Method for providing list of contents and multimedia apparatus applying the same
CN102662919A (zh) 对内容片段设置书签
MX2011007439A (es) Aparato y metodo para procesar datos.
US20150180998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13326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ui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KR20150048523A (ko) 스크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97689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519856B1 (ko) 컨텐츠 공유를 위한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US20110138307A1 (en) Publishing client device usage data
KR102077158B1 (ko) 메모 기능이 연동된 메시지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US7882157B2 (en) Content data recording device and recording control method
JP2014044551A (ja) コンテンツ取得装置、コンテンツ取得システム、コンテンツを取得するための方法、端末にコンテンツを取得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