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7991A - 통신 접속 방법, 통신 접속 장치 및 통신 접속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통신 접속 방법, 통신 접속 장치 및 통신 접속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7991A
KR20140027991A KR1020137030050A KR20137030050A KR20140027991A KR 20140027991 A KR20140027991 A KR 20140027991A KR 1020137030050 A KR1020137030050 A KR 1020137030050A KR 20137030050 A KR20137030050 A KR 20137030050A KR 20140027991 A KR20140027991 A KR 20140027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cessing unit
central processing
communication connection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0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로 코모리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27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1Setup of application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file transfer between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통신 접속 장치는, 통신 접속하기 위한 통신 대상으로서 선정된 기기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선정 기기 화상과 합성된 통신 접속의 진척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갱신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접속 방법, 통신 접속 장치 및 통신 접속 프로그램{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COMMUNICATION CONNEC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PROGRAM}
본 발명은 통신 접속 방법, 통신 접속 장치, 통신 접속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준한 통신 기능을 갖는 기기와, 당해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준하여 통신 접속 가능한 휴대 단말에 적용하기 알맞는 것이다.
종래의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은,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준한 통신 기능과 함께, 내장 또는 외장한 카메라를 사용하는 촬영 기능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은, 당해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준한 통신 기능을 갖는 정보 기기나 정보 가전과 같은 타겟을,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할 수 있다.
단, 타겟은, 그 표면에 당해 타겟의 ID 코드를 표현하는 사이버 코드가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은, 카메라를 사용하여 타겟을, 그 표면의 사이버 코드와 함께 촬영하여 촬영 화상을 얻으면, 당해 촬영 화상에 찍혀들어와 있는 사이버 코드를 기초로, 타겟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그리고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은, 디스플레이에 예를 들면, 그 촬영 화상을 표시하면서, 이때에 취득한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타겟(즉, 이때에 촬영된 타겟)과 통신 접속한다.
이와 같이 하여 종래의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은, 유저에게 통신 대상의 타겟을 촬영시킬 뿐으로, 당해 타겟과 통신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제4178697호(제18페이지, 제19페이지)
그런데,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은, 타겟과 통신 접속할 때, 실제로는 통신 접속 처리를 실행하여 타겟과 통신 접속용의 신호를 자동적으로 몇번이나 주고받고하여, 최종적으로 통신 접속을 확립(즉, 실제로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한 상태로)하고 있다.
단,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은, 통신 접속 처리를 시작하여 나서, 타겟과의 통신 접속이 확립하여, 그 통신 접속 처리가 종료될 때까지 예를 들면, 수십초와 같이 비교적 긴 처리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은, 통신 접속 처리의 실행중에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에 통신 접속 처리의 실행중인 것을 나타내는 코멘트나 도형 등을 표시하고 있다.
그런데,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은, 통신 접속 처리의 실행중에 코멘트나 도형 등을 표시하는 것만으로는, 유저에게 통신 접속 처리가 어느 정도 진행되고 있는지를 인식시킬 수가 없다.
이 때문에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은, 통신 접속 처리를 실행한 경우, 유저에 대해, 타겟과의 통신 접속이 어느 때 정도에 확립하는지를 전혀 예측할 수가 없는 상태에서 당해 통신 접속이 확립할 때까지 기다리게 되어 사용감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해 이루어진 것으로, 통신 접속 장치의 사용감을 향상할 수 있는 통신 접속 방법, 통신 접속 장치, 통신 접속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통신 접속 장치는, 통신 접속하기 위한 통신 대상으로서 선정된 기기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선정 기기 화상과 합성된 통신 접속의 진척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갱신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통신 접속 방법은, 통신 접속하기 위한 통신 대상으로서 선정된 기기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프로세서에 의하여, 선정 기기 화상과 합성된 통신 접속의 진척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갱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통신 접속하기 위한 통신 대상으로서 선정된 기기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 및, 선정 기기 화상과 합성된 통신 접속의 진척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갱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통신 접속 장치의 구성의 개요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통신 접속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통신 접속 장치의 구체례인 휴대 단말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약선도.
도 4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통신 접속 장치의 구체례인 휴대 단말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코드 스티커가 부착된 기기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도.
도 6은 2차원 코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약선도.
도 7은 코드 스티커가 부착되지 않은 기기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도.
도 8은 3차원 공간 화상의 구성을 도시하는 약선적 사시도.
도 9는 선정된 기기의 기기 아이콘을 배치한 3차원 공간 화상의 생성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적 사시도.
도 10은 휴대 단말에 의한 선정 기기 화상의 표시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도.
도 11은 휴대 단말에 의한 선정 기기 화상의 표시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도.
도 12는 휴대 단말에 의한 선정 기기 화상의 표시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도.
도 13은 선정 기기 화상상에서의 통신 대상의 기기의 선정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도.
도 14는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의 통지 단계에 응한 위치사이 선분의 분할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적 사시도.
도 15는 3차원 공간 화상 내의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의 배치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적 사시도.
도 16은 선정 기기 화상에의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의 합성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도.
도 17은 3차원 공간 화상 내의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의 배치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적 사시도.
도 18은 선정 기기 화상 내의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의 갱신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도.
도 19는 3차원 공간 화상 내의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의 배치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적 사시도.
도 20은 선정 기기 화상 내의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의 갱신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도.
도 21은 3차원 공간 화상 내의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의 배치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적 사시도.
도 22는 선정 기기 화상 내의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의 갱신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도.
도 23은 통신 접속이 확립한 때의 3차원 공간 화상 내의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의 배치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적 사시도.
도 24는 선정 기기 화상 내의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의 최종적인 갱신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도.
도 25는 통신 대상의 기기를 탐색할 수가 없었던 때의 선정 기기 화상의 구성을 도시하는 약선도.
도 26은 선정 기기 합성 화상의 구성을 도시하는 약선도.
도 27은 섬네일 화상에의 탭 조작에 의한 송신 대상의 사진 화상 데이터의 선택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도.
도 28은 섬네일 화상의 진척 상황 통지 화상상에의 드래그에 의한 송신 대상의 사진 화상 데이터의 선택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도.
도 29는 사진 화상 데이터의 송신 처리의 진척 상황에 응한 3차원 공간 화상 내의 섬네일 화상의 배치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적 사시도.
도 30은 선정 기기 화상에 의한 송신 처리의 진척 상황의 통지(1)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도.
도 31은 사진 화상 데이터의 송신 처리의 진척 상황에 응한 3차원 공간 화상 내의 섬네일 화상의 배치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적 사시도.
도 32는 선정 기기 화상에 의한 송신 처리의 진척 상황의 통지(2)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도.
도 33은 사진 화상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된 때의 선정 기기 화상의 구성을 도시하는 약선도.
도 34는 선정 기기 화상상에서의 통신 접속의 절단의 지시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도.
도 35는 통신 대상의 기기와의 통신 접속을 절단한 때의 선정 기기 화상의 구성을 도시하는 약선도.
도 36은 선정 기기 화상상에서의 기기와의 재접속의 지시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도.
도 37은 통신 접속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38은 진척 상황 통지 처리 서브루틴을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39는 휴대 단말과 통신 대상의 기기와의 통신 접속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약선도.
도 40은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약선도.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이하, 이것을 실시의 형태라고도 부른다)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실시의 형태
2. 변형례
<1. 실시의 형태>
[1-1. 실시의 형태에 의한 통신 접속 장치의 구성의 개요]
우선, 본 실시의 형태의 개요를 설명한다. 그와 관련하여, 이 개요를 설명한 후, 본 실시의 형태의 구체례의 설명으로 이동한다. 도 1에서, 1은 전체로서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통신 접속 장치를 도시한다.
이러한 통신 접속 장치(1)에서 통신 접속 처리부(2)는, 통신 대상으로서 선정된 기기와 통신 접속하기 위한 통신 접속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통신 접속 장치(1)에서 표시부(3)는, 통신 접속 처리부(2)에 의해 통신 접속 처리가 시작되면, 통신 대상의 기기를 나타내는 선정 기기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통신 접속 장치(1)에서 진척 상황 통지부(4)는, 선정 기기 화상에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합성하도록 하여,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에 응하여, 선정 기기 화상에 합성하는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갱신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통신 접속 장치(1)는, 통신 접속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동안, 유저에게 선정 기기 화상 내의 진척 상황 통지 화상에 의해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을 인식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통신 접속 장치는, 통신 접속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동안, 유저를,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어느 때 정도에 확립하는지를 예측 가능한 상태에서 당해 통신 접속이 확립하는 것을 기다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통신 접속 장치(1)는, 사용감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1-2. 실시의 형태에 의한 통신 접속 시스템의 구성]
도 2에서, 10은 전체로서,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통신 접속 시스템을 나타낸다. 이러한 통신 접속 시스템(10)은, 상술한 개요에서 나타낸 통신 접속 장치(1)의 구체례인 스마트폰이라고 불리는 휴대 단말(11)을 갖고 있다.
이 휴대 기기(11)는, 예를 들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802 규격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준한 통신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통신 접속 시스템(10)은, 휴대 단말(11)과 동일한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준한 통신 기능을 갖는 퍼스널 컴퓨터나 텔레비전 수상기, 무선 라우터 등의 여러 가지의 기기(12A 내지 12N)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통신 접속 시스템(10)에서는, 휴대 단말(11)이 여러 가지의 기기(12A 내지 12N)와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준하여 무선으로 통신 접속하여, 당해 기기(12A 내지 12N)와의 사이에서 여러 가지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1-3. 휴대 단말의 외관 구성]
뒤이어, 도 3(A) 및 (B)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11)의 외관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11)은, 개략 편평 사각형상의 단말 몸체(20)를 갖고 있다.
그와 관련하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말 몸체(20)의 긴쪽 방향을, 몸체 긴쪽 방향이라고도 부르고, 당해 단말 몸체(20)의 짧은쪽 방향을, 몸체 짧은쪽 방향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말 몸체(20)에서 몸체 긴쪽 방향의 일단을, 몸체 상단(上端)이라고도 부르고, 당해 몸체 긴쪽 방향의 타단을, 몸체 하단(下端)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말 몸체(20)에서의 몸체 짧은쪽 방향의 일단을, 몸체 좌단(左端)이라고도 부르고, 당해 몸체 짧은쪽 방향의 타단을, 몸체 우단(右端)이라고도 부른다.
단말 몸체(20)의 정면(20A)에는, 몸체 상단 가까이에,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이, 당해 표시면(21A) 전체를 외부에 노출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상에는, 당해 표시면(21A) 전체를 덮도록 투명한 터치 패널(22)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단말 몸체(20)의 정면(20A)에는, 몸체 하단 가까이에 복수의 조작 버튼(23)이 예를 들면, 몸체 짧은쪽 방향에 따라 일렬로 병렬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휴대 단말(11)은, 터치 패널(22)이나 복수의 조작 버튼(23)을 통하여 여러 가지의 지시나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다.
한편, 단말 몸체(20)의 배면(20B)에는, 몸체 우상단부(右上端部)에 카메라부의 촬영 렌즈(24)가, 그 입사면을 외부에 노출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휴대 단말(11)은, 단말 몸체(20)의 배면(20B)과 함께 촬영 렌즈(24)의 입사면을 피사체를 향하게 하여 터치 패널(22) 또는 조작 버튼(23)이 조작되고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피사체를 포함하는 촬영 범위로부터 도래하는 촬영광을 촬영 렌즈로부터 카메라부에 받아들인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 단말(11)은,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사진 촬영할 수 있다.
[1-4. 휴대 단말의 회로 구성]
뒤이어, 도 4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11)의 회로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휴대 단말(11)은, 중앙 처리 유닛(CPU : Central Processing Unit)(30)을 갖고 있다.
중앙 처리 유닛(30)은, ROM(Read Only Memory)(31)에 미리 기억된 기본 프로그램이나, 통신 접속 프로그램 및 통신 처리 프로그램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을 RAM(Random Access Memory)(32)에 판독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RAM(32)상에서 전개한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전체를 제어함과 함께, 소정의 연산 처리나, 유저의 조작에 응한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11)에서 상술한 각종 조작 버튼(23)은, 유저에 의해 압하 조작되면, 그 압하 조작에 응한 조작 입력 신호를 입력 처리부(33)에 송출한다.
입력 처리부(33)는, 조작 버튼(23)으로부터 공급되는 조작 입력 신호에 대해 소정이 처리를 시행함에 의해, 당해 조작 입력 신호를 조작 커맨드로 변환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에 송출한다.
따라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의 조작으로서 조작 버튼(23)이 압하 조작된 경우, 그 압하 조작에 응하여 입력 처리부(33)로부터 주어진 조작 커맨드에 응한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그런데, 휴대 단말(11)에서 상술한 터치 패널(22)은, 마치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터치시켜서 있는 것처럼, 당해 터치 패널(22)의 표면에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을 터치시켜서 여러 가지의 명령이나 지시를 입력시키기 위한 것이다.
터치 패널(22)의 표면에 터치시켜서 여러 가지의 명령이나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으로서는, 터치 패널(22)의 표면에 1개의 손가락의 손가락끝이나, 1개의 스타일러스 펜의 펜촉 등을 거의 1점에 터치시키고 곧바로 떼는 것 같은 것이 있다.
또한, 이러한 조작으로서는, 터치 패널(22)의 표면에 1개의 손가락의 손가락끝이나, 1개의 스타일러스 펜의 펜촉 등을 터치시킨 채로, 직선이나 원 등의 소망하는 선화(線畵)를 그리도록 이동시키는(즉, 표면상에서 손가락끝 등을 미끄러뜨리는) 것도 있다.
그와 관련하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터치 패널(22)의 표면에 1개의 손가락의 손가락끝이나, 1개의 스타일러스 펜의 펜촉 등을 거의 1점에 터치시키고 곧바로 떼는 것 같은 조작을, 탭 조작이라고도 부른다.
탭 조작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상에서 당해 화상 내의 아이콘이나 버튼 등의 지시항목을 지시하기 위해 행하여지는 조작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터치 패널(22)의 표면에 1개의 손가락의 손가락끝이나, 1개의 스타일러스 펜의 펜촉 등을 터치시킨 채로 소망하는 선화를 그리도록 이동시키는 것 같은 조작을, 슬라이드 조작이라고도 부른다.
이 슬라이드 조작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상에서 당해 화상 내의 아이콘 등의 이동 가능 항목을 소망하는 위치까지 드래그(즉, 이동)시키기 위해 행하여지는 조작이다.
또한 슬라이드 조작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상에서의 슬라이드 조작의 위치나 당해 슬라이드 조작으로 그리는 선화의 형상에 응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등에서도 행하여지는 조작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터치 패널(22)의 표면에 손가락끝 등을 터치시키도록 하여 행하여지는 탭 조작 및 슬라이드 조작을, 특히 구별한 필요가 없는 경우, 통합하여 터치 조작이라고도 부른다.
터치 패널(22)은, 표면이 터치 조작된 경우, 터치 조작의 시작부터 종료까지의 동안, 현격하게 짧은 예를 들면, 수[μsec]와 같은 일정 시간마다 터치 위치를,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의 화소 위치의 좌표로서 검출한다.
또한 터치 패널(22)은, 터치 위치를 검출할 때마다, 당해 검출한 터치 위치를 나타내는 터치 위치 정보를 중앙 처리 유닛(30)에 송출한다.
중앙 처리 유닛(30)은, 터치 패널(22)로부터 터치 위치 정보가 주어지면, 예를 들면, 그 터치 위치 정보가 주어지고 있는 동안의 시간을, 터치 조작의 시작부터 종료까지의 터치 조작이 행하여진 시간(이하, 이것을 터치 조작 시간이라고도 부른다)으로서 검출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예를 들면, 그 터치 위치 정보가 주어지고 있는 동안의, 당해 터치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터치 위치의 변위량을, 터치 조작의 시작부터 종료까지 터치 위치가 어느 정도 변위하는지를 나타내는 터치 위치 변위량으로서 검출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터치 조작 시간과 터치 위치 변위량에 의거하여 터치 조작의 종류(즉, 탭 조작이나 슬라이드 조작의 어느 것이지)를 판별한다.
따라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의 조작으로서 터치 패널(22)의 표면이 터치 조작된 경우, 당해 터치 패널(22)의 표면에 대해 행하여진 터치 조작의 종류 및 위치에 응한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은, RAM(32)상에서 전개한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통화 기능, 음악 등의 음성 데이터의 취득 기능 및 재생 기능, 피사체의 촬영 기능, 그 촬영에 의해 얻어진 사진 화상의 재생 기능 등과 같이 여러 가지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실제로 휴대 단말(11)에는, 전화 회사가 관리 운영하고 있는 광역 전화 회선망의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이용하는 통신 처리부(34) 및 안테나(35)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통신 처리부(34)는, 광역 전화 회선망의 기지국에 적용된 무선 통신 규격에 준하여, 송신용의 데이터에 소정의 송신 처리를 시행함과 함께, 안테나(35)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소정의 수신 처리를 시행하는 것이다.
또한 안테나(35)는, 광역 전화 회선망의 기지국에 적용된 무선 통신 규격에 준하여, 통신 처리부(34)에서 송신 처리된 데이터를 기지국에 송신함과 함께, 당해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다.
그와 관련하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광역 전화 회선망용의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처리부(34)를, 광역용 통신 처리부(34)라고도 부르고, 당해 광역 전화 회선망용의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35)를, 광역용 안테나(35)라고도 부른다.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에 의해 조작 버튼(23)이나 터치 패널(22)을 통하여 통화 기능이 선택되면, 통화 모드로 이행한다.
이 상태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에 의해 조작 버튼(23) 또는 터치 패널(22)을 통하여 통화의 상대의 전화번호가 입력되고, 계속해서 발호(發呼) 명령이 입력되면, 그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발호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발호 데이터를, 광역용 통신 처리부(34)를 통하여 광역용 안테나(35)로부터 기지국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발호 데이터를 광역 전화 회선망 경유로 상대의 통화 기기(도시 생략)에 송신하여, 당해 상대에게 통화 기기를 통하여 유저로부터의 통화를 통지한다.
그 결과, 중앙 처리 유닛(30)은, 상대가 통화를 허가하여 당해 상대의 통화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하면, 마이크로폰(36)에 의해 유저의 음성을 집음되고, 얻어지는 음성 신호를 음성 처리부(37)에서 처리하여 통화용 음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통화용 음성 데이터를, 광역용 통신 처리부(34)를 통하여 광역용 안테나(35)로부터 기지국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의 음성의 통화용 음성 데이터를 광역 전화 회선망 경유로 상대의 통화 기기에 송신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때, 상대의 통화 기기로부터 송신된 통화용 음성 데이터를 광역용 안테나(35)에서 수신하면, 당해 통화용 음성 데이터를, 광역용 통신 처리부(34)를 통하여 받아들여서 음성 처리부(37)에 송출한다.
음성 처리부(37)는, 중앙 처리 유닛(30)으로부터 주어진 통화용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고, 얻어지는 음성 신호를 스피커(38)로부터 상대의 음성으로서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화 모드시, 유저로부터의 통화의 요구에 응하여 상대의 통화 기기와 통신 접속이 확립하면, 당해 유저와 상대와의 서로의 음성의 통화용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유저와 상대를 통화시킬 수 있다.
그와 관련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은, 실행중의 기능에 관계없이, 상대의 통화 기기로부터 송신된 착호 데이터를 광역용 안테나(35)에서 수신한 때에는, 당해 착호(着呼) 데이터를, 광역용 통신 처리부(34)를 통하여 받아들인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착호 데이터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스피커(38)로부터 착신음을 출력하여, 유저에게 상대로부터의 착호를 통지한다.
그 결과,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에 의해 조작 버튼(23)이나 터치 패널(22)을 통하여 통화가 허가되고, 상대의 통화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하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마이크로폰(36) 및 음성 처리부(37)에 의해 통화용 음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통화용 음성 데이터를, 광역용 통신 처리부(34)를 통하여 광역용 안테나(35)로부터 기지국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의 음성의 통화용 음성 데이터를 광역 전화 회선망 경유로 상대의 통화 기기에 송신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때, 상대의 통화 기기로부터 송신된 통화용 음성 데이터를 광역용 안테나(35)에서 수신하면, 당해 통화용 음성 데이터를, 광역용 통신 처리부(34)를 통하여 받아들여서 음성 처리부(37)에 송출한다.
음성 처리부(37)는, 중앙 처리 유닛(30)으로부터 주어진 통화용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고, 얻어지는 음성 신호를 스피커(38)로부터 상대의 음성으로서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은, 상대로부터의 통화의 요구에 응하여 당해 상대의 통화 기기와 통신 접속이 확립한 경우도, 유저와 상대와의 서로의 음성의 통화용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유저와 상대를 통화시킬 수 있다.
그런데,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에 의해 조작 버튼(23)이나 터치 패널(22)을 통하여 음성 데이터의 취득 기능이 선택되면, 음성 데이터 취득 모드로 이행한다.
이때,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에 의해 조작 버튼(23) 또는 터치 패널(22)을 통하여 음성 선택 페이지 화상의 취득이 요구되면, 페이지 화상 요구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페이지 화상 요구 데이터를, 광역용 통신 처리부(34)를 통하여 광역용 안테나(35)로부터 기지국에 송신하고, 그 기지국 경유로 인터넷(도시 생략)상의 배신 장치(도시 생략)에 송신한다.
그 결과, 중앙 처리 유닛(30)은, 배신 장치로부터 기지국 경유로 페이지 화상 데이터가 회신되면, 당해 페이지 화상 데이터를 광역용 안테나(35)에서 수신하고 광역용 통신 처리부(34)를 통하여 받아들인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페이지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부(40)에서 복호 처리한 후, 표시 처리부(4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21)에 송출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페이지 화상 데이터에 의거한 음성 선택 페이지 화상을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에 의해 조작 버튼(23) 또는 터치 패널(22)을 통하여 음성 선택 페이지 화상상에서 소망하는 음성 데이터가 선택되면, 이에 응하여, 선택된 음성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음성 요구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음성 요구 데이터를, 광역용 통신 처리부(34)를 통하여 광역용 안테나(35)로부터 기지국에 송신하고, 그 기지국 경유로 인터넷상의 배신 장치에 송신한다.
그 결과, 중앙 처리 유닛(30)은, 배신 장치로부터 기지국 경유로, 유저에 의해 선택된 음성 데이터가 당해 음성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속성 데이터와 함께 송신되면, 이들을 광역용 안테나(35)에서 수신하고 광역용 통신 처리부(34)를 통하여 받아들인다.
그와 관련하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음성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음성 속성 정보라고도 부르고, 당해 음성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속성 데이터를, 음성 속성 데이터라고도 부른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음성 데이터 및 음성 속성 데이터를, 휴대 단말(11)에 내장된, 또는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 기억 매체(42)에 송출하여, 당해 기억 매체(42)에 음성 데이터와 음성 속성 데이터를 대응지어서 기억한다.
이와 같이 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에 의해 음성 데이터의 취득이 요구될 때마다, 배신 장치를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데이터는, 음악이나 자연계의 소리(파도의 소리나 개울의 졸졸흐르는 물소리, 조류나 벌레의 울음소리 등), 만담, 낭독 등의 음성을 디지털 데이터화하여 생성된 것이다.
또한 음성 속성 데이터는,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의 음성 속성 정보로서, 당해 음성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식별 가능한 식별 정보나, 그 음성 데이터의 재생 시간 및 데이터 사이즈를 나타내고 있다. 그와 관련하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음성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음성 식별 정보라고도 부른다.
또한 음성 속성 데이터는,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의 음성 속성 정보로서, 당해 음성 데이터에 의거한 음성의 타이틀이나 아티스트, 장르, 릴리스년(年) 등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에 의해 조작 버튼(23)이나 터치 패널(22)을 통하여 음성 데이터의 재생 기능이 선택되면, 음성 데이터 재생 모드로 이행한다.
이때, 중앙 처리 유닛(30)은, 기억 매체(42)로부터 복수의 음성 속성 데이터를 판독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들 복수의 음성 속성 데이터에 포함되는 예를 들면, 타이틀에 의거하여, 재생 대상의 음성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음성 선택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음성 선택 화상 데이터를, 표시 처리부(4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21)에 송출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음성 선택 화상 데이터에 의거한 음성 선택 화상(도시 생략)을 표시한다.
이 경우, 음성 선택 화상에는, 예를 들면, 복수의 음성 데이터에 의거한 음성의 타이틀이 리스트화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음성 선택 화상을 통하여, 유저에게 재생 가능한 음성 데이터를, 대응하는 타이틀로서 통지한다.
이 상태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에 의해 조작 버튼(23) 또는 터치 패널(22)을 통하여 음성 선택 화상상에서 재생 대상의 음성 데이터가 타이틀로서 선택되면, 기억 매체(42)로부터 당해 선택된 음성 데이터를 판독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음성 데이터를 음성 처리부(37)에 송출한다.
음성 처리부(37)는, 중앙 처리 유닛(30)으로부터 주어진 음성 데이터에 복호 처리와 같은 소정의 재생 처리를 시행하고, 얻어진 음성 신호를 스피커, 또는 도시하지 않은 헤드폰 등을 통하여 음성으로서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에 의해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여, 그 음성 데이터에 의거한 음성을 듣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에 의해 조작 버튼(23) 또는 터치 패널(22)을 통하여 피사체의 촬영 기능이 선택되면, 촬영 모드로 이행한다.
이때, 카메라부(45)는, 피사체를 포함하는 촬영 범위로부터 도래하는 촬영광(L1)을, 상술한 촬영 렌즈(24)와 함께 여러 가지의 광학 소자를 포함하는 촬영 광학계(46)를 통하여 촬상 소자(47)의 수광면에서 수광한다.
그와 관련하여, 이러한 촬상 소자(47)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중앙 처리 유닛(30)은, 드라이버(48)를 통하여, 촬영 광학계(46)에 마련되어 있는 모터(도시 생략)를 적절히 구동 제어함에 의해, 당해 촬영 광학계(46)에서의 광학 소자로서의 포커스 렌즈의 위치나 조리개의 개구량 등을 조정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촬영 광학계(46)에서, 피사체를 포함하는 촬영 범위에 대한다 포커스나 노출을 자동 조정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때, 유저에 의해 조작 버튼(23) 또는 터치 패널(22)을 통하여 줌이 지시되면, 이에 응하여 드라이버(48)를 통하여, 촬영 광학계(46)에 마련되어 있는 모터를 구동 제어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촬영 광학계(46) 내에서 광학 소자로서의 줌렌즈를 광축에 따라 이동시켜서 촬영 범위를 넓히고 또는 좁히도록 줌 배율을 조정한다.
이 상태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촬상 소자(47)를 제어한다. 따라서 촬상 소자(47)는, 중앙 처리 유닛(30)의 제어하에서, 수광면에서 수광하고 있는 촬영광(L1)을 소정 주기로 광전 변환하여, 당해 촬영광에 응한 아날로그의 광전 변환 신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하여 카메라 처리부(49)에 송출한다.
카메라 처리부(49)는, 촬상 소자(47)로부터 광전 변환 신호가 주어질 때마다, 당해 광전 변환 신호에 증폭 처리나 노이즈 저감 처리 등의 소정의 아날로그 처리를 시행하여, 아날로그의 촬영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카메라 처리부(49)는, 촬영 신호를 생성할 때마다, 당해 촬영 신호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처리하여 디지털의 촬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카메라 처리부(49)는, 촬영 데이터에 셰이딩 보정 처리나,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의 해상도에 응한 화상 축소 처리 등의 촬영 상태 제시용의 디지털 처리를 시행하여, 당해 디지털 처리를 시행한 촬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21)에 송출한다.
이에 의해 카메라 처리부(49)는,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촬영 데이터에 의거한 촬영 화상을 동화상과 같이 표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카메라 처리부(49)는,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표시한 촬영 화상을 유저에게 보게 하여, 촬영 범위나 구도, 포커스 등과 같은 피사체의 촬영 상태를 확인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에 의해 조작 버튼(23) 또는 터치 패널(22)을 통하여 사진 촬영이 지시되면, 촬상 소자(47) 및 카메라 처리부(49)와, 화상 처리부(40)를 사진 촬영용으로 제어한다.
실제로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때 촬상 소자(47)에서 촬영광(L1)에 의해 수광면을 소정의 셔터 스피드로 사진 촬영용으로 노광한다.
따라서 촬상 소자(47)는, 수광면을 노광한 촬영광을 광전 변환하여, 당해 노광한 촬영광에 응한 광전 변환 신호를 생성하여 카메라 처리부(49)에 송출한다.
카메라 처리부(49)는, 이때, 촬상 소자(47)로부터 주어진 광전 변환 신호에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아날로그 처리를 시행하여 촬영 신호를 생성한 후, 당해 생성한 촬영 신호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처리하여 촬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카메라 처리부(49)는, 촬영 데이터에 셰이딩 보정 처리나, 미리 사진 촬영용으로 선정된 해상도에 응한 화상 축소 처리 등의 사진 촬영용의 디지털 처리를 시행하여 사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함과 함께, 당해 생성한 사진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부(40)에 송출한다.
화상 처리부(40)는, 카메라 처리부(49)로부터 사진 화상 데이터가 주어지면, 당해 사진 화상 데이터에 소정의 압축 부호화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 처리를 시행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에 송출한다.
그런데, 화상 처리부(40)는, 이때, 사진 화상 데이터의 속성 정보로서, 당해 사진 화상 데이터에 화소를 솎아내는 것 같은 축소 처리를 시행하여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당해 생성한 섬네일 화상 데이터도 중앙 처리 유닛(30)에 송출하고 있다.
그와 관련하여, 섬네일 화상 데이터에 의거한 섬네일 화상은, 사진 화상 데이터에 의거한 사진 화상보다도 사이즈가 작은 것이지만, 당해 사진 화상의 그림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그림을 갖고 있다.
따라서 섬네일 화상은, 당해 섬네일 화상의 생성의 기초가 된 사진 화상의 인덱스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사진 화상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사진 속성 정보라고도 부른다.
중앙 처리 유닛(30)은, 화상 처리부(40)로부터 사진 화상 데이터 및 섬네일 화상 데이터가 주어지면, 예를 들면,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에 준하여, 사진 화상 데이터의 사진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사진 속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와 관련하여, 사진 속성 데이터는, 대응하는 사진 화상 데이터의 사진 속성 정보로서, 당해 사진 화상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식별 가능한 식별 정보나, 그 사진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사이즈를 나타내고 있다. 그와 관련하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사진 화상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사진 식별 정보라고도 부른다.
또한 사진 속성 데이터는, 대응하는 사진 화상 데이터의 사진 속성 정보로서, 피사체를 사진 촬영한 때의 촬영 조건 등의 여러 가지의 정보도 나타냄과 함께, 당해 사진 속성 정보로서, 이때에 화상 처리부(40)에서 생성된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사진 화상 데이터를 사진 속성 데이터와 함께 기억 매체(42)에 송출하여, 당해 기억 매체(42)에 사진 화상 데이터와 사진 속성 데이터를 대응지어서 기억한다.
이와 같이 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은, 피사체를 사진 촬영하여, 그 결과 얻어진 사진 화상 데이터를 기억 매체(42)에 기억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에 의해 조작 버튼(23) 또는 터치 패널(22)을 통하여 사진 화상의 재생 기능이 선택되면, 사진 재생 모드로 이행한다.
이때, 중앙 처리 유닛(30)은, 기억 매체(42)로부터 복수의 사진 속성 데이터를 판독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들 복수의 사진 속성 데이터에 포함되는 섬네일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재생 대상의 사진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사진 선택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사진 선택 화상 데이터를, 표시 처리부(4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21)에 송출함에 의해, 당해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사진 선택 화상 데이터에 의거한 사진 선택 화상(도시 생략)을 표시한다.
이 경우, 사진 선택 화상에는, 복수의 섬네일 화상이 예를 들면,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사진 선택 화상을 통하여, 유저에게 재생 가능한 사진 화상 데이터를,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으로서 통지한다.
이 상태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에 의해 조작 버튼(23) 또는 터치 패널(22)을 통하여 사진 선택 화상상에서 재생 대상의 사진 화상 데이터가 섬네일 화상으로서 선택되면, 기억 매체(42)로부터 당해 선택된 사진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사진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부(40)에 송출한다.
화상 처리부(40)는, 중앙 처리 유닛(30)으로부터 사진 화상 데이터가 주어지면, 그 사진 화상 데이터를 복호하여 디스플레이(21)에 송출함에 의해, 당해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사진 화상 데이터에 의거한 사진 화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에 의해 재생 대상으로서 선택된 사진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그 사진 화상 데이터에 의거한 사진 화상을 보일 수 있다.
이들의 구성에 더하여, 이 휴대 단말(11)의 경우, 상술한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준하여 기기(12A 내지 12N)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이용한 통신 처리부(50) 및 안테나(51)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통신 처리부(50)는, 상술한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준하여, 송신용의 데이터에 소정의 송신 처리를 시행함과 함께, 안테나(51)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소정의 수신 처리를 시행하는 것이다.
또한 안테나(51)는, 상술한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준하여, 통신 처리부(50)에서 송신 처리된 데이터를 기기(12A 내지 12N)에 송신함과 함께, 당해 기기(12A 내지 12N)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다.
그와 관련하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준하여 기기(12A 내지 12N)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처리부(50)를, 근거리용 통신 처리부(50)라고도 부른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준하여 기기(12A 내지 12N)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51)를, 근거리용 안테나(51)라고도 부른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RAM(32)상에서 전개한 통신 접속 프로그램에 따라, 근거리용 통신 처리부(50) 및 근거리용 안테나(51)를 사용하여 상술한 기기(12A 내지 12N)와의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통신 접속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기기(12A 내지 12N)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하면, 계속해서 RAM(32)상에서 전개한 통신 처리 프로그램에 따라, 근거리용 통신 처리부(50) 및 근거리용 안테나(51)를 사용하여 기기(12A 내지 12N)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기능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는, 우선 중앙 처리 유닛(30)이 실현하는 통신 접속 기능에 관해 설명하고, 뒤이어, 당해 중앙 처리 유닛(30)이 실현하는 데이터 송수신 기능에 관해 설명한다.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에 의해 조작 버튼(23) 또는 터치 패널(22)을 통하여 통신 접속 기능이 선택되면, 이에 응하여 통신 접속 모드로 이행한다.
이 경우,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에게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를 사진 촬영하여 선정시키기 위해, 카메라부(45)를 상술한 촬영 모드시와 마찬가지로 동작시킨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카메라부(45)에 의해 촬영 렌즈(24)의 입사면이 향하여진 방향을 촬영하여,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촬영 화상을 동화상과 같이 표시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적어도 1대의 기기(12A 내지 12N)에 촬영 렌즈(24)의 입사면이 향하여진 상태에서 유저에 의해 조작 버튼(23) 또는 터치 패널(22)을 통하여 사진 촬영이 지시되면, 당해 기기(12A 내지 12N)를 사진 촬영한다.
이에 의해 카메라 처리부(49)는, 적어도 1대의 기기(12A 내지 12N)가 찍혀들어와 있는 사진 화상의 사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접속 모드에서는, 유저에게,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를 사진 촬영하도록 하여 선정시키고 있다.
단, 기기(12A 내지 12N)를 사진 촬영한 것만으로는, 그 기기(12A 내지 12N)가 어떤 기기(12A 내지 12N)인지를 알지 못한다.
이 때문에 카메라 처리부(49)는, 이때에는 사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면, 중앙 처리 유닛(30)의 제어하에, 당해 사진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부(40)에는 보 내지 않고 중앙 처리 유닛(30)에 송출한다.
즉, 카메라 처리부(49)는, 이때, 유저에 의해 사진 촬영하도록 하여 선정된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의 특정을 위해, 그 기기(12A 내지 12N)가 찍혀들어와 있는 사진 화상의 사진 화상 데이터를 중앙 처리 유닛(30)에 송출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기(12A 내지 12N)의 중에는, 몸체의 비교적 눈에 띄는 정면이나 측면 등에, 예를 들면, 사이버 코드(CyberCode)(등록상표)라고 불리는 2차원 코드(55)가 인쇄된 코드 스티커(56)가 부착된 것이 있다.
이 경우, 2차원 코드(55)는, 당해 2차원 코드(55)가 첨부된(즉, 코드 스티커(56)로서 부가된) 기기(12A 내지 12N)의 예를 들면, 식별 정보(이하, 이것을 기기 식별 정보라고도 부른다)를 코드화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차원 코드(55)는, 예를 들면, 당해 2차원 코드(55)의 소재를 나타내기 위한 가이드 영역(55A)과, 최소 구성 단위인 정방형의 복수의 셀이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n×m의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코드 영역(55B)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영역(55A)은, 코드 영역(55B)의 하나의 변의 길이와 동등한 길이를 갖는 장방형상으로 형성되고, 코드 영역(55B)의 당해 하나의 변과 소정의 간극을 두고서 평행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코드 영역(55B)은, 4구석의 셀을 제외한 복수의 셀을 각각 백색과 흑색의 어느 한쪽의 색으로 하여, 당해 복수의 셀의 백색과 흑색의 패턴으로 기기 식별 정보를 표현하고 있다.
그와 관련하여, 2차원 코드(55)에서 코드 영역(55B)의 4구석의 셀은, 기기 식별 정보의 표현에는 기여하지 않고, 당해 코드 영역(55B)의 검출용으로서 항상 흑색로 선정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기(12A 내지 12N)의 중에는, 몸체에, 이와 같은 2차원 코드(55)가 인쇄된 코드 스티커(56)가 전혀 부착되지 않은 것도 있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기기(12A 내지 12N)의 특정용으로 당해 기기(12A 내지 12N)에 관한 기기 정보를, 기억 매체(42)에 기억하도록 하여 당해 기억 매체(42)에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이하, 이것을 기기 데이터베이스라고도 부른다)에 등록하고 있다.
이 경우, 기기(12A 내지 12N)의 기기 정보는, 예를 들면, 기기(12A 내지 12N)의 속성 정보(이하, 이것을 기기 속성 정보라고도 부른다)와, 휴대 단말(11)이 당해 기기(12A 내지 12N)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준한 통신에 사용하는 통신 사용 정보로 이루어진다.
기기 속성 정보로서는, 대응하는 기기(12A 내지 12N)의 기기 식별 정보나 기종명, 기기(12A 내지 12N)의 윤곽을 나타내는 기기 윤곽 정보, 당해 기기(12A 내지 12N)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3차원 화상으로서 생성된 아이콘(이하, 이것을 기기 아이콘이라고도 부른다) 등이 있다.
통신 사용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대응하는 기기(12A 내지 12N)용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라고 불리는 통신 식별자나, 송신 데이터의 암호화 및 수신 데이터의 복호에 사용하는 WEP(Wired Equivalent Privacy)키라고 불리는 암호화 키가 있다.
또한 통신 사용 정보로서는, 송신 데이터의 암호화 방식을 나타내는 암호화 정보나, 기기(12A 내지 12N)가 휴대 단말(11)을 인증할 때의 인증 방식을 나타내는 인증 정보 등이 있다.
그리고 기기(12A 내지 12N)의 기기 정보는, 기기(12A 내지 12N)마다 기기 속성 정보와 통신 사용 정보를 대응되도록 하여 기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다.
또한 기기 속성 정보로서의 기기 식별 정보, 기종명 및 기기 윤곽 정보 등은, 기기 데이터베이스상에서 기기(12A 내지 12N)마다 대응지어져 있다.
또한 통신 사용 정보로서의 통신 식별자, 암호화 키, 암호화 정보, 인증 정보 등도, 기기 데이터베이스상에서 기기(12A 내지 12N)마다 대응지어져 있다.
따라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카메라 처리부(49)로부터 사진 화상 데이터가 주어지면, 기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그 사진 화상 데이터에 의거한 사진 화상에 찍혀들어와 있는 기기(12A 내지 12N)를 특정한다.
즉,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때, 사진 화상 데이터에 의거한 사진 화상을 2치화 처리하여 2치 화상을 생성하고, 당해 생성한 2치 화상 내에서 2차원 코드(55)의 가이드 영역(55A)을 탐색한다.
그 결과, 중앙 처리 유닛(30)은, 2치 화상 내에서 2차원 코드(55)의 가이드 영역(55A)을 검출하면, 당해 검출한 가이드 영역(55A)의 위치를 기초로 코드 영역(55B)의 4구석의 셀을 검출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2치 화상 내에서 그 검출한 4구석의 셀을 기초로 코드 영역(55B)을 특정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2치 화상 내의 코드 영역(55B)에서 4구석의 셀을 제외한 복수의 백색 및 흑색의 셀의 패턴을, 가이드 영역(55A) 및 4구석의 셀의 위치에 응한 소정의 순번으로 2진수로 변환한 후, 당해 2진수를 복호하여 기기 식별 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은, 사진 화상에 기기(12A 내지 12N)와 함께 2차원 코드(55)가 찍혀들어와 있으면, 그 2차원 코드(55)에 의거하여, 당해 2차원 코드(55)가 표현하고 있는 기기(12A 내지 12N)의 기기 식별 정보를 검출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와 같이 사진 화상으로부터 기기 식별 정보를 검출하면, 그 기기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기억 매체(42)의 기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당해 사진 화상에 찍혀들어와 있는 기기(12A 내지 12N)의 기종명을 검출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사진 화상에, 코드 스티커(56)가 부착된 기기(12A 내지 12N)가 찍혀들어와 있는 경우, 그 기기(12A 내지 12N)(즉, 기기(12A 내지 12N)의 기종명)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사진 화상 내에서 복수의 에지의 형상과, 당해 복수의 에지의 위치 관계와, 색에 의거하여, 코드 스티커(56)가 부착되지 않은 기기(12A 내지 12N)의 윤곽을 형성하고 있다고 상정되는 에지의 모임을 탐색한다.
그와 관련하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기기(12A 내지 12N)의 윤곽을 형성하고 있다고 상정되는 에지의 모임을, 상정윤곽(想定輪郭)이라고도 부른다.
그 결과, 중앙 처리 유닛(30)은, 사진 화상 내에서 상정윤곽을 검출하면, 당해 사진 화상으로부터, 그 검출한 상정윤곽을 추출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기억 매체(42)로부터 기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있는 기기 윤곽 정보를 판독함과 함께, 당해 판독 기기 윤곽 정보가 나타내는 윤곽과 상정윤곽에 의거하여 소정의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상정윤곽이 사진 화상에 찍혀들어와 있는 기기(12A 내지 12N)의 윤곽으로서, 어느 정도 확실한듯한지를 나타내는 확도(確度)를 산출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산출한 확도를, 미리 선정된 임계치와 비교한다. 그 결과, 중앙 처리 유닛(30)은, 확도가 임계치 이상이면, 상정윤곽이 사진 화상에 찍혀들어와 있는 기기(12A 내지 12N)의 윤곽이라고 추정한다.
그와 관련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은, 산출한 확도가 임계치보다도 작으면, 상정윤곽이 기기(12A 내지 12N)의 윤곽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이와 같이 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은, 임계치 이상의 확도를 얻은 상정윤곽을, 사진 화상에 찍혀들어와 있는 기기(12A 내지 12N)의 윤곽으로서 검출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와 같이 사진 화상 내에서 기기(12A 내지 12N)의 윤곽을 검출하면, 그 검출에 이용한 기기 윤곽 정보에 의거하여, 기억 매체(42)의 기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당해 사진 화상에 찍혀들어와 있는 기기(12A 내지 12N)의 기종명을 검출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사진 화상에, 코드 스티커(56)가 부착되지 않은 기기(12A 내지 12N)가 찍혀들어와 있는 경우에도, 그 기기(12A 내지 12N)(즉, 기기(12A 내지 12N)의 기종명)를 특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에 의해 사진 촬영하도록 하여 선정된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를, 당해 기기(12A 내지 12N)에 코드 스티커(56)가 부착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관계되지 않고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때,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와 다른 기기(12A 내지 12N)를 설치 위치의 관계에서 함께 사진 촬영하고 있어도, 사진 화상에 찍혀들어와 있는, 이들 모든 기기(12A 내지 12N)를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사진 화상에 찍혀들어와 있는 기기(12A 내지 12N)를 특정하면, 당해 사진 화상 내에서 기기(12A 내지 12N)의 찍혀들어와 있는 위치(이하, 이것을 사진 내 기기 위치라고도 부른다)를 검출한다.
즉, 중앙 처리 유닛(30)은, 특정한 기기(12A 내지 12N)에 코드 스티커(56)가 부착되어 있으면, 사진 화상 내에서 코드 스티커(56)에 인쇄되어 있는 2차원 코드(55)의 예를 들면 중심 위치를, 당해 기기(12A 내지 12N)의 사진 내 기기 위치로서 검출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특정한 기기(12A 내지 12N)에 코드 스티커(56)가 부착되어 있지 않으면, 사진 화상 내에서 당해 기기(12A 내지 12N)의 윤곽의 예를 들면, 중심 위치를, 그 기기(12A 내지 12N)의 사진 내 기기 위치로서 검출한다.
그와 관련하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사진 화상에서 화상 수직 방향의 일방의 변을, 상변이라고도 부르고, 타방의 변을, 하변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사진 화상에서 화상 수평 방향의 일방의 변을, 좌변이라고도 부르고, 타방의 변을, 우변이라고도 부른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때, 사진 화상에서 예를 들면, 좌하구석(左下隅)의 정점(頂點)을 2차원 좌표계의 원점(原點)으로 하여, 그 원점을 통과하고 하변과 일치하는 축을 X축 및 당해 원점을 통과하고 좌변과 일치하는 축을 Y축으로 하고, 사진 내 기기 위치를 2차원 좌표(XY좌표)로서 검출한다.
그런데, 기억 매체(42)에는, 촬영 렌즈(24)의 입사면부터 촬영 범위 내의 포커스를 맞춘 위치까지의 거리(포커스 거리라고도 부른다)를, 당해 촬영 범위를 표현하는 3차원 공간 화상 내의 거리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표가 기억되어 있다.
그와 관련하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촬영 범위를 표현하는 3차원 공간 화상에서 촬영 렌즈(24)측의 평면의 수직 방향의 일방의 변을, 상변이라고도 부르고, 당해 평면의 수직 방향의 타방의 변을, 하변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3차원 공간 화상에서 촬영 렌즈(24)측의 평면의 수평 방향의 일방의 변을, 좌변이라고도 부르고, 당해 평면의 수평 방향의 타방의 변을, 우변이라고도 부른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영 범위를 표현하는 3차원 공간 화상(SP1)은, 촬영 렌즈(24)측의 평면이, 상술한 사진 화상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전체로서 직방체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3차원 공간 화상(SP1)은, 촬영 렌즈(24)측의 평면에서 좌하구석의 정점을 3차원 좌표계의 원점으로 한다.
그리고 3차원 공간 화상(SP1)은, 원점을 통과하고 촬영 렌즈(24)측의 평면의 하변과 일치하는 축을 X축, 원점을 통과하고 촬영 렌즈(24)측의 평면의 좌변과 일치하는 축을 Y축, 원점을 통과하고 좌측의 평면의 하변과 일치하는 축을 Z축으로 한다.
그와 관련하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3차원 공간 화상(SP1)에서의 촬영 렌즈(24)측의 평면을, XY평면이라고도 부른다.
이 때문에 상술한 변환표는, 예를 들면, 포커스 거리로서 포커스 렌즈의 위치(포커스 렌즈 위치라고도 부른다)를 이용하여, 당해 포커스 렌즈 위치에, 포커스 거리에 대응하는 3차원 공간 화상(SP1) 내의 거리로서 Z좌표를 대응지어서 생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사진 내 기기 위치를 검출하면, 기기(12A 내지 12N)의 사진 촬영으로 포커스를 맞춘 때의 포커스 렌즈 위치에 의거하여, 변환표로부터 당해 포커스 렌즈 위치에 대응하는 Z좌표를 검색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사진 내 기기 위치를 나타내는 XY좌표에, 그 검색한 Z좌표를 더하여, 촬영 범위를 표현하는 3차원 공간 화상(SP1) 내의 기기(12A 내지 12N)의 위치(이하, 이것을 공간 내 기기 위치라고도 부른다)를 나타내는 3차원 좌표(XYZ좌표)를 얻는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기억 매체(42)로부터 기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있는, 특정한 기기(12A 내지 12N)의 기기 아이콘을 판독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때의 촬영 범위를 당해 촬영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는 기기(12A 내지 12N)와 함께 입체적으로 나타내도록, 공간 내 기기 위치(PO1)에 기기 아이콘(60)을 배치한 3차원 공간 화상(SP2)을 생성한다.
그와 관련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때, 사진 화상으로부터, 특정한 기기(12A 내지 12N)의 촬영 자세를 나타내는 촬영 자세 정보를 추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중앙 처리 유닛(30)은, 특정한 기기(12A 내지 12N)에 코드 스티커(56)가 부착되어 있으면, 사진 화상으로부터 2차원 코드(55)의 촬영 형상을 나타내는 벡터를 촬영 자세 정보로서 추출하고 있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특정한 기기(12A 내지 12N)에 코드 스티커(56)가 부착되어 있지 않으면, 사진 화상으로부터 당해 기기(12A 내지 12N)의 윤곽의 촬영 형상을 나타내는 벡터를 촬영 자세 정보로서 추출하고 있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촬영 자세 정보에 의거하여, 공간 내 기기 위치에 기기 아이콘(60)을, 기기(12A 내지 12N)의 촬영시의 자세와 맞추도록 배치하여 3차원 공간 화상(SP2)을 생성하고 있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3차원 공간 화상(SP2)을, XY평면보다도 앞에서 당해 XY평면측을 본 것처럼(즉, XY평면앞의 시점(視點)에서 시선을 Z축과 평행하게 하여 당해 XY평면측을 본 것처럼) 2차원 평면상에 투영한 2차원 평면 화상으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은, 2차원 평면 화상으로서, 유저에 의해 선정된 기기(12A 내지 12N)를 나타내는 선정 기기 화상을 생성하여, 그 선정 기기 화상의 선정 기기 화상 데이터를, 표시 처리부(4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21)에 송출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때, 1대의 기기(12A, 12B)만을 사진 촬영하고 있으면,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선정 기기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도 10이나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선정 기기 화상(65, 66)을 표시한다.
즉, 중앙 처리 유닛(30)은,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유저에 의해 통신 대상으로서 선정된 1대의 기기(12A, 12B)만을 기기 아이콘(67, 68)으로 통지하는 선정 기기 화상(65, 66)을 표시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때, 예를 들면, 2 대의 기기(12A 및 12N)를 사진 촬영하고 있으면,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선정 기기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선정 기기 화상(69)을 표시한다.
즉, 중앙 처리 유닛(30)은,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유저에 의해 통신 대상으로서 선정된 1대의 기기(12A)와, 이와 함께 사진 화상에 찍혀들어와 있던 다른 기기(12N)를 기기 아이콘(70 및 71)으로 통지하는 선정 기기 화상(69)을 표시한다.
중앙 처리 유닛(30)은,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선정 기기 화상(65, 66, 69)을 표시하면, 유저에 의해 선정된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를 탐색하는 탐색 처리를 시작한다.
단, 중앙 처리 유닛(30)은, 선정 기기 화상(65, 66)에서의 기기(12A 내지 12N)를 1대만 나타내고 있는 경우는, 당해 기기(12A 내지 12N)를 통신 대상으로 하고, 선정 기기 화상(65, 66)의 표시에 응하여 탐색 처리를 자동적으로 시작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선정 기기 화상(69)에서의 복수대(예를 들면, 2 대)의 기기(12A 및 12N)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는, 그 선정 기기 화상(69)상에서, 어느 1대의 기기(12A 및 12N)가 다시 통신 대상으로서 선정되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처리 유닛(30)은,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해 선정 기기 화상(69)상에서 탭 조작에 의해 통신 대상의 1대의 기기(12A)가 다시 기기 아이콘(70)으로서 선정되면, 이에 응하여 탐색 처리를 시작한다.
중앙 처리 유닛(30)은, 탐색 처리를 시작하면, 기억 매체(42)의 기기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의 통신 사용 정보(즉, 특정한 기기(12A 내지 12N)의 기종명에 대응하는 통신 사용 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기억 매체(42)로부터 검색한 통신 사용 정보를 판독하여, 당해 통신 사용 정보로서 판독 통신 식별자를 격납하고,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탐색 신호를, 근거리용 통신 처리부(50)를 통하여 근거리용 안테나(51)로부터 송신한다.
여기서, 기기(12A 내지 12N)는, 상술한 휴대 단말(11)의 기억 매체(42)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사용 정보와 동일한 당해 기기(12A 내지 12N)의 통신 사용 정보(즉, 당해 기기(12A 내지 12N)의 통신 식별자나 암호화 키 등)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기기(12A 내지 12N)는, 동작중이라면, 휴대 단말(11)로부터 송신된 탐색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기기(12A 내지 12N)는, 탐색 신호를 수신한 때에는, 그 탐색 신호에 격납되어 있는 통신 식별자를, 자신이 유지하고 있는 통신 식별자와 비교하여, 이들 2개의 통신 식별자가 일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 결과, 기기(12A 내지 12N)는, 2개의 통신 식별자가 일치하면, 휴대 단말(11)에 대해, 탐색되어 있는 기기(12A 내지 12N)가 자신인 것(즉,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존재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탐색 응답 신호를 회신한다.
그와 관련하여, 이때, 휴대 단말(11)에 의해 탐색되고 있는(즉, 통신 대상의)기기(12A 내지 12N)라도, 동작을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탐색 신호를 수신할 수 없음과 함께 탐색 응답 신호를 회신하는 일도 없다.
또한 휴대 단말(11)에 의해 탐색되지 않은 기기(12A 내지 12N)는, 동작중이고 탐색 신호를 수신해도, 탐색 신호에 격납되어 있는 통신 식별자가, 자신이 유지하고 있는 통신 식별자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탐색 응답 신호를 회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탐색 신호를 송신하면,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로부터 탐색 응답 신호가 회신되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탐색 신호를 송신하여도,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로부터 탐색 응답 신호가 회신되지 않으면, 당해 기기(12A 내지 12N)가 동작을 정지하고 있고 통신 접속할 수가 없다고 판단하고 탐색 처리와 함께 통신 접속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로부터 회신된 탐색 응답 신호를 근거리용 안테나(51)에서 수신하고 근거리용 통신 처리부(50)를 통하여 받아들이면, 탐색 응답 신호에 의해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를 발견할 수 있었다고 인식한다.
즉, 중앙 처리 유닛(30)은, 탐색 응답 신호에 의해, 통신 접속이 가능한 상태에 있는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를 발견할 수 있었다고 인식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탐색 처리를 종료하고, 계속해서 통신 사용 정보로서의 인증 정보가 나타내는 인증 방식에 따라 인증 처리를 시작한다.
즉,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가 동작하고 있고, 탐색할 수 있으면(즉, 통신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면), 통신 접속용의 인증 처리를 시작한다.
중앙 처리 유닛(30)은, 인증 처리를 시작하면, 예를 들면,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에 인증의 시작을 요구하는 시작 요구 신호를, 근거리용 통신 처리부(50)를 통하여 근거리용 안테나(51)로부터 당해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에 송신한다.
이때,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는, 휴대 단말(11)에의 탐색 응답 신호의 회신에 계속해서, 당해 휴대 단말(11)로부터 송신된 시작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예를 들면, 통신 사용 정보로서의 인증 정보가 나타내는 인증 방식에 따라 인증 처리를 시작한다.
그리고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는, 인증 처리를 시작하면, 난수를 격납하여 인증 처리의 시작에 응답하는 시작 응답 신호를 생성하고, 당해 생성한 시작 응답 신호를 휴대 단말(11)에 회신한다.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에 시작 요구 신호를 송신한 결과, 당해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로부터 시작 응답 신호가 회신되면, 그 시작 응답 신호를 근거리용 안테나(51)에서 수신하고 근거리용 통신 처리부(50)를 통하여 받아들인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시작 응답 신호에 격납되어 있는 난수를, 예를 들면, 통신 사용 정보로서의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암호화 난수를 생성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암호화 난수를 격납하여, 인증을 요구한 인증 요구 신호를 생성하고, 당해 생성한 인증 요구 신호를, 근거리용 통신 처리부(50)를 통하여 근거리용 안테나(51)로부터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에 송신한다.
이때,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는, 휴대 단말(11)에의 시작 응답 신호의 회신에 계속해서, 당해 휴대 단말(11)로부터 송신된 인증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그 인증 요구 신호로부터 암호화 난수를 취출한다.
또한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는, 그 암호화 난수를, 자신이 유지하고 있는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복호함에 의해 난수를 생성한다.
그리고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는, 그 생성한 난수를, 이때 휴대 단말(11)에 송신하고 있던 난수와 비교하여, 이들 2개의 난수가 일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 결과,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는, 2개의 난수가 일치하면, 휴대 단말(11)을 정규의 통신 상대로서 인증하고, 그 인증 결과를 나타내는 인증 응답 신호를 휴대 단말(11)에 회신한다.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에 인증 요구 신호를 송신한 결과, 당해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로부터 인증 응답 신호가 회신되면, 그 인증 응답 신호를 근거리용 안테나(51)에서 수신하고 근거리용 통신 처리부(50)를 통하여 받아들인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인증 응답 신호에 의거하여,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에 의해 휴대 단말(11)이 인증된 것을 인식하고 인증 처리를 종료하고, 계속해서 통신 설정 처리를 시작한다.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설정 처리를 시작하면,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에 통신용의 여러 가지의 설정을 행하도록 요구하는 설정 요구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설정 요구 신호를, 근거리용 통신 처리부(50)를 통하여 근거리용 안테나(51)로부터 당해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에 송신한다.
이때,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는, 휴대 단말(11)에의 인증 응답 신호의 회신에 계속해서, 당해 휴대 단말(11)로부터 송신된 설정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그 설정 요구 신호에 응하여, 휴대 단말(11)과의 통신용으로 여러 가지의 설정을 행한다.
그리고,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는, 그 설정이 완료되면, 휴대 단말(11)에 통신을 허가한 허가 응답 신호를 회신한다.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에 설정 요구 신호를 송신한 결과, 당해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로부터 허가 응답 신호가 회신되면, 그 허가 응답 신호를 근거리용 안테나(51)에서 수신하고 근거리용 통신 처리부(50)를 통하여 받아들인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허가 응답 신호에 의거하여,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에 의해 통신이 허가된 것, 즉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한 것을 인식하여 설정 요구 처리와 함께 통신 접속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접속 처리를 실행함에 의해, 휴대 단말(11)과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와의 통신 접속을 확립한다.
그런데, 휴대 단말(11)에서는, 통신 접속 처리의 실행중, 당해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에 응하여, 그 진척 상황을 단계적으로 통지하기 위한 통지 단계가 미리 선정되어 있다.
실제로 통지 단계는, 예를 들면, 탐색 처리에서의 탐색 신호의 송신 시점, 인증 처리에서의 시작 요구 신호의 송신 시점, 당해 인증 처리에서의 인증 요구 신호의 송신 시점, 통신 설정 처리에서의 설정 요구 신호의 송신 시점, 통신 접속의 확립 시점의 합계 5단계로 선정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접속 처리의 실행중, 선정 기기 화상(65, 66, 69)에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합성하도록 하여, 당해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에 응하여, 통지 단계마다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갱신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선정 기기 화상(65, 66, 69)에 합성한 진척 상황 통지 화상에 의해, 유저에게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을 통지한다.
단, 중앙 처리 유닛(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3차원 공간 화상(SP2)을 기초로 선정 기기 화상(65, 66, 69)을 생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중앙 처리 유닛(30)은, 실제로는 선정 기기 화상(65, 66, 69)의 기초가 되는 3차원 공간 화상(SP2) 내에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배치하도록 하여, 당해 선정 기기 화상(65, 66, 60)에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합성하고 있다.
여기서, 중앙 처리 유닛(30)이 통신 접속 처리의 일환으로서 실행하는, 당해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진척 상황 통지 처리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처리 유닛(30)은, 사진 촬영한 예를 들면, 기기(12B)를 특정하여 3차원 공간 화상(SP2)을 생성한 때, XY평면의 하변의 중점(中點)을 휴대 단말(11)의 위치(이하, 이것을 단말 위치라고도 부른다)(P02)라고 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3차원 공간 화상(SP2)에서 단말 위치(PO2)와 공간 내 기기 위치(PO1)를 연결하는 위치사이 선분(L1)을 상술한 통지 단계의 수로 등분하도록 하여 개개의 분할 위치(PD1 내지 PD4)를 검출하고 있다.
그와 관련하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위치사이 선분(L1)상의 복수의 분할 위치(PD1 내지 PD4)를, 단말 위치(PO2)측부터 차례로 제1분할 위치(PD1) 내지 제4분할 위치(PD4)라고도 부른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탐색 처리를 시작하여 탐색 신호를 통신 대상의 기기(12B)에 송신하면, 선정 기기 화상(66)에 대한 예를 들면, 이등변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의 합성을 시작한다.
그와 관련하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등변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진척 상황 통지 화상에서 정각(頂角) 부분의 정점(頂點)을, 화상 일단이라고도 부르고, 저변을, 화상 타단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등변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진척 상황 통지 화상에서 화상 타단의 중점(즉, 이등변삼각형의 저변의 중점)으로부터 화상 일단(즉, 이등변삼각형의 정각 부분의 정점)까지의 길이를, 화상 길이라고도 부른다.
이 경우,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은, 화상 타단의 길이만 미리 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에 응하여 통지 단계마다,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의 화상 길이를 선정하고, 화상 타단의 길이와, 그 선정한 화상 길이에 의거하여 당해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생성하고 있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처리 유닛(30)은, 3차원 공간 화상(SP2)에서 위치사이 선분(L1)을 진척 상황 통지 화상(75)의 수직 2등분선으로 하고 화상 타단을 적어도 1점에서 X축에 접촉시킨 때의 당해 화상 타단과 위치사이 선분(L1)과의 교점(IP1)을 검출한다. 그와 관련하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화상 타단과 위치사이 선분(L1)과의 교점(IP1)을, 선분 교점(IP1)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3차원 공간 화상(SP2)의 위치사이 선분(L1)상에서, 선분 교점(IP1)부터 제1분할 위치(PD1)까지의 거리를, 진척 상황 통지 화상(75)의 화상 길이로서 선정(즉, 검출)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화상 타단의 미리 선정되어 있는 길이와, 이때에 선정한 화상 길이에 의거하여 진척 상황 통지 화상(75)을 생성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3차원 공간 화상(SP2)에서, 진척 상황 통지 화상(75)을, 화상 타단의 중점을 위치사이 선분(L1)의 선분 교점(IP1)에 일치시키고, 또한 화상 일단을 제1분할 위치(PD1)에 일치시켜서 배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은, 3차원 공간 화상(SP2)을,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을 통지 가능하게 가공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3차원 공간 화상(SP2)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2차원 평면상에 투영하도록 하여 2차원 평면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선정 기기 화상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선정 기기 화상의 선정 기기 화상 데이터를, 표시 처리부(4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21)에 송출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선정 기기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진척 상황 통지 화상(77)을 합성한 선정 기기 화상(78)을 표시한다.
이 후, 중앙 처리 유닛(30)은, 인증 처리를 시작하여 시작 요구 신호를 통신 대상의 기기(12B)에 송신하면, 재차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생성한다.
즉,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 경우, 3차원 공간 화상(SP2)의 위치사이 선분(L1)상에서, 선분 교점(IP1)으로부터 제2분할 위치(PD2)까지의 거리를, 진척 상황 통지 화상(79)의 화상 길이로서 선정한다.
따라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화상 타단의 미리 선정되어 있는 길이와, 이때에 선정한 화상 길이에 의거하여, 전회 생성한 진척 상황 통지 화상(75)보다도 전체적으로 긴 새로운 진척 상황 통지 화상(79)을 생성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3차원 공간 화상(SP2)에서, 진척 상황 통지 화상(79)을, 화상 타단의 중점을 위치사이 선분(L1)의 선분 교점(IP1)에 일치시키고, 또한 화상 일단을 제2분할 위치(PD2)에 일치시켜서 배치한다.
그와 관련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때, 앞서의 탐색 처리에서, 통신 접속이 가능한 상태에 있는 통신 대상의 기기(12B)를 발견하고 나서 3차원 공간 화상(SP2)을 가공하고 있다.
이 때문에 중앙 처리 유닛(30)은, 3차원 공간 화상(SP2)에서 기기 아이콘(60)에,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는 통신 대상의 기기(12B)를 발견한 것을 나타내는 예를 들면, "×"표시와 같은 발견 마크(80)를, XY평면측에서 보이도록 부착한다.
그리고 나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3차원 공간 화상(SP2)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2차원 평면상에 투영하도록 하여 2차원 평면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선정 기기 화상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선정 기기 화상의 선정 기기 화상 데이터를, 표시 처리부(4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21)에 송출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선정 기기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진척 상황 통지 화상(81)을 합성한 선정 기기 화상(82)을 표시한다.
즉,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때,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표시하는 선정 기기 화상(82) 내에서 진척 상황 통지 화상(81)을 화상 타단은 고정한 채로 전체를 늘려서 화상 일단을 기기 아이콘(68)에 접근하도록 갱신한다.
따라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갱신한 진척 상황 통지 화상(81)에 의해 유저에게, 휴대 단말(11)을 통신 대상의 기기(12B)에 통신 접속하기 위한 통신 접속 처리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선정 기기 화상(82)에서 기기 아이콘(68)에 부착한 기기 발견 마크(83)에 의해,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는 통신 대상의 기기(12B)를 발견하고 나서 통선 접속 처리를 계속하고 있는 것도 아울러서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처리 유닛(30)은, 인증 요구 신호를 통신 대상의 기기(12B)에 송신한 때에는, 3차원 공간 화상(SP2)의 위치사이 선분(L1)상에서, 선분 교점(IP1)으로부터 제3분할 위치(PD3)까지의 거리를 화상 길이로서 선정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화상 타단의 길이, 및 선정한 화상 길이에 의거하여, 전회 생성한 진척 상황 통지 화상(79)보다도 전체적으로 더욱 긴 새로운 진척 상황 통지 화상(84)을 생성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3차원 공간 화상(SP2)에서, 그 새로운 진척 상황 통지 화상(84)을, 화상 타단의 중점을 위치사이 선분(L1)의 선분 교점(IP1)에 일치시키고, 또한 화상 일단을 제3분할 위치(PD3)에 일치시켜서 배치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3차원 공간 화상(SP2)을 기초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선정 기기 화상을 생성하고, 당해 선정 기기 화상의 선정 기기 화상 데이터를, 표시 처리부(4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21)에 송출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선정 기기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진척 상황 통지 화상(85)을 합성한 선정 기기 화상(86)을 표시한다.
즉,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때,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표시하는 선정 기기 화상(86) 내에서 진척 상황 통지 화상(85)을 화상 타단은 고정한 채로 전체를 늘려서 화상 일단을 기기 아이콘(68)에 더욱 접근하도록 갱신한다.
따라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갱신한 진척 상황 통지 화상(85)에 의해 유저에게, 통신 접속 처리가 더욱 진행된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설정 처리를 시작하여 설정 요구 신호를 통신 대상의 기기(12B)에 송신하면, 3차원 공간 화상(SP2)의 위치사이 선분(L1)상에서, 선분 교점(IP1)으로부터 제4분할 위치(PD4)까지의 거리를 화상 길이로서 선정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화상 타단의 길이, 및 선정한 화상 길이에 의거하여, 전회 생성한 진척 상황 통지 화상(84)보다도 전체적으로 더욱 긴 새로운 진척 상황 통지 화상(87)을 생성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3차원 공간 화상(SP2)에서, 그 새로운 진척 상황 통지 화상(87)을, 화상 타단의 중점을 위치사이 선분(L1)의 선분 교점(IP1)에 일치시키고, 또한 화상 일단을 제4분할 위치(PD4)에 일치시켜서 배치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3차원 공간 화상(SP2)을 기초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선정 기기 화상을 생성하여, 당해 선정 기기 화상의 선정 기기 화상 데이터를, 표시 처리부(4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21)에 송출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선정 기기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진척 상황 통지 화상(88)을 합성한 선정 기기 화상(89)을 표시한다.
그리고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대상의 기기(12B)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하면, 3차원 공간 화상(SP2)의 위치사이 선분(L1)상에서, 선분 교점(IP1)으로부터 공간 내 기기 위치(PO1)까지의 거리를 화상 길이로서 선정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화상 타단의 길이, 및 선정한 화상 길이에 의거하여, 전회 생성한 진척 상황 통지 화상(87)보다도 전체적으로 더욱 긴 새로운 진척 상황 통지 화상(90)을 생성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3차원 공간 화상(SP2)에서, 그 새로운 진척 상황 통지 화상(90)을, 화상 타단의 중점을 위치사이 선분(L1)의 선분 교점(IP1)에 일치시키고, 또한 화상 일단을 공간 내 기기 위치(PO1)에 일치시켜서 배치한다.
그와 관련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때, 통신 대상의 기기(12B)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하였음으로, 3차원 공간 화상(SP2)에서의 기기 아이콘(60)에 부착하고 있던 기기 발견 마크(80)를 소거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3차원 공간 화상(SP2)을 기초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선정 기기 화상을 생성하여, 그 선정 기기 화상의 선정 기기 화상 데이터를, 표시 처리부(4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21)에 송출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대상의 기기(12B)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한 때에는,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선정 기기 화상(91)을 표시하도록 하여 진척 상황 통지 화상(92)을 최종적으로 갱신한다.
즉,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대상의 기기(12B)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하면, 선정 기기 화상(91)에 합성하는 진척 상황 통지 화상(92)을, 당해 진척 상황 통지 화상(92)의 화상 일단을 기기 아이콘(68)에 접촉시키도록 갱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에 응하여, 선정 기기 화상에 합성하는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화상 타단을 고정한 채로 전체를 순차적으로 늘려서 화상 일단을 기기 아이콘(86)에 서서히 접근하도록 갱신한다.
따라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의 갱신에 의해, 휴대 단말(11)을 통신 대상의 기기(12B)와 접속하기 위한 처리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으로서 통신 대상의 기기(12B)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한 때에는, 선정 기기 화상(91)에 합성하는 진척 상황 통지 화상(92)의 화상 일단을 최종적으로 기기 아이콘(86)에 연결하도록 갱신한다.
따라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진척 상황 통지 화상(92)의 최종적인 갱신에 의해, 휴대 단말(11)을 통신 대상의 기기(12B)에 마치 유선으로 접속하여 마친 것처럼, 통신 접속이 확립한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그와 관련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은, 예를 들면, 탐색 처리를 실행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하여도, 예를 들면, 통신 대상의 기기(12B)가 동작을 정지하고 있어서, 탐색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가 없었던 때에는, 이에 응하여 선정 기기 화상 데이터를 가공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가공한 선정 기기 화상 데이터를, 표시 처리부(4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21)에 송출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그 선정 기기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선정 기기 화상(95)을 표시한다.
즉,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때, 선정 기기 화상(95)에, 통신 대상의 기기(12B)를 탐색할 수가 없었던 것을 나타내는 예를 들면, "접속 가능한 기기가 발견되지 않습니다"라는 텍스트(96)를 중첩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선정 기기 화상(95)상의 텍스트(96)를 통하여, 유저에게 통신 대상의 기기(12B)가 동작을 정지하고 있고, 통신 접속할 수가 없는 것을 통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대상의 기기(12B)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하고,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계속해서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데이터 송수신 모드로 이행한다.
이때,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에 의해 조작 버튼(23) 또는 터치 패널(22)을 통하여 예를 들면, 사진 화상 데이터의 송신이 요구되면, 기억 매체(42)로부터 복수의 사진 속성 데이터를 판독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들 복수의 사진 속성 데이터에 포함되는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선정 기기 화상 데이터에 합성하고, 얻어진 선정 기기 합성 화상 데이터를, 표시 처리부(4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21)에 송출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선정 기기 합성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선정 기기 합성 화상(100)을 표시한다.
선정 기기 합성 화상(100)은, 원래의 선정 기기 화상의 하변 가까이에, 섬네일 표시 영역(101)이 설치되고, 당해 섬네일 표시 영역(101) 내에 복수의 섬네일 화상(102 내지 104)이 화상 수평 방향으로 일렬로 병렬 배치되어 있다.
이때,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에 의해 예를 들면, 섬네일 화상(102)상에서 탭 조작이 행하여지면, 당해 탭 조작이 행하여진 섬네일 화상(101)에 대응하는 사진 화상 데이터가 송신 대상으로서 선택되었다고 인식한다.
또한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에 의해 예를 들면, 섬네일 화상(102)상에 손가락끝이 놓여져서 슬라이드 조작되면, 섬네일 화상(102)을, 그 슬라이드 조작에 의한 손가락끝의 이동처로 드래그(이동)시킨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슬라이드 조작에 응하여 섬네일 화상(102)을 섬네일 표시 영역(101) 내로부터 진척 상황 통지 화상(92)상까지 드래그하면, 드래그한 섬네일 화상(101)에 대응하는 사진 화상 데이터가 송신 대상으로서 선택되었다고 인식한다.
이와 같이 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은, 송신 대상의 사진 화상 데이터가,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102)으로서 선택되면, 기억 매체(42)로부터 당해 선택된 사진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사진 화상 데이터를, 근거리용 통신 처리부(50)를 통하여 근거리용 안테나(51)로부터 통신 대상의 기기(12B)(즉, 통신 접속이 확립한 기기(12B))에 송신한다.
그런데,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때, 예를 들면, 송신 대상의 사진 화상 데이터를, 그 데이터 사이즈보다도 현격하게 작은 소정 데이터 단위마다 순차적으로 송신하고 있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송신 대상의 사진 화상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 단위마다 송신하면서, 그 송신완료 부분의 데이터 사이즈를 순차적으로 검출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송신 대상의 사진 화상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 단위마다 송신하면서, 송신완료 부분의 데이터 사이즈와, 사진 화상 데이터 전체의 데이터 사이즈에 의거하여 사진 화상 데이터 전체에 대한 송신완료 부분의 비율과 미송신부분의 비율을 순차적으로 검출한다.
그와 관련하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사진 화상 데이터 전체에 대한 송신완료 부분의 비율을, 송신완료 비율이라고도 부르고, 당해 사진 화상 데이터 전체에 대한 미송신부분의 비율을, 미송신 비율이라고도 부른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송신완료 비율 및 미송신 비율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선정 기기 화상상에서, 송신 대상의 사진 화상 데이터의 송신 처리의 진척 상황을 통지한다.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제로 중앙 처리 유닛(30)은, 송신 대상의 사진 화상 데이터가 선택되면, 예를 들면, 섬네일 화상(102)을, 3차원 공간 화상(SP2) 내의 진척 상황 통지 화상(90)의 근원 부분의 폭보다도 약간 폭넓게 되도록 가공(확대 또는 축소)한다.
그리고 나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3차원 공간 화상(SP2)에서, 그 가공하여 얻은 섬네일 화상(105)을, XY평면과 평행하게 하고 하변의 중점을 선분 교점(IP1)에 일치시켜서 배치한다.
즉, 중앙 처리 유닛(30)은, 진척 상황 통지 화상(90)의 근원 부분에, 송신 대상의 사진 화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섬네일 화상(105)을 XY평면 측에서 보이도록 배치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3차원 공간 화상(SP2)에서, 섬네일 화상(105)의 우변에, 송신 대상의 사진 화상 데이터의 송신완료 비율을 나타내는 텍스트(예를 들면, "0%")를 기술하고, 배경을 투과시키도록 생성한 송신완료 비율 통지 화상(106)도 배치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3차원 공간 화상(SP2)에서, 기기 아이콘(60)에 예를 들면, 송신 대상의 사진 화상 데이터의 미송신 비율을 나타내는 텍스트(예를 들면, "나머지 100%")를 기술한 미송신 비율 통지 화상(107)을 XY평면 측에서 보이도록 부착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3차원 공간 화상(SP2)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2차원 평면상에 투영하도록 하여 2차원 평면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선정 기기 화상으로 변환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선정 기기 화상의 선정 기기 화상 데이터를, 표시 처리부(4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21)에 송출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선정 기기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송신 대상의 사진 화상 데이터를 섬네일 화상(110)으로 나타내는 선정 기기 화상(111)을 표시한다.
이 경우, 중앙 처리 유닛(30)은, 선정 기기 화상(111)에서 진척 상황 통지 화상(92)상의 섬네일 화상(110)의 배치 위치에 의해, 그 섬네일 화상(110)이 나타내는 사진 화상 데이터의 송신이 시작되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선정 기기 화상(111)에서 섬네일 화상(110)의 오른쪽옆의 텍스트(112)나 기기 아이콘(68)에 부착한 미송신 비율 통지 화상(113)에 의해, 사진 화상 데이터의 송신이 시작되는 것을 확인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처리 유닛(30)은, 송신완료 비율이 예를 들면, 20%에 달하면, 섬네일 화상(102)을, 3차원 공간 화상(SP2) 내의 진척 상황 통지 화상(90)의 제1분할 위치(PD1) 부분의 폭보다도 약간 폭이 넓게 되도록 가공(확대 또는 축소)한다.
그리고 나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앞서 생성한 3차원 공간 화상(SP2)에, 그 가공한 섬네일 화상(115)을 추가하도록 하여, 당해 섬네일 화상(115)을, XY평면과 평행하게 하고 하변의 중점을 제1분할 위치(PD1)에 일치시켜서 배치한다.
즉, 중앙 처리 유닛(30)은, 진척 상황 통지 화상(90)의 근원 부분보다도 기기 아이콘(60) 가까이에, 송신 대상의 사진 화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섬네일 화상(115)을 XY평면 측에서 보이도록 추가로 배치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3차원 공간 화상(SP2)에서, 섬네일 화상(115)의 우변에, 송신 대상의 사진 화상 데이터의 송신완료 비율을 나타내는 텍스트(예를 들면, "20%")를 기술하고, 배경을 투과시키도록 생성한 송신완료 비율 통지 화상(116)도 배치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3차원 공간 화상(SP2)에서의 기기 아이콘(60)에 부착하고 있던 미송신 비율 통지 화상(106)을, 이때의 미송신 비율을 나타내는 텍스트(예를 들면, "나머지 80%")를 기술한 미송신 비율 통지 화상(117)으로 변경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3차원 공간 화상(SP2)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2차원 평면상에 투영하도록 하여 2차원 평면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선정 기기 화상으로 변환한다.
그와 관련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때, 3차원 공간 화상(SP2) 내에 앞서 배치하고 있던 섬네일 화상(105)을, 배경이 약간 투과하도록 가공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선정 기기 화상의 선정 기기 화상 데이터를, 표시 처리부(4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21)에 송출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 후, 송신완료 비율이 예를 들면, 40%나 60%, 80%에 달할 때마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3차원 공간 화상(SP2)에 섬네일 화상을 송신완료 비율 통지 화상과 함께 추가한다.
즉, 중앙 처리 유닛(30)은, 송신완료 비율이 40%에 달하면, 진척 상황 통지 화상(90)의 제2분할 위치(PD2) 부분의 폭보다도 약간 폭이 넓게 되도록 가공한 섬네일 화상을, XY평면과 평행하게 하고 하변의 중점을 제2분할 위치(PD2)에 일치시켜서 배치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송신완료 비율이 60%에 달하면, 진척 상황 통지 화상(90)의 제3분할 위치(PD3) 부분의 폭보다도 약간 폭이 넓게 되도록 가공한 섬네일 화상을 XY평면과 평행하게 하고 하변의 중점을 제3분할 위치(PD3)에 일치시켜서 배치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송신완료 비율이 80%에 달하면, 진척 상황 통지 화상(90)의 제4분할 위치(PD4) 부분의 폭보다도 약간 폭이 넓게 되도록 가공한 섬네일 화상을 XY평면과 평행하게 하고 하변의 중점을 제4분할 위치(PD4)에 일치시켜서 배치한다.
단, 중앙 처리 유닛(30)은, 3차원 공간 화상(SP2) 내에 섬네일 화상을 추가로 배치할 때마다, 이미 배치하고 있던 섬네일 화상(105, 115)을, 배치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긴 것일 수록 배경의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가공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3차원 공간 화상(SP2) 내에 섬네일 화상을 추가로 배치할 때마다, 기기 아이콘(60)에 부착하고 있던 미송신 비율 통지 화상(106)을, 그때의 미송신 비율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기술한 미송신 비율 통지 화상으로 변경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3차원 공간 화상(SP2)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2차원 평면상에 투영하도록 하여 2차원 평면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선정 기기 화상으로 변환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선정 기기 화상의 선정 기기 화상 데이터를, 표시 처리부(4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21)에 송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처리 유닛(30)은,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표시하는 선정 기기 화상(120)에서의 진척 상황 통지 화상(92)상의 순차적으로 기기 아이콘(68)측에 섬네일 화상(121, 122)을 추가하도록 합성한다.
따라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선정 기기 화상(120)의 진척 상황 통지 화상(92)상에의 섬네일 화상(121, 122)의 추가에 의해, 그 섬네일 화상(121, 122)이 나타내는 사진 화상 데이터의 송신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선정 기기 화상(120)에서 섬네일 화상(121, 122)의 오른쪽 옆의 텍스트(123, 124)나 기기 아이콘(68)에 부착한 미송신 비율 통지 화상(125)에 의해, 사진 화상 데이터를 어느 정도 송신하는지를 확인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사진 화상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되면(송신완료 비율이 100%에 달하면), 3차원 공간 화상(SP2)에서, 그 시점까지 배치하고 있던 섬네일 화상(105, 115)을 미송신 비율 통지 화상(106, 116)과 함께 전부 소거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송신이 완료한 사진 화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섬네일 화상(102)을, 기기 아이콘(60)의 폭보다도 약간 폭을 좁게 하도록 가공(확대 또는 축소)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3차원 공간 화상(SP2)에서의 기기 아이콘(60)에 부착하고 있던 미송신 비율 통지 화상을, 그 가공한 섬네일 화상으로 변경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3차원 공간 화상(SP2)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2차원 평면상에 투영하도록 하여 2차원 평면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선정 기기 화상으로 변환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선정 기기 화상의 선정 기기 화상 데이터를, 표시 처리부(4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21)에 송출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선정 기기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기기 아이콘(68)에 섬네일 화상(129)을 부착한 선정 기기 화상(130)을 표시한다.
따라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선정 기기 화상(130)에 의한 진척 상황 통지 화상(92)상에서의 섬네일 화상(110, 121, 122)의 삭제와, 기기 아이콘(68)에의 섬네일 화상(129)이 부착에 의해, 사진 화상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된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선정 기기 화상(130) 내에, 사진 화상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송신이 완료되었습니다"라는 텍스트(131)를 표시한다.
따라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선정 기기 화상(130) 내의, 이러한 텍스트(131)에 의해, 유저에게 사진 화상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된 것을 확인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은, 다른 사진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선정 기기 화상을 통하여 송신 처리의 진척 상황을 통지하면서, 통신 대상의 기기(12B)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음성 데이터를 통신 대상의 기기(12B)에 송신하는 경우, 섬네일 화상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음성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기술한 화상을 이용하여, 기본적으로는 사진 화상 데이터의 송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처리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송신 대상의 음성 데이터에 관해서도, 선정 기기 화상을 통하여 송신 처리의 진척 상황을 통지하면서, 통신 대상의 기기(12B)에 송신할 수 있다.
그와 관련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대상의 기기(12B)로부터 사진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 우선 당해 기기(12B)로부터 송신되는 사진 속성 데이터나 음성 속성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나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기기(12B)로부터 송신되는 사진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그 사진 속성 데이터나 음성 속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술한 사진 화상 데이터의 송신일 때와는 기본적으로는 반대의 순서로 선정 기기 화상을 가공하여 표시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기기(12B)로부터 사진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가 송신된 때도, 선정 기기 화상을 통하여 수신 처리의 진척 상황을 통지하면서, 그 사진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와 관련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은, 사진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이 완료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표시하는 선정 기기 화상을, 송수신의 완료를 통지하는 선정 기기 화상(130)으로부터 상술한 선정 기기 화상(91)(도 24)으로 되돌린다.
즉, 중앙 처리 유닛(30)은, 사진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이 완료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통신 대상의 기기(12B)와의 통신 접속의 확립을 통지하는 선정 기기 화상(91)을 재표시한다.
그런데,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처리 유닛(30)은, 표시중의 선정 기기 화상(91)상에서, 유저에 의해 손가락끝 등에 의해 진척 상황 통지 화상(92)을 가로지르도록 슬라이드 조작되면, 기기(12B)와의 통신 접속의 절단이 지시되었다고 인식한다.
따라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때 통신 접속하고 있던 기기(12B)와의 당해 통신 접속을 절단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통신 접속의 절단에 응하여, 선정 기기 화상 데이터를 가공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그 가공한 선정 기기 화상 데이터를, 표시 처리부(4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21)에 송출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선정 기기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선정 기기 화상(135)을 표시한다.
이 경우, 선정 기기 화상(135) 내에는, 예를 들면, 통신 대상의 기기(12B)와의 통신 접속을 절단한 것을 나타내는 "절단되었습니다"라는 텍스트(136)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선정 기기 화상(135)의 텍스트(136)에 의해, 유저에게, 당해 선정 기기 화상(135)이 나타내는 통신 대상의 기기(12B)와의 통신 접속을 절단한 것을 통지할 수 있다.
단,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때, 선정 기기 화상(135) 내에서 기기 아이콘(68)에 기기 발견 마크(83)를 중첩시키고 있다.
따라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러한 기기 발견 마크(83)에 의해, 통신 대상의 기기(12B)와의 통신 접속이, 예를 들면, 당해 기기(12B)측에서 동작을 정지하여 절단된 것이 아니고, 유저의 지시에 의해 휴대 단말(11)측에서 절단한 것을 확인시킬 수 있다.
그런데,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접속의 절단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표시하고 있는 선정 기기 화상 내로부터, 통신 대상의 기기(12B)와의 통신 접속을 절단하는 것을 나타내는 텍스트(136)를 소거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선정 기기 화상에 의해 통신 대상의 기기(12B)를 통지하면서, 데이터 송수신 기능의 종료가 지시되는 것, 또한 통신 대상의 기기(12B)의 재접속이 지시되는 것을 기다리는 대기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예를 들면,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에 의해 선정 기기 화상(137)상에서 슬라이드 조작이 행하여지면, 당해 선정 기기 화상(137) 내에, 그 슬라이드 조작의 궤적을 나타내는 선화(138)를 묘화한다.
즉,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때 선정 기기 화상(137) 내에 묘화한 선화(138)에 의해, 유저에게 어떻게 슬라이드 조작하고 있는지를 확인시킬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때 선정 기기 화상(137)상에서 하변 가까이로부터 기기 아이콘(68)을 향하여 소정 길이 이상에 걸쳐 슬라이드 조작이 행하여진 것을 검출하면, 그 기기 아이콘(68)이 나타내는 통신 대상의 기기(12B)와의 재접속이 지시되었다고 인식한다.
이때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접속 모드로 이행하여, 선정 기기 화상(137)이 나타내는 통신 대상의 기기(12B)와 통신 접속하기 위한 통신 접속 처리로서, 재차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탐색 처리, 인증 처리 및 통신 설정 처리를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대상의 기기(12B)와의 통신 접속을 일단은 절단하여도, 유저의 지시에 응하여 당해 통신 대상의 기기(12B)와 재차 통신 접속할(즉, 통신 접속을 다시 확립할) 수 있다.
그와 관련하여, 중앙 처리 유닛(30)은, 상술한 대기 상태에서 유저에 의해 조작 버튼(23) 또는 터치 패널(22)을 통하여 데이터 송수신 기능의 종료가 지시되면, 이에 응하여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종료한다.
[1-5. 통신 접속 처리 순서]
뒤이어, 도 37 및 도 38에 도시하는 플로 차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11)의 중앙 처리 유닛(30)이 실행하는 통신 접속 처리 순서(RT1)에 관해 설명한다.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의 지시에 응하여 통신 접속 모드로 이행하면, RAM(32)상에서 전개한 통신 접속 프로그램에 따라, 도 37에 도시하는 통신 접속 처리 순서(RT1)를 시작한다.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접속 처리 순서(RT1)를 시작하면, 스텝 SP1에서, 휴대 단말(11)의 주위의 촬영을 시작하고, 다음의 스텝 SP2로 이동한다.
스텝 SP2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에 의해 사진 촬영이 지시되는 것을 기다리고, 당해 사진 촬영이 지시되면, 촬영 렌즈(24)가 향하여진 촬영 범위를 사진 촬영하여 사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 후, 다음의 스텝 SP3으로 이동한다.
스텝 SP3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사진 화상에 찍혀들어와 있는 기기(12A 내지 12N)를 특정하고, 다음의 스텝 SP4로 이동한다.
스텝 SP4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사진 화상에 찍혀들어와 있는 기기(12A 내지 12N)의 당해 사진 내 기기 위치에 의거하여, 선정 기기 화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그 선정 기기 화상을 표시하고, 다음의 스텝 SP5로 이동한다.
스텝 SP5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에 의해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가 선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 스텝 SP5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것은 유저에 의해 1대의 기기(12A 내지 12N)만이 사진 촬영되고, 그 사진 촬영에 의해 당해 1대의 기기(12A 내지 12N)가 통신 대상으로서 선정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스텝 SP5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러한 긍정 결과를 얻으면, 다음의 스텝 SP6으로 이동한다.
이에 대해 스텝 SP5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것은 유저에 의해 복수대의 기기(12A 내지 12N)가 사진 촬영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스텝 SP5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러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유저에 의해 선정 기기 화상상에서 임의에 1대의 기기(12A 내지 12N)가 통신 대상으로서 선정되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에 의해 1대의 기기(12A 내지 12N)가 통신 대상으로서 선정되면, 다음의 스텝 SP6으로 이동한다.
스텝 SP6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탐색 처리를 실행하여, 다음의 스텝 SP7로 이동하고, 당해 스텝 SP7에서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를 발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 스텝 SP7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것은 스텝 SP6에서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용의 탐색 신호를 송신한 결과, 당해 기기(12A 내지 12N)로부터 회신된 탐색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이러한 긍정 결과는,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를 탐색한 결과, 당해 기기(12A 내지 12N)가 통신 가능한 상태인 것을 확인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스텝 SP7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러한 긍정 결과를 얻으면, 다음의 스텝 SP8로 이동한다.
스텝 SP8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와의 사이에서 인증 처리를 실행하고, 다음의 스텝 SP9로 이동한다.
스텝 SP9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와의 사이에서 통신 설정 처리를 시작하여, 설정 요구 신호를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에 송신한 후, 다음의 스텝 SP10으로 이동한다.
스텝 SP10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하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로부터 회신된 허가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한 것을 인식하면, 다음의 스텝 SP11로 이동하여, 이러한 통신 접속 처리 순서(RT1)를 종료한다.
그와 관련하여, 상술한 스텝 SP7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것은 스텝 SP6에서 탐색 신호를 송신한 결과,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가 동작을 정지하고 있고, 탐색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이러한 부정 결과는,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를 탐색한 결과, 당해 기기(12A 내지 12N)가 통신 가능한 상태에는 없는 것을 확인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스텝 SP7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러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스텝 SP12로 이동한다.
그리고 스텝 SP12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유저에게 선정 기기 화상을 통하여,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를 발견할 수가 없었던 것을 통지한 후, 스텝 SP11로 이동하여, 이러한 통신 접속 처리 순서(RT1)를 종료한다.
그런데, 중앙 처리 유닛(30)은, 스텝 SP5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텝 SP6으로 이동하여 이후의 처리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이지만, 이 스텝 SP5에서 긍정 결과를 얻었을 때에는, 스텝 SP13으로도 이동한다.
그리고 스텝 SP13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스텝 SP6 내지 스텝 SP10의 처리를 병행하고(실제로는 시분할로),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진척 상황 통지 처리를 실행한다.
실제로 중앙 처리 유닛(30)은, 스텝 SP13에서 진척 상황 통지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 RAM(32)상에서 전개한 통신 접속 프로그램에 따라, 도 38에 도시하는 진척 상황 통지 처리 서브루틴(SRT1)을 시작한다.
중앙 처리 유닛(30)은, 진척 상황 통지 처리 서브루틴(SRT1)을 시작하면, 스텝 SP101에서 탐색 처리를 실행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기다리고, 당해 탐색 신호를 송신하면, 다음의 스텝 SP102로 이동한다.
스텝 SP102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선정 기기 화상에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합성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그때까지 표시하고 있던 선정 기기 화상을,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합성한 선정 기기 화상으로 변경하고, 다음의 스텝 SP103으로 이동한다.
스텝 SP103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를 발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 스텝 SP103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것은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를 발견한 것, 즉, 당해 기기(12A 내지 12N)가 통신 가능한 상태인 것을 확인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스텝 SP103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러한 긍정 결과를 얻으면, 다음의 스텝 SP104로 이동한다.
스텝 SP104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에 시작 요구 신호, 인증 요구 신호, 설정 요구 신호의 어느 하나의 신호를 송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 스텝 SP104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것은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에 송신한 신호를 생성하고 있는 도중인 것, 또는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로부터 허가 응답 신호가 회신된 것을 기다리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스텝 SP104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러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스텝 SP105로 이동한다.
스텝 SP105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 스텝 SP105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것은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로부터 아직도 허가 응답 신호가 회신되지 않았기 때문에, 통신 접속이 확립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스텝 SP105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러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스텝 SP104로 되돌아온다.
따라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 후, 스텝 SP104 및 스텝 SP105의 어느 하나에서 긍정 결과를 얻기까지의 동안, 당해 스텝 SP104 및 스텝 SP105의 처리를 순환적으로 반복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에 송신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마치는 것, 또한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로부터 허가 응답 신호가 회신되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스텝 SP104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것은 시작 요구 신호, 인증 요구 신호, 설정 요구 신호의 어느 하나의 신호를 생성하여, 당해 생성한 신호를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에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스텝 SP104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러한 긍정 결과를 얻으면, 다음의 스텝 SP106으로 이동한다.
스텝 SP106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선정 기기 화상 내의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갱신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그때까지 표시하고 있던 선정 기기 화상을,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갱신하는 선정 기기 화상으로 변경하고, 스텝 SP104로 되돌아온다.
따라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 후, 스텝 SP105에서 긍정 결과를 얻기까지의 동안, 스텝 SP104 및 스텝 SP106의 처리를 순환적으로 반복한다.
이에 의해 중앙 처리 유닛(30)은,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으로서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에 신호를 송신할 때마다,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갱신한다.
이 후, 스텝 SP105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것은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로부터 회신된 허가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 접속이 확립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스텝 SP105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러한 긍정 결과를 얻으면, 다음의 스텝 SP107로 이동한다.
그리고 스텝 SP107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선정 기기 화상 내의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통신 접속이 확립한 것을 나타내도록 갱신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은,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그때까지 표시하고 있던 선정 기기 화상을,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갱신한 선정 기기 화상으로 변경하고, 다음의 스텝 SP108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스텝 SP108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진척 상황 통지 처리 서브루틴(SRT1)을 종료하고, 도 37에 관해 상술(上述)한 스텝 SP11로 이동한다.
그와 관련하여, 상술한 스텝 SP103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것은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를 발견할 수가 없었던 것을 나타내고 있다.
스텝 SP103에서 중앙 처리 유닛(30)은, 이러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스텝 SP108로 이동하여 진척 상황 통지 처리 서브루틴(SRT1)을 종료한 후, 도 37에 관해 상술한 스텝 SP11로 이동한다.
[1-6. 실시의 형태의 동작 및 효과]
이상의 구성에서, 휴대 단말(11)은, 통신 접속 모드시, 통신 접속 처리를 시작하면, 카메라부(45)를 동작시켜서 유저에게 기기(12A 내지 12N)를 사진 촬영시키도록 하여,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를 선정시킨다.
그리고 휴대 단말(11)은, 그 사진 촬영에 의해 선정된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를 나타내는 선정 기기 화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21A)에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휴대 단말(11)은, 통신 접속 처리의 일환으로서,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와 통신 접속하기 위해 실제로 신호의 송수신을 시작하면, 선정 기기 화상에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합성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11)은,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와 통신 접속용의 신호를 송수신하면서,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에 응하여, 선정 기기 화상에 합성하는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갱신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11)은, 통신 접속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동안, 유저에게 선정 기기 화상에 합성하는 진척 상황 통지 화상에 의해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을 인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11)은,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와의 통신 접속이 어느 때 정도에 확립하는지를 예측 가능한 상태에서 당해 통신 접속이 확립하는 것을 기다리게 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휴대 단말(11)은, 통신 대상으로서 선정된 기기(12A 내지 12N)와 통신 접속하기 위한 통신 접속 처리를 시작하여 당해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를 나타내는 선정 기기 화상을 표시하고, 그 선정 기기 화상에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합성하도록 하여, 당해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에 응하여, 선정 기기 화상 내의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갱신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휴대 단말(11)은, 통신 접속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동안, 유저에게 선정 기기 화상 내의 진척 상황 통지 화상에 의해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을 인식시킬 수가 있어서, 그 결과,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와의 통신 접속이 어느때 정도에 확립하는지를 예측 가능한 상태에서 당해 통신 접속이 확립하는 것을 기다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11)은, 당해 휴대 단말(11)의 사용감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1)은, 선정 기기 화상에서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를 나타내는 기기 아이콘의 배치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합성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휴대 단말(11)은,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에 응하여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갱신할 때, 당해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화상 타단을 고정한 채로 전체를 순차적으로 늘려서 화상 일단을 기기 아이콘에 접근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휴대 단말(11)은, 순차적으로 갱신하는 진척 상황 통지 화상에 의해 유저에게, 마치 휴대 단말(11)을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선이, 당해 휴대 단말(11)로부터 기기(12A 내지 12N)를 향하여 서서히 늘려지고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하여, 통신 접속 처리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휴대 단말(11)은,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으로서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한 때,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의 최종적인 갱신을 실행하여, 당해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의 화상 일단을 기기 아이콘에 접촉시키도록 하였다.
즉, 휴대 단말(11)은,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한 때, 진척 상황 통지 화상에 의해 당해 휴대 단말(11)과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가 마치 유선으로 접속된 것처럼 표현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휴대 단말(11)은,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한 때에는, 당해 통신 접속이 확립한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1)은,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에 응하여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순차적으로 갱신할 때, 당해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의 화상 길이를 순차적으로 동등한 길이씩 늘리도록 하였다.
따라서 휴대 단말(11)은, 유저에게 당해 휴대 단말(11)과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할 때까지, 어느 정도 기다리면 좋은지를 용이하게 예측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휴대 단말(11)은,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으로서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에 통신 접속용의 신호(즉, 탐색 신호, 시작 요구 신호, 인증 요구 신호, 설정 요구 신호)를 송신할 때마다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순차적으로 갱신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휴대 단말(11)은,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의 갱신 주기가 흐트러지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유저에게 통신 접속이 확립하는 것을 기다리는 동안, 당해 통신 접속이 어느 때 정도에 확립하는지를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예측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1)은,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에 통신 접속용의 신호를 송신할 때마다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순차적으로 갱신하면, 실제로는 기기(12A 내지 12N)로부터의 신호(즉, 탐색 응답 신호, 시작 응답 신호, 인증 응답 신호, 허가 응답 신호)의 회신을 기다리고 있는 사이에,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갱신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11)은, 통신 접속 처리의 일환으로서 진척 상황 통지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지만, 처리 부하가 증대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2. 변형례>
[2-1 변형례 1]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통신 접속 모드시, 기기 아이콘을 배치한 3차원 공간 화상(SP2)을 함께 선정 기기 화상을 생성하도록 한 경우에 관해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를 사진 촬영하여 생성한 사진 화상을, 그대로 선정 기기 화상으로서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사진 촬영에 앞서서 기기(12A 내지 12N)를 촬영하여 얻어지는 촬영 화상을 선정 기기 화상으로서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사전에 기기(12A 내지 12N)를 나타내도록 생성된 CG(Computer Graphics) 화상이나 애니메이션 화상을 선정 기기 화상으로서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사전에 기기(12A 내지 12N)를 사진 촬영하여 사진 화상을 생성하고 기억하여 둔다. 그리고 본 발명은, 통신 접속 모드시, 특히 사진 촬영은 하지 않고,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를 예를 들면, 리스트로부터 선정시켜서, 기억하여 둔 복수의 사진 화상 중, 당해 선정된 기기(12A 내지 12N)가 찍혀들어와 있는 사진 화상을 선정 기기 화상으로서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를 사진 촬영하여 생성한 사진 화상을 기초로, 당해 사진 화상을, 사진 내 기기 위치에 2차원 평면 화상으로서 생성된 기기 아이콘을 배치하여 선정 기기 화상으로서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진 화상이나 촬영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선정 기기 화상, 사진 화상 내에 기기 아이콘을 배치하여 생성한 선정 기기 화상을 이용하는 경우, 선정 기기 화상상에 2차원 평면 화상이나 CG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직접 합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선정 기기 화상상에 CG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합성하는 경우, 사진 촬영한 기기(12A 내지 12N)에 코드 스티커(56)가 부착되어 있으면, 사진 화상 내에서 2차원 코드(55)의 위치(예를 들면, 2차원 코드(55)의 중심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진 화상으로부터 2차원 코드(55)의 촬영 자세(사진 화상 내에서의 2차원 코드(55)의 형상)를 벡터로서 추출한다.
한편, 본 발명은, 사진 촬영한 기기(12A 내지 12N)에 코드 스티커(56)가 부착되지 않은 경우, 사진 화상 내에서 당해 기기(12A 내지 12N)의 윤곽의 위치(예를 들면, 기기(12A 내지 12N)의 윤곽의 중심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사진 화상으로부터 기기(12A 내지 12N)의 촬영 자세(사진 화상 내에서의 기기(12A 내지 12N)의 윤곽의 형상)를 벡터로서 추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진 화상으로부터 추출한 벡터에 의거하여, 기기(12A 내지 12N)를 사진 촬영한 때의 촬영 렌즈(24)의 3차원적인 위치를 추정하고, 당해 촬영 렌즈(24)와, 사진 화상 내의 기기(12A 내지 12N)와의 위치 및 각도의 관계를 검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 렌즈(24)와, 사진 화상 내의 예를 들면, 미리 선정된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의 합성 시작 위치(예를 들면, 사진 화상 내에서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의 화상 타단을 고정하는 위치)와의 위치 및 각도의 관계도 검출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그 검출한 위치 및 각도의 관계에 의거하여 선정 기기 화상에, 마치 촬영 렌즈(24)로부터 입체적으로 보이고 있는 것처럼, CG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합성하고, 또한 당해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 화상을 선정 기기 화상으로서 이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촬영 화상에 기기(12A 내지 12N)가 1대만 찍혀들어와 있을 때에는, 당해 촬영 화상을 그대로 선정 기기 화상으로서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은, 촬영 화상에 1대만 찍혀들어와 있는 기기(12A 내지 12N)와 통신 접속한 후, 촬영 범위가 변경되어 다른 기기(12A 내지 12N)를 촬영한 때에는, 통신 접속의 상대를, 당해 다른 기기(12A 내지 12N)로 자동적으로 전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 화상을 선정 기기 화상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도, 촬영 화상에 복수대의 기기(12A 내지 12N)가 찍혀들어와 있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사진 촬영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그 사진 화상상에서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를 선정시킴과 함께, 당해 사진 화상을 그대로 또는 기기 아이콘을 배치하여 선정 기기 화상으로서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본 발명은, 촬영 화상에 찍혀들어와 있는 기기(12A 내지 12N)의 대수에 응하여, 당해 촬영 화상을 그대로 선정 기기 화상으로서 이용하는지, 또한 사진 촬영하여 사진 화상을 선정 기기 화상으로서 이용하는지를 전환하도록 하여도 좋다.
[2-2 변형례 2]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통신 접속 모드시, 사진 화상에 복수대의 기기(12A 내지 12N)가 찍혀들어와 있으면, 당해 사진 화상상에서 1대의 기기(12A 내지 12N)를 통신 대상으로서 선정시켜서 통신 접속하도록 한 경우에 관해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진 화상에 복수대의 기기(12A 내지 12N)가 찍혀들어와 있는 경우, 당해 사진 화상에 찍혀들어와 있는 모든 기기(12A 내지 12N)와 통신 접속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사진 화상에 찍혀들어와 있는 복수대의 기기(12A 내지 12N) 중 임의로 선정된 1대의 기기(12A 내지 12N)와 통신 접속한 후, 예를 들면,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드래그시켜서 통신 접속한 기기(12A 내지 12N)의 변경을 지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그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사진 촬영하여 생성한 사진 화상에 기기(12A 내지 12N)가 전혀 찍혀들어오지 않은(기기(12A 내지 12N)를 특정할 수가 없었던) 경우는, 기기(12A 내지 12N)를 사진 촬영하도록 통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접속 처리를 시작한 때에 기기(12A 내지 12N)의 탐색을 실행하여 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진 화상에 기기(12A 내지 12N)가 전혀 찍혀들어오지 않은 경우에는, 탐색에 의해 발견하고 있던 기기(12A 내지 12N)의 리스트를 표시하여, 통신 가능한 기기(12A 내지 12N)를 통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2-3 변형례 3]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통신 접속 모드시,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를 발견할 수 없었던 때에, 이것을 통지하도록 한 경우에 관해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휴대 단말(11)이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와 통신 접속용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있는 사이에서, 통신 장애가 일어나는 등 하여 탐색 응답 신호 이외의 신호를 수신할 수가 없었던 때에도, 그 취지를 통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은, 휴대 단말(11)에서 탐색 응답 신호 이외의 신호를 수신할 수가 없었던 때에는, 그때에 실행하고 있던 처리에 응하여, 신호를 수신할 수가 없음으로서 실패한 처리를 통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에서 한번에 통신 접속 가능한 장치의 대수의 상한이 설정되어 있고, 휴대 단말(11)이 탐색 신호를 송신한 때,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에 이미 상한의 대수분의 장치가 통신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통신 접속이 거부된 경우에는, 그 취지를 유저에게 통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2-4 변형례 4]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선정 기기 화상에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합성하기 위해, 당해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의 화상 타단을 위치시키는 단말 위치를 미리 선정하도록 한 경우에 관해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기기(12A 내지 12N)를 사진 촬영할 때마다, 사진 화상 내의 사진 내 기기 위치나, 3차원 공간 화상 내의 공간 내 기기 위치에 응하여, 당해 사진 화상 내에서 사진 내 기기 위치로부터 떨어진 장소나, 3차원 공간 화상 내에서 공간 내 기기 위치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 자동적으로 단말 위치를 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이들의 구성에 의하면, 기기(12A 내지 12N)의 사진 촬영에 의해 예를 들면, 사진 화상의 하변 가까이에 당해 기기(12A 내지 12N)가 찍혀들어온 경우에도,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사진 화상 내나 3차원 공간 화상 내의 빈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사진 화상 내나 3차원 공간 화상 내에서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이 너무 짧아서,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에 응한 갱신의 정도가 판별하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5 변형례 5]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을 통지하기 위해, 이등변삼각형으로 이루어지고,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에 응하여 순차적으로 전체를 늘리도록 갱신하는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이용하도록 한 경우에 관해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도 4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가 공백인 예를 들면,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합성의 시작 시점에는 선정 기기 화상에 단말 위치와 기기(12A 내지 12N)의 위치(사진 내 기기 위치 또는 공간 내 기기 위치)를 연결하도록 합성하는 진척 상황 통지 화상(140)을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진척 상황 통지 화상(140)을, 선정 기기 화상에 단말 위치와 기기(12A 내지 12N)의 위치를 연결하도록 합성한 상태에서,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에 응하여, 화상 타단측부터 화상 한단측으로 내부를 서서히 칠하여 채우도록 하여 갱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4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진척 상황 통지 화상(141)을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은,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에 응하여, 진척 상황 통지 화상(141)을, 순차적으로 블록을 증가시켜서 최종적으로 단말 위치와 기기(12A 내지 12N)의 위치를 연결하도록 갱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4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살표로 이루어지는 진척 상황 통지 화상(142)을 이용하도록 하여,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에 응하여, 당해 진척 상황 통지 화상(142)을, 순차적으로 전체를 늘리도록 갱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의 형태의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이나, 도 40(A) 내지 (C)에 도시하는 진척 상황 통지 화상(140 내지 142)에 관해, 통신 접속이 확립하여 단말 위치와 기기(12A 내지 12N)의 위치를 연결한 때에는, 그때까지와는 다른 표시 상태(색이나 점멸의 유무 등)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진척 상황 통지 화상에 의해, 통신 접속이 확립하는 것을, 보다 정확하게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 위치와 기기(12A 내지 12N)의 위치를 연결하는 진척 상황 통지 화상으로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을 백분율로 나타내는 텍스트로 이루어지는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2-6 변형례 6]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의 통지 단계를, 탐색 신호의 송신 시점, 시작 요구 신호의 송신 시점, 인증 요구 신호의 송신 시점, 설정 요구 신호의 송신 시점, 통신 접속의 확립 시점의 합계 5단계로 선정하도록 한 경우에 관해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의 통지 단계를, 탐색 처리의 시작 시점, 인증 처리의 시작 시점, 통신 설정 처리의 시작 시점, 통신 접속의 확립 시점의 합계 4단계로 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의 통지 단계를, 통신 접속용의 개개의 신호의 송신 시점 및 수신 시점과, 통신 접속의 확립 시점의 합계 9단계로 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11)과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적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준한 통신 접속 처리의 내용에 응하여,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의 통지 단계를, 기타 여러 가지의 단계로 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형례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접속 처리에 앞서서 미리 준비하고 있던 선정 기기 화상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통지 단계에, 통신 대상의 기기(12A 내지 12N)의 선정 시점을 포함할 수도 있다.
[2-7 변형례 7]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기기(12A 내지 12N)의 특정에, 기기 식별 정보를 표현하는 사이버 코드(55)를 이용하도록 한 경우에 관해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기기(12A 내지 12N)의 특정에, 기기 속성 정보 및 통신 사용 정보의 적어도 한쪽을 표현하는 사이버 코드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2-8 변형례 8]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기기(12A 내지 12N)의 특정에 사이버 코드(55)를 이용하도록 한 경우에 관해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QR(Quick Response) 코드(등록상표)나, DATA MATRIX(등록상표), Maxi Code(등록상표) 등과 같은 매트릭스형 2차원 코드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PDF417(등록상표)과 같은 스택형 2차원 코드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바코드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2-9 변형례 9]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통신 접속 장치를, 도 1 내지 도 40에 관해 상술한 통신 접속 장치(1) 및 휴대 단말(11)에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관해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게임기기, 전자 북 리더 등과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기타 여러 가지의 통신 접속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2-10 변형례 10]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 접속 프로그램을, 휴대 단말(11)의 ROM(31)에 미리 기억된 통신 접속 프로그램에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관해 기술하였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휴대 단말(11)의 중앙 처리 유닛(30)이, 통신 접속 프로그램에 따라, 도 37에 관해 상술한 통신 접속 처리 순서(RT1)를 실행하도록 한 경우에 관해 기술하였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휴대 단말(11)의 중앙 처리 유닛(30)이, 통신 접속 프로그램에 따라, 통신 접속 처리의 일환으로서 도 38에 관해 상술한 진척 상황 통지 처리 서브루틴(SRT1)을 실행하도록 한 경우에 관해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휴대 단말(11)이 통신 접속 프로그램의 기억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의해 당해 통신 접속 프로그램를 인스톨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30)이, 그 인스톨한 통신 접속 프로그램에 따라 통신 접속 처리 순서(RT1) 및 진척 상황 통지 처리 서브루틴(SRT1)을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휴대 단말(11)은,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나 인터넷, 디지털 위성 방송 등의 유선 및 무선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통신 접속 프로그램를 인스톨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통신 접속 프로그램를 휴대 단말(11)에 인스톨하여 실행 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플렉시블 디스크와 같은 패키지 미디어로 실현하여도 좋다.
또한 통신 접속 프로그램를 휴대 단말(11)에 인스톨하여 실행 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CD-ROM(Compact Disc-ReadOnly Memory)과 같은 패키지 미디어로 실현하여도 좋다.
또한 통신 접속 프로그램를 휴대 단말(11)에 인스톨하여 실행 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패키지 미디어로 실현하여도 좋다.
또한,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로서는, 패키지 미디어뿐만 아니라, 각종 프로그램이 일시적 또는 영속적으로 기억되는 반도체 메모리나 자기 디스크 등으로 실현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통신 접속 프로그램를 기억하는 수단으로서는,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나 인터넷, 디지털 위성 방송 등의 유선 및 무선 통신 매체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는, 라우터나 모뎀 등의 각종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 접속 프로그램을 기억하도록 하여도 좋다.
[2-11 변형례 11]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통신 대상으로서 선정된 기기와 통신 접속하기 위한 통신 접속 처리를 실행하는 통신 접속 처리부로서, 도 1 내지 도 40에 관해 상술한 통신 접속 처리부(2) 및 중앙 처리 유닛(30)을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관해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통신 대상으로서 선정된 기기와 통신 접속하기 위한 통신 접속 처리를 실행하는 하드웨어 구성의 통신 접속 처리 회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접속 처리부로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나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이, 기타 여러 가지의 구성의 통신 접속 처리부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2-12 변형례 12]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통신 접속 처리부에 의해 통신 접속 처리가 시작되면, 통신 대상의 기기를 나타내는 선정 기기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로서, 도 1 내지 도 40에 관해 상술한 표시부(3) 및 디스플레이(21)를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관해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표시부로서, 통신 접속 장치(1)나 휴대 단말(11)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된 외장의 디스플레이를 적용할 수 있다.
[2-13 변형례 13]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선정 기기 화상에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합성하도록 하여,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에 응하여, 선정 기기 화상에 합성하는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갱신하는 진척 상황 통지부로서, 도 1 내지 도 40에 관해 상술한 진척 상황 통지부(4) 및 중앙 처리 유닛(30)을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관해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선정 기기 화상에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합성하도록 하여,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에 응하여, 선정 기기 화상에 합성하는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갱신하는 하드웨어 구성의 진척 상황 통지 회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척 상황 통지부로서, DSP나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이, 기타 여러 가지의 구성의 진척 상황 통지부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나 휴대 전화기, 노트형의 퍼스널 컴퓨터 등의 통신 접속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 : 통신 접속 장치
2 : 통신 접속 처리부
3 : 표시부
4 : 진척 상황 통지부
11 : 휴대 단말
12A 내지 12N : 기기
21 : 디스플레이
22 : 터치 패널
30 : 중앙 처리 유닛
45 : 카메라부
50 : 근거리용 통신 처리부
51 : 근거리용 안테나
65, 66, 69, 78, 82, 86, 89, 91 : 선정 기기 화상
67, 68, 70, 71 : 기기 아이콘
77, 81, 85, 88, 92, 140, 141, 142 : 진척 상황 통지 화상
RT1 : 통신 접속 처리 순서
SRT1 : 진척 상황 통지 처리 서브루틴.

Claims (12)

  1. 통신 접속하기 위한 통신 대상으로서 선정된 기기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선정 기기 화상과 합성된 통신 접속의 진척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갱신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통신 접속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접속 처리가 시작된 후에, 통신 접속 처리의 진척 상황에 응하여 상기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접속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선정 기기 화상과 다른 위치에 상기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접속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의 전체가 상기 선정 기기 화상에 접근하도록, 상기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접속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의 위치가 상기 선정 기기 화상과 접촉하도록, 상기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접속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이 순차적으로 길이로 늘어나도록, 상기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접속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인증 요구 신호가 상기 선정된 기기에 송신될 때 상기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이 길이로 늘어나도록, 상기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접속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통신 설정 처리가 시작되고 설정 요구 신호가 상기 선정된 기기에 송신될 때 상기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이 길이로 늘어나도록, 상기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접속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선정된 기기의 위치에 응하여, 상기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의 위치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접속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선정된 기기와 통신 접속이 확립될 때, 표시 상태가 상기 통신 접속이 확립될 때까지와는 다르게 되도록, 상기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의 표시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접속 장치.
  11. 통신 접속하기 위한 통신 대상으로서 선정된 기기의 화상을 표시하고,
    프로세서에 의하여, 선정 기기 화상과 합성된 통신 접속의 진척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갱신하는 통신 접속 방법.
  12. 통신 접속하기 위한 통신 대상으로서 선정된 기기의 화상을 표시하고,
    선정 기기 화상과 합성된 통신 접속의 진척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진척 상황 통지 화상을 갱신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37030050A 2011-06-01 2012-05-09 통신 접속 방법, 통신 접속 장치 및 통신 접속 프로그램 KR201400279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23550 2011-06-01
JP2011123550A JP2012253508A (ja) 2011-06-01 2011-06-01 通信接続方法、通信接続装置及び通信接続プログラム
PCT/JP2012/062439 WO2012165137A1 (en) 2011-06-01 2012-05-09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communication connec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progra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991A true KR20140027991A (ko) 2014-03-07

Family

ID=47259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050A KR20140027991A (ko) 2011-06-01 2012-05-09 통신 접속 방법, 통신 접속 장치 및 통신 접속 프로그램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40149872A1 (ko)
EP (1) EP2716124A4 (ko)
JP (1) JP2012253508A (ko)
KR (1) KR20140027991A (ko)
CN (1) CN103563343A (ko)
BR (1) BR112013030103A2 (ko)
RU (1) RU2013151884A (ko)
WO (1) WO20121651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87566B2 (en) 2016-11-10 2020-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36186B (zh) * 2013-12-12 2016-06-01 三緯國際立體列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三維圖檔搜尋方法與三維圖檔搜尋系統
JP6558527B2 (ja) * 2015-03-30 2019-08-1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9586591B1 (en) * 2015-05-04 2017-03-07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Real-time driver observation and progress monitoring
JP5836528B1 (ja) * 2015-05-29 2015-12-24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通信接続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KR102137194B1 (ko) * 2018-10-31 2020-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5166A (en) * 1996-08-23 1998-09-08 Inte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egmented status area for dynamically reporting status in a data processing system
JP3444114B2 (ja) * 1996-11-22 2003-09-0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方法、基地局及び端末装置
US5877766A (en) * 1997-08-15 1999-03-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node user interface component and method thereof for use in accessing a plurality of linked records
US6973567B1 (en) * 2001-09-14 2005-12-06 Cisco Technology, Inc. Early authentication during modem training
US20070264991A1 (en) * 2006-05-15 2007-11-15 Microsoft Corporation Services near me: discovering and connecting to available wireless services utilizing proximity discovery
KR101294293B1 (ko) * 2006-10-27 2013-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연결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5353895B2 (ja) * 2008-11-26 2013-11-27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571625B2 (en) * 2009-08-11 2017-02-14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306692B1 (en) * 2009-10-02 2014-05-21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bluetooth pairing using a camera as a barcode scanner
US8787829B2 (en) * 2009-11-25 2014-07-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tue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link by selecting object from screen
CN101834937A (zh) * 2010-03-19 2010-09-1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终端之间进行信息交互的方法、装置及终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87566B2 (en) 2016-11-10 2020-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49872A1 (en) 2014-05-29
CN103563343A (zh) 2014-02-05
WO2012165137A1 (en) 2012-12-06
JP2012253508A (ja) 2012-12-20
BR112013030103A2 (pt) 2016-11-29
EP2716124A1 (en) 2014-04-09
RU2013151884A (ru) 2015-05-27
EP2716124A4 (en) 201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405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365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224483B1 (ko)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26700B1 (ko) 이동 단말기
KR2018009533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03867B1 (ko)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의해 컨트롤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3461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6406688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JP2017529636A (ja) 移動端末機及びその制御方法
CN106155494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2016007433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8760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9871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27991A (ko) 통신 접속 방법, 통신 접속 장치 및 통신 접속 프로그램
KR20180046462A (ko) 이동 단말기
KR10245714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05416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5658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38922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604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2713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489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2311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3743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1685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