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2702A -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빗물저류조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빗물저류조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2702A
KR20140022702A KR1020120089174A KR20120089174A KR20140022702A KR 20140022702 A KR20140022702 A KR 20140022702A KR 1020120089174 A KR1020120089174 A KR 1020120089174A KR 20120089174 A KR20120089174 A KR 20120089174A KR 20140022702 A KR20140022702 A KR 20140022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ainwater storage
rainwater
ring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1989B1 (ko
Inventor
한신인
전형우
Original Assignee
제영종합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영종합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영종합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9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989B1/ko
Publication of KR20140022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22Large containers rigid in multiple arrangement, e.g. stackable, nestable, connected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wag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방향의 유로가 교차 형성되는 관부, 상기 관부를 감싸는 몸체부로 구성되는 단위블럭; 단위블럭 간의 접합부에서 연접하는 관부를 연결하되, 링형상으로 일단과 타단에 유격이 형성된 가압링과, 상기 가압링의 일단과 타단에 구성되어 일단과 타단의 유격을 조절하는 유격조절구로 구성되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빗물저류조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빗물저류조 시공방법{A prefabricated rainwater storage tank a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수 방향의 유로가 교차 형성되는 관부와 몸체부로 이루어진 복수의 단위블럭과 단위블럭 간을 수밀성을 확보하면서 구조적 강성이 보강되도록 하는 연결구로 구성된 단위모듈을 제시하며, 이러한 단위모듈을 이용한 빗물저류조 시공방법에 대해서도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증가나 지표의 포장율의 상승에 따라 호우시에 빗물이 지하로 침수함이 없이 하수도나 하천으로 일시에 유입되고 있으며, 유입허용량을 초과하는 결과 홍수가 발생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하천의 유입량이 적으면 수질이 악화되고 지하수도 고갈되어 문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빗물을 일단 현장타설의 콘크리트나 합성수지제로 구성된 빗물저장시설에 저장하고 하천으로의 유출량을 조절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기술중 하나로서, 일본국 특허 공개 평6-2729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블록 단체의 경량화를 위하여 저면 저면판부의 네 모서리 기둥의 상단부분에 수평 들보가 설치되고, 전후좌우의 각 수평 들보 사이에 상면 개구부를 형성한 본체부용 블록과, 측면판부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상면판부와 저면판의 단부 부분을 연결하는 슬리브 벽부를 설치한 ㄷ자 형상의 주변부용블록과, 측면판부의 하단 부분에 저면판부를 연결 설치하여 상단 부분에 상면판부를 연결설치하여 모퉁이 벽부용 블록으로 구성되고, 본체부용 블록군의 측면 개구부가 주변부용 블록으로 폐쇄되며, 수평 들보에 탑재된 뚜껑판으로 본체부 용 블록의 상면 개구부가 폐쇄된다. 그러나, 이러한 빗물 저류조는 각각의 블록의 중량을 경량화하여 운반이나 취급이 용이한 이점은 있으나, 각각의 부분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각 부분을 조립하여 설치하는데 많은 노동력과 조립시간이 요구되어 시공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85742호는, 상면판과 저면판의 전후좌우의 네 모퉁이에 기둥들이 각각 직각으로 직립되며, 상기 기둥들에 의해 네개의 면에 개구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들의 상부 및 하부에 다수의 너트 안치홈이 내측에 형성되는 관통공들이 각각 형성되는 한편, 커플 가이드 핀이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홈들이 외부면에 형성되는 본체부용 블록과, 4개의 면들 중에 하나 이상의 면이 폐쇄된 형태를 위하는 것 외에는 상기 본체부용 블록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주변부용 블록과, 조립되었을 때 외측으로 향하는 상기 주변부용 블록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주변부용 블록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나사 부재에 의해 상기 주변부용 블록에 결합되는 슬래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빗물 저류조는 나사부재를 통해 각 블록들 및 슬래브를 결합하기 때문에 종래보다 시공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본체부용 및 주변부용 블록이 각각 기둥을 포함하고 있고, 이들을 배열할 때 블록들의 기둥이 겹쳐서 불필요하게 두꺼운 기둥구조를 제공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빗물 저류조는 통상 상부와 하부를 하나의 와이어를 매개로 상호 연결하기 때문에 지반이 불균형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공이 상당히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빗물 저류조에 사용되는 블록은 통상 시공현장에 맞게 별물로 제작되기 때문에 규격화된 블록의 제작이 곤란하고, 제작된 블록보다 작거나 큰 블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주문하여 시공해야하기 때문에 범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빗물 저류조는 지진하중 등 횡방향 하중에 대한 보강 및 상재하중 등 종방향 하중에 대한 보강이 없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빗물 저류조는 콘크리트의 재질에 직접 빗물이 저류됨에 따라 콘크리트 열화의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빗물 저류조는 블록 간에 있어서 수밀성을 완전히 보장하기 어려운 바 저장형 빗물저류조의 경우 그 적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1994-2729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8574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공현장의 크기 및 범위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 가능하여 공기를 줄일 수 있어 시공경제를 도모할 수 있는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빗물저류조 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량을 경량화하여 운반 및 조립을 용이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횡방향 및 종방향 하중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게 하는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빗물저류조 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위블럭의 재질을 콘크리트로 하되, 내부에 플라스틱류의 관부에 의해 빗물이 유동 및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콘크리트 열화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빗물저류조 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위블럭 간을 수밀성이 확보되면서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전체 빗물저류조의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빗물저류조 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이하 "단위모듈"이라함)은 복수 방향의 유로가 교차 형성되는 관부, 상기 관부를 감싸는 몸체부로 구성되는 단위블럭; 단위블럭 간의 접합부에서 연접하는 관부를 연결하되, 링형상으로 일단과 타단에 유격이 형성된 가압링과, 상기 가압링의 일단과 타단에 구성되어 일단과 타단의 유격을 조절하는 유격조절구로 구성되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위모듈은 단위블럭과 단위블럭 간의 접합부를 수밀하게 연결하는 연결구로 이루어짐으로써 이러한 단위모듈의 조립에 의해 빗물저류조가 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는 육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관부는 X축의 양음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관, Y축의 양음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관 및 Z축의 양음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 1관, 제 2관 및 제 3관은 상기 X축, Y축 및 Z축의 원점에서 교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의 단위블럭에는 삼축방향 튜브형 관부가 구성되어, 이를 적층, 조립함에 의해 시공되는 빗물저류조가 전체적으로 삼축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되는 것이며, 삼축방향으로 강도가 보강되는 것이다. 즉 다방향의 관부에 의해 단위블럭 내에서 빗물의 저장 및 유동이 자유롭게 되는 것이고, 단위블럭의 적층시 각각의 관부가 연접하게 됨으로써 뼈대구조를 내부에 형성하게 하여 구조적 강성이 보강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압링은, 절단면이 "T"자형으로 구성되어 연접하는 관부 간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연접하는 관부의 각각의 내주연을 가압하는 가압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링은 한쌍의 가압링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링유닛 간은 상기 삽입부를 형성하는 유닛부분의 단부에 연결단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링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의 삽입부의 끝단에서 수밀단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격조절구는, 상기 가압링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되며 대향하는 각각의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한쌍의 유격바와, 한쌍의 유격바의 단부에 체결되며 내부에 나사골이 형성된 유격조절볼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각각 모서리에는 지지테두리가 형성되는 외각틀이 구성되되, 상기 외각틀은 상기 지지테두리와, 각각 제 1관, 제 2관, 제 3관의 양단과 접하는 지지링과, 상기 지지테두리와 상기 지지링을 연결하는 연결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을 이용한 빗물저류조 시공방법이 제시되는 바,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터파기 단계(S10); 상기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을 이용하여 중앙부에 중앙조립체를 시공하는 단계(S20); 상기 중앙조립체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수직구 구조물 및 지보재를 시공하는 단계(S30); 상기 중앙조립체와 수직구 구조물 사이에 상기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을 이용하여 외각조립체를 시공하는 단계(S40); 마무리 시공을 하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중앙조립체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수직구 구조물 및 지보재를 시공하는 단계(S30)에는, 지반에 삽입.고정되는 앵커와 상기 앵커와 연결되는 인장재로 구성되는 앵커부; 내부에 상기 인장재가 관통하는 관통공과, 하단부에 하향으로 좁아드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삽입단과 상기 삽입단의 상부에서 일체로 형성되며 평활면을 구성하는 몸체로 구성되는 삽입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접하면서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인장재와 연결되어 상기 삽입부에 하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유압잭을 포함한 관입부;로 구성되는 수직구 구조물 시공장치를 이용하여 수직구 구조물을 시공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구 구조물 시공장치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되되, 각각의 유닛은 상기 앵커부, 상기 삽입부, 상기 관입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닛은, 각각의 삽입부에 있어 일측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홀과 타측면에 형성되는 돌출테두리에 의해 체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은 직육면체형상의 규격화된 단위블럭을 적층, 조립함으로써 시공현장의 크기 및 범위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 가능하고 범용성이 뛰어나 현장시공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은 단위블럭 간을 연결구에 의해 체결시킴으로써 수밀한 접합부가 제공되며, 관부를 감싸는 몸체부의 피복두께가 작은 경우라도 연결구에 의해 보강이 되어 균열, 국지적 파괴 등 구조적 취약성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은 단위블럭의 내부에 복수 방향의 유로가 교차 형성되는 관부가 구비되어 빗물 저장은 물론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이동이 유도되고, 중량이 경량화되어 운반 및 조립이 용이하며, 구조물 내부에 뼈대구조가 형성되어 종, 횡 방향으로 하중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은 단위블럭의 외각에 외곽틀을 구성함으로써 종, 횡방향 하중에 대한 저항성을 더욱 향상시킴은 물론 단위블럭의 외곽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하여 몸체부에 균열 등 하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빗물저류조 전체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은 단위블럭의 내부에 플라스틱류의 관부를 구성함에 따라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몸체부에 빗물의 저장에 따른 열화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의 일 구성인 단위블럭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의 일 구성인 연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결구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단위블럭과 도 2에 도시된 연결구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의 일 구성인 단위블럭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단면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을 이용한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수직구 구조물 시공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는 도 9에 도시된 수직구 구조물 시공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수직구 구조물 시공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모듈은 내부에 관부(20)가 내재되는 단위블럭(10)과, 상기 단위블럭(10) 간의 접합부를 연결하는 연결구(40)로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위모듈은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종,횡방향으로 강성이 보강된 단위블럭(10)과 단위블럭(10) 간의 접합부를 수밀하게 연결하는 연결구(40)로 이루어짐으로써 이러한 단위모듈의 조립에 의해 빗물저류조가 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우선 단위블럭(10)은 복수 방향의 유로가 교차형성 되는 관부(20)와 상기 관부(20)를 감싸는 몸체부(30)로 구성되어, 복수의 단위블럭(10)을 종횡으로 적층, 조립함으로써 완성되는 빗물저류조는 우천 시 그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을 관부(20)에 흐르게 하여 빗물을 저장시키거나 지반으로 침투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관부(20)는 복수 방향의 유로가 교차 형성되는 것으로, 일례로 상기 관부(20)는 X축의 양음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관(22)과 Y축의 양음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관(24) 및 Z축의 양음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관(26)을 포함하며 이루어지며, 상기 제 1관(22), 제 2관(24) 및 제 3관(26)은 상기 X축, Y축 및 Z축의 원점에서 교차 되어 연통 된다. 이러한 구성에 기해 상기 제 1관(22), 제 2관(24) 및 제 3관(26)의 양단은 상기 몸체부(30)의 외부와 연통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관부(20)는 재료면에서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고, 무게비 강성이 뛰어나며, 자중이 가벼워 시공이 간편한 재생 플라스틱관 또는 강화 플라스틱관 등의 합성수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관부(20)는 섬유보강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섬유보강 플라스틱은 섬유보강수지강화플라스틱이라고도 한다. 보강재로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케블라 라고 하는 방향족 나일론섬유가 사용되고, 상기 유리섬유가 보강된 FRP를 유리섬유 보강 플라스틱(이하, "GFRP"라 칭함.)이라고 한다. 상기 GFRP의 구성재료로서 유리섬유, 열경화성수지 및 모래로 구성되는데, 상기 열경화성수지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에폭시수지, 비닐에스테르수지 등을 사용한다.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는 내열성, 내식성 등의 성능은 여타 열경화성수지에 비해 중간정도이지만 재료가격은 다른 수지에 비해 경제적이며, 비닐에스테르수지는 내식성이 우수한 것으로 시공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상기 유리섬유로 보강하면 큰 강도와 내충격성을 가지는 재료가 된다.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자체는 경질폴리염화비닐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 비해서 강도는 작지만, 유리섬유로 보강하면 그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강도는 커진다.
이와 같이 상기 관부(20)를 내식성이 우수한 플라스틱류의 재질을 사용함에 따라 이하에서 설명할 몸체부(30)에 발생할 수 있는 열화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관부(20)는 외부에 표피층(도면에 도시된 바 없음)이 구성되도록 할 수 있는 바, 상기 관부(20)를 열경화성수지 등 플라스틱재로 구성하되, 그 외주연에 유리섬유가 와인딩 된 표피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역학적인 측면에서 주된 역할을 하는 재료는 유리섬유에 해당하고, 플라스틱재는 상기 유리섬유를 고정시켜주면서 한 개의 유리섬유가 끊어졌을 때 다른 섬유로 하중을 전달하고 또한 그 내주연에 매끄러운 표면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유리섬유는 원주방향(x축 방향)과 축방향(y축 방향)으로 직교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원주방향과 축방향 사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전단에 의한 좌굴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을 것이므로 각각 원주방향에서 20ㅀ~80ㅀ방향으로 유리섬유를 와인딩 하여 4방향으로 유리섬유가 와인딩 되도록 함에 의해 상기 표피층을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본 바와 같이 상기 유리섬유가 역학적으로 주된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작용하중에 따라 상기 관부(20)의 두께를 조절할 필요가 없고, 단지 표피층을 구성하는 상기 유리섬유의 와인딩량, 방향의 조절에 의해 가능하므로 관의 자중을 감소시킬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유리섬유가 와인딩 된 관부(20)를 구성함에 따라 이하에서 설명하는 몸체부(30)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유리섬유의 와인딩에 의해 상기 관부(20)의 표면에 요철이 발생하여 이와 부착되는 몸체부(30)와 부착강도가 증진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구조에 기해 전체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관부(20)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구조적인 특성 및 재질적인 특성에 기해 상기 관부(20)가 내재된 복수의 단위블럭(10)이 조립되는 경우 구조물 전체에 뼈대구조가 형성되도록 하는 바, 이러한 구조에 기해 빗물저류조는 종방향 하중은 물론 횡방향 하중에 대해서도 그 저항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부(20)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예가 도면에 도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제 1관(22), 제 2관(24) 및 제 3관(26)은 조립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조립은 현장 또는 공장에서 조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몸체부(30)는 상기 관부(20)를 내재하여 하나의 단위블럭(10)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렇게 형성된 복수의 상기 단위블럭(10)은 종횡방향으로 적층, 조립되어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1)가 완성되게 된다. 상기 몸체부(30)는 그 재질을 한정하지 않으나,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몸체부(30)는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로 형성되며 몸체부(30)의 각 면에는 상기 관부(20)의 끝단이 외부와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관부(20)가 내재된 몸체부(30)로 구성된 단위블럭(10) 간 조립시에 각 관부(20) 간의 접합부위가 일치할 수 있도록 정밀도와 강성이 우수한 프리캐스트콘크리트 단위블럭(10)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공사규모가 큰 경우는 거푸집을 이용한 현장타설로 제작할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모듈의 조립에 의한 빗물저류조(1)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빗물저류조(1)는 복수의 단위블럭(10)이 종횡으로 적층, 조립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면에 도시 하지는 않았으나 각 단위블럭(10)간에는 상기 연결구(40)에 의해 수밀하면서 구조적 강성이 보강될 수 있도록 연결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종횡방향으로 적층, 조립되어 빗물저류조(1)를 구성하게 되는 복수의 단위블럭(10)은 내부의 관부(20)가 상호간에 연통되어 우천시 빗물이 저류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됨은 물론 다방향으로 빗물이 유동하도록 구성되어 지반으로 침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관부(20)는 빗물을 저류 및 유동케 하는 공간일 뿐 아니라 단위블럭(10)에 발생하는 하중에 의한 압력 또는 수압에 대한 강성을 높여주는 프레임 역할도 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몸체부(30)의 열화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관부(20)는 몸체부(30)에 내재되어 X축의 양음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관(22)과 Y축의 양음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관(24) 및 Z축의 양음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관(26)을 포함하며 이루어지며, 상기 제 1관(22), 제 2관(24) 및 제 3관(26)은 상기 X축, Y축 및 Z축의 원점에서 교차 되는 구조를 갖게 되어 단위블럭(10)을 내부에서 지지하는 즉, 원형 쉘에 압축력이 유도되도록 하는 안정적인 구조가 형성되게 된다. 이는, 관부(20)의 단면이 원형 파이프 구조로 되어있어 단위블럭(10)에 발생하는 하중이 한군데 모이지 않고 분산되는 구조로 되어 응력집중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기 때문이다.
아울러, 단위블럭(10) 간의 결합시 각 관부(20) 간은 상기 연결구(40)에 의해 밀착되어 각 단위블럭(10)에 발생하는 종방향 및 횡방향 하중이 상기 각 관부(20)에 의해 분산될 수 있게 되어 본 발명의 단위모듈의 조립에 따른 빗물저류조(1)는 하중에 대한 강성이 높아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단위모듈의 일 구성인 연결구(40)는 단위블럭(10) 간의 접합부에서 연접하는 관부(20)를 연결하도록 하는 것으로, 가압링(41)과 유격조절구(42)로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상기 가압링(41)은 링형상으로 일단과 타단에 유격이 형성됨에 특징이 있다. 즉 상기 가압링(41)은 링형상으로 일측이 개구되어 일단과 타단에 일정유격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압링(41)은 그 재질을 한정하지는 않으나 탄성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링(41)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압링(41)은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단면이 "T"자형으로 구성되어 연접하는 관부(20) 간에 삽입되는 삽입부(411)와 상기 삽입부(411)와 일체로 형성되며 연접하는 관부(20)의 각각의 내주연을 가압하는 가압부(412)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411)는 상기 가압링(41)의 재질을 탄성재질로 구성하되 연질로 구성하는 경우 가압에 의해 자동적으로 형성되는 구조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가압링(41)의 지질을 탄성재질로 구성하되 경질로 구성하는 경우 턱을 형성하도록 하여 연접하는 관부(20)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부(411)의 끝단이 몸체부(30) 내주연과 접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몸체부(30)의 각면에서 상기 관부(20)의 끝단은 일정 유격이 형성된 상태에서 매립된 형태로 구성되어야 함이 타당하다.
상기 가압부(412)는 상기 삽입부(411)의 끝단에서 플랜지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돌출단이 연접하는 관부(20)의 각각의 내주연을 가압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가압링(41)의 구조를 삽입부(411)와 가압부(412)로 절단면이 "T"자형으로 구성함에 따라 견고하고 수밀한 접합부 구조를 제시하는 것은 물론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위블럭(10)의 접합부에서 몸체부(30), 관부(20) 및 가압링(41)에 의해 전체 단면이 커지는 효과가 있는 바, 관부(20)를 감싸는 몸체부(30)에 있어 피복두께(t)가 작아지는 부분에서 균열, 국지적 파괴 등 구조적 취약지점을 보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단면이차모멘트(I) 또는 단면계수(Z)값을 증가시킴에 의해 구조적 강성이 보강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압링(41)은 일체형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나, 도 2 등에서는 한쌍의 가압링유닛(u)이 결합하여 가압링(41)이 구성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한쌍의 가압링유닛(u)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411)를 형성하는 유닛부분의 단부에 연결단(413)이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한쌍의 가압링유닛(u)을 연결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한쌍의 가압링유닛(u)을 연결단(413)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가압링(41)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은 단위블럭(10)마다 몸체부(30), 관부(20)의 사이즈에 미차가 있을 수 있으며, 시공여건 등에 따라 수직도 조정 등이 필요할 수 있는 바, 한쌍의 가압링유닛(u) 간의 유격을 조절함으로써 보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며, 연결단(413)에 의해 수밀성이 보존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연결단(413)은 탄성재질로 구성하되 연질의 재질로 구성하여 신축이 용이하여 한쌍의 가압링유닛(u)간의 유격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한편 상기 연결구(40)에는 상기 가압링(41)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유격조절구(42)가 구성되어 상기 가압링(41)의 직경을 늘림으로써 단위블럭(10)의 접합부에 상기 가압링(41)의 가압에 의해 수밀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유격조절구(42)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압링(41)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돌출형성 되는 한쌍의 유격바(421)와, 한쌍의 유격바(421)의 각각의 단부에 체결되는 유격조절볼트(423)로 구성된다. 상기 유격바(421)는 단부에 나사산(422)이 구성되는 바, 한쌍의 유격바(421)에 형성된 각각의 나사산(422)은 상호 역방향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유격조절볼트(423)의 내주연에는 상기 나사산(422)과 대응하는 나사골(424)이 구성되는 바, 상기 유격조절볼트(423)의 회전에 기해 상기 유격조절볼트(423)의 내주연에서 한쌍의 유격바(421)는 상호 유격이 조절되는 것이다. 즉 단위블럭(10) 간의 접합부 내주연에 상기 연결구(40)를 안치하고, 상기 유격조절볼트(423)를 회전시킴에 의해 한쌍의 유격바(421) 상호간 유격을 넓힘으로써 상기 가압링(41)의 직경이 커지도록 하여 상기 가압링(41)을 단위블럭(10) 간의 접합부를 가압토록 하는 것이다. 반대로 단위블럭(10) 간을 해체하는 경우도 유격조절볼트(423)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그 해체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압링(41)의 일단과 타단은 개구된 상태이므로 이 부분으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일단과 타단의 일측면으로 몸체부(30) 및 관부(20)에 접하는 일측면에 수밀단(414)을 구성하여 상기 가압링(41)의 일단과 타단이 일측에서 연결되도록 하여야 한다. 여기서 수밀단(414)의 경우도 탄성재질로 구성하되 연질의 재질로 구성하여 신축이 용이하여 상기 가압링(41)의 일단과 타단 간의 유격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연결단(413)과 상기 수밀단(414)은 일체로 구성하되 상기 가압링(41)에 있어 일측면으로 몸체부(30) 및 관부(20)에 접하는 일측면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연질의 재질로 구성하여 종방향(가압링유닛 간) 및 횡방향(가압링의 일단과 타단) 신축이 용이하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에서 언급한 단위모듈들을 조립하여 형성되는 빗물저류조(1)의 외부에 마감재를 처리할 수 있는데, 상기 마감재는 빗물저류조의 외부를 감싸며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침출될 수 있도록 하는 투수형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수형시트는 부직포 등의 재질을 사용하는데, 폐색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지반분류에 따라 부직포의 입경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폐색현상이란 흙입자가 흙모체로부터 이탈한 후 부직포의 간극내 유체의 흐름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지다가 부직포의 간극을 메우게 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부직포의 통수능을 감소시켜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이 지반으로 침출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반분류에 따라 부직포의 입경을 조절하여 사용함이 타당하다. 상기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투수형시트는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이 지반으로 침출되도록 하는 기능에 더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빗물저류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마감재는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침출될 수 없도록 하는 차수형시트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차수형시트는 EDPM 재질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의 지반 유출 및 외부이물질이 빗물저류조의 내부로의 유입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차수형시트를 마감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의 외부유출을 위해 별도의 배수관 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마감재에 따라 투수형시트를 빗물저류조의 외부에 설치하여 빗물이 지반으로 침출될 수 있도록 구성(이하, 침투형이라함.)할 수 있으며, 빗물의 지반으로의 침출을 차단하고, 상기 저장된 빗물을 타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 빗물저류조의 외부를 차수형시트로 감싸서 빗물을 상기 빗물저류조에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이하, 차수형이라함.)할 수 있는데, 상기 차수형시트는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유출됨이 없으므로 빗물의 압력 등에 의해 차수형시트가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상기 차수형시트의 내, 외부로 보호용으로 투수용시트를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침투형과 상기 차수형을 병용하여 구성(이하, 병용형이라함.)할 수 있다.
우선 침투형의 경우 상기 단위모듈을 조립하여 형성된 빗물저류조가 지하로 매립되며, 상기 빗물저류조의 외부에 상기 투수형시트가 시공된다. 상기 빗물저류조의 상부에는 지상과 관통하는 점검구가 하나 이상 구성되며, 상기 점검구의 구성에 의해 사후적으로 상기 빗물저류조 내부를 점검하여 침전된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경우는 로버트형 카메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침투형에 의해 빗물이 저장, 침출되는 과정을 보면 건물 등에 흐르는 빗물이 유입관을 통해 빗물저류조로 유입되며 이렇게 유입되는 빗물은 빗물저류조의 최 외곽에 조립된 단위블럭(10)에 내재된 관부(20)를 통해 지반으로 빗물이 침출되어 빗물이 빗물저류조를 범람하여 홍수 등을 유발시킴을 사전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침투형은 골프장, 운동장 등 빗물의 저장보다는 빗물을 지반으로의 침출이 중요한 경우에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저장형의 경우도 상기 단위모듈을 조립하여 형성된 빗물저류조가 지하로 매립되며, 상기 빗물저류조의 측면과 밑면에 상기 차수형시트가 시공되며, 상기 차수형시트의 내,외부로 투수형시트를 보호용으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저장형은 상기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을 이용하는데 주목적이 있으므로 배수관이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저장형에 의해 빗물이 저장, 침출되는 과정을 보면 유입관을 통해 빗물이 빗물저류조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빗물은 빗물저류조의 측면 및 밑면이 상기 차수형시트에 의해 감싸지므로 빗물이 지반으로 침출되지 않고, 다만, 상면에 침투형시트가 설치되므로 상면을 통해서만 상기 빗물저류조를 범람하는 빗물이 침출된다. 상기와 같이 빗물의 침출이 없으므로 상기 차수형시트에 빗물의 압력이 작용하여 하자를 유발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차수형시트의 안,팍으로 보호용으로 상기 투수형시트을 설치하여 시트의 찢김 등에 의한 빗물의 침출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은 배수관을 통해 다양한 목적에 사용토록 배출되는 것이다. 이렇게 저장된 빗물은 식수, 방화용 등 적절한 용도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저장형의 경우도 점검구를 통해 빗물저류조에 빗물의 저장상태나, 내부하자 유무 점검 및 저장된 빗물로부터 걸어진 이물질의 제거를 할 수 있다.
상기 병용형은 상기 침투형과 상기 저장형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으로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위블럭(10)의 다른 실시 예를 제시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단위블럭(10)의 내부에 관부(20)는 물론 이에 더하여 외곽틀(50)이 형성된 예가 제시되는 것이다.
상기 외곽틀(50)은 상기 몸체부(30)의 각각 모서리를 지지하는 지지테두리(51)가 구성되며, 각각 제 1관(22), 제 2관(24), 제 3관(26)의 양단과 접하는 지지링(52)과, 상기 지지테두리(51)와 상기 지지링(52)을 연결하는 연결바(53)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테두리(51)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ㄱ"자로 절곡된 형상으로 상기 몸체부(30)의 각각 모서리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지지테두리(51)가 상기 몸체부(30)의 각 모서리에 구성됨에 따라 피복두께(관부와 모서리 사이 거리)가 작은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균열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즉 저장유량을 크게 하기 위해 상기 관부(20)의 직경을 크게 하는 경우 피복두께가 작아져서 구조적으로 취약포인트가 되는 것을 상기 지지테두리(51)의 구성에 의해 이를 보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테두리(51)는 상기 몸체부(30)의 각 모서리에 상호 연결(일체 또는 조립)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각 단위블럭(10)에서 각 관부(20)와 함께 뼈대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하여 구조적 강성을 더욱 보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테두리(51) 간의 상호 연결은 상기 연결바(53) 및 상기 지지링(52)에 의해서 더욱 견고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링(52)이 더 구성되는 이유는 관부(2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몸체부(30)를 제조함에 있어 제조상의 오차 등에 의해 관부(20)가 틀어지거나 몸체부(30) 내부로 함몰, 외부로 노출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지지링(52)이 더 구성됨으로써 현장타설 또는 공장제작시 몸체부(30)에서 상기 관부(20)가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하여 단위블럭(10)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외각틀(50)이 더 구성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몸체부(30)의 5개의 면에 구성되는 지지테두리(51) 간은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1개의 면에 구성되는 지지테두리(51)만을 별도로 구성하여, 관부(20)와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8a 내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언급한 단위모듈을 이용한 빗물저류조의 시공방법(이하, "시공방법"이라함)에 대해서도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터파기 단계(S10); 상기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을 이용하여 중앙부에 중앙조립체를 시공하는 단계(S20); 상기 중앙조립체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수직구 구조물 및 지보재를 시공하는 단계(S30); 상기 중앙조립체와 수직구 구조물 사이에 상기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을 이용하여 외각조립체를 시공하는 단계(S40); 마무리 시공을 하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단위모듈을 1,2차에 걸친 시공을 하도록 함에 특징이 있는 바, 우선 도 8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 단위모듈을 적층, 조립하여 중앙조립체(1-1)를 시공하는 단계(S20)를 갖는다. 이 경우 굴착된 지반의 측부는 자연토사에 해당하여 중앙부는 토압에 대한 영향이 없는 바, 우선 상기 단위모듈을 적층, 조립하여 중앙조립체(1-1)를 시공한다.
그 다음으로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앙조립체(1-1)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수직구 구조물(2) 및 지보재(g)를 시공하는 단계(S30)를 갖는다. 이 경우 수직구 구조물(2)과 중앙조립체(1-1) 사이에만 지보재(g)를 설치하면 되므로 사용 지보재(g)의 양을 줄일 수 있으며, 지보재(g)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지보재(g)의 직경을 작게 하여도 충분한 바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지보재(g)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해체가 용이하고, 시공안전면에서도 유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중앙조립체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수직구 구조물 및 지보재를 시공하는 단계(S30)에는, 수직구 구조물 시공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수직구 구조물 시공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수직구 구조물 시공장치(100)는 지반에 삽입.고정되는 앵커(111)와 상기 앵커(111)와 연결되는 인장재(112)로 구성되는 앵커부(110)와 내부에 상기 인장재(112)가 관통하는 관통공(121)과, 하단부에 하향으로 좁아드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삽입단(122)과 상기 삽입단(122)의 상부에서 일체로 형성되며 평활면을 구성하는 몸체(123)로 구성되는 삽입부(120)와 상기 삽입부(120)의 상면에 접하면서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인장재(112)와 연결되어 상기 삽입부(120)에 하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유압잭을 포함한 관입부(130)로 구성된다.
즉, 시공될 수직구 구조물의 하부지반에 앵커링 되는 앵커부(110)와 수직구가 될 지반의 외측 테두리에 삽입되어 지반변형을 방지하는 삽입부(120)와 앵커부(110)의 인장재(112)를 긴장함과 동시에 그 반력으로 상기 삽입부(120)를 지반에 삽입하도록 하는 관입부(130)로 구성되어 지반변형을 방지한 후에 지반을 굴착 및 구조물 벽체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어 수직구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과 시공경제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앵커부(110)는 시공될 수직구 구조물의 하부지반에 삽입.고정되는 앵커(111)와 상기 앵커(111)에 연결되어 삽입부(120)를 관통하여 관입부(130)에 연결되도록 하는 인장재(112)로 구성된다. 상기 앵커(111)는 어스앵커 등 공지의 구성을 사용하면 무방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인장재(112)의 경우도 강연선 등 공지의 구성을 사용하면 무방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앵커부(111)는 시공될 수직구 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복수개가 앵커링 되는 것이다. 이렇게 앵커(111)가 지반에 삽입.고정되고, 이와 연결된 인장재(112)가 이하에서 설명할 삽입부(120)를 잡아줌으로서 삽입부(120) 외측에서 작용하는 토압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부(120)는 내부에 상기 인장재(112)가 관통하는 관통공(121)이 형성되며, 측단으로 보는 형상은 하단부에 하향으로 좁아드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삽입단(122)과, 상기 삽입단(122)의 상부에서 일체로 형성되며 평활면을 형성하는 몸체(123)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단(122)은 그 외측이 상기 몸체(123)의 외측과 연하도록 구성되며 내측은 경사면을 형성한다. 여기서 "외측"은 삽입부(120)가 지반에 삽입되어 지반을 지지하는 방향이고, "내측"은 삽입부(120)가 삽입 후 지반을 굴착하는 방향을 말한다. 또한 상기 몸체(123)의 상면에는 지지판(126)이 돌출 형성되는 바, 상기 지지판(126)의 외측은 상기 삽입단(122) 및 상기 몸체(123)의 외측과 연하도록 구성되고 내측은 상기 관입부(130)가 위치하며 상기 관입부(130) 상부에 안치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40)를 외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40)가 조립됨에 의해 수직구 구조물(2)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관입부(130)는 상부판(133), 하부판(132) 및 상부판(133)과 하부판(132)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압잭(131)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판(132)은 상기 몸체(123)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유압잭(131)은 상기 관통공(121)을 관통하는 인장재(112)와 연결된다. 이렇게 상기 인장재(112)가 상기 유압잭(131)과 연결됨으로서 상기 유압잭(131)의 작용에 기해 상기 인장재(112)를 긴장하게 되면 인장재(112)는 지반에 앵커링 된 앵커(111)에 의해 고정되므로 긴장력에 대한 반력이 작용하게 되는 바, 이러한 반력은 상기 하부판(132)을 통해 상기 삽입부(120)에 전달됨으로서 상기 삽입부(120)는 지반에 삽입이 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판(133)에는 상기 삽입부(120)가 삽입된 후에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40)가 안치되는 것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시공중 상기 상부판(133)에 세그먼트(140)가 적층됨에 따라 유압잭(131)의 작용없이 세그먼트(14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삽입단(122)이 지중에 관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지하 수직구 구조물 시공장치(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수직구 구조물의 형상에 맞게 상기 삽입부(12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형상변경의 용이.수직보정의 용이성 등을 위해 본 발명의 수직구 구조물 시공장치(100)는 유닛화 하여 각각의 유닛(a)마다 앵커부(110), 삽입부(120) 및 관입부(130)가 구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유닛(a)간은 삽입부(120) 간에 체결을 통해 수직구 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변형을 줄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삽입부(120)의 측면간을 연동이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구조가 제시되는 바, 이를 위해서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120)의 양측면에 각각 슬라이드홀(124)과 타 유닛(a) 삽입부(120)의 슬라이드홀(124)에 삽입 상.하 슬라이드 연동 및 횡방향 힌지연동이 가능하도록 돌출테두리(125)가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홀(124)과 돌출테두리(125)는 상기 삽입부(120)의 측면으로 지지판(126), 몸체(123) 및 삽입단(122)까지 연하도록 구성되되 삽입부(120)의 하면에서 일정유격까지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각각의 유닛(a)을 형성하는 삽입부(120)의 하단부가 돌출됨이 없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유닛(a)간 단계적으로 삽입시 각각의 유닛(a)에 있어 삽입부(120)의 끝단을 맞춤으로서 삽입부(120)에 안치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40) 간에도 높이차가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홀(124)은 상면이 개구되도록 하여야 하는 바, 이는 이와 대향하는 돌출테두리(125)를 상기 슬라이드홀(124)의 개구된 상면을 통하여 삽입.슬라이드 시킴으로서 삽입부(120) 간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본 발명의 수직구 구조물 시공장치는 유닛(a)간을 삽입부(120)의 슬라이드홀(124)과 돌출테두리(125)에 의해 체결시킴으로서 상.하 슬라이드 연동 및 횡방향 힌지연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횡방향 힌지연동에 의해서 시공될 수직구 구조물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직구 구조물 시공장치(100)는 상.하 슬라이드 연동이 가능함으로서 복수의 유닛(a)으로 수직구 구조물 시공장치(100)를 구성하는 경우 횡방향으로 순차적인 각 유닛(a)에 있어 삽입부(120)의 삽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횡방향으로 순차적인 삽입에 의해 수직구에 있어 연직도 보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삽입부(120)외측에서 작용하는 토압을 순차적으로 수용함으로서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앵커부(110)에 의한 지반에 앵커링 후에 관입부(130)의 작용에 기해 삽입부(120)를 지반의 소정심도까지 삽입 후에는 삽입부(120)의 내측의 지반을 굴착하고, 이러한 굴착후에는 수직구 구조물의 벽체를 구성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40)를 상기 관입부(130)의 상부판(133) 및 상기 삽입부(120)의 지지판(126)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안치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40) 간을 내측에서 지지하도록 지보재(g)를 설치하여 수직구 구조물의 벽체를 시공하게 된다. 여기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40)는 콘크리트,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이 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세그먼트에 의해 한층의 벽체가 구성되고, 이러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40)를 계속적으로 조립함에 의해 수직구 구조물(2)이 완성되는 것이다.
결국 수직구의 굴착과 동시에 별도의 가시설 없이 수직구 구조물의 벽체를 시공할 수 있어 시공절차의 단순화와 횡방향.종방향으로 순차적인 삽입 및 굴착에 의해 연직도를 보정하기가 용이하고, 지반변형을 방지한 후에 굴착이 이루어짐으로서 수직구 구조물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상기 도 8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앙조립체(1-1)와 수직구 구조물(2) 사이에 단위블럭(10)을 적층, 조립하여 외각조립체(1-2)를 시공하는 단계(S40)를 갖는다. 즉 중앙조립체(1-1)와 수직구 구조물(2) 사이에 외각조립체(1-2)를 시공하여 전체 빗물저류조(1)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하부에서부터 지보재(g)를 제거하면서 상기 단위블럭(10)을 적층, 조립하게 되는 바, 기 시공된 중앙조립체(1-1)에 의해서 상기 수직구 구조물(2)로부터의 토압이 지지되므로 전체 구조물의 안정화를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8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무리 시공을 하는 단계(S30)를 갖는 바, 본 단계에서는 수직구 구조물(2)을 제거하고, 전체 빗물저류조를 매립하여 시공을 완성하는 것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 수직구 구조물(2)과 완성된 빗물저류조(1) 사이에 모래 등 충진제를 충진한 후에 매립을 함으로써 시공을 완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빗물저류조 10 : 단위블럭
20 : 관부 30 : 몸체부
40 : 연결구 50 : 외곽틀
100 : 수직구구조물 시공장치

Claims (11)

  1. 복수 방향의 유로가 교차 형성되는 관부, 상기 관부를 감싸는 몸체부로 구성되는 단위블럭;
    단위블럭 간의 접합부에서 연접하는 관부를 연결하되, 링형상으로 일단과 타단에 유격이 형성된 가압링과, 상기 가압링의 일단과 타단에 구성되어 일단과 타단의 유격을 조절하는 유격조절구로 구성되는 연결구;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육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관부는 X축의 양음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관, Y축의 양음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관 및 Z축의 양음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 1관, 제 2관 및 제 3관은 상기 X축, Y축 및 Z축의 원점에서 교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은,
    절단면이 "T"자형으로 구성되어 연접하는 관부 간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연접하는 관부의 각각의 내주연을 가압하는 가압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은 한쌍의 가압링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링유닛 간은 상기 삽입부를 형성하는 유닛부분의 단부에 연결단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의 삽입부의 끝단에서 수밀단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조절구는,
    상기 가압링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되며 대향하는 각각의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한쌍의 유격바와, 한쌍의 유격바의 단부에 체결되며 내부에 나사골이 형성된 유격조절볼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각각 모서리에는 지지테두리가 형성되는 외각틀이 구성되되, 상기 외각틀은 상기 지지테두리와, 각각 제 1관, 제 2관, 제 3관의 양단과 접하는 지지링과, 상기 지지테두리와 상기 지지링을 연결하는 연결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
  8. 터파기 단계(S10);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을 이용하여 중앙부에 중앙조립체를 시공하는 단계(S20);
    상기 중앙조립체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수직구 구조물 및 지보재를 시공하는 단계(S30);
    상기 중앙조립체와 수직구 구조물 사이에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을 이용하여 외각조립체를 시공하는 단계(S40);
    마무리 시공을 하는 단계(S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을 이용한 빗물저류조 시공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조립체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수직구 구조물 및 지보재를 시공하는 단계(S30)에는,
    지반에 삽입.고정되는 앵커와 상기 앵커와 연결되는 인장재로 구성되는 앵커부; 내부에 상기 인장재가 관통하는 관통공과, 하단부에 하향으로 좁아드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삽입단과 상기 삽입단의 상부에서 일체로 형성되며 평활면을 구성하는 몸체로 구성되는 삽입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접하면서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인장재와 연결되어 상기 삽입부에 하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유압잭을 포함한 관입부;로 구성되는 수직구 구조물 시공장치를 이용하여 수직구 구조물을 시공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을 이용한 빗물저류조 시공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 구조물 시공장치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되되, 각각의 유닛은 상기 앵커부, 상기 삽입부, 상기 관입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을 이용한 빗물저류조 시공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각각의 삽입부에 있어 일측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홀과 타측면에 형성되는 돌출테두리에 의해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을 이용한 빗물저류조 시공방법.
KR1020120089174A 2012-08-14 2012-08-14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빗물저류조 시공방법 KR101411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174A KR101411989B1 (ko) 2012-08-14 2012-08-14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빗물저류조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174A KR101411989B1 (ko) 2012-08-14 2012-08-14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빗물저류조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702A true KR20140022702A (ko) 2014-02-25
KR101411989B1 KR101411989B1 (ko) 2014-06-25

Family

ID=50268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174A KR101411989B1 (ko) 2012-08-14 2012-08-14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빗물저류조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9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286B1 (ko) 2015-05-29 2018-07-16 박지운 분할 조립형 pc 블록을 갖는 빗물 저류조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
KR102136256B1 (ko) 2018-07-09 2020-07-21 조영철 탑다운 공법을 이용한 빗물저류조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2044A (ja) * 1996-03-11 1997-09-16 Akira Kashiwazaki 中空消波ブロック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ブロックに用いるバーリング窓を有する筒体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中空消波ブロック形成用枠型
KR20110081561A (ko) * 2010-01-08 2011-07-14 남효근 소켓 일체형 관 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13596B1 (ko) * 2010-05-24 2011-02-14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블록형 우수 저류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1989B1 (ko)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93002B (zh) 一种古建筑木结构梁柱体系房屋复合加固方法
CN103850363B (zh) 预制通孔装配式钢筋混凝土剪力墙的施工方法
KR10122366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관개용수로 및 이 시공방법
CN106150547A (zh) 一种铁路隧道底部预制装配式排水***
KR100663793B1 (ko)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101120477B1 (ko)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KR101411989B1 (ko)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빗물저류조 시공방법
KR101006411B1 (ko) Cft 기둥을 이용한 철골조 역타설 시스템 및 방법
CN219548919U (zh) 拼装衬砌式压缩气体储能库
KR100736157B1 (ko)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JP4993502B2 (ja) 雨水貯留システムおよびドレンユニット
KR101950953B1 (ko) 프레임 전단벽 내진 보강구조
KR101676997B1 (ko) 캡 모듈, 옹벽 및 그 시공 공법
KR200403791Y1 (ko)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KR101388870B1 (ko)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KR101263996B1 (ko) 복합재질로 구성된 하수맨홀의 하부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17437B1 (ko) 구조물 축조용 블록, 부재강결장치 및 그를 이용하여 축조된 빗물저류조
CN212376139U (zh) 一种用于支撑室外混凝土平台的树形三叉钢管柱
KR100643638B1 (ko) 철망을 이용한 탑다운 공법용 역타 주입관
KR20140022703A (ko) 삼축방향 튜브형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3278193A (ja) 地下貯水槽
KR101525778B1 (ko) 조립식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20122344A (ko)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KR101277086B1 (ko) 조립식 우수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518433B1 (ko) 부재조립형 빗물 저류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