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086B1 - 조립식 우수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우수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086B1
KR101277086B1 KR1020120121244A KR20120121244A KR101277086B1 KR 101277086 B1 KR101277086 B1 KR 101277086B1 KR 1020120121244 A KR1020120121244 A KR 1020120121244A KR 20120121244 A KR20120121244 A KR 20120121244A KR 101277086 B1 KR101277086 B1 KR 101277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illar block
shaped
pillar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길
에이치아이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길, 에이치아이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길
Priority to KR1020120121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0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재해 저감기술의 일원으로서 집중호우 시 침수방지를 위한 시설물의 일종인 조립식 우수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장방형 기둥과 판재형 마감블럭으로 형성되어 운반이 용이하고 최소의 형틀로 다양하게 현장에 적용할 수 있어 보다 경제적인 우수저류조의 제공에 관한 기술과 더불어 각 요소별 기둥의 상부에 형성된 요부에 의해 조립 시공 시 가이드라인의 제공에 따른 시공의 편리성 제공과 요부에 의해 시공 시 상부블럭의 전도, 추락 방지가 가능하여 시공시 안정성도 향상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콘크리트 구체는 대형구조체일 경우 구체의 치수오차에 의한 조립시공 시 많은 어려움이 내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제반문제 해소를 위해 상부연설 일단면 양측면을 철재지그에 의한 어느 정도의 치수편차를 허용함으로써 시공에 대한 편리성을 극대화 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재료의 사용면에서 종래의 기술은 중첩되어 시설되는 관계로 자재의 낭비 및 우수저류용량의 감소 등으로 불필요한 시설비가 증가되었으나, 핵심적인 기둥과 판재 형상으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보다 경제적인 우수저류조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우수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우수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FABRICATION RAIN WATER MANHOLE AND THE METHOD OF CONSTRUCTION}
본 발명은 집중호우 및 홍수 시 침수우려 지역에 설치되는 조립식 우수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으로서, 계획 우수물량에 따른 폭과 넓이가 자유롭게 조립되며 운반이 용이하고, 시공이 간편함은 물론 보다 경제적인 우수저류조의 제공에 따른 상습침수지역의 침수 방지와 우수의 재활용이 가능한 우수의 저류시설로서 외부기둥블럭, 코너기둥블럭, 중간기둥블럭, 상부연결블럭, 마감블럭으로 구성 조립 되어지며 각 기둥블럭의 상부에 형성된 요홈에 의해 시공가이드 라인의 제공에 따른 시공성 향상과 별도의 연결부재에 의한 치수의 허용성을 극대화하여 대형 조립식 PC부재의 변형치수에 의한 시공문제를 해결하고 가설상태에서의 안정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이상기후에 의한 국지성 소나기 및 태풍 등으로 기존 설계 강우량 이상의 폭우로 인한 침수 피해와 제방의 붕괴 등 각종 자연재해의 피해가 빈번히 발행되고 있다. 그 방호책의 일환으로 해외 선진국들은 수십 년 전부터 지하저류조의 설치로 홍수 시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는 시설을 통하여 자연재해 저감을 위한 각종 구조물들을 설치보급하고 있다. 국내에는 수년전부터 홍수저감 시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급부상되며 최근 3~5종의 시설물이 국내에 설치,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은 BOX형, 거더형, cell형, 하프PC형, 등의 기술이 제공되고 있으나, 구조적 특성상 운반이 어려우며 또한 대형구조물로서 안정성이 우려되는가 하면 불필요한 부재의 연설로 경제성에 많은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대형구조물로서 시공에도 많은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 10-0582121은 BOX형 구조체에 판재의 중첩사용에 관한 기술로 내부의 유량확보는 기존의 박스형상보다는 유리하나 이 구조체로는 현장여건에 따른 높이의 제한으로 제한된 지역에 시공되어짐으로써 대량의 용량 확보에는 한계가 있으며 제조 운반에도 많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시공성이 향상되고, 안전하며, 경제적인 우수저류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더 구체적인 종래의 기술들을 설명하면, 대한민국 특허 제0938223호는 스탠드블럭과 상단블럭, 하부블럭, 측면블럭으로 구성된 우수저류조로서 블럭의 하단에 미세 위치조절이 가능한 미끄럼판과 높이조절이 용이한 볼트를 이용한 우수저류조에 관한 기술이나 저류조 내부에 설치된 많은 칸막이 벽체에 의해 경제성에 취약한 구조를 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10-0485742는 박스형 구조체를 특징으로 하며 필터 시스템이 특징으로 하나, 시공 시 박스형 구조체에 의한 불필요한 콘크리트벽체가 다량 적용되어 비경제적이며, 또한, 구조적으로 일체화된 형상으로 구체의 높이가 3.5M이상 제조시 운반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그리고 일본 공개특허 특개 평 6-272291는 4각의 주 기둥 위에 상판부재를 연설하는 공법에 관한 기술로서 지형에 따른 시공성은 우수하나 박스형 구조체로서 운반에 따른 크기의 제약을 받을 수 있는 구조체이며 4각기둥의 연설에 의한 비경제적 요소가 내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 평 6-272289는 일본 특개 평 6-272291의 개량특허로서 현장 여건에 따라 구체의 높이를 높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개량 고안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기존의 BOX형태와 마감블럭을 ㄷ자형으로 이등분 한 후 운반, 설치가 가능하도록 고안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 강우량의 증대에 따른 우수저류물량이 보다 더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에 구조적 제한으로 시공성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일본 특허 특개 평 6-299591은 ㄷ형, I형, 코너형 등으로 조립되어지는 우수저류조로서 다양한 부속물에 의해 운반과 보관의 편리성이 우수하며, 시공비가 저렴하고 작업성이 좋으며 좌우 양방향의 수평 내력 등이 구조학적으로 우수한 우수저류조의 제공에 관한 기술이다. 복잡한 부속물에 의한 초기투자비용의 증대와 유지관리비 증가 및 초대형 구조체의 제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특개 평 8-41958은 서로 마주보는 ㄷ형 구체의 상부에 상부 슬래브를 거치하고 바닥면은 중간연결부에 의해 조립하여 BOX형 구체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어느 정도의 폭과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나 대용량 저류시설 제공시 제한된 폭과 높이에 따른 기술제공에 한계가 내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특개 2005-320845는 여러개의 바닥판넬과 천정판넬, 벽체판넬, 원형기둥을 이용하여 적층 시키는 구조체로서 요홈을 이용하여 조립하고 판넬사이의 누수방지용 패킹을 삽입하여 차수성을 향상시킨 저류조에 관한 기술이며, 일본 특허 2012-57442는 토압에 대하여 이방성이 적으며 제조비용도 저렴한 구조체로서 우수를 저류 또는 지중에 침투시키는 등을 위한 우수저류조로서 충적식 구조체에 관한 기술이며, 일본 특허 10-331240은 구체의 공극률이 높은 우수저류층 구성부재 및 이를 이용한 우수의 지하 환원율을 높이는 우수침투시설 제공이 가능한 구조체로서 매립 후 사람과 차량의 압축하중에도 내구성이 있는 투수성 중공체로 그 공극률이 50~80%가 특징인 우수저류조에 관한 사항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 중 가장 문제시되는 대형구조체로서 운반이 불가능한 것과 내부면에 설치되는 구체들의 중첩으로 인한 비경제적 문제점 발생과 구조적 특성상 제한된 높이로 설치되어 많은 양의 토지면적 확보가 필요로 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한 기술이다.
기술되지는 않았지만, 또 다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현장여건에 따라 시공이 가능하며, 운반이 원활하고 내부 저류공간을 극대화시켜 경제성이 탁월한 우수저류조의 제공에 관한 기술로서, 외부기둥블럭, 코너기둥블럭, 중간기둥블럭, 상부연결블럭, 마감블럭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기둥블럭, 코너기둥블럭, 중간기둥블럭의 상부면에는 각 구성원에 따라 연설되는 상부연결블럭과의 원활시공과 안정적 조립을 위한 ㅜ형, 十형, ㄱ형 등의 요부(凹)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연결블럭의 양쪽 끝단부에는 철재 연결부재가 매립되어 대형 조립식 구조체에서 치수 변화에 의한 조립이 불가능한 것을 사전에 해소함으로써 시공성이 향상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기둥형과 판재형으로 구성되어 수송이 가능하고 현장여건에 따라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체의 제공으로 시공성이 향상되었으며, 내부 우수저류량의 극대화로 적은양의 구조체 제공으로 많은 양의 우수의 저류가 가능하며, 내부 공간의 확보를 통한 유지관리비가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종래의 기술적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가 가능한 콘크리트 조립식 우수저류조의 제공을 목적으로 창안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립식 구조체로서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기둥블럭은 상부에 T형상으로 이루어진 T형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T형요부에는 상부연결블럭의 일단면이 연설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단부에는 기초콘크리트에 매설된 철재 앙카볼트에 의해 고정이 가능하도록 볼트 연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면에는 판넬형 판재의 연설이 가능하도록 인서트형 너트가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코너기둥블럭은 저류조의 각 코너에 설치되는 구조체로서 코너블럭의 상부면에는 ㄱ형상으로 이루어진 ㄱ형요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ㄱ형 요부에는 상부연결블럭이 연설이 가능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하단부에는 기초 콘크리트면에 매설된 철재 앙카볼트에 의해 고정이 가능하도록 볼트연결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면에는 판넬형 마감블럭이 연설 가능하도록 인서트너트가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중간기둥블럭은 설치하고자 하는 우수저류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둥블럭으로서 중간기둥블럭의 상부면에는 十형으로 이루어진 十형요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十형요부에는 상부연결블럭이 연설이 가능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연결블럭의 하단부에는 기초콘크리트에 매설된 철재 앙카볼트에 의해 고정이 가능하도록 볼트연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기둥과 기둥을 고정하고 상부에 설치되는 마감블럭의 연설이 가능하도록 상부연결블럭이 제공되며 상기 상부연결블럭은 양쪽 끝단면에 철재 판재 또는 환봉이 연결되어 있으며 각 기둥의 상부에 형성된 T형요부, ㄱ형요부, 十형요부에 설치되어 각 기둥을 고정하여 상부연결블럭과의 연설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우수저류조의 외부면과 상부면에는 기 설치된 외부기둥블럭, 코너기둥블럭, 중간기둥블럭, 상부연결블럭의 외면에는 판재형상의 마감블럭이 설치되는데, 상기 마감블럭의 외면에는 2개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는 내구성 증진을 위한 보강용 돌출부이다. 동시에 전체 시공 후 돌출부의 내부에 형성된 원형 홈으로 철재 고장력 강선을 연설하고 인장시켜 전체 구조물의 조립성능 향상을 위해 제공된 기술이며, 종래의 기술들은 본 강선 연결구를 본체의 일단면에 설치하여 시공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장기적으로 구체의 균열발생의 원인제공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은 외부에 철재 고장력 강선의 연설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함으로, 장기적 안정성 확보가 가능하도록 창안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감블럭의 양쪽면에는 각 기둥블럭과 연설이 가능하도록 볼트 연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요부와 철부가 형성되어 누수방지 또는 시공성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제공되며, 상기 요부의 일단면에는 수압에 의해 누수방지를 위한 지수재 등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그 시공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우수저류조의 기초 공에 각 기둥블럭이 연설될 위치에 고정용 앙카볼트가 설치되며 그 앙카볼트 위에 외부기둥블럭, 코너기둥블럭, 중간기둥블럭이 설치되고, 상부에 각각 형성된 T형요부, ㄱ형요부, 十형요부에 상부연결블럭이 연설된다. 이때 상기 T형요부, ㄱ형요부, 十형요부에 T형지그, ㄱ형지그, 十형지그를 삽입하여 상부연결블럭의 양쪽 끝단부에 형성된 철재판재 또는 환봉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킨 후, 그 잔여공간인 T형요부, ㄱ형요부, 十형요부에 몰탈로 마무리 하는 것으로, 상부연결블럭의 양쪽 끝단부에 형성된 철재판재 또는 환봉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는 어느 정도의 치수변화에도 조립이 가능하도록 창안한 것이다. 이것은 종래의 대형구조물들은 치수 오차에 따른 조립이 불가능한 구조로서 시공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 제공을 통한 치수오차에 의해 종래에 시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해소되도록 창안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공된 기술로 조립되어진 각 기둥 및 상부연결블럭 위에 마지막으로 외부마감블럭이 설치되고, 외부마감블럭의 설치 후 외부마감블럭의 외면에 설치된 두 개 이상의 돌출부 내부의 강선 연결부를 통하여 고강도 강선으로 인장시켜 전체구체의 안정성이 배가 되도록 하였다.
또한, 외부마감블럭의 일단면은 외부로부터 우수의 유입이 가능한 유입구 또는 배출구, 환기구, 전력공급구, 차량진입구 등 현장여건에 따라 다양한 기능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창안하였다. 이상과 같이 조립된 후 구체의 수밀성 증대를 위한 각종 지수재나 코팅제의 설치가 가능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누수차단을 위한 부가시설을 완료 마무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저류조를 설치함에 있어서 종래의 BOX형이 내재된 문제점인 높이의 제약을 해결하기 위하여 장방형 기둥형상의 제공을 통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저류조의 내부에 설치된 각종 기둥 및 판재의 중첩설치로 비경제적 문제점 발생해소와 종래의 우수저류조의 내부에 적용된 중첩된 판재들로 인한 우수저류량의 용량감소 문제를 해소하여 단위용적대비 우수저류량의 극대화가 가능하여 최소설비로 인한 최대 저류가 가능하도록 하고, 또 내부청소 등의 유지관리를 위한 대형장비의 진, 출입이 가능하게 하여 유지관리의 편리성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시 종래의 기술들은 치수편차에 의한 시공상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나, 본 발명은 별도의 지그를 이용하여 치수편차에 의한 시공문제를 해소하였으며, 각 기둥블럭의 상부에 형성된 요부를 이용하여 시공 시 상부구체의 전도 또는 추락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여, 종래의 우수저류조의 조립설치시 안정성 문제점을 해소하고 제한된 공간에 따라 다양한 시공이 가능한 우수저류조의 제공을 통한 보다 경제적인 우수저류조로서 기능충족은 물론이거니와 안정성이 확보되었으며, 외부강선 연설 방식에 의한 장기 내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저류조의 설치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기둥블럭으로, 도 2a는 외부기둥블럭 측면도, 도 2b는 외부기둥블럭 정면도, 도 2c는 외부기둥블럭 정면사시도, 도 2d는 외부기둥블럭 후면도, 도 2e는 외부기둥블럭 후면 사시도, 도 2f는 외부기둥블럭의 상부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기둥블럭으로, 도 3a는 중간기둥블럭의 정면도, 도 3b는 중간기둥블럭의 측면도(좌:우 대칭), 도 3c는 중간기둥블럭의 사시도, 도 3d는 중간기둥블럭의 상부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기둥블럭으로, 도 4a는 코너기둥블럭의 정면도, 도 4b는 코너기둥블럭의 후면도, 도 4c는 코너기둥블럭의 사시도, 도 4d는 코너기둥블럭의 상부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연결블럭으로, 도 5a는 상부연결블럭 평면도, 도 5b는 상부연결블럭 좌(우) 측면도, 도 5c는 상부연결블럭 정면도, 도 5d는 상부연결블럭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블럭으로, 도 6a는 마감블럭의 정면도, 도 6b는 마감블럭의 평면도, 도 6c는 마감블럭의 측면도(좌,우 대칭), 도 6d는 마감블럭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각 기둥연결블록을 나타낸 상세도로, 도 7a는 중간기둥블럭 연결부의 상세도, 도 7b는 외부기둥블럭 연결부의 상세도, 도 7c는 코너기둥블럭 연결부의 상세도, 7d는 연결부의 잔여공간을 몰탈로 마무리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저류조의 조립 평면도이며, (8a)는 중간기둥블럭 설치예시도, (8b)는 외부기둥블럭 설치예시도, (8c)는 코너기둥블럭 설치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저류조의 조립 정면도 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저류조의 조립 사시도 예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각 기둥블럭의 하단부를 기초에 연결한 상세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저류조(1)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우수저류조(1)를 구성하는 마감블럭(14)의 상부면과 측면에 우수유입구(30)와 우수유출구(20)를 도시한 예의 조립도 예로서 현장여건에 따라 차량 진입구 등 추가로 부대시설의 연설이 가능한 구조이다.
도 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수저류조(1)의 외부기둥블럭(10)으로서, 장방형 형태의 상부 일단면과 하부 일단면은 주 기둥보다 넓은 단면 형상으로 상부 단면에는 T형요부(40)를 형성하여 상부연결블럭(13)을 연설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며, 하부면에는 바닥에 설치된 기초에 기 매립 설치된 철재 앙카볼트(50)와 연설이 가능한 볼트연결홈(80)이 형성되어 있다.
도 2d 및 도 2e의 외부기둥블럭(10)의 후면부에는 마감블럭(14)이 연설이 되도록 인서트너트(60)가 매설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외부기둥블럭(10)의 하단부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단부의 일단면에 노출철근이 설치가 되어 바닥콘크리트 타설 시 별도의 철근을 매설한 후 연설하여 기초바닥과의 연결성이 증대 되도록 구성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기둥블럭(11)으로서 우수저류조(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장방형 형태로 상부면의 일단면에는 十형요부(70)가 형성되어 동,서,남,북으로 상부연결블럭(13)의 일단면이 거치되고 조립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기둥블럭(11)의 하단부에는 기초에 매립된 철재 앙카볼트(50)와 연설이 가능하도록 볼트연결홈(8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단부 일단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기초의 내구성 증진을 위한 중간기둥블럭(11)의 하단부에 철근을 매립하여 제조도 가능한 구조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저류조(1)의 코너부에 설치되는 코너기둥블럭(12)으로서, 상부 일단면에는 ㄱ형요부(9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ㄱ형요부(90)에 상부연결블럭(13)을 연설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코너기둥블럭(12)의 하부에는 기초바닥에 기 설치된 앙카볼트(50)와 연설이 가능한 볼트연결홈(80")이 형성되어 기초와 고정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도 4c의 후면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감블럭(14)이 연설이 가능하도록 인서트너트(60')가 내장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연결블럭(13)으로서 각 기둥블럭(10)(11)(12)에 연설되는 상부연결블럭(13)의 상부에는 마감블럭(14)을 부착하여 연설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부연결블럭(13)의 양쪽 끝 단면에는 철재 판재 또는 환봉 등의 연결부재(100)가 매립되어 제조 가능한 구조이며, 각 기둥블럭(10)(11)(12)의 상부에 형성된 T형요부(40), 十형요부(70), ㄱ형요부(90)에 상부연결블럭(13)의 단부를 삽입하여 상부연결블럭(13)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부재(100)를 T형지그(180), 十형지그(160), ㄱ형지그(190)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부연결블럭(13)의 상부에는 마감블럭(14)의 연설이 가능하도록 인서트너트(60")가 매립 되어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저류조(1)의 설치시 외부면에 설치되는 마감블럭(14)으로 측면부와 상부를 같은 형상으로 제조하여 생산공정을 최소화하였으며, 마감블럭(14)의 양쪽 끝 단부에는 각 기둥블럭(10)(11)(12)과 연설이 가능하도록 볼트연결홈(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6c측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에는 요부(120)를 하부에는 철부(130)를 각각 형성하여 시공성 향상과 수밀성 증대를 가져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일반적 기술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접합단면부인 요부(120)와 철부(130)의 연설위치에 별도의 차수를 위한 지수재 등 설치가 가능한 구조이다.
또한, 마감블럭(14)의 외부면에 형성된 돌출부(140)는 구체의 내구성 증진을 위한 보강용 돌출부임과 동시에 종래의 구조물은 제품의 일단면에 보강용 강제의 연설이 가능한 강선구를 설치하여 구조적으로 균열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어, 본 발명은 구체의 내부에는 전체 구조적으로 손상이 없도록 외부에 돌출부(140)를 설치하여 내구성 향상과 강선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도 6의 도면부호 (150)은 PC강선을 연결하기 위한 설치홈을 나타내고 있으며, 현장여건에 따라 강선의 설치홈(150)은 다양하게 제조도 가능한 구조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기둥블럭(11), 코너기둥블럭(12), 외부기둥블럭(10)의 상부에 상부연결블럭(13)이 연설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도 7a는 중간기둥블럭(11)의 상부에 형성되는 十형요부(70)에 동, 서, 남, 북으로 상부연결블럭(13)이 연설되는 것을 나타내며, 상부연결블럭(13)이 十형으로 조립되는 형상으로 十형지그(160)로 연결부재(100)를 연결하는 것을 나타내고 조립 후 몰탈(170)로 잔여공간을 충진하도록 구성한다.
도 7b는 외부기둥블럭(10)의 상부에 형성되는 T형요부(40)에 상부연결블럭(13)이 연설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외부기둥블럭(10)의 상부에 연설되는 상부연결블럭(13)의 양단부에 형성된 연결부재(100)를 T형지그(180)로 연결한 후 몰탈(170)로 잔여 공간을 충진하도록 구성한다.
도 7c는 코너기둥블럭(12)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ㄱ형요부(90)에 상부연결블럭(13)이 ㄱ형으로 조립되어 지는 것을 예시하는 연결부 상세도로서, 코너기둥블럭(12)의 상부에 연설되는 상부연결블럭(13)의 양단부에 형성된 연결부재(100)를 ㄱ형지그(190)로 연결한 후 몰탈(170)로 잔여공간을 충진 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철재로 이루어진 十형지그(160), T형지그(180), ㄱ형지그(190)는 부식방지를 위해 도금된 것으로, 상부연결블럭(13)의 양단부에 형성된 철재 판재 또는 철재환봉의 연결부재(100)는 조립이 가능한 형상의 十형지그(160), T형지그(180), ㄱ형지그(190)를 서로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조립되는 구조로서, 구조체의 시공 시 치수편차로 인한 시공이 불가능하였던 것을 해소하여 어느 정도의 치수편차에서도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도 7d는 각 기둥(10)(11)(12)의 상부면에 형성된 T형요부(40), 十형요부(70), ㄱ형요부(90)에 상부연결블럭(13)의 단부 연결부재(100)를 서로 형지그(180), 十형지그(160), ㄱ형지그(190)로 연설 한 후, 잔여공간을 몰탈(170)로 마감 충진한 것을 나타내는 예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저류조(1)의 설치평면 예시도로서, 각 기둥블럭의 설치에 관한 보다 더 상세설명을 위한 예시도와 동시에 설치완료 상태의 예시도로서, 도 8의 도면 중 (8c)는 코너기둥블럭(12)의 조립 투시도이며, (8b)는 외부기둥블럭(10)의 조립투시도, (8a)는 중간기둥블럭(11)의 조립투시도를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마감블럭(14)에 천공된 원형의 우수유입구(30)는 현장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한 구조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저류조(1)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 정면 예시도이며 우수유출구(20)는 우수시 일정량을 배출하는 통공으로써 현장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응이 가능한 구조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저류조(1)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각 기둥블럭(10, 11, 12)의 하단부를 기초콘크리트(220)에 설치하는 예시도로서, 각 기둥블럭(10, 11, 12)의 하단부 일측면에 철근연설(200)을 형성하고 별도의 보강철근(230)으로 보강 연결한 다음 콘크리트(210)로 마무리 하는 기초 바닥부에 관한 예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 : 우수저류조 10 : 외부기둥블럭
11 : 중간기둥블럭 12 : 코너기둥블럭
13 : 상부연결블럭 14 : 마감블럭
20 : 우수유출구 30 : 우수유입구
40 : T형요부 50 : 앙카볼트
60 : 인서트너트 70 : 十형요부
80 : 볼트연결홈 85 : 관통구
90 : ㄱ형요부 100 : 연결부재
110 : 볼트연결홈 120 : 요부
130 : 철부 140 : 돌출부
150 : 설치홈 160 : 十형지그
170 : 몰탈 180 : T형지그
190 : ㄱ형지그 200 : 철근연설
210 : 콘크리트 220 : 기초콘크리트
230 : 보강철근

Claims (7)

  1. 기초콘크리트(22)에 매설된 앙카볼트(50)를 외부기둥블럭(10), 중간기둥블럭(11), 코너기둥블럭(12)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볼트연결홈(80)(80')(80")에 조립 설치하고, 외부기둥블럭(10), 중간기둥블럭(11), 코너기둥블럭(12)의 상부면에 형성된 T형요부(40), 十형요부(70), ㄱ형요부(90)에 상부연결블럭(13)의 단부를 각각 삽입하여 T형지그(180), 十형지그(160), ㄱ형지그(190)로 연결하고, 각 기둥블럭(10)(11)(12)과 상부연결블럭(13)이 연결된 T형요부(40), 十형요부(70), ㄱ형요부(90)에 몰탈(170)로 충진하고, 상기 외부기둥블럭(10), 코너기둥블럭(12), 상부연결블럭(13)의 외부면에 마감블럭(14)을 인서트너트(60)(60')(60")에 의해 조립되게 형성하고, 마감블럭(14)의 외부에 형성된 돌출부(140)의 관통구(85) 속으로 고강도 강선을 인장하여 고정한 후, 마감블럭(14)에 우수유출구(20)와 우수유입구(30)를 천공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우수저류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둥블럭(10), 중간기둥블럭(11), 코너기둥블럭(12)의 기초부 일측면에 각각 형성된 연설철근(200)을 보강철근(230)과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우수저류조.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블럭(14)은 판재형상으로 외부 일단면에 2개의 돌출부(14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40)의 내부 일단면에는 고강도 강선을 연설할 수 있게 관통구(85)가 돌출부(14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40)의 일단면에는 고강도 강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작업공간인 설치홈(150)이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요부(120)와 하부면에는 철부(130)가 형성되고, 측면부에는 외부기둥블럭(10), 코너기둥블럭(12), 상부연결블럭(13)과 조립이 가능한 볼트연결홈(1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우수저류조.
  6. 삭제
  7. 기초콘크리트 위에 매설된 앙카볼트를 외부기둥블럭, 중간기둥블럭, 코너기둥블럭의 하부에 형성된 각각의 볼트삽입공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외부기둥블럭, 중간기둥블럭, 코너기둥블럭의 상부면에 형성된 T형요부, 十형요부, ㄱ형요부에 삽입되는 상부연결블럭의 연결부재를 T형지그, 十형지그, ㄱ형지그로 연결한 후, 상기 T형요부, 十형요부, ㄱ형요부에 몰탈을 충진하고,
    상기 외부기둥블럭, 중간기둥블럭, 코너기둥블럭의 하단부 일단면에 형성된 철근연설을 보강철근과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외부기둥블럭과 중간기둥블럭에 형성된 인서트너트에 마감블럭을 조립하여, 마감블럭의 관통구를 통해 고강도 강선으로 인장시켜서 고정되게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우수저류조의 시공방법.
KR1020120121244A 2012-10-30 2012-10-30 조립식 우수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77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244A KR101277086B1 (ko) 2012-10-30 2012-10-30 조립식 우수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244A KR101277086B1 (ko) 2012-10-30 2012-10-30 조립식 우수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7086B1 true KR101277086B1 (ko) 2013-06-19

Family

ID=48867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244A KR101277086B1 (ko) 2012-10-30 2012-10-30 조립식 우수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0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8714A (zh) * 2018-08-30 2018-12-11 北京工业大学 一种用于地下结构预制错缝拼装节段分体柱
KR20210023456A (ko) 2019-08-23 2021-03-04 딥클라우드 주식회사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7442A (ja) 1999-10-12 2001-04-17 Koken Sangyo Kk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この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からコンクリート構築物を構築する工法
KR100938223B1 (ko) * 2009-07-20 2010-01-22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조립식 우수저류조
KR100956740B1 (ko) 2010-03-03 2010-05-06 주식회사 중앙씨앤씨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된 측벽과 천정판과 보와 기둥의 조립에 의한 컨테이너 구조물
JP2012092552A (ja) * 2010-10-27 2012-05-17 Hayashi Bussan Hatsumei Kenkyusho:Kk 構築物および構築物を用いた雨水等の流出抑制施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7442A (ja) 1999-10-12 2001-04-17 Koken Sangyo Kk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この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からコンクリート構築物を構築する工法
KR100938223B1 (ko) * 2009-07-20 2010-01-22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조립식 우수저류조
KR100956740B1 (ko) 2010-03-03 2010-05-06 주식회사 중앙씨앤씨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된 측벽과 천정판과 보와 기둥의 조립에 의한 컨테이너 구조물
JP2012092552A (ja) * 2010-10-27 2012-05-17 Hayashi Bussan Hatsumei Kenkyusho:Kk 構築物および構築物を用いた雨水等の流出抑制施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8714A (zh) * 2018-08-30 2018-12-11 北京工业大学 一种用于地下结构预制错缝拼装节段分体柱
KR20210023456A (ko) 2019-08-23 2021-03-04 딥클라우드 주식회사 식재기반 기능 및 도심지 강우유출수 관리 기능을 가진 지중형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40855A1 (en) Modular construction mol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s and structures
KR100938223B1 (ko) 조립식 우수저류조
KR100994805B1 (ko) 복합저류장치
KR101281070B1 (ko)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WO2012096639A1 (en) Modular construction mol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s and structures
JP6166550B2 (ja) 堤体
KR20100009802A (ko) Pc옹벽패널을 이용한 완전 pc 조립 저류조
KR101277086B1 (ko) 조립식 우수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CN215630170U (zh) 一种地下室外墙后浇带超前封闭结构
KR101774952B1 (ko) 친환경 우수저류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KR101531238B1 (ko) 부벽이 구비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457373B1 (ko)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지하 복층 구조물
KR101187682B1 (ko) 우수 저류조
KR101176937B1 (ko) 지하 매립형 조립식 저류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388870B1 (ko)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KR100802994B1 (ko) 대형 우수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17437B1 (ko) 구조물 축조용 블록, 부재강결장치 및 그를 이용하여 축조된 빗물저류조
KR20060115938A (ko) 우수 저류조 시공 공법 및 그 우수 저류조 구조
KR20120131034A (ko) 루프이음에 의한 프리캐스트 천정판과 보의 결합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컨테이너 구조물
CN109356338A (zh) 钢骨架女儿墙结构
KR20220122344A (ko)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KR101219459B1 (ko) 시공성 및 생산성이 개선된 저류조용 피씨 구조물
CN212358370U (zh) 一种超高性能混凝土预制拼装综合管廊
CN209194866U (zh) 钢骨架女儿墙结构
KR101254022B1 (ko) 다기능 암거구조 및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