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1788A - 프로젝션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젝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1788A
KR20140021788A KR1020120087907A KR20120087907A KR20140021788A KR 20140021788 A KR20140021788 A KR 20140021788A KR 1020120087907 A KR1020120087907 A KR 1020120087907A KR 20120087907 A KR20120087907 A KR 20120087907A KR 20140021788 A KR20140021788 A KR 20140021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unit
mounting
image
reinfor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근
김학영
박준석
허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7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1788A/ko
Priority to EP13166548.1A priority patent/EP2696242A2/en
Priority to PCT/KR2013/003853 priority patent/WO2014025123A1/en
Priority to US13/964,420 priority patent/US20140043678A1/en
Publication of KR20140021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영상투사유닛과 스크린유닛이 하나의 장착유닛에 함께 장착된 프로젝션 장치에 있어서, 스크린유닛은,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및 스크린이 부착되는 스크린 부착부를 포함하며, 스크린 부착부는, 스크린이 부착되는 전방 플레이트, 전방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플레이트 및 전방 플레이트와 후방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강도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로젝션 장치{PROJ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프로젝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적으로는 영상투사유닛과 스크린유닛이 일체로 구비된 프로젝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젝션 장치는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영상투사유닛과 투사된 영상을 비추는 스크린이 서로 분리되어 구비된다. 영상투사유닛과 스크린이 분리되어 구비되는 경우, 스크린은 액자형 프레임 등에 고정되어 벽에 매달리거나 또는 별도의 수납가구 등에 고정되며, 영상투사유닛은 스크린 전방에 별도의 수납장치 내에 배치된다. 그리고, 종래의 프로젝션 장치는 스크린에 부착되는 플레이트 등의 구조물이 스크린에 굴곡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이러한 프로젝션 장치는 영상투사유닛과 스크린이 분리되어 있어서 상호간의 위치를 제어해주는 연결 구조물이 없어 장치의 구동시마다 화면을 맞추는 작업이 선행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프로젝션 장치는 스크린의 크기가 커지면, 스크린의 굴곡 방지를 위해 부착되는 필연적으로 구조물의 두께가 두꺼워지며, 이에 따라, 구조물의 무게 또한 무거워지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종래의 프로젝션 장치는 영상투사유닛과 스크린이 분리되어 있어 사용자에게 하나의 세트라는 인식을 심어주지 못하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얇고 가벼우며 영상투사유닛과 스크린유닛이 일체로 구비되는 프로젝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투사유닛과 스크린유닛이 하나의 장착유닛에 통합 장착된 프로젝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유닛은,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이 부착되는 스크린 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부착부는, 상기 스크린이 부착되는 전방 플레이트, 상기 전방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플레이트 및 상기 전방 플레이트와 상기 후방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강도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복수의 셀들이 형성된 벌집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셀은 육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물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계란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장착유닛은,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에 구비되며, 상기 영상투사유닛 및 상기 스크린 유닛이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덮는 커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영상투사유닛이 장착되는 제1 장착부 및 상기 스크린유닛이 장착되는 제2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장착부는 상기 제1 장착부와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유닛은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후면에서 상기 제2 장착부와 접착제를 통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곡면 스크린일 수 있다.
상기 곡면 스크린은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서 만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라미네이팅 방식으로 상기 스크린 부착부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투사유닛으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유닛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유닛은,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이 부착되는 스크린 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부착부는, 상기 스크린이 부착되는 전방 플레이트, 상기 전방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플레이트 및 상기 전방 플레이트와 상기 후방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강도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복수의 셀들이 형성된 벌집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셀은 육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얇고 가벼운 일체형 프로젝션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프로젝션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프로젝션 장치에 구비되는 스크린유닛을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스크린유닛에 구비되는 스크린 부착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스크린 부착부에 구비되는 강도보강부재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스크린 부착부에 구비되는 강도보강부재의 대안적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프로젝션 장치에 구비되는 장착 브라켓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장착 브라켓에 영상투사유닛 및 스크린유닛이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이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장착 브라켓이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이다.
도 11은 도 1의 프로젝션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로젝션 장치(10)는 영상투사유닛(100), 스크린유닛(200), 및 장착유닛(300)을 포함한다.
영상투사유닛(100)은 영상을 형성하여 확대 투사하기 위한 광학시스템을 포함한다. 영상투사유닛(100)에 대해서는 하기 도 2에서 자세히 설명하겠다.
스크린유닛(200)은 영상투사유닛(100)으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표시한다. 스크린유닛(200)은 영상투사유닛(100)과 함께 프로젝션 장치(10)에 일체로 장착된다. 스크린유닛(200)에 대해서는 하기 도 3 내지 도 6에서 자세히 설명하겠다.
장착유닛(300)은 프로젝션 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영상투사유닛(100) 및 스크린유닛(200)이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10)는 하나의 장착유닛(300) 내에 영상투사유닛(100) 및 스크린유닛(200)이 함께 장착되므로, 사용자에게 프로젝션 장치(10)가 하나의 단일 세트라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
한편, 장착유닛(300)에는 영상투사유닛을 구동이나 제어를 위한 각종 회로보드(미도시) 및 내부 부품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시스템(미도시)이 더 장착된다.
도 2는 도 1의 프로젝션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영상투사유닛(100)은 광학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러한 광학시스템은, 조명유닛(미도시), 영상형성유닛(미도시), 투사렌즈유닛(150), 및 비구면미러(170)를 포함한다.
조명유닛은 영상 형상에 사용될 광을 생성한다. 이에 조명유닛은 적색광, 청색광 및 녹색광을 각각 생성하는 레드(R)-LED, 블루(B)-LED 및 그린(G)-LED를 광원으로서 구비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경우 조명유닛은 광원으로서 3개의 LED들을 구비하지만, 대안적인 다른 실시예들의 경우 조명유닛은 백색광을 발생시키는 램프(예로써, 아크 램프, 할로겐 램프 등)와 같은 다른 유형의 광원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영상형성유닛은 DMD 패널로 구비된다. DMD 패널은 수 많은 마이크로미러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마이크로미러는 각각의 영상 화소(image pixel)에 대응한다. 영상신호들에 따라 마이크로미러들의 온-오프 동작함으로써 조명유닛이 생성한 광으로부터 영상이 형성된다. 영상투사유닛은 조명유닛이 생성한 백색광을 영상형성유닛을 향해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미러(미도시)를 포함한다.
투사렌즈유닛(150)은 영상형성유닛이 형성한 영상을 비구면미러(170)를 향해 확대 투사한다. 그리고, 투사렌즈유닛(150) 내에는 영상을 확대하기 위한 다수의 투사렌즈들(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비구면미러(170)는 투사렌즈유닛(150)에 의해 확대 투사된 영상을 커버 프레임(370)에 구비된 개구(372)을 통해 스크린유닛(200) 상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의 영상투사유닛(100)은 비구면미러(170)를 통해 영상을 표시하므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스크린유닛(200)과의 거리가 훨씬 가까워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프로젝션 장치(10)는 영상투사유닛(100)과 스크린유닛(200)을 장착유닛(300)에서 서로 가깝게 배치시킬 수 있어 장치의 슬림화를 도모할 수 있다.
장착유닛(300)은 베이스 프레임(320), 장착 브라켓(350), 및 커버 프레임(37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320)은 장착 브라켓(350)을 수용하며, 커버 프레임(370)과 결합되어 프로젝션 장치(10)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한다. 베이스 프레임(320)의 외관은 영상투사유닛(100) 및 스크린유닛(200)의 형상이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장착 브라켓(350)은 베이스 프레임(320)에 장착된다. 장착 브라켓(350)에는 영상투사유닛(100) 및 스크린유닛(200)이 프로젝션 장치(10) 내에 통합 형성될 수 있게 영상투사유닛(100) 및 스크린유닛(200)이 장착된다. 장착 브라켓(350)에 대해서는 하기 도 7에서 자세히 설명하겠다.
커버 프레임(370)은 베이스 프레임(320)을 덮으며, 베이스 프레임(320)과 함께 프로젝션 장치(10)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한다. 커버 프레임(370)에는 영상투사유닛(100)으로부터의 영상이 스크린 유닛(200)으로 투사될 수 있게 개구(372)가 형성된다.
베이스 프레임(320), 장착 브라켓(350), 및 커버 프레임(370)은 모두 아연도금강판(SECC)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재질은 디자인이나 설계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은 도 2의 프로젝션 장치에 구비되는 스크린유닛을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크린유닛(200)은 스크린(220) 및 스크린 부착부(260)를 포함한다.
스크린(220)은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스크린(220)을 통해 원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스크린(220)은 화이버 글라스 섬유, PE 필름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220)은 3D 영상 구현을 위해 표면에 특수 엠보싱 처리가 될 수도 있다.
스크린(220)은 평면 스크린 또는 곡면 스크린으로 구비될 수 있다. 스크린(220)이 곡면 스크린으로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는 영상 시청시 영상에 대한 몰입감이 증대될 수 있다. 곡면 스크린은 좌우 방향에서 오목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하 방향에서 만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곡면 스크린은 좌우 및 상하 방향 모두에서 만곡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크린은 표면이 구면 형태를 띄게 되며, 사용자의 영상에 대한 몰입감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스크린 부착부(260)는 스크린(220)의 후면(220a)에 부착되어 스크린(220)을 지지한다. 스크린 부착부(260)는 스크린(220)을 지지하며, 스크린(220)의 일면에 굴곡 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스크린(220)의 굴곡 현상은 스크린(220)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의 왜곡을 일으킬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10)는 스크린(220)이 스크린 부착부(260)에 부착되어 접촉 지지되므로, 이러한 굴곡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여기서, 스크린(220)은 접착 방식을 통해 스크린 부착부(260)에 부착되며, 접착 방식은 라미네이팅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크린(220)의 접착은 스크린(220)이 스크린 부착부(260)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는 다른 방식의 접착도 이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4는 도 3의 스크린 유닛에 구비되는 스크린 부착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크린 부착부(260)는 전방 플레이트(262), 후방 플레이트(264), 및 강도보강부재(266)를 포함한다.
전방 플레이트(262) 및 후방 플레이트(264)는 강도보강부재(266)가 사이에 배치되게 결합 장착된다. 전방 플레이트(262)에는 앞서 살펴 본 스크린(220)이 부착되며, 후방 플레이트(264)에는 후술하는 장착 브래킷(350)이 장착된다.
강도보강부재(266)는 스크린 부착부(260)의 두께를 늘리지 않으면서 스크린 부착부(260)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스크린 부착부(260)의 평탄도를 양호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강도보강부재(266)를 통해, 스크린(220)의 크기가 큰 경우에도, 스크린 부착부(260)에 부착되는 스크린(220)의 평탄도 또한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
강도보강부재(266)는 전방 플레이트(262)와 후방 플레이트(264) 사이에 배치된다. 강도보강부재(266)는 전방 플레이트(262) 및 후방 플레이트(264)에 부착되며, 예로써, 핫멜트 접착제와 같은 접찹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강도보강부재(266)는 다수의 셀들(267)을 가지며, 각각의 셀(267)은 육각 기둥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강도보강부재(266)는 전체적으로 볼 때 벌집(허니컴) 형상을 갖는다. 대안적인 다른 실시예들에서, 셀(267)의 형상은 다양한 다른 형상들로 변경될 수 있으며, 예로써 다른 기둥 형상(예로써 사각 기둥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강도보강부재(266)는 강도가 뛰어난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강도보강부재(266)는 다른 금속 물질들 또는 비금속 물질들(예로써 플라스틱)로 제조될 수도 있다.
강도보강부재(266) 이외에도, 스크린 부착부(260)를 이루는 전방 플레이트(262) 및 후방 플레이트(264) 역시 강도가 뛰어난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방 플레이트(262) 및 후방 플레이트(264) 역시 다른 금속 물질들 또는 비금속 물질들(예로써 플라스틱)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처럼 벌집 형상을 가진 강도보강부재(266)가 스크린 부착부(260)의 전방 플레이트(262) 및 후방 플레이트(264) 사이에 장착됨으로써 스크린 부착부(260)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따라서 자중, 외력, 열에 의한 스크린 부착부(260)의 변형량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스크린 부착부(260)가 양호한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스크린 부착부(260)의 변형으로 인해 스크린(220)에 굴곡이 생겨 표시되는 영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부착부(260)는 벌집 형상을 가진 강도보강부재(266)으로 인해 스크린 부착부(260)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스크린유닛(200)의 베젤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스크린유닛(200)의 전체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10)는 스크린유닛(200)의 얇은 베젤 두께 및 경량화을 통해 가볍고 슬림한 제품을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스크린 부착부에 구비되는 강도보강부재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대안적인 강도보강부재(266A)는 물결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강도보강부재(266A)는 볼록부(268a)와 오목부(268b)가 번갈아 반복되는 구조를 가지며, 여기서 볼록부(268a) 및 오목부(268b)는 강도보강부재(266A)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두 개의 볼록부(268a) 사이에 하나의 오목부(268b)가 배치되고 두 개의 오목부(268b) 사이에 하나의 볼록부(268a)가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6은 도 4의 스크린 부착부에 구비되는 강도보강부재의 대안적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대안적인 강도보강부재(266B)는 계란판(egg plate)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강도보강부재(266B)는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다수의 볼록부(269a) 및 다수의 오목부(269b)를 포함하며, 4개의 볼록부(269a) 사이에 1개의 오목부(269b)가 배치되고 4개의 오목부(269b) 사이에 1개의 볼록부(269a)가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진 단지 세 가지 강도보강부재(266, 266A, 266B)를 소개하지만, 스크린유닛(200)의 강도 향상 및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형상의 강도보강부재가 또한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7은 도 2의 프로젝션 장치에 구비되는 장착 브라켓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장착 브라켓(350)은 제1 장착부(352) 및 제2 장착부(354)를 포함한다.
제1 장착부(352)는 직사각판 형상을 가지며, 영상투사유닛(100)이 장착된다. 제2 장착부(354)는 제1 장착부(352)로부터 연장되며 제1 장착부(352)와 수직하게 형성된다.
제2 장착부(354)는 제1 수직부(354a), 제2 수직부(354b), 및 연결부(354c)를 포함한다.
제1 수직부(354a)는 제1 장착부(352)의 일단(352a)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다. 제1 수직부(354a)는 대략 "」"자 형상을 갖는다.
제2 수직부(354b)는 제1 장착부(352)의 타단(352b)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다. 제2 수직부(354b)는 역시 제1 수직부(354a)와 같이 대략 "」"자 형상을 갖는다.
연결부(354c)는 연결부재(355a) 및 장착판(355b)을 포함한다.
연결부(354c)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연결부가 구비된 것으로 설명한다. 2개의 연결부(354c)는 서로 상하 방향에서 나란하게 배치된다.
연결부재(355a)는 길다란 바 형상을 가지며, 제1 수직부(354a) 및 제2 수직부(354b)에 연결된다.
장착판(355b)은 스크린유닛(200)과의 장착을 위한 것으로, 각각의 연결부재(355a)에 구비된다. 장착판(355b)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연결부재(355a)에 2개의 장착판(355b)이 구비된 것으로 설명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장착판(355b)은 총 4개가 구비된다.
하나의 연결부재(355a)에 구비된 2개의 장착판(355b)은 좌우 방향에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장착판(355b)은 사각판 형상을 갖는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장착판(355b)은 스크린유닛(200)과 장착이 될 수 있는 형태라면 다른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장착 브라켓(350)은 보강부(356)를 더 포함한다.
보강부(356)는 제2 장착부(354)의 비틀림이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수직부(354a) 및 제2 수직부(354b)와 연결된다. 보강부(356)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수직부(354a) 및 제2 수직부(354b)를 연결하는 2개의 보강부(356)가 구비된 것으로 설명한다. 보강부(356)는 직사각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보강부(356)의 형상은 설계에 따라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장착 브라켓에 영상투사유닛 및 스크린유닛이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영상투사유닛(100)은 장착 브라켓(350)의 제1 장착부(352)에 장착되고, 스크린유닛(200)은 장착 브라켓(350)의 제2 장착부(354)에 장착된다. 즉, 영상투사유닛(100) 및 스크린유닛(200)은 장착 브라켓(350)에 함께 장착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크린유닛(200)은 후방 플레이트(264; 도 4에 도시)의 후면(202)에서 제2 장착부(354)의 4개의 장착판(355b)에 장착된다. 스크린 유닛(200)의 후면(202)은 4개의 장착판(355b)과 접착제를 통해 접착된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크린유닛(200)과 제2 장착부(354)의 장착은 나사 등의 스크류 결합이나 기타 스크린유닛이 제2 장착부에 고정될 수 있는 형태의 다른 장착 방식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장착 브라켓이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장착 브라켓(350)은 영상투사유닛(100) 및 스크린유닛(200)이 장착되면, 베이스 프레임(320)에 수용된다. 베이스 프레임(320)에는 장착 브라켓(350)이 수용될 수 있는 브라켓 수용부(325)가 마련된다. 장착 브라켓(350)이 베이스 프레임(320)에 수용되면, 커버 프레임(370)이 베이스 프레임(320)을 덮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10)는 하나의 장착유닛(300) 내에 영상투사유닛(100) 및 스크린유닛(200)를 함께 수용하므로, 스크린(220)이 영상투사유닛(100)과 별도로 분리되지 않고, 영상투사유닛(100)이 장착된 장착유닛(300) 상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의 프로젝션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영상(화살표)은 영상투사유닛(100)으로부터 확대 투사되어 비구면미러(170) 및 개구(372)를 거쳐 스크린유닛(200)의 스크린(220)을 통해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10)는 영상투사유닛(100) 및 스크린유닛(200)이 장착유닛(300)을 통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프로젝션 장치(10)를 통한 영상 시청시, 사용자가 영상투사유닛(100)이나 스크린(220)의 위치를 별도로 조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리고, 영상투사유닛(100) 및 스크린유닛(200)의 장착유닛(300) 내 배치는 영상투사유닛의 형상이나 종류, 스크린유닛의 스크린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 프로젝션 장치 100: 영상투사유닛
200: 스크린유닛 220: 스크린
260: 스크린 부착부 262: 전방 플레이트
264: 후방 플레이트 266: 강도보강부재
300: 장착유닛 320: 베이스 프레임
350: 장착 브라켓 370: 커버 프레임

Claims (16)

  1. 영상투사유닛과 스크린유닛이 하나의 장착유닛에 통합 장착된 프로젝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유닛은,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이 부착되는 스크린 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부착부는,
    상기 스크린이 부착되는 전방 플레이트;
    상기 전방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플레이트; 및
    상기 전방 플레이트와 상기 후방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강도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복수의 셀들이 형성된 벌집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셀은 육각 기둥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물결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계란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유닛은,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에 구비되며, 상기 영상투사유닛 및 상기 스크린 유닛이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덮는 커버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영상투사유닛이 장착되는 제1 장착부; 및
    상기 스크린유닛이 장착되는 제2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착부는 상기 제1 장착부와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유닛은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후면에서 상기 제2 장착부와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곡면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스크린은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서 만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라미네이팅 방식으로 상기 스크린 부착부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14. 영상투사유닛으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유닛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유닛은,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이 부착되는 스크린 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부착부는,
    상기 스크린이 부착되는 전방 플레이트;
    상기 전방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플레이트; 및
    상기 전방 플레이트와 상기 후방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강도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유닛.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복수의 셀들이 형성된 벌집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유닛.
  16. 제15항에 있어서,
    각각의 셀은 육각 기둥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KR1020120087907A 2012-08-10 2012-08-10 프로젝션 장치 KR20140021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907A KR20140021788A (ko) 2012-08-10 2012-08-10 프로젝션 장치
EP13166548.1A EP2696242A2 (en) 2012-08-10 2013-05-03 Projection apparatus including integrated image projection unit and screen unit
PCT/KR2013/003853 WO2014025123A1 (en) 2012-08-10 2013-05-03 Projection apparatus including integrated image projection unit and screen unit
US13/964,420 US20140043678A1 (en) 2012-08-10 2013-08-12 Projection apparatus including integrated image projection unit and screen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907A KR20140021788A (ko) 2012-08-10 2012-08-10 프로젝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788A true KR20140021788A (ko) 2014-02-20

Family

ID=48190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907A KR20140021788A (ko) 2012-08-10 2012-08-10 프로젝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043678A1 (ko)
EP (1) EP2696242A2 (ko)
KR (1) KR20140021788A (ko)
WO (1) WO20140251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2317A (ko) * 2012-11-14 2014-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프로젝션 장치
KR20140061803A (ko) * 2012-11-14 2014-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장치
CN112543398B (zh) * 2020-12-09 2023-03-14 青岛海信激光显示股份有限公司 发声板及投影屏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1352A (en) * 1979-03-23 1981-07-28 Hoffman Andrew E Compact projection television system
US4491872A (en) * 1981-01-26 1985-01-01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Ultra-compact projection television receiver
US5097640A (en) * 1989-05-01 1992-03-24 3-D Structures, Inc. Frame support for paneled screens and like structures
US5281985A (en) * 1992-05-19 1994-01-25 Michael Chan Video viewing system for a vehicle
US6389935B1 (en) * 1996-09-02 2002-05-21 New Transducers Limited Acoustic display screen
BE1016057A3 (nl) * 2004-05-27 2006-02-07 Polyvision Nv Verbeterd visueel communicatiepaneel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ervan.
US7434938B2 (en) * 2004-10-21 2008-10-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device movable for front and rear projection
WO2006121847A2 (en) * 2005-05-05 2006-11-16 Infocus Corporation Deployable projection screen
GB2426079A (en) * 2005-05-12 2006-11-15 Univ Warwick Projector screen having a flat and a curved configuration
JP2009133879A (ja) * 2006-03-07 2009-06-18 Nanodesign Corp プロジェクタ・スタンド
JP4464948B2 (ja) * 2006-10-13 2010-05-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投写型映像表示システム
US7821709B2 (en) * 2007-10-11 2010-10-26 Opnext, Inc. System and method for viewing projected light from portable devices
JP5125998B2 (ja) * 2008-07-30 2013-01-23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投射型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4730434B2 (ja) * 2008-12-25 2011-07-2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スクリーン組立体及び背面投射型映像表示装置
JP2011007940A (ja) * 2009-06-24 2011-01-13 Mitsubishi Electric Corp 投写型表示装置
WO2013176399A1 (en) * 2012-05-25 2013-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25123A1 (en) 2014-02-13
EP2696242A2 (en) 2014-02-12
US20140043678A1 (en) 201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32935A1 (en) Projection apparatus
US10788707B2 (en) Curved display device with arc-shaped fixing members
US798499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JP6154195B2 (ja)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171307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2096218A (zh) 液晶显示模块及其一体成型背板
JP2004119369A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利用した液晶表示装置
EP3301510B1 (en) Projection system
KR20140021788A (ko) 프로젝션 장치
US20100283905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10502872B2 (en) Display apparatus and strip-shaped lens
US20090080179A1 (en) Backlight unit,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2007635B2 (en) Display device
US10393953B2 (en)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CN103869583A (zh) 投影装置及其积分柱定位结构
US20210109260A1 (en) Optical Member, Light-Emitting Device, Display, And Illuminator
US20100259921A1 (en) Backlight unit,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40132846A1 (en) Screen device and projection apparatus having a screen device
CN115704931A (zh) 反射镜曲率辅助式扩散片的指向性背光显示装置
JPH1082968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KR20110020546A (ko) 프로젝터 및 프로젝터의 지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