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0583A -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 Google Patents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0583A
KR20140020583A KR1020120087463A KR20120087463A KR20140020583A KR 20140020583 A KR20140020583 A KR 20140020583A KR 1020120087463 A KR1020120087463 A KR 1020120087463A KR 20120087463 A KR20120087463 A KR 20120087463A KR 20140020583 A KR20140020583 A KR 20140020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plywood
vertical panel
support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호중
Original Assignee
(주)에이원알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원알폼 filed Critical (주)에이원알폼
Priority to KR1020120087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0583A/ko
Publication of KR20140020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 E04G11/12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of elements and beams which are mounted during erection of the shuttering to brace or couple th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2011/067Integrated forms comprising shuttering skin,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workplatforms and 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패널과, 수직패널과, 상기 각 패널의 연결되는 멍에를 포함하는 보거푸집; 제1 및 제2 합판과, 상기 각 합판에 연결되는 보강재를 포함하고, 기둥거푸집과, 상기 보거푸집과의 잉여공간에 설치되는 합판거푸집; 및 상기 제2 합판과 상기 수직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서포트프레임과, 상기 수직패널용 멍에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선회동작 가능하고, 상기 서포트프레임을 지지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서포트프레임 및 상기 수직패널을 관통하고, 상기 고정브래킷을 관통하여 상호 직교하는 형태로 결합되는 핀부재로 구성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기둥거푸집과 보거푸집 사이에 규격 패널을 설치하기 어려운 잉여공간에 맞추어 비규격의 합판으로 제작된 합판거푸집을 설치함으로써 보의 길이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특히 결합수단의 해체작업 시, 보거푸집과 합판거푸집 사이에 배치된 서포트프레임의 분리작업이 수직패널용 멍에 단부에 힌지 결합된 고정브래킷을 선회시켜 제치는 것만으로 가능해져 서포트프레임의 분리를 위하여 수직패널용 멍에를 해체할 필요가 없고, 이에 의하여 해체작업이 쉽고 간편해짐으로써 작업시간의 단축과,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CONCRETE MOLD ASSEMBLY}
본 발명은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수평패널과, 수직패널과, 상기 각 패널의 연결되는 멍에를 포함하는 보거푸집과, 상기 수평패널 및 수직패널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합판과, 상기 각 합판의 외측면에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거푸집 양측에 배치되는 기둥거푸집과, 상기 보거푸집과의 잉여공간에 설치되는 합판거푸집과, 그리고 상기 제2 합판과 상기 수직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서포트프레임과, 상기 수직패널용 멍에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선회동작 가능하고, 상기 서포트프레임을 지지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서포트프레임 및 상기 수직패널을 관통하고, 상기 고정브래킷을 관통하여 상호 직교하는 형태로 결합되는 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보거푸집과 상기 합판거푸집을 연결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양측에 배치된 기둥에 보를 설치하기 위해 보거푸집을 제작하는 경우 기둥거푸집과 보거푸집 사이에 규격 패널을 설치하기 어려운 잉여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이 잉여공간에 맞추어 비규격의 합판으로 제작된 합판거푸집을 설치함으로써 보의 길이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특히 거푸집의 해체를 위해 선행되는 결합수단의 해체작업 시, 보거푸집과 합판거푸집 사이에 배치된 서포트프레임의 분리작업이 수직패널용 멍에 단부에 힌지 결합된 고정브래킷을 선회시켜 제치는 것만으로 가능해져 서포트프레임의 분리를 위하여 수직패널용 멍에를 해체할 필요가 없고, 이에 의하여 해체작업이 쉽고 간편해짐으로써 작업시간의 단축과, 작업능률을 높여 거푸집의 시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거푸집조립체로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0009186호((2012.01.30) "보 시공용 거푸집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특허출원은 보거푸집을 구성하는 수직패널의 외측면과, 보 멍에재에 연결되어 수직패널에 인가되는 측압력을 저지하는 지지수단을 구비하되, 이 지지수단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수직패널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수직패널의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지지수단의 설치 고정이 편리해질 뿐만 아니라,
동시에 지지수단에 의하여 보거푸집의 수직패널이 유동성이 큰 콘크리트에 의하여 발생하는 측압력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됨과 아울러,
보거푸집을 해체할 때에는 수직패널과 콘크리트 면과의 부착력 또는 마찰력에 의하여 보거푸집조립체의 하강하는 동작만으로도 보거푸집의 수직패널을 외측방향으로 벌릴 수 있어,
보거푸집조립체를 구성하는 수직패널, 수평패널, 코너앵글 및 보 멍에재 등과 같은 부품들을 분해 또는 해체하는 별도의 준비작업 없이도 보거푸집 해체가 가능해짐으로써 작업이 쉽고 용이하여 시공편의성이 보장되고, 신속한 해체작업을 통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며, 작업자의 안전성과,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출원인 상기한 바와 같은 특허출원에 따라 거푸집조립체를 시공하면서 다음과 같은 문제에 봉착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보거푸집의 시공 시에 사용되는 각 패널들은 일정한 사이즈를 갖는 규겨화된 제품들을 사용하게 되는데,
양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보는 양 기둥간의 이격거리에 따라 그 길이가 결정되고, 보를 시공하기 위한 보거푸집 역시 보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제작된다.
이때 보의 길이에 따라서는 규격화된 상기 패널들을 설치한 후, 기둥과 보거푸집 사이에 규격화된 패널들을 설치할 수 없는 잉여공간이 발생하여 완전한 거푸집을 설치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현장에서 합판이나, 목재를 잉여공간에 대응되도록 비규격의 합판을 제작하여 기둥거푸집과 보거푸집 사이에 현장 제작된 합판거푸집를 설치하여 보의 길이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거푸집조립체이 해체 작업 시, 보거푸집과 합판거푸집을 해체하게 되는데,
이때 각 거푸집의 해체작업의 순서는 먼저 합판거푸집을 해체한 후, 보거푸집을 해체하게 된다.
이는 보거푸집은 구조상 수평패널을 지지하는 멍에에 수직방향으로 서포트가 연결되어 보거푸집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서포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않는 합판거푸집을 먼저 해체하고 나서, 서포트를 해체하고, 다음으로 보거푸집을 해체하게 된다.
그러나 합판거푸집의 해체작업 시에 기둥거푸집과 보거푸집 사이에 배치된 합판거푸집은 기둥거푸집과 보거푸집에 의하여 작용하는 횡방향으로의 압력이나, 이로 인한 구속력에 의하여 해체작업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 특허출원에 의한 거푸집조립체를 개선하여 상기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양측에 배치된 기둥에 보를 설치하기 위해 보거푸집을 제작하는 경우 기둥거푸집과 보거푸집 사이에 규격 패널을 설치하기 어려운 잉여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이 잉여공간에 맞추어 비규격의 합판으로 제작된 합판거푸집을 설치함으로써 보의 길이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특히 거푸집의 해체를 위해 선행되는 결합수단의 해체작업 시, 보거푸집과 합판거푸집 사이에 배치된 서포트프레임의 분리작업이 수직패널용 멍에 단부에 힌지 결합된 고정브래킷을 선회시켜 제치는 것만으로 가능해져 서포트프레임의 분리를 위하여 수직패널용 멍에를 해체할 필요가 없고, 이에 의하여 해체작업이 쉽고 간편해짐으로써 작업시간의 단축과, 작업능률을 높여 거푸집의 시공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수단의 서포트프레임에 수용부를 형성하고, 이 수용부에 목심을 삽입하여 서포트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하여 줌으로써 상기 서포트프레임에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에 대응하여 저항성능을 증대시키고, 거푸집에 타설되는 유동성의 콘크리트에 의한 측압에 대하여 보거푸집과 합판거푸집간의 연결부위의 강성을 보강하여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구축하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서포트프레임에 구비된 제1 접촉지지부의 측면부가 거푸집 내의 콘크리트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결합수단에 의하여 서포트프레임을 해체하게 되면 제1 접촉지지부 측면부에 해당하는 폭 만큼 보거푸집과 합판거푸집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각 거푸집, 특히 먼저 해체되는 합판거푸집의 해체작업이 쉽고 용이해짐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는 수평패널과, 상기 수평패널의 양측에 배치되는 수직패널과, 상기 각 패널의 외측에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멍에를 포함하는 보거푸집; 상기 수평패널 및 수직패널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합판과, 상기 각 합판의 외측면에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거푸집 양측에 배치되는 기둥거푸집과, 상기 보거푸집과의 잉여공간에 설치되는 합판거푸집; 및 상기 제2 합판과 상기 수직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서포트프레임과, 상기 수직패널용 멍에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선회동작 가능하고, 상기 서포트프레임을 지지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서포트프레임 및 상기 수직패널을 관통하고, 상기 고정브래킷을 관통하여 상호 직교하는 형태로 결합되는 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보거푸집과 상기 합판거푸집을 연결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합수단의 고정브래킷은 상기 핀부재가 관통 결합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상부 및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서포트프레임에 접하는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부 또는 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직패널용 멍에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합수단의 서포트프레임에는 수용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에 종방향으로 삽입 배열되고, 상기 제2 합판에 접하는 보강용 목심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합수단의 서포트프레임에는 상기 수직패널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접촉지지부가 더 구비되고,
내측에 배치되는 제1 접촉지지부의 측면부는 상기 수직패널과 상기 제2 합판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 배열되어 콘크리트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는 양측에 배치된 기둥에 보를 설치하기 위해 보거푸집을 제작하는 경우 기둥거푸집과 보거푸집 사이에 규격 패널을 설치하기 어려운 잉여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이 잉여공간에 맞추어 비규격의 합판으로 제작된 합판거푸집을 설치함으로써 보의 길이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거푸집의 해체를 위해 선행되는 결합수단의 해체작업 시, 보거푸집과 합판거푸집 사이에 배치된 서포트프레임의 분리작업이 수직패널용 멍에 단부에 힌지 결합된 고정브래킷을 선회시켜 제치는 것만으로 가능해져 서포트프레임의 분리를 위하여 수직패널용 멍에를 해체할 필요가 없고, 이에 의하여 해체작업이 쉽고 간편해짐으로써 작업시간의 단축과, 작업능률을 높여 거푸집의 시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수단의 서포트프레임에 수용부를 형성하고, 이 수용부에 목심을 삽입하여 서포트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하여 줌으로써 상기 서포트프레임에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에 대응하여 저항성능을 증대시키고, 거푸집에 타설되는 유동성의 콘크리트에 의한 측압에 대하여 보거푸집과 합판거푸집간의 연결부위의 강성을 보강하여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서포트프레임에 구비된 제1 접촉지지부의 측면부가 거푸집 내의 콘크리트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결합수단에 의하여 서포트프레임을 해체하게 되면 제1 접촉지지부 측면부에 해당하는 폭 만큼 보거푸집과 합판거푸집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각 거푸집, 특히 먼저 해체되는 합판거푸집의 해체작업이 쉽고 용이해짐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조립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조립체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의 고정브래킷과 멍에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의 구현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는
수평패널(11)과, 상기 수평패널(11)의 양측에 배치되는 수직패널(13)과, 상기 각 패널의 외측에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멍에(15)를 포함하는 보거푸집(10); 상기 수평패널(11) 및 수직패널(13)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합판(21)(23)과, 상기 각 합판(21)(23)의 외측면에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보강재(25)를 포함하고, 상기 보거푸집(10) 양측에 배치되는 기둥거푸집(1)과, 상기 보거푸집(10)과의 잉여공간에 설치되는 합판거푸집(20); 및 상기 제2 합판(23)과 상기 수직패널(13) 사이에 배치되는 서포트프레임(31)과, 상기 수직패널용 멍에(15B)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선회동작 가능하고, 상기 서포트프레임(31)을 지지하는 고정브래킷(33)과, 상기 서포트프레임(31) 및 상기 수직패널(13)을 관통하고, 상기 고정브래킷(33)을 관통하여 상호 직교하는 형태로 결합되는 핀부재(3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보거푸집(10)과 상기 합판거푸집(20)을 연결하는 결합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조립체는 기둥과, 상기 기둥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보를 축조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방향에 복수의 기둥거푸집(1)에 구비되어 있으며, 각 기둥을 연결하는 보를 시공하기 위해 각 기둥거푸집(1)의 상부에 보거푸집(10)이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거푸집(10)은
양측에 구비된 기둥(1)을 연결하기 위한 보를 시공하기 위한 구조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각 기둥(1)을 연결하는 보를 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보거푸집(10)은 거푸집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수평패널(11)과, 상기 수평패널(11)의 양측에 배치되어 거푸집의 양측벽면을 형성하는 수직패널(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패널(11)과 상기 수직패널(13)은 보의 길이에 따라 다수가 상호 연결되며,
상기 수평패널(11)과 상기 수직패널(13)에는 외측 가장자리에 테두리부가 구비되어 각 패널들을 연결하는 경우 인접한 패널들의 테두리부가 맞대어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패널(11)들의 외측면에는 종방향으로 다수의 지지부재(13e)가 구비되고, 이 지지부재(13e)에 횡 방향으로 다수의 수평패널용 멍에(15A)가 나란히 구비되어 상호 연결된 수평패널(13)들을 지지하고,
상기 수직패널(13)들의 외측에도 횡 방향으로 수직패널용 멍에(15B)가 지지부재에 접촉되어 상호 연결되는 수직패널(13)들을 지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수직패널용 멍에(15B)는 상기 수직패널(13)에 고정시키기 위해 지지부재에 브래킷과 같은 고정부재에 의하여 연결 고정되거나,
또는 양측에 구비된 수직패널용 멍에(15B)에 보거푸집(10)에 내에 충진되는 유동성 콘크리트에 의한 측압에 대하여 수직패널(13)의 저항력을 보강하고, 양측벽면간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세파타이나, 세파볼트와 같은 간격유지부재들의 양단이 연결되어 수직패널용 멍에(15B)가 수직패널(13)의 외측에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각 패널들은 일정한 사이즈를 갖는 규격화된 제품을 사용하게 되고,
양 기둥(1) 사이에 설치되는 보는 양 기둥(1)간의 이격거리에 따라 그 길이가 결정되고, 보를 시공하기 위한 보거푸집(10) 역시 보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제작된다.
이때 보의 길이에 따라서는 규격화된 상기 각 패널들을 설치한 후, 기둥거푸집(1)과 보거푸집(10) 사이에 규격화된 패널들을 설치할 수 없는 잉여공간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현장에서 합판이나, 목재를 잉여공간에 대응하도록 제작하여 기둥거푸집(1)과 보거푸집(10) 사이에 현장 제작된 거푸집, 즉 하기할 합판거푸집(20)을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거푸집(10)과 합판거푸집(20)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보거푸집(10)과 합판거푸집(20)의 해체하게 되는데,
이때 각 거푸집의 해체작업의 순서는 먼저 합판거푸집(20)을 해체한 후, 보거푸집(10)을 해체 하게 된다.
이는 보거푸집(10)은 구조상 수평패널용 멍에(15A)에 수직방향으로 서포트(2)가 연결되어 보거푸집(10)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서포트(2)가 설치되지 않는 합판거푸집(20)을 먼저 해체한 후, 서포트(2)를 해체하고, 다음으로 보거푸집(10)을 해체하게 된다.
그러나 합판거푸집(20)의 해체작업은 기둥거푸집(1)과 보거푸집(10) 사이에 시공됨으로써 기둥거푸집(1)과 보거푸집(10)에 의하여 작용하는 횡방향으로의 압력이나, 이로 인한 구속력에 의하여 해체작업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보거푸집(10)과 합판거푸집(20)을 연결하고, 합판거푸집(20)의 해체작업을 쉽고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결합수단(30)을 도입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결합수단(30)을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보거푸집(10)에 결합수단(30)에 의하여 연결되는 합판거푸집(20)에 관한 먼저 기술하고,
다음으로 상기 결합수단(3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합판거푸집(20)은
상기 보거푸집(10)의 수평패널(11) 및 수직패널(13)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합판(21)(23)과, 상기 각 합판(21)(23)의 외측면에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보강재(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합판거푸집(20)은 상기 잉여공간에 상응하도록 합판을 제작하여 수평방향으로 제1 합판(21)을 배치시켜 거푸집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합판(21)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 합판(23)을 배치시켜 거푸집의 양측벽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합판(21)(23)에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보강재(25)를 연결하여 지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2 합판(23)에 구비되는 보강재는 제2 합판(23)의 상부와 하부에 덧대어져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횡방향 보강재(25A)와, 상기 제2 합판(23)의 우측에 덧대어져 횡방향 보강재(25A)와 직교하는 형태로 연결되는 종방향 보강재(25B)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 합판(21)은 수평패널용 멍에(15A)가 연장된 부분에 얹히어 설치됨으로써 기둥거푸집(1)과 수평패널(1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합판(23)은 상기 기둥(1)의 모서리 부분에 구비된 지지부재(3)에 종방향 보강재(25B)가 연결되어 상기 기둥거푸집(1)과 수직패널(13) 사이에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합수단(30)은
상기 보거푸집(10)과 잉여공간에 설치되는 합판거푸집(20)을 연결하여 각 거푸집을 일체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30)은 상기 제2 합판(23)과 상기 수직패널(13) 사이에 배치되는 서포트프레임(31)과, 상기 수직패널용 멍에(15B)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선회동작 가능하고, 상기 서포트프레임(31)을 지지하는 고정브래킷(33)과,
그리고 상기 서포트프레임(31) 및 상기 수직패널(13)을 관통하고, 상기 고정브래킷(33)을 관통하여 상호 직교하는 형태로 결합되는 핀부재(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서포트프레임(31)은 단면형상이 'ㄷ'자 형태로 이루지고, 그 내부에 수용부(31C)를 갖는 몸체(31A)와, 상기 몸체(31A)의 측면 종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직패널(13) 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1 접촉지지부(31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프레임(31)의 몸체(31A)는 상기 제2 합판(23)과 상기 수직패널(13) 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데,
이때 상기 몸체(31A)의 일측면, 즉 상기 수직패널(13)의 반대쪽에 방향에 형성된 측면부에 상기 제2 합판(23)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횡방향 보강재(25A) 단면부에 맞닿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합판(23)은 횡방향 보강재(25A)보다 상기 수직패널(13) 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체(31A)는 상기 제2 합판(23)의 돌출부(23a)를 측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몸체(31A)의 수용부(31C)에는 목심(40)이 삽입되고, 상기 목심(40)은 상기 제2 합판(23)의 돌출부(23a)에 접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목심(40)은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 몸체(31A)가 상기 횡방향 보강재(25A)와 상기 수직패널(13)의 테두리부(13a)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상호 마주하는 방향, 즉 횡방향으로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 몸체(31A)에 응력이 집중되어 변형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수용부(31C)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31A)에 작용하는 횡압력에 대하여 저항하여 줌으로써 서포트프레임(31)의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아울러 보거푸집(10)과 합판거푸집(20)이 설치된 후, 이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상기 콘크리트는 유동성이 크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타설 시, 상기 제2 합판(23)과 상기 수직패널(13)에 측압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합판(23)의 돌출부(23a)는 횡방향 보강재(25A)에 의하여 지지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목심(40)이 콘크리트에 의한 측압에 대하여 저항하여 줌으로써 취약부인 상기 제2 합판(23)의 돌출부(23a)를 지지하여 제2 합판(23)의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 접촉지지부(31B)는 상기 몸체(31A)의 타측면, 즉 상기 수직패널(13) 쪽으로 배열되는 측면부 내측과 외측에 연결되어 수직패널(13) 측으로 돌출되고,
특히 내측에 구비된 제1 접촉지지부(31B)는 상기 제2 합판(23)의 두께만큼 거푸집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제2 합판(23)은 상기 수직패널(13)과 맞닿지 않고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 이격공간(S)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이격공간(S)에는 내측방향으로 배치된 제1 접촉지지부(31B)의 측면이 배열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접촉지지부(31B)의 측면은 거푸집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면에 접촉되어 거푸집의 내측면을 형성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1 접촉지지부(31B)의 측면은 상기 제2 합판(23) 및 상기 수직패널(13)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면을 고르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2 합판(23)과 수직패널(13)간의 연결부위에서 거푸집에 타설되는 유동성 콘크리트에 의한 측압에 대하여 저항함으로써 연결부위에서의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1 접촉지지부(31B)는 각 거푸집의 해체작업 시, 상기 서포트프레임(31)을 해체하는 경우 상기 보거푸집(10)과 상기 합판거푸집(20) 사이에 상기 이격공간(S)이 형성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거푸집의 해체 순서에 따라서, 먼저 합판거푸집(20)의 해체작업이 수행되는 경우 합판거푸집(20)의 해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체작업의 편의성과 작업시간의 단축을 통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31A)에는 제2 관통공(31a)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패널(13)의 테두리부(13a)에는 상기 제2 관통공(31a)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3 관통공(13c)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래킷(33)은 상기 제1 핀부재(36)가 관통 결합되는 전면판(33A)과, 상기 전면판(33A)의 상부 및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서포트프레임(31)에 접하는 한 쌍의 지지판(33B)과,
그리고 상기 지지판(33B)의 일부 또는 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33B)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직패널용 멍에(15B)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판(33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고정브래킷(33)의 전면판(33A)은 고정브래킷(33)의 외측면을 형성하고, 그 중심부에 제1 핀부재(36)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제1 관통공(33a)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33B)은 상기 전면판(33A) 상부와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연결되어 결합수단(30)에 의하여 보거푸집(10)과 합판거푸집(20)이 연결되는 경우 내측면부가 서포트프레임(31)의 외측면에 맞닿아 가압하여 지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판(33C)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지지판(33B)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부와 하부에 배열되고,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 지지판(33B)의 양측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 지지판(33B)의 일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판(33C) 사이에는 상기 수직패널용 멍에(15B) 단부가 삽입되어 힌지 결합되는데,
상기 각 연결판(33C)에는 제1 핀홀(33b)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패널용 멍에(15B)는 상기 제1 핀홀(33b)에 대응하도록 제2 핀홀(15a)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핀홀(33b)(15a)에는 선회축핀(34)이 관통 결합됨으로써 상기 고정브래킷(33)이 상기 선회축핀(34)을 중심축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의 선회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30)에 의하여 보거푸집(10)과 합판거푸집(20)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보거푸집의 수직패널과 합판거푸집의 제2 합판 사이에 설치되는 서포트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해 수직패널용 멍에를 직접 이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브래킷을 도입하고, 이를 수직패널용 멍에에 장착하여 서포트프레임을 지지하는 방식이 있다.
우선 상기 수직패널용 멍에에 의한 직접 지지방식은 상기 수직패널용 멍에의 단부 부분이 서포트프레임의 외측면에 맞닿도록 구성됨으로써 거푸집의 시공 시에, 먼저 보거푸집과 합판거푸집 사이에 서포트프레임을 설치한 후, 수직패널용 멍에를 설치하여야 하고,
반대로 거푸집의 해체작업 시에는 먼저 상기 수직패널용 멍에를 해체한 후, 서포트프레임을 보거푸집과 합판거푸집 사이에서 분리해내게 된다.
다음으로 별도의 브래킷을 사용하는 경우, 예컨대 'ㄷ'자형 브래킷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브래킷은 수직패널용 멍에의 단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서포트프레임을 지지하게 되고, 이때 브래킷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수직패널용 멍에의 단부는 서포트프레임의 외측면까지 연장되어 맞닿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거푸집의 시공 시, 서포트프레임의 설치 후, 수직패널용 멍에를 설치하여야 하며,
반대로 거푸집의 해체작업 시에도 상기 수직패널용 멍에를 먼저 해체한 후, 서포트프레임을 보거푸집과 합판거푸집 사이에서 분리해내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지지방식은 특히 거푸집의 해체작업 시, 서포트프레임을 해체하기 위해 수직패널용 멍에를 해체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이에 의하여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브래킷(33)이 상기 수직패널용 멍에(15B)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지지판(33B)이 서포트프레임(31)에 맞닿아 지지하게 되므로 수직패널용 멍에(15B)에 의한 서포트프레임(31)의 지지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수직패널용 멍에(15B)는 서포트프레임(31)까지 연장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거푸집의 시공 시에, 수직패널용 멍에(15B) 단부에서 고정브래킷(33)을 외측방향으로 선회시켜 제친 후, 상기 서포트프레임(31)을 보거푸집(10)과 합판거푸집(20) 사이에 배치시키고,
상기 고정브래킷(33)을 내측방향으로 선회시켜 제1 핀부재(36)를 체결하여 고정브래킷(33)의 지지판(33B)으로 서포트프레임(31)을 지지하게 된다.
반대로 거푸집의 해체작업 시에는 제1 핀부재(36)를 분리한 후, 상기 고정브래킷(33)을 외측방향을 선회시켜 제친 후, 상기 보거푸집(10)과 합판거푸집(20) 사이에서 서포트프레임(31)을 바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거푸집의 해체작업 시, 서포트프레임(31)을 해체하기 위해 수직패널용 멍에(15B)를 해체할 필요 없이 수직패널용 멍에(15B)가 고정된 상태에서 수직패널용 멍에(15B)의 방해 없이 서포트프레임(31)의 해체가 가능해짐으로써 해체작업이 쉽고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판(33C)은 선회동작 시에 내측부의 모서리 부분이 다른 구조물에 의하여 방해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내측 모서리 부분을 라운드 형태로 절개하여 라운딩부(33c)를 형성함으로써 고정브래킷(33)의 선회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합판거푸집(20)은 축조되는 보에 따라서 보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고정브래킷(33) 역시 상기 수직패널용 멍에(15B)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설치되는데,
이 경우 이와 관련하여 도 6 및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 연결판(33C)은 상기 지지판(33B)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우선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 연결판(33C)이 지지판(33B)의 양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는 상기 라운딩부(33c)에 상관없이 하나의 수직패널용 멍에(15B)의 양단부 모두에 설치가 가능하므로 고정브라킷(33)은 하나의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 연결판(33C)이 지지판(33B)의 일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는 상기 라운딩부(33c)에 의하여 하나의 수직패널용 멍에(15B)의 특정 단부 부분에만 설치가 가능하므로 고정브래킷(33)은 수직패널용 멍에(15B)의 각 단부에 상응하는 두 가지 형태로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판(33C)이 일측방향으로 배열된 경우에는 수직패널용 멍에(15B)에 고정브래킷(33)의 설치 시, 고정브래킷(33)이 방향성을 갖는데 반해,
상기 연결판(33C)이 양측방향으로 배열된 경우에는 방향성 없이 고정브래킷(33)을 수직패널용 멍에(15B)에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특히 고정브래킷(33)을 하나의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결합수단(30)의 핀부재(35)는 결합공(36a)을 갖는 제1 핀부재(36)와, 체결공(37a)을 갖는 제2 핀부재(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핀부재(36)와 상기 제2 핀부재(37)는 상호 직교하는 형태로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수직패널(13)의 측면 테두리부(13a)에는 상기 제1 접촉지지부(31B)에 대응하도록 상기 서포트프레임(31) 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2 접촉지지부(13b)가 구비되어 상기 각 접촉지지부의 단면이 맞닿고,
상기 제1 및 제2 접촉지지부(31B)(13b)의 접촉부위에는 각 접촉지지부에 반 홈 형태의 제1 및 제2 삽입부(31b)(13d)가 합쳐져 홀 형태의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31b)(13d)는 상기 고정브래킷(33)의 제1 관통공(33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된다.
여기서 보거푸집과 합판거푸집의 설치된 상태에서 결합수단의 설치 시공은
우선 상기 고정브래킷(33)을 선회축핀(34)을 중심으로 내측방향으로 선회시켜 고정브래킷(33)의 지지판(33B)이 서포트프레임(31)의 외측면 맞닿도록 배치시킨 후,
상기 제1 핀부재(36)를 외측방향에서 상기 고정브래킷(33)의 제1 관통공(33a) 및 상기 삽입부(31b)(13d)를 통하여 관통시키게 되면 상기 제1 핀부재(36)의 결합공(36a)은 상기 각 접촉지지부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서포트프레임(31)의 제2 관통공(31a)과 상기 수직패널(13)의 제3 관통공(13c)으로 상기 제2 핀부재(37)를 관통시키게 되면,
상기 제2 핀부재(37)는 상기 각 접촉지지부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2 핀부재(37)는 상기 제1 핀부재(36)의 결합공(36a)에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핀부재(36)와 상기 제2 핀부재(37)는 상호 직교하는 형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핀부재(36)에 형성된 나사부(36b)에 너트(36c)를 체결하여 제1 핀부재(36)를 고정시킨 후,
상기 수직패널(13)의 테두리부(13a)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제2 핀부재(37)의 체결공(37a)에 웨지핀(38)을 체결하여 제2 핀부재(37)를 고정시킴으로써 결합수단의 설치 작업을 종료하게 된다.
다만 이 경우 상기 제1 핀부재(36)와 제2 핀부재(37)의 고정 작업은 먼저 제2 핀부재(37)를 고정시킨 후, 제1 핀부재(36)를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각 핀부재(36)(37)에 의하여 상기 서포트프레임(31), 상기 수직패널(13)이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결합수단(30)에 의한 상기 보거푸집(10)과 상기 합판거푸집(20)이 상호 연결되어 보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조립체가 형성된다.
반대로 거푸집을 해체 시, 결합수단(30)의 해체작업은
우선 상기 제1 핀부재(36)의 나사부(36b)에서 너트(36c)를 완전히 풀어 제1 핀부재로(36)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31b)(13d) 및 상기 제1 관통공(33a)으로부터 상기 제1 핀부재(36)를 분리 배출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 핀부재(37)의 체결공(37a)에서 웨지핀(38)을 제거하고, 상기 수직패널(13)의 제3 관통공(13c), 상기 제1 핀부재(36)의 결합공(36a) 및 상기 서포트프레임(31)의 제2 관통공(31a)으로부터 제2 핀부재(37)를 배출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브래킷(33)을 상기 선회축핀(34)을 중심축으로 외측방향으로 선회시켜 제치게 되면 상기 수직패널용 멍에(15B)를 해체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서포트프레임(31)을 보거푸집(10)과 합판거푸집(20) 사이에서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서포트프레임(31)이 분리되면서 내측에 배치되어 콘크리트면에 접촉되어 있던 제1 접촉지지부(31B)가 콘크리트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2 합판(23)과 상기 수직패널(13) 사이에 상기 이격공간(S)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이격공간(S)은 거푸집 해체를 위한 공구나 장치의 투입을 위한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줌으로써 콘크리트면에 부착된 합판의 분리작업이 용이해지고, 이에 의하여 합판거푸집(20)의 해체작업이 한결 수월해짐으로써 전체 거푸집의 해체작업이 간소화되고, 이에 의한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30)은 보거푸집(10)과 합판거푸집(20)을 상호 연결하여 일체화시키고,
반대로 거푸집의 해체작업 시, 서포트프레임(31)의 제1 접촉지지부(31B)에 의하여 합판거푸집(20)의 해체작업을 편리하도록 함으로써 거푸집조립체의 시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 핀부재가 관통하는 각 접촉지지부의 삽입부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1 접촉지지부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접촉지지부에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경우 상기 삽입부는 홀 형태로 제작되어 제1 핀부재가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프레임의 수용부에 목심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목심에는 상기 제2 관통공 및 제3 관통공에 대응하도록 제5 관통공(미도시)이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제2 핀부재가 뚫고 나지나 관통하거나,
또는 상기 목심을 절단하여 상기 제2 핀부재 상부와 하부 배열되도록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거푸집의 시공 및 해체 작업에 따른 작업 순서는 다양한 구현 방식들 중에서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 작업 여건이나, 현장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 이격공간
1 : 기둥거푸집 2 : 서포트
3 : 지지부재
10 : 보거푸집 11 : 수평패널
13 : 수직패널 13a : 테두리부
13b : 제2 접촉지지부 13c : 제3 관통공
13d : 제2 삽입부 13e : 지지부재
15 : 멍에 15A : 수평패널용 멍에
15B : 수직패널용 멍에 15a : 제2 핀홀
20 : 합판거푸집 21 : 제1 합판
23 : 제2 합판 23a : 돌출부
25 : 보강재 25A : 횡방향 보강재
25B : 종방향 보강재
30 : 결합수단 31 : 서포트프레임
31A : 몸체 31B : 제1 접촉지지부
31C : 수용부 31a : 제2 관통공
31b : 제1 삽입부 33 : 고정브래킷
33A : 전면판 33B : 지지판
33C : 연결판 33a : 제1 관통공
33b : 제1 핀홀 33c : 라운딩부
34 : 선회축핀 35 : 핀부재
36 : 제1 핀부재 36a : 결합공
36b : 나사부 36c : 너트
37 : 제2 핀부재 37a : 체결공
38 : 웨지핀
40 : 목심

Claims (4)

  1. 수평패널과, 상기 수평패널의 양측에 배치되는 수직패널과, 상기 각 패널의 외측에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멍에를 포함하는 보거푸집;
    상기 수평패널 및 수직패널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합판과, 상기 각 합판의 외측면에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거푸집 양측에 배치되는 기둥거푸집과, 상기 보거푸집과의 잉여공간에 설치되는 합판거푸집; 및
    상기 제2 합판과 상기 수직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서포트프레임과,
    상기 수직패널용 멍에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선회동작 가능하고, 상기 서포트프레임을 지지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서포트프레임 및 상기 수직패널을 관통하고, 상기 고정브래킷을 관통하여 상호 직교하는 형태로 결합되는 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보거푸집과 상기 합판거푸집을 연결하는 결합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의 고정브래킷은
    상기 핀부재가 관통 결합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상부 및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서포트프레임에 접하는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부 또는 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직패널용 멍에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의 서포트프레임에는 수용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에 종방향으로 삽입 배열되고, 상기 제2 합판에 접하는 보강용 목심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의 서포트프레임에는 상기 수직패널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접촉지지부가 더 구비되고,
    내측에 배치되는 제1 접촉지지부의 측면부는 상기 수직패널과 상기 제2 합판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 배열되어 콘크리트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KR1020120087463A 2012-08-09 2012-08-09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KR20140020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463A KR20140020583A (ko) 2012-08-09 2012-08-09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463A KR20140020583A (ko) 2012-08-09 2012-08-09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583A true KR20140020583A (ko) 2014-02-19

Family

ID=5026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463A KR20140020583A (ko) 2012-08-09 2012-08-09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058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15482A (zh) * 2017-07-08 2019-01-15 盘锦雨源新创意开发推广有限公司 一种三d手工立体建筑模型组合式模具
KR20190008054A (ko) * 2017-07-14 2019-01-23 서보산업 주식회사 가변형 조립식 보 거푸집 및 이의 시공 공법
CN112523088A (zh) * 2020-11-04 2021-03-19 北京中交桥宇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桥梁施工用模板支护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15482A (zh) * 2017-07-08 2019-01-15 盘锦雨源新创意开发推广有限公司 一种三d手工立体建筑模型组合式模具
KR20190008054A (ko) * 2017-07-14 2019-01-23 서보산업 주식회사 가변형 조립식 보 거푸집 및 이의 시공 공법
CN112523088A (zh) * 2020-11-04 2021-03-19 北京中交桥宇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桥梁施工用模板支护装置
CN112523088B (zh) * 2020-11-04 2022-07-29 北京中交桥宇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桥梁施工用模板支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532B1 (ko) 기둥용 폐단면 강재조립체
KR101194682B1 (ko) 간격조절이 용이한 판넬결합용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모듈
KR20180047905A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구 및 그 고정구의 제작방법
KR20180042007A (ko)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와 기둥을 연결하는 공법
KR20140020583A (ko)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KR20140020582A (ko)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KR101936335B1 (ko)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
JP5828421B1 (ja) プレキャスト工法における型枠支持具および梁施工方法
KR101891322B1 (ko)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KR20190109675A (ko)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
KR101124820B1 (ko) 슬래브 구축용 결합구조
WO2016203483A1 (en) Composite framing and wall
KR20150039954A (ko) 장선재에 간격 유지부재가 체결되는 거푸집 패널
KR101210895B1 (ko) 체결 및 해체의 편의성이 향상된 써포터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판넬 지지모듈
KR20060118832A (ko) 조립식 거푸집의 체결구조 및 그 체결방법
JP5004918B2 (ja) 化粧用プレート部材兼用型枠構造
KR20120057207A (ko) 거푸집 패널 연결구
KR101308055B1 (ko) 저모멘트존을 이용한 pc기둥 접합구조
KR101108283B1 (ko) 판넬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보 거푸집 지지시스템
JP2010216196A (ja) 布基礎のアンカーボルト設置方法およびアンカーボルト・治具セット
KR100685440B1 (ko) 거푸집용 지지구
JP6563186B2 (ja) 木造用柱脚金物
KR101170920B1 (ko) 데크플레이트 연결용 플랜지
KR200459170Y1 (ko) 시스템판넬 결합유닛
KR101138334B1 (ko) 거푸집 패널용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