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8539A -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글루코오스 검출을 위한 나노다공성 금전극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글루코오스 검출을 위한 나노다공성 금전극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8539A
KR20140018539A KR1020120084752A KR20120084752A KR20140018539A KR 20140018539 A KR20140018539 A KR 20140018539A KR 1020120084752 A KR1020120084752 A KR 1020120084752A KR 20120084752 A KR20120084752 A KR 20120084752A KR 20140018539 A KR20140018539 A KR 20140018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cose
gold electrode
npbg
electrod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원
정화경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84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8539A/ko
Publication of KR20140018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글루코오스 검출을 위한 나노다공성 금전극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금 전극을 전처리하여 준비하는 단계; 전처리된 금 전극을 옥살산 전해질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 금 전극을 옥살산 전해질 용액에서 양극산화시키는 단계; 및 양극산화반응을 통해 얻어진 나노다공성 금전극(NPBG)을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글루코오스 검출을 위한 나노다공성 금전극의 제조방법{Method of fabricating Nanoporous black gold electrodes for glucose detection in the presence of chloride ions}
본 발명은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도 글루코오스의 감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글루코오스 검출을 위한 나노다공성 금전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약 분야에서 혈액 등가 같은 생체 시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바이오센서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특히, 당뇨병 환자에게 있어서 여러 가지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혈당의 지속적인 감시와 유지가 필요하다.
글루코오스 센서의 개발 중에서, 효소 기반 글루코오스 센서들이 우수한 선택성과 민감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효소 기반 글루코오스 센서들도 낮은 산소압력 하에서 산소의 부족과 효소 본질적으로 제한된 안정성과 같은 몇 가지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금속 전극을 이용하여 전기화학적 글루코오스 검출을 하는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들도 염소이온(Cl-)의 존재하에서 전극의 비활성문제를 극복해야 하는 단점들이 있다.
따라서, 혈액 속에 존재하는 염소이온(Cl-)의 방해에 대해서도 글루코오스의 전기화학 촉매적 산화효율이 증가되어 감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글루코오스의 전기화학적 검출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있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염소이온의 존재하에서도 감도가 우수하여 글루코오스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한 나노다공성 금전극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글루코오스를 검출 및 정량하는 데 있어서 글루코오스를 안정적으로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나노다공성 금전극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글루코오스 검출을 위한 나노다공성 금전극의 제조방법은,
금 전극을 전처리하여 준비하는 단계; 전처리된 금 전극을 옥살산 전해질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 금 전극을 옥살산 전해질 용액에서 양극산화시키는 단계; 및 양극산화반응을 통해 얻어진 나노다공성 금전극(NPBG)을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극산화단계는,
전압은 2.4V∼2.6V로 하고, 시간은 300∼3,000초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극산화단계는 냉장조(ice bath)에서 0℃를 유지하면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단계는,
얻어진 나노다공성 금전극을 0.1M 인산완충용액 내에서 -0.2V∼1.2V의 전위로 전기화학적으로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염소이온의 존재 하에서도 글루코오스의 검출 감도가 우수하여, 글루코오스를 안정적으로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스텝 타임(step time)을 적용시켜 구조와 표면적을 조절함으로써, 글루코오스의 전기화학촉매적 산화효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염소이온 부재 시에 서로 다른 스텝 타임에서 NPBG 표면에서의 글루코오스 산화에 대한 양극 스캔(anodic scan)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3개의 다른 스텝 타임으로 2.50V에서 준비된 NPBG 층의 SEM 이미지이다.
도 3은 염소이온 존재 시에 서로 다른 스텝 타임에서 NPBG 표면에서의 글루코오스 산화에 대한 양극 스캔(anodic scan)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염소이온이 10mM일 경우이고,
(b)는 염소이온이 50mM일 경우이며,
(c)는 염소이온이 100mM일 경우이다.
도 4a는 염소이온 부재 시에 첨가된 글루코오스에 대한 NPBG 전극의 전류측정 감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염소이온 100mM 존재 시에 글루코오스에 대한 NPBG 전극의 전류측정 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글루코오스 검출을 위한 나노다공성 금전극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글루코오스를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나노다공성 블랙골드(nanoporous black gold: NPBG)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금 전극을 전처리하여 준비한다.
상업용으로 상용되는 금전극을 알루미나 파우더를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폴리싱하여 전처리된 금 전극을 준비한다.
2. 전처리된 금 전극을 옥살산 전해질 용액에 침지한다.
3. 금 전극을 옥살산 전해질 용액에서 양극산화시킨다.
전압은 2.4V∼2.6V로 하고, 시간은 300∼3,000초로 하여 양극산화시킨다. 이때, 전압이 2.4V 이하이면 NPBG의 형성이 너무 느리고, 전압이 2.6V 이상이면 NPBG의 형성은 빠르지만 그 부착 구조가 불안정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시간이 300초 이하이면 NPBG 구조가 형성되지 않고, 3,000초 이상이면 NPBG층의 형성이 불안정해서 층이 탈락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양극산화반응 동안에는 냉장조(ice bath)에서 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NPBG 전극을 세척한다.
NPBG 전극을 0.1M 인산완충용액 내에서 -0.2V∼1.2V의 전위로 5회정도 싸이클링함으로써 전기화학적으로 세척한다.
상기와 같은 NPBG 전극의 제조에 있어서, 스텝 타임(step time)은 글루코오스의 전기화학적 검출을 위한 NPBG 전극의 감응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조절된다.
<실시예 1>
상업용으로 판매하는 금 전극을 알루미나 분말로 폴리싱한 후에, 그 전처리된 금 전극을 3-전극 시스템으로 구성된 셀에서 0.3M 옥살산을 전해질로 하여 양극산화반응시킨다. 양극산화반응 동안에는 냉장조(ice bath)에서 0℃를 유지되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NPBG 전극은 글루코오스 산화측정 전에 0.1M 인산완충용액 내에서 -0.2V∼1.2V의 전위로 5회정도 싸이클링함으로써 전기화학적으로 세척되고, 최종적으로 글루코오스 검출에 활용될 NPBG를 얻었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1에서 얻어진 NPBG 표면을 10mM 클루코스와 0.1M 인산완충용액(pH7.0)의 혼합용액에 침지하고 서로 다른 스텝 타임에서의 양극 스캔을 진행하였다. 염소이온은 존재하지 않은 분위기이다. 스캔 속도는 10mV/s이다(도 1 참조).
도 1을 참조하면, 글루코오스 산화를 위한 양극 전류밀도가 순수한 금전극 표면(bare Au surface)과 비교하여 NPBG표면에서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전류의 증가는 전기화학적 표면적의 증가로부터 기대되는 것보다 더 큰 것이었다.
순수한 금 표면에서는 하나의 양극 피크(anodic peak)만이 0.35V에서 관찰되었다. 이것은 Au 표면에서 글루코오스의 전기화학적 산화반응 동안에 OH-의 화학흡착에 의해서 AuOH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순수한 Au 전극이 거칠기 때문에, AuOH의 형성을 위해 활성화되는 Au 표면구역이 만들어지고, 그때 0.35V에서 글루코오스 산화를 위한 전기화학적인 활성화가 존재하는 것이다.
한편, NPBG 표면에서 글루코오스 산화를 위해서 2개의 양극 피크가 관찰되는데, 이는 나노구조로 형성된 Au 표면에서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특성이다. 0.25V에서 관찰되는 양극 파형은 Au 표면이 NPBG 구조의 형태로서 거칠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추정된다. -0.15V의 주위에서 새롭게 형성된 양극 피크는 순수한 금전극 표면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그 구역에서 높은 표면에너지로 활성표면 지역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2는 3개의 다른 스텝 타임으로 2.50V에서 준비된 NPBG 층의 SEM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서 (A)는 스텝 타입이 300초일 때의 이미지이고, (B)는 스텝 타임이 1,500초일 때의 이미지이며, (C)는 스텝 타임이 2,700초일 때의 이미지이다. 또한, 첫번째 줄은 저해상도의 이미지이고, 두번째 줄은 고해상도의 이미지이며, 세번째 줄은 단면 이미지이다.
스텝 타임이 길어짐에 따라 기공의 크기가 다소 증가했지만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다공성 구조의 두께는 깊어졌으며 이에 따라 표면적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1에서 얻어진 NPBG 표면을 10mM 클루코스와 0.1M 인산완충용액(pH7.0)의 혼합용액에 침지하고 서로 다른 스텝 타임에서의 양극 스캔을 진행하였다. 염소이온은 각각 10mM, 50mM, 100mM 존재하는 분위기이다. 스캔 속도는 10mV/s이다(도 3a, 도 3b, 도 3c 참조).
도 3a는 염소이온이 10mM일 경우로서, -0.15V에서 글루코오스 산화를 위한 첫 번째 양극 파형은 염소이온의 첨가에 따라 빠르게 감소하는 반면에, 0.2V에서의 두번째 양극 파형은 도 1의 염소이온 부재시에 얻어진 전류 수준과 유사하게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b는 염소이온이 50mM일 경우로서, 0.2V에서 두번째 양극 파형이 도 3a보다는 작지만 중간 정도로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c는 염소이온이 100mM일 경우로서, 0.2V에서 두번째 양극 파형이 아주 작게 형성되지만, 그래도 순수한 금 전극에서보다는 감도를 유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3a 내지 도 3c에 따르면, 낮은 표면에너지를 갖는 Au 구역의 일부가 염소이온에 의해서 방해되지만, Au 구역의 남은 부분이 아직까지는 글루코오스의 전기적산화반응에 관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서 얻어진 NPBG 전극을 활용하여 글루코오스를 검출할 때 염소이온이 존재하더라도 감도를 유지하면서 검출을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기존의 다른 금속 전극들은 염소이온의 존재 하에서는 감도가 전혀 없거나 작아서 글루코오스를 검출할 수 없었다.
도 4a는 염소이온 부재 시에 첨가된 글루코오스에 대한 NPBG 전극의 전류측정 감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염소이온 100mM 존재 시에 글루코오스에 대한 NPBG 전극의 전류측정 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에 있어서, 0.2V의 전압에서 글루코오스를 3, 6, 9, 12, 15m을 각각 첨가하면서 NPBG 표면에서의 전류측정 감도를 측정하였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염소이온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NPBG 전극은 10μM 만큼 낮은 글루코오스의 농도에서도 전류측정 감도를 만들어내고 있다. 전류측정 감도로부터 얻어진 검정도(calibration plot)가 도 4a의 내부에 도면으로 삽입되어 있다.
도 4b를 참조해 보면, NPBG 전극에서 측정된 전류는 훨씬 높은 글루코오스 농도에서 약간 편향된 상태를 보이지만, 글루코오스 농도의 증가에 따라서 대체로 비례해서 증가한다. 도 4b에서 보듯이, 염소이온이 존재할 경우에는 글루코오스의 검출을 위한 민감도가 줄어들기는 하지만, 그래도 감도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NPBG 전극은 글루코오스 검출에 활용할 수 있고 우수한 검출 감도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4)

  1. 금 전극을 전처리하여 준비하는 단계;
    전처리된 금 전극을 옥살산 전해질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
    금 전극을 옥살산 전해질 용액에서 양극산화시키는 단계; 및
    양극산화반응을 통해 얻어진 나노다공성 금전극(NPBG)을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글루코오스 검출을 위한 나노다공성 금전극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산화단계는,
    전압은 2.4V∼2.6V로 하고, 시간은 300∼3,000초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글루코오스 검출을 위한 나노다공성 금전극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산화단계는 냉장조(ice bath)에서 0℃를 유지하면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글루코오스 검출을 위한 나노다공성 금전극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단계는,
    얻어진 나노다공성 금전극을 0.1M 인산완충용액 내에서 -0.2V∼1.2V의 전위로 전기화학적으로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글루코오스 검출을 위한 나노다공성 금전극의 제조방법.
KR1020120084752A 2012-08-02 2012-08-02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글루코오스 검출을 위한 나노다공성 금전극의 제조방법 KR201400185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752A KR20140018539A (ko) 2012-08-02 2012-08-02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글루코오스 검출을 위한 나노다공성 금전극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752A KR20140018539A (ko) 2012-08-02 2012-08-02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글루코오스 검출을 위한 나노다공성 금전극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539A true KR20140018539A (ko) 2014-02-13

Family

ID=50266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752A KR20140018539A (ko) 2012-08-02 2012-08-02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글루코오스 검출을 위한 나노다공성 금전극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853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9233A (zh) * 2015-03-31 2015-07-01 山东大学 一种基于适配体修饰的纳米多孔金的双酚a传感器及方法
KR20160039027A (ko) 2014-09-30 2016-04-0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화학적 석출법을 이용한 삼차원 백금 공 구조체 제조방법
CN105734606A (zh) * 2014-12-10 2016-07-06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spe水电解用超薄膜电极的结构及其制备和应用
KR20190033809A (ko) 2017-09-22 2019-04-01 울산과학기술원 계층 구조를 가지는 다공성 금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9027A (ko) 2014-09-30 2016-04-0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화학적 석출법을 이용한 삼차원 백금 공 구조체 제조방법
CN105734606A (zh) * 2014-12-10 2016-07-06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spe水电解用超薄膜电极的结构及其制备和应用
CN104749233A (zh) * 2015-03-31 2015-07-01 山东大学 一种基于适配体修饰的纳米多孔金的双酚a传感器及方法
CN104749233B (zh) * 2015-03-31 2017-09-01 山东大学 一种基于适配体修饰的纳米多孔金的双酚a传感器及方法
KR20190033809A (ko) 2017-09-22 2019-04-01 울산과학기술원 계층 구조를 가지는 다공성 금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rowska et al. Silver nanowire array sensor for sensitive and rapid detection of H2O2
Seo et al. Electrooxidation of glucose at nanoporous gold surfaces: structure dependent electrocatalysis and its application to amperometric detection
Mahshid et al. Sensitive determination of dopamine in the presence of uric acid and ascorbic acid using TiO2 nanotubes modified with Pd, Pt and Au nanoparticles
Yuan et al. Highly ordered platinum‐nanotubule arrays for amperometric glucose sensing
Maaoui et al. Copper oxide supported on three-dimensional ammonia-doped porous reduced graphene oxide prepared through electrophoretic deposition for non-enzymatic glucose sensing
Sun et al. Effect of electric field strength on the length of anodized titania nanotube arrays
Haghighi et al. Direct electron transfer from glucose oxidase immobilized on an overoxidized polypyrrole film decorated with Au nanoparticles
Roberts et al. Comparison of electrode materials for the detection of rapid hydrogen peroxide fluctuations using background-subtracted fast scan cyclic voltammetry
Han et al. Single molecular catalysis of a redox enzyme on nanoelectrodes
Xu et al. Modification of polypyrrole nanowires array with platinum nanoparticles and glucose oxidase for fabrication of a novel glucose biosensor
Bravo et al.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in miniaturized sensor design for uric acid
Suneesh et al. Tantalum oxide honeycomb architectures for the development of a non-enzymatic glucose sensor with wide detection range
KR20140018539A (ko)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글루코오스 검출을 위한 나노다공성 금전극의 제조방법
Shankar et al. Detection of epinephrine in presence of serotonin and ascorbic acid by TTAB modified carbon paste electrode: a voltammetric study
Wooten et al. Amperometric determination of glucose at conventional vs. nanostructured gold electrodes in neutral solutions
Patella et al. Nanowire ordered arrays for electrochemical sensing of H2O2
Hasnat et al. A dual-plate ITO–ITO generator–collector microtrench sensor: surface activation, spatial separation and suppression of irreversible oxygen and ascorbate interference
Gross et al. Boron-doped diamond dual-plate microtrench electrode for generator–collector chloride/chlorine sensing
da Silva et al. Rapid and selective detection of dopamine in human serum using an electrochemical sensor based on zinc oxide nanoparticles, nickel phthalocyanines, and carbon nanotubes
Blanco et al. A novel nickel nanowire amperometric sensor: Direct current vs. alternating current strategies for ethanol, acetaldehyde and acetylcholine detection
Kitte et al. Electrochemical determination of hydrogen peroxide at glassy carbon electrode modified with palladium nanoparticles
Pourghobadi et al. Voltammetric determination of dopamine using modified glassy carbon electrode by electrografting of catechol
Gao et al. Voltammetric and amperometric determination of ascorbic acid at a chemically modified carbon fibre microelectrode
Stanley et al. Vertically aligned TiO2 nanotube arrays decorated with CuO mesoclusters for the nonenzymatic sensing of glucose
Fei et al. Amperometric determination of ascorbic acid at an electrodeposited redox polymer film modified gold electr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