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0530A - 낮은 접촉 저항 탄소 나노튜브 상호연결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낮은 접촉 저항 탄소 나노튜브 상호연결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0530A
KR20130140530A KR1020120145254A KR20120145254A KR20130140530A KR 20130140530 A KR20130140530 A KR 20130140530A KR 1020120145254 A KR1020120145254 A KR 1020120145254A KR 20120145254 A KR20120145254 A KR 20120145254A KR 20130140530 A KR20130140530 A KR 20130140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line
carbon
layer
dielectric layer
interconn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0832B1 (ko
Inventor
시엔창 우
시앙후안 리
사우린 수에
Original Assignee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40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0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3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01L23/53204Conductive materials
    • H01L23/53209Conductive materials based on metals, e.g. alloys, metal silic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1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 H01L21/76843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formed in openings in a dielec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 H01L21/76879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by selective deposition of conductive material in the vias, e.g. selective C.V.D. on semiconductor material, pl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3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01L23/53204Conductive materials
    • H01L23/53276Conductive materials containing carbon, e.g. fullere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10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 H01L2221/1068Formation and after-treatment of conductors
    • H01L2221/1094Conducting structures comprising nanotubes or nano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장치는 기판 위에 형성된 제1 유전체층, 제1 유전체층 내에 매립된 제1 금속 라인, 제1 유전체층 위에 형성된 제2 유전체층, 제2 유전체층 내에 매립된 제2 금속 라인, 제1 금속 라인과 제2 금속 라인 사이에서 형성된 상호연결 구조물, 제1 금속 라인과 상호연결 구조물 사이에서 형성된 제1 탄소층 및 제2 금속 라인과 상호연결 구조물 사이에서 형성된 제2 탄소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낮은 접촉 저항 탄소 나노튜브 상호연결부를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LOW CONTACT RESISTANCE CARBON NANOTUBE INTERCONNECT}
본 발명은 낮은 접촉 저항 탄소 나노튜브 상호연결부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산업은 다양한 전자 컴포넌트들(예컨대,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저항기, 캐패시터 등)의 집적 밀도에서의 끊임없는 향상으로 인해 급격한 성장을 경험해 왔다. 대부분, 이러한 집적 밀도에서의 향상은 최소 피처 크기의 반복된 감축으로부터 유발되었으며, 이것은 주어진 면적내로 보다 많은 컴포넌트들이 집적되도록 해준다. 최근에 훨씬 작은 전자 디바이스들에 대한 요구가 커져감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들의 열적 성능을 한층 더 향상시키기 위해 상호연결부들과 같은 저저항 구조물들에 대한 필요성은 커져갔다.
반도체 디바이스들은 기판 상에서 형성된 트랜지스터, 캐패시터, 저항기 등과 같은 다양한 반도체 구조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금속 합금 등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도전층들은 유전체층들에 의해 분리된다. 반도체 구조물들을 상호연결시키고, 금속층과 그에 인접한 금속층간에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도전층들 사이에 형성된 다양한 상호연결 구조물들이 존재할 수 있다.
저저항 상호연결 구조물들을 형성하기 위해 탄소 나노튜브들이 활용되어 왔다. 탄소 나노튜브는 탄소 원자들로 형성된 튜브 구조물이다. 탄소 나노튜브들은 높은 강도, 높은 열전도도, 우수한 전기 전도도, 우수한 일렉트로 마이그레이션(electro-migr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고유 특성들을 갖는다. 탄소 나노튜브들의 전자적 특성들은 각자의 구조 차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탄소 나노튜브들은 길이, 직경 등과 같은 각자의 물리적 파라미터들에 따라 금속성 특성 또는 반도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직경들과 같은 적절한 물리적 파라미터들을 선택함으로써, 탄소 나노튜브들은 우수한 도전성 물질이 될 수 있다. 특히, 단일 탄소 나노튜브는 고저항을 가질지라도, 병렬로 성장된 복수의 탄소 나노튜브들은 구리만큼 낮은 저항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탄소 나노튜브들은 고전류 밀도들을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이 탄소 나노튜브들은 상호연결 구조물들을 위한 우수한 재료가 될 수 있다. 하지만, 탄소 나노튜브들에 의해 형성된 상호연결 구조물들은 탄소 나노튜브들과 이에 대응하는 금속 라인들간의 고저항 접촉으로 인해 높은 저항을 가질 수 있다.
장치는 기판 위에 형성된 제1 유전체층, 제1 유전체층 내에 매립된 제1 금속 라인, 제1 유전체층 위에 형성된 제2 유전체층, 제2 유전체층 내에 매립된 제2 금속 라인, 제1 금속 라인과 제2 금속 라인 사이에서 형성된 상호연결 구조물, 제1 금속 라인과 상호연결 구조물 사이에서 형성된 제1 탄소층 및 제2 금속 라인과 상호연결 구조물 사이에서 형성된 제2 탄소층을 포함한다.
탄소 나노튜브들과 금속 라인들(예컨대, 제1 금속 라인)간의 접착이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접착이 향상됨에 따라, 탄소 나노 튜브들과 금속 라인간의 계면 저항은 감소된다.
본 개시내용과, 본 개시내용의 장점들의 보다 완벽한 이해를 위해, 이제부터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 설명을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탄소층의 형성 이전의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화학적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공정을 이용하여 탄소층이 증착된 후의 도 2에서 도시된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도 3에서 도시된 반도체 디바이스의 개구에 촉매 CVD 공정이 적용된 후의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도 4에서 도시된 반도체 디바이스에 또다른 CVD 공정이 적용된 후의 상호연결 구조물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도 5에서 도시된 상호연결 구조물에 화학적 기계적 폴리싱(chemical mechanical polish; CMP) 공정이 적용된 후의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도 6에서 도시된 상호연결 구조물에 패턴화 공정이 적용된 후의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도 7에서 도시된 상호연결 구조물에 탄소 증착 공정 및 금속화 공정이 적용된 후의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소 나노튜브 상호연결 구조물을 갖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 내지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도 9에서 도시된 상호연결 구조물을 제조하는 중간 단계들을 도시한다.
여러 도면들에서의 대응하는 숫자들 및 심볼들은 이와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대응하는 부분들을 가리킨다. 다양한 실시예들의 관련된 양태들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들이 도시되고 있으며, 도면들은 반드시 실척도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들의 실시 및 이용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폭넓게 다양한 특정 환경들에서 구체화될 수 있는 많은 적용가능한 발명적 개념들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설명하는 특정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을 실시하고 이용하는 특정한 방법들에 대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한정시키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내용을 특정한 환경에서의 실시예들, 즉, 탄소 나노튜브 상호연결부 및 탄소 나노튜브 상호연결부와 그에 인접해 있는 금속층 사이의 탄소층을 갖는 반도체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지만,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또한 다양한 반도체 디바이스들의 구조물들에 적용될 수 있다. 이후에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반도체 디바이스는 기판(102)을 포함한다. 제1 금속 라인(112)이 기판(102) 위에 형성된다. 제2 금속 라인(116)이 제1 금속 라인(112) 위에 형성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금속 라인(112)과 제2 금속 라인(116) 사이에서 형성된 탄소 나노튜브 상호연결 구조물(114)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제1 금속 라인(112)과 상호연결 구조물(114)의 바닥 사이에서 형성된 제1 탄소층(122)이 존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금속 라인(116)과 상호연결 구조물(114)의 윗면 사이에서 형성된 제2 탄소층(124)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또한 탄소링에 의해 둘러싸여진 상호연결 구조물(114)과 탄소층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여진 제2 금속 라인(116)을 도시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전체층(104)은 기판(102) 위에 형성된다. 제1 금속 라인(112)과 상호연결 구조물(114)은 제1 유전체층(104) 내에 매립된다. 캡 층(132)이 제1 유전체층(104) 위에서 증착된다. 제2 유전체층(126)이 캡 층(132) 위에서 형성된다. 제2 금속 라인(116)은 제2 유전체층(126) 내에 매립된다.
기판(102)은 실리콘, 게르마늄, 다이아몬드 등과 같은 적절한 반도체 물질들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실리콘 게르마늄, 실리콘 카바이드, 갈륨 비소, 인듐 비소, 인듐 인, 실리콘 게르마늄 카바이드, 갈륨 비소 인, 갈륨 인듐 인, 이들의 조합 등과 같은 다른 결정 배향들을 갖는 화합물 물질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기판(102)은 실리콘 온 절연체(silicon-on-insulator; SOI)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SOI 기판은 에피택셜 실리콘, 게르마늄, 실리콘 게르마늄, SOI, SGOI(silicon germanium on insulator),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반도체 물질층을 포함한다. 기판(102)은 붕소, 알루미늄, 갈륨 등과 같은 p형 도펀트로 도핑될 수 있지만, 이와 달리 기판은 본 업계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n형 도펀트로 도핑될 수 있다.
제1 금속 라인(112)과 제2 금속 라인(116)은 임의의 적절한 형성 공정(예컨대, 에칭, 다마신, 듀얼 다마신을 갖춘 리소그래피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구리,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들, 구리 합금들 등과 같은 적절한 도전성 물질들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금속 라인(112)은 마스크들이 제1 유전체층(104)의 표면상에서 증착되고, 그 표면내로 구멍들이 에칭되며, 이러한 구멍들을 채우기 위해 (텅스텐 또는 구리와 같은) 도전성 물질이 이용되는 다마신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금속 라인(112)은 하나 이상의 도전성 물질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금속 라인(112)은 배리어층들, 접착제층들, 다수의 도전층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금속 라인(116)의 형성은 제1 금속 라인(112)의 형성과 유사하며, 이에 따라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자세하게 논의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유전체층(104)과 제2 유전체층(126)은 낮은 유전상수(k 값), 바림직하게는 약 3.0보다 낮은 유전상수를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유전체층(104)과 제2 유전체층(126)은 약 2.5보다 작은 k 값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이것을 때때로 극저 k(extra low-k; ELK) 유전체층이라고 부른다. 제1 유전체층(104)과 제2 유전체층(126)은 탄소 함유 유전체 물질들과 같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고, 질소, 수소, 산소, 및 이들의 조합을 더 함유할 수 있다. k 값을 낮추기 위해 다공성 구조물이 이용될 수 있다.
캡 층(132)은 제1 유전체층(104)의 최상단 상에 형성된다. 캡 층(132)은 질소가 없으며, 탄소와 산소와 같은 물질들을 포함한다. 캡 층(132)은 또한 후속하여 형성된 금속 하드마스크를 패턴화하기 위해 이용되는 BARC(bottom anti-reflective coating)로서 이용된다. 그러므로, 캡 층(132)을 대안적으로 NFARC(nitrogen-free anti-reflective coating)이라고 부른다. 캡 층(132)의 형성 방법은 화학적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및 물리적 기상 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PVD)을 포함한다. 하지만, 원자층 증착(atomic layer deposition; ALD)과 같은 다른 방법들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하드 마스크(미도시됨)는 캡 층(132)의 최상단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하드 마스크는 Ti, TiN, Ta, TaN, Al 등과 같은, 금속성 물질들로 형성될 수 있지만, 비금속 하드 마스크 기법에서는, SiO2, SiC, SiN 및 SiON과 같은 비금속성 물질들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도 1에서 도시된 상호연결 구조물(114)을 제조하는 중간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탄소층의 형성 이전의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금속 라인(112)은 기판(102) 위에 형성된다. 제1 유전체층(104)이 기판(102) 위에 형성된다. 제1 유전체층(104)에서 제1 금속 라인(112)의 최상단상에 개구(202)가 존재할 수 있다. 개구(202)는 상호연결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트렌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유전체층(104)은 로우 k 유전체 물질들로 형성될 수 있다. 화학적 기계적 폴리싱(CMP)으로부터 로우 k 유전체 물질들을 보호하기 위해, 캡 층(132)이 유전체층(104) 위에 형성된다. 캡 층(132)은 NFARC(nitrogen-free anti-reflective coating) 물질들로 형성될 수 있다. 캡 층(132)은 CVD, PVD, ALD 등과 같은 적절한 제조 공정들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유전체층(104)을 한층 더 보호하기 위해, 하드 마스크(미도시됨)가 캡 층(132)의 최상단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하드 마스크는 Ti, TiN, Ta, TaN, Al 등과 같은 금속 물질들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드 마스크는 SiO2, SiC, SiN, SiON 등과 같은 비금속 물질들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CVD 공정을 이용하여 탄소층이 증착된 후의 도 2에서 도시된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탄소층(122)은 제1 금속 라인(112)의 최상단, 개구(202)의 측벽들 및 캡 층(132)의 윗면 상에 증착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탄소층(122)은 CVD, 플라즈마 강화된 CVD(plasma enhanced CVD; PECVD) 등과 같은 적절한 제조 기술들을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CVD 공정이 이용될 때, CH4, C2H4, C2H2 등과 같은 탄화수소 가스는 결정화되어 탄소층(122)을 형성한다. 탄소층(122)은 약 1 나노미터 내지 약 10 나노미터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탄소층(122)을 형성하기 위해 CVD 공정을 이용하는 한가지 유리한 특징은 CVD 공정은 두 개의 도전층들 사이에 연결된 좁은 비아와 같은 좁은 개구에서 탄소층(122)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이다.
도 3은 탄소층(122)의 바닥부가 제1 금속 라인(112)의 금속면상에서 코팅된 단일 탄소층인 것을 도시하지만, 탄소층(122)의 바닥부의 탄소 내용물은 제1 금속 라인(112)의 금속과 반응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그 결과, 탄소층(112)의 바닥부는 탄소와 금속 모두를 포함한 합금일 수 있다.
탄소층(122)을 갖는 한가지 유리한 특징은 탄소층(122)은 탄소층(122)의 최상단상에 형성된 탄소 나노튜브들과 제1 금속층(112) 사이에서 아교층으로서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그 결과, 탄소 나노튜브들과 금속 라인들(예컨대, 제1 금속 라인(112))간의 접착이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접착이 향상됨에 따라, 탄소 나노 튜브들(여기서는 미도시됨, 하지만 도 1에서는 도시되어 있음)과 금속 라인(112)간의 계면 저항은 감소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도 3에서 도시된 반도체 디바이스의 개구에 촉매 CVD 공정이 적용된 후의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촉매 CVD 공정의 제조 공정들에 따라, 탄소 나노튜브 성장 공정 이전에 복수의 촉매 패드들이 개구(여기서는 미도시됨, 하지만 도 3에서는 도시되어 있음)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촉매 패드들은 Fe, Ni 및 Co를 포함한 알루미나(Al2O3)와 같은 촉매 금속들로 형성될 수 있다. 촉매 패드들은 리프트 오프 기술과 같은 적절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바닥층의 표면상에서 증착될 수 있다.
리프트 오프 기술의 제조 프로시저들에 따라, 포토레지스트층(미도시됨)이 바닥층상에 형성된다. 패턴화 공정 이후, 복수의 개구들이 탄소 나노튜브들의 미리결정된 위치들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촉매 금속들은 개구들 내에서 증착된다. 세정 공정 후, 포토레지스트층은 제거된다. 포토레지스트층의 표면 위의 촉매 금속 부분들은 리프트 오프되어 포토레지스트층과 함께 세정되어 없어진다. 그 결과, 복수의 촉매 패드들(미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나노튜브들(402)은 CVD 공정에 의해 성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서 도시된 반도체 디바이스는 탄화수소 가스/ArH2와 같은 혼합 가스를 함유한 튜브 노(tube furnace)에 배치될 수 있다. 튜브 노의 온도가 약 400도 내지 약 600도와 같은 높은 수준까지 상승할 때, 메탄 가스는 분해될 수 있고 탄소 원자들은 촉매 패드들상에서 결정화되어, 탄소 나노튜브들(40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도 4에서 도시된 상호연결 구조물에 또다른 CVD 공정이 적용된 후의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에서 도시된 인접한 탄소 나노튜브들(402) 사이의 빈공간은 CVD, PECVD 등을 통해 제조된 TEOS(tetraethyl orthosilicate)와 같은 적절한 제조 기술들을 이용하여 SiO2로 채워질 수 있다. 그 결과,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탄소 나노튜브들(114)이 SiO2에 매립될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도 5에서 도시된 상호연결 구조물에 CMP 공정이 적용된 후의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CMP 공정이 수행되어 도 5에서 도시된 탄소 나노튜브들(114)의 과잉 부분들을 제거하고, 나머지 부분들은 탄소 나노튜브 상호연결 구조물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도 6에서 도시된 상호연결 구조물에 패턴화 공정이 적용된 후의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캡 층(132)이 제1 로우 k 유전체층(104)의 최상단 상에 형성된다. 제2 유전체층(126)이 캡 층(132) 위에서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유전체층(126)은 로우 k 유전체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캡 층(132)과 제2 유전체층(126)이 형성될 때, 제2 유전체층(126)은 패턴화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유전체층(126)은 예컨대 포토리소그래피 마스킹 및 에칭 공정을 이용하여 패턴화될 수 있고, 이로써 포토리소그래피 마스크(도 7에서는 미도시됨)가 제2 유전체층 위에 형성되고 그 후 패턴화된 광에 노출된다. 노광 이후, 포토리소그래피 마스크의 원하는 부분들이 제거되어 그 아래에 있는 유전체층을 노출시키고, 그 후 유전체층이 에칭되어 노출된 부분들은 제거될 수 있으며, 이로써 제2 유전체층(126)이 패턴화되어 도 7에서 도시된 개구(702)가 형성된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도 7에서 도시된 상호연결 구조물에 탄소 증착 공정 및 금속화 공정이 적용된 후의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탄소 증착 공정은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탄소 증착 공정과 유사하므로, 반복을 회피하기 위해 보다 자세하게 논의하지는 않는다.
금속화 공정이 다마신 공정과 같은 적절한 제조 공정들을 이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고, 이로써 제일먼저 도전성 시드층이 증착될 수 있고, 그런 후 구리 등과 같은 도전성 물질이 전기증착으로 개구 내에 채워진다. 도전성 물질을 트렌치 내에 채운 후, CMP 공정이 이용되어 표면을 폴리싱할 수 있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탄소 나노튜브 상호연결 구조물을 갖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의 단면도는 탄소 나노튜브 상호연결 구조물(114)이 탄소층에 의해 둘러싸여지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의 단면도와 유사하다. 대신에, 금속 라인들(예컨대, 제1 금속 라인(112))이 탄소층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라인들(예컨대, 제1 금속 라인(112)과 제2 금속 라인(116))은 탄소 금속 합금으로 형성된다. 열 공정과 같은 적절한 탄소 확산 공정을 통해, 탄소 금속 합금의 탄소 원자들은 탄소 확산 상태에 있다. 그 결과, 얇은 탄소층이 금속 라인(예컨대, 제1 금속 라인(112))을 둘러싸면서 형성된다.
도 10 내지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도 9에서 도시된 상호연결 구조물을 제조하는 중간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10 내지 도 16은 탄소 증착 단계가 생략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2 내지 도 8과 유사하다. 대신에, 금속 라인과 탄소 나노튜브 구조물 사이에 탄소 계면층을 형성하기 위해 탄소 금속 합금을 포함한 금속 라인들이 이용된다. 특히, 탄소 금속 합금의 탄소 원자들이 탄소 확산 상태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열 공정이 이용된다. 그 결과,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탄소층이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에서 도시된 반도체 디바이스는 온도가 400도까지 상승하는 체임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탄소 원자들은 확산되어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얇은 탄소층을 형성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얇은 탄소층은 약 2 나노미터 내지 약 5 나노미터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 및 그 장점들을 자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다양한 변경, 대체, 및 변동이 첨부된 청구범위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개시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출원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된 물질, 수단, 방법, 및 단계의 프로세스, 머신, 제품, 구성의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본 발명분야의 당업자라면 여기서 설명된 대응하는 실시예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달성하는, 현존하거나 후에 개발될 물질, 수단, 방법, 또는 단계의 공정, 머신, 제조, 조성이 본 개시내용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본 개시내용으로부터 손쉽게 알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들은 이와 같은 물질, 수단, 방법, 또는 단계의 공정, 머신, 제조, 조성을 청구항의 범위내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Claims (10)

  1. 장치에 있어서,
    기판 위에 형성된 제1 금속 라인;
    상기 제1 금속 라인 위에 형성된 제1 탄소층;
    상기 제1 탄소층 위에 형성된 탄소 나노튜브 상호연결부;
    상기 탄소 나노튜브 상호연결부 위에 형성된 제2 탄소층; 및
    상기 제2 탄소층 위에 형성된 제2 금속 라인
    을 포함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제1 유전체층과 상기 탄소 나노튜브 상호연결부의 제1 측벽 사이에 형성된 제1 수직 탄소층; 및
    상기 제1 유전체층과 상기 탄소 나노튜브 상호연결부의 제2 측벽 사이에 형성된 제2 수직 탄소층
    을 더 포함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 라인을 둘러싸는 제1 탄소 링; 및
    상기 제2 금속 라인을 둘러싸는 제2 탄소 링
    을 더 포함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제1 유전체층; 및
    상기 제1 유전체층 위에 형성된 제2 유전체층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금속 라인은 상기 제1 유전체층 내에 매립되고,
    상기 제2 금속 라인은 상기 제2 유전체층 내에 매립된 것인, 장치.
  5. 디바이스에 있어서,
    기판 위에 형성된 제1 유전체층;
    상기 제1 유전체층 내에 매립된 제1 금속 라인;
    상기 제1 유전체층 위에 형성된 제2 유전체층;
    상기 제2 유전체층 내에 매립된 제2 금속 라인;
    상기 제1 금속 라인과 상기 제2 금속 라인 사이에서 형성된 상호연결 구조물;
    상기 제1 금속 라인과 상기 상호연결 구조물 사이에서 형성된 제1 탄소층; 및
    상기 제2 금속 라인과 상기 상호연결 구조물 사이에서 형성된 제2 탄소층
    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6. 방법에 있어서,
    기판 위에 제1 금속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금속 라인 위에 제1 탄소층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제1 탄소층상에서 복수의 촉매 패드들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촉매 패드들상에서 복수의 탄소 나노튜브들을 성장시키는 단계;
    유전체 물질을 증착하여 상기 탄소 나노튜브들 사이의 빈공간을 채움으로써 상호연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호연결층 위에 제2 탄소층을 증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탄소층 위에 제2 금속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제1 화학적 기상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금속 라인 위에 상기 제1 탄소층을 증착하는 단계; 및
    제2 화학적 기상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금속 라인 위에 상기 제2 탄소층을 증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물질을 증착하여 상기 탄소 나노튜브들 사이의 빈공간을 채움으로써 상호연결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상호연결층의 표면을 폴리싱하기 위해 화학적 기계적 폴리싱 공정을 적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제1 탄소 금속 합금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금속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금속 라인에 제1 열 공정을 적용하여 상기 제1 금속 라인을 둘러싸는 제1 자연 탄소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제2 탄소 금속 합금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금속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금속 라인에 제2 열 공정을 적용하여 상기 제2 금속 라인을 둘러싸는 제2 자연 탄소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20145254A 2012-06-14 2012-12-13 낮은 접촉 저항 탄소 나노튜브 상호연결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30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23,644 2012-06-14
US13/523,644 US8624396B2 (en) 2012-06-14 2012-06-14 Apparatus and method for low contact resistance carbon nanotube interconne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530A true KR20130140530A (ko) 2013-12-24
KR101430832B1 KR101430832B1 (ko) 2014-08-18

Family

ID=49475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254A KR101430832B1 (ko) 2012-06-14 2012-12-13 낮은 접촉 저항 탄소 나노튜브 상호연결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24396B2 (ko)
KR (1) KR101430832B1 (ko)
CN (1) CN103515354B (ko)
DE (1) DE102012108666B3 (ko)
TW (1) TWI4950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4600B2 (ja) * 2012-12-27 2014-11-12 株式会社東芝 配線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10490411B2 (en) * 2017-05-19 2019-11-26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for enabling self-aligned lithography on metal contacts and selective deposition using free-standing vertical carbon structure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3870A (ko) * 1996-09-30 1998-07-06 배순훈 Tvcr로 tv 방송 프로그램 녹화시 녹화일시 기록방법
KR100420663B1 (ko) * 2001-01-09 2004-03-02 주식회사 켐온 퀴놀린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약학적조성물
KR100393189B1 (ko) * 2001-01-10 200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mram 및 그 제조 방법
KR100837393B1 (ko) 2002-01-22 2008-06-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탄소와 친화도가 높은 금속을 전극으로 구비하는 전자소자
US20040182600A1 (en) 2003-03-20 2004-09-23 Fujitsu Limited Method for growing carbon nanotube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tructure of ohmic connection to carbon element cylindrical structure body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20100244262A1 (en) * 2003-06-30 2010-09-30 Fujitsu Limited Deposition method and a deposition apparatus of fine particles, a forming method and a forming apparatus of carbon nanotubes, and a semiconductor devi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DE102004049453A1 (de) 2004-10-11 2006-04-20 Infineon Technologies Ag Elektrischer Schaltkreis mit einer Nanostruktu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Kontaktierung einer Nanostruktur
US7312531B2 (en) * 2005-10-28 2007-12-2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0718112B1 (ko) * 2005-11-02 2007-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수직 배선구조 및 그 제조방법
US7713858B2 (en) * 2006-03-31 2010-05-11 Intel Corporation Carbon nanotube-solder composite structures for interconnects, process of making same, packages containing same, and systems containing same
KR100881621B1 (ko) * 2007-01-12 2009-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방법
US8158968B2 (en) * 2007-03-21 2012-04-17 Intel Corporation Methods of forming carbon nanotubes architectures and composites with high electrical and thermal conductivities and structures formed thereby
JP5181512B2 (ja) 2007-03-30 2013-04-10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WO2009107229A1 (ja) * 2008-02-29 2009-09-03 富士通株式会社 シート状構造体、半導体装置及び炭素構造体の成長方法
CN102144309A (zh) * 2008-07-08 2011-08-03 桑迪士克3D有限责任公司 基于碳的电阻率-切换材料及其形成方法
JP2011204769A (ja) * 2010-03-24 2011-10-13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716863B2 (en) * 2011-07-13 2014-05-0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tructure and method for high performance interconn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15354A (zh) 2014-01-15
DE102012108666B3 (de) 2013-11-14
US20130334689A1 (en) 2013-12-19
TWI495059B (zh) 2015-08-01
CN103515354B (zh) 2016-09-07
KR101430832B1 (ko) 2014-08-18
US8624396B2 (en) 2014-01-07
TW201351586A (zh) 2013-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9595B2 (en) Methods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US8487449B2 (en) Carbon nanotube interconne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484257B2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JP7368669B2 (ja) 高周波数応用例のためのヘテロ構造相互接続
US20090093100A1 (en) Method for forming an air gap in multilevel interconnect structure
US9006095B2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8993435B2 (en) Low-k Cu barriers in damascene interconnect structures
KR101569587B1 (ko) 하드 마스크 제거 기법
KR101430832B1 (ko) 낮은 접촉 저항 탄소 나노튜브 상호연결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4851835B (zh) 金属互连结构及其形成方法
US20230109868A1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plug structure
TW201947642A (zh) 金屬膜沉積
US10453794B2 (en) Interconnect structure for semiconductor devices
JP5230542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1196746B1 (ko) 원자층 증착법에 의한 박막 형성 방법,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배선 및 그 제조 방법
CN104425444A (zh)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US11823984B2 (en)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with plug structure
US9076794B2 (en) Semiconductor device using carbon nanotub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10025498A (ko) 구리 확산을 저감시키기 위한 비정질층 및 이것을 형성하는 방법
KR100571387B1 (ko)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제조 방법
KR20060005643A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JP2014179475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70049342A (ko) 듀얼 다마신 공정을 이용한 다층금속배선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