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9131A - 그립핑 직물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그립핑 직물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9131A
KR20130109131A KR1020137008580A KR20137008580A KR20130109131A KR 20130109131 A KR20130109131 A KR 20130109131A KR 1020137008580 A KR1020137008580 A KR 1020137008580A KR 20137008580 A KR20137008580 A KR 20137008580A KR 20130109131 A KR20130109131 A KR 20130109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ing
fabric structure
fabric
yar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8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폴 체르네스키
Original Assignee
제임스 폴 체르네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770933&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3010913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제임스 폴 체르네스키 filed Critical 제임스 폴 체르네스키
Publication of KR20130109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1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8Hosiery with an anti-slip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7/00Selection of special materials for underwea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1/00Straight-bar knitting machines with fixed needles
    • D04B11/26Straight-bar knitting machines with fixed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1/28Straight-bar knitting machines with fixed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D06N7/0092Non-continuous polymer coating on the fibrous substrate, e.g. plastic dots on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 A41B2400/82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with the body of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10Properties of the materials having mechanical properties
    • D06N2209/106Roughness, anti-slip, abrasiven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11/00Specially adapted uses
    • D06N2211/10Clot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11/00Specially adapted uses
    • D06N2211/10Clothing
    • D06N2211/106Footwe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1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layer of mechanically interengaged strands, strand-portions or strand-like strips
    • Y10T428/24818Knitted, with particular or differential bond sites or inter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그립핑 직물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을 형성하는 직물 구조가 생성된다. 직물 구조 또는 그립핑 직물은 의류, 예컨대 양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내측 표면은 사용자 접촉 표면에 인접하고 외부의 접촉 표면에서 멀다. 외측 표면은 외부의 접촉 표면에 인접하고 사용자 접촉 표면에서 멀다. 그립핑 재료는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또는 외측 표면에 선택적으로 적용된다.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의 그립핑 재료는 사용자 접촉 표면 및 외부의 접촉 표면에 각각 부착하고, 그 결과 사용자 접촉 표면과 직물 구조 사이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고, 나아가 직물 구조와 외부의 접촉 표면 사이에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그립핑 직물의 제작방법{CONSTRUCTION OF A GRIPPING FABRIC}
본 출원은 아래와 같은 특허 출원의 이익을 주장한다:
1. 가특허 출원 번호 제61/379,907호로서, "Construction of A Foot Gripping Garment"의 제목으로, 미국 특허 및 상표청에 2010년 9월 03자로 제출됨.
2. 정규 특허 출원 번호 제13/219,713호로서, "Construction of A Gripping Fabric"의 제목으로, 미국 특허 및 상표청에 2011년 8월 29자로 출원됨.
상기 참조된 특허 출원의 명세서들은 그것들 전체가 참조로서 여기에 포함된다.
종래의 직물 재료는 일반적으로 직물을 형성하기 위해 원사의 두 개의 다른 세트를 엮음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종래의 제조 공정을 통해서 만든 직물은 낮은 마찰계수를 가지며, 예를 들면, 양말, 장갑 등 의류의 직물과 접촉하는 사용자의 신체와 상기 직물 사이에서 미끄럼 방지 접촉을 제공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종래의 직물들은, 그것들의 낮은 마찰계수로 인해, 의류의 직물 및 상기 의류에 접촉하는 몸의 표면 사이에서 사용 도중에 미끄러짐을 일으키는데, 예를 들면, 그것들이 사용자의 몸으로부터 배출된 땀, 먼지, 수분, 공기 등의 요소와 접촉할 때이다. 예를 들면, 달리기, 스케이팅 등을 포함하는 스포츠 활동에서, 사용자가 스포츠 활동 도중에 빠르게 또는 갑자기 방향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의 발은 사용자가 착용한 양말내에서 미끄러지는 경향이 있고, 또한 양말은 사용자가 신은 신발내에서 미끄러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발과 양말 사이 및, 발과 신발 사이에서 각각, 상기 양말이 종래의 직물로서 제작된 경우에는, 충분한 그립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미끄러짐은 또한, 사용자가 새로운 방향으로 이동 할 때, 응답 시간을 증가시킨다. 충분한 그립의 부족은, 또한 스포츠 게임을 하는 사용자가 신발 내측에서 미끄러지거나, 구르도록 하여 부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직물로 만들어진 양말과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의 발은, 급격한 방향전환 동안, 신발내에서 미끄러져서 발목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의 발은 종래의 직물로 만들어진 양말내에서 미끄러져서 상기 신발 내부에서 발이 이동하도록 하고, 이는 사용자의 발이나 발목에 부상을 초래할 수 있다. 종래의 직물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양말은, 사용자가 급격하고, 또는 예상치 못한 방향 회전을 요구하는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경우, 사용자의 발에 충분한 그립 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다른 스포츠 활동은 사용자의 신체 다른 부분에서 보다 우수한 그립 접촉을 요구한다. 예를 들면, 골프를 치는 사용자는 손 전체 대신에 골프 클럽을 쥐는 사용자의 손의 일부분 사이에서 안정된 그립 접촉을 필요로 한다. 또 다른 예에서, 달리기를 하는 사용자는 사용자의 발과 신발의 앞발 부분과 뒷발 부분 사이에서 안정된 그립 접촉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선택적인 그립핑 부분을 갖는 그립핑 직물 및 그립핑 의류를 제작할 필요가 있고, 그리고 사용자 의류의 다른 부분들에 선택적으로 부착되거나, 또는 통합될 수 있는 그립핑 직물을 제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그립핑 직물과 접촉하는 표면에 선택적 그립 또는 전체적인 그립 기능을 제공하는 그립핑 직물을 만들기 위한 오래된 미해결의 요구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 부분과 그립핑 의류 사이에서, 사용자의 신체 부분, 예를 들면, 발, 손 등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상기 그립핑 의류, 예를 들면 양말, 장갑 등의 내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그립핑 의류를 제작할 필요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예를 들면, 발에, 상기 그립핑 의류와 외부 접촉 표면, 예를 들면 신발의 내측 표면 사이에서 그립력을 제공하여 상기 외부 접촉 표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그립핑 의류를 만들기 위한 필요성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예를 들면, 발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분과 상기 그립핑 의류 사이에서, 그리고 상기 그립핑 의류와 외부 접촉 표면 사이에서, 예를 들면 신발의 내측 사이에서 동시적으로 그립력을 제공하도록 된 그립핑 의류를 만들기 위한 필요성이 있다.
본 요약 부분은 본 발명의 단순화된 형태의 개념을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한 내용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란에 설명된다. 본 요약은 본 발명 주제의 중요한 또는 필수적인 발명 개념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또한 본 발명 주제의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여기에서 기재된 그립핑 직물과 상기 그립핑 직물 제작 방법은, 상기 언급한 필요성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그립핑 직물과 접촉하는 표면에 선택적인 그립 또는 전체적인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그립핑 직물"은 천연 사, 인조 사, 그립핑 사(gripping threads),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하는 직물 구조를 의미하고, 여기에 그립핑 재료, 예를 들면, 미끄럼 방지 재료, 점착성 재료 및/또는 텍스쳐 재료 등이 선택적으로 적용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직물 구조"는 천연 사, 인조 사, 그립핑 사,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하나로 이루어진 네트워크를 의미하고, 예를 들면 편직 기계를 사용하여 제작되거나 또는 직조되어 의류, 예를 들면, 양말, 장갑 등을 제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립핑 의류, 예를 들면, 그립핑 양말, 그립핑 장갑 등은, 사용자의 신체 부분, 예를 들면, 발, 손 등에 맞도록 상기 직물 구조를 가공하여 제작될 수 있고, 그런 다음 선택적으로 상기 가공된 직물 구조에 상기 그립핑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립핑 의류는 또한, 여기에서 사용된 그립핑 직물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공개된 그립핑 의류는, 사용자의 신체 부분, 예를 들면, 발, 손 등에, 사용자의 신체 부분과 그립핑 의류 사이에서 그립력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신체 부분이 상기 그립핑 의류의 내측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공개된 그립핑 의류는 또한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예를 들면, 그립핑 의류 및 외부 접촉 표면, 예를 들면, 신발의 내측 표면 사이에서 발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여, 상기 그립핑 의류가 외부 접촉 표면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여기에서 사용된 그립핑 의류는 사용자의 신체 부분과 그립핑 의류 사이에서, 그리고 상기 그립핑 의류 및 외부 접촉 표면 사이에서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동시적으로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착용한 그립핑 양말과 같은 그립핑 의류는 사용자의 발과 그립핑 양말 사이에서 사용자의 발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며, 동시에 그립핑 양말과 사용자가 착용한 신발의 내측 표면 사이에서 사용자의 발에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
여기에서 사용된 그립핑 직물 제작 방법은,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을 구성하는 직물 구조를 생성하고, 선택적으로 그립핑 재료, 예를 들면, 미끄럼 방지 재료, 점착성 재료 및/또는 텍스쳐 재료를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또는 외측 표면상에 부착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상기 "그립핑 재료"는 미끄럼 방지식, 점착성 및/또는 텍스쳐 재료로서, 일반적으로 높은 표면 접착력을 제공하고, 사용자 접촉 표면과, 상기 그립핑 재료가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직물 구조 사이에서 그립 기능을 제공하며, 동시에 상기 그립핑 재료가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직물 구조와 외부 접촉 표면 사이에서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사용자 접촉 표면"은 예를 들면, 사용자의 신체 부분의 피부, 예를 들면, 발, 손, 등의 표면을 의미하고, 이는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에 접촉한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외부 접촉 표면"은 상기 직물 구조의 외측 표면과 외부적으로 접촉하는 표면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외부 접촉 표면은 사용자가 착용한 신발의 내측 표면이고, 이는 상기 직물 구조로부터 제작되고, 사용자의 발에 사용자에 의해서 착용된 양말의 바깥 쪽 표면에 외부적으로 접촉한다.
상기 직물 구조는, 예를 들면, 천연 사 및/또는 인조 사의 네트워크, 또는 그립핑 사들의 네트워크, 또는 천연 사, 인조 사, 그리고 그립핑 사들의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그립핑 사"는 미끄럼 방지식, 끈적한, 점착식 및/또는 텍스쳐 사(textured threads)들을 의미하고, 이는 일반적으로 높은 표면 접착력을 나타내며, 사용자 접촉 표면과, 상기 그립핑 사로 만들어진 직물 구조 사이에서 그립 기능을 제공하고, 동시에 상기 직물 구조와 상기 외부 접촉 표면 사이에서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그립핑 사는 선택적으로 천연 사 및/또는 인조 사에 그립핑 재료를 적용하여 만들어진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직물 구조는 사용자의 신체 부분, 예를 들면, 발, 손, 등에 맞아서, 의류, 예를 들면, 양말, 장갑 등을 만들도록 구성되고, 그 이후에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또는 외측 표면에 그립핑 재료의 선택적인 적용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직물 구조의 천연 사, 인조 사 및/또는 그립핑 사들은 편직 기계를 사용하여 직조되어 의류, 예를 들면, 양말을 제작하고, 그 후에 상기 양말의 내측 표면 및/또는 외측 표면상에 상기 그립핑 재료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은 사용자 접촉 표면에 인접하고, 그리고 상기 외부 접촉 표면으로부터 멀리 위치된 것이다. 상기 생성된 직물 구조의 외측 표면은 외부 접촉 표면에 인접하고, 사용자 접촉 표면으로부터 멀리 위치된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그립핑 재료는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또는 외측 표면 상에 그립핑 재료의 선택적인 적용을 위해 여러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 중 하나 이상에 선택적으로 적용된 그립핑 재료는 사용자 접촉 표면 및 외부 접촉 표면 각각에 부착한다.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상의 그립핑 재료가 상기 사용자 접촉 표면 및 외부 접촉 표면으로의 부착은 각각 상기 사용자 접촉 표면과 직물 구조 사이 및, 상기 직물 구조와 외부 접촉 표면 사이에서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직물 구조는 다수의 그립핑 사와 보조 사들을 제공하여 생성되고; 상기 그립핑 사를 제1 그립핑 사와 제2 그립핑 사로 분리하며; 상기 제1 그립핑 사, 상기 제2 그립핑 사, 제1 보조 사, 및 제2 보조 사를 제1 스풀, 제2 스풀, 제3 스풀, 그리고 제4 스풀로 각각 권취하며; 상기 제1 그립핑 사 및 제1 보조 사를 제1 쌍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제2 그립핑 사 및 제2 보조 사를 제2 쌍으로 그룹핑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쌍을 제2 쌍과 함께 직조하여 상기 직물 구조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보조 사"는 종래의 재료, 예를 들면, 면,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울 등으로 만든 추가적인 실을 의미하며, 이는 그립핑 사와 함께 직조되어 제1 쌍과 제2 쌍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쌍은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2 쌍은 직물 구조의 외측 표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쌍의 제1 그립핑 사는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에 노출되지만, 상기 직물 구조의 외측 표면에는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제2 쌍의 제2 그립핑 사는 직물 구조의 외측 표면에 노출되지만,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에는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제1 쌍에 의해 형성된 내측 표면은 사용자 접촉 표면과 직물 구조 사이에서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제2 쌍에 의해서 형성된 외측 표면은 동시에 직물 구조와 외부 접촉 표면 사이에서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직물 구조를 만드는 데 사용된 그립핑 사는, 미끄럼 방지 재료, 점착성 재료, 및/또는 텍스쳐 재료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합성 고무, 천연 라텍스, 폴리 염화 비닐, 플라스티솔(plastisol), 열가소성 고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폴리 우레탄, 종래의 실에 열가소성 코팅한 것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그립핑 사는 예를 들면, 실리콘, 활석 가루 등으로 코팅되어 직물 구조의 제작도중에 밀집 및 꼬임을 방지한다. 상기 보조 사는, 예를 들면, 면, 나일론, 폴리에스터, 또는 라이크라®와 같은 스판덱스, 울 등을 포함하는 재료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그립핑 사와 제1 보조 사는 각각 제1 핑거 튜브에 제1 스풀 및 제3 스풀로부터 공급된다. 상기 제2 그립핑 사와 제2 보조 사는 제2 핑거 튜브에 각각 제2 스풀과 제4 스풀로부터 공급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은, 제1 그립핑 사, 제2 그립핑 사, 제1 보조 사, 및 제2 보조 사를 제1 핑거 튜브, 제2 핑거 튜브, 제3 핑거 튜브, 및 제4 핑거 튜브에 각각 공급함으로써 생성된다. 플레이팅 기술이 사용되며, 예를 들면, 제3 핑거 튜브로부터 회수된 제1 보조 사와, 제4 핑거 튜브로부터 회수된 제2 보조 사를 직조하게 된다. 상기 제1 보조 사는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에 노출된다. 상기 제2 보조 사는 직물 구조의 외측 표면에 노출된다. 상기 플레이팅 기술은 또한, 제1 핑거 튜브로부터 회수된 제1 그립핑 사와, 제2 핑거 튜브로부터 회수된 제2 그립핑 사를 직조하도록 사용된다. 상기 제1 그립핑 사는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에 노출된다. 상기 제2 그립핑 사는 직물 구조의 외측 표면에 노출된다. 상기 제1 그립핑 사와 제1 보조 사의 제1 쌍은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2 그립핑 사와 제2 보조 사의 제2 쌍은 직물 구조의 외측 표면을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직물 구조는 종래의 보조 사를 사용하지 않고도 생성되며, 예를 들면, 단지 그립핑 사들만으로 짜서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을 형성한다. 이 실시 예에서, 상기 그립핑 사들은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을 만드는 데에만 전용적으로 사용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 예를 들면, 사용자의 발에 맞도록 구성된 직물 구조는, 선택 영역에서, 예를 들면, 사용자의 뒤꿈치를 수용하는 뒤꿈치 부분, 사용자 발의 볼(ball) 등을 수용하는 볼 부분에서 상기 제작된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 상에 하나 이상의 그립핑 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그립핑 재료는 선택적으로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을 형성하는 제1 쌍의 제1 그립핑 사 및/또는 제1 보조 사 상에, 그리고 직물 구조의 외측 표면을 형성하는 제2 쌍의 제2 그립핑 사 및/또는 제 2 보조 사 상에 적용된다. 예를 들면, 상기 그립핑 재료는 제1 쌍내의 제1 그립핑 사 및/또는 제1 보조 사 상에, 또는 제2 쌍내의 제2 그립핑 사 및/또는 제 2 보조 사 상에, 스풀에 있는 실들의 전체 길이를 코팅하는 대신에 1/16 인치 간격으로 부가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그립핑 재료는 제1 쌍내의 제1 그립핑 사 및/또는 제1 보조 사의 전체 길이 상에, 또는 제2 쌍내의 제2 그립핑 사 및/또는 제 2 보조 사 상에 추가되거나 또는 코팅될 수 있다. 상기 그립핑 재료는 제1 쌍내의 제1 그립핑 사 및/또는 제1 보조 사와, 제2 쌍내의 제2 그립핑 사 및/또는 제 2 보조 사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쌍에 의해서 형성된 내측 표면과, 상기 제2 쌍에 의해서 형성된 외측 표면상의 그립핑 재료는 사용자 접촉 표면 및 외부 접촉 표면에 각각 부착하여 상기 사용자 접촉 표면 및 직물 구조 사이에서, 그리고 상기 직물 구조와 외부 접촉 표면 사이에서 각각 향상된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또는 외측 표면상의 그립핑 재료의 선택적인 적용은, 하나 이상의 패턴 홀들을 포함하는 디자인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디자인 프레임을 상기 직물 구조의 각각의 내측 표면 및/또는 외측 표면상에 위치시키며, 그리고 선택적으로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또는 외측 표면상에서 상기 위치된 디자인 프레임에 그립핑 재료를 적용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상기 그립핑 재료는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또는 외측 표면상에서 상기 위치된 디자인 프레임에 선택적으로 적용되고, 예를 들면, 상기 위치된 디자인 프레임 상에 그립핑 재료를 페인팅, 붓기, 스크린 인쇄, 및 스프레이 중의 하나 이상을 적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그립핑 재료가 상기 위치된 디자인 프레임의 패턴 홀들을 통과하여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또는 외측 표면에 상기 위치된 디자인 프레임의 패턴 홀들에 의해서 형성된 패턴으로 부착하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또는 외측 표면상에 그립핑 재료를 선택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그립핑 재료를 하나 이상의 여러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그립핑 재료의 한쪽 표면을 바늘링 요소로서 코팅하며, 그리고 선택적으로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또는 외측 표면상에 상기 구성된 그립핑 재료를 적용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상기 실링 요소는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또는 외측 표면에 상기 구성된 그립핑 재료를 부착한다.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상의 상기 부착된 그립핑 재료는 사용자 접촉 표면 및 외부 접촉 표면에 각각 부착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또는 외측 표면 상에 상기 그립핑 재료의 선택적인 적용은,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또는 외측 표면에 그립핑 재료를 하나 이상의 여러 패턴으로, 예를 들면, 페인팅, 붓기, 스크린 인쇄, 또는 스프레이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또는 외측 표면에 그립핑 재료의 선택적인 적용은,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또는 외측 표면에 그립핑 재료를 하나 이상의 여러 패턴으로, 예를 들면, 열 프레스를 사용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직물 구조와, 상기 선택적으로 적용된 그립핑 재료로부터 제작된 상기 그립핑 직물은 패치(patches)로서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사용자에 의해서 착용되는 의류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바느질이나 접합에 의해서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 접촉 표면과 상기 제작된 그립핑 직물 사이에서 그립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제작된 그립핑 직물 및 상기 외부 접촉 표면 사이에서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패치는 그립핑 재료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폴리 염화 비닐, 천연 라텍스, 합성 라텍스, 합성 스웨이드(suede), 스웨이드 가죽, 합성 가죽, 기타 가죽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것은 그립핑 재료가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예를 들면, 페인팅, 붓기, 스크린 인쇄, 스프레이 등을 통해서 직물 구조에 그립핑 재료를 선택적으로 적용한 직물 구조 대신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패치들은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예를 들면, 바느질이나 접합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선택적으로 부착된 패치는 사용자 접촉 표면 및 외부 접촉 표면 모두에 동시적으로 접촉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그립핑 재료 자체는, 의류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여러 패턴 중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 접촉 표면과 의류 사이에서 그립 기능을 제공하며, 그리고 상기 의류와 외부 접촉 표면 사이에서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직물 구조와, 상기 선택적으로 적용된 그립핑 재료를 포함하는 상기 제작된 그립핑 직물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 예를 들면, 발, 손 등에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그립핑 의류, 예를 들면, 그립핑 양말, 그립핑 장갑 등을 제작한다.
이어지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전술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면 보다 잘 이해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 구조가 도면에 도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특정 구성 및 방법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그립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또는 외측 표면에 그립핑 재료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또는 외측 표면에 그립핑 재료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그립핑 재료를 양말에 선택적으로 가하기 위하여 그립핑 재료가 양말에 위치한 전사 재료(transfer material)에 부착된 것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골격에 걸쳐 펼쳐진 양말 형태로 배치된 직물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B-4C는 열 프레스를 사용하여 양말에 그립핑 재료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5B는 그립핑 의류을 제조하기 위하여 그립핑 재료를 직물 구조에 붓기(pouring)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맞도록 구성된 그립핑 재료를 직물 구조에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6B는 그립핑 의류을 제조하기 위하여 그립핑 재료를 직물 구조에 스프레이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맞도록 그립핑 재료를 직물 구조에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7F는 그립핑 의류을 제조하기 위하여 의류의 일 부분에 패치로 구성되도록, 그립 직물을 선택적으로 부착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G-7I는 그립핑 의류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적합하게 구성되도록 직물 구조의 일 부분에 그립핑 재료를 선택적으로 부착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8D는 그립핑 의류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적합하게 구성되도록 직물 구조에 그립핑 재료를 선택적으로 부착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3A-13B에 도시된 직물 구조를 생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3A-13B에 도시된 직물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을 생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11B는 도 13B에 도시된 직물 구조를 생성하기 위하여 제1 그립핑 사와 제1 보조 사로 이루어진 제1 쌍을, 제2 그립핑 사와 제2 보조 사로 이루어진 제2 쌍으로 편직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C는 도 13A-13B에 도시된 직물 구조를 생성하기 위하여 래치 바늘을 사용하여 제1 쌍과 제2 쌍을 편직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3A-13B에 도시된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을 생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A는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맞도록 구성된 직물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B는 직물 구조의 확대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A-14D는 도 13A-13B의 직물 구조의 다수 도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직물 구조를 생성하기 위하여 제1 그립핑 사와 제1 보조 사로 이루어진 제1 쌍이 제2 그립핑 사와 제2 보조 사로 이루어진 제2 쌍으로 편직된 것을 도시한다.
도 15A-15B는 그립핑 의류을 제조하기 위하여 그립핑 재료를 직물 구조에 스프레이함으로써, 도 13A-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적합하도록 직물 구조에 그립핑 재료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그립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그립 직물"은 그립핑 재료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천연 사, 합성 사, 그립핑 사 또는 그 조합 중 하나로 이루어지는 직물 구조를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직물 구조"는 예컨대 양말, 장갑 등과 같은 의복을 제조하기 위하여, 예컨대 편직 기계를 사용하여 생산 대응 또는 편직될 수 있는 천연 사, 합성 사, 그립핑 사 또는 그 조합 중 하나로 이루어진 그물망(network)를 의미한다. 따라서, 그립 직물은 천연 사 및/또는 합성 사의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직물 구조, 도 9-15B의 상세 설명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핑 사와 보조 사의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직물 구조, 또는 단지 그립핑 사로 이루어진 직물 구조에 그립핑 재료를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제조된다. 또한,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그립핑 재료"는 미끄러짐 방지 재료, 끈적끈적한 재료 및/또는 텍스쳐 재료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일반적으로 높은 표면 부착성을 나타내고, 그립핑 재료가 선택적으로 적용된 직물 구조와 사용자 접촉면 사이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고, 동시에 그립핑 재료가 선택적으로 적용된 직물 구조와 외부의 접촉면 사이에도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사용자 접촉면"은 예컨대, 사용자 신체 부분 예컨대 발, 손 등의 피부 표면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과 접촉하게 된다. 또한,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외부 접촉면"은 직물 구조의 외측 표면과 외부 접촉하는 표면을 의미한다. 예컨대, 직물 구조가 의복, 예컨대 양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체 부분, 예컨대 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면, 사용자가 양말과 신발을 착용할 때 사용자 접촉면은 사용자의 발 피부이고, 외부 접촉면은 사용자의 신발 내측면이다.
여기에 개시된 방법에 있어서,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을 규정짓는 직물 구조가 생성된다(101). 직물 구조는 예컨대 천연 사 및/또는 합성 사의 그물망, 또는 그립핑 사의 그물망, 또는 하나 이상의 천연 사, 합성 사 및 그립핑 사의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그립핑 재료"는 미끄러짐 방지 재료, 끈적끈적한 재료 및/또는 텍스쳐 재료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일반적으로 높은 표면 부착성을 나타내고, 그립핑 재료가 선택적으로 적용된 직물 구조와 사용자 접촉면 사이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고, 동시에 그립핑 재료가 선택적으로 적용된 직물 구조와 외부의 접촉면 사이에도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그립핑 사는 예컨대 스프레이, 페인팅, 붓기 등에 의해 그립핑 재료를 천연 사 및/또는 합성 사에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직물 구조는 그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에 그립핑 재료를 선택적으로 적용하기 이전에, 의복, 예컨대 양말, 장갑 등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체 부분, 예컨대 발, 손 등에 맞도록 구성된다.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은 사용자 접촉면에 인접하고 외부의 접촉면에서 멀다. 직물 구조의 외측 표면은 외부의 접촉면에 인접하고 사용자 접촉면에서 멀다.
게다가, 여기에 개시된 방법에 있어서, 그립핑 재료는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의 한군데 또는 그 이상에 선택적으로 적용된다(102). 예컨대, 그립핑 재료는 양말이 제조된 이후에, 구성된 직물 구조, 즉 양말에 추가된다. 그립핑 재료는 미끄러짐 방지 재료, 점착성이 있는 재료, 텍스쳐 재료 또는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그립핑 재료는 예컨대 0.35 밀리미터(mm)의 두께를 가지는 시트 형태로 제조된다. 일 실시예에서, 그립핑 재료는 스웨드 타입의 마감을 가지며 부직포 직물로 분류된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텍스쳐 재료"는 천이 거칠거나 또는 비-균일 마감 재료, 예컨대 도우 화학 회사(Dow Chemical Company) 제품의 Styrofoam®을 표면에 스프레이할 때 생성되는 표면이다. 그립핑 재료는 예컨대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천연 라텍스, 열가소성 고무(TPR),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폴리우레탄,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합성 및/또는 천연의 스웨드 같은 미끄러짐 방지 마감재 등으로부터 제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그립핑 재료는 합성 가족 같은 재료인데, 예컨대 일본 도쿄의 쿠라레이 회사(Kuraray Co., Ltd.)에 의해 제조된 Clarino®를 들 수 있다.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에 있는 그립핑 재료는 사용자 접촉면과 외부의 접촉면에 각각 부착된다.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에 있는 그립핑 재료가 사용자 접촉면과 외부의 접촉면에 각각 부착됨으로써, 사용자 접촉면과 직물 구조 사이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고, 나아가 직물 구조와 외부의 접촉면 사이에도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그립핑 재료는 그립 직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종래의 직물 조각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 각각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 접촉면과 그립 직물 사이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고, 나아가 그립 직물과 외부의 접촉면 사이에도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종래의 직물 조각은 예컨대 무명, 나일론, 양모,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스판덱스 등 또는 그 모든 조합으로 제조된다. 의복, 예컨대 양말, 장갑 등을 제조하기 위하여 편직 기계를 사용하여 천연 사 및/또는 합성 사의 그물 망으로 이루어진 직물 구조가 편직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보자. 그립핑 재료는 그립핑 의류, 예컨대 그립 양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의복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 각각에 선택적으로 적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그립핑 재료는 도 9-15B의 상세 설명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의복, 예컨대 양말내에 배치된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또는 외측 표면에 선택적으로 적용되고, 이는 사용자 접촉면과 배치된 직물 구조 사이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고, 나아가 그 배치된 직물 구조와 외부의 접촉면 사이에도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직물 구조에 그립핑 재료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15A-15B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립핑 의류, 예컨대 그립 양말, 그립 장갑 등은 제조된 직물 구조를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는데, 상기 제조된 직물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에는 그립핑 재료가 선택적으로 가해져 있다. 이는 여기에 개시된 그립 직물을 사용하여 그립 양말, 그립 장갑 또는 다른 그립핑 의류이 제조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즉, 선택적으로 적용된 그립핑 재료를 가진 직물 구조로부터 제조된 그립 직물은 그립핑 의류, 예컨대 그립 장갑, 그립 양말 등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체 부분, 예컨대 손, 발 등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그립 장갑은 사용자의 손과 그립 장갑 사이에서 사용자 손에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적용된 그립핑 재료를 가지는 직물 구조를 포함하는 그립 직물은 그립 양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그립 양말은 사용자의 발과 그립 양말 사이에서 사용자 발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고, 동시에 그립 양말과 사용자가 신은 신발 내측 표면 사이에서 사용자 발에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그립핑 의류은 의복, 예컨대 양말로 이미 편직된 직물 구조에 그립핑 재료를 선택적으로 적용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적용된 그립핑 재료를 가진 직물 구조로 만들어진 그립 직물을 그립핑 의류, 예컨대 그립 양말로 구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조된 그립 직물은 패치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의복의 일 부분 또는 다수 부분에 선택적으로 부착 또는 결합되는데, 이는 사용자 접촉면과 제조된 그립 직물 사이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고, 제조된 그립 직물과 외부의 접촉면 사이에도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그립 직물은 예컨대 열-접착, 가압 접착, 재봉, 열-봉합에 의해 사용자 착용가능한 의복의 내측 표면 및/또는 외측 표면에 부착된다. 예컨대, 제조된 그립 직물은 사용자의 발, 손 등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양말, 장갑 등의 내측 표면 및/또는 외측 표면에 선택적으로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그립 직물의 패치는 사용자 착용가능한 의복에 생성된 구멍내에 재봉된다. 따라서, 여기에 개시된 결과적인 그립핑 의류은 사용자의 신체 부분이 제조된 그립핑 의류, 예컨대 그립 양말, 그립 장갑 등내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제조된 그립핑 의류이 외부의 접촉면에 대하여 마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9-14D의 상세 설명에 개시된 바와 같이 그립핑 사를 보조 사로 편직함으로써 제조된 직물 구조가 패치로 구성되고, 도 7A-7F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의복의 한군데 또는 그 이상의 부분에 선택적으로 부착 또는 결합되고, 이는 사용자 접촉면과 직물 구조 사이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고, 직물 구조와 외부의 접촉면 사이에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9-14D의 상세 설명에 개시되고, 도 15A-15B의 상세 설명에 개시된 바와 같이 그립핑 재료가 선택적으로 적용된 직물 구조는 패치로 구성되고, 도 7A-7F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의복의 일 부분 또는 다수 부분에 선택적으로 부착 또는 결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패치는 그립핑 재료가 직물 구조에 예컨대 페인팅, 붓기, 스크린 인쇄, 스프레이 등에 의해 선택적으로 적용된 직물 구조로 만들어지는 대신에, 예컨대 그립핑 재료, 예컨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폴리 염화 비닐, 천연 라텍스, 합성 라텍스, 합성 스웨드, 스웨드 가죽, 합성 가죽, 다른 가죽 등으로 제조된다. 그립핑 재료로 만들어진 패치는 도 7G-7I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의복의 한군데 또는 그 이상의 부위에 봉재 또는 결합함으로써 선택적으로 부착된다.
도 2는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또는 외측 표면에 그립핑 재료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팬턴 홀(502)을 포함하는 디자인 프레임(501)이 생성된다(201). 상기 생성된 디자인 프레임(501)은 직물 구조(401)의 내측 표면(401a) 및/또는 외측 표면(401b)에 위치된다(202). 그립핑 재료(402)은 직물 구조(401)의 내측 표면(401a) 및/또는 외측 표면(401b)위에 위치한 디자인 프레임(501)에 선택적으로 인가된다. 그립핑 재료(402)는 상기 위치한 디자인 프레임(501)의 패턴 홀(502)를 통과하고, 상기 디자인 프레임(501)의 패턴 홀(502)에 의해 규정된 패턴으로 직물 구조(401)의 내측 표면(401a) 및/또는 외측 표면(401b)에 부착한다.
예컨대 그립핑 재료(402)를 디자인 프레임(501)에 페인팅, 붓기, 스크린 인쇄 및 스프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으로써 그립핑 재료(402)를 디자인 프레임(501)에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수행되고, 이는 그립핑 재료(402)가 디자인 프레임(501)의 패턴 홀(502)를 통과하여 디자인 프레임(501)의 패턴 홀(502)에 의해 규정된 패턴으로 직물 구조(401)의 내측 표면(401a) 및 외측 표면(401b)에 부착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예컨대 페인팅, 붓기, 스크린 인쇄, 열 프레싱, 스프레이, 열-접착, 가압 접착, 열-봉합 및 선택적인 부착[예컨대, 직물 구조(401)의 내측 표면(401a) 및/또는 외측 표면(401b)의 선택 영역에 그립핑 재료(402)를 하나 이상의 패턴으로 봉재함으로써 이루어짐]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디자인 프레임(501) 없이도 직접 직물 구조(401)의 내측 표면(401a) 및/또는 외측 표면(401b)에 그립핑 재료(402)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203).
도 3은 도 4A-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 구조(401)의 내측 표면(401a) 및/또는 외측 표면(401b)에 그립핑 재료(402)를 선택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예컨대, 미끄러짐 방지 재료, 점착성 재료, 텍스쳐 재료 등과 같은 그립핑 재료(402)가 제공된다(301). 그립핑 재료(402)는 하나 이상의 다수 형태로 구성된다(302). 그립핑 재료(402)의 표면은 예컨대 미국 매사추세츠 소재의 베미스 어소시에이트 인코퍼레이티드(Bemis Associates Inc.)에 의해 제조되는 베미스(Bemis) 3218 과 같은 열 씰 접착제(406), 직물 아교, 폴리우레탄 열 씰 등과 같은 씰링 성분으로 코팅된다(303). 그립핑 재료(402)는 예컨대 도 4A-4C의 상세 설명에 개시된 바와 같은 열 프레싱에 의해 직물 구조(401)의 내측 표면(401a) 및/또는 외측 표면(401b)에 선택적으로 가해진다(304). 상기 씰링 성분은 그립핑 재료(402)를 직물 구조(401)의 내측 표면(401a) 및/또는 외측 표면(401b)에 부착한다. 직물 구조(401)의 내측 표면(401a) 및/또는 외측 표면(401b)에 부착된 그립핑 재료(402)는 사용자 접촉면과 외부의 접촉면에 각각 부착되는데, 이 경우 직물 구조(401)의 내측 표면(401a)는 사용자 접촉면에 인접하고 외부의 접촉면에 멀고, 외측 표면(401b)는 외부의 접촉면에 인접하고 사용자 접촉면에 멀다.
직물 구조(401)의 내측 표면(401a)과 외측 표면(401b)에 있는 그립핑 재료(402)가 사용자 접촉면과 외부의 접촉면에 각각 부착됨으로써, 사용자 접촉면과 직물 구조(401) 사이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고, 나아가 직물 구조(401)와 외부의 접촉면 사이에도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도 4A는 그립핑 재료(402)를 양말에 선택적으로 가하기 위하여 그립핑 재료(402)가 양말에 위치한 전사 재료(404)에 부착된 것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골격에 걸쳐 펼쳐진 양말 형태로 배치된 직물 구조(401)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예컨대 천연 사 및/또는 합성 사를 포함하는 직물 구조(401)는 양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체 부분, 예컨대 사용자의 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양말"을 의미하며 참조번호 401로 표시된 직물 구조(401)는 예컨대 양말 형틀(403)의 골격위에 위치한다. 양말 형틀(403)은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양말 형틀(403)은 양말(401) 형태로 구성된 2-차원 또는 3-차원 골격이다. 일 실시예에서, 양말(401)은 그립핑 재료(402)를 선택적으로 가하기 이전에 양말 형틀(403)위에 위치되지 않는다. 예컨대 클라리노(Clarino) 블록과 같은 그립핑 재료(402)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 재료(404)위에 제공되는 임시적 접착제(405)를 사용하여 예컨대 종이로 만들어진 전사 재료(404)에 부착된다. 임시적 접착제(405)는 그립핑 재료(402)가 도 4C에 도시된 열 프레스(407)를 사용하여 양말(401)로 열 프레스될 때까지, 그립핑 재료(402)를 고정시킨다. 그립핑 재료(402)가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 및 외측 표면(401b)으로 전사된 후, 전사 재료(404)는 그립핑 재료(402)가 양말(401)에 그대로 유지되게 하면서 양말(401)로부터 벗겨진다.
도 4B-4C는 열 프레스(407)를 사용하여 그립핑 재료(402)을 양말(401)에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천열 실 및/또는 합성 사로 내측 표면(401a) 및 외측 표면(401b)을 규정짓는 직물 구조(401)가 생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그립핑 재료(402)를 직물 구조(401)의 내측 표면(401a) 및 외측 표면(401b)에 하나 이상의 패턴으로 전사하기 위하여 예컨대, 열 프레싱에 의해 그립핑 재료(402)를 직물 구조(401)의 내측 표면(401a) 및 외측 표면(401b)에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수행된다. 열 프레싱은 그립핑 재료(402)를 직물 구조(401)의 내측 표면(401a) 및 외측 표면(401b)에 전사하기 위하여 소정 시간 동안 열과 압력을 직물 구조(401)에 가하는 방법이다. 열 프레싱은 도 4C에 도시된 열 프레스(407)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그립핑 재료(402)는 예컨대 레이저 커팅, 다이 커팅, 로터리 커팅 등에 의해 요구되는 사양으로 절단되고 전사 재료(404)위에 정렬된다. 도 4A-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핑 재료(402), 예컨대 Clarino® 블록은 임시적 접착제(405)를 사용하여 전사 재료(404)에 부착된다. 직물 구조(401)와 마주하는 그립핑 재료(402)의 대향면(402a)은 예컨대 폴리우레탄 열 씰 접착제(406), 예컨대 베미스 어소시에이트 인코퍼레이티드에 의해 제조된 베미스 3218로 코팅된다. 베미스 3218은 광범위한 온도 범위에 걸쳐 신축성을 유지하는 전체 반응 탄성중합체 필름이다. 베미스 3218은 낮은 활성화 온도와 그 연화점에서 매우 높은 점도를 가지는 일반 목적의 접착제이다.
그립핑 재료(402)를 가지는 전사 재료(404)는 도 4B-4C에 도시된 직물 구조(401) 위와 아래에 위치하고, 이 경우 그립핑 재료(402)는 직물 구조(401)의 외측 표면(401b) 및 내측 표면(401a)을 각각 마주하게 된다. 직물 구조(401) 아래에 위치한 그립핑 재료(402)를 가진 전사 재료(404)는 양말 형틀(403)위에 놓여진다. 설정된 온도, 예컨대 대략 화씨 375F의 열과 압력이 열 프레스(407)을 이용하여 약 20초 동안 직물 구조(401)위에 그립핑 재료(402)를 가지는 전사 재료(404)에 가해진다. 열 프레스(407)는 그립핑 재료(402)를 직물 구조(401)의 외측 표면(401b) 및 내측 표면(401a) 방향으로 가압하고, 결과적으로 그립핑 재료(402)가 직물 구조(401)의 외측 표면(401b) 및 내측 표면(401a)로 전사된다. 열을 가했기 때문에, 그립핑 재료(402)는 전사 재료(404)로부터 벗겨지고, 영구적으로 직물 구조(401)에 결합한다. 전사 재료(404)는 그 이후에 직물 구조(401)로부터 제거된다.
도 5A-5B는 그립핑 의류(400)을 제조하기 위하여 그립핑 재료(402)를, 구성된 직물 구조(401)에 붓기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적합하게 구성되도록 그립핑 재료(402)를 직물 구조(401)에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직물 구조(401)은 예컨대 양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체 부분, 예컨대 사용자의 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직물 구조(401)은 "양말"을 지시하고, 여기서 참조번호 401로 표시된다. 직물 구조(401)의 실은 양말(401)을 제조하기 위하여 예컨대 도 11B에 도시된 원형 편집 기계(1109)를 사용하여 편직된다. 양말(401)은 도 4A의 상세 설명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골격, 예컨대 양말 형틀(403)위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5A-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핑 재료(402)를 양말(401)의 외측 표면(401b)에 하나 이상의 패턴으로 붓기함으로써 그립핑 재료(402)를 양말(401)의 외측 표면(401b)에 선택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또한, 도 4A-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핑 재료(402)를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에 하나 이상의 패턴으로 붓기함으로써 그립핑 재료(402)를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에 선택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패턴 홀(502)을 포함하는 디자인 프레임(501)이 생성되고, 양말(401)위에 위치된다. 디자인 프레임(501)은 예컨대 템플릿, 스텐실, 마스크 등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반-액체 형태의 그립핑 재료(402)가 노즐(503)을 사용하여 디자인 프레임(501)의 패턴 홀(502)을 통해 주입된다. 그립핑 재료(402)는 디자인 프레임(501)의 패턴 홀(502)을 통과하고, 도 5A에 도시된 디자인 프레임(501)의 패턴 홀(502)에 의해 규정되는 패턴으로 양말(401)의 외측 표면(401b)에 부착한다. 그 다음, 그립핑 재료(402)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말(401)위에서 고형화된다. 그 다음, 양말(401)은 내측이 밖으로 나오도록 뒤집어지고,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위에 위치한 디자인 프레임(501)의 패턴 홀(502)을 통하여 그립핑 재료(402)를 주입하기 이전에, 양말 형틀(403)위에 다시 위치시키게 한다. 그립핑 재료(402)는 디자인 프레임(501)의 패턴 홀(502)을 통과하고, 디자인 프레임(501)의 패턴 홀(502)에 의해 규정되는 패턴으로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에 부착한다.
도 6A-6B는 그립핑 의류(400)을 제조하기 위하여 그립핑 재료(402)를 구성된 직물 구조(401)에 스프레이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적합하게 구성되도록 그립핑 재료(402)를 직물 구조(401)에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직물 구조(401)는 예컨대 양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체 부분, 예컨대 사용자의 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직물 구조(401)은 "양말"을 지시하고, 여기서 참조번호 401로 표시된다. 직물 구조(401)의 실은 양말(401)을 제조하기 위하여 예컨대 도 11B에 도시된 원형 편집 기계(1109)를 사용하여 편직된다. 양말(401)은 도 4A의 상세 설명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골격, 예컨대 양말 형틀(403)위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6A-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핑 재료(402)를 양말(401)의 외측 표면(401b)에 하나 이상의 패턴으로 스프레이함으로써 그립핑 재료(402)를 양말(401)의 외측 표면(401b)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4B-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핑 재료(402)를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에 하나 이상의 패턴으로 스프레이함으로써 그립핑 재료(402)를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패턴 홀(502)을 포함하는 디자인 프레임(501)이 생성되고, 양말(401)위에 위치된다. 디자인 프레임(501)은 예컨대 템플릿, 스텐실, 마스크 등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반-액체 형태의 그립핑 재료(402)가 노즐(601)을 사용하여 디자인 프레임(501)의 패턴 홀(502)을 통해 주입된다. 그립핑 재료(402)는 디자인 프레임(501)의 패턴 홀(502)을 통과하고, 도 6A에 도시된 디자인 프레임(501)의 패턴 홀(502)에 의해 규정되는 패턴으로 양말(401)의 외측 표면(401b)에 부착한다. 그 다음, 그립핑 재료(402)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말(401)위에서 고형화된다. 그 다음, 양말(401)은 내측이 밖으로 나오도록 뒤집어지고,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위에 위치한 디자인 프레임(501)의 패턴 홀(502)을 통하여 그립핑 재료(402)를 주입하기 이전에, 양말 형틀(403)위에 다시 위치시키게 한다. 그립핑 재료(402)는 디자인 프레임(501)의 패턴 홀(502)을 통과하고, 디자인 프레임(501)의 패턴 홀(502)에 의해 규정되는 패턴으로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에 부착한다. 일 실시예에서, 예컨대 페인팅, 붓기, 스크린 인쇄, 열 프레싱, 스프레이, 및 선택적인 부착[예컨대, 양말(401)의 선택 영역에 그립핑 재료(402)를 봉재함으로써 이루어짐]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디자인 프레임(501) 없이도 직접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 및/또는 외측 표면(401b)에 그립핑 재료(402)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7A-7F는 그립핑 의류(400)을 제조하기 위하여 의복의 일 부분에 패치(701)로 구성된 그립 직물을 선택적으로 부착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1의 상세 설명에 개시된 대로 제조된 그립 직물은 패치(701)로 구성되고, 도 7A-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복, 예컨대 양말(401)의 한군데 또는 그 이상의 부위에 봉재함으로써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패치(701)는 예컨대 그립핑 재료(402)가 코팅되는 직물 구조(401)로 만들어지는 대신에, 그립핑 재료, 예컨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폴리 염화 비닐, 천연 라텍스, 합성 라텍스, 합성 스웨드, 스웨드 가죽, 합성 가죽, 다른 가죽 등으로 제조된다. 내부 그립면(701a)과 외부 그립면(701b)을 가지는 패치(701)은 예컨대 양말(401)의 한군데 또는 그 이상의 부위에 봉재됨으로써 선택적으로 부착되고, 그 결과 사용자 접촉면과 양말(401) 사이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고, 나아가 양말(401)과 외부의 접촉면 사이에도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부착된 패치(701)은 사용자 접촉면 및 외부의 접촉면을 동시에 접촉하게 된다.
도 7A 및 도 7D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401c)이 양말(401)에 형성된다. 그 다음, 그립면(701a, 701b)을 가지는 패치(701)가 도 7A 및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401c)을 향하여 타겟설정되고, 양말(401)의 구멍(401c)을 덮어 가리기 위하여 예컨대 도 7B 및 도 7E에 도시된 바느질 바늘(702)을 사용하여 구멍(401c)의 가장자리(401d)를 따라 봉재되고, 그에 의해 그립핑 의류(400), 즉 도 7C 및 도 7F에 도시된 그립 양말을 제조하게 된다. 그립핑 의류(400)의 일 부분에 그립면(701a, 701b)을 가지는 봉재 패치(701)는 예컨대 사용자의 발뒤꿈치와 패치(701) 사이에서 사용자의 발뒤꿈치에 선택적인 그립 기능을 제공하고, 동시에 패치(701)와 사용자가 신은 신발 사이에 그립 기능, 즉 견인력을 제공한다.
도 7G-7I는 그립핑 의류(400)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적합하게 구성되도록 직물 구조(401)의 일 부분에 그립핑 재료(402)를 선택적으로 부착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그립핑 재료(402), 예컨대 내부 그립면(402b)와 외부 그립면(402c)을 가지는 천연 가죽 또는 합성 가죽이 예컨대 봉재, 열 프레싱 등에 의해 직물 구조(401), 예컨대 양말, 장갑 등의 내측 표면(401a) 및 외측 표면(401b)의 하나 이상의 부위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데, 이는 제조된 직물 구조(401)에 그립 특성, 부풀어오름 방지 특성을 제공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그립핑 의류(400)은 부드러운 가죽 마감재를 가지게 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그립핑 재료, 예컨대 폴리 염화 비닐,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천연 라텍스 고무, Clarino® 등이 예컨대 봉재, 열 프레싱 등에 의해 직물 구조(401), 예컨대 양말, 장갑 등의 내측 표면(401a) 및 외측 표면(401b)의 하나 이상의 부위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데, 이는 제조된 직물 구조(401)에 그립 특성, 부풀어오름 방지 특성을 제공하게 된다.
도 7C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401c)이 구성된 직물 구조(401)에 형성된다. 그 다음, 그립면(402b, 402c)을 가지는 그립핑 재료(402)가 도 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401c)을 향하여 타겟설정되고, 직물 구조(401)의 구멍(401c)을 덮어 가리기 위하여 예컨대 도 7H에 도시된 바느질 바늘(702)을 사용하여 구멍(401c)의 가장자리(401d)를 따라 봉재되고, 그에 의해 그립핑 의류(400), 즉 도 7I에 도시된 그립 양말, 그립 장갑 등을 제조하게 된다. 그립핑 의류(400)의 일 부분에 그립면(402b, 402c)을 가지는 그립핑 재료(402)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봉재된 그립핑 재료(402) 사이에서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고, 동시에 그립핑 재료(402)와 외부의 접촉면 사이에도 그립 기능, 즉 견인력을 제공한다.
도 8A-8D는 그립핑 의류(400), 예컨대 그립 양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체 부위, 예컨대 사용자의 발에 적합하게 구성된 직물 구조(401)에 그립핑 재료(402)를 선택적으로 부착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구성된 직물 구조(401)는 여기서 "양말"을 지시하고, 참조번호 401로 표시된다. 직물 구조(401)의 실은 양말(401)을 제조하기 위하여 도 11B에 도시된 원형 편직 기계(1109)를 사용하여 편직된다. 그립핑 재료(402)는 그립핑 재료(402)를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 및/또는 외측 표면(401b)에 선택적으로 적용 또는 부착하기 위하여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행태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그립핑 재료(402) 그 자체는 양말(401)의 하나 이상의 부위에 하나 이상의 패턴으로 선택적 부착되고, 이는 사용자 접촉면과 양말(401) 사이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고, 나아가 양말(401)과 외부의 접촉면 사이에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핑 재료(402)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핑 의류(400)을 제조하기 위하여 바느질 바늘(702)을 사용하여 양말(401)의 외측 표면(401b)에 봉재된다. 도 8C의 라인 A-A'를 따라 취해진, 부착된 그립핑 재료(402)를 가지는 그립핑 의류(400)의 단면도가 도 8D에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신체 부위, 예컨대 사용자의 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직물 구조(401)는 도 7A-7F에 도시된 패치에 의해 채워져야 하거나 또는 도 7G-7I에 도시된 그립핑 재료(402)에 의해 채워져야하는 하나 이상의 구멍(401c)을 가질 필요가 없다. 그립핑 재료(402)는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 및/또는 외측 표면(401b)에 하나 이상의 패턴으로 양말(401)에 배치되고 그 위에 봉재되어, 도 8C-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핑 의류(400)을 제조한다.
도 9는 도 13A-13B에 도시된 직물 구조(1301)를 생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1A-11B, 도 13B 및 도 14A-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그립핑 사(1101a, 1102a)과 보조 사(1101b, 1102b)이 제공된다(901).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그립핑 사"은 미끄러짐 방지, 끈적끈적한, 점성이 있는 및/또는 텍스쳐 실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일반적으로 높은 표면 부착성을 나타내고, 그립핑 사(1101a, 1102a)로부터 만들어진 직물 구조(1301)와 사용자 접촉면 사이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고, 동시에 직물 구조(1301)와 외부의 접촉면 사이에도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그립핑 사(1101a, 1102a)는 항-접착성 재료, 예컨대 실리콘, 탤컴 파우더 등으로 코팅되는데, 이는 기계류에서 뭉치거나 엉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직물 구조(1301)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그립핑 사(1101a, 1102a)는 미끄러짐 방지 재료, 점성이 있는 재료 및/또는 텍스쳐 재료로 제조되는데, 이러한 재료는 합성 고무, 천연 라텍스, 폴리비닐 플로라이드, 플라스티솔, 열가소성 고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코팅 등을 포함한다.
또한,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보조 사"은 종래의 재료, 예컨대 무명,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양모 등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추가적인 실을 지시하며, 이는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1 쌍(1101) 또는 제2 쌍(1102)을 형성하기 위하여 그립핑 사(1101a, 1102a)와 함께 편직된다. 보조 사(1101b, 1102b)는 예컨대 무명,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Lycra와 같은 스판덱스, 양모 등을 포함하는 재료로부터 선택된다. 그립핑 사(1101a, 1102a)은 제1 그립핑 사(1101a)와 제2 그립핑 사(1102a)로 분리된다(902). 제1 그립핑 사(1101a), 제2 그립핑 사(1102a), 제1 보조 사(1101b) 및 제2 보조 사(1202b)은 제1 스풀(1104a), 제2 스풀(1104b), 제3 스풀(1104c) 및 제4 스풀(1104d)위로 각각 권취된다(903), 제1 그립핑 사(1101a) 및 제1 보조 사(1101b)은 제1 쌍(1101)으로 그룹화된다(904). 제2 그립핑 사(1102a)와 제2 보조 사(1102b)는 제2 쌍(1102)으로 그룹화된다(905).
제1 쌍(1101)은 직물 구조(1301)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2 쌍(1102)와 편직된다(906). 제1 쌍(1101)은 직물 구조(1301)의 내측 표면(1301a)을 정의한다. 제2 쌍(1102)는 직물 구조(1301)의 외측 표면(1301b)을 정의한다. 제1 쌍(1101)의 제1 그립핑 사(1101a)은 직물 구조(1301)의 내측 표면(1301a)에 노출되지만, 직물 구조(1301)의 외측 표면(1301b)에 노출되지 않는다. 제2 쌍(1102)의 제2 그립핑 사(1102a)는 직물 구조(1301)의 외측 표면(1301b)에 노출되지만, 직물 구조(1301)의 내측 표면(1301a)에 노출되지 않는다. 제 1쌍(1101)에 의해 정의되는 내측 표면(1301a)는 사용자 접촉면과 직물 구조(1301) 사이에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제2 쌍(1102)에 의해 정의되는 외측 표면(1301b)는 직물 구조(1301)와 외부의 접촉면 사이에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그립핑 사(1101a, 1102a)는 또한 직물 구조(1301)의 내측 표면(1301a) 및/또는 외측 표면(1301b)의 어떤 선택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직물 구조(1301)는 종래의 보조 사(1101b, 1102b)의 사용 없이도 제조될 수 있지만, 그립핑 사(1101a, 1102a)은 직물 구조(1301) 또는 그 직물 구조(1301)의 선택적 영역 또는 부분, 예컨대 사용자의 발뒷꿈치를 수용하는 힐 부분, 사용자의 발볼을 수용하는 볼 부분 등의 내측 표면(1301a) 및 외측 표면(1301b)을 생성하기 위하여 전용으로 사용된다.
도 10은 도 13A-13B에 도시된 직물 구조(1301)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1301b)을 생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1A-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립핑 사(1101a), 제2 그립핑 사(1102a), 제1 보조 사(1101b) 및 제2 보조 사(1102b)가 제1 스풀(1104a), 제2 스풀(1104b), 제3 스풀(1104c) 및 제4 스풀(1104d)에 각각 권취된다. 제1 그립핑 사(1101a)의 제1 스풀(1104a)과 제1 보조 사(1101b)의 제3 스풀(1104c)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핑거 튜브(1105a)위의 편직 유닛(1106)에 위치한 랙(1107)위로 놓여진다(1002). 제2 그립핑 사(1102a)의 제2 스풀(1104b)과 제2 보조 사(1101b)의 제4 스풀(1104d)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핑거 튜브(1105b)위의 편직 유닛(1106)에 위치한 랙(1107)위로 놓여진다(1003).
제1 스풀(1104a)과 제3 스풀(1104c) 각각으로부터의 제1 그립핑 사(1101a)과 제1 보조 사(1101b)을 포함하는 제1 쌍(1101)이 제1 핑거 튜브(1105a)내로 공급되는 한편(1004), 제2 스풀(1104b)과 제4 스풀(1104d) 각각으로부터의 제2 그립핑 사(1102a)과 제2 보조 사(1102b)을 포함하는 제2 쌍(1102)이 제2 핑거 튜브(1105b)내로 공급된다(1005). 제1 쌍(1101)과 제2 쌍(1102)은 제1 핑거 튜브(1105a)와 제2 핑거 튜브(1105b) 각각으로부터 회수되며(retrieved), 도 13B에 도시된 직물 구조(1301)를 생산하기 위하여 예컨대 도 11C에 도시된 편직 기계(1109)의 래치 바늘(1108)을 사용하여 편직된다(1006). 편직 기계(1109)는 예컨대 이탈리아, ㅂ브브레스시아 소재 로나티 컴퍼니(Lonati Co.)산 Lonati 454 머신이다.
도 11A-11B는 도 13B에 도시된 직물 구조(1301)를 생성하기 위하여 제1 그립핑 사(1101a)과 제1 보조 사(1101b)로 이루어진 제1 쌍(1101)을, 제2 그립핑 사(1102a)과 제2 보조 사(1102b)로 이루어진 제2 쌍(1102)으로 편직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그립핑 사(1101a, 1102a)는 박스로부터 분리되어 각각 제1 그립핑 사(1101a)과 제2 그립핑 사(1102a)로 된다. 도 11A는 다수의 그립핑 사(1101a, 1102a)가 분리되어 스풀(1104a, 1104b) 둘레에 권취되는 것을 도시한다. 그립핑 사(1101a, 1102a)은 연사기(1103)를 사용하여 별개의 스풀, 예컨대 1104a 및 1104b에 분리된다. 제1 그립핑 사(1101a), 제2 그립핑 사(1102a), 제1 보조 사(1101b) 및 제2 보조 사(1102b)가 제1 스풀(1104a), 제2 스풀(1104b), 제3 스풀(1104c) 및 제4 스풀(1104d)에 각각 권취되는 실시예를 고려해 보자. 제1 그립핑 사(1101a)의 제1 스풀(1104a)와 제1 보조 사(1101b)의 제3 스풀(1104c)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핑거 튜브(1105a)위의 편직 유닛(1106)에 위치한 랙(1107)위로 놓여진다. 제2 그립핑 사(1102a)의 제2 스풀(1104b)과 제2 보조 사(1101b)의 제4 스풀(1104d)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핑거 튜브(1105b)위의 편직 유닛(1106)에 위치한 랙(1107)위로 놓여진다.
직물 구조(1301)의 내측 표면(1301a)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 스풀(1104a)과 제3 스풀(1104c) 각각으로부터 제1 그립핑 사(1101a) 및 제1 보조 사(1101b)는 동시에 도 11B에 도시된 제1 핑거 튜브(1105a)로 공급된다. 제1 그립핑 사(1101a)와 제1 보조 사(1101b)는 도 13A-13B에 도시된 직물 구조(1301)의 내측 표면(1301a)을 정의하는 제1 쌍(1101)으로 그룹화된다. 직물 구조(1301)의 외측 표면(1301b)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2 스풀(1104b)과 제4 스풀(1104d) 각각으로부터 제2 그립핑 사(1102a) 및 제2 보조 사(1102b)는 동시에 도 11B에 도시된 제2 핑거 튜브(1105b)로 공급된다. 제2 그립핑 사(1102a)와 제2 보조 사(1102b)는 도 13A-13B에 도시된 직물 구조(1301)의 외측 표면(1301b)을 정의하는 제2 쌍(1102)으로 그룹화된다.
제1 쌍(1101)은 도 11B에 도시된 원형 편집 기계(1109)에서 하나 이상의 다수 래치 바늘(1108)을 사용하여 제2 쌍(1102)와 편직되어 직물 구조(1301)를 형성한다. 직물 구조(1301)의 내측 표면(1301a)을 정의하는 실(1101a, 1101b)의 하나 이상의 쌍(1101)과 직물 구조(1301)의 외측 표면(1301b)을 정의하는 동일 또는 상이한 재료의 실(1102a, 1102b)의 하나 이상의 쌍(1102)을 편직하는 기술은 플레이팅(plating)으로 알려져 있다. 제1 쌍(1101)의 제1 그립핑 사(1101a)은 직물 구조(1301)의 내측 표면(1301a)에 노출된다. 제1 쌍(1101)의 제1 그립핑 사(1101a)은 직물 구조(1301)의 외측 표면(1301b)에 노출되지 않는다. 제2 쌍(1102)의 제2 그립핑 사(1102a)은 직물 구조(1301)의 외측 표면(1301b)에 노출된다. 제2 쌍(1102)의 제2 그립핑 사(1102a)은 직물 구조(1301)의 내측 표면(1301a)에 노출되지 않는다.
도 11C는 도 13A-13B에 도시된 직물 구조(1301)를 생성하기 위하여 래치 바늘(1108)을 사용하여 제1 쌍(1101)과 제2 쌍(1102)을 편직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래치 바늘(1108)은 실(1101a, 1101b)의 제1 쌍(1101)과 실(1102a, 1102b)의 제2 쌍(1102)을 동시에 받아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 구조(1301)의 내측 표면(1301a)과 외측 표면(1301b)을 동시에 형성한다. 제1 그립핑 사(1101a)과 제2 그립핑 사(1102a)의 치수는 예컨대 약 1밀리미터 직경 내지 약 0.3 밀리미터 직경 범위내이다.
도 12는 도 13A-13B에 도시된 직물 구조(1301)의 내측 표면(1301a)과 외측 표면(1301b)을 생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1B에 도시된 원형 편직 기계(1109)상에서 동작하는 4개의 핑거 튜브가 있는 실시예를 고려해 보자. 제1 그립핑 사(1101a), 제2 그립핑 사(1102a), 제1 보조 사(1101b) 및 제2 보조 사(1102b)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풀(1104a), 제2 스풀(1104b), 제3 스풀(1104c) 및 제4 스풀(1104d)에 각각 권취된다. 제1 그립핑 사(1101a)의 제1 스풀(1104a), 제2 그립핑 사(1102a)의 제2 스풀(1104b), 제1 보조 사(1101b)의 제3 스풀(1104c) 및 제2 보조 사(1102b)의 제4 스풀(1104d)이 제1 핑거 튜브, 제2 핑거 튜브, 제3 핑거 튜브 및 제4 핑거 튜브위의 편직 유닛(1106)에 위치한 랙(1107)위로 각각 놓여진다(1002). 제1 그립핑 사(1101a), 제2 그립핑 사(1102a), 제1 보조 사(1101b) 및 제2 보조 사(1102b)은 제1 핑거 튜브, 제2 핑거 튜브, 제3 핑거 튜브 및 제4 핑거 튜브내로 각각 공급된다(1201).
도 13B에 도시된 직물 구조(1301)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도 11B에 도시된 편직기계(1109)의 래치 바늘(1108)은 제3 핑거 튜브 및 제4 핑거 튜브 각각으로부터 제1 보조 사(1101b)과 제2 보조 사(1102b)를 동시에 회수한다. 제3 핑거 튜브로부터 회수된 제1 보조 사(1101b)와 제4 핑거 튜브로부터 회수된 제2 보조 사(1102b)는 예컨대 플레이팅 기술을 사용하여 편직되고(1202), 이 경우 제1 보조 사(1101b)는 직물 구조(1301)의 내측 표면(1301)으로 가고, 제2 보조 사(1102b)는 직물 구조(1301)의 외측 표면(1301b)로 간다. 제1 보조 사(1101b)는 직물 구조(1301)의 내측 표면(1301a)에 노출되고, 제2 보조 사(1102b)는 직물 구조(1301)의 외측 표면(1301b)에 노출된다.
첫번째 코스의 편직이 완료된 후, 원형 편직기(1109)의 래치 바늘(1108)은 제1 핑거 튜브로부터 제1 그립핑 사(1101a)을, 제2 핑거 튜브로부터 제2 그립핑 사(1102a)을 동시에 회수하여 제1 그립핑 사(1101a)와 제2 그립핑 사(1102a)을 플레이팅 기술로 편직하고(1203), 이 경우 제1 그립핑 사(1101a)는 직물 구조(1301)의 내측 표면(1301a)로 가고, 제2 그립핑 사(1102a)는 직물 구조(1301)의 외측 표면(1301b)로 간다. 제1 그립핑 사(1101a)는 직물 구조(1301)의 내측 표면(1301a)에 노출되지만, 직물 구조(1301)의 외측 표면(1301b)에 노출되지 않는다. 제2 그립핑 사(1102a)는 외측 표면(1301b)에 노출되지만, 직물 구조(1301)의 내측 표면(1301a)에 노출되지 않는다. 제1 그립핑 사(1101a)과 제1 보조 사(1101b)을 포함하는 제1 쌍(1101)은 직물 구조(1301)의 내측 표면(1301a)을 형성한다. 제2 그립핑 사(1102a)와 제2 보조 사(1102b)을 포함하는 제2 쌍(1102)은 직물 구조(1301)의 외측 표면(1301b)을 형성한다.
원형 편직기(1109)는 도 13A-13B에 도시된 직물 구조(1301)가 생산될 때까지, 그립핑 사(1101a, 1102a)과 보조 사(1101b, 1102b) 사이의 각각의 편직 과정을 번갈아 계속한다. 이러한 기술은 각각의 코스에서 그립핑 사(1101a, 1102a)과 보조 사(1101b, 1102b) 사이에 번갈아 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로서, 그립핑 사(1101a, 1102a)은 3번째 코스, 네번째 코스 또는 어떠한 조합으로도 직물 구조(1301)로 편직될 수 있다.
도 13A는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직물 구조(1301)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직물 구조(1301)는 내측 표면(1301a)과 외측 표면(1301b)을 포함한다. 예컨대, 직물 구조(1301)는 의복, 예컨대 양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직물 조직(1301)은 도 15A-15B의 상세 설명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직물 구조(1301)의 내측 표면(1301a) 및/또는 외측 표면(1301b)에 그립핑 재료(402)를 선택적으로 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13B는 직물 구조(1301)의 확대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직물 구조(1301)은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표면(1301a)과 외측 표면(1301b)를 포함한다. 직물 구조(1301)의 내측 표면(1301a)는 제1 그립핑 사(1101a)과 제1 보조 사(1101b)를 포함하는 제1 쌍(1101)에 의해 정의되고, 직물 구조의 외측 표면(1301b)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그립핑 사(1102a)과 제2 보조 사(1102b)를 포함하는 제2 쌍(1102)에 의해 정의된다. 일 실시예에서, 그립핑 재료(402)는 도 15A-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 구조(1301)의 내측 표면(1301a)을 정의하는 제1 쌍(1101)의 제1 그립핑 사(1101a) 및/또는 제1 보조 사(1101b), 그리고 직물 구조(1301)의 외측 표면(1301b)을 정의하는 제2 쌍(1102)의 제2 그립핑 사(1102a) 및/또는 제2 보조 사(1102b)에 선택적으로 가해질 수 있다. 예컨대, 그립핑 재료(402)는 제1 쌍(1101)의 제1 그립핑 사(1101a) 및/또는 제1 보조 사(1101b), 또는 제2 쌍(1102)의 제2 그립핑 사(1102a) 및/또는 제2 보조 사(1102b)에 추가 또는 코팅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1104a, 1104c, 1104b, 1104d)에서의 전체 길이의 실(1101a, 110b, 1102a, 1102b)을 코팅하는 것 보다 1/16의 인치 간격으로 코팅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립핑 재료(402)는 제1 쌍(1101)에서의 제1 그립핑 사(1101a) 및/또는 제1 보조 사(1101b)의 전체 길이 또는 제2 쌍(1102)에서의 제2 그립핑 사(1102a) 및/또는 제2 보조 사(1102b)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추가 또는 코팅될 수 있다.
그립핑 재료(402)는 제1 쌍(1101)에서 제1 그립핑 사(1101a) 및/또는 제1 보조 사(1101b)에 부착하고, 그리고 제2 쌍(1102)에서 제2 그립핑 사(1102a) 및/또는 제2 보조 사(1102b)에 부착한다. 제1 쌍(1101)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표면(1301a)과 제2 쌍(1102)에 의해 형성되는 외측 표면(1301b)에서의 그립핑 재료(402)는 사용자 접촉면과 외부의 접촉면에 각각 부착되어, 사용자 접촉면과 직물 구조(1301) 사이 그리고 직물 구조(1301)와 외부의 접촉면 사이에 강화된 그립 기능을 각각 제공한다.
도 14A-14D는 도 13A-13B의 직물 구조(1301)의 다수 도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직물 구조(1301)를 생성하기 위하여 제1 그립핑 사(1101a)과 제1 보조 사(1101b)로 이루어진 제1 쌍(1101)이 제2 그립핑 사(1102a)과 제2 보조 사(1102b)로 이루어진 제2 쌍(1102)으로 편직된 것을 도시한다. 제1 그립핑 사(1101a)과 제1 보조 사(1101b)로 이루어지는 제1 쌍(1101)을, 제2 그립핑 사(1102a)과 제2 보조 사(1102b)로 이루어지는 제2 쌍(1102)으로 편직한 것의 저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가 도 14A, 도 14B 및 도 14C-14D에 각각 도시된다. 직물 구조(1301)는 제1 그립핑 사(1101a)과 제2 그립핑 사(1102a)로 나타내어지는 그립핑 사를, 여기서 보조 사(1101b, 1102b)로 나타내어지며 종래 재료로 만들어진 실을 편직하여 제조된다. 제1 그립핑 사(1101a)과 제2 그립핑 사(1102a)는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그립핑 사(1101a)과 제2 그립핑 사(1102a)는 상이한 견인력, 그립핑 재료로 만들어진다. 제1 그립핑 사(1101a)과 제2 그립핑 사(1102a)는 예컨대 합성 고무와 같은 합성 재료 또는 천연 고무로 알려져 있는 라텍스, 또는 천연 라텍스, 폴리 염화 비닐, 열가소성 고무 또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폴리우레탄 등으로 코팅된 실로 만들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그립핑 사(1101a, 1102a)는 압출성형된 가황 천연 라텍스이고, 치수 68 및 75는 다음의 회사:Heveafil Sdn. Bdh., No. 1, Jalan Heveafil, 44300 Batang Kali, Ulu Selangor Selangor Darul Ehsan, Malaysia에 의해 제조된다.
보조 사(1101b, 1102b)는 예컨대 무명, 나일론, 라이크라, 아크릴, 양모 또는 예컨대 양말, 장갑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다른 종래의 재료로 제조된다. 일 실시예에서, 직물 구조(1301)는 직물 구조(1301)의 내측 표면(1301a)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타입의 보조 사(1101b)과 직물 구조(1301)의 외측 표면(1301b)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2 타입의 보조 사(1102b)을 포함한다. 예컨대, 제1 그립핑 사(1101a)을 수반하며, 직물 구조(1301)의 내측 표면(1301a)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보조 사(1101b)은 무명으로 제조되는 반면, 제2 그립핑 사(1102a)을 수반하며, 직물 구조(1301)의 외측 표면(1301b)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2 보조 사(1102b)은 나일론으로 제조된다. 일 실시예에서, 내측 표면(1301a)과 외측 표면(1301b)용으로 사용되는 보조 사(1101b, 1102b)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다.
설명을 위하여, 도 9-14D의 상세 설명은 제1 그립핑 사(1101a)과 제1 보조 사(1101b)로 이루어지는 제1 쌍(1101), 및 제2 그립핑 사(1102a)과 제2 보조 사(1102b)로 이루어지는 제2 쌍(1102)을 편직함으로써 직물 구조(1301)를 생산하는 것을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개시된 방법의 범위는 제1 상(1101)과 제2 쌍(1102)에 제한되지 않고, 다수의 실로 이루어진 다수의 쌍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1101a, 110b)의 제1 쌍(1101)과 실(1102a, 1102b)의 제2 쌍(1102)은 직물 구조(1301)를 생산하도록 편직되고, 이 경우 직물 구조(1301)의 내측 표면(1301a)과 직물 구조(1301)의 외측 표면(1301b)은 동일한 그립핑 재료-추가 재료로 이루어진 실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이한 그립핑 재료-추가 재료의 실 조합이 직물 구조(1301)의 생산을 위해 사용된다.
15A-15B는 그립핑 의류(400)을 제조하기 위하여 그립핑 재료(402)를 구성된 직물 구조(1301)에 스프레이함으로써, 도 13A-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직물 구조(1301)에 그립핑 재료(402)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직물 구조(1301)는 예컨대 양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체 부분, 예컨대 사용자의 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성된 직물 구조(1301)은 여기서 "양말"을 지시한다. 도 9-14D의 상세한 설명에 개시되고,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물 구조(1301)로부터 구성된 양말은 여기서 부재번호 1301로 표시된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액체 형태의 그립핑 재료(402)가 노즐(601)을 통하여 양말(1301)의 외측 표면(1301b)에 스프레이된다. 그립핑 재료(402)는 또한 예컨대 그립핑 재료(402)를 양말(1301)의 내측 표면(1301a)에 하나 이상의 패턴으로 스프레이함으로써 양말(1301)의 내측 표면(1301a)에 선택적으로 가해질 수 있다.
그립핑 재료(402)는 도 13A-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말(1301)의 내측 표면(1301a)을 형성하는 제1 쌍(1101)의 제1 그립핑 사(1101a) 및/또는 제1 보조 사(1101b)에 그리고 양말(1301)의 외측 표면(1301b)을 형성하는 제2 쌍(1102)의 제2 그립핑 사(1102a) 및/또는 제2 보조 사(1102b)에 선택적으로 가해질 수 있는데, 이는 그립핑 재료(402)를 양말(1301) 내측 표면(1301a) 및/또는 외측 표면(1301b)의 선택 영역에 하나 이상의 패턴으로 스프레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핑 재료(402)는 제1 쌍(1101)의 제1 보조 사(1101b)과 제2 쌍(1102)의 제2 그립핑 사(1102a)에 부착한다. 제1 쌍(1101)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표면(1301A)과 제2 쌍(1102)에 의해 형성되는 외측 표면(1301B)에서의 그립핑 재료(402)는 사용자 접촉면 및 외부의 접촉면에 부착하여, 사용자 접촉면과 양말(1301) 사이 및 양말(1301)과 외부의 접촉면 사이에 강화된 그립 기능을 각각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그립핑 재료(402)는 도 13A-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말(1301)의 내측 표면(1301a)을 형성하는 제1 쌍(1101)의 제1 그립핑 사(1101a) 및/또는 제1 보조 사(1101b)에 그리고 양말(1301)의 외측 표면(1301b)을 형성하는 제2 쌍(1102)의 제2 그립핑 사(1102a) 및/또는 제2 보조 사(1102b)에 선택적으로 가해질 수 있는데, 이는 그립핑 재료(402)를 양말(1301) 내측 표면(1301a) 및/또는 외측 표면(1301b)의 선택 영역에 하나 이상의 패턴으로 페인팅, 붓기, 스크린 인쇄 등 중에 하나 이상을 함로써 이루어진다.
도 4A-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과 발 그립핑 의류(400) 사이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고, 동시에 발 그립핑 의류(400)과 사용자가 신은 신발의 내측 표면 사이에서 사용자의 발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는 발 그립핑 의류(400)을 제조하는 예를 고려해 보자. 신발은 예컨대 축구화, 농구화, 테니스화, 러닝화, 스케이트 부츠, 스키 부츠ㅊ 등과 같은 신발을 포함한다. 여기서 개시된 방법에 있어서, 직물 구조(401)는 발 보호구, 예컨대 여기서 부재번호 401로 표시한 양말을 생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발에 적합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천연 사 및/또는 합성 사를 원형 편직기(1109)를 사용하여 편직함으로써 제조된다. 천연 사 및/또는 합성 사는 첫번째 특정 기계류에 의해 실 콘(cone) 또는 실 스풀에 포장 또는 패키징되고, 그 다음 발 보호구의 생산을 위하여 편직 공장으로 이송된다. 실 콘은 원형 편직기(1109) 보다 높게 설치된 랙(1107)에 매달린다. 의 천연 사 및/또는 합성 사가 실 콘 또는 실 스풀로부터 핑거 튜브(1105a, 1105b)를 통해 공급되고, 일련의 래치 바늘(1108) 및 싱커(sinker)를 통해 이동하고, 양말(401)을 함께 단단히 편직한다. 다리위로 당기는 양말(401) 부분에 원형 구멍으로 양말(401)의 상단이 완료된다. 원형 편직기(1109)는 양말(401)의 바닥에 구멍을 형성하는데, 이는 별도의 기계에서 발가락 이음매쪽으로 행해진다. 생산된 양말(401)은 종래의 직물, 예컨대 오픈 엔드 무명, 링 스푼/소모(spun/combed) 무명, 라이크라, 아크릴, 나일론, 양모 등으로 이루어진다.
양말(401)은 도 4A-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표면(401a) 및 외측 표면(401b)을 규정 짓는다. 사용자가 양말(401)과 신발을 착용할 때,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은 사용자의 발에 밀접히 가깝고 신발에 멀다. 그립핑 재료(402)는 발 그립핑 의류(400)을 제조하기 위하여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과 외측 표면(401b)에 선택적으로 가해진다. 그립핑 재료(402)를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과 외측 표면(401b)에 페인팅, 스크린 인쇄, 스프레이 등을 함으로써, 그립핑 재료(402)를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과 외측 표면(401b)에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발 그립핑 의류(400)과 신발을 착용할 때,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과 외측 표면(401b)상의 그립 물질(402)이 동시에 사용자의 발과 신발의 내측 표면에 각각 부착한다.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과 외측 표면(401b)상의 그립 물질(402)이 사용자의 발과 신발의 내측 표면에 각각 부착함으로써, 사용자의 발과 발 그립핑 의류(400) 사이에서 사용자의 발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고, 그와 동시에 발 그립핑 의류(400)과 신발의 내측 표면 사이에서 사용자의 발에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발 피부와 신발의 내측면에 동시에 부착함으로써 사용자의 발이 발 그립핑 의류(400) 내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발 그립핑 의류(400)이 신발 내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과 외측 표면(401b)상에 그립핑 재료(402)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과정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하나 이상의 패턴 홀(502)을 포함하는 디자인 프레임(501)이 생성된다. 디자인 프레임(501)은 예컨대 패턴 홀(502)을 포함하는 디자인 몰드, 스크린 등이다. 상기 생성된 디자인 프레임(501)은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과 외측 표면(401b) 각각에 위치된다. 디자인 프레임(501)은 예컨대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과 외측 표면(401b) 위에 위치된다. 그립핑 재료(402)는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과 외측 표면(401b) 각각에 위치된 디자인 프레임(501)상에 선택적으로 적용된다. 그립핑 재료(402)는 디자인 프레임(501)의 패턴 홀(502)을 통과하고, 디자인 프레임(501)의 패턴 홀(502)에 의해 규정된 패턴으로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과 외측 표면(401b) 각각에 부착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홀(502) 또는 스크린을 가진 디자인 프레임(501) 또는 몰드가 생성되고 양말(401)의 외측 표면(401b)위에 위치시키는 또 다른 실시예를 고려해 보자. 그립핑 재료(402), 예컨대 열가소성 고무가 바탕용액에 혼합되거나 또는 녹는점까지 가열됨에 따라 액체 형태인 열가소성 고무가, 양말(401)의 외측 표면(401b)상에 위치하는 디자인 프레임(501) 또는 스크린상에 스프레이, 스크린 인쇄, 붓기 또는 페인팅된다. 열가소성 고무는 디자인 프레임(501)내의 패턴 홀(502)을 통과하고 양말(401)의 외측 표면(401b)에 이르고, 그에 의하여 양말(401)의 외측 표면(401b)상에 열가소성 고무로 이루어진 패턴을 생성한다. 패턴 홀(502) 또는 스크린을 가지는 디자인 프레임(501)이 또한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 상부에 위치된다. 그 다음, 열가소성 고무가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에 위치된 디자인 프레임(501) 또는 스크린상에 스프레이, 스크린 인쇄, 붓기 또는 페인팅된다. 열가소성 고무는 디자인 프레임(501) 또는 스크린내의 패턴 홀(502)을 통과하고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에 이르고, 그에 의하여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상에 열가소성 고무로 이루어진 패턴을 생성한다. 양말(401)의 외측 표면(401b)과 내측 표면(401a)에 열가소성 고무 패턴을 생성함으로써 양말(401)이 예컨대 사용자 발 피부와 사용자의 신발 내측 표면에 동시에 부착되고, 그에 의하여 사용자의 발과 사용자의 신발 내측 표면 사이에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발 그립핑 의류(4000)을 제조하기 위하여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과 외측 표면(401b)에 그립핑 재료(402)를 선택적으로 적용함에 있어서, 발과 발 그립핑 의류(400) 사이에서 사용자의 발에 그립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발 그립핑 의류(400)을 착용하는 사용자, 예컨대 운동선수, 스포츠맨 등의 발이 발 그립핑 의류(400) 내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그와 동시에 발 그립핑 의류(400)과 신발의 내측 표면 사이에서 사용자 발에 그립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발 그립핑 의류(400)을 제조하기 위하여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과 외측 표면(401b)에 그립핑 재료(402)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과정이 예컨대 도 4A-4C의 상세 설명에 개시된 바 와 같이 그립핑 재료(402)를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과 외측 표면(401b)에 전사하기 위한 열 프레스(407)를 활용함으로써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디자인 프레임(501), 예컨대 디자인 프레임(501) 또는 스크린이 사용되지 않는다. 발 그립핑 의류(400)을 제조하기 위하여 열 프레스(407)에 의해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과 외측 표면(401b)에 그립핑 재료(402)를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발 그립핑 의류(400)과 신발을 착용할 때, 사용자의 발과 양말(401)의 내측 표면(401a) 사이의 모든 미끄러짐을 제거하고, 그와 동시에 양말(401)의 외측 표면(401b)과 신발의 내측 표면 사이의 모든 미끄러짐을 제거한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 구조(1301)가 손 보호구, 예컨대 장갑을 제조하기 위하여 원형 편직기(1109)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손 및 손가락에 적합하도록 구성되는 다른 실시예를 고려해 보자. 손 보호구를 생성하기 위하여, 그립핑 사(1101a, 1102a) 등은 도 11A에 도시된 연사기(1103)를 이용하여 두개의 별개 스풀(1104a, 1104b)로 분리된다. 그립핑 사(1101a, 1102a)의 스풀들(1104a, 1104b) 등은 랙(1107)에 위치된다. 랙(1107)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직기(1106)상에 위치된다.
단일 그립핑 사(1101a)과 제1 보조 사(1101b), 예컨대 무명 실의 단일 가닥이 각각 스풀(1104a, 1104c)로부터 동시에 제1 핑거 튜브(1105a)내로 당겨져서 제1 쌍(1101)으로 그룹화된다. 제1 쌍(1101)은 손 보호구의 내측 표면을 형성한다. 제2 그립핑 사(1102a)과 제2 보조 사(1102b), 예컨대 나일론 실의 단일 가닥이 각각 스풀(1104b, 1104d)로부터 동시에 제2 핑거 튜브(1105b)내로 당겨져서 제2 쌍(1102)으로 그룹화된다. 제2 쌍(1102)은 손 보호구의 외측 표면을 형성한다.
제1 상(1101)과 제2 쌍(1102)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바늘(1108)을 이용하여 편직된다. 래치 바늘(1108)은 제1 쌍(1101)과 제2 상(1102)을 동시에 받아 예컨대 플레이팅으로 알려진 편직 패턴으로 동시에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을 형성한다. 제1 그립핑 사(1101a)과 제1 보조 사(1101b)로 이루어진 제1 쌍(1101)에 의해 형성된 내측 표면은 손 보호구내에서 사용자의 손에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제1 쌍(1101)은 도 14A-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윈-사 패턴으로 제2 상(1102)과 편직되어 손 보호구를 만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손 보호구를 만들기 위하여 예컨대 무명, 나일론, 양모,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스판덱스와 같은 종래의 직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립핑 재료(402)는 손 보호구의 내측 표면에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그립 손 의복, 예컨대 그립 장갑이 만들어진다. 손 보호구의 내측 표면에 그립핑 재료(402)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예컨대 손 보호구의 내측 표면에 그립핑 재료(402)를 페인팅, 붓기, 스크린 인쇄, 스프레이, 열 프레싱, 봉재에 의한 선택적 부착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수행된다.
사용자가 그립 손 의복을 착용할 때, 손 보호구의 내측 표면상의 그립핑 재료(402)는 동시에 사용자의 손에 부착한다. 손 보호구의 내측 표면상의 그립핑 재료(402)가 사용자의 손에 부착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과 손 보호구 사이에서 사용자의 손에 그립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그립 손 의복은 사용자의 손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이 그립 손 의복 내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설명을 위하여 상세한 설명은 발 그립핑 의류(400), 예컨대 그립 양말과 손 그립핑 의류, 예컨대 그립 장갑을 제조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개시된 본 발명의 범위는 그립 양말 및 그립 장갑의 제조에만 제한되지 않으며, 그립감을 얻기 위하여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그립핑 의류의 제조에까지 확장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단지 설명을 위하여 제공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고, 여기서 사용된 용어는 설명을 위하여 사용되어졌을 뿐이므로 제한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게다가, 본 발명은 특정 수단, 재료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여기에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특정 사항에 제한되지 않으며, 나아가 다음의 청구범위내에서 기능적으로 동등한 구조, 방법 및 용도에까지 확장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 및 기술적 의의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 및 응용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Claims (29)

  1.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을 형성하는 직물 구조를 생성하고, 여기서 상기 내측 표면은 사용자 접촉 표면에 인접하며, 외부 접촉 표면에는 멀리 위치되고, 상기 외측 표면은 상기 외부 접촉 표면에 인접하며, 상기 사용자 접촉 표면에는 멀리 위치되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그립핑 재료를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 중 하나 이상에 적용하며, 여기서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 중 하나 이상의 상기 그립핑 재료는 상기 사용자 접촉 표면 및 외부 접촉 표면에 각각 부착하는; 단계들을 포함하고,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 상의 상기 그립핑 재료의 상기 사용자 접촉 표면 및 외부 접촉 표면으로의 부착은, 각각 상기 사용자 접촉 표면과 상기 직물 구조 사이에서 그립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직물 구조와 상기 외부 접촉 표면 사이에서 그립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그립핑 직물구조 제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핑 재료는 미끄럼 방지식 재료, 점착성 재료, 텍스쳐 재료 및 그 임의의 조합 중의 하나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 중 하나 이상에 상기 그립핑 재료의 선택적인 적용은,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 중 하나 이상에 상기 그립핑 재료를 하나 이상의 여러 패턴으로, 열 프레스를 사용하여 전달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 중 하나 이상에 상기 그립핑 재료의 선택적인 적용은,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 중 하나 이상에 상기 그립핑 재료를 하나 이상의 여러 패턴으로, 스프레이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 중 하나 이상에 상기 그립핑 재료의 선택적인 적용은,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 중 하나 이상에 상기 그립핑 재료를 하나 이상의 여러 패턴으로, 붓기(pouring)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 중 하나 이상에 상기 그립핑 재료의 선택적인 적용은,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 중 하나 이상에 상기 그립핑 재료를 하나 이상의 여러 패턴으로, 페인팅 및 스크린 인쇄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된 그립핑 직물을 의류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선택적으로 부착시키는 것을 추가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접촉 표면과 상기 제작된 그립핑 직물 사이에서 그립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제작된 그립핑 직물 및 상기 외부 접촉 표면 사이에서 그립 기능을 제공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핑 재료를 의류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하나 이상의 여러 패턴으로 선택적으로 부착시키는 것을 추가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접촉 표면과 상기 의류 사이에서 그립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의류 및 상기 외부 접촉 표면 사이에서 그립 기능을 제공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핑 재료를 하나 이상의 여러 형태로 구성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하여, 상기 그립핑 재료를 상기 직물 구조의 하나 이상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상에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핑 재료를 상기 직물 구조의 하나 이상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상에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패턴 홀들을 포함하는 디자인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디자인 프레임을 상기 직물 구조의 각각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상의 하나 이상에 위치시키며; 그리고
    선택적으로 상기 그립핑 재료를 상기 직물 구조의 각각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의 하나 이상에서 상기 위치된 디자인 프레임상에 적용하는 단계들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그립핑 재료는 상기 위치된 디자인 프레임의 하나 이상의 패턴 홀들을 통과하여 상기 직물 구조의 하나 이상의 각각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에 상기 위치된 디자인 프레임의 상기 하나 이상의 패턴 홀들에 의해서 형성된 패턴으로 부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된 디자인 프레임상에 상기 그립핑 재료의 선택적인 적용은, 상기 위치된 디자인 프레임 상에 상기 그립핑 재료를 페인팅, 붓기, 스크린 인쇄, 및 스프레이 중의 하나 이상을 적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그립핑 재료가 상기 위치된 디자인 프레임의 하나 이상의 패턴 홀들을 통과하여 상기 직물 구조의 하나 이상의 각각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에 상기 위치된 디자인 프레임의 상기 하나 이상의 패턴 홀들에 의해서 형성된 패턴으로 부착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조는 의류를 제작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일치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으로 적용된 그립핑 재료를 갖는 상기 직물 구조는 그립핑 의류를 제작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일치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조의 생성은:
    다수의 그립핑 사와 보조 사들을 제공하고;
    상기 그립핑 사를 제1 그립핑 사와 제2 그립핑 사로 분리하며;
    상기 제1 그립핑 사, 상기 제2 그립핑 사, 제1 보조 사, 및 제2 보조 사를 제1 스풀, 제2 스풀, 제3 스풀, 그리고 제4 스풀로 각각 권취하며;
    상기 제1 그립핑 사 및 제1 보조 사를 제1 쌍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제2 그립핑 사 및 제2 보조 사를 제2 쌍으로 그룹핑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쌍을 제2 쌍과 함께 직조하여 상기 직물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쌍은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쌍은 직물 구조의 외측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쌍의 제1 그립핑 사는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에 노출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쌍의 제1 그립핑 사는 상기 직물 구조의 외측 표면에는 노출되지 않고, 상기 제2 쌍의 제2 그립핑 사는 직물 구조의 외측 표면에 노출되며, 상기 제2 쌍의 제2 그립핑 사는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에는 노출되지 않고;
    상기 제1 쌍에 의해 형성된 상기 내측 표면은 상기 사용자 접촉 표면과 직물 구조 사이에서 그립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제2 쌍에 의해서 형성된 상기 외측 표면은 상기 직물 구조와 외부 접촉 표면 사이에서 그립 기능을 제공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립핑 사와 상기 제1 보조 사를 각각 상기 제1 스풀 및 제3 스풀로부터 제1 핑거 튜브내로 공급하고; 그리고
    상기 제2 그립핑 사와 제2 보조 사를 각각 상기 제2 스풀과 제4 스풀로부터 제2 핑거 튜브내로 공급하는 것을 추가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은 아래의 단계들에 의해서 생성되며:
    상기 제1 그립핑 사, 상기 제2 그립핑 사, 상기 제1 보조 사, 및 상기 제2 보조 사를 제1 핑거 튜브, 제2 핑거 튜브, 제3 핑거 튜브, 및 제4 핑거 튜브내에 각각 공급하고;
    상기 제3 핑거 튜브로부터 회수된 제1 보조 사와, 제4 핑거 튜브로부터 회수된 제2 보조 사를 플레이팅 기술을 사용하여 직조하며, 여기서 상기 제1 보조 사는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에 노출되고, 상기 제2 보조 사는 상기 직물 구조의 외측 표면에 노출되며; 그리고
    상기 제1 핑거 튜브로부터 회수된 제1 그립핑 사와, 상기 제2 핑거 튜브로부터 회수된 제2 그립핑 사를 플레이팅 기술을 사용하여 직조하며, 여기서 상기 제1 그립핑 사는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상에서 노출되지만, 상기 직물 구조의 외측 표면상에는 노출되지 않고, 상기 제2 그립핑 사는 상기 직물 구조의 외측 표면상에 노출되지만,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상에는 노출되지 않고, 그리고 상기 제1 그립핑 사와 제1 보조 사의 제1 쌍은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2 그립핑 사와 제2 보조 사의 제2 쌍은 상기 직물 구조의 외측 표면을 형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핑 사는, 미끄럼 방지 재료, 점착성 재료 및 텍스쳐 재료들 중의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나 이상의 합성 고무, 천연 라텍스, 폴리 염화 비닐, 열가소성 고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및 폴리 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핑 재료는 선택적으로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 쌍의 하나 이상의 제1 그립핑 사 및 제1 보조 사에, 그리고 상기 직물 구조의 외측 표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 쌍의 하나 이상의 제2 그립핑 사 및 제 2 보조 사에 적용되고, 여기서 상기 그립핑 재료는 상기 제1 쌍내의 하나 이상의 제1 그립핑 사 및 제1 보조 사에, 그리고 상기 제2 쌍내의 하나 이상의 제2 그립핑 사 및 제 2 보조 사에 부착하며, 상기 제1 쌍에 의해서 형성된 내측 표면과, 상기 제2 쌍에 의해서 형성된 외측 표면상의 상기 그립핑 재료는 상기 사용자 접촉 표면 및 외부 접촉 표면에 각각 부착하여 상기 사용자 접촉 표면 및 상기 직물 구조 사이에서, 그리고 상기 직물 구조와 상기 외부 접촉 표면 사이에서 각각 향상된 그립 기능을 제공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조는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 상의 선택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그립핑 사들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조의 생성은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을 형성하는 그립핑 사들을 직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을 형성하는 직물 구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내측 표면은 사용자 접촉 표면에 인접하며, 외부 접촉 표면에는 멀리 위치되고, 상기 외측 표면은 상기 외부 접촉 표면에 인접하며, 상기 사용자 접촉 표면에는 멀리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 중 하나 이상에 선택적으로 적용된 그립핑 재료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 중 하나 이상의 상기 그립핑 재료는 상기 사용자 접촉 표면 및 외부 접촉 표면에 각각 부착하고;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 상의 상기 그립핑 재료의 상기 사용자 접촉 표면 및 외부 접촉 표면으로의 부착은, 각각 상기 사용자 접촉 표면과 상기 직물 구조 사이에서 그립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직물 구조와 상기 외부 접촉 표면 사이에서 그립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그립핑 직물.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조는:
    제1 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쌍은 제1 그립핑 사 및 제1 보조 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쌍은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그립핑 사는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상에 노출되고, 그리고 상기 제1 그립핑 사는 상기 직물 구조의 외측 표면에는 노출되지 않으며; 그리고
    제2 쌍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쌍은 제2 그립핑 사 및 제2 보조 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쌍은 직물 구조의 외측 표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2 그립핑 사는 상기 직물 구조의 외측 표면상에 노출되고, 그리고 상기 제2 그립핑 사는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에는 노출되지 않으며, 상기 제2 쌍은 상기 제1 쌍과 함께 직조되어 상기 직물 구조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쌍에 의해 형성된 상기 내측 표면은 상기 사용자 접촉 표면과 직물 구조 사이에서 그립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제2 쌍에 의해서 형성된 상기 외측 표면은 상기 직물 구조와 외부 접촉 표면 사이에서 그립 기능을 제공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핑 직물.
  23. 그립핑 의류의 제작방법으로서, 신체 부분과 상기 그립핑 의류 사이에서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고, 그리고 동시적으로 상기 그립핑 의류와 외부 접촉 표면 사이에서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일치하는 구조의 직물 구조를 생성하고, 상기 직물 구조는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을 형성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작된 직물 구조를 착용할 때, 상기 내측 표면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인접하고, 상기 외부 접촉 표면으로부터 멀리 위치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작된 직물 구조를 착용할 때, 상기 외측 표면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분으로부터 멀리 위치하고, 상기 외부 접촉 표면에 인접하며; 그리고
    상기 그립핑 의류를 제작하기 위하여 그립핑 재료를 상기 제작된 직물 구조의 하나 이상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에 선택적으로 적용하며, 여기서 상기 제작된 직물 구조의 하나 이상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 상의 상기 그립핑 재료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작된 직물 구조와, 상기 선택적으로 적용된 그립핑 재료를 포함하는 상기 그립핑 의류를 착용할 때,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분과 상기 외부 접촉 표면에 각각 부착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작된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 상의 상기 그립핑 재료의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분 및 상기 외부 접촉 표면으로의 부착은, 각각 상기 신체 부분과 상기 그립핑 의류 사이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고, 동시적으로 상기 그립핑 의류와 상기 외부 접촉 표면 사이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그립핑 의류 제작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된 직물 구조의 하나 이상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 상에 선택적으로 상기 그립핑 재료를 적용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패턴 홀들을 포함하는 디자인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디자인 프레임을 상기 제작된 직물 구조의 각각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상의 하나 이상에 위치시키며; 그리고
    선택적으로 상기 그립핑 재료를 상기 직물 구조의 각각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의 하나 이상에서 상기 위치된 디자인 프레임상에 적용하는 단계들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그립핑 재료는 상기 위치된 디자인 프레임의 하나 이상의 패턴 홀들을 통과하여 상기 제작된 직물 구조의 하나 이상의 각각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에 상기 위치된 디자인 프레임의 상기 하나 이상의 패턴 홀들에 의해서 형성된 패턴으로 부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된 직물 구조의 하나 이상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 상의 선택적인 상기 그립핑 재료의 적용은, 상기 제작된 직물 구조의 하나 이상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 상에 상기 그립핑 재료를 페인팅, 붓기, 스크린 인쇄, 스프레이, 열 프레싱 및 선택적인 부착 중의 하나 이상을 적용하되, 하나 이상의 여러 패턴으로 적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조의 생성은:
    다수의 그립핑 사와 보조 사들을 제공하고;
    상기 그립핑 사를 제1 그립핑 사와 제2 그립핑 사로 분리하며;
    상기 제1 그립핑 사, 상기 제2 그립핑 사, 제1 보조 사, 및 제2 보조 사를 제1 스풀, 제2 스풀, 제3 스풀, 그리고 제4 스풀로 각각 권취하며;
    상기 제1 그립핑 사 및 제1 보조 사를 제1 쌍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제2 그립핑 사 및 제2 보조 사를 제2 쌍으로 그룹핑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쌍을 제2 쌍과 함께 직조하여 상기 직물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쌍은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쌍은 직물 구조의 외측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쌍의 제1 그립핑 사는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에 노출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쌍의 제1 그립핑 사는 상기 직물 구조의 외측 표면에는 노출되지 않고, 상기 제2 쌍의 제2 그립핑 사는 상기 직물 구조의 외측 표면에 노출되며, 상기 제2 쌍의 제2 그립핑 사는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에는 노출되지 않고;
    상기 제1 쌍에 의해 형성된 상기 내측 표면은 상기 사용자 접촉 표면과 직물 구조 사이에서 그립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제2 쌍에 의해서 형성된 상기 외측 표면은 상기 직물 구조와 외부 접촉 표면 사이에서 동시적으로 그립 기능을 제공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그립핑 의류로서, 신체 부분과 상기 그립핑 의류 사이에서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고, 그리고 동시적으로 상기 그립핑 의류와 외부 접촉 표면 사이에서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일치하는 구조의 직물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직물 구조는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을 형성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작된 직물 구조를 착용할 때, 상기 내측 표면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인접하고, 상기 외부 접촉 표면으로부터 멀리 위치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작된 직물 구조를 착용할 때, 상기 외측 표면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분으로부터 멀리 위치하고, 상기 외부 접촉 표면에 인접하며; 그리고
    상기 제작된 직물 구조의 하나 이상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에 선택적으로 적용된 그립핑 재료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작된 직물 구조의 하나 이상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 상의 상기 그립핑 재료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작된 직물 구조와, 상기 선택적으로 적용된 그립핑 재료를 포함하는 상기 그립핑 의류를 착용할 때,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분과 상기 외부 접촉 표면에 각각 부착하며;
    상기 제작된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 상의 상기 그립핑 재료의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분 및 상기 외부 접촉 표면으로의 부착은, 각각 상기 신체 부분과 상기 그립핑 의류 사이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고, 동시적으로 상기 그립핑 의류와 상기 외부 접촉 표면 사이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분에 그립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그립핑 의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된 직물 구조의 하나 이상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 상의 선택적인 상기 그립핑 재료의 적용은, 상기 제작된 직물 구조의 하나 이상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 상에 상기 그립핑 재료를 페인팅, 붓기, 스크린 인쇄, 스프레이, 열 프레싱 및 선택적인 부착 중의 하나 이상을 적용하되, 하나 이상의 여러 패턴으로 적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핑 의류.
  29. 직물 구조의 하나 이상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 상에 선택적으로 그립핑 재료의 적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그립핑 재료를 하나 이상의 여러 형태로 구성하고, 여기서 상기 그립핑 재료는 미끄럼 방지식 재료, 점착성 재료, 텍스쳐 재료 및 그 임의의 조합 중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그립핑 재료의 표면을 실링 요소로서 코팅하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된 그립핑 재료를 상기 직물 구조의 하나 이상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상에 적용하며, 여기서 상기 구성된 그립핑 재료는 상기 직물 구조의 하나 이상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에 상기 실링 요소에 의해서 부착하고, 그리고 상기 직물 구조의 하나 이상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상의 상기 부착된 그립핑 재료는 사용자 접촉 표면 및 외부 접촉 표면에 각각 부착하며,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은 상기 사용자 접촉 표면에 인접하며, 상기 외부 접촉 표면에는 멀리 위치되고, 상기 외측 표면은 상기 외부 접촉 표면에 인접하며, 상기 사용자 접촉 표면에는 멀리 위치되고;
    상기 직물 구조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 상의 상기 그립핑 재료의 상기 사용자 접촉 표면 및 상기 외부 접촉 표면으로의 부착은, 각각 상기 사용자 접촉 표면과 상기 직물 구조 사이에서 그립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직물 구조와 상기 외부 접촉 표면 사이에서 그립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직물 구조의 하나 이상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 상에 선택적인 그립핑 재료의 적용 방법.
KR1020137008580A 2010-09-03 2011-08-31 그립핑 직물의 제작방법 KR201301091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7990710P 2010-09-03 2010-09-03
US61/379,907 2010-09-03
US13/219,713 2011-08-29
US13/219,713 US9498003B2 (en) 2010-09-03 2011-08-29 Construction of a gripping fabric
PCT/US2011/049809 WO2012030873A2 (en) 2010-09-03 2011-08-31 Construction of a gripping fabri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131A true KR20130109131A (ko) 2013-10-07

Family

ID=45770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580A KR20130109131A (ko) 2010-09-03 2011-08-31 그립핑 직물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9498003B2 (ko)
EP (1) EP2611316B2 (ko)
JP (1) JP6025727B2 (ko)
KR (1) KR20130109131A (ko)
AU (3) AU2011296116A1 (ko)
BR (1) BR112013005198A2 (ko)
CA (1) CA2810206A1 (ko)
CL (1) CL2013000610A1 (ko)
DK (1) DK2611316T4 (ko)
ES (1) ES2780154T5 (ko)
MX (1) MX343781B (ko)
NZ (1) NZ608895A (ko)
RU (1) RU2563756C2 (ko)
WO (1) WO2012030873A2 (ko)
ZA (1) ZA201302395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274B1 (ko) 2016-04-05 2016-09-13 김태효 스포츠용 논슬립 양말-인솔 세트
KR101686547B1 (ko) 2016-09-01 2016-12-14 김태효 스포츠용 논슬립 양말
KR102306563B1 (ko) 2020-10-06 2021-10-08 주식회사 위풋테크놀로지 논슬립 양말의 제조 방법
KR102306525B1 (ko) 2020-10-06 2021-10-08 주식회사 위풋테크놀로지 논슬립 양말 제조용 몰드
KR102306555B1 (ko) 2020-10-06 2021-10-08 주식회사 위풋테크놀로지 논슬립 양말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8003B2 (en) 2010-09-03 2016-11-22 Trusox Llc Construction of a gripping fabric
US9474325B2 (en) * 2011-05-06 2016-10-25 E. James Bodmer Heel jack
US11901072B2 (en) 2012-04-18 2024-02-13 Frampton E. Ellis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computer system used for medical care connected to millions of sensor-equipped smartphones connected to their users' configurable footwear soles with sensors and to body sensors
US20200367605A1 (en) 2012-04-18 2020-11-26 Frampton E. Ellis Smartphone-controlled active configuration of footwear, including with concavely rounded soles
US10226082B2 (en) 2012-04-18 2019-03-12 Frampton E. Ellis Smartphone-controlled active configuration of footwear, including with concavely rounded soles
NL2011104C2 (nl) * 2013-07-04 2015-01-06 Steps Holding B V Kousenvoet.
US20150143610A1 (en) * 2013-11-25 2015-05-28 Ansell Limited Polymeric gloves having grip features
US10349690B2 (en) * 2013-11-25 2019-07-16 Ansell Limited Supported glove having grip features
DE102014103309A1 (de) * 2014-03-12 2015-09-17 Falke Kgaa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ekleidungsstücks und Bekleidungsstück
USD748391S1 (en) * 2014-05-02 2016-02-02 James Paul Cherneski Sock with pattern of squares
WO2016103022A1 (en) * 2014-12-23 2016-06-30 James Paul Cherneski Non-slip removable footwear insert
JP6449036B2 (ja) * 2015-02-02 2019-01-09 岡本株式会社 レッグウェア
US10188164B2 (en) 2015-02-10 2019-01-29 Nike, Inc. Vented cooling garment
US10264834B2 (en) * 2016-03-25 2019-04-23 Nike, Inc. Foam nodes for creating stand off on apparel items
US20190082746A1 (en) * 2016-04-06 2019-03-21 Storelli Sports, Inc. Athletic traction sock
WO2017176983A1 (en) * 2016-04-06 2017-10-12 Storelli Sports, Inc. Athletic traction sock
DE102016207387B4 (de) 2016-04-29 2021-11-18 Adidas Ag Socke
WO2018089501A1 (en) 2016-11-08 2018-05-17 Nike Innovate C.V. Articles with integrally knit heat-treatable yarn
USD838468S1 (en) 2017-05-15 2019-01-22 Okamoto Corporation Sock with nonslip parts
USD841287S1 (en) 2017-11-15 2019-02-26 Glenn Kingsbury Pants having targeted non-slip regions
JP6284256B1 (ja) * 2017-11-20 2018-02-28 西垣靴下株式会社 靴下
USD855305S1 (en) 2017-12-04 2019-08-06 Okamoto Corporation Sock with nonslip part
EP3549562B1 (de) * 2018-04-03 2020-07-29 medi GmbH & Co. KG Haftband für kleidungsstücke, insbesondere für medizinische kompressionsstrümpfe oder bandagen
US11602184B2 (en) * 2018-05-03 2023-03-14 Cara L. Bitton Protective hand covering for infants
EP3733941B1 (de) 2019-05-03 2022-10-26 medi GmbH & Co. KG Kompressives gestrickteil mit haftwirkung
US11172729B2 (en) 2019-09-20 2021-11-16 Wefoot Technology Inc. Non-slip shoe wear
US20220125128A1 (en) * 2020-10-28 2022-04-28 Lululemon Athletica Canada Inc. Socks having integrated gripping systems
US20230127710A1 (en) * 2021-10-22 2023-04-27 Chance Line Industrial Co., Ltd. Textile for supporting human motor organs and supportive thermoprinting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3844A (en) 1982-03-29 1989-07-04 Foster-Boyd, Inc. Anti-friction two-ply athletic sock
JPS62206004A (ja) 1986-03-05 1987-09-10 鈴木 雅博 生地の滑り止め形成方法
SU1621844A1 (ru) * 1989-02-22 1991-01-23 Украин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Швей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Плечева накладка дл одежды
JPH0874103A (ja) * 1994-06-30 1996-03-19 Hironari Kida 滑止め機能を有するストッキングとその製造方法
KR200141939Y1 (ko) 1995-10-05 1999-06-01 김진우 바이오 세라믹 건강지압양말
FR2749135B1 (fr) * 1996-05-29 1998-08-21 Picardie Lainiere Procede de traitement d'un support textile pour entoilage thermocollant a base de fils textures
US5948707A (en) * 1998-03-09 1999-09-07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Non-slip, waterproof, water vapor permeable fabric
US6610382B1 (en) * 1998-10-05 2003-08-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riction control article for wet and dry applications
JP2000245808A (ja) 1999-03-04 2000-09-12 Hiroyuki Sato 健康手袋及び健康履物
DE20000635U1 (de) 2000-01-15 2000-08-17 Hottenbacher Silke Feinstrumpfhosen und Seidenstrümpfe mit integrierter Antirutschhilfe
US7383591B1 (en) * 2002-02-04 2008-06-10 Gail M. Getzwiller Exercise mitt
KR200289081Y1 (ko) 2002-03-22 2002-09-13 김명각 지압용 장갑
JP2005029934A (ja) * 2003-07-08 2005-02-03 Maeda Seni Kogyo Kk 滑り止め性をもつ編地構造及び該編地による靴下並びに手袋
US20050120463A1 (en) * 2003-11-14 2005-06-09 Joseph Cacioppo Disposable hygienic sock
JP3109393U (ja) 2004-12-15 2005-05-19 有限会社サンエスケミカル 靴下
US20070028365A1 (en) * 2005-07-22 2007-02-08 Cole Williams Sock with gripping dots and a method of making same
FR2891555B1 (fr) 2005-10-03 2007-12-21 Textiles Well Sa Procede de depot d'un materiau anti-glissement, article vestimentaire et article chaussant obtenus par ce procede
JP2008229295A (ja) 2007-03-19 2008-10-02 Matsuoka Tebukuro Kk ゴルフ手袋
JP3144212U (ja) * 2008-06-05 2008-08-21 肇 小森 ソックス
US7748240B1 (en) * 2009-03-04 2010-07-06 James Paul Cherneski Foot gripping garment
JP3161737U (ja) 2010-05-28 2010-08-05 長谷川 泰伸 靴下等の足覆い
US9498003B2 (en) 2010-09-03 2016-11-22 Trusox Llc Construction of a gripping fabric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274B1 (ko) 2016-04-05 2016-09-13 김태효 스포츠용 논슬립 양말-인솔 세트
KR101686547B1 (ko) 2016-09-01 2016-12-14 김태효 스포츠용 논슬립 양말
KR102306563B1 (ko) 2020-10-06 2021-10-08 주식회사 위풋테크놀로지 논슬립 양말의 제조 방법
KR102306525B1 (ko) 2020-10-06 2021-10-08 주식회사 위풋테크놀로지 논슬립 양말 제조용 몰드
KR102306555B1 (ko) 2020-10-06 2021-10-08 주식회사 위풋테크놀로지 논슬립 양말 제조 장치
EP3987964A1 (en) 2020-10-06 2022-04-27 We foot Technology Inc. Manufacturing method of nonslip socks
EP3987965A1 (en) 2020-10-06 2022-04-27 We foot Technology Inc. Making apparatus of nonslip soc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11316B1 (en) 2019-12-04
RU2013114809A (ru) 2014-10-10
US20120058316A1 (en) 2012-03-08
BR112013005198A2 (pt) 2018-09-18
MX2013002531A (es) 2013-10-28
US10448675B2 (en) 2019-10-22
AU2018201212A1 (en) 2018-03-08
MX343781B (es) 2016-11-23
NZ608895A (en) 2015-03-27
WO2012030873A3 (en) 2012-06-14
CL2013000610A1 (es) 2014-08-01
US20170042255A1 (en) 2017-02-16
CA2810206A1 (en) 2012-03-08
WO2012030873A2 (en) 2012-03-08
DK2611316T3 (da) 2020-03-09
RU2563756C2 (ru) 2015-09-20
DK2611316T4 (da) 2023-03-06
EP2611316A2 (en) 2013-07-10
ES2780154T3 (es) 2020-08-24
JP2013540905A (ja) 2013-11-07
EP2611316B2 (en) 2022-11-30
EP2611316A4 (en) 2017-09-06
JP6025727B2 (ja) 2016-11-16
AU2016204846A1 (en) 2016-08-04
ES2780154T5 (es) 2023-05-08
AU2011296116A1 (en) 2013-05-02
US9498003B2 (en) 2016-11-22
ZA201302395B (en) 202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9131A (ko) 그립핑 직물의 제작방법
CN108065505B (zh) 包含蜘蛛丝的服装或者鞋子
TWI623279B (zh) 具有含耐久的撥水性之編織紡織品或不織紡織品的鞋類物件及其製作方法
US20150275422A1 (en) Continuous Non-slip Layered Garment
TW201511702A (zh) 用來編織一用於鞋類物件之編織組件之方法
CN103717795A (zh) 编织部件的结合
CN109068778A (zh) 用于服饰物品的装饰件
US11788219B2 (en) Knitted textile and method of forming
TW201801631A (zh) 刺繡物件
CA3021743C (en) Slide-inhibiting safety garment for ice and associated method
US20190380440A1 (en) Laceless shoe
CN112075723A (zh) 耐磨材料以及制造方法
KR100485945B1 (ko)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
JP2020147867A (ja) 筒状編地の製造方法及び筒状編地
JP2006257558A (ja) ニット製衣服のパー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