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1365A - UPnP를 사용한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UPnP를 사용한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1365A
KR20130101365A KR1020120022461A KR20120022461A KR20130101365A KR 20130101365 A KR20130101365 A KR 20130101365A KR 1020120022461 A KR1020120022461 A KR 1020120022461A KR 20120022461 A KR20120022461 A KR 20120022461A KR 20130101365 A KR20130101365 A KR 20130101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care
information
situation
user
health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형
이종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2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1365A/ko
Priority to EP13758088.2A priority patent/EP2823456A4/en
Priority to US13/785,930 priority patent/US20130231948A1/en
Priority to PCT/KR2013/001773 priority patent/WO2013133609A1/en
Publication of KR20130101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3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UPnP(Universal Plug and Play) 네트워크에 포함된 사용자 디바이스 장치로부터 상황의 발생을 지시하는 상황발생정보를 수신하고, 상황발생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황발생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헬스케어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헬스케어정보를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헬스케어 서버로 제공하는 과정과, 헬스케어 서버로 상기 헬스 케어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UPnP를 사용한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FO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USING UNIVERSAL PLAY AND PLUG NETWORK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헬스 케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UPnP 네트워크를 사용한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급격한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른 노인 건강 관리를 위한 사회적 비용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성인 비만 환자의 관리나, 만성 질환 관리를 위한 개인 및 국가 지출도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개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도 함께 증가함에 따라, 개인적으로 많은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의료 및 건강 유지 비용에 따른 국가 재정 압박으로 인해 의료 서비스는 치료 중심에서 예방 및 진단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IT 기술의 발전과 의료 산업의 융합화에 따라,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많은 기업들이 이에 동참하여 새로운 의료 서비스 개발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노인이나, 만성 질환자를 관리하기 위한 헬스 케어 서비스가 일부 제공되고 있으나, 주로 개인의 이동통신 단말에 구비된 특정 버튼을 사용하여 미리 설정된 내용의 메시지나 미리 설정된 번호로의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헬스케어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실내에서도 항상 이동통신 단말을 항상 휴대하고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줄이기 위하여, 헬스 케어 서비스를 위한 소형의 전용 단말이 제안되었으나, 이와 같은 헬스 케어 서비스를 위한 소형의 전용 단말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응급통화만을 위한 별도의 서비스 사용료를 지불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UPnP, DLNA 인프라를 재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UPnP(Universal Plug and Play) 네트워크에 포함된 사용자 디바이스 장치로부터 상황의 발생을 지시하는 상황발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황발생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상황발생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헬스케어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헬스케어정보를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헬스케어 서버로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헬스케어 서버로 상기 헬스 케어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한다.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UPnP(Universal Plug and Play) 네트워크에 포함된 사용자 디바이스 장치를 통해 상황 발생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UPnP(Universal Plug and Play) 네트워크에 포함된 게이트웨이 장치로, 상황의 발생을 지시하고 헬스 케어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상황발생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황 발생에 대해 미리 정의된 상황 정보와, 사용자의 헬스케어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UPnP(Universal Plug and Play) 네트워크에 포함된 사용자 디바이스 장치로부터 상황의 발생을 지시하는 상황발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상황발생정보에 대응하는 상황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헬스케어정보를 확인하고, 헬스 케어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헬스케어 처리부와, 상기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헬스케어정보를 상기 헬스케어 서버로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헬스케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휴대가 편리하면서 별도의 서비스 비용을 지불하지 않더라도, UPnP, DLNA 인프라를 사용하여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정보 제공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의 신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사용되는 상황발생정보의 일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헬스케어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의 신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사용되는 GetCondition 메시지의 일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헬스케어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에 의해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110),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을 요청한 상기 사용자의 헬스케어정보를 전송하고,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요청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 및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헬스케어 서버(130)를 포함한다.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와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는 통상의 UPnP(Universal Plug and Play)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와 헬스케어 서버(130)는 인터넷 망과 같은 통신망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헬스케어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에 의해 발행되는 상황발생정보에 의해 그 동작이 개시될 수 있다. 즉, 헬스케어 디바이스(110)가 상황발생정보를 발행하여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에 전송(S101)하면,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는 내부(또는 외부)에 저장된 헬스케어정보 중, 상기 상황발생정보에 대응하는 헬스케어정보를 확인하여 헬스케어 서버(130)에 제공한다(S102). 그리고,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는 헬스케어 서버(130)(예컨대,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이나, 응급구조 센터에서 운영하는 서버)로 헬스 케어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한다(S103). 예컨대, 상기 헬스 케어 서비스의 제공은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이나, 응급구조 센터로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11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구조를 제공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나아가,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가 헬스케어 서버(130)로 헬스 케어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써,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는 상기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이나, 응급구조 센터와의 통화를 연결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헬스케어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UPnP 텔레포니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헬스케어 디바이스(110)는 UPnP 텔레포니 서비스를 위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15)를 구비하고,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는 UPnP 텔레포니 CP(125)를 구비할 수 있으며, 헬스케어정보 제공 시스템은 UPnP 텔레포니 CP(125)와 상기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이나, 응급구조 센터와의 통화 연결을 처리하는 텔레포니 서버(127)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이나, 응급구조 센터와의 통화를 연결하기 위해,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는 UPnP 텔레포니 CP(125)를 사용하여, 텔레포니 서버(127)로, 통화 연결의 개시를 지시하고(S104-1), 텔레포니 서버(127)는 상기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즉 병원이나, 응급구조 센터에 마련된 단말(135)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고(S104-2), 상기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15), UPnP 텔레포니 CP(125) 및 텔레포니 서버(127) 사이의 통화를 개시한다(S104-3).
한편,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와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는 기본적으로 UPnP 네트워크에 구비되는 UPnP CP 또는 UPnP 서버로서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헬스케어 디바이스(110)는 UPnP CP 또는 UPnP 서버로서의 동작을 수행하는 제1헬스케어 처리부(111)를 구비하고,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도 UPnP CP 또는 UPnP 서버로서의 동작을 수행하는 제2헬스케어 처리부(121)를 구비한다. 상기 제1헬스케어 처리부(111)와 제2헬스케어 처리부(121)는 UPnP CP 또는 UPnP 서버로서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헬스케어 처리부(111)가 UPnP CP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면 제2헬스케어 처리부(121)는 UPnP 서버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헬스케어 처리부(111)가 UPnP 서버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면 제2헬스케어 처리부(121)는 UPnP CP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헬스케어 디바이스(110)는 헬스케어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헬스케어 디바이스(11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버튼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응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제1헬스케어 처리부(111)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기 위한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제1헬스케어 처리부(111)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기 위한 동작을 개시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헬스케어 디바이스(11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예컨대, 혈압, 맥박, 체온, 당뇨 수치 등)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헬스케어 처리부(111)는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의학적으로 정해진 위험 수치 기준)과 비교하여, 능동적으로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기 위한 동작을 개시할 수도 있다.
한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기 위한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버튼에 대응하는 정보를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헬스케어 처리부(11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버튼에 대응하는 정보가 전송될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의 주소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버튼에 대응하는 정보는 상황발생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상황발생정보는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에 할당된 고유의 식별자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황발생을 지시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상황발생을 지시하는 코드는 단순히 응급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버튼과 매칭되어 미리 정해진 소정의 응급 상황을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1헬스케어 처리부(111)가 UPnP CP로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헬스케어 처리부(111)는 상기 상황발생정보를 상기 UPnP 서버로서 동작하는 제2헬스케어 처리부(121)로 바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써, 상기 제1헬스케어 처리부(111)가 UPnP 서버로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헬스케어 처리부(111)는 우선적으로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UPnP CP로서 동작하는 제2헬스케어 처리부(121)로 전송하고, 상황발생정보를 요청하는 제2헬스케어 처리부(121)로 상기 상황발생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는 상황발생정보와 매핑된 헬스케어정보를 미리 저장한다. 상기 헬스케어정보는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참조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헬스케어 디바이스(110) 사용자의 이름, 병력, 사용자의 증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는 상기 상황발생을 지시하는 코드에 매핑된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단말(135)의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는 헬스케어 디바이스(110)로부터 상황발생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상황발생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헬스케어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헬스케어 서버(130)로 제공한다. 그리고,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는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이나, 응급구조 센터에서 운영하는 서버로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11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구조를 요청하거나, 상기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이나, 응급구조 센터에 구비된 단말(135)과의 통화 연결을 시도한다.
이하, 전술한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100)을 사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예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에 구비된 제1헬스케어 처리부(111)와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에 구비된 제2헬스케어 처리부(121)가 UPnP CP 및 UPnP 서버 중, 어떠한 동작을 수행하는지에 따라 다르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는 제1헬스케어 처리부(111)가 UPnP CP로서 동작하고, 제2헬스케어 처리부(121)가 UPnP 서버로서 동작하는 구성을 예시하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는 제1헬스케어 처리부(111)가 UPnP 서버로서 동작하고, 제2헬스케어 처리부(121)가 UPnP CP로서 동작하는 구성을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의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제1헬스케어 처리부(111)는 상황발생정보를 생성하여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한다(S201단계).
상기 상황발생정보는 도 3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황발생정보는 상황발생을 지시하는 코드(Callcode) 및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의 식별자(Patient ID)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황발생을 지시하는 코드(Callcode)는, 환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정의하기 위한 것으로써,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버튼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코드일 수 있으며, 예컨대 응급상황임을 지시하는 코드, 의사와의 통화를 요청하는 코드 등 일 수 있다.
나아가,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는 상기 상황발생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함에 대응하여, 응답 메시지를 헬스케어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응답 메시지는 대기 지시자(ReadyIndication)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대기 지시자(ReadyIndication)는 사용자가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에 구비된 입력 버튼을 연속적으로 누름에 따라 상기 상황발생정보가 반복적으로 전송되는 것을 방지하지 위한 정보로 사용된다. 즉,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대기 지시자(ReadyIndication)의 값을 True로 설정하여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110)로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버튼이 연속적으로 입력되더라도, 반복적으로 상기 상황발생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는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상황발생정보에 포함된 상황발생을 지시하는 코드(Callcode)가 지시하는 바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에 할당된 고유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헬스케어정보를 확인한다(S202단계).
다음으로, 상기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는 상기 헬스케어 서버(130)로 헬스케어정보를 전송한다(S203단계).
그리고, 상기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는 헬스케어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헬스케어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동작은 상기 상황발생을 지시하는 코드(Callcode)에 매핑되어 저장된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단말(135)로 텔레포니 서비스를 사용하여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와의 통화를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는 상기 단말(135)과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와의 통화를 연결하게 위하여, 상기 상황발생을 지시하는 코드(Callcode)에 매핑되어 저장된 단말(135)의 전화번호를 확인하고(S204단계), 상기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에 구비된 텔레포니 CP(125)가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콜 초기화(Call Initiation) 명령을 전송한다(S205단계). 그러면, 텔레포니 CP(125)는 전화 연결을 위한 텔레포니 서버(127)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텔레포니 서버(127)로 GetMediaCapability() 메시지를 전송하고(S206단계), 그에 대한 응답으로 텔레포니 서버(127)의 정보를 획득한다(S206-1단계). 그리고, 텔레포니 CP(125)는 전화 연결을 위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15)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15)로 GetMediaCapability() 메시지를 전송하고(S207단계), 그에 대한 응답으로 텔레포니 서버(127)의 정보를 획득한다(S207-1단계).
텔레포니 CP(125)는, 상기 단말(135)의 전화번호가 포함된 StarCall() 메시지를 텔레포니 서버(127)로 전송하여 전화통화를 요청한다(S208, S208-1단계).
텔레포니 서버(127)는 StarCall()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135)로 통화를 요청하고(S209단계), 다시 텔레포니 CP(125)에게 성공적으로 Outgoing call 이 수행되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Event 메시지를 전송한다(S209-1단계).
상기 단말(135)로 정상적으로 Outgoing call이 전달되면 텔레포니 서버(127)는 상기 단말(135)로부터 Ringing 메시지를 수신하고(S210단계) 다시 텔레포니 CP(125)로 이를 알리기 위한 Event 메시지를 전송한다(S210-1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135)이 통화를 수락하여, 텔레포니 서버(127)가accepted a 상기 단말(135)로부터 call 메시지를 수신하면(S211단계), 텔레포니 서버(127)는 텔레포니 CP(125)로 전화가 연결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Event 메시지를 전송한다(S211-1단계).
텔레포니 CP(125)는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15)에게 StartMediaSession()을 전송하여 전화연결을 준비하라는 메시지를 보낸다(S212, S212-1단계). 그리고, 텔레포니 서버(127)와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15)가 모두 정상적으로 전화연결 준비가 되면, 텔레포니 CP(125)는 텔레포니 서버(127)로 StartMEdiaTransfer() 메시지를 전송하여 단말(135)과의 통화를 위한 미디어 스트림의 전송을 요청한다(S213, S213-1단계). 그리고, 텔레포니 서버(127)는 단말(135)과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15) 사이에서 통화를 위한 미디어 스트림을 송수신한다(214단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는 상황발생을 지시하는 코드가 지시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지시하는 정보와,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의 식별자와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의 사용자를 매핑한 정보를 저장하는 콜 코드 데이터베이스(411) 및 상기 디바이스 ID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헬스케어정보를 저장하는 헬스케어정보 데이터베이스(415)를 포함한다. 상기 헬스케어정보는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참조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헬스케어 디바이스(11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름, 병력, 사용자의 증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는, 기본적으로 UPnP 서버로서 동작하며,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에 의해 요청되는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처리하는 제2헬스케어 처리부(121)를 포함한다. 상기 제2헬스케어 처리부(121)는 콜 코드 검출부(421)를 포함하며, 상기 콜 코드 검출부(421)는 상기 상황발생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상황발생정보에 포함된 상황발생을 지시하는 코드가 무엇인지를 지시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콜 코드 데이터베이스(411)로부터 확인한다.
또한, 상기 제2헬스케어 처리부(121)는 헬스케어정보 검출부(425)를 포함하며, 헬스케어정보 검출부(425)는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식별자를 콜 코드 데이터베이스(411)로부터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헬스케어정보를 헬스케어정보 데이터베이스(415)로부터 확인한다.
헬스케어정보 검출부(425)에 의해 확인된 상기 헬스케어정보는 데이터 전송 처리부(430)로 제공되며, 데이터 전송 처리부(430)는 상기 헬스케어정보를 헬스케어 서버(13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예컨대, 상기 헬스케어 서버(130)는 상기 헬스케어정보를 웹 브라우저들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데이터 전송 처리부(430)는 상기 헬스케어정보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제공될 수 있도록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헬스케어 처리부(121)는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하여, 텔레포니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텔레포니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텔레포니 CP(125)를 포함할 수 있다. 텔레포니 CP(125)는 통상의 텔레포니 서비스를 처리하는 구성부로써, 본 발명의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100)의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에 구비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15), 텔레포니 서버(127), 헬스케어 제공 사업자의 단말(135) 사이의 통화 연결을 제어하고, 통화를 위한 미디어 스트림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즉, 텔레포니 CP(125)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구비된 S206 내지 S214단계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의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에 구비되어 UPnP 클라이언트로서 동작하는 제2헬스케어 처리부(121)는 사전 처리 동작을 통해,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에 구비되어 UPnP 서버로서 동작하는 제1헬스케어 처리부(111)로 이벤트의 구독을 요청한다(S500단계).
이후,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제1헬스케어 처리부(111)는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의 제2헬스케어 처리부(121)로 전송한다(S501단계).
그러면, 제2헬스케어 처리부(121)는 상황발생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1헬스케어 처리부(111)로 상기 상황발생정보를 요청하는 GetCondition() 메시지를 전송하고(S502단계), 제1헬스케어 처리부(111)는 상기 상황발생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200 OK)를 전송한다(S502-1단계). 이때, 상기 GetCondition() 메시지는 상기 상황발생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6과 같이 예시될 수 있으며, 상황발생을 지시하는 코드(Callcode) 및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의 식별자(Patient ID)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황발생을 지시하는 코드(Callcode)는, 환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정의하기 위한 것으로써,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버튼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코드일 수 있으며, 예컨대 응급상황임을 지시하는 코드, 의사와의 통화를 요청하는 코드 등 일 수 있다.
한편,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는 상기 상황발생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함에 대응하여, 응답 메시지를 헬스케어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응답 메시지는 대기 지시자(ReadyIndication)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대기 지시자(ReadyIndication)는 사용자가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에 구비된 입력 버튼을 연속적으로 누름에 따라,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지시하는 메시지와, 상기 상황발생정보가 반복적으로 전송되는 것을 방지하지 위한 정보로 사용된다. 즉,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대기 지시자(ReadyIndication)의 값을 True로 설정하여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110)로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버튼이 연속적으로 입력되더라도, 반복적으로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이하, S503 내지 S515단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제공 방법에 구비된 S202 내지 S214단계와 그 식별번호만 다르게 표기될 뿐 처리되는 동작을 동일하므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제공 방법에 구비된 S503 내지 S515단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제공 방법에 구비된 S202 내지 S214단계의 설명을 참조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헬스케어 디바이스(110)는 기본적으로 UPnP 서버로서 동작하며, 헬스케어 서비스의 동작을 처리하는 제1헬스케어 처리부(111)를 구비한다.
제1헬스케어 처리부(111)는 이벤트 발생부(711) 및 콜 코드 제공부(715)를 포함한다.
이벤트 발생부(711)는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와의 연결을 통해, 사전에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이벤트 발생에 대한 구독을 요청받고 이를 저장한다. 그리고,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제1헬스케어 처리부(111)는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지시하는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이벤트 메시지)를 구독을 요청한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한다.
콜 코드 제공부(715)는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상황발생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즉, GetCondition()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황발생정보 확인하여, 상기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로 제공한다. 상기 상황발생정보는 상황발생을 지시하는 코드(Callcode) 및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의 식별자(Patient ID)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황발생을 지시하는 코드(Callcode)는, 환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정의하기 위한 것으로써,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버튼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코드일 수 있으며, 예컨대 응급상황임을 지시하는 코드, 의사와의 통화를 요청하는 코드 등 일 수 있다.
나아가, 헬스케어 디바이스(110)는 텔레포니 CP(125)의 제어하에 동작되는 것으로, 텔레포니 서버(127) 및 외부 단말(135)과의 텔레포니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헬스케어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는 상황발생을 지시하는 코드가 지시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지시하는 정보와,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의 식별자와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의 사용자를 매핑한 정보를 저장하는 콜 코드 데이터베이스(411) 및 상기 디바이스 ID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헬스케어정보를 저장하는 헬스케어정보 데이터베이스(415)를 포함한다. 상기 헬스케어정보는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참조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헬스케어 디바이스(11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름, 병력, 사용자의 증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는, 기본적으로 UPnP 서버로서 동작하며,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에 의해 요청되는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처리하는 제2헬스케어 처리부(121')를 포함한다. 상기 제2헬스케어 처리부(121')는 이벤트 확인부(821)를 포함한다. 상기 이벤트 확인부(821)는 헬스케어 디바이스(110)로 이벤트의 구독을 요청하고,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110)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하면, 상기 상황발생정보를 요청하는 GetCondition()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2헬스케어 처리부(121')는 콜 코드 검출부(412)를 포함하며, 상기 콜 코드 검출부(421)는 상기 상황발생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상황발생정보에 포함된 상황발생을 지시하는 코드가 무엇인지를 지시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콜 코드 데이터베이스(411)로부터 확인한다.
또한, 상기 제2헬스케어 처리부(121')는 헬스케어정보 검출부(425)를 포함하며, 헬스케어정보 검출부(425')는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식별자를 콜 코드 데이터베이스(411)로부터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헬스케어정보를 헬스케어정보 데이터베이스(415)로부터 확인한다.
헬스케어정보 검출부(415)에 의해 확인된 상기 헬스케어정보는 데이터 전송 처리부(430)로 제공되며, 데이터 전송 처리부(430)는 상기 헬스케어정보를 헬스케어 서버(13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예컨대, 상기 헬스케어 서버(130)는 상기 헬스케어정보를 웹 브라우저들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데이터 전송 처리부(430)는 상기 헬스케어정보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제공될 수 있도록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헬스케어 게이트웨이(120')는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하여, 텔레포니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텔레포니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텔레포니 CP(125)를 포함할 수 있다. 텔레포니 CP(125)는 통상의 텔레포니 서비스를 처리하는 구성부로써, 본 발명의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100)의 헬스케어 디바이스(110)에 구비된 텔레포니 클라이언트(115), 텔레포니 서버(125), 헬스케어 제공 사업자의 단말(135) 사이의 통화 연결을 제어하고, 통화를 위한 미디어 스트림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즉, 텔레포니 CP(125)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구비된 S507 내지 S515단계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헬스케어정보 제공 시스템 110: 헬스케어 디바이스
111: 제1헬스케어 처리부 115: 텔레포니 클라이언트
120: 헬스케어 게이트웨이 121: 제2헬스케어 처리부
125: UPnP 텔레포니 CP 127: 텔레포니 서버
130: 헬스케어 서버 135: 단말
411: 콜 코드 데이터베이스 415: 헬스케어정보 데이터베이스
421: 콜 코드 검출부 425: 헬스케어정보 검출부
430: 데이터 전송 처리부 711: 이벤트 발생부
715: 콜 코드 제공부

Claims (20)

  1.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UPnP(Universal Plug and Play) 네트워크에 포함된 사용자 디바이스 장치로부터 상황의 발생을 지시하는 상황발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황발생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상황발생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헬스케어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헬스케어정보를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헬스케어 서버로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헬스케어 서버로 상기 헬스 케어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 케어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된 상황을 알리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된 상황을 상기 헬스케어 서버로 전송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 케어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과정은,
    UPnP 텔레포니(Telephony) 서비스를 사용하여, 상기 헬스케어 서버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UPnP 텔레포니(Telephony) 서비스를 사용하여, 상기 통신 단말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장치 사이의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발생정보는,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된 상황을 지시하는 상황정보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장치의 식별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발생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상황발생정보에 포함된 상기 상황정보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장치의 식별자를 확인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발생정보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발생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장치로 상기 상황정보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장치의 식별자의 제공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장치로부터 상기 상황정보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장치의 식별자의 제공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정보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장치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자, 상기 사용자의 병력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증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9.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UPnP(Universal Plug and Play) 네트워크에 포함된 사용자 디바이스 장치를 통해 상황 발생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UPnP(Universal Plug and Play) 네트워크에 포함된 게이트웨이 장치로, 상황의 발생을 지시하고 헬스 케어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상황발생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UPnP 텔레포니(Telephony) 서비스를 사용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와 연결된 헬스케어 서버와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발생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된 상황을 지시하는 상황정보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장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상황발생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발생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에게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이벤트 메시지를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된 상황을 지시하는 상황정보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장치의 식별자의 전송을 요청받는 과정과,
    상기 상황정보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장치의 식별자를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로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13.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황 발생에 대해 미리 정의된 상황 정보와, 사용자의 헬스케어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UPnP(Universal Plug and Play) 네트워크에 포함된 사용자 디바이스 장치로부터 상황의 발생을 지시하는 상황발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상황발생정보에 대응하는 상황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헬스케어정보를 확인하고, 헬스 케어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헬스케어 처리부와,
    상기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헬스케어정보를 상기 헬스케어 서버로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처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처리부는,
    상기 헬스 케어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된 상황을 상기 헬스케어 서버로 전송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처리부는,
    상기 헬스 케어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기 위하여, UPnP 텔레포니(Telephony) 서비스를 수행하는 텔레포니 CP로, 상기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과의 통화 연결을 지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포니 CP는,
    상기 UPnP 텔레포니(Telephony) 서비스를 사용하여, 상기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장치와의 통화를 연결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발생정보는,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된 상황을 지시하는 상황정보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장치의 식별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처리부는,
    상기 상황발생정보에 포함된 상기 상황정보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장치의 식별자를 확인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발생정보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헬스케어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장치로 상기 상황정보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장치의 식별자의 제공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장치로부터 상기 상황정보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장치의 식별자의 제공을 수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정보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장치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자, 상기 사용자의 병력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증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120022461A 2012-03-05 2012-03-05 UPnP를 사용한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30101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461A KR20130101365A (ko) 2012-03-05 2012-03-05 UPnP를 사용한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EP13758088.2A EP2823456A4 (en) 2012-03-05 2013-03-05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USING UNIVERSAL PLUG AND PLAY
US13/785,930 US20130231948A1 (en) 2012-03-05 2013-03-05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using universal plug and play
PCT/KR2013/001773 WO2013133609A1 (en) 2012-03-05 2013-03-05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using universal plug and 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461A KR20130101365A (ko) 2012-03-05 2012-03-05 UPnP를 사용한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365A true KR20130101365A (ko) 2013-09-13

Family

ID=49043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461A KR20130101365A (ko) 2012-03-05 2012-03-05 UPnP를 사용한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231948A1 (ko)
EP (1) EP2823456A4 (ko)
KR (1) KR20130101365A (ko)
WO (1) WO20131336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1537B2 (en) * 2015-08-07 2019-01-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egregation of electronic personal health information
US9942747B2 (en) 2015-08-07 2018-04-10 At&T Mobility Ii Llc Dynamic utilization of services by a temporary device
US10631192B2 (en) 2015-08-14 2020-04-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olicy enforced intelligent persona manager
US10044780B2 (en) 2015-08-26 2018-08-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ynamic segregated secure data connection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1305B1 (en) * 1998-10-09 2004-04-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ireless message courier
US6287252B1 (en) * 1999-06-30 2001-09-11 Monitrak Patient monitor
US20030208113A1 (en) * 2001-07-18 2003-11-06 Mault James R Closed loop glycemic index system
US20040030531A1 (en) 2002-03-28 2004-02-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monitoring, recognizing, supporting, and responding to the behavior of an actor
JP2006520657A (ja) * 2003-03-21 2006-09-14 ウェルチ・アリ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個人状態生理学的監視システム及び構造、及びモニタリング方法
KR20040087870A (ko) * 2003-04-09 2004-10-15 (주)에이치쓰리시스템 가정용 의료기를 이용한 온라인 건강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9820658B2 (en) 2006-06-30 2017-11-21 Bao Q. Tra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operability among healthcare devices
US8618930B2 (en) * 2005-03-11 2013-12-31 Aframe Digital, Inc. Mobile wireless customizable health and condition monitor
US20070016443A1 (en) * 2005-07-13 2007-01-18 Vitality, Inc. Medication compliance systems, methods and devices with configurable and adaptable escalation engine
US20070106127A1 (en) * 2005-10-11 2007-05-10 Alman Brian M Automated patient monitoring and counseling system
US8852093B2 (en) * 2006-08-31 2014-10-07 Health Hero Network, Inc. Home care logistics and quality assurance system
US8395498B2 (en) * 2007-08-31 2013-03-12 Cardiac Pacemakers, Inc. Wireless patient communicator employing security information management
KR101506981B1 (ko) * 2007-12-31 2015-03-3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재택 건강 관리 시스템
US20090322513A1 (en) * 2008-06-27 2009-12-31 Franklin Dun-Jen Hwang Medical emergency alert system and method
KR101196228B1 (ko) * 2008-10-31 2012-11-05 메디게이트(주) 재택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TWI374637B (en) * 2008-12-31 2012-10-11 Ind Tech Res Inst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service integr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20221713A1 (en) * 2009-11-17 2012-08-30 Woosoon Shin Multifunctional home network system using ubiquitous computing
US20110167133A1 (en) * 2010-01-05 2011-07-07 Jain Praduman D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medical device data capture and processing
US20110208532A1 (en) * 2010-02-23 2011-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NAGING HEALTH DATA FROM WITHIN AND OUTSIDE A UPnP NETWORK
KR101189645B1 (ko) * 2010-05-13 2012-10-12 주식회사 솔미테크 홈 케어 헬스넷 시스템
US9462444B1 (en) * 2010-10-04 2016-10-04 Nortek Security & Control Llc Cloud based collaborative mobile emergency call initiation and handling distribu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23456A4 (en) 2015-11-11
WO2013133609A1 (en) 2013-09-12
EP2823456A1 (en) 2015-01-14
US20130231948A1 (en)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448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an emergency response
US8734340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healthcare support by message based communication to healthcare support terminals
US20070040889A1 (en) At-home medical examination system and at-home medical examination method
JP2015532021A (ja) データおよび音声並行通信経路を用いたリモートでの受診ならびに状態評価のためのシステムならびに方法
JP2003224674A (ja) 携帯電話端末による健康管理サービスシステム
US20150066523A1 (en) Telemedicine information system
KR20090000196A (ko) 홈헬스케어 데이터와 의료기관 진료정보를 이용한 임상의사결정 지원장치
KR20130101365A (ko) UPnP를 사용한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50065812A1 (en) Telemedicine information system, monitoring method and computer-accessible storage medium
JP6744706B2 (ja) 見守り支援システム
JP2008242502A (ja) 総合医療支援システム
JP2019182601A (ja) 昇降機外部通報システム及び昇降機外部通報方法
JP2012231288A (ja) ナースコールの画像表示制御システム
JP2008276507A (ja) 在宅診療支援システムおよび中継装置
JP2005000281A (ja) 救急通報システム
JP2015064617A (ja) 救急医療システム、救急時対応装置、および救急医療情報提供装置
EP1903525A1 (en) Remote monitoring and care
TWI398831B (zh) 一種以網際網路通訊協定為基礎之病床呼叫系統及其控制方法
CN111066089A (zh) 用于在医疗保健环境中传输健康数据的***和方法
JP2013017098A (ja) ケアコール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24時間対応型介護支援システム
JP4331323B2 (ja) 医療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端末装置
KR20020026073A (ko)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7012373B2 (ja) 救急搬送システム
JP6715538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KR101368422B1 (ko) 환자 능동 선택형 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