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093A -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및 습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및 습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2093A
KR20130092093A KR1020120013597A KR20120013597A KR20130092093A KR 20130092093 A KR20130092093 A KR 20130092093A KR 1020120013597 A KR1020120013597 A KR 1020120013597A KR 20120013597 A KR20120013597 A KR 20120013597A KR 20130092093 A KR20130092093 A KR 20130092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er
valve
atomization tank
water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희
이인영
Original Assignee
이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희 filed Critical 이은희
Priority to KR1020120013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2093A/ko
Publication of KR20130092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0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8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zzy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기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증발 또는 초음파 진동자의 진동에 의해 미세 입자화시키는 무화조 내부에 미생물 생육을 억제토록 하여 실내의 습도 조절 시 미생물에 의한 인체 유해성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우징 상부에 물통이 착탈 가능하게 안치되고, 상기 물통 하부에 설치된 개폐밸브의 개방작동에 의해 물이 무화조 내부로 공급되어 무화입자화 되어 무화입자 토출관을 통해 실내로 수분을 분무될 수 있도록 한 가습기에 있어서;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물 공급을 개폐하기 위한 밸브-액츄에이터와, 상기 하우징 외부에 설치되어 실내 습도를 센싱할 수 있도록 한 대기습도센서와, 상기 무화조 내부의 습도와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습도센서 및 온도센서와, 상기 무화조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 및 상기 히터로 송풍을 위한 송풍기가 설치된 송풍관과, 상기 대기습도센서의 센싱값에 따라 밸브-액츄에이터의 개폐작동 제어 및 습도센서와 온도센서의 센싱값에 따라 히터와 송풍기를 작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는 실내 대기 중의 습도를 자동으로 센싱하여 습도가 셋팅값에 도달하면 밸브-액츄에이터를 제어하여 물통에 저수된 물 공급을 차단하고 무화조 내부에 형성된 배출구의 습도센서가 일정 습도 이하로 떨어지면 무화조와 배출구가 미생물의 생육이 억제될 수 있도록 히터와 송풍기를 작동시켜 건조토록 함으로서 미생물 생육을 적은 소비전력으로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인체 유해 미생물에 의한 질병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그 구성이 간단하고 기존 가습기에도 바로 접목이 가능하여 상용화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및 습도 제어 방법 {Humidifier with automatic drying function and Humidity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복합식 가습기, 가열식 가습기, 습식 가습기, 초음파 가습기(이하 '가습기'라 통칭한다.)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 증발 또는 초음파 진동자의 진동에 의해 미세 입자화시키는 무화조 내부에 미생물 생육을 억제토록 하여 실내의 습도 조절 시 미생물에 의한 인체 유해성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실내 습도를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습기는 크게 무화조 내부의 물을 히터를 사용하여 가온, 증발시켜 증발되는 수증기를 분무관에 모아 토출관을 통해 분무시키는 가열식 가습기와, 무화조 내부의 물을 초음파로 진동하는 진동자를 사용하여 미세 입자화시켜 분무관을 통해 모아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분무시키는 초음파 가습기, 물을 윅(wick)에 분산시켜 증발시키고 팬을 이용해 증발이 잘 일어나도록 하는 습식 가습기로 구분된다.
그러나 기존 가습기는 상기 무화조 내부에서 물을 가열 또는 초음파 진동자를 사용하거나 윅(wick)을 이용하여 미세 입자화 할 시에 발생되는 수분이 잔류하게 되어, 미생물이 번식하기 좋은 조건을 제공하게 되어 번식된 미생물이 분무되는 수분에 섞여 인체 호흡기로 침투하여 각종 질병을 유발하게 되어 가습기 사용을 지양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무화조 내부에 번식하는 미생물을 차단하기 위해 가습기를 자주 청소하여 건조시키는 등의 관리가 필요하나, 이는 사용자에게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며, 실제는 자주 청소를 행하지 못하여 가습기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코자 알려진 다양한 선행기술들은 다음과 같다.
국내 특허 제164173호에는 수조의 물이 초음파진동자에 닿기 전에 별도의 가열실에서 가열하는 가열살균식 가습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가습기에 사용하는 물은 일반적으로 수돗물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소독의 필요성이 낮고 가습기에 사용되는 물을 무화조와는 별도로 끓인다든지 정수한다는 것은 비능률적이다.
가습기내 무화조의 세균번식은 가습기에 공급되는 물에 의해서가 아니라 주로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와 무화조의 물 또는 무화입자와의 접촉에 의하여 실내공기에 기인한 세균이 번식하여 이루어지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실험 데이터에 의하면 초음파 가습기에서 공급된 물이 잔류염소량에 의하여 처음 하루 동안은 세균이 1mm리터당 10마리로 억제되다가 이틀째는 600마리 사흘째는 10만마리로 증식하는 것이 보고 되었다.
가습기는 일반적으로 바닥에 위치하고 바닥에 쌓은 먼지 등에 포함된 세균이 송풍에 의하여 무화조에 혼입되고 무화조 내의 습기와 온도조건에 의하여 번식하여 무화입자와 함께 실내공기 중에 비산되어 실내에 퍼지게 된다.
다시 말하면 가습기가 잘못 사용되면 실내 세균오염을 확산시켜 건강에 도음이 되기는 커녕 심각한 위험을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습기의 무화조 내의 세균번식은 송풍기에서 공급된 오염된 실내공기에 의하여 유발되고 알맞은 습도조건에 의하여 기하급수적으로 이루어지므로 가습기에 공급하는 물을 정수한다고 하여 해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조로부터 무화조로 공급되는 물을 부분적으로 가열하는 것 또한 무화조 전체의 물을 살균온도와 살균시간 이상 유지하지 않는 이상 세균번식을 막을 수 없다. 송풍기에 공기정화기능을 부여하여 정화된 송풍공기를 공급하는 방식은 구조가 복잡하고 살균효능이 불확실할 뿐만 아니라 끊임없이 필터를 교체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또한, 초음파 가습기가 내뿜는 차가운 무화입자의 온도를 높이거나 초음파 진동자의 무화기능을 보조하거나 무화입자를 미립화하거나 또는 살균기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송풍공기를 가열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대한민국특허공개 제2001-88754호에는 무화입자 분출관에 히터가 내장된 방열판으로 된 증발기를 구비한 가습기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998-56268호에는 히터 코일이 출구에 배치되고 팬이 후방에 위치한 열풍로를 채택하여 초음파 진동자 상부의 수면에 열풍을 비산시켜 무화입자의 온도를 높이고 초음파 무화기능을 보조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4450호에는 방열판에 의한 열풍 송풍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157781호는 히터 및 초음파 복합가습기에서 무화조 전단계의 가열조의 히터 방열판을 송풍공기 출구관으로 연장하여 송풍공기를 예열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의 송풍 가열방식은 그 구조 자체가 무화입자의 가온을 위하여 고려된 것으로 유입공기의 완전한 살균을 위하여 불충분한 구조이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998-56268호에는 열풍로에 히터 코일을 배치하여 공기를 가열시키므로 공기의평균적인 온도는 상승할 수 있지만 유입공기 전부가 살균온도이상으로 히터와 접촉하는 짧은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지 의문이다.
대한민국특허공개 제2001-88754호는 분무입자의 배출구에서 분무입자를 가열(증발)시키기 때문에 송풍공기는 무화조에서 무화입자나 무화조 내의 물과 접촉하므로 실내공기로부터 유인된 세균오염을 막을 수 없다.
한편 일본 마츠시타의 일본실용공개 특개평 6-58581과 특개평 6-147569호에는 무화조를 소형으로 설계하고 물통 하부의 저수 수조와 상기 무화조를 턱이나 다른 전동밸브로서 차단하여 무화조에 유입된 소량의 수량을 무화조 측벽에 장착된 히터로 저온 살균온도로 가열하고 진동자로 무화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마츠시타의 기술은 저온 살균 방법으로 무화조에 유입된 소량의 물을 직접적으로 가열하므로 가장 실질적인 방법 중에 하나이기도 하지만 물통과 저수 수조의 물이 항상 연통되고 무화조와 저수조와의 사이도 전동밸브에 의하여 차단될 때도 있지만 서로 연통되므로 가열이 되지 않은 저수조와 가열이 되는 경우에도 불충분한 온도와 시간 때문에 무화조의 물과 송풍공기의 유입에 의하여 특히 더 낮은 온도인 무화조의 무화입자는 세균에 노출되고 미생물이 번식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또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04148호에는 상기한 선행기술들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코자 물통과 무화조를 제외한 별도의 저수조가 없어 세균 오염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없애고 무화조의 물과 무화입자를 살균조건 이상으로 유지하여 적은 전기 용량으로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는 복합식 가습기가 개시되어 있다.
즉, 이는 개폐제어 가능한 밸브를 가진 물통; 온도 센서와 수위감지센서를
갖고 히터와 저면에 초음파 진동자가 배치된 무화조; 상기 물통에서 상기 무화조에 물을 흘려보내기 위한 유로; 상기 유로 상단에 설치된 상기 물통 밸브-액츄에이터; 상기 무화조에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기; 상기 무화조에 설치된 무화입자 배출구;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기로 작동하는 부위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회로; 상기 전기로 작동하는 부위에 전류흐름을 제어하는 전기제어수단; 및 상기 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연결되거나 형성되거나 수납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무화조의 수위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물통의 물을 단속적으로 유로를 따라 흐르도록 하여 유로에서 물 흐름이 차단되는 살균형 가습기를 특징으로 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실내 습도와 무관하게 열풍 또는 히터 등의 가온수단에 의해 미생물 번식을 억제토록 함으로서 전력소모의 한계를 극복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164173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1-88754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8-56268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445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57781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1-88754호 일본 실용공개 특개평 6-58581 일본 실용공개 특개평 6-14756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04148호
이에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가습기는 무화조 내부의 습도가 높아져 발생하는 미생물 생육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실내 습도에 따라 무화조 내부로 공급되는 물을 자동으로 제어하고, 무화조 내부를 열풍으로 건조토록 하여 미생물 생육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 습도조절이란 가습기 본연의 목적 달성과 함께 미생물로 인한 인체 건강 유해성을 일소할 수 있도록 한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가습기는 하우징 일측에 물통이 착탈 가능하게 안치되고, 상기 물통 하부에 설치된 개폐밸브의 개방작동에 의해 물이 무화조 내부로 공급되어 무화입자화 되어 토출관을 통해 실내로 수분을 분무될 수 있도록 한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무화조에 설치되어 개폐밸브의 물 공급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액츄에이터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실내 습도를 센싱할 수 있도록 한 대기습도센서와,
상기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상기 무화조의 물을 무화입자화시켜 배출하기 위한 송풍기와;
상기 무화조에서 가습작동 중 가열하거나, 가습 중지 후 고온으로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설치되는 히팅부재와;
가습 중지 후, 일정시간 동안 건조하기 위한 타이머와;
상기 대기습도센서의 센싱값에 따라 밸브-액츄에이터의 개폐작동 제어 및 온도센서의 센싱값에 따라 히터와 송풍기를 작동 제어 및 건조시간 타이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는, 가습기 내부, 특히 물통으로 배출된 물이 지나가는 유로, 무화조 및 배출구에서 미생물의 생육이 억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실내 대기 중의 습도를 자동으로 센싱하여 습도가 셋팅값에 도달하면 밸브-액츄에이터를 제어하여 물통에 저수된 물 공급을 차단하고, 무화조 내부에 형성된 배출구의 습도센서가 일정 습도 이하로 떨어지거나 타이머로 셋팅된 일정시간동안 히터와 송풍기를 작동시켜 건조토록 함으로서 미생물 생육을 적은 소비전력으로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하며, 그로 인하여 인체 유해 미생물에 의한 질병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그 구성이 간단하여 기존 가습기에도 바로 접목이 가능하여 상용화 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가습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가습기의 바람직한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가습기의 바람직한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이하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실시예 설명과 도면에서 예시한 것 이외에도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것인 바,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각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가습기로부터 해당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화하거나 생략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는 실내 대기 중의 습도를 센싱할 수 있도록 대기습도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대기습도센서의 센싱값이 사전에 설정한 일정 셋팅값에 도달하면 제어부에서 밸브-액츄에이터(valve actuator)를 제어하여 물통에 저수된 물의 공급을 차단토록 하며, 동시에 제어부에서는 무화조 내부에 설치된 히터와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를 가동시켜 무화조 내부의 습도를 사전에 설정한 일정 습도 이하로 도달할 수 있도록 습도센서(humidity sensor)에서 센싱되는 센싱값에 따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가습기(1)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로서, 히터와 초음파를 동시에 사용하여 가습을 행하도록 한 복합식 가습기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1)는 하우징(2) 상부에 물통(3)이 착탈 가능하게 안치되고, 상기 물통(3) 하부에 설치된 개폐밸브(4)에 연결설치되는 유로(6)에는 물 공급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액츄에이터(7)가 설치된다.
상기 유로(6)를 통해 물이 무화조(8)로 공급될 수 있도록 유로(6)의 타측 단부는 무화조(8)와 연통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유로(6)에는 물을 가온하기 위한 히팅 코일(heating coil) 또는 실린더(cylindrical) 타입의 히팅 플레이트(heating plate)와 같은 히팅부재(6a)가 설치된다.
상기 무화조(8)는 하우징(2)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며, 무화조(8) 하부에는 초음파 진동자(9)가 설치되어 물 분자를 미세 입자화시켜 무화입자 배출구를 통해 무화조(8) 내부로 배출시키게 되고, 배출된 무화입자(=무화된 습기)가 물통(3) 일측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토출관(11)을 통해 실내 대기 중으로 분무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무화조(8)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여 무화입자를 배출하는 송풍기(12)가 설치된 송풍관(13)을 연결 배관시킨다. 상기 송풍관(13)은 필요에 따라 그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송풍기(12)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가온하기 위한 히터(14)가 무화조(8)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하우징(2)의 외부에는 실내 대기 중의 습도를 센싱할 수 있는 대기습도센서(15)를 설치하고, 배출구(10) 측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습도센서(16)와 무화조(8) 내부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온도센서(17)를 무화조(8) 내부에 설치토록 한다.
상기 대기습도센서(15), 습도센서(16), 온도센서(17)에서 센싱된 습도 및 온도 센싱값은 제어부(18)로 각각 인가토록 하고, 상기 제어부(18)에서 사전에 설정한 습도 및 온도에 이르면 밸브-액츄에이터(7), 송풍기(12), 히터(14)의 작동을 각각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8)에 의한 작동 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키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가습기의 바람직한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로서, 이는 습식 또는 복합식 가습기(1)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이다.
즉, 물통(3)의 하부에 설치되어 물의 공급을 단속하는 개폐밸브(4)를 무화조(8)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액츄에이터(7)를 시소형의 콘트롤레버(19)를 사용하여 물의 공급이 단속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밸브-액츄에이터(7)는 물의 수위에 따라 개폐밸브(4)를 개폐 단속함은 물론 대기습도센서(15)의 센싱값에 따라 제어부(18)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개폐밸브(4)의 개폐작동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무화조(8) 내부 바닥면에는 가습기가 작동 중지 시에 무화조(8) 내부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가온하는 히팅 플레이트와 같은 히팅부재(6a)를 설치하고,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물을 흡수하여 토출관(11) 상부에 설치된 송풍팬(20)의 송풍 공기압에 의해 미세 입자화시켜 무화입자를 생성할 수 있는 이른바 윅(wick; 20)을 원통관 형상으로 제작, 무화조(8)에 설치하여 실내 대기 중으로 무화입자가 분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송풍관(13)은 하우징(2)과 물통(3) 사이로 형성하여 공기가 무화조(8) 내부로 송풍기(12)에 의해 유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가습기의 바람직한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로서, 이는 초음파 또는 복합식 가습기(1)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다.
즉,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즉, 물통(3)의 하부에 설치되어 물의 공급을 단속하는 개폐밸브(4)를 무화조(8)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액츄에이터(7)를 시소형의 콘트롤레버(19)를 사용하여 물의 공급이 단속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대기습도센서(15)의 센싱값에 따라 제어부(18)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개폐밸브(4)의 개폐작동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무화조(8)에는 초음파 진동자(9)를 설치하여 미세 입자화시켜 무화입자를 생성토록 하고, 토출관(11) 상부에 설치된 송풍기(12)의 송풍 공기압에 의해 실내 대기 중으로 무화입자가 분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무화조(8) 내부 바닥면에는 가습기가 작동 중지 시에 무화조(8) 내부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가온하는 히팅 플레이트와 같은 히팅부재(6a)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1)의 작동 및 제어방법 등을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물통(3)에 물을 수납시켜 하우징(2) 상부에 안치시키고, 가습기(1)를 가동시킨다.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실내 습도에 맞추어 가습기(1)가 가동되고, 유로(6) 또는 무화조(8) 내부에 설치된 히팅부재(6a)에 의해 가온된 물이 무화조(8)에 설치된 초음파진동자(9)의 작동에 의해 물 분자를 미세 입자화시켜 무화입자를 실내로 분무하여 습도를 적정하게 조절하게 되는 바,
본 발명은 하우징(2) 일측에 실내 대기 중 습도를 센싱할 수 있는 대기습도센서(15)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대기습도센서(15)가 실내 대기 중 습도를 센싱하게 되고, 설정한 실내 습도에 이르게 되면 이를 센싱하여 제어부(18)로 센싱값을 인가하게 되어 제어부(18)에서 밸브-액츄에이터(7)를 폐쇄상태로 전환시키게 된다. 그로 인해 물통(3)의 물, 또는 저수조(5)의 물을 유로(6)로 공급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무화조(8) 내부의 수분 및 습도를 제거하여 미생물 생육을 억제하기 위해 히터(14)와 송풍기(12)가 가동되며, 무화조(8) 내부가 사전 설정한 일정 온도유지를 위해 온도센서(17)가 온도를 센싱하여 제어부(18)로 인가함과 동시에 무화조(8) 내부의 습도가 사전에 설정한 일정 습도 이하가 되면 습도센서(16)가 이를 센싱하여 센싱값을 제어부(18)로 인가하여 히터(14)와 송풍기(12)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무화조(8) 내부의 수분 및 습도를 제거하는 과정에 대기습도센서(15)가 건조해져 적정 습도 이하 일 경우 제어부(18)에서는 실내 습도 조절을 위해 밸브-액츄에이터(7)를 개방시키게 되어 유로(6)로 물이 공급되어 다시 가습작동을 행하게 되며, 동시에 히터(14)와 송풍기(12)는 연동하여 작동 정지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한편, 도 2과 같은 습식 또는 복합식 가습기(1)에서는 물통(3)의 물은 무화조(8)에 설치된 밸브-액츄에이터(7)에 의해 물통(3)의 물이 공급 단속되는 바, 무화조(8)에 배출구 습도센서(17)의 값이 설정된 수치 범위 이하에 도달하면 밸브-액츄에이터(7)가 하강하여 시소형의 콘트롤레버(19)를 하강시키므로 반대측의 개폐밸브(4)가 개방되어 물이 무화조(8)로 공급되고, 반대로 밸브-액츄에이터(7)가 상승하면 시소형의 콘트롤레버(19)를 상승시키므로 반대측의 개폐밸브(4)는 폐쇄되어 물의 공급이 자동으로 중단되는 것이다.
그리고 무화조(8)로 공급된 물은 윅(20)에 흡수되면서 송풍기(12)의 송풍 공기압에 의해 윅(20)으로부터 방출되면서 미세 입자화되어 무화입자를 실내 대기 중으로 분무하게 되는 것이다.
실내 습도가 사전에 설정한 습도에 이르면 밸브-액츄에이터(7)에 의해 물 공급이 중지되어 가습작동은 중지되며, 히팅부재(6a)가 작동하여 무화조(8) 내부의 습기를 가온, 증발시키게 되고, 송풍기(12)가 작동하여 습기를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과 같은 초음파 또는 복합식 가습기(1)에서는 물통(3)의 물은 밸브-액츄에이터(7) 및 시소형의 콘트롤레버(19)에 의해 개폐밸브(4)가 전기한 도 3과 같이 개폐작동하여 무화조(8) 내부로 물의 공급이 자동으로 단속되며, 무화조(8)로 공급된 물은 초음파 진동자(9)에 의해 미세 입자화되면서 무화입자를 송풍기(12)에 의해 실내 대기 중으로 분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도 실내 습도가 사전에 설정한 습도에 이르면 밸브-액츄에이터(7)에 의해 물 공급이 중지되어 가습작동은 중지되며, 히팅부재(6a)가 작동하여 무화조(8) 내부의 습기를 가온, 증발시키게 되고, 송풍기(12)가 작동하여 습기를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가습기는 물통에 물이 없어지거나, 가습기 작동을 인위적으로 중지시키는 경우에도 가습기 내부가 건조되는 기능이 작동되어, 가습기 사용 후, 일정기간 가습기를 사용하지 않게 되는 기간에도 가습기 내부가 건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된다.
건조기능 작동시 온도는 매우 중요하다. 이는 일반 습식 가습기의 경우 가열하지 않고, 물통의 밸브만을 차단하고 송풍기에 의해서만 건조를 시키면, 건조를 위해 필요한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릴 수 있다. 따라서, 건조시 가열하는 기능이 포함되어야 하며, 복합식 가습기의 경우에도 가습동안 제어되는 온도보다 건조기간 동안 더 높은 온도를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로에 존재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 가습에는 저해되지 않으면서 건조시 빨리 제거될 수 있는 최소한의 양만이 존재할 수 있도록 구조를 디자인하는 것도 필요하다.
가습기의 건조 기능 작동 시간은 내부 습도센서를 이용하거나, 타이머가 설치되어 일정시간 동안 건조 기능이 작동될 수도 있으며, 타이머와 내부습도센서의 센싱값과 연동되어 동시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가습기(1)를 가동 시 실내 대기 습도를 대기습도센서(15)로 센싱하여 원하는 실내 습도를 자동으로 조성할 수 있으며, 실내 습도가 적정 습도가 되어 가습작동이 종료되면 무화조(8) 내부에 미생물 생육을 억제하기 위해 히터(14) 및 히터부재(6a)와 송풍기(12)를 가동시켜 일정 온도 범위 내에서 열풍을 공급하여 무화조(8)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로 인해 소비전력의 최소화는 물론 인체 유해 미생물을 억제하여 건강유지에 크게 일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에 대해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는 실내 대기 중 습도를 센싱하여 가습기의 가습작동을 제어하고, 가습작동이 중지 시에는 무화조 내부를 열풍 건조토록 하여 미생물 생육을 억제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가습기 사용자의 건강유지에 일조하며, 소비전력 최소화로 에너지 절감 등에도 일조할 수 있으며, 기존 가습기에도 간단히 접목이 가능하여 관련 업계에 파급효과가 큰 발명이다.
1: 가습기 2: 하우징
3: 물통 4: 개폐밸브
6: 유로
6a: 히팅부재 7: 밸브-액츄에이터
8: 무화조 9: 초음파진동자
10: 배출구 11: 토출관
12: 송풍기 13: 송풍관
14: 히터 15: 대기습도센서
16: 습도센서 17: 온도센서
18: 제어부 19: 콘트롤레버
20: 윅(wick)

Claims (8)

  1. 하우징 일측에 물통이 착탈 가능하게 안치되고, 상기 물통 하부에 설치된 개폐밸브의 개방작동에 의해 물이 무화조 내부로 공급되어 무화입자화 되어 토출관을 통해 실내로 수분을 분무될 수 있도록 한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무화조에 설치되어 개폐밸브의 물 공급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액츄에이터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실내 습도를 센싱할 수 있도록 한 대기습도센서와,
    상기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상기 무화조의 물을 무화입자화시켜 배출하기 위한 송풍기와;
    상기 무화조에서 가습작동 중 가열하거나, 가습 중지 후 고온으로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설치되는 히팅부재와;
    가습 중지 후, 일정시간 동안 건조하기 위한 타이머와;
    상기 대기습도센서의 센싱값에 따라 밸브-액츄에이터의 개폐작동 제어 및 온도센서의 센싱값에 따라 히터와 송풍기를 작동 제어 및 건조시간 타이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실내 습도를 센싱할 수 있도록 한 무화조 내부의 습도를 센싱할 수 있는 습도센서가 추가 설치되어, 상기 가습기 내부의 건조는 타이머와 내부습도센서의 센싱값과 연동되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조에는 물을 흡수, 방출할 수 있도록 윅(wick)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액츄에이터는 무화조 내부에 설치되고, 개폐밸브 하부에 일측이 연접하는 시소형의 콘트롤레버 타측이 밸브-액츄에이터 하부에 연접시켜 무화조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거나 대기습도센서의 센싱값에 따라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밸브-액츄에이터가 개폐밸브를 단속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조에는 초음파 진동자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6. 하우징 일측에 물통이 착탈 가능하게 안치되고, 상기 물통 하부에 설치된 개폐밸브의 개방작동에 물이 무화조 내부로 공급되어 무화입자화되어 토출관을 통해 실내로 분무될 수 있도록 한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밸브-액츄에이터가 설치되어 하우징 외부에 설치된 대기습도센서의 사전 설정한 실내 대기 습도에 이르면 제어부로 센싱값을 인가하여 밸브-액츄에이터가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폐쇄작동토록 하며,
    상기 밸브-액츄에이터가 폐쇄작동이 이루어지면 무화조에 설치된 온도센서의 센싱값이 제어부에 인가되고,
    상기 일정시간 동안 무화조 내부에 설치된 히터와 송풍기, 또는 히팅부재와 송풍기가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가동되어 무화조 내부를 건조토록 하며,
    상기 타이머에 저장된 시간에 이르면, 히터와 송풍기 또는 히팅부재와 송풍기는 작동 중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능은 가습의 작동 전, 가습의 중간에 실내 습도가 셋팅값에 도달한 때, 및/또는 가습이 완료된 후에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기능 작동시 온도 가습시 온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KR1020120013597A 2012-02-10 2012-02-10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및 습도 제어 방법 KR201300920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597A KR20130092093A (ko) 2012-02-10 2012-02-10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및 습도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597A KR20130092093A (ko) 2012-02-10 2012-02-10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및 습도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093A true KR20130092093A (ko) 2013-08-20

Family

ID=49217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597A KR20130092093A (ko) 2012-02-10 2012-02-10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및 습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209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51989A (zh) * 2016-06-26 2016-10-26 潜山共同创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自动加湿器
CN108731172A (zh) * 2018-05-30 2018-11-02 广东奥迪威传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自调节雾化量功能的雾化器
CN108954631A (zh) * 2018-05-30 2018-12-07 广东奥迪威传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雾化器及基于其的雾化量调节方法
CN112254243A (zh) * 2020-09-14 2021-01-22 东莞市为杰实业有限公司 一种微孔加湿装置
KR102297201B1 (ko) 2020-02-28 2021-09-03 주식회사 오션에어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51989A (zh) * 2016-06-26 2016-10-26 潜山共同创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自动加湿器
CN108731172A (zh) * 2018-05-30 2018-11-02 广东奥迪威传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自调节雾化量功能的雾化器
CN108954631A (zh) * 2018-05-30 2018-12-07 广东奥迪威传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雾化器及基于其的雾化量调节方法
KR102297201B1 (ko) 2020-02-28 2021-09-03 주식회사 오션에어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
KR20210110537A (ko) 2020-02-28 2021-09-08 주식회사 오션에어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
CN112254243A (zh) * 2020-09-14 2021-01-22 东莞市为杰实业有限公司 一种微孔加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4148B1 (ko) 살균형 가습기
WO2021082288A1 (zh) 加湿器及其关机控制方法
KR101389823B1 (ko) 살균가습 및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
KR20130092093A (ko)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및 습도 제어 방법
KR20100128813A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KR20150001943A (ko) 분리형 복합식 가습기
JP3920050B2 (ja) 加湿装置
JP4740803B2 (ja) ミストサウナ装置及び殺菌方法
JP3829075B2 (ja) 加湿機能付き電気暖房機器
JP2002327940A (ja) 空気調和機
KR20100000166A (ko) 고정형 기화식 가습기
JP4825190B2 (ja) 空気調和機
JP3973391B2 (ja) 加湿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暖房機器
KR101276044B1 (ko)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JP6169432B2 (ja) 加湿器
KR200445336Y1 (ko) 순환식 가습기
JP6186590B2 (ja) 液体微細化装置及びサウナ装置
JP3716797B2 (ja) 加湿器の構造
KR101789018B1 (ko) 친환경 하우스 재배를 위한 살균, 제습, 발열 송풍기
KR102047673B1 (ko) 고온 살균 가습키트
JP2004233022A (ja) 気化式加湿機
KR100403853B1 (ko) 쑥 훈증이 가능한 초음파 가습기
KR20160082375A (ko)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CN220707538U (zh) 水箱、加湿器及空调装置
KR20020063047A (ko)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