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2363A - 중공사 막 모듈 - Google Patents

중공사 막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2363A
KR20130082363A KR1020120003548A KR20120003548A KR20130082363A KR 20130082363 A KR20130082363 A KR 20130082363A KR 1020120003548 A KR1020120003548 A KR 1020120003548A KR 20120003548 A KR20120003548 A KR 20120003548A KR 20130082363 A KR20130082363 A KR 20130082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ber
fiber membrane
membrane module
air
po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8704B1 (ko
Inventor
김도희
김민정
김상윤
계정일
김종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3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704B1/ko
Priority to PCT/KR2013/000201 priority patent/WO2013105795A1/ko
Priority to CN201380003360.0A priority patent/CN103889558B/zh
Publication of KR20130082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21Manufacturing thereof
    • B01D63/0231Manufacturing thereof using supporting structures, e.g. filaments for weaving m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6External membrane module supporting or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46Supply, recovery or discharge mechanisms of wash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수처리용 중공사막 막모듈을 제시한다. 상기 중공사 막 모듈은 중공사막과; 상기 중공사막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사막을 고정 지지하되, 상기 중공사막으로 투과수를 유입시키도록 유입구가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중공사막의 상부와 결합되어, 상기 중공사막을 빠져나오는 투과수를 취수하는 콜렉터와; 상기 중공사막과 상기 지지부에 체결되는 공기 주입관과; 상기 중공사막의 하부와 이격된 거리 위치에, 상기 공기 주입관에 체결되고, 공기 분사를 위한 다수의 기공 노즐이 형성된 다공성 산기관(air diffuse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기공은 상기 중공사막의 하부측 방향으로 내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중공사 막 모듈{Membrane Module using Hallow Fiber}
본 발명은 중공사를 이용한 분리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리막 기술은 고분자 재료의 물질 선택투과 성질을 이용한 분리기술의 하나로 1960년대 미국에서 담수화 공정에 적용하면서 상업화된 기술이다. 막분리 공정은 증류기술과는 달리 상변화가 없으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공정이 간단하므로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적은 정점이 있다. 초기의 분리막은 역삼투압(reverse osmois membrane)을 중심으로 개발되었고 한외여과막(ultrafiltration), 정밀여과막(microfiltration), 나노여과막(nanofiltration) 등으로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기존의 분리막은 나권형(spiral wound), 관형(tubular), 중공사형(hollow), 판틀형(plat and frame) 등의 형식들이 있는데, 이중에서 중공사형은 중공사의 직경이 0.2~2mm이며 중앙이 비어있는 실관형태이므로 중공사의 단위부피당 막면적비가 다른 형식에 비하여 굉장히 높아서 더 높은 생산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형식의 분리막은 분리막을 형성하는 고분자를 코팅할 수 있는 지지체가 필요하지만 중공사형식의 분리막은 직경이 작으므로 자체적으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별도의 지지체가 필요 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하나의 모듈로 만들어진 중공사막들 사이에 부유물질이 층을 이루어 물의 흐름을 막을 수 있으며 막오염에 약하고 일단 오염된 막은 세척하기가 어려워 막오염이 심한 분리단계에는 사용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중공사형 분리막은 중공사막 안에서 밖으로 여과되는 가압방식과 그 반대방향으로의 흡입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생물학적 처리공정(활성슬러지법)에 적용할 때에는 그 설치 방식에 따라 폭기조 밖에 중공사막을 설치하는 외부순환식과 폭기조 내에 중공사막을 설치하여 처리하는 침적식으로 사용할 수있는데, 외부순환형의 경우에는 침적식에 비하여 에너지 비용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중공사형 분리막은 보통 중공사를 다발지어 중공사막 모듈로 형성하고, 상기 중공사막 모듈을 처리하고자 하는 유체의 수조에 직접 침지시키고, 중공사막 내부에 진공을 가하여 유체가 중공사 내부로 투과하게 하여 고액을 분리하는 침지형 중공사막 모듈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침지형 중공사막모듈은 모듈의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고, 유체의 순환을 위한 설비가 필요없어 시설비나 운전비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가장 일반적인 침지형 중공사막 모듈은, 중공사 다발의 양 말단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부 헤드 및 하부 헤드에 고정시킨 "I"자형 모듈과, 중공사 다발을 U자로 접어서 양 말단을 하나로 통합하여 상부 헤드에 고정시킨 "U"자형 모듈이 있다.
한편, 이러한 중공사형 분리막의 단점으로는, 막 오염(Membrane fouling) 문제이다. 즉, 분리막 표면에 발달하는 케이크 층(cake layer)으로 인한 유출수의 생산 속도 즉, 플럭스(flux)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일정한 플럭스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막의 물리/화학적 세척을 통한 막 오염의 제거 또는 막의 교체가 요구된다. 이것은 운전 및 유지 관리 비용이 상승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막 오염에 의한 플럭스 감소는 일반적으로 저항(resistance) 값으로 표시되며 저항은 크게 가역 저항과 비가역 저항으로 그분된다. 일반적으로 분리막의 미세 기공이 막히는 현상은 비가역적이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막 표면에 형성되는 케이크 층의 퇴적으로 인한 저항은 가역적인 것으로 일려져 있다. 막 오염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역적 저항의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전형적인 방법은 분리막 표면으로 과잉의 공기를 공급하여 발생한 전단력(shear force)으로 인해 케이크 층의 발달을 저해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막 오염이 발생하여 투과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중공사막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공기를 산기하여 막 오염 물질을 분리막 표면에서 제거하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침지식 중공사막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침지식 중공사막 모듈은 다발로 형성된 중공사막(11)과, 상기 중공사막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중공사막을 고정 지지하되, 상기 중공사막으로 투과수를 유입시키도록 유입구가 형성된 지지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2)에는 운전중에 생기는 입자성 물질에 대한 막오염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15)이 형성된다.
상기 노즐(13)을 통해 공기가 분사되면, 상기 중공사막에 형성되는 오염 물질인 케이크 층이 떨어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위해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노즐을 통해 공기를 불어넣어 주면, 상기 공기 방울이 상승하면서 중공사막의 표면과 접촉하여 입자성 물질을 제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방식에서 공기 방울이 상승하면서, 막의 표면과 접촉하기도 하지만 막모듈 밖으로 배출이 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중공사막의 상단부의 입자성 물질에 의한 막오염 현상을 완화시키기 어렵다. 특히, 중공사막의 상단부로 갈수록 운전 압력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입자성물질에 대한 오염이 증가되는데, 종래 기술의 방식으로는 이러한 오염을 제거하는데 부족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중공사막의 상단부에도 효과적으로 공기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입자성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수처리용 중공사막 막모듈을 제시한다. 상기 중공사 막 모듈은 중공사막과; 상기 중공사막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사막을 고정 지지하되, 상기 중공사막으로 투과수를 유입시키도록 유입구가 형성된 하부 지지부와; 상기 중공사막의 상부와 결합되어, 상기 중공사막을 빠져나오는 투과수를 취수하는 콜렉터와; 상기 중공사막과 상기 하부 지지부에 체결되는 공기 주입관과; 상기 중공사막의 하부와 이격된 거리 위치에, 상기 공기 주입관에 체결되고, 공기 분사를 위한 다수의 기공 노즐이 형성된 다공성 산기관(air diffuse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기공은 상기 중공사막의 하부측 방향으로 내어질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기공 노즐은 다양한 지름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산기관의 일단은 상기 공기 주입관과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선 산기관의 일단은 상기 공기 주입관과 나사선 결합에 의해 체결될 수 있ㄷ.
상기 다공성 산기관의 타단은 마개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산기관의 타단과 상기 덮개는 나사선 결합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산기관은 상기 공기 주입관으로부터 분리되어 세정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산기관은 다수개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산기관은 다수개가 서로 어긋나게 설치될 수 있다.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다수개의 다공성 산기관이 상기 지지부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여러 단수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중공사막을 감싸 보호하는 원형 관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콜렉터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중공사막을 감싸 보호하는 원형 관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콜렉터에 체결되고, 상기 콜렉터의 상단에는 상기 투과수를 흡인하는 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는 상기 공기 주입관으로 공기를 펌프하는 컴프레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개시에 의하면 중공사막의 상단부 부근에 산기관을 설치하여, 종래 기술에 비하여, 침지식 중공사막 모듈의 상단부분에서 발생했던 오염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때, 공기 주입에 따른 운전 비용상승은 기존 하단부에서의 공기 주입량 감소와 추가되는 공기 주입부를 상단에 한정하여 상쇄 시킬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개시에 의하면, 상단부에 설치되는 산기관은 원수의 오염 및 운영 조건에 따라 편리하게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단부에 설치되는 산기관에 형성된 기공은 다양한 사이즈로 형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공기 방울이 다양한 크기의 입자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개시에 의하면, 상기 상단부에 설치되는 산기관은 착탈이 편리한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기공이 막혔을 경우, 분리후 쉽게 세정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침지식 중공사막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지식 중공사막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기 주입관(140)과 다공성 산기관(air diffuser)(150)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다.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지식 중공사막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지식 중공사막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지식 중공사막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지식 중공사막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지식 중공사막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지식 중공사막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기 주입관(140)과 다공성 산기관(air diffuser)(150)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지식 중공사막 모듈(100)은 다발로 형성된 중공사막(110)과, 상기 중공사막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부(120)와, 상기 중공사막(110)의 상부와 결합되는 콜렉터(130)와, 상기 지지부(120)에 체결되는 공기 주입관(140)과, 상기 공기 주입관에 체결되되, 공기 분사를 위한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산기관(air diffuser)(15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중공사막을 고정 지지하되, 상기 중공사막으로 투과수를 유입시키도록 유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20)의 상부에는 다수의 노즐(125)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에는 상기 공기 유입을 위한 유입관이 연결된다.
상기 중공사막(110)은 느슨하게 늘어져 있어서 상기 노즐(125)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하여 아래, 위로 흔들려 막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케이크층을 떨어뜨리게 된다.
상기 콜렉터(130)은 각각의 중공사막(110)과 결합되고, 각각의 중공사막(110)을 빠져나오는 투과수를 집성(취수)한다. 한편, 상기 콜렉터(130)의 상단에는 펌프가 연결되어 투과수를 강제로 흡인 또는 가압하여 줄 수 있다. 즉, 상기 중공사막(110)를 투과한 투과수는 상기 콜렉터(1300)와 연결되는 펌프의 흡인에 의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주입관(140)은 상기 중공사막(110)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1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주입관(140)은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에 연결된 공기 유입관과 연결된다. 상기 공기 유입관은 컴프레서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공성 산기관(air diffuser)(150)은 상기 중공사막(110)의 상부측 위치에, 상기 공기 주입관(140)에 수직 방향으로 체결된다. 상기 공기 주입관(140)과 상기 다공성 산기관(150)은 나사선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기 주입관(140)에는 나사선을 가진 홀이 형성되고, 상기 다공성 산기관(140)의 일단의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산기관(air diffuser)(150)에는 상기 다수의 기공(1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기공은 다양한 사이즈로 형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중공사막에 부착되는 다양한 크기의 입자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기공(152)은 상기 중공사막(110)의 하부측 방향으로 내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중공사막(110)의 상부측 위치에 설치된 상기 다공성 산기관 (150)이 하부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부측의 오염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하부측에서는 상기 지지부(120)에 설치된 노즐(125)을 통해 하부측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하부에서 동시에 공기를 주입하면, 종래에 비해 운전 비용이 상승할 수도 있으나, 대신 상기 지지부(120)에 설치된 노즐(125)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 주입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운전 비용의 증가를 상쇄시킬 수도 있다.
상기 다공성 산기관(150)의 일단은 상기 공기 주입관(140)과 나사선 결합되고, 타단은 덮개(152)가 결합되어, 공기가 세지 않도록 한다. 상기 덮개(152)와 상기 다공성 산기관(150)은 나사선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다공성 산기관(150)의 타단 외주면과 상기 덮개(152)의 내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다공성 산기관(150)은 착탈이 편리한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기공이 막혔을 경우, 분리후 쉽게 세정이 가능하다.
한편, 이와 같은 다공성 산기관(150)은 상기 지지부(120)로부터 동일한 거리 위치에, 복수개가 서로 45도, 60도, 90도, 또는 120도를 이루면서 상기 공기 주입관(140)에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에서는 상기 지지부(120)로부터 일정 거리 마다, 서로 90도를 이루는 다공성 산기관(150)이 4개씩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부쪽 4개의 다공성 산기관과 하부쪽 4개의 다공성 산기관은 서로 일정 각도로 어긋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공사막(110)은 외둘레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원통형 관(16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관은 상기 지지부(120) 및 상기 콜렉터(130)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공성 산기관(150)은 상기 원통형 관(160)의 반지름 보다 일정 크기 이상 작게 형성되어야, 상기 원통형 관(160)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중공사막(110)의 상부측 위치에 설치된 상기 다공성 산기관 (150)이 하부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부측의 오염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하부측에서는 상기 지지부(120)에 설치된 노즐(125)을 통해 하부측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산기관(150)의 다수의 기공(151)은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공기 기포를 분사한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를 갖는 오염 물질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산기관(150)은 나사선 결합에 의해 체결되어, 용이하게 분리 및 세척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지식 중공사막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다공성 산기관(150)은 상기 지지부(120)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다공성 산기관(150)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다수의 다공성 산기관(150)은 서로 30도, 45도, 60도, 90도 등의 각도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지식 중공사막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주입관(141, 142)는 상기 중공사막(110)의 외측 방향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다공성 산기관(150)은 각 공기 주입관(141, 142)에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다공성 산기관(150)의 길이는 상기 원통형 관(160)의 반지름보다 크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다공성 산기관(150)은 서로 수평하게 설치되거나 혹은 서로 어긋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산기관(150)의 길이가 상기 원통형 관(160)의 반지름 보다 작으면서 서로 어긋나게 설치될 경우, 다공성 산기관(150)들 간에 최대 예각은 180도까지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다공성 산기관(150)의 길이가 상기 원통형 관(160)의 반지름 보다 크면서 서로 어긋나게 설치될 경우, 다공성 산기관(150)들 간에 최대 예각은 제한을 받게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지식 중공사막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기 주입관(141, 142, 143, 144)는 상기 지지부(120)의 상부 끝단에 중심으로부터 서로 90도를 이루면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다공성 산기관(150)은 각 공기 주입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4에 비하여 더 많은 다공성 산기관(15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는, 투과수에 이물질이 많은 경우 상기 중공사막(110)에 오염물질이 빠르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지식 중공사막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다공성 산기관(150)은 십자 환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환은 상기 중공사막(110)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다공성 산기관(150)을 일자 환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지식 중공사막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9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산기관(150)은 구부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부러진 다공성 산기관(150)은 위를 항햐도록 설치되거나, 아래를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

Claims (12)

  1. 중공사막과;
    상기 중공사막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사막을 고정 지지하되, 상기 중공사막으로 투과수를 유입시키도록 유입구가 형성된 하부 지지부와;
    상기 중공사막의 상부와 결합되어, 상기 중공사막을 빠져나오는 투과수를 취수하는 콜렉터와;
    상기 중공사막과 상기 하부 지지부에 체결되는 공기 주입관과;
    상기 중공사막의 하부와 이격된 거리 위치에, 상기 공기 주입관에 체결되고, 공기 분사를 위한 다수의 기공 노즐이 형성된 다공성 산기관(air diffuser)을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기공은 상기 중공사막의 하부측 방향으로 내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중공사막 막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공 노즐은
    다양한 지름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 막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산기관의 일단은
    상기 공기 주입관과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 막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선 산기관의 일단은
    상기 공기 주입관과 나사선 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 막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산기관의 타단에는 마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 막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산기관의 타단과 상기 덮개는 나사선 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 막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산기관은
    상기 공기 주입관으로부터 분리되어 세정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 막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산기관은
    다수개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산기관은
    다수개가 서로 어긋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 막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다수개의 다공성 산기관이 상기 지지부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여러 단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막을 감싸 보호하는 원형 관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콜렉터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 막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막을 감싸 보호하는 원형 관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콜렉터에 체결되고,
    상기 콜렉터의 상단에는 상기 투과수를 흡인하는 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는 상기 공기 주입관으로 공기를 펌프하는 컴프레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 막 모듈.
KR1020120003548A 2012-01-11 2012-01-11 중공사 막 모듈 KR101908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548A KR101908704B1 (ko) 2012-01-11 2012-01-11 중공사 막 모듈
PCT/KR2013/000201 WO2013105795A1 (ko) 2012-01-11 2013-01-10 중공사 막 모듈
CN201380003360.0A CN103889558B (zh) 2012-01-11 2013-01-10 中空纤维膜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548A KR101908704B1 (ko) 2012-01-11 2012-01-11 중공사 막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363A true KR20130082363A (ko) 2013-07-19
KR101908704B1 KR101908704B1 (ko) 2018-10-16

Family

ID=48993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548A KR101908704B1 (ko) 2012-01-11 2012-01-11 중공사 막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70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3464B1 (en) 2014-10-22 2016-05-10 Koch Membrane Systems, Inc. Membrane module system with bundle enclosures and pulsed aeration and method of operation
KR101627554B1 (ko) * 2016-02-25 2016-06-07 백운학 Mbr용 분리막 여과장치
EP3040111A1 (en) * 2013-08-29 2016-07-06 Samsung SDI Co., Ltd. Spiral aerator an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having same
USD779632S1 (en) 2015-08-10 2017-02-21 Koch Membrane Systems, Inc. Bundle body
KR101713927B1 (ko) * 2016-09-05 2017-03-09 백운학 카세트 타입용 mbr 분리막의 여과장치
CN117509826A (zh) * 2023-12-13 2024-02-06 湖州浩宇膜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疏通式超滤膜水处理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141B1 (ko) 2019-12-23 2021-11-0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관형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필터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691Y1 (ko) * 2004-08-16 2004-12-03 김정학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691Y1 (ko) * 2004-08-16 2004-12-03 김정학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40111A1 (en) * 2013-08-29 2016-07-06 Samsung SDI Co., Ltd. Spiral aerator an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having same
EP3040111A4 (en) * 2013-08-29 2017-05-10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Spiral aerator an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having same
US9333464B1 (en) 2014-10-22 2016-05-10 Koch Membrane Systems, Inc. Membrane module system with bundle enclosures and pulsed aeration and method of operation
US9956530B2 (en) 2014-10-22 2018-05-01 Koch Membrane Systems, Inc. Membrane module system with bundle enclosures and pulsed aeration and method of operation
US10702831B2 (en) 2014-10-22 2020-07-07 Koch Separation Solutions, Inc. Membrane module system with bundle enclosures and pulsed aeration and method of operation
USD779632S1 (en) 2015-08-10 2017-02-21 Koch Membrane Systems, Inc. Bundle body
USD779631S1 (en) 2015-08-10 2017-02-21 Koch Membrane Systems, Inc. Gasification device
KR101627554B1 (ko) * 2016-02-25 2016-06-07 백운학 Mbr용 분리막 여과장치
KR101713927B1 (ko) * 2016-09-05 2017-03-09 백운학 카세트 타입용 mbr 분리막의 여과장치
CN117509826A (zh) * 2023-12-13 2024-02-06 湖州浩宇膜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疏通式超滤膜水处理设备
CN117509826B (zh) * 2023-12-13 2024-05-14 湖州浩宇膜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疏通式超滤膜水处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704B1 (ko)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2363A (ko) 중공사 막 모듈
JP4932492B2 (ja) 中空糸膜カートリッジ
US20180333681A1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method of cleaning same
KR101513250B1 (ko) 중앙 배플과 이를 포함하는 가압식 중공사 분리막 모듈 및 이의 세정방법
KR100974912B1 (ko)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유니트
EP2561922B1 (en) Membrane unit and membrane separation device
KR100932739B1 (ko)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
JP2004008981A (ja) 膜分離装置
KR102118384B1 (ko) 중공사막 모듈의 세정 방법
RU2515444C2 (ru) Мембранный модуль, мембранный блок и мембранное раз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150059788A (ko) 침지된 막을 위한 가스 스코어링 장치
KR101321626B1 (ko) 침지식 중공사분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장치
JP2018023965A (ja) 外圧式濾過モジュールの洗浄方法及び濾過装置
KR101402399B1 (ko)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의 하부집수 조립체
KR101402528B1 (ko) 고유량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
KR100999945B1 (ko) 분리막용 여과배관의 공기제거장치
KR20020039383A (ko) 중공사를 이용한 수처리용 분리막 모듈
KR101392755B1 (ko) 관형막을 이용한 수처리시스템
CN213790987U (zh) 一种悬散外压管式超或微滤膜组件
KR20120044594A (ko) 분리형 산기 프레임과 공기 챔버를 구비하는 산기 장치
KR100340450B1 (ko) 중공사를 이용한 수처리용 분리막
CN212151703U (zh) 一种基于防止膜污染的废水处理回收装置
CN1329315C (zh) 膜生物反应器
CN101574626A (zh) 管式膜元件及一体式膜生物反应器
JP2010119948A (ja) 膜分離装置、及びろ過処理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