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1190A -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1190A
KR20130081190A KR1020120065397A KR20120065397A KR20130081190A KR 20130081190 A KR20130081190 A KR 20130081190A KR 1020120065397 A KR1020120065397 A KR 1020120065397A KR 20120065397 A KR20120065397 A KR 20120065397A KR 20130081190 A KR20130081190 A KR 20130081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ode
touch
switching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3419B1 (ko
Inventor
이동헌
권용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3150167.8A priority Critical patent/EP2613227B1/en
Priority to JP2013000127A priority patent/JP2013143139A/ja
Priority to CN201310003838.1A priority patent/CN103279274B/zh
Priority to US13/735,379 priority patent/US9342168B2/en
Priority to MX2014015378A priority patent/MX340896B/es
Priority to IN424DEN2015 priority patent/IN2015DN00424A/en
Priority to PCT/KR2013/004448 priority patent/WO2013191382A1/en
Priority to BR112014031855A priority patent/BR112014031855A2/pt
Publication of KR20130081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와; 입력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와;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입력장치의 모션에 따른 제스처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1기준값 이상인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입력모드를 터치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모드 전환을 위한 인위적인 조작없이 자연스럽게 모드가 전환되며, 전환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장치의 입력모드를 표시하는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생성하는 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하는 시스템으로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중심으로 하여 각 기능별로 분류된 복수의 장치가 구비됨으로써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장치가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에 각종 커맨드를 전송하는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로 구현된다.
입력장치에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와, 입력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장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라 동작하는 터치모드와, 입력장치의 모션에 따라 동작하는 제스처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입력모드로 동작하며, 리모트 컨트롤러에 구비된 모드전환 버튼을 사용하여, 두 개의 모드를 상호 전환한다.
그런데, 리모트 컨트롤러의 동작 중 모드전환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지정된 모드전환 버튼을 조작하여야 하므로, 조작 중인 인터랙션(interaction)을 단절시켜 인터페이스 조작에 대한 사용자의 몰입도를 떨어뜨려,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드 전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않으면, 사용자는 입력장치의 입력모드를 알기 어려우므로, 사용자의 입력장치 사용에 불편을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와; 입력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와;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입력장치의 모션에 따른 제스처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1기준값 이상인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입력모드를 터치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2기준값 이상인 입력장치의 모션이 감지되면 입력모드를 제스처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입력모드의 전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모드의 전환 과정을 디스플레이장치에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모드의 전환에 따라 투명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제어부는,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불투명하게 표시하는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모드의 전환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스처모드에서는 제1기준값 미만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은 무시하며, 터치모드에서는 제2기준값 미만에 대응하는 입력장치의 모션은 무시할 수 있다.
제1기준값은 터치감지부에 대한 소정 거리 이상의 드래그, 소정 강도 이상의 터치 및 소정 횟수 이상의 터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값이며, 제2기준값은 모션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소정 거리 이상의 모션, 소정 강도 이상의 모션 및 소정 횟수 이상의 모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값일 수 있다.
한편, 한편,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와; 입력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와;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른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2기준값 이상인 입력장치의 모션이 감지되면, 입력모드를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모션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입력장치의 모션의 강도, 횟수 및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입력장치의 입력모드의 전환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기 위해 필요한 모션의 거리, 강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통신부를 통해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모드를 제스처모드에서 터치모드로 전환하는 커맨드를 수신하면, 터치모드로의 전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모드를 터치모드에서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는 커맨드를 수신하면, 제스처모드로의 전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모드의 전환 과정을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모드의 전환에 따라 투명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제어부는,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불투명하게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모드의 전환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통신부를 통해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모드를 터치모드에서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는 커맨드를 수신하면, 제스처모드로의 전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모드가 제스처모드로 전환됨을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기 위해 필요한 모션의 거리, 강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의 제어방법은,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입력장치의 모션에 따른 제스처모드로 동작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터치입력이 제1기준값 이상이면, 입력모드를 터치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입력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모션이 제2기준값 이상이면, 입력모드를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모드의 전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모드의 전환 과정을 디스플레이장치에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모드의 전환에 따라 투명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불투명하게 표시하는 커맨드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모드의 전환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장치가 터치모드로 전환되면, 제2기준값 미만에 대응하는 입력장치의 모션을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장치가 제스처모드로 전환되면, 제1기준값 미만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기준값은 터치감지부에 대한 소정 거리 이상의 드래그, 소정 강도 이상의 터치 및 소정 횟수 이상의 터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값이며, 제2기준값은 모션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소정 거리 이상의 모션, 소정 강도 이상의 모션 및 소정 횟수 이상의 모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의 제어방법은,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른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단계와; 입력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모션이 제2기준값 이상이면, 입력모드를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입력장치의 입력모드 전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맨드를 송신하는 단계는,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기 위해 필요한 모션의 거리, 강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모드를 제스처모드에서 터치모드로 전환하는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커맨드에 기초하여 입력모드를 터치모드로 전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모드를 터치모드에서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는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커맨드에 기초하여 입력모드를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모드의 전환 과정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입력모드의 전환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투명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불투명하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입력모드의 전환을 게이지를 통해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모드를 터치모드에서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는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커맨드에 기초하여 입력모드를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입력모드가 제스처모드로 전환됨을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기 위해 필요한 입력장치의 모션의 거리, 강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입력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입력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커맨드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 및 입력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를 포함하고,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제스처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1기준값 이상인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입력모드를 터치모드로 전환하고, 입력모드가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2기준값 이상인 입력장치의 모션이 감지되면 입력모드를 제스처모드로 전환하고, 입력모드의 전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는 입력장치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모드가 전환됨을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과 도 7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은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게 기 설정된 커맨드(command)/데이터/정보/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하는 입력장치(2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방송정보/방송데이터에 기초한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TV로, 입력장치(200)가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로 각각 구현된 디스플레이 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표시 가능한 영상의 종류가 방송 영상에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다양한 형식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이하, GUI(graphic user interface, 이하 라고도 함) 등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본 실시예와 상이한 디스플레이 시스템(1),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컴퓨터본체에 접속된 모니터이며, 입력장치(200)가 해당 컴퓨터본체와 통신하는 시스템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이하 설명할 실시예는 시스템의 구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 적용되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인 바,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사항이 아님을 밝힌다.
입력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외부장치이며, 무선통신은 적외선 통신, RF 통신 등을 포함한다. 입력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기 설정된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210)와, 사용자에 의한 자체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220)를 포함한다. 모션감지부(220)는 자이로센서, 각속도센서, 지자기센서를 포함한다. 이에,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터치정보 또는 모션정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영상이 제어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입력장치(200)의 구성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110)와, 영상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20)와,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외부와 통신하는 제1통신부(140)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150)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160)를 포함한다.
한편, 입력장치(200)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210)와, 입력장치(200)의 모션(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220)와, 외부와 통신하는 제2통신부(240)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2저장부(240)와, 터치감지부(210) 또는 모션감지부(2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하도록 제2통신부(240)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260)를 포함한다. 또한, 입력장치(200)는 각종 메뉴키, 번호키 등의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영상수신부(110)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처리부(120)에 전달하며, 수신하는 영상신호의 규격 및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수신부(110)는 방송국(미도시)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 등에 의한 영상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영상수신부(110)는 영상신호가 방송신호인 경우, 이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는 튜너(tuner)를 포함한다.
또한, 영상신호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될 수 있으며, 예컨대, 영상신호는 PC, AV기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1통신부(140)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거나, 별도의 네트워크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는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의 제1저장부(150)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제1저장부(1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외부에 마련되는 경우 제1저장부(150)가 연결되는 연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20)는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30)에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영상처리부(12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다양한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라인 스캐닝(line scann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 구성의 그룹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3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부(130)는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텍스트, 아이콘(그래픽) 등을 포함하며, 텍스트는 숫자와 문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30)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인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30)의 UI를 터치하여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제1제어부(16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제1통신부(140)는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커맨드/데이터/정보/신호를 영상처리부(120)에 전달한다. 또한, 제1통신부(140)는 영상처리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커맨드/데이터/정보/신호를 입력장치(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제1통신부(1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입력장치(200) 간의 통신방식으로 무선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통신은 적외선 통신,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블루투스 등을 포함한다.
제1통신부(140)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내장되나, 동글(dongle) 또는 모듈(module) 형태로 구현되어 영상처리부(120)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커넥터(미도시)에 착탈될 수도 있다.
제1저장부(150)는 제1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서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1저장부(15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로 구현된다. 제1저장부(150)는 제1제어부(16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1제어부(16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
제1저장부(15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제1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1제어부(160)는 영상처리부(120)가 처리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진행, 입력장치(110)로부터의 커맨드에 대한 대응 제어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의 제1제어부(160)는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커맨드에 기초하여,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예컨대, 터치모드 또는 제스처모드)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도 3 내지 도 5의 31, 32, 35, 36 및 도 8 내지 도 12의 61, 62, 63)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이하, 입력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입력장치(200)는 복수의 입력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며, 복수의 입력모드는 터치감지센서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터치모드(touch mode)와, 입력장치의 모션(motion)(움직임)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제스처모드(gesture mode)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입력장치(200)는 제스처모드에서 입력장치(200)의 모션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된 화면에 대한 페이지 스크롤(Page Scroll)을 수행하도록 하고, 터치모드에서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된 화면의 항목에 대한 선택(포커스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입력장치(200)가 페이지 스크롤과 같은 큰 단위의 동작에 대하여는 제스처모드로, 항목의 선택과 같은 작은 단위의 동작에 대하여는 터치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되는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그 외에도 다양한 사용자입력에 의한 예시가 적용될 수 있다.
터치감지부(210)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터치입력은 다양할 수 있으며, 탭(tap), 탭보다 강하게 터치하는 클릭(click), 더블 클릭, 드래그(drag), 슬라이드(slide), 플리킹(flicking) 등을 모두 포함한다. 터치감지부(210)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면 제2제어부(260)는 감지된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생성하여 제2통신부(24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한다.
모션감지부(220)는 입력장치(200)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센서를 포함하며, 모션감지센서는 자이로센서, 각속도센서, 지자기센서를 포함한다. 모션감지부(220)는 입력장치(200)의 현재 자세에서, 입력장치(200)의 3축 또는 6축에 대한 가속도 및 각속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제2제어부(260)에 전달한다. 제2제어부(250)는 입력장치(200)의 모션정보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생성하여 제2통신부(24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한다.
제2통신부(2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며, 제1통신부(140)에 대응하는 통신규격을 가진다. 예컨대, 제2통신부(220)는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소정 커맨드를 송수신하며, 무선통신은 적외선 통신,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블루투스 등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해당 커맨드에 대응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2저장부(250)에는 제2제어부(260)에 의해 액세스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제2저장부(250)에는 입력장치(200)의 현재 입력모드에 관한 정보가 독취, 저장 및 업데이트되며, 입력장치(100)의 모션 감지를 위한 자세정보가 독취, 저장 및 업데이트된다.
제2제어부(250)는 모션감지부(220)의해 감지된 입력장치(200)의 각속도 및 가속도에 기초하여 입력장치(200)의 모션정보를 산출한다. 제2제어부(260)는 산출된 모션정보를 제2저장부(250)에 저장된 자세정보와 비교 및 보정하고, 그 결과를 소정 커맨드로서 제2통신부(22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한다.
제2저장부(25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로 구현된다. 제2저장부(250)는 제2제어부(26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2제어부(26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
제2제어부(260)는 터치감지부(2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 및 모션감지부(220)에서 감지되는 입력장치(200)의 모션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를 전환하고, 이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40)를 제어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30)해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표시되는 UI(31, 32, 35, 36)는 입력장치(200)의 현재의 입력모드 정보, 입력모드의 전환정보(예컨대, 터치모드에서 제스처모드로의 전환 또는 제스처모드에서 터치모드로의 전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르면 제2저장부(250)에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대한 제1기준값 및 입력장치(200)의 모션에 대한 제2기준값이 저장된다. 여기서, 제1기준값은 터치감지부(210)에 대한 소정 거리 이상의 드래그, 소정 강도 이상의 터치 및 소정 횟수 이상의 터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값이고, 제2기준값은 모션감지부(220)에 의해 감지되는 소정 거리 이상의 모션, 소정 강도 이상의 모션 및 소정 횟수 이상의 모션에 대응하는 값이 된다. 여기서, 강도는 모션에 의한 입력장치(200)의 이동거리, 이동속도, 이동영역의 면적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1기준값과 제2기준값이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거나, 각각 상이한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제2제어부(260)는 터치감지부(210)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 중 제1기준값 이상에 대응하는 커맨드 및 모션감지부(220)에 의해 감지되는 입력장치(200)의 모션 중 제2기준값 이상인 커맨드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40)를 제어한다.
여기서, 송신되는 커맨드는 입력장치(200)가 복수의 입력모드 중 어느 하나임을 나타내는 UI를 표시하는 커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입력장치(200)가 제스처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모션감지부(220)가 제1기준값 이상의 입력장치(200)의 모션을 감지하면, 제2제어부(260)는 감지된 모션에 대응하는 커맨드(예컨대, 페이지 스크롤 커맨드)와 함께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가 제스처모드임을 나타내는 UI 즉, 메시지(31, 32)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는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되는 메시지(31, 32)는 아이콘, 텍스트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제어부(160)는 제1통신부(140)를 입력장치(200)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하고,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커맨드에 따라 도 4와 같이 페이지 스크롤된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또한, 제1제어부(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장치(200)의 현재 입력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 텍스트 등의 메시지(31, 32)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한편, 입력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송신되는 커맨드는 입력장치(200)가 복수의 입력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다른 하나로 전환하는 커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제어부(260)는 입력장치(200)가 제스처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입력장치(200)의 터치감지부(210)에 대한 제1기준값 이상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제2제어부(260)는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를 터치모드로 전환하고, 도 5와 같이 입력장치(200)가 터치모드로 전환됨을 나타내는 메시지(33, 34)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는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되는 메시지(35, 36)는 아이콘, 텍스트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제어부(160)는 제1통신부(140)를 통해 입력장치(200)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하고,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커맨드에 따라 도 5와 같이 터치모드로 전환되어 선택 가능한 복수의 항목(33, 34)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또한, 제1제어부(1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장치(200)의 현재 입력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 텍스트 등의 메시지(35, 36)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현재 입력모드를 나타내는 메시지(31, 32, 35, 36)를 표시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예컨대, 터치모드로 전환됨과 같이 입력모드가 어느 하나(제스처모드)에서 다른 하나(터치모드)로 전환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장치(200)의 터치감지부(210)에 대한 탭, 드래그 등의 조작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복수의 항목(33, 34) 중 어느 하나(34)를 선택할 수 있다. 제2제어부(260)는 터치감지부(210)의 감지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50)를 제어한다.
제1제어부(160)는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커맨드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결과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1제어부(160)는 도 5와 같이 선택된 항목(34)을 포커스, 포인트, 커서, 하이라이트, 깜빡임 처리 등에 의해 강조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한편, 입력장치(200)에는 메뉴키, 숫자키, 방향키(4방향 버튼) 등의 버튼이 더 구비된 경우, 사용자는 터치감지부(210) 뿐 아니라 버튼을 조작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UI를 선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입력장치(200)에서 제2제어부(260)는 제2기준값 이상의 입력장치(200)의 모션이 감지되어 입력모드가 제스처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제1기준값 미만의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이를 무시한다. 마찬가지로 제2제어부(260)는 제1기준값 이상의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되어 입력모드가 터치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제2기준값 미만의 입력장치(200)의 모션이 감지되면 이를 무시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감지부(210)와 모션감지부(220) 중 어느 하나에서 제1 또는 제2기준값 이상의 입력이 감지된 경우, 다른 하나에서 감지되는 제1 또는 제2기준값 미만의 입력은 무시한다. 또한, 터치감지부(210)와 모션감지부(220) 중 어느 하나에서 제1 또는 제2 기준값 이상의 입력이 감지된 경우라도, 다른 하나에서 제1 또는 제2 기준값 이상의 입력이 감지되면 이는 유효한 입력이 되어, 입력모드가 전환된다.
본 발명은 이렇게 터치감지부(210)와 모션감지부(220)가 모두 지원되는 입력장치(200)에서 어느 하나의 입력모드에 의해서만 동작하도록 제한하여 동작오류의 발생 가능성이 낮다. 또한, 제1기준값 이상의 터치 또는 제2기준값 이상의 모션에 의해 입력모드가 상호 전환되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모드 전환을 위한 인위적인 조작없이 자연스럽게 모드가 전환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장치(200)는 모션감지부(220)의 감지결과에 따라 동작하는 입력모드인 제스처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401).
입력장치(200)는 제스처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터치감지부(2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한다(S403). 여기서, 제스처모드는 후술하는 도 7의 단계 S507에서 입력모드가 전환된 것일 수 있다.
입력장치(200)의 제2제어부(260)는 단계 S403에서 감지된 터치입력이 제1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05). 여기서, 제1기준값은 터치감지부(210)에 대한 소정 거리 이상의 드래그, 소정 강도 이상의 터치 및 소정 횟수 이상의 터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값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제1기준값은 제2저장부(250)에 미리 저장된다.
제2제어부(260)는 단계 S405의 판단결과 터치입력이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를 터치모드로 전환하고, 단계 S403에서 감지된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50)를 제어한다(S407).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제어부(160)는 단계 S407에서 수신된 커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며, 입력장치(100)의 입력모드를 나타내는 메시지(35, 36)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S409). 여기서, 단계 S409에서 표시되는 메시지는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가 터치모드로 전환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제어부(260)는 단계 S405의 판단결과 터치입력이 제1기준값 미만인 경우, 단계 S403에서 감지된 터치입력은 무시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입력장치(200)가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제스처모드로 전환되는 점에서 도 6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장치(200)는 터치감지부(210)의 감지결과에 따라 동작하는 입력모드인 터치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501). 여기서, 터치모드는 도 6의 단계 S407에서 입력모드가 전환된 것일 수 있다.
입력장치(200)는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모션감지부(220)에 대한 입력장치(200)의 모션을 감지한다(S503).
입력장치(200)의 제2제어부(260)는 단계 S503에서 감지된 모션입력이 제2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05). 여기서, 제2기준값은 모션감지부(220)에 의해 감지되는 소정 거리 이상의 모션, 소정 강도 이상의 모션 및 소정 횟수 이상의 모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값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제2기준값은 제2저장부(250)에 미리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기준값은 도 6의 단계 S405의 제1기준값과 동일 또는 상이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2제어부(260)는 단계 S505의 판단결과 모션입력이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를 제스처모드로 전환하고, 단계 S503에서 감지된 모션입력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50)를 제어한다(S507).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제어부(160)는 단계 S507에서 수신된 커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며, 입력장치(100)의 입력모드를 나타내는 메시지(31, 32)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S509). 여기서, 단계 S509에서 표시되는 메시지는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가 제스처모드로 전환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제어부(260)는 단계 S505의 판단결과 모션입력이 제2기준값 미만인 경우, 단계 S503에서 감지된 모션입력은 무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하면, 기준값 이상의 터치 또는 모션에 의해 입력모드가 상호 전환되므로, 조작 중인 인터랙션(interaction)을 단절시키지 않고, 사용자로부터의 별도의 모드 전환을 위한 인위적인 조작없이 자연스럽게 모드가 전환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면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화면과 비교하여 볼 때, 입력모드의 전환과정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UI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의 동일 도면부호 및 동일 부재명을 사용하였으며,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이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 제2저장부(250)에는 사용자의 터치입력 및 입력장치(100)의 모션에 대한 제3기준값이 저장된다. 여기서, 제3기준값은 입력모드의 전환에 대한 단계별로 설정된 복수의 값이 된다.
구체적으로, 제3기준값은 모션감지부(220)에 의해 감지되는 소정 강도, 소정 횟수 및 소정 거리 이상의 모션, 터치감지부(210)에 대한 소정 거리 이상의 드래그, 소정 횟수 이상의 탭 또는 클릭, 소정 강도 이상의 터치 등에 대응하여 단계별로 설정된 복수의 값(예를 들어, 1차입력값, 2차입력값, 3차입력값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강도는 모션에 의한 입력장치(200)의 이동거리, 이동속도, 이동영역의 면적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
제2제어부(260)는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의 전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하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5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2제어부(260)는 모션감지부(220)에 의해 감지되는 입력장치(200)의 모션의 거리, 강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가 제스처모드로 전환됨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UI를 표시하는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입력장치(200)가 상호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스처모드로 입력장치(200)를 사용하기 위해 입력장치(200)를 흔드는 모션을 선택할 수 있다.
모션감지부(220)는 입력장치(200)의 모션을 감지하고, 제2제어부(260)는 감지된 모션의 거리, 강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입력모드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하는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되는 UI(61, 62)는 아이콘, 텍스트 등을 포함한다. 제2제어부(260)는 모션감지부(220)의 감지결과를 제2저장부(250)에 저장된 각각의 단계별로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제2통신부(240)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제어부(160)는 제1통신부(150)를 통해 입력장치(200)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하고,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커맨드에 따라 도 8 내지 도 12와 같이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가 제스처모드로 전환됨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아이콘, 텍스트 등의 UI(61, 62, 63)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사용자는 입력장치(200)를 흔드는 강도, 횟수, 거리 등에 대한 피드백을 디스플레이장치(200)를 통해 즉시 확인할 수 있다.
제1제어부(160)는 입력장치(200)의 모션의 거리, 강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UI(61, 62)의 투명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장치(200)를 1차입력으로 약하게 흔드는 경우, 제2제어부(260)는 1차입력값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2통신부(25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송신하고, 제1제어부(160)는 제1통신부(150)를 통해 1차입력의 강도 정보를 수신하여 도 9와 같이 이에 대응하는 투명도로 UI(61, 62)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사용자는 도 9에서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UI(61, 62)의 투명도를 통해 제스처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좀더 강한 모션이 필요함을 확인하고, 입력장치(200)를 2차입력으로 좀 더 강하게 흔들 수 있다. 제2제어부(260)는 2차입력값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2통신부(25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송신하고, 제1제어부(160)는 제1통신부(150)를 통해 2차입력의 강도 정보를 수신하여 도 10와 같이 이에 대응하는 투명도로 UI(63, 64)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도 10의 UI(63, 64)는 도 9의 UI(61, 62)에 비하여 좀더 선명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계속해서, 사용자는 도 10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UI(63, 64)의 투명도를 통해 제스처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보다 더 강한 모션이 필요함을 확인하고, 입력장치(200)를 3차입력으로 더 강하게 흔들 수 있다. 제2제어부(260)는 3차입력값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2통신부(25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송신하고, 제1제어부(160)는 제1통신부(150)를 통해 3차입력의 강도 정보를 수신하여 도 11과 같이 이에 대응하는 투명도로 UI(64, 65)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도 11의 UI(65, 66)는 도 9 및 도 10의 UI(61, 62, 63, 64)에 비하여 보다 더 선명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UI(61, 62, 63, 64, 65, 66)는 입력모드의 전환에 따라 투명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된다.
여기서, 1차입력 내지 3차입력은 입력장치(200)에 대한 모션의 강도에 의해 구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모션의 횟수에 따라 입력모드의 전환을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장치(200)를 1회 흔드는 경우 도 9와 같은 UI(61, 62)가 표시되고, 입력장치(200)를 2 내지 4회 흔드는 경우 도 10과 같은 UI(63, 64)가 표시되고, 입력장치(200)를 5회 이상 흔드는 경우 도 11과 같은 UI(65, 66)가 표시되는 실시예로도 구현 가능하다. 또한, 입력장치(200)의 모션의 강도와 횟수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입력모드의 전환 단계를 판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1차입력, 2차입력 및 3차입력은 제2저장부(250)에 저장된 1차입력값, 2차입력값 및 3차입력값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스처모드로의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0)의 UI(65, 66)를 불투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즉, 제2제어부(260)는 제스처모드로의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입력모드에 대한 UI를 불투명하게 표시하는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50)를 제어하고, 제1제어부(160)는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커맨드에 따라 UI(65, 66)를 불투명하게 표시하여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피드백할 수 있다.
여기서, 도 9 내지 도 11에 표시되는 UI(61, 62, 63, 64, 65, 66)는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61, 63, 65)과, 제스처모드에서 입력장치(200)의 모션입력을 위한 가이드(62, 64, 66)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된 아이콘(61, 63, 65)을 통해 제스처모드로의 입력모드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가이드(62, 64, 66)를 통해 입력장치(200)를 좌우로 회전하여 이전/다음 영상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하로 회전하여 화면에 대한 줌(zoom)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안내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의 입력모드에 대한 UI는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기 위해 필요한 모션의 강도 또는 횟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가이드(62, 64, 66)는 제스처모드로의 전환이 완료되기 위해 필요한 입력장치(200)의 모션의 강도나 횟수를 텍스트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입력모드에 대한 UI(61, 62, 63, 64, 65, 66)는 입력모드의 전환과정을 투명도로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UI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모드에 대한 UI(67, 68)는 입력모드의 전환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게이지(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제어부(160)는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커맨드에 기초하여, 입력모드의 전환상태에 대응하는 만큼 도 12의 게이지의 상태 바(bar)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사용자는 게이지의 상태 바의 위치에 따라 입력모드의 전환 정도를 판단하고, 입력장치(200)를 좀더 강하게 흔드는 등의 방식으로 입력모드의 전환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입력모드에 대한 UI(61, 62, 63, 64, 65, 66)는 입력모드가 터치모드로 전환됨을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되는 입력모드에 대한 UI를 확인하여 터치모드로의 입력모드의 전환 정도를 판단하고, 터치감지부(210)를 좀더 세게 문지르는 등의 방식으로 입력모드의 전환을 완료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장치(200)는 터치감지부(210)의 감지결과에 따라 동작하는 입력모드인 터치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701).
입력장치(200)는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모션감지부(220)에 대한 입력장치(200)의 모션을 감지한다(S703).
입력장치(200)의 제2제어부(260)는 단계 S703에서 감지된 입력장치의 모션의 거리, 강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이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한다(S705).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제어부(160)는 단계 S705의 커맨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커맨드에 따라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61, 62, 63, 64, 65, 66, 67, 68)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부(130)를 제어한다(S707). 여기서, 단계 S707에서 표시되는 UI(61, 62, 63, 64, 65, 66, 67, 68)는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가 제스처모드로 전환됨을 투명도, 게이지 등에 의해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면 UI(65, 66)를 불투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입력모드에 대한 UI는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기 위해 필요한 모션의 강도 또는 횟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입력장치(200)가 터치모드에서 제스처모드로 전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반대 즉 제스처모드에서 터치모드로 전환되는 경우도 포함하며, 버튼을 사용하는 일반모드에서 제스처모드 또는 터치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입력장치(200)에서 입력모드의 전환정보를 단계적으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사용자에게 입력모드의 전환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적절한 시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혼란을 줄이고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영상수신부
120 : 영상처리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제1통신부
150 : 제1저장부
160 : 제1제어부
200 : 입력장치
210 : 터치감지부
220 : 모션감지부
240 : 제2통신부
250 : 제2저장부
260 : 제2제어부

Claims (45)

  1.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와;
    상기 입력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와;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상기 입력장치의 모션에 따른 제스처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1기준값 이상인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모드를 터치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상기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2기준값 이상인 입력장치의 모션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모드를 상기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커맨드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 과정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에 따라 투명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불투명하게 표시하는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모드에서는 상기 제1기준값 미만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입력은 무시하며, 상기 터치모드에서는 상기 제2기준값 미만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장치의 모션은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값은 상기 터치감지부에 대한 소정 거리 이상의 드래그, 소정 강도 이상의 터치 및 소정 횟수 이상의 터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값이며,
    상기 제2기준값은 상기 모션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소정 거리 이상의 모션, 소정 강도 이상의 모션 및 소정 횟수 이상의 모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0.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와;
    상기 입력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와;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상기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른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2기준값 이상인 입력장치의 모션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모드를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입력장치의 모션의 강도, 횟수 및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의 전환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커맨드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기 위해 필요한 모션의 거리, 강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3.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모드를 제스처모드에서 터치모드로 전환하는 커맨드를 수신하면, 상기 터치모드로의 전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모드를 상기 터치모드에서 상기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는 커맨드를 수신하면, 상기 제스처모드로의 전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 과정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에 따라 투명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불투명하게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9.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모드를 터치모드에서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는 커맨드를 수신하면, 상기 제스처모드로의 전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입력모드가 상기 제스처모드로 전환됨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기 위해 필요한 모션의 거리, 강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2.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상기 입력장치의 모션에 따른 제스처모드로 동작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터치입력이 제1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입력모드를 터치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모션이 제2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입력모드를 상기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커맨드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 과정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에 따라 투명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불투명하게 표시하는 커맨드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가 상기 터치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2기준값 미만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장치의 모션을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가 상기 제스처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1기준값 미만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31. 제23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값은 상기 터치감지부에 대한 소정 거리 이상의 드래그, 소정 강도 이상의 터치 및 소정 횟수 이상의 터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값이며,
    상기 제2기준값은 상기 모션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소정 거리 이상의 모션, 소정 강도 이상의 모션 및 소정 횟수 이상의 모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32.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른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모션이 제2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입력모드를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 전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커맨드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기 위해 필요한 모션의 거리, 강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커맨드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35.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모드를 제스처모드에서 터치모드로 전환하는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커맨드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모드를 상기 터치모드로 전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입력모드를 상기 터치모드에서 상기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는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커맨드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모드를 상기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 과정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투명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불투명하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을 게이지를 통해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41.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모드를 터치모드에서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는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커맨드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모드를 상기 제스처모드로 전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모드가 상기 제스처모드로 전환됨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이 완료되기 위해 필요한 상기 입력장치의 모션의 거리, 강도 및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44.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커맨드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 및 상기 입력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제스처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1기준값 이상인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모드를 터치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입력모드가 상기 터치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2기준값 이상인 입력장치의 모션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모드를 상기 제스처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입력모드의 전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커맨드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는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입력모드가 전환됨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20065397A 2012-01-06 2012-06-19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943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50167.8A EP2613227B1 (en) 2012-01-06 2013-01-03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000127A JP2013143139A (ja) 2012-01-06 2013-01-04 入力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CN201310003838.1A CN103279274B (zh) 2012-01-06 2013-01-06 输入装置、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和显示***
US13/735,379 US9342168B2 (en) 2012-01-06 2013-01-07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MX2014015378A MX340896B (es) 2012-06-19 2013-05-21 Aparato de entrada, aparato de despliegue, método de control de los mismos y sistema de despliegue.
IN424DEN2015 IN2015DN00424A (ko) 2012-01-06 2013-05-21
PCT/KR2013/004448 WO2013191382A1 (en) 2012-06-19 2013-05-21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BR112014031855A BR112014031855A2 (pt) 2012-06-19 2013-05-21 aparelho de entrada de um aparelho de exibição, aparelho de exibição, método de controle de um aparelho de entrada de um aparelho de exibição, e método de controle de um aparelho de exibiçã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756 2012-01-06
KR20120001756 2012-01-06
KR1020120002420 2012-01-09
KR20120002420 2012-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190A true KR20130081190A (ko) 2013-07-16
KR101943419B1 KR101943419B1 (ko) 2019-01-30

Family

ID=48993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397A KR101943419B1 (ko) 2012-01-06 2012-06-19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3143139A (ko)
KR (1) KR101943419B1 (ko)
CN (1) CN103279274B (ko)
IN (1) IN2015DN004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2811A1 (ko) * 2014-05-26 2015-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703A (ko) * 2014-02-27 2015-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스처 입력 처리 방법
WO2017134732A1 (ja) * 2016-02-01 2017-08-10 富士通株式会社 入力装置、入力支援方法および入力支援プログラム
US10509487B2 (en) * 2016-05-11 2019-12-17 Google Llc Combining gyromouse input and touch input for navigation in an augmented and/or virtual reality environment
JP6950608B2 (ja) * 2018-03-29 2021-10-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装置、受電装置及び電子機器
KR20220131459A (ko) 2021-03-19 2022-09-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감마 측정 방법
KR20230139914A (ko) 2022-03-25 2023-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4290A (ko) * 2008-11-14 2010-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모션 센서 기반의 ui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JP2010231736A (ja) * 2009-03-30 2010-10-14 Sony Corp 入力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1253493A (ja) * 2010-06-04 2011-12-15 Sony Corp 操作端末装置、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8786A1 (en) * 2009-12-18 2011-06-23 Synaptic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operating modes
US9520056B2 (en) * 2010-05-11 2016-12-13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s for enhanced remote control functionalit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4290A (ko) * 2008-11-14 2010-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모션 센서 기반의 ui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JP2010231736A (ja) * 2009-03-30 2010-10-14 Sony Corp 入力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1253493A (ja) * 2010-06-04 2011-12-15 Sony Corp 操作端末装置、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2811A1 (ko) * 2014-05-26 2015-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50135840A (ko) * 2014-05-26 2015-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0739953B2 (en) 2014-05-26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2015DN00424A (ko) 2015-06-19
KR101943419B1 (ko) 2019-01-30
CN103279274A (zh) 2013-09-04
CN103279274B (zh) 2017-10-13
JP2013143139A (ja) 201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52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43419B1 (ko)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EP2613227B1 (en)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565628B2 (en) Functional icon display system and method
KR102169521B1 (ko)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80891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33764B1 (ko) 리모트 컨트롤러에서의 ui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러
US10003845B2 (en) Remote controller, control method thereof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1253493A (ja) 操作端末装置、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システム
EP2772842A1 (en) Display Apparatus,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341492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screen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3198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81503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00001957A1 (en) Display apparatus
KR20110103789A (ko) 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753561B2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input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JP2013143775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入力装置及びこの制御方法
JP2010182134A (ja) リモコンシステム、制御端末装置及び、選択状態表示変更方法
JP2015014998A (ja) 操作システム
KR20170088229A (ko)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613523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70237929A1 (en) Remote controller for providing a force input in a media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1961218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icture in picture function
KR101799315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MX2014015378A (es) Aparato de entrada, aparato de despliegue, metodo de control de los mismos y sistema de desplieg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