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2688A -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688A
KR20130062688A KR1020110129092A KR20110129092A KR20130062688A KR 20130062688 A KR20130062688 A KR 20130062688A KR 1020110129092 A KR1020110129092 A KR 1020110129092A KR 20110129092 A KR20110129092 A KR 20110129092A KR 20130062688 A KR20130062688 A KR 20130062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connection member
connection
connecting member
d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5495B1 (ko
Inventor
이호철
주인섭
임정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Priority to KR1020110129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495B1/ko
Publication of KR20130062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10Means for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e.g. "Bowden-mechanisms"
    • F16C1/1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movement to or from the flexible member
    • F16C1/14Construction of the end-piece of the flexible member; Attachment thereof to the flexible member
    • F16C1/145Attachment of the end-piece to the flexi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들 간의 동력전달을 위한 한 쌍의 케이블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케이블들 중 어느 하나의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고, 내측에 도킹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연결부재; 상기 한 쌍의 케이블들 중 다른 하나의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연결부재의 도킹홈에 삽입되는 도킹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킹부의 외주면에는 환형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가 서로 동축선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연결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제1연결부재 측으로 접근될 수 있게 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연결부재에 결합되어 환형 공간을 형성하는 캡부재; 및 상기 캡부재의 환형 공간에 배치되고,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제2연결부재의 제1연결부재 측으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며, 탄성 복원에 의해 상기 걸림홈에 걸려 상기 제2연결부재의 제1연결부재에 대한 후퇴를 방지되게 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Automobile cable socket unit}
본 발명은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 간의 조립 및 분리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됨에 따라 부품 간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함은 물론 제품의 사후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은, 변속레버와 변속기와 같은 자동차 부품 간의 동력전달을 위한 케이블을 동력적으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의 일례가 도 1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은, 미국특허 제5664462호에 개시된 것으로, 한 쌍의 케이블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제1소켓부재(18)와 제2소켓부재(24)와 연결클램프(50)와 스토퍼(68)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은, 상기 제1소켓부재(18)의 내부에 상기 제2소켓부재(24)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클램프(50)의 결합부(56)가 상기 제2소켓부재(24)의 톱니부(58)에 맞물리도록 상기 연결클램프(50)가 상기 제1소켓부재(18)에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68)가 상기 제1소켓부재(18)의 슬릿(66)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소켓부재(24)의 제1소켓부재(18)에 대한 위치이탈이 방지되게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은, 상기 제1소켓부재(18)와 제2소켓부재(24) 간의 결합을 위해 상기 연결클램프(50)와 스토퍼(68)가 구비되어야 하고, 상기 연결클램프(50)와 상기 제1소켓부재(18) 간의 결합을 위하여 그 연결클램프(50)에 걸림리브(50c)와 홈(G)을 가지는 한 쌍의 삽입리브(50a)(50b)가 형성되고 제1소켓부재(18)에 삽입플랜지(54a)와 걸림턱(54b)이 형성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구성의 간소화를 이룰 수 없고 제품 성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의하면, 장시간 사용에 의해 상기 연결클램프(50)의 한 쌍의 삽입리브(50a)(50b)가 상기 제1소켓부재(18)의 반경방향 측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됨으로써, 상기 연결클램프(50)가 상기 제1소켓부재(18)로부터 탈거되어 한 쌍의 케이블의 연결상태가 해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상기 제1소켓부재(18)와 제2소켓부재(24)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 후 분리가 요구되는 경우에, 분리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클램프(50)를 상기 제1소켓부재(18)로부터 분리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분리작업의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분리시 상기 연결클램프(50)의 손상 또는 파손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 간의 조립 및 분리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됨에 따라 부품 간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함은 물론 제품의 사후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들 간의 동력전달을 위한 한 쌍의 케이블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케이블들 중 어느 하나의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고, 내측에 도킹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연결부재; 상기 한 쌍의 케이블들 중 다른 하나의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연결부재의 도킹홈에 삽입되는 도킹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킹부의 외주면에는 환형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가 서로 동축선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연결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제1연결부재 측으로 접근될 수 있게 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연결부재에 결합되어 환형 공간을 형성하는 캡부재; 및 상기 캡부재의 환형 공간에 배치되고,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제2연결부재의 제1연결부재 측으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며, 탄성 복원에 의해 상기 걸림홈에 걸려 상기 제2연결부재의 제1연결부재에 대한 후퇴를 방지되게 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연결부재에 형성되는 나사부와, 상기 캡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1연결부재와 캡부재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연결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제1연결부재와 마주하는 단부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연결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그 제1연결부재의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소켓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제1소켓부재에 결합되는 제2소켓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연결부재는, 그 제1연결부재가 제1소켓부재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소켓부재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경우에, 상기 제1소켓부재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는, 제1연결부재와 캡부재 간의 결합작업이 공구에 의하지 않고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부품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과, 제2연결부재를 제1연결부재 측으로 접근시키는 동작을 통해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 간의 결속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부품 간 결속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과, 또한 부품 교체시에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캡부재를 제1연결부재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어서 부품의 교체작업 및 오조립 개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일요부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가 서로 결합되는 동작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가 서로 결속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Ⅶ-Ⅶ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제1소켓부재와 제2소켓부재 간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일요부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일요부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가 서로 결합되는 동작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가 서로 결속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Ⅶ-Ⅶ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제1소켓부재와 제2소켓부재 간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일요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는, 자동차 부품들 간의 동력전달을 위한 한 쌍의 케이블들(151)(152)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연결부재(310)와 제2연결부재(340)와 캡부재(320)와 고정클립(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결부재(310)는, 상기 한 쌍의 케이블들 중 어느 하나의 케이블(151)이 연결되어 있고 내측에 도킹홈(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킹홈(A)은, 상기 제2연결부재(340)의 제1연결부재(310) 측으로의 수용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킹홈(A)을 한정하는 상기 제1연결부재(310)의 내주면에는 점진적으로 직경이 변화하는 테이퍼진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테이퍼진 부분은, 상기 제2연결부재(340)의 도킹부(342)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 도킹부(34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에 기인한다.
물론, 상기 제2연결부재(340)의 도킹부(342)는, 상기 제1연결부재(310)의 도킹홈(A) 측으로의 접근시에 상기 캡부재(320)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원활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발휘함은 물론, 상기 제1연결부재(310)의 도킹홈(A)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에 다라 상기 제1연결부재(310)의 도킹홈(A)에 삽입된 이후 상기 제1연결부재(310)와 제2연결부재(340) 간의 틸팅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연결부재(340)는, 상기 한 쌍의 케이블들 중 다른 하나의 케이블(152)이 연결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퍼진 형상의 도킹부(342)를 구비하며, 상기 도킹부(342)의 외주면에는 환형의 걸림홈(34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340)는, 상기 제1연결부재(310)와 동축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310)에 접근하게 되고, 접근 후 그 제2연결부재(340)의 도킹부(342)가 제1연결부재(310)의 도킹홈(A)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클립(330)이 상기 걸림홈(342a)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제1연결부재(310)와의 결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제2연결부재(340)의 외주면에 환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홈(342a)에는, 상기 고정클립(330)이 걸리게 되고, 그 고정클립(330)에 의한 걸림동작에 의하여 상기 제1연결부재(310)와 제2연결부재(340) 간의 결속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클립(330)과 캡부재(32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클립(3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재(310)와 제2연결부재(340)를 서로 결속시키는 위한 것으로, 상기 캡부재(320)에 지지되고,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캡부재(320)는 상기 제1연결부재(310)와 결합되고,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결합에 의하여 상기 고정클립(330)이 위치되는 환형 공간(B)을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환형 공간(B)에 고정클립(330)이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연결부재(340)가 도 5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재(310)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그 이동 도중에 상기 고정클립(330)을 탄성변형시키고, 그 고정클립(330)이 제2연결부재(340)의 걸림홈(342a)에 위치된 상태에서 탄성복원을 함으로써 상기 제1연결부재(310)와의 결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캡부재(320)에는, 상기 제2연결부재(340)가 제1연결부재(310) 측으로 접근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340)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면서 상기 제1연결부재(310) 측으로 접근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클립(330)은, 상기 캡부재(320) 내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310)와 제2연결부재(340) 간의 결속을 가능하게 하며, 그 결속 이후에 상기 제2연결부재(340)의 걸림홈(342a)에 걸어져 상기 제2연결부재(340)의 제1연결부재(310)의 후퇴를 방지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310)와 캡부재(320)는,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연결부재(310)에는 나사부(3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부재(320)에는, 상기 제1연결부재(310)의 나사부(312)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부재(310)와 캡부재(320)가 공구를 이용하여 않고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제1연결부재(310)와 캡부재(320) 간의 결합작업이 공구에 의하지 않고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부품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제2연결부재(340)를 제1연결부재(310) 측으로 접근시키는 동작을 통해 상기 제1연결부재(310)와 제2연결부재(340) 간의 결속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부품 간 결속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부품 교체시에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캡부재(320)를 제1연결부재(31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어서 부품의 교체작업 및 오조립 개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각 부품은, 종래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구성이 간소하여 성형이 용이함에 따라 제품의 제조원가의 절감은 물론, 제품의 양산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요부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3,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채용되는 제1소켓부재와 제2소켓부재 등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적인 구성 이외에 상기 제1연결부재(310)와 제2연결부재(340)가 결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캡부재(3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소켓부재(110)는, 상기 제1연결부재(310)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그 제1연결부재(310)를 상대이동 가능하게 지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소켓부재(120)는 상기 제1소켓부재(110)와 결합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340)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 간의 위치고정은, 상기 제1소켓부재(110)의 톱니부(111)와 제2소켓부재(120)의 치합부(121a) 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제2소켓부재(120)는, 상기 제1소켓부재(110)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레그(121)를 가진다. 상기 탄성레그(121)는 상기 톱니부(1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톱니부(111)에 치합되는 치합부(121a)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 간의 결합 및 분리작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스프링(140)과 위치고정부재(130)가 채용되었다.
상기 스프링(140)은, 상기 제2소켓부재(120)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2소켓부재(120)의 치합부(121a)의 탄성변형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제2소켓부재(120)의 치합부(121a)가 도 8과 같이 상기 스프링(140)에 의해 눌려지게 됨으로써, 상기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 간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치합부(121a)가 도 9와 같이 스프링(140)에 의한 가압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제2소켓부재(120)가 제1소켓부재(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위치고정부재(130)는, 상기 스프링(140)을 도 8와 같은 상태에서 도 9과 같이 후퇴시킬 수 있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제2소켓부재(120)와 스프링(14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위치고정부재(130)는, 상기 스프링(140)을 가압하여 도 9와 같이 상기 제2소켓부재(120)의 치합부(121a)와 제1소켓부재(110)의 톱니부(111)의 치합상태가 해제되게 하고, 상기 스프링(140)이 도 8과 같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 상태에서는 상기 치합부(121a)와 톱니부(111)가 서로 치합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톱니부(111)와 치합부(121a)가 서로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위치고정부재(130)가 스프링(140)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탈거되지 않고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121b)와 걸림턱(13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121b)는 제2소켓부재(120)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턱(131)은 위치고정부재(130)에 구비된다. 상기 위치고정부재(130)의 걸림턱(131)이 상기 제2소켓부재(120)의 스토퍼(121b)에 걸림으로써, 위치고정부재(130)의 제2소켓부재(120)에 대한 탈거가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위치고정부재(130)를 가압하여 스프링(140)을 후퇴시킨 후 그 가압력을 해제하여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현장에서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 간의 결합 및 분리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상기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간의 1차 결합 이후에 분리가 요구된 경우에 그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를 손상 또는 파손 없이 분리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 제1케이블(151)과 제2케이블(152)의 제1소켓부재(110)에 대한 상대이동시에, 그 케이블(151)(152)들과 제1소켓부재(110) 간의 직접적인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라이너(161)(16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이너(161)(162)는 상기 제1소켓부재(110)와 제1케이블(151) 사이 및 상기 제2소켓부재(120)와 제2케이블(152)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1케이블(151)과 제2케이블(152)이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가 결합되는 경우에 제1소켓부재(110)의 제2소켓부재(120)에 대한 접근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톱니부(111)와 치합부(121a)가 서로 치합 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소켓부재(1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소켓부재(110)의 제2소켓부재(120)와 대향하는 단부 측에 접촉되는 스프링(210)을 구비한다.
즉, 상기 스프링(210)은 상기 제1소켓부재(110)가 제2소켓부재(120) 측으로 지나치게 접근됨으로써 상기 톱니부(111)와 치합부(121a)가 정위치에서 배열되지 못하여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 간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를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요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미도시)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1연결부재(410)를 제1소켓부재(110) 측으로 접근시키는 경우에, 상기 제1연결부재(410)에 가이드부(412)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410)와 제1소켓부재(110) 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고 근접이 가능하게 된다.
즉, 작업자가 부품을 교체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먼저 상기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를 분리시켜 놓고 상기 제1연결부재(410)와 제2연결부재(420) 간의 결속을 해제시킨 후 부품 교체작업을 한 이후, 다음으로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410)가 제1소켓부재(110)의 외면에 걸려 작업이 어려워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는 상기 제1연결부재(410)에 가이드부(412)가 마련되어 있어서 부품 간 재조립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10:제1소켓부재 111:톱니부
120:제2소켓부재 121:탄성레그
121a:치합부 121b:스토퍼
130:위치고정부재 131:걸림턱
140:스프링 151:제1케이블
152:제2케이블 161,162:라이너
210:스프링 310:제1연결부재
312:나사부 320:캡부재
330:고정클립 340:제2연결부재
342:도킹부 342a:걸림홈
A:도킹홈 B:공간

Claims (4)

  1. 자동차 부품들 간의 동력전달을 위한 한 쌍의 케이블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케이블들 중 어느 하나의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고, 내측에 도킹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연결부재;
    상기 한 쌍의 케이블들 중 다른 하나의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연결부재의 도킹홈에 삽입되는 도킹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킹부의 외주면에는 환형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가 서로 동축선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연결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제1연결부재 측으로 접근될 수 있게 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연결부재에 결합되어 환형 공간을 형성하는 캡부재; 및
    상기 캡부재의 환형 공간에 배치되고,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제2연결부재의 제1연결부재 측으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며, 탄성 복원에 의해 상기 걸림홈에 걸려 상기 제2연결부재의 제1연결부재에 대한 후퇴를 방지되게 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에 형성되는 나사부와, 상기 캡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1연결부재와 캡부재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의 도킹부는, 상기 제1연결부재와 마주하는 단부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그 제1연결부재의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소켓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제1소켓부재에 결합되는 제2소켓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연결부재는, 그 제1연결부재가 제1소켓부재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소켓부재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경우에, 상기 제1소켓부재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
KR1020110129092A 2011-12-05 2011-12-05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 KR101325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092A KR101325495B1 (ko) 2011-12-05 2011-12-05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092A KR101325495B1 (ko) 2011-12-05 2011-12-05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688A true KR20130062688A (ko) 2013-06-13
KR101325495B1 KR101325495B1 (ko) 2013-11-07

Family

ID=48860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092A KR101325495B1 (ko) 2011-12-05 2011-12-05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4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384B1 (ko) * 2018-01-19 2019-03-08 경창산업주식회사 동력 전달을 위한 케이블들을 연결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CN111661169A (zh) * 2019-03-08 2020-09-15 Dsc 有限公司-东滩 绳缆连接装置
WO2022203430A1 (ko) * 2021-03-25 2022-09-29 큐비콤 (주) 열차 위치 및 궤도 이탈 탐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8831B (zh) * 2015-10-12 2020-11-24 株式会社海莱客思 连接构造
KR102003882B1 (ko) * 2018-06-08 2019-08-19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차량 도어용 릴리즈 케이블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7925B2 (ja) * 1997-02-26 2005-08-03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ケーブルの結合構造
KR101075191B1 (ko) 2010-05-28 2011-10-19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384B1 (ko) * 2018-01-19 2019-03-08 경창산업주식회사 동력 전달을 위한 케이블들을 연결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US10498076B2 (en) 2018-01-19 2019-12-03 Kyung Chang Industrial Co., Ltd. Connector assembly connecting cables for power transmission
CN111661169A (zh) * 2019-03-08 2020-09-15 Dsc 有限公司-东滩 绳缆连接装置
KR20200107498A (ko) * 2019-03-08 2020-09-16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케이블 연결장치
CN111661169B (zh) * 2019-03-08 2022-08-26 Dsc 有限公司-东滩 绳缆连接装置
US11754105B2 (en) 2019-03-08 2023-09-12 Daechang Seat Co., Ltd-Dongtan Connecting device for cables
WO2022203430A1 (ko) * 2021-03-25 2022-09-29 큐비콤 (주) 열차 위치 및 궤도 이탈 탐지 시스템
KR20220133558A (ko) * 2021-03-25 2022-10-05 큐비콤 (주) 열차 위치 및 궤도 이탈 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5495B1 (ko)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495B1 (ko)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
JPH0311482B2 (ko)
US8646355B2 (en) Automobile cable socket
JP2011174508A (ja) コネクタ
KR101075191B1 (ko)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JPH0246668A (ja) 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ー
EP2871398B1 (en) Connector
JP2015002599A (ja) クリップ
JP2014527140A (ja) 互いに固定された少なくとも2つの構成部品を備える組立体
WO2017006495A1 (ja) 電線収容プロテクタ
JP2011226508A (ja) ブラケット及び金属カラー
WO2017150296A1 (ja) グロメット及びグロメット付ワイヤーハーネス
JP2015133774A (ja) 電線群支持用クリップ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KR200467767Y1 (ko)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KR102343021B1 (ko) 전기 장치
JP2015053783A (ja) ワイヤーハーネス固定部材及び固定部材付ワイヤーハーネス
KR101147846B1 (ko)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US11086090B2 (en) Cable fixing apparatus, cable connector and electrical device
KR101173682B1 (ko)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KR102281663B1 (ko) 충전 커넥터 변환 장치
KR20170044722A (ko) 나사형 결합 너트 및 고정 고리를 갖춘 전기 조립체
WO2012036162A1 (ja) クリップ
KR200460454Y1 (ko) 자동차 케이블 지지클립
JP2016082119A (ja) フィルタケース及びノイズフィルタ
JP7444615B2 (ja) 接続用クラ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