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1697A -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1697A
KR20130051697A KR1020110117000A KR20110117000A KR20130051697A KR 20130051697 A KR20130051697 A KR 20130051697A KR 1020110117000 A KR1020110117000 A KR 1020110117000A KR 20110117000 A KR20110117000 A KR 20110117000A KR 20130051697 A KR20130051697 A KR 20130051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ment
image
terminal
images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7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7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1697A/ko
Priority to US13/674,400 priority patent/US20130120240A1/en
Publication of KR20130051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6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의 이미지를 간편하고 쉽게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미지 보기 기능이 실행되면, 단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 감도 및/또는 움직임 방향에 따라 표시부 상에 표시할 이미지의 로딩 속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로딩 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부 상에 순차적으로 이미지들을 변경하여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간단한 단말의 움직임 동작을 통하여 이미지 로딩 속도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속 촬영 사진들을 보는 경우에는 보다 간편하고 쉽게 다수의 사진들을 연속해서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BASED ON TERMINAL MOVEMENT}
본 발명은 이미지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재생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이동 단말에서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보다 다양한 사용자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및 그를 이용한 다양한 기능들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이동 단말에서는 다양한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입력 방식들을 제공한다.
일반적인 이동 단말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이동 단말에 구비된 키들에 대한 키 입력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이 구비된 이동 단말의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의 특정 영역에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단말에서 사진 폴더에 저장된 사진을 보는 경우 다음 사진을 보기 위해서는 방향성이 있는 키버튼을 입력하거나 사진을 이동시키는 터치 입력을 해야만 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이동 단말의 제어를 위한 특정 입력 수단들에 직접 입력을 발생함으로써 이동 단말의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단말의 키 입력 또는 터치 입력과 같은 획일화된 입력 방식에 의해서만 제어가 되는 단순한 방식을 통해 연속적으로 사진을 로딩하여 보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키버튼을 계속해서 누르고 있거나 반복적으로 눌러야 하며, 터치 입력도 마찬가지로 반복적으로 해야한다. 또한, 사진의 로딩 방향을 순간순간 바꿔가며 보기 위해서는 두 개의 방향성 키버튼을 번갈아가면서 누르거나 터치 입력의 방향을 매번 변경해야 한다. 게다가 연속 촬영된 사진들의 수가 매우 많은 경우에는 이러한 키버튼이나 터치 입력을 통한 연속적인 사진 보기 방식은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키를 길게 누르면 계속해서 사진들이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하여도 사진 한 장을 로딩하기 위해 누른 것과 여러 장을 연속적으로 로딩하기 위해 누른 것을 판단하기 위한 시간이 소요되어 사용자가 마음먹은 대로 사진을 동적으로 제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사용자가 단말에서 원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이 하드웨어적으로 누르는 동작이 필요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밖에 없었다. 만일 사용자의 직관적 동작에 의한 연속적인 사진들의 사진 보기 제어가 가능하다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의 기능을 보다 유연하고 빠르게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의 이미지를 간편하고 쉽게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하여 이미지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 리스트 내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단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한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의 움직임 방향 및 움직임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표시부 상에 상기 이미지 리스트 내의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에서 상기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보기 기능이 실행되면, 이미지 리스트 내의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의 움직임 방향 및 움직임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이미지 리스트 내의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간단한 단말의 움직임 동작을 통하여 이미지 로딩 속도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는 이미지 보기 기능을 용이하면서도 직관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직관적이고 편리한 단말의 움직임에 의한 이미지 보기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연속 촬영 사진들을 보는 경우에는 보다 간편하고 쉽게 다수의 사진들을 연속해서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연속 촬영 사진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진을 보면서도 생동감을 느낄 수 있어 마치 동영상을 보는 듯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상하, 좌우 방향으로의 움직임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기울어짐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이미지 출력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의 재생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이미지 출력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의 재생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단말의 이미지를 간편하고 쉽게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미지 보기 기능이 실행되면, 단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 각도 및/또는 움직임 방향에 따라 표시부 상에 표시할 이미지의 로딩 속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로딩 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부 상에 순차적으로 이미지들을 변경하여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간단한 단말의 움직임 동작을 통하여 이미지 로딩 속도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속 촬영 사진들을 보는 경우에는 보다 간편하고 쉽게 다수의 사진들을 연속해서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이 구현된 단말의 동작 및 그 구성요소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단말에는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Tablet) PC,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게임기, 디스플레이 장치 등 복수개의 이미지 저장 및 보기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들이 해당되며, 이미지들이 TV에 표시되는 경우에는 그 TV로 제어신호를 보내는 리모콘이 이에 해당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100)은 카메라(110), 저장부(120), 센서부(130), 진동 소자(140), 표시부(150),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카메라(110)는 촬영 모드에서 외부 이미지를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카메라(110)는 특정 피사체의 사진을 연속해서 자동으로 촬영할 수 있는 연속 촬영 기능을 구비한다. 따라서 카메라(110)가 연속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촬영 시간 간격으로 사진이 연속으로 자동 촬영된다.
저장부(120)는 사진 등과 같은 이미지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20)에는 움직임 변화율 예컨대, 움직인 이동 거리 또는 기울어짐 각도에 대응하여 이미지 로딩 속도를 맵핑한 테이블이 저장된다.
센서부(130)는 가속도계(accelerometer), 자이로스코프(gyroscope), 충격 센서(shock sensor), 기울기 센서 (tilt sensor) 등의 관성 센서, 고도계, 중력 센서, 지자기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센서부(130)는 단말(100)의 움직임 방향 또는 움직임 각도를 감지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센서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센싱 데이터 즉, 움직임 정보는 방향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의 경우, 적어도 하나에서 많게는 3개의 방향(x, y, z 축)을 기준으로 각 기준 축 방향에 대한 가속도를 감지하여 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의 기준 축은 단말(100)에 대한 방향에 따른 축(예를 들어, 단말(100)의 상하(z 축), 좌우(x 축), 앞뒤 방향(y 축))이거나, 중력 방향에 대한 방향에 따른 축(중력방향(z 축) 및 그에 수직인 방향(x, y 축))일 수 있다.
센서부(130)는 감지되는 각속도, 속도 등을 시간에 따라 적분하여 단말(100)의 움직임에 따른 회전각, 방향, 속도, 이동 거리, 위치, 궤적 등을 연산하는 연산부(도면에 표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하고, 계산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연산부는 제어부(16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연산부는 궤적 등을 계산하거나 움직임 방향을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감지된 가속도 등의 특정 대역의 신호를 저지 또는 통과시키는 주파수 필터(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30)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경우 단말(100)이 움직이는 방향이나 각도를 계산하여 이를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으나, 움직임 방향이나 각도의 계산은 제어부(16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단말(100)이 움직이는 방향은 기본적으로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중심으로 단말(100)이 사용자 방향으로 수평으로 당겨지는 앞 방향과 수평으로 밀려지는 뒤 방향으로 움직일 수도 있다. 또한, 단말(100)이 기준축을 중심으로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른 기울어짐 방향도 움직임 방향에 포함된다. 단말(100)이 움직이는 각도는 현재의 위치를 0도로 가정하고, 단말(100)이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각도를 계산한다.
진동 소자(140)는 저진동 모터 또는 진동 스피커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소자(1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150) 상에 순차적으로 이미지들이 변경되어 출력될 때마다 진동을 출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미지 보기를 할 때, 이미지가 변경되어 표시된다는 것을 느낄 수 있으며, 이러한 촉감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사진 로딩 제어에 대한 재미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표시부(150)는 LCD 패널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LCD 패널이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된 경우 그 표시부(150)는 입력수단으로도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표시부(150)는 사진 등과 같은 이미지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60)는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 보기 기능이 실행되면, 센서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움직임 방향 및/또는 움직임 각도를 근거로 표시부(150) 상에 표시할 이미지의 로딩 속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로딩 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부(150) 상에 순차적으로 이미지들을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단말(100)을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기울이게 되면, 표시부(150) 상에 표시되는 이미지가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여 이전 이미지 또는 다음 이미지로 순차적으로 변경되어 표시되며, 특히 움직임에 따른 변화율에 대응하여 이미지의 로딩 속도가 달라지게 된다. 여기서, 이미지의 로딩 속도란 현재 이미지에서 다음 이미지가 로딩되는 속도 즉, 이미지들 간의 변경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미지 로딩 속도는 현재 이미지에서 다음 이미지 사이의 시간 간격이 작을수록 빨라지게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이미지 로딩 속도는 움직임 각도에 따른 움직임 변화율에 대응하여 달라진다. 이와 같이 이미지의 로딩 속도는 움직임 각도에 따른 움직임 변화율에 비례하여 변하므로, 움직임 각도가 커질수록 그 로딩 속도는 빨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100)을 기울이게 되면, 표시부(150) 상에 표시되는 이미지들이 기울이는 정도 즉, 움직임 각도의 변화율에 따라 빠르게 또는 느리게 교체된다. 다르게는 미리 정해진 각도 이상의 변화율이 검출될 때마다 이전 또는 다음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각도 이상으로 계속해서 기울이게 되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사진들이 순차적으로 로딩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단말(100)의 움직임 방향 및/또는 각도에 따라 표시부(150) 상에 표시되는 이미지들이 순차적으로 로딩되어 표시되는데, 이러한 단말(100)의 움직임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움직임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100)의 현재 각도는 고정하고 X, -X, Y, -Y 축 방향으로 단말(100)을 이동하면 표시부(150) 상에 출력된 이미지가 다른 이미지로 교체된다. 이때, 이미지 폴더 내의 이미지들이 복수개인 경우에는 단말(100)의 이동 방향에 따라 현재 이미지를 기준으로 이전 또는 다음 이미지 방향으로 이미지들이 변경되어 표시된다.
상기 도 2에서와 같이 상하좌우 방향 이외에 도 3에서와 같이 X, Y, Z 각 축을 기준으로 움직임 방향 또는 기울어진 각도에 따라서도 이미지가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Y, -Y축을 회전축으로 설정한 경우 단말(100)은 300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 즉, 전후로 기울어짐에 따라 이미지가 변경되어 표시되며, 이와 유사하게 Z, -Z축을 회전축으로 설정한 경우 단말(100)은 310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미지가 변경되어 표시된다. 또한, Y, -Y축을 기준축으로 설정한 경우 320, 330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이미지가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부(150) 상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이전 또는 이후의 이미지순으로 교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에서 움직임 변화에 따른 이미지 출력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미리 이미지 폴더에서 연속적으로 로딩되기를 원하는 이미지들을 선택하여 하나의 그룹으로 지정해놓을 수 있으며, 이러한 그룹은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먼저, 400단계에서 단말(100)은 사진 등의 이미지를 보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이미지 보기 기능을 실행하며, 이에 따라 이미지 보기 기능이 실행되는 화면이 표시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보기 기능은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을 연속적으로 볼 수 있는 연속 이미지 보기 기능을 의미하므로, 이미지 보기 기능이 실행되면 단말은 연속 이미지 보기 모드로 동작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미리 등록된 이미지 그룹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말(100)은 이미지 보기 실행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그룹을 선택받는다. 어느 하나의 이미지 그룹이 선택되면 그 그룹에 속한 이미지 리스트 내의 이미지들이 로딩되게 되며, 로딩된 맨처음의 이미지가 표시부(150) 상에 출력되며, 나머지 이미지들은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
이후, 맨처음의 이미지가 표시부(150) 상에 표시되는 상태에서 405단계에서 단말(10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움직임 감지 여부의 판단은 사용자가 움직임에 의한 이미지 보기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터치 입력이나 리모콘의 입력 키를 누름으로써 시작되거나 미리 이미지 보기 기능의 속성으로 설정해놓을 수 있다.
만일 단말(100)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410단계에서 움직임 각도 및/또는 움직임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에 따른 움직임 변화율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단말(100)을 도 2 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하, 좌우, 앞뒤로 이동하거나 앞, 뒤로 기울이는 경우 움직임 방향, 그 움직임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 또는 움직임 각도를 산출한 후, 이를 근거로 움직임 변화율을 산출한다. 그리고나서 415단계에서 움직임 변화율을 이용하여 이미지 표시 속도를 결정하고, 420단계에서 결정된 이미지 표시 속도 및 움직임 방향에 따라 이미지 리스트 내의 이미지들이 출력된다. 구체적으로, 움직임 방향에 따라 현재 화면 상의 이미지의 이전 또는 이후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며, 그 이미지들은 상기 결정된 이미지 표시 속도에 대응하여 변경된다. 이때, 이미지들의 변경을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이미지가 변경될 때마다 진동을 통해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100)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축으로 회전축으로 하여 기울이게 되면 화면 상의 제1이미지(500)는 다음 차례의 제2이미지(510), 그 다음 차례의 제3이미지(520)의 순으로 변경되어 표시되게 된다. 이때, 기울어진 각도가 커질수록 제1이미지(500)로부터 제2이미지(510), 제3이미지(520)로의 변경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은 이미지들(500, 510, 520)을 연속적으로 보게 되면, 배경은 그대로인 상태에서 객체들만 움직이므로, 사용자는 사진을 보면서도 생동감을 느낄 수 있어 마치 동영상을 보는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다. 다르게는 기울어진 각도가 미리 정해진 각도를 초과할 때마다 제1이미지(500)로부터 제2이미지(510), 제3이미지(520) 순으로 하나씩 변경될 수 있다.
이어, 425단계에서 단말(100)의 움직임이 멈추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움직임이 멈춘 경우 430단계에서 이미지 로딩을 중지한 후 현재의 이미지 출력을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움직임 변화율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미지들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단말(100)의 기울임 동작을 중단한 후 평형상태로 전환하거나 단말(100)의 이동을 멈추게 되면 이미지의 변경도 중지되어 중지된 시점의 이미지가 출력된다.
이와 달리 움직임이 멈추지 않으면 435단계에서 이미지 보기 기능이 종료되는지를 판단하여, 이미지 보기 기능이 종료되지 않는 한 405단계로 되돌아가 전술한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에서 움직임 변화에 따른 이미지 출력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서는 도 7을 예시하여 설명을 하며, 도 7에서는 연사 모드에 의해 촬영된 연속 이미지들을 이용한 이미지 표시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연사 모드에서 촬영된 이미지들은 배경은 그대로이나, 사람이나 물체 등이 방향성을 갖고 움직이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연사 이미지들의 경우에는 영상 인식 방식을 이용한다면 그 연속 이미지들 내의 사람이나 물체 등 객체의 이동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인식 방식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의 이동 방향을 단말(100)의 움직임 방향으로 자동 설정함으로써 연속된 이미지들의 이동 방향 특성에 맞는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600단계에서 연속 촬영된 이미지들 간의 비교를 통해 객체의 이동 방향을 추출한다. 이미지 내의 객체 이동 방향을 추출하기 위해 영상 인식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어, 605단계에서 추출된 이동 방향을 연속 촬영된 이미지들 속성으로써 맵핑하여 저장한다. 이후, 610단계에서 이미지 보기 기능이 실행되면 615단계에서 연속된 촬영된 이미지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를 표시한다. 이어, 620단계에서 단말(100)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625단계에서 움직임 방향을 판단한다. 만일 630단계에서 움직임 방향이 표시된 이미지에 맵핑된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615단계로 되돌아가며, 이에 따라 현재의 이미지의 표시는 유지된다.
이와 달리 움직임 방향이 표시된 이미지에 맵핑된 이동 방향과 일치하면, 635단계에서 연속된 촬영된 이미지 목록 중에서 이미지들을 로딩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7에서와 같이 좌우로의 스윙 움직임에 따라 연속된 이미지들에 대해서는 이동 방향은 좌우 방향으로 맵핑되어 저장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10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기울이게 되면 제1이미지(700), 제2이미지(710), 제3이미지(720), 제4이미지(730), 제5이미지(740)가 연속해서 출력되게 된다. 만일 현재 제3이미지(720)가 표시되는 상태라면, 사용자가 단말(100)을 좌측으로 기울이게 되면 제2이미지(710), 제1이미지(700) 순으로 이미지들이 변경되어 표시된다. 이와 반대로 우측으로 기울이게 되면 제4이미지(730), 제5이미지(740) 순으로 변경되어 표시된다.
이때, 640단계에서 단말(100)의 움직임이 정지되는지를 판단하여, 움직임이 정지되면 645단계에서 이미지 로딩을 중지한 후 현재의 이미지 출력을 유지한다. 그리고나서 650단계에서 이미지 보기 기능이 종료되지 않는 한, 615단계로 되돌아가 전술한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한편, 전술한 바에서는 연속 이미지들을 저장할 때 이동 방향을 영상 인식 방식을 통해 지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영상 인식 방식 대신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함을 물론이다. 또한, 연사 모드에서 촬영된 연속 이미지들의 총 개수와 초당 촬영 이미지 수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연속 이미지들의 로딩을 위한 최소 기울어짐 각도나 각도 변화 크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Claims (19)

  1.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 리스트 내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단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한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의 움직임 방향 및 움직임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표시부 상에 상기 이미지 리스트 내의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의 움직임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 및 움직임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움직임 변화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움직임 변화율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되는 현재 이미지에서 다음 이미지가 로딩되는 속도인 이미지의 로딩 속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로딩 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로딩 속도는,
    상기 움직임 각도에 따른 움직임 변화율에 대응하여 달라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움직임 방향은,
    상기 단말의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상하, 좌우, 앞뒤, 기준축을 중심으로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른 방향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이전 이미지 방향 또는 다음 이미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의 움직임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를 초과할 때마다 상기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의 움직임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를 초과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리스트 내의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도중에 상기 단말의 움직임이 중지되면, 현재의 이미지 출력을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들이 순차적으로 변경되어 상기 표시부 상에 출력될 때마다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 소자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연사 모드에서 촬영된 연속 이미지들의 경우 상기 연속 이미지들 내의 객체 이동 방향을 검출한 후, 검출된 이동 방향을 상기 연속 이미지들에 맵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의 움직임 방향이 상기 연속 이미지들에 맵핑된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연속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12. 단말에서 상기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보기 기능이 실행되면, 이미지 리스트 내의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의 움직임 방향 및 움직임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이미지 리스트 내의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움직임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 및 움직임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움직임 변화율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움직임 변화율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 리스트 내의 이미지들의 로딩 속도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로딩 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들의 로딩 속도는,
    현재 출력되는 이미지에서 다음 이미지가 로딩되는 속도이며, 상기 움직임 각도에 따른 움직임 변화율에 대응하여 달라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움직임 방향은,
    상기 단말의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상하, 좌우, 앞뒤, 기준축을 중심으로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른 방향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상기 표시되는 이미지의 이전 이미지 방향 또는 다음 이미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의 움직임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를 초과할 때마다 상기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의 움직임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를 초과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리스트 내의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도중에 상기 단말의 움직임이 중지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의 움직임이 중지되면, 현재의 이미지 출력을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20110117000A 2011-11-10 2011-11-10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300516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000A KR20130051697A (ko) 2011-11-10 2011-11-10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3/674,400 US20130120240A1 (en) 2011-11-10 2012-11-1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depending on movement of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000A KR20130051697A (ko) 2011-11-10 2011-11-10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697A true KR20130051697A (ko) 2013-05-21

Family

ID=48280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000A KR20130051697A (ko) 2011-11-10 2011-11-10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120240A1 (ko)
KR (1) KR201300516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666B1 (ko) * 2008-12-08 2016-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표시방법
US9319589B2 (en) * 2013-05-31 2016-04-19 Sony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images and selecting a desired image by tilting the device
US9772764B2 (en) * 2013-06-06 2017-09-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ccommodating sensors and touch in a unified experience
CN104090649A (zh) * 2014-05-20 2014-10-08 上海翰临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表带及其操作控制方法
CN104699390A (zh) * 2015-03-20 2015-06-10 蔡思强 一种适用于智能手表的快捷浏览免触摸操作解决方案
US10509476B2 (en) * 2015-07-02 2019-12-1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Enhanced device authentication using magnetic declination
JP6573389B2 (ja) * 2015-10-05 2019-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0991393B2 (en) 2016-01-07 2021-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a playback rate of a plurality of images
CN106383577B (zh) * 2016-09-12 2020-05-08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vr视频播放装置的场景控制实现方法及***
CN109550246B (zh) * 2017-09-25 2022-03-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游戏客户端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装置
CN108196666A (zh) * 2017-09-28 2018-06-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的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753209B (zh) 2018-06-21 2020-05-05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启动方法、装置及设备
US11262856B2 (en) * 2018-05-11 2022-03-01 Beijing Bytedance Network Technology Co., Ltd. Interactio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operable object
US11328693B2 (en) * 2019-07-19 2022-05-10 Boe Technology Group Co., Ltd. Image display device, method,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based on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14622A3 (en) * 2006-10-16 2012-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list on picture plane
US8462109B2 (en) * 2007-01-05 2013-06-11 Invensense, Inc. Controlling and accessing content using motion processing on mobile devices
US20110316888A1 (en) * 2010-06-28 2011-12-29 Invensense, Inc. Mobile device user interface combining input from motion sensors and other controls
US9134799B2 (en) * 2010-07-16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Interacting with a projected user interface using orientation sensors
US8736704B2 (en) * 2011-03-25 2014-05-27 Apple Inc. Digital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sequence
US9423876B2 (en) * 2011-09-30 2016-08-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mni-spatial gesture inp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20240A1 (en)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1697A (ko)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8499105B (zh) 在虚拟环境中进行视角调整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5700783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5745241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EP2450780B1 (e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146858B1 (ko) 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의 비디오 생성방법
JP5729759B2 (ja) 携帯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32077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5671318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5675309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EP319714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motions and actions of an apparatus including an image capture device
KR101861377B1 (ko) 이동 단말에서 모션 기반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CN111093023A (zh) 视频拍摄方法及电子设备
US2014013272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depth of 3d object image in a 3d environment image
JP2014053794A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6100497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方法
US1106806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ancelling a user selected feature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 change in display device rotation
US9742987B2 (en) Image pickup display apparatus, image pickup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638572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7134632A (ja)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GB250824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Images
JP660337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308968B1 (ko)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저장 매체 및 이동 단말
JP6568795B2 (ja) 電子機器の操作方法および画像の表示方法
CN111373359A (zh) 能够改变图像的显示部分的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