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8887A -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8887A
KR20130048887A KR1020110113781A KR20110113781A KR20130048887A KR 20130048887 A KR20130048887 A KR 20130048887A KR 1020110113781 A KR1020110113781 A KR 1020110113781A KR 20110113781 A KR20110113781 A KR 20110113781A KR 20130048887 A KR20130048887 A KR 20130048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cue request
emergency
earphone
smartphone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6007B1 (ko
Inventor
김성수
박종원
Original Assignee
김성수
박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수, 박종원 filed Critical 김성수
Priority to KR1020110113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007B1/ko
Publication of KR20130048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9/17Emergency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1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 H04M3/5116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for emergency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3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audio recordings in gene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하단에 구비된 이어폰 접속핀을 통해 스마트폰의 이어폰 접속단자와 접지되되, 이어폰 접속핀 상단에 구비된 구조요청 버튼이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이어폰 접속핀과 접지된 스마트폰의 이어폰 접속단자로 인가하는 이어폰잭; 이어폰 접속단자를 통해 이어폰잭의 이어폰 접속핀과 접지되어 인가받은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감지함과 동시에 기 설정된 구조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이통사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폰;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생성한 인증번호를 긴급구조 요청정보와 함께 스마트폰 식별데이터와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보호자단말기로 전송하고, 보호자단말기로부터 인증회신번호를 수신하여 인증회신번호, 긴급구조 요청정보 및 보호자단말기 식별번호를 기관서버로 전송하는 이통사서버; 긴급구조 요청정보 및 인증번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입력받은 인증회신번호를 이통사서버로 전송하되, 통화버튼 감압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스마트폰과의 호접속을 통해 스마트폰 주변음성을 출력하는 보호자단말기; 및 이통사서버로부터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폰 사용자의 구조를 위해 생성한 출동정보를 경찰서 또는 소방서로 전송하는 기관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CALLING EMERGENCY USING EARPHONE JACK BUTTON OF SMART PHONE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 사용자가 비상상황이 발생하여 이어폰잭에 구비된 버튼을 통해 비상정보를 송출하는 경우, 기 설정된 보호자 단말기와의 비상상황 인증을 수행하여 휴대단말기 사용자의 비상상황을 기관서버로 전송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가입자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는 요즘 가정 흔하게 주변에서 볼 수 있는 필수품으로써 인식하게 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들은 보다 좋은 성능을 가지며 다기능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출시하고 있으며, 이에 발 맞춰 통신 서비스 업체에서는 보다 높은 수준의 통신 서비스 및 여러 부가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근래에 출시되는 통신서비스 중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지 추적을 통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사용자에 응급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이를 사용자가 휴대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동 발신되어 응급기관 또는 경찰서등의 사법기관에 구조를 요청하는 구조요청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서비스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내용이 대중에게 공개됨에 따라 실제 상황에서는 사용자의 비상신호를 발신 전 또는 후에 범죄자가 사용자의 단말기를 뺏고 파손해버려 구조신호가 더 이상 발생되지 않는 문제점과, 경찰관이 사용자의 위험상황을 실제 인지했다 하더라도 정확한 위치추적이 이루어질 수 없고, 또한, 실제 위치추적이 되어 있다하더라도 상황이 종료된 이후에나 현장에 도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산업계에서 다양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110203호(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외 다수개의 문헌이 공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선행특허를 살피면, 무선통신 단말기의 연결을 인식하는 제1단계; 버튼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제어권을 획득하는 제2단계; 긴급 전화번호로 긴급상황 발생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3단계; 음성녹취를 수행하는 제4단계; 및 긴급 전화번호가 수신되는 경우,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화모드로 변경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동통신 가입자가 직접 음성통화를 진행할 수 없거나 하는 경우, 버튼조작만을 통해 비상 연락처로 비상정보를 송출하여 사고 상황의 현장 상황을 알리도록 하는 비상호출 처리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잘못된 조작에 의하여 자신도 모르게 원치 않은 상황에서 위급 상황이 잘못 전달되는 등 긴급호출 서비스에 대한 오남용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긴급호출 서비스 오남용으로 인해, 응급기관 또는 경찰서등의 사법기관에 과도한 업무로드가 가중되고, 사법기관에서 꼭 필요한 구조 활동 수행을 저해하며, 구조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전혀 도움을 줄 수가 없기 때문에 서비스의 신뢰성이 낮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스마트폰 사용자가 비상상황이 발생하여 스마트폰에 구비된 이어폰잭 버튼을 통해 비상정보를 송출하는 경우, 기 설정된 보호자단말기와 비상상황여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기관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스마트폰 사용자의 비상상황 발생 시 최단시간에 경찰서 또는 소방서를 포함하는 기관의 대응을 지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마트폰 사용자가 비상상황이 발생하여 스마트폰에 구비된 이어폰잭 버튼을 통해 비상정보를 송출하는 경우, 기 설정된 보호자단말기를 통해 비상상황여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기관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비상정보 송출에 대한 오남용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은, 하단에 구비된 이어폰 접속핀을 통해 스마트폰의 이어폰 접속단자와 접지되되, 이어폰 접속핀 상단에 구비된 구조요청 버튼이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이어폰 접속핀과 접지된 스마트폰의 이어폰 접속단자로 인가하는 이어폰잭; 이어폰 접속단자를 통해 이어폰잭의 이어폰 접속핀과 접지되어 인가받은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감지함과 동시에 기 설정된 구조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이통사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폰;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생성한 인증번호를 긴급구조 요청정보와 함께 스마트폰 식별데이터와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보호자단말기로 전송하고, 보호자단말기로부터 인증회신번호를 수신하여 인증회신번호, 긴급구조 요청정보 및 보호자단말기 식별번호를 기관서버로 전송하는 이통사서버; 긴급구조 요청정보 및 인증번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입력받은 인증회신번호를 이통사서버로 전송하되, 통화버튼 감압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스마트폰과의 호접속을 통해 스마트폰 주변음성을 출력하는 보호자단말기; 및 이통사서버로부터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폰 사용자의 구조를 위해 생성한 출동정보를 경찰서 또는 소방서로 전송하는 기관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은, 하단에 구비된 이어폰 접속핀을 통해 스마트폰의 이어폰 접속단자와 접지되되, 이어폰 접속핀 상단의 이어폰 스피커라인에 구비된 구조요청 버튼이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이어폰 접속핀과 접지된 스마트폰의 이어폰 접속단자로 인가하는 이어폰잭; 이어폰 접속단자를 통해 이어폰잭의 이어폰 접속핀과 접지되어 인가받은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감지함과 동시에 기 설정된 구조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이통사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폰;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생성한 인증번호를 긴급구조 요청정보와 함께 스마트폰 식별데이터와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보호자단말기로 전송하고, 보호자단말기로부터 인증회신번호를 수신하여 인증회신번호, 긴급구조 요청정보 및 보호자단말기 식별번호를 기관서버로 전송하는 이통사서버; 긴급구조 요청정보 및 인증번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입력받은 인증회신번호를 이통사서버로 전송하되, 통화버튼 감압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스마트폰과의 호접속을 통해 스마트폰 주변음성을 출력하는 보호자단말기; 및 이통사서버로부터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폰 사용자의 구조를 위해 생성한 출동정보를 경찰서 또는 소방서로 전송하는 기관서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은, 이어폰잭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이어폰 접속핀과 접지된 스마트폰의 이어폰 접속단자로 인가하는 (a) 단계; 스마트폰이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감지함과 동시에 기 설정된 구조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이통사서버로 전송하는 (b) 단계; 이통사서버가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생성한 인증번호를 스마트폰 식별데이터와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보호자단말기로 전송하는 (c) 단계; 보호자단말기가 이통사서버로부터 수신한 긴급구조 요청정보 및 인증번호를 출력하여 입력받은 인증회신번호를 이통사서버로 전송하는 (d) 단계; 이통사서버가 보호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인증회신번호와 인증번호가 서로 대응하는 경우, 긴급구조 요청정보 및 보호자단말기 식별번호를 기관서버로 전송하는 (e) 단계; 및 기관서버가 이통사서버로부터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폰 사용자의 구조를 위해 생성한 출동정보를 경찰서 또는 소방서로 전송하는 (f)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 사용자가 비상상황이 발생하여 스마트폰에 구비된 이어폰잭 버튼을 통해 비상정보를 송출하는 경우, 기 설정된 보호자단말기와 비상상황여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기관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스마트폰 사용자의 비상상황 발생 시 최단시간에 경찰서 또는 소방서를 포함하는 기관의 대응을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 사용자가 비상상황이 발생하여 스마트폰에 구비된 이어폰잭 버튼을 통해 비상정보를 송출하는 경우, 기 설정된 보호자단말기를 통해 비상상황여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기관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비상정보 송출에 대한 오남용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의 이어폰잭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의 이어폰 접속핀에 대한 +4극의 핀 구성을 위한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의 이어폰 접속핀을 제작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의 이어폰잭 구성에 대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의 이어폰잭을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의 스마트폰을 도시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의 이통사서버를 도시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의 이통사서버에 대한 프로세스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의 보호자단말기 및 기관서버를 도시한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의 보호자단말기의 세부 프로세스를 도시한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의 제S40단계 이후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S)은 이어폰잭(100), 스마트폰(200), 이통사서버(300), 보호자단말기(400) 및 기관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그 언급을 생략하겠으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200), 이통사서버(300), 보호자단말기(400) 및 기관서버(500) 간의 정보 송수신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수행되며, 정보통신망은 무선인터넷(3G망/4G망) 또는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중에 어느 하나의 통신에 의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망을 총칭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S)의 이어폰잭(100)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이어폰잭(100)은 그 하단에 구비된 이어폰 접속핀(110)을 통해 스마트폰(200)의 이어폰 접속단자(210)와 접지되되, 이어폰 접속핀(110) 상단에 구비된 구조요청 버튼(120)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감압신호(이하,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이어폰 접속핀(110)과 접지된 스마트폰(200)의 이어폰 접속단자(210)로 인가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S)의 이어폰 접속핀(110)에 대한 +4극의 핀 구성을 위한 회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접속핀(110)을 제작한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잭(100)의 이어폰 접속핀(110)은 그 하단부에 스마트폰(200)의 이어폰 접속단자(210)와의 접지를 위해 +4극의 핀으로 구성된다.
또한, 구조요청 버튼(120)은 이어폰 접속핀(110) 상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입력받아 이어폰 접속핀(110)으로 인가한다.
이때, 긴급구조 요청신호의 입력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구조요청 버튼(120)을 이어폰 접속핀(110) 방향으로 누르는 감압신호에 의해 입력되거나, 사용자가 구조요청 버튼(120)을 좌우 양측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누르는 감압신호에 의해 입력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잭(100)은 도 6의 (a) 내지 (c)에 도시된 예와 같이, 구조요청 버튼(120) 상측, 좌측 또는 우측 어느 한 측에 이어폰 스피커라인(130)과 접속된 이어폰 접속핀(110')을 수용하기 위한 이어폰 접속단자(140)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S)의 이어폰잭(100)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이어폰잭(100)은 그 하단에 구비된 이어폰 접속핀(110)을 통해 스마트폰(200)의 이어폰 접속단자(210)와 접지되되, 이어폰 접속핀(110) 상단의 이어폰 스피커라인(130)에 구비된 구조요청 버튼(120)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이어폰 접속핀(110)과 접지된 스마트폰(200)의 이어폰 접속단자(210)로 인가한다.
이때, 이어폰잭(100)의 이어폰 접속핀(110)은 그 하단부에 스마트폰(200)의 이어폰 접속단자(210)와의 접지를 위해 +4극의 핀으로 구성된다.
또한, 구조요청 버튼(120)은 이어폰 접속핀(110) 상단의 이어폰 스피커라인(13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입력받아 이어폰 접속핀(110)으로 인가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 스피커라인(130)의 좌측 이어폰 스피커와 우측 이어폰 스피커가 분배되기 이전 라인에 구비된다.
이때, 긴급구조 요청신호의 입력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구조요청 버튼(120)을 좌우 양측 또는 상하 양측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누르는 감압신호에 의해 입력된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S)의 스마트폰(200)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스마트폰(200)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이통사서버(300)로부터 긴급호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이통사서버(300)에 긴급 연락을 위한 보호자 단말기 식별데이터를 등록하되, 이어폰 접속단자(210)를 통해 이어폰잭(100)의 이어폰 접속핀(110)과 접지되어 인가되는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감지함과 동시에 기 설정된 구조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이통사서버(3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200)은 전화통화 및 인터넷접속이 가능한 인터넷폰 또는 태블릿PC(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이어폰 접속단자(210)는 이어폰잭(100)의 이어폰 접속핀(110)에 형성된 +4극의 핀을 수용할 수 있도록 -4극의 핀으로 구성되며, 접속된 이어폰 접속핀(110)으로부터 인가되는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감지하여 어플리케이션 제어모듈(220)로 인가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제어모듈(220)은 이어폰 접속단자(210)로부터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인가받음과 동시에 기 설치된 긴급호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기 설정된 구조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이통사서버(300)로 전송한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S)의 이통사서버(300)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이통사서버(30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스마트폰(200)으로부터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생성한 인증번호를 긴급구조 요청정보와 함께 스마트폰 식별데이터와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보호자단말기(400)로 전송하고, 보호자단말기(400)로부터 인증회신번호를 수신하여 인증회신번호, 긴급구조 요청정보 및 보호자단말기 식별번호를 기관서버(500)로 전송하되, 인증번호 생성모듈(310), 인증번호 매칭모듈(320) 및 GPS위성 연결모듈(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이통사서버(300)의 인증번호 생성모듈(310)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수신한 긴급구조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보호자단말기 식별번호를 색인하고, 난수발생기를 통해 임의로 생성한 인증번호를 SMS형태로 변환하여 긴급구조 요청정보와 함께 보호자단말기(400)로 전송한다.
또한, 인증번호 매칭모듈(320)은 보호자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한 인증회신번호와 인증번호 생성모듈(310)로부터 인가받은 인증번호가 서로 대응하는 경우, 보호자단말기 인증을 완료하여 인증완료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긴급구조 요청정보 및 보호자단말기 식별번호를 기관서버(500)로 전송한다.
그리고, GPS위성 연결모듈(330)은 인증번호 매칭모듈(320)로부터 인증완료정보를 인가받아 GPS위성과 접속된 스마트폰(200)의 위치좌표를 추출하고, 보호자단말기(400)로부터 위치확인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GPS위성과 접속된 스마트폰(200)의 위치좌표를 보호자단말기(400)로 전송한다.
또한, GPS위성 연결모듈(330)은 기관서버(500)로부터 위치확인 요청정보 및 위치확인 인증번호를 수신하되, 인증번호 생성모듈(310)에 의해 기 생성된 인증번호와 수신한 위치확인 인증번호가 서로 대응하는 경우, GPS위성과 접속된 스마트폰(200)의 위치좌표를 기관서버(500)로 전송한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S)의 보호자단말기(400) 및 기관서버(500)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보호자단말기(40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이통사서버(300)로부터 긴급호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이통사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긴급구조 요청정보 및 인증번호를 출력하여 보호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인증회신번호를 이통사서버(300)로 전송하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자의 조작을 통해 통화버튼 감압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스마트폰(200)과의 호접속을 통해 스마트폰(200) 주변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보호자단말기(400)는 스마트폰(200)과의 호접속을 통해 스마트폰(200) 주변음성을 출력 이후, 보호자의 조작을 통해 신고버튼(112 신고버튼) 감압신호를 입력받는지 위치확인버튼 감압신호를 입력받는지 여부를 판단하되, 신고버튼 감압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기관서버(500)로 인증회신번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기관서버(500)와의 호접속을 통해 전화통화를 수행하고, 위치확인버튼 감압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위치확인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이통사서버(300)로 전송하고, 이통사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스마트폰(200)의 위치좌표를 출력한다.
여기서, 보호자단말기(400)에 출력되는 통화버튼, 신고버튼 및 위차확인버튼은 보호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를 감지하여 입력되도록 구성되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에 구비된 물리적 버튼의 감압신호를 감지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기관서버(50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이통사서버(300)로부터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폰 사용자의 구조를 위해 생성한 출동정보를 경찰서 또는 소방서로 전송하고, 기관서버 담당자의 키 입력을 통해 입력받은 위치확인 요청정보 및 위치확인 인증번호를 이통사서버(300)로 전송하여 GPS위성과 접속된 스마트폰(200)의 위치좌표를 수신한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이어폰잭(100)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이어폰 접속핀(110)과 접지된 스마트폰(200)의 이어폰 접속단자(210)로 인가한다(S10).
이어서, 스마트폰(200)이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감지함과 동시에 기 설정된 구조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이통사서버(300)로 전송한다(S20).
뒤이어, 이통사서버(300)가 스마트폰(200)으로부터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생성한 인증번호를 스마트폰 식별데이터와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보호자단말기(400)로 전송한다(S30).
이어서, 보호자단말기(400)가 이통사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긴급구조 요청정보 및 인증번호를 출력하여 입력받은 인증회신번호를 이통사서버(300)로 전송한다(S40).
뒤이어, 이통사서버(300)가 보호자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한 인증회신번호와 상기 인증번호가 서로 대응하는 경우, 상기 긴급구조 요청정보 및 보호자단말기 식별번호를 기관서버(500)로 전송한다(S50).
이어서, 기관서버(500)가 이통사서버(300)로부터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폰 사용자의 구조를 위해 생성한 출동정보를 경찰서 또는 소방서로 전송한다(S60).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의 제S40단계 이후 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40단계 이후, 보호자단말기(400)가 통화버튼 감압신호를 입력받아 스마트폰(200)과의 호접속을 통해 스마트폰(200) 주변음성을 출력한 뒤, 신고버튼 감압신호를 입력받는지 위치확인버튼 감압신호를 입력받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
제S70단계의 판단결과, 신고버튼 감압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보호자단말기(400)가 기관서버(500)로 인증회신번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기관서버(500)와의 호접속을 통해 전화통화를 수행한다(S80).
반면에, 제S70단계의 판단결과, 위치확인버튼 감압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보호자단말기(400)가 생성한 위치확인 요청정보를 이통사서버(300)로 전송하여 수신한 스마트폰(200)의 위치좌표를 출력한다(S90).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S: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
100: 이어폰잭 110: 이어폰 접속핀
120: 구조요청 버튼 130: 이어폰 스피커라인
200: 스마트폰 210: 이어폰 접속단자
220: 어플리케이션 제어모듈 300: 이통사서버
310: 인증번호 생성모듈 320: 인증번호 매칭모듈
330: GPS위성 연결모듈 400: 보호자단말기
500: 기관서버

Claims (10)

  1.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에 있어서,
    하단에 구비된 이어폰 접속핀을 통해 스마트폰의 이어폰 접속단자와 접지되되, 상기 이어폰 접속핀 상단에 구비된 구조요청 버튼이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이어폰 접속핀과 접지된 스마트폰의 이어폰 접속단자로 인가하는 이어폰잭;
    이어폰 접속단자를 통해 상기 이어폰잭의 이어폰 접속핀과 접지되어 인가받은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감지함과 동시에 기 설정된 구조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이통사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폰;
    상기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생성한 인증번호를 긴급구조 요청정보와 함께 스마트폰 식별데이터와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보호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보호자단말기로부터 인증회신번호를 수신하여 인증회신번호, 긴급구조 요청정보 및 보호자단말기 식별번호를 기관서버로 전송하는 이통사서버;
    상기 긴급구조 요청정보 및 인증번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입력받은 인증회신번호를 상기 이통사서버로 전송하되, 통화버튼 감압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스마트폰과의 호접속을 통해 스마트폰 주변음성을 출력하는 보호자단말기; 및
    상기 이통사서버로부터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폰 사용자의 구조를 위해 생성한 출동정보를 경찰서 또는 소방서로 전송하는 기관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접속핀은 그 하단부가 상기 스마트폰의 이어폰 접속단자와의 접지를 위한 +4극의 핀으로 구성되되,
    상기 긴급구조 요청신호의 입력은 상기 구조요청 버튼을 이어폰 접속핀 방향으로 누르는 감압신호에 의한 입력 또는 상기 구조요청 버튼을 좌우 양측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누르는 감압신호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
  3.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에 있어서,
    하단에 구비된 이어폰 접속핀을 통해 스마트폰의 이어폰 접속단자와 접지되되, 상기 이어폰 접속핀 상단의 이어폰 스피커라인에 구비된 구조요청 버튼이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이어폰 접속핀과 접지된 스마트폰의 이어폰 접속단자로 인가하는 이어폰잭;
    이어폰 접속단자를 통해 상기 이어폰잭의 이어폰 접속핀과 접지되어 인가받은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감지함과 동시에 기 설정된 구조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이통사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폰;
    상기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생성한 인증번호를 긴급구조 요청정보와 함께 스마트폰 식별데이터와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보호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보호자단말기로부터 인증회신번호를 수신하여 인증회신번호, 긴급구조 요청정보 및 보호자단말기 식별번호를 기관서버로 전송하는 이통사서버;
    상기 긴급구조 요청정보 및 인증번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입력받은 인증회신번호를 상기 이통사서버로 전송하되, 통화버튼 감압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스마트폰과의 호접속을 통해 스마트폰 주변음성을 출력하는 보호자단말기; 및
    상기 이통사서버로부터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폰 사용자의 구조를 위해 생성한 출동정보를 경찰서 또는 소방서로 전송하는 기관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접속핀은 그 하단부가 상기 스마트폰의 이어폰 접속단자와의 접지를 위한 +4극의 핀으로 구성되되,
    상기 긴급구조 요청신호의 입력은 상기 구조요청 버튼을 좌우 양측 또는 상하 양측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누르는 감압신호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이어폰잭의 이어폰 접속핀에 형성된 +4극의 핀을 수용할 수 있도록 -4극의 핀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어폰 접속핀으로부터 인가받은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감지하는 이어폰 접속단자; 및
    상기 이어폰 접속단자로부터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인가받음과 동시에 기 설치된 긴급호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기 설정된 구조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상기 이통사서버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통사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긴급구조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보호자단말기 식별번호를 색인하고, 난수발생기를 통해 임의로 생성한 인증번호를 SMS형태로 변환하여 긴급구조 요청정보와 함께 보호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인증번호 생성모듈;
    상기 보호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인증회신번호와 상기 인증번호가 서로 대응하는 경우, 보호자단말기 인증을 완료하여 인증완료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긴급구조 요청정보 및 보호자단말기 식별번호를 기관서버로 전송하는 인증번호 매칭모듈; 및
    상기 인증완료정보를 인가받아 GPS위성과 접속된 스마트폰의 위치좌표를 추출하고, 상기 보호자단말기로부터 위치확인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GPS위성과 접속된 스마트폰의 위치좌표를 보호자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기관서버로부터 위치확인 요청정보 및 위치확인 인증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번호와 수신한 위치확인 인증번호가 서로 대응하는 경우, GPS위성과 접속된 스마트폰의 위치좌표를 상기 기관서버로 전송하는 GPS위성 연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단말기는,
    상기 스마트폰과의 호접속을 통해 스마트폰 주변음성을 출력 이후, 보호자의 조작을 통해 신고버튼 감압신호를 입력받는지 위치확인버튼 감압신호를 입력받는지 여부를 판단하되,
    신고버튼 감압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기관서버로 인증회신번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기관서버와의 호접속을 통해 전화통화를 수행하고, 위치확인버튼 감압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위치확인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이통사서버로 전송하고, 이통사서버로부터 수신한 스마트폰의 위치좌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
  8.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에 있어서,
    (a) 이어폰잭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이어폰 접속핀과 접지된 스마트폰의 이어폰 접속단자로 인가하는 단계;
    (b) 스마트폰이 상기 긴급구조 요청신호를 감지함과 동시에 기 설정된 구조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이통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이통사서버가 상기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생성한 인증번호를 스마트폰 식별데이터와 대응하도록 기 등록된 보호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d) 보호자단말기가 상기 이통사서버로부터 수신한 긴급구조 요청정보 및 인증번호를 출력하여 입력받은 인증회신번호를 이통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이통사서버가 상기 보호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인증회신번호와 상기 인증번호가 서로 대응하는 경우, 상기 긴급구조 요청정보 및 보호자단말기 식별번호를 기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기관서버가 상기 이통사서버로부터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폰 사용자의 구조를 위해 생성한 출동정보를 경찰서 또는 소방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
    (g) 상기 보호자단말기가 통화버튼 감압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마트폰과의 호접속을 통해 스마트폰 주변음성을 출력한 뒤, 신고버튼 감압신호를 입력받는지 위치확인버튼 감압신호를 입력받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h) 상기 (g) 단계의 판단결과, 신고버튼 감압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보호자단말기가 상기 기관서버로 인증회신번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기관서버와의 호접속을 통해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i) 상기 (g) 단계의 판단결과, 위치확인버튼 감압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보호자단말기가 생성한 위치확인 요청정보를 상기 이통사서버로 전송하여 수신한 스마트폰의 위치좌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
KR1020110113781A 2011-11-03 2011-11-03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16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781A KR101316007B1 (ko) 2011-11-03 2011-11-03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781A KR101316007B1 (ko) 2011-11-03 2011-11-03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887A true KR20130048887A (ko) 2013-05-13
KR101316007B1 KR101316007B1 (ko) 2013-10-08

Family

ID=4865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781A KR101316007B1 (ko) 2011-11-03 2011-11-03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600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844B1 (ko) * 2013-12-11 2014-04-04 주식회사소울수프 안전 이어폰 캡 장치
KR101408367B1 (ko) * 2013-05-20 2014-06-18 (주)다날인터렉티브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앱을 이용한 긴급구조시스템
KR101491504B1 (ko) * 2013-08-28 2015-02-09 주식회사 세코닉스 긴급 호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
US20160048218A1 (en) * 2014-08-14 2016-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recording medium, and ear-jack terminal cap interworking with the electronic device
KR20160022317A (ko) 2016-01-28 2016-02-29 이승훈 이어폰 착탈을 이용하여 신변안전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US9349277B2 (en) 2014-04-01 2016-05-24 Prof4Tech Ltd. Personal security devices and methods
CN105933524A (zh) * 2016-04-22 2016-09-07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移动终端拨打紧急联系人的方法
CN109639906A (zh) * 2019-01-25 2019-04-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预警方法及移动终端
WO2021101091A1 (ko) * 2019-11-20 2021-05-27 주식회사 아모센스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
WO2021101089A1 (ko) * 2019-11-20 2021-05-27 주식회사 아모센스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373A (ko) * 2003-10-28 2005-05-03 이혜섭 비상버튼이 내장된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구조요청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117122A (ko) * 2004-06-09 2005-12-14 (주)엠씨페이 보호자 호출기 및 그를 포함하는 보호자 호출 시스템
KR20080036974A (ko) * 2008-03-31 2008-04-29 임병윤 이동전화 비상발신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367B1 (ko) * 2013-05-20 2014-06-18 (주)다날인터렉티브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앱을 이용한 긴급구조시스템
KR101491504B1 (ko) * 2013-08-28 2015-02-09 주식회사 세코닉스 긴급 호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
KR101380844B1 (ko) * 2013-12-11 2014-04-04 주식회사소울수프 안전 이어폰 캡 장치
US9349277B2 (en) 2014-04-01 2016-05-24 Prof4Tech Ltd. Personal security devices and methods
US9588594B2 (en) * 2014-08-14 2017-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recording medium, and ear-jack terminal cap interworking with the electronic device
KR20160020736A (ko) * 2014-08-14 2016-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상기 전자 장치와 연동되는 이어잭 단자 캡
WO2016024764A1 (en) * 2014-08-14 2016-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recording medium, and ear-jack terminal cap interworking with the electronic device
US20160048218A1 (en) * 2014-08-14 2016-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recording medium, and ear-jack terminal cap interworking with the electronic device
CN106664114A (zh) * 2014-08-14 2017-05-10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装置、用于控制电子装置的方法、记录介质以及与电子装置互通的耳机插口端帽
CN106664114B (zh) * 2014-08-14 2019-06-21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装置、用于控制电子装置的方法、记录介质以及与电子装置互通的耳机插口端帽
KR20160022317A (ko) 2016-01-28 2016-02-29 이승훈 이어폰 착탈을 이용하여 신변안전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933524A (zh) * 2016-04-22 2016-09-07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移动终端拨打紧急联系人的方法
CN109639906A (zh) * 2019-01-25 2019-04-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预警方法及移动终端
WO2021101091A1 (ko) * 2019-11-20 2021-05-27 주식회사 아모센스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
WO2021101089A1 (ko) * 2019-11-20 2021-05-27 주식회사 아모센스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6007B1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007B1 (ko)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270732B (zh) 呼叫转移的配置方法和装置
KR100754608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긴급 발신 방법 및 장치
CN104113630B (zh) 在移动电子装置中进行紧急呼救的方法及装置
KR101402960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긴급호출 오남용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35987A (ko) 통신 단말들간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20078801A (ko) 통신 단말기의 분실 모드 수행 방법 및 장치
KR101362921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긴급 메시지 송출 방법
CN105307158B (zh) 一种通信终端的手机号码的身份验证方法
CN105096522A (zh) 用于广播恐慌警报通知的方法和***
CN103607706B (zh) 基于nfc技术的通话方法、nfc终端和远端服务器
CN104247484A (zh) 终端装置、通信方法、程序以及通信***
CN103873704A (zh) 呼叫号码的来电显示方法和***
CN105577949B (zh) 一种通信方法及通信设备
CN103546873A (zh) 一键通业务处理方法及装置
KR20070122379A (ko)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 추적 방법
KR20130054575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42829B1 (ko) 서버를 이용한 발신자 인증방법
EP2654328B1 (en) Remote Request during On-Going Call
TW201340635A (zh) 近場通訊連線方法
CN109218505A (zh) 来电提醒方法、装置
JP5599441B2 (ja) 安否確認システム及び安否確認方法
KR100732482B1 (ko) 인증을 통한 단말기 분실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844244B1 (ko) 긴급 호출 버튼을 구비한 휴대 단말용 커버
JP2000209640A (ja) 位置情報確認機能付き簡易型携帯電話機及び簡易型携帯電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