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504B1 - 긴급 호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 - Google Patents

긴급 호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504B1
KR101491504B1 KR20130102405A KR20130102405A KR101491504B1 KR 101491504 B1 KR101491504 B1 KR 101491504B1 KR 20130102405 A KR20130102405 A KR 20130102405A KR 20130102405 A KR20130102405 A KR 20130102405A KR 101491504 B1 KR101491504 B1 KR 101491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emergency call
unit
emergency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2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최순철
황보정희
지원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코닉스
김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코닉스, 김성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코닉스
Priority to KR20130102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504B1/ko
Priority to US14/063,054 priority patent/US922632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04M1/724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with manual activation of emergency-service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급 호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긴급 호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감압 감지부를 포함하고, 감압 감지부에서 미리 결정된 기준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면 긴급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긴급 호출부; 긴급 호출부로부터 상기 긴급 감지 신호를 입력받으면, 긴급 호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로부터 긴급 호출 신호를 입력받아 보호자 단말기 및 관리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감압 감지부는 포지션 핀(position pin) 및 포지션 핀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수단을 포함하고, 미리 결정된 기준 이상의 압력 감지 시 상기 포지션 핀이 파손되면서 탄성 수단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긴급 호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EMERGENCY CALL BUTTON AND METHOD EMPLOYING THE SAME}
본 발명은 긴급 호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가해지는 미리 결정된 기준 이상의 압력의 감지가 가능한 긴급 호출부를 구비함으로써 긴급 상황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구조 호출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무선 인터넷의 보급이 널리 이루어지고 그 이용률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통신 기술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그리고 휴대전화기를 비롯한 통신 단말기는 이러한 데이터 통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단순히 사용자 간의 음성 통화만을 지원하지 않고 이제는 일종의 초소형 컴퓨터로서도 기능할 수 있도록 그 기능이 대폭 강화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잡아 사용자 개개인이 항상 휴대하고 다닌다는 특성에 따라, 전화통화 기능 외에도 전자 지갑, 메모장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과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구현되어 오고 있다.
특히, 근래 통신사 또는 정부기관들이 제공하는 통신서비스 중, 긴급 구조 요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예컨대, SOS 국민안심 서비스)들이 출시됨에 따라,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위급 상황에 처할 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보호자 또는 구조기관에 구조요청이 전달되도록 하는 서비스들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 및 기술들이 대중에게 모두 공개되어 있어, 범죄자가 실제 상황에서는 사용자의 휴대폰을 빼앗거나 파손해버려 실제 구조 요청이 불가능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긴급 구조 요청을 위한 휴대폰 조작방법이 다소 복잡하여 실제상황에서의 활용성에 대해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다양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국 등록특허 제10-0827709호(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 이하, '선행 특허'이라 함)을 포함한 다수 문헌이 공개되어 있다.
전술한 선행 특허를 살펴보면, 이동통신망을 통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긴급 상황을 위한 긴급 구조키(110)가 형성된 구조요청자 단말기(100);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로부터 긴급 상황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구조자단말기간의 통화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구조자단말기로부터 긴급 상황 정보가 보안 서버에 전달되면,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보안 서버와의 통화로 전환되도록 하고, 구조요청자 전화번호 및 단문메시지 정보를 구조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통신사 서버(200); 상기 통신사 서버를 통해 입력된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의 구조요청자 전화번호 및 단문메시지 정보를 입력받아 긴급 상황을 알리도록 하는 구조자단말기(400); 및 상기 통신사 서버를 통해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일방향 수신 상태로 2차 비상연락처(경찰, 소방서)와 접속되어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통화가능하도록 한 보안 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동통신 가입자가 직접 음성통화를 진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선행 특허에 의한 구조 요청을 실행할 수 없고, 별도 긴급구조키를 형성하는 것으로 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긴급구조키는 사용자가 자신도 모르게 원치 않는 상황에서 잘못 조작되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긴급구조키가 복수개의 버튼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실제 상황에서 조작이 어려워 정상적으로 작동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27709호(2008. 4. 29.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상 상황 발생 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조작이 용이한 긴급 호출 버튼을 구비하고, 터치 및 감압과 같은 최소한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가 당황하지 않고 긴급 호출 기능을 이용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상 생활 또는 원치 않는 상황에서 긴급 호출 버튼이 조작되는 실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조작이 용이하면서도 긴급 호출 시 별도 동작이 가능한 긴급 호출 버튼을 구비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감압 감지부를 포함하고, 감압 감지부에서 미리 결정된 기준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면 긴급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긴급 호출부; 긴급 호출부로부터 상기 긴급 감지 신호를 입력받으면, 긴급 호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로부터 긴급 호출 신호를 입력받아 보호자 단말기 및 관리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감압 감지부는 포지션 핀(position pin) 및 포지션 핀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수단을 포함하고, 미리 결정된 기준 이상의 압력 감지 시 상기 포지션 핀이 파손되면서 탄성 수단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감압 감지부에 가해지는 미리 결정된 기준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면, 긴급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긴급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긴급 호출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긴급 호출 신호를 수신한 통신부가 상기 긴급 호출 신호를 관리 서버 및 보호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 이상의 압력에 의해 포지션 핀이 파손되는 단계, 및 상기 포지션 핀이 파손되면서 상기 포지션 핀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수단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에 큰 변형을 가하지 않고, 기존 구성에 일체화되거나 표면에 돌출되지 않은 긴급 호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평상 시 단말기 조작 시 긴급 호출부를 의도치 않게 작동시키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의 절감 및 제조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 및 가압을 이용하여 긴급 호출부를 작동시킴에 따라, 실제 상황에서의 작동이 매우 간단하고 편리해지므로, 긴급 호출에서의 실질적인 실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호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작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호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긴급 호출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긴급 호출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다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이는 그 외의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호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작되는 시스템(100)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이동통신망(40)을 통해 관리 서버(20) 및 보호자 단말기(30)로 긴급 호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말하며, 본 발명의 긴급 호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는 단말기를 말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긴급 호출 신호를 감지하여 송출 시에, SMS 형태의 메시지를 활용하거나 별도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긴급 호출 신호가 출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가 긴급 호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하는 구성요소들은 도 2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긴급 호출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면, 이동통신망(40)을 통해 관리 서버(20) 및/또는 보호자 단말기(30)로 긴급 호출 신호(예컨대, 위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20)는 PDA, 셀룰러 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형태는 임의 형태나 매체의 디지털 데이터 통신(예, 통신 네트워크)으로 구현될 수 있고, 통신 네트워크의 예에는 근거리통신망(LAN), 광역 통신망(WAN) 및 인터넷이 있다.
관리 서버(20)는 긴급 호출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의 서버일 수 있고, 예컨대, 통신사 서버 또는 지역 관리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보호자 단말기(30)는 랩탑, 데스트탑, 워크스테이션 등의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컴퓨터뿐만 아니라 PDA, 셀룰러 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호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긴급 호출부(210), 긴급 호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250) 및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290)를 포함하고, 긴급 호출부(210)는 터치 감지부(220) 및 감압 감지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 디바이스(예컨대, 터치가능한 디스플레이 화면),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긴급 호출부(2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 및 감압을 감지하여 긴급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긴급 감지 신호를 제어부(250)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터치만을 감지하거나 압력만을 감지할 수 있고, 터치와 압력 모두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긴급 호출부가 터치와 압력 모두를 감지하는 경우, 터치 감지부(220)는 정전 방식에 따라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고, 설계 시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터치 신호로서 감지할 수 있다. 이는 평상 시에 무의식적으로 손을 대거나 실수로 발생하는 터치에 대해서는 터치 신호로 감지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로서, 터치 감지부(25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상에 구비되는 카메라 또는 홈키 상에 구비될 수 있다. 긴급 호출부(210)가 카메라 또는 홈키와 일체화되는 경우, 터치 감지부(220)는 카메라의 상부 또는 카메라를 에두르는 형태로 구현되거나, 홈키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터치 감지부(220)를 통해 터치를 감지하는 경우도 있으나, 본 발명은 소정의 압력만을 감지하여 긴급 호출부를 동작시키는 실시예에 대해 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감압 감지부(24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변화를 감지한다. 즉,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긴급 호출부(210)에 손을 대고 누름으로써, 압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단순한 조작만으로도 긴급 호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긴급 호출 기능의 실용성과 용이성을 강화하였다.
감압 감지부(240)는 설계 시 설정된 미리 결정된 기준 이상의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 긴급 호출에 필요한 압력이 가해진 것으로(특정 압력 신호로서 인식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미리 결정된 기준 이상의 압력이 아니면 긴급 상황으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소정의 압력 이상을 가하는지에 대한 판단은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감압 감지부(240)의 세부 구조를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감압 감지부(240)는 소정의 압력 이상으로 누르는 것과 더불어, 소정의 시간 이상으로 압력을 가하는 것도 감지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 설계 시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압력 신호로서 감지할 수 있고, 이는 평상 시에 실수로 압력을 가하게 되더라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의도적으로 누르게 되는 경우가 아니면 긴급 호출 기능을 동작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터치 감지부(220) 및 감압 감지부(240)는 미리 설정된 시간과 압력 외에도, 터치와 가압의 횟수를 감지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고, 가압의 횟수에 따라 다른 긴급 감지 신호(예컨대, 1회는 폭력, 2회는 납치 등으로 미리 설정)를 생성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서, 감압 감지부(240)는 카메라 및 홈키의 저면에 구비되도록 구현할 수 있고, 다른 구성부와 일체화되거나 별도 음각처리된 영역의 저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감압 감지부(240)는 도 4에서 설명하는 감압 센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긴급 호출부(210)가 미리 결정된 기준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게 되면, 긴급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50)에 전달한다. 이 때, 제어부(250)는 긴급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송출할 긴급 호출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긴급 호출 신호를 통신부(29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50)가 외부로 송출하기 위해 생성하는 긴급 호출 신호는 현재 위치 정보, 시간 등을 포함하도록 재가공된 정보일 수 있고, 전화번호 및 사진 등의 추가 컨텐츠를 포함하도록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긴급 호출 신호는 일례로 SMS 메시지 형태로 생성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별도 긴급 호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긴급 호출 신호는 제어부(250)가 긴급 감지 신호를 입력받을 때 실시간으로 생성될 수도 있고, 미리 생성해놓은 후 긴급 감지 신호 입력 시 바로 송출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290)는 제어부(250)로부터 긴급 호출 신호를 수신하면 관리 서버(20) 및/또는 보호자 단말기(30)로 긴급 호출 신호를 전송한다.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설정에 따라, 관리 서버(20) 또는 보호자 단말기(30) 중 어느 하나에만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고, 관리 서버(20) 및 보호자 단말기(30) 외에 다른 기관 서버(예컨대, 경찰서, 소방서 등)로 전송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긴급 호출부(210)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터치 감지부(220) 및/또는 감압 감지부(240)를 포함하는 긴급 호출부(210)에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긴급 감지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현함으로써, 평상 시에 실수에 의한 조작은 긴급 상황으로 인지하지 않도록 개선되었다. 또한 단말기에 별도 버튼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기존에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나 홈키 등에 일체화시키도록 구현함으로써, 제조비 절감 및 생산의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장에서 평소 사용 시 긴급 호출 버튼으로 인해 일상적인 조작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긴급 호출부(210)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긴급 호출부(210)의 외관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긴급 호출부(21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 3c는 감압 감지부(240)의 탄성 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긴급 호출부가 카메라와 일체된 경우, 본 발명의 긴급 호출부(210)는 긴급 호출부의 테두리를 덮고 있는 프레임(320)과 그 가운데에 배치되는 카메라(310)로 구성될 수 있고, 카메라(310) 저면에 감압 감지부가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터치 감지부를 포함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310)의 상부에 또는 카메라(310)를 이용하도록(일체화하여) 구현될 수 있고, 그 주변에 카메라 프레임 및 커버(32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b는 긴급 호출부(21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도면에서는 카메라와 일체된 경우의 긴급 호출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카메라에 일체화된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홈키,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 또는 메뉴 키 등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일부 구성에 일체화될 수 있고, 별도 구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별도 구성으로 구현되더라도, 본 발명의 긴급 호출부(210)는 사용자가 평소 조작 시 오작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면에 돌출되지 않은 음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긴급 호출부(210)가 카메라와 일체화된 경우, 본 발명의 긴급 호출부(210)는 기존의 카메라 구성과 동일하게, 카메라 프레임(330), 백 커버(342, 344)를 포함하고, 액체 유입 방지를 위한 가스킷 쿠션(346), 가이드홀(352), 가이드핀(354)를 포함한다. 그 하부에 카메라 동작에 필요한 카메라 모듈(340)이 구비될 수 있다.
감압 감지부(240)는 카메라의 저면에 배치하고, 절연기판(380; 예컨대, FPCB)을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340)과의 경계를 형성하여 구분되도록 구현된다. 이 때, 절연 기판(380)은 압력에 따라 아래쪽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유연성이 있는 절연 기판이 이용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평상 시에 감압 감지부(240)는 절연 기판(380) 사이를 포지션 핀(360)으로 지지하고 있어, 낮은 압력에서는 탄성 수단(예컨대, 돔 타입 스프링)(370)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구현된다. 이 때, 포지션 핀은 도시된 것처럼 2개 또는 그 이상일 수 있고, 탄성 수단(37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포니션 핀(360)이 파손되면서, 탄성 수단에 가압이 작용하여 눌려지는 등의 변형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돔 타입 스프링과 같은 탄성 수단(370)을 예시로 도시하였다. 이처럼, 포지션 핀(360)이 평소 조작 시(즉, 소정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긴급 호출부(210)가 동작하지 않도록 유지해주는 반면, 긴급 상황에서는 간단한 기준에 의해 파손과 함께 압력을 전달해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설계와 제조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다.
사용자가 긴급 상황에서, 의도적으로 소정의 압력 이상을 가하게 되면 포지션 핀(360)이 파손되면서 절연기판(380)과 함께 탄성 수단(370)이 눌려져 압력이 가해져 가압을 감지하게 된다. 감압 감지부(240)는 이러한 압력의 감지가 소정 시간 이상되면 압력 신호로서 인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긴급 호출부(210)는 포지션 핀(360)을 이용하여 평상 시 탄성 수단(370)에 압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구현함으로써, 평상 시 오작동을 방지하고, 긴급 상황에서만 동작하도록 하는 이점을 갖는다.
도 3c는 본 발명의 탄성 수단(370)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것처럼, 탄성 수단(370)의 평면도는 하측이 상측보다 넓은 원형의 스프링 형태를 띠고 있고, 정면도로 봤을 때 압력이 가해지면 아래로 눌려지는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탄성 수단(370)은 하측이 넓게 형성되어 지지되므로 압력이 가해져서 중앙부에 압력이 가해질 때 스프링에 변형 없이 압력을 감지해낼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카메라와 일체화된 긴급 호출부(210)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것처럼 이동통신 단말기의 홈키(예컨대, 스마트폰 앞면 하부에 배치되는 홈키)에도 일체화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긴급 호출부(210)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긴급 호출부(210)는 탄성 수단(370)의 저면에 감압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과 마찬가지로, 본 도면에서는 카메라와 일체된 경우의 긴급 호출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카메라에 일체화된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홈키,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 또는 메뉴 키 등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일부 구성에 일체화될 수 있고, 별도 구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긴급 호출부(210)가 카메라와 일체된 경우, 기존의 카메라 구성과 동일하게, 카메라 프레임(430), 백 커버(442, 444)를 포함하고, 액체 유입 방지를 위한 가스킷 쿠션(446), 가이드홀(452), 가이드핀(454)를 포함한다. 그 하부에 카메라 동작에 필요한 카메라 모듈(440)이 구비된다.
감압 감지부(240)는 카메라의 저면에 배치하고, 절연기판(480; 예컨대, FPCB)을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440)과의 경계를 형성하여 구분되도록 구현된다. 이 때, 절연 기판(480)은 압력에 따라 아래쪽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유연성이 있는 절연 기판이 이용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평상 시에 감압 감지부(240)는 절연 기판(480) 사이를 포지션 핀으로 지지하고 있어, 낮은 압력에서는 탄성 수단(470)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구현된다.
사용자가 긴급 상황에서, 의도적으로 소정의 압력 이상을 가하게 되면 포지션 핀이 파손되면서 절연기판(480)과 함께 탄성 수단(470)이 눌려져 압력이 가해져 가압을 감지하게 된다. 감압 감지부(240)는 이러한 소정의 기준 이상의 압력 감지가 소정 시간 이상되면 압력 신호로서 인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추가로 감압 센서(490)를 돔 스프링 저면에 구비한다. 감압 센서(490)는 탄성 수단(470)에 압력이 가해지는 때에 작동을 시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5분)을 초과하여 압력이 가해지면 압력 신호로서 감지할 수 있다. 감압 센서(490)도 탄성 수단(470)과 마찬가지로 평상 시 포지션 핀에 의해 지지되어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유지될 수 있다. 감압 센서(490)를 구비함에 따라, 압력 세기와 압력이 가해지는 시간에 대한 미세한 감지가 가능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에 큰 변형을 가하지 않고, 기존 구성에 일체화되거나 표면에 돌출되지 않은 긴급 호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평상 시 단말기 조작 시 긴급 호출부를 의도치 않게 작동시키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의 절감 및 제조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고, 또한 사용자가 터치 및 가압을 이용하여 긴급 호출부를 작동시킴에 따라, 실제 상황에서의 작동이 매우 간단하고 편리해지므로, 긴급 호출에서의 실질적인 실용성이 증대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나타낸 구성요소, 그들의 접속 및 관계, 및 그들의 기능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10)가 구비하는 긴급 호출부(210), 터치 감지부(220), 감압 감지부(240), 제어부(250), 통신부(290)는 물리적으로 일체화된 것으로 구현되었지만, 각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물리적으로 분리된 형태 또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통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이동통신 단말기 20: 관리 서버
30: 보호자 단말기 40: 이동통신망
210: 긴급 호출부 220: 터치 감지부
240: 감압 감지부 250: 제어부
290: 통신부

Claims (15)

  1. 긴급 호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감압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압 감지부에서 압력이 감지되면 긴급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긴급 호출부;
    상기 긴급 호출부로부터 상기 긴급 감지 신호를 입력받으면, 긴급 호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긴급 호출 신호를 입력받아 보호자 단말기 및 관리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압 감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포지션 핀(position pin) 및 상기 포지션 핀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수단을 포함하고, 미리 결정된 기준 이상의 압력 감지 시 상기 포지션 핀이 파손되면서 상기 탄성 수단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포지션 핀은 파손되기 전에 상기 탄성 수단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상기 절연기판 양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감압 감지부는, 상기 탄성 수단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 수단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감지하는 감압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긴급 호출부는 상기 감압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가압의 횟수에 따라 다른 긴급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긴급 호출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또는 홈키와 일체화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감압 감지부는 상기 카메라의 또는 홈키의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감압 센서는 상기 탄성 수단에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때에 작동을 시작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압력이 가해지면 압력 신호로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호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긴급 호출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음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호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돔 타입 스프링(Dome type Sp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호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핀은 적어도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호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10.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감압 감지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미리 결정된 기준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면, 긴급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긴급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긴급 호출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긴급 호출 신호를 수신한 통신부가 상기 긴급 호출 신호를 관리 서버 및 보호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 이상의 압력에 의해 포지션 핀이 파손되는 단계, 및 상기 포지션 핀이 파손되면서 상기 포지션 핀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수단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포지션 핀은 적어도 하나의 절연 기판 사이에 위치하여, 파손되기 전에 상기 탄성 수단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상기 절연 기판 양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탄성 수단에 압력을 가하여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탄성 수단 하부에 위치하는 감압 센서에 의해 감지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감압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가압의 횟수에 따라 다른 긴급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긴급 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긴급 호출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또는 홈키와 일체화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감압 감지부는 상기 카메라의 또는 홈키의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감압 센서는 상기 탄성 수단에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때에 작동을 시작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압력이 가해지면 압력 신호로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돔 타입 스프링(Dome type Sp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핀은 적어도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
KR20130102405A 2013-08-28 2013-08-28 긴급 호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 KR101491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2405A KR101491504B1 (ko) 2013-08-28 2013-08-28 긴급 호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
US14/063,054 US9226322B2 (en) 2013-08-28 2013-10-2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emergency call unit and method of making emergency cal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2405A KR101491504B1 (ko) 2013-08-28 2013-08-28 긴급 호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504B1 true KR101491504B1 (ko) 2015-02-09

Family

ID=52583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2405A KR101491504B1 (ko) 2013-08-28 2013-08-28 긴급 호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26322B2 (ko)
KR (1) KR1014915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37682B1 (en) * 2015-08-04 2018-07-31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activating an emergency protocol
CN106603902A (zh) * 2015-10-14 2017-04-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拍照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568Y1 (ko) 2003-05-06 2003-07-28 이혜섭 비상버튼을 설치한 휴대전화
KR100783469B1 (ko) 2006-11-29 2007-12-07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바일 기기
KR20130048887A (ko) * 2011-11-03 2013-05-13 김성수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86841A (ko) * 2012-01-26 2013-08-05 김한석 스마트폰을 이용한 긴급호출 오남용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66910B (zh) * 2012-01-20 2019-07-21 日商精良股份有限公司 mobile phone
JP5934537B2 (ja) * 2012-03-27 2016-06-15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568Y1 (ko) 2003-05-06 2003-07-28 이혜섭 비상버튼을 설치한 휴대전화
KR100783469B1 (ko) 2006-11-29 2007-12-07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바일 기기
KR20130048887A (ko) * 2011-11-03 2013-05-13 김성수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86841A (ko) * 2012-01-26 2013-08-05 김한석 스마트폰을 이용한 긴급호출 오남용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26322B2 (en) 2015-12-29
US20150065076A1 (en)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71132A1 (en) Mobile device with input arrangement
CN106101979B (zh) 用于短距离无线通信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电子设备
US10798552B2 (en) Emergency call-for-help method and system based 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EP2955907B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06778175B (zh) 一种界面锁定方法、装置和终端设备
CN104899494A (zh) 基于多功能按键的操作控制方法及移动终端
EP3220261B1 (en) Multip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18049897A1 (zh) 数据备份方法及设备
US20110312385A1 (en) Method for power manage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is method
KR101316007B1 (ko)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97987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블루투스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US8195123B2 (en) Call origination method for full-touch screen portable terminal
CN107219948B (zh) 一种屏幕呼吸亮屏的控制装置及其方法
EP3125083A1 (en) Mobile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CN107135305B (zh) 一种消息提醒方法、装置和终端
CN113422869A (zh) 信息处理方法和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终端
KR101491504B1 (ko) 긴급 호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
CN105100342A (zh) 一种触控式侧边按键实现方法及移动终端
KR20150109110A (ko) 외부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 장치
CN106681622A (zh) 一种紧急通信方法、装置和终端设备
KR101808101B1 (ko) 긴급 호출 버튼이 구비된 스마트폰
CN110753159B (zh) 来电处理方法及相关产品
KR101703028B1 (ko) 긴급 호출 버튼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CN115004668A (zh) 数据同步方法及相关产品
JP6121833B2 (ja) 電子機器と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