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8801A - 진공 채혈관, 채혈 유닛 및 검사방법 식별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채혈관, 채혈 유닛 및 검사방법 식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8801A
KR20130038801A KR1020127022447A KR20127022447A KR20130038801A KR 20130038801 A KR20130038801 A KR 20130038801A KR 1020127022447 A KR1020127022447 A KR 1020127022447A KR 20127022447 A KR20127022447 A KR 20127022447A KR 20130038801 A KR20130038801 A KR 20130038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blood collection
tubular body
needle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히토 마츠무라
Original Assignee
타카히토 마츠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카히토 마츠무라 filed Critical 타카히토 마츠무라
Publication of KR20130038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572Pierceable protectors, e.g. shields, caps, sleeves or films, e.g. for hygien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venous or arterial blood, e.g. with syringes
    • A61B5/154Devices using pre-evacuate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3Source of blood for venous or arterial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21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51Collection chamber divided into at least two compartments, e.g. for division of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59Improved gripping, e.g. with high friction pattern or projections on the housing surface or an ergonometric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67Modular design or construction, i.e. subunits are assembled separately before being joined together or the device comprises interchangeable or detachable mod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9Hollow piercing elements, e.g. canulas, needles, for pier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473Double-ended needles, e.g. used with pre-evacuated sampling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venous or arterial blood, e.g. with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755Blood sample preparation for further analysis, e.g. by separating blood components or by mix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복수의 검사항목이 있는 채혈에 있어서, 각 검사처리를 적절하고 정확하게 행함과 동시에 피채혈자에 가해지는 고통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채혈 조작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 채혈관, 채혈 유닛 및 검사방법 식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정 용량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바닥이 있는 관 형상체와, 상기 내부공간 내를 소정의 감압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관 형상체의 개방단을 기밀하게 밀봉하는 마개 본체(栓體)로 이루어지고, 일단을 혈관에 찔러넣고, 타단을 상기 마개 본체에 찔러넣는 중공의 채혈침을 통하여, 혈압과 상기 내부 공간 내의 압력과의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관 형상체의 내부 공간에 혈액을 채취하는 진공 채혈관에 있어서, 상기 관 형상체의 내부공간을 구분지음으로써 복수의 내부 공간으로 분할하고, 각 내부공간은 각종 혈액 검사의 목적에 대응하여 소정 용량을 구비함과 동시에 소정 감압도가 유지되며, 상기 혈관에 찔러넣어진 채혈침을 통하여 상기 각 내부공간으로 상기 각종 혈액검사의 목적에 대응하는 양의 혈액이 채취된다.

Description

진공 채혈관, 채혈 유닛 및 검사방법 식별장치{VACUUM BLOOD COLLECTION TUBE, BLOOD COLLECTION UNIT AND DEVICE FOR DISCRIMINATING TEST METHODS}
본 발명은 진공 채혈관, 진공 채혈관을 사용한 채혈 유닛 및 진공 채혈관으로 채혈한 혈액의 검사방법 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분야 등에서 행해지는 채혈방법에는 주로 시린지(syringe)에 의한 것과, 진공 채혈관을 사용하는 것의 2 종류가 있다. 시린지에 의한 채혈방법은 검사를 행하기 위하여 채혈한 혈액을 나누어 주입하는 조작이 필요하며, 작업 효율이 떨어지며, 감염의 위험성도 있다. 여기서, 최근에는 진공 채혈관을 사용한 채혈방법이 주류를 이룬다.
진공 채혈관은 바닥을 가진 통 형상체와, 통 형상체의 내부공간을 소정의 감압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통 형상체의 개방단을 기밀하게 밀봉하는 마개 본체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된다. 이러한 진공 채혈관을 사용한 채혈 유닛은 진공 채혈관 외에 적어도 채혈침과 진공 채혈관을 보호 지지하는 바닥을 지닌 통 형상의 홀더를 가진다. 채혈침은 통상 일단을 혈관에 찔러넣고, 타단을 상기 진공 채혈관의 마개 본체에 찔러넣는 중공의 금속제 세관으로 형성되며, 긴 쪽 방향의 대략 중간부에는 숫나사가 잘려진 침 기부를 구비하고 있다. 채혈침은 이러한 침 기부를 상기 홀더의 바닥부에 암나사가 잘려져 형성된 침 접합부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타단을 홀더 내로 돌출한 상태로 고정된다. 우선, 채혈은 이 상태에서 상기 채혈침의 일단을 혈관에 찔러넣고 진공 채혈관을 마개 본체측으로부터 상기 홀더의 개방단으로 삽입하여 마개 본체가 상기 채혈침의 타단에 의하여 찔러 넣어져 타단이 관 형상체 내부에 노출될 때까지 진공 채혈관을 밀어 넣는다. 다음으로, 혈압과 상기 내부공간 내 압력과의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혈액이 채취되고, 혈압과 내부공간의 압력이 평형 상태가 될 때까지 혈액이 유입된다. 연속하여 채혈하는 경우는 상기 평형 상태가 되어 혈액의 유입이 정지한 시점에서 진공 채혈관을 홀더로부터 뽑아 내고, 새로운 진공 채혈관을 상기와 같은 요령으로 밀어 넣는다.
혈액검사를 행하는 경우, 예를 들면 생화학, 혈당치, 혈산(血算, blood count)측정 등 피채혈자 한 사람에 대하여 복수의 다른 검사항목이 있으며, 통상 각 검사는 검사에 필요한 혈액량, 항응고제의 요구 여부, 전도혼화(轉倒混和, upside-down flipping)의 유무 등, 다른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검사항목의 수에 대응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연속 채혈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속 채혈에서 새로운 진공 채혈관으로 교환할 때 다시 진공 채혈관을 홀더에 밀어 넣게 되므로, 혈관에 찔러 넣어진 채혈침도 이러한 밀어 넣는 힘의 영향을 받아 상기 찔러 넣어진 방향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피채혈자는 새로운 진공 채혈관의 교환시기 마다 아픔을 느끼게 된다. 즉, 피채혈자로서는 채혈침이 최초에 찔러 넣어질 때에 더하여 검사항목의 수만큼 고통을 맛봐야 하는 것이다. 또한, 통상의 예방 주사 등과 비교하여 찔러 넣어진 상태가 길게 지속되기 때문에 육체적, 정신적으로도 스트레스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집단검진, 재난지역 또는 전쟁터 등 일시적으로 많은 사람의 채혈을 행할 경우, 혈액 검사항목이 복수라면, 간호사 등 채혈자로서도 큰 부담이 되며,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종래 상기 피채혈자의 육체적 부담을 경감하기 위하여 채혈한 혈액을 수용하는 채혈관 본체와, 이러한 채혈관 본체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외통이 축방향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진공 채혈관을 사용하여 혈산측정을 할 때에는 상기 채혈관 본체가 외통에서 수축된 상태로 행한 후, 채혈관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반 정도를 외통으로부터 돌출시켜 적침측정(赤沈測定, measurement of the erythrocyte sedimentation)을 행하는 채혈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혈산측정과 적침측정을 일회의 채혈로써 행할 수 있으며, 피채혈자의 육체적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것이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05-156332호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검사항목이 3개 이상인 경우, 새로운 진공 채혈관을 채혈관 홀더에 끼워 넣을 필요가 있으므로, 피채혈자는 복수회의 아픔을 느낀다는 점에서 종전의 채혈시 문제점은 근본적으로 전혀 해결되지 않았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혈산측정에서 EDTA-2k로 항응고 처리된 혈액으로 적침측정을 행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검사항목에 의하면 동일한 항응고 처리에서는 결함이 생길 가능성도 있으며, 생화학 검사에서는 애초에 항응고 처리를 행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그런데, 채혈을 행하는 병원이나 진료소 등이 혈액 검사장치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채혈한 혈액을 외부 검사기관에 의뢰하기 위하여 진공 채혈관을 이송할 필요가 있다. 통상, 채혈 후의 진공 채혈관은 마개 본체부분을 위로 하여 전용 스탠드에 나란히 세워 그 상태로 상기 검사기관에 이송한다. 따라서, 진공 채혈관을 나란히 세워 수납한 스탠드는 겹쳐 쌓아 운반시키면 불안정하게 되므로, 집단 검진의 경우 등 다수의 이송을 행하는 경우는 운반 효율이 나빠지는 불편함도 있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검사 항목이 있는 채혈에 있어서, 각 검사 처리를 적절하고 정확하게 행함과 동시에 피채혈자에 가해지는 고통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채혈 처리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는 진공 채혈관, 채혈 유닛 및 검사방법 식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정 용량의 내부공간을 가지는 바닥이 있는 관 형상체와, 상기 내부공간 내를 소정의 감압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관 형상체의 개방단을 기밀하게 밀봉하는 마개 본체로 이루어지며, 일단을 혈관에 찔러 넣고, 타단을 상기 마개 본체에 찔러 넣는 중공의 채혈침을 통하여, 혈압과 상기 내부공간 내의 압력과의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관 형상체의 내부공간에 혈액을 채취하는 진공 채혈관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은, 칸막이에 의하여 복수의 내부공간으로 분할되고, 각 내부공간은, 각종 혈액검사의 목적에 대응하여 소정의 용량을 구비함과 동시에 소정의 감압도로 유지되며, 상기 혈관에 찔러 넣어진 채혈침을 통하여 상기 각 내부공간의 상기 각종 혈액검사의 목적에 대응하는 양의 혈액이 채취되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목적이 다른 복수의 혈액 검사를 행하는 경우에, 일회의 채혈로 복수의 내부 공간에 각각의 검사 목적에 대응하여 혈액을 채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내부공간을 짧은 쪽 방향의 동일 평면 위에 병렬시켜 상기 관 형상체를 평판 형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채혈 후, 검사기관 등에 이송할 때 높은 효율로 겹쳐 쌓아 운반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유닛은 상기 진공 채혈관과, 상기 채혈침과 일단이 상기 진공 채혈과으로의 삽입이 가능한 개구부를 가지며, 타단이 상기 채혈침을 접속하는 침 접합부를가지는 홀더를 구비한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채혈침은 상기 타단을 피복하고 채혈침이 상기 침 접합부에 접속된 홀더의 개방단으로부터 홀더 내부에 삽입된 상기 진공 채혈관의 마개 본체에 찔러 넣어지면, 상기 타단에 의하여 찔러 넣어져 관통되어 수축하는 두겁(
Figure pct00001
)체를 구비하고, 상기 두겁체를 찔러 넣어 관통한 타단은 마개 본체를 관통하고, 상기 관 형상체 내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채혈침은, 상기 관 형상체의 내부에서 상기 채혈침의 타단을 막는 밀폐부재를 가지며, 상기 관 형상체의 내부에 상기 진공 채혈관을 상기 홀더의 개방단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밀폐부재를 밀봉시켜 상기 채혈침으로부터 떼어 내는 떼어내기 수단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최초에 채혈침의 일단을 피채혈자의 팔에 찔러넣은 후에는 채혈이 종료될 때까지 채혈침이 혈관에 대하여 찔러 넣어진 방향으로 움직이는 일이 없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채혈관에는 예를 들면, 생화학과 같이 검사시 교반시키지 않은 검사 항목에 따른 혈액과, 혈당치와 같이 항응고 처리를 행함에 있어서 교반되는 검사 항목에 따른 혈액의 쌍방이 채취된다. 여기서, 교반을 실시하지 않은 내부공간에 관해서는 미리 외측 둘레를 음파 흡수체에 의하여 피복시키고, 음파 발진에 의한 교반을 행하면, 상기 다른 처리를 일시에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사방법 식별장치는 상기 각 내부공간을 각각 식별할 수 있는 소정의 형광재를 도포한 관 형상체에 소정의 광선을 조사한 조사수단과, 상기 광선이 조사된 형광재 각각의 형광 반응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된 형광 반응에 대응하는 각 내부공간에 채혈된 혈액의 검사방법을 읽어내는 읽어내기 수단과, 읽어낸 검사방법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형광재는 상기 소정의 광선을 조사하면 각별히 다른 형광 반응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관 형상체 중에 복수의 내부공간이 있더라도 어느 한 내부공간의 혈액이 어느 검사 항목에 사용되는 것인가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채혈관은, 피채혈자에 대한 일회의 채혈로 복수의 검사 항목에 대응하는 채혈이 가능하므로, 피채혈자에 대하여 고통을 가하는 횟수만큼의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 및 장시간 찔러넣은 상태를 지속하는 시간상의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의 경감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회의 채혈로, 목적이 다른 복수의 검사 항목에 대응하는 채혈이 가능하게 된 결과, 피채혈자 1인당 채혈에 요구되는 소요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간호사 등 채혈자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집단 검진, 재난지 등 가설 진료소에서의 검진 등 다수로 채혈된 혈액을 검사기관에 이송하는 경우에 겹쳐 쌓아 높은 효율로 운반할 수 있게 되므로, 운반 효율이 향상되고, 운반 비용의 저감도 가능하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유닛의 외관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유닛의 측단면도이며, (b)는 (a)의 A-A'선에 있어서 단면도이다.
도 3(a)는 채혈침을 고정한 홀더에 진공 채혈관을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b)는 상기 홀더에 진공 채혈관을 삽입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a)는 채혈전에 채혈침이 밀폐부재로 막혀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b)는 채혈시에 밀폐부재를 뽑아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연통공에 형성된 역류 방지 기구의 상면도, (b)는 측단면도이며, (c)는 혈액 유입시의 역류 방지 기구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채혈관을 소정의 교반기에 투입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채혈관을 평판 형상으로 형성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b)는 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검사방법 식별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9(a)는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와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에 결합 가능한 관 형상체의 사시도이며, (b)는 관 형상체와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를 결합한 상태의 저면도이다.
도 10(a)는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 장착 전 장착부의 측단면도이며, (b)는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 장착 후 장착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유닛을 사용한 채혈방법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흐름선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유닛을 구성하는 진공 채혈관이다. 진공 채혈관(1)은 바닥을 지닌 관 형상체이며, 바닥부에 대향하는 개방단은 관 형상체 내부를 소정의 감압 상태(V)로 유지하기 위하여 마개 본체(11)에 의하여 기밀하게 밀봉되어 있다. 그리고, 마개 본체(11)는 씰(seal) 성능이 높은 재료, 예를 들면 고무막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채혈 유닛은, 상기 진공 채혈관(1) 외에 진공 채혈관(1)의 마개 본체(11)로부터 삽입 가능한 개방단을 가진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홀더(2)와, 중공인 금속 세관으로 이루어진 채혈침(3)을 가진다. 홀더(2)의 상기 개방단의 가장자리부에는 턱부(22)가 형성된다. 턱부(22)는 채혈시에 채혈 유닛 전체의 동요를 방지하기 우하여 채혈자가 손가락을 걸어 안전성을 확보한다. 도 2(a)는 본 채혈 유닛의 측단면도이며, 홀더(2)의 바닥부의 대략 중앙부에는 암나사가 잘려진 침 접합부(21)가 형성된다. 한편, 채혈침(3)의 긴 쪽 방향의 대략 중앙에는 숫나사가 잘려진 침 기부(31)가 형성되며, 침 접합부(21)에 침 기부(31)를 나사 삽입함으로써 채혈침(3)은 일단이 침 접합부(21)로부터 홀더(2)의 외부를 향하여 노출되고, 타단은 침 접합부(21)로부터 홀더(2)의 내부 축방향으로 노출된 상태로 홀더(2)에 고정된다. 그리고, 채혈침(3)의 고정방법은 상기와 같은 나사 결합 방식의 것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홀더(2)로부터 원터치로 탈착 가능한 끼움 결합 방식의 것이어도 좋다. 도 2(a)와 같이 채혈 전에는 홀더(2)의 내부에 노출된 상기 채혈침(3)의 타단(이하 '채혈침(3)의 타단'이라 함)은 두겁(
Figure pct00002
)체(32)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채혈침(3)을 직접 홀더(2)에 접합하는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나, 홀더(2)와 카테터를 통하여 나비침을 접합하는 형태도 좋다(미도시).
진공 채혈관(1)을 구성하는 상기 관 형상체의 내부는 혈액을 채취하는 복수의 내부공간(17a, 17b, 17c)가 형성되어 도 2(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마개 본체(11)와 내부공간(17a, 17b, 17c) 사이에 소정의 감압 상태(V)가 유지된 체류 영역(14)을 가진다. 각 내부공간(17a, 17b, 17c)은 복수의 다른 혈액 검사의 목적에 대응하여 소정의 용량을 구비함과 동시에 소정의 감압도가 유지되도록 구획되어 분할된다. 내부공간(17a, 17b, 17c)은 상기 소정의 용량을 확보하고 긴 쪽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짧은 쪽 방향의 길이를 조정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긴 쪽 방향의 길이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가공이 용이해지고 생산 효율이 향상된다.
체류 영역(14)은 신축막(12), 떼어내기 기구(13), 고정막(15) 및 상기 관 형상체의 내벽면으로부터 구성된다. 체류 영역(14)과 내부공간(17a, 17b, 17c)은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막(15)에 형성되어 있는 연통공(16a, 16b, 16c)으로 연통되어 있다. 신축막(12)은 마개 본체(11)에 찔러 넣어진 채혈침(3) 타단의 삽입 통과를 허용한다. 한편, 고정막(15)은 신축막(12)과 내부공간(17a, 17b, 17c) 방향을 향하여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채혈침(3)의 관통을 허용하지 않는다.
각 내부공간(17a, 17b, 17c)은 상기와 같이 채혈 전 소정의 감압도가 유지된 상태이다. 채혈침(3)을 피채혈자의 팔에 찔러 넣으면, 피채혈자의 혈압과 각 내부공간(17a, 17b, 17c)의 압력과의 압력차에 의하여 체류 영역(14) 내에 혈액이 유입된다. 유입된 혈액은 체류 영역(14) 내에서 신축막(12)을 신장시키며 체류한다. 다음으로, 체류된 혈액은 연통공(16a, 16b, 16c)을 통하여 각 내부공간(17a, 17b, 17c)으로 나뉘어 흐르게 된다. 상기 압력차가 해소되어 혈압과 각 내부공간(17a, 17b, 17c) 사이의 압력이 평형 상태가 되었을 때 혈액의 유입은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각 감압도는 상기 소정의 용량이 채취될 수 있도록 조정된다.
도 3(a)는 채혈침(3)을 고정한 홀더(2)에 진공 채혈관(1)을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채혈침(3)의 타단은 두겁체(32)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다. 두겁체(32)는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홀더(2)의 개방단으로부터 홀더(2)의 내부에 진공 채혈관(1)을 삽입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 도 3(b)이다. 두겁체(32)는 홀더(2)의 내부로 진공 채혈관(1)이 삽입됨에 의하여 마개 본체(11)에 찔러 넣어지면 채혈침(3)의 타단에 의하여 찔러 넣어져 관통되고 마개 본체(11)에 의하여 상기 진공 채혈관(1)의 삽입 방향으로 채혈침(3) 표면을 슬라이딩하면서 밀어 넣어진다. 마개 본체(11)가 홀더(2)의 바닥부(침 접합부(21)) 근방에 도달하면, 주름관 형상으로 수축한다. 한편, 두겁체(32)를 찔러 넣어 관통한 채혈침(3) 타단은 마개 본체(11)를 관통한 후, 신축막(12)도 관통하여 체류 영역(14) 내로 돌출된다.
도 3에서는 종래의 채혈침(즉, 두겁체(32)에 의하여 채혈침(3)이 피복된 것)을 이용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하 도 4에서 설명할 형태라도 좋다.
도 4는 채혈침(3) 타단이 밀폐부재(33)에 의하여 밀폐되어 있는 경우의 채혈 전과 채혈 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채혈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채혈 전은 채혈침(3)의 타단이 밀폐부재(33)에 의하여 밀폐된 상태로, 마개 본체(11)에 찔러 넣어져 체류 영역(14) 내에서 신축막(12) 및 떼어내기 기구(13)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떼어내기 기구(13)는 밀폐부재(33)가 마개 본체(11)측으로부터 각 내부공간(17a, 17b, 17c) 방향으로 진입할 때는 떼어내기 기구(13)를 통과하지만, 일단 통과하면 밀폐부재(33)는 떼어내기 기구(13)를 통과할 수 없는 구조로 하면 좋다. 예를 들면, 밀폐부재(33)의 선단을 뾰족한 형태로 형성한 우산 형상의 원추형으로 하고, 저면 부분은 후술할 그물눈에 걸리는 갈고리 형상의 이른바 '미늘 구조'로 하면 좋다. 즉, 떼어내기 기구(13)를 고무 등의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그물눈 구조로 하고, 그물눈의 크기를 밀폐부재(33)의 상기 원추형인 저면보다 작게 형성한다. 밀폐부재(33)를 상기 원추형의 선단으로부터 삽입할 때는 상기 그물눈이 밀폐부재(33)의 통과에 수반하여 확장되고 통과를 허용하지만, 일단 통과하면 밀폐부재(33)를 상기 통과한 방향과 역방향으로 되돌릴 경우 상기 원추형의 조면에 형성된 갈고리 형상의 '미늘 구조'에 의하여 그물눈에 걸려 정지되고, 떼어내기 기구(13)의 저항력에 의하여 밀폐부재(33)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b)는 채혈시에 밀폐부재(33)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채혈침(3)의 일단이 피채혈자의 혈관에 찔러 넣어지면, 혈압과 체류 영역(14) 내부의 압력과의 압력차에 의하여 혈액은 도면의 화살표(B) 방향으로 유입된다. 이때, 진공 채혈관(1)을 홀더(2)의 상기 개방단 방향, 즉 도면의 화살표(P) 방향으로 당기면, 떼어내기 기구(13)도 화살표(P) 방향으로 이동한다. 채혈침(3)은 홀더(2)의 침 접합부(2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채혈침(3)의 타단에 장착된 밀폐부재(33)는 떼어내기 기구(13)에 의하여 떼어 내지게 되며, 채혈침(3)의 타단으로부터 체류 영역(14) 내로 혈액이 유입된다. 그리고, 떼어낸 밀폐부재(33)가 혈액의 유입에 의하여 연통공(16a, 16b, 16c)을 밀폐하는 일이 없도록 혈류에 저항하는 소정의 중량을 가지는 것, 밀폐부재(33)가 채혈침(3)의 타단으로부터 떼어낸 후에도 채혈침(3)에 연결된 연결부재를 구비한 것 등으로 하여도 좋다(미도시).
도 4에서 나타낸 채혈 유닛에서는 채혈침(3)의 일단을 피채혈자의 혈관에 찔러 넣은 후는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진공 채혈관(1)을 홀더(2)의 개방단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것 뿐이므로, 종래와 같이 진공 채혈관을 홀더의 개방단으로부터 삽입하여 밀어 넣음으로써 밀어 넣는 힘의 영향을 받아 채혈침이 찔러 넣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일은 없으며, 피채혈자에 대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한 두겁체(32)를 사용하는 경우는 수축된 두겁체(32)의 수축 응력에 의하여 반발 탄성이 생기며, 채혈침(3)이 선단 방향으로 밀려나오는 이른바 킥백(kickback)이라고 하는 현상이 생기지만, 도 4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킥백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더욱 유리한 채혈 유닛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연통공(16a, 16b, 16c)으로부터 일단 각 내부공간(17a, 17b, 17c)에 채취된 혈액이 체류 영역(14)으로 역류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하여는 연통공(16a, 16b, 16c)을 밀폐하는 역류방지 기구를 형성하면 좋다. 도 5는 역류방지 기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이러한 구성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따라서, 공지의 역류방지 기구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채혈관(1)에 적합한 것이라면 도 5의 구성 이외의 것도 좋다.
도 5(a)는 역류방지 기구의 상면도이며, (b)는 역류방지 기구의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각 연통공(16a, 16b, 16c)에는 동일 구성의 역류방지 기구를 형성한 것으로 도 5에서는 연통공(16a)을 예로 설명한다.
역류방지 기구는 연통공(16a)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는 원통형의 축 부재(161)를 구비한다. 축 부재(161)의 상면은 연통공(16a)이 개구되어 있는 고정막(15, 도 5에서는 미도시)과 대략 같은 면이 되도록 형성 배치되고, 축 부재(161) 상면의 직경 방향으로 대략 180도의 간격을 두고 브릿지(162)가 각각 연장 돌출되며, 연통공(16a)의 내측벽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도 5(b)와 같이 연통공(16a)에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밸브체(163)가 접속되어 있다. 밸브체(163)는 연통공(16a)과의 접속 부분을 연통공(16a)과 동일 직경으로 개방하고, 이러한 접속 부분으로부터 혈액의 유입 방향(축 부재(161)의 축 방향)을 향하여 테이퍼진 형상으로 축 부재(161)를 둘러싸고 있다. 이러한 테이퍼진 형상의 밸브체(163)는 축 부재(161)의 축 방향 측면의 대략 중간에서 축 부재(161)에 접촉되고 이러한 접촉된 개소보다 하부는 축 부재(161)의 측면을 따라 밀착하여 접하도록 굴곡된다. 따라서, 밸브체(163)와 연통공(16a) 사이에는 밸브체(163)가 연통공(16a)의 직경 방향으로 작동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다. 밸브체(163)를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밸브체(163)에 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는 연통공(16a)을 밀폐하기 위하여 체류 영역(14)으로부터 내부공간(17a)으로의 유입도, 내부공간(17a)으로부터 체류 영역(14)으로의 역류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혈액이 내부공간(17a)으로 유입될 때는 도 5(c)와 같이 상기 압력차에 의하여 밸브체(163)의 축 부재(161) 측면을 따라 밀착되어 접하는 부분이 직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압력이 걸리고, 상기 작동 가능한 공간으로 밸브체(163)가 움직이고, 도면 중의 화살표(B)와 같이 체류 영역(14)으로부터 내부공간(17a)을 향하여 핼액이 흐르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압력차가 없어지고, 평형 상태가 되면, 밸브체(16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직경이 확장된 부분이 다시 줄어들고, 원래 상태로 돌아가 혈액의 역류를 저지한다.
혈액의 유입이 정지되면, 후술할 바와 같이 채혈침(3)으로부터 체류 영역(14) 내부로 밀봉재를 봉입하고, 연통공(16a, 16b, 16c)을 밀봉한다. 이러한 밀봉재에 의하여 진공 채혈관(1)을 홀더(2)로부터 뽑아내더라도 혈액이 체류 영역(14) 안으로 역류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신축막(12) 및 고정막(15)은 유입된 혈액 및 봉입한 상기 밀봉재가 스며나오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밀봉재의 봉입 후, 진공 채혈관(1)의 상기 관 형상체 전체, 혹은 관 형상체를 구성하는 각 내부공간(17a, 17b, 17c)을 개별적으로 뽑아 내어 검사에 제공하도록 하여도 좋다(미도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채혈관(1)을 교반기에 투입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채혈관(1)은 도 1 및 도 2에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에 복수의 내부공간(17a, 17b, 17c)을 가지며, 각각 검사 목적이 다른 혈액이 채취된다. 예를 들면, 생화학, 혈당치, 혈산측정 등의 검사를 일시에 행하는 경우에 혈당치나 혈산측정에서는 항응고 처리를 행하기 위하여 미리 내부공간 내에 항응고제를 도포하는 등의 준비를 행하고, 채혈 후 직접 전도 혼화 또는 교반기에 의하여 교반할 필요가 있으나, 생화학에서는 혈청을 채취하기 위하여 응고 촉진제나 분리제를 준비하되 교반은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채혈관(1)의 구성에서는 상반된 항응고 처리와 응고 처리를 일시에 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내부공간(17a, 17b, 17c)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공간의 외부 둘레가 음파 흡수체(18)에 의하여 피복된 구성으로 하고, 음파 발진에 의한 교반을 행함으로써 음파 흡수체(18)에 의하여 피복된 내부공간을 제외하고 채취된 각 내부공간의 혈액을 교반하도록 한다. 우선, 채혈 종료후 채혈침(3)으로부터 밀봉재(T)를 빨아당겨 체류 영역(14) 내에 밀봉재(T)를 봉입한다. 밀봉재(T)는 예를 들면, 채혈침(13)으로부터 흡입 가능한 발포 수지제 등이라면 좋을 것이다. 밀봉재(T)에 의하여 연통공(16a, 16b, 16c)이 밀봉된 진공 채혈관(1)은 홀더(2)로부터 밀봉재(T)와 함께 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뽑혀진 진공 채혈관(1)은 교반기(4)의 교반조(41)에 넣어져 음파 진동 발진기(42)로부터 발진되는 음파에 의하여 진동자(43)를 통하여 교반조(41)에 진동을 전달하며, 이러한 진동이 음파 흡수체(18)에 의하여 피복된 내부공간 이외의 내부공간 안의 혈액과 항응고제의 교반을 행한다.
도 7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진공 채혈관(1)을 평판 형상으로 형성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은 본 실시 형태의 진공 채혈관(1')을 홀더(2)에 삽입한 상태의 상면 개략도이다. 진공 채혈관(1')은 내부공간(17a, 17b, 17c)이 각 내부공간의 짧은 쪽 방향의 동일 평면 상에 병렬시킴으로써 관 형상체의 부분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체류 영역(14)은 상기 병렬시킨 방향에 가로 길이의 공간이 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관 형상체가 홀더(2)로부터 외부로 노출되고, 홀더(2)에는 상기 관 형상체의 선단 방향으로 형성된 도입관(19)만 삽입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입관(19)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관 형상체 전체, 즉 평판 형상의 진공 채혈관(1') 전체가 삽입 가능하도록 홀더를 변형시켜 진공 채혈관(1') 전체를 홀더에 삽입하는 형태로 하여도 좋다(미도시).
진공 채혈관(1')과 같이 관 형상체의 부분을 평판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채혈 후 진공 채혈관(1')을 검사기관 등에 이송할 때 효율 좋게 겹쳐 쌓아 운반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특히, 검사설비가 없는 진료소에서 건강진단 등 대량의 채혈을 행하는 경우, 혹은 재난 지역이나 전쟁터 등 가설 진료소 등에서 채혈을 행하여 검사기관으로 이송하는 경우 등에 지극히 편리하다.
도 7(b)는 도7(a)의 또다른 변형예이며,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홀더(2)로부터 노출된 상기 관 형상체가 가요성을 가지며, 이러한 관 형상체를 올려두는 팔의 곡률에 맞춰서 만곡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진공 채혈관(1')을 안정시켜 채혈할 수 있으므로, 피채혈자의 신체적 부담이나 채혈자의 노력 부담을 더욱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홀더(2)에 걸이구 등의 손가락 걸이부를 형성하고, 이것을 당김으로써 진공 채혈관(1')을 이동시키도록 하는 구성을 하여도 좋다(미도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검사방법 식별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채혈관(1)은 검사 목적이 다른 복수의 혈액을 동일한 관 형상체 내부로 채취하기 위하여 검사를 실시할 때 어느 내부공간의 혈액이 어느 검사를 행하는 것인가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형광 반응을 이용한 검사방법 식별장치(5)를 사용하여 검사 항목을 식별하기 위하여 진공 채혈관(1)의 각 내부공간(17a, 17b, 17c)을 외부로부터 식별할 수 있는 위치에 소정의 광선을 조사하면, 각 내부공간(17a, 17b, 17c)에 대응하는 다른 형광 반응을 나타낸 형광재(ra, rb, rc)를 도포, 덧붙임 등의 수단에 의하여 붙인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레이저 광에 의하여 조사하는 장치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취지는 아니다. 검사방법 식별장치(5)는 우선, 제어부(51)에 의하여 레이저 광 발생 유닛(52)을 가동시켜 레이저 광 발생 유닛(52)으로부터 상기 형광재(ra, rb, rc) 중 어느 것을 향하여 레이저 광을 조사시킨다. 레이저 광(L)이 조사된 형광재는 각각 독자적인 형광 반응(F)을 나타낸다. 즉, 상기 형광재(ra, rb, rc)에 의하여 다른 형광 반응을 나타낸다. 이러한 형광 반응(F)을 형광 검출 유닛(53)으로 광을 받아들여 제어부(51)로 각 형광 반응(F)에 대응하는 검사방법을 데이터 베이스(54)에서 읽어 내고, 읽어낸 검사방법을 표시 모니터(55)로 표시한다. 검사방법 식별장치(5)에 의하여 진공 채혈관(1)의 외부로부터 각 내부공간(17a, 17b, 17c)에 채취된 혈액의 검사방법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51)는 공지의 CPU, 메모리 등을 구비한 컴퓨터이며, 검사방법 식별장치(5)의 상기 각 구성요소를 상기와 같이 구성시킨 컴퓨터 프로그램이 인스톨된 것이면 좋다. 그리고, 검사방법 식별장치(5)는 검사기기에 접속되고, 제어부(51)가 표시 모니터(55)에서 표시된 검사방법에 기초하여 검사기기(미도시)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구비하여 좋다.
한편,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진공 채혈관(1)의 관 형상체는 복수의 내부공간(17a, 17b, 17c)을 일체적으로 형성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실제의 혈액 검사 항목은 다종다양한 것이며, 검사 항목의 종류의 조합은 혈액 검사의 목적에 따라 다르다. 상기 복수의 내부공간(17a, 17b, 17c)을 가진 관 형상체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경우는 이러한 조합의 패턴을 상정하여 패턴의 수만큼 관 형상체를 작성할 필요가 있다. 비교적 높은 빈도로 사용되는 조합의 패턴인 경우는 일체적인 형성에 의한 관 형상체라도 좋으나, 일부 사용 빈도가 낮은 조합인 일체적인 관 형상체는 그 검사 항목의 조합의 수요가 없는 한 사용되지 않으며, 조합된 다른 검사 항목에 대응하는 내부공간이 헛되게 되버릴 우려가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은 조합의 케이스에서는 상기 내부공간 사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로 하여 필요에 대응하여 탈착 가능하게 하면 좋다.
도 9(a)는 바닥을 지닌 상부가 개구단이 된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6)와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6)와 결합 가능한 관 형상체(1)의 사시도이며, (b)는 관 형상체(1)와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6)를 결합한 상태의 저면도이다. 관 형상체(1)의 외측면에 관 형상체(1)의 축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17d)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17d)은 단면 형상이 관 형상체(1)의 중심축을 따라 홈의 폭이 확장되는 형상으로 된다. 한편,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6)는 상단 가장자리부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정막(15, 도 9에서는 미도시)에 장착 가능하도록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6) 본체 부분보다도 직경이 확장되는 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의 링 형상 홈(6b)을 가진다. 또한,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6)는 고정막(15)에 장착하기 전 링 형상 홈(6b)보다 약간 하측의 위치에서 상기 개구단을 밀폐하는 밀폐부재(6a)에 의하여 밀폐된다.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6)의 외측면에는 단면 형상이 관 형상체(1)의 가이드 홈(17d)에 체결되는 형상의 가이드 리브(6d)가 형성된다.
관 형상체(1)의 가이드 홈(17d)에 대하여 관 형상체(1)의 저면 방향으로부터 체류 영역(14, 도 9에서는 미도시) 방향을 향하여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6)의 상기 개구단측으로부터 가이드 리브(6d)를 슬라이드 끼움 결합시킴으로써 관 형상체(1)와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6)를 병렬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관 형상체(1)와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6)를 병렬적으로 결합시키면, 저면은 도 9(b)와 같이 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가이드 홈(17d)과 가이드 리브(6d)를 결합시키는 형태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특허청구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이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관 형상체(1)와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6)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면, 예를 들면 가이드 홈과 가이드 리브의 설치 위치를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하여도 좋고, 또한 가이드 홈의 형상도 상면에서 보아 파선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어느 것도 미도시).
도 10은 고정막(15)에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6)를 장착시킨 장착부(151)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장착부(151)는 어느 연통공에 형성되어도 좋으나, 설명의 편의상,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통공(16a)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도 10(a)는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6)를 장착하기 전의 장착부(151)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장착부(151)는 연통공(16a)과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6)와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구성된다. 이 연결관은 축 방향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채혈시 혈류 방향을 향하여 하부측이 깔때기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선단 부분에서는 첨예한 관 형상의 찔러넣기체(151a)가 형성된다.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6)를 장착하기 전 이 찔러넣기체(151a)는 탄성 피복재(151c)에 의하여 피복된다. 이 탄성 피복재(151c)에 의하여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6)를 장착하지 않은 경우 체류 영역(14)에 체류된 혈액이 장착부(15)로부터 외부로 새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이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보다 상부에는 링 형상 돌기부(151b)가 형성된다.
도 10(b)는 장착부(151)에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6)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6)의 링 형상 홈(6b)을 링 형상 돌기부(151b)에 끼움 결합시켜 장착한다. 그리고, 링 형상 홈(6b)에는 O링(6c)를 장착시켜 외부로부터 공기 등이 들어오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장착과 동시에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6)의 밀폐부재(6a)는 탄성 피복재(151c)를 수축시켜 밀어 내고, 찔러넣기체(151a)를 노출시킴과 동시에 이러한 노출된 찔러넣기체(151a)가 밀폐부재(6a)를 찔러 넣고, 연통공(16a)과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6)를 연통시킨다. 상기과 같이 관 형상체의 일부를 나중에 자유로이 탈착 가능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검사 항목에 대응 가능한 관 형상체를 적절하고 자유로이 설치할 수 있고, 헛되지 않은 관 형상체의 형성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관 형상체의 일부를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에 의하여 탈착 가능한 것이지만, 모든 관 형상체를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로 하여 탈착 가능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미도시). 이 경우, 각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의 외측면에는 병렬적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가이드 홈 또는 가이드 리브 어느 것을 형성하여도 좋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채혈 유닛을 사용한 채혈방법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흐름선도이다. 이하,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채혈하기 전에 채혈침(3)의 상기 타단은 밀폐부재(32)에 의하여 밀폐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채혈침(3)의 상기 일단을 피채혈자의 혈관에 찔러넣는다(S1). 진공 채혈관(1)을 홀더(2)로부터 홀더(2)의 개방단 방향으로 당겨서(S2), 밀폐부재(32)를 떼어내기 기구(13)에 의하여 뽑아낸다(S3). 채혈침(3)으로부터 흡인되는 혈액의 혈압과 미리 감압 처리된 진공 채혈관(1) 내부의 체류 영역(14) 내의 압력과의 압력차에 의하여 혈액은 체류 영역(14) 안으로 유입되고, 신축막(12)을 신장시켜 체류된다(S4). 체류된 혈액은 연통공(16a, 16b, 16c)을 통하여 각 내부공간(17a, 17b, 17c)으로 나뉘어 흘러들어 가게 된다(S5). 상기 압력차가 해소되어 혈압과 내부공간(17a, 17b, 17c)의 압력이 평형 상태가 되면(S6), 혈액의 유입은 정지되므로, 채혈침(3)을 피채혈자의 혈관으로부터 뽑아낸다(S7). 이때, 체류 영역(14) 내의 혈액은 각 내부공간(17a, 17b, 17c)으로 유출되어 있으므로, 채혈침(3)으로부터 이 체류 영역(14) 내에 밀봉재(T)를 봉입한다(S8). 밀봉재(T)가 충분히 봉입되면, 진공 채혈관(1)을 홀더(2)로부터 홀더(2)의 개방단 방향을 향하여 뽑아내면 채혈 처리가 종료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일단 채혈침(3)을 혈관에 찔러 넣은 후, 채혈이 종료될 때까지 채혈침(3)이 찔러 넣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일이 없이 피채혈자의 고통을 경감시켜 줄 수 있다.
1...진공 채혈관
2...홀더
3...채혈침
4...교반기
5...검사방법 식별장치
6...카트리지식 관 형성체
11...마개 본체
12...신축막
13...떼어내기 기구
14...체류 영역
15...고정막
16a, 16b, 16c...연통공
17a, 17b, 17c...내부공간
18...음파 흡수체
19...도입관
21...침 접합부
22...턱부
31...침 기부
32...밀폐부재

Claims (20)

  1. 소정 용량의 내부공간을 가지는 바닥이 있는 관 형상체와, 상기 내부공간 내를 소정의 감압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관 형상체의 개방단을 기밀하게 밀봉하는 마개 본체로 이루어지며,
    일단을 혈관에 찔러 넣고, 타단을 상기 마개 본체에 찔러 넣는 중공의 채혈침을 통하여, 혈압과 상기 내부공간 내의 압력과의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관 형상체의 내부공간에 혈액을 채취하는 진공 채혈관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은, 칸막이에 의하여 복수의 내부공간으로 분할되고, 각 내부공간은, 각종 혈액검사의 목적에 대응하여 소정의 용량을 구비함과 동시에 소정의 감압도로 유지되며, 상기 혈관에 찔러넣어진 채혈침을 통하여 상기 각 내부공간에 상기 각종 혈액검사의 목적에 대응하는 양의 혈액이 채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채혈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내부공간은, 상기 소정의 용량을 확보하고, 긴 쪽 방향과 동일한 길이로 하기 위하여, 짧은 쪽 방향의 길이를 조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채혈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 형상체는, 상기 마개 본체와 상기 복수의 내부공간과의 사이에 상기 마개 본체에 찔러 넣어진 채혈침의 상기 타단의 삽입 관통을 허용하는 신축막과, 상기 채혈침의 타단이 관통하지 않는 고정막과, 상기 관 형상체의 내벽면으로 구성된 영역에서, 소정의 감압 상태가 유지된 혈액의 체류 영역을 가지며, 상기 고정막에는 상기 체류 영역과 상기 각 내부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신축막에 삽입 관통된 채혈침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체류 영역에 혈액이 유입되면, 상기 체류 영역 내에서 혈액이 상기 신축막을 신장시켜 체류하고, 상기 체류한 혈액이 상기 연통공을 통하여 상기 각 내부공간에 나뉘어 흐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채혈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체류 영역으로부터 상기 각 내부공간에 혈액이 나뉘어 흐르게 될 때는, 상기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각 연통공을 개방하며, 각 내부공간에 채취된 혈액이 상기 소정 용량에 도달하고, 혈압과 상기 내부공간 내의 압력이 평형 상태가 되면, 상기 각 연통공을 밀폐하는 역류방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채혈관.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각 내부공간으로 혈액이 유입된 후의 체류 영역은, 상기 채혈침으로부터 상기 연통공을 밀봉하는 밀봉재의 봉입을 허용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채혈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신축막 및 고정막은, 적어도 혈액 및 상기 밀봉재가 스며나오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채혈관.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내부공간을 상기 짧은 쪽 방향의 동일 평면 위에 병렬시키고, 상기 관 형상체를 평판 형상으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채혈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관 형상체는, 소정의 곡률에 의하여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채혈관.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관 형상체는, 가요성을 가지며, 관 형상체를 올려두는 팔의 곡률에 맞춰서 만곡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채혈관.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공간 중, 적어도 한 내부공간의 외부 둘레가 음파 흡수체에 의하여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채혈관.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 형상체의 외부로부터 상기 각 내부공간을 식별할 수 있는 위치에, 소정의 광선을 조사하면, 각 내부공간에 대응하여 다른 형광 반응을 나타내는 형광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채혈관.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 형상체와, 개구단이 밀폐부재로 밀폐된 바닥을 가지는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를 병렬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어느 일측의 외측면에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타측의 외측면에 상기 가이드 홈과 결합 가능한 가이드 리브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막은 상기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의 장착이 가능한 연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채혈관.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의 장착이 가능한 연통공은, 탄성 피복재로 피복된 관 형상의 찔러넣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를 장착할 때에 상기 밀폐부재에 의하여 상기 탄성 피복재를 수축시켜 찔러넣기 수단을 탄성 피복재로부터 밀어내고, 상기 밀폐부재를 찔러넣어 연통공과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를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채혈관.
  14.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고정막의 연통공은, 모두 상기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의 장착이 가능한 연통공이며, 각 연통공에 장착되는 카트리지식 관 형상체는, 병렬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외측면에 상기 가이드 홈 또는 가이드 리브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채혈관.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진공 채혈관과, 일단이 혈관에 찔러 넣어지고, 타단이 상기 진공 채혈관을 구성하는 관 형상체의 개방단을 기밀하게 밀봉하는 마개 본체에 찔러 넣어진 채혈침과, 상기 진공 채혈관의 봉입이 가능한 개방단을 가지며, 타단 저부가 상기 채혈침을 접속하는 침 접합부를 가지는 바닥을 지닌 통 형상의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 유닛.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채혈침은, 상기 타단을 피복하고, 채혈침이 상기 침 접합부에 접속된 홀더의 개방단으로부터 홀더 내부에 삽입된 상기 진공 채혈관의 마개 본체에 찔러 넣어지면, 상기 타단에 의하여 찔러 넣어져 관통되어 수축하는 두겁(
    Figure pct00003
    )체를 구비하며, 상기 두겁체를 찔러 넣어 관통한 타단은 마개 본체를 관통하고, 상기 관 형상체 내부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 유닛.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채혈침은, 상기 관 형상체의 내부에서 상기 채혈침의 타단을 막는 밀폐부재를 가지며, 상기 관 형상체의 내부에 상기 진공 채혈관을 상기 홀더의 개방단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밀폐부재를 밀봉시켜 상기 채혈침으로부터 떼어 내는 떼어내기 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 유닛.
  18.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 형상체는, 청구항 5의 밀봉재의 봉입 후에 상기 홀더로부터 밀봉재와 함께 뽑아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 유닛.
  19.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진공 채혈관은, 상기 홀더에 삽입 가능한 크기를 가지는 도입관을 구비하고,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은 상기 홀더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 유닛.
  20. 청구항 11에 기재된 형광재를 부착한 관 형상체에 상기 소정의 광선을 조사하는 조사 수단과, 상기 광선이 조사된 형광재 각각의 형광 반응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된 형광 반응에 대응하는 각 내부공간에 채혈된 혈액의 검사방법을 읽어내고, 읽어낸 검출 방법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방법 식별장치.
KR1020127022447A 2010-03-15 2010-12-28 진공 채혈관, 채혈 유닛 및 검사방법 식별장치 KR201300388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57568 2010-03-15
JPJP-P-2010-057568 2010-03-15
PCT/JP2010/007618 WO2011114413A1 (ja) 2010-03-15 2010-12-28 真空採血管、採血ユニット及び検査方法識別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801A true KR20130038801A (ko) 2013-04-18

Family

ID=44648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447A KR20130038801A (ko) 2010-03-15 2010-12-28 진공 채혈관, 채혈 유닛 및 검사방법 식별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006148A1 (ko)
EP (1) EP2548507B1 (ko)
JP (1) JP5661740B2 (ko)
KR (1) KR20130038801A (ko)
CN (1) CN102802525B (ko)
WO (1) WO20111144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273B1 (ko) * 2013-10-09 2015-03-06 박성식 채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60724B2 (en) 2012-05-30 2015-06-23 Magnolia Medical Technologies, Inc. Fluid diversion mechanism for bodily-fluid sampling
WO2013191659A1 (en) * 2012-06-21 2013-12-27 Beng Teck See Modified syringe
WO2014058945A1 (en) 2012-10-11 2014-04-17 Bullington Gregory J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 fluid to a patient with reduced contamination
MX2015007134A (es) * 2012-12-05 2016-02-05 Theranos Inc Sistemas, dispositivos, y metodos para la recoleccion y transportacion de muestras de fluidos corporales.
WO2014185905A1 (en) 2013-05-15 2014-11-2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Vacuum pressure regulators for use during blood collection
CN104188671A (zh) * 2014-08-27 2014-12-10 珠海倍健电子科技有限公司 旋转开盖式真空采血管
CN105147303A (zh) * 2015-08-31 2015-12-16 济南方宇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高安全性医疗用采血针
CN105147302A (zh) * 2015-08-31 2015-12-16 济南方宇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新型医疗用采血装置
CN105277716A (zh) * 2015-09-23 2016-01-27 上海凯璟生物科技有限公司 脂蛋白磷脂酶A2(Lp-PLA2)免疫荧光探针检测试剂盒
CN105559799A (zh) * 2015-12-18 2016-05-11 长沙汇一制药机械有限公司 一种真空采血管
CN106821397A (zh) * 2016-12-26 2017-06-13 江苏康捷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全自动设备真空血凝管
CN106618607A (zh) * 2016-12-28 2017-05-10 江苏康捷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多功能采血管
EP3427833A1 (en) 2017-07-10 2019-01-16 Victor Lind A device for test preparation of blood for determination of glucose concentration in blood plasma
EP3681384B1 (en) 2017-09-12 2022-12-28 Magnolia Medical Technologies, Inc. A system
CN109124654A (zh) * 2018-10-24 2019-01-04 山东亨洁医用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真空采血管
CN113189354B (zh) * 2021-04-30 2023-09-19 重庆国际旅行卫生保健中心(重庆海关口岸门诊部) 一种便携式快速血型正定型检测组件
CN114870924B (zh) * 2022-04-29 2023-05-26 宁波中盛产品检测有限公司 一种QuEChERS提取法用组合式离心管
CN116807522B (zh) * 2023-08-28 2023-12-15 山东第一医科大学附属省立医院(山东省立医院) 一种膝关节外科手术前炎症调节检测评估设备
CN117547263B (zh) * 2024-01-12 2024-03-19 成都中医药大学 一种用于深静脉的穿刺针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5252A (en) * 1968-12-05 1972-02-29 Gilford Instr Labor Inc Apparatus for sampling blood or the like fluid
US3674011A (en) * 1971-01-12 1972-07-04 United Medical Lab Inc Means for and method of transfering blood from a patient to multiple test tubes within a vacuum
US4150089A (en) * 1977-09-06 1979-04-17 Linet Michael S Multi-chamber test tube
JPS63216542A (ja) * 1987-03-06 1988-09-08 テルモ株式会社 採血容器及びこれを備えた採血器具
JPS63296733A (ja) * 1987-05-29 1988-12-02 Terumo Corp 連結採血管およびそれを備えた採血器具
JPS6432168A (en) * 1987-07-14 1989-02-02 Battelle Development Corp Integrator for sampling and diagnosis
IT1223535B (it) * 1987-12-18 1990-09-19 Instrumentation Lab Spa Perfezionamenti ai dispositivi monouso per prelievo e contenimento di campioni di sangue
US5247941A (en) * 1992-01-06 1993-09-28 Microbyx Corporation Multifunction collecting device for body fluids
JP3494183B2 (ja) * 1993-08-10 2004-02-03 株式会社アドバンス 簡易採血装置
US5810775A (en) * 1997-05-23 1998-09-22 Shaw; Thomas J. Cap operated retractable medical device
JPH1176205A (ja) * 1997-09-11 1999-03-23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樹脂製減圧採血管
US6179787B1 (en) * 1997-09-12 2001-01-3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JP2005156332A (ja) 2003-11-25 2005-06-16 Sefa Technology Kk 血液検査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真空採血管
US7357967B2 (en) * 2004-02-27 2008-04-15 Owens-Illinois Prescription Products Inc. Container having fluorescent indicia
WO2007092585A2 (en) * 2006-02-08 2007-08-1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Biological specimen collection and storage devices
CN101154274A (zh) * 2006-09-29 2008-04-02 正品科技(北京)有限公司 数据图像与数据卡的保护与检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273B1 (ko) * 2013-10-09 2015-03-06 박성식 채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48507A1 (en) 2013-01-23
US20130006148A1 (en) 2013-01-03
JP5661740B2 (ja) 2015-01-28
WO2011114413A1 (ja) 2011-09-22
JPWO2011114413A1 (ja) 2013-06-27
EP2548507A4 (en) 2013-10-30
CN102802525A (zh) 2012-11-28
EP2548507B1 (en) 2014-11-26
CN102802525B (zh) 201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8801A (ko) 진공 채혈관, 채혈 유닛 및 검사방법 식별장치
CN1969184B (zh) 样本采集、处理和分析组件
US20210186393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bodily fluid sample collection
AU748070B2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KR20110025819A (ko) 폐쇄된 용기 시료 채취 시스템을 위한 허브에 꽂힌 이중 캐뉼러 기기
BR112015026242B1 (pt) Dispositivo de coleta de fluido biológico e sistema de separação e testagem de fluido biológico
CN104107053B (zh) 生物流体传递装置、生物流体取样***及分离和检验***
JP2010266464A (ja) 検体の採取方法、検査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スポイト、検体採取器具
AU741023B2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US6612997B1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AU747043B2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EP0901818A2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AU743123B2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CN115768560A (zh) 样本预处理管
JP2003057233A (ja) 真空の管および尿沈殿物の顕微鏡検査、化学及び微生物の分析のための方法
US6221307B1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JP3240552U (ja) 糞便サンプル採取検査装置
US20240042449A1 (en) Test device, test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est device for carrying out a test directed to the detection of an organic structure
KR20230007846A (ko) 정량형 타액 검체 채취 도구
KR100502967B1 (ko) 검체은행용 튜브
WO200401455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sediment from a fluid sample
JP2001050949A (ja) 検査用器具
MXPA98006919A (en) Container unit for recolec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