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4384A -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소화기 - Google Patents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4384A
KR20130034384A KR1020110098365A KR20110098365A KR20130034384A KR 20130034384 A KR20130034384 A KR 20130034384A KR 1020110098365 A KR1020110098365 A KR 1020110098365A KR 20110098365 A KR20110098365 A KR 20110098365A KR 20130034384 A KR20130034384 A KR 20130034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ain body
compressed air
communication hol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0451B1 (ko
Inventor
임선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텍
Priority to KR1020110098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451B1/ko
Publication of KR20130034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6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확산형 소화기 내부의 충전압력의 적정상태 여부를 시각뿐만 아니라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충전압력 감지기를 구비한 확산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밀누설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소화기는 확산소화기의 몸체에 별도의 경보장치를 부착하여 내부에 충전된 압축공기의 누출을 사용자가 청각 및 시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소화기{Gas tight leakage walking device For automatic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확산소화기 내부의 충전압력의 적정상태 여부를 시각뿐만 아니라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충전압력 감지기를 구비한 확산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내부에는 화재에 대비하여 화재진압수단을 강구하게 된다. 건축물의 중요 위치 및 건축물의 입구나 출구에 비치하는 소화기부터 천정에 설치되어 소화수를 분무하는 스프링 쿨러 및 소화액을 분사하는 확산형 소화기등 다양한 화재대비책이 강구된다.
이처럼 소방설비를 설치할 수 없는 협소한 공간이나 소화수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없는 위치인 보일러실, 기관실, 유류실이나 가정의 주방에는 자동확산 소화기를 설치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자동확산 소화기(1)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액을 충진할 수 있도록 원형으로 구성되는 저장탱크(2) 및 저장탱크(2)를 천정 상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저장탱크(2)의 상단에 형성되는 고정구(3)로 형성된다.
또한, 저장탱크(2)의 하단에는 저장탱크(2)와 연통되는 밸브(4)가 형성되고, 밸브(4)의 일측에는 저장탱크(2) 내부의 압력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압력표지판(5)이 결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밸브(4)의 하단에는 소화액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6)이 결합되고, 분사노즐(6)은 캡(7)으로 마감되어 구성된다.
캡(7)은 72℃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납으로 고정되어 화재 발생시 온도 상승으로 72℃이상이 되면 납이용융되면서 소화액이 화엽으로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확산형 소화기는 시간이 지나다보면 내부에 충전된 압축공기나 불연성가스가 누출되어 화재발생시 소화액이 분사되지 않아 소화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큰 화재로 번지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 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밸브(4)의 측면에 압력표지판(5)을 설치하여 소화기 내부의 압력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는 사용자가 매번 정기적으로 확인을 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20-0447990 {자동확산 소화기}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자동 확산소화기 내부에 충전된 압축공기가 누출되어 화재시 작동하지 않게 되는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압축공기 및 소화액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에 경보장치를 설치하고, 압축공기가 누출될 경우 경보장치가 작동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이나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소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밀 누출 경보장치를 구비한 확산소화기는 내부에 소화액을 포함하고 압축공기가 충진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본체(100)에 압축공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210)가 형성되고 화재발생시 상기 소화액을 분사시키는 분사노즐(220)을 포함하는 밸브(200); 일측에 상기 본체(100)와 연통되는 제1 하우징 연통공(310)이 형성되고, 타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제2 하우징 연통공(320)이 형성되는 하우징(300); 상기 하우징(300) 내부에 상기 하우징(300) 내측 벽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특정 압력 이하인 경우 스프링(50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300) 내측 벽면을 따라 상기 하우징(300)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 연통공(3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320)을 상호 연통시키는 이동부(400); 상기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누출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특정 압력 이하가 되면 상기 제1 하우징 연통공(3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32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에 의해 경보 신호를 발생하도록 상기 하우징(300)의 타측에 형성되는 경보신호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400)는 피스톤(410)과, 일측이 상기 피스톤(410)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300)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타측 둘레면에 멈춤핀(430)이 돌출 형성되는 샤프트(42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0) 내부에 압축공기가 충전되기 전 상기 피스톤(410)이 상기 제1 하우징 연통공(3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3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멈춤핀(430)에 끼워지는 제1 안내홈(451)과 상기 제1 안내홈(451)과 교차하며 상기 제1 안내홈(451)보다 일정깊이 더 함입되며 상기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누출된 경우 상기 피스톤(410)이 이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 연통공(3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320)을 상호 연통시키도록 상기 멈춤핀(430)에 끼워지는 제2 안내홈(452)이 형성되는 회전레버(450)가 상기 샤프트(420)에 회동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상기 본체(100) 내부에 압축공기가 충전되어 상기 멈춤핀(430)이 상기 제1 안내홈(451)으로부터 이탈된 경우 상기 회전레버(450)를 일정 각도 만큼 회전시켜 상기 멈춤핀(430)이 상기 제2 안내홈(452)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레버(450)에는 회전레버 스프링(46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450)에는 제1 걸림턱(45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레버(450)가 상기 회전레버 스프링(460)에 의하여 상기 일정 각도 만큼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에는 상기 제1 걸림턱(453)에 걸리는 제2 걸림턱(340)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0) 내측에는 상기 샤프트(420)를 안내하기 위한 샤프트 안내공(310-H)이 관통 형성된 지지판(330)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500)은 상기 샤프트(420)에 끼워져 상기 피스톤(410)과 상기 지지판(310)에 의하여 탄지되고, 상기 회전레버(450)는 상기 지지판(330)과 상기 멈춤핀(43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 안내공(330-H)을 밀폐시키는 실링재(700)가 상기 샤프트(4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밀누설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소화기는 확산소화기의 몸체에 별도의 경보장치를 부착하여 내부에 충전된 압축공기의 누출을 사용자가 청각 및 시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압축공기의 누출을 감지할 수 있는 확산소화기의 제작에 있어서, 별도의 전원공급장치가 불필요하도록 누출 감지기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확산소화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 소화기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 소화기의 분해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 소화기의 작동 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의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 소화기의 부품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종래의 확산 소화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 소화기의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 소화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 소화기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 소화기의 부품 사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확산 소화기 내부의 충전압력의 적정상태 여부를 시각뿐만 아니라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충전압력 감지기가 내장된 확산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내부에 소화액을 포함하고 압축된 압축공기가 충진되는 본체(100)를 갖는다. 내부에 충전된 압축공기는 다양한 불연성 가스로 질소 및 이산화탄소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0)의 하단에는 밸브(200)가 설치된다. 밸브(200)의 일측에는 본체(100) 내부에 압축공기를 충전하는 목적을 갖는 충전부(210)가 형성된다. 충전부(210)를 통해서 압축공기뿐만 아니라 소화액도 충전할 수 있다. 밸브(200)의 하단에는 분사노즐(220)이 형성된다. 분사노즐(220)을 통하여 화재 발생시 본체(100)내부의 소화액이 확산 되어 분사된다. 분사노즐(220)의 하단은 납으로 막혀있다. 이는 화재 발생시 분사노즐(220)로 열이 전달되는데, 전달된 온도가 납이 용융되는 온도가 되면 자동적으로 분사노즐(220)이 개방되어 소화액이 분사된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체(100)의 일측면에는 하우징(300)이 설치된다. 하우징(300)은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300)의 일측에는 본체(100) 내부와 연통되는 제1 하우징 연통공(310)이 하우징(30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제1 하우징 연통공(310)은 하우징(300)의 일측 둘레면에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와 연통되는 제2 하우징 연통공(320)이 제1 하우징 연통공(310)과 상호 대향 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제2 하우징 연통공(320)은 하우징(300)의 타측에 관통 형성되며 외부와 연통 되도록 형성된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하우징(300)의 내부에는 이동부(400)가 설치된다. 이동부(400)는 하우징(300)의 내측 벽면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동부(400)는 하우징(300)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피스톤(410)을 포함한다. 피스톤(410)의 일측면에는 피스톤(410)과 일체로 형성되는 샤프트(420)가 돌출 형성된다. 샤프트(320)는 하우징(20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돌출되어 형성된다. 샤프트(420)의 타측에는 멈춤핀(430)이 돌출 형성되는데 멈춤핀(430)은 샤프트(4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샤프트(420)와 상호 분리되도록 샤프트(420)의 끝단에 형성된 장공(미도시)에 멈춤핀(430)이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하우징(300) 내측에는 지지판(330)이 형성된다. 지지판(310)의 중앙에는 샤프트 안내공(310-H)이 형성된다. 샤프트 안내공(310-H)은 샤프트(420)가 하우징(3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샤프트(420)에 끼워지며 일측이 피스톤(410)의 일측면에 지지되고 타측이 지지판(330)에 지지되는 스프링(500)이 하우징(300) 내부에 설치된다. 스프링(500)은 지지판(330)에 지지되어 스프링(500)의 탄성으로 피스톤(410)을 지지한다.
즉, 피스톤(410)은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의 압력 의해 하우징(300)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하우징 연통공(3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320)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특정 압력 이하인 경우 스프링(50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하우징 연통공(3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320)이 상호 연통 되도록 피스톤(410)이 하우징(300)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하우징(300)의 내측에는 샤프트(420)에 끼워지며 회전이 가능한 회전레버(450)가 설치된다. 회전레버(450)는 지지판(330)을 중심으로 스프링(500)과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즉, 회전레버(450)는 지지판(330)과 상기 멈춤핀(4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회전레버(450)의 일측은 지지판(330)에 지지되어 회전되도록 돌출턱(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되고 돌출턱은 회전레버(450)의 마찰계수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된다.
도 5 를 참조하면 회전레버(450)의 타측은 제1 안내홈(451)과 제2 안내홈(452)이 함입 형성된다. 제2 안내홈(452)은 제1 안내홈(451)보다 일정깊이 더 함입되도록 형성되며 제1 안내홈(451)과 교차되도록 형성된다. 제1 안내홈(451) 및 제2 안내홈(452)에는 멈춤핀(430)이 원활히 안착 될 수 있도록 적어도 멈춤핀(430)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야 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회전레버(450)의 일측에는 회전레버 스프링(460)이 설치된다. 회전레버 스프링(460)은 회전레버(450)를 일정 각도 만큼 회전시켜 멈춤핀(430)이 제1 안내홈(451) 및 제2 안내홈(452)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멈춤핀(430)이 제1 안내홈(451)에 안착되어 있을 경우 피스톤(410)은 제1 하우징 연통공(3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320) 사이에 위치하며 회전레버 스프링(46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되려고 하는 회전레버(450)를 고정한다. 이때 피스톤(410)을 탄지하던 스프링(500)은 압축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4 를 참조하면 멈춤핀(430)이 제2 안내홈(452)에 안착되어 있을 경우 피스톤(410)은 스프링(500)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300)의 타측으로 이동된다. 즉 제1 하우징 연통공(3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320)이 피스톤(410)의 타측에 위치하도록 피스톤(410)은 하우징(300)의 타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 하우징 연통공(3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320)은 상호 연통 되고 본체(100) 내부와 연통 되어 있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작동방법은 하술하는 본 발명의 작동방법 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를 참조하면 회전레버(450)의 타측에는 제1 걸림턱(453)이 돌출 형성된다. 제1 걸림턱은(453)은 회전레버(450)가 회전레버 스프링(460)의 탄성에 의해 회전될 때 일정 각도 만큼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제1 걸림턱(453)에 걸리는 제2 걸림턱(340)이 하우징(300)의 내측에 형성된다. 제1 걸림턱(453)이 제2 걸림턱(340)에 걸리도록 제1 걸림턱(453)이 제2 걸림턱(340)은 상호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샤프트(420)의 외주면에는 실링재(700)가 형성된다. 실링재(700)는 샤프트(420)가 끼워질 때 샤프트 안내공(310-H)과 샤프트(420)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켜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피스톤(410)과 실링재(700) 사이에는 샤프트 멈춤대(421)가 형성된다. 샤프트 멈춤대(421)는 이동부(400)가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의 압력에의해 이동될 때 이동부(400)가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즉,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의 압력이 높아 샤프트(420)에 형성된 실링재(700)가 샤프트 안내공(310-H)에서 이탈되면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외부로 누출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다.
도 3 을 참조하면 하우징(300)의 일측은 본체(100) 일측면에 설치되어 본체(100) 내부와 연통되고, 하우징(300)의 타측에는 경보신호부(600)가 형성된다. 경보신호부(600)는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누출되어 본체(100) 내부의 압력이 특정 압력 이하가 되면 피스톤(410)이 스프링(500)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300)의 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피스톤(410)이 하우징(300)의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 하우징 연통공(3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320)이 상호 연통하게 되어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제2 하우징 연통공(320)을 지나 외부로 배출된다. 외부로 배출되는 압축공기가 경보신호부(600)의 내부에 형성된 울림판(도면부호 미부여)을 작동시켜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인지시켜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알릴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 소화기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의 (a)를 참조하면 본체(100) 내부에 압축공기가 충전되어 있지 않는 경우
피스톤(410)은 제1 하우징 연통공(3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32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멈춤핀(430)은 회전레버(450)의 제1 안내홈(451)에 안착되어 피스톤(410)이 스프링(500)의 탄성에 의해 하우징(300) 타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샤프트 안내공(310-H)은 실링재(700)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
도 4 의 (b)를 참조하면 본체(100) 내부에 압축공기가 충전되어 있는 경우
하우징(300)의 제1 하우징 연통공(310)을 통해 압축공기가 피스톤(410)을 가압하면 스프링(500)도 압축공기에 의해 압축된다. 피스톤(410)과 샤프트(420)가 하우징(300)의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동하면 샤프트 멈춤대(421)가 지지판(330)에 밀착되어 피스톤(410)의 이동을 차단한다. 멈춤핀(430)은 회전레버(450)의 제1 안내홈(451)에서 이탈된다. 멈춤핀(430)이 안착됨으로서 고정되어 있던 회전레버(450)는 회전레버 스프링(460)의 탄성력으로 인해 일정 각도 회전된다.
이때 하우징(300) 내부에 형성된 제2 걸림턱(423)에 회전레버(450)의 제1 걸림턱(453)에 걸리면서 회전레버(450)의 회전을 차단한다. 회전레버(450)는 제1 안내홈(451)과 제2 안내홈(452)이 교차된 각도만틈 회전된다. 따라서 제2 안내홈(452)과 멈춤핀(430)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도 4 의 (c)를 참조하면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누출되어 본체(100) 내부의 압력이 떨어진 경우
피스톤(410)을 가압하던 압축공기가 서서히 누출되면 스프링(50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부(400)가 하우징(300) 타측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멈춤핀(430)도 회전레버(450)의 제2 안내홈(452)에 안착 되며 샤프트 안내공(310-H)을 밀폐하고 있던 샤프트(420)에 형성된 실링재(700)도 샤프트 안내공(310-H)에서 서서히 이탈된다.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설정된 압력 이하가 되면 멈춤핀(430)은 제2 안내홈(452)에 안착되고 피스톤(410)은 하우징(300) 타측으로 이동하여 본체(100) 내부와 제1 하우징 연통공(310) 및 샤프트 안내공(310-H)과 제2 하우징 연통공(320)이 상호 연통 된다. 그러면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제2 하우징 연통공(320)을 지나 외부로 배출되면서 경보신호부(600)의 울림판(도면부호 미부여)을 작동시켜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인지시킨다.
도 6 의 (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경보신호부(600)의 내부에는 울림공을 설치하여 압축공기가 배출될 때 울림공이 경보신호부(600)의 벽면을 타격하여 알림소리를 발생 시킨다.
도 6 의 (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경보신호부(600)는 하우징(300)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회전날개(610)를 갖는다. 회전날개(610)는 압축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압축공기로 인해 회전이 된다. 회전날개(610)의 일측에는 타격대(620)가 형성 되고 타격대(620)는 회전날개(610)가 회전하면 동시에 회전하는 구조로 설치된다. 경보신호부(600)의 내측에는 타격대(620)가 타격하여 알림소리를 발생시키는 타격판(630)이 형성된다.
도 6 의 (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경보신호부(600)는 회전날개(610)의 일측에 자력을 갖는 자석과 자석의 둘레면을 감싸며 코일이 감겨있는 전력발생장치(640)가 설치된다. 회전날개(610)가 회전하면 전력발생장치(640)에서 전류가 발생 된다. 발생된 전류는 경보신호부(600)의 외측에 설치된 엘이디(650)에 공급되어 엘이디(00)가 점등되어 사용자가 압축공기의 누출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 의 (a)를 참조하면 경보신호부(600)의 끝단에는 경보신호부(600)를 감싸도록 캡(660)이 형성된다. 캡(660)은 경보신호부(600)를 밀폐시키도록 밀착되어 경보신호부(600)에 끼워진다.
도 7 의 (b)를 참조하면 캡(660)의 내부에는 알림부(670)가 설치된다. 알림부(67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도록 다양한 문구가 들어간 직물지로 형성될 수 있다. 알림부(670)의 일측은 경보신호부(600)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캡(660)에 고정되어 있다. 본체(100)에서 배출된 압축공기가 배출되면서 캡(660)이 압축공기에 의해 경보신호부(500)에서 이탈되며, 이때 캡(660) 내부에 형성된 알림부(670)가 펼쳐진다. 알림부(670)는 알림부(670)에 작성된 문구나 색이 사용자에게 압축공기의 누출을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리는 목적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경보신호부(600)는 별도의 전원공급장치가 불필요하여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만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경보신호부(600)는 상기 작성된 방법 이외의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8 을 참조하면 본체(100) 하단에 설치된 밸브(200)에는 내부에 이동부(400)가 설치되고 경보신호부(600)가 일측에 구비된 하우징(30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300)은 밸브(200) 내부에 형성된 연통홀(도면부호 미부여) 과 연통되며, 연통홀은 본체(100) 내부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하우징(300)은 본체(100) 내부와 상호 연통 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 소화기의 작동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작동한다.
100 : 본체 200 : 밸브
210 : 충전부 220 : 분사노즐
300 : 하우징 310 : 제1 하우징 연통공
320 : 제2 하우징 연통공 330 : 지지판
330-H : 지지판 연통공 340 : 제2 걸림턱
400 : 이동부 410 : 피스톤
420 : 샤프트 421 : 샤프트 멈춤대
430 : 멈춤핀 450 : 회전레버
451 : 제1 안내홈 452 : 제2 안내홈
453 : 제1 걸림턱 460 : 회전레버 스프링
500 : 스프링 600 : 경보신호부
610 : 회전날개 620 : 타격대
630 : 타격판 640 : 전력발생장치
650 : 엘이디 660 : 캡
570 : 알림부 700 : 실링재

Claims (5)

  1. 내부에 소화액을 포함하고 압축공기가 충진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본체(100)에 압축공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210)가 형성되고 화재발생시 상기 소화액을 분사시키는 분사노즐(220)을 포함하는 밸브(200);
    일측에 상기 본체(100)와 연통되는 제1 하우징 연통공(310)이 형성되고, 타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제2 하우징 연통공(320)이 형성되는 하우징(300);
    상기 하우징(300) 내부에 상기 하우징(300) 내측 벽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특정 압력 이하인 경우 스프링(50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300) 내측 벽면을 따라 상기 하우징(300)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 연통공(3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320)을 상호 연통시키는 이동부(400);
    상기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누출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특정 압력 이하가 되면 상기 제1 하우징 연통공(3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32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에 의해 경보 신호를 발생하도록 상기 하우징(300)의 타측에 형성되는 경보신호부(6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소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400)는 피스톤(410)과, 일측이 상기 피스톤(410)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300)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타측 둘레면에 멈춤핀(430)이 돌출 형성되는 샤프트(42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0) 내부에 압축공기가 충전되기 전 상기 피스톤(410)이 상기 제1 하우징 연통공(3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3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멈춤핀(430)에 끼워지는 제1 안내홈(451)과 상기 제1 안내홈(451)과 교차하며 상기 제1 안내홈(451)보다 일정깊이 더 함입되며 상기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누출된 경우 상기 피스톤(410)이 이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 연통공(3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320)을 상호 연통시키도록 상기 멈춤핀(430)에 끼워지는 제2 안내홈(452)이 형성되는 회전레버(450)가 상기 샤프트(420)에 회동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상기 본체(100) 내부에 압축공기가 충전되어 상기 멈춤핀(430)이 상기 제1 안내홈(451)으로부터 이탈된 경우 상기 회전레버(450)를 일정 각도 만큼 회전시켜 상기 멈춤핀(430)이 상기 제2 안내홈(452)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레버(450)에는 회전레버 스프링(46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소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450)에는 제1 걸림턱(45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레버(450)가 상기 회전레버 스프링(460)에 의하여 상기 일정 각도 만큼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에는 상기 제1 걸림턱(453)에 걸리는 제2 걸림턱(340)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소화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0) 내측에는 상기 샤프트(420)를 안내하기 위한 샤프트 안내공(310-H)이 관통 형성된 지지판(330)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500)은 상기 샤프트(420)에 끼워져 상기 피스톤(410)과 상기 지지판(310)에 의하여 탄지되고,
    상기 회전레버(450)는 상기 지지판(330)과 상기 멈춤핀(43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소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 안내공(330-H)을 밀폐시키는 실링재(700)가 상기 샤프트(4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소화기.
KR1020110098365A 2011-09-28 2011-09-28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소화기 KR101250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365A KR101250451B1 (ko) 2011-09-28 2011-09-28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365A KR101250451B1 (ko) 2011-09-28 2011-09-28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소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384A true KR20130034384A (ko) 2013-04-05
KR101250451B1 KR101250451B1 (ko) 2013-04-29

Family

ID=48436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365A KR101250451B1 (ko) 2011-09-28 2011-09-28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4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8280A (ko) * 2014-08-22 2014-11-05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KR101527747B1 (ko) * 2013-09-23 2015-06-10 (주)범진산업 벽 내장용 소화장치
WO2020071827A1 (ko) * 2018-10-05 2020-04-09 황준호 선박운송용 컨테이너 내부의 화재진압을 위한 파이프형 소화 설비
KR102162374B1 (ko) * 2020-01-10 2020-10-06 이혜인 스프링클러 설비용 건식습식 겸용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612B1 (ko) * 2015-01-22 2016-02-01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871Y1 (ko) * 1998-07-16 2002-02-19 김승제 가스레인지용자동소화장치
DE10101490A1 (de) 2001-01-12 2002-08-01 Fogtec Brandschutz Gmbh & Co Vorrichtung zur Brandbekämpfung
JP2003068027A (ja) 2002-08-19 2003-03-07 Fujitsu Ltd 光ディスク装置
JP2008099871A (ja) 2006-10-19 2008-05-01 Itachibori Mfg Co Ltd 消火設備用自動警報弁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747B1 (ko) * 2013-09-23 2015-06-10 (주)범진산업 벽 내장용 소화장치
KR20140128280A (ko) * 2014-08-22 2014-11-05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분사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용 롤러
WO2020071827A1 (ko) * 2018-10-05 2020-04-09 황준호 선박운송용 컨테이너 내부의 화재진압을 위한 파이프형 소화 설비
KR102100885B1 (ko) * 2018-10-05 2020-04-16 황준호 선박운송용 컨테이너 내부의 화재진압을 위한 파이프형 소화 설비
CN112912148A (zh) * 2018-10-05 2021-06-04 金相东 用于船舶运输用集装箱内部灭火的管式灭火设备
KR102162374B1 (ko) * 2020-01-10 2020-10-06 이혜인 스프링클러 설비용 건식습식 겸용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0451B1 (ko) 2013-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451B1 (ko)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소화기
KR101295042B1 (ko) 화재감지튜브 장착형 자동소화장치
KR102031857B1 (ko) 스프링클러의 누수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방재장치
KR102048799B1 (ko) 소공간 자동 소화장치
KR101161952B1 (ko) 주방 화재진압용 자동 및 수동식 소화장치
KR102152545B1 (ko)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JP5574342B2 (ja) 非電源無人消火装置
KR20080114460A (ko) 패널형 소화장치
JP2010517664A (ja) 消火器の作動装置
KR20220162197A (ko)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용 화재 진압포
KR100748612B1 (ko)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KR101003795B1 (ko) 화재 진압용 소화기
KR200400018Y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100679675B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101250453B1 (ko) 기밀 누출 경보장치
KR102146819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동력을 이용한 소방안전기구 장치
KR101778238B1 (ko) 자립형 소화장치
KR100914361B1 (ko) 교육용 소화장치
KR20210050705A (ko) 소화용기의 폭발방지가 가능한 천장용 소화기시스템
CN218420758U (zh) 一种无破片灭火弹
KR102679030B1 (ko) 화재진압 교육용 소화기
KR20220076892A (ko) 소공간 소화기
KR102156266B1 (ko) 건축물의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이동식 소방 용구 보관함
JP7503275B2 (ja) 火災抑制システム
KR200493776Y1 (ko) 튜브형 소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