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2293A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2293A
KR20130022293A KR1020110085392A KR20110085392A KR20130022293A KR 20130022293 A KR20130022293 A KR 20130022293A KR 1020110085392 A KR1020110085392 A KR 1020110085392A KR 20110085392 A KR20110085392 A KR 20110085392A KR 20130022293 A KR20130022293 A KR 20130022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unit
opening
terminal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3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10381B1 (en
Inventor
김문평
이강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5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381B1/en
Publication of KR20130022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2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3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to allow a user to recognize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by installing a user alarm display device in a specific space of the portable terminal. CONSTITUTION: A terminal body includes a light emitting area for displaying signal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a terminal on one surface. A light emitting unit(181) is included in a body for displaying the signals through an opening unit formed in the light emitting area. A lens unit(184) induces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to the opening unit. The opening unit is covered with a window unit(142). The light emitting area is formed on an extension line of the opening unit.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0001] MOBILE TERMINAL [0002]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말기의 동작을 알리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display device for notify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the terminal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a complex function of, for example, taking pictures or moving pictures, playing music or moving picture files, receiving games and receiving broadcasts have.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The terminal can move And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of making voice and video calls,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and storing data.

이와 같은 이동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As the terminal function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 terminal type is a multimedia player having a complex function such as taking a picture or a video, playing a music or video file, playing a game, or receiving a broadcast. Is implemented.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왔다.In order to support and increase the function of such a terminal,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structural part and / or the software part of the terminal.

그리고, 최근 이동 단말기는 통신기능 등을 겸비하여, 통신수단으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통신수단 이외에도 각종 데이터 처리기능 또는 멀티미디어 기능 등을 구비하여 컴퓨터 등과 구별이 모호해지고 있다.Recently, the mobile terminal has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the like, and is widely used as a communication means. In addition to the communication means, various types of data processing functions or multimedia functions have been provided,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omputer and the like has been blurred.

이와 같은 이동 단말기를 선택하는 소비자는 그 기능 이외에도 그 디자인 등의 감성적인 만족감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의 외형은 이동 단말기의 중요한 선택기준 중 하나이다.The consumer who selects such a mobile terminal can select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otional satisfaction of the design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function thereof. Therefore,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is one of the important selection criteria of the mobile terminal.

일반적으로 통신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는 바 타입(풀터치 스크린 타입 포함), 폴더 타입 및 슬라이드타입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general, a mobile terminal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may be classified into a bar type (including a full touch screen type), a folder type, a slide type, and the like.

바 타입의 경우는 본체의 배면, 폴더 타입의 경우에는 하부 본체의 배면, 슬라이드 타입의 경우에는 하부 본체의 배면 등은 배터리 등이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며, 카메라 또는 촬영에 필요한 조명기능을 제공하는 플래시 등이 구비된다.In case of the bar type, the back of the main body of the main body, the back of the lower main body of the folder type, and the bottom of the lower main body of the slide type are provided with a battery or the like (removably), and provide a lighting function required for a camera or a shooting. Flash and the like are provided.

특히 단말기의 특정 동작과 관련하여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는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의 전면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력 소모가 많고, 부수적인 기능에 있어서 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불필요한 관심을 유발하므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In particular, a display device for notifying a user about a specific operation of th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display. However,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is used, power is consumed. This may cause unnecessary attention, so a way to replace it may be consider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기존과는 단말기의 특정영역에 사용자 알림 표시 장치를 구비하여 단말기의 부수적인 동작을 사용자로 하여금 인지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device for allowing a user to recognize ancillary operations of a terminal by providing a user notification display device in a specific area of the terminal.

또한, 조명에 의한 다양한 시각적 효과 및 개성있는 외관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having various visual effects and unique appearances caused by lighting.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단말기는, 단말기의 동작과 관련된 기 설정된 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발광영역이 일면에 형성되는 단말기 바디, 상기 발광영역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내장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빛을 상기 개구부로 유도하는 렌즈부 및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윈도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의 수직 연장 선상 내에 상기 발광 영역이 형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body having a light emitting area formed on one surface so as to display a predetermined signal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light emitting area A light emitting part embedded in the body, a lens part for guiding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to the opening part, and a window part covering the opening part so as to display a signal through the formed opening part, and extending vertically of the opening part The light emitting region is formed in a line.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영역을 덮고 있는 상기 윈도우부의 일면에는 투명층이 형성되고, 상기 발광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일면에는 불투명층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되는 빛은 상기 투명층을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parent layer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window portion covering the light emitting area, an opaque layer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except the light emitting area, and the induced light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transparent layer. Can be.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부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나오는 빛이 상기 개구부까지 확산될 수 있도록 확산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s unit may be formed as a diffusion lens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may diffuse to the opening.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부는, 상기 발광부와 대면하고 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리세스되는 리세스 멤버 및 상기 윈도우부와 대면하고, 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와 상기 리세스 멤버는 서로 제1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윈도우부와 상기 돌출 멤버는 서로 제2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lens unit may include a recess member facing the light emitting portion and recessed inwardly from one surface and a protrusion member facing the window portion and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ther surface. The light emitting part and the recess member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first interval, and the window part and the protruding member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second interval.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 멤버는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member may be formed to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부에 상기 투명층을 덮도록 확산 잉크층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ffusion ink layer may be formed to cover the transparent layer in the window portion.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부는 상기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는 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According to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unit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embedded in the terminal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terminal is formed integrall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입체감과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갖는 외관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having a three-dimensional appearance and an appearance having various visual effects.

또한, 이동 단말기의 디자인을 다양화하여 사용자의 흥미와 만족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terest and satisfaction of the user by diversifying the design o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표시 장치는 핫스팟을 억제하고, 휘도 및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켜 보다 향상된 알림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obile terminal having a more improved notification function by suppressing hot spots and improving luminance and luminance uniform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1의 라인 Ⅳ - Ⅳ를 따라 절단한 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발광부가 배치되는 영역을 확대한 도면.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region A of FIG. 1.
5 is a perspective view in a state cut along the line IV-IV of FIG.
Fig. 6 is a sectional view of Fig. 5; Fig.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region in which a light emitting unit is disposed in FIG. 6; FIG.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실시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단말기의 본체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3)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3)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3)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112)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 case (casing, housing, cover, etc.) forming the exterior of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is formed by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3.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3.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112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3. 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제1 음향출력부(114), 제1 영상 입력부(115), 제1 조작부(116), 음향 입력부(117) 등이 배치될 수 있다. The front case 111 may include a display unit 113, a first sound output unit 114, a first image input unit 115, a first manipulation unit 116, a sound input unit 117, and the like.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141, 도 3 참조)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113 includes a display module 141 (see FIG. 3)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dul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module, and the like, which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113 may be formed as a touch screen to enable information input by a user's touch.

상기 제1 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4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speaker.

상기 제1 영상 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video of a user.

상기 제1 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 조작부(116)는 윈도우부 상의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도록 형성되는 키 영역일 수 있다. 또는 제1 조작부(116)는 윈도우부 하단에, 푸쉬 입력받을 수 있게 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operation unit 116 receive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16 may be a key area formed to receive a user's touch input on the window unit. Alternatively,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16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dome switch at the bottom of the window unit to receive a push input.

상기 음향 입력부(117)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ound input unit 117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for example, a microphone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 측에 장착된 리어 케이스(113)에는 제2 조작부(123), 인터페이스(124), 전원 공급부(125) 등이 배치될 수 있다. A second operation unit 123, an interface 124, a power supply unit 125,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in the rear case 113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상기 제2 조작부(123)는 프론트 케이스(111)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16)와 더불어 제2 조작부(123)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The second manipulation unit 123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ront case 111. In addition to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16, the second manipulation unit 123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and may be adopt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tactile in a tactile manner. .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screen or a touch pad capable of receiving commands or information by a push or touch operation of a user, or may be a wheel, a jog type, a joystick, Or the like.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등과 같은 메뉴 등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제2 조작부(123)는 스크롤 기능 외에 제1 영상 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부(116, 123)이 예시된 바와 같이 최소화된다면, 전화 번호나 문자 등은 디스플레이부(113)에 구비되는 터치 스크린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In terms of functionality, the first operation unit 116 may be used to input a menu such as start, end, etc.,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 may have a special function such as activation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in addition to the scroll function. It can act as a hot-key that performs. If the first and second manipulation units 116 and 123 are minimized as illustrated, a telephone number or a text may be input by a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display unit 113.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The interface 124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may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124 is wired or wirelessly,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with an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nfrared port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wireless) Lan port), or at least one of the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interface 124 may be a card socket for receiving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상기 전원 공급부(125)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리어 케이스(113)에 장착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125)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125 is mounted to the rear case 113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ower supply unit 125 may be detachably coupled for charging, for example, as a rechargeable battery.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13)에는 제2 영상 입력부(127), 제2 음향출력부(130),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1) 등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2, a second image input unit 127, a second sound output unit 130, a broadcast signal receiving antenna 131, and the like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rear case 113.

상기 제2 영상 입력부(127)는 제1 영상 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 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 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 입력부(127)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7 may be a camera having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see FIG. 1) and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image input unit. For example,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has a low pixel so that the user's face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in case of a video call, and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7 immediately photographs a general subject. It is preferable to have a high pixel because it is not transmitted in many cases.

제2 영상 입력부(127)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8)와 거울부(129)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128)는 제2 영상 입력부(127)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29)는 사용자가 제2 영상 입력부(127)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The flash 128 and the mirror unit 129 ar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7. The flash 128 emit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7. The mirror unit 129 allows the user to see his / her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wants to photograph (self-photograph) the user by using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7.

상기 제2 음향출력부(130)는 제1 음향출력부(1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30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4 (refer to FIG. 1), and may be used for a call in a speakerphone mode.

상기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1)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와 별도로 리어 케이스(113)의 일 측에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31)는 리어 케이스(113)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receiving antenna 131 may b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rear case 113 separately from the antenna for a call or the like. The antenna 131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case 113 to be pulled out.

이상에서는 제1 조작부(116) 등은 프론트 케이스(111)에, 제2 조작부(123) 등은 리어 케이스(113)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한 위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조작부(123)가 제1 조작부(116)와 인접하게 프론트 케이스(111)에 배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2 영상 입력부(127)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 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 입력부(127)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irst operation unit 116 and the like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mounted to the front case 111,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 and the like are mounted to the rear case 113,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 may be disposed in the front case 111 adjacent to the first operation unit 116. In addition, even i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7 is not provided separately,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may be rotatably formed so that the image capturing direction o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7 may be taken.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1.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11)의 일면을 덮도록 윈도우부(140)가 결합된다. 윈도우부(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41)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외부에서 인지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일면을 덮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141)과 윈도우부(140)가 디스플레이부(113, 도 1 참조)를 이룬다.Referring to this drawing, the window 140 is coupled to cover one surface of the front case 111. The window unit 140 covers on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41 so that visual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isplay module 141 is recognized from the outside. The display module 141 and the window unit 140 form the display unit 113 (see FIG. 1).

윈도우부(140)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정보(명령, 신호 등)의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The window unit 140 is formed to recognize a user's touch and enables input of information (command, signal, etc.).

윈도우부(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41)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부(140)에는 빛이 투과되지 않거나 빛의 투과율이 아주 낮은 불투명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부(140)의 가장자리를 따라 빛이 투과할 수 없도록 표면 처리될 수 있다.The window unit 140 may have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module 141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The window unit 140 may be formed with an opaque region in which light is not transmitted or the light transmittance is very low. For example, the surface may be treated to prevent light from passing along the edge of the window 140.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제1 조작부(116)에 대응하여 조작 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 조작 패드는 사용자가 터치 또는 누름 조작하는 대상이 된다. 이러한 조작 패드는 윈도우부(140)의 일부분에 조작 영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n operation pad may be formed in the front case 111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16. The operation pad is a target to be touched or pressed by the user. The manipulation pad may be formed as a manipulation area on a portion of the window 140.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음향홀, 윈도우홀, 그리고 영상윈도우가 형성될 수 있다.A sound hole, a window hole, and an image window may be formed in the front case 111.

음향홀은 음향출력부(114)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이동 단말기의 음향, 예를 들어 벨소리, 음악 등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다. 윈도우홀은 디스플레이부(113)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제1 영상 입력부(115, 이상 도 1 참조)에 대응하여서는 광 투과성의 영상윈도우가 형성될 수 있다.The sound hol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ound output unit 114 so that the sound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a ringtone, music, etc. is emitted to the outside. The window hol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splay unit 113.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see FIG. 1 above), a light transmission image window may be formed.

리어 케이스(21)에는 회로기판(170), 디스플레이 모듈(141), 스피커 모듈, 카메라 모듈, 그리고 스위치 등이 장착될 수 있다.The rear case 21 may include a circuit board 170, a display module 141, a speaker module, a camera module, and a switch.

회로기판(170)은 이동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170)은 사용자가 윈도우부(140)를 터치함에 따라 발생하는 윈도우부(140)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변화, 예를 들어 정전용량 또는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The circuit board 170 may be configured as an example of a controller for opera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circuit board 170 may detect an electrical change, for example, a change in capacitance or a charge amount, generated inside the window 140 generated when the user touches the window 140.

윈도우부(140)의 내부에는 전극이 내장되도록 형성된다. 전극은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에는 전하가 충전될 수 있으며, 도전체가 가까운 거리에서 움직이면 그에 따라 충전되어 있는 전하량의 변화할 수 있다. 도전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윈도우를 터치하면 전극에 충전된 전하량이 변하며, 이는 결국 손가락과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이 변하는 것과 같다. Inside the window 140 is formed so that the electrode is embedded. The electrode may be formed in a conductive pattern. The electrode may be charged with charge, and if the conductor moves at a close distance, the amount of charged charge may change accordingly. When a conductor, for example a user's finger, touches a window, the amount of charge charged in the electrode changes, which is like changing the capacitance between the finger and the electrode.

윈도우부(140)의 전극은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제어부, 예를 들어 회로기판(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연성회로기판(150)이 홀(152)을 관통하여 회로기판(170, 이상 도 3 참조)과 연결될 수 있다. 전하량의 변화의 감지에 따라 회로기판(170)은 이동 단말기(100)와 관련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The electrode of the window unit 1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charge amount, for example, the circuit board 170. For this electrical connection, the flexible circuit board 150 may be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70 (see FIG. 3 above) through the hole 152.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change in the amount of charge, the circuit board 170 may change the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functions rela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연성회로기판(150)는 윈도우부(140)의 일단에서 연장된다. 연성회로기판(150)의 일단에는 연결부(151)가 형성되어 전극과 연결되며 타단은 커넥터에 의해 회로기판(170)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51)는 일정 강성(stiffness)와 탄성을 유지하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lexible circuit board 150 extends from one end of the window unit 140. One end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150 is formed with a connection portion 151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70 by a connector. The connection part 151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to maintain a certain stiffness and elasticity.

또한, 회로기판(170)은 단말기의 상단 및 하단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안테나(131, 161)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ircuit board 170 may be connected to the antennas 131 and 161 formed in proximity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termina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도 1의 A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라인 Ⅳ - Ⅳ를 따라 절단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발광부가 배치되는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region A of FIG. 1, FIG. 5 is a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a line IV-IV of FIG. 1,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and FIG. 7 is light-emitting in FIG. 6. It is the figure which expanded the area | region in which the additional part is arrange | positioned.

단말기 바디의 일정 영역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는 사용자 알림 표시 장치(180)(180)가 배치된다. 여기서 사용자 알림 표시 장치(180)가 배치되는 영역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외관을 구성하는 전면 케이스의 일 영역일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 알림 표시 장치(180)는 단말기 바디의 배면 케이스 또는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user notification display device 180 or 180 is dispos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terminal body. Here, the area in which the user notification display device 180 is disposed may be one area of the front case constituting the appearance of the terminal body, as shown in FIG. 4. In addition, the user notification display device 180 may be formed on the rear case of the terminal body or the side of the terminal body.

사용자 알림 표시 장치(180)는 단말기 동작과 관련된 기 설정된 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동작은 단말기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동작이거나, 서버로부터 특정 데이터를 다운받는 동작과 같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지는 않지만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 동작이 단말기를 통해 수행된다는 것을 알리는 부가적인 동작들을 예로 들 수 있다.The user notification display device 180 is configured to display a preset signal related to a terminal operation. This operation may be an additional operation that is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such as an operation of charging the battery of the terminal or downloading specific data from the server, but notifies the user that the specific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terminal.

이러한 표시 방법으로는 발광부(181)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깜박이거나, 특정한 색상으로 발광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unit 181 blinks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emits light with a specific color.

발광부(181)는 바디 내에 장착되므로, 바디는 발광부(181)로부터 빛이 새어나올 수 있도록 개구부(119, 도 7 참조)를 구비한다. 개구부(119)는 단말기의 프론트 케이스(111)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홀이다.Since the light emitter 181 is mounted in the body, the body has an opening 119 (see FIG. 7) to allow light to leak from the light emitter 181. The opening 119 is a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front case 111 of the terminal.

또한 단말기 바디의 전면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디스플레이 모듈(141)을 덮도록 윈도우부(142)가 형성되는 데, 윈도우부(142)는 개구부(119)를 덮도록 연장된다. In addition, the window 142 is formed to cover the display module 141 formed to display an imag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e window 142 is extended to cover the opening 119.

윈도우부(142)의 일면은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투명 영역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단에 형성되는 소자들 및 기타 바디내의 부품들을 가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불투명 영역으로 구획진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을 덮고 있는 영역은 투명 영역이다. One surface of the window 142 is divided into a transparent area formed to display an image to be displayed and an opaque area formed to cover elements and other components in the body formed at the side ends of the display module. That is, the area covering the display module is a transparent area.

발광 영역(L, 도 7참조)은 불투명 영역내에 배치되는 데, 빛이 투과되어야 하므로, 불투명 영역 내에 배치되는 발광 영역(L)은 투명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윈도우부(142)는 투명 영역에는 투명층(143)이, 불투명 영역에는 불투명층(144)이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region L (refer to FIG. 7) is disposed in the opaque region, and since light must be transmitted, the light emitting region L disposed in the opaque region is transparent. Accordingly, the window 142 may be formed by partitioning the transparent layer 143 in the transparent region and the opaque layer 144 in the opaque region.

발광 영역(L)의 하단에 배치되는 개구부(119)의 단면은 발광 영역(L)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개구부(119)의 수직 연장 선상 내에 발광 영역(L)이 형성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단말기 조립시 개구부(119)의 개구된 부분과 발광 영역(L)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조립 편차가 발생하여도, 발광 영역(L)을 통해 정상적으로 발광부(181)의 빛이 투과되게 된다. A cross section of the opening 119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light emitting area L is formed larger than the light emitting area L. FIG. That is, the light emitting region L is formed in the vertical extension line of the opening 119. Thus, even when an assembly deviation occurs in which the opened portion of the opening 119 and the light emitting region L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181 is normally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region L. do.

발광부(181)는 회로기판(170)에 일체로 장착된다. 또한 이렇게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단말기 조립에 유리하므로, 바디 내에 일정 깊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발광부(181)로부터 빛이 개구부(119)로 유도되도록 렌즈부(184)를 구비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unit 181 is integrally mounted to the circuit board 170. In addition, since it is advantageous for the terminal assembly to be integrally formed in this way, it is positioned at a certain depth in the body. Therefore, the lens unit 184 may be provided to guide the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81 to the opening 119.

렌즈부(184)는 발광부(181)로부터 나오는 빛이 개구부(119)까지 확산될 수 있도록 확산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ens unit 184 may be formed as a diffusion lens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81 may be diffused to the opening 119.

발광부(181)를 LED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윈도우부(142)를 통하여 표시되는 빛이 일정 부분만 다른 부분에 비해 더 밝은 핫스팟(hotstop)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181 is used as an LED, a hot spot phenomenon may occur where only a portion of light displayed through the window unit 142 is brighter than other portions.

핫스팟은 발광의 퀄리티를 떨어지는 요소이므로, 좋은 발광을 얻기 위해서 밝기의 균일함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Since the hot spot is a factor of lowering the quality of light emission, it is important to form uniformity of brightness in order to obtain good light emission.

따라서 확산 렌즈를 구비함으로써, LED램프를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발생되는 핫스팟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핫스팟을 억제하고, 휘도 및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by providing the diffusion len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unnecessary hot spots generated by using the LED lamp. As s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hot spots and to improve luminance and luminance uniformity.

렌즈부(184)는 개구부(119)에 삽입되는데, 내측으로 삽입되는 리세스 멤버(182)와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멤버(183)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 멤버(182)로 인한 함몰된 렌즈부(184)의 공간으로 발광부(181)가 근접하게 배치된다. The lens unit 184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119, and may include a recess member 182 inserted inward and a protruding member 183 protruding outward. The light emitting unit 181 is disposed close to the space of the recessed lens unit 184 due to the recess member 182.

즉, 리세스 멤버(182)의 리세스된 공간으로 발광부(181)가 배치됨으로써, 발광부(181)의 장착으로 인한 단말기 두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light emitting unit 181 is disposed in the recessed space of the recess member 182, an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due to the mounting of the light emitting unit 181 may be prevented.

또한 돌출 멤버(183)가 개구부(119)에 삽입되어 장착됨으로써, 별도의 결합수단 없어도 렌즈부(184)를 개구부(119)에 장착할 수 있다. 이때, 개구부(119)의 내주면과 돌출 멤버(183)는 서로 접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member 183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119 so that the lens unit 184 may be mounted in the opening 119 without any coupling means. At this tim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119 and the protruding member 183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181)와 상기 리세스 멤버(182)는 서로 제1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윈도우부(142)와 상기 돌출 멤버(183)는 서로 제2 간격으로 이격된다. 이로 인해, 발광부(181)와 렌즈가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하거나, 윈도우부(142)와 렌즈부(184)가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각 구성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6 and 7, the light emitting unit 181 and the recess member 18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first interval, and the window unit 142 and the protruding member 183 are second to each other. Spaced apart.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f each component that may be caused by the light emitting portion 181 and the lens directly contacting each other, or the window portion 142 and the lens portion 184 directly contact each other.

윈도우부(142)의 투명층(143)을 덮도록 확산 잉크층이 형성될 수 있다. 투명층(143)은 확산 잉크층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확산 잉크층은 빛을 굴절시켜서 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확산 잉크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영역이다. The diffusion ink layer may be formed to cover the transparent layer 143 of the window 142. The transparent layer 14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ffusion ink layer. The diffusion ink layer is a region formed by applying diffusion ink that refracts light to improve light efficiency.

확산 잉크는 SiO2 비드, TiO2 비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비드(Bead)를 주 재료로 하고, 아크릴 공중합체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diffusion ink may be formed by using SiO 2 beads, TiO 2 beads polymethylmethacrylate (PMMA) beads as a main material, and an acrylic copolymer and additives.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에 발광부(181)가 일체로 장착되고, 발광부(181)의 상부에 렌즈가 단말기의 프론트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부(119)에 삽입된다. 개구부(119)의 상부에는 투명층(143)이 형성되는 데 투명층(143)은 발광 영역(L)에 대응하는 영역이 된다.As shown in FIG. 7, the light emitting unit 181 is integrally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and a lens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119 formed in the front case of the terminal on the light emitting unit 181. A transparent layer 143 is formed on the opening 119, and the transparent layer 143 becomes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region L. FIG.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not only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lso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It is possible.

Claims (7)

단말기의 동작과 관련된 기 설정된 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발광영역이 일면에 형성되는 단말기 바디;
상기 발광영역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내장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빛을 상기 개구부로 유도하는 렌즈부; 및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윈도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의 수직 연장 선상 내에 상기 발광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A terminal body having a light emitting area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so as to display a predetermined signal related to an operation of the terminal;
A light emitting part embedded in the body to display a signal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light emitting area;
A lens unit for guiding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to the opening; And
It includes a window portion formed to cover the opening,
And the light emitting area is formed in a line extending vertically of the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영역을 덮고 있는 상기 윈도우부의 일면에는 투명층이 형성되고,
상기 발광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일면에는 불투명층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되는 빛은 상기 투명층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A transparent layer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window part covering the light emitting area,
An opaque layer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except for the light emitting area,
And the guided light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transparent lay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나오는 빛이 상기 개구부까지 확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확산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lens unit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usion lens is formed so that the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can be diffused to the open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발광부와 대면하고 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리세스되는 리세스 멤버 및 상기 윈도우부와 대면하고, 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와 상기 리세스 멤버는 서로 제1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윈도우부와 상기 돌출 멤버는 서로 제2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lens unit includes:
A recess member facing the light emitting portion and recessed inwardly from one surface and a protrusion member facing the window portion and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ther surface,
And the light emitting part and the recess memb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first interval, and the window part and the protruding memb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second interv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멤버는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rotruding member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부에 상기 투명층을 덮도록 확산 잉크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And a diffusion ink layer formed on the window part to cover the transparent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는 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emitting unit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embedded in the terminal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terminal is formed integrally.
KR1020110085392A 2011-08-25 2011-08-25 Mobile terminal KR1019103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392A KR101910381B1 (en) 2011-08-25 2011-08-25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392A KR101910381B1 (en) 2011-08-25 2011-08-25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293A true KR20130022293A (en) 2013-03-06
KR101910381B1 KR101910381B1 (en) 2018-10-22

Family

ID=48174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392A KR101910381B1 (en) 2011-08-25 2011-08-25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38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823Y1 (en) * 2005-05-06 2005-08-09 오세옥 Display apparatus for portable telephone
KR20070076790A (en) * 2006-01-20 2007-07-25 조경제 Lens
JP2009094554A (en) * 2007-10-03 2009-04-30 Panasonic Corp Mobile termin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00033278A (en) * 2008-09-19 2010-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823Y1 (en) * 2005-05-06 2005-08-09 오세옥 Display apparatus for portable telephone
KR20070076790A (en) * 2006-01-20 2007-07-25 조경제 Lens
JP2009094554A (en) * 2007-10-03 2009-04-30 Panasonic Corp Mobile termin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00033278A (en) * 2008-09-19 2010-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0381B1 (en) 201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521B1 (en) Portable terminal
RU2399085C2 (en) Mobile terminal
KR101537687B1 (en) Portable terminal
US8471810B2 (en) Mobile terminal
EP2541880B1 (en) Mobile terminal
EP2720443B1 (en) Mobile terminal with light diffuser for a key
EP2151974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unit
KR101832954B1 (en) Mobile terminal
KR102127929B1 (en) Mobile terminal
US9591109B2 (en) Mobile terminal
KR20100046595A (en) Portable terminal
KR20160109611A (en)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KR20130019679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erminal case, terminal cas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60126453A (en) Key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30022293A (en) Mobile terminal
KR102257631B1 (en) Mobile terminal
KR20120080941A (en) Mobile terminal
KR101584537B1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40001701A (en) Mobile terminal
KR102029240B1 (en) Mobile terminal
KR101490167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61910B1 (en) Portable terminal
KR20090003906A (en) Portable terminal
KR101960513B1 (en) Mobile terminal
KR101789536B1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