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0941A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0941A
KR20120080941A KR1020110002425A KR20110002425A KR20120080941A KR 20120080941 A KR20120080941 A KR 20120080941A KR 1020110002425 A KR1020110002425 A KR 1020110002425A KR 20110002425 A KR20110002425 A KR 20110002425A KR 20120080941 A KR20120080941 A KR 20120080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display module
terminal
are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4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72078B1 (en
Inventor
홍봉국
강영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2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078B1/en
Publication of KR20120080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9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0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to eliminate the need of an additional circuit board by placing a display area near a key area. CONSTITUTION: A window part(140) is laminated on a display module(141). The window part recognizes a user's touch through a pattern. A key area(116)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window part. According to the touch, an electric device(181) lights the key area. The electric element is laminated between the key area and the display module.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0001] MOBILE TERMINAL [0002]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모듈 위에 전기적 소자가 형성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in which an electrical element is formed on a display module.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the terminal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a complex function of, for example, taking pictures or moving pictures, playing music or moving picture files, receiving games and receiving broadcasts have.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The terminal can move And may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for making voice and video calls,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and storing data.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In order to support and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such terminals,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and / or software parts of the terminal.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단말기 전면의 터치 키의 라이팅(Lighting)구현 시 별도의 LED 부품을 회로기판에 실장할 필요없이 디스플레이 모듈에 일체화하여 구현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that is integrated into a display module without implementing a separate LED component on a circuit board when writing the touch key on the front of the terminal.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층되도록 배치되고,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패턴을 포함하는 윈도우부와, 상기 윈도우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키 영역 및 상기 터치시 상기 키 영역을 발광시킬 수 있도록, 상기 키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적층되는 전기적 소자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ow unit is disposed to be stacked on the display module, including a pattern formed to recognize the user's touch, and And a key reg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window portion and an electrical element stacked between the key region and the display module so as to emit light of the key region when the touch is performed.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키 영역내에, 단말기의 기능을 연상시키도록, 각각 다른 패턴의 키 마크들이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key marks of different patterns are formed in the key area to remind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키마크들이 배치되는 키 영역을 각각 분할하여 발광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분할된 키 영역의 하면에, 상기 전기적 소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at least one electrical element is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ivided key region so that the key regions where the keymarks are arranged may be divided and emit light.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적 소자는 발광 다이오드(LED)로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al element is formed of a light emitting diode (LED).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장착되며,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윈도우부와, 단말기 케이스의 일단에 근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키 영역 및 상기 터치 입력시 상기 키 영역을 발광시킬 수 있도록, 상기 키 영역과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적층되는 전기적 소자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body having a display module formed to output visual information, a window unit mounted on the front of the terminal body, the touch portion is formed, and a terminal case Disclosed is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key region disposed on one end of a window portion, the key region being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window unit, and an electrical element stacked between the key region and a display module to emit light of the key region during touch input. do.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키 영역내에, 단말기의 기능을 연상시키도록, 각각 다른 패턴의 키 마크들이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key marks of different patterns are formed in the key area to remind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키마크들이 배치되는 키 영역을 각각 분할하여 발광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분할된 키 영역의 하면에, 상기 전기적 소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at least one electrical element is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ivided key region so that the key regions where the keymarks are arranged may be divided and emit light.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의 시각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연계하여 단말기의 각 기능을 연상시키도록 형성되는 키 영역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window unit may include: a display area for outputting visual information from the display module; And a key area formed in association with the display area to relate each function of the terminal.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키 영역은 서로 근접하게 배치된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area and the key area are disposed close to each othe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전기적 소자를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에 배치하는 것에 비하여, 디스플레이 영역과 키 영역을 서로 근접하게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별도의 회로기판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reases the user's convenience by arranging the display area and the key area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compared to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ical elements on the side of the display module.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circuit board.

또한, 단말기 내에 여유 공간이 형성되고, 여유 공간에는 안테나와 같은 내부 구조물을 장착할 수 있게 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 free space is formed in the terminal, the internal space such as an antenna can be mounted in the free space can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라인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라인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평면도.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6 is a plan view of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ifferent embodiments are give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실시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단말기의 본체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2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21)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21)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 (casing, housing, cover, etc.) forming the exterior of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is formed by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21.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21.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21. [ 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제1 음향출력부(114), 제1 영상 입력부(115), 제1 조작부(116), 음향 입력부(117) 등이 배치될 수 있다. The front case 111 may include a display unit 113, a first sound output unit 114, a first image input unit 115, a first manipulation unit 116, a sound input unit 117, and the like.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141, 도 3 참조)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113 includes a display module 141 (see FIG. 3)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dul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module, and the like, which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113 may be formed as a touch screen to enable information input by a user's touch.

상기 제1 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4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speaker.

상기 제1 영상 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video of a user.

상기 제1 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 조작부(116)는 윈도우부 상의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도록 형성되는 키 영역일 수 있다. The first operation unit 116 receive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16 may be a key area formed to receive a user's touch input on the window unit.

상기 음향 입력부(117)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ound input unit 117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for example, a microphone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 측에 장착된 리어 케이스(121)에는 제2 조작부(123), 인터페이스(124), 전원 공급부(125) 등이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 the interface 124, the power supply unit 125,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on the rear case 121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상기 제2 조작부(123)는 리어 케이스(121)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16)와 더불어 제2 조작부(123)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The second manipulation unit 123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rear case 121. In addition to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16, the second manipulation unit 123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and may be adopt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tactile in a tactile manner. .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screen or a touch pad capable of receiving commands or information by a push or touch operation of a user, or may be a wheel, a jog type, a joystick, Or the like.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등과 같은 메뉴 등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제2 조작부(123)는 스크롤 기능 외에 제1 영상 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부(116,123)이 예시된 바와 같이 최소화된다면, 전화 번호나 문자 등은 디스플레이부(113)에 구비되는 터치 스크린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In terms of functionality, the first operation unit 116 may be used to input a menu such as start, end, etc.,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 may have a special function such as activation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in addition to the scroll function. It can act as a hot-key that performs. If the first and second manipulation units 116 and 123 are minimized as illustrated, a telephone number or a text may be input by a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display unit 113.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The interface 124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may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124 may be wired or wirelessly, and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with an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nfrared port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 wireless Lan port), or at least one of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interface 124 may be a card socket for receiving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상기 전원 공급부(125)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리어 케이스(121)에 장착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125)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125 is mounted to a rear case 121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ower supply unit 125 may be detachably coupled for charging, for example, as a rechargeable battery.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21)에는 제2 영상 입력부(127), 제2 음향출력부(130),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1) 등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rear case 121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mage input unit 127, a second sound output unit 130, and a broadcast signal receiving antenna 131.

상기 제2 영상 입력부(127)는 제1 영상 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 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 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 입력부(127)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7 may be a camera having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see FIG. 1) and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image input unit. For example,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has a low pixel so that the user's face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in case of a video call, and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7 immediately photographs a general subject. It is preferable to have a high pixel because it is not transmitted in many cases.

제2 영상 입력부(127)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8)와 거울부(129)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128)는 제2 영상 입력부(127)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29)는 사용자가 제2 영상 입력부(127)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The flash 128 and the mirror unit 129 ar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7. The flash 128 emit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7. The mirror unit 129 allows the user to see his / her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wants to photograph (self-photograph) the user by using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7.

상기 제2 음향출력부(130)는 제1 음향출력부(1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30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4 (refer to FIG. 1), and may be used for a call in a speakerphone mode.

상기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1)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와 별도로 리어 케이스(121)의 일 측에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31)는 리어 케이스(121)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receiving antenna 131 may b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rear case 121 separately from the antenna for a call or the like. The antenna 131 may be installed in the rear case 121 to be pulled out.

이상에서는 제1 조작부(116) 등은 프론트 케이스(111)에, 제2 조작부(123) 등은 리어 케이스(121)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한 위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조작부(123)가 제1 조작부(116)와 인접하게 프론트 케이스(111)에 배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2 영상 입력부(127)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 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 입력부(127)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irst operation unit 116 and the like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mounted to the front case 111,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 and the like are mounted to the rear case 12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 may be disposed in the front case 111 adjacent to the first operation unit 116. In addition, even i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7 is not provided separately,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may be rotatably formed so that the image capturing direction o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7 may be taken.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1.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11)의 일면을 덮도록 윈도우부(140)가 결합 된다. 윈도우부(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41)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외부에서 인지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일면을 덮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141)과 윈도우부(140)가 디스플레이부(113, 도 1 참조)를 이룬다.Referring to this drawing, the window 140 is coupled to cover one surface of the front case 111. The window unit 140 covers on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41 so that visual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isplay module 141 is recognized from the outside. The display module 141 and the window unit 140 form the display unit 113 (see FIG. 1).

윈도우부(140)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정보(명령, 신호 등)의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The window unit 140 is formed to recognize a user's touch and enables input of information (command, signal, etc.).

윈도우부(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41)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부(140)에는 빛이 투과되지 않거나 빛의 투과율이 아주 낮은 불투명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부(140)의 가장자리를 따라 빛이 투과할 수 없도록 표면 처리될 수 있다.The window unit 140 may have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module 141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The window unit 140 may be formed with an opaque region in which light is not transmitted or the light transmittance is very low. For example, the surface may be treated to prevent light from passing along the edge of the window 140.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제1 조작부(116)에 대응하여 조작 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 조작 패드는 사용자가 터치 또는 누름 조작하는 대상이 된다. 이러한 조작 패드 윈도우부(140)의 일부분에 조작 영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n operation pad may be formed in the front case 111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16. The operation pad is a target to be touched or pressed by the user. It may be formed as a manipulation area on a portion of the manipulation pad window 140.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음향홀(114b), 윈도우홀(112b), 그리고 영상윈도우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front case 111, a sound hole 114b, a window hole 112b, and an image window may be formed.

음향홀(114b)은 음향출력부(114)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이동 단말기의 음향, 예를 들어 벨소리, 음악 등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다. 윈도우홀(112b)은 디스플레이부(113)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제1 영상 입력부(115, 이상 도 1 참조)에 대응하여서는 광 투과성의 영상윈도우가 형성될 수 있다.The sound hole 114b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ound output unit 114 so that the sound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a ringtone, music, and the like is emitted to the outside. The window hole 112b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splay unit 113.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see FIG. 1 above), a light transmission image window may be formed.

리어 케이스(21)에는 회로기판(170), 디스플레이 모듈(141), 스피커 모듈(114a), 카메라 모듈(115a), 그리고 스위치등이 장착될 수 있다.The rear case 21 may include a circuit board 170, a display module 141, a speaker module 114a, a camera module 115a, and a switch.

회로기판(170)은 이동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170)은 사용자가 윈도우부(140)를 터치함에 따라 발생하는 윈도우부(140)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변화, 예를 들어 정전용량 또는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The circuit board 170 may be configured as an example of a controller for opera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circuit board 170 may detect an electrical change, for example, a change in capacitance or a charge amount, generated inside the window 140 generated when the user touches the window 140.

윈도우부(140)의 내부에는 전극이 내장되도록 형성된다. 전극은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에는 전하가 충전될 수 있으며, 도전체가 가까운 거리에서 움직이면 그에 따라 충전되어 있는 전하량의 변화할 수 있다. 도전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윈도우를 터치하면 전극에 충전된 전하량이 변하며, 이는 결국 손가락과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이 변하는 것과 같다. Inside the window 140 is formed so that the electrode is embedded. The electrode may be formed in a conductive pattern. The electrode may be charged with charge, and if the conductor moves at a close distance, the amount of charged charge may change accordingly. When a conductor, for example a user's finger, touches a window, the amount of charge charged in the electrode changes, which is like changing the capacitance between the finger and the electrode.

윈도우부(140)의 전극은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제어부, 예를 들어 회로기판(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연성회로기판(150)이 홀(150b)을 관통하여 회로기판(170, 이상 도 3 참조)과 연결될 수 있다. 전하량의 변화의 감지에 따라 회로기판(170)은 이동 단말기(100)와 관련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The electrode of the window unit 1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charge amount, for example, the circuit board 170. For this electrical connection, the flexible circuit board 150 may be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70 (see FIG. 3 above) through the hole 150b.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change in the amount of charge, the circuit board 170 may change the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functions rela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연성회로기판(150)는 윈도우부(140)의 일단에서 연장된다. 연성회로기판(150)의 일단에는 연결부(151)가 형성되어 전극과 연결되며 타단은 커넥터(185)에 의해 회로기판(170)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51)는 일정 강성(stiffness)와 탄성을 유지하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lexible circuit board 150 extends from one end of the window unit 140. One end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150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de by forming a connection portion 151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70 by the connector 185. The connection part 151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to maintain a certain stiffness and elasticity.

도 4는 도 1의 라인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라인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평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1,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of FIG. 1, and FIG. 6 is a plan view of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3)는 윈도우부(140), 디스플레이 모듈(141) 및 전기적 소자(181)를 포함한다. 윈도우부(140)에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패턴이 형성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일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41)을 구성하는 회로기판(141b)과 액정패널(141a) 위에 결합층 또는 보호층(142a)이 형성되고, 이 위에 터치 패턴(140b)과 윈도우부(140)가 적층된다. 보호층은 UV 레진이나 기타 합성 수지가 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과 윈도우부를 결합하고, 윈도우부가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한다.Referring to FIG. 4, the display unit 113 includes a window unit 140, a display module 141, and an electrical element 181. A pattern is formed in the window unit 140 to recognize a user's touch and is disposed to cover on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41. The bonding layer or the protection layer 142a is formed on the circuit board 141b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141a constituting the display module 141, and the touch pattern 140b and the window 140 are stacked thereon. The protective layer may be UV resin or other synthetic resin, and combines the display module and the window portion, and protects the window portion from being damaged.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케이스에 접하는 영역에는 엘시디 패드(142)가 형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과 윈도우부를 결합하고, 윈도우부가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5, an LCD pad 142 may be formed in an area in contact with the case of the terminal. The LCD pad 142 may be coupled to the display module and the window, and may protect the window from being damaged.

윈도우부(140)는 키 마크(116b)들이 배치되는 키 영역(116)과 디스플레이 모듈(141)로부터 시각 정보롤 받아 투영되는 디스플레이 영역(140a)을 포함한다.The window unit 140 includes a key area 116 on which the key marks 116b are disposed and a display area 140a projected by receiving visual information from the display module 141.

키 영역(116)에는 단말기의 각 기능을 연상시키도록 형상화된 키 마크(116b)들이 형성되고, 상기 키 마크(116b)들은 메뉴, 홈, 되돌리기, 서치 등의 기능을 연상시키도록, 사각형 형상, 집 형상, 화살표가 후방을 가르키는 형상, 돋보기의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들이 키 마크(116b)들을 보고, 해당 키를 누르거나, 접촉하면 단말기의 원하는 기능이 수행된다는 것을 직감할 수 있다. 즉, 상기 키 영역(116)에는, 서로 다른 패턴으로 이루어진 키 마크(116b)들이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키 마크(116b)들을 터치하게 되면 미리 정해진 단말기의 일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 key area 116 is formed with key marks 116b shaped to remind each function of the terminal, and the key marks 116b have a rectangular shape to remind the functions of a menu, a groove, a return, a search, and the like. It may be made of a house shape, a shape in which an arrow points to the rear, a shape of a magnifying glass, and the like. As a result, when the user sees the key marks 116b and presses or touches the corresponding key, the user may feel that the desired function of the terminal is performed. That is, in the key area 116, key marks 116b having different patterns are formed, and when a user touches the key marks 116b, a predetermined function of a predetermined terminal can be performed.

상기 키 영역(116)은 상기 각각의 키 마크(116b)들에 대응하도록 분할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키 마크(116b)들은 터치 입력시 상기 키 영역(116)의 하부에 배치된 전기적 소자(181)가 발광되는 경우 빛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키 마크(116b)들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키 영역(116a)들은 하면에 배치된 전기적 소자(181)에 의해 발광되며,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보다 확실하게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게 되며, 분할된 키 영역(116a)에 서로 다른 밝기나 색상의 빛이 새어나와 사용자의 편의성 또는 단말기에 색다른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The key area 116 may be divided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key marks 116b. The plurality of key marks 116b may easily recognize the key marks 116b due to light when the electric element 181 disposed below the key region 116 emits light when a touch is input. . Each of the key regions 116a emits light by the electric element 181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and controls the key regions 116a to be drive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s a result, the user can operate the terminal more reliably, and light of different brightness or color may leak into the divided key region 116a to provide user convenience or a different aesthetic sense to the terminal.

상기 전기적 소자(181)는 특히 발광 다이오드(LED)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전기적 소자(181)를 디스플레이 모듈(141) 위의 홈(180)에 배치함으로써, 구동 인버터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백라이트나 기타 소자들을 디스플레이 모듈(141)과 공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적 소자(181)를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측면에 배치하는 것에 비하여, 디스플레이 영역(140a)과 키 영역(116)을 서로 근접하게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별도의 회로기판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The electrical element 181 may in particular be formed of a light emitting diode (LED). A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lacing the electrical element 181 in the groove 180 on the display module 141,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provide a drive inverter, the backlight or other elements to display module 141 Share with.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area 140a and the key area 116 are disposed closer to each other than the electrical element 181 on the side of the display module 141,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convenience and a separate circuit.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ubstrate.

또한 도 3 내지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전기적 소자(181)를 디스플레이 모듈(141) 위에 배치하면, 단말기 내에 여유 공간(160)이 형성되며, 여유 공간(160)에는 안테나와 같은 내부 구조물을 장착할 수 있게 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여유 공간은 회로기판(141b)이나 디스플레이 모듈(141)로부터 충분히 이격되어 있으므로, 안테나가 실장될 경우 충분한 대역폭과 방사효율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3 to 5, when the electrical element 181 is disposed on the display module 141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ee space 160 is formed in the terminal, and the free space ( 160, the internal structure such as the antenna can be mounted to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Since the free space is sufficiently spaced apart from the circuit board 141b or the display module 141, sufficient bandwidth and radiation efficiency can be secured when the antenna is mounted.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not only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lso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It is possible.

Claims (9)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층되도록 배치되고,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패턴을 포함하는 윈도우부;
상기 윈도우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키 영역; 및
상기 터치시 상기 키 영역을 발광시킬 수 있도록, 상기 키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적층되는 전기적 소자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A window unit disposed to be stacked on the display module and including a pattern formed to recognize a user's touch;
A key reg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window portion; And
And an electrical element stacked between the key region and the display module to emit the key region upon tou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영역내에, 단말기의 기능을 연상시키도록, 각각 다른 패턴의 키 마크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in the key area, key marks of different patterns are formed so as to remind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마크들이 배치되는 키 영역을 각각 분할하여 발광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분할된 키 영역의 하면에, 상기 전기적 소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And at least one electrical element is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ivided key area so as to divide and light each of the key areas in which the key marks are arrang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소자는 발광 다이오드(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ical device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장착되며,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윈도우부;
단말기 케이스의 일단에 근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키 영역; 및
상기 터치 입력시 상기 키 영역을 발광시킬 수 있도록, 상기 키 영역과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적층되는 전기적 소자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A terminal body having a display module configured to output visual information;
A window unit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nd configured to allow a touch input;
A key region disposed close to one end of the terminal case and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window unit; And
And an electrical element stacked between the key region and the display module to emit light of the key region during the touch inpu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 영역내에, 단말기의 기능을 연상시키도록, 각각 다른 패턴의 키 마크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5,
And in the key area, key marks of different patterns are formed so as to remind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마크들이 배치되는 키 영역을 각각 분할하여 발광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분할된 키 영역의 하면에, 상기 전기적 소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6,
And at least one electrical element is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ivided key area so as to divide and light each of the key areas in which the key marks are arrang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의 시각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연계하여 단말기의 각 기능을 연상시키도록 형성되는 키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window unit,
A display area for outputting visual information from the display module; And a key area formed in association with each function of the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display are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키 영역은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display area and the key area are adjacent to each other.
KR1020110002425A 2011-01-10 2011-01-10 Mobile terminal KR1017720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425A KR101772078B1 (en) 2011-01-10 2011-01-10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425A KR101772078B1 (en) 2011-01-10 2011-01-10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941A true KR20120080941A (en) 2012-07-18
KR101772078B1 KR101772078B1 (en) 2017-08-28

Family

ID=46713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425A KR101772078B1 (en) 2011-01-10 2011-01-10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07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8649A (en) * 2012-10-16 2014-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CN107566588A (en) * 2017-08-22 2018-01-09 长沙市宇顺显示技术有限公司 A kind of touch-screen button back lighting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8649A (en) * 2012-10-16 2014-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CN107566588A (en) * 2017-08-22 2018-01-09 长沙市宇顺显示技术有限公司 A kind of touch-screen button back lighting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2078B1 (en) 2017-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1880B1 (en) Mobile terminal
KR101301521B1 (en) Portable terminal
JP4849483B2 (en) Mobile terminal
KR101831402B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mobile terminal using it
KR101832954B1 (en) Mobile terminal
KR20130012521A (en) Mobile terminal
KR101822938B1 (en) Mobile terminal
KR101772078B1 (en) Mobile terminal
KR10201822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392916B1 (en) Portable terminal
KR20130063322A (en) Mobile terminal
KR101922006B1 (en) Mobile terminal
KR101789536B1 (en) Mobile terminal
KR101604749B1 (en) Portab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case
KR101409872B1 (en) Portable terminal
KR101910381B1 (en) Mobile terminal
KR101301522B1 (en) Portable terminal
KR20130005575A (en) Mobile terminal
KR101561910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74443B1 (en) Portable terminal
KR20090036466A (en) Portable terminal
KR20110058524A (en) Portable terminal
KR20130053618A (en) Mobile terminal
KR20120090691A (en) Mobile terminal
KR20120090692A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