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112A - 단체급식용 복층 조리 밥솥 - Google Patents

단체급식용 복층 조리 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112A
KR20130003112A KR1020110064176A KR20110064176A KR20130003112A KR 20130003112 A KR20130003112 A KR 20130003112A KR 1020110064176 A KR1020110064176 A KR 1020110064176A KR 20110064176 A KR20110064176 A KR 20110064176A KR 20130003112 A KR20130003112 A KR 20130003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ooker
cooker body
cover
rice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8536B1 (ko
Inventor
최용안
김문화
최정현
Original Assignee
(주)조아스텍
김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아스텍, 김문화 filed Critical (주)조아스텍
Priority to KR1020110064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536B1/ko
Publication of KR20130003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3Tie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체급식 시설에서 사용되는 단체급식 자동취반기에 사용되는 단체급식용 복층 조리 밥솥에 있어서, 식재료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제1밥솥몸체와; 상기 제1밥솥몸체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는 바닥면 중앙으로부터 상부측으로 돌출되고 복수개의 통공을 갖는 중공의 융기관이 형성된 원통형 제2밥솥몸체와; 상기 제2밥솥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제1밥솥몸체는 내측판이 티타늄이나 스테인리스로 구성되고 외측판이 인덕션 히타용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내·외측판의 중간재는 발포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의 판재를 프레스 방식으로 접합하여 제조한 다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형 제2밥솥몸체의 상부측에는 상기 덮개가 안착되는 받침턱과, 상기 덮개가 안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며 보호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덮개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점차로 낮아지는 구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체급식용 복층 조리 밥솥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단체급식용 복층 조리 밥솥{Multi Storied Rice Cooker for Institutional Food Service}
본 발명은 단체급식용 복층 조리 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밥솥위에 또 다른 밥솥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한번에 밥과 밥, 밥과 조림, 밥과 찜, 찜과 다른종류의 찜 등의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단체급식용 복층 조리 밥솥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단체급식시장은 거대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규모는 향후 꾸준히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학교, 병원, 관공서, 기업체 등의 단체급식 시설에서 사용되는 자동취반기는 대체로 규모가 큰 단체급식용 전기 자동취반기와 가스 자동취반기로 크게 구별된다. 단체급식용 취반기는 학교, 병원, 기업체, 관공서 등에서 한꺼번에 적게는 수십명에서 많게는 수백명 분량의 밥을 지어야 함은 물론 짧은 시간에 신속하게 밥짖기를 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대의 대형 전용솥이 하나의 자동취반기에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대형 전용솥은 알루미늄 판재나 스테인리스 판으로는 열전도율 문제로 밥을 할 수 없었는데, 그동안 알루미늄 판재는 열전도율이 너무 좋아 직접적으로 전열이 되는 부분은 밥이 타나 전열이 되지 않는 부분은 밥이 않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반면, 스테인리스 판재는 높은 화력에 비하여 열전도율이 낮아 열변형만 일어나고 밥을 할 수 없는 한편, 중량이 무거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형 알루미늄 합금 전용솥은 바닥부를 두껍게 할 수 있는 주조 주물방식으로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주조 주물방식으로는 대량생산이 어려우며, 제조비용이 높고 제품이 무겁고 충격에 약해 흠이 발생하고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열전도율이 높아 배식시 보온이 안되어 밥이 빨리 식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알루미늄, 납 등 중금속 성분의 용출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하다. 이에 대해 전해연마 처리를 하여 어느 정도 그 영향을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대형 주조주물 구조상 처리가 어려우며, 소요비용 높아지고 내구성에 있어서 취약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실제 종래제품의 하나를 성분 분석한 결과, 종래 전용솥은 Si, Fe, Cu, Mn, Mg, Zn, Ti, Cr, Ni, Pb, Sn, Al 등의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용출시험 결과는 Pb는 0.4mg/l, Al은 167mg/l 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나 유럽식품안전청(EFSA)의 하루 알루미늄 섭취 허용량인 체중 1kg당 1mg을 훨씬 상회하는 용출량인 것이다. 참고로, 알루미늄 중독은 알츠하이머, 골다공증, 피부 알레르기, 기억력감퇴, 학습장애, 파킨슨병 등을 유발하며, 어린이나 노약자는 특히 주의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공보 제10-0940491호를 등록받은 바 있으나, 이러한 밭솥은 성인을 기준으로 60인분의 밥을 지을 수 있는 용량의 크기로서 자동취반기의 여러 조리 공간에 하나씩 수용되고 있어, 보통의 초등학생 반인원이 35명인데 비해 불필요하게 용량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등록된 밥솥은 밥 한 가지만 할 수 있는 구조여서 두 가지 요리를 동 시간대에 조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자동취반기의 하나의 조리 공간에 밥과 밥, 밥과 조림, 밥과 찜, 또는 찜과 다른 종류의 찜 등의 조리를 동 시간대에 요리를 할 수 있도록 밥솥의 용량은 줄이고, 밭솥의 위에는 다른 종류의 요리를 할 수 있는 밥솥을 추가로 구비한 단체급식용 복층 조리 밥솥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단체급식 시설에서 사용되는 단체급식 자동취반기에 사용되는 단체급식용 복층 조리 밥솥에 있어서, 식재료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제1밥솥몸체와; 상기 제1밥솥몸체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는 바닥면 중앙으로부터 상부측으로 돌출되고 복수개의 통공을 갖는 중공의 융기관이 형성된 원통형 제2밥솥몸체와; 상기 제2밥솥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제1밥솥몸체는 내측판이 티타늄이나 스테인리스로 구성되고 외측판이 인덕션 히타용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내·외측판의 중간재는 발포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의 판재를 프레스 방식으로 접합하여 제조한 다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형 제2밥솥몸체의 상부측에는 상기 덮개가 안착되는 받침턱과, 상기 덮개가 안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며 보호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덮개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점차로 낮아지는 구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체급식용 복층 조리 밥솥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융기관은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서서히 작아지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밥솥몸체 및 제2밥솥몸체는 동일한 종류끼리 각각 포개어 적재보관할 수 있도록 하부측이 상부측 보다 직경을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밥솥몸체는 상부 내측에 상기 제2밥솥몸체의 하단을 받침하는 받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밥솥몸체는 상기 제1밥솥몸체의 받침턱에 올려질 수 있도록 하부측의 지름을 상기 제1밥솥몸체의 상부측 직경 보다 크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밥솥몸체의 위에 제2밥솥몸체가 올려진 상태로 한꺼번에 두 가지의 요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두 가지 요리를 동 시간대에 조리할 수 있어 조리시간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밥솥몸체는 전체가 다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적은 에너지로 전면가열 방식의 밥을 지을 수 있고, 강도 및 내열성 등이 우수하며, 중금속이 노출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고, 조리되는 요리의 열기가 종래에 비해 오래 유지되는 보온효과가 있다.
또한, 제1밥솥몸체 및 제2밥솥몸체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포개어 적재 보관이 가능하여 보관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체급식용 복층 조리 밥솥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밥솥몸체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밥솥몸체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밥솥몸체를 적재시킨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밥솥몸체를 적재시킨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체급식용 복층 조리 밥솥을 자동취사조리기에 사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단체급식 시설에서 사용되는 단체급식 자동취반기(300)에 사용되는 단체급식용 복층 조리 밥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재료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제1밥솥몸체(10)와; 상기 제1밥솥몸체(10)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는 바닥면 중앙으로부터 상부측으로 돌출되고 복수개의 통공(27)을 갖는 중공의 융기관(26)이 형성된 원통형 제2밥솥몸체(20)와; 상기 제2밥솥몸체(2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30);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제1밥솥몸체(10)는 내측판이 티타늄이나 스테인리스로 구성되고 외측판이 인덕션 히타용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내·외측판의 중간재는 발포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의 판재를 프레스 방식으로 접합하여 제조한 다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형 제2밥솥몸체(20)의 상부측에는 상기 덮개(30)가 안착되는 받침턱(28)과, 상기 덮개(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며 보호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30)는 덮개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점차로 낮아지는 구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체급식용 복층 조리 밥솥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단체급식용 복층 조리 밥솥의 구성 중 융기관(26)은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서서히 작아지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밥솥몸체(10) 및 제2밥솥몸체(20)는 동일한 종류끼리 각각 포개어 적재보관할 수 있도록 하부측이 상부측 보다 직경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밥솥몸체(10)는 상부 내측에 상기 제2밥솥몸체(20)의 하단을 받침하는 받침턱(18)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밥솥몸체(20)는 상기 제1밥솥몸체(10)의 받침턱(18)에 올려질 수 있도록 하부측의 지름을 상기 제1밥솥몸체(10)의 상부측 직경 보다 크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다중 구조란 예컨대 도 2와 같이 상기 원통형 제1밥솥몸체(10)의 내측판(12)이 티타늄이나 스테인리스로 구성되고 외측판(11)이 인덕션 히타용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내·외측판(11,12)의 중간재(13)는 발포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의 판재를 프레스 방식으로 접합하여 제조한 3중를 포함하는 다중 구조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단체급식용 복층 조리 밥솥(이하, '밥솥'이라 한다)으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밥솥몸체(10)와, 제2밥솥몸체(20)와, 덮개(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금속 용출없는 건강급식실현을 위해 특히 제1밥솥몸체(10)의 내측판(12)는 티타늄이나 스테인리스스틸 재질로 구성하고, 외측판(11)은 인덕션 히타용 판재로 구성하며, 그 사이의 중간재(13)는 발포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의 판재로 구성하여 프레스 방식으로 접합하여 일체화한 3중의 구조이다.
즉, 제1밥솥몸체(10)는 전체가 다중 구조로 전면가열방식으로 밥이 되며, 제2밥솥몸체(20)는 제1밥솥몸체(10)로부터 전도되는 열과 증기로서 밥이나 조림, 국 등을 조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밥솥은 인덕션 히타를 포함 한 가스, 램프, 전열기 등 모든 열원에서 사용가능하며, 무독성, 무공해 친환경적인 자동 취사용 밥솥이다.
구체적으로, 제1밥솥몸체(10)는 원통형으로서 상부측이 개방된 형태이고, 상부 내측에는 받침턱(18)이 형성된 구성이다.
여기서 제1밥솥몸체(10)의 형태를 원통형이라 한 것은 통상 밥솥의 형태가 그러하므로 하나의 실시예로서 제시한 것일 뿐 사각의 형상 및 기타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받침턱(18)은 제2밥솥몸체(20)의 하단을 받침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밥솥은 복층으로 적재 가능하여 두 가지 요리를 한꺼번에 조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밥솥몸체(10)에 적재되는 제2밥솥몸체(20)의 하단측의 가장자리는 받침턱(18)에 받침되고, 받침되지 않는 부위는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밥솥 설계시 이러한 사항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밥솥몸체(10)의 둘레에는 들고다니기 용이하도록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밥솥몸체(20)는 원통형으로서 제1밥솥몸체(10)와 동일하게 상부측이 개방된 형태이고, 전체적으로 단층 구조이며, 상부 내측에는 받침턱(28)과 가이드부(29)가 형성된 구성이다. 또한 제2밥솥몸체(20)는 위와 같은 구성에 더하여 통공(27)을 갖는 중공의 융기관(26)을 더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융기관(26)은 복수개의 통공(27)을 갖으며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제2밥솥몸체(20)의 바닥면(24) 중앙으로부터 상부측으로 돌출된 구성이다.
제2밥솥몸체(20)의 둘레에는 들고다니기 용이하도록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융기관(26)은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서서히 작아지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중앙 부분(25)에 집중된 열기가 융기관(26)을 통과하면서 상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인해 상,하부가 동일한 직경을 취하는 융기관에 비해 통공(27)으로 발산되는 열기가 더욱 많아져 결국 제2밥솥몸체(20)의 내부에 열기가 고루 분산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덮개(30)는 제2밥솥몸체(2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상부에는 개폐가 용이하도록 손잡이(31)가 형성된다. 그리고 덮개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점차로 낮아지는 구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밥솥은 예컨대, 밥,국, 또는 찌개 등의 요리를 할 수 있는 제1밥솥몸체(10) 위에 밥, 국, 찜, 또는 찌개 등의 요리를 할 수 있는 제2밥솥몸체(20)를 올려서 동시에 두 가지 요리를 할 수 있고, 특히 본 발명은 도 6과 같이 자동취반기(300)의 하나의 조리 공간에 들어갈 수 있도록 제1밥솥몸체(10)의 크기를 줄이고 줄인 만큼의 공간을 제2밥솥몸체(20)로 채운 것이어서, 자동취반기(300)의 하나의 공간에 두 가지 요리를 동시에 조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밥솥몸체 20: 제2밥솥몸체
30: 덮개 11: 외측판
12: 내측판 13: 중간재
14,24: 바닥면 18,28: 받침턱
26: 융기관 27: 통공
31: 손잡이

Claims (4)

  1. 단체급식 시설에서 사용되는 단체급식 자동취반기(300)에 사용되는 단체급식용 복층 조리 밥솥에 있어서,
    식재료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제1밥솥몸체(10)와;
    상기 제1밥솥몸체(10)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는 바닥면 중앙으로부터 상부측으로 돌출되고 복수개의 통공(27)을 갖는 중공의 융기관(26)이 형성된 원통형 제2밥솥몸체(20)와;
    상기 제2밥솥몸체(2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30);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제1밥솥몸체(10)는 내측판(12)이 티타늄이나 스테인리스로 구성되고 외측판(11)이 인덕션 히타용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내·외측판의 중간재(13)는 발포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의 판재를 프레스 방식으로 접합하여 제조한 다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형 제2밥솥몸체(20)의 상부측에는 상기 덮개(30)가 안착되는 받침턱(28)과, 상기 덮개(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며 보호하는 가이드부(29)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30)는 덮개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점차로 낮아지는 구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체급식용 복층 조리 밥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관(26)은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서서히 작아지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체급식용 복층 조리 밥솥.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밥솥몸체(10) 및 제2밥솥몸체(20)는 동일한 종류끼리 각각 포개어 적재보관할 수 있도록 하부측이 상부측 보다 직경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체급식용 복층 조리 밥솥.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밥솥몸체(10)는 상부 내측에 상기 제2밥솥몸체(20)의 하단을 받침하는 받침턱(18)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밥솥몸체(20)는 상기 제1밥솥몸체(10)의 받침턱(18)에 올려질 수 있도록 하부측의 지름을 상기 제1밥솥몸체(10)의 상부측 직경 보다 크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체급식용 복층 조리 밥솥.
KR1020110064176A 2011-06-30 2011-06-30 단체급식용 복층 조리 밥솥 KR101258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176A KR101258536B1 (ko) 2011-06-30 2011-06-30 단체급식용 복층 조리 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176A KR101258536B1 (ko) 2011-06-30 2011-06-30 단체급식용 복층 조리 밥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112A true KR20130003112A (ko) 2013-01-09
KR101258536B1 KR101258536B1 (ko) 2013-06-04

Family

ID=4783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176A KR101258536B1 (ko) 2011-06-30 2011-06-30 단체급식용 복층 조리 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5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9680A1 (ko) 2017-08-23 2019-02-28 신성현 골프 디포트 체크장치
CN109527965A (zh) * 2018-12-06 2019-03-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热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153B1 (ko) * 2015-12-23 2018-02-0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826157B1 (ko) * 2015-12-23 2018-02-0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531U (ja) * 1992-12-08 1994-07-05 元成 彭 加熱装置付き蒸し器
JPH10295538A (ja) * 1997-04-21 1998-11-10 Sugiyama Kinzoku Kk 積み重ね式鍋
KR20040089056A (ko) * 2004-09-30 2004-10-20 최용안 보관이 편리한 상업용 가스밥솥의 밥솥
KR100940491B1 (ko) 2009-05-26 2010-02-03 (주)조아스텍 단체급식 자동취반기용 전용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9680A1 (ko) 2017-08-23 2019-02-28 신성현 골프 디포트 체크장치
US11219813B2 (en) 2017-08-23 2022-01-11 Ks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checking golf divot
CN109527965A (zh) * 2018-12-06 2019-03-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热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8536B1 (ko) 201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536B1 (ko) 단체급식용 복층 조리 밥솥
CN101889817A (zh) 改良的双向加热烹调装置
KR100940491B1 (ko) 단체급식 자동취반기용 전용솥
CN106136857A (zh) 一种带有石墨烯材料的炒锅及其制造方法
CN201519045U (zh) 多功能蒸屉
CN101233995A (zh) 高热流体多用煲及其灶厨具组合
CN204813357U (zh) 一种可以方便端起放入其中的盘碟的电饭煲蒸架
CN202168730U (zh) 节能蒸屉
CN201602606U (zh) 蒸架与蒸盘组合结构
CN203234557U (zh) 三合一多用锅
CN211155123U (zh) 一种便携式多功能电煮锅
JPH09140593A (ja) 調理用具
JP3193322U (ja) 固体燃料用携帯型コンロ
CN215348346U (zh) 一种新型电蒸锅
CN214048483U (zh) 蒸煮机器人
CN211748943U (zh) 一种可蒸、热一体的锅盖
CN201406054Y (zh) 电磁炉配用麦饭石容器
CN215838385U (zh) 一种降糖饭盒
CN208822340U (zh) 一种复底高汤锅
CN211883393U (zh) 一种磁力可拆卸子母鸳鸯锅
CN211509313U (zh) 一种带有前置可视窗口的电热板
CN201987269U (zh) 炖煮烧水多用壶
KR200371546Y1 (ko) 다용도 조리기구의 요구르트 제조용기
CN209899076U (zh) 一种涮烤一体组合锅
US20050258166A1 (en) Double heating-type two-sided frying p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