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305A - Sand filter and fitration method using the liquefaction - Google Patents

Sand filter and fitration method using the liquefa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305A
KR20130000305A KR1020110060921A KR20110060921A KR20130000305A KR 20130000305 A KR20130000305 A KR 20130000305A KR 1020110060921 A KR1020110060921 A KR 1020110060921A KR 20110060921 A KR20110060921 A KR 20110060921A KR 20130000305 A KR20130000305 A KR 20130000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filtration
raw water
tank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9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69582B1 (en
Inventor
김시원
Original Assignee
김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원 filed Critical 김시원
Priority to KR1020110060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582B1/en
Publication of KR20130000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3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5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38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4/40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1/0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outside the filter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41/0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outside the filter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of loose filter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PURPOSE: A sand filtering apparatus using liquefaction phenomena, and a method for the same are provided to continuously reuse filtering sand by collecting clogged filtering sand and washing the collected filtering sand. CONSTITUTION: A sand filtering apparatus using liquefaction phenomena includes a filtering tank(100), a discharging part(200), a feed water supplying pipe(300), filtering sand(400), and a vibrator(500). A feed water inlet(11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ltering tank, and a purified water outlet(120) is formed at another side of the filtering tank. The discharging part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filtering tank, and a J-shaped discharging pipe(220)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a discharging chute(210) which forms the discharging part. The feed water supplying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art of the discharging part, and one end part of the feed water supplying part is connected to the feed water inlet. The filtering tank and the discharging part are filled with the filtering sand. The vibrator is combined with one side of the filtering tank or the discharging part.

Description

액상화 현상을 이용한 모래 여과 장치 및 방법 {Sand filter and fitration method using the liquefaction}Sand filter and method using liquefaction phenomena {Sand filter and fitration method using the liquefaction}

본 발명은 액상화 현상을 이용한 모래 여과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에 원수 유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정수 유출부가 형성되는 여과탱크; 상기 여과탱크의 하측에 형성되며, 배출슈트하부에 J자형 배출관이 형성되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의 상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원수 유입부의 하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여과탱크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원수 공급관; 상기 여과탱크 및 배출부의 내부에 충전되는 여과사; 및 상기 여과탱크 또는 배출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진동자;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진동자의 작동에 의해 여과 과정에서 폐색되는 여과사의 여과층을 액상화 현상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일정한 정화능력을 유지하여 정수의 수질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정수를 하면서 동시에 폐색되는 여과층을 제거할 수 있어 연속적인 수처리가 가능한 액상화 현상을 이용한 모래 여과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nd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liquefaction phenomenon, and more particularly, a filtration tank in which a raw water inlet is formed on one side and a purified water outle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 discharge part formed under the filtration tank and having a J-shaped discharge pipe formed under the discharge chute; A raw water supply pipe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discharge par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raw water inlet part, and being formed to be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iltration tank; Filtration yarn filled in the filtration tank and the discharge portion; And a vibrator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ltration tank or the discharge part. It can be made, including the filtration layer of the filter yarn occluded in the filtration process by the operation of the vibrator can be automatically removed using the liquefaction phenomenon to maintain a constant purification ability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the purified water, whi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nd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liquefaction phenomenon which can remove a filtration layer that is blocked at the same time and thus allow continuous water treatment.

일반적으로 모래 여과 장치는 정수장에서 정수 공정의 하나로 모래층을 통과시켜 물을 정화하는 장치로서 상수도 및 하수도의 수처리에 주로 이용된다.In general, the sand filtration device is a device for purifying water through the sand layer as one of the water purification process in the water purification plant is mainly used for water treatment of tap water and sewage.

그리고 여과 방식에 따라 급속여과와 완속여과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뉜다. 급속여과는 대량으로 처리가 가능하나 정화력은 떨어지고, 완속여과는 모래 입자에 생물막이 형성되어 작은 이물질과 세균 및 중금속과 같은 물질도 제거할 수 있으나 여과 효율은 떨어진다.Depending on the filtration method, it is divided into two types of rapid filtration and slow filtration. Rapid filtration can be processed in large quantities, but the purification power is inferior. In slow filtration, biofilms are formed on sand particles to remove small foreign substances, such as bacteria and heavy metals, but the filtration efficiency is low.

그리고 원수의 유입 및 유출 위치에 따라 하향류 방식과 상향류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하향류 방식은 자연 유하를 이용한 모래여과 방식으로 여재의 표면만 여과작용을 함으로서 여과 지속시간이 짧고 여과 선속도가 급격히 감소하므로 잦은 역세가 필요하며, 일정한 여과속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넓은 여과면적이 필요하다.And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inflow and outflow of raw water can be divided into downflow and upflow. The downflow method is a sand filtration method using natural oil, which filters only the surface of the filter media, so that the filtration duration is short and the linear velocity of the filter decreases rapidly, requiring frequent backwashing and a large filtration area to secure a constant filtration rate. Do.

그러므로 여재 표면층의 폐색(막힘)으로 잦은 역세를 실시해야 하며, 역세를 위해 수처리 유량의 5 내지 15%의 역세수가 필요하며 또한 하수의 경우 1일 1회, 상수의 경우 3일에 1회 정도 역세를 실시해야 한다.Therefore, frequent backwashing is required due to blockage (blockage) of the media surface layer, and backwashing of 5 to 15% of the water treatment flow rate is required for backwashing, and also backwashing once a day for sewage and once every three days for water. Should be implemented.

즉, 역세를 하는 횟수와 역세에 필요한 역세수의 양이 많고 또한 역세수 역시 다시 재처리되어야 하므로 에너지의 손실이 많다.That is, the number of backwashing and the amount of backwashing required for backwashing are large, and the backwashing also has to be reprocessed again, resulting in high energy loss.

뿐만아니라, 장기간 사용시에는 여과층이 완전히 폐색되어 모래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하수의 경우 1년에 1회 정도 모래 전체 또는 일부를 교체해야함)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ng time use, the filter layer is completely occluded and the entire sand must be replaced (when sewage needs to replace all or part of the sand about once a year).

그리고 기존의 모래여과 방식은 장시간 사용할 경우 채널(channel)이 발생할 수 있으며, mud ball(모래와 고형물등이 엉켜 20~25mm의 덩어리를 형성함), air binding(수중의 공기가 부압이나 온도상승으로 유리되어 모래층에 기포형성), break through(여과면적 감소로 여과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고형물질이 같이 유출되는 현상) 등도 발생하게 되어 여과 수질이 나빠질 수 있다.And the existing sand filtration method can generate a channel when used for a long time, mud ball (sand and solids entangled to form a lump of 20 ~ 25mm), air binding (air underwater in negative pressure or temperature rise The glass layer may be bubbled in the sand layer, and break through (a phenomenon in which solid material flows out as the filtration rate increases due to a decrease in the filtration area) may occur, thereby degrading the filtration water quality.

또한, 기존 모래여과는 유공블록과 같은 하부집수장치, 역세장치 등이 갖추어져야 하므로 시설비가 많이 소요되며, 연속적인 여과가 불가능하다.In addition, the existing sand filtration must be equipped with a bottom collecting device, such as a perforated block, backwashing device, so the facility cost is high, and continuous filtration is impossible.

또한, 모래여과는 여재의 공극보다 큰 입자가 여과되는 기계적 여과작용 외에 부착, 흡착과 같은 물리화학적 여과작용, 여과지 내에서 증식하는 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 여과작용이 있어 자연수 또는 하수에 존재하는 용해성 물질에 대한 제거능력이 있다. 반면에 마이크로필터(MF)와 같은 막 또는 멤브레인을 사용할 경우 용해성 물질은 여과되지 않으므로, 별도의 소독으로 인한 염소계 소독부산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Sand filtration also has physicochemical filtration, such as adhesion and adsorption, and biological filtration by microorganisms that proliferate in the filter paper, in addition to mechanical filtration in which particles larger than the pores of the media are filtered. Has the ability to remove On the other hand, when using a membrane or a membrane such as a micro filter (MF), since the soluble material is not filtered, there is a problem that a chlorine disinfection by-product due to a separate disinfection occurs.

그리고 상향류 방식은 하측에서 원수가 유입되어 모래층을 거쳐 상측으로 정수가 유출되는 방식으로서, 시설이 복잡하여 대부분 소규모 탱크로 제작되므로 대규모 시설에 적용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In addition, the upflow method is a method in which raw water is introduced from the lower side and the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upper side through the sand layer,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large-scale facility because most facilities are made of small tanks.

마찬가지로 상향류 방식의 모래여과도 잦은 역세를 실시해야 하므로 많은 역세수가 발생되며, 하향류 방식과 유사한 정수의 오염문제가 발생된다.Similarly, upstream sand filtration requires frequent backwashing, resulting in a large number of backwashing, and water purification problems similar to downflowing.

도 1은 종래의 상향류 방식의 모래 여과장치를 나타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and filter of a conventional upflow method.

우선, 여과탱크(10)에 여과사(20)가 충진되어 있고, 상기 여과탱크(10)의 하측으로 원수인입관(30)이 설치되어 여과탱크(10) 내측의 여과사(20) 안으로 수처리 하고자 하는 원수가 유입되도록 구성된다.First, the filtration tank 20 is filled in the filtration tank 10, and the raw water inlet pipe 30 is installed below the filtration tank 10 to the water treatment into the filtration sand 20 inside the filtration tank 10. It is configured to introduce raw water.

그리고 상기 여과탱크(10) 상측에는 여과된 정수가 유출되도록 정수유출관(40)이 구성되어, 상기 원수유입관(30)으로 유입된 원수가 여과사(20)를 통과하여 정수되어 여과탱크(10)의 상측에 구성되는 상기 정수유출관(40)으로 배출되어 여과가 이루어진다.And the upper side of the filtration tank 10 is a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40 is configured so that the filtered purified water outflow, the raw water introduced into the raw water inlet pipe 30 is purified through the filter sand 20 is filtered tank ( 10 is discharged to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40 configured on the upper side is made of filtration.

이때, 상기 여과탱크(10)의 중앙에는 상승관(50), 상기 상승관(50)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압축공기 배출장치(51), 상기 상승관(50)의 상단에 구성되는 분리조(60), 상기 분리조의 하측으로 형성되는 분리관(70) 및 상기 분리조(60)의 상측 일면에 형성되는 퇴수관(80)이 구성된다.At this time, in the center of the filtration tank 10, the riser 50, the compressed air discharge device 5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iser 50, the separation tank configured at the top of the riser (50) 60), the separation pipe 70 is form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paration tank and the discharge pipe 8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separation tank (60).

여기에서 상기 압축공기 배출장치(51)에 의해 상기 상승관(50)을 따라 여과사(20)의 일부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분리조(60)로 유입되어 공기 방울에 의해 이물질들은 분리조(60)의 상측으로 떠올라 퇴수관(80)으로 배출되고, 여과사(20)는 상기 분리관(70)을 따라 여과탱크(10) 내부로 순환되어 유입된다.Here, a part of the filtration sand 20 moves upward along the riser pipe 50 by the compressed air discharge device 51 and enters the separation tank 60 so that foreign matters are separated by the air bubbles. Rising to the upper side of the)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80, the filter yarn 20 is circulated into the filtration tank 10 is introduced along the separation pipe (70).

그리하여 연속적으로 여과사(20)가 세척 및 순환되면서 동시에 정수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나 장치가 복잡하며, 상기 분리조(60)에서 이물질과 여과사(20)가 잘 분리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정수유출관(40)으로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어 수질이 나빠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Thus, a device for continuously purifying and filtering the filter sand 20 while at the same time has been developed, but the device is complicated, the foreign matter and the filter sand 20 in the separation tank 60 is not well separated In this case, foreign mat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purified water outlet pipe 40,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water quality may deteriorat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과시 폐색되는 부분은 여재로 작용하는 원수 공급관 주변의 여과사이므로 폐색되는 부분의 여과사를 자동으로 제거하여 일정한 여과능력 및 정수의 수질을 유지할 수 있으며, 연속적인 정수가 가능한 액상화 현상을 이용한 모래 여과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art of the blockage during filtration is the filter yarn around the raw water supply pipe acting as a filter medium so that the filter yarn of the blockage portion is automatically remov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and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liquefaction phenomenon capable of maintaining filtration capacity and purified water quality and allowing continuous water purification.

또한, 폐색되는 여과사를 회수탱크에 회수하고 모래 세척장치에서 세척한 후 여과탱크의 상측에 구성되는 모래 배급장치로 공급하여 여과사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액상화 현상을 이용한 모래 여과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sand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liquefaction phenomenon to recover the filter sand to recover the clogged filter sand is recovered in the recovery tank and washed in the sand washing apparatus and supplied to the sand distribution device configur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ration tank. To provid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상화 현상을 이용한 모래 여과 장치는, 일측에 원수 유입부(110)가 형성되고 타측은 정수 유출부(120)가 형성되는 여과탱크(100); 상기 여과탱크(100)의 하측에 형성되며, 배출슈트(210)하부에 J자형 배출관(220)이 형성되는 배출부(200); 상기 배출부(200)의 상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원수 유입부(110)의 하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여과탱크(100)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원수 공급관(300); 상기 여과탱크(100) 및 배출부(200)의 내부에 충전되는 여과사(400); 및 상기 여과탱크(100) 또는 배출부(2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진동자(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and filtration apparatus using the liquefaction phenomen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ltration tank 100 is formed with a raw water inlet 110 on one side and the purified water outlet 120 on the other side; A discharge part 200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filtration tank 100 and having a J-shaped discharge pipe 220 formed below the discharge chute 210; A raw water supply pipe 300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unit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raw water inlet 110 so as to be formed in the filtration tank 100 in a horizontal direction; Filtration yarn 400 is filled in the filtration tank 100 and the discharge unit 200; And a vibrator 500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ltration tank 100 or the discharge part 200. And a control unit.

또한, 상기 원수 공급관(300)은 하측에 다수개의 원수 공급홀(3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aw water supply pipe 300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aw water supply holes 310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또한, 상기 여과탱크(100)의 하측에 상기 배출부(200)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회수탱크(6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covery tank 600 which is formed to receive the discharge portion 200 in the lower side of the filtration tank 100.

또한, 상기 여과탱크(100)의 상측에 구성되어 상기 여과사(400)가 보충되도록 하는 모래 배급장치(7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and distribution device 700 is configur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ration tank 100 so that the filtration yarn 400 is replenished.

또한, 상기 회수탱크(60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모래 배급장치(700)에 연결되는 모래 세척장치(8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recovery tank 600 and the other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and washing device 800 is connected to the sand distribution device (700).

상기 모래 세척장치(800)는 하이드로사이클론(hydrocyclon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and washing apparatus 8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ydrocyclone (hydrocyclone).

상기 여과사(400)는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여재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lter yarn 400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by stacking two or more different media.

그리고 본 발명의 모래 여과 장치를 이용한 여과 방법은,And the filtration method using the sand filtration apparatus of this invention,

상기 원수 공급관(300)으로 원수가 공급되어 상기 여과사(400)를 상측으로 통과하며 여과되는 단계(S10); 및 상기 S10단계 도중에 상기 진동자(500)를 작동시켜 상기 원수 공급관(300) 주변의 폐색되는 여과사(400)가 상기 배출관(320)을 통해 제거되도록 하는 단계(S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aw water is supplied to the raw water supply pipe 300 to pass through the filter yarn 400 to be filtered upward (S10); And operating the vibrator 500 during the step S10 such that the filter yarn 400 blocked around the raw water supply pipe 300 is remov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320 (S20). And a control unit.

이때, 상기 S20단계는 일정한 시간을 두고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the step S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formed repeatedly over a certain time.

본 발명의 액상화 현상을 이용한 모래 여과 장치 및 방법은 폐색되는 부분의 여과사를 자동으로 제거하여 일정한 여과능력 및 정수의 수질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정수와 동시에 폐색되는 여과사를 제거할 수 있어 역세가 필요치 않으며, 연속적인 정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Sand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liquefaction phenomen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remove the filtered sand of the blocked portion to maintain a constant filtration capacity and water quality, and can remove the filtered sand clogged at the same time with purified water. It is not necessary and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continuous integers.

또한, 폐색되는 여과사를 회수탱크에 회수하고 모래 세척장치에서 세척한 후 여과탱크의 상측에 구성되는 모래 배급장치로 공급하여 여과사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하여 여과사의 연속적인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tinuous reuse of the filter sand can be recovered by supplying to the sand distribution device configur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ing tank after the filtered sand to be collected in the recovery tank and washed in the sand washing device. .

또한, 정수와 동시에 폐색되는 여과사를 제거할 수 있어 연속적인 정수가 가능하여 비교적 작은 입자의 여과사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정수의 수질이 향상되고 여과속도가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ltered sand can be removed at the same time as the purified water can be used for continuous purified water can be used to filter the relatively small particl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ater quality of the purified water is improved and the filtration rate is increased.

도 1은 종래의 모래 여과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액상화 현상을 이용한 모래 여과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액상화 현상을 이용한 모래 여과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액상화 현상을 이용한 모래 여과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략도.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and filtration device.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and filtration apparatus using the liquefaction phenomen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nd filtration device using the liquefaction phenomenon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char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and filtration apparatus using the liquefaction phenomen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액상화 현상을 이용한 모래 여과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and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liquefaction phenomen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액상화 현상을 이용한 모래 여과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and filtration apparatus using the liquefaction phenomen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상화 현상을 이용한 모래 여과 장치는 일측에 원수 유입부(110)가 형성되고 타측은 정수 유출부(120)가 형성되는 여과탱크(100); 상기 여과탱크(100)의 하측에 형성되며, 배출슈트(210)하부에 J자형 배출관(220)이 형성되는 배출부(200); 상기 배출부(200)의 상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원수 유입부(110)의 하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여과탱크(100)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원수 공급관(300); 상기 여과탱크(100) 및 배출부(200)의 내부에 충전되는 여과사(400); 및 상기 여과탱크(100) 또는 배출부(2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진동자(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Sand filtration apparatus using the liquefaction phenomen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s a filtration tank 100 is formed with a raw water inlet 110 on one side and the purified water outlet 120 on the other side; A discharge part 200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filtration tank 100 and having a J-shaped discharge pipe 220 formed below the discharge chute 210; A raw water supply pipe 300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unit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raw water inlet 110 so as to be formed in the filtration tank 100 in a horizontal direction; Filtration yarn 400 is filled in the filtration tank 100 and the discharge unit 200; And a vibrator 500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ltration tank 100 or the discharge part 200. It is made, including.

우선, 상기 여과탱크(100)는 일측에 원수 유입부(110)가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여과탱크(100)의 상측에 정수 유출부(120)가 형성된다.First, the filtration tank 100 has a raw water inlet 110 is formed long in the height direction on one side, the water purification outlet 12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ltration tank 100.

상기 원수 유입부(110)의 상부에는 원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정수 유출부(120)에 여과되는 정수가 유출되도록 유출구(121)가 형성된다.An inlet 111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aw water inlet 110 so that the raw water is introduced, the outlet 121 is formed so that the purified water is filtered out to the purified water outlet 120.

이때, 상기 유입구(111)가 유출구(121)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원수 유입부(110)내에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여 중력에 의해 정수되도록 하는 상향류 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inlet 111 is formed higher than the outlet 121, the upflow to 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111 to maintain a constant height in the raw water inlet 110 to be purified by gravity It is preferred that the manner is applied.

그리고 상기 배출부(200)는 상기 여과탱크(100)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슈트(210)가 여과탱크(100)에 결합되고 상기 배출슈트(210)의 하부에 J자형으로 배출관(220)이 형성된다.And the discharge portion 20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ltration tank 100, the discharge chute 210 is coupled to the filtration tank 100 and the discharge pipe 220 in the J-shaped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chute 210 ) Is formed.

이때, 상기 배출부(200)의 상측에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원수 공급관(300)이 형성되며, 상기 원수 공급관(300)은 상기 원수 유입부(110)의 하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여과탱크(100)에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raw water supply pipe 30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unit 200, the raw water supply pipe 30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aw water inlet 110, the other end is the filtration tank It is fixed to 100.

그리고 상기 여과탱크(100)와 배출부(200)의 내부에는 여과사(400)가 충전되며, 상기 여과사(400)는 상기 여과탱크(100)의 정수 유출부(120)보다 낮은 높이로 충전되고 상기 배출부(200)의 배출관(220) 끝까지 채워진다.And the filter yarn 400 is filled in the filtration tank 100 and the discharge unit 200, the filter yarn 400 is filled to a lower height than the purified water outlet 120 of the filtration tank 100. And is filled up to the end of the discharge pipe 220 of the discharge unit (200).

또한, 상기 여과탱크(100) 또는 배출부(200)의 일측에 진동자(500)가 결합된다.In addition, the vibrator 50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ltration tank 100 or the discharge part 200.

이때, 상기 진동자(500)는 상기 여과탱크(100) 또는 배출부(200)에 연결되어 진동을 전달할 수 다른 위치에 결합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vibrator 500 may be connected to the filtration tank 100 or the discharge unit 200 may be coupled to another position capable of transmitting vibration.

그리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모래 여과 장치를 이용한 여과 방법은, 상기 원수 공급관(300)으로 원수가 공급되어 상기 여과사(400)를 상측으로 통과하며 여과되는 단계(S10); 및 상기 S10단계 도중에 상기 진동자(500)를 작동시켜 상기 원수 공급관(300) 주변의 폐색되는 여과사(400)가 상기 배출관(320)을 통해 제거되도록 하는 단계(S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us, the filtration method using the sand filt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raw water is supplied to the raw water supply pipe 300 is filtered and passed through the filter yarn 400 to the upper side (S10); And operating the vibrator 500 during the step S10 such that the filter yarn 400 blocked around the raw water supply pipe 300 is remov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320 (S20). It is made, including.

즉, 상기 유입구(111)로 원수가 유입되면 상기 원수 유입부(110)와 원수 공급관(300)을 거쳐 상기 여과사(400)를 상측으로 통과하며 여과되어 정수 유출부(120)로 배출되어 정수가 이루어진다.That is, when raw water flows into the inlet 111, the raw water inlet 110 and the raw water supply pipe 300 pass through the filter yarn 400 upwards and are filtered and discharged to the purified water outlet 120 to purify the water. Is done.

이때, 원수가 여과되는 부분은 상기 원수 공급관(300) 주변의 여과사(400)이며, 여과과정을 거치며 이물질에 의해 폐색되어 여과능력이 저하된다.At this time, the portion of the raw water is filtered is the filtration yarn 400 around the raw water supply pipe 300, the filtration process is blocked by the foreign matter is reduced filtration capacity.

그러므로 일정 시간동안 원수를 여과하여 원수 공급관(300) 주변의 여과사(400)가 폐색되면 이를 제거하거나 역세를 해야만 정화능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폐색되는 여과사(400)를 상기 배출부(200)를 통해 제거하기 위해 진동자(500)가 작동된다.Therefore, if the filter yarn 400 around the raw water supply pipe 300 is blocked by filtering the raw water for a predetermined time, it is necessary to remove or backwash the filter sand 400 to maintain the purification ability. The vibrator 500 is operated to remove it through.

상기 진동자(500)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여과사(400)의 액상화 현상에 의해 마치 액체와 같이 유동하며 상기 배출부(200)의 배출관(220)의 말단부로 배출된다.When the vibrator 500 is operated by the liquefaction phenomenon of the filter yarn 400, it flows like a liquid and is discharged to the distal end of the discharge pipe 220 of the discharge unit 200.

즉, 상기 진동자(500)가 작동되기 전에는 상기 배출부(200)의 배출관(220)에 채워져 있는 여과사(400)가 응력에 의해 배출되지 않으며, 상기 진동자(500)가 작동하여 상기 여과탱크(100) 및 배출부(200)에 초음파 진동이 가해지면 상기 여과탱크(100)와 배출부(200)에 채워진 여과사(400)의 자중에 의해 상기 배출부(200)의 여과사(400)가 밀려 내려가면서 상기 배출관(220)의 말단부로 넘쳐 흘러가게 되어 폐색되는 여과사(400)를 제거할 수 있다.That is, before the vibrator 500 is operated, the filter yarn 400 filled in the discharge pipe 220 of the discharge unit 200 is not discharged by the stress, and the vibrator 500 operates to operate the filter tank ( 100) and the ultrasonic wave is applied to the discharge unit 200, the filter yarn 400 of the discharge unit 200 by the weight of the filter yarn 400 filled in the filtration tank 100 and the discharge unit 200 is As it is pushed down and overflowed to the distal end of the discharge pipe 220 may remove the filter yarn 400 is blocked.

이때, 상기 액상화 현상이란 물이 상기 여과사(400)의 공극에 간극수로 존재하는 경우 진동이 가해지면 상기 여과사(400)가 전단 저항력을 상실하여 마치 액체와 같이 흐를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며, 액상화된 여과사(400)에 작은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여과탱크(100) 내에 높게 채워지는 여과사(400)의 자중에 의해 여과사(400)가 밀려 넘치면서 상기 배출관(220)의 바깥쪽으로 흘러 내려가게 된다.In this case, the liquefaction phenomenon is that when the water is present in the pores of the filter yarn 400 as the pore water, when the vibration is applied, the filter yarn 400 loses shear resistance and is in a state where it can flow like liquid. Even if a small vibration is applied to the liquefied filtration yarn 400, the filtration yarn 400 is overflowed by the self-weight of the filtration yarn 400, which is filled in the filtration tank 100, and flows down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pipe 220. I will go.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액상화 현상을 이용한 모래 여과 장치는 폐색되는 부분의 여과사(400)를 액상화 현상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어 역세가 필요치 않으며, 정수를 하면서 동시에 폐색되는 여과사(400)를 제거할 수 있어 연속적인 정수가 가능하며 또한 일정한 여과능력 및 정수의 수질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and filtration apparatus using the liquefaction phenomen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remove the filtration yarn 400 of the occluded portion by using the liquefaction phenomenon, so that backwashing is not necessary, and the filtration yarn 400 that is occluded while purifying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continuous water purification, and also has the advantage of maintaining a constant filtration capacity and water quality.

또한, 상기 S20단계는 일정한 시간을 두고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S20 may be performed repeatedly over a certain time.

즉, 원수가 여과되는 도중에 상기 원수 공급관(300) 주변의 폐색되는 여과사(400)를 연속적으로 제거하지 않고,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폐색되는 여과사(400)를 제거할 수 있다.That is, the filtered yarn 400 which is repeatedly blocked at regular time intervals may be removed without continuously removing the blocked filter yarn 400 around the raw water supply pipe 300 while the raw water is filtered.

이때, 상기 진동자(500)가 작동되어 여과사(400)를 제거하기 전에 상기 원수 공급관(300)으로 공급되는 원수를 차단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vibrator 500 may be operated to block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raw water supply pipe 300 before removing the filter yarn 400.

그리고 상기 여과사(400)는 액상화 현상이 더욱 잘 일어날 수 있도록 그 입자가 미세하고 균등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lter yarn 400 is preferably used that the particles are fine and even so that the liquefaction phenomenon is more likely to occur.

또한, 상기 여과탱크(100)는 부식에 강하고 여과사(400)에 의한 마모에 견딜 수 있도록 내부식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진동자(500)의 초음파 진동을 전달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ltration tank 100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resistant to corrosion and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and wear resistance to withstand the wear caused by the filtration yarn 400, the efficiency of transmitting the ultrasonic vibration of the vibrator 500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increase the.

또한, 상기 진동자(500)는 상기 여과탱크(100) 또는 배출부(200)의 일측이나 상기 여과탱크(100) 또는 배출부(200)에 연결되어 진동을 전달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여과사(200)로 진동을 잘 전달 수 있는 위치를 선정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vibrator 500 may b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iltration tank 100 or the discharge part 200 or connected to the filtration tank 100 or the discharge part 200 to transmit vibrations. It is preferable to select and install a position capable of transmitting vibration to the filter yarn 200 well.

즉, 도 2와 같이 상기 여과탱크(100)의 하측에 상기 배출부(200)가 수용되도록 회수탱크(600)를 구성하고 상기 회수탱크의 내측에 경사판(610)을 형성하여 상기 경사판(610)의 하면에 다수개의 진동자(500)를 설치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recovery tank 600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discharge part 200 at the lower side of the filtration tank 100 and the inclined plate 610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covery tank. A plurality of vibrators 500 can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그리하여 상기 진동자(500)를 이용하여 상기 여과탱크(100) 및 배출부(200)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관(220)에서 배출되는 여과사(400)를 상기 경사판(610)을 따라 일측으로 모이도록 할 수 있다.Thus, the vibr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filtration tank 100 and the discharge part 200 by using the vibrator 500, and one side of the filter yarn 400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ipe 220 along the inclined plate 610. Can be gathered together.

그리고 상기 진동자(300)는 높은 주파수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사용해야 상기 여과사(400)의 액상화 현상이 더욱 잘 일어날 수 있으며 20kHz 내지 100kHz 범위의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초음파 외의 낮은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진동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And the vibrator 300 should be used to generate a high frequency vibration can be more liquefied phenomenon of the filter yarn 400 and preferably used to generate ultrasonic vibration in the range of 20kHz to 100kHz, but other than ultrasonic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vibrator that generates low frequencies.

또한, 상기 배출부(200)는 도 3과 같이 상기 여과탱크(100)의 하단에 길이 또는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부(200)는 도 4와 같이 길이가 긴 형태 또는 다각형 형태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200 may be formed long in the length or width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filtration tank 100 as shown in Figure 3, the discharge unit 200 is a long shape or polygon as shown in Figure 4 It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또한, 상기 원수 공급관(300)은 하측에 다수개의 원수 공급홀(310)이 형성되어, 상기 원수 유입부(110)로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원수 공급홀(310)을 통해 여과사(400)로 공급되면서 여과사(400) 및 여과되는 이물질에 의해 상기 원수 공급홀(310)이 막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w water supply pipe 300 has a plurality of raw water supply holes 310 formed at the lower side, 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raw water inlet 110 to the filter yarn 400 through the raw water supply hole (310). While being supplied, the raw water supply hole 310 may not be blocked by the filter yarn 400 and the foreign matter filtered.

이때, 상기 원수 공급홀(310)은 상기 원수 공급관(300)의 하측에 길게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raw water supply hole 3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long in the lower side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300).

그리고 상기 여과탱크(100)의 하측에 상기 배출부(200)가 수용되도록 회수탱크(600)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recovery tank 600 may be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filtration tank 100 to accommodate the discharge part 200.

상기 회수탱크(600)는 상기 여과탱크(100)의 하측에 구성되어 상기 배출부(200)가 내부에 수용되어 밀폐되도록 형성되어, 원수가 유출되지 않으면서 상기 배출부(200)에서 배출되는 여과사(400)를 회수할 수 있다.The recovery tank 600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filtration tank 100 is formed so that the discharge part 200 is accommodated therein and sealed, the filtration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art 200 without the raw water flowing out The yarn 400 may be recovered.

또한, 상기 여과탱크(100)의 상측에 구성되어 상기 여과사(400)가 보충되도록 하는 모래 배급장치(700)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200)로 배출되어 줄어드는 여과사(400)를 보충할 수 있다.In addition, a sand distribution device 70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ration tank 100 to replenish the filtration yarn 400, and is supplemented with the filtration yarn 400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ion 200 is reduced. can do.

이때, 상기 모래 배급장치(700)는 도2 및 도 3과 같이 하부를 폭이 좁게 형성하여, 상기 여과탱크(100)로 여과사(400)가 보충될 때 상기 모래 배급장치(700)의 하단부까지 여과사(100)가 보충되면 더 이상 보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and distribution device 700 is formed in a narrow width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lower end of the sand distribution device 700 when the filter yarn 400 is replenished into the filter tank 100 If the filter yarn 100 is replenished, it may be no longer replenished.

또한, 상기 모래 배급장치(700)의 양측에 이송수단(710)을 결합하여 상기 여과탱크(100) 상측의 길이 또는 폭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고르게 여과사(400)를 공급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ransfer means 710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and distribution apparatus 700 so as to evenly feed the filter yarn 400 while moving in the length or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filtration tank 100.

또한, 상기 회수탱크(60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모래 배급장치(700)에 연결되도록 모래 세척장치(800)가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and washing device 8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recovery tank 60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and distribution device 700.

즉, 상기 회수탱크(600), 모래 세척장치(800) 및 모래 배급장치(700) 사이에 각각 모래 이송펌프(820)를 설치하여 모래 이송배관(810)으로 연결하여, 상기 회수탱크(600)에서 회수되는 여과사(400)를 상기 모래 세척장치(800)에서 이물질을 분리한 후 상기 모래 배급장치(700)로 공급하여 상기 여과사(400)를 재사용 할 수 있다.That is, a sand transfer pump 820 is installed between the recovery tank 600, the sand washing apparatus 800, and the sand distribution apparatus 700, respectively, and connected to the sand transfer pipe 810, so that the recovery tank 600 is connected. After separating the foreign matter from the sand washing apparatus 800, the filtered sand 400 recovered from the supplied to the sand distribution device 700 can reuse the filtered sand 400.

이때, 상기 모래 세척장치(800)는 하이드로사이클론(hydrocyclone)이 사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and washing apparatus 800 may be used hydrocyclone (hydrocyclone).

상기 하이드로사이클론은 일측에 세척수 공급관(830) 및 퇴수관(840)이 형성되어, 상기 세척수 공급관(830)에서 세척수가 공급되면 유체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무거운 모래는 원통의 바깥쪽으로 밀려나면서 아래쪽으로 모이고, 이물질은 분리되어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퇴수관(840)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여과사(400)를 세척할 수 있다.The hydrocyclone is formed with a washing water supply pipe 830 and a discharge pipe 840 on one side, and whe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830, the heavy sand is pushed down to the outside of the cylinder by centrifugal force due to the rotation of the fluid. Gathered into, the foreign matter is separated an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84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can wash the filter yarn 400.

또한, 상기 여과사(400)는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여재가 적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yarn 400 may be formed so that two or more different media are stacked.

즉, 상기 여과사(400)는 안트라사이트, 활성탄, 제올라이트 또는 펄라이트와 같은 여재를 모래와 함께 적층되는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That is, the filter yarn 400 may be used to form a form in which the media such as anthracite, activated carbon, zeolite or pearlite are laminated together with sand.

일례로 모래와 안트라사이트를 적층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모래 배급장치(700)를 두 칸으로 형성하여 한쪽은 모래, 다른 한쪽은 안트라사이트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그 하부에 개폐장치를 각각 설치한다.For example, when sand and anthracite are stacked and used, the sand distribution device 700 is formed into two compartments so that one side can supply sand and the other anthracite, and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installed at the bottom thereof.

그리고 상기 개폐장치를 제어하여 여재층의 두께를 원하는 만큼 모래 한층, 안트라사이트 한층 씩으로 여러 층으로 적층되도록 형성한다.And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to form the thickness of the media layer to be laminated in multiple layers by one layer of sand, one anthracite.

또한, 상기 배출부(200)를 통해 배출되는 여재는 상기 하이드로사이클론으로 이송하여 세척수의 회전에 의해 이물질이 분리되면서 동시에 비중차에 의해 두 여재가 분리되며, 상기 분리된 두 여재는 상기 모래 배급장치(700)에 구분하여 다시 공급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ilter medium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200 is transferred to the hydrocyclone to separate the foreign matter by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at the same time by separating the foreign matter by the rotation of the washing water, the separated two media is the sand distribution device Separated at 700 to be supplied again.

즉, 상기 안드라사이트는 모래보다 가벼우므로 상기 하이드로사이클론에서 세척과정을 거치면 모래는 하부에 가라앉고 그 상부에 안드라사이트가 층을 이루게 되므로, 모래와 안드라사이트를 각각 분리할 수 있다.That is, the andhrasite is lighter than sand, so when the hydrocyclone is washed, the sand sinks to the bottom and the andhrasite forms a layer on the top thereof, thereby separating sand and andhrasite.

이와 같이 복층으로 여재를 구성할 경우 입경이 작은 여재와 흡착기능이 좋은 여재 등을 이중으로 사용함으로써 정수의 수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s such, when the filter medium is composed of two layers, the water quality of purified water can be further improved by using a filter medium having a small particle diameter and a filter having good adsorption function.

그리고 상기 모래 이송펌프(820)들은 하천에서 모래를 채취하거나 토목공사, 준설공사, 레미콘 공장의 콘크리트 침전물의 배수 또는 기타 산업공장의 침전물 등에 사용되는 (수중)샌드펌프가 사용될 수 있으며, 나선 방식의 펌프 또는 다이어프램 방식의 펌프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누수가 발생하지 않으며 막힘이 발생하지 않는 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and transfer pump 820 may be used in the sand (water) sand pump used for collecting sand from the river, civil engineering, dredging, concrete sediment of the ready-mix concrete plant or sediment of other industrial plants, spiral type A pump or a diaphragm type pump may be used,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pump having excellent wear resistance, no leakage, and no clogging.

본 발명의 샌드 필터의 다른 예로 도 5와 같이 여과탱크(100)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하측에 원추형의 회수탱크(600)가 형성되며, 원수 유입부(110)가 중앙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sand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filtration tank 1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conical recovery tank 600 is formed at a lower side thereof, and the raw water inlet 110 may b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t the center. have.

즉, 원수의 중력에 의한 여과 방식이 아닌 상기 원수 유입부(110)를 배관으로 형성하고 이를 통해 원수를 압송하는 가압 여과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That is, the pressure filtration method of forming the raw water inlet 110 as a pipe and feeding the raw water through this may be applied instead of the filtration method by the gravity of the raw water.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0 : (본 발명의) 액상화 현상을 이용한 모래 여과 장치
100 : 여과탱크
110 : 원수 유입부 111 : 유입구
120 : 정수 유출부 121 : 유출구
200 : 배출부
210 : 배출슈트 220 : 배출관
300 : 원수 공급관 310 : 원수 공급홀
400 : 여과사
500 : 진동자
600 : 회수탱크 610 : 경사판
700 : 모래 배급장치 710 : 이송수단
800 : 모래 세척장치
810 : 모래 이송배관 820 : 모래 이송펌프
830 : 세척수 공급관 840 : 퇴수관
1000: sand filtration apparatus using the liquefaction phenomen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filtration tank
110: raw water inlet 111: inlet
120: purified water outlet 121: outlet
200:
210: discharge chute 220: discharge pipe
300: raw water supply pipe 310: raw water supply hole
400: filtered yarn
500: oscillator
600: recovery tank 610: inclined plate
700: sand distribution device 710: transfer means
800: sand washing device
810: sand conveying pipe 820: sand conveying pump
830: washing water supply pipe 840: drainage pipe

Claims (9)

일측에 원수 유입부(110)가 형성되고 타측은 정수 유출부(120)가 형성되는 여과탱크(100);
상기 여과탱크(100)의 하측에 형성되며, 배출슈트(210)하부에 J자형 배출관(220)이 형성되는 배출부(200);
상기 배출부(200)의 상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원수 유입부(110)의 하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여과탱크(100)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원수 공급관(300);
상기 여과탱크(100) 및 배출부(200)의 내부에 충전되는 여과사(400); 및
상기 여과탱크(100) 또는 배출부(2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진동자(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화 현상을 이용한 모래 여과 장치.
Raw water inlet 110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the filtration tank 100 is a water purification outlet 120 is formed;
A discharge part 200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filtration tank 100 and having a J-shaped discharge pipe 220 formed below the discharge chute 210;
A raw water supply pipe 300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unit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raw water inlet 110 so as to be formed in the filtration tank 100 in a horizontal direction;
Filtration yarn 400 is filled in the filtration tank 100 and the discharge unit 200; And
A vibrator 500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ltration tank 100 or the discharge part 200; Sand filtration apparatus using the liquefaction phenomenon,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 공급관(300)은 하측에 다수개의 원수 공급홀(3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화 현상을 이용한 모래 여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aw water supply pipe 300 is a sand filtration device using a liquefaction phenomenon,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aw water supply holes 310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탱크(100)의 하측에 상기 배출부(200)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회수탱크(6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화 현상을 이용한 모래 여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Sand filtering device using a liquefaction phenomen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covery tank 600 which is formed to receive the discharge portion 200 in the lower side of the filtration tank (10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탱크(100)의 상측에 구성되어 상기 여과사(200)가 보충되도록 하는 모래 배급장치(7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화 현상을 이용한 모래 여과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and filtration apparatus using the liquefaction phenomenon,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sand distribution device 700 is configur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ration tank 100 to replenish the filtration yarn (20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탱크(60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모래 배급장치(700)에 연결되는 모래 세척장치(8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화 현상을 이용한 모래 여과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recovery tank 600 and the other side is sand filtration device using the liquefaction phenomenon,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sand washing device (800) connected to the sand distribution device (70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 세척장치(800)는 하이드로사이클론(hydrocyclo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화 현상을 이용한 모래 여과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sand washing device 800 is a sand filtration device using a liquefaction phenomenon, characterized in that the hydrocyclone (hydrocyclone).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사(400)는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여재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화 현상을 이용한 모래 여과 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The filter sand 400 is a sand filtration device using a liquefaction phenomen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two or more different media stacked.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모래 여과 장치를 이용한 여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수 공급관(300)으로 원수가 공급되어 상기 여과사(400)를 상측으로 통과하며 여과되는 단계(S10); 및
상기 S10단계 도중에 상기 진동자(500)를 작동시켜 상기 원수 공급관(300) 주변의 폐색되는 여과사(400)가 상기 배출관(320)을 통해 제거되도록 하는 단계(S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여과 방법.
In the filtration method using the sand filtration apparatus of any one of Claims 1-7,
Raw water is supplied to the raw water supply pipe 300 to pass through the filter yarn 400 to be filtered upward (S10); And
Operating the vibrator 500 during the step S10 such that the filter yarn 400 blocked around the raw water supply pipe 300 is remov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320 (S20); Sand filtration method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S20단계는 일정한 시간을 두고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여과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S20 is sand filtr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rried out repeatedly for a certain time.
KR1020110060921A 2011-06-22 2011-06-22 Sand filter and fitration method using the liquefaction KR1012695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921A KR101269582B1 (en) 2011-06-22 2011-06-22 Sand filter and fitration method using the liquefa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921A KR101269582B1 (en) 2011-06-22 2011-06-22 Sand filter and fitration method using the liquefa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305A true KR20130000305A (en) 2013-01-02
KR101269582B1 KR101269582B1 (en) 2013-06-10

Family

ID=47833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921A KR101269582B1 (en) 2011-06-22 2011-06-22 Sand filter and fitration method using the liquefa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58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273B1 (en) * 2014-02-12 2014-10-02 (주) 한국환경진단연구소 Operation method of up-flow sand filtration using head loss and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8104A (en) * 1999-02-01 2000-08-08 Japan Organo Co Ltd Continuous sand filter
KR100441351B1 (en) * 2002-02-04 2004-07-27 이은국 Ultrasonic Upflow Filter
KR100649729B1 (en) * 2006-04-07 2006-11-28 주식회사 산하이앤씨 Purifying apparatus and purifying method of acidic wastewa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273B1 (en) * 2014-02-12 2014-10-02 (주) 한국환경진단연구소 Operation method of up-flow sand filtration using head loss and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9582B1 (en) 201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4382B2 (en) Gravity type fiber filter
NO333875B1 (en) Filtering device
CA2884673A1 (en) Water treatment process comprising floatation combined with gravity filtration, and corresponding equipment
KR101446273B1 (en) Operation method of up-flow sand filtration using head loss and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KR20120047198A (en) Water filtration with automatic backwash
KR20080102340A (en) A fiber filter for industry, using ultrasoni
JP5801249B2 (en) Desalination apparatus and desalination method
KR101269582B1 (en) Sand filter and fitration method using the liquefaction
KR100949058B1 (en) Filtering device
KR101194030B1 (en) Air uniform supplying structure of rapid filter system
KR101350537B1 (en) Apparatus for filtering used with multi-fiber layer and the backward wash method thereof
JP2014018741A (en) Upward filtration apparatus equipped with fine particle filter medium
CN203411417U (en) Backflow continuous type filtering purifier
KR100606602B1 (en) The filter system can be cleaning to use ultrasonic vibrations and how to clean it
RU2372967C2 (en) Method of filtration and bulyzhev's self-wiring filter to this end
KR200355755Y1 (en) The filter system can be cleaning to use ultrasonic vibrations
KR20040070365A (en) General clean water equipment for Small water supplies
WO2019132742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water treatment by flotation and filtration membrane cleaning
CN101811786B (en) Device and process for producing drinking water
CN203861978U (en) Pressure type continuous flow sand filter
KR102050980B1 (en) Water purifier system having water purifier process and backwash process
CN217526677U (en) Solid-liquid separation device
CN201356993Y (en) Self-cleaning sand drift filter
CN211770421U (en) Regeneration-free resin oil removal and filtration device
CN113041673B (en) Water supply system for granule-equalizing filter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