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40263A - 돼지용 사료 및 그 급여 방법 - Google Patents

돼지용 사료 및 그 급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40263A
KR20120140263A KR1020127030968A KR20127030968A KR20120140263A KR 20120140263 A KR20120140263 A KR 20120140263A KR 1020127030968 A KR1020127030968 A KR 1020127030968A KR 20127030968 A KR20127030968 A KR 20127030968A KR 20120140263 A KR20120140263 A KR 20120140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enzyme
mother
pig
feed
pig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0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3142B1 (ko
Inventor
다카아키 오하라
신이치 다니
가즈노리 호소에
도모히토 우에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991805&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14026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Publication of KR20120140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1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1Aromat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89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3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sw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8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gonadal disorders or for enhancing fertility, e.g. inducers of ovulation or of spermatogenes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돼지의 분만 성적의 개선 혹은 출생 이후의 새끼 돼지의 성장?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그것을 위한 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보효소 Q를 돼지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의 분만 성적의 개선 방법 혹은 출생 이후의 새끼 돼지의 성장?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돼지용 사료 및 그 급여 방법{PIG FEED, AND METHOD FOR FEEDING SAME}
본 발명은 보(補)효소 Q를 사용한, 돼지의 분만 성적을 개선시키는 방법 또는 출생 이후의 새끼 돼지의 성장?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그것을 위한 사료, 또는 사료의 급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돼지의 분만 성적을 개선시키는 방법, 혹은 출생 이후의 새끼 돼지의 성장?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미 몇 개의 보고가 있다. 예를 들면 L-트립토판을 필요 요구량보다도 0.001?0.1중량% 많이 첨가한 배합 사료를 어미 돼지에게 주었을 경우, 사산, 미숙 돼지의 감소 및 이유(離乳) 마릿수의 증가, 또한 이유시의 새끼 돼지의 평균 체중에 유의차가 보이고, 발정 재귀 일수도 약 3일 단축되며, 발정 상태도 양호해져 있다는 보고가 있다(특허문헌 1). 또한 유기산 및/또는 유기산 함유물을 어미 돼지에게 급여하자, 새끼 돼지가 순조롭게 성육(成育)하여, 육성률, 이유 후의 증(增)체중이 향상하여, 최종적인 출하 일수의 단축도 도모되고, 어미 돼지의 다음번 발정 재귀 일수도 단축할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특허문헌 2). 또한, 구아검 효소 분해물을 사료에 첨가함으로써, 임신 돼지의 건강을 증진시켜, 태어나는 새끼 돼지의 생존율이나 그 성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는 보고도 있다(특허문헌 3). 또한, 환원형 엽산을 함유한 사료에 의해, 혈장 중의 활성형 엽산값이 증대하여, 수정에 의해 어미 돼지 태내의 태아를 출산시키는 번식 효율이 개선된다는 보고도 있다(특허문헌 4).
한편, 보효소 Q는, 세균부터 포유 동물까지 널리 생체에 분포하는 필수 성분이며, 생체 내의 세포 중에서의 미토콘드리아의 전자 전달계 구성 성분으로서 알려져 있다. 보효소 Q의 생리적 작용으로서는, 미토콘드리아 부활 작용에 의한 생체의 에너지인 아데노신트리인산(ATP)의 생합성, 심기능의 활성화, 세포막의 안정화 효과, 항산화 작용에 의한 세포의 보호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보효소 Q는 여러 가지 용도에서의 사용이 알려져 있고, 예를 들면 산화형 보효소 Q10은 그 심장에 대한 효과로부터 울혈성 심부전약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의약 용도 이외에도, 비타민류와 같이 영양제, 영양 보조제로서 경구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보효소 Q를 가축?가금(家禽) 등 경제 동물의 사료 성분으로서 사용한다는 시도는, 1960년대부터 보고되고 있다. 예를 들면 보효소 Q를 사료, 특히 닭의 사료로서 사용함으로써, 닭의 체중 증가가 인정되었다는 보고가 있다(특허문헌 5). 또한, 보효소 Q는 사료 첨가제로서 유용한 화합물로서도 보고되고 있다(특허문헌 6). 또한, 보효소 Q에는 브로일러(broiler)용의 복수(腹水) 방지 효과도 알려져 있고, 구체적으로는 사료?음료 중에 보효소 Q9를 20ppm 함유시킴으로써 복수증의 발생률을 저하시키고, 육성률도 높은 것이 나타나 있다(특허문헌 7).
일본국 특개소58-201950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4-320652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7-8183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7-147911호 공보 영국 특허 제918409호 명세서 일본국 특개소57-79891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6-287136호 공보
상기와 같은, 돼지의 분만 성적의 개선이나 출생 이후의 새끼 돼지의 성장?생산성 향상에 관한 종래의 보고에서는, 그 효과가 불충분하거나, 실용적인 방법이 아니거나 하는 등, 요구되는 과제를 종합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때문에, 실(實)농장에서 콘스탄트하게 채용되는 완성된 기술이라고는 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따라서, 생존 마릿수나 이유 마릿수에서 어미 돼지 1마리당, 조금이라도 많은 수의 새끼 돼지를 확실히 출산시키고, 또한 이유까지 확실히 생존시키는 기술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돼지의 분만 성적의 개선이나 출생 이후의 새끼 돼지의 성장?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그것을 위한 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토한 결과, 보효소 Q를 특정 시기의 돼지에게 투여함으로써, 돼지의 분만 성적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생 이후의 새끼 돼지의 성장이나 생산성도 확실히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은 보효소 Q를 돼지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의 분만 성적의 개선 방법 또는 출생 이후의 새끼 돼지의 성장?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효소 Q를 출생 이후의 새끼 돼지, 또는, 어미 돼지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효소 Q는 어미 돼지에게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효소 Q는 어미 돼지의 임신 시기에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교배 후 1개월간, 임신 중의 어미 돼지에게 보효소 Q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출산 전의 1개월간, 어미 돼지에게 보효소 Q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유 중의 어미 돼지에게 보효소 Q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출생 이후의 새끼 돼지에게 보효소 Q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만 성적의 개선이, 수태율의 향상, 발정 재귀 일수의 단축, 산자수(産子數)의 증가 또는 생존 마릿수의 증가인 것이 바람직하다.
출생 이후의 새끼 돼지의 성장?생산성의 향상이, 이유 마릿수의 증가, 증(增)체중의 향상, 또는 이유시 체중의 증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효소 Q를 함유하는 사료를 어미 돼지에게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효소 Q가 효모 유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보효소 Q를 20ppm 이상 함유하는 어미 돼지용 사료에도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종래, 다산이며 또한 미숙한 상태에서 출산을 행하기 때문에 사산이나 출산 후의 새끼 돼지의 사망률이 높았던 양돈의 분만 성적을 향상시키고, 또한, 태어난 새끼 돼지의 성장 속도나 이유율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어미 돼지의 이용률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사료는, 돼지의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하고, 돼지의 건강 상태의 개선에 수반하는 복리 후생(애니멀 웰페어)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하,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보효소 Q를 돼지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의 분만 성적의 개선 방법, 또는, 출생 이후의 새끼 돼지의 성장?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돼지의 분만 성적의 개선이란, 발정 재귀 일수, 수태율, 산자수, 비유량(泌乳量), 태어난 새끼 돼지의 생존율(혹은 생존 마릿수) 등의, 어미 돼지에 대한 종합적인 분만 성적의 개선 성과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보효소 Q를 어미 돼지에게 투여함으로써, 어미 돼지의 발정 재귀 일수의 단축, 수태율의 향상(특히 재(再)교미시의 수태율 향상), 산자수의 증가, 생존 마릿수의 증가, 비유량의 증가, 생산성이 저하하지 않는 임신의 횟수의 증가, 출산 회전수의 향상이나, 태어난 신생아 돼지의 백자(白子)?미이라수의 감소, 출생시 체중의 증가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출생 이후의 새끼 돼지의 성장?생산성의 향상이란, 태어난 새끼 돼지의 포유 개시수의 증가, 이유 마릿수의 증가, 이유 후 사고 마릿수의 감소, 이유 후 도태(淘汰) 마릿수의 감소, 사료 요구율의 향상, 증체중의 향상 및 그에 부수(付隨)하는 이유시 체중의 증가, 설사 횟수의 감소 등, 태어난 새끼 돼지에 대한 그 성장이나 생산성의 성적의 개선 효과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효소 Q를 투여하는 대상이 되는 돼지란, 그 생산물을 사람이 이용하기 위해 사육 관리하고 있는 경제 동물 및 실험 동물로서의 돼지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보효소 Q를, 바람직하게는 어미 돼지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의 어미 돼지로서는, 소위 번식용으로서 사육되고 있는, 적어도 1회의 교미(교배)가 행해진 모든 암퇘지를 가리킨다.
투여 시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임신 전(교배 전) 및 임신 중의 특정의 시기에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임신 중의 특정의 시기에 투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교배 후(임신 초기) 또는 임신 후기가 더 바람직하다. 교미 전후에 보효소 Q를 투여할 경우, 예를 들면 교배의 적어도 3일 전, 바람직하게는 1주일 전부터, 교배의 적어도 1주일 후, 바람직하게는 2주일 후, 더 바람직하게는 1개월 후까지 등의 기간을 적의(適宜) 선택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교배 후의 1개월간, 즉 임신 초기에 상당하는 시기의 어미 돼지에게, 보효소 Q를 투여함으로써, 태어난 새끼 돼지의 성장?생산성의 향상, 특히 이유 마릿수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그 경우의 투여 기간으로서는 1개월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임신 후기에 투여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적어도 출산 1개월 전 ?출산시, 바람직하게는 출산 2개월 전 ?출산시, 보다 바람직하게는 출산 3개월 전 ?출산시 등의 시기를 선택할 수 있다. 적어도 임신 중기 또는 임신 후기 중 어느 쪽, 특히 임신 후기에 해당하는 출산 1개월 전?출산시의 어미 돼지에게 보효소 Q를 투여함으로써, 태어난 새끼 돼지의 성장?생산성의 향상, 특히 이유시 체중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수태율의 향상(특히 재교미시의 수태율 향상)이나 발정 재귀 일수의 단축이라는 점에서는, 임신 시기, 수유 기간, 교미 전의 기간을 통해, 어미 돼지에게 보효소 Q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수유 중의 어미 돼지나 출생한 새끼 돼지에게 보효소 Q를 투여하지 않아도, 임신 시기의 어미 돼지에게 보효소 Q를 투여하는 것만으로, 그 어미 돼지로부터 태어난 새끼 돼지의 출생 후의 성장이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놀라운 효과를 갖고 있지만, 물론 수유 중의 어미 돼지나 출생한 새끼 돼지에게 보효소 Q를 투여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수유 중의 어미 돼지에게 보효소 Q를 투여하는 것으로도, 투여받은 어미 돼지의 모유를 섭취하고 있는 새끼 돼지의 성장?생산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고, 보효소 Q를 투여받은 어미 돼지로부터 출생한 새끼 돼지에게, 보효소 Q를 더 투여하는 것으로도 보다 높은 새끼 돼지의 성장?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투여 시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유 전(포유기), 이유 후 중 어느 쪽이어도 된다. 새끼 돼지로서는, 대략 출생 후 3개월까지의 시기를 말하지만, 그 후의 비육 시기에도 계속해서 보효소 Q를 투여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보효소 Q는, 화학 합성품, 발효품, 천연물로부터의 추출물 등, 형태를 불문하고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효소 Q를 함유하는 미생물(효모, 세균 등) 그 자체, 혹은 그 조정제물(粗精製物)이어도 되고, 또한, 이들로부터 보효소 Q를 정제한 것이어도 되며, 정제의 정도도 제한되지 않는다. 최종적으로 투여되는 보효소 Q가 일정량 이상 있으면 된다. 보효소 Q에는, 하기 식(1)
Figure pct00001
(식 중, n은 1?12의 정수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산화형 보효소 Q, 및 하기 식(2)
Figure pct00002
(식 중, n은 1?12의 정수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환원형 보효소 Q가 존재하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보효소 Q는, 산화형, 환원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이들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혼합물의 경우, 그들의 혼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보효소 Q로서는, 보효소 Q10(상기 식(1) 또는 식(2)에서, n이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효소 Q를 돼지에게 투여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보효소 Q를 사료에 첨가?혼합하는 방법이나, 음료에 첨가하는 방법, 혹은 별도 보효소 Q를 함유하는 제제(製劑) 등을 직접 돼지에게 섭취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보효소 Q를 사료에 첨가?혼합하고, 당해 사료를 돼지에게 급이(給餌)하는 방법이 간편하여 바람직하다. 보효소 Q를 함유하는 사료, 특히, 보효소 Q를 함유하는 어미 돼지용 사료 또는 보효소 Q를 함유하는 새끼 돼지용 사료도 본 발명의 태양 중 하나이다.
본 발명에서 보효소 Q를 첨가 혼합하기 위한 돼지용 사료의 원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원료가 사용된다. 그러한 원료로서, 예를 들면 곡류(옥수수, 마일로, 보리, 밀 등), 조강류(糟糠類)(밀기울 등), 식물성 유박류(대두유박, 채종유박 등), 동물성 사료(어분, 골육분 등), 식염, 올리고당류, 규산, 각종 미타민류, 미네랄류(탄산칼슘, 제2인산칼슘 등), 아미노산류 및 유기산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원료가 미리 혼합된 시판하는 혼합 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돼지용 사료 원료에의 보효소 Q의 첨가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보효소 Q를 직접 사료 원료에 첨가 혼합해도 되고, 또한 필요에 따라 보효소 Q를 첨가 혹은 함유하는 사료 첨가물이나 프리믹스(premix)를, 사료 원료에 첨가하여, 본 발명의 보효소 Q를 함유 사료로 해도 된다. 이 경우의 사료 첨가물이나 프리믹스의 주원료로서는, 생균제(예를 들면 엔테로코커스류, 바실루스류, 비피더스균류), 항산화제(예를 들면 에톡신,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등), 곰팡이 방지제(예를 들면 프로피온산, 프로피온산칼슘 등), 점결제(粘結劑)(예를 들면 알긴산나트륨, 카제인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 유화제(예를 들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 아미노산(예를 들면 DL-알라닌, L-아르기닌, 염산 L-리신 등), 비타민류(예를 들면 L-아스코르브산, β-카로틴 등), 미네랄(예를 들면 염화칼륨, 시트르산철, 산화마그네슘 등), 색소(예를 들면 아스타크산틴, 칸타크산틴 등), 효소(예를 들면 아밀라아제, 피타아제, 리파아제 등)를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본 발명의 사료 중에서의 보효소 Q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ppm 이상, 바람직하게는 20pp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ppm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60pp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ppm 이상이다.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경제적 관점에서는, 400ppm 정도가 타당하며, 300ppm 정도여도 충분히 효과는 얻을 수 있다. 또한, 투여 시기나 투여 대상에 의해, 이들 함유량을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교배 후의 임신 초기 및/또는 임신 후기에서의 사료 중의 보효소 Q의 함유량을 많게(예를 들면 60ppm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ppm 이상), 그 이외의 시기는 적게(예를 들면 20ppm 정도) 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각 실시예에 있어서, 보효소 Q10은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제의 효모 유래의 순품을 사용했다.
(실시예 1)
(1) 시험 방법
실생산농장의 어미 돼지 약 160마리를 사용하고, 시험군에 대해서는, 보효소 Q10을 통상의 어미 돼지용 사료(임신기는 「에코브리드」, 수유기에는 「에코리터」)에 첨가한 것(전 사료 중의 보효소 Q10 농도는 60ppm)을 급여했다. 당해 사료의 시험 기간은 8개월간으로 하고, 당해 기간 중 모든 어미 돼지에게 일제히 급여하고, 일제히 급여를 정지하고, 시험 기간 전후에 대해서는, 통상의 어미 돼지용 사료만을 주었다. 임신기의 어미 돼지에의 급여에서는, 돼지의 임신 기간이 114일간, 출산 후 다음 임신까지의 기간이 약 31일이므로, 당해 시험에 의해, 예를 들면 임신 후반의 특정 시기, 임신 기간 중 통기, 및 교배시 전후나 교배시부터 임신 전반 등의, 임신기나 수유기 등이 상이한 다양한 어미 돼지의 스테이지에서 보효소 Q10이 투여되게 된다. 어미 돼지의 사육 관리는 통상대로의 방법으로 행했다.
또한, 보효소 Q10이 어미 돼지용 사료와 혼합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시험 기간에 있어서, 시험용의 보효소 Q10 함유 사료를 조제하고 나서 1주일 후에, 각각의 사료 상자 3개소로부터 100g 정도씩 사료의 샘플링을 행하고, 사료 중의 보효소 Q10의 분석을 행했다.
또한, 수유 시기의 어미 돼지의 모유 중의 보효소 Q10 함량을 조사하기 위해, 50ml의 디스포절(disposal) 튜브에, 보효소 Q10을 주고 있는 시기와 주고 있지 않은 시기의 수유 중의 어미 돼지 6마리로부터 돼지젖의 초유(1일째) 약 15ml를 채취하고, 보효소 Q10의 분석 및 보효소 Q10의 환원형과 산화형의 비율의 분석을, HPLC를 사용하여 행했다.
(2) 시험 결과
시험 기간 중의 사료 상자의 보효소 Q10 함유 사료 중의 보효소 Q10의 분석을, HPLC를 사용하여 행한 결과, 사료 중의 보효소 Q10 농도는, 적어도 40ppm 이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보효소 Q10을 첨가하지 않은 통상의 사료 중의 보효소 Q10 농도는 0ppm이었다. 이 점에서, 시험 기간 중에서 보효소 Q10은 어미 돼지용 사료에 확실히 혼합되어 있다고 판단했다.
또한 분석의 결과, 보효소 Q10을 급이한 어미 돼지의 초유 중의 보효소 Q10 함량은, 보효소 Q10을 투여하지 않은 시기의 함량에 비해 명확히 높은 숫자를 나타냈다.
또한, 보효소 Q10을 어미 돼지에게 투여하지 않은 시기와 비교하여, 보효소 Q10을 투여한 시기에서는, 산자수의 향상, 백자?흑자율의 저하, 태어난 새끼 돼지의 포유 개시수와 이유 마릿수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시험의 어미 돼지로부터 태어난 새끼 돼지는, 통상의 사육의 경우와 비교하여, 생후 3주째에서의 체중이 무겁고, 또한, 설사도 적어 순조롭게 자랐다.
(실시예 2)
보효소 Q10을 급여받은 어미 돼지 산자의 이유기, 자돈기(子豚期) 및 그 후의 비육기를 통한 생산성 향상에 관한 실시예를 이하에 나타냈다.
(1) 시험 방법
실시예 1의 시험에서 보효소 Q10을 급여받은 어미 돼지가 낳은 새끼 돼지에게, 이유기까지는, 약 80ppm분의 보효소 Q10을 통상 사료 (「헬씨 피그」(등록상표))에 첨가하고, 자돈기로부터 출하까지는, 40ppm분의 보효소 Q10을 통상 사료(자돈전기에는 「테이크 파이브」, 자돈후기에는 「노비타쿤」, 비육기에는 「NIC 육돈 EX」)에 첨가했다. 돼지의 사육 관리는 통상대로의 방법으로 행했다. 어느 경우에도, 보효소 Q10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을 취하고, 통상대로의 사육 관리를 행했다.
여기에서, 이유기란, 출생 후 3일?26일, 자돈기란, 출생 후 27일?84일까지의 기간으로 했다.
(2) 시험 결과
보효소 Q10을 투여받은 새끼 돼지의 어미 돼지 1마리당 이유 마릿수는, 대조군에 비해 증가했다.
(실시예 3)
실생산농장의 어미 돼지를 사용하여, 임신 중기 또는 후기에 보효소 Q10을 투여했을 경우의, 출생 이후의 새끼 돼지의 성장?생산성 향상에 대한 영향에 대해서 평가를 행했다.
(1) 시험 방법
시험군 A?D에 대해서는, 통상의 어미 돼지용 사료(조(粗)단백질 15.0% 이상, 조지방 2.0% 이상, 조섬유 5.0% 이하, 조회분(粗灰分) 8.0% 이하, 칼슘 0.6% 이상, 인 0.4% 이상, TDN 74.0% 이상)에 보효소 Q10을 100ppm 또는 400ppm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한 것을 각각 임신 중기(시험군 A, B)와 임신 후기(시험군 C, D)에 급여하고, 그 이외의 시기에는 통상의 어미 돼지용 사료만을 급여했다. 대조군에 대해서는, 임신 전기를 통해 통상의 어미 돼지용 사료만을 급여했다. 여기에서, 임신 중기란, 교미 후 39일째부터 76일째까지의 기간으로 하고, 임신 후기란, 교미 후 77일째부터 출산까지의 기간(약 38일간)으로 했다. 시험은 약 5개월 반의 기간으로 실시했다. 또한, 수유시의 어미 돼지 및 태어난 새끼 돼지에 대해서는 보효소 Q10을 급여하지 않았다. 어미 돼지 마릿수로서는, 대조군 및 각 시험군에서, 1회의 시험에서 5마리를 사용하고, 동일 시험을 3회 반복함으로써, 각 군에서 합계 15마리씩을 그 시험 대상으로 했다. 시험 대상이 되는 어미 돼지는 초산 돼지를 사용지 않고, 산차수로 2산부터 10산까지의 어미 돼지를 사용했다. 또한, 보효소 Q10은, 탈지 미강(米糠)에 1/60의 농도가 되도록 혼합한 것을 보효소 Q10 함유 프리믹스로서 사용하여, 상기 농도가 되도록 큰 스푼(15g/술)을 사용하여 통상의 어미 돼지용 사료에 첨가, 혼합한 것을 통상의 방법대로 급여했다. 어미 돼지에의 급여 사료량은 각 군 모두 평균 2.5kg/일이었다. 그 밖에, 어미 돼지나 태어난 새끼 돼지의 관리 방법은, 실생산농장의 공정 관리 기준을 따라 행하고, 각 군에 대해서 태어난 새끼 돼지의 출생시 체중과 이유시 체중 등에 대해서 평가했다.
(2) 시험 결과
각 군의 태어난 새끼 돼지의 1마리당 이유시 체중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그 결과, 보효소 Q10을 임신 중기나 후기에 100?400ppm 급여함으로써, 이유시 체중을 착실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것, 또한 그 효과는 임신 후기에 보효소 Q10을 급여했을 경우에 특히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번, 이들 각 시험군에서 출생시의 체중은 대조군과 그다지 다르지 않았으므로, 임신기의 어미 돼지에 보효소 Q10을 급여하고, 출생 후는 통상의 조건으로 사육해도 이유시의 새끼 돼지의 체중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은, 지금까지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놀라운 효과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보효소 Q10을 임신 중기나 후기에만 급여할 뿐만 아니라, 임신 통기에 보효소 Q10을 급여하는 것으로도 보다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표 1]
Figure pct00003
(실시예 4)
실생산농장의 어미 돼지를 사용하여, 임신 초기, 중기 또는 후기에 보효소 Q10을 투여했을 경우의, 분만 성적의 개선 및 출생 이후의 새끼 돼지의 성장?생산성 향상에 대한 영향에 대해서 평가를 행했다.
(1) 시험 방법
시험군 E?G에 대해서는, 통상의 어미 돼지용 사료(조단백질 15.0% 이상, 조지방 2.0% 이상, 조섬유 5.0% 이하, 조회분 8.0% 이하, 칼슘 0.6% 이상, 인 0.4% 이상, TDN 74.0% 이상)에 보효소 Q10을 100ppm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한 것을, 각각 임신 초기(시험군 E), 임신 중기(시험군 F), 임신 후기(시험군 G)에 급여하고, 그 이외의 시기에는 통상의 어미 돼지용 사료만을 급여했다. 대조군에 대해서는, 임신 전기(全期)를 통해 통상의 어미 돼지용 사료만을 급여했다. 여기에서, 임신 초기란 교미부터 38일째까지의 기간, 임신 중기란 교미 후 39일째부터 76일째까지의 기간, 임신 후기란, 교미 후 77일째부터 출산까지의 기간(약 38일간)으로 했다. 또한, 임신의 유무는 통상 교미 후 25일 내지 26일에 에코 검사에 의해 확인할 수 있지만, 이번 시험에서는, 교미 후 임신을 확인하지 않고 시험 급여를 개시하고, 후일, 임신의 유무를 확인하여 임신하지 않은 돼지를 시험으로부터 제외했다. 또한, 수유시의 어미 돼지 및 태어난 새끼 돼지에 대해서는 보효소 Q10을 급여하지 않았다. 어미 돼지 마릿수로서는, 대조군 및 시험군에서, 1회의 시험에서 5마리를 사용하고, 동일 시험을 3회 반복함으로써, 각 군에서 합계 15마리씩을 그 시험 대상으로 했다. 시험 대상이 되는 어미 돼지는 초산 돼지를 사용하지 않고, 산차수로 2산부터 10산까지의 어미 돼지를 사용했다. 또한, 보효소 Q10은, 탈지 미강에 1/60의 농도가 되도록 혼합한 것을 보효소 Q10 함유 프리믹스로서 사용하여, 상기 농도가 되도록 큰 스푼(15g/술)을 사용하여 통상의 어미 돼지용 사료에 첨가, 혼합한 것을 통상의 방법대로 급여했다. 어미 돼지에의 급여사료량은 각 군 모두 평균 2.5kg/일이었다. 그 밖에, 어미 돼지나 태어난 새끼 돼지의 관리 방법은, 실생산농장의 공정 관리 기준에 따라 행하고, 각 군의 어미 돼지 1마리당 태어난 새끼 돼지의 수(산자수), 태어난 새끼 돼지의 수(생존 마릿수), 이유시까지 생존한 새끼 돼지의 수(이유 마릿수)에 대해서 평가했다.
(2) 시험 결과
각 군의 태어난 새끼 돼지의 이유 마릿수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그 결과, 보효소 Q10을 임신 중에 급여함으로써, 이유 마릿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 또한 그 효과는 임신 초기에 투여했을 경우에 특히 현저하며, 어미 돼지 1마리당 평균값으로서 1마리 이상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여기에서 이유 마릿수의 1마리 증가라는 효과는, 양돈 산업에 있어서, 충분히 경제적 메리트가 예상되는 놀라운 결과이다. 또한, 임신 초기에 보효소 Q10을 100ppm 투여한 군에서는, 이유 마릿수의 증가라는 출생 이후의 새끼 돼지의 성장?생산성의 향상뿐만 아니라, 산자수, 생존 마릿수에 있어서도, 대조군에 비해 1마리 이상 마릿수가 많은 결과가 되어, 분만 성적의 개선 효과도 확인되었다.
[표 2]
Figure pct00004
(실시예 5)
실생산농장의 어미 돼지를 사용하여, 보효소 Q10을 투여했을 경우의 재교미시의 수태율의 개선에 대해서 평가를 행했다.
(1) 시험 방법
보효소 Q10을 투여한 시험군에 대해서는, 통상의 어미 돼지용 사료(교도시료사제)에 보효소 Q10을 100ppm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한 것을 시험 기간(4개월간)을 통해 급여했다. 대조군에 대해서는 통상의 어미 돼지용 사료만을 급여했다. 교미의 28일째에 수태의 유무를 확인하고, 비수태의 돼지에게 재교미를 실시했다. 또한, 수태율의 평가는, 시험 개시부터 1개월 후?시험 종료시까지의 3개월간의 임신 상황을 보고 평가했다. 또한, 임신(수태)의 유무는, 교미 후 혹은 재교미 후 28일째에 에코 검사 등을 행함으로써 확인했다. 사용한 어미 돼지수는 시험군에서는 952마리, 대조군에서는 992마리였다.
(2) 시험 결과
재교미로부터 28일 후에 수태의 유무를 확인하고, 재교미를 실시한 돼지의 수태율을 시험군과 대조군으로 비교했다. 그 결과, 시험군에서는 94%, 대조군에서는 85%의 수태율로, 보효소 Q10의 투여에 의해, 재교미시의 수태율의 개선이 인정되었다.
(실시예 6)
실생산농장에서의 어미 돼지 사육시에 있어서의, 보효소 Q10을 투여했을 경우의 발정 재귀 일수(포유 종료부터 발정까지의 일수)의 단축에 대해서 평가를 행했다.
(1) 시험 방법
보효소 Q10을 투여한 시험군에 대해서는, 통상의 어미 돼지용 사료(교도시료사제)에 보효소 Q10을 100ppm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한 것을 시험 기간(4개월간)을 통해 급여했다. 대조군에 관해서는 통상의 어미 돼지용 사료만을 급여했다. 또한, 발정 재귀 일수의 평가는, 시험 개시로부터 1개월 후?시험 종료시까지의 3개월간의 발정 상황을 보고 평가했다. 사용한 어미 돼지수는 시험군에서는 1055마리, 대조군에서는 1022마리였다.
(2) 시험 결과
시험군의 발정 재귀 일수는 5.59일, 대조군에서는 5.92일과, 보효소 Q10의 투여에 의해, 0.33일분의 발정 재귀 일수의 단축 효과가 인정되었다.

Claims (12)

  1. 보(補)효소 Q를 돼지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의 분만 성적의 개선 방법 또는 출생 이후의 새끼 돼지의 성장?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어미 돼지에게 보효소 Q를 투여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임신 시기에 보효소 Q를 투여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교배 후 1개월간, 임신 중의 어미 돼지에게 보효소 Q를 투여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출산 전의 1개월간, 어미 돼지에게 보효소 Q를 투여하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수유 중의 어미 돼지에게 보효소 Q를 투여하는, 방법.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출생 이후의 새끼 돼지에게 보효소 Q를 더 투여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만 성적의 개선이, 수태율의 향상, 발정 재귀 일수의 단축, 산자수(産子數)의 증가 또는 생존 마릿수의 증가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출생 이후의 새끼 돼지의 성장?생산성의 향상이, 이유 마릿수의 증가, 증(增)체중의 향상 또는 이유시 체중의 증가인,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효소 Q를 함유하는 사료를 어미 돼지에게 투여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효소 Q가 효모 유래인, 방법.
  12. 보효소 Q를 20ppm 이상 함유하는 어미 돼지용 사료.
KR1020127030968A 2010-05-21 2011-05-20 돼지용 사료 및 그 급여 방법 KR101313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17569 2010-05-21
JP2010117569 2010-05-21
PCT/JP2011/061635 WO2011145719A1 (ja) 2010-05-21 2011-05-20 豚用飼料及びその給与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263A true KR20120140263A (ko) 2012-12-28
KR101313142B1 KR101313142B1 (ko) 2013-09-30

Family

ID=44991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0968A KR101313142B1 (ko) 2010-05-21 2011-05-20 돼지용 사료 및 그 급여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136724A1 (ko)
EP (1) EP2572589A4 (ko)
JP (1) JP5868848B2 (ko)
KR (1) KR101313142B1 (ko)
CN (1) CN102905553B (ko)
BR (1) BR112012029425A2 (ko)
WO (1) WO20111457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375B1 (ko) 2014-12-15 2017-05-26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활성수를 이용한 돼지의 번식능력 개선방법
CN104782983B (zh) * 2015-04-27 2016-05-04 福建傲农生物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缩短母猪产程的能量饲料及其饲喂模式
CN111789192A (zh) * 2020-06-28 2020-10-20 天津瑞益瑞美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提升种猪繁殖性能的功能性添加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01655A (de) 1960-03-22 1965-10-31 Hoffmann La Roche Verfahren zur Wachstumsförderung von Nutztieren
JPS5352690A (en) * 1976-10-26 1978-05-13 Kanegafuchi Chem Ind Co Ltd Preparation of coenzyme q
JPS5779891A (en) 1981-06-22 1982-05-19 Mitsubishi Gas Chem Co Inc Preparation of coenzyme q10
JPS58201950A (ja) 1982-05-20 1983-11-25 Showa Denko Kk 繁殖母豚用飼料
JP2915166B2 (ja) 1991-04-18 1999-07-05 株式会社中埜酢店 飼料の給与方法
JP3515140B2 (ja) * 1993-04-02 2004-04-05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ブロイラー用腹水症防止剤及び腹水症防止方法
JPH078183A (ja) 1993-06-24 1995-01-13 Taiyo Kagaku Co Ltd 豚繁殖用飼料
JP3417084B2 (ja) 1993-10-05 2003-06-16 味の素株式会社 母豚飼料用添加物および母豚用飼料
JP2002223708A (ja) * 1997-05-14 2002-08-13 Idemitsu Material Kk ブロイラー用飼料組成物およびブロイラー飼育方法
US5977185A (en) * 1998-08-11 1999-11-02 Rta Associates, Inc. Method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roduction disease of genetically improved livestock and poultry
US6497885B2 (en) * 2000-12-22 2002-12-24 The Daily Wellness Company Method and composition for improving fertility health in female and male animals and humans
US6977269B1 (en) * 2001-05-03 2005-12-20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Method of improving animal tissue quality
JP2003319750A (ja) 2002-05-07 2003-11-11 Nisshin Pet Food Kk ペットフード
JP2004049175A (ja) * 2002-07-24 2004-02-19 Nisshin Shiryo Kk 豚用飼料添加剤およびその豚用飼料添加剤を用いた哺乳期子豚の飼育方法
JP2005097121A (ja) * 2003-09-22 2005-04-14 Nisshin Pharma Inc 運動機能の維持または改善剤
JP5004446B2 (ja) * 2005-08-17 2012-08-22 出光興産株式会社 皮膚改善剤
US20070231312A1 (en) * 2006-04-04 2007-10-04 Muench Michael V Nutritional supplement for pregnant females
SI22407A (sl) * 2006-12-29 2008-06-30 Kemijski inštitut Uporaba koencima q10 za uäśinkovitejĺ o vzrejo ĺ˝ivali in pridelavo ĺ˝ivalskih tkiv s poveäśano vsebnostjo tega koencima
MX2009007703A (es) * 2007-01-19 2009-07-29 Iams Company Composicion y metodo de ingrediente sensible estabilizado.
JPWO2008156108A1 (ja) * 2007-06-21 2010-08-26 株式会社カネカ 機能性家畜生産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404714B2 (en) * 2008-01-04 2013-03-26 Novus International, Inc. Combinations to improve animal health and performance
JP2011182748A (ja) * 2010-03-10 2011-09-22 Hyogo Prefecture 家畜又は家禽用飼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72589A1 (en) 2013-03-27
BR112012029425A2 (pt) 2015-09-08
EP2572589A4 (en) 2014-04-16
JPWO2011145719A1 (ja) 2013-07-22
KR101313142B1 (ko) 2013-09-30
CN102905553A (zh) 2013-01-30
JP5868848B2 (ja) 2016-02-24
US20130136724A1 (en) 2013-05-30
CN102905553B (zh) 2014-12-03
WO2011145719A1 (ja) 201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7002B2 (en) Animal feed supplement and method
CN102038114B (zh) 一种空怀母猪用浓缩料
CN106689738B (zh) 一种母子一体化饲养方法
Elek et al. Effects of rumen-protected choline supplementation on milk production and choline supply of periparturient dairy cows
CA2731281C (en) Additive for livestock feed and feed composition for livestock
JP5863256B2 (ja) 豚用飼料及びその給与方法
EP2616060B1 (en) Compositions of abscisic acid for animal health
TWI448248B (zh) 25-羥基維他命d3於改善動物生命力之用途
EP1157616B1 (en) Feed for livestock
CN103262942B (zh) 一种母猪用小麦胚芽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313142B1 (ko) 돼지용 사료 및 그 급여 방법
EP3291691A2 (en) The use of nitrate for improving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monogastric mammals
CN106376734A (zh) 一种速溶奶粉型仔猪前期配合饲料
EP3949749A1 (en) Agent for improving intestinal microflora of livestock
WO2012111277A1 (ja) 母豚の哺乳開始頭数又は離乳頭数を向上させる方法
CN102550816A (zh) 一种改善仔猪断奶综合症的饲料添加剂
WO2008064445A2 (en) Oily parenteral formulation for the enhancement of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production animals
CN110140820A (zh) 一种围产期母猪营养强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912625B (zh) 一种哺乳母猪无抗功能性浓缩饲料
CN109221715A (zh) 一种用于天府肉猪后备母猪围产期的配合饲料及制备方法
JPS63238020A (ja) 対飼育動物投与用バチルス・ポリミキサ含有剤
CN101597236B (zh) 苏氨酸硒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632477B1 (ko) 육계의 성장촉진용 사료첨가제, 이를 이용한 사료 조성물 및 사육 방법
JPH05292893A (ja) 食肉用家畜の飼育方法
CN101602684A (zh) 苏氨酸锰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