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9970A -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 - Google Patents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9970A
KR20120139970A KR1020110059540A KR20110059540A KR20120139970A KR 20120139970 A KR20120139970 A KR 20120139970A KR 1020110059540 A KR1020110059540 A KR 1020110059540A KR 20110059540 A KR20110059540 A KR 20110059540A KR 20120139970 A KR20120139970 A KR 20120139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battery
safety device
diges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0796B1 (ko
Inventor
이덕준
남긍현
장민호
김대웅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1020110059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796B1/ko
Publication of KR20120139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28Liquid extinguish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내부의 온도상승으로 인하여 셀 내부의 발열에 의한 폭발이나 화재를 제어하기 위한 소화장치를 구비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베어셀이 팩킹되어 완성되는 단위셀이 하나 이상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위셀이 그룹화된 단위모듈이 직렬로 연결되어 모듈 고정수단에 고정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에 있어서, 과열에 의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소화액이 저장되는 소화셀을 포함하고, 상기 소화셀은 소화액이 수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수용되는 소화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는 150℃이하의 온도에서 녹을 수 있는 내열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Battery cell with safety apparatus}
본 발명은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배터리에서 베어셀의 온도가 고온으로 발열되어 화재 또는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 내에 냉각 가능한 냉매와 화재발생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액을 포함하는 소화셀을 구비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의 증가로, 이차전지의 수요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에너지 밀도와 작동전압이 높고 보존과 수명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전지는 각종 모바일 기기는 물론 다양한 전자제품의 에너지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차전지는 외부 및 내부의 구조적 특징에 따라 대략 원통형 전지, 각형 전지 및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되며, 그 중에서도 높은 집적도로 적층될 수 있고, 길이 대비 작은 폭을 가진 케이스타입의 전지와 파우치형 전지가 특히 주목받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에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이차전지의 장점으로 인해 매우 다양화되어 가고 있으며, 향후에는 지금보다는 많은 분야와 제품들에 이차전지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이차전지의 적용 분야와 제품들이 다양화됨에 따라, 전지의 종류 또한 그에 알맞은 출력과 용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화되고 있다. 더불어, 당해 분야 및 제품들에 적용되는 전지들은 소형 경량화가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들은 해당 제품들의 소형 경박화 경향에 따라 그에 상응하도록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소형 경량을 가진 단위셀 들이 사용되고 있다. 반면에,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들은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단위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전지모듈(또는 "중대형 전지팩"으로 칭하기도 함)이 사용되고 있는데, 전지모듈의 크기와 중량은 당해 중대형 디바이스 등의 수용 공간 및 출력 등에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으므로, 제조업체들은 가능한 한 소형이면서 경량의 전지모듈을 제조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한편, 전지모듈의 대용량화를 위해 베어셀 또는 상기 베어셀이 패킹되어 이뤄지는 하나 이상의 단위셀을 연결하여 적층하는 경우가 늘어남에 따라, 베어셀의 방열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충방전시 열이 발생하는 바, 이러한 열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못하고 축적되는 경우, 전지의 열화가 초래되고 안전성도 크게 훼손될 수 있다. 특히,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전원과 같이 고속 충방전 특성이 요구되는 전지에서는 순간적으로 고출력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많은 발열이 수반된다.
또한, 이러한 전지모듈에 기본단위로서 널리 사용되는 파우치형 베어셀은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전극조립체를 장착한 후 외주부를 가열 가압에 의해 열융착시킨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바, 이러한 베어셀 구조는 상대적으로 안전성이 낮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파우치형 베어셀의 밀봉력은 열융착 되는 외주부의 결합력에 의해 결정되는데, 장기간의 사용에 따른 열화 또는 비정상적인 작동 조건에서 베어셀의 내부에 고압이 발생하였을 때, 열융착된 외주부가 벌어지면서 베어셀 내부의 가스, 전해액 등이 외부로 누출될 수 있다. 전해액은 가연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발화의 위험성이 높다.
더욱이, 전지케이스로서의 라미네이트 시트는 금속 캔에 비해 기계적 강성이 떨어지고, 열전도성이 낮은 고분자 물질로 표면이 코팅되어 있으므로 베어셀 전체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기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4-031281호는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 사이에 끼워 적층한 전극조립체의 양면에, 금속층과 수지층을 구비한 한 쌍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위치시키고, 상기 한 쌍의 라미네이트 필름의 주변을 서로 밀착 고정하고 내부를 포장하는 전극 적층형 전지의 냉각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극 적층형 전지의 양면을 한 쌍의 누름부재로 누르고, 상기 누름부재를 전극 적층형 전지의 주변보다 외측에 돌출시키며, 상기 돌출된 부위는 전극 적층형 전지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적층형 전지의 냉각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복잡한 구조의 베어셀용 케이스를 제조하여 전지에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베어셀이 물, 공기 등의 환경적인 요인에 노출되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기술은 전지모듈의 제조를 위한 전지의 적층시 공냉용 냉각핀을 적용하는 구조로 국한되어 있으므로, 기본적인 전지모듈 형태의 공용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외부 피복층, 차단성 금속층, 내부 실란트 층으로 이루어진 라미네이트 구조의 전지케이스 시트는 열융착에 의해 밀봉하더라도, 라미네이트 시트의 단부(시트의 커팅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외부로 노출된 차단성 금속층에 의해 절연저항이 약화되거나, 실링부를 통해 외부의 수분, 공기 등이 전지 내부로 침투할 수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라미네이트 시트에서 차단성 금속층이 노출되거나 또는 노출된 차단성 금속층이 전지의 다른 부위와 전기적 접속 상태에 놓이는 경우를 '절연저항의 파괴(또는 약화)'로 칭하기도 하며, 이러한 절연저항의 약화는 이차전지의 안전성 측면과 수명특성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라미네이트 시트의 단부에서 노출된 실링부를 통해 도입된 수분 등은 전해액과 반응하여 가스를 유발하고 전지의 열화를 촉진하므로, 역시 안전성 측면과 수명특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내부의 온도상승으로 인하여 셀 내부의 발열에 의한 폭발이나 화재를 제어하기 위한 소화장치를 구비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베어셀이 팩킹되어 완성되는 단위셀이 하나 이상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위셀이 그룹화된 단위모듈이 직렬로 연결되어 모듈 고정수단에 고정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에 있어서, 과열에 의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소화액이 저장되는 소화셀을 포함하고, 상기 소화셀은 소화액이 수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수용되는 소화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는 150℃이하의 온도에서 녹을 수 있는 내열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화셀은 상기 단위셀과 단위셀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화셀은 상기 단위셀 내에서 상기 베어셀의 전면과 후면 또는 전면과 후면 중 어느 한면에 밀착되어 일체형으로 패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화셀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빈공간을 이루어 상기 배출구에 일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케이스에서 상기 베어셀과 함께 일체형으로 패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올레핀, 나일론 및 폴리카보네이트 계열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화셀은 액상의 플루오르화케톤(CF3CF3(0)CF(CF3)2)가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베어셀의 온도가 고온에 도달 또는 화재가 발생되면 자동으로 소화액을 배출하여 냉각과 동시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어 단위셀의 온도와 화재발생을 제어할 수 있어 안전도가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에서 전지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의 제1실시예에서 소화셀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에서 제1실시예에서 소화셀이 패킹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에서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에서 제2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베어셀(11)이 전면프레임(12)과 후면프레임(13)에 의하여 패킹되어 형성되는 단위셀(10)과, 각각의 단위셀(10, 20) 사이에서 고온에 의한 화재 또는 폭발시에 방열 및 소화를 위한 소화셀(14)과, 상기 하나 이상의 단위셀(10, 20)을 고정시키는 모듈고정수단(3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는 다 수개의 단위셀(10, 20)이 연결되는 전지모듈을 도시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전지모듈을 이루는 단위셀(10, 20)은 통상 5~7개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원이 출력되는 베어셀(11)에 상기 전면프레임(12)과 후면프레임(13)이 체결되어 패킹되는 구성을 단위셀(10, 20)로 구분하며, 상기 단위셀(10, 20)이 다 수개 연결된 구성을 전지모듈로서 각각의 설정하였다. 더욱 상세히는 상기 단위셀(10, 20)이 7개 이상이 연결되어 그룹화되면 통상적으로 전지팩이란 단위가 적용되나, 본 발명에서는 보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전지모듈과 전지팩을 총칭해서 전지모듈로 구분한다.
상기 모듈 고정수단(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 수개의 단위셀을 고정시켜 하나의 전지모듈을 형성하도록 상기 단위셀의 측면에 밀착되어 연장되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 형상의 모듈 고정수단(30) 이외에 양측면과 바닥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다 수개의 단위셀(10, 20)이 연결되는 전지모듈을 수용하는 케이스 역시 본 발명에서의 모듈 고정수단(30)에 포함된다.
이때 상기 소화셀(14)은 하나의 단위셀(10)의 베어셀(11)과 밀착되어 일체형으로 패킹되거나(도 5, 도 6참조) 또는 각각의 단위셀(10, 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전지모듈의 온도상승에 따른 고온으로 폭발 또는 화재의 발생시에 소화액을 방출하여 화재를 진화 또는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이 작용은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구현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에서 상기 소화셀(14)은 패킹되어 다 수개의 단위셀(10, 20) 사이에 설치되는 제1실시예와, 하나의 단위셀(10) 내에서 하나 또는 두 개의 소화셀(14)이 베어셀(11)과 함께 일체로 패킹되는 제2실시예와, 상기 소화셀(14)과 베어셀(11)을 하나의 케이스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제3실시예를 포함하며, 이하에서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의 설명을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의 제1실시예에서 소화셀(14)이 도시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에서 소화셀(14)의 제1실시예에서 소화셀(14)이 수용된 안전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의 제1실시예는 전면프레임(12)과 후면프레임(13)에 패킹되는 베어셀(11)이 하나의 단위셀(10, 20)을 이루고, 상기 다 수개의 단위셀(10, 20)이 모듈 고정수단(30)에 체결되어 전지모듈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소화셀(14)은 단위셀(10, 20) 사이마다 각각 설치된다.
상기 소화셀(14)은 내측에서 소화액이 밀봉되어 고정되는 몸체(141)와, 상기 몸체(141)에서 내측에 수용되는 소화액이 일정온도에 도달되면 녹아서 수용된 소화액이 분사되는 배출구(142)와, 상측과 하측에서 상기 전면프레임(12)과 후면프레임(13)의 밀착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하측(또는 상하좌우측)에서 연장되는 공간부(14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41)는 내측에 소화액이 수용되어 밀봉되는 구조를 갖으며 그 재질에 상관없이 소화액을 수용하여 밀봉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로는 내열성 온도의 범위가 150℃이상으로서 멜라민, 실리콘, 요소, 페놀수지 및 나일론과 같은 고내열성 수지로서 제작되거나 또는 알루미늄에 폴리머가 코팅되는 파우치타입의 형상으로 제작됨도 가능하다.
상기 배출구(142)는 100~150℃의 열이 가해지면 녹아내려 상기 몸체(141)의 내측에 수용되는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전지의 특성상, 예를 들면, 리튬전지의 경우는 150℃부근에서 급격히 발열하여 폭발 및 화재가 일어나 전지의 외장재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구(142)는 150℃이하에서 녹아내릴 수 있는 재질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PE)나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 올레핀, 나일론 및 폴리카보네이트 계열의 소재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는 상기와 소재들 외에 150℃ 이하에서 녹을 수 있을 정도의 폴리머 및 플라스틱 소재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소화액은 소화의 기능과 함께 열전달 냉매로서의 역할도 수행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액상의 플루오르화케톤(CF3CF3(0)CF(CF3)2)(제조사 3M)은 케톤의 분자에서 탄소원자를 불소로 치환하여 인위적으로 만든 물질로서 점성이 물과 비슷하면서 화재현장에서 불과 연기에 접촉되면 빠르게 증발되기 때문에 냉각을 위한 냉매의 역할과 소화재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소화액에 적합하다.
따라서 상기 소화셀(14)은 상기 몸체(141)에 액상의 플루오르화케톤을 수용하여 150℃이하의 온도에서 배출되어 주변의 화재를 진압함과 동시에 열을 공기 중에 전도하는 냉매의 역할도 수행한다. 상기 소화셀(14)은 상기 베어셀(11)에서 발생되는 화재의 진압이 가능하고, 가열된 베어셀(11)을 냉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화셀(14)은 안전프레임(17)에 의해 하나의 셀을 이루어 상기 단위셀(10, 20)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안전프레임(17)은 분리된 구조로서 상기 전면프레임(12)과 후면프레임(13)과 동일한 전면프레임(171)과 후면프레임(172)을 착탈식 또는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전면프레임(171)과 후면프레임(172)은 상기 소화셀(14)의 상 하측에 형성되는 공간부(또는 상하좌우측에서 연장형성되는 공간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소화셀(14)을 셀 타입으로 구성하여 각 단위셀(10, 20) 사이에 상기 소화셀(14)을 패킹시켜 형성함도 가능하며, 하기의 제2실시예처럼 각 베어셀(11)을 포함하는 단위셀(10, 20) 내에 소화셀(14)을 고정시켜 각 단위셀(10, 20)마다 상기 소화셀(14)을 일체화시켜 안전장치를 부가함도 가능하다. 이는 하기의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에서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에서 제2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의 제2실시예는 단위셀(10, 20)의 내부에 상기 소화셀(14)을 일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기 베어셀(11)의 전면과 후면 또는 전면과 후면중 어느 한 면에 소화셀(14)이 밀착되며, 상기 베어셀(11)과 소화셀(14)을 중심으로 전면프레임(12)과 후면프레임(13)이 체결되어 상기 베어셀(11)과 소화셀(14)을 일체로 패킹하여 하나의 단위셀(10, 20)을 이루는 구조이다.
상기 소화셀(14)은 상기 베어셀(11)을 사이에 두고 양측 모두 또는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화셀(14)은 상측과 하측 또는 상하좌우측으로 연장되는 공간부(143)를 포함하여 상기 전면프레임(12)과 후면프레임(13)의 내면에 밀착되어 패킹된다.
상기 공간부(143)는 상기 전면프레임(12)과 후면프레임(13)의 내면에 가압 된다. 즉, 상기 소화셀(14)은 상기 공간부(143)를 구비하여 상기 전면프레임(12)과 후면프레임(13)의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베어셀(11)은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탭(111)을 포함하여 상기 전면프레임(12)과 후면프레임(13)에 의해 고정되며 공지된 기술인 단위셀(10. 20)을 적용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은 단위셀(10, 20) 내에서 상기 베어셀(11)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 상기 소화셀(14)이 밀착되어 상기 전면프레임(12)과 후면프레임(13)에 의해 패킹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2)과 후면프레임(13)은 상호 분리된 구성이며, 상호 결합을 위하여 상측과 하측에서 상호 일치되는 나사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프레임(12)과 후면프레임(13)은 나사가 상기 나사공을 연통하여 삽입되어 상호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전면프레임(12)과 후면프레임(13)은 상기 베어셀(11) 또는 소화셀(14)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22, 132)를 형성한다.
상기 수용부(122, 132)는 상기 베어셀(11) 또는 소화셀(14)의 전면 또는 후면이 밀착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나사가 삽입되어 체결되면 가압력으로 전면 또는 후면에서 밀착된 베어셀(11) 또는 소화셀(14)을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프레임(12)과 후면프레임(13) 및 베어셀(11)의 구조는 본 발명의 주요특징에 해당 되지 않은 것으로 베어셀(11)에 소화셀(14)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로서 상술한 내용으로 국한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상기 소화셀(14)과 상기 베어셀(11)을 하나의 케이스에 패킹하는 일체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그 상세구성은 베어셀(11)과, 상기 몸체(141)와 배출구(142)가 형성되는 소화셀(14)과, 상기 소화셀(14)을 수용하는 케이스(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소화셀(14)은 상기 베어셀(11)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거나 또는 하나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5)는 개방된 상부(151)와, 상기 소화셀(14)과 베어셀(11)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소화셀(14)의 배출구(142)에 일치되는 관통공(152)이 형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제1단위셀 11 : 베어셀
111 : 탭 12 : 전면프레임
13 : 후면프레임 14 : 소화셀
15 : 케이스 17 : 안전프레임
20 : 제2단위셀

Claims (6)

  1. 베어셀이 팩킹되어 완성되는 단위셀이 하나 이상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위셀이 그룹화된 단위모듈이 직렬로 연결되어 모듈 고정수단에 고정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에 있어서,
    과열에 의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소화액이 저장되는 소화셀을 포함하고,
    상기 소화셀은 소화액이 수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수용되는 소화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는 150℃이하의 온도에서 녹을 수 있는 내열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셀은
    상기 단위셀과 단위셀 사이에 설치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셀은
    상기 단위셀 내에서 상기 베어셀의 전면과 후면 또는 전면과 후면 중 어느 한면에 밀착되어 일체형으로 패킹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셀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빈공간을 이루어 상기 배출구에 일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케이스에서 상기 베어셀과 함께 일체형으로 패킹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올레핀, 나일론 및 폴리카보네이트 계열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 제작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셀은
    액상의 플루오르화케톤(CF3CF3(0)CF(CF3)2)가 적용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
KR1020110059540A 2011-06-20 2011-06-20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 KR101270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540A KR101270796B1 (ko) 2011-06-20 2011-06-20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540A KR101270796B1 (ko) 2011-06-20 2011-06-20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970A true KR20120139970A (ko) 2012-12-28
KR101270796B1 KR101270796B1 (ko) 2013-06-05

Family

ID=47906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540A KR101270796B1 (ko) 2011-06-20 2011-06-20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79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309A (ko) *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전지 모듈 및 전지 팩
KR20180113809A (ko) * 2017-04-07 2018-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80124439A (ko) * 2017-05-11 2018-11-21 주식회사 대경산전 에너지 저장시스템용 자동소화장치
TWI670887B (zh) * 2018-04-03 2019-09-01 達方電子股份有限公司 具滅火功效的抑制電池芯熱失控之防護結構
KR102197092B1 (ko) * 2020-03-10 2020-12-31 주식회사 태희에볼루션 에너지저장장치 화재예방 시스템
KR20220075553A (ko)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오투마 전자기기 및 배터리용 소화장치
WO2023121142A1 (ko) *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 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333B1 (ko) * 2015-08-10 2017-09-0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250161B1 (ko) 2017-06-16 2021-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KR20230148732A (ko) 2022-04-18 2023-10-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KR20230148890A (ko) 2022-04-18 2023-10-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각형 이차전지
EP4322288A1 (en) 2022-04-29 2024-02-14 LG Energy Solution, Ltd. Prismatic secondary battery with heat absorber embedded therein
KR20230153919A (ko) 2022-04-29 2023-11-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흡열체를 내장하는 각형 이차전지
KR20230162850A (ko) 2022-05-20 2023-11-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각형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6500B2 (ja) * 2002-04-11 2008-11-26 日本電気株式会社 扁平型二次電池を内包したモジュール
KR100853618B1 (ko) * 2006-01-04 2008-08-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중대형 전지팩
JP2010097836A (ja) * 2008-10-17 2010-04-30 Panasonic Corp 電池パック、それを電源として用いた電子機器、及び電池パック用ケース
JP2010287489A (ja) * 2009-06-12 2010-12-24 Mitsubishi Heavy Ind Ltd 二次電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309A (ko) *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전지 모듈 및 전지 팩
KR20180113809A (ko) * 2017-04-07 2018-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80124439A (ko) * 2017-05-11 2018-11-21 주식회사 대경산전 에너지 저장시스템용 자동소화장치
TWI670887B (zh) * 2018-04-03 2019-09-01 達方電子股份有限公司 具滅火功效的抑制電池芯熱失控之防護結構
KR102197092B1 (ko) * 2020-03-10 2020-12-31 주식회사 태희에볼루션 에너지저장장치 화재예방 시스템
KR20220075553A (ko)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오투마 전자기기 및 배터리용 소화장치
WO2023121142A1 (ko) *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0796B1 (ko)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796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
KR101089086B1 (ko) 전지 카트리지와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US8679660B2 (en) Electric power storage apparatus
US8828576B2 (en) Prismatic cell with integrated cooling plate
US9088031B2 (en) Battery module
US10874889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with improved safety
US10586972B2 (en) Battery pack
CN209860115U (zh) 电池模块
KR20170034560A (ko) 배터리 모듈
JP2014078471A (ja) 二次電池および二次電池システム
KR101543477B1 (ko)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 전지팩
US11158901B2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pack including thermal expansion tape fixing pouch type battery cell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481198B1 (ko)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 전지팩
JP7045605B2 (ja) 改善した冷却構造を有す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KR20150062688A (ko) 배터리 셀,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EP4040577A1 (en)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same
KR101898292B1 (ko) 전지팩 어셈블리
KR102016122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90032003A (ko) 흡열 물질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US20240170758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2611921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3047741A1 (ja) 電池パック
US20240113357A1 (en)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40039485A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KR20230049453A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