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8785A -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 - Google Patents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8785A
KR20120128785A KR1020110046642A KR20110046642A KR20120128785A KR 20120128785 A KR20120128785 A KR 20120128785A KR 1020110046642 A KR1020110046642 A KR 1020110046642A KR 20110046642 A KR20110046642 A KR 20110046642A KR 20120128785 A KR20120128785 A KR 20120128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umbrella
differential
wheelset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태허
Original Assignee
양태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태허 filed Critical 양태허
Priority to KR1020110046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8785A/ko
Publication of KR20120128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06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48/08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beve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20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differential action, e.g. lock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20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differential action, e.g. locking devices
    • F16H2048/201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differential action, e.g. locking devices with means directly braking the orbital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 내에서 용기형 베벨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차동 기어 휠셋 입력 록커 암을 두 세트의 전동장치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에 있어서, 1차구동장치는 차동 기어 휠셋 입력 록커 암과 엔진 사이의 회전 에너지를, 2차전동장치는 차동 기어 휠셋 입력 록커 암과 2차구동장치 사이의 회전 에너지를 전달하며, 이 둘 또는 그 중의 하나로 차동 기어 휠셋 입력 록커 암을 구동시키는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DUAL GEAR TRAIN DRIVING STRUCTURE AT INPUT SIDE OF BASIN-TYPE GEAR}
본 발명은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 내에서 용기형 베벨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차동 기어 휠셋 입력 록커 암을 두 세트의 전동장치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에 있어서, 1차구동장치는 차동 기어 휠셋 입력 록커 암과 엔진 사이의 회전 에너지를, 2차전동장치는 차동 기어 휠셋 입력 록커 암과 2차구동장치 사이의 회전 에너지를 전달하며, 이 둘 또는 그 중의 하나로 차동 기어 휠셋 입력 록커 암을 구동시키는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의 용기형 베벨기어로 차동 기어 휠셋을 구동시키는 혼합 구동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차동 기어 휠셋 입력측에 의해 구동되는 베벨기어와 용기형 베벨기어가 커플링 결합되어 1차전동장치를 구성하여 엔진에서 전달되는 동력 및 2차구동장치에서 전달되는 운동 에너지(예를 들어, 전기기기로 구동되는 베벨기어가 동일한 용기형 베벨기어에 커플링 결합되어 전달하는 전기기기와의 사이의 운동 에너지)를 전달하는데, 이러한 구조는 1차구동장치의 전기기기와 엔진의 운동 에너지로 구동되는 용기형 베벨기어의 사이는 베벨기어에 의해 전동되므로, 그 속도비는 엔진 입력측의 속도비와 동일하도록 제한되고 그리고 베벨기어는 반드시 엔진의 회전운동 에너지로 구동되는 다른 입력 베벨기어와 커플링 결합되고 동일하여야 하는 것이 그 문제점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 즉, 종래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의 용기형 베벨기어로 차동 기어 휠셋을 구동시키는 혼합 구동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차동 기어 휠셋 입력측에 의해 구동되는 베벨기어와 용기형 베벨기어가 커플링 결합되어 1차전동장치를 구성하여 엔진에서 전달되는 동력 및 2차구동장치에서 전달되는 운동 에너지(예를 들어, 전기기기로 구동되는 베벨기어가 동일한 용기형 베벨기어에 커플링 결합되어 전달하는 전기기기와의 사이의 운동 에너지)를 전달하는데, 이러한 구조는 1차구동장치의 전기기기와 엔진의 운동 에너지로 구동되는 용기형 베벨기어의 사이는 베벨기어에 의해 전동되므로, 그 속도비는 엔진 입력측의 속도비와 동일하도록 제한되고 그리고 베벨기어는 반드시 엔진의 회전운동 에너지로 구동되는 다른 입력 베벨기어와 커플링 결합되고 동일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 내에서 용기형 베벨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차동 기어 휠셋 입력 록커 암을 두 세트의 전동장치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에 있어서, 1차구동장치는 차동 기어 휠셋 입력 록커 암과 엔진 사이의 회전 에너지를, 2차전동장치는 차동 기어 휠셋 입력 록커 암과 2차구동장치 사이의 회전 에너지를 전달하며, 이 둘 또는 그 중의 하나로 차동 기어 휠셋 입력 록커 암을 구동시키는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에 있어서, 2차구동장치는 전기 에너지로 작동되는 전기기기로 모터 및/또는 발전 기능을 작동시키거나, 액압 또는 기압으로 구동되는 유력회전구동장치, 또는 플라이휠이나 스프링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구동장치를 2차구동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 내에서 용기형 베벨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차동 기어 휠셋 입력 록커 암을 두 세트의 전동장치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에 있어서, 1차구동장치는 차동 기어 휠셋 입력 록커 암과 엔진 사이의 회전 에너지를, 2차전동장치는 차동 기어 휠셋 입력 록커 암과 2차구동장치 사이의 회전 에너지를 전달하며, 이 둘 또는 그 중의 하나로 차동 기어 휠셋 입력 록커 암을 구동시키고,
그 주요 구성은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 차동 기어 휠셋, 1차전동장치 및 2차전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는 기어, 마찰 기어, 풀리, 스프로켓 또는 CVT휠로 구성된 것으로, 직접 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 및/또는 전동장치를 통해 상기 1차구동장치와 상기 차동 기어 휠셋의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는 상기 1차전동장치 및 상기 2차구동장치와 상기 차동 기어 휠셋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는 상기 2차전동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그리고 외부로 동축에 의해 출력되는 차동 출력축이 설치되는 상기 차동 기어 휠셋이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의 각체 및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는 인력 및/또는 전기력 및/또는 자기력 및/또는 기계력 및/또는 기압력 및/또는 액압력 및/또는 원심력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에 의한 연결이 가능하거나 분리 기능을 가진 클러치 장치 또는 구조로, 회전 입력측 및 회전 출력측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은 우산형 기어 또는 우산형 마찰 기어로 구성된 우산형 차동 기어로, 좌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 및 우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가 구비되어 있고, 이 둘은 모두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에 커플링 결합되며,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에 설치되고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에 의해 상기 차동 기어 휠셋과 상기 1차전동장치 및/또는 상기 2차전동장치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가 전달되고,
상기 1차전동장치는 기어, 마찰 기어, 풀리, 스프로켓 또는 CVT휠 및 전송밸트 또는 스프로켓 및 전송체인으로 구성된 전동장치로, 그 구조는 입력측과 출력측이 평행으로 이루어진 전동장치 또는 비평행으로 이루어진 각축 전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1차전동장치의 입력단은 상기 1차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고, 1차전동장치의 구동 휠은 상기 차동 기어 휠셋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을 구동시키는데 사용되고,
상기 2차전동장치는 기어, 마찰 기어, 풀리, 스프로켓 또는 CVT휠 및 전송밸트 또는 스프로켓 및 전송체인으로 구성된 전동장치로, 그 구조는 입력측과 출력측이 평행으로 이루어진 전동장치 또는 비평행으로 이루어진 각축 전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2차전동장치의 입력단은 상기 2차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고, 2차전동장치의 구동 휠은 상기 차동 기어 휠셋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을 구동시키는데 사용되며,
상기와 같은 구조로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의 상기 차동 출력축 및 상기 차동 출력축으로 하여금 상기 1차구동장치 및 또는 상기 2차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차동이 가능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엔진으로 구동되는 베벨기어 및 2차구동장치로 구동되는 베벨기어에 의해 용기형 베벨기어가 구동되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의 주요 구성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일 세트의 2차구동장치(201) 전기기기를 구성하는 회전부가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를 통해 2차전동장치의 전동 기어(506)를 구동시키고, 다시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와는 개별 또는 공동으로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을 구동시키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단일 세트의 2차구동장치(201)의 전기기기를 구성하는 회전부의 출력단과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의 사이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201)가 설치되어 있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는 전기기기의 회전부 출력단은 변속전동장치(T201)를 거친 뒤 다시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201)를 거쳐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에 연결되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두 개의 전기기기로 구성된 2차구동장치(201 및 202)를 추가로 설치하여 공동으로 2차전동장치(302)를 구동시키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두 개의 전기기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2차구동장치(201 및 202)를 구성하고, 두 개의 전기기기의 회전부 출력단과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의 사이에는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201 및 CL202)가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두 개의 전기기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2차구동장치(201 및 202)를 구성하고, 두 개의 전기기기의 회전부 출력단과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의 사이에는 변속전동장치(T201 및 T202)가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두 개의 전기기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2차구동장치(201 및 202)를 구성하고, 두 개의 전기기기 회전부 출력단은 개별적으로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201 및 CL202)를 거친 뒤 다시 변속전동장치(T201 및 T202)를 거쳐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에 연결되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두 개의 전기기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2차구동장치(201 및 202)를 구성하고, 두 개의 전기기기 회전부 출력단은 변속전동장치(T201 및 T202)를 거친 뒤 다시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201 및 CL202)를 거쳐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에 연결되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일 세트의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는 전기기기 회전부 출력단은 2차전동장치(302) 및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0)를 거쳐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에 커플링 결합 후, 다시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연결되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일 세트의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는 전기기기 회전부 출력단에 의해 구동되는 2차전동장치(302)는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0)를 통해 차동 기어 휠셋(800) 좌측의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결합되며, 우측으로 이어진 우측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은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에 연결되고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를 통해 1차구동장치(101)에 의해 구동되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는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과 1차전동장치(301)의 구동 휠셋의 사이에 설치되고,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2)는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과 2차전동장치(302)의 구동 휠셋의 사이에 설치되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 개의 전기기기로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여 2차전동장치(302)의 입력단을 구동시키고,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을 차동 기어 휠셋(800)의 양측에 설치하며, 그 중 일측단의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과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의 사이에는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를,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다른 일측단과 2차전동장치(302)의 사이에는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2)를 설치한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 개의 전기기기로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여 2차전동장치(302) 입력단의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를 구동시키고, 그 차동 기어 휠셋(800)의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은 양쪽 측단으로 이어지고,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 및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 및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 및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가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 개의 전기기기로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여 2차전동장치(302) 입력단의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를 구동시키고, 그 차동 기어 휠셋(800)의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은 양쪽 측단으로 이어지고,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 및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 및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 및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가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며,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와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사이에는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0)가 설치되어 있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 개의 전기기기로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여 2차전동장치(302) 입력단을 구동시키고, 그 차동 기어 휠셋(800)의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은 양쪽 측단으로 이어지고,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 및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 및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 및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가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와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사이에는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가, 그리고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와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사이에는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2)가 설치되어 있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의 용기형 베벨기어로 차동 기어 휠셋을 구동시키는 혼합 구동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 입력측의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와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가 커플링 결합되어 1차전동장치(301)를 구성함으로써 직접 또는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를 통해 1차구동장치(101)(예:엔진)에서 전달되는 동력을 전달하고, 그리고 2차구동장치(201)(예:전기기기)의 회전운동 에너지로 2차전동장치(302)로 사용되는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를 구동시키고,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와 공동으로 동일한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에 커플링 결합되어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며, 이러한 구성은 엔진의 동력 및/또는 전기기기를 모터 기능으로 사용하여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를 구동시키고 그리고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는 전기기기 회전부의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에 결합되는 것을 통해 전기기기를 구동시켜 발전 기능을 갖는 작동을 하도록 하는데, 이러한 구조는 2차구동장치(201)의 전기기기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와 1차구동장치(101)의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는 공동으로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를 구동시키므로, 전기기기 구동측의 속도비는 엔진 입력측의 속도비와 동일하도록 제한되고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는 반드시 엔진의 회전운동 에너지로 구동되는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에 커플링 결합되어야 하는 것이 그 문제점이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는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에서 차동 기어 휠셋(800)을 구동시키는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을 두 세트의 전동장치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에 있어서, 1차전동장치(301)는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과 상기 1차구동장치(101)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고, 2차전동장치(302)는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과 2차구동장치(201)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며, 이 둘 또는 그 중의 하나로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을 구동시켜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토록 하고, 차동 출력축(311 및 312)을 구동시켜 속도차가 가능한 출력을 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에 있어서, 상기 2차구동장치(201)는 전기 에너지로 작동되는 전기기기로 모터 및/또는 발전 기능을 작동시키거나, 액압 또는 기압으로 구동되는 유력회전구동장치, 또는 플라이휠이나 스프링에 의해 구동되거나 사람의 힘, 동물의 힘, 풍력, 수류의 위치 에너지 또는 유력에 의한 회전구동장치를 2차구동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의 주요 구성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연 엔진 또는 외연 엔진, 전기기기, 액압, 기압, 스프링 또는 플라이휠에 의해 구동되거나, 사람의 힘 또는 동물의 힘, 풍력, 수류의 위치 에너지 또는 유력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동력원으로 1차구동장치(101)를 구성하고 그리고 내연 엔진 또는 외연 엔진, 전기기기, 액압, 기압, 스프링 또는 플라이휠에 의해 구동되거나, 사람의 힘 또는 동물의 힘, 풍력, 수류의 위치 에너지 또는 유력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동력원으로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는 것 외에 그 주요 구성은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 차동 기어 휠셋(800), 1차전동장치(301) 및 2차전동장치(3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는 기어, 마찰 기어, 풀리, 스프로켓 또는 CVT휠로 구성된 것으로, 직접 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 및/또는 전동장치를 통해 상기 1차구동장치(101)와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는 상기 1차전동장치(301) 및 상기 2차구동장치(201)와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는 상기 2차전동장치(302)가 구비되어 있고, 그리고 외부로 동축에 의해 출력되는 차동 출력축(311 및 312)이 설치되는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이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의 각체 및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는 인력 및/또는 전기력 및/또는 자기력 및/또는 기계력 및/또는 기압력 및/또는 액압력 및/또는 원심력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에 의한 연결이 가능하거나 분리 기능을 가진 클러치 장치 또는 구조로, 회전 입력측 및 회전 출력측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은 우산형 기어 또는 우산형 마찰 기어로 구성된 우산형 차동 기어로, 좌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1) 및 우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2)가 구비되어 있고, 이 둘은 모두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에 커플링 결합되며,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803)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설치되고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의해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과 상기 1차전동장치(301) 및/또는 상기 2차전동장치(302)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가 전달되고,
상기 1차전동장치(301)는 기어, 마찰 기어, 풀리, 스프로켓 또는 CVT휠 및 전송밸트 또는 스프로켓 및 전송체인으로 구성된 전동장치로, 그 구조는 입력측과 출력측이 평행으로 이루어진 전동장치 또는 비평행으로 이루어진 각축 전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1차전동장치의 입력단은 상기 1차구동장치(101)에 의해 구동되고, 1차전동장치의 구동 휠은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을 구동시키는데 사용되고,
상기 2차전동장치(302)는 기어, 마찰 기어, 풀리, 스프로켓 또는 CVT휠 및 전송밸트 또는 스프로켓 및 전송체인으로 구성된 전동장치로, 그 구조는 입력측과 출력측이 평행으로 이루어진 전동장치 또는 비평행으로 이루어진 각축 전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2차전동장치의 입력단은 상기 2차구동장치(202)에 의해 구동되고, 2차전동장치의 구동 휠은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을 구동시키는데 사용되며,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는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의 상기 차동 출력축(311) 및 상기 차동 출력축(312)으로 하여금 상기 1차구동장치(101) 및 또는 상기 2차구동장치(201)에 의해 구동되어 차동이 가능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일 세트의 2차구동장치(201) 전기기기를 구성하는 회전부가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를 통해 2차전동장치의 전동 기어(506)를 구동시키고, 다시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와는 개별 또는 공동으로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을 구동시키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연 엔진으로 구동되는 회전동력원으로 1차구동장치(101)를 구성하고 그리고 한 개의 전기기기로 구동되는 회전동력원으로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는 것 외에 그 주요 구성은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 및 차동 기어 휠셋(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는 직접 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 및/또는 전동장치를 통해 상기 1차구동장치(101)와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는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와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로 구성된 1차전동장치(301) 및 상기 2차구동장치(201)와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는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와 2차전동장치의 전동 기어(506)로 구성된 2차전동장치(302)가 구비되어 있고, 그리고 외부로 동축에 의해 출력되는 차동 출력축(311 및 312)이 설치되는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이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의 각체 및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는 인력 및/또는 전기력 및/또는 자기력 및/또는 기계력 및/또는 기압력 및/또는 액압력 및/또는 원심력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에 의한 연결이 가능하거나 분리 기능을 가진 클러치 장치 또는 구조로, 회전 입력측 및 회전 출력측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은 우산형 기어 또는 우산형 마찰 기어로 구성된 우산형 차동 기어로, 좌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1) 및 우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2)가 구비되어 있고, 이 둘은 모두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에 커플링 결합되며,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803)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설치되고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의해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과 상기 1차전동장치(301) 및/또는 상기 2차전동장치(302)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가 전달되며,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는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의 상기 차동 출력축(311) 및 상기 차동 출력축(312)으로 하여금 상기 1차구동장치(101) 및 또는 상기 2차구동장치(201)에 의해 구동되어 차동이 가능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단일 세트의 2차구동장치(201)의 전기기기를 구성하는 회전부의 출력단과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의 사이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201)가 설치되어 있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단일 세트의 상기 2차구동장치(201) 전기기기를 구성하는 회전부 출력단과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의 사이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201)를 설치하여 전기기기 회전부 출력단과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가 서로 합쳐지거나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는 전기기기의 회전부 출력단은 변속전동장치(T201)를 거친 뒤 다시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201)를 거쳐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에 연결되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는 두 세트의 전기기기 회전부 출력단은 상기 변속전동장치(T201)를 거친 뒤 다시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201)를 거쳐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에 연결되며, 상기 변속전동장치(T201)로 전기기기 회전부 출력단과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201) 입력단 사이의 속도비를 바꾸고 그리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201)가 상기 변속전동장치(T201)의 출력단과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에 대하여 서로 합쳐지거나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두 개의 전기기기로 구성된 2차구동장치(201 및 202)를 추가로 설치하여 공동으로 2차전동장치(302)를 구동시키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될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전기기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두 개의 전기기기로 구동되는 회전동력원으로 상기 2차구동장치(201 및 202)를 구성하며, 두 개의 전기기기 또는 그 중의 하나로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두 개의 전기기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2차구동장치(201 및 202)를 구성하고, 두 개의 전기기기의 회전부 출력단과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의 사이에는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201 및 CL202)가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전기기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두 개의 전기기기로 구동되는 회전동력원으로 상기 2차구동장치(201 및 202)를 구성하고, 두 개의 전기기기의 회전부 출력단과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의 사이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201 및 CL202)를 설치하며, 두 개의 전기기기 또는 그 중의 하나로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두 개의 전기기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2차구동장치(201 및 202)를 구성하고, 두 개의 전기기기의 회전부 출력단과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의 사이에는 변속전동장치(T201 및 T202)가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전기기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두 개의 전기기기로 구동되는 회전동력원으로 상기 2차구동장치(201 및 202)를 구성하고, 두 개의 전기기기의 회전부 출력단과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의 사이에는 상기 변속전동장치(T201 및 T202)를 설치하며, 두 개의 전기기기 또는 그 중의 하나로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두 개의 전기기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2차구동장치(201 및 202)를 구성하고, 두 개의 전기기기 회전부 출력단은 개별적으로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201 및 CL202)를 거친 뒤 다시 변속전동장치(T201 및 T202)를 거쳐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에 연결되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전기기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두 개의 전기기기로 구동되는 회전동력원으로 상기 2차구동장치(201 및 202)를 구성하고, 두 개의 전기기기의 회전부 출력단은 개별적으로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201 및 CL202)를 거친 뒤 다시 상기 변속전동장치(T201 및 T202)를 거쳐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에 연결되며, 두 개의 전기기기 또는 그 중의 하나로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두 개의 전기기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2차구동장치(201 및 202)를 구성하고, 두 개의 전기기기 회전부 출력단은 변속전동장치(T201 및 T202)를 거친 뒤 다시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201 및 CL202)를 거쳐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에 연결되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전기기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두 개의 전기기기로 구동되는 회전동력원으로 상기 2차구동장치(T201 및 T202)를 구성하고, 두 개의 전기기기의 회전부 출력단은 개별적으로 상기 변속전동장치(201 및 202)를 거친 뒤 다시 상기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201 및 CL202)를 거쳐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에 연결되며, 두 개의 전기기기 또는 그 중의 하나로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일 세트의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는 전기기기 회전부 출력단은 2차전동장치(302) 및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0)를 거쳐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에 커플링으로 연결된 뒤 다시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연결되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연 엔진으로 구동되는 회전동력원으로 1차구동장치(101)를 구성하고 그리고 한 개의 전기기기로 구동되는 회전동력원으로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는 것 외에 그 주요 구성은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 및 CL500) 및 차동 기어 휠셋(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0)가 구비된 것으로, 1차전동장치의 구동 휠셋과 2차전동장치의 구동 휠셋의 사이에 설치되어 합쳐지거나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것에 있어서,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 및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로 구성된 1차전동장치(3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1차구동장치(101)가 직접 또는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를 및/또는 변속전동장치를 통해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를 구동시킨 후 다시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로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를 구동시킴으로써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을 구동시키고 그리고/또는 2차구동장치(201)의 회전운동 에너지가 2차전동장치(302) 및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0)를 통해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을 구동시키며,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에는 동일축으로 출력되는 차동 출력축(311) 및 차동 출력축(312)이 설치되고 그리고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의 각체 및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 및 CL500)는 인력 및/또는 전기력 및/또는 자기력 및/또는 기계력 및/또는 기압력 및/또는 액압력 및/또는 원심력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에 의한 연결이 가능하거나 분리 기능을 가진 클러치 장치 또는 구조로, 회전 입력측 및 회전 출력측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은 우산형 기어 또는 우산형 마찰 기어로 구성된 우산형 차동 기어로, 좌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1) 및 우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2)가 구비되어 있고, 이 둘은 모두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에 커플링 결합되며,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803)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설치되고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의해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과 상기 1차전동장치(301) 및/또는 상기 2차전동장치(302)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가 전달되며,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는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의 상기 차동 출력축(311) 및 상기 차동 출력축(312)으로 하여금 상기 1차구동장치(101) 및 또는 상기 2차구동장치(201)에 의해 구동되어 차동이 가능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일 세트의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는 전기기기 회전부 출력단에 의해 구동되는 2차전동장치(302)는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0)를 통해 차동 기어 휠셋(800) 좌측의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결합되며, 우측으로 이어진 우측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은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에 연결되고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를 통해 1차구동장치(101)에 의해 구동되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연 엔진으로 구동되는 회전동력원으로 1차구동장치(101)를 구성하고 그리고 한 개의 전기기기로 구동되는 회전동력원으로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는 것 외에 그 주요 구성은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 및 CL500) 및 차동 기어 휠셋(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0)가 구비된 것으로, 2차전동장치(302)의 구동 휠셋과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사이에 설치되어 합쳐지거나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것에 있어서,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 및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로 구성된 1차전동장치(3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1차구동장치(101)가 직접 또는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를 및/또는 변속전동장치를 통해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를 구동시킨 후 다시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로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을 구동시키고 그리고/또는 2차구동장치(201)의 회전운동 에너지가 2차전동장치(302) 및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0)를 통해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을 구동시키며,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에는 동일축으로 출력되는 차동 출력축(311) 및 차동 출력축(312)이 설치되고 그리고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의 각체 및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 및 CL500)는 인력 및/또는 전기력 및/또는 자기력 및/또는 기계력 및/또는 기압력 및/또는 액압력 및/또는 원심력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에 의한 연결이 가능하거나 분리 기능을 가진 클러치 장치 또는 구조로, 회전 입력측 및 회전 출력측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은 우산형 기어 또는 우산형 마찰 기어로 구성된 우산형 차동 기어로, 좌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1) 및 우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2)가 구비되어 있고, 이 둘은 모두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에 커플링 결합되며,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803)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설치되고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의해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과 상기 1차전동장치(301) 및/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0)에 의해 상기 2차전동장치(302)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가 전달되며,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는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의 상기 차동 출력축(311) 및 상기 차동 출력축(312)으로 하여금 상기 1차구동장치(101) 및 또는 상기 2차구동장치(201)에 의해 구동되어 차동이 가능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는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과 1차전동장치(301)의 구동 휠셋의 사이에 설치되고,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2)는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과 2차전동장치(302)의 구동 휠셋의 사이에 설치되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연 엔진으로 구동되는 회전동력원으로 1차구동장치(101)를 구성하고 그리고 한 개의 전기기기로 구동되는 회전동력원으로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는 것 외에 그 주요 구성은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 및 CL5012) 및 차동 기어 휠셋(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 및 CL5012)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는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과 1차전동장치의 구동 휠셋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2)는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과 상기 2차전동장치(302)의 구동 휠셋의 사이에 설치되어 작동 기능에 따라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 및 CL5012)에 대해 각종 배열 조합에 의해 합쳐지거나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것에 있어서,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 및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로 구성된 1차전동장치(3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1차구동장치(101)가 직접 또는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를 및/또는 변속전동장치를 통해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를 구동시킨 후 다시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로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를 구동시키고 그리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를 통해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을 구동시키고 그리고/또는 2차구동장치(201)의 회전운동 에너지가 2차전동장치(302) 및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2)를 통해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을 구동시키며,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에는 동일축으로 출력되는 차동 출력축(311) 및 차동 출력축(312)이 설치되고 그리고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의 각체 및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 및 CL5012)는 인력 및/또는 전기력 및/또는 자기력 및/또는 기계력 및/또는 기압력 및/또는 액압력 및/또는 원심력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에 의한 연결이 가능하거나 분리 기능을 가진 클러치 장치 또는 구조로, 회전 입력측 및 회전 출력측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은 우산형 기어 또는 우산형 마찰 기어로 구성된 우산형 차동 기어로, 좌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1) 및 우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2)가 구비되어 있고, 이 둘은 모두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에 커플링 결합되며,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803)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로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과 상기 1차전동장치(301)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2)로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과 상기 2차전동장치(302)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며,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는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의 상기 차동 출력축(311) 및 상기 차동 출력축(312)으로 하여금 상기 1차구동장치(101) 및 또는 상기 2차구동장치(201)에 의해 구동되어 차동이 가능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 개의 전기기기로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여 2차전동장치(302)의 입력단을 구동시키고,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을 차동 기어 휠셋(800)의 양측에 설치하며, 그 중 일측단의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과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의 사이에는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를,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다른 일측단과 2차전동장치(302)의 사이에는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2)를 설치한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연 엔진으로 구동되는 회전동력원으로 1차구동장치(101)를 구성하고 그리고 한 개의 전기기기로 구동되는 회전동력원으로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는 것 외에 그 주요 구성은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 및 CL5012) 및 차동 기어 휠셋(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 및 CL501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은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중 일측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과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의 사이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를 설치하고,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다른 일측과 상기 2차전동장치(302)의 구동 휠의 사이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2)을 설치하여 작동 기능에 따라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 및 CL5012)에 대해 각종 배열 조합에 의해 합쳐지거나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것에 있어서,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 및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로 구성된 1차전동장치(3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1차구동장치(101)가 직접 또는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를 및/또는 변속전동장치를 통해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를 구동시킨 후 다시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로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를 구동시키고 그리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를 통해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을 구동시키고 그리고/또는 2차구동장치(201)의 회전운동 에너지가 2차전동장치(302) 및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2)를 통해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을 구동시키며,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에는 동일축으로 출력되는 차동 출력축(311) 및 차동 출력축(312)이 설치되고 그리고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의 각체 및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 및 CL5012)는 인력 및/또는 전기력 및/또는 자기력 및/또는 기계력 및/또는 기압력 및/또는 액압력 및/또는 원심력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에 의한 연결이 가능하거나 분리 기능을 가진 클러치 장치 또는 구조로, 회전 입력측 및 회전 출력측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은 우산형 기어 또는 우산형 마찰 기어로 구성된 우산형 차동 기어로, 좌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1) 및 우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2)가 구비되어 있고, 이 둘은 모두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에 커플링 결합되며,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803)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로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과 상기 1차전동장치(301)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2)로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과 상기 2차전동장치(302)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 개의 전기기기로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여 2차전동장치(302) 입력단의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를 구동시키고, 그 차동 기어 휠셋(800)의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은 양쪽 측단으로 이어지고,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 및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 및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 및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가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전기기기로 상기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여 상기 2차전동장치(302) 입력단의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를 구동시키는 것 외에 그 주요 구성은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 및 차동 기어 휠셋(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에 있어서,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은 양쪽 측단으로 이어지고,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 및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 및 상기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 및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가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는 1차구동장치(101)에 의해 직접적으로 구동되거나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를 통해 구동된 뒤 다시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를 통해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일측을 구동시키고, 또한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는 상기 2차구동장치(201)에 의해 구동된 뒤 다시 상기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를 통해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다른 일측을 구동시키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는 인력 및/또는 전기력 및/또는 자기력 및/또는 기계력 및/또는 기압력 및/또는 액압력 및/또는 원심력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에 의한 연결이 가능하거나 분리 기능을 가진 클러치 장치 또는 구조로, 회전 입력측 및 회전 출력측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은 우산형 기어 또는 우산형 마찰 기어로 구성된 우산형 차동 기어로, 좌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1) 및 우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2)가 구비되어 있고, 이 둘은 모두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에 커플링 결합되며,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803)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설치되고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으로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과 상기 1차전동장치(301) 및/또는 상기 2차전동장치(302)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며,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는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의 상기 차동 출력축(311) 및 상기 차동 출력축(312)으로 하여금 상기 1차구동장치(101) 및 또는 상기 2차구동장치(201)에 의해 구동되어 차동이 가능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 개의 전기기기로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여 2차전동장치(302) 입력단의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를 구동시키고, 그 차동 기어 휠셋(800)의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은 양쪽 측단으로 이어지고,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 및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 및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 및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가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며,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와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사이에는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0)가 설치되어 있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전기기기로 상기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여 상기 2차전동장치(302)의 입력단을 구동시키는 것 외에 그 주요 구성은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 및 CL500) 및 차동 기어 휠셋(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에 있어서,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은 양쪽 측단으로 이어지고,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 및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 및 상기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 및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가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며, 상기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사이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0)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는 1차구동장치(101)에 의해 구동된 뒤 다시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를 통해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일측을 구동시키고, 또한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는 상기 2차구동장치(201)에 의해 구동된 뒤 다시 상기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를 통해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0)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다른 일측을 구동시키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 및 CL500)는 인력 및/또는 전기력 및/또는 자기력 및/또는 기계력 및/또는 기압력 및/또는 액압력 및/또는 원심력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에 의한 연결이 가능하거나 분리 기능을 가진 클러치 장치 또는 구조로, 회전 입력측 및 회전 출력측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은 우산형 기어 또는 우산형 마찰 기어로 구성된 우산형 차동 기어로, 좌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1) 및 우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2)가 구비되어 있고, 이 둘은 모두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에 커플링 결합되며,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803)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설치되고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으로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과 상기 1차전동장치(301)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0)를 통해 상기 2차전동장치(302)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며,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는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의 상기 차동 출력축(311) 및 상기 차동 출력축(312)으로 하여금 상기 1차구동장치(101) 및 또는 상기 2차구동장치(201)에 의해 구동되어 차동이 가능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 개의 전기기기로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여 2차전동장치(302) 입력단을 구동시키고, 그 차동 기어 휠셋(800)의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은 양쪽 측단으로 이어지고,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 및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 및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 및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가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와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사이에는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가, 그리고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와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사이에는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2)가 설치되어 있는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전기기기로 상기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여 상기 2차전동장치(302)의 입력단을 구동시키는 것 외에 그 주요 구성은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 및 CL5012) 및 차동 기어 휠셋(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에 있어서,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은 양쪽 측단으로 이어지고,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 및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 및 상기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 및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가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며,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사이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가 설치되고, 상기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사이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2)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는 1차구동장치(101)에 의해 구동된 뒤 다시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를 통해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일측을 구동시키고, 또한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는 상기 2차구동장치(201)에 의해 구동된 뒤 다시 상기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를 통해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2)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다른 일측을 구동시키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 및 CL5012)는 인력 및/또는 전기력 및/또는 자기력 및/또는 기계력 및/또는 기압력 및/또는 액압력 및/또는 원심력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에 의한 연결이 가능하거나 분리 기능을 가진 클러치 장치 또는 구조로, 회전 입력측 및 회전 출력측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은 우산형 기어 또는 우산형 마찰 기어로 구성된 우산형 차동 기어로, 좌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1) 및 우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2)가 구비되어 있고, 이 둘은 모두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에 커플링 결합되며,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803)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로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과 상기 1차전동장치(301)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2)를 통해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과 상기 2차전동장치(302)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L101, CL201, CL202, CL500, CL5011, CL5012 :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
101 : 1차구동장치
201, 202 : 2차구동장치
T201, T202 : 변속전동장치
300 :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
301 : 1차전동장치
302 : 2차전동장치
311, 312 : 차동 출력축
503 :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
504 :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
505 :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
506 : 2차전동장치의 전동 기어
507 :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
800 : 차동 기어 휠셋
801 : 좌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
802 : 우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
803 :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
804 :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
5042 :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

Claims (16)

  1.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 내에서 용기형 베벨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차동 기어 휠셋 입력 록커 암을 두 세트의 전동장치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에 있어서, 1차구동장치는 차동 기어 휠셋 입력 록커 암과 엔진 사이의 회전 에너지를, 2차전동장치는 차동 기어 휠셋 입력 록커 암과 2차구동장치 사이의 회전 에너지를 전달하며, 이 둘 또는 그 중의 하나로 차동 기어 휠셋 입력 록커 암을 구동시키고,
    그 주요 구성은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 차동 기어 휠셋(800), 1차전동장치(301) 및 2차전동장치(3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는 기어, 마찰 기어, 풀리, 스프로켓 또는 CVT휠로 구성된 것으로, 직접 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 및/또는 전동장치를 통해 상기 1차구동장치(101)와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는 상기 1차전동장치(301) 및 상기 2차구동장치(201)와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는 상기 2차전동장치(302)가 구비되어 있고, 그리고 외부로 동축에 의해 출력되는 차동 출력축(311 및 312)이 설치되는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이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의 각체 및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는 인력 및/또는 전기력 및/또는 자기력 및/또는 기계력 및/또는 기압력 및/또는 액압력 및/또는 원심력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에 의한 연결이 가능하거나 분리 기능을 가진 클러치 장치 또는 구조로, 회전 입력측 및 회전 출력측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은 우산형 기어 또는 우산형 마찰 기어로 구성된 우산형 차동 기어로, 좌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1) 및 우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2)가 구비되어 있고, 이 둘은 모두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에 커플링 결합되며,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803)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설치되고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의해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과 상기 1차전동장치(301) 및/또는 상기 2차전동장치(302)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가 전달되고,
    상기 1차전동장치(301)는 기어, 마찰 기어, 풀리, 스프로켓 또는 CVT휠 및 전송밸트 또는 스프로켓 및 전송체인으로 구성된 전동장치로, 그 구조는 입력측과 출력측이 평행으로 이루어진 전동장치 또는 비평행으로 이루어진 각축 전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1차전동장치의 입력단은 상기 1차구동장치(101)에 의해 구동되고, 1차전동장치의 구동 휠은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을 구동시키는데 사용되고,
    상기 2차전동장치(302)는 기어, 마찰 기어, 풀리, 스프로켓 또는 CVT휠 및 전송밸트 또는 스프로켓 및 전송체인으로 구성된 전동장치로, 그 구조는 입력측과 출력측이 평행으로 이루어진 전동장치 또는 비평행으로 이루어진 각축 전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2차전동장치의 입력단은 상기 2차구동장치(202)에 의해 구동되고, 2차전동장치의 구동 휠은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을 구동시키는데 사용되며,
    상기와 같은 구조로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의 상기 차동 출력축(311) 및 상기 차동 출력축(312)으로 하여금 상기 1차구동장치(101) 및 또는 상기 2차구동장치(201)에 의해 구동되어 차동이 가능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그 주요 구성은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 및 차동 기어 휠셋(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는 직접 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 및/또는 전동장치를 통해 상기 1차구동장치(101)와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는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와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로 구성된 1차전동장치(301) 및 상기 2차구동장치(201)와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는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와 2차전동장치의 전동 기어(506)로 구성된 2차전동장치(302)가 구비되어 있고, 그리고 외부로 동축에 의해 출력되는 차동 출력축(311 및 312)이 설치되는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이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의 각체 및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는 인력 및/또는 전기력 및/또는 자기력 및/또는 기계력 및/또는 기압력 및/또는 액압력 및/또는 원심력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에 의한 연결이 가능하거나 분리 기능을 가진 클러치 장치 또는 구조로, 회전 입력측 및 회전 출력측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은 우산형 기어 또는 우산형 마찰 기어로 구성된 우산형 차동 기어로, 좌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1) 및 우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2)가 구비되어 있고, 이 둘은 모두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에 커플링 결합되며,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803)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설치되고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의해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과 상기 1차전동장치(301) 및/또는 상기 2차전동장치(302)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가 전달되며,
    상기와 같은 구조로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의 상기 차동 출력축(311) 및 상기 차동 출력축(312)으로 하여금 상기 1차구동장치(101) 및 또는 상기 2차구동장치(201)에 의해 구동되어 차동이 가능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단일 세트의 상기 2차구동장치(201) 전기기기를 구성하는 회전부 출력단과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의 사이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201)를 설치하여 전기기기 회전부 출력단과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가 서로 합쳐지거나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는 두 세트의 전기기기 회전부 출력단은 상기 변속전동장치(T201)를 거친 뒤 다시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201)를 거쳐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에 연결되며, 상기 변속전동장치(T201)로 전기기기 회전부 출력단과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201) 입력단 사이의 속도비를 바꾸고 그리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201)가 상기 변속전동장치(T201)의 출력단과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에 대하여 서로 합쳐지거나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두 개의 전기기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두 개의 전기기기로 구동되는 회전동력원으로 상기 2차구동장치(201 및 202)를 구성하며, 두 개의 전기기기 또는 그 중의 하나로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
  6. 제3항에 있어서,
    두 개의 전기기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두 개의 전기기기로 구동되는 회전동력원으로 상기 2차구동장치(201 및 202)를 구성하고, 두 개의 전기기기의 회전부 출력단과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의 사이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201 및 CL202)를 설치하며, 두 개의 전기기기 또는 그 중의 하나로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두 개의 전기기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두 개의 전기기기로 구동되는 회전동력원으로 상기 2차구동장치(201 및 202)를 구성하고, 두 개의 전기기기의 회전부 출력단과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의 사이에는 상기 변속전동장치(T201 및 T202)를 설치하며, 두 개의 전기기기 또는 그 중의 하나로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두 개의 전기기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두 개의 전기기기로 구동되는 회전동력원으로 상기 2차구동장치(201 및 202)를 구성하고, 두 개의 전기기기의 회전부 출력단은 개별적으로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201 및 CL202)를 거친 뒤 다시 상기 변속전동장치(T201 및 T202)를 거쳐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에 연결되며, 두 개의 전기기기 또는 그 중의 하나로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
  9. 제6항에 있어서,
    두 개의 전기기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두 개의 전기기기로 구동되는 회전동력원으로 상기 2차구동장치(201 및 202)를 구성하고, 두 개의 전기기기의 회전부 출력단은 개별적으로 상기 변속전동장치(T201 및 T202)를 거친 뒤 다시 상기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201 및 CL202)를 거쳐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에 연결되며, 두 개의 전기기기 또는 그 중의 하나로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기어(505)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단일 세트의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는 전기기기 회전부 출력단은 2차전동장치(302) 및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0)를 거쳐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에 커플링으로 연결된 뒤 다시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연결되고,
    그 주요 구성은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 및 CL500) 및 차동 기어 휠셋(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0)가 구비된 것으로, 1차전동장치의 구동 휠셋과 2차전동장치의 구동 휠셋의 사이에 설치되어 합쳐지거나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것에 있어서,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 및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로 구성된 1차전동장치(3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1차구동장치(101)가 직접 또는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를 및/또는 변속전동장치를 통해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를 구동시킨 후 다시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로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를 구동시킴으로써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을 구동시키고 그리고/또는 2차구동장치(201)의 회전운동 에너지가 2차전동장치(302) 및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0)를 통해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을 구동시키며,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에는 동일축으로 출력되는 차동 출력축(311) 및 차동 출력축(312)이 설치되고 그리고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의 각체 및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 및 CL500)는 인력 및/또는 전기력 및/또는 자기력 및/또는 기계력 및/또는 기압력 및/또는 액압력 및/또는 원심력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에 의한 연결이 가능하거나 분리 기능을 가진 클러치 장치 또는 구조로, 회전 입력측 및 회전 출력측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은 우산형 기어 또는 우산형 마찰 기어로 구성된 우산형 차동 기어로, 좌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1) 및 우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2)가 구비되어 있고, 이 둘은 모두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에 커플링 결합되며,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803)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설치되고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의해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과 상기 1차전동장치(301) 및/또는 상기 2차전동장치(302)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가 전달되며,
    상기와 같은 구조로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의 상기 차동 출력축(311) 및 상기 차동 출력축(312)으로 하여금 상기 1차구동장치(101) 및 또는 상기 2차구동장치(201)에 의해 구동되어 차동이 가능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을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양측에 설치하며 그 중 일측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은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에 겹합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0)를 통해 상기 2차전동장치(302)에 커플링 결합되어 상기 2차전동장치(302)와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이 합쳐지거나 분리되도록 하고,
    그 주요 구성은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 및 CL500) 및 차동 기어 휠셋(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0)가 구비된 것으로, 2차전동장치(302)의 구동 휠셋과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사이에 설치되어 합쳐지거나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것에 있어서,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 및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로 구성된 1차전동장치(3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1차구동장치(101)가 직접 또는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를 및/또는 변속전동장치를 통해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를 구동시킨 후 다시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로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을 구동시키고 그리고/또는 2차구동장치(201)의 회전운동 에너지가 2차전동장치(302) 및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0)를 통해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을 구동시키며,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에는 동일축으로 출력되는 차동 출력축(311) 및 차동 출력축(312)이 설치되고 그리고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의 각체 및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 및 CL500)는 인력 및/또는 전기력 및/또는 자기력 및/또는 기계력 및/또는 기압력 및/또는 액압력 및/또는 원심력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에 의한 연결이 가능하거나 분리 기능을 가진 클러치 장치 또는 구조로, 회전 입력측 및 회전 출력측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은 우산형 기어 또는 우산형 마찰 기어로 구성된 우산형 차동 기어로, 좌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1) 및 우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2)가 구비되어 있고, 이 둘은 모두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에 커플링 결합되며,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803)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설치되고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의해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과 상기 1차전동장치(301) 및/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0)에 의해 상기 2차전동장치(302)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가 전달되며,
    상기와 같은 구조로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의 상기 차동 출력축(311) 및 상기 차동 출력축(312)으로 하여금 상기 1차구동장치(101) 및 또는 상기 2차구동장치(201)에 의해 구동되어 차동이 가능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는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과 1차전동장치(301)의 구동 휠셋의 사이에 설치되고,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2)는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과 2차전동장치(302)의 구동 휠셋의 사이에 설치되어 작동 기능에 따라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 및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2)에 대하여 각종 배열 조합에 의해 합쳐지거나 분리되도록 제어하고,
    그 주요 구성은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 및 CL5012) 및 차동 기어 휠셋(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 및 CL5012)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는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과 1차전동장치의 구동 휠셋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2)는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과 상기 2차전동장치(302)의 구동 휠셋의 사이에 설치되어 작동 기능에 따라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 및 CL5012)에 대해 각종 배열 조합에 의해 합쳐지거나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것에 있어서,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 및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로 구성된 1차전동장치(3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1차구동장치(101)가 직접 또는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를 및/또는 변속전동장치를 통해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를 구동시킨 후 다시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로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를 구동시키고 그리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를 통해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을 구동시키고 그리고/또는 2차구동장치(201)의 회전운동 에너지가 2차전동장치(302) 및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2)를 통해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을 구동시키며,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에는 동일축으로 출력되는 차동 출력축(311) 및 차동 출력축(312)이 설치되고 그리고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의 각체 및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 및 CL5012)는 인력 및/또는 전기력 및/또는 자기력 및/또는 기계력 및/또는 기압력 및/또는 액압력 및/또는 원심력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에 의한 연결이 가능하거나 분리 기능을 가진 클러치 장치 또는 구조로, 회전 입력측 및 회전 출력측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은 우산형 기어 또는 우산형 마찰 기어로 구성된 우산형 차동 기어로, 좌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1) 및 우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2)가 구비되어 있고, 이 둘은 모두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에 커플링 결합되며,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803)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로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과 상기 1차전동장치(301)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2)로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와 상기 2차전동장치(302)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며,
    상기와 같은 구조로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의 상기 차동 출력축(311) 및 상기 차동 출력축(312)으로 하여금 상기 1차구동장치(101) 및 또는 상기 2차구동장치(201)에 의해 구동되어 차동이 가능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
  13. 제1항에 있어서,
    한 개의 전기기기로 상기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여 상기 2차전동장치(302)의 입력단을 구동시키고,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을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양측에 설치하며, 그 중 일측단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과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의 사이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를,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다른 일측단과 상기 2차전동장치(302)의 사이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2)를 설치하고,
    그 주요 구성은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 및 CL5012) 및 차동 기어 휠셋(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 및 CL501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은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중 일측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과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의 사이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를 설치하고,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다른 일측과 상기 2차전동장치(302)의 구동 휠의 사이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2)을 설치하여 작동 기능에 따라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 및 CL5012)에 대해 각종 배열 조합에 의해 합쳐지거나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것에 있어서,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 및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로 구성된 1차전동장치(3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1차구동장치(101)가 직접 또는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를 및/또는 변속전동장치를 통해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를 구동시킨 후 다시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로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를 구동시키고 그리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를 통해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을 구동시키고 그리고/또는 2차구동장치(201)의 회전운동 에너지가 2차전동장치(302) 및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2)를 통해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을 구동시키며,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에는 동일축으로 출력되는 차동 출력축(311) 및 차동 출력축(312)이 설치되고 그리고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의 각체 및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 및 CL5012)는 인력 및/또는 전기력 및/또는 자기력 및/또는 기계력 및/또는 기압력 및/또는 액압력 및/또는 원심력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에 의한 연결이 가능하거나 분리 기능을 가진 클러치 장치 또는 구조로, 회전 입력측 및 회전 출력측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은 우산형 기어 또는 우산형 마찰 기어로 구성된 우산형 차동 기어로, 좌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1) 및 우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2)가 구비되어 있고, 이 둘은 모두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에 커플링 결합되며,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803)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로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과 상기 1차전동장치(301)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2)로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와 상기 2차전동장치(302)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은 양쪽 측단으로 이어지고,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 및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 및 상기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 및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가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는 1차구동장치(101)에 의해 직접적으로 구동되거나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를 통해 구동된 뒤 다시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를 통해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일측을 구동시키고, 또한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는 상기 2차구동장치(201)에 의해 구동된 뒤 다시 상기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를 통해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다른 일측을 구동시키며 회전운동 에너지는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이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로 전달하고,
    그 주요 구성은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 및 차동 기어 휠셋(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에 있어서,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은 양쪽 측단으로 이어지고,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 및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 및 상기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 및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가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는 1차구동장치(101)에 의해 직접적으로 구동되거나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를 통해 구동된 뒤 다시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를 통해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일측을 구동시키고, 또한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는 상기 2차구동장치(201)에 의해 구동된 뒤 다시 상기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를 통해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다른 일측을 구동시키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는 인력 및/또는 전기력 및/또는 자기력 및/또는 기계력 및/또는 기압력 및/또는 액압력 및/또는 원심력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에 의한 연결이 가능하거나 분리 기능을 가진 클러치 장치 또는 구조로, 회전 입력측 및 회전 출력측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은 우산형 기어 또는 우산형 마찰 기어로 구성된 우산형 차동 기어로, 좌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1) 및 우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2)가 구비되어 있고, 이 둘은 모두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에 커플링 결합되며,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803)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설치되고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으로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과 상기 1차전동장치(301) 및/또는 상기 2차전동장치(302)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며,
    상기와 같은 구조로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의 상기 차동 출력축(311) 및 상기 차동 출력축(312)으로 하여금 상기 1차구동장치(101) 및 또는 상기 2차구동장치(201)에 의해 구동되어 차동이 가능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
  15. 제1항에 있어서,
    한 개의 전기기기로 상기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여 상기 2차전동장치(302) 입력단의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를 구동시키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은 양쪽 측단으로 이어지고,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 및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 및 상기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 및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는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며, 상기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사이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0)가 설치되고,
    그 주요 구성은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 및 CL500) 및 차동 기어 휠셋(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에 있어서,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은 양쪽 측단으로 이어지고,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 및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 및 상기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 및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가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며, 상기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사이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0)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는 1차구동장치(101)에 의해 구동된 뒤 다시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를 통해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일측을 구동시키고, 또한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는 상기 2차구동장치(201)에 의해 구동된 뒤 다시 상기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를 통해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0)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다른 일측을 구동시키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101 및 CL500)는 인력 및/또는 전기력 및/또는 자기력 및/또는 기계력 및/또는 기압력 및/또는 액압력 및/또는 원심력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에 의한 연결이 가능하거나 분리 기능을 가진 클러치 장치 또는 구조로, 회전 입력측 및 회전 출력측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은 우산형 기어 또는 우산형 마찰 기어로 구성된 우산형 차동 기어로, 좌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1) 및 우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2)가 구비되어 있고, 이 둘은 모두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에 커플링 결합되며,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803)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설치되고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으로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과 상기 1차전동장치(301)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0)를 통해 상기 2차전동장치(302)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며,
    상기와 같은 구조로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의 상기 차동 출력축(311) 및 상기 차동 출력축(312)으로 하여금 상기 1차구동장치(101) 및 또는 상기 2차구동장치(201)에 의해 구동되어 차동이 가능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
  16. 제1항에 있어서,
    한 개의 전기기기로 상기 2차구동장치(201)를 구성하여 상기 2차전동장치(302) 입력단을 구동시키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은 양쪽 측단으로 이어지고,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 및 상기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 및 상기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 및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는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며,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사이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가, 그리고 상기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사이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2)가 설치되고,
    그 주요 구성은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 및 CL5012) 및 차동 기어 휠셋(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 어셈블리(300)에 있어서,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의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은 양쪽 측단으로 이어지고,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 및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 및 상기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 및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가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며,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사이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가 설치되고, 상기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사이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2)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1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3)는 1차구동장치(101)에 의해 구동된 뒤 다시 상기 1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를 통해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일측을 구동시키고, 또한 상기 2차전동장치 입력 베벨기어(507)는 상기 2차구동장치(201)에 의해 구동된 뒤 다시 상기 2차전동장치의 용기형 베벨기어(5042)를 통해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2)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의 다른 일측을 구동시키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 및 CL5012)는 인력 및/또는 전기력 및/또는 자기력 및/또는 기계력 및/또는 기압력 및/또는 액압력 및/또는 원심력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에 의한 연결이 가능하거나 분리 기능을 가진 클러치 장치 또는 구조로, 회전 입력측 및 회전 출력측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동 기어 휠셋(800)은 우산형 기어 또는 우산형 마찰 기어로 구성된 우산형 차동 기어로, 좌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1) 및 우측 우산형 차동이 가능한 출력기어(802)가 구비되어 있고, 이 둘은 모두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에 커플링 결합되며,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휠셋(803)은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1)로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과 상기 1차전동장치(301)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제어가능한 클러치 장치(CL5012)를 통해 상기 우산형 유성 기어 동력 전달 록커 암(804)과 상기 2차전동장치(302) 사이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
KR1020110046642A 2011-05-18 2011-05-18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 KR20120128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642A KR20120128785A (ko) 2011-05-18 2011-05-18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642A KR20120128785A (ko) 2011-05-18 2011-05-18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785A true KR20120128785A (ko) 2012-11-28

Family

ID=47513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642A KR20120128785A (ko) 2011-05-18 2011-05-18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87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4452A (zh) * 2019-03-04 2019-05-21 吉林大学 锥齿轮式油电混联混合动力***
CN110001391A (zh) * 2019-04-26 2019-07-12 大连聪迅网络科技有限公司 多轮差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4452A (zh) * 2019-03-04 2019-05-21 吉林大学 锥齿轮式油电混联混合动力***
CN109774452B (zh) * 2019-03-04 2024-04-12 吉林大学 锥齿轮式油电混联混合动力***
CN110001391A (zh) * 2019-04-26 2019-07-12 大连聪迅网络科技有限公司 多轮差速***
CN110001391B (zh) * 2019-04-26 2024-04-02 大连聪迅网络科技有限公司 多轮差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74647B1 (en) Dual gear train driving structure at input side of basin-type gear
CN101222172B (zh) 旋转机械的可变磁性联接
CN105082999A (zh) 扭矩矢量分配混合动力驱动桥
US8696504B2 (en) Dual power driving system with epicycle gear sets transmitted in series
WO2003035421B1 (en) Electro-mechanical infinitely variable transmission
CN110785307B (zh) 混合动力车辆的变速器总成
WO2012074726A2 (en) Reconfigurable hybrid gear train
CN104540699A (zh) 用于机动车的混合驱动***、混合式车辆及其用途
CN105473365A (zh) 用于混合动力车辆的传动系
CA2734314C (en) Single-powered multi-cvt differential system with stabilizing device
US10704662B2 (en) Power-split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vice
US10641373B2 (en) Power-split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vice
CN109416109B (zh) 可变速度传动机构及使用其的***
KR20120128785A (ko) 용기형 기어 입력측에 따른 양방향 기어열 구동 구조
CN103982607B (zh) 混合动力型动力总成
CN103216588B (zh) 混合动力传动系
US10626969B2 (en) Power-split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vice
US9897178B2 (en) Manipulatable epicyclic type clutch device coupled with hybrid power train
CN110500391A (zh) 具有电机的驱动设备
US12024022B2 (en) Hybrid powertrain for a vehicle
CN109922980B (zh) 用于混合动力车辆的变速器组件和驱动装置
CN113767232B (zh) 变速器、单离合器动力传动***和用于操作单离合器动力传动***的方法
WO2020125507A1 (en) A transmission for a vehicle
WO2015189924A1 (ja) 動力伝達装置
US8414435B2 (en) Dual power driving system with epicycle gear sets transmitted in se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