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0810A -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 Google Patents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0810A
KR20120120810A KR1020110038588A KR20110038588A KR20120120810A KR 20120120810 A KR20120120810 A KR 20120120810A KR 1020110038588 A KR1020110038588 A KR 1020110038588A KR 20110038588 A KR20110038588 A KR 20110038588A KR 20120120810 A KR20120120810 A KR 20120120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
lever
terminal
connec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8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해성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8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0810A/ko
Publication of KR20120120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08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락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커넥터(10), 제2커넥터(20) 그리고 인터락보장구(36)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커넥터(10)의 외관을 제1하우징(12)이 형성하고 상기 제1하우징(12)의 외면 일측에는 체결돌기(14)가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12)에는 제1터미널(16)과 제1인터락터미널(18)이 설치된다. 상기 제2커넥터(20)의 외관을 제2하우징(22)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22)의 외면에는 쉬라우드(24)가 형성된다. 상기 쉬라우드(24)의 내측에 해당되는 제2하우징(22)의 외면에는 체결레버(30)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30)에는 길이방향으로 중앙을 따라 길게 걸이슬롯(34)이 형성된다. 상기 쉬라우드(24)의 양측 내면에는 안내리브(24")가 길게 형성된다. 상기 인터락보장구(36)의 골격을 보장구몸체(38)가 형성한다. 상기 보장구몸체(38)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관통부(40)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40)에는 조작레버(42)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레버(42)는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의 완전 결합시에는 상기 체결돌기(14)와 걸이슬롯(34)의 선단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걸이슬롯(34) 내에서 동작가능하다. 상기 체결돌기(14)에서 조작레버(42)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인터락터미널(18,28)이 분리된 상태이고 상기 체결레버(30)와 함께 동작된다.

Description

인터락 커넥터조립체{Interlock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인터락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전압에 사용되는 커넥터조립체의 분리시에 인터락부재의 체결상태를 먼저 해제하여 전원연결을 해지하고 커넥터를 분리하도록 하는 인터락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조립체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인 연결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는 각각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에 각각 터미널이 구비되어 상기 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최근에 엔진 이외에 모터를 구동원을 사용하는 자동차들이 개발되면서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커넥터들이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졌다.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커넥터, 즉 고전압 커넥터의 경우, 특히 제1 및 제2 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분리되는 순간에 스파크가 발생하여 화재 등의 위험이 많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터미널의 물리적 결합의 해제 전에 통전이 끊어지도록 하고, 회로적인 연결이 된 것을 계속적으로 모니터할 필요가 있다. 이런 기능을 인터락기능이라고 하는데, 기계식 인터락과 전기식 인터락이 있다.
전기식 인터락은 커넥터의 분리시 단자의 삽입깊이의 차이를 활용해서 인터락 회로를 구성한다. 하지만, 전기식 인터락은 커넥터의 분리시에 고전압 회로를 먼저 차단해야 하는데, 단자의 삽입깊이 차이가 그다지 크지 않아 순식간에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회로를 먼저 차단하는 기능이 제대로 동작될 수 없어 대부분 기계식 인터락을 사용한다.
하지만, 기계식 인터락은 커넥터조립체에서 메인커넥터 외에 별도로 인터락 기능을 위한 보조커넥터가 구비되는데, 이와 같이 되면 전체 커넥터조립체의 크기가 커지고 부품수가 늘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필요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기식 인터락 방식과 기계식 인터락 방식을 혼합한 인터락 커넥터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락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제1 메인커넥터와 제2 메인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결합보장기능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면에 체결돌기가 형성된 제1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제1터미널과 제1인터락터미널이 구비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체결돌기와 체결되는 체결레버를 구비하는 제2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제1터미널과 결합되는 제2터미널과 상기 제1인터락터미널과 결합되어 인터락 기능을 수행하는 제2인터락터미널이 구비되는 제2커넥터와, 상기 제2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체결돌기에 선단이 걸어지는 조작레버가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기에 조작레버가 걸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레버가 단독으로 동작되어 상기 제1인터락터미널과 제2인터락터미널이 분리되게 하고 조작레버가 체결돌기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레버와 함께 동작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분리되도록 하는 인터락보장구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레버에는 상기 조작레버가 위치되어 동작되도록 체결레버의 중앙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걸이슬롯이 형성되는데, 상기 걸이슬롯의 선단에는 제1 및 제2 커넥터의 완전 결합상태에서는 상기 조작레버 선단의 걸이단이 위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인터락터미널의 분리상태에서는 상기 체결돌기가 걸어진다.
상기 제2하우징에는 상기 인터락보장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리브가 내면에 형성된 펜스가 한 쌍이 나란히 구비된다.
상기 조작레버와 인터락보장구를 보호하고 상기 인터락보장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리브가 내면 양측에 형성되는 쉬라우드가 더 구비된다.
상기 쉬라우드의 후단에는 상기 인터락보장구의 이동행정을 규제하는 스톱퍼와 인터락보장구를 고정하는 걸이레버가 더 구비된다.
상기 인터락보장구는, 판상의 보장구몸체와, 상기 보장구몸체의 중앙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관통부에 구비되어 선단에 상기 체결돌기에 걸어지는 걸이단이 구비되는 상기 조작레버와, 상기 보장구몸체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제2하우징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락보장구에는 상기 체결레버의 후단과 제2하우징의 외면 사이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지지단이 더 구비된다.
상기 체결레버의 후단에는 눌림단이 구비되어 상기 조작레버의 누름단이 일치하게 위치되는 상태에서 체결레버와 조작레버가 일체로 동작되도록 한다.
상기 보장구몸체의 후단 양측에는 상기 쉬라우드의 후단에 형성된 걸이레버의 걸이턱이 걸어지는 걸이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면에 체결돌기가 형성된 제1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제1터미널과 제1인터락터미널이 구비되는 제1커넥터와, 외면에 쉬라우드가 형성된 제2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쉬라우드의 내부에 상기 체결돌기와 체결되는 체결레버가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제1터미널과 결합되는 제2터미널과 상기 제1인터락터미널과 결합되어 인터락 기능을 수행하는 제2인터락터미널이 구비되는 제2커넥터와, 상기 쉬라우드의 내부에 상기 제2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분리시에 먼저 상기 제1인터락터미널과 제2인터락터미널의 분리가 이루어지고 시차를 두고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터락보장구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락보장구는, 판상의 보장구몸체와, 상기 보장구몸체의 중앙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관통부에 구비되어 선단에 상기 체결돌기에 걸어지는 걸이단이 구비되는 상기 조작레버와, 상기 보장구몸체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제2하우징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레버에는 상기 조작레버가 위치되어 동작되도록 체결레버의 중앙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걸이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조작레버의 단독 동작이 가능하게 하고, 상기 체결레버의 후단에는 눌림단이 형성되어 상기 조작레버와 체결레버가 동시에 동작되도록 한다.
상기 인터락보장구에는 상기 체결레버의 후단과 제2하우징의 외면 사이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지지단이 더 구비된다.
상기 쉬라우드의 후단에는 상기 인터락보장구의 이동행정을 규제하는 스톱퍼와 인터락보장구를 고정하는 걸이레버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인터락 커넥터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인터락 커넥터조립체에 인터락 터미널을 두어 전기식 인터락방식을 채용하면서도 인터락보장구를 사용하여 인터락 터미널의 결합분리와 다른 터미널의 결합분리 사이에 시차를 확보하여 인터락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였으므로 인터락기능이 보다 확실하게 수행되면서도, 전체 부품수가 상대적으로 줄고 커넥터조립체의 크기가 소형화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터락보장구는 커넥터조립체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하므로 별도의 결합상태보장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체적으로 커넥터조립체의 부품수를 줄이면서도 동작신뢰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락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커넥터의 하우징과 인터락보장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인터락보장구의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커넥터조립체가 분리되는 동작을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인터락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따르면, 제1커넥터(10)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 제1하우징(12)의 내부에 제1터미널(16)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터미널(16)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져 아래에서 설명된 제2터미널(26)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터미널(16)의 후단에는 와이어(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어 제1하우징(12)의 후방으로 연장된다. 도면부호 14는 제1하우징(12)의 외면에 형성된 체결돌기이다.
상기 제1하우징(12)에는 제1인터락터미널(18)이 설치된다. 상기 제1인터락터미널(18)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인터락터미널(28)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터락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상기 제1하우징(12)의 구성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하우징(12)에서 상기 제1터미널(16)과 제1인터락터미널(18)이 안착되는 터미널안착공간이 일부만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커넥터(10)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20)는 그 외관과 골격을 제2하우징(22)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22)은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2하우징(22)의 외면 일측에는 쉬라우드(24)가 형성된다. 상기 쉬라우드(24)는 상기 제2하우징(22)의 외면에 제1하우징(22)의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레버(30)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레버(30)를 보호하는 역할을 상기 쉬라우드(24)가 한다.
상기 쉬라우드(24)의 후단에는 스톱퍼(24')가 양측에 구비되는데, 상기 스톱퍼(24')는 아래에서 설명될 인터락보장구(36)의 이동행정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쉬라우드(24)의 내면 양측에는 상기 제2하우징(22)의 전후방향으로 안내리브(24")가 길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리브(24")는 아래에서 설명될 인터락보장구(36)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쉬라우드(24)의 후단에는 걸이레버(25)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레버(25)는 제2하우징(22)의 후단을 향해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레버(25)가 두 개가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걸이레버(25)는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인터락보장구(36)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레버(25)의 선단에는 상기 제2하우징(22)의 외면을 향해 돌출되는 걸이턱(25')이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22)의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터미널안착공간(도면부호 부여 않음)이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에는 제2터미널(26)이 설치된다. 상기 제2터미널(26)은 상기 제1커넥터(10)의 제1터미널(16)과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2하우징(22)에는 또한 제2인터락터미널(28)이 구비된다. 상기 제2인터락터미널(28)은 상기 제1인터락터미널(18)과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제1인터락터미널(18)과 제2인터락터미널(28)은 상기 제1터미널(16)과 제2터미널(26)의 결합이 분리되기 전에 먼저 결합이 분리된다. 이는 상기 제1 및 제2 인터락터미널(18,28)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및 제2 인터락터미널(18,28)은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16,26)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고 제1터미널(16)에 비해 제1인터락터미널(18)이 덜 돌출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제2하우징(22)에서 상기 제2터미널(26)과 제2인터락터미널(28)의 선단은 동일한 위치에 있다.
상기 제2하우징(22)에는 체결레버(30)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레버(30)는 상기 쉬라우드(24)의 내측에 있다. 상기 체결레버(30)는 상기 체결돌기(14)와 체결되어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가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레버(30)는 도 2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22)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32)를 통해 제2하우징(22)과 일체로 된다. 상기 체결레버(30)는 상기 연결부(32)가 그 중간부에 연결되어 있어, 후단을 눌러주면 선단이 상기 연결부(32)를 중심으로 탄성변형되어 들어올려지게 된다. 상기 체결레버(30)는 상기 연결부(32)를 포함하여 측방향에서 보면 'T'자 형상으로 된다.
상기 체결레버(30)의 선단에서 후단까지 중간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걸이슬롯(3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슬롯(34)중 선단에는 상기 체결돌기(14)가 걸어지게 된다. 상기 걸이슬롯(34)은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체결레버(30)의 후단까지 길게 연장된다. 이와 같이 걸이슬롯(34)을 체결레버(30)의 후단까지 형성하는 것은 아래에서 설명될 인터락보장구(36)의 조작레버(42)의 동작을 위함이다. 상기 체결레버(30)의 후단에는 눌림단(35)이 구비된다. 상기 눌림단(35)는 체결레버(30)가 아래에서 설명될 조작레버(42)와 선택적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인터락보장구(36)는 상기 쉬라우드(24)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체결레버(30)가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의 결합상태에서 임의로 눌러지거나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가 분리되는 것이 2번의 동작으로 나누어져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인터락보장구(36)는 직사각판 형상의 보장구몸체(38)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보장구몸체(38)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보장구몸체(38)의 길이방향 중간부를 따라서는 관통부(40)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40)는 상기 보장구몸체(38)의 길이방향 대부분의 구간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40)에는 조작레버(42)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레버(42)는 상기 관통부(40) 거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데, 후단에 가까운 길이방향 양단에서 연장된 레버연결부(44)를 통해 상기 보장구몸체(38)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레버(42)의 후단을 누르게 되면 선단부가 들어올려지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조작레버(42)의 후단에는 누름단(46)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누름단(46)는 상기 조작레버(42)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는데, 상기 보장구몸체(38)의 상면보다도 더 돌출되어 있다. 상기 조작레버(42)의 선단에는,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로 돌출되게 걸이단(48)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단(48)은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의 완전 결합시에 상기 제1커넥터(10)의 체결돌기(14)에 걸어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체결돌기(14)는 상기 체결레버(30)의 걸이슬롯(34) 선단에 일측이 밀착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보장구몸체(38)의 양단에는 이동가이드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부(50)는 상기 쉬라우드(24) 양측 내면의 안내리브(24")가 안내될 수 있는 채널 형상이다.
상기 보장구몸체(38)의 후단 하면에는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지지단(52)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단(52)은 상기 체결레버(30)의 후단 하부와 제2하우징(22)의 외면 사이에 위치되어 체결레버(30)가 탄성변형되거나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단(52)는 사각형 판형상이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보장구몸체(38)의 후단 상면 양측에는 걸이홈(5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홈(54)은 상기 쉬라우드(24)의 후단에 형성된 걸이레버(25)의 걸이턱(25')이 안착되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홈(54)에 상기 걸이턱(25')이 걸어지는 것은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완전 결합된 상태에서 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인터락 커넥터조립체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터락보장구(36)는 상기 제2하우징(22)의 쉬라우드(24)내에 위치된다. 상기 인터락보장구(36)의 후단은 상기 쉬라우드(24)의 스톱퍼(24')에 의해 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물론, 상기 보장구몸체(38) 양단의 이동가이드부(50)에는 상기 쉬라우드(24)의 안내리브(24")가 위치하여 있어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제1커넥터(10)가 상기 제2커넥터(20)에 결합되기 전에는 상기 인터락보장구(36)가 상기 스톱퍼(24')에 지지된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제1커넥터(10)가 제2커넥터(2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돌기(14)는 상기 체결레버(30)의 선단을 들어올리면서 이동하고 상기 걸이슬롯(34)을 만나게 되면 상기 체결레버(30)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걸이슬롯(34)에 상기 체결돌기(14)가 안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5에 도시된 상태인데, 이때에는 상기 제1터미널(16)과 제2터미널(26)은 서로 결합된다. 하지만, 상기 제1인터락터미널(18)은 제2인터락터미널(28)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리고, 위의 상태에서는 상기 인터락보장구(36)가 쉬라우드(24) 내에서 최대한 후방으로 빠져 있고, 상기 인터락보장구(36)의 지지단(52)은 상기 체결레버(30)와 제2하우징(22)의 외면 사이에서는 벗어난 상태이다.
하지만, 상기 조작레버(42)의 누름단(46)에 해당되는 부분이 상기 체결레버(30)의 눌림단(35) 상에 있어 조작레버(42)의 누름단(46)을 누르게 되면 상기 조작레버(42)와 체결레버(30)가 함께 탄성변형되면서 동작될 수 있다.
도 5의 상태에서 상기 제1커넥터(10)를 제2커넥터(20)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1인터락터미널(18)과 제2인터락터미널(28)이 결합되고, 상기 인터락보장구(36)의 조작레버(42)는 상기 체결돌기(14)에 의해 선단이 들어올려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인터락보장구(36)를 상기 제1커넥터(10)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조작레버(42)는 상기 체결레버(30)의 걸이슬롯(34)내에 위치되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슬롯(34)의 선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돌기(14)에 걸어진 상태가 된다.
상기 인터락보장구(36)가 상기 체결레버(30)의 걸이슬롯(34) 선단에 위치하도록 제2커넥터(20)에 대해 이동됨에 의해 상기 인터락보장구(36)의 지지단(52)은 상기 체결레버(30)의 후단 양측 하면과 제2하우징(22)의 외면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상기 체결레버(30)는 상기 지지단(52)에 의해 지지되어 처지거나 탄성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커넥터조립체는 이와 같은 상태로 사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를 분리하는 것을 설명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체결레버(30)가 상기 체결돌기(14)와 분리되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 체결레버(30)는 상기 인터락보장구(36)의 지지단(52)에 의해 후단이 지지되어 있어 탄성변형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인터락보장구(36)를 먼저 이동시켜 상기 지지단(52)이 체결레버(30)의 하부에서 벗어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도 4의 화살표 A방향으로 상기 조작레버(42)의 누름단(46)을 눌러준다. 이때, 상기 조작레버(42)는 상기 체결레버(30)의 걸이슬롯(34) 내에 있으므로 이와 같은 조작이 가능하다.
상기 누름단(46)을 눌러주면 상기 조작레버(42)의 선단이 들어올려져 상기 걸이단(48)이 상기 체결돌기(14)에서 빠져나오게 되고, 상기 인터락보장구(36)가 상기 스톱퍼(24')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인터락보장구(36)를 스톱퍼(24')에 닿을 때까지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체결돌기(14)와 걸이슬롯(34)의 선단 사이에 상기 걸이단(48)이 있었던 틈새만큼 상기 제1커넥터(10)가 제2커넥터(20)에 대해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걸이단(48)이 있었던 틈새만큼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 사이의 상대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가 약간 분리된다.(도 5의 상태) 따라서, 상기 제1인터락터미널(18)과 제2인터락터미널(28) 사이의 결합이 분리된다. 상기 인터락터미널(18,28)이 분리됨에 의해 전달된 신호를 통해 상기 제1터미널(16)과 제2터미널(26)을 통한 전기적 연결을 끊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를 완전히 분리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면 된다. 즉 도 5의 화살표 A'방향으로 상기 누름단(46)을 눌러준다. 이때, 상기 누름단(46)은 상기 체결레버(30)의 눌림단(35) 상에 있고, 상기 인터락보장구(36)의 지지단(52)이 상기 체결레버(30)의 후단 하부에서 빠져나온 상태이므로 상기 체결레버(30)와 조작레버(42)는 함께 탄성변형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상기 체결레버(30)와 체결돌기(14) 사이의 체결이 해제되어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 사이의 결합을 분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터미널(16)과 제2터미널(26) 사이의 결합도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2하우징(22)에 구비되는 상기 쉬라우드(24)는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쉬라우드(24)는 상기 체결레버(30)와 상기 인터락보장구(36)를 보호하는 것이나, 상기 체결레버(30)와 인터락보장구(36)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인터락보장구(36)의 이동가이드부(50)를 안내하는 안내리브(24')가 구비되는 펜스가 한쌍이 있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단(52)은 커넥터(10,20)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반드시 지지단(52)이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지단(52)이 없는 경우 별도의 구성이나 구조를 통해 커넥터(10,20)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10: 제1커넥터 12: 제1하우징
14: 체결돌기 16: 제1터미널
18: 제1인터락터미널 20: 제2커넥터
22: 제2하우징 24: 쉬라우드
24': 스톱퍼 24": 안내리브
25: 걸이레버 25': 걸이턱
26: 제2터미널 28: 제2인터락터미널
30: 체결레버 32: 연결부
34: 걸이슬롯 35: 눌림단
36: 인터락보장구 38: 보장구몸체
40: 관통부 42: 조작레버
44: 레버연결부 46: 누름단
48: 걸이단 50: 이동가이드부
52: 지지단 54: 걸이홈

Claims (13)

  1. 외면에 체결돌기가 형성된 제1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제1터미널과 제1인터락터미널이 구비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체결돌기와 체결되는 체결레버를 구비하는 제2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제1터미널과 결합되는 제2터미널과 상기 제1인터락터미널과 결합되어 인터락 기능을 수행하는 제2인터락터미널이 구비되는 제2커넥터와,
    상기 제2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체결돌기에 선단이 걸어지는 조작레버가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기에 조작레버가 걸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레버가 단독으로 동작되어 상기 제1인터락터미널과 제2인터락터미널이 분리되게 하고 조작레버가 체결돌기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레버와 함께 동작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분리되도록 하는 인터락보장구를 포함하는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레버에는 상기 조작레버가 위치되어 동작되도록 체결레버의 중앙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걸이슬롯이 형성되는데, 상기 걸이슬롯의 선단에는 제1 및 제2 커넥터의 완전 결합상태에서는 상기 조작레버 선단의 걸이단이 위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인터락터미널의 분리상태에서는 상기 체결돌기가 걸어지는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에는 상기 인터락보장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리브가 내면에 형성된 펜스가 한쌍이 나란히 구비되는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와 인터락보장구를 보호하고 상기 인터락보장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리브가 내면 양측에 형성되는 쉬라우드가 더 구비되는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쉬라우드의 후단에는 상기 인터락보장구의 이동행정을 규제하는 스톱퍼와 인터락보장구를 고정하는 걸이레버가 더 구비되는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보장구는, 판상의 보장구몸체와, 상기 보장구몸체의 중앙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관통부에 구비되어 선단에 상기 체결돌기에 걸어지는 걸이단이 구비되는 상기 조작레버와, 상기 보장구몸체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제2하우징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보장구에는 상기 체결레버의 후단과 제2하우징의 외면 사이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지지단이 더 구비되는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레버의 후단에는 눌림단이 구비되어 상기 조작레버의 누름단이 일치하게 위치되는 상태에서 체결레버와 조작레버가 일체로 동작되도록 하는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장구몸체의 후단 양측에는 상기 쉬라우드의 후단에 형성된 걸이레버의 걸이턱이 걸어지는 걸이홈이 형성되는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10. 외면에 체결돌기가 형성된 제1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제1터미널과 제1인터락터미널이 구비되는 제1커넥터와,
    외면에 쉬라우드가 형성된 제2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쉬라우드의 내부에 상기 체결돌기와 체결되는 체결레버가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제1터미널과 결합되는 제2터미널과 상기 제1인터락터미널과 결합되어 인터락 기능을 수행하는 제2인터락터미널이 구비되는 제2커넥터와,
    상기 쉬라우드의 내부에 상기 제2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분리시에 먼저 상기 제1인터락터미널과 제2인터락터미널의 분리가 이루어지고 시차를 두고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터락보장구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락보장구는, 판상의 보장구몸체와, 상기 보장구몸체의 중앙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관통부에 구비되어 선단에 상기 체결돌기에 걸어지는 걸이단이 구비되는 상기 조작레버와, 상기 보장구몸체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제2하우징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레버에는 상기 조작레버가 위치되어 동작되도록 체결레버의 중앙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걸이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조작레버의 단독 동작이 가능하게 하고, 상기 체결레버의 후단에는 눌림단이 형성되어 상기 조작레버와 체결레버가 동시에 동작되도록 하는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보장구에는 상기 체결레버의 후단과 제2하우징의 외면 사이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지지단이 더 구비되는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쉬라우드의 후단에는 상기 인터락보장구의 이동행정을 규제하는 스톱퍼와 인터락보장구를 고정하는 걸이레버가 더 구비되는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KR1020110038588A 2011-04-25 2011-04-25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KR201201208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588A KR20120120810A (ko) 2011-04-25 2011-04-25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588A KR20120120810A (ko) 2011-04-25 2011-04-25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810A true KR20120120810A (ko) 2012-11-02

Family

ID=47507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588A KR20120120810A (ko) 2011-04-25 2011-04-25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081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531B1 (ko) * 2013-07-11 2014-11-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KR101491270B1 (ko) * 2013-07-05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
KR20170024704A (ko) 2015-08-26 2017-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KR20210158603A (ko) 2020-06-24 2021-12-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인터락용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270B1 (ko) * 2013-07-05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
US9033723B2 (en) 2013-07-05 2015-05-19 Hyundai Motor Company High voltage connector
KR101446531B1 (ko) * 2013-07-11 2014-11-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KR20170024704A (ko) 2015-08-26 2017-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US9634441B2 (en) 2015-08-26 2017-04-25 Hyundai Motor Company High voltage connector for vehicle
KR20210158603A (ko) 2020-06-24 2021-12-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인터락용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40811B (zh) 电插接连接器
JP4267935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電気コネクタ
EP2930796A1 (en) Connector with vibratory connection feedback
JP3521772B2 (ja) コネクタ
CN106981758B (zh) 连接器
JP6519702B1 (ja) 電気コネクタ
KR20130124568A (ko) 커넥터
KR100796028B1 (ko) 커넥터 록킹구조
US10199768B2 (en) Connector
JP2019185911A (ja) コネクタ
CN110571567A (zh) 分阶段释放的电连接器组件
KR20120120810A (ko)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KR101899841B1 (ko) 커넥터 조립체
US10418752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N110770981A (zh) 连接器
KR1025916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180033769A (ko)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
KR20140064289A (ko) 레버타입 커넥터
KR20140016819A (ko) 커넥터
KR102675514B1 (ko) 커넥터 조립체
US20170170599A1 (en) Connector
CN105281093B (zh) 插头
KR102658829B1 (ko) 커넥터
WO2014111133A1 (en) Seal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2475089B1 (ko) 이중 이차 잠금부를 가지는 연결부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