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3594A - 회전식 견인집게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견인집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3594A
KR20120113594A KR1020110031377A KR20110031377A KR20120113594A KR 20120113594 A KR20120113594 A KR 20120113594A KR 1020110031377 A KR1020110031377 A KR 1020110031377A KR 20110031377 A KR20110031377 A KR 20110031377A KR 20120113594 A KR20120113594 A KR 20120113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tongs
base body
rotating body
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1846B1 (ko
Inventor
이재갑
Original Assignee
이재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갑 filed Critical 이재갑
Priority to KR1020110031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846B1/ko
Publication of KR20120113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12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handling workpieces, e.g. ingots, which require to be supported temporarily within, or withdrawn from, a treatment chamber, e.g. tong cranes, soaking-pit cranes, stripper cranes
    • B66C17/16Tong cranes with means for turning the tongs about a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04Tine gr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06Grabs actuated by a single rope or ch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부에 수직으로 관통공이 천공되고 상부에는 굴삭기의 제1집게부재에 연결장착되도록 장착링이 끼워진 장착대가 고정부착되어 있는 원통형의 베이스몸체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몸체의 외주면 중간부분에는 원통형의 회전몸체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상기 관통공에는 굴삭기의 제2집게부재에 연결된 견인와이어가 관통삽입된 회전연결부와, 상기 회전몸체의 좌우양측에 돌출형성된 연결편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상부연결대와 상기 한쌍의 상부연결대 하부끝부분에 각각 힌지식으로 연결되면서 서로 교차되고 교차된 부분은 크로스축에 의해 연결되는 한쌍의 하부연결대로 이루어지되 상기 크로스축에는 연결링이 고정부착되어 있어 상기 견인와이어의 하단부가 연결되면서 견인와이어를 풀거나 잡아당김에 따라 전개되거나 접철되는 링크부와, 상기 한쌍의 하부연결대 하부끝부분에 각각 힌지식으로 연결장착되는 좌우측 제1집게대와 상기 각 제1집게대와 서로 교차된 상태로 집게크로스축에 의해 연결된 좌우측 제2집게대와 상기 좌우측 제2집게대의 상부끝부분 사이에 연결된 수평연결대로 이루어지되 상기 좌우측 제1집게대 및 제2집게대는 하부끝부분에 각각 견인판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어 상기 링크부의 전개 또는 접철에 따라 견인판 사이가 벌어지거나 모여지도록 되어 있는 견인집게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견인집게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식 견인집게장치{A rotatory tra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굴삭기나 크레인 등의 장치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면서 각종 측구수로관이나 벤치플륨관 등의 수로관을 안전하게 집어 옮기도록 되어 있는 견인집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심부에 수직으로 관통공이 천공되고 상부에는 굴삭기의 제1집게부재에 착탈식으로 연결장착되도록 장착링이 끼워진 장착대가 고정부착되어 있는 원통형의 베이스몸체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몸체의 외주면 중간부분에는 원통형의 회전몸체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상기 관통공에는 굴삭기의 제2집게부재에 연결된 견인와이어가 관통삽입된 회전연결부와, 상기 회전몸체의 좌우양측에 돌출형성된 연결편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상부연결대와 상기 한쌍의 상부연결대 하부끝부분에 각각 힌지식으로 연결되면서 서로 교차되고 교차된 부분은 크로스축에 의해 연결되는 한쌍의 하부연결대로 이루어지되 상기 크로스축에는 연결링이 고정부착되어 있어 상기 견인와이어의 하단부가 연결되면서 견인와이어를 풀거나 잡아당김에 따라 전개되거나 접철되는 링크부와, 상기 한쌍의 하부연결대 하부끝부분에 각각 힌지식으로 연결장착되는 좌우측 제1집게대와 상기 각 제1집게대와 서로 교차된 상태로 집게크로스축에 의해 연결된 좌우측 제2집게대와 상기 좌우측 제2집게대의 상부끝부분 사이에 연결된 수평연결대로 이루어지되 상기 좌우측 제1집게대 및 제2집게대는 하부끝부분에 각각 견인판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어 상기 링크부의 전개 또는 접철에 따라 견인판 사이가 벌어지거나 모여지도록 되어 있는 견인집게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견인집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면이 형상이 "
Figure pat00001
"형상으로 되어 있는 콘크리트재질의 각종 측구수로관, 벤치플륨관 등의 수로관을 운반차량에 상,하차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통상의 굴삭기로 수로관을 파지하거나 수로관을 통상의 크레인에 와이어로프로 매달아 이동하였으나, 굴삭기의 집게부재로 수로관을 직접 파지하는 경우에는 굴삭기의 집게부재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수로관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크레인에 매달아 이동하는 경우에는 수로관에 손상이 적으나 수로관을 복수개의 와이어로프로 감아 크레인에 매다는 과정이 복잡하고 하중이 큰 수로관을 균형을 유지한 상태로 매달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상기와 같은 굴삭기나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지 못하고 종래에는 여러명의 작업자들이 직접 들어서 옮기거나 작업자들이 수로관을 통상의 지게차에 올려놓고 지게차로 이동함으로써 운반 및 승,하차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0531747호에서는 수로관을 집어 이송, 운반, 시공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하는 집게에 있어서, 하단 내측에 걸림돌부가 형성되고, 외부면에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리브 하단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부선단에 결합부를 가진 "
Figure pat00002
"형의 집게편과, 상단에 결합고리가 설치되어 와이어가 연결설치되고, 하단 내측에 걸림돌부가 형성되며 외부면에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집게편이 결합되어 힌지핀으로 결합 유설되도록 결합부를 가진 "
Figure pat00003
"형의 집게편이 서로 힌지핀에 의해 결합 유설되어 수로관집게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집게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 특허는 수로관의 양측 벽체의 상단에 각각 수로관집게를 장착한 상태에서 좌우양측의 수로관집게를 와이어로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의 가운데부분을 굴삭기로 들어올려 수로관을 운반 및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어 운반 및 이동과정에서 수로관이 쉽게 회전되면서 수로관을 견인한 좌우측 두줄의 와이어가 서로 꼬여 수로관집게가 벌어지면서 수로관집게로부터 수로관이 이탈되어 떨어지거나 와이어의 꼬임현상에 의해 양측 벽체의 내측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 집중되면서 수로관의 양측 벽체부분에 크랙이 발생되거나 내측으로 함몰되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연결부를 통해 통상의 굴삭기나 크레인에 간단하게 장착되면서 한줄로 된 견인와이어에 의해 링크부가 전개 및 접철되도록 하고 회전연결부의 회전몸체에 연결된 링크부가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견인된 수로관의 운반 및 이동시 견인와이어의 꼬임 및 수로관의 낙하를 방지하며, 견인집게부에 구비된 수평연결대에 의해 좌우측 제2집게대 사이가 연결되어 견인시 좌우측 제1,2집게대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내측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수평연결대가 지지하여 제1,2집게대의 견인판에 의해 파지된 수로관의 양측 벽체가 내측으로 함몰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심부에 수직으로 관통공이 천공되고 상부에는 굴삭기의 제1집게부재에 착탈식으로 연결장착되도록 장착링이 끼워진 장착대가 고정부착되어 있는 원통형의 베이스몸체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몸체의 외주면 중간부분에는 원통형의 회전몸체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상기 관통공에는 굴삭기의 제2집게부재에 연결된 견인와이어가 관통삽입된 회전연결부와, 상기 회전몸체의 좌우양측에 돌출형성된 연결편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상부연결대와 상기 한쌍의 상부연결대 하부끝부분에 각각 힌지식으로 연결되면서 서로 교차되고 교차된 부분은 크로스축에 의해 연결되는 한쌍의 하부연결대로 이루어지되 상기 크로스축에는 연결링이 고정부착되어 있어 상기 견인와이어의 하단부가 연결되면서 견인와이어를 풀거나 잡아당김에 따라 전개되거나 접철되는 링크부와, 상기 한쌍의 하부연결대 하부끝부분에 각각 힌지식으로 연결장착되는 좌우측 제1집게대와 상기 각 제1집게대와 서로 교차된 상태로 집게크로스축에 의해 연결된 좌우측 제2집게대와 상기 좌우측 제2집게대의 상부끝부분 사이에 연결된 수평연결대로 이루어지되 상기 좌우측 제1집게대 및 제2집게대는 하부끝부분에 각각 견인판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어 상기 링크부의 전개 또는 접철에 따라 견인판 사이가 벌어지거나 모여지도록 되어 있는 견인집게부로 구성된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연결부를 통해 통상의 굴삭기나 크레인에 간단하게 장착되면서 한줄로 된 견인와이어에 의해 링크부가 전개 및 접철되도록 하고 회전연결부의 회전몸체에 연결된 링크부가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견인된 수로관의 운반 및 이동시 견인와이어의 꼬임 및 수로관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견인집게부에 구비된 수평연결대에 의해 좌우측 제2집게대 사이가 연결되어 견인시 좌우측의 제1,2집게대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내측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수평연결대가 지지하여 좌우측 제1,2집게대의 견인판에 의해 파지된 수로관의 양측 벽체가 내측으로 함몰되거나 파손되지 않아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견인집게장치의 사기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견인집게장치에서 회전연결부의 종단면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견인집게장치가 통상의 굴삭기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견인집게장치가 통상의 굴삭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굴삭기의 집게부재가 벌어지면서 견인와이어가 당겨져 링크부가 접철되고 견인판사이가 벌어진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견인집게장치가 통상의 굴삭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굴삭기의 집게부재가 모여지면서 견인와이어가 풀려 링크부가 전개되고 견인판 사이가 모여 수로관의 양측 상부를 파지하는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견인집게장치가 통상의 굴삭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굴삭기의 집게부재가 벌어짐에 따라 견인판사이가 벌어지면서 수로관을 파지해제하는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견인집게장치의 회전연결부가 구동모터에 의해 회동되게 설치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견인집게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회전식 견인집게장치가 통상의 굴삭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굴삭기의 집게부재가 모여지면서 견인와이어가 풀려 링크부가 전개되고 링크부의 집게돌기 사이가 모여 거꾸로 뒤집혀진 수로관의 양측 하부를 파지하는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회전식 견인집게장치가 통상의 굴삭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굴삭기의 집게부재가 벌어짐에 따라 링크부의 집게돌기 사이가 벌어지면서 수로관을 파지해제하는 상태의 사시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회전식 견인집게장치(1)는 도 1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굴삭기나 크레인 등의 장치에 간단하게 착탈식으로 장착되면서 단면의 형상이 "
Figure pat00004
"형상으로 되어 있는 각종 측구수로관이나 벤치플륨관 등의 수로관(36)을 안전하게 집어 옮기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중심부에 수직으로 관통공(5)이 천공되고 상부에는 장착링(11)이 끼워진 장착대(6)가 고정부착되어 있는 원통형의 베이스몸체(4)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몸체(4)의 외주면 중간부분에는 원통형의 회전몸체(18)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상기 관통공(5)에는 견인와이어(15)가 관통삽입된 회전연결부(2)와, 상기 회전몸체(18)의 좌우양측에 돌출형성된 연결편(22a)(22b)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상부연결대(30a)(30b)와 상기 한쌍의 상부연결대(30a)(30b) 하부끝부분에 각각 힌지식으로 연결되면서 서로 교차되고 교차된 부분은 크로스축(33)에 의해 연결되는 한쌍의 하부연결대(32a)(32b)로 이루어지되 상기 크로스축(33)에는 연결링(34)이 고정부착되어 있어 상기 견인와이어(15)의 하단부가 연결되면서 견인와이어(15)를 풀거나 잡아당김에 따라 전개되거나 접철되는 링크부(28)와, 상기 한쌍의 하부연결대(32a)(32b) 하부끝부분에 각각 힌지식으로 연결장착되는 좌우측 제1집게대(39a)(39b)와 상기 각 제1집게대(39a)(39b)와 서로 교차된 상태로 집게크로스축(41a)(41b)에 의해 연결된 좌우측 제2집게대(40a)(40b)와 상기 좌우측 제2집게대(40a)(40b)의 상부끝부분 사이에 연결된 수평연결대(43)로 이루어지되 상기 좌우측 제1집게대(39a)(39b) 및 제2집게대(40a)(40b)는 하부끝부분에 각각 견인판(44a)(44b)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어 상기 링크부(28)의 전개 또는 접철에 따라 견인판(44a)(44b) 사이가 벌어지거나 모여지도록 되어 있는 견인집게부(35)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연결부(2)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굴삭기(3)나 크레인(도시하지 않음) 등에 간단하게 착탈식으로 연결장착되도록 하면서 한줄로 된 견인와이어(15)를 통해 링크부(28)가 전개 및 접철되도록 하고 상기 링크부(28)가 회전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중심부에 수직으로 관통공(5)이 천공된 원통형의 베이스몸체(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몸체(4)는 상부에 가운데부분이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상으로 절곡된 장착대(6)가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장착대(6)의 가운데부분에는 굴삭기(3)의 제1집게부재(7)에 연결장착되도록 장착링(11)이 끼워져 있으며 상기 장착링(11)에는 한쌍의 체결링(13a)(13b)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단부에 고정부착된 연결장착링(12)이 연결되어 있어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체결링(13a)(13b) 사이에 굴삭기(3)의 제1집게부재(7)에 장착된 톱니(8a)의 장착편(9a)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체결링(13a)(13b)과 장착편(9)에 천공된 구멍을 통해 체결볼트(14)가 삽입개재되고 통상의 너트(도시하지 않음)로 체결되어 굴삭기(3)의 제1집게부재(7)에 착탈식으로 간단하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몸체(4)의 중심부에 천공된 관통공(5)에는 굴삭기(3)의 제2집게부재(10)에 장착된 톱니(8b)의 장착편(9b)과 연결된 견인와이어(15)가 관통삽입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굴삭기(3)의 제2집게부재(10)가 붐대(16)에 설치된 유압실린더(17)의 작동에 따라 제1집게부재(7)쪽으로 모여지거나 벌어짐에 따라 견인와이어(15)가 풀리거나 잡아당겨지도록 되어 있되, 상기 관통공(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내주면이 최상단부로 갈수록 점점 내경이 넓게 테이퍼져 있어 견인와이어(15)가 관통공(5)의 최상단부에 걸리면서 마모되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몸체(4)는 중간부분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중간부분의 외주면에 원통형의 회전몸체(18)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되, 상기 회전몸체(18)와 베이스몸체(4)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베어링(19)이 삽입 개재(介在)되어 있어 회전몸체(18)가 베이스몸체(4)의 외주면에서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몸체(4)의 하부는 회전몸체(18)를 관통하여 하부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는 숫나사부(20)가 형성되어 있어 복수개의 고정너트(21)가 나사체결식으로 끼움체결되면서 회전몸체(18)의 하단부를 상기 고정너트(21)가 받침지지하여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몸체(18)는 외주면 좌우양측에 연결편(22a)(22b)이 돌출형성되어 있어 링크부(28)에 구비된 상부연결대(30a)(30b)의 상부끝부분이 상부힌지축(29a)(29b)을 통해 힌지식으로 연결장착되도록 되어 있고 이에 따라 견인운반 및 이동시 상기 링크부(28)가 회전되는 경우에도 회전몸체(18)가 베이스몸체(4)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한줄로 된 견인와이어(15)가 꼬이지 않고 안정적인 운반 및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장착링(11)은 도 1,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양측 하부에 한쌍의 가이드편(23a)(23b)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전방을 향해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가이드편(23a)(23b) 사이에는 가이드롤러(2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관통공(5)을 통해 상부쪽으로 인출되는 견인와이어(15)가 상기 가이드롤러(24)를 거쳐 제2집게부재(10)와 연결되면서 제2집게부재(10)의 작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당겨지거나 풀려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연결부(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몸체(4)의 상부 외주면에 구동모터(25)가 수직하방으로 고정부착되고 상기 회전몸체(18)의 상부 외주면에는 기어이(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25)의 축에는 구동기어(27)가 축설되어 있어 상기 구동기어(27)와 기어이(26) 사이를 통상의 체인이나 벨트 등의 구동수단으로 연결하여 구동모터(25)의 구동에 따라 회전몸체(18)가 회전되면서 링크부(28)와 견인집게부(35)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28)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전개되거나 접철되면서 하부에 연결장착되는 견인집게부(35)를 구동시키는 부분으로, 상기 회전몸체(18)의 좌우양측에 돌출형성된 연결편(22a)(22b)에 상부힌지축(29a)(29b)을 통해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상부연결대(30a)(30b)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상부연결대(30a)(30b) 하부끝부분에는 각각 중간힌지축(31a)(31b)을 통해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하부연결대(32a)(32b)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한쌍의 하부연결대(32a)(32b)는 가운데부분이 서로 교차되도록 되어 있고 교차된 부분은 크로스축(33)에 의해 연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크로스축(33)에는 연결링(34)이 고정부착되어 있어 상기 베이스몸체(4)의 관통공(5)을 통해 하방으로 관통된 견인와이어(15)의 하단부가 연결링(34)에 연결되면서 상기 견인와이어(15)를 풀거나 잡아당김에 따라 상부힌지축(29a)(29b)과 중간힌지축(31a)(31b) 및 크로스축(33)을 축으로 하여 상하로 전개되거나 접철되도록 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기 견인와이어(15)를 하방으로 풀게되면 도 3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28) 및 견인집게부(35)의 자체 하중에 의해 링크부(28)가 하방으로 전개되면서 하부연결대(32a)(32b)의 하부끝부분이 가운데부분으로 모여지며 상기 견인와이어(15)를 상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도 4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28)가 상방으로 접철되면서 하부연결대(32a)(32b)의 하부끝부분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견인집게부(35)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관(36)의 양측 벽체(37a)(37b) 상단부를 파지하여 안전하게 운반 및 이동하는 부분으로, 상기 한쌍의 하부연결대(32a)(32b) 하부끝부분에 각각 하부힌지축(38a)(38b)을 통해 힌지식으로 연결장착되는 좌우측 제1집게대(39a)(39b)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제1집게대(39a)(39b)에는 각각 제2집게대(40a)(40b)가 서로 교차된 상태로 교차된 부분이 집게크로스축(41a)(41b)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좌측 제2집게대(40a)와 우측 제2집게대(40b)의 상부끝부분 사이에는 연결축(42a)(42b)에 의해 힌지식으로 수평연결대(43)가 연결되어 있되, 상기 좌우측 제1집게대(39a)(39b) 및 제2집게대(40a)(40b)는 하부끝부분에 각각 수직하방으로 견인판(44a)(44b)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3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3)의 제2집게부재(10)를 제1집게부재(7)쪽으로 모아 견인와이어(15)를 하방으로 푸는 경우에는 상기 링크부(28)가 자체 하중에 의해 상부힌지축(29a)(29b)과 중간힌지축(31a)(31b) 및 크로스축(33)을 축으로 하방으로 전개되면서 좌측 제1집게대(39a)와 제2집게대(40a) 하부 사이 및 우측 제1집게대(39b)와 제2집게대(40b) 하부 사이가 각각 모여 견인판(44a)(44b) 사이가 서로 내측방향으로 모아짐으로써 상기 견인판(44a)(44b) 사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관(36)의 양측 벽체(37a)(37b) 상단부를 끼워 파지되도록 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굴삭기(3)의 붐대(16)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수로관(36)의 하중에 의해 링크부(28)가 최대한 하방으로 전개되어 좌우양측의 견인판(44a)(44b)이 수로관(36)의 양측 벽체(37a)(37b) 상부를 더욱 견고하게 파지하여 원하는 장소로 운반 및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굴삭기(3)의 제2집게부재(10)를 제1집게부재(7)로부터 벌어지게 하여 견인와이어(15)를 상방으로 잡아당기는 경우에는 도 4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28)가 상부힌지축(29a)(29b)과 중간힌지축(31a)(31b) 및 크로스축(33)을 축으로 상방으로 접철되면서 좌측 제1집게대(39a)와 제2집게대(40a) 하부 사이 및 우측 제1집게대(39b)와 제2집게대(40b) 하부 사이가 각각 벌어져 견인판(44a)(44b) 사이가 서로 벌어짐으로써 상기 견인판(44a)(44b) 사이에 위치된 수로관(36)의 양측 벽체(37a)(37b) 상단부를 파지해제하여 원하는 장소에 수로관(36)을 내려놓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견인하는 과정에서 좌우측 제2집게대(40a)(40b)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연결대(43)에 의해 좌우측 제1,2집게대(39a)(39b)(40a)(40b)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굴삭기(3)의 제1,2집게부재(7)(10)에 의해 내측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수평연결대(43)가 지지하여 좌우측 제1,2집게대(39a)(39b)(40a)(40b)의 견인판(44a)(44b)에 의해 파지된 수로관(36)의 양측 벽체(37a)(37b)가 내측으로 함몰되거나 파손되지 않아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견인판(44a)(44b)은 도 1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 하부에 각각 걸림돌기(45a)(45b)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수로관(36)의 양측 벽체(37a)(37b)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46a)(46b)이 견인판(44a)(44b)의 걸림돌기(45a)(45b)에 걸려 견인시 용이하게 들어올려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평연결대(43)는 좌우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는 직선형의 바(bar)형상으로 복수개의 체결공(47)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어 있어 좌우측 제2집게대(40a)(40b)의 연결축(42a)(42b)을 수평연결대(43)에 천공된 복수개의 체결공(47) 중 수로관(36)의 좌우폭에 부합되는 위치에 맞추어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폭을 지닌 각종 수로관(36)을 안정적으로 견인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견인집게장치(1)를 상기와 같이 통상의 굴삭기(3)에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통상의 크레인(도시하지 않음)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도 8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28)의 하부에 견인집게부(35)를 연결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링크부(28)의 하부연결대(32a)(32b)의 하부끝부분에 집게돌기(48a)(48b)를 수직하방으로 돌출형성하여 상기 집게돌기(48a)(48b)에 의해 거꾸로 뒤집혀진 수로관(36)의 하부가 파지되어 견인되도록 할 수 있는데, 굴삭기(3)의 제2집게부재(10)를 제1집게부재(7)쪽으로 모아 견인와이어(15)를 하방으로 푸는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28)가 자체 하중에 의해 상부힌지축(29a)(29b)과 중간힌지축(31a)(31b) 및 크로스축(33)을 축으로 하방으로 전개되면서 하부연결대(32a)(32b) 하부끝부분에 형성된 집게돌기(48a)(48b) 사이가 내측으로 모여 거꾸로 뒤집혀진 수로관(36)의 양측 하부를 파지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굴삭기(3)의 붐대(16)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수로관(36)의 하중에 의해 링크부(28)가 최대한 하방으로 전개되어 양측의 집게돌기(48a)(48b)가 수로관(36)의 하부 양측을 견고하게 파지하여 운반 및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굴삭기(3)의 제2집게부재(10)를 제1집게부재(7)로부터 벌어지게 하여 견인와이어(15)를 상방으로 잡아당기는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28)가 상부힌지축(29a)(29b)과 중간힌지축(31a)(31b) 및 크로스축(33)을 축으로 상방으로 접철되면서 하부연결대(32a)(32b) 하부끝부분에 형성된 집게돌기(48a)(48b) 사이가 외측으로 벌어져 거꾸로 뒤집혀진 수로관(36)의 양측 하부를 파지해제하여 수로관(36)을 원하는 위치에 내려놓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링크부(28)에 형성된 집게돌기(48a)(48b)로 수로관(36)을 파지하는 경우에는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관(36)이 거꾸로 뒤집혀진 상태에서만 파지가능하며 수로관(36)이 바르게 세워진 상태에서 양측 벽체(37a)(37b)를 집게돌기(48a)(48b)로 파지하는 경우에는 양측 벽체(37a)(37b)의 내측방향으로 집게돌기(48a)(48b)의 힘이 집중되어 양측 벽체(37a)(37b)가 함몰되거나 손상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견인집게장치(1)를 통상의 굴삭기(3)에 장착하여 단면의 형상이 "
Figure pat00005
"형상으로 되어 있는 각종 측구수로관이나 벤치플륨관 등의 수로관(36)을 안전하게 집어 차량에 상,하차하거나 운반 및 이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연결부(2)의 연결장착링(12)에 구비된 한쌍의 체결링(13a)(13b) 사이에 굴삭기(3)의 제1집게부재(7)에 장착된 톱니(8a)의 장착편(9a)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체결링(13a)(13b)과 장착편(9)에 천공된 구멍을 통해 체결볼트(14)를 삽입하고 너트(도시하지 않음)로 고정체결하여 굴삭기(3)의 제1집게부재(7)에 회전연결부(2)를 연결장착하고, 상기 회전연결부(2)의 베이스몸체(4)에 형성된 관통공(5)에 관통 삽입되어 있는 견인와이어(15)의 하부끝단은 링크부(28)의 크로스축(33)에 형성된 연결링(34)에 연결하고 상부끝단은 장착링(11)에 고정설치된 한쌍의 가이드편(23a)(23b) 사이의 가이드롤러(24)를 거쳐 굴삭기(3)의 제2집게부재(10)에 장착된 톱니(8b)의 장착편(9b)에 연결하여 간단하게 회전식 견인집게장치(1)를 굴삭기(3)에 장착완료하게 된다.
다음으로, 굴삭기(3)의 유압실린더(17)를 작동시켜 도 3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집게부재(10)를 제1집게부재(7)쪽으로 모아 견인와이어(15)를 하방으로 풀면 상기 링크부(28)가 자체 하중에 의해 상부힌지축(29a)(29b)과 중간힌지축(31a)(31b) 및 크로스축(33)을 축으로 하방으로 전개되면서 견인집게부(35)의 좌측 제1집게대(39a)와 제2집게대(40a) 하부 사이 및 우측 제1집게대(39b)와 제2집게대(40b) 하부 사이가 각각 모여 견인판(44a)(44b) 사이가 서로 내측방향으로 모아짐으로써 상기 견인판(44a)(44b) 사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관(36)의 양측 벽체(37a)(37b) 상단부를 끼워 파지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굴삭기(3)의 붐대(16)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수로관(36)의 하중에 의해 링크부(28)가 최대한 하방으로 전개되어 좌우양측의 견인판(44a)(44b)이 수로관(36)의 양측 벽체(37a)(37b) 상부를 견고하게 파지하여 원하는 장소로 수로관(36)을 운반 및 이동하게 되며, 굴삭기(3)의 제2집게부재(10)를 제1집게부재(7)로부터 벌어지게 하여 견인와이어(15)를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도 4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28)가 상부힌지축(29a)(29b)과 중간힌지축(31a)(31b) 및 크로스축(33)을 축으로 상방으로 접철되면서 좌측 제1집게대(39a)와 제2집게대(40a) 하부 사이 및 우측 제1집게대(39b)와 제2집게대(40b) 하부 사이가 각각 벌어져 견인판(44a)(44b) 사이가 서로 벌어짐으로써 상기 견인판(44a)(44b) 사이에 위치된 수로관(36)의 양측 벽체(37a)(37b) 상단부를 파지해제하여 원하는 장소에 수로관(36)을 내려놓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로관(36)을 파지하여 운반 및 이동하는 과정에서 수로관(36)의 하중에 의해 회전식 견인집게장치(1)가 회전하는 경우 견인와이어(15)가 한줄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베이스몸체(4)의 중간부분 외주면에 끼워진 회전몸체(18)가 베어링(19)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되면서 회전몸체(18)의 연결편(22a)(22b)에 상부힌지축(29a)(29b)으로 연결된 링크부(28)도 함께 회전되어 견인와이어(15)가 꼬이거나 엉키지 않아 운반과정에서 수로관(36)이 견인집게부(35)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운반 및 이동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1. 회전식 견인집게장치 2. 회전연결부
3. 굴삭기 4. 베이스몸체
5. 관통공 6. 장착대
7. 제1집게부재 8a, 8b. 톱니
9a, 9b. 장착편 10. 제2집게부재
11. 장착링 12. 연결장착링
13a, 13b. 체결링 14. 체결볼트
15. 견인와이어 16. 붐대
17. 유압실린더 18. 회전몸체
19. 베어링 20. 숫나사부
21. 고정너트 22a, 22b. 연결편
23a, 23b. 가이드편 24. 가이드롤러
25. 구동모터 26. 기어이
27. 구동기어 28. 링크부
29a, 29b. 상부힌지축 30a, 30b. 상부연결대
31a, 31b. 중간힌지축 32a, 32b. 하부연결대
33. 크로스축 34. 연결링
35. 견인집게부 36. 수로관
37a, 37b. 벽체 38a, 38b. 하부힌지축
39a, 39b. 제1집게대 40a, 40b. 제2집게대
41a, 41b. 집게크로스축 42a, 42b. 연결축
43. 수평연결대 44a, 44b. 견인판
45a, 45b. 걸림돌기 46a, 46b. 걸림턱
47. 체결공 48a, 48b. 집게돌기

Claims (8)

  1. 중심부에 수직으로 관통공(5)이 천공되고 상부에는 장착링(11)이 끼워진 장착대(6)가 고정부착되어 있는 원통형의 베이스몸체(4)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몸체(4)의 외주면 중간부분에는 원통형의 회전몸체(18)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상기 관통공(5)에는 견인와이어(15)가 관통삽입된 회전연결부(2)와, 상기 회전몸체(18)의 좌우양측에 돌출형성된 연결편(22a)(22b)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상부연결대(30a)(30b)와 상기 한쌍의 상부연결대(30a)(30b) 하부끝부분에 각각 힌지식으로 연결되면서 서로 교차되고 교차된 부분은 크로스축(33)에 의해 연결되는 한쌍의 하부연결대(32a)(32b)로 이루어지되 상기 크로스축(33)에는 연결링(34)이 고정부착되어 있어 상기 견인와이어(15)의 하단부가 연결되면서 견인와이어(15)를 풀거나 잡아당김에 따라 전개되거나 접철되는 링크부(28)와, 상기 한쌍의 하부연결대(32a)(32b) 하부끝부분에 각각 힌지식으로 연결장착되는 좌우측 제1집게대(39a)(39b)와 상기 각 제1집게대(39a)(39b)와 서로 교차된 상태로 집게크로스축(41a)(41b)에 의해 연결된 좌우측 제2집게대(40a)(40b)와 상기 좌우측 제2집게대(40a)(40b)의 상부끝부분 사이에 연결된 수평연결대(43)로 이루어지되 상기 좌우측 제1집게대(39a)(39b) 및 제2집게대(40a)(40b)는 하부끝부분에 각각 견인판(44a)(44b)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어 상기 링크부(28)의 전개 또는 접철에 따라 견인판(44a)(44b) 사이가 벌어지거나 모여지도록 되어 있는 견인집게부(3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견인집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몸체(4)는 상부에 가운데부분이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상으로 절곡된 장착대(6)가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장착대(6)의 가운데부분에는 굴삭기(3)의 제1집게부재(7)에 연결장착되도록 장착링(11)이 끼워져 있으며 상기 장착링(11)에는 한쌍의 체결링(13a)(13b)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단부에 고정부착된 연결장착링(12)이 연결되어 있어 상기 한쌍의 체결링(13a)(13b) 사이에 굴삭기(3)의 제1집게부재(7)에 장착된 톱니(8a)의 장착편(9a)이 삽입된 상태에서 한쌍의 체결링(13a)(13b)과 장착편(9)에 천공된 구멍을 통해 체결볼트(14)가 삽입개재되고 통상의 너트로 체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5)의 상부외측으로 관통된 견인와이어(15)의 상부끝단은 굴삭기(3)의 제2집게부재(10)에 장착된 톱니(8b)의 장착편(9b)과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견인집게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몸체(4)는 중간부분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중간부분의 외주면에 원통형의 회전몸체(18)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되, 상기 회전몸체(18)와 베이스몸체(4) 사이에는 베어링(19)이 삽입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몸체(4)의 하부는 회전몸체(18)를 관통하여 하부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는 숫나사부(20)가 형성되어 있어 복수개의 고정너트(21)가 나사체결식으로 끼움체결되면서 회전몸체(18)의 하단부를 상기 고정너트(21)가 받침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5)은 상부 내주면이 최상단부로 갈수록 점점 내경이 넓게 테이퍼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견인집게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링(11)은 좌우양측 하부에 한쌍의 가이드편(23a)(23b)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전방을 향해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가이드편(23a)(23b) 사이에는 가이드롤러(2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관통공(5)을 통해 상부쪽으로 인출되는 견인와이어(15)가 상기 가이드롤러(24)를 거쳐 굴삭기(3)의 제2집게부재(10)와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견인집게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부(2)는 베이스몸체(4)의 상부 외주면에 구동모터(25)가 수직하방으로 고정부착되고 상기 회전몸체(18)의 상부 외주면에는 기어이(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25)의 축에는 구동기어(27)가 축설되어 있어 상기 구동기어(27)와 기어이(26) 사이를 통상의 체인이나 벨트로 된 구동수단으로 연결하여 구동모터(25)의 구동에 따라 회전몸체(18)가 회전되면서 링크부(28)와 견인집게부(35)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견인집게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28)는 회전몸체(18)의 좌우양측에 돌출형성된 연결편(22a)(22b)에 한쌍의 상부연결대(30a)(30b) 상부끝부분이 상부힌지축(29a)(29b)을 통해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상부연결대(30a)(30b) 하부끝부분에는 각각 중간힌지축(31a)(31b)을 통해 한쌍의 하부연결대(32a)(32b) 상부끝부분이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견인와이어(15)를 풀거나 잡아당김에 따라 상부힌지축(29a)(29b)과 중간힌지축(31a)(31b) 및 크로스축(33)을 축으로 하여 상하로 전개되거나 접철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견인와이어(15)가 하방으로 풀리면 링크부(28) 및 견인집게부(35)의 자체 하중에 의해 링크부(28)가 하방으로 전개되면서 하부연결대(32a)(32b)의 하부끝부분이 가운데부분으로 모여지고 상기 견인와이어(15)가 상방으로 잡아당겨지면 링크부(28)가 상방으로 접철되면서 하부연결대(32a)(32b)의 하부끝부분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견인집게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집게부(35)는 한쌍의 하부연결대(32a)(32b) 하부끝부분에 각각 하부힌지축(38a)(38b)을 통해 좌우측 제1집게대(39a)(39b)가 힌지식으로 연결장착되며 상기 좌우측 제1집게대(39a)(39b)에는 각각 제2집게대(40a)(40b)가 서로 교차된 상태로 교차된 부분이 집게크로스축(41a)(41b)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좌측 제2집게대(40a)와 우측 제2집게대(40b)의 상부끝부분 사이에는 연결축(42a)(42b)에 의해 힌지식으로 수평연결대(43)가 연결되어 있되, 상기 수평연결대(43)는 좌우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는 직선형의 바형상으로 복수개의 체결공(47)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어 있어 좌우측 제2집게대(40a)(40b)의 연결축(42a)(42b)을 수평연결대(43)에 천공된 복수개의 체결공(47) 중 수로관(36)의 좌우폭에 부합되는 위치에 맞추어 연결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견인판(44a)(44b)은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 하부에 각각 걸림돌기(45a)(45b)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견인집게장치.
  8. 중심부에 수직으로 관통공(5)이 천공되고 상부에는 굴삭기(3)의 제1집게부재(7)에 착탈식으로 연결장착되도록 장착링(11)이 끼워진 장착대(6)가 고정부착되어 있는 원통형의 베이스몸체(4)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몸체(4)의 외주면 중간부분에는 원통형의 회전몸체(18)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상기 관통공(5)에는 굴삭기(3)의 제2집게부재(10)에 연결된 견인와이어(15)가 관통삽입된 회전연결부(2)와, 상기 회전몸체(18)의 좌우양측에 돌출형성된 연결편(22a)(22b)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상부연결대(30a)(30b)와 상기 한쌍의 상부연결대(30a)(30b) 하부끝부분에 각각 힌지식으로 연결되면서 서로 교차되고 교차된 부분은 크로스축(33)에 의해 연결되는 한쌍의 하부연결대(32a)(32b)로 이루어지며 상기 크로스축(33)에는 연결링(34)이 고정부착되어 있어 상기 견인와이어(15)의 하단부가 연결되면서 견인와이어(15)를 풀거나 잡아당김에 따라 전개되거나 접철되는 링크부(28)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회전몸체(18)와 베이스몸체(4) 사이에는 베어링(19)이 삽입개재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몸체(4)의 하부는 회전몸체(18)를 관통하여 하부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에는 숫나사부(20)가 형성되어 있어 복수개의 고정너트(21)가 나사체결식으로 끼움체결되면서 회전몸체(18)의 하단부를 상기 고정너트(21)가 받침지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링크부(28)는 하부연결대(32a)(32b)의 하부끝부분에 집게돌기(48a)(48b)가 수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링크부(28)의 전개 또는 접철에 따라 집게돌기(48a)(48b) 사이가 벌어지거나 모여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견인집게장치
KR1020110031377A 2011-04-05 2011-04-05 회전식 견인집게장치 KR101221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377A KR101221846B1 (ko) 2011-04-05 2011-04-05 회전식 견인집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377A KR101221846B1 (ko) 2011-04-05 2011-04-05 회전식 견인집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594A true KR20120113594A (ko) 2012-10-15
KR101221846B1 KR101221846B1 (ko) 2013-01-15

Family

ID=4728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377A KR101221846B1 (ko) 2011-04-05 2011-04-05 회전식 견인집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8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488B1 (ko) * 2019-09-03 2020-03-05 라상현 플륨관 시공용 그리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536B1 (ko) * 2013-04-26 2014-06-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스풀 형상 계측 장치
KR102633358B1 (ko) * 2023-10-23 2024-02-05 세경산업 주식회사 재활용 가능한 부품 분리 및 운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190U (ja) 1983-07-25 1985-02-16 株式会社 高橋土建 自動着脱吊り上げ装置付きバケツト
JP3073839B2 (ja) * 1991-10-21 2000-08-07 株式会社エスケー 構築建築資材移送用のクランプ装置
JPH09194182A (ja) * 1996-01-16 1997-07-29 Katsunori Tanada 把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488B1 (ko) * 2019-09-03 2020-03-05 라상현 플륨관 시공용 그리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1846B1 (ko) 201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241604A (ja) 折り畳み式ジブ主ストラット及び輸送可能な掛け回されたストラットキャップ
JP4307235B2 (ja) 架線吊り上げ装置
JP2012144373A (ja) クレーン吊り下げアセンブリの構成部分同士を連結する方法、及び該方法のために使用されるフレーム取り付けアセンブリ
KR101221846B1 (ko) 회전식 견인집게장치
JP2009286610A (ja) 管体吊込み用把持装置
JP5117815B2 (ja) クレーン用フック装置
CN210178382U (zh) 一种多功能拱架安装台车
CN108016984A (zh) 一种机械对接建筑管路吊装固定器
CN202465022U (zh) 一种吊装工具
CN204569267U (zh) 设备部件拆装用吊拉工具
JP5861682B2 (ja) クローラクレーンのブームフットピン着脱装置
CN202063634U (zh) 钳式管道安装吊具
CN207632338U (zh) 一种机械对接建筑管路吊装固定器
KR20190086980A (ko) 수로관 운반용 클램프
JP2020045689A (ja) 鉄筋落下防止治具、鉄筋吊り下げ治具、及び鉄筋落下防止方法
CN211285604U (zh) 手动式拔管机
JP2009062106A (ja) 吊り具
JP6787223B2 (ja) ワイヤリング方法、およびクレーン
CN212334353U (zh) 一种建筑钢管吊装装置
KR20140138478A (ko) 수로관 운반장치
JP3196921U (ja) バックホウの掴みアタッチメント取付構造
CN217150402U (zh) 用于桩基施工工地预制桩运输的机械抓
CN214989686U (zh) 一种钢筋捆吊装夹具
CN216475063U (zh) 一种基坑支护混凝土斜支撑拆除装置
CN217126638U (zh) 一种圆柱体竖直吊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