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6744A - 써포트 구조체 - Google Patents

써포트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6744A
KR20120096744A KR1020110016020A KR20110016020A KR20120096744A KR 20120096744 A KR20120096744 A KR 20120096744A KR 1020110016020 A KR1020110016020 A KR 1020110016020A KR 20110016020 A KR20110016020 A KR 20110016020A KR 20120096744 A KR20120096744 A KR 20120096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support body
coupled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성학
진경석
Original Assignee
추성학
진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성학, 진경석 filed Critical 추성학
Priority to KR1020110016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6744A/ko
Publication of KR20120096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7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025/006Heads therefor, e.g. pivo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소의 작업인원으로 써포트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을 개선함과 아울러, 거푸집용 합판과의 고정작업시 불필요한 사전작업을 생략함으로써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써포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일단부에 받침용 목재와 접촉 가능한 받이판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바닥면과 접촉되는 받침대가 배치되며, 중간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수단이 배치되는 써포트 본체와; 받이판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받침용 목재를 양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측판;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슬래브나 측구 등의 시공 작업시 써포트의 결합과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성과 시공 편의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 단축과 인건비 및 구조물 비용 등의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써포트 구조체{SUPPORT STRUCTURE}
본 발명은 써포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래브나 측구 등의 시공작업시 받침용 목재를 써포트 지지하는 받이판의 외측으로 한 쌍의 측판을 배치함으로써, 슬래브나 측구 등의 시공 작업시 불필요한 사전작업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과 시공 편의성이 향상되고 작업 인원을 최소화하여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써포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에서 주요 부재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부재 또는 부재를 생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지지하는 가설 지보재가 사용된다. 특히, 철근 콘크리트로 제작해야 하는 슬래브(바닥판), 기둥 등의 부재는 거푸집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은 가설 지보재로는 써포트 파이프가 대표적인데, 기존에 파이프 직경과 길이가 다양하기 때문에 여러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써포트는 하부의 파이프에 삽입이 가능한 조금 작은 직경의 상부 파이프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부 파이프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이 뚫어져 있어 핀 부재로 고정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하부 파이프 단부에는 지지를 위하여 파이프 보다 확폭된 플레이트 부재가 있어 목재, 유로폼 등의 거푸집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기존 써포트는 슬래브 작업과 같은 수직 시공시 써포트의 상측에 배치된 받이판에 받침용 목재를 대고, 못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받침용 목재를 써포트에 고정하고, 받침용 목재를 매개로 슬래브 거푸집용 합판을 고정한 후에 시공하는 과정을 갖는다.
이때, 써포트와 받침용 목재의 높이가 높기 때문에(대략 2m 이상), 조립식 비계 또는 공사용 보조구조물을 설치한 후에 시공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배수구조물 및 측구 시공 등의 수평 시공시에는 일측과 타측의 거푸집용 합판에 각각의 받침용 목재를 못으로 고정하고, 2인 1조로 써포트를 수평으로 들어 올려서 양측의 받이판을 합판에 고정된 받침용 목재에 밀착시킨 후에 못을 매개로 고정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작업 인원이 2명 이상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최소의 작업인원으로 써포트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을 개선함과 아울러, 거푸집용 합판과의 고정작업시 불필요한 사전작업을 생략함으로써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써포트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부에 받침용 목재와 접촉 가능한 받이판이 배치되고, 중간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수단이 배치되는 써포트 본체와,
상기 받이판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받침용 목재를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측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판은 상기 받이판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받이판에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측판의 하부에 복수개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결합공을 통해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너트부재를 매개로 고정 가능한 결합부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측판은 상기 받이판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일체로 고정된 것이다.
상기 측판은 상호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 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간격 조절수단은 상기 받이판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장공 형태의 복수개의 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되도록 결합된 측판의 하부를 고정하는 너트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써포트 본체의 타단부에 받침대가 배치되고,
상기 써포트 본체가 상기 받침대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고 핀 결합된 힌지핀을 매개로 상기 써포트 본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기어이를 갖는 기어부가 형성된 원호 형태의 회전판과,
상기 써포트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하 승강 가능한 고정핀의 하강 동작시 상기 고정핀의 하단부가 상기 기어부들 중 하나의 기어에 맞물려 록킹 결합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판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써포트 본체의 일부가 상기 중공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되며, 힌지핀을 매개로 써포트 본체와 핀 결합되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이다.
상기 받이판은 상기 써포트 본체의 일단부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각도 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받이판의 하부에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고 핀 결합된 힌지핀을 매개로 상기 써포트 본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기어이를 갖는 고정기어가 형성된 원호 형태의 조절판과,
상기 써포트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하 승강 가능한 록킹핀의 상승 동작시 상기 록킹핀의 상단부가 상기 고정기어들 중 하나의 기어에 맞물려 록킹 결합시키는 록킹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조절판은 내부에 수용공이 형성되고,
상기 써포트 본체의 일부가 상기 수용공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힌지핀을 매개로 써포트 본체와 핀 결합되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요소로는 일단부에 받침용 목재와 접촉 가능한 받이판이 배치되고, 중간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수단이 배치되는 써포트 본체와,
상기 받이판이 상기 써포트 본체의 일단부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각도 조절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받이판의 하부에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고 핀 결합된 힌지핀을 매개로 상기 써포트 본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기어이를 갖는 고정기어가 형성된 원호 형태의 조절판과,
상기 써포트 본체의 상부에 상하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승 동작시 상단부가 상기 고정기어들 중 하나의 기어에 맞물려 록킹 결합시키는 록킹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받침용 목재를 써포트 지지하는 받이판의 외측으로 측판을 배치하여 받침용 목재를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슬래브나 측구 등의 시공 작업시 써포트의 결합과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성과 시공 편의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 단축과 인건비 및 구조물 비용 등의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써포트 구조체에 따른 제 1실시 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측판이 결합되기 전의 써포트 구조체를 나타낸 결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써포트 구조체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수단을 매개로 한 측판과 받이판의 결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써포트 구조체에 따른 제 2실시 예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측판과 받침용 목재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써포트 구조체에 따른 제 3실시 예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도 8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 제 3실시 예의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써포트 구조체에 따른 제 4실시 예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12는 도 11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 제 4실시 예의 사용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써포트 구조체가 실제 슬래브등과 같은 수직 시공에 적용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써포트 구조체가 실제 측구 시공과 같은 수평 시공에 적용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 써포트 구조체의 다른 사용 예를 보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써포트 구조체의 제 1 실시 예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은 일단부에 받침용 목재(50)와 접촉 가능한 받이판(150)이 배치되고, 타단부에 바닥면과 접촉되는 받침대(120)가 배치되며, 중간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수단이 배치되는 써포트 본체(100)와; 받이판(15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받침용 목재(50)를 양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측판(200);으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써포트 본체(100)는 상부와 하부가 서로 착탈 가능하도록 제 1,2본체(100A,100B)로 구분된다.
길이 조절수단은 제 1,2본체(100A,100B)의 결합 부위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한 구성은 제 1본체(100A)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조립공(102)들이 형성되고, 제 2본체(100B)의 상부에 고정공(104)이 형성되며, 조립공(102)들 중 선택된 하나의 조립공과 고정공(104)을 관통하여 제 1,2본체(100A,100B)를 연결하는 지지핀(105)으로 구성된다.
측판(200)은 받이판(150)의 상측으로 배치되며, 측판(200)의 하부가 받이판(150)에 일체로 고정되거나, 도 4에서와 같이, 측판(200)의 하부가 받이판(15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측판(200)이 받이판(150)에 일체로 고정된 구조의 일 예는 측판(200)과 받이판(150)이 금속 소재로 구성된 경우 용접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다.
결합수단은 측판(200)의 하부에 복수개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너트부재(210)를 매개로 고정 가능한 결합부(220)와, 상기 결합부(220)가 관통되도록 상기 받이판(150)에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된 것이다.
그 결합공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와 측면도로서, 그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 예와는 달리, 측판(200)들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간격 조절수단이 더 구비된 것이다.
간격 조절수단은 받이판(150)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장공 형태의 조절공(152)이 복수개 형성되고, 조절공(15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되도록 결합된 측판(200)의 하부를 고정하는 너트부재(210)를 구비한 것이다.
이는, 측판(200)의 하부가 조절공(152)의 내부에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조절공(152)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호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도 7에서와 같이, 받침용 목재(50)의 치수에 관계없이 받침용 목재(50)의 양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그 구성은 써포트 본체(100)와 받침대(120)의 연결구조가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수단을 더 구비한 것이다.
회전수단은 상기 받침대(120)의 상부에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고 핀 결합된 힌지핀을 매개로 상기 써포트 본체(1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기어이를 갖는 기어부(125a)가 형성된 원호 형태의 회전판(125)과, 상기 써포트 본체(100)의 하부에 상하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하강 동작시 하단부가 상기 기어부들 중 하나의 기어에 맞물려 록킹 결합시키는 고정부재(300)로 구성된다.
즉, 회전판(125)은 받침대(120)의 상부에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부 일부위가 원호 형태로 형성되고, 원호 형태로 형성된 부위에 다수개의 기어이를 갖는 기어부(125a)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회전판(125)은 중앙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중공이 형성되고, 그 중공 내에 써포트 본체(100)의 하단부가 수용되도록 결합되며, 힌지핀을 매개로 써포트 본체(100)와 핀 결합되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고정부재(300)는 써포트 본체(100)의 하부 양측면에 돌출되게 배치되며, 상,하로 승강 가능한 고정핀(310)이 구비되어 있으며, 하강동작시 고정핀(310)의 단부가 기어부(125a)의 기어이에 간섭되도록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그 구성은 받이판(150)과 써포트 본체(100)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어 받이판(15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수단이 더 구비된 것이다.
각도 조절수단은 받이판(150)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되고 핀 결합된 힌지핀을 매개로 상기 써포트 본체(1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기어이를 갖는 고정기어(155a)가 형성된 원호 형태의 조절판(155)과, 써포트 본체(100)의 상부에 록킹핀(410)이 상하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승 동작시 록킹핀(410)이 상기 고정기어(155a)들 중 하나의 기어에 맞물려 록킹 결합시키는 록킹부재(400)로 구성된다.
조절판(155)은 중앙 내부에 하부가 개구된 수용공이 형성되고, 그 수용공 내에 써포트 본체(100)의 상단부가 수용되도록 결합되며, 힌지핀을 매개로 써포트 본체(100)와 회전 가능하도록 핀 결합되어 착탈 가능한 연결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써포트 구조체는, 도 14에서와 같이, 슬래브 등과 같은 수직 작업시 써포트 본체(100)의 상부에 받이판(150)이 배치되고 하부에 받침대(120)가 배치된 구조로 된 것을 채용하지만, 도 15에서와 같이 측구 등과 같은 수평 작업시에는 써포트 본체(10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받이판(150)이 동일하게 배치된 구조로 된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수직 작업시 슬래브(10)를 구성하기 위한 슬래브 거푸집용 합판(12)에 받침용 목재(50)를 못을 매개로 고정한 후에, 거푸집용 합판에 고정된 받침용 목재(50)의 양측면에 측판(200)을 대어서 써포트 본체(100)의 받이판(150)을 받침용 목재(50)에 밀착시켜 고정한다.
받침용 목재(50)는 슬래브 거푸집용 합판(12)들 경계 부위에 배치되어 합판들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써포트 본체(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길이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슬래브 거푸집 합판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측판(200)은 서로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 조절수단이 있는 경우, 측판(200)의 하부를 조절공(152)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시켜 간격을 조정한 후에, 받이판(150)의 하측에서 돌출된 측판(200)의 하부에 너트부재(210)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과정을 갖는다.
그리고 측판(200)에 착탈 가능한 결합수단이 있는 경우, 측판(20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부(220)를 받이판(150)에 관통되도록 결합시킨 후에, 받이판(150)의 하측에서 너트부재(210)를 체결하는 결합과정을 갖는다.
이때, 결합부(220)와 너트부재(210)의 체결 위치에 따라 측판(200)의 높이를 부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써포트 구조체가 슬래브 거푸집 합판을 직립 상태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장 상황상 슬래브 거푸집 합판에 대해 직각 상태로 써포트 하지 못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각도 조절수단 또는 회전수단을 이용하여 90°가 아닌 상태에서도 써포트할 수 있다.
즉, 회전수단을 이용할 경우에는, 받침대(120)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판(125)의 기어부와 고정부재(300)의 록킹 결합상태를 해제하도록 고정핀(310)을 상승시키면, 써포트 본체(100)의 하부가 받침대(120) 상에서 힌지핀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받침대(120) 상에서 회전 가능한 써포트 본체(100)의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한 후에, 다시 고정부재(300)의 고정핀(310)을 하강동작시켜 고정핀(310)의 단부가 회전판(125)의 기어부의 기어들 중 하나와 맞물리도록 서로 간섭되게 록킹 결합시키면, 써포트 본체(100)와 받침대(120)의 각도가 고정된다.
각도 조절수단을 이용할 경우에는, 받이판(150)의 각도를 써포트 본체(100)의 상단부로부터 조절할 수 있다. 이 조절과정은 조절판(155)의 고정기어(155a)에 간섭되도록 록킹 결합된 록킹부재(400)의 록킹핀(410)을 하강 동작시켜 받이판(150)의 하부에 형성된 조절판(155)과 써포트 본체(100)의 록킹 결합 상태를 먼저 해제하고, 힌지핀을 매개로 받이판(150)을 회전시켜 써포트 본체(100)와의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한 후에, 록킹부재(400)의 록킹핀(410)을 다시 상승 동작시켜 고정기어(155a)의 기어이들 중 하나에 맞물리도록 록킹 결합시킨다.
이로 인해 받이판(150)과 써포트 본체(100)의 고정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현장 작업 환경에 따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측구 등과 같은 수평 시공시에는 앞의 실시 예와는 달리 받침대(120)가 생략되고 써포트 본체(100)의 양측 단부에 동일한 구조의 받이판(150)이 배치된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측구(20)를 구성하기 위한 측구 거푸집용 합판(22)의 양측에 각각의 받침용 목재(50)를 못을 매개로 고정시킨 후에, 측구 거푸집용 합판(22)에 고정된 받침용 목재(50)의 양측면에 측판(200)을 대어서 써포트 본체(100)의 받이판(150)을 받침용 목재(50)에 밀착시켜 고정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써포트 구조체를 이용하는 수평 작업시 작업 인원이 한명일 경우에도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간격 조절수단과 결합수단 및 길이 조절수단은 앞의 실시 예(수직 시공)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외에도, 본 발명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실시 예들과는 달리 측판이 생략된 받이판(150)에 각도 조절수단이 구비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그 구성은 일단부에 받침용 목재와 접촉 가능한 받이판(150)이 배치되고, 중간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수단이 배치되는 써포트 본체(100)와, 받이판(150)이 상기 써포트 본체(100)의 일단부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각도 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이며, 그 각도 조절수단은 받이판(150)의 하부에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고 핀 결합된 힌지핀을 매개로 써포트 본체(100)가 회전 및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기어이를 갖는 고정기어(155a)가 형성된 원호 형태의 조절판(155)과, 써포트 본체(100)의 상부에 상하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승 동작시 상단부가 고정기어(155a)들 중 하나의 기어에 맞물려 록킹 결합시키는 록킹부재(40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조절판(155)과 써포트 본체(100)의 연결구조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와 같이 회전 및 착탈 가능한 구조로 연결될 수 있으며, 작동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는 본 발명의 써포트 구조체가 기존 써포트의 받이판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을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받침용 목재 100 : 써포트 본체
120 : 받침대 125 : 회전판
125a : 기어부 150 : 받이판
152 : 조절공 155 : 조절판
155a : 고정기어 200 : 측판
210 : 결합부 220 : 너트부재
300 : 고정부재 310 : 고정핀
400 : 록킹부재 410 : 록킹핀

Claims (9)

  1. 일단부에 받침용 목재와 접촉 가능한 받이판이 배치되고, 중간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수단이 배치되는 써포트 본체와,
    상기 받이판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받침용 목재를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측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포트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상기 받이판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받이판에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측판의 하부에 복수개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결합공을 통해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너트부재를 매개로 고정 가능한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포트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상기 받이판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일체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포트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상호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 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간격 조절수단은 상기 받이판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장공 형태의 복수개의 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되도록 결합된 측판의 하부를 고정하는 너트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포트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써포트 본체의 타단부에 받침대가 배치되고,
    상기 써포트 본체가 상기 받침대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고 핀 결합된 힌지핀을 매개로 상기 써포트 본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기어이를 갖는 기어부가 형성된 원호 형태의 회전판과,
    상기 써포트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하 승강 가능한 고정핀의 하강 동작시 상기 고정핀의 하단부가 상기 기어부들 중 하나의 기어에 맞물려 록킹 결합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포트 구조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써포트 본체의 일부가 상기 중공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되며, 힌지핀을 매개로 써포트 본체와 핀 결합되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포트 구조체.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판은 상기 써포트 본체의 일단부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각도 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받이판의 하부에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고 핀 결합된 힌지핀을 매개로 상기 써포트 본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기어이를 갖는 고정기어가 형성된 원호 형태의 조절판과,
    상기 써포트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하 승강 가능한 록킹핀의 상승 동작시 상기 록킹핀의 상단부가 상기 고정기어들 중 하나의 기어에 맞물려 록킹 결합시키는 록킹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포트 구조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은 내부에 수용공이 형성되고,
    상기 써포트 본체의 일부가 상기 수용공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힌지핀을 매개로 써포트 본체와 핀 결합되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포트 구조체.
  9. 일단부에 받침용 목재와 접촉 가능한 받이판이 배치되고, 중간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수단이 배치되는 써포트 본체와,
    상기 받이판이 상기 써포트 본체의 일단부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각도 조절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받이판의 하부에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고 핀 결합된 힌지핀을 매개로 상기 써포트 본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기어이를 갖는 고정기어가 형성된 원호 형태의 조절판과,
    상기 써포트 본체의 상부에 상하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승 동작시 상단부가 상기 고정기어들 중 하나의 기어에 맞물려 록킹 결합시키는 록킹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포트 구조체.
KR1020110016020A 2011-02-23 2011-02-23 써포트 구조체 KR201200967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020A KR20120096744A (ko) 2011-02-23 2011-02-23 써포트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020A KR20120096744A (ko) 2011-02-23 2011-02-23 써포트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744A true KR20120096744A (ko) 2012-08-31

Family

ID=46886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020A KR20120096744A (ko) 2011-02-23 2011-02-23 써포트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67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08455A1 (en) * 2020-03-06 2023-04-06 Sistemas Técnicos De Encofrados, S.A. Anchoring head for formwork posts and formwork post for producing sloped floo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08455A1 (en) * 2020-03-06 2023-04-06 Sistemas Técnicos De Encofrados, S.A. Anchoring head for formwork posts and formwork post for producing sloped floors
US11965344B2 (en) * 2020-03-06 2024-04-23 Sistemas Técnicos De Encofrados, S.A. Anchoring head for formwork struts and formwork strut for producing sloped floo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5346B2 (en) Support bracket for a column
US10422156B1 (en) Lightweight concrete or masonry fence system with optional concrete footings
JP4491030B2 (ja) アンカーボルトセット装置
US20170037653A1 (en) Clamps for panel-type fences
US20130037770A1 (en) Removable barrier for location on an upper portion of a wall
KR20120082384A (ko) 보 거푸집 지지장치
KR200384393Y1 (ko) 건축용 고하중 서포트
CN107975251B (zh) 一种装配式建筑墙板联合支撑装置
JP4947779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敷設方法
US20050086901A1 (en) Device for laying brick constructs
JP5123441B1 (ja) アンカーユニット、基礎及び土台の構築工法、及び水平化工法
KR20120096744A (ko) 써포트 구조체
JP6083655B2 (ja) 吊り枠及びそれを使用した構造物の構築方法
KR200475868Y1 (ko) 경계석 시공 장치
CN209413302U (zh) 带有施工平台的可移动式侧墙模板支撑***
KR101207100B1 (ko) 경계석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 방법
JP5964026B2 (ja) 補強スラブ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2010236289A (ja) 基礎構造
KR20100057143A (ko) 앵커볼트 설치용 조립지그
CN215564460U (zh) 一种墙柱模板封堵调平装置
CN205778823U (zh) 一种竖井测量辅助装置
CN110439248B (zh) 一种装配整体式剪力墙结构可调节式拼装挂架
KR102117333B1 (ko) 벽돌 조적용 연결구
CN211171620U (zh) 一种桥梁应力面板预制构件
JPS60246926A (ja) レベル調整具付き鉄筋およびその基礎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