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3137A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3137A
KR20120093137A KR1020127001168A KR20127001168A KR20120093137A KR 20120093137 A KR20120093137 A KR 20120093137A KR 1020127001168 A KR1020127001168 A KR 1020127001168A KR 20127001168 A KR20127001168 A KR 20127001168A KR 20120093137 A KR20120093137 A KR 20120093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member
panel
cap
cap box
reinforceme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1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5530B1 (ko
Inventor
쇼고 기무라
하지메 이시이
도모유키 다나카
히로시 다베타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3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3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17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movable, tiltable or pivoting, e.g. movable seats, dampening arrangements of ca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플로어 부재(9)는, 후측의 운전석 대좌(10)와 운전석 대좌(10)의 전측에 위치하는 발판(12)에 의해 구성하고, 캡 박스(22)는, 전면 패널(22H), 후면 패널(22J), 좌전측면 패널(22K), 좌후측면 패널(22L), 우측면 패널(22M), 천면 패널(22N)에 의해 구성한다. 플로어 부재(9)의 우측 위치에는, 발판(12)보다 상방으로 일으켜 우보강 패널(13)을 설치한다. 이 우보강 패널(13)에 대응하는 캡 박스(22)의 우측면 패널(22M)에는, 우보강 패널(13)을 피하기 위한 컷아웃부(25)를 설치한다. 따라서, 플로어 부재(9)의 우측 위치는, 우보강 패널(13)에 의해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플로어 부재(9)를 틸트 업하였을 때의 뒤틀림, 일그러짐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 기계{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캡을 구비한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로서의 유압 셔블에는, 좁은 작업 현장에서의 작업에 적합한 미니 셔블이라고 불리는 소형의 유압 셔블이 있고, 이 소형의 유압 셔블은, 좁은 장소에서도 선회할 수 있도록 상부 선회체가 작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소형의 유압 셔블은, 자주(自走)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당해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어,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 상에 캡이 설치된 상부 선회체와, 당해 상부 선회체의 전, 후방향의 전측(前側)에 부앙동(俯仰動)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압 셔블의 캡은, 후측에 오퍼레이터가 착좌하는 운전석을 가지고 전측이 오퍼레이터의 발판이 된 플로어 부재와, 당해 플로어 부재 상에 장착되어 내부에 운전실을 획성(劃成)하는 캡 박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캡 박스는,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및 천면(天面)에 의해 형성되고, 좌측면에는 오퍼레이터가 운전실에 출입하기 위한 승강구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소형의 유압 셔블은, 기기류의 설치 스페이스가 한정되기 때문에, 플로어 부재의 하측의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기기류를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소형의 유압 셔블에서는, 플로어 부재의 하측에 배치한 기기류를 점검, 정비할 수 있도록, 캡은, 선회 프레임에 대하여 플로어 부재의 전측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 하방향으로 경전(傾轉) 가능(틸트 업, 틸트 다운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5-350911호).
또한, 플로어 부재와 캡 박스에 둘러싸인 운전실 내에는, 운전석, 조작 레버, 스위치류 등 외에, 예를 들어 각종 전기 기기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전장품(電裝品) 등이 설치되어 있다(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5-255109호).
상기 서술한 특허문헌 1에 의한 유압 셔블은, 선회 프레임에 대하여 플로어 부재를 경전 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는데, 작업 내용에 따라서는, 캡 박스를 떼어낸 상태에서, 플로어 부재를 틸트 업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단체(單體)의 플로어 부재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체를 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틸트 업하였을 때에 뒤틀림, 일그러짐 등의 변형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그래서, 종래 기술의 플로어 부재에는, 틸트 업 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강용 구조물(파이프, 앵글 등)을 복수 지점에 설치해야 하여, 부품점수의 증대에 의해, 중량이 늘거나, 제조 비용이 증대된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에 의한 유압 셔블에서는, 전장품 등을 설치하는 경우, 운전실 내의 스페이스가 좁기 때문에, 다른 기기류의 메인터넌스 작업에 방해가 되는 위치에 설치하거나, 수납 스페이스를 희생으로 한 위치에 설치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부품점수로 플로어 부재의 단체에서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보강용의 구조물을 생략하여, 플로어 부재의 경량화,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기계는,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당해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어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 상에 캡이 설치된 상부 선회체와, 당해 상부 선회체의 전, 후방향의 전측에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은, 후측에 오퍼레이터가 착좌하는 운전석을 가지고 전측이 오퍼레이터의 발판이 된 플로어 부재와, 당해 플로어 부재 상에 장착되어 내부에 운전실을 획성하기 위하여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및 천면에 의해 형성됨과 함께 좌측면에 승강구를 가지는 캡 박스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캡은 상기 선회 프레임에 대하여 전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 하방향으로 경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기 플로어 부재 중, 좌, 우방향의 우측에는, 당해 우측 위치를 보강하기 위하여 우(右)보강 패널을 상기 발판보다 상방으로 일으켜 설치하고, 상기 캡 박스의 우측면에 위치하는 우측면 패널에는, 상기 우보강 패널에 대응하는 위치에 당해 우측면 패널을 피하기 위한 컷아웃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로어 부재는, 우보강 패널을 설치함으로써 복수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체에 의해 입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그 우측 위치를 보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캡 박스를 떼어낸 상태에서 플로어 부재를 틸트 업한 경우에도, 이 때의 뒤틀림, 일그러짐 등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우보강 패널로 보강한 플로어 부재는, 보강용 구조물의 장착 지점을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플로어 부재를 구성하는 부품점수를 저감시킬 수 있어, 경량화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는, 캡 박스 내에 설치되는 전장품은, 플로어 부재에 설치한 전장품, 전기 기기와 배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로어 부재로부터 캡 박스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배선도 떼어내야 하여 메인터넌스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우보강 패널은 플로어 부재의 우측 위치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작업 등을 행하기 위하여 플로어 부재로부터 캡 박스를 떼어낼 때에는, 우보강 패널을 플로어 부재에 남긴 상태에서, 캡 박스만을 떼어낼 수 있다. 이 결과, 종래 캡 박스측에 설치되어 있던 전장품 등을, 우보강 패널을 이용하여 장착할 수 있어, 좁은 운전실 내에도 전장품 등을 배치 설치할 수 있다. 게다가, 메인터넌스 작업시에는, 배선 등을 고려하지 않고 캡 박스를 간단히 떼어낼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플로어 부재에 캡 박스를 장착하였을 때, 상기 캡 박스의 우측면 패널의 컷아웃부와 상기 플로어 부재의 우보강 패널은, 동일 평면을 이루어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로어 부재의 우보강 패널과 캡 박스의 우측면 패널이 중첩되지 않도록 동일 평면으로 하여 배치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우측면측이 두꺼워지는 것을 억제하여 운전실을 넓게 할 수 있고, 또한, 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3).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캡 박스의 우측면 패널은, 우전(右前) 필러와 우후(右後) 필러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플로어 부재의 우보강 패널은, 상기 우전 필러와 우후 필러 사이에 전, 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로어 부재의 우보강 패널은, 캡 박스의 우전 필러와 우후 필러 사이를 플로어 부재의 전, 후방향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플로어 부재의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4).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플로어 부재의 우보강 패널의 상연(上緣)측에 위치하는 시일 장착부에는, 빗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시일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캡 박스의 우측면 패널에는, 상기 컷아웃부의 위치에 상기 시일 부재가 맞닿는 시일 맞닿음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로어 부재에 대하여 캡 박스를 장착하였을 때에는, 플로어 부재의 우보강 패널의 시일 장착부에 설치한 시일 부재를, 캡 박스의 컷아웃부에 설치한 시일 맞닿음부에 탄성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플로어 부재의 우보강 패널과 캡 박스의 컷아웃부와의 간극을 없애, 빗물,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 운전실 내의 작업 환경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5).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플로어 부재의 우보강 패널에는, 상기 운전실 내가 되는 내측면에 위치하여 전장품을 장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장품은 플로어 부재의 우보강 패널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이제까지 전장품이 장착되어 있던 장소를 다른 물품의 설치 스페이스, 수납 스페이스로서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적용되는 소형의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작업 장치를 생략한 유압 셔블을 좌후상(左後上)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작업 장치를 생략한 유압 셔블의 일부를 우후상(右後上)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플로어 부재와 캡 박스로 이루어지는 캡을 우후하(右後下)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플로어 부재에 운전석, 조작 레버, 공조 덕트, 전장품 수용 케이스 등을 조립한 상태를 좌전상(左前上)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플로어 부재에 운전석, 조작 레버, 전장품 수용 케이스 등을 조립하고, 공조 덕트를 떼어낸 상태를 좌전상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플로어 부재에 운전석, 조작 레버, 조작 레버?페달, 전장품 수용 케이스 등을 조립하고, 공조 덕트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플로어 부재를 우후하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9는 플로어 부재의 우보강 패널과 캡 박스의 컷아웃부의 배치 관계를 도 1의 좌측에서 본 일부 파단의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단체의 캡 박스를 우후하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11은 캡 박스를 떼어내고 플로어 부재만을 틸트 업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적용되는 건설 기계로서, 캡 사양의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11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1은 본 실시형태에 적용되는 건설 기계로서의 캡 사양의 유압 셔블로서, 당해 유압 셔블(1)은, 좁은 작업 현장에서의 작업에 적합한 미니 셔블이라고 불리는 소형의 유압 셔블이다. 이 유압 셔블(1)은,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2)와, 당해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와, 당해 상부 선회체(3)의 전, 후방향의 전측에 설치되어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하는 작업 장치(4)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3)는,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5)와, 당해 선회 프레임(5) 상에 설치된 후술하는 엔진(7), 캡(8)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5)의 전측에는, 작업 장치(4)가 요동 가능하게 또한 부앙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6은 선회 프레임(5)의 후부에 설치된 카운터 웨이트로서, 당해 카운터 웨이트(6)는, 작업 장치(4)와의 중량 밸런스를 잡는 것이다. 이 카운터 웨이트(6)는, 후술하는 엔진(7)을 후측으로부터 덮도록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카운터 웨이트(6)는, 후술하는 플로어 부재(9)의 플로어 고정부(11)를 선회 프레임(5)측에 장착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을 이루고 있다.
7은 카운터 웨이트(6)의 전부(前部)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의 후측에 탑재된 엔진(도 1 중에 점선으로 도시)으로서, 당해 엔진(7)은, 좌, 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놓인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엔진(7)은 유압 펌프를 회전 구동하는 것이다.
8은 선회 프레임(5) 상에 설치된 캡을 나타내고 있다. 이 캡(8)은,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후술하는 운전실(23)을 획성하는 것으로서, 상,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자 형상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캡(8)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프레임(5)에 대하여 전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 하방향으로 경전 가능(틸트 업, 틸트 다운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캡(8)은, 후술하는 플로어 부재(9), 우보강 패널(13), 운전석(15), 전장품 수용 케이스(21), 캡 박스(22), 컷아웃부(25)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9는 캡(8)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플로어 부재로서, 당해 플로어 부재(9)는,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것이다. 이 플로어 부재(9)는, 그 전측 위치가 선회 프레임(5)의 전측 위치에 상, 하방향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측 위치가 카운터 웨이트(6) 상에 장착, 떼어내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로어 부재(9)는,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측에 위치하여 후술하는 운전석(15)이 장착되는 운전석 대좌(臺座)(10)와, 당해 운전석 대좌(10)의 후부로부터 뒷방향으로 연장된 플로어 고정부(11)와, 상기 운전석 대좌(10)의 전측에 위치하여 오퍼레이터가 발을 두는 발판(12)과, 후술하는 우보강 패널(1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운전석 대좌(10)는,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판(12)의 후부로부터 일어난 기립벽(10A)과, 당해 기립벽(10A)의 상단(上端)으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된 좌석 장착판(10B)과, 당해 좌석 장착판(10B)의 후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배면판(10C)을 가지고 있다. 상기 좌석 장착판(10B) 상에는 후술하는 운전석(15)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플로어 고정부(11)는, 운전석 대좌(10)의 배면판(10C)의 상부로부터 뒷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플로어 고정부(11)는, 플로어 부재(9)[캡(8)]를 틸트 다운한 상태에서, 선회 프레임(5)측의 지지 구조물을 이루는 카운터 웨이트(6)의 상부에 방진 부재(도시 생략)를 통하여 볼트 고정되어 있다.
한편, 발판(12)은, 운전석(15)에 착좌한 오퍼레이터가 발을 두는 것으로, 대략 평탄한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전측 부분은 레버?페달 장착부(12A)로 되어 있다. 여기서, 발판(12)은, 상, 하방향으로 1층 또는 복수층으로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상, 하방향으로 2층 구조, 즉, 2중 플로어 구조에서는, 하단의 플로어에 공조 장치의 실내기(모두 도시 생략)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발판(12)은, 그 전측 위치가 선회 프레임(5)의 전부에, 예를 들어 경전 가능(틸트 업, 틸트 다운 가능) 또한 방진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13은 플로어 부재(9)의 우측 위치를 보강하기 위하여 당해 플로어 부재(9)의 일부로서 설치된 우보강 패널을 나타내고 있다. 이 우보강 패널(13)은, 후술하는 캡 박스(22)의 좌후(左後)측면 패널(22L)에 설치된 승강구(24)와 좌, 우방향의 반대측이 되는 플로어 부재(9)의 우측 단부(端部)에 발판(12)보다 상방으로 일으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우보강 패널(13)은, 캡 박스(22)의 우전 필러(22B)와 우후 필러(22D) 사이에 전, 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우보강 패널(13)은, 캡 박스(22)의 우측면 패널(22M)과 함께 후술하는 운전실(15)의 우측을 덮고 있다. 이 때에, 우보강 패널(13)은, 도 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실(15)의 높이 방향의 중간부보다 낮은 위치를 덮고 있다.
이 경우, 우보강 패널(13)은, 후측에 위치하는 플로어 고정부(11)로부터 전측에 위치하는 발판(12)의 전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그 상연측은 전측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 시일 장착부(13A)로 되어 있다. 이 경사 시일 장착부(13A)는, 후측에 위치하여 플로어 고정부(11)와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한 수평 단연(端緣)(13A1)과, 운전석 대좌(10)의 전, 후방향의 도중에 위치하는 당해 수평 단연(13A1)의 전부로부터 전측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 단연(13A2)과, 발판(12)의 전부 위치에서 당해 경사 단연(13A2)의 전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된 대략 수직의 수직 단연(13A3)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우보강 패널(13)의 후측 하부에는, 운전석 대좌(10)의 스텝 형상에 맞추어 대략 L자 형상의 컷아웃 오목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컷아웃 오목부(13B)는, 예를 들어 운전석 대좌(10)의 하측에 배치 설치된 엔진(7) 또는 당해 엔진(7)에 부수(付隨)되는 열교환기 등을 피하기 위한 컷아웃으로 되어 있다.
한편, 우보강 패널(13)은, 스텝 형상으로 조립된 운전석 대좌(10), 플로어 고정부(11), 발판(12)의 우단(右端) 부위에 용접 등의 고착 수단을 사용하여 일체적으로 고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우보강 패널(13)은, 운전석 대좌(10), 플로어 고정부(11), 발판(12)의 우단 부위에 세워 설치함으로써, 플로어 부재(9)의 전체 구성을 박스 구조와도 유사한 입체적인 구조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운전석 대좌(10), 발판(12) 등의 우측 위치의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어 부재(9)를 단체(單體)로 틸트 업한 경우에도, 이들 운전석 대좌(10), 발판(12) 등의 변형(뒤틀림, 일그러짐 등)을 억제할 수 있다.
14는 우보강 패널(13)의 상연측에 설치된 시일 부재로서, 당해 시일 부재(14)는, 예를 들어 웨더 스트립이라고 불리는 탄성 시일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일 부재(14)는, 우보강 패널(13)의 상연측에 위치하는 경사 시일 장착부(13A)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시일 부재(14)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캡 박스(22)의 컷아웃부(25)에 설치된 시일 맞닿음부(25D)에 탄성 변형하면서 밀착하여 맞닿음으로써, 운전실(23) 내로의 빗물,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15는 운전석 대좌(10)의 좌석 장착판(10B) 상에 설치된 운전석으로서, 당해 운전석(15)은, 오퍼레이터가 착좌하는 것이다. 이 운전석(15)은, 후술하는 운전실(23)[캡(8) 내]의 후측 근처에서 좌, 우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석(15)의 좌, 우 양측에는, 작업용의 조작 레버(16)가 설치되고, 전측이 되는 발판(12)의 레버?페달 장착부(12A)에는 주행용의 조작 레버?페달(17)이 설치되어 있다.
18은 플로어 부재(9)를 구성하는 발판(12)의 우측에 설치된 공조 덕트이다(도 5 중에 도시). 이 공조 덕트(18)는, 공조 장치의 실내기의 분출구(모두 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당해 실내기로부터의 조화(調和) 공기를 운전실(23)의 전측으로 유도하는 것이다.
19는 공조 덕트(18) 등을 덮어 설치된 덕트 커버로서, 당해 덕트 커버(19)는, 발판(12)과 우보강 패널(13)과의 모퉁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조 덕트(18)를 통하여 공급되는 조화 공기를 분출하는 복수의 분출구(19A)를 가지고 있다. 이 덕트 커버(19)의 전측 위치에는, 모니터 장치(20)가 오퍼레이터를 향하여 장착되어 있다.
21은 플로어 부재(9)의 우보강 패널(13)의 실내측에 설치된 전장품 수용 케이스이다. 이 전장품 수용 케이스(21)는, 그 내부에 모니터 장치(20)나 각종 전원 스위치, 볼륨, 표시기 등(모두 도시 생략)의 기기류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전장품이 수용되어 있다. 전장품 수용 케이스(21) 내의 각 전장품은, 배선(21A)을 통하여 대응하는 기기류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전장품 수용 케이스(21)는, 우보강 패널(13)의 운전실(23)측의 스페이스를 이용하며, 이 우보강 패널(13)의 내측면에 예를 들어 나사 고정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우보강 패널(13)은, 플로어 부재(9)의 일부로서 일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로어 부재(9)로부터 후술하는 캡 박스(22)를 떼어내는 경우에도, 플로어 부재(9)측에 위치하는 전장품 수용 케이스(21)의 배선(21A)은 분리할 필요가 없다.
다음으로, 22는 플로어 부재(9) 상에 설치된 캡 박스로서, 당해 캡 박스(22)는, 플로어 부재(9) 상에 후술하는 운전실(23)을 획성하는 것이다. 이 캡 박스(22)는, 플로어 부재(9)의 운전석 대좌(10), 발판(12)을 둘러싸고, 또한 우보강 패널(13)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플로어 부재(9)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캡 박스(22)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전 필러(22A), 우전 필러(22B), 좌후 필러(22C), 우후 필러(22D), 좌(左)센터 필러(22E), 좌(左)루프 필러(22F), 우(右)루프 필러(22G) 등에 의해 뼈대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좌후 필러(22C)와 우후 필러(22D)는, 카운터 웨이트(6)의 상측에 세워 설치되는 것으로서, 각 전 필러(22A, 22B) 등의 절반 정도의 길이 치수로 되어 있다. 또한, 좌후 필러(22C)는, 운전석(15)에 착좌한 오퍼레이터의 후방 시계(視界)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예를 들어 운전석(15)의 후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좌전 필러(22A)와 우전 필러(22B) 사이는, 캡 박스(22)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 패널(22H)이 되고, 좌후 필러(22C)와 우후 필러(22D) 사이는, 캡 박스(22)의 후면을 이루는 후면 패널(22J)이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전 필러(22A)와 좌센터 필러(22E) 사이는 좌전측면 패널(22K)이 되고, 좌센터 필러(22E)와 좌후 필러(22C) 사이는 원호 형상을 한 좌후측면 패널(22L)이 되어 있다. 이들 좌전측면 패널(22K)과 좌후측면 패널(22L)은, 캡 박스(22)의 좌측면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도 4,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전 필러(22B)와 우후 필러(22D) 사이는, 캡 박스(22)의 우측면을 이루는 우측면 패널(22M)이 되어 있다. 좌루프 필러(22F)와 우루프 필러(22G) 사이는, 전면 패널(22H)로부터 이어지는 캡 박스(22)의 천면을 이루는 천면 패널(22N)이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필러(22A?22G)는, 이웃하는 각 패널(22H?22N) 사이의 모퉁이에 배치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전 필러(22A)와 좌센터 필러(22E) 사이에 위치하는 프레임 형상의 좌전측면 패널(22K)에는, 후술하는 승강구(24)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22P)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전 필러(22A)와 우전 필러(22B)의 하측 위치에는 전측 브래킷(22Q)이 각각 설치되고, 좌후 필러(22C)의 하부와 우후 필러(22D)의 하부 사이에는 좌, 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후측 브래킷(22R)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캡 박스(22)는, 각 전측 브래킷(22Q)을 플로어 부재(9)의 발판(12)의 전측 위치에 장착하고, 후측 브래킷(22R)을 플로어 고정부(11)에 장착함으로써, 플로어 부재(9) 상에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이 되는 운전실(23)을 획성할 수 있다.
24는 좌전 필러(22A)와 좌센터 필러(22E) 사이에 설치된 승강구이다. 이 승강구(24)는, 도어(22P)를 열었을 때에 개방되는 것으로, 플로어 부재(9) 상의 운전실(23)에 출입하기 위한 통로가 되어 있다.
25는 승강구(24)와 좌, 우방향의 반대측, 즉, 캡 박스(22)의 우측면 패널(22M)에 설치된 컷아웃부이다. 이 컷아웃부(25)는, 플로어 부재(9)에 캡 박스(22)를 장착하였을 때에, 당해 플로어 부재(9)의 우보강 패널(13)을 피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컷아웃부(25)는, 우보강 패널(13)과 중첩되지 않도록 대략 동일 평면으로서 배치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컷아웃부(25)는, 우보강 패널(13)에 대응하도록, 우후 필러(22D)로부터 우전 필러(22B)를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컷아웃부(25)는, 우보강 패널(13)의 수평 단연(13A1)과 대향하는 후측에 위치하여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연부(水平緣部)(25A)와, 우보강 패널(13)의 경사 단연(13A2)과 대향하도록 상기 수평연부(25A)의 전단(前端)으로부터 전측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연부(傾斜緣部)(25B)와, 우보강 패널(13)의 수직 단연(13A3)과 대향하도록 상기 경사연부(25B)의 전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대략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연부(垂直緣部)(25C)가 되어 있다.
또한, 컷아웃부(25)에는,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보강 패널(13)에 장착된 시일 부재(14)가 맞닿기 위한 시일 맞닿음부(25D)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시일 맞닿음부(25D)는, 수평연부(25A), 경사연부(25B), 수직연부(25C)를 따라 형성되어, 우보강 패널(13)의 경사 시일 장착부(13A)와 대면하는 것이다. 또한, 시일 맞닿음부(25D)는, 컷아웃부(25)와 우보강 패널(13)의 이음매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당해 컷아웃부(25)보다 약간 상측으로 비켜 놓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26은 캡(8)의 주위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 상에 설치된 외장 커버이다(도 3, 도 9, 도 11 등 참조). 이 외장 커버(26)는, 선회 프레임(5) 상에 탑재된 엔진(7), 열교환기, 작동유 탱크, 연료 탱크(모두 도시 생략) 등의 기기를 덮는 것이다.
또한, 27은 플로어 부재(9)를 틸트 업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스 스프링을 나타내고 있다(도 11 참조). 여기서, 플로어 부재(9)를 틸트 업 방향으로 가압하는 수단으로는, 전술한 가스 스프링(27) 외에, 예를 들어 나사 기구, 유압 실린더, 코일 스프링 등의 가압 수단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이며, 다음으로, 플로어 부재(9)에 운전석(15), 전장품 수용 케이스(21), 캡 박스(22) 등을 장착하는 경우의 동작(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베이스가 되는 플로어 부재(9)를 준비하고, 운전석 대좌(10)의 좌석 장착판(10B) 상에 운전석(15)을 장착하고, 이 운전석(15)의 좌, 우방향의 양측에 위치하여 작업용의 조작 레버(16)를 배치 설치한다. 또한, 발판(12)의 전측에 위치하는 레버?페달 장착부(12A)에 주행용의 조작 레버?페달(17) 등을 장착한다.
또한, 운전실(23) 내에 전기 기기류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전장품이 수용된 전장품 수용 케이스(21)를 장착한다. 이 때에, 전장품 수용 케이스(21)는, 플로어 부재(9)에 설치한 전기 기기와 배선(21A)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플로어 부재(9)로부터 떼어내는 경우가 있는 캡 박스(22)에는 전장품 수용 케이스(21)를 장착할 수 없다.
그래서, 플로어 부재(9)의 우측에 세워 설치하여 형성한 우보강 패널(13)에 전장품 수용 케이스(21)를 장착한다. 이 경우, 우보강 패널(13)은, 플로어 부재(9)의 일부로서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당해 우보강 패널(13)에 전장품 수용 케이스(21)를 장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로어 부재(9)에 각종 기기류를 장착하였다면, 운전석(15) 등을 덮도록 플로어 부재(9) 상에 캡 박스(22)를 장착한다. 이 때문에, 캡 박스(22)의 전측 브래킷(22Q)을 플로어 부재(9)의 발판(12)의 전측에 장착하고, 후측 브래킷(22R)을 플로어 고정부(11)에 장착한다. 이 때에, 캡 박스(22)의 우측면 패널(22M)에는, 컷아웃부(25)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우전 필러(22B)와 우후 필러(22D) 사이에 파고 들어가는 우보강 패널(13)을 컷아웃부(25)에 의해 피할 수 있음과 함께 우보강 패널(13)과 컷아웃부(25)를 동일 평면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캡 박스(22) 등이 장착된 플로어 부재(9)는, 카운터 웨이트(6), 엔진(7) 등과 함께 선회 프레임(5) 상에 탑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오퍼레이터는, 운전실(23)에 탑승하고, 운전석(15)에 착좌한 상태에서 주행용의 조작 레버?페달(17)을 조작함으로써, 하부 주행체(2)를 전진 또는 후퇴시킬 수 있다. 한편, 작업용의 조작 레버(16)를 조작함으로써, 작업 장치(4)를 부앙동시켜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플로어 부재(9)의 우측 위치에는, 발판(12)보다 상방으로 일으켜 우보강 패널(13)을 설치하고, 이 우보강 패널(13)에 대응하는 캡 박스(22)의 우측면 패널(22M)에는, 우보강 패널(13)을 피하기 위한 컷아웃부(25)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플로어 부재(9)는, 우보강 패널(13)을 설치함으로써 복수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체에 의해 입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그 우측 위치를 보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박스(22)를 떼어낸 상태에서 플로어 부재(9)를 틸트 업한 경우에도, 이 때에 플로어 부재(9)가 뒤틀림, 일그러짐 등의 변형을 일으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우보강 패널(13)로 보강한 플로어 부재(9)는, 보강용 구조물의 장착 지점을 삭감하여, 우보강 패널(13)의 1지점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플로어 부재(9)를 구성하는 부품점수를 저감시킬 수 있어, 경량화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우보강 패널(13)은, 캡 박스(22)의 우전 필러(22B)부터 우후 필러(22D)까지 전, 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플로어 부재(9)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우보강 패널(13)을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플로어 부재(9)의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캡 박스(22)의 우측면 패널(22M)에는, 우보강 패널(13)을 피하기 위한 컷아웃부(25)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플로어 부재(9)의 우보강 패널(13)과 캡 박스(22)의 우측면 패널(22M)이 중첩되지 않도록, 대략 동일 평면으로서 배치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우측면측이 두꺼워지는 것을 억제하여 운전실(23)을 넓게 할 수 있고, 또한 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한편, 플로어 부재(9)의 우측 위치에 우보강 패널(13)을 일으켜 설치함으로써, 이 우보강 패널(13)은, 메인터넌스 작업 등을 행하기 위하여 플로어 부재(9)로부터 캡 박스(22)를 떼어내는 경우에도, 플로어 부재(9)측에 남긴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우보강 패널(13)은, 플로어 부재(9)측의 장착 스페이스로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플로어 부재(9)에 설치한 전기 기기 등과 배선(21A)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장품 수용 케이스(21)를 우보강 패널(13)에 장착할 수 있다.
이 결과, 소형의 유압 셔블(1)의 캡(9)과 같이 좁은 운전실(23)이라도, 우보강 패널(13)을 이용함으로써 우측의 측면 부분에 전장품 수용 케이스(21)를 장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른 기기류의 메인터넌스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아, 수납 스페이스를 희생으로 하지 않고, 전장품 수용 케이스(21)를 효율적으로 배치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전장품 수용 케이스(21)를 장착하고 있는 우보강 패널(13)은, 플로어 부재(9)의 일부이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작업시에는, 배선(21A)을 신경 쓰지 않고, 캡 박스(22)를 간단히 떼어낼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플로어 부재(9)의 우보강 패널(13)에는, 캡 박스(22)의 컷아웃부(25)에 대향하는 경사 시일 장착부(13A)에 위치하여 시일 부재(14)를 설치하고, 캡 박스(22)의 우측면 패널(22M)의 컷아웃부(25)에는, 상기 시일 부재(14)가 맞닿는 시일 맞닿음부(25D)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플로어 부재(9)에 대하여 캡 박스(22)를 장착하였을 때에는, 시일 부재(14)를 캡 박스(22)의 시일 맞닿음부(25D)에 탄성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플로어 부재(9)의 우보강 패널(13)과 캡 박스(22)의 우측면 패널(22M)과의 간극을 없애, 빗물,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 운전석(23) 내의 작업 환경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로어 부재(9)의 우보강 패널(13)은, 전측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지게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캡 박스(22)의 우측면 패널(22M)에 많은 창문, 또는 큰 창문을 설치할 수 있어,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좌, 우방향으로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플로어 부재(9)의 우보강 패널(13)은, 캡 박스(22)의 우전 필러(22B)와 우후 필러(22D) 사이에서 전, 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우보강 패널(13)을 플로어 부재(9)의 운전석 대좌(10)의 기립벽(10A)과 캡 박스(22)의 우전 필러(22B) 사이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우보강 패널(13)은 길이 치수가 짧은 것이 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플로어 부재(9)의 우보강 패널(13)은, 전측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우보강 패널(13)의 상단부를 대략 수평으로 형성해도 되고, 이것 이외에도, 원호 형상 등의 다른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한편, 실시형태에서는, 캡 박스(22)의 좌측면을, 좌전측면 패널(22K)과 좌후측면 패널(22L)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캡 박스(22)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전체적으로 오각형으로 형성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좌측면을 1개의 직선 형상 평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캡 박스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사각형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건설 기계로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를 구비한 캡 사양의 유압 셔블(1)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휠식의 하부 주행체를 구비한 유압 셔블 등에 적용해도 된다.
1 유압 셔블(건설 기계)
2 하부 주행체
3 상부 선회체
4 작업 장치
5 선회 프레임
7 엔진
8 캡
9 플로어 부재
10 운전석 대좌
11 플로어 고정부
12 발판
13 우보강 패널
13A 경사 시일 장착부
14 시일 부재
15 운전석
21 전장품 수용 케이스(전장품)
22 캡 박스
22A 좌전 필러
22B 우전 필러
22C 좌후 필러
22D 우후 필러
22E 좌센터 필러
22F 좌루프 필러
22G 우루프 필러
22H 전면 패널(전면)
22J 후면 패널(후면)
22K 좌전측면 패널(좌측면)
22L 좌후측면 패널(좌측면)
22M 우측면 패널(우측면)
22N 천면 패널(천면)
22P 도어
23 운전실
24 승강구
25 컷아웃부
25A 수평연부
25B 경사연부
25C 수직연부
25D 시일 맞닿음부

Claims (5)

  1. 자주(自走) 가능한 하부 주행체(2)와, 당해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어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5) 상에 캡(8)이 설치된 상부 선회체(3)와, 당해 상부 선회체(3)의 전, 후방향의 전측(前側)에 부앙동(俯仰動)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4)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8)은, 후측에 오퍼레이터가 착좌하는 운전석(15)을 가지고 전측이 오퍼레이터의 발판(12)이 된 플로어 부재(9)와, 당해 플로어 부재(9) 상에 장착되어 내부에 운전실(23)을 획성(劃成)하기 위하여 전면(22H), 후면(22J), 좌측면(22K, 22L), 우측면(22M) 및 천면(天面)(22N)에 의해 형성됨과 함께 좌측면(22K)에 승강구(24)를 가지는 캡 박스(22)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캡(8)은 상기 선회 프레임(5)에 대하여 전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 하방향으로 경전(傾轉)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부재(9) 중, 좌, 우방향의 우측 위치에는, 당해 우측 위치를 보강하기 위하여 우(右)보강 패널(13)을 상기 발판(12)보다 상방으로 일으켜 설치하고,
    상기 캡 박스(22)의 우측면에 위치하는 우측면 패널(22M)에는, 상기 우보강 패널(13)에 대응하는 위치에 당해 우측면 패널(22M)을 피하기 위한 컷아웃부(25)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부재(9)에 캡 박스(22)를 장착하였을 때, 상기 캡 박스(22)의 우측면 패널(22M)의 컷아웃부(25)와 상기 플로어 부재(9)의 우보강 패널(13)은, 동일 평면을 이루어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박스(22)의 우측면 패널(22M)은, 우전(右前) 필러(22B)와 우후(右後) 필러(22D)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플로어 부재(9)의 우보강 패널(13)은, 상기 우전 필러(22B)와 우후 필러(22D) 사이에 전, 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부재(9)의 우보강 패널(13)의 상연(上緣)측에 위치하는 시일 장착부(13A)에는, 빗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시일 부재(14)를 설치하고, 상기 캡 박스(22)의 우측면 패널(22M)에는, 상기 컷아웃부(25)의 위치에 상기 시일 부재(14)가 맞닿는 시일 맞닿음부(25D)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부재(9)의 우보강 패널(13)에는, 상기 운전실(23) 내가 되는 내측면에 위치하여 전장품(電裝品)(21)을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KR1020127001168A 2009-11-20 2010-09-21 건설 기계 KR101745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64886 2009-11-20
JPJP-P-2009-264886 2009-11-20
PCT/JP2010/066303 WO2011061993A1 (ja) 2009-11-20 2010-09-21 建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3137A true KR20120093137A (ko) 2012-08-22
KR101745530B1 KR101745530B1 (ko) 2017-06-09

Family

ID=44059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1168A KR101745530B1 (ko) 2009-11-20 2010-09-21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32122B2 (ko)
EP (1) EP2503066B1 (ko)
JP (1) JP4976594B2 (ko)
KR (1) KR101745530B1 (ko)
CN (1) CN102648319B (ko)
WO (1) WO20110619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6594B2 (ja) * 2009-11-20 2012-07-18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706110B2 (ja) * 2010-07-29 2015-04-22 プレス工業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フレーム構造
JP5341264B2 (ja) * 2010-11-29 2013-11-1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EP2743408B1 (en) * 2011-08-09 2016-08-10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JP5918072B2 (ja) * 2012-08-06 2016-05-1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6104705B2 (ja) * 2013-05-21 2017-03-29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後方小旋回型の油圧ショベル
JP5850021B2 (ja) * 2013-10-30 2016-02-0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配索構造
JP6260298B2 (ja) * 2014-01-24 2018-01-1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WO2016043345A1 (ja) * 2015-09-30 2016-03-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
CN105346646B (zh) * 2015-12-10 2017-12-29 重庆华世丹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乘坐式转运车
JP6952731B2 (ja) * 2019-03-01 2021-10-20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建設機械
GB2591277B (en) * 2020-01-24 2024-04-10 Bamford Excavators Ltd A superstructure
US12024857B2 (en) * 2020-07-16 2024-07-02 Deere & Company Tractor cab operator platform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0017B2 (ja) 1989-09-08 1998-04-15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H0738051Y2 (ja) * 1990-01-23 1995-08-30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の操縦室構造
JP4501111B2 (ja) * 2002-10-18 2010-07-14 旭硝子株式会社 ペルフルオロポリエーテル誘導体
US7216734B2 (en) 2003-09-25 2007-05-15 Kobelco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JP4033102B2 (ja) * 2003-09-30 2008-01-1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05231562A (ja) * 2004-02-20 2005-09-02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キャブパネル構造
JP4347730B2 (ja) 2004-03-15 2009-10-2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05350911A (ja) 2004-06-09 2005-12-22 Komatsu Ltd 作業車両
CN101223076B (zh) * 2005-07-19 2011-03-23 株式会社小松制作所 建筑机械驾驶室结构
CN101223077B (zh) * 2005-07-19 2010-05-26 株式会社小松制作所 建筑机械驾驶室结构
JP4704858B2 (ja) 2005-08-26 2011-06-2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7503419B2 (en) * 2005-09-26 2009-03-17 Kubota Corporation Backhoe
JP2008013033A (ja) 2006-07-05 2008-01-24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CN101135172B (zh) * 2006-08-28 2012-02-01 卡特彼勒公司 用于工程机械车辆的驾驶室结构和带有此结构的车辆
JP4486655B2 (ja) * 2007-02-19 2010-06-23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建設機械の運転室構造
JP4880757B2 (ja) * 2007-08-13 2012-02-2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4906132B2 (ja) * 2009-04-22 2012-03-28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建設機械におけるキャブ
JP4976594B2 (ja) * 2009-11-20 2012-07-18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03066A4 (en) 2013-08-07
EP2503066B1 (en) 2014-08-20
WO2011061993A1 (ja) 2011-05-26
EP2503066A1 (en) 2012-09-26
US20120134768A1 (en) 2012-05-31
CN102648319A (zh) 2012-08-22
JPWO2011061993A1 (ja) 2013-04-04
CN102648319B (zh) 2014-10-15
US8632122B2 (en) 2014-01-21
JP4976594B2 (ja) 2012-07-18
KR101745530B1 (ko)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3137A (ko) 건설 기계
JP5865384B2 (ja) 小型の建設機械
CN100482901C (zh) 具有旋转台的旋转作业机
JP4226546B2 (ja) 旋回作業機
JP2007038829A (ja) 建設機械のキャブの構造
KR20130038180A (ko) 건설기계
JP2001279719A (ja) 小型油圧ショベル
JP2007063876A (ja) 電装品収納装置
JP4134013B2 (ja) 旋回作業機の後上部支持フレーム構造
JP2005048380A (ja) 建設機械
JP2003221840A (ja) 建設機械
JP4303169B2 (ja) 建設機械
JP2000170219A (ja) 油圧ショベルのコントローラ配置構造
JP2014031686A (ja) 旋回作業機
JP4226507B2 (ja) 旋回作業機のカバー装置
JP4226505B2 (ja) 旋回作業機
JP6807886B2 (ja) 建設機械
JP4246028B2 (ja) エンジンルームのカバー装置
JP4133899B2 (ja) 旋回作業機
JP4266868B2 (ja) 旋回作業機の旋回台構造
JP3737998B2 (ja) 旋回作業機
JPH0579058A (ja) 建設機械の運転席構造
JPH10121520A (ja) 作業機の操縦部フロアー
JP2000096612A (ja) 旋回作業機並びにこれに用いるキャビン
JP2007204993A (ja) 作業車のキャノ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