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1871A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871A
KR20120091871A KR1020110011939A KR20110011939A KR20120091871A KR 20120091871 A KR20120091871 A KR 20120091871A KR 1020110011939 A KR1020110011939 A KR 1020110011939A KR 20110011939 A KR20110011939 A KR 20110011939A KR 20120091871 A KR20120091871 A KR 20120091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indow
protective layer
transparent
window body
opaqu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라 히라이
이동호
김선출
이상욱
정성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1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1871A/ko
Priority to JP2011068427A priority patent/JP5863260B2/ja
Priority to US13/315,262 priority patent/US8887425B2/en
Priority to TW100148307A priority patent/TWI524112B/zh
Priority to CN201210004229.3A priority patent/CN102637384B/zh
Publication of KR20120091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벼우면서도 외부 충격에 강하고, 가공시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는 커버 윈도우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투명부 및 상기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불투명부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커버 윈도우는 전면(前面)에 투명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보호층이, 상기 커버 윈도우의 불투명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후면(後面)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 커버 윈도우를 갖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 내비게이션, 디지털 사진기, 전자 북, 휴대용 게임기, 또는 각종 단말기 등과 같이,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나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가 표시장치로서 적용된 다양한 모바일 전자 기기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통상의 표시 장치에서, 표시 패널의 전방에는 사용자가 표시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게 구성된 투명 커버 윈도우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투명 커버 윈도우는 장치의 가장 외부에 형성된 구성이기 때문에, 기기 내부의 표시 패널 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외부 충격에 강해야 한다.
나아가, 스위치나 키보드를 입력장치로 사용하던 종래의 방식 대신, 최근에는 표시 화면과 일체로 이루어진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구조가 널리 보급되어, 종래의 모바일 기기에 비해 투명 커버 윈도우의 표면이 손가락 등과 접촉하는 일이 많아지게 되어, 보다 강한 강도가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투명 커버 윈도우로서 강화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나, 강화 유리를 사용한 투명 커버 윈도우는 중량이 무겁고, 또한 보다 높은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강화 유리의 두께를 두껍게 할 경우 장치의 중량 및 두께가 모두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강화 유리의 경우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금형 및 고온의 생산 환경이 요구되어, 다양한 디자인으로 성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플라스틱 기재의 표면에 하드 코트 재료 등을 도포하여 보호층을 형성하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으나, 상기 보호층 두께를 얇게 형성할 경우 보호층을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은 가능하나, 요구되는 고강도를 얻을 수 없고, 반대로 원하는 강도를 얻기 위해 보호층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할 경우 표면의 평활도를 얻기 어렵고, 원하는 형상을 얻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벼우면서도,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강하고, 성형하기 용이하며, 균일한 두께의 보호층을 갖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투명부 및 상기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불투명부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투명부 및 불투명부가 형성된 커버 윈도우 본체, 및 상기 커버 윈도우 본체의 전면(前面)에 형성된 투명 보호층을 포함한다. 상기 투명 보호층은 상기 커버 윈도우 본체의 불투명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후면(後面)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명 보호층은 자외선 및/또는 열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져도 좋다.
상기 투명 보호층은 투명 입자를 더 포함하여도 좋다.
상기 투명입자는 상기 자외선 및/또는 열 경화성 수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율을 가져도 좋다.
상기 표시 패널 및 커버 윈도우 사이에는 터치 패널이 더 포함되어도 좋다.
상기 커버 윈도우 본체는 상기 불투명부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 윈도우 본체와 상기 투명 보호층 사이에 마스킹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커버 윈도우 본체는 홀을 구비하고, 상기 불투명부가 상기 홀 주위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커버 윈도우 본체의 상기 투명부는, 상기 투명 보호층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져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불투명부를 갖는 커버 윈도우 본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커버 윈도우 본체를 금형 내부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금형과 상기 커버 윈도우 본체 사이에 보호층 형성용 수지를 주입하여 투명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 보호층의 형성에 사용되고 남은 여분의 보호층 형성용 수지를 상기 불투명부에 대응하는 상기 커버 윈도우 본체의 후면으로 수용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층 형성용 수지를, 자외선 및/또는 열에 의해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가벼우면서, 동시에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강한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의 투명 보호층을, 강도 손상 없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를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표시한 II-II'따라 잘라서 본 커버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례에 따른 커버 윈도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표시한 IV-IV'따라 잘라서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한편, 명세서 전반에 걸쳐, 표시장치의 '전면' 및 '후면'이란, 각각 도면에 있어서 z축 방향의 윗면 및 z축 방향의 아랫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100)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10)과, 표시 패널(10) 및 각종 부품들을 수납하는 하우징(40)과, 표시 패널(10)의 전방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0)을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2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표시 패널(1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이외에 다른 표시 패널, 일례로 액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예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패널(10)은 가요성 인쇄회로(30)을 통하여 인쇄회로기판(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표시 패널(10)의 제1 기판(13) 위에는 영상 표현의 기본 단위인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고 있으며, 제2 기판(14)이 실링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제1 기판(13)에 접합되어 화소들을 보호한다. 제1 기판(13)이 후면 기판이 되고, 제2 기판(14)이 전면 기판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능동 구동형 유기 발광 표시 패널에서 화소는 애노드 전극과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 전극으로 구성되는 유기 발광 소자(도시하지 않음)와,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구동 회로부는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에는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에는 게이트 라인이 연결된다. 그리고 드레인 단자에는 유기 발광 소자의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이 연결된다.
박막 트랜지스터의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은 가요성 인쇄회로(30)을 통해 인쇄회로기판(50)에 연결된다. 인쇄회로기판(50)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와 게이트 단자에 전기 신호가 입력되면, 박막 트랜지스터는 신호 입력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어 화소 구동에 필요한 전기 신호를 드레인 단자로 출력한다.
집적회로 칩(26)은 제1 기판(13) 위에 실장되어 표시 패널(10)을 제어한다. 집적회로 칩(26)은 데이터 구동 신호 및 게이트 구동 신호를 적절한 시기에 인가하기 위한 타이밍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 신호들을 각각 표시 패널(10)의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에 인가한다. 집적회로 칩(26) 주위에는 보호막(25)이 형성되어 집적회로 칩(26)을 보호한다.
인쇄회로기판(50)에는 구동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소자들(도시하지 않음)이 실장된다. 인쇄회로기판(50)은 커넥터(51)와 연장부(52)를 포함하며, 연장부(52)는 커넥터(51)의 일단에 설치되어 외부 신호를 인쇄회로기판(50)으로 전송한다.
표시 패널(10)의 전방에는 표시 패널(10)을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20)가 위치한다. 커버 윈도우(20)는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표시 패널(10)이 외부 충격에 의해 깨지지 않도록 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표시 패널(10)과 커버 윈도우(20)는 소정의 접착층(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 표시패널(10)과 커버 윈도우(20)가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 윈도우(20)는, 표시 패널(10)의 표시부(11)에 대응되는 영역에 표시부(11)가 외부로부터 시인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된 투명부(211) 및 표시패널(10)의 비표시부(12)에 대응되는 영역에, 비표시부(12)가 외부로부터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불투명하게 형성된 불투명부(212)를 갖는 커버 윈도우 본체(21)를 포함한다. 불투명부(212)는 표시 패널(10)의 비표시부(12)에 형성된 배선이나 부품 등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가리는 역할을 한다. 불투명부(212)에는 제품의 로고나 장식용 문양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커버 윈도우 본체(21)의 전면 전체, 측면, 및 후면의 불투명부(212)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투명 보호층(22)을 포함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커버 윈도우(2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표시한 II-II'선을 따라 잘라서 본 커버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커버 윈도우(20)는 투명부(211)와 불투명부(212)를 갖는 커버 윈도우 본체(21)를 투명 보호층(22)이 커버하여 형성된다.
상기 커버 윈도우 본체(21)는 합성 수지, 유리, 세라믹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불투명부(212)는 투명한 커버 윈도우 본체(21)에서 투명부(211) 이외의 부분에 인쇄 또는 가식(加飾)성형을 통하여 마스킹층(213)을 형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마스킹층(21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윈도우 본체(21)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커버 윈도우 본체(21)의 후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마스킹층(213)에 의해 불투명부(212)가 형성된 커버 윈도우 본체(21)에는 투명 보호층(22)이 커버된다. 상기 투명 보호층(22)은 자외선 또는 열에 의해 경화되거나, 자외선 및 열에 의해 경화되는 자외선 및/또는 열경화성의 투명 수지로 이루어 진다(이하, 투명 보호층(22) 형성을 위한 수지를 '보호층 형성용 수지'라고도 칭함). 자외선 및/또는 열경화성의 투명수지로는 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acrylate, PMMA), 폴리실세스퀴옥산(polysilsesquioxane, PSSQ)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투명 보호층(22)은, 커버 윈도우 본체(21)의 전면뿐만 아니라, 전면에서부터 연장되어, 측면, 및 후면의 불투명부(212)의 일부에 대응되는 영역에까지 형성되어, 특히 후면의 불투명부(212)에 대응하는 영역 상에 연장부(222)를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연장부(222)는, 커버 윈도우 본체(21) 상에 투명 보호층(22)을 형성할 때에, 여분의 수지를 수용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연장부(222)를 구비함으로써 투명 보호층(22)의 두께를 보다 얇고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장부(222)의 폭은, 제조 단계에서의 여분의 수지량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불투명부(212)의 폭보다 크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장부(222)가 불투명부(212)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연장부(222)가 불투명부(212)에 의해 가려져서 외부로부터 시인되지 않고, 따라서 표시 장치의 표시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자세한 제조 방법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커버 윈도우 자체가, 터치 패널을 구비하거나, 또는 터치 패널의 기능을 부가한 것일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변형례에 따른 커버 윈도우(20')의 본체 후면에, 터치 패널(T)을 구비하여 터치에 의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윈도우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할 경우, 사용자에 의해 터치 되는 부분이 투명 보호층(22)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터치에 의한 충격에 강하면서도 가벼운 커버 윈도우(20')를 얻을 수 있다.
도 4a는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례에 따른 커버 윈도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표시한 IV-IV' 따라 잘라서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커버 윈도우(20)의 불투명부(212)는 스피커, 마이크 등을 사용하기 위한 홀(214)을 더 구비하여도 좋다. 홀(214) 주위의 불투명부(212)에도, 내부 부품 등을 안보이게 하도록 마스킹층(2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투명 보호층(22)은 홀(214)의 내벽을 따라 연장되어, 커버 윈도우 본체(21) 후면의 불투명부(212) 일부에 형성된 연장부(222)를 가져도 좋다. 홀(214) 주위에 형성된 연장부(222)에 의해서도 투명 보호층(22) 형성시 발생하는 여분의 수지가 수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한 커버 윈도우 본체(21)에 마스킹층(213)을 구비하여 불투명부(212)를 형성하는 대신에, 커버 윈도우 본체(21')가 불투명부(212)에 해당하는 부분으로만 형성되고, 투명부(211)는 투명 보호층(22')과 동일한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투명 보호층(22')은, 커버 윈도우 본체(21')의 전면뿐만 아니라, 전면에서부터 연장되어, 측면, 및 후면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영역에까지 형성되어, 특히 후면의 불투명부(212)에 대응하는 영역 상에 연장부(222)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40)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 보호층(22)을 이루는 수지 내에 소정의 지름을 갖는 투명 입자(221)가 혼입되어 있다. 상기 투명 입자(221)의 입자 지름은, 투명 보호층(22)의 두께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보호층(22)의 두께 및 투명 입자(221)의 입자 지름은 1~100㎛의 범위에 속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입자(221)는 투명 보호층(22)을 이루는 수지의 굴절률과 같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수지와 굴절률이 다를 경우, 투명 입자(221)와 수지와의 계면에서 전반사가 일어나게 되어 투명 입자(221)가 기포처럼 보이게 되므로, 외관상 현저히 열악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투명 입자(221)로는, 투명 보호층(22)을 이루는 수지, 즉 자외선 및/또는 열 경화성 투명 수지로 이루어진 입자, 유리 입자, 실리카 입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투명 입자(221)를 함유함으로써, 투명 입자(221)가 투명 보호층(22) 형성시, 커버 윈도우 본체(21)와 금형(60, 도 7에 도시함) 사이에서 일종의 스페이서 역할을 하여, 커버 윈도우 본체(21)와 금형(60, 도 7에 도시함)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투명 입자(221)가 함유된 자외선 및/또는 열경화성 투명 수지를 원하는 투명 보호층(22)의 두께와 일정 격차 범위 내로 넣을 수 있고, 과도한 양의 수지를 주입하였을 때 필요한 후가공을 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우선, 커버 윈도우 본체(21)를 성형한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윈도우 본체(21)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료에, 불투명부(212)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인쇄 등의 방법에 의해 마스킹층(213)을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마스킹층(213)을 가식(加飾) 성형을 통해 투명한 플라스틱 재료 상에 형성하여도 좋다. 커버 윈도우 본체(21)는 표시 장치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커버 윈도우 본체(21)를 금형(60) 내에 배치한다. 금형(60)은, 그 내부가 커버 윈도우 본체의 형상을 갖고, 내부의 크기는 커버 윈도우 본체(21)보다 투명 보호층(22)의 두께만큼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금형(60)과 커버 윈도우 본체(21) 사이에, 소정량의 보호층 형성용 수지를 주입한다. 보호층 형성용 수지의 양은, 투명 보호층(22)의 두께에 따라 정밀하게 계측되어 정해질 것이나, 일반적으로 투명 보호층(22)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양보다 조금 많은 상태로 계측된다. 왜냐하면, 수지 양이 부족하게 되면, 투명 보호층(22)을 커버 윈도우 본체(21) 전체에 형성할 수 없어서 불량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때, 필요한 양보다 조금 더 많이 주입된 여분의 수지는, 커버 윈도우 본체(21)의 측면을 따라 이동하여, 커버 윈도우 본체(21)의 후면의 불투명부(212)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수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보호층 형성용 수지를 경화함으로써, 투명 보호층(22)을 구비한 커버 윈도우(20)를 형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표면에 미세한 크랙이 발생하지 않은투명 보호층(22)이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강한 커버 윈도우를 얻을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여분의 수지에 대해서, 경화 후 절단 등의 후가공에 의해 제거하였으나, 이에 의하면 미세한 크랙이 발생하여 커버 윈도우 전체의 강도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던 반면, 본 발명에서는, 여분의 수지를 커버 윈도우 본체(21)의 불투명부(212)에 대응하는 후면에 수용함으로써, 절단 등의 후가공 없이도, 원하는 두께의 투명 보호층(22)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커버 윈도우 본체(21)의 형상이 더욱 복잡한 입체 구조를 갖더라도, 보호층 형성용 수지를 도포한 후 경화하는 방법으로 커버 윈도우(20)를 형성하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형상의 커버 윈도우(20)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윈도우 본체(21)의 불투명부(212)에 마이크 등의 설치를 위한 홀(214)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여분의 수지는, 커버 윈도우 본체(21)의 측면뿐만 아니라, 상기 홀(214)을 통해서도 이동하여, 홀(214) 주변의 불투명부(212)의 후면으로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도 6과 같이 상기 자외선 및/또는 열경화성 수지에는 투명 입자(221)가 혼입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입자(221)에 의해, 상기 금형(60)과 커버 윈도우 본체(21)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투명 보호층(22)을 보다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본 설명에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과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조 방법의 제 1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불투명부(212)만을 갖는 커버 윈도우 본체(21')(도 5에 도시)를 사용한다. 즉, 제 1 실시예에서 투명부를 제거한 형상, 예를 들면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갖는 커버 윈도우 본체(21')를 금형(60) 내에 배치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 본체(21')는 불투명한 금속재료, 합성수지, 또는 유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보호층 형성용 수지를 주입하여, 투명부(211)에 해당하는 부분을 채운다. 또한, 불투명부(212)의 전면에도 보호층 형성용 수지를 주입한다. 그리고 나서 여분의 수지를 불투명부(212)의 후면에 수용하고, 상기 수지를 자외선 및/또는 열에 의해 경화 시켜서 투명부(211), 불투명부(212) 및 투명 보호층(22)을 갖는 커버 윈도우(20)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커버 윈도우(20)의 투명부(211)를 투명 보호층(22)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여 동시에 형성한다는 것 외에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과 동일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표시 장치 10: 표시 패널
11: 표시영역 14: 비표시영역
20: 커버 윈도우 21: 커버 윈도우 본체
22: 투명 보호층 211: 투명부
212: 불투명부 222: 연장부

Claims (16)

  1.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투명부 및 상기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불투명부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투명부 및 불투명부가 형성된 커버 윈도우 본체, 및
    상기 커버 윈도우 본체의 전면(前面)에 형성된 투명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보호층이, 상기 커버 윈도우 본체의 불투명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후면(後面)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보호층은 자외선 및/또는 열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보호층은 투명 입자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입자는 상기 자외선 및/또는 열 경화성 수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율을 갖는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 본체는 상기 불투명부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 윈도우 본체와 상기 투명 보호층 사이에 마스킹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 본체는 홀을 구비하고, 상기 불투명부가 상기 홀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 본체의 상기 투명부와, 상기 투명 보호층이 동일 물질로 이루어 지는 표시장치.
  9.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불투명부를 갖는 커버 윈도우 본체를 제공하는단계;
    상기 커버 윈도우 본체를 금형 내부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금형과 상기 커버 윈도우 본체 사이에 보호층 형성용 수지를 주입하여 투명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 보호층의 형성에 사용되고 남은 여분의 보호층 형성용 수지를 상기 불투명부에 대응하는 상기 커버 윈도우 본체의 후면으로 수용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층 형성용 수지를, 자외선 및/또는 열에 의해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 본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커버 윈도우 본체의 상기 불투명부에 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 형성용 수지에는 투명 입자가 함유되어 있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 본체는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투명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 본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커버 윈도우 본체의 상기 불투명부에 대응하여, 마스킹층을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 본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커버 윈도우 본체의 상기 불투명부에 대응하여, 마스킹층을 가식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 본체는 상기 불투명부가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명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레임 형태의 불투명부 내부에 상기 보호층 형성용 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투명부를 형성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10011939A 2011-02-10 2011-02-10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9187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939A KR20120091871A (ko) 2011-02-10 2011-02-10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1068427A JP5863260B2 (ja) 2011-02-10 2011-03-25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3/315,262 US8887425B2 (en) 2011-02-10 2011-12-08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100148307A TWI524112B (zh) 2011-02-10 2011-12-23 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CN201210004229.3A CN102637384B (zh) 2011-02-10 2012-01-09 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939A KR20120091871A (ko) 2011-02-10 2011-02-10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871A true KR20120091871A (ko) 2012-08-20

Family

ID=46621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939A KR20120091871A (ko) 2011-02-10 2011-02-10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87425B2 (ko)
JP (1) JP5863260B2 (ko)
KR (1) KR20120091871A (ko)
CN (1) CN102637384B (ko)
TW (1) TWI524112B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5156A (ko) * 2013-03-20 2014-09-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KR101461611B1 (ko) * 2013-11-18 2014-11-19 주식회사 비엠솔루션 패널 보호용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작방법
KR20150000756A (ko) * 2013-06-25 2015-0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WO2015034219A1 (ko) * 2013-09-03 2015-03-12 주식회사 비엠솔루션 패널 보호용 윈도우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KR20170043302A (ko) * 2015-10-13 2017-04-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윈도우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US9697764B2 (en) 2012-11-14 2017-07-04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bent display area for reduced bezel width
KR20170122932A (ko) * 2016-04-28 2017-11-0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커버 윈도우
KR20190020371A (ko) * 2017-08-21 2019-03-04 (주)엘지하우시스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
KR20200073461A (ko) * 2018-12-14 2020-06-24 (주)엘지하우시스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6548A (ko) 2012-10-29 2014-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EP2941150B1 (en) * 2013-01-04 2019-02-06 Garmond Pty. Limited Picture frame assembly
KR20140095851A (ko) * 2013-01-25 2014-08-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40124078A (ko) * 2013-04-15 2014-10-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415608B1 (ko) 2013-09-03 2014-07-04 주식회사 비엠솔루션 패널 보호용 윈도우 제조 장치
KR101423222B1 (ko) * 2013-09-03 2014-07-24 주식회사 비엠솔루션 패널 보호용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415606B1 (ko) 2013-09-03 2014-07-04 주식회사 비엠솔루션 패널 보호용 윈도우 제조 방법
KR101415605B1 (ko) * 2013-09-03 2014-07-04 주식회사 비엠솔루션 패널 보호용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작방법
WO2015034218A1 (ko) * 2013-09-03 2015-03-12 주식회사 비엠솔루션 패널 보호용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작방법
KR102377785B1 (ko) 2014-02-10 2022-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19843B1 (ko) 2014-02-10 2020-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FR3025967B1 (fr) * 2014-09-12 2018-03-23 Thomson Licensing Procede d'obtention d'une face d'habillage d'un equipement electronique, habillage, equipement et dispositif correspondants
KR102664309B1 (ko) * 2016-09-30 2024-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102443605B1 (ko) * 2017-09-06 2022-09-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그 제조 방법
JP7147413B2 (ja) * 2017-10-02 2022-10-05 凸版印刷株式会社 液晶パネル及び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CN108492722A (zh) * 2018-06-22 2018-09-04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显示组件及电子设备
CN109377886A (zh) * 2018-12-17 2019-02-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覆盖窗结构及柔性显示装置
KR102068729B1 (ko) * 2019-04-26 2020-01-28 (주)유티아이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CN112888201B (zh) * 2019-11-29 2023-02-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的背盖、电子设备及背盖控制方法
CN112327073B (zh) * 2020-10-09 2022-11-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屏测试设备及柔性屏测试方法
TWI790627B (zh) * 2021-05-27 2023-01-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CN114387886B (zh) * 2022-01-27 2023-11-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折叠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1599A (ja) * 1996-12-05 1998-06-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表示装置
JPH10333584A (ja) * 1997-06-02 1998-12-18 Pioneer Electron Corp 表示装置の保護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522184B2 (ja) * 2000-03-31 2004-04-26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携帯電話機等用薄肉窓カバーの製造方法
JP2002271460A (ja) * 2001-03-09 2002-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及び枠蓋装置
JP2005227488A (ja) * 2004-02-12 2005-08-25 Seiko Epson Corp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板の製造方法及び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板、並びにこれを備えた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CN2862085Y (zh) * 2005-12-23 2007-01-24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JP5125345B2 (ja) 2007-09-19 2013-01-23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9245935A (ja) * 2008-03-12 2009-10-22 Jsr Corp 透明導電性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94528B1 (ko) * 2008-05-29 2011-12-19 니혼샤신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터치 입력 기능을 구비한 보호 패널
KR20080109684A (ko) 2008-06-25 2008-12-17 (주)쉘-라인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EP2320310A4 (en) * 2008-08-21 2014-11-12 Nissha Printing PROTECTIVE SCREEN HAVING TOUCH INPUT FUNCTION AND EXCELLENT SURFACE FLATNES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UCH A SCREEN OF PROTECTION
KR101007471B1 (ko) 2008-10-08 2011-01-12 이한준 2장의 유리기판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보호커버유리기판의 제조방법 및 평판디스플레이에 적용하는 상기보호커버 유리기판의 사용방법
JP2010160670A (ja) * 2009-01-08 2010-07-22 Seiko Epson Corp 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0186068A (ja) * 2009-02-12 2010-08-26 Epson Imaging Devices Corp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WO2010117115A1 (en) * 2009-04-09 2010-10-14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US20100284132A1 (en) * 2009-05-08 2010-11-11 Taiwan Green Point Enterprises Co., Ltd. Touch panel modu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201465453U (zh) * 2009-08-27 2010-05-12 吕强 平板显示设备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7764B2 (en) 2012-11-14 2017-07-04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bent display area for reduced bezel width
KR20140115156A (ko) * 2013-03-20 2014-09-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KR20150000756A (ko) * 2013-06-25 2015-0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WO2015034219A1 (ko) * 2013-09-03 2015-03-12 주식회사 비엠솔루션 패널 보호용 윈도우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KR101461611B1 (ko) * 2013-11-18 2014-11-19 주식회사 비엠솔루션 패널 보호용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작방법
WO2015072802A1 (ko) * 2013-11-18 2015-05-21 주식회사 비엠솔루션 패널 보호용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작방법
KR20170043302A (ko) * 2015-10-13 2017-04-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윈도우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122932A (ko) * 2016-04-28 2017-11-0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커버 윈도우
KR20190020371A (ko) * 2017-08-21 2019-03-04 (주)엘지하우시스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
KR20200073461A (ko) * 2018-12-14 2020-06-24 (주)엘지하우시스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63260B2 (ja) 2016-02-16
US8887425B2 (en) 2014-11-18
CN102637384B (zh) 2016-12-07
TWI524112B (zh) 2016-03-01
JP2012168493A (ja) 2012-09-06
TW201235736A (en) 2012-09-01
US20120204459A1 (en) 2012-08-16
CN102637384A (zh) 2012-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1871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84110B1 (ko)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JP4948686B2 (ja) ガラス複合体、ガラス複合体を用いた電子機器、及び、入力装置
US7924362B2 (en) Bezelless display system having a display assembly with an overlay including a transparent section optically bonded to a display region with an optical layer that includes a pre-cured adhesive preform
TWI594679B (zh) 電子面板及其製造方法與電子裝置
US20140133174A1 (en) Displays and Display Chassis Structures
US20210405440A1 (en) Display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KR102145388B1 (ko) 표시 장치용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윈도우의 제조 방법
US20140092346A1 (en) Borderless Display with Light-Bending Structures
TWI521247B (zh) 用於顯示器背光之具有整合反射器之光導板
US20090079706A1 (en) Display Device
KR102435439B1 (ko) 표시 장치
JP2012043165A (ja) 成形部材及び透光型入力装置
KR20160077065A (ko)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커버 유리 및 커버 유리를 구비한 표시 장치
CN103676227B (zh) 显示装置以及罩部件
KR20140127735A (ko) 도전성 필름, 도전성 필름 제조 방법, 및 도전성 필름을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KR20150095449A (ko) 터치센서 및 제조방법
US20140049727A1 (en) Electronic Device With Thermally Matched Light Guide Plate
KR101665906B1 (ko) 도전성 필름, 도전성 필름 제조 방법, 및 도전성 필름을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KR2019014211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80138311A (ko)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US20150002926A1 (en) Reflective Mold Apparatus and Methods for UV Curing
TWI699737B (zh) 顯示裝置及其製備方法
WO2014051849A1 (en) Light guide plates and optical films with mating alignment features
JP2012098973A (ja) ガラス複合体及びそのガラス複合体を用いた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