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0137A - 지방 분해 및 셀룰라이트 제거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방 분해 및 셀룰라이트 제거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0137A
KR20120090137A KR1020110003550A KR20110003550A KR20120090137A KR 20120090137 A KR20120090137 A KR 20120090137A KR 1020110003550 A KR1020110003550 A KR 1020110003550A KR 20110003550 A KR20110003550 A KR 20110003550A KR 20120090137 A KR20120090137 A KR 20120090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ibrosa
pilarcanta
obesity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민
김종태
안세진
Original Assignee
코슬릭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슬릭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슬릭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3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0137A/ko
Publication of KR20120090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1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라칸타 피브로사(Phyllacantha fibrosa) 추출물 및 해홍나물(Suaeda Maritima)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지방분해 촉진에 의한 슬리밍 효과, 비만 또는 국소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상기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에 바닐릴 부틸에테르, 카페인, 캡사이신, 참산호말(Corallina Officinalis) 추출물, 녹차 추출물,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Sphacelaria Scoparia) 추출물, 호스테일켈프(Laminaria Digitata) 추출물, 및 로투스 마리티무스(Lotus Maritimus)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상기 효과를 배가시킨 조성물 및 그의 용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지방 분해 및 셀룰라이트 제거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s for promoting lipolysis and removing cellulite}
본 발명은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지방 분해 촉진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해홍나물 추출물 및 선택적으로 기타 첨가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하지방 분해, 안티-셀룰라이트 및 피부 탄력 강화에 의한 슬리밍 효과와 같은 향장학적 용도, 및 비만, 부분비만, 셀룰라이트 또는 지방이영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와 같은 약학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기관 중 가장 큰 기관인 피부는 면적이 약 1.8 m2, 두께가 약 2-4 ㎜, 무게가 약 3 ㎏으로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진피 아래에 존재하는 피하지방층은 지방세포(adipocyte)의 소엽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외부의 열에 대해 피부 내부의 기관의 보호 및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 역할을 하며, 영양성분을 트리아실글리세롤(triacylglycerol)의 형태로 저장하여 필요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트리아실글리세롤은 지방분해 효소인 트리아실글리세롤리파아제(triacylgycerol lipase)의 작용에 의해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와 지방산 (fatty acid)으로 분해된다. 유리된 지방산은 알부민에 흡착되고 혈관을 통해 운반되어 인체 신진대사 과정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생성하는데 이용된다.
비만증 또는 지방이영양증(lipodystrophy)과 같은 질환은 내분비적 요인, 유전적 요인, 사회환경적 요인 등에 의해 상기 과정의 불균형이 발생하는 경우, 체내에 과잉된 에너지가 지방으로 축적됨으로써 야기되는 피하지방 조직의 이상 비대화에 기인한다. 지방조직의 비대화는 지방세포의 크기가 커지거나(지방세포 비대화) 그 수가 증가하는(지방세포 과형성) 현상으로, 이는 국소 정맥-림프 체계의 정체에도 영향을 미쳐 진피-피하 조직의 혈관조직 질환도 유발할 수 있다. 비만은 심혈관계 질환이나 당뇨, 호흡기 질환, 골관절염 등 각종 질환의 위험인자일 뿐만 아니라(Antipatis V. J. et al., 2001, Obesity as a global problem. In International textbook of obesity. Per Bjorntorp, ed. John Wiley & Sons Ltd, Chichester, UK. p3-22), 그 자체로서 독립된 질병으로 인식되며, 세계보건기구에서는 비만을 세계적인 영양문제로 다루어 건강을 해치는 단순 위험인자가 아닌 치료해야 할 질병으로 인식하고 있다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8.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Report of WHO Consultation on Obesity, Geneva). 비만은 에너지의 과다 섭취, 운동부족뿐 아니라 신경계 분비적 요인, 약물원인, 유전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므로 비만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식사, 운동, 행동 요법이나 약물 치료 등이 쓰이고 있다.
국소 비만은 복부, 둔대퇴부 등의 특정 부위에 과도하게 지방이 침착된 것으로, 내분비적, 해부학적 요인에 의해 여성에게 더욱 흔하게 나타난다. 국소 비만은 건강과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미용 성형적 측면에서도 개인의 심리적 위축과 사회적 부적응을 초래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특별하다.
지방이영양증(lipodystrophy)은 피하 결합조직의 일정한 부위에 국한한 지방질의 과잉에 기인한 것으로, 100 ㎛ 이상의 구상 지방세포로 이루어진 과형성된 지방소엽이 나타난다. 진피내 신진대사 기능의 결함으로 섬유아세포가 증식하고 국소적 정맥-림프 체계가 정체되면서 시작되며, 이에 따른 콜라겐의 생성, 섬유 증식 강화, 오렌지 피부 및 부종을 동반한다. 이러한 증상들이 더욱 진행되면 섬유화 및 경피화된 막질융기질환이 나타나며, 이는 비만증과 달리 식이 조절이나 운동으로도 개선시키기 어렵다.
셀룰라이트(cellulite)는 지방이영양증과 같은 병리에 의해 발생하지만 지방이영양증보다는 협소한 의미라고 할 수 있다. 셀룰라이트는 과도한 지방과 노폐물의 축적에 의한 순환장애로 피부가 거친 오렌지 껍질 같이 울퉁불퉁하게 되는 현상으로,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존재하는 피부의 진피층 내에서 생성되며 여성에서 특히 빈번하게 발생한다. 셀룰라이트 비만은 피하 지방조직의 이상 누적 외에도 임파체계의 이상으로 임파액이 인체조직 간극에 정체됨으로써 그 부위에 일종의 부종현상이 나타나 마치 살이 찐 것처럼 보이는 것으로, 체형 변화의 큰 요인이 된다. 조직 간극에 임파액이 정체되면 비만증과 같은 미용상의 문제뿐만 아니라 체내에 독성물질이 누적되어 피부세포에 악영향을 끼치고 세포의 영양섭취를 위한 이온화 활동을 저해하여 피부의 노화는 물론 세포의 괴사현상까지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방이영양증 및 셀룰라이트의 발생 원인은 단순한 비만과는 차이가 있으나, 근본적으로는 지방세포의 증가나 비대에 그 원인이 있으므로, 지방세포 내의 지방을 분해하여 배출시켜 주는 것이 궁극적으로는 건강을 유지하고 날씬하고 매끈한 몸매를 만드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건강의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과 경제적 독립 등의 사회적인 환경 변화에 의해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게 됨으로써 미의 관점에서 아름다운 몸매에 대한 관심도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러한 건강 및 미적 관점에서 비만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도 다각적인 측면에서 시도되고 있는데, 종래에 알려져 있는 비만 해소방법으로는 성형수술 외에 에너지 섭취의 저해 및 소비의 증대를 목적으로 한 식이요법, 운동요법, 수술요법, 약물요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비만을 완전하게 해결할 수는 없을 뿐만 아니라 요요 현상이나 심각한 부작용들이 보고되고 있어 안전성에 대한 명확한 보장이 없는 실정이다. 또한, 미적 관점에서 비만 해소에는 지방 분해와 더불어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부가적으로 요구되므로 상기 요법들이 모든 필요충분 조건을 충족하기에는 미비한 부분이 많다고 할 수 있다.
현재 많은 여성들이 성형수술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비용, 부작용 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저렴한 제품인 슬리밍(slimming) 및 안티 셀룰라이트(anti-celullite) 화장품에 대한 요구가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슬리밍 바디 케어 제품들은 식욕억제 약물 또는 이뇨제에 의한 일시적인 효과를 이용한 것에 불과하였고 어지러움, 구토, 불면증, 환각 증세 등의 부작용이 있었다. 기존의 슬리밍 제품에 함유되어 사용되고 있는 L-카르티틴, 호스체스트넛 등은 지방산을 분해해서 에너지화하거나 지방세포 주변의 임파액/혈액 등의 순환을 촉진시켜 셀룰라이트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나, 지방산 분해시 발생된 에너지가 다시 지방 축적(재합성)을 위해 사용되어 결과적으로 슬리밍 효과가 미비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 알려진 지방분해 촉진제로는 카페인이나 테오필린 같은 메틸잔틴계 물질이 있으며, 이들은 지방세포 내에서 지방 분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효소인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레이즈(adenylate cyclase)의 촉진 또는 포스포디에스테라제(phosphodiesterase)의 억제 효과를 통하여 지방 분해 효능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들은 중독성 물질이라는 인식과 기관지 확장과 월경 전 증후군 현상의 악화와 같은 부작용이 보고되어 안전성에 대한 보장이 없었다.
따라서 슬리밍제로서 종래의 물질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효능을 나타내면서도 인체에 대해서는 좀더 안전하고 친자연적인 천연물 소재를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방세포 내의 지방 분해를 촉진하여 비만, 국소 비만, 지방이영양증 또는 셀룰라이트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고, 아울러 피하지방 분해 및 안티-셀룰라이트 작용을 통한 슬리밍 효과를 나타내는 의약 또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종래의 슬리밍제보다 훨씬 상승된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 자극성 및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천연물 유래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슬리밍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방분해 촉진 효과가 우수한 필라칸타 피브로사(Phyllacantha fibrosa) 추출물 및 해홍나물(Suaeda Maritim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필라칸타 피브로사(Phyllacantha fibrosa)는 갈조류에 속하며 그의 추출물은 지방세포의 성숙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레시틴, 카페인, 글리세린, 커넬(kernel) 추출물 등과 조합되어 피부 외용제의 구성성분으로 사용된 바 있다.
해홍나물(Suaeda maritima)은 명아주과(Chenopodiaceae)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서, 바닷가 근처의 염분이 풍부한 토양에서 자라는 염생식물(halophyte)이다. 해홍나물의 열수추출물은 압착하여 액상 식물성 소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며(등록특허 제100448672호), 일반 육상 식물보다 극한 환경에서 서식하므로 다른 생물종보다 생물학적으로 이용가능한 2차 대사산물이 풍부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약학적 용도로는 뿌리 추출물에서 B. cereus, B. subtilis와 같은 그람 양성균, V. parahaemolyticus, V. alginolyticus, V. cholerae와 같은 그람 음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발견되었을 뿐이며 (한국생명과학회, 생명과학회지 제18권 제6호 pp776-781; 2008), 기타 생물학적 및 약학적 활성은 알려진 바 없다.
본 발명자들은, 필라칸타 피브로사(Phyllacantha fibrosa) 추출물 및 해홍나물(Suaeda Maritima) 추출물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중성 지방 분해를 현저하게 촉진하는 기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지방세포(adipocyte)에 처리한 경우 중성지방의 지방산 및 글리세롤로의 분해를 촉진시키며, 이러한 효과는 동량의 상기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두 추출물을 조합한 경우 현저히 상승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또한, 상기 효과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화장료로 사용되는 몇몇 성분들을 첨가했을 때 배가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용제 제형을 제조하여 사람의 피부에 적용한 경우, 피부자극 기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표 3) 피하지방 및 셀룰라이트가 유의하게 감소된다는 임상 결과를 얻음으로써(도 3 및 4)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분해 촉진, 안티-셀룰라이트 및 피부탄력 강화를 위한 슬리밍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슬리밍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비만, 부분비만, 셀룰라이트 비만 또는 지방이영양증을 예방 또는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추가적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인 비트로에서 배양된 지방세포와 접촉시켜, 지방세포 내 지방을 분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을 분해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지방세포 내의 트리아실글리세롤(triacylglycerol)을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 및 글리세롤(glycerol)로 분해함으로써, 지방 분해를 촉진시키는 효능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 각각은 수컷 위스터 랫트의 피하지방 조직으로부터 분리한 지방 세포에서, 상기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세포에 비해 글리세롤 유리 양을 감소시켜, 단독 추출물로도 지방분해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 비교제형예 2 및 3). 그러나 이들의 혼합물을 상기 비교제형과 동량으로 사용하는 경우, 지방분해 효능이 약 2배로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어,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이 단순한 산술적 합을 넘어서는 상승적 효과(synergistic effect)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도 1, 제형예 1 내지 5). 지방분해에 있어서의 이러한 상승적 작용은, 일정한 배합 범위 내에서는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의 중량 비율에 따라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대 해홍나물 추출물의 중량비가 약 3:1인 경우 지방분해 효능이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와 같이 지방 분해 효능을 나타내어, 이를 피부용 제형으로서 도포하는 경우 피하지방 및 셀룰라이트를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피부를 탄력있게 만들어주는 슬리밍 효과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크림 제제로 제형화한 시험 제품을 24시간 도포한 경우, 도포 부위에서 피하지방층 두께의 감소(도 3 및 4)가 관찰되어, 이러한 효능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피하지방 감소, 셀룰라이트 제거 효능은 통상적으로 체내 지방조직의 비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진 비만, 특히 국소 비만, 지방이영양증, 셀룰라이트 비만 등의 증상 및 원인을 예방 또는 개선시키는데 유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물성 성분으로부터 제조되므로, 통상의 화합물의 사용시 나타날 수 있는 피부 자극성 또는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다(표 3). 또한 종래에 알려진 지방분해 촉진제(메틸잔틴계 물질 등)에서 문제시되었던 중독성 또는 기관지 확장 등의 전신 작용을 나타내지 않아 비교적 고용량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나타내는 지방 분해 효능은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바닐릴 부틸에테르, 카페인, 캡사이신, 참산호말(Corallina Officinalis) 추출물, 녹차 추출물,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Sphacelaria Scoparia) 추출물, 호스테일켈프(Laminaria Digitata) 추출물 또는 로투스 마리티무스(Lotus Maritimus)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의 성분을 첨가하는 경우 보다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2).
상기 성분들 중, 바닐릴 부틸 에테르(4-(butoxymethyl)-2-methoxyphenol)는 화학식 C12H18O3 (분자량 약 210.27)을 갖는 옅은 황색의 액체이다. 착향 물질로서 화장료 등에 첨가제로 이용되거나, 자체적으로 헤어 컨디셔닝, 피부 컨디셔닝, 구강 청결제 등의 유효 성분으로도 사용된다.
본 발명의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카페인(caffeine)은 전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약물 중의 하나로서, 화학식은 C8H10O2N4이며, 3개의 메틸기를 갖는 잔틴 구조이다. 카페인은 브라질의 커피콩에 1.0 ~ 1.5 중량%, 동양의 루이보스잎에 1.0 ~ 5.0 중량% 등으로 존재하며, 백색의 연한 결정으로 찬물에는 녹기 어렵고 뜨거운 물에는 잘 녹으며 쓴 맛이 나는 특성이 있다. 중추신경 흥분제, 강심제, 이뇨제 등의 약리 작용이 있으며, 특히 셀룰라이트의 분해효과가 양호하여 바디 라인을 가꾸어주는 슬리밍 화장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캡사이신(capsaicin)은 고추에서 추출되는 무색의 휘발성 화합물로 C18H27NO3의 화학식을 갖는 알칼로이드이며 매운 맛을 내는 성분이다. 고추씨 및 껍질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약용 및 향료로 이용된다. 약학적으로는 진통효과를 이용한 진통제, 살균 작용을 이용한 방부제, 침샘 및 위샘 자극작용을 이용한 식욕촉진제로 사용되고, 최근에는 암 전이를 억제하는 효능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캡사이신은 또한 대사작용을 활발하게 하여 지방을 연소시킴으로써 체내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산호말(Corallina Officinalis)은 지누리아목 참산호말과의 홍조식물로서 몸체가 석질화되어 있으며 높이 5-8 cm이고 깃 모양의 가지를 갖는다. 조간대 아래에서 저조선 근처까지의 바위 위에 서식하며, 태평양 연안 북부 중부 등지에 분포한다.
녹차 추출물(green tea extract)은 수용성 성분으로 녹차플라보노이드, 아미노산 등의 많은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중 녹차 추출물에 0.1 ~ 9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어 있는 녹차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항산화 효과, 살균 효과 및 소취 효과 등을 나타낸다. 특히 카테킨 성분은 항산화 작용이 우수한 폴리페놀 성분의 일종이며 노화관리, 미백, 피부 진정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갈산염-3-에피갈로카테킨)는 녹차엽의 추출물인 폴리페놀의 일종으로 차잎에 10 내지 30% 함유되어 있다.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외에, 신종플루 H1N1 아형 바이러스 및 조류 인플루엔자에 대한 강력한 항바이러스 효능, 전립선암 성장 저해, 백혈병 치료 효과 백혈병 치료 효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졌다.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Sphacelaria Scoparia) 추출물은 스코파린(Scopariane)과 같은 갈조류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의 추출물, 즉 하이드로클리코릭 추출물(hydroglycolic extract)이다.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의 추출물은 지방산 신타아제(fatty acid synthase, FAS) 및 스테아로일-CoA 디새튜라아제(stearoyl-CoA desaturase, SCD-1)의 발현을 조절하며,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퍼밍(firming)을 돕는다. 특히 스코파린은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의 추출물 (Barnet, Engelwood Cliffs, NJ)로서 독특한 냄새를 갖는 벌꿀 색의 수용성 액체이다. 일 구체예에서,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의 추출물, 예를 들면 스코파린은 총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5 중량%로 포함된다.
호스테일켈프(Laminaria Digitata) 추출물은 갈조류에 속하는 다시마(Laminaria Digitata)로부터 얻어진다. 다시마는 미네랄, 아미노산, 알긴산 등을 풍부하게 함유하여 독소 제거 기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그 외에 미네랄 보충, 피부 재생을 통한 안색 정화기능이 알려져 화장료로 이용된다.
로투스 마리티무스(Lotus Maritimus) 추출물은 주로 잎 또는 꽃의 추출물을 사용하며, 항산화작용, 항염증 작용, 카페인 작용의 증강 효과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에는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기능이 밝혀져 글리세린과 배합한 화장료가 공지된 바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지방분해 성분"은 지방 분해 연소를 수행하거나 촉진하는 성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방 세포의 분해나 연소를 수행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셀룰라이트의 생성을 억제하거나 또는 제거하는데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는 모든 물질들을 포함한다. 상기 지방분해 성분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성분들 외에, 카페인 유도체, L-카르티틴,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테오필린(Theophylline), 호스체스트넛(Horsechestnut) 등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슬리밍제 성분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슬리밍"은 의학적 관점에서 체지방 감소를 통한 비만의 억제 및 예방뿐만 아니라, 미적인 관점에서 셀룰라이트의 감소를 통해 매끈하고 탄력있는 피부를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슬리밍용 조성물"은 본 발명에 의한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로서 슬리밍 효과를 갖는 것을 지칭하며, 선택적으로 바닐릴 부틸 에테르, 카페인, 캡사이신, 참산호말(Corallina Officinalis) 추출물, 녹차 추출물,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Sphacelaria Scoparia) 추출물, 호스테일켈프(Laminaria Digitata) 추출물, 로투스 마리티무스(Lotus Maritimus) 추출물 중 1종 이상, 기타 지방분해 성분 및 안티 셀룰라이트 성분을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은 필라칸타 피브로사 또는 해홍나물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 (예를 들면, 잎, 꽃, 열매, 껍질 및 줄기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한다.
용어 "추출물"은 필라칸타 피브로사 또는 해홍나물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추출 결과물뿐만 아니라, 필라칸타 피브로사 또는 해홍나물 자체를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도록 제형화 (예컨대, 분말화)한 가공물도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필라칸타 피브로사 또는 해홍나물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물,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해 분리한 분획물 등,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필라칸타 피브로사 또는 해홍나물 추출물을 상기 생약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는 경우에는, 극성 용매 및 비극성 용매를 포함한 다양한 추출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극성 용매로서 적당한 것은, 물,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아세트산, DMFO(dimethyl-formamide) 및 DMSO(dimethyl sulfoxide)를 포함한다. 적당한 비극성 용매로,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헥산,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글리콜, 헥산 및 디에틸에테르로부터 선택된다. 가장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추출물은 필라칸타 피브로사 또는 해홍나물의 수추출물이다.
추출은 50 내지 120 ℃, 바람직하게는 약 80 ℃에서, 2 내지 24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약 6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나, 상기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은 사용되는 생약(필라칸타 피브로사 또는 해홍나물)의 종류 및 추출용매의 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과정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농축 및/또는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농축 및/또는 건조는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필라칸타 피브로사 및/또는 해홍나물 추출물은 감압 증류된 농축액이거나, 이를 동결 건조에 의해 건조시킨 분말의 형태일 수 있다.
참산호말, 녹차,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 호스테일켈프 추출물 또는 로투스 마리티무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은, 각 재료를 분쇄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2종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 재료를 추출한 뒤 혼합하거나, 혼합한 뒤 분쇄한 다음 추출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생약 또는 그의 추출물 및 단일 화합물들은 국내, 또는 수입용 등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생약 또는 추출물의 경우 각각은 개개의 동속 식물로부터 유래된 것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슬리밍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을 각각 0.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 외의 유효성분이 사용되는, 이들은 각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1 내지 1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의 혼합물에 있어서, 각 추출물의 배합비는 중량 기준으로 20:1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1:1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해홍나물 추출물의 단독 지방분해 효능이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에 비해 낮은 점을 고려할 때, 상기 비율이 1:1 미만인 경우 지방분해 효능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비율이 20:1 이상인 경우 배합에 의한 상승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물은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과 해홍나물 추출물을 3:1의 중량비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는, 피부 외용제로 사용하기 위한,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특히 국소 비만, 셀룰라이트 비만, 지방이영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에 있어서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을 피부에 도포하여 비만, 국소 비만, 셀룰라이트 비만 및 지방이영양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병태를 예방, 치료 및 경감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외용 제제로서, 그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피부에 적용가능한 모든 제형으로 제제화 가능하다. 상기 제형은 예를 들면, 용액, 현탁액, 에멀젼, 연고,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스프레이, 팩, 피부접착용 패치, 드레싱, 함수성 첩부제 또는 비-함수성 첩부제,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늄,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가용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석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제제에는 상기 기재한 성분들 이외에 피부나 점막에 적용되는 화장료나 외용의 의약품ㆍ의약부외품에 배합되는 공지의 각종 성분을 적용량 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첨가 가능한 배합성분으로는 항산화제(예를 들면, 아스코르브산, 구연산과 같은 카르본산류; 토코페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과 같은 페놀류), 습윤제(예를 들면,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과 같은 글리콜류; 히알론산과 같은 유기염류; 요소와 같은 아미드류), 점조제(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고분자 화합물;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나트륨, 카르복시프로필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류), 완충제(예를 들면, 구연산, 락트산, 주석산과 같은 유기산류; 염산, 붕산과 같은 무기산류; 인산이수소나트륨, 구연산나트륨과 같은 염류; 트리에탄올아민과 같은 유기염기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과 같은 무기 염기), 흡착제(예를 들면, 카올린, 벤토나이트와 같은 함수 규산알루미늄류; 수산화알루미나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과 같은 무기염류), 기제(예를 들면, 백색 바셀린, Tween60, Tween80, 유동 파라핀, 밀랍, 바셀린, 피마자유, 실리콘유, 경화 피마자유, 천연고무,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천연고무 라텍스, 1,3-펜타디엔 공중합 수지와 같은 유기물; 폴리부텐, 합성 고무 SBR, 모노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티렌세트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티렌올레일세틸 에테르, 실리콘, 아크릴산 전분300,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메타아크릴산ㆍ아크릴산 n-부틸 코폴리머,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와 같은 고분자화합물; 스테아르산과 같은 지방산류; 세타놀, 미리스틸알코올과 같은 알코올류; 미리스틴산 옥타도데실,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옥탄산 세틸과 같은 지방산 에스테르류), 용제(예를 들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1,3-부틸렌글리콜, n-옥타데실알코올, 크로타미톤, 트리(카푸릴산ㆍ카푸론)글리세린과 같은 탄수화물), 안정화제(예를 들면, 메타인산나트륨, 산화아연, 산화티탄과 같은 무기염류;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 에테르 황산나트륨, 라우릴 황산나트륨과 같은 유기 염류), 점착제(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디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고분자 화합물), 유화제(예를 들면, 모노올레핀산 솔비탄, 모노올레핀산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D-솔비톨, 모노라우린산 폴리글리세린,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 에테르 황산나트륨과 같은 탄수화물), 계면활성제(예를 들면, 모노라우린산 폴리글리세린,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 알코올 에테르과 같은 고분자 화합물) 외에, 향료, 색소(염료, 안료), 금속 봉쇄제, 방취제, 피막 형성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산란제, 비타민류 등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인체안전성을 위해 방부제(예를 들면, 데히드로초산, 살리실산, 에데트산 이나트륨과 같은 카르본산류; 파라옥시벤조산 에틸, 파라옥시벤조산 메틸, 파라옥시벤조산 이소프로필, 티몰과 같은 페놀류)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적용하고자 하는 피부 면적에 따라 적절한 양을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적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하루 1회 내지 수 회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적용하는 양 및 횟수는 개인의 피부 상태, 제형, 투여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비만 등 증상의 정도, 반응감응성, 적용 기간 등에 따라 필요에 따라 적절히 증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으로서 투여하는 경우, 당업자는 목적하는 효과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유효량은 1일 피부 표면적(cm2) 당 0.1 mg 내지 5000 mg, 바람직하게는 100 mg 내지 500 mg 범위 내로서, 이를 1일 1 내지 5회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 제형은 단일투여 또는 반복투여 제형일 수 있으며, 상기 1일 유효량을 임의로 수회 나누어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의 투과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 소노포레시스(sonophoresis),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 마이크로전자 패취(microelectric patch), 기계적 압력, 삼투압 구배, 차폐 요법(occlusive cure) 또는 미세주입요법, 또는 이들을 조합한 투여방법에 의해 피부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의 요법으로 이용될 수 있으나, 운동 요법, 지방 흡입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식이요법 등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는 피부에 적용되는 모든 제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스프레이, 팩 등과 같은 화장품류 뿐만 아니라,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 로션, 클렌징 크림, 바디 로션, 바디 크림, 바디 오일, 바디 세정제, 샴푸, 연고, 패취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밖에도, 화장, 세제, 및 섬유 등 피부에 접촉하는 피부 접촉 물질로서도 제조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균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시 지방세포 내에 축적된 중성 지방을 글리세롤과 유리 지방산으로 분해하여 지방 배출을 촉진하고 지방세포 크기를 감소시키므로, 피하 지방 및 셀룰로오스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유래 성분을 사용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피부 자극을 유발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이어트 슬리밍 및 안티 셀룰라이트 화장품에 적용할 수 있는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비만, 특히 국소 비만, 셀룰라이트 비만 또는 지방이영양증을 예방 및 개선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추출물의 배합 비율별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 외에 추가적인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사람의 대퇴부에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을 1: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제형을 도포한 경우, 진피와 피하 지방 경계면의 두께에 미치는 영향을 시간에 따라(사용 전, 사용 2주 및 4주 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을 1: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제형을 도포하기 전과 후(4주차), 대퇴부의 피하지방층 두께 변화를 비교 촬영한 초음파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증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필라칸타 피브로사 수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필라칸타 피브로사 수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프랑스산 필라칸타 피브로사를 사용하였다. 이를 물로 깨끗하게 세척하여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필라칸타 피브로사의 줄기 및 잎 1 Kg에 물 10배 양을 가하고 50 ℃에서 24시간 추출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였다. 상등액을 별도로 모아두고, 침전물은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1회 반복 추출하였다. 각각 추출 분리된 상등액을 원심분리 및 여과시킨 후, 여액을 감압 농축하고 수분함량이 5% 내외가 되도록 동결건조시켰다. 수득된 최종 분말 시료 40 g을 냉동실에 보관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제조예 2: 해홍나물 수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해홍나물 수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국내산 해홍나물을 사용하였다. 이를 물로 깨끗하게 세척하여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해홍나물 (전초) 1 Kg에 물 10배 양을 가하고 50 ℃에서 24시간 추출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였다. 상등액을 별도로 모아두고, 침전물은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1회 반복 추출하였다. 각각 추출 분리된 상등액을 원심분리 및 여과시킨 후, 여액을 감압 농축하고 수분함량이 5% 내외가 되도록 동결건조시켰다. 수득된 최종 분말 시료 55 g을 냉동실에 보관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슬리밍 조성물에 의한 지방분해 효능 평가 시험
인 비트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triacylglyceride) 분해 촉진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표 1의 조성(단위: 중량%)을 갖는 비교 제형 및 시험 제형을 사용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을 제외한 배지 조성은 동일하게 유지하였으며, 최적의 혼합비율을 결정하기 위해서 추출혼합물의 총 함유량은 동일하게 하고 각 추출물의 중량비만 변화시켜 시험 제형을 제조하였다.
방법
수컷 위스터 랫트(wister rat)의 피하지방 조직을 분리한 후 가위로 잘게 자르고, 0.05% 콜라게나아제 용액 중에서 37 ℃에서 1시간 동안 배양 및 여과하여 단일 지방세포를 얻었다. 추출물의 함량을 달리한 조성물의 중성지방 분해 촉진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으로 분리된 지방 세포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지방세포를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2회 세척하고 웰 당 1 X 10-6 개의 지방세포에 지방산이 없는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을 포함한 무색의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을 첨가하였다. 각각의 웰에 표 1과 같은 조성을 갖는 비교 제형 또는 시험 제형을 배양액에 처리하였다.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배지(BSA 함유 DMEM)만을 처리한 것을 음성 대조군(비교 제형예 1)으로 사용하였다.
시험군
비교제형예 제형예
1 2 3 1 2 3 4 5
추출물 A - 2 - 1 1.33 1.5 0.67 0.5
추출물 B - - 2 1 0.67 0.5 1.33 1.5
추출물 A: 필라칸타 피브로사 수추출물
추출물 B: 해홍나물 수추출물
단위: 중량%
배양 2시간 후에, 지방세포로부터 배양액 중으로 유리된 글리세롤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지방 분해 정도를 판단하였다. 글리세롤의 정량은 미국 시그마 사(St. Louis, MO, U.S.A.)로부터 구입한 GPO-트린더 키트를 이용한 발색반응법에 의해 수행하였으며,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4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결과를 음성 대조군(비교제형예 1)에서 유리된 글리세롤 농도를 100으로 하였을 때 각각의 결과에 대한 환산값으로 표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해홍나물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두 가지 추출물의 조합을 동량으로 사용한 경우 유리된 글리세롤의 농도가 현저하게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시험된 배합 범위(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해홍나물 추출물 = 1:3 ~ 3:1)에서는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지방분해 효과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다만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만을 사용한 경우에는 추출물 혼합물에 비해 지방분해 효과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하기 실시한 임상시험 결과와 함께, 본 발명의 조성물이 피하지방 분해, 안티-셀룰라이트와 같은 슬리밍 효과 및 비만 및 국소 비만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각각의 단독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양 추출물을 조합함으로써 더욱 극대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추가되는 유효성분에 따른 지방분해 효능의 평가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슬리밍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성분들을 첨가하였을 때, 각각의 첨가 성분에 따른 지방분해 촉진 효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지 않는 제형을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기본 제형으로는 실시예 1의 제형예 1을 사용하였다. 여기에 하기의 추가 성분들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중량%에 해당하는 양만큼 첨가하여 제조된 시험 제형 A 내지 I를 사용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외의 실험 재료 및 방법, 분석 방법은 실시예 1과 같았다.
A : 바닐릴 부틸 에테르,
B : 카페인
C : 캡사이신
D : 참산호말 추출물,
E : 녹차 추출물
F :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G :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 추출물,
H : 호스테일켈프 추출물
I : 로투스 마리티무스 추출물
각 제형에 대하여 얻어진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 제형 A 내지 F 모두에서,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만 포함하는 기본 제형에 비해 유의하게 상승된 지방분해 촉진 효과가 관찰되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적 성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배지만을 포함하는 음성 대조군에 비해 2 내지 2.5배의 글리세롤을 유리시켰으며, 매우 우수한 지방분해 촉진제로 기능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피부 안전성 시험
본 발명의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을 함유한 슬리밍용 화장료에 대한 피부 안전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제형예 3에 의해 제조된 크림을 사용하여 패치 테스트(Patch test)를 실시하였다. 총 10명의 피험자(연령 분포 21~45세, 평균 연령 32.0세)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건선, 습진 기타 피부 병변 보유자나 임신, 수유부 또는 피임제, 항히스타민제 등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은 본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방법
시험 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키고, 각 피험자의 팔에 시료를 10 mg씩 도포하고, 패치로 밀폐시켰다. 24시간 후에 패치를 제거하고 Marking pen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여 각각 24시간, 48시간 경과 후에 시험 부위를 관찰하였다. 피부 반응은 하기 표 2의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ICDRG)의 규정에 따라 판정하였다. 각 자극 정도에 해당하는 피험자의 수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기호 판정 기준 평가 평균 점수
± Doubtful or slight reaction and erythema 미소 자극 0 ~ 0.9
+ Erythema + Induration 경자극 1.0 ~ 2.9
++ Erythema + Induration + Vesicle 중자극 3.0 ~ 4.9
+++ Erythema + Induration + Bullae 강자극 5.0 이상
- Negative 무자극 0
결과
경과시간 제형예
24시간 0
48시간 0
안전성 시험 결과,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제형예 3)은 평균 자극 정도가 0으로 피험자 전원에서 피부 자극이나 기타 부작용 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통상의 사용량에서 피부에 안전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임상시험 평가- 대퇴부에 대한 슬리밍 효과 평가
본 시험에서는 병력 조사 및 피부 상태 진단을 통해 시험 목적에 적합한, 대퇴부 국소 비만 및 셀룰라이트가 있는 21~45세 (평균 연령 32.0세)의 여성 피험자 10명을 선정하였다 (Method of testing primary irritant substances 38(187): pp 1500-1541). 시험 제품은 하기의 제제예 3에 따라 제조된,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을 1:1로 함유하는 크림 제형을 사용하였다.
피험자로 하여금 시험 제품을 4주 동안 1일 1회(저녁) 대퇴부에 도포하도록 하였다. 제품 사용 전 (0주), 제품 사용 2주 및 4주 후 시점에 대퇴부의 진피와 피하지방 경계면의 길이를 측정하여 피하지방 감소량을 평가하였다. 또한 검사관들에 의한 육안 평가에 의해 셀룰라이트 제거 및 탄력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피부처짐, 매끄러움 항목에 대한 설문 평가를 실시하였다.
방법
초음파 촬영장치인 Dermascan® C를 이용하여 무릎을 기준으로 15 cm 위의 대퇴부에서 진피와 피하지방의 경계면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제품 사용 전, 제품 사용 2주 및 4주 후 시점에 이루어졌으며, 최초 측정시의 위치가 표시된 투명 필름(transparent sheet)을 이용하여 동일한 부위를 측정 후 대조 분석하였다. 각각의 시점에 10명의 피험자들로부터 얻어진 측정치(단위:mm)의 평균값을 사용하였으며, Student t-test를 이용한 양측검정으로 사용 전과 후를 비교하여 통계적인 유의성을 분석하였다(유의 수준: p=0.05). 분석한 결과를 하기 표 4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결과
N 평균 1 표준편차 SEM p 값 * 감소율(%)
0 10 15.33 1.29 0.41 - -
2 10 13.98 0.81 0.26 0.004* 8.81▼
4 10 13.49 0.49 0.15 0.001* 12.00▼
1 평균값의 감소는 진피와 피하지방의 경계면 두께의 개선을 나타냄(▼).
* 처리 전(O주)과 비교하여 p<0.05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함.
실험 결과,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한 시험 제품은 진피와 피하지방 경계면 두께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도 3 및 4). 구체적으로, 시험 제품의 적용 2주 경과시, 적용 전의 상태와 비교했을 때 상기 경계면 두께가 약 8.8% 감소했고, 4주 경과시 약 12 % 감소하여, 적용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피하지방층이 분해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육안 평가 결과, 제품 사용 전과 비교시 제품 사용 4주 후 대퇴부의 탄력성이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 셀룰라이트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피험자에 의한 설문 평가에서는, 제품 사용 4주 후 시점에 '피부 처짐 개선'항목에서 피험자의 70 %가, '매끄러움' 항목에서는 90 %가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시 지방분해를 촉진하여 지방세포의 수 또는 크기를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비만 및 국소 비만, 셀룰라이트 또는 지방이영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의한 셀룰라이트 제거 및 피부 탄력성 개선 효과를 나타내므로, 피부결을 매끄럽게 가꾸고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용 용도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의약의 일부 제제예가 제시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에멀젼, 연고,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스프레이, 팩, 피부접착용 패치, 드레싱, 함수성 첩부제 또는 비-함수성 첩부제,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등의 형태로, 가능한 가장 우수한 제제를 얻기 위하여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모든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제예 1: 화장수 제조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10.00(%)
해홍나물 추출물...................................10.00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2 % 수용액)...............12.00
크산탄검(2 % 수용액)...............................2.00
1,3-부틸렌글리콜...................................6.00
진한 글리세린......................................4.00
히알루론산나트륨 (1 % 수용액)......................5.00
유지...............................................2.00
세린...............................................1.00
비타민 C...........................................1.00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제조예 1 및 2에 따라 수득된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상기의 배합비(%)로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로션 제조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10.00(%)
해홍나물 추출물...................................10.00
수용성 콜라겐 (1 % 수용액)..............,..........1.00
시트르산나트륨...........................,.........0.10
시트르산...........................................0.05
감초 엑기스........................................0.20
1,3-부틸렌글리콜...................................3.00
유지...............................................2.00
세린...............................................1.00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제조예 1 및 2에 따라 수득된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상기의 배합비에 의해 로션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3: 크림 제조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10.00(%)
해홍나물 추출물...................................10.00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알레이트...................2.0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5.00
세틸알코올.........................................4.00
스쿠알렌...........................................6.00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6.00
스핑고당지질.......................................1.00
1.3-부틸렌글리콜...................................7.00
비타민 C...........................................1.00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제조예 1 및 2에 따라 수득된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상기의 배합비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Claims (7)

  1. 필라칸타 피브로사(Phyllacantha fibrosa) 추출물 및 해홍나물(Suaeda Maritima)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피하지방 분해, 셀룰라이트 제거 및 피부탄력 강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도를 위한 것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은 각각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0.0001중량%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의 배합비는 중량 기준으로 1:1 내지 20:1의 범위인 것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바닐릴 부틸 에테르, 카페인, 캡사이신, 참산호말(Corallina Officinalis) 추출물, 녹차 추출물,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Sphacelaria Scoparia) 추출물, 호스테일켈프(Laminaria Digitata) 추출물, 로투스 마리티무스(Lotus Maritimus)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물질은 각각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0.0001중량%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7.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 및 해홍나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국소 비만, 셀룰라이트 및 지방이영양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병태를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KR1020110003550A 2011-01-13 2011-01-13 지방 분해 및 셀룰라이트 제거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201200901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550A KR20120090137A (ko) 2011-01-13 2011-01-13 지방 분해 및 셀룰라이트 제거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550A KR20120090137A (ko) 2011-01-13 2011-01-13 지방 분해 및 셀룰라이트 제거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137A true KR20120090137A (ko) 2012-08-17

Family

ID=46883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550A KR20120090137A (ko) 2011-01-13 2011-01-13 지방 분해 및 셀룰라이트 제거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01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612B1 (ko) 2015-12-14 2017-03-24 주식회사 파이토코퍼레이션 나문재 속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90061500A (ko) 2017-11-28 2019-06-05 이정희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용기
KR20210158502A (ko) * 2020-06-24 2021-12-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612B1 (ko) 2015-12-14 2017-03-24 주식회사 파이토코퍼레이션 나문재 속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90061500A (ko) 2017-11-28 2019-06-05 이정희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용기
KR20210158502A (ko) * 2020-06-24 2021-12-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필라칸타 피브로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88881A (ko) 생약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20220287956A1 (en) Composition containing cirsium japonic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for stimulating melanogenesis
PL214285B1 (pl) Zastosowanie kompozycji zawierajacej rosline portulaka do poprawy estetycznego wygladu skóry
KR20180069756A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TW201642849A (zh) 包括芝麻素之組成物、其製造方法及用於皮膚抗老化及皮膚美白應用之用途
KR101908977B1 (ko) 렌즈콩, 캐럽콩, 연꽃씨 및 퀴노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수축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009766B1 (ko) 하고초 추출물 및 개사철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25239A (ko) 복분자 뿌리의 활성분획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0502172A (ja) 漢方薬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化粧料組成物
KR20190068363A (ko) 보검 선인장 열매 추출물과 판테놀, 히알루론산 및 베타인의 복합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90137A (ko) 지방 분해 및 셀룰라이트 제거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6922A (ko) 천연발효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의 완화 및 피부보습용 조성물
KR101065356B1 (ko) 동백박(동백종실 껍질 분말) 및 그 추출물의 이용
JP3998085B2 (ja) ヒアルロン酸量増加促進剤
JP2007084448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および皮膚外用剤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JP5717958B2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並びに該セラミド産生促進剤を用いた医薬品組成物、皮膚外用剤、化粧料組成物、及び化粧料
KR101415993B1 (ko) 옹기를 구비하는 추출기로부터 추출된 황기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48466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3918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32633B1 (ko)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항염증효과, 피부보호효과와피부탄력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9528A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