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9332A - Liquid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Liquid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9332A
KR20120079332A KR1020110000561A KR20110000561A KR20120079332A KR 20120079332 A KR20120079332 A KR 20120079332A KR 1020110000561 A KR1020110000561 A KR 1020110000561A KR 20110000561 A KR20110000561 A KR 20110000561A KR 20120079332 A KR20120079332 A KR 20120079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scaler
unit
signal
driv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5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택근
장재원
손기환
임채욱
전주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0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9332A/en
Publication of KR20120079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33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4Use of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for display data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PURPOSE: A display device is provided to place a scaler board outside a display module and connect the display module with the scaler board with a cable, there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module. CONSTITUTION: A display module(DM) includes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n image. A scaler board includes a scaler. The scaler converts an image signal inputted from an external system into a video signal suitable for resolution and picture quality of the display module. A cable(CB) connects the scaler board with the display module.

Description

표시장치{LIQUID DISPLAY DEVICE}Display device {LIQUI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모듈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표시장치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that can reduce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module.

종래의 표시장치는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스케일러보드를 구비한다. 이 스케일러보드는 표시장치가 영상을 표시하는데 필수적인 구성요소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스케일러보드가 표시모듈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어 표시모듈의 두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Conventional display devices have a scaler board for processing an image. This scale board is an essential component for the display device to display an image. However, in the related art, such a scaler board is embedded in the display module, there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modu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스케일러보드를 표시모듈의 외부에 별도로 위치시키고, 이를 표시모듈과 케이블을 통해 서로 연결함으로써 표시모듈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시각적으로도 깔끔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module by placing the scaler board separately from the display module, and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through the display module and the cable, and also visuall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can produce a clean imag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 표시모듈;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표시모듈의 해상도 및 화질에 부합되는 비디오신호로 변환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하는 스케일러보드; 및, 상기 스케일러보드와 상기 표시모듈간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module including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an image; A scaler board including a scaler for converting an image signal input from an external system into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olution and image quality of the display module; And a cable connecting the scaler board and the display module.

상기 스케일러보드는, 상기 표시모듈의 화면조절부로부터 제공된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화면조절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화면조절신호생성부; 상기 화면조절신호생성부로부터의 화면조절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케일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 상기 표시모듈에 구비된 백라이트의 광원들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광원구동전원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광원구동전원생성부; 상기 스케일러로부터 출력된 비디오신호를 저전압차동신호 레벨로 변조시켜 상기 표시모듈로 전송하는 차동신호송신부; 상기 광원구동전원생성부로부터의 광원구동전원 및 상기 차동신호송신부로부터의 비디오신호들을 상기 케이블로 전송하는 비디오출력단자;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의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단자;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의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영상입력단자; 상기 전원입력단자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승압 또는 감압하여, 상기 화면조절신호생성부,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 광원구동전원생성부 및 차동신호송신부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전원을 생성하는 구동전원생성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scaler board may include a screen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nd output a screen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an input signal provided from the screen control unit of the display module; A microcontroller unit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caler in response to the screen control signal from the screen control signal generator; A light source driving power generation unit generating and outputting a light source driving power required to drive the light sources of the backlight provided in the display module; A differential signal transmitter which modulates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scaler to a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level and transmits the video signal to the display module; A video output terminal for transmitting a light source driving power source from the light source driving power generating unit and video signals from the differential signal transmitting unit to the cable; A power input terminal to which power from the external system is input; An image input terminal to which an image signal from the external system is input; The driving power generation unit may further generate a driving power required to drive the screen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the microcontroller unit, the light source driving power generation unit, and the differential signal transmission unit by boosting or reducing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input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스케일러보드를 내부에 내장하는 스케일러케이스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caler case having the scaler board embedded therein.

상기 스케일러케이스에는 상기 비디오출력단자, 영상입력단자 및 전원입력단자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다수의 단자개구부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scaler case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rminal openings that expose the video output terminal, the image input terminal, and the power input terminal to the outside.

상기 스케일러케이스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가 상기 표시모듈의 후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further comprises a cradle for mounting the scaler case; The cradle is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상기 거치대는 상기 표시모듈의 후면부로부터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radle is removable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상기 스케일러케이스에 형성된 후크; 및, 상기 표시모듈의 후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 hook formed on the scaler case; And a latching groove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to which the hook is inserted.

상기 표시부는 표시모듈의 전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의 일측은 상기 표시모듈의 후면부에 설치된 외부신호입력부에 접속되며; 상기 케이블의 타측은 상기 스케일러보드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unit is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One side of the cable is connected to an external signal input unit installed at a rear side of the display module; The other side of the cable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scaleboard.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스케일러보드가 표시모듈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표시모듈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의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다.First, since the scale board is located outside the display module,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module can be reduced. As a result, the display device can be made slimmer.

둘째, 스케일러보드를 보드 케이스에 내장함으로써, 이 스케일러보드가 표시모듈의 외부에 위치하여도 시각적으로도 깔끔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다.Second, by embedding the scale board in the board case, even if the scale board is located outside the display module, it is possible to produce a visually clean image.

셋째, 스케일러보드가 내장된 보드 케이스를 표시모듈의 후면부에 탈착할 수 있으므로, 표시장치를 다른 곳으로 이동시킬 경우 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Third, since the board case having the built-in scaler board can be detach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this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when the display device is moved to another pla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보드 케이스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표시모듈을 상세 구성도
도 4는 도 1의 보드 케이스에 내장된 스케일러보드 및 이에 실장된 각종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보드 케이스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구비한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보드 케이스를 거치할 수 있는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 도면
1 illustrates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board case of FIG. 1; FIG.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isplay module of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aler board embedded in the board case of FIG. 1 and various components mounted thereon;
5 is a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having a cradle for mounting a board case;
6 is a view showing another structure that can be mounted on the board ca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 illustrates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모듈(DM)과, 스케일러보드가 내장된 보드 케이스(BC)와, 이 표시모듈(DM)과 스케일러보드간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케이블(CB)과, 그리고 표시모듈(DM)에 부착된 받침대(SP)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module DM for displaying an image, a board case BC with a built-in scaler board, a display module DM, A cable CB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caler boards to each other, and a pedestal SP attached to the display module DM.

표시모듈(DM)의 전면부에는 표시부가 형성되는 바, 이 표시부에는 화상을 표시하는 다수의 화상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A display unit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display module DM, and a plurality of images for displaying image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스케일러보드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모듈(DM)의 해상도 및 화질에 부합되는 비디오신호로 변환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한다. 이 스케일러보드는 이러한 스케일러가 표면에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으로서, 이 인쇄회로기판은 보드 케이스(BC)의 내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외부 시스템은 그래픽카드가 구비된 컴퓨터가 될 수 있다.The scaler board includes a scaler for converting an image signal input from an external system into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olution and image quality of the display module DM. This scale board is a printed circuit board in which such a scaler is mounted on the surface, and this printed circuit board is provided inside the board case BC. Here, the external system may be a computer equipped with a graphics card.

케이블(CB)은 스케일러보드와 표시모듈(DM)간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이 스케일러보드로부터의 각종 신호들을 표시모듈(DM)로 공급함과 아울러, 또한 이 표시모듈(DM)로부터의 각종 신호들을 스케일러보드로 공급할 수 있다.The cable CB electrically connects the scale board and the display module DM to each other, thereby supplying various signals from the scale board to the display module DM, and also various signals from the display module DM. Can be supplied to the scaler board.

받침대(SP)는 표시모듈(DM)의 후면부 하측에 부착된다. 이때, 이 받침대(SP)와 표시모듈(DM)은 힌지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바, 이 표시모듈(DM)은 받침대(SP)의 힌지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pedestal SP is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DM. At this time, the pedestal SP and the display module DM are coupled in a hinged manner, and the display module DM may rotate based on the hinge axis of the pedestal SP.

특히, 본 발명에서의 스케일러보드는 표시장치의 외부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스케일러보드를 보드 케이스(BC)에 내장한 상태로 표시장치의 외부에 설치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표시모듈(DM)의 사이즈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이러한 스케일러보드가 표시모듈(DM)의 내부에 설치됨으로 인해 표시모듈(DM)의 사이즈가 커질 수밖에 없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스케일러보드를 내장한 보드 케이스(BC)를 표시모듈(DM)의 외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표시모듈(DM)의 두께를 종래에 비하여 더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스케일러보드를 외부에 위치시킬 경우, 종래에 비하여 표시모듈(DM)의 두께(d)를 약 20-35mm정도 더 얇게 형성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scaler boar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utside the display device.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caler board is installed outside the display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scale board is embedded in the board case BC, the size of the display module DM can be great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rt. That is, in the related art, since the scale board is installed inside the display module DM, the size of the display module DM has to be increased. Positioning the outside of the display module can relatively reduce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module DM as compared with the related art. As such, when the scale board is positioned outside, the thickness d of the display module DM may be about 20-35 mm thinner than in the related art.

도 2는 도 1의 보드 케이스(BC)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board case BC of FIG.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 케이스(BC)에는 비디오출력단자를 노출시키는 제 1 단자개구부, 영상입력단자(CNT_I)를 노출시키는 제 2 단자개구부(OP2) 및 전원입력단자(CNT_PW)를 노출시키는 제 3 단자개구부(OP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board case BC exposes a first terminal opening portion exposing a video output terminal, a second terminal opening portion OP2 exposing an image input terminal CNT_I, and a power input terminal CNT_PW. And a third terminal opening OP3.

도 3은 도 1의 표시모듈(DM)을 상세 구성도이다.FIG.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isplay module DM of FIG. 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DM)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PN), 게이트 드라이버(GD), 데이터 드라이버(DD), 타이밍 콘트롤러(TC), 차동신호수신부(Rx_LS), 백라이트구동부(BD) 및 백라이트(BL)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display module D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PN, a gate driver GD, a data driver DD, a timing controller TC, and a differential signal receiver Rx_LS. ), A backlight driver BD and a backlight BL.

표시패널(PN)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바, 이 표시부는 화상을 표시하는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한다. 이 화소들은 게이트 라인(GL)들과 다수의 데이터 라인(DL)들에 의해 정의된 매트릭스 형태의 화소영역들에 위치한다. 각 화소는 박막트랜지스터, 액정셀(Clc)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화소에 각각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의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L)들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액정셀(Clc)로 공급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형성된 액정셀에 저장된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The display panel PN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for displaying an image. These pixels are located in pixel areas of a matrix defined by gate lines GL and a plurality of data lines DL. Each pixel includes a thin film transistor, a liquid crystal cell Clc, and a storage capacitor Cst. Each of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formed in the pixel supplies an analog image signal from the data lines DL to the liquid crystal cell Clc in response to a scan signal from the gate line GL. The storage capacitor Cst maintains a constant voltage stored in the liquid crystal cell formed between the pixel electrode and the common electrode.

감마기준전압생성부(GRG)는 다수의 감마기준전압들을 생성하여 이들을 데이터 드라이버(DD)로 공급한다. The gamma reference voltage generation unit GRG generates a plurality of gamma reference voltages and supplies them to the data driver DD.

데이터 드라이버(DD)는 감마기준전압생성부(GRG)로부터 다수의 감마기준전압들을 공급받고, 이들을 내부의 저항 스트링을 이용하여 분압하여 다수의 감마계조전압들을 생성한다. 그리고, 이 감마계조전압들을 이용하여 타이밍 콘트롤러(TC)로부터의 비디오신호들을 아날로그 영상신호들로 변환한다. 그리고 이들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들을 표시패널(PN)의 데이터 라인(DL)들로 공급한다.The data driver DD receives a plurality of gamma reference voltages from the gamma reference voltage generation unit GRG, and divides them using an internal resistance string to generate a plurality of gamma gray voltages. The gamma gray voltages are used to convert video signals from the timing controller TC into analog video signals. The analog video signals are supplied to the data lines DL of the display panel PN.

타이밍 컨트롤러(TC)는 스케일러보드를 통해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비디오신호들을 액정패널(100)에 맞게 재정렬하여 데이터 드라이버에 공급한다. 그리고, 타이밍 콘트롤러(TC)는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의 타이밍 제어신호들(수평동기신호, 수직동기신호, 도트클럭, 데이터 인에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 드라이버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DCS)와, 게이트 드라이버(GD)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GCS)를 생성한다.The timing controller TC rearranges video signals provided from an external system through the scaler board to the liquid crystal panel 100 and supplies them to the data driver. The timing controller TC may include a data control signal DCS for controlling a data driver using timing control signals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dot clock, data enable) from the external system, The gate control signal GCS is generated to control the gate driver GD.

차동신호수신부(Rx_LS)는 스케일러보드의 차동신호송신부로부터 저전압차동신호(LVDS;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레벨로 공급되는 비디오신호들을 수신하는 수신부이다. 이 차동신호전송부와 차동신호수신부(Rx_LS)는 스케일러보드와 타이밍 컨트롤러(TC)간의 비디오신호들의 전송을 담당하는 인터페이스부이다.The differential signal receiver Rx_LS is a receiver that receives video signals supplied at a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LVDS) level from the differential signal transmitter of the scaler board. The differential signal transmitter and the differential signal receiver Rx_LS are interface units that are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video signals between the scaler board and the timing controller TC.

백라이트(BL)는 표시패널(PN)에 광을 제공한다. 이 백라이트(BL)에 구비된 광원들은 형광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가 될 수 있다.The backlight BL provides light to the display panel PN. The light sources included in the backlight BL may be fluorescent lamps or light emitting diodes.

백라이트구동부(BD)는 백라이트(BL)에 구비된 광원들을 구동하기 위한 광원구동신호를 생성한다.The backlight driver BD generates a light source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light sources provided in the backlight BL.

표시모듈(DM)에 구비된 차동신호수신부(Rx_LS)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신호들을 스케일러보드를 통해 공급받는 바, 이 스케일러보드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differential signal receiver Rx_LS provided in the display module DM receives various signals provided from an external system through a scale board. The scale boar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4는 도 1의 보드 케이스(BC)에 내장된 스케일러보드 및 이에 실장된 각종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aler board embedded in the board case BC of FIG. 1 and various components mounted there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일러보드(SB)는 스케일러(SCL)와, 화면조절신호생성부(DAG)와,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과, 광원구동전원생성부(LDG)와, 차동신호송신부(Tx_LS)와, 비디오출력단자(CNT_V)와, 전원입력단자(CNT_PW)와, 영상입력단자(CNT_I)와, 그리고 구동전원생성부(DVG)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scaler board SB includes a scaler SCL, a screen control signal generator DAG, a microcontroller unit MCU, a light source driving power generator LDG, and a differential signal. It includes a transmitter Tx_LS, a video output terminal CNT_V, a power input terminal CNT_PW, an image input terminal CNT_I, and a drive power generation unit DVG.

스케일러(SCL)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모듈(DM)의 해상도 및 화질에 부합되는 비디오신호로 변환한다.The scaler SCL converts an image signal input from an external system into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olution and image quality of the display module DM.

화면조절신호생성부(DAG)는 표시모듈(DM)의 화면조절부로부터 제공된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화면조절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즉, 이 표시모듈(DM)의 전면부의 하단에는 화면의 밝기, 콘트라스트, 크기 등을 조절할 수 있는 화면조절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이 화면조절장치는 일명 OSD(On Screen Display)장치라고도 불린다. 이 화면조절장치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바, 이 입력신호는 케이블(CB) 및 비디오출력단자(CNT_V)를 통해 화면조절신호생성부(DAG)로 공급된다. 즉, 이 케이블(CB) 및 비디오출력단자(CNT_V)에는 상술된 입력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라인들 및 전송핀들이 포함되어 있는 바, 이 입력신호는 이 케이블(CB)의 전송라인들 및 비디오출력단자(CNT_V)의 전송핀들을 통해 이 화면조절장치로 공급된다.The screen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DAG generates and outputs a screen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an input signal provided from the screen control unit of the display module DM. That is, a screen control device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contrast, size, etc. of the screen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rt of the display module DM. This screen control device is also called an OSD (On Screen Display) device. The screen control device generates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n input from a user, and the input signal is supplied to the screen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DAG through a cable CB and a video output terminal CNT_V. That is, the cable CB and the video output terminal CNT_V include transmission lines and transmission pins for transmitting the above-described input signal. The input signal includes the transmission lines and the video of the cable CB. It is supplied to this display device through the transfer pins of the output terminal (CNT_V).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은 화면조절신호생성부(DAG)로부터의 화면조절신호에 응답하여 스케일러(SCL)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The microcontroller unit MCU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caler SCL in response to the screen control signal from the screen control signal generator DAG.

광원구동전원생성부(LDG)는 표시모듈(DM)의 백라이트에 구비된 광원들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광원구동전원을 생성하여 출력한다.The light source driving power generation unit LDG generates and outputs a light source driving power required to drive the light sources provided in the backlight of the display module DM.

차동신호송신부(Tx_LS)는 스케일러(SCL)로부터 출력된 비디오신호들을 저전압차동신호 레벨로 변환시키고, 이 저전압차동신호 레벨의 비디오신호들을 표시모듈(DM)로 전송한다.The differential signal transmitter Tx_LS converts the video signals output from the scaler SCL into a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level and transmits the video signals of the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level to the display module DM.

비디오출력단자(CNT_V)는 광원구동전원생성부(LDG)로부터의 광원구동전원 및 차동신호송신부(Tx_LS)로부터의 비디오신호들을 케이블(CB)로 전송한다. The video output terminal CNT_V transmits the light source driving power source from the light source driving power generation unit LDG and the video signals from the differential signal transmitting unit Tx_LS to the cable CB.

전원입력단자(CNT_PW)에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의 전원이 입력된다. 이 전원입력단자(CNT_PW)로는 이 외부 시스템으로부터의 전원 대신에 독립적인 별도의 외부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Power from an external system is input to the power input terminal CNT_PW. The power input terminal CNT_PW may be provided with an independent separate external power source instead of the power source from this external system.

영상입력단자(CNT_I)에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의 영상신호가 입력된다.A video signal from an external system is input to the video input terminal CNT_I.

구동전원생성부(DVG)는 전원입력단자(CNT_PW)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승압 또는 감압하여, 화면조절신호생성부(DAG),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 광원구동전원생성부(LDG) 및 차동신호송신부(Tx_LS)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전원을 생성한다. 즉, 전원입력단자(CNT_PW)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12[V]가 될 수 있는 바, 이 구동전원생성부(DVG)는 이 12[V]의 전원을 감압하여 3.3[V]의 제 1 구동전원(PW1) 및 5[V]의 제 2 구동전원(PW2)을 생성하고, 또한 이 12[V]의 전원을 승압하여 60[V]의 제 3 구동전원(PW3)을 생성한다. 3.3[V]의 제 1 구동전원(PW1)은 스케일러(SCL),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 및 차동신호송신부(Tx_LS)에 공급된다. 그리고 5[V]의 제 2 구동전원(PW2)은 비디오출력단자(CNT_V) 및 케이블(CB)을 통해 표시모듈(DM)로 공급된다. 즉, 이 제 2 구동전원은 표시모듈(DM)의 직류-직류 변환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 직류-직류 변환부는 이 제 2 구동전원을 승압 또는 감압하여 도 3에 도시된 차동신호수신부(Rx_LS), 타이밍 컨트롤러(TC), 감마기준전압생성부(GRG), 데이터 드라이버(DD), 게이트 드라이버(GD) 및 백라이트구동부(BD)에 필요한 구동전원을 생성한다. 그리고, 60[V]의 제 3 구동전원(PW3)은 광원구동전원생성부(LDG)에 공급된다. 이 광원구동전원생성부(LDG)는 제 3 구동전원(PW3)을 이용하여 광원구동전원을 생성하고, 이를 비디오출력단자(CNT_V) 및 케이블(CB)을 통해 표시모듈(DM)의 백라이트구동부(BD)로 공급한다.The driving power generation unit DVG boosts or decompresses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input terminal CNT_PW, thereby adjusting the screen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DAG, the microcontroller unit, the light source driving power generation unit LDG, and Drive power required for driving the differential signal transmitter Tx_LS is generated. That is,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input terminal CNT_PW may be 12 [V], and the driving power generation unit DVG depressurizes the power of the 12 [V] to obtain the first 3.3 [V]. The drive power PW1 and the second drive power PW2 of 5 [V] are generated, and the power of 12 [V] is boosted to generate the third drive power PW3 of 60 [V]. The first drive power PW1 of 3.3 [V] is supplied to the scaler SCL, the microcontroller unit MCU and the differential signal transmitter Tx_LS. The second driving power PW2 of 5 [V] is supplied to the display module DM through the video output terminal CNT_V and the cable CB. That is, the second driving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DC-DC converter of the display module DM. The DC-DC converter boosts or decompresses the second driving power supply, thereby differential signal receiver Rx_LS, timing controller TC, gamma reference voltage generator GRG, data driver DD, and gate shown in FIG. Drive power required for the driver GD and the backlight driver BD is generated. The third driving power source PW3 of 60 [V] is supplied to the light source driving power generation unit LDG. The light source driving power generation unit LDG generates the light source driving power by using the third driving power PW3, and generates the backlight driving unit of the display module DM through the video output terminal CNT_V and the cable CB. B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케이스(BC)는 표시모듈(DM)에 장착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board case B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on the display module DM.

도 5는 보드 케이스(BC)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구비한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5의 우측의 점선안에는 거치대의 전개도가 나타나 있는 바, 중심부에 위치한 도면은 거치대의 정면도이고, 상측에 위치한 도면은 거치대의 상부면을 바라다본 상면도이고, 하측에 위치한 도면은 이 거치대의 하부면을 바라다본 하면도이다. 한편, 도 5의 좌측의 점선안에 위치한 도면은 이 거치대의 측면을 바라다본 측면도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having a cradle for mounting a board case BC. Here, the development of the cradle is shown in the dotted line of the right side of Figure 5, the drawing located in the center is a front view of the cradle, the drawing located on the upper side is a top view looking at the upper surface of the cradle, the drawing located on the lower side is this cradle The bottom view of the bottom view. On the other hand, the figure located in the dotted line on the left side of Figure 5 is a side view looking at the side of the cradl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모듈(DM)의 후면에는 보드 케이스(BC)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HD)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이 거치대(HD)는 보드 케이스(BC)가 안착되는 안착부(444)와, 이 보드 케이스(BC)가 이 거치대(HD)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막(333)을 포함한다. 이 거치대(HD)의 상부면(111a)은 보드 케이스(BC)의 제 2 및 제 3 단자개구부(OP2, OP3)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가지며, 또한 이 거치대(HD)의 하부면(111b)은 제 1 단자개구부(OP1)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는다. As shown in FIG. 5, a cradle HD for mounting the board case BC may be further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DM. The cradle HD includes a seating part 444 on which the board case BC is seated, and an anti-separation film 333 for preventing the board case BC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radle HD. The upper surface 111a of the holder HD has an opening for exposing the second and third terminal openings OP2 and OP3 of the board case BC, and the lower surface 111b of the holder HD is It has an opening that exposes the first terminal opening OP1.

이 보드 케이스(BC)를 거치대(HD)에 장착할 때, 먼저 이 보드 케이스(BC)의 상부면(제 2 및 제 3 단자개구부(OP2, OP3)가 형성된 면)을 이 거치대(HD)의 상측에 위치한 이탈방지막(333)의 내측으로 밀어 넣은 후, 이 보드 케이스(BC)의 하부면(제 1 단자개구부(OP1)가 형성된 면)을 이 거치대(HD)의 하측에 위치한 이탈방지막(333)의 내측으로 밀어 넣는다. 그러면, 이 보드 케이스(BC)의 하부면이 이 거치대(HD)의 하부면의 내측에 형성된 안착부(444)에 안착되면서 이 보드 케이스(BC)가 거치대(HD)에 거치된다.When the board case BC is mounted on the holder HD,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 case BC (th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and third terminal openings OP2 and OP3 are formed) is placed on the holder HD. After pushing the inner side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film 333 positioned above, the lower surface of the board case BC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terminal opening OP1 is formed) is plac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lder HD. Inside). Then, the board case BC is mounted on the holder HD while the lower surface of the board case BC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444 formed inside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HD.

이 거치대(HD)는 표시모듈(DM)로부터 탈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이 거치대(HD)와 표시모듈(DM)의 후면부간이 접촉되는 접촉면들에 각각 후크와 이 후크가 걸리는 걸림홈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즉, 거치대(HD)의 접촉면에 후크를 형성하고, 그리고 표시모듈(DM)의 접촉면(후면부의 접촉면)에 걸림홈을 형성할 수 있다.The holder HD may have a structure detachable from the display module DM. As one example, a hook and a locking groove to which the hook is engaged may be further formed on contact surfaces between the holder HD and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DM. That is, the hook may be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holder HD, and the locking groove may be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contact surface of the rear part) of the display module DM.

이때, 디자인적인 면을 고려하여, 이 후크가 거치대(HD)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이 후크와 거치대(HD)를 힌지 방식으로 결합함과 아울러 이 거치대(HD)에 이 후크가 삽입되어 내장될 수 있는 홈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표시모듈(DM)의 후면부에 형성된 걸림홈이 보이지 않게 이를 가릴 수 있으며 또한 필요시 이 걸림홈이 노출되도록 이 걸림홈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를 표시모듈(DM)의 후면부에 더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이 개폐부의 일측이 걸림홈의 내벽과 힌지 방식으로 결합되는 바, 이 개폐부는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질 경우 이 걸림홈의 내측으로 회전 삽입되며, 이 압력이 해제될 경우 원 위치로 복원하는 스프링 힌지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design, the hook and the cradle (HD) is coupled in a hinged manner so that the hook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cradle (HD), and the hook is inserted into the cradle (HD) is embedded It may further form a groove that can be. Similarly, the locking groove form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DM may be hidden so that the locking groove may be hidden from view and, if necessary,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may be opened or closed to open the opening of the locking groove so that the locking groove is exposed. You can install more.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coupled to the inner wall of the locking groove in a hinged manne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rotated and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locking groove when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 spring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Can be joined together in a hinged manner.

도 6은 보드 케이스(BC)를 거치할 수 있는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nother structure that can be mounted on the board case (BC).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보드 케이스(BC)와 표시모듈(DM)의 후면부간이 접촉되는 접촉면들에 각각 후크(555)와 이 후크(555)가 걸리는 걸림홈(666)을 형성하여, 이 보드 케이스(BC) 자체를 직접 표시모듈(DM)에 거치할 수 있다. 즉, 보드 케이스(BC)의 접촉면에 후크(555)를 형성하고, 그리고 표시모듈(DM)의 접촉면(후면부의 접촉면)에 걸림홈(666)을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hook 555 and the locking groove 666 on which the hook 555 is engaged are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s between the board case BC and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DM. The board case BC itself can be mounted directly on the display module DM. That is, the hook 555 may be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board case BC, and the locking groove 666 may be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contact surface of the rear part) of the display module DM.

여기서, 이 후크(555) 및 걸림홈(666)은, 도 5에서 상술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이 후크(555)가 보드 케이스(BC)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이 후크(555)와 보드 케이스(BC)를 힌지 방식으로 결합함과 아울러 이 보드 케이스(BC)에 이 후크(555)가 삽입되어 내장될 수 있는 홈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표시모듈(DM)의 후면부에 형성된 걸림홈(666)이 보이지 않게 이를 가릴 수 있으며 또한 필요시 이 걸림홈(666)이 노출되도록 이 걸림홈(666)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를 표시모듈(DM)의 후면부에 더 설치할 수 있다. 이 개폐부는 도 5에서 상술된 그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hook 555 and the locking groove 666 may have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That is, the hook 555 is coupled to the board case BC in a hinged manner so that the hook 555 can be inserted into the board case BC, and the hook 555 is attached to the board case BC. ) May be further inserted to form a groove that can be embedded. Similarly,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which can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locking groove 666 so that the locking groove 666 formed on the rear part of the display module DM is not visible and also exposes the locking groove 666 when necessary. It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DM). This opening and closing portion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described above in FIG. 5.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보드 케이스(BC) 역시 이 표시모듈(DM)로부터 탈착 가능하다.The board case BC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lso removable from the display module DM.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보드 케이스(BC)를 표시모듈(DM)에 장착함으로써, 표시장치를 다른 곳으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5 and 6, by mounting the board case BC to the display module DM, the display device can be easily moved to another plac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 플라즈마표시장치, 유기발광표시장치 등이 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plasma display devic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r the lik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general inventive concept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DM: 표시모듈 SP: 받침대
CB: 케이블 BC: 보드 케이스
d: 두께
DM: Display Module SP: Pedestal
CB: Cable BC: Board Case
d: thickness

Claims (8)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 표시모듈;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표시모듈의 해상도 및 화질에 부합되는 비디오신호로 변환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하는 스케일러보드; 및,
상기 스케일러보드와 상기 표시모듈간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A display module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 scaler board including a scaler for converting an image signal input from an external system into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olution and image quality of the display module; And,
And a cable connecting the scaler board and the display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러보드는,
상기 표시모듈의 화면조절부로부터 제공된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화면조절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화면조절신호생성부;
상기 화면조절신호생성부로부터의 화면조절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케일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
상기 표시모듈에 구비된 백라이트의 광원들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광원구동전원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광원구동전원생성부;
상기 스케일러로부터 출력된 비디오신호를 저전압차동신호 레벨로 변조시켜 상기 표시모듈로 전송하는 차동신호송신부;
상기 광원구동전원생성부로부터의 광원구동전원 및 상기 차동신호송신부로부터의 비디오신호들을 상기 케이블로 전송하는 비디오출력단자;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의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단자;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의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영상입력단자;
상기 전원입력단자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승압 또는 감압하여, 상기 화면조절신호생성부,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 광원구동전원생성부 및 차동신호송신부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전원을 생성하는 구동전원생성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caler board,
A screen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nd output a screen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an input signal provided from the screen control unit of the display module;
A microcontroller unit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caler in response to the screen control signal from the screen control signal generator;
A light source driving power generation unit generating and outputting a light source driving power required to drive the light sources of the backlight provided in the display module;
A differential signal transmitter which modulates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scaler to a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level and transmits the video signal to the display module;
A video output terminal for transmitting a light source driving power source from the light source driving power generating unit and video signals from the differential signal transmitting unit to the cable;
A power input terminal to which power from the external system is input;
An image input terminal to which an image signal from the external system is input;
The driving power generation unit may further generate a driving power required to drive the screen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the microcontroller unit, the light source driving power generation unit, and the differential signal transmission unit by boosting or reducing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input terminal.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러보드를 내부에 내장하는 스케일러케이스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caler case having the scaler board embedded therei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러케이스에는 상기 비디오출력단자, 영상입력단자 및 전원입력단자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다수의 단자개구부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caled case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 openings for exposing the video output terminal, the image input terminal and the power input terminal to the outsid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러케이스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가 상기 표시모듈의 후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It further comprises a cradle for mounting the scaler case;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adle is install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표시모듈의 후면부로부터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radle is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e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러케이스에 형성된 후크; 및,
상기 표시모듈의 후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hook formed on the scaler case; And,
The display device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ocking groove for the hook is inser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표시모듈의 전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의 일측은 상기 표시모듈의 후면부에 설치된 외부신호입력부에 접속되며;
상기 케이블의 타측은 상기 스케일러보드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unit is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One side of the cable is connected to an external signal input unit installed at a rear side of the display module;
And the other side of the cable is connected to the scaler board.
KR1020110000561A 2011-01-04 2011-01-04 Liquid display device KR2012007933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561A KR20120079332A (en) 2011-01-04 2011-01-04 Liquid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561A KR20120079332A (en) 2011-01-04 2011-01-04 Liquid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332A true KR20120079332A (en) 2012-07-12

Family

ID=46712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561A KR20120079332A (en) 2011-01-04 2011-01-04 Liquid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9332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45180A1 (en) * 2015-09-16 2017-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7527553A (en) * 2016-06-22 2017-12-29 三星显示有限公司 Support and the standoff display device of too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45180A1 (en) * 2015-09-16 2017-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6548762A (en) * 2015-09-16 2017-03-29 三星电子株式会社 Display device and its control device
CN107527553A (en) * 2016-06-22 2017-12-29 三星显示有限公司 Support and the standoff display device of to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737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a standby mode controller for storing a standby screen image
KR102529503B1 (en)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US71581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residual image in liquid crystal display
KR102325816B1 (en) Display Device Being Capable Of Driving In Low-Speed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20090127696A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020046661A (en)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KR101356370B1 (en) Method of Correcting Data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KR20180010351A (en) Display device
US20100097358A1 (en) Drive circuit for display panel, display panel modu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panel
KR20110071670A (en) Liquid crystal display
JP2007233340A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for
US20170186358A1 (en) Timing controller, data drive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US814920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595464B1 (en) Large scre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2543019B (en) Driving circu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576534B1 (en) Gate driver,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KR20120079332A (en) Liquid display device
US11688359B2 (en) Multi-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multi-directional driving method of the same
US841618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reducing ripple noise
KR101773195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739444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KR102558842B1 (en) Display device
KR101885930B1 (en) Lcd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58569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349777B1 (en) Back light control apparatus for liquid crystal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