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8613A - 압전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압전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8613A
KR20120068613A KR1020100130307A KR20100130307A KR20120068613A KR 20120068613 A KR20120068613 A KR 20120068613A KR 1020100130307 A KR1020100130307 A KR 1020100130307A KR 20100130307 A KR20100130307 A KR 20100130307A KR 20120068613 A KR20120068613 A KR 20120068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element
piezoelectric actuator
vibration
support memb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선
김재경
손연호
우기석
이금경
장지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0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8613A/ko
Priority to US13/019,481 priority patent/US8487513B2/en
Priority to CN201110038519.5A priority patent/CN102570898B/zh
Publication of KR20120068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6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B06B1/064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a single piezoelectric el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전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반복적으로 팽창-복원을 하여 선형으로 구동함으로써 진동을 발생시키는 압전소자와 상기 압전소자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압전소자에 접촉 연결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압전소자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재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액추에이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전 액추에이터{Piezoelectric Actuator}
본 발명은 압전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과 의사 소통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러 방법을 사용하는데, 그 중에서 감각 인터페이스의 일종인 햅틱(Haptic) 모듈이 적용된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촉각인지"를 뜻하는 햅틱은 입력기술인 터치 외에도 인터페이스에 사용자의 직관적 경험을 반영하고 피드백을 좀더 다양화한 개념이다. 이렇듯 UI가 주목받는 것은 전자기기 시장에서 하드웨어 경쟁이 한계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햅틱 모듈은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해결책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햅틱 모듈은 진동을 발생하기 위하여 피에조 효과를 이용한 압전 액추에이터를 이용한다.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는 사용자에게 진동을 통하여 피드백을 전달하는데 종래에는 사용자에게 진동을 전달하기 위하여 압전 액추에이터가 진동을 발생하는 시작시간(starting time)은 대략 9ms(millisecond, ms)이고 피드백을 전달한 후 진동이 감소하는 하강시간(falling time)은 대략 13.4ms이다 .
상기와 같이 종래의 압전 액추에이터는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응답을 전달하는데 문제가 있다.
또한 압전 액추에이터의 응답 시작시간 또는 하강시간 동안 사용자에게 잔 진동을 느끼게 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진동모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체를 울리는 방식이 아닌,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직접적으로 진동을 주어 사용자에게 기기의 작동에 따른 진동이 직접 피드백되는 것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즉각적인 응답 특성이 향상된 압전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반복적으로 팽창-복원을 하여 선형으로 구동함으로써 진동을 발생시키는 압전소자와 상기 압전소자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압전소자에 접촉 연결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압전소자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재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전소자, 상기 지지부재, 상기 재진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진부재는 상기 압전소자의 상부 및 상기 재진부재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압전소자의 팽창-복원에 따른 구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부 및 하부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진부재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부와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압전소자의 팽창-복원에 따른 구동에 의해 상기 압전소자의 상부 및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진부재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압전소자의 팽창-복원에 따른 구동에 의해 상기 압전소자의 상부 및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와 접촉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진부재는 상기 압전소자의 상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압전소자의 팽창-복원에 따른 구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부 및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압전소자가 반복적으로 팽창-복원을 하여 선형으로 구동함에 따라 상기 압전소자와 일체로 가변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서스(Sus) 또는 인바(Invar)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케이스를 결합시키며 상기 압전소자의 진동을 외부로 전달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지 재진부재는 상기 압전소자,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상,하부와 접촉 시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포른(Poron)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내부에 압전소자의 이동변위를 제한하는 재진부재를 포함하는 압전 액추에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진동을 전달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는 느낌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는 진동 감소 시 사용자가 잔 진동을 느끼지 못하게 함으로써 쾌적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의 주파수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가 반응하여 진동이 발생하는 시작시간(Starting time)에 관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가 반응하여 진동이 감소하는 하강시간(Falling time)에 관한 그래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100)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00)는 압전소자(111), 지지부재(112), 재진부재(121, 122) 및 케이스(13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0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반복적인 팽창-복원을 하여 선형으로 구동함으로써 진동을 발생시키는 압전소자(111)와 상기 압전소자(111)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압전소자(111)에 접촉 연결되는 지지부재(11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12)는 상기 압전소자(111)가 반복적으로 팽창-복원을 하여 선형으로 구동함에 따라 상기 압전소자(111)와 일체로 가변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112)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서스(Sus) 또는 인바(Invar)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30)는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00)를 포함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30) 내부의 하부(132)에는 상기 지지부재(112)와 상기 케이스(130)를 결합시키며 상기 압전소자(111)의 진동을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00)와 접촉하는 주변 부품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결합돌기(133)가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진부재(121, 122)는 상기 압전소자(111)의 구동 변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압전소자(111)의 상부와 상기 지지부재(112)의 하부에 부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재진부재(121)는 상기 압전소자(111)의 상부에 부착되고 상기 재진부재(122)는 상기 지지부재(112)의 하부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반복적인 팽창-복원을 하는 상기 압전소자(111)는 상기 케이스(130) 내부의 상부(131) 및 하부(132)에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압전소자(111)의 구동 변위가 제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의 주파수 그래프이며, 점선은 종래의 압전 액추에이터의 주파수를 나타내며, 실선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의 주파수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압전 액추에이터는 공진 영역인 250Hz 영역에서 약 600μm(micrometer) 이상 650μm이하의 변위 량을 갖는다.
반면,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재진부재(121, 122)를 구비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00)는 공진 영역인 250Hz 영역에서 약 300μm 이상 350μm이하의 변위 량을 갖는다.
또한 공진 영역의 ±50Hz 영역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00)의 변위 량은 종래의 압전 액추에이터의 변위 량보다 낮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00)는 변위 량이 적기 때문에 진동이 빠르게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신속한 피드백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또한 빠르게 감소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잔 진동을 전달하지 않게 된다.
하기의 표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00)의 상기 지지부재(112)의 재질을 서스(Sus)로 구성했을 경우,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00)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시작시간(Starting time-millisecond, ms)과 진동이 감소하는 하강시간(Falling time-millisecond, ms)에 대한 반복 실험 데이터이다.
횟수 1 2 3 4 5 6 7 8 9 10
시작시간
(Starting time-
millisecond)
4.0 4.0 4.0 4.0 3.8 4.0 4.0 4.0 4.0 4.0
하강시간
(Falling time-
millisecond)
7.0 7.0 6.8 7.2 6.8 7.0 6.8 6.8 6.8 6.8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00)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시작시간(Starting time)은 최대 4ms(millisecond, ms), 최소 3.8ms가 소요되었으며 평균 3.98ms가 소요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압전 액추에이터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시작시간인 9ms과 비교했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00)는 약 5ms 정도 빠르게 진동이 발생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00)는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진동을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는다는 느낌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00)는 사용자에게 진동을 전달한 후 진동이 감소하는 하강시간(Falling time)은 최대 7.2ms, 최소 6.8ms가 소요되었으며 평균 6.9ms가 소요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압전 액추에이터에서 진동이 감소하는 하강시간인 13.4ms과 비교했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00)는 약 6.5ms 정도 빠르게 진동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00)는 사용자에게 잔 진동이 느끼지 못하게 함으로써 쾌적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기의 표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00)의 상기 지지부재(112)의 재질을 인바(Invar)로 구성했을 경우,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00)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시작시간(Starting time)과 진동이 감소하는 하강시간(Falling time)에 대한 반복 실험 데이터이다.
횟수 1 2 3 4 5 6 7 8 9 10
시작시간
(Starting time-
millisecond)
4.0 4.0 4.0 4.0 4.0 4.0 4.0 3.8 3.8 4.0
하강시간
(Falling time-
millisecond)
7.0 7.0 7.0 7.0 7.2 7.2 6.8 6.8 6.8 7.2
상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00)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시작시간(Starting time)은 최대 4ms, 최소 3.8ms가 소요되었으며 평균 3.96ms가 소요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압전 액추에이터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시작시간인 9ms과 비교했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00)는 약 5ms 정도 빠르게 진동이 발생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00)는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진동을 전달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는다는 느낌을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00)는 사용자에게 진동을 전달한 후 진동이 감소하는 하강시간(Falling time)은 최대 7.2ms, 최소 6.8ms가 소요되었으며 평균 7ms가 소요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압전 액추에이터의 하강시간인 13.4ms과 비교했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00)는 약 6.4ms 정도 빠르게 진동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00)는 사용자에게 잔 진동이 느끼지 못하게 함으로써 쾌적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재(112)의 재질인 서스 또는 인바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압전소자(111)를 지지하며 상기 압전소자(111)가 반복적으로 팽창-복원하여 선형으로 구동함에 따라 상기 압전소자(111)와 일체로 가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구비한 어떠한 재질도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가 반응하여 진동이 발생하는 시작시간(Starting time)에 관한 그래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압전소자(111)가 반응하는 시작점(S, Start Point)부터 완전한 파형(a)의 50%(a/2)를 형성하는 시점(A)까지 걸린 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00)는 사용자에게 진동을 전달하기 위하여 완전한 파형(a)의 50%를 이루는 파형(a/2)이 형성되기까지 대략 4ms가 소요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진동을 전달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는 느낌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가 반응하여 진동이 감소하는 하강시간(Falling time)에 관한 그래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압전소자(111)가 반응을 중단하여 완전한 파형(a)이 끝난 지점(E, End Point)에서부터 완전한 파형의 50%(a/2)로 감소되는 시점(B)까지 걸린 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100)는 사용자에게 진동을 전달한 후 완전한 파형(a)의 50%가 감소된 파형(a/2)이 형성되기까지 대략 7ms가 소요된다.
따라서 신속하게 진동을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잔 진동을 느끼지 못하여 쾌적하고 신속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200)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200)는 압전소자(211), 지지부재(212), 재진부재(221, 222) 및 케이스(230)를 포함한다.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20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하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진부재(221, 222)는 상기 압전소자(211)의 구동 변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200)의 내부에 부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재진부재(221)는 상기 케이스(230) 내부의 상부(231)에 부착되고 상기 재진부재(222)는 상기 케이스(320) 내부의 하부(232)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반복으로 팽창-복원을 하는 상기 압전소자(211)는 상기 상부(231)에 부착된 상기 재진부재(221)와 접촉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12)는 상기 하부(232)에 부착된 상기 재진부재(222)와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압전소자(211)의 구동 변위가 제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300)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300)은 압전소자(311), 지지부재(312) 재진부재(321, 322) 및 케이스(330)를 포함한다.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30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하겠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진부재(321, 322)는 상기 압전소자(311)의 구동 변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300) 내부에 부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재진부재(321)는 상기 케이스(330) 내부의 상부(331)에 부착되고 상기 재진부재(322)는 상기 지지부재(320)의 하부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반복으로 팽창-복원을 하는 상기 압전소자(311)는 상기 상부(331)에 부착된 상기 재진부재(321)와 접촉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320)의 하부에 부착된 상기 재진부재(322)는 상기 케이스(330) 내부의 하부(332)와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압전소자(311)의 구동 변위가 제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400)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400)은 압전소자(411), 지지부재(412), 재진부재(421, 422) 및 케이스(430)를 포함한다.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40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상기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하겠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진부재(421, 422)는 상기 압전소자(411)의 구동 변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400) 내부에 부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재진부재(421)는 상기 압전소자(411)의 상부에 부착되고 상기 재진부재(422)는 상기 케이스(430) 내부의 하부(432)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반복으로 팽창-복원을 하는 상기 압전소자(411)에 부착된 상기 재진부재(421)는 상기 케이스(430) 내부의 상부(431)와 접촉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412)는 상기 케이스(430) 내부의 하부(432)와 접촉되어 상기 압전 소자(411)의 구동 변위를 제한하게 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압전 액추에이터 111: 압전소자
112: 지지부재 121, 122: 재진부재
130: 케이스 133: 결합돌기

Claims (10)

  1.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반복적으로 팽창-복원을 하여 선형으로 구동함으로써 진동을 발생시키는 압전소자;
    상기 압전소자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압전소자에 접촉 연결되는 지지부재;
    상기 압전소자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재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액추에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 상기 지지부재, 상기 재진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액추에이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재진부재는
    상기 압전소자의 상부 및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압전소자의 팽창-복원에 따른 구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부 및 하부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액추에이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재진부재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부와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압전소자의 팽창-복원에 따른 구동에 의해 상기 압전소자의 상부 및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액추에이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재진부재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압전소자의 팽창-복원에 따른 구동에 의해 상기 압전소자의 상부 및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액추에이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재진부재는
    상기 압전소자의 상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압전소자의 팽창-복원에 따른 구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부 및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액추에이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압전소자가 반복적으로 팽창-복원을 하여 선형으로 구동함에 따라 상기 압전소자와 일체로 가변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액추에이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서스(Sus) 또는 인바(Invar)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액추에이터.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케이스를 결합시키며 상기 압전소자의 진동을 외부로 전달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액추에이터.
  10.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지 재진부재는
    상기 압전소자,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상,하부와 접촉 시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포른(Poron)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액추에이터.
KR1020100130307A 2010-12-17 2010-12-17 압전 액추에이터 KR2012006861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307A KR20120068613A (ko) 2010-12-17 2010-12-17 압전 액추에이터
US13/019,481 US8487513B2 (en) 2010-12-17 2011-02-02 Piezoelectric actuator
CN201110038519.5A CN102570898B (zh) 2010-12-17 2011-02-14 压电致动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307A KR20120068613A (ko) 2010-12-17 2010-12-17 압전 액추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613A true KR20120068613A (ko) 2012-06-27

Family

ID=46233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307A KR20120068613A (ko) 2010-12-17 2010-12-17 압전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87513B2 (ko)
KR (1) KR20120068613A (ko)
CN (1) CN10257089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8429A1 (ko) * 2012-12-17 2014-06-26 (주) 테라다인 피에조 엑츄에이터
KR20190110123A (ko) * 2017-02-01 2019-09-27 베르-헬라 테르모콘트롤 게엠베하 장치용, 특히 차량 요소용 조작 유닛
KR20220065645A (ko) * 2020-11-12 2022-05-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저주파 진동 출력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저주파 진동 출력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6130A (ja) * 2012-05-02 2013-11-21 Kyocera Corp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354856B1 (ko) * 2012-11-29 2014-01-22 삼성전기주식회사 압전진동모듈
US9484521B2 (en) * 2013-04-10 2016-11-01 Mplus Co., Ltd.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US20140333179A1 (en) * 2013-05-13 2014-11-1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KR20140139249A (ko) * 2013-05-27 2014-12-05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KR101569007B1 (ko) * 2013-09-23 2015-11-13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KR101715926B1 (ko) * 2014-05-14 2017-03-14 주식회사 엠플러스 진동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5665264A (zh) * 2016-03-18 2016-06-15 昆山联滔电子有限公司 压电振动器
CN106264605B (zh) * 2016-08-04 2020-10-09 无锡海斯凯尔医学技术有限公司 超声装置及产生机械振动的装置
EP3544070A1 (en) * 2018-03-21 2019-09-25 Koninklijke Philips N.V. Actuator device and actua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1124A (en) * 1971-10-18 1973-05-01 Bell Telephone Labor Inc Electroacoustic transducer having improved transducing element supporting means
US3786202A (en) * 1972-04-10 1974-01-15 Motorola Inc Acoustic transducer including piezoelectric driving element
US4054808A (en) * 1974-08-19 1977-10-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bration detecting device having a piezoelectric ceramic plate and a method for adapting the same for use in musical instruments
US4328442A (en) * 1978-12-07 1982-05-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iezoelectrically driven tuning fork with damping means
JPS622825Y2 (ko) * 1979-04-09 1987-01-22
GB2232487B (en) * 1989-06-09 1993-08-04 Shimizu Construction Co Ltd Ultrasonic measuring apparatus including a high-damping probe
JP3438711B2 (ja) * 2000-09-06 2003-08-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圧電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CN1813487B (zh) * 2003-12-26 2011-07-13 日本电气株式会社 压电致动器
JP4662072B2 (ja) * 2004-03-25 2011-03-30 日本電気株式会社 圧電音響素子、音響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JP2007049426A (ja) * 2005-08-10 2007-02-22 Nippon Dempa Kogyo Co Ltd 圧電発振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8429A1 (ko) * 2012-12-17 2014-06-26 (주) 테라다인 피에조 엑츄에이터
KR20190110123A (ko) * 2017-02-01 2019-09-27 베르-헬라 테르모콘트롤 게엠베하 장치용, 특히 차량 요소용 조작 유닛
KR20220065645A (ko) * 2020-11-12 2022-05-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저주파 진동 출력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저주파 진동 출력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53775A1 (en) 2012-06-21
US8487513B2 (en) 2013-07-16
CN102570898A (zh) 2012-07-11
CN102570898B (zh) 201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8613A (ko) 압전 액추에이터
US8823662B2 (en) Input apparatus
KR101338228B1 (ko) 입력장치 및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US20190138100A1 (en)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nput apparatus
EP2870985B1 (en) Gaming device with haptic effect isolated to user input elements
WO2011024434A1 (ja) 触感呈示装置及び触感呈示装置の制御方法
JP5529515B2 (ja) 触感呈示装置
JP5588016B2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US20130002093A1 (en) Piezoelectric vibration module
WO2017082386A1 (ja) 携帯電子機器
JP2012084014A (ja) 入力装置及び入力システム
JP2011048701A (ja) 入力装置
JP6840623B2 (ja) 触覚伝達装置
JP2018120298A (ja) 触覚フィードバック装置及び該触覚フィードバック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EP3743793B1 (en) Global and local haptic system and mobile devices including the same
JPH11120854A (ja) 押下型電気スイッチ
US11618057B2 (en) Localized haptic feedback in electronic devices 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piezoelectric haptic actuators
KR20110029449A (ko) 소형 액츄에이터 장치 및 그 방법
KR101633363B1 (ko) 피에조 액추에이터
JP2013242814A (ja) 電子機器
JP2011048814A (ja) 入力装置
JP2018200534A (ja) 触覚伝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