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9417A - 홀 커터 - Google Patents

홀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9417A
KR20120039417A KR1020100101118A KR20100101118A KR20120039417A KR 20120039417 A KR20120039417 A KR 20120039417A KR 1020100101118 A KR1020100101118 A KR 1020100101118A KR 20100101118 A KR20100101118 A KR 20100101118A KR 20120039417 A KR20120039417 A KR 20120039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cutting
cutting edge
hole
hole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숙
배승범
Original Assignee
강영숙
배승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숙, 배승범 filed Critical 강영숙
Priority to KR1020100101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9417A/ko
Publication of KR20120039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4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4Drills for trep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24Overall form of dril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40Flutes, i.e. chip conveying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7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machines, processes or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2270/30Chip guiding or remov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 커터에 관한 것으로,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단(10a)이 하단(10b)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상단(10a)에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절삭날부(20)와; 상기 몸체부(10)의 하단(10b)에 구비되며, 드릴과 결합되어 회전력을 상기 몸체부(10)로 전달하는 연결부(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홀 커터는, 내구성과 사용성이 우수하고, 교체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홀 커터{HOLE CUTTER}
본 발명은 홀 커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 등에 일정한 크기의 홀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며, 홀 형성 작업시에 절삭칩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홀 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체 등의 피가공물에 홀(hole)을 형성하기 위해서, 원통형의 몸체부의 일측에 절삭날이 원주를 따라 구비되어 회전함으로써, 벽체를 천공하는 홀 커터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홀 커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원통형의 몸체부 일측에 절삭날부가 용접에 의해 결합되므로, 천공 작업시의 진동 및 마찰에 의해 용접 부위가 손상되어 절삭날부가 분리되는 등 내구성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천공 시 발생하는 절삭칩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몸체부의 측면에 나선형의 홈과, 다수의 배출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절삭 가공 작업을 하여야하므로 제작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절삭날부가 직각으로 구성되고, 벽체와 마주하는 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벽체와의 마찰이 크고 날이 쉽게 마모되어 사용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절삭날부가 몸체부와 용접을 통해 접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므로, 절삭날부가 마모되면 홀 커터 전체를 교체해야해, 교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구성이 우수한 홀 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작 공정이 간단한 홀 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성이 우수한 홀 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체 비용이 절감되는 홀 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홀 커터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하단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절삭날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구비되며, 드릴과 결합되어 회전력을 상기 몸체부로 전달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는, 일부가 사선으로 천공되어 절삭칩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과, 사선으로 요입형성 되어 절삭칩을 외부로 가이드하는 배출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 상기 절삭날부 및 상기 연결부는, 주조를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와 상기 연결부는, 주조를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상단 외주에는 상기 몸체부의 회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절삭날부의 내측에는 상기 몸체부의 나사선과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절삭날부가 상기 몸체부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몸체부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삭날부의 상면과 측면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홀 커터에서는, 몸체부, 절삭날부 및 연결부가 주조를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천공 작업시에 진동 및 마찰이 가해지더라도 절삭날부의 탈락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천공 시 발생하는 절삭칩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몸체부의 측면에 일부가 사선으로 천공되어 절삭칩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과, 사선으로 요입형성 되어 절삭칩을 외부로 가이드하는 배출가이드가 형성된다. 이러한 배출공과 배출가이드는, 몸체부, 절삭날부 및 연결부를 주조를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할시에 동시에 형성된다.
따라서, 몸체부의 측면에 배출공과 배출가이드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절삭 가공 작업이 생략되므로, 제작 공정이 간단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절삭날부의 상면과 측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절삭날부가 천공 작업시에 벽체와 마주하게 되는 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마찰이 줄어들어 절삭날부의 마모가 적고, 절삭칩이 절삭날부의 경사면을 따라 쉽게 배출되어 사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몸체부와 연결부가 주조를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상단 외주에는 상기 몸체부의 회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절삭날부의 내측에는 상기 몸체부의 나사선과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절삭날부가 상기 몸체부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몸체부와 체결된다.
따라서, 절삭날부가 마모되면 절삭날부를 몸체부로부터 분리하여 교체가 가능해, 교체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홀 커터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절삭날부의 상세 구성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홀 커터의 구성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연결부의 상세 구성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홀 커터의 작용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홀 커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홀 커터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절삭날부의 상세 구성을 보인 도면이며, 도 2의 (a)는 절삭날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절삭날부의 상세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의 (c)는 절삭날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홀 커터의 구성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연결부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홀 커터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몸체부(10)와, 몸체부(10)의 상단(10a)에 구비되는 절삭날부(20)와, 몸체부(10)의 하단(10b)에 구비되는 연결부(30) 등으로 구성된다.
몸체부(10)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단(10a)이 하단(10b)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상단(10a)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하단(10b)으로 이어지는 부분이 테이퍼(taper)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의 상단(10a)과 하단(10b)의 직경차이는, 4~6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몸체부(10)의 상단(10a)의 직경이 하단(10b)의 직경보다 4~6mm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아래에서 설명할 절삭날부(20)를 지지하고, 절삭날부(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의 테이퍼(taper) 형상은, 천공 작업시 상기 몸체부(10)와 피가공물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을 몸체부(10)의 하단(10b)에서 줄여주고, 절삭칩을 원활히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부(10)의 측면에는, 배출공(12)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12)은, 상기 몸체부(10)의 측면의 일부가 사선으로 천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0)의 측면에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원형 배열되어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12)의 사선 각도는, 25~3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공(12)은, 천공 작업시에 상기 몸체부(10)와 피가공물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을 줄이고, 절삭칩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의 측면에는, 배출가이드(14)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가이드(14)는, 상기 몸체부(10)의 측면에 사선으로 요입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0)의 측면에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원형 배열되어 형성된다. 상기 배출가이드(14)는, 상기 배출공(12)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출가이드(14)의 사선각도는 상기 배출공(12)의 각도와 동일한 25~3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가이드(14)는, 천공 작업시에 상기 몸체부(10)와 피가공물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을 줄이고, 절삭칩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부(10)의 상단(10a)에는, 절삭날부(20)가 구비된다. 상기 절삭날부(20)는, 상기 몸체부(10)의 상단(10a)에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부(10)의 상단(10a) 원주를 따라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원형 배열되어 형성된다.
상기 절삭날부(20)의 상면(20a)과 측면(20b, 20c)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절삭날부(20)의 상면(20a)은, 도 2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회전 방향으로 상향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절삭날부(20)의 상면(20a)은 5단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경사 각도(θ1)는 25~3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삭날부(20)의 측면(20b, 20c), 즉 천공 작업시에 상기 절삭날부(2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방향의 선단과 후단에 있게되는 전면(20b)과 후면(20c)이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절삭날부(20)의 측면(20b, 20c)은, 도 2의 (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경사 각도(θ2)는 25~3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삭날부(20)의 상면(20a)과 측면(20b, 20c)의 경사면은, 천공 작업시 절삭날부(20)에 부가되는 마찰을 줄이고, 절삭칩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절삭날부(20)는, 상기 몸체부(10)와 주조를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나사선(16, 22)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삭날부(20)가 상기 몸체부(10)와 나사선(16, 22)으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절삭날부(20)에 나사선(16, 22)이 형성된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상단 외주에는 상기 몸체부(10)의 회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나사선(16)이 형성되고, 상기 절삭날부(20)의 내측에는 상기 몸체부(10)의 나사선(16)과 대응되는 나사선(22)이 형성된다. 상기 절삭날부(20)는, 상기 몸체부(10)의 회전 방향(R)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몸체부(10)와 체결된다.
상기 몸체부(10)의 하단(10b)에는, 연결부(3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몸체부(10)의 하면 중앙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3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 너트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몸체부(10)와 주조를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드릴과 체결되어, 드릴의 회전력을 상기 몸체부(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 상기 절삭날부(20) 및 상기 연결부(30)는, 주조를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또는,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연결부(30)는 주조를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삭날부(20)는 상기 몸체부(10)의 상단(10a)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주조 형성시에, 상기 몸체부(10)의 측면에 상기 배출공(12)과 배출가이드(14)가 함께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몸체부(10), 상기 절삭날부(20) 및 상기 연결부(30)는, 강도 향상을 위해 열처리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몸체부(10), 상기 절삭날부(20) 및 상기 연결부(30)는, 900~950℃ 에서 침탄처리 되고, 1000~1050℃ 에서 질화처리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홀 커터의 작용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홀 커터의 작용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연결부(30)에 드릴(D)을 결합시킨다. 상기 연결부(30)는 육각 너트형으로 형성되어 드릴(D)과의 체결시에, 육각 렌치 볼트와 같은 범용 공구를 이용하여 손쉽게 체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30)는, 육각으로 형성되었으므로 드릴(D)과의 체결이 견고하고, 천공 작업시에 부가되는 부하에 의한 공회전이 방지된다.
연결부(30)에 드릴(D)을 결합시킨 후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 작업을 할 피가공물(W) 일측의 천공할 위치에, 절삭날부(20)를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연결부(30)에 장착된 드릴(D)을 작동시키면서, 홀 커터를 피가공물(W) 측으로 수평 이동시킨다.
그러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커터가 일측(R)으로 회전하여 피가공물(W)을 절삭하면서, 상기 절삭날부(20)가 먼저 피가공물(W) 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절삭칩이 발생하는데, 상기 절삭칩은 상기 절삭날부(20)의 상면(20a) 경사면과 측면(20b, 20c) 경사면에 의해 외부로 쉽게 배출된다.
즉, 상기 절삭날부(20)의 상면(20a) 경사면이 단차지게 이루어짐으로써 형성된 단차 사이의 틈과, 상기 절삭날부(20)의 측면(20b, 20c)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형성된 틈을 통해 절삭칩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절삭날부(20)의 경사면(16,22)는, 상기 절삭날부(20)가 피가공물(W)과 접하는 면적을 줄여, 마찰력을 줄여주고, 절삭능률을 향상 시킨다.
상기 절삭날부(20)가 피가공물(W) 측으로 삽입된 다음, 계속해서 홀 커터를 피가공물(W)측으로 수평이동 시킨다.
그러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삭날부(20)가 천공한 홀(hole)의 후측으로, 몸체부(10)의 상단(10a)과 하단(10b)이 이어서 삽입된다. 이때, 계속해서 절삭칩이 발생하는데, 상기 절삭칩은 상기 몸체부(10)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공(12)과 배출가이드(14)에 의해 외부로 쉽게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적살날부와 상기 몸체부(10) 상단(10a)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10)의 하단(10b)에 의해 형성되는, 피가공물(W)과 상기 몸체부(10) 하단(10b) 사이의 틈을 통해 절삭칩이 더욱 효과적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의 상단(10a)과 하단(10b)의 테이퍼(taper) 형상과, 상기 배출공(12)과 상기 배출가이드(14)는, 상기 몸체부(10)와 피가공물(W) 사이의 접촉면을 감소시켜, 마찰력을 줄이고 천공작업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피가공물(W)을 관통하는 천공이 형성될때까지, 계속해서 홀 커터를 피가공물(W) 측으로 수평이동 시킨다.
그러면,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가공물(W)을 관통하는 천공이 형성되게 된다.
피가공물(W)을 관통하는 천공이 형성되면, 상기 천공을 통해 홀 커터를 제거하고, 절삭칩을 제거하여 작업을 마무리한다.
한편, 절삭날부(20)와, 몸체부(10)와, 연결부(30)는 주조를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천공 작업시에 상기 절삭날부(20)에 부하가 가해지더라도 절삭날부(20)의 탈락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는, 절삭날부(20)와 몸체부(10)가 나사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절삭날부(20)가 상기 드릴의 회전 방향(R)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되므로, 천공 작업시에 상기 절삭날부(20)에 부하가 가해지더라도 절삭날부(20)의 탈락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상기 드릴의 회전에 따라 연결부(30), 몸체부(10), 절삭날부(20)가 회전하는 방향(R)과, 천공 작업으로 인해 상기 절삭날부(20)에 가해지는 부하의 방향이 반대로 작용하므로, 상기 절삭날부(20)가 상기 몸체부(10)에 더욱 견고히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절삭날부(20)와 상기 몸체부(10)가 나사 결합되는 경우, 날의 마모로 인한 교체나 피가공물(W)의 강도에 따른 날의 변경을 위해, 상기 몸체부(10)로부터 상기 절삭날부(20)를 용이하게 결합, 해제 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 몸체부
12 : 배출홀
14 : 배출가이드
16, 22 : 나사선
20 : 절삭날부
30 : 연결부

Claims (5)

  1.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단(10a)이 하단(10b)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상단(10a)에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절삭날부(20)와;
    상기 몸체부(10)의 하단(10b)에 구비되며, 드릴과 결합되어 회전력을 상기 몸체부(10)로 전달하는 연결부(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 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측면에는,
    일부가 사선으로 천공되어 절삭칩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12)과, 사선으로 요입형성 되어 절삭칩을 외부로 가이드하는 배출가이드(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 커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 상기 절삭날부(20) 및 상기 연결부(30)는,
    주조를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 커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연결부(30)는,
    주조를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의 상단(10a) 외주에는, 상기 몸체부(10)의 회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나사선(16)이 형성되고,
    상기 절삭날부(20)의 내측에는, 상기 몸체부(10)의 나사선(16)과 대응되는 나사선(22)이 형성되어, 상기 절삭날부(20)가 상기 몸체부(1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몸체부(10)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 커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부(20)의 상면(20a)과 측면(20b, 20c)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 커터.
KR1020100101118A 2010-10-15 2010-10-15 홀 커터 KR20120039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118A KR20120039417A (ko) 2010-10-15 2010-10-15 홀 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118A KR20120039417A (ko) 2010-10-15 2010-10-15 홀 커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361U Division KR20120006577U (ko) 2012-08-20 2012-08-20 홀 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417A true KR20120039417A (ko) 2012-04-25

Family

ID=46139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118A KR20120039417A (ko) 2010-10-15 2010-10-15 홀 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941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23446A1 (en) * 2012-07-18 2014-01-23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Hole saw
US20160001380A1 (en) * 2014-07-01 2016-01-07 James Edwin Funk Safety drilling tool
US11148212B2 (en) 2018-07-10 2021-10-19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Hole saw with hex sidewall holes
KR102419674B1 (ko) * 2022-02-16 2022-07-08 임형국 코어 드릴
USD958855S1 (en) 2019-12-09 2022-07-26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Hole saw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84108B2 (en) 2012-07-18 2021-08-1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Hole saw
US11745273B2 (en) 2012-07-18 2023-09-05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Hole saw
US9579732B2 (en) * 2012-07-18 2017-02-28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Hole saw
US20140023446A1 (en) * 2012-07-18 2014-01-23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Hole saw
US10086445B2 (en) 2012-07-18 2018-10-0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Hole saw
US10751811B2 (en) 2012-07-18 2020-08-25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Hole saw
USRE48513E1 (en) 2012-07-18 2021-04-13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Hole saw
US11084107B2 (en) 2012-07-18 2021-08-1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Hole saw
US9782840B2 (en) * 2014-07-01 2017-10-10 James Edwin Funk Safety drilling tool
US20160001380A1 (en) * 2014-07-01 2016-01-07 James Edwin Funk Safety drilling tool
US11148212B2 (en) 2018-07-10 2021-10-19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Hole saw with hex sidewall holes
USD958855S1 (en) 2019-12-09 2022-07-26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Hole saw
KR102419674B1 (ko) * 2022-02-16 2022-07-08 임형국 코어 드릴
WO2023158054A1 (ko) * 2022-02-16 2023-08-24 임형국 코어 드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7865C2 (ru) Режущая вставка, в частности неперетачиваемая режущая пластина для сверла
RU2630722C2 (ru) Сверли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глубоких отверстий
RU2525880C2 (ru) Фрезерный инструмент с устройством непрерывной подачи жидкости
KR20120039417A (ko) 홀 커터
KR100675922B1 (ko) 칩 제거 가공용 공구, 커팅 인써트 및 이러한 커팅 인써트를 장착하는 방법
US9962775B2 (en) Cutting edge position adjustment mechanism and cutting edge-replaceable cutting tool
US7320566B2 (en) Cutting tool including detachable cutter head
CN208825639U (zh) 一种开孔器钻头组件
JP2008114308A (ja) 回転切削工具
KR101238849B1 (ko) 사이드 커터
US9500038B2 (en) Auger bit with replaceable cutting bit
EP2385261B1 (en) Self-tapping screw
JP6533289B2 (ja) 工作機械用工具
TWM598349U (zh) 圓弧螺旋螺絲
KR20120006577U (ko) 홀 커터
JP2008018477A (ja) 穴加工工具
WO2013159260A1 (zh) 倒角用的铣刀
JPWO2011099100A1 (ja) 回転工具の着脱装置と該回転工具
JP2008080468A (ja) スローアウェイ式回転工具
WO2018105035A1 (ja) 切削工具、インサートホルダ及びインサート
GB2449789A (en) Improved Spade Type Bit
KR102051121B1 (ko) 모따기 캡
JP2008188751A (ja) ミリングカッター
JP2007333026A (ja) パイロットレングス付きドリルねじ
CN211059162U (zh) 一种沉头钻尾螺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