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658A -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 Google Patents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658A
KR20120020658A KR1020100084403A KR20100084403A KR20120020658A KR 20120020658 A KR20120020658 A KR 20120020658A KR 1020100084403 A KR1020100084403 A KR 1020100084403A KR 20100084403 A KR20100084403 A KR 20100084403A KR 20120020658 A KR20120020658 A KR 20120020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link member
motor control
control center
screw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0330B1 (ko
Inventor
심찬식
Original Assignee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4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330B1/ko
Publication of KR20120020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Handles; G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기 제어반(Motor Control Cent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단기의 전원 오프 시에만 캐비닛에서 제어유닛을 인출 가능함과 아울러 제어유닛의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테스트 및 유지보수 시에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1차측 내지 3차측 전로부와 암스크류가 구비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며 상기 1차측 내지 3차측 전로부에 연결되는 1차측 내지 3차측 단자와 상기 암스크류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스크류바 및 레버의 회전에 따라 온/오프되는 차단기가 장착된 제어유닛과; 상기 차단기의 레버 조작에 따라 상기 스크류바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록킹구를 포함하는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Motor control center}
본 발명은 전동기 제어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단기의 전원 오프 시에만 캐비닛에서 제어유닛을 인출 가능함과 아울러 제어유닛의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테스트 및 유지보수 시에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기 제어반(Motor Control Center:MCC)은 다양한 산업시설이나 플랜트에 설치되는 전동기와 관련 부하장치를 안전하게 제어 및 보호하며, 변압기에서 공급되는 저압의 전기를 전동기로 배분하고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시 및 차단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은 이러한 전동기 제어반(MCC)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주회로 전원의 온/오프 전환용 차단기(270)를 비롯하여 전압강하 및 전류 트랜스포머, 회로 개폐기, 릴레이, 퓨즈, 타이머, EOCR, 전자접촉기 등과 같은 각종 전동기 제어용 부품을 단위 회로마다 장착한 제어유닛(200)이 다층 형태의 캐비닛(100)에 서랍 식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유닛(200)의 후면과 캐비닛(100)의 후방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1차측 커넥터(210)와 수직 부스바(110), 전원출력을 위한 2차측 잭(220)과 플러그(120), 신호전달을 위한 3차측 잭(230)과 플러그(130)가 각기 서로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유닛(200)을 캐비닛(100)의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캐비닛(100)에서 인출됨과 동시에 전원공급을 위한 1차측 커넥터(210)가 부스바(110)와 분리되고, 2차측 잭(220)과 플러그(120)도 분리되어 각종 테스트나 유지보수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전동기 제어반은 캐비닛(100)에서 제어유닛(200)을 넣거나 빼내는 위치에 따라 1차측 내지 3차측이 전기적으로 접속 및 접속해제 상태가 유지되는 특성상 작업자가 유지보수나 점검과정에서 부주의로 제어유닛(200)을 완전히 인출하지 않거나 전원의 차단 없이 도어(290)를 열고 테스트 등의 작업하는 경우 자칫 누전이나 감전 등과 같은 전기 안전사고의 발생 우려가 매우 높은 데다, 이에 따른 작업자의 심리적 부담으로 인해 부품의 유지보수 및 교체작업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게 마련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사항 및 문제점 해결에 역점을 두어 유지보수 등의 작업 시 전기적 사고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조작이 용이한 전동기 제어반(MCC)을 개발하고자 심혈을 기울여 연구하던 중 본 발명을 창안하여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만 제어유닛을 캐비닛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만 제어유닛의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는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1차측 내지 3차측 전로부와 암스크류가 구비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며 상기 1차측 내지 3차측 전로부에 연결되는 1차측 내지 3차측 단자와 상기 암스크류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스크류바 및 레버의 회전에 따라 온/오프되는 차단기가 장착된 제어유닛과; 상기 차단기의 레버 조작에 따라 상기 스크류바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록킹구를 포함하는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록킹구는, 상기 스크류바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잠금쇠부와; 상기 레버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잠금쇠부와 접촉 간섭을 일으키거나 간섭을 해제하는 걸림쇠부를 포함하는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잠금쇠부는, 외측 둘레면 일부분에 래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쇠부는, 상기 차단기 레버의 회전축 상에 고정되는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부재의 회전운동을 전후진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2링크부재와; 상기 제2링크부재와 일단이 핀 결합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타단이 상기 래치홈에 삽입 및 이탈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록을 포함하는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어유닛의 전면에는 여닫이 식 도어가 구비되고, 바닥면에는 상기 잠금쇠부의 테두리가 삽입되도록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쇠부는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스크류바에서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비되고, 그 외측 둘레면 일부분에 상기 슬릿과 접촉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방지면이 형성된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캐비닛에 고정된 암스크류와 대응하여 결합되어 회전 조작에 따라 캐비닛에서 제어유닛을 단계적으로 인출시키는 스크류바가 록킹구에 의해 차단기의 전원 오프 시에만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적 안전성이 확보되어 각종 테스트 및 유지보수 시 등에 누전이나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자의 심리적 불안감이 자연스럽게 해소되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유닛이 차단기의 전원은 오프되고 1차측 및 2차측은 접속되지 않고 3차측은 접속된 상태의 테스트 위치로 이동해야만 그 도어를 열 수 있기 때문에 각종 점검을 위한 조작이 간편하고 용이함은 물론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 및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동기 제어반(MCC)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컨트롤 센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컨트롤 센터 중 제어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 및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컨트롤 센터 중 제어유닛과 록킹구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컨트롤 센터 중 록킹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기술분야에서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컨트롤 센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유닛과 록킹구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는 캐비닛(10), 제어유닛(20) 및 록킹구(30)로 대별되며, 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캐비닛은(10)은 다수의 프레임 및 플레이트를 결합한 육면체 박스 형태의 함체로 이루어져 모터 컨트롤 센터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전방에는 여러 개의 제어유닛(20)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다층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고, 후방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1차측 전로(電路)부와 전원을 출력하는 부하인 2차측 전로부 및 신호를 전달하는 3차측 전로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1차측 내지 3차측 전로부(10a)와 제어유닛(20)의 수납공간 사이에는 합성수지 등과 같은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절연벽(19)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유닛(20)이 수납되는 공간의 바닥면에는 너트 형태의 암스크류(15)가 고정되어 있고, 양측면에는 제어유닛(20)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하는 레일과 롤러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1차측 내지 3차측 전로부(10a)와 후술하는 제어유닛(20)의 1차측 내지 3차측 단자(21/22/23)는 부스바와 연결되는 탈장착형 암/수커넥터 형태로 구비되어 절연벽(19)을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절연벽(19)은 1차측 전로부와 제어유닛(20)의 1차측 단자(21)가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제어유닛(20)에 내장된 여러 부품의 유지보수 및 교체 시 등에 작업자가 높은 전류가 흐르는 1차측 전로부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어유닛(20)은 캐비닛(10)에 서랍 식으로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1차측 전로부를 통해 삼상전원을 공급받아 변환한 후 2차측 전로부로 전원을 출력 및 3차측 전로부로 신호를 전달하는 통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바닥판 및 사방에 측면판을 갖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제어유닛(20)의 내측에는 전동기 회로의 개폐 및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전자개폐기, 스위칭을 위한 마그넷, 전동기 회로에 이상 발생 시 등에 전원측과 부하측의 연결을 개폐 또는 차단하는 차단기(27) 및 전원의 전류 및 전압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기 등과 같은 각종 전동기 제어 회로 부품이 설치되며, 캐비닛의 암스크류(15)와 대응하여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잠금 및 잠금해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어유닛(20)이 캐비닛(10)에서 단계적인 삽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하는 스크류바(25)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어유닛(20)의 전면에는 힌지 결합에 의해 여닫이 식으로 개폐되는 도어(29)가 설치되어 있고, 도어(29)의 전방에는 그 잠금장치와 차단기의 온/오프를 조작하는 회전식 레버(27a)와 육각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스크류바(25)를 회전시키기 위한 렌치홈부(25a) 및 캐비닛(10)에 넣거나 빼내는 동작을 쉽고 편리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 등이 노출되어 있으며, 후면에는 1차측 내지 3차측 전로부(10a)에 연결되는 1차측 내지 3차측 단자(21/22/23)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차단기의 레버(27a) 및 렌치홈부(25a)는 도어(29)의 개방 시 그 각각의 회전축(27b) 및 스크류바(25)에서 분리되도록 도어(29)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유닛(20)의 양측면에는 캐비닛(10)에 넣거나 캐비닛에서 빼내는 동작을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롤러와 레일이 캐비닛(10)의 레일과 롤러에 대응하여 구비되어 있고, 바닥면에는 후술하는 록킹구의 잠금쇠부(31) 테두리와 접촉 간섭을 일으키도록 하여 도어(29)가 자유로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릿(2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캐비닛의 암스크류(15)와 제어유닛의 스크류바(25)는 서로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스크류바(25)의 회전각도 및 방향조절에 따라 제어유닛(20)을 캐비닛(10)에서 인출하면서 접속위치, 테스트위치, 단선위치에 단계적으로 위치시키게 된다. 즉, 스크류바(25)를 외부에서 렌치홈부(25a)를 통해 일정각도만큼 회전시키면 스크류바(25)의 회전운동이 암스크류(15)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면서 스크류바가 장착된 제어유닛(20)을 동시에 이동시키게 되고, 이때 1차측 및 2차측 전로부와 1차측 및 2차측 단자(21/22)는 분리되고, 3차측 전로부와 3차측 단자(23)는 접속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전동기의 온/오프는 물론 기타 여러 가지 기능을 안정적으로 점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스크류바(25)를 일정각도만큼 더 회전시키면 1차측 내지 3차측 전로부(10a)와 1차측 내지 3차측 단자(21/22/23)가 서로 분리 및 단선되어 캐비닛(10)에서 제어유닛(20)을 완전히 빼낼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스크류바(25)를 회전시키면 제어유닛(20)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여 1차측 내지 3차측 전로부(10a)와 1차측 내지 3차측 단자(21/22/23)가 서로 접속된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록킹구(30)는 제어유닛(20)이 캐비닛(30)에서 자유로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차단기 레버(27a)의 회전 조작에 따라 스크류바(25)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록킹구(3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바(25)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고 외측 둘레면 일부분에 'ㄱ'자형으로 래치홈(32)이 형성된 엽전형 또는 원판형의 잠금쇠부(31)와, 차단기 레버(27a)의 회전과 연동하여 잠금쇠부(31)와 접촉 간섭을 일으키거나 간섭을 해제하는 걸림쇠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잠금쇠부(31)는 도어(29)의 개폐에 따라 스크류바(25)에 끼워지거나 스크류바(25)에서 쉽게 분리되도록 도어(29)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있고, 그 테두리의 일부는 제어유닛의 바닥면에 형성된 슬릿(24)에 삽입되어 도어(29)의 개폐를 제어하며, 래치홈(32)의 반대쪽 외측 둘레면 일부분에는 스크류바(25)의 회전위치에 따라 제어유닛에 형성된 슬릿(24)과 접촉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어유닛(20)의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는 형태의 간섭방지면(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쇠부(35)는 차단기 레버의 회전축(27b) 상에 고정되어 동시에 회전하는 제1링크부재(36)와, 이 제1링크부재(36)의 회전운동을 전후진 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일단이 제1링크부재(36)와 회전 및 직선운동 가능하게 핀과 장홀을 매개로 결합되고 중심부가 지지브래킷(37a)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된 제2링크부재(37)와, 이 제2링크부재(37)와 일단이 핀 결합되어 제1링크부재(36)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타단이 상기 래치홈(32)에 삽입 및 이탈되는 슬라이더(38)와, 이 슬라이더(38)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록(39)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38)의 상면에는 보다 안정적인 슬라이딩 운동을 위해 안내돌기(38a)가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대응하여 가이드블록(39)의 상면에는 안내홈(39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차단기 레버의 회전축(27b)과 스크류바(25)의 전방 단부는 그 각각에 결합되는 제1링크부재(36)와 잠금쇠부(31)가 회전 시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각형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이와 대응하여 제1링크부재(36)와 잠금쇠부(31)의 보스 또한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의 작동 및 작용상태를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의 조작 레버(27a)가 전원 온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걸림쇠부의 슬라이더(38) 단부가 잠금쇠부의 래치홈(32)에 삽입되어 잠금쇠부(31)의 구속 상태를 유지함으로 인해 이 잠금쇠부가 결합된 스크류바(25)를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즉, 스크류바(25)와 동일축 상에 결합되어 있는 잠금쇠부(31)와 걸림쇠부의 슬라이더(38) 간에 접촉 간섭이 일어나기 때문에 스크류바(25)는 자유로이 회전되지 않는 것이고, 이렇게 되면 스크류바(25)와 암스크류(15)의 체결상태가 유지되어 캐비닛(10)에서 제어유닛(20)을 인출할 수 없는 것이다.
아울러 잠금쇠부(31)의 테두리가 제어유닛의 슬릿(24)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잠금쇠부(31)가 장착되어 있는 제어유닛의 도어(29)도 열리지 않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의 레버(27a)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여 전원 오프에 위치시키면 이와 걸림쇠부(35)가 연동하면서 슬라이더(38)의 단부를 잠금쇠부의 래치홈(32)에서 이탈시켜 서로 간에 접촉 간섭이 일어나지 않아 구속 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스크류바(25)를 시계 방향으로 일정각도만큼 회전시키면 암스크류(15)와 체결상태가 풀리면서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제어유닛(20)은 전방으로 이동하여 캐비닛(10)에서 자연스럽게 인출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1차측 및 2차측 전로부와 1차측 및 2차측 단자(21/22)는 암/수커넥터 형태로 접속되어 있어 자연스럽게 분리되고, 3차측 전로부와 3차측 단자는 접속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주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여러 가지 기능을 안전하게 점검 및 보수할 수 있게 된다.
그뿐만 아니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바(25)를 회전시켜 잠금쇠부의 간섭방지면(33) 부분이 제어유닛(20)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위치되면 잠금쇠부(31)와 제어유닛의 바닥면에 형성된 슬릿(24) 간에 접촉 간섭이 일어나지 않아 잠금 상태를 해제하므로 도어(29)를 쉽게 열 수 있고, 이를 통해 주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제어유닛(20)의 내부에 장착된 각종 부품 등의 작동상태의 테스트나 교체를 한층 수월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터 컨트롤 센터는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는 제어유닛(20)의 인출이나 전기적인 접촉을 근원적으로 차단 및 차폐하여 전기사고의 원인을 제거 및 작업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점검 및 보수가 완료된 후에는 도어(29)를 닫고 스크류바(2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어유닛(20)을 캐비닛(10)에 삽입한 상태에서 차단기의 레버(27a)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여 전원 온에 위치시키면 이와 걸림쇠부(35)가 연동하면서 슬라이더(38)의 단부를 잠금쇠부의 래치홈(32)에 삽입시켜 잠금쇠부(31)의 구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잠금쇠부(31)와 슬릿(24) 간의 접촉 간섭으로 도어(29)의 개폐도 구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캐비닛
10a: 전로부
15: 암스크류
19: 절연벽
20: 제어유닛
21: 1차측 단자
22: 2차측 단자
23: 3차측 단자
24: 슬릿
25: 스크류바
25a: 렌치홈부
27: 차단기
27a: 레버
27b: 회전축
29: 도어
30: 록킹구
31: 잠금쇠부
32: 래치홈
33: 간섭방지면
35: 걸림쇠부
36: 제1링크부재
37: 제2링크부재
37a: 지지브래킷
38: 슬라이더
38a: 안내돌기
39: 가이드블록
39a: 안내홈

Claims (4)

1차측 내지 3차측 전로부와 암스크류가 구비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며 상기 1차측 내지 3차측 전로부에 연결되는 1차측 내지 3차측 단자와, 상기 암스크류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스크류바 및 레버의 회전에 따라 온/오프되는 차단기가 장착된 제어유닛과;
상기 차단기의 레버 조작에 따라 상기 스크류바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록킹구;
를 포함하는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구는,
상기 스크류바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잠금쇠부와;
상기 레버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잠금쇠부와 접촉 간섭을 일으키거나 간섭을 해제하는 걸림쇠부;
를 포함하는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부는, 외측 둘레면 일부분에 래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쇠부는, 상기 차단기 레버의 회전축 상에 고정되는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부재의 회전운동을 전후진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2링크부재와;
상기 제2링크부재와 일단이 핀 결합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타단이 상기 래치홈에 삽입 및 이탈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록;
을 포함하는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의 전면에는 여닫이 식 도어가 구비되고, 바닥면에는 상기 잠금쇠부의 테두리가 삽입되도록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쇠부는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스크류바에서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비되고, 그 외측 둘레면 일부분에 상기 슬릿과 접촉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방지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KR1020100084403A 2010-08-30 2010-08-30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KR101150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403A KR101150330B1 (ko) 2010-08-30 2010-08-30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403A KR101150330B1 (ko) 2010-08-30 2010-08-30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658A true KR20120020658A (ko) 2012-03-08
KR101150330B1 KR101150330B1 (ko) 2012-06-08

Family

ID=46129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403A KR101150330B1 (ko) 2010-08-30 2010-08-30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33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04569A (zh) * 2016-03-16 2017-09-26 Ls 产电株式会社 电机控制中心单元
CN110312390A (zh) * 2019-06-12 2019-10-08 和信精密科技(吴江)有限公司 一种新型防emi机柜
CN112531468A (zh) * 2020-11-27 2021-03-19 扬州冠中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光伏离网逆变器的安装底座
KR20220067021A (ko) * 2020-11-17 2022-05-24 남기태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mcc
KR102492052B1 (ko) * 2022-06-15 2023-01-26 조현민 수납함 및 그것을 포함하는 mcc 유닛세트
US11715939B2 (en) 2019-04-11 2023-08-01 Ls Electric Co., Ltd. Distributing board having position lock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385B1 (ko) 2012-06-13 2012-10-24 (주)서전기전 위치표시부 레버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
KR101178740B1 (ko) 2012-06-13 2012-08-31 (주)서전기전 위치표시부 버튼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
KR101251604B1 (ko) 2013-02-12 2013-04-08 (주)두연테크 전원차폐형 자동 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KR101387368B1 (ko) 2013-12-26 2014-04-22 윤여관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KR101609853B1 (ko) 2014-10-06 2016-04-06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컨트롤 센터의 드로워 유닛 록킹 어셈블리
KR101708020B1 (ko) * 2016-08-05 2017-02-17 주식회사 피닉스 조작이 쉬운 인터록 장치를 갖춘 전동기 제어반
KR101786430B1 (ko) * 2017-07-13 2017-10-17 이완재 무소음 및 무진동의 기능을 갖는 열반형 배전반의 위치안내장치
KR101997560B1 (ko) * 2018-11-15 2019-07-0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터 컨트롤 센터용 흔들림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775Y1 (ko) 2000-09-04 2001-02-15 금성제어기주식회사 모터 콘트롤 센터의 제어 유니트 분리 장치
KR200362773Y1 (ko) * 2004-06-14 2004-09-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저압 전동기 제어반 유닛의 3단 인출입 구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04569A (zh) * 2016-03-16 2017-09-26 Ls 产电株式会社 电机控制中心单元
KR20170003328U (ko) * 2016-03-16 2017-09-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터 컨트롤 센터 유닛
US9899809B2 (en) 2016-03-16 2018-02-20 Lsis Co., Ltd. Motor control center unit
US11715939B2 (en) 2019-04-11 2023-08-01 Ls Electric Co., Ltd. Distributing board having position lock device
CN110312390A (zh) * 2019-06-12 2019-10-08 和信精密科技(吴江)有限公司 一种新型防emi机柜
KR20220067021A (ko) * 2020-11-17 2022-05-24 남기태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mcc
CN112531468A (zh) * 2020-11-27 2021-03-19 扬州冠中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光伏离网逆变器的安装底座
CN112531468B (zh) * 2020-11-27 2023-03-21 扬州冠中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光伏离网逆变器的安装底座
KR102492052B1 (ko) * 2022-06-15 2023-01-26 조현민 수납함 및 그것을 포함하는 mcc 유닛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0330B1 (ko)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330B1 (ko)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CA1289607C (en) Draw-in and draw-out mechanism of an electrical circuit breaker with main and auxiliary circuits
KR101158645B1 (ko) 크래들을 구비한 회로차단기
CA2755169C (en) Electrical apparatus, and racking assembly and coupling therefor
KR101291835B1 (ko) 인출형 회로 차단기의 인터로크 장치 및 인출형 회로 차단기 및 배전반
US9515462B2 (en) Shutter device for an electrical switchgear panel, and related switchgear panel
JP5818989B2 (ja) スイッチギヤ
KR101052671B1 (ko) 전력용 폐쇄배전반
US10991521B2 (en) Locking device for circuit breaker operation device
KR101099420B1 (ko) 도어 인터록 유닛을 구비한 배전반
CN101354988B (zh) 可与断路器连接的剩余电流装置
JP2010115002A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2002135919A (ja) スイッチギヤ
JP4515890B2 (ja) 配電盤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102431932B1 (ko) 패널 유니트가 구비된 mcc
KR101608928B1 (ko) 모터 컨트롤 센터의 셔터 배리어
KR102208664B1 (ko) 포지션 잠금 장치를 갖는 배전반
KR101251604B1 (ko) 전원차폐형 자동 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KR101609853B1 (ko) 컨트롤 센터의 드로워 유닛 록킹 어셈블리
JP2563847Y2 (ja) ブレーカ用保護カバー機構
US3278698A (en) Control center with withdrawable control unit
KR100339331B1 (ko) 배전반의 차단기와 단로기의 인터록 장치
JPH11308717A (ja) 回路接地装置
CN208938849U (zh) 两台me和一台qps的机械联锁
KR100954558B1 (ko) 이단 인입/인출 구조를 갖는 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