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9308A - 관 조인트 - Google Patents

관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9308A
KR20120019308A KR1020100082650A KR20100082650A KR20120019308A KR 20120019308 A KR20120019308 A KR 20120019308A KR 1020100082650 A KR1020100082650 A KR 1020100082650A KR 20100082650 A KR20100082650 A KR 20100082650A KR 20120019308 A KR20120019308 A KR 20120019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sleeve
circumferential surface
pip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0145B1 (ko
Inventor
이혜진
Original Assignee
이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진 filed Critical 이혜진
Priority to KR1020100082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145B1/ko
Publication of KR20120019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 F16L23/22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made exclusively of a material other than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도수관의 연결을 효과적으로 밀착하여 지중에 설치되는 도수관의 연결부위에 수밀성과 내압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함과 아울러 구조가 간간하여 설치가 용이한 관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삽입공을 가지는 제 1관체와, 상기 제 1관체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제 2관체를 연결하는 관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제 1관체의 삽입공과 제 2관체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제 2관체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내측 원통부와,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외측 원통부와, 상기 내, 외측 원통부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내. 외측 원통부 사이에 링형 삽입부를 가지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링형 삽입부에 삽입되며, 그 내주면이 상기 내측 원통부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그 외주면이 상기 링형 삽입부의 입구에서 안쪽으로 가면서 확대되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된 삽입부를 가지는 고정슬리브와; 상기 탄성부재의 링형 삽입부에 삽입되며, 그 외주면이 상기 외측 원통부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그 내주면이 상기 링형 삽입부의 입구에서 안쪽으로 가면서 축소되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된 삽입부를 가지는 작동슬리브를; 포함하여 지중에 매설되는 관체를 상호 연결을 밀착시켜 밀착, 고정하는 것으로 관의 연결부위에 따른 수밀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크게 향상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관 조인트{Connection joint for piping}
본 발명은 관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되는 도수관을 간단히 연결 고정하여 수밀성과 내압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관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유화학공업이 발달되어 개발된 합성수지관을 주로 사용하여 각 가정과 공장 등의 식수 배관인 상수도관, 오폐수 및 우수 배관인 하수관뿐만 아니라 독극성이 강한 유체 등의 공업용 도수관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플라스틱 도수관에는 폴리에틸렌과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등을 소재로 한 도수관이 상술한 산업분야 전반에 걸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도수관은 대체로 사용되는 관의 직경이 매우 크고 땅 속에 매설되기 때문에 내압성과 수밀성이 양호하게 제조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도수관의 단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구조의 이중벽관과 삼중벽관이 차례로 제공되고 있다.
이들 관체를 이용하는 지중 도수관의 연결방식은 소켓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일반형태의 소켓 연결구조는 소켓의 내부면에 반원형의 요홈부를 형성하여 그 내부에 링 형상의 고무 패킹 등을 내설시킨 상태에서 다른 연결 대상 관체를 소켓 내부로 밀어 넣어 관체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설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도수관 연결구조는 소켓내로 삽입과정에서 요홈부에 내설된 고무패킹과 관체 사이에 압착으로 인한 마찰력이 생겨 관체 삽입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시공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패킹의 탄력이 줄어들어 누수의 원인이 되거나, 관체의 연결시공 후 홍수 등의 요인에 의해 관로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이 급격히 증대되는 때에는 그 소켓 연결부위가 내부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소켓에 연결된 관체가 빠져버리게 되는 단점도 지적되고 있다.
또한, 대체로 지중에 매설되는 관체 주위에 가해지는 국부적인 토압이나 지층 변화 등의 요인에 의해서 관체 연결부위에서 부등침하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관의 연결단부가 밴드상에서 쉽게 이탈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에 매설되는 도수관의 상호 연결을 밀착하도록 가압, 고정하는 가압고정수단을 제공하여 설치되는 도수관의 연결부위에 따른 수밀성을 유지하도록 한 관 조인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수관과 도수관을 밀착 연결하는 가압고정수단에 의하여 부등침하에 따른 외부 압력이나, 내부 수압에 따른 내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관 조인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와 해체 작업이 쉽고, 그 유지보수에 따른 작업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관 조인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삽입공을 가지는 제 1관체와, 상기 제 1관체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제 2관체를 연결하는 관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제 1관체의 삽입공과 제 2관체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제 2관체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내측 원통부와,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외측 원통부와, 상기 내, 외측 원통부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내. 외측 원통부 사이에 링형 삽입부를 가지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링형 삽입부에 삽입되며, 그 내주면이 상기 내측 원통부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그 외주면이 상기 링형 삽입부의 입구에서 안쪽으로 가면서 확대되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된 삽입부를 가지는 고정슬리브와; 상기 탄성부재의 링형 삽입부에 삽입되며, 그 외주면이 상기 외측 원통부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그 내주면이 상기 링형 삽입부의 입구에서 안쪽으로 가면서 축소되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된 삽입부를 가지는 작동슬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슬리브의 테이퍼면은 그 끝선단부의 외주면에 돌출된 만곡부위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슬리브의 테이퍼면은 그 끝선단부의 외주면에 함몰된 오목부위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작동슬리브의 작동에 따라 상기 테이퍼면의 오목부위와 상기 테이퍼면의 오목부위가 맞대응하여 서로 밀치는 반발력으로 상기 탄성부재에 밀착력이 발생되도록 이루어지는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내측 원통부의 일측 끝선단부에 돌출테두리가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는 상기 고정슬리브의 내주면에는 그 둘레부를 따라 일정 폭의 홈을 이루는 둘레홈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링형 삽입부에 삽입되는 고정슬리브의 삽입부가 이탈됨이 없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슬리브가 고정슬리브에 작동이 이루어지기 전 연결부위의 폭(W1)보다, 작동이 이루어진 후 연결부위의 폭(W2)이 더 늘어나도록 상기 고정슬리브의 삽입부와 작동슬리브의 삽입부에 형성된 각 테이퍼면은 서로 밀치는 반발력을 주게 되도록 형성되어 그 폭의 차이(W1<W2)만큼 탄성부재를 밀착하도록 눌러 상기 제 1관체에 삽입되는 제 2관체를 고정하도록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링형 삽입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작동슬리브의 전, 후진 슬라이딩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의 외측 원통부에 밀착되는 미끄럼 링이 더 형성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양측으로 연결되는 지면에 매설되는 도수관을 접속하는 중공원통형상의 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체의 양측끝단부에 관통되어 상기 도수관이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체의 내주면에 단이진 둘레부를 경계로 소경부와 대경부로 형성되는 연결소켓과; 상기 연결소켓의 대경부가 있는 관통공에 삽입되어 연결소켓의 내측에 수용되는 상기 도수관의 외주면과 연결소켓의 내주면에 상호 밀착되도록 가압, 고정하는 가압고정수단을 갖는 연결접속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지중에 매설되는 도수관과 도수관의 상호 연결을 밀착시켜 가압, 고정하는 것으로 도수관의 연결부위에 따른 수밀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접속구의 가압고정수단은 상기 도수관이 관통하는 중공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플랜지부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소켓의 내경으로 삽입되는 인서트부가 형성된 접속본체와; 상기 접속본체의 인서트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전, 후로 슬라이딩되기 위한 슬리브와; 상기 접속본체와 슬리브의 일측 끝선단부에 억지 끼움으로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결소켓으로 삽입되는 도수관의 외주면을 밀착, 가압하는 내, 외측 탄성편이 형성된 탄성인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므로 도수관과 도수관을 밀착 연결하는 가압고정수단에 의하여 부등침하에 따른 외부 압력이나, 내부 수압에 따른 내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속본체와 슬리브에 형성된 각 테이퍼면으로부터 전해지는 외압으로 상기 탄성인장부재의 내, 외측 탄성편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외압 탄성력이 발생되어 상기 연결소켓의 내주면과, 삽입되는 도수관의 외주면을 각각 밀착,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수밀성과 내압성을 유지하면서도 연결소켓과 연결접속구조가 간단하여 설치와 해체 작업이 쉽고, 그 유지보수에 따른 작업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관 조인트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관 조인트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 2는 관 조인트를 보인 전체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전체 결합단면도,
도 4는 도 2의 관 조인트에 따른 제 1관체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관 조인트에 따른 탄성부재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2의 관 조인트에 따른 고정슬리브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2의 관 조인트에 따른 작동슬리브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관 조인트의 작동을 보인 것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관 조인트의 작동 전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관 조인트의 작동 후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 1관체(100)는 일측에 파이프가 열융착 또는 나사 결합 등으로 일체로 연결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관 조인트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 조인트는, 제 1관체(100)와, 상기 제 1관체(100)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제 2관체(200)와, 상기 제 1관체(100)와 제 2관체(200)의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부재(300)와, 상기 탄성부재(300)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슬리브(400) 및 작동슬리브(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00)의 내주면과 이에 결합되는 작동슬리브(500)의 외주면 사이에 작동슬리브(500)의 동작을 원할이 할 수 있는 미끄럼 링(60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 1관체(100)와 제 2관체(200)는 원형으로 압출되는 금속의 수도관과 요철 형태로 스크루 방향으로 형성된 합성수지관, 내부에 사각형 또는 열십자형태의 프로파일이 스크루 방향으로 형성된 이중벽 하수관 또는 삼중벽 하수관으로 분류된다.
또한 상기 제 1관체(100)와 제 2관체(200)는 연속해서 성형되면서 이동 및 보관상의 문제로 인하여 필요에 따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게 되며, 절단된 제 1관체(100)와 제 2관체(200)는 다양한 연결방법 등을 통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관체(100)와 제 2관체(200)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에서 연결되는 제 1관체(100), 제 2관체(200)를 밀착, 고정하여 제 1관체(100)와 제 2관체(200) 사이의 수밀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부재(300)와, 고정슬리브(400) 및 작동슬리브(500)에 의해 연결,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관체(100)의 일측끝단부는 좌측 또는 우측에서 삽입되는 상기 제 2관체(200)가 삽입되는 삽입공(103)이 형성되고, 상기 제 1관체(100)의 내주면은 그 중앙정도에서 단이진 둘레부(105)의 구획된 경계를 따라 내경이 작은 소경부(107)와 내경이 큰 대경부(109)로 나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대경부(109)는 삽입되는 상기 제 2관체(200)를 밀착하는 탄성부재(300)가 수용, 밀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 1관체(100)의 대경부(109)는 소경부(107) 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부재(300)는 상기 고정슬리브(400)와 작동슬리브(500)의 일측 끝선단부에 끼움, 결합하여 전, 후로 슬라이딩되는 작동슬리브(500)의 작동으로 제 1관체(100) 내에 삽입되는 제 2관체(200)를 고정하면서 밀착하여 수밀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질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00)는 상기 제 1관체(100)의 삽입공(103)과 제 2관체(200)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제 2관체(20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내측 원통부(30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 원통부(301)의 외측으로 상기 삽입공(103)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외측 원통부(303)가 형성되며, 상기 내, 외측 원통부(301)(303)의 일측에는 그 일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0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305)로 연결되는 내. 외측 원통부(301)(303) 사이에 링형 삽입부(307)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00)의 내측 원통부(301)는 그 끝단부에 돌출된 돌출테두리(309)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1관체(100) 내에서 탄성부재(300)가 밀착, 고정되어 제 1관체(100)와 제 2 관체(200)의 수밀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가압밀착수단을 필요로 하는 데, 이 가압밀착수단을 구성하는 고정슬리브(400)와 작동슬리브(5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슬리브(400)는 각 양측끝단부가 관통된 중공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외측으로 상기 작동슬리브(500)가 삽입되어 그 외주면을 따라 전 ,후로 유동되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슬리브(400)는 상기 제 2관체(200)가 관통하는 중공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끝단부에 플랜지부(401)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401)와 일체로 연장되는 타측에는 상기 제 1관체(100)의 대경부(109)가 형성된 삽입공(103)을 통해 삽입되는 삽입부(40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403)는 끝선단부에 그 외주면을 따라 일측에 경사진 만곡부위(405a)가 형성된 테이퍼면(40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테이퍼면(405)은 상기 탄성부재(300)의 링형 삽입부(307)의 입구에서 안쪽으로 가면서 확대되는 테이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슬리브(400)의 내주면에는 그 둘레부를 따라 일정 폭의 홈을 이루는 둘레홈(40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둘레홈(407)에는 상기 탄성부재(300)의 내측 원통부(301)의 끝선단부에 형성된 둘출테두리(309)가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작동슬리브(500)는 상기 고정슬리브(400)에 형성된 삽입부(403)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전, 후로 슬라이딩되기 위한 것으로, 일측에 상기 제 1관체(100)의 대경부(109)의 내주면과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면적을 가지는 플랜지부(50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501)에서 타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삽입부(503)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503)의 끝선단부에는 그 바로 안쪽의 내주면을 따라 경사진 오목부위(505a)을 갖는 또 다른 테이퍼면(50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테이퍼면(505)은 상기 탄성부재(300)의 링형 삽입부(307)의 입구에서 안쪽으로 가면서 축소되는 테이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고정슬리브(400)의 삽입부(403)를 따라 작동슬리브(500)가 슬라이딩으로 전진이 이루어질 때, 상기 고정슬리브(400)의 테이퍼면(405)과 작동슬리브(505)의 테이퍼면(505)이 서로 맞대응하여 외측으로 벌어지는 반발력으로 상기 탄성부재(300)와 더욱 긴밀한 밀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확실한 반발력을 주는 조건으로 상기 테이퍼면(405)은 만곡부위(405a)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면(505)은 오목부위(505a)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슬리브(400)의 삽입부(403)와 작동슬리브(500)의 삽입부(503)는 그 두께의 폭(t1<t2)이 차이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폭(t1<t2)의 차이를 두는 것으로 상기 고정슬리브(400)의 삽입부(403)와 작동슬리브(400)의 삽입부(403)가 서로 밀치는 반발력으로 상기 탄성부재(300)의 링형 삽입부(307)의 내측면으로 더욱 밀착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300)의 링형 삽입부(307)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외측 원통부에 밀착되는 미끄럼 링(600)이 더 형성된다. 이때 상기 미끄럼 링(600)은 상기 작동슬리브(500)의 전, 후진 슬라이딩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 조인트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관체(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 2관체(200)를 연결하여 고정하고자 할 경우, 가압밀착수단에 의해 더욱 밀착되는 탄성부재(300)에 의해 수밀을 유지하면서 고정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고정슬리브(400)와 작동슬리브(500)를 탄성부재(300)에 각각 삽입하여 조립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 1관체(100)에 연결하고자 하는 제 2관체(200)의 외경에 탄성부재(300)를 삽입하여 끼운다. 이때 상기 제 2관체(200)는 제 1관체(100)의 내경에 밀착되는 상태를 이루면서 삽입되도록 연결한다.
이로써, 상기 제 1관체(100)의 내주면에 상기 탄성부재(300)와 결합된 제 2관체(200)의 밀착하는 접속이 이루어진다.
다음, 상기 탄성부재(300)에 삽입된 상기 작동슬리브(500)를 고정슬리브(400)의 외주면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밀어주게 되면, 상기 작동슬리브(500)는 탄성부재(300)의 링형 삽입부(307)로 더욱 진행하여 가압이 이루어져 탄성부재(300)의 탄력적인 벌어짐으로 제 2관체(200)를 제 1관체(100)의 내주면 사이에 더욱 견고한 밀착과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설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전 상기 고정슬리브(400)의 삽입부(403)와 작동슬리브(500)의 삽입부(503)는 완전 밀착이 이루어지기 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슬리브(500)의 전진으로 고정슬리브(400)에 밀착력을 위한 가압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고정슬리브(400)의 삽입부(403)와 작동슬리브(500)의 삽입부(503)에 형성된 각 테이퍼면(405)(505)은 서로 밀치는 반발력을 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작동슬리브(500)의 테이퍼면(505)는 고정슬리브(400)의 테이퍼면(405)를 올라타는 형태로 가압이 이루어진다. 이때 생기는 가압으로 상기 고정슬리브(400)의 삽입부(403)와 작동슬리브(500)의 삽입부(503)는 바깥쪽으로 그만큼 밀리는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300)의 내주면의 네.외측 원통부(301)(303)을 누르는 형태로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작동슬리브(500)가 고정슬리브(400)에 가압이 이루어지기 전, 연결부위의 폭(W1)보다 가압이 이루어진 후, 연결부위의 폭(W2)이 더 늘어나는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그 폭의 차이(W1<W2)만큼 탄성부재(230)를 눌러 밀착하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탄성부재(300)와 서로 닿아 있는 상기 제 1관체(100)와 제 2관체(200)의 내, 외주면이 더욱 밀착하게 되어 수밀성을 더욱 유지하게 하면서 제 1관체(100)에 삽입된 제 2관체(200)를 제 1관체(100) 내에서 견고하게 밀착 고정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관 조인트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반 새들 분수전에도 설치할 수도 있다. 이 새들 분수전은 상수관을 지하에 매설되어져 있는 상태에서 분기관에 의해 각 가정 및 건축물로 수돗물을 공급하게 되는데, 고압의 수돗물이 흐르고 있는 수도파이프에 이러한 분기관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해당 부위에 새들 분수전을 장착시킨 후 천공기를 이용하여 해당부위에 분기공을 천공하는 작업이 진행한 후, 새들 분수전의 일측에 분기관을 접속시킴으로써 분기공을 통해 분기 된 수돗물이 분기관을 통해 각 가정으로 공급할 수 있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제 1관체 103 : 삽입공
105 : 둘레부 107 : 소경부
109 : 대경부 200 : 제 2관체
300 : 탄성부재 301 : 내측 원통부
303 : 외측 원통부 305 : 연결부
307 : 링형 삽입부 309 : 돌출테두리
400 : 고정슬리브 401 : 플랜지부
403 : 삽입부 405 : 테이퍼면
405a : 만곡부위 407 : 둘레홈
500 : 작동슬리브 501 : 플랜지부
503 : 삽입부 505 : 테이퍼면
505a : 오목부위 600 : 미끄럼 링

Claims (5)

  1. 삽입공(103)을 가지는 제 1관체(100)와, 상기 제 1관체(100)의 삽입공(103)에 삽입되는 제 2관체(200)를 연결하는 관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제 1관체(100)의 삽입공(103)과 제 2관체(200)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제 2관체(20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내측 원통부(301)와, 상기 삽입공(103)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외측 원통부(303)와, 상기 내, 외측 원통부(301)(303)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05) 및, 상기 내. 외측 원통부(301)(303) 사이에 링형 삽입부(307)를 가지는 탄성부재(300)와;
    상기 탄성부재(300)의 링형 삽입부(307)에 삽입되며, 그 내주면이 상기 내측 원통부(301)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그 외주면이 상기 링형 삽입부(307)의 입구에서 안쪽으로 가면서 확대되는 테이퍼면(405)으로 형성된 삽입부(403)를 가지는 고정슬리브(400)와;
    상기 탄성부재(300)의 링형 삽입부(307)에 삽입되며, 그 외주면이 상기 외측 원통부(303)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그 내주면이 상기 링형 삽입부(307)의 입구에서 안쪽으로 가면서 축소되는 테이퍼면(505)으로 형성된 삽입부(503)를 가지는 작동 슬리브(500)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슬리브(400)의 테이퍼면(505)은 그 끝선단부의 외주면에 돌출된 만곡부위(405a)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슬리브(500)의 테이퍼면(505)은 그 끝선단부의 외주면에 함몰된 오목부위(505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작동슬리브(5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테이퍼면(405)의 오목부위(405a)와 상기 테이퍼면(505)의 오목부위(505a)가 맞대응하여 서로 밀치는 반발력으로 상기 탄성부재(300)에 밀착력이 발생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00)의 내측 원통부(301)의 일측 끝선단부에 돌출테두리(309)가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는 상기 고정슬리브(400)의 내주면에는 그 둘레부를 따라 일정 폭의 홈을 이루는 둘레홈(407)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300)의 링형 삽입부(307)에 삽입되는 고정슬리브(400)의 삽입부(403)가 이탈됨이 없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슬리브(500)가 고정슬리브(400)에 작동이 이루어지기 전 연결부위의 폭(W1)보다, 작동이 이루어진 후 연결부위의 폭(W2)이 더 늘어나도록 상기 고정슬리브(400)의 삽입부(403)와 작동슬리브(500)의 삽입부(503)에 형성된 각 테이퍼면(405)(505)은 서로 밀치는 반발력을 주게 되도록 형성되어 그 폭의 차이(W1<W2)만큼 탄성부재(300)를 밀착하도록 눌러 상기 제 1관체(100)에 삽입되는 제 2관체(200)를 고정하도록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00)의 링형 삽입부(307)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작동슬리브(500)의 전, 후진 슬라이딩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300)의 외측 원통부(303)에 밀착되는 미끄럼 링(600)이 더 형성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KR1020100082650A 2010-08-25 2010-08-25 관 조인트 KR101120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650A KR101120145B1 (ko) 2010-08-25 2010-08-25 관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650A KR101120145B1 (ko) 2010-08-25 2010-08-25 관 조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308A true KR20120019308A (ko) 2012-03-06
KR101120145B1 KR101120145B1 (ko) 2012-03-22

Family

ID=4612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650A KR101120145B1 (ko) 2010-08-25 2010-08-25 관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1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201B1 (ko) * 2013-01-23 2014-01-14 권태웅 파이프 결속장치 및 방법
KR101418334B1 (ko) * 2013-09-03 2014-07-10 권태웅 파이프 결속장치 및 방법
KR20180018092A (ko) * 2016-08-12 2018-02-21 씨피시스템(주) 튜브 커넥터
CN109125850A (zh) * 2018-06-29 2019-01-04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世纪坛医院 医用蠕动泵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072B1 (ko) * 2018-11-16 2020-08-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고압용 조절식 유압 호스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9379B2 (ja) * 2001-06-22 2011-07-06 ブリヂストンフローテック株式会社 管体損傷防止機構付き管継手
JP2004162731A (ja) * 2002-11-08 2004-06-10 Asahi Glass Engineering Co Ltd Frp管の接続構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201B1 (ko) * 2013-01-23 2014-01-14 권태웅 파이프 결속장치 및 방법
WO2014116009A1 (ko) * 2013-01-23 2014-07-31 Kweon Tae-Woong 파이프 결속장치 및 방법
KR101418334B1 (ko) * 2013-09-03 2014-07-10 권태웅 파이프 결속장치 및 방법
KR20180018092A (ko) * 2016-08-12 2018-02-21 씨피시스템(주) 튜브 커넥터
KR101867511B1 (ko) * 2016-08-12 2018-07-19 씨피시스템(주) 튜브 커넥터
CN109125850A (zh) * 2018-06-29 2019-01-04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世纪坛医院 医用蠕动泵管
CN109125850B (zh) * 2018-06-29 2024-02-27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世纪坛医院 医用蠕动泵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0145B1 (ko)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9874B2 (en) Tube coupling
US9376789B2 (en) Quick connection coupling
KR101120145B1 (ko) 관 조인트
US6334634B1 (en) Push-to-connect tubing fitting
US20100171302A1 (en) Push-twist connector
CN104662350A (zh) 抗震管道接头连接器
US3656783A (en) Transition pipe joint
KR200452915Y1 (ko) 배관 연결부재
US7607456B1 (en) Plug for hydrostatic testing of flexible polymeric pipe or tubing
JP5166173B2 (ja) 接続部受口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管継手、ます、パイプ
KR20110033548A (ko) 나선형 파형관용 이음장치
KR20090117285A (ko) 합성수지관연결구
KR20200025288A (ko) 고압용 파이프 커플러
KR20160004207U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CN204459565U (zh) 快速接头
KR101016885B1 (ko) 농업용 관체 연결구
CA2360875C (en) Sewer pipe coupling
KR200479409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
KR101090733B1 (ko) 관 결합구조
CN208074378U (zh) 一种双密封自锁承插接口
KR101407685B1 (ko) 분기관 연결용 조인트
KR101973850B1 (ko) 관 연결용 조인트
KR200424711Y1 (ko) 윤활제 저장부를 구비하는 실링재
KR101624228B1 (ko) 호스형 연결구
GB2349188A (en) Connection for corrugated or ribbed pi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