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2541A -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2541A
KR20120012541A KR1020100074547A KR20100074547A KR20120012541A KR 20120012541 A KR20120012541 A KR 20120012541A KR 1020100074547 A KR1020100074547 A KR 1020100074547A KR 20100074547 A KR20100074547 A KR 20100074547A KR 20120012541 A KR20120012541 A KR 20120012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user interaction
icon
touch
hom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기
윤수정
임경애
심수미
임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4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2541A/ko
Priority to PCT/KR2011/005651 priority patent/WO2012018212A2/en
Priority to CN201180037858XA priority patent/CN103052936A/zh
Priority to JP2013523092A priority patent/JP5982369B2/ja
Priority to AU2011286583A priority patent/AU2011286583A1/en
Priority to CA2806348A priority patent/CA2806348A1/en
Priority to EP11814812.1A priority patent/EP2601570A4/en
Priority to BR112013002552A priority patent/BR112013002552A2/pt
Priority to RU2013104411/08A priority patent/RU2013104411A/ru
Priority to US13/195,930 priority patent/US9535600B2/en
Publication of KR20120012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디바이스에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선택되는 오브젝트의 조합으로 빈 폴더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또는 폴더)을 포함하는 그룹 폴더를 생성하고 그의 운용을 제어할 수 있는 터치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에 있어서, 홈스크린에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조합에 따라 폴더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홈스크린의 특정 영역에 생성된 폴더를 배치하여 나타내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FOLDER IN A TOUCH DEVICE}
본 발명은 터치 기반 입력 인터페이스(touch-based input interface)를 가지는 터치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디바이스에서 터치 기반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폴더 생성과 생성된 폴더의 직관적인 운용이 가능한 터치 디바이스에 폴더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각종 휴대단말들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록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단말들은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동통신 단말의 경우에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외에도 TV(Television) 시청 기능(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 음악재생기능(예컨대, MP3(MPEG Audio Layer-3)), 사진촬영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사전 검색 기능 등 각종 멀티미디어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휴대단말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데이터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을 구비하는 터치 디바이스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터치 디바이스에서는 통상적으로 풀 터치스크린(full touch-screen) 타입으로 제공되며, 터치 디바이스의 경우 그 특성 상 숫자(또는 문자) 키 등의 구성이 생략된다. 그리고 터치 디바이스의 경우 기본적으로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터치 입력에 의해 터치 디바이스의 사용 및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터치 디바이스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터치 디바이스 이용에 따른 편의 향상 및 새로운 부가 기능 요구에 따른 새로운 기능 구현이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 디바이스에서 터치 기반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랙션의 조합으로 특정 영역에 새로운 폴더 생성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구현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재 제공된 화면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으로 선택되는 오브젝트에 따라 빈 폴더 또는 그룹 폴더를 생성하고, 생성된 폴더를 임의 영역에 자동 배치가 가능한 터치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생성에 대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여 폴더 생성 및 운용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사용성 및 편의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홈스크린에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조합에 따라 폴더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홈스크린의 특정 영역에 생성된 폴더를 배치하여 나타내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멀티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오브젝트들 조합으로 빈 폴더 또는 그룹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싱글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응하는 하나의 오브젝트 조합으로 빈 폴더 또는 그룹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오브젝트가 빈 영역일 시 상기 빈 폴더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오브젝트가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일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으로 구성된 그룹 폴더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터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로 구성된 홈스크린을 표시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받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조합에 따라 빈 폴더 또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그룹 폴더를 생성하고, 생성된 폴더를 정해진 룰에 따라 상기 홈스크린의 임의 영역에 배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홈스크린에서 폴더 생성을 위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새로운 폴더를 보다 간편하고 직관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터치 디바이스 및 그의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모든 디바이스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간단한 사용자 인터랙션으로 폴더 생성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기존의 폴더 생성을 위한 복잡한 단계를 간소화하며, 터치 기반의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생성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랙션의 운용 방식에 따라 빈 폴더를 생성하거나 또는 사용자 인터랙션의 운용 방식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그룹 폴더를 바로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더 관리에 보다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생성을 위한 보다 간편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구현함으로써 터치 디바이스의 사용성, 편의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를 생성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폴더를 생성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 폴더를 운용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생성 폴더의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보다 감성적이고 직관적으로 폴더 생성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홈스크린(homescreen)에서 멀티터치 기반 또는 싱글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폴더를 생성하고, 생성된 폴더를 정해진 룰에 따라 상기 홈스크린의 특정 영역에 배치하여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홈스크린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선택되는 오브젝트를 분석하고, 선택된 오브젝트의 조합에 따라 빈 폴더를 생성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또는 폴더)이 포함된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멀티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오브젝트들 조합으로 빈 폴더 또는 그룹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싱글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응하는 하나의 오브젝트 조합으로 빈 폴더 또는 그룹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오브젝트가 빈 영역일 시 상기 빈 폴더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오브젝트가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일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으로 구성된 그룹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폴더 생성 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오브젝트의 조합에 따라 빈 폴더를 생성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또는 폴더)을 포함하는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은 폴더 생성을 위해 미리 정의된 방식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랙션의 입력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홈스크린은 터치 디바이스에서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바로가기 아이콘, 위젯과 같은 위젯 아이콘, 및 폴더 등이 제공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오브젝트는 상기 홈스크린에 제공되는 아이콘, 홈스크린에 제공되는 폴더, 홈스크린에서 아이콘 또는 폴더가 배치되지 않은 빈 영역, 홈스크린의 일 영역에 제공되는 폴더 생성 영역을 대표하는 용어를 나타낸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구성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구성 및 그의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 디바이스는 표시부(100), 저장부(200), 그리고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밖에도 상기 터치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부, 마이크(MIC, Microphone)와 스피커(SPK, Speaker)를 구비하는 오디오처리부, 디지털 방송(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의 수신과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모듈, 사진/동영상 촬영 기능을 위한 카메라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 모듈, 인터넷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넷 통신 모듈, 터치 기반의 입력을 위한 터치패드, 물리적인 키 입력을 지원하는 입력부 등의 통상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들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표시부(100)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화면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메시지 기능, 전자메일 기능, 인터넷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검색 기능, 통신 기능, 전자책읽기 기능(예컨대, e-book), 동영상 기능, 사진/동영상 촬영 기능, 사진/동영상 보기 기능, TV 시청 기능(예컨대, DMB나 DVB와 같은 이동 방송), 음악 재생 기능(예컨대, MP3), 위젯 기능, 메모 기능 등의 실행화면을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10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등과 같은 다른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00)는 화면을 표시할 때 터치 디바이스의 놓인 방향에 따라 가로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세로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표시부(100)는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00)는 터치스크린 구성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은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 입력을 지원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표시부(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홈스크린을 표시하며, 홈스크린에서 터치 기반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생성된 폴더를 홈스크린의 일 영역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의한 폴더 생성 및 그의 배치에 대해 후술하는 동작 예시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터치 디바이스에서 실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터치 디바이스의 운영체제, 표시부(100)의 표시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표시부(100)를 이용한 입력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폴더 생성 기능 운용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폴더 생성을 위한 에디터 모드(edit mode) 운용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터치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본 발명의 폴더 생성 기능의 운용에 따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00)는 홈스크린에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이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이 폴더 생성을 위한 것인지 일반적인 기능 제어를 위한 것인지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300)는 사용자 인터랙션이 폴더 생성을 위해 정해진 룰에 따라 입력되는지를 분석하여 폴더 생성을 위한 인터랙션인지 일반적인 기능 제어를 위한 인터랙션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랙션이 홈스크린의 오브젝트 상에 터치되어 일정시간 이상 홀드(hold)된 후 릴리즈(release)되는 경우 폴더 생성을 위한 인터랙션인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폴더 생성을 위한 인터랙션인 것으로 인지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오브젝트의 조합에 따라 빈 폴더를 생성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또는 폴더)을 포함하는 폴더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랙션이 멀티터치 방식으로 입력되고 멀티터치에 따른 각 포인트들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또는 폴더)이 포함되면, 제어부(300)는 해당 아이콘(또는 폴더)을 포함하는 그룹 폴더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아이콘(또는 폴더)은 상기 그룹 폴더 내로 이동되어 홈스크린에서 제거된다. 또는 사용자 인터랙션이 멀티터치 방식으로 입력되고 멀티터치에 따른 각 포인트들의 위치가 아이콘(또는 폴더)이 없는 빈 영역이면, 제어부(300)는 어떠한 아이콘(또는 폴더)도 포함하지 않는 빈 폴더를 생성한다.
또는 사용자 인터랙션이 싱글터치 방식으로 입력되고 싱글터치에 따른 포인트의 위치에 아이콘(또는 폴더)이 포함되면, 제어부(300)는 해당 아이콘(또는 폴더)을 포함하는 그룹 폴더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아이콘(또는 폴더)은 상기 그룹 폴더 내로 이동되어 홈스크린에서 제거된다. 또는 사용자 인터랙션이 싱글터치 방식으로 입력되고 싱글터치에 따른 포인트가 아이콘(또는 폴더)이 없는 빈 영역이면, 제어부(300)는 어떠한 아이콘(또는 폴더)을 포함하지 않는 빈 폴더를 생성한다.
또는 사용자 인터랙션이 싱글터치 방식으로 입력되고 싱글터치가 홈스크린의 폴더 생성 영역에서 오브젝트가 제공되는 표시영역의 빈 영역으로 이동(예컨대, 드래그, 플릭, 드래그앤드롭 등)하는 입력이면, 제어부(300)는 어떠한 아이콘(또는 폴더)도 포함하지 않는 빈 폴더를 생성한다. 또는 사용자 인터랙션이 싱글터치 방식으로 입력되고 싱글터치가 홈스크린의 폴더 생성 영역에서 표시영역의 임의의 아이콘(또는 폴더)로 이동하는 입력이면, 제어부(300)는 해당 아이콘(또는 폴더)을 포함하는 그룹 폴더를 생성한다. 또는 사용자 인터랙션이 싱글터치(또는 멀티터치) 방식으로 입력되고 싱글터치(멀티터치)가 표시영역의 빈 영역에서 폴더 생성 영역으로 이동하는 입력이면, 제어부(300)는 빈 폴더를 생성한다. 또는 사용자 인터랙션이 싱글터치(또는 멀티터치) 방식으로 입력되고 싱글터치(또는 멀티터치)가 표시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또는 폴더)에서 폴더 생성 영역으로 이동하는 입력이면, 제어부(300)는 해당 아이콘(또는 폴더)을 포함하는 그룹 폴더를 생성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빈 폴더 생성 또는 그룹 폴더 생성 동작에 대해 후술하는 터치 디바이스의 동작 예시 및 그의 제어 방법에서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빈 폴더와 그룹 폴더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한 것이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상기와 같이 생성하는 폴더를 설정된 방식에 따라 홈스크린의 적절한 영역에 배치하여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홈스크린에서 아이콘(또는 폴더)이 배치되지 않은 빈 영역에 생성된 폴더(빈 폴더 또는 그룹 폴더)를 배치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제어부(300)는 사용자 인터랙션이 이루어지는 영역에 생성된 폴더(빈 폴더 또는 그룹 폴더)를 배치하여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폴더를 홈스크린의 특정 영역에 배치하는 동작에 대해 후술하는 예시에서 설명될 것이다.
그 밖에도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터치 디바이스의 통상적인 기능과 관련된 각종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그의 운용 및 데이터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입력 방식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른 기능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생성된 폴더를 삭제하거나 이름을 변경하는 등과 같은 폴더 관리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터치 디바이스는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바 타입,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플립 타입 등 모든 타입의 휴대단말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터치 디바이스는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터치 디바이스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대응되는 각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뮤직 플레이어(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의 소형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 기반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폴더를 생성하는 방법은 TV(Television), LFD(Large Format Display), DS(Digital Signage), 미디어 폴(media pole), 퍼스널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및 노트북(Notebook) 등의 중대형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운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를 생성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홈스크린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20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어떠한 아이콘(또는 폴더)도 존재하지 않는 화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또는 폴더)이 존재하는 화면, 다수개의 아이콘과 폴더들이 블록 타입으로 나열된 화면, 다수개의 아이콘(또는 텍스트)들이 리스트 타입으로 나열된 화면 등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홈스크린이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다(203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홈스크린 표시 중에 사용자가 홈스크린 상에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하면 해당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하고 그의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은 터치 디바이스에서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입력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은 탭(tap) 입력, 드래그(drag) 입력, 드래그앤드롭(drag&drop) 입력, 스윙(swing) 입력, 플릭(flick) 입력 등의 싱글터치(single-touch) 입력과 싱글터치에 따른 터치앤홀드(touch&hold)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은 멀티터치(multi-touch) 입력과 멀티터치에 따른 터치앤홀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이 폴더 생성을 위한 인터랙션인지 또는 일반적인 기능 제어를 위한 인터랙션인지 판단한다(20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이 폴더 생성을 위해 정해진 룰에 따라 입력되는지를 분석하여 사용자 인터랙션을 구분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300)는 사용자 인터랙션이 홈스크린에서 두 개의 오브젝트 상에 멀티터치 되어 일정시간 이상 홀드(예컨대, 멀티터치에 따른 터치앤홀드 입력)된 후 릴리즈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 인터랙션을 폴더 생성을 위한 인터랙션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300)는 사용자 인터랙션이 홈스크린에서 빈 영역에 싱글터치되어 일정시간 이상 홀드(예컨대, 싱글터치에 따른 터치앤홀드)된 후 릴리즈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 인터랙션을 폴더 생성을 위한 인터랙션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300)는 홈스크린에 주어진 폴더 생성 영역에서 오브젝트가 제공되는 표시 영역으로 드래그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 인터랙션을 폴더 생성을 위한 인터랙션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폴더 생성을 위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랙션 입력이 가능하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랙션 입력에 대해 후술하는 동작 예시에서 설명될 것이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이 일반적인 기능 제어를 위한 인터랙션인 것으로 판단하면(205단계의 No) 해당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20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이 특정 아이콘에 더블 탭과 같은 방식의 입력인 것으로 구분하면, 상기 특정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그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이 폴더 생성을 위한 인터랙션인 것으로 판단하면(205단계의 Yes)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오브젝트를 분석하고(209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오브젝트의 조합에 따라 폴더를 생성한다(21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오브젝트의 조합에 따라 빈 폴더를 생성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또는 폴더)을 포함하는 그룹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300)는 사용자 인터랙션이 멀티터치 방식으로 입력되고 멀티터치에 따른 각 포인트들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또는 폴더)이 존재하면 해당 아이콘(또는 폴더)을 포함하는 그룹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사용자 인터랙션이 멀티터치 방식으로 입력되고 멀티터치에 따른 각 포인트들의 위치에 아이콘(또는 폴더)이 존재하지 않으면 빈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사용자 인터랙션이 싱글터치 방식으로 입력되고 싱글터치에 따른 포인트의 위치에 아이콘(또는 폴더)이 존재하면 해당 아이콘(또는 폴더)을 포함하는 그룹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사용자 인터랙션이 싱글터치 방식으로 입력되고 싱글터치에 따른 포인트의 위치에 아이콘(또는 폴더)이 존재하지 않으면 빈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사용자 인터랙션이 싱글터치 방식으로 입력되고 싱글터치가 홈스크린에 주어진 폴더 생성 영역에서 표시영역의 빈 영역(또는 표시영역의 빈 영역에서 폴더 생성 영역)으로 이동하면 빈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사용자 인터랙션이 싱글터치 방식으로 입력되고 싱글터치가 홈스크린에 주어진 폴더 생성 영역에서 표시영역의 특정 아이콘(또는 폴더)(또는 표시영역의 특정 아이콘에서 폴더 생성 영역)으로 이동하면 해당 아이콘(또는 폴더)을 포함하는 그룹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오브젝트 조합에 따라 폴더를 생성하는 것에 대해 후술하는 동작 예시에서 설명될 것이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오브젝트 조합에 따라 폴더(빈 폴더 또는 그룹 폴더)를 생성한 후 생성된 폴더(빈 폴더 또는 그룹 폴더)를 홈스크린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여 나타낸다(213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홈스크린에서 아이콘(또는 폴더)이 배치되지 않은 빈 영역에 생성된 폴더를 배치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제어부(300)는 사용자 인터랙션이 이루어지는 영역에 생성된 폴더를 배치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폴더를 홈스크린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여 나타내는 것에 대해 후술하는 동작 예시에서 설명될 것이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21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상기 생성된 폴더의 이름을 변경하거나, 폴더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또는 홈스크린의 아이콘(또는 폴더)을 상기 생성된 폴더 내로 이동하는 등을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폴더를 생성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은 다수개의 아이콘 및 폴더가 블록 타입으로 배열된 홈스크린이 나타난 상태에서 적어도 두 개의 오브젝트들에 사용자 인터랙션이 입력되고 그에 대응하여 폴더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멀티터치 방식으로 두 개의 오브젝트들에 발생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은 아이콘과 아이콘, 아이콘과 폴더, 폴더와 폴더, 아이콘과 빈 영역, 폴더와 빈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 3에서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조합되는 오브젝트가 두 개의 아이콘들인 경우에 폴더를 생성하는 동작을 예시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3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0) 상에 홈스크린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참조번호 3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홈스크린 상에 폴더 생성을 위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3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아이콘(310)과 제2아이콘(330)에 멀티터치 방식으로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일예로, 멀티터치 방식으로 제1아이콘(310)과 제2아이콘(330)을 선택하여 지정하고 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홀드한 후 릴리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홈스크린을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오브젝트 조합에 따라 폴더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3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아이콘(310)이 나타나던 영역에 새로운 폴더(35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새로운 폴더(350)는 폴더 생성 알림의 직관성을 고려하여 초기에는 반투명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제2아이콘(330)이 상기 새로운 폴더(350)로 이동한 후 새로운 폴더(350)와 중첩되는 지점에서 상기 새로운 폴더(350) 내로 진입하여 사라지는 비주얼 이펙트(visual effect)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이 앞서와 같이 폴더 생성을 위한 인터랙션이면 참조번호 3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아이콘(310)의 위치에 새로운 폴더(350)가 희미하게(예컨대, 반투명 형태)로 나타난다. 그리고 제2아이콘(330)이 상기 폴더(350)로 이동되고 상기 폴더(350) 속으로 인입되어 사라지는 비주얼 이펙트가 제공된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상기 새로운 폴더(350)에 임시 적용된 반투명 이펙트를 제거하고 완전한 형태의 폴더(350)로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비주얼 이펙트가 완료될 시 참조번호 3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완성된 새로운 폴더(350)가 기존의 제1아이콘(310)의 위치에 배치되어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참조번호 3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아이콘(310)과 제2아이콘(330)은 상기 새로운 폴더(350) 내로 이동되어 홈스크린에서 제거되며 그의 표시는 생략된다. 그리고 상기 새로운 폴더(350) 내에는 상기 제1아이콘(310)과 제2아이콘(330)이 포함되어 서브루틴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탭 또는 더블 탭과 같은 인터랙션으로 상기 새로운 폴더(350)를 활성화할 시 표시부(100)에는 상기 폴더(350) 내로 이동된 제1아이콘(310)과 제2아이콘(330)의 리스트가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3에서는 생성되는 폴더(350)가 제1아이콘(310)의 위치에 배치되어 나타나는 것을 예시로 하였다. 이는 폴더 생성 위치가 오브젝트들의 배열 순서 상 우선순위가 앞서는 위치로 지정된 경우에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생성하는 폴더(350)의 배치 위치를 우선순위가 늦은 위치로 지정할 시 상기 폴더(350)는 제2아이콘(330)의 위치에 나타나고 제1아이콘(310)이 상기 폴더(350)로 이동되는 비주얼 이펙트가 나타나며, 제1아이콘(310)의 위치가 빈 영역으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생성하는 폴더(350)의 배치 위치를 홈스크린의 빈 영역에 배치하는 방식인 경우 상기 폴더(350)는 홈스크린의 빈 영역들 중 상위의 빈 영역(예컨대, 참조번호 370의 영역)에 배치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멀티터치 방식으로 입력된 사용자 인터랙션 중 어느 하나의 포인트(예컨대, 제1아이콘(310)))를 드래그 방식으로 다른 포인트(예컨대, 제2아이콘(330))로 이동할 시 고정된 위치(예컨대, 다른 포인트) 위치에 폴더(350)가 배치되어 나타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멀티터치 방식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새로운 폴더(350)를 바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인터랙션 발생 시 참조번호 3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 생성이 가능한 모드(이하, '에디터 모드'라 칭함)로 진입하여 폴더 생성을 위한 모드가 활성화됨을 직관적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303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이 폴더 생성을 위한 인터랙션으로 인지할 시 참조번호 315와 같이 각 아이콘(또는 폴더) 상에 에디터 모드임을 알리는 아이템(390)(이하, '에디터 모드 아이템'이라 칭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에디터 모드임을 알리기 위해 상기 에디터 모드 아이템(390) 외에도 각 아이콘(또는 폴더) 전체를 희미하게 반투명 형태로 변경하여 제공하거나, 이 외에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직관성을 부여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에디터 모드 진입 후 사용자 인터랙션이 릴리즈될 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폴더 생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폴더를 생성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는 다수개의 아이콘 및 폴더가 블록 타입으로 배열된 홈스크린이 나타난 상태에서 적어도 두 개의 오브젝트들에 사용자 인터랙션이 입력되고 그에 대응하여 폴더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멀티터치 방식으로 두 개의 오브젝트들에 발생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은 아이콘과 아이콘, 아이콘과 폴더, 폴더와 폴더, 아이콘과 빈 영역, 폴더와 빈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 4에서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조합되는 오브젝트가 하나의 아이콘과 빈 영역인 경우에 폴더를 생성하는 동작을 예시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4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0) 상에 홈스크린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참조번호 4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홈스크린 상에 폴더 생성을 위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4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아이콘(410)과 빈 영역(430)에 멀티터치 방식으로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일예로, 멀티터치 방식으로 제1아이콘(410)과 빈 영역(430)을 선택하여 지정하고 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홀드한 후 릴리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홈스크린을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오브젝트 조합에 따라 폴더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4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아이콘(410)이 나타나던 영역에 새로운 폴더(45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4에서는 도 3과 달리 폴더(450) 내로 특정 아이콘이 이동되어 사라지는 비주얼 이펙트는 생략될 수 있다. 즉, 제어부(300)는 기존의 제1아이콘(410)만을 폴더(450)로 이동하고 상기 제1아이콘(410)의 위치에 상기 새로운 폴더(450)를 배치하여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새로운 폴더(450) 내에는 상기 제1아이콘(410)이 포함되어 서브루틴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탭 또는 더블 탭과 같은 인터랙션으로 상기 새로운 폴더(450)를 활성화할 시 표시부(100)에는 상기 폴더(450) 내로 이동된 제1아이콘(410)의 리스트가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4에서는 생성되는 폴더(450)가 제1아이콘(410)의 위치에 배치되어 나타나는 것을 예시로 하였다. 이는 폴더 생성 위치가 오브젝트들의 배열 순서 상 우선순위가 앞서는 위치로 지정된 경우에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생성하는 폴더(450)의 배치 위치를 우선순위가 늦은 위치로 지정할 시 상기 폴더(450)는 빈 영역(430)의 위치에 나타나고 제1아이콘(410)이 상기 폴더(450)로 이동되는 비주얼 이펙트가 나타나며, 제1아이콘(410)의 위치가 빈 영역으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4에서는 그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상기 도 4에서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디터 모드로 진입하고 에디터 모드에서 폴더 생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폴더를 생성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는 다수개의 아이콘 및 폴더가 블록 타입으로 배열된 홈스크린이 나타난 상태에서 하나의 오브젝트에 사용자 인터랙션이 입력되고 그에 대응하여 폴더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싱글터치 방식으로 하나의 오브젝트에 발생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은 아이콘, 폴더, 빈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 5에서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조합되는 오브젝트가 빈 영역인 경우에 폴더를 생성하는 동작을 예시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5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0) 상에 홈스크린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참조번호 5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홈스크린 상에 폴더 생성을 위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5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홈스크린의 빈 영역(510)에 싱글터치 방식으로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일예로, 싱글터치 방식으로 빈 영역(510)을 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홀드한 후 릴리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홈스크린을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오브젝트 조합에 따라 폴더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5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랙션이 발생된 빈 영역(510)에 새로운 폴더(550)를 생성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5에서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오브젝트가 빈 영역이므로 특정 아이콘(또는 폴더)이 이동되어 사라지는 비주얼 이펙트는 생략될 수 있다. 즉, 상기 새로운 폴더(550) 내에는 어떠한 아이콘(또는 폴더)도 포함되지 않는 빈 폴더로 구성된다. 따라서 탭 또는 더블 탭과 같은 인터랙션으로 상기 새로운 폴더(550)를 활성화할 시 표시부(100)는 빈 영역으로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5에서는 그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폴더 생성을 위한 싱글터치 방식의 사용자 인터랙션은 특정 아이콘(또는 폴더)에도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싱글터치 방식으로 특정 아이콘(또는 폴더)을 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홀드한 후 릴리즈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300)는 상기 특정 아이콘(또는 폴더)을 포함하는 그룹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하는 그룹 폴더는 상기 특정 아이콘(또는 폴더)의 위치 또는 빈 영역에 배치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5에서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디터 모드로 진입하고 에디터 모드에서 폴더 생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폴더를 생성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은 다수개의 아이콘 및 폴더가 블록 타입으로 배열된 홈스크린이 나타나고 상기 홈스크린의 일 영역이 폴더 생성을 위한 폴더 생성 영역으로 제공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도 6에서는 오브젝트가 폴더 생성 영역이고, 이러한 폴더 생성 영역이 제공되는 홈스크린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폴더를 생성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상기 오브젝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아이콘, 폴더, 아이콘 또는 폴더가 배치되지 않은 빈 영역을 비롯하여 상기 폴더 생성 영역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 폴더 생성 영역에서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표시영역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폴더를 생성하는 동작을 예시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6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0) 상에 폴더 생성 영역(600)과 아이콘 또는 폴더 등의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표시영역(700)으로 구분된 홈스크린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참조번호 6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홈스크린의 상기 폴더 생성 영역(600)에 폴더 생성을 위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참조번호 6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스크린의 폴더 생성 영역(600)을 터치한 후 참조번호 6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영역(700)으로 이동(예컨대, 드래그, 스윙 등)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폴더 생성 영역(600)에 사용자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참조번호 6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폴더(610)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6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랙션이 이동되는 경로에 따라 상기 가상의 폴더(610)가 이동되는 비주얼 이펙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폴더 생성 영역(600)에 위치한 후 다른 영역(예컨대, 표시영역(700))으로 이동할 경우 가상의 폴더(610)가 손가락을 따라 움직이는 비주얼 이펙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상기 폴더 생성 영역(600)에서 표시영역(700)으로 이동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폴더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참조번호 6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랙션을 표시영역(700)의 임의의 빈 영역에서 릴리즈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6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랙션이 릴리즈된 영역에 새로운 폴더(650)를 생성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6에서는 사용자 인터랙션이 릴리즈된 영역이 빈 영역이므로 상기 새로운 폴더(650)는 빈 폴더로 구성된다. 따라서 탭 또는 더블 탭과 같은 인터랙션으로 상기 새로운 폴더(650)를 활성화할 시 표시부(100)는 빈 영역으로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6에서는 그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상기 폴더 생성 영역(600)에서 표시영역(700)으로 이동된 사용자 인터랙션이 특정 아이콘(또는 폴더)이 존재하는 영역에서 릴리즈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300)는 상기 특정 아이콘(또는 폴더)을 포함하는 그룹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하는 그룹 폴더는 상기 특정 아이콘(또는 폴더)의 위치 또는 빈 영역에 배치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6에서는 그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상기 도 6에서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디터 모드로 진입하고 에디터 모드에서 폴더 생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폴더를 생성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은 다수개의 아이콘 및 폴더가 블록 타입으로 배열된 홈스크린이 나타나고 상기 홈스크린의 일 영역이 폴더 생성을 위한 폴더 생성 영역으로 제공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도 7에서는 오브젝트가 폴더 생성 영역이고, 이러한 폴더 생성 영역이 제공되는 홈스크린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폴더를 생성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이하, 상기 홈스크린의 표시영역에서 상기 폴더 생성 영역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폴더를 생성하는 동작을 예시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7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0) 상에 폴더 생성 영역(600)과 아이콘 또는 폴더 등의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표시영역(700)으로 구분된 홈스크린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참조번호 7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홈스크린의 상기 표시영역(700)에서 임의의 아이콘(또는 폴더)에 폴더 생성을 위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참조번호 7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스크린의 표시영역(700)에서 특정 아이콘(710)을 터치한 후 참조번호 7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 생성 영역(600)으로 이동(예컨대, 드래그, 스윙 등)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표시영역(700)에서 폴더 생성 영역(600)으로 이동되는 사용자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참조번호 7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랙션이 이동되는 경로에 따라 상기 아이콘(710)이 이동되는 비주얼 이펙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아이콘(710)에 위치한 후 폴더 생성 영역(600)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아이콘(710)이 손가락을 따라 움직이는 비주얼 이펙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상기 표시영역(700)에서 상기 폴더 생성 영역(600)으로 이동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폴더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참조번호 7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랙션을 폴더 생성 영역(600)에서 릴리즈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7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 생성 영역(600)으로 이동된 아이콘(710)의 위치에 새로운 폴더(750)를 생성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7에서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아이콘(710)이 지정되어 폴더 생성 영역(600)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새로운 폴더(750)는 상기 아이콘(710)을 포함하는 그룹 폴더로 생성된다. 따라서 탭 또는 더블 탭과 같은 인터랙션으로 상기 새로운 폴더(750)를 활성화할 시 표시부(100)에는 상기 폴더(750) 내로 이동된 아이콘(710)의 리스트가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7에서는 그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표시영역(700)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랙션이 빈 영역에서 시작하여 폴더 생성 영역(600)으로 이동 후 릴리즈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300)는 빈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하는 폴더는 사용자 인터랙션이 시작된 빈 영역에 배치하여 나타내거나 또는 우선순위가 앞서는 빈 영역에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7에서는 그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상기 도 7에서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디터 모드로 진입하고 에디터 모드에서 폴더 생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폴더를 생성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은 다수개의 아이콘 및 폴더가 블록 타입으로 배열된 홈스크린이 나타난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에디터 모드로 진입하고 에디터 모드에서 하나의 오브젝트에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폴더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상기 도 8에서 싱글터치 방식으로 하나의 오브젝트에 발생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은 아이콘, 폴더, 빈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8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0) 상에 홈스크린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참조번호 8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홈스크린 상에 폴더 생성을 위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8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홈스크린의 빈 영역(810)에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싱글터치 방식으로 빈 영역(810)을 터치한 후 일정시간동안 홀드하는 터치앤홀드와 같은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은 상기 빈 영역(810)이 아닌 임의의 아이콘 또는 폴더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홈스크린을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참조번호 8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디터 모드로 진입하고 그에 따른 비주얼 이펙트를 제공한다. 에를 들어,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820과 같이 에디터 모드 진입을 알리는 에디터 모드 아이템(820)을 아이콘 및 폴더의 오브젝트들 상에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번호 803과 같이 에디터 모드가 활성화될 시 상기 빈 영역(810)에 입력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릴리즈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의 릴리즈를 감지할 시 참조번호 8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랙션이 입력된 빈 영역(810)에 새로운 폴더(830)를 생성하여 나타낸다.
또한 사용자는 에디터 모드에서 참조번호 8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 영역(840)에 탭과 같은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에디터 모드에서 빈 영역(840)에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할 시 참조번호 8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빈 영역(840)에 새로운 폴더(850)를 추가 생성하여 나타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참조번호 801 내지 참조번호 8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롱 터치(long touch) 후 릴리즈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으로 에디터 모드 진입 및 폴더(810)를 생성할 수 있으며, 그리고 에디터 모드에서 탭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으로 폴더(840)를 추가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빈 영역에 발생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생성되는 폴더들(830)(850)은 어떠한 아이콘(또는 폴더)도 포함되지 않는 빈 폴더로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는 에디터 모드에서 참조번호 8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아이콘(또는 폴더)(860)에 탭과 같은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에디터 모드에서 특정 아이콘(또는 폴더)(860)에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할 시 참조번호 8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콘(또는 폴더)(860) 영역에 새로운 폴더(870)를 추가 생성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특정 아이콘(또는 폴더)(860)에 발생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생성되는 폴더(870)는 해당 아이콘(또는 폴더)(860)을 포함하는 그룹 폴더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설정된 조작으로 상기 에디터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기능 취소 키 등의 조작 또는 에디터 모드 해제를 위한 설정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 입력으로 에디터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에디터 모드를 해제하고 참조번호 8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디터 모드 아이템(820)이 제거된 홈스크린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스크린에는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생성된 폴더들(830)(850)(870)이 나타날 수 있다. 이때, 빈 영역의 오브젝트에 입력된 사용자 인터랙션으로 생성되는 폴더들(830)(850)의 경우 빈 폴더로 구성되며, 아이콘 또는 폴더의 오브젝트에 입력된 사용자 인터랙션으로 생성되는 폴더(870)의 경우 해당 아이템 또는 폴더를 포함하는 그룹 폴더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도 8에서는 그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상기 도 8에서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디터 모드 진입 없이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폴더 생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폴더를 생성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는 다수개의 아이콘 및 폴더가 블록 타입으로 배열된 홈스크린이 나타난 상태에서 하나의 오브젝트에 사용자 인터랙션이 입력되고 그에 대응하여 폴더가 생성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상기 도 9에서 싱글터치 방식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랙션은 아이콘, 폴더, 빈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도 9에서 오브젝트는 아이콘, 폴더, 빈 영역 외에 고스트 폴더(ghost fold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도 9에서 싱글터치 방식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에디터 모드로 진입하고 에디터 모드에서 고스트 폴더를 이용하여 폴더를 생성하는 동작을 예시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9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0) 상에 홈스크린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참조번호 9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홈스크린 상에 폴더 생성을 위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9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홈스크린의 빈 영역(910)에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싱글터치 방식으로 빈 영역(910)을 터치하여 일정시간동안 홀드한 후 릴리즈 하는 것과 같은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은 상기 빈 영역(910)이 아닌 임의의 아이콘 또는 폴더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홈스크린을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참조번호 9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디터 모드로 진입하고 그에 따른 비주얼 이펙트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930과 같이 에디터 모드 진입을 알리는 에디터 모드 아이템(930)을 아이콘 및 폴더의 오브젝트들 상에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에디터 모드 진입 시 참조번호 9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스트 폴더(955)를 생성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스트 폴더(955)의 경우 상기 에디터 모드 아이템(930)의 표시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후 에디터 모드에서 고스트 폴더(955)가 완전한 새로운 폴더(950)로 전환될 시 상기 폴더(950)에 에디터 모드 아이템(930)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고스트 폴더는 설명을 위하여 편의상 구분한 것으로 흐릿한 반투명 형태로 제공되며, 실제 생성은 되지 않은 상태의 가상의 폴더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고스트 폴더는 사용자가 해당 고스트 폴더에 사용자 인터랙션을 발생할 시 완전한 새로운 폴더로 전환된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903과 같이 고스트 폴더(955)가 나타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고스트 폴더(955) 상에 폴더 생성을 위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9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고스트 폴더(955)에 싱글터치 방식의 탭과 같은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상기 고스트 폴더(955)에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오브젝트 조합에 따라 폴더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9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스트 폴더(955)를 완전한 폴더(950)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9에서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오브젝트가 고스트 폴더(955)에 이루어지므로 생성되는 폴더(950)는 어떠한 아이콘(또는 폴더)도 포함하지 않는 빈 폴더로 구성된다. 따라서 탭 또는 더블 탭과 같은 인터랙션으로 상기 폴더(950)를 활성화할 시 표시부(100)는 빈 영역으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참조번호 9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스트 폴더(955)가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완전한 폴더(950)로 전환될 시 새로운 고스트 폴더(965)가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성된 폴더(950) 상에 에디터 모드 아이템이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상기 새로운 고스트 폴더(965)의 생성 위치는 빈 영역들 중 우선순위가 앞서는 빈 영역 위치에 나타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새로운 폴더 생성을 완료할 시 설정된 사용자 인터랙션 입력에 의하여 에디터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메뉴 조작 또는 홈스크린의 임의의 빈 영역에 일정시간 터치앤홀드 후 릴리즈하는 등의 사용자 인터랙션으로 에디터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에디터 모드 해제를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참조번호 9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스크린에서 에디터 모드 아이템(930)을 제거하여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9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디터 모드에서 제공된 고스트 폴더(965)의 표시는 생략하고 상기에서 생성된 폴더(950)만을 포함하여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9에서는 그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상기 도 9에서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디터 모드 진입 없이 고스트 폴더 및 폴더 생성 기능을 바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폴더를 생성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은 다수개의 아이콘 및 폴더가 블록 타입으로 배열된 홈스크린이 나타난 상태에서 하나의 오브젝트에 사용자 인터랙션이 입력되고 그에 대응하여 폴더가 생성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상기 도 10에서 싱글터치 방식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랙션은 아이콘, 폴더, 빈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도 10에서 오브젝트는 아이콘, 폴더, 빈 영역 외에 고스트 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도 10에서는 싱글터치 방식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에디터 모드로 진입하고 에디터 모드에서 고스트 폴더를 이용하여 폴더를 생성하는 동작을 예시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0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0) 상에 홈스크린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참조번호 10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홈스크린 상에 폴더 생성을 위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10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홈스크린의 빈 영역(1010)에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싱글터치 방식으로 빈 영역(1010)을 터치하여 일정시간동안 홀드한 후 릴리즈 하는 것과 같은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은 상기 빈 영역(1010)이 아닌 임의의 아이콘 또는 폴더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홈스크린을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참조번호 10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디터 모드로 진입하고 그에 따른 비주얼 이펙트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1030과 같이 에디터 모드 진입을 알리는 에디터 모드 아이템(1030)을 아이콘 및 폴더의 오브젝트들 상에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앞서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스트 폴더(1055)를 생성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때, 고스트 폴더(1055)의 경우 상기 에디터 모드 아이템(1030)의 표시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후 에디터 모드에서 고스트 폴더(1055)가 완전한 폴더(1050)로 전환될 시 상기 폴더(1050)에 에디터 모드 아이템(1030)이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스트 폴더는 사용자가 해당 고스트 폴더에 사용자 인터랙션을 발생할 시 완전한 새로운 폴더로 전환된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1003과 같이 고스트 폴더(1055)가 나타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임의의 아이콘(또는 폴더)을 이용하여 폴더 생성을 위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10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임의의 아이콘(1070)을 선택 지정한 후 해당 아이콘(1070)을 상기 고스트 폴더(1055)로 이동(예컨대, 드래그, 스윙 등)하는 싱글터치 방식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10에서는 하나의 아이콘(1070)을 상기 고스트 폴더(1055)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로 나타내었으나, 다수개의 아이콘 및 폴더를 상기 고스트 폴더(1055)로 이동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상기 고스트 폴더(1055)에 특정 아이콘(또는 폴더)이 이동되는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오브젝트 조합에 따라 폴더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10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스트 폴더(1055)를 완전한 폴더(1050)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10에서는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오브젝트가 아이콘(1070)에 이루어지므로 생성되는 폴더(1050)는 상기 아이콘(1070)을 포함하는 그룹 폴더로 구성된다. 따라서 탭 또는 더블 탭과 같은 인터랙션으로 상기 폴더(1050)를 활성화할 시 표시부(100)에는 상기 폴더(1050) 내로 이동된 아이콘(1070)의 리스트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참조번호 10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스트 폴더(1055)가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완전한 폴더(1050)로 전환될 시 새로운 고스트 폴더(1065)가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성된 폴더(1050) 상에 에디터 모드 아이템이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상기 새로운 고스트 폴더(1065)의 생성 위치는 빈 영역들 중 우선순위가 앞서는 위치에 나타날 수 있으며, 상기 도 10에서는 상기 아이콘(1070)이 이동됨에 따라 빈 영역으로 제공되는 상기 아이콘(1070)의 위치에 상기 고스트 폴더(1065)가 나타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새로운 폴더 생성을 완료할 시 설정된 사용자 인터랙션 입력에 의하여 에디터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메뉴 조작 또는 홈스크린의 임의의 빈 영역에 일정시간 터치앤홀드 후 릴리즈하는 등의 사용자 인터랙션으로 에디터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에디터 모드 해제를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참조번호 10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스크린에서 에디터 모드 아이템(1030)을 제거하여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10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디터 모드에서 제공된 고스트 폴더(1065)의 표시는 생략하고 상기에서 생성된 폴더(1050)만을 포함하여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0에서는 그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상기 도 10에서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디터 모드 진입 없이 고스트 폴더 및 폴더 생성 기능을 바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를 운용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1은 다수개의 아이콘 및 폴더가 블록 타입으로 배열된 홈스크린이 나타난 상태에서 특정 폴더 내에 아이콘 또는 폴더를 추가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상기 도 11에서 사용자는 멀티터치 또는 싱글터치 방식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이용한 폴더의 이동 조작으로 홈스크린 내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또는 폴더)을 상기 폴더 내에 추가할 수 있다.
먼저, 멀티터치 방식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이용한 폴더의 이동 조작에 따라 폴더 내에 다수개의 아이콘들을 추가하는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1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0) 상에 홈스크린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참조번호 11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홈스크린 내의 임의의 영역(예컨대, 참조번호 1110의 빈 영역)에 터치와 같은 제1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하여 홀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참조번호 1101과 같은 상태에서 아이콘을 추가하고자 하는 임의의 폴더(예컨대, 참조번호 1130의 폴더)에 터치앤드래그와 같은 제2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11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사용자 인터랙션 입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참조번호 1130의 폴더에 제2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2사용자 인터랙션은 참조번호 1155의 아이콘, 참조번호 1165의 아이콘을 경유하여 참조번호 1175의 폴더 위치로 이동(예컨대, 드래그)하는 인터랙션을 예로 한다.
제어부(300)는 상기 제1사용자 인터랙션과 제2사용자 인터랙션과 같이 폴더 내에 다수개의 아이콘들을 추가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이하, '멀티 인터랙션'이라 칭함)을 감지하면 제2사용자 인터랙션의 이동 경로에 존재하는 아이콘, 폴더를 상기 제2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이동되는 해당 폴더(1130) 내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1103 및 참조번호 11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사용자 인터랙션의 이동 경로에 존재하는 참조번호 1155 및 참조번호 1165의 아이콘들과 참조번호 1175의 폴더가 제2사용자 인터랙션이 해당 영역을 지나가는 시점에 상기 폴더(1130) 속으로 인입되어 홈스크린에서 사라지는 비주얼 이펙트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상기 폴더(1130) 내에는 참조번호 1155의 아이콘, 참조번호 1165의 아이콘 및 참조번호 1175의 폴더가 포함되어 서브루틴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탭 또는 더블 탭과 같은 인터랙션으로 상기 폴더(1130)를 활성화할 시 표시부(100)에는 상기 폴더(1130) 내로 이동된 참조번호 1155의 아이콘, 참조번호 1165의 아이콘 및 참조번호 1175의 폴더의 리스트가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제2사용자 인터랙션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사용자 인터랙션을 릴리즈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사용자 인터랙션만을 유지하고 폴더(1130)의 이동을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폴더(1130)가 지나가는 경로에 아이콘 또는 폴더가 존재하더라도 상기 폴더(1130)에는 해당 아이콘 또는 폴더가 추가되지 않는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폴더(1130)를 희망하는 위치로 이동한 후 다시 제1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하여 유지하는 상태에서 제2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폴더(1130)를 이동할 시 그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아이콘 또는 폴더가 상기 폴더(1130) 내에 추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싱글터치 방식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이용한 폴더의 이동 조작에 따라 폴더 내에 아이콘을 추가하는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다시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참조번호 1105와 같은 상태에서 아이콘을 추가하고자 하는 임의의 폴더(예컨대, 참조번호 1130의 폴더)에 터치앤드래그와 같은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11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1130)를 터치한 후 참조번호 11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번호 1195의 아이콘 위치로 이동(예컨대, 드래그, 스윙 등)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와 같이 폴더 내에 아이콘을 추가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이하, '싱글 인터랙션'이라 칭함)을 감지하면 상기 싱글 인터랙션 입력이 릴리즈 되는 위치를 감지하고, 해당 위치에 존재하는 아이콘(또는 폴더)을 상기 이동되는 해당 폴더(1130) 내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1109 및 참조번호 11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싱글 인터랙션이 릴리즈 되는 위치의 아이콘(1195)이 상기 폴더(1130) 속으로 인입되어 홈스크린에서 사라지는 비주얼 이펙트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폴더(1130)는 상기 아이콘(1195)이 존재하는 위치로 이동되어 나타난다. 이에 의해, 상기 폴더(1130) 내에는 상기 아이콘(1195)이 포함되어 서브루틴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앞서의 참조번호 1101 내지 참조번호 1105와 연계하여 살펴보면, 상기 폴더(1130) 내에는 참조번호 1155의 아이콘, 참조번호 1165의 아이콘, 참조번호 1175의 폴더 및 참조번호 1195의 아이콘이 포함되어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상기 싱글터치 방식의 경우 앞서의 멀티터치 방식과 달리 싱글 인터랙션에 따른 폴더(1130) 내의 이동 경로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또는 폴더)이 포함되더라도 해당 위치에서 싱글 인터랙션의 릴리즈가 발생되지 않으면 해당 아이콘(또는 폴더)은 상기 폴더(1130)에 포함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1109 및 참조번호 11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글 인터랙션에 따른 상기 폴더(1130)의 이동 경로에 아이콘(1185)이 존재하더라도 상기 폴더(1130)에는 상기 아이콘(1185)이 포함되지 않는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를 운용하는 다른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2는 다수개의 아이콘 및 폴더가 블록 타입으로 배열된 홈스크린이 나타난 상태에서 특정 폴더 내에 아이콘 또는 폴더를 추가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2에서 사용자는 홈스크린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또는 폴더)에 손가락(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을 터치하고 이후 상기 손가락으로 지정된 아이콘(또는 폴더)을 날리는 것(예컨대, 플릭)과 같은 사용자 인터랙션으로 특정 폴더 내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또는 폴더)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12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0) 상에 홈스크린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참조번호 12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홈스크린 내의 특정 폴더(1210)를 활성화하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12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폴더(1210)를 활성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해당 폴더(1210)를 다른 폴더와 구분될 수 있도록 설정된 아이템(1215)을 적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활성화된 폴더(1210)에 추가하고자 하는 아이콘(또는 폴더)(1220)을 선택하여 플릭하는 것과 같은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12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아이콘(1220)에 손가락을 대고 홈스크린의 위쪽 방향으로 손가락을 튕겨서 상기 아이콘(1220)을 임의의 방향(예컨대, 위쪽 방향)으로 날리는 것과 같은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12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콘(1220)이 원래 위치에서 이탈되어 위쪽 방향으로 날아가는 비주얼 이펙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이콘(1220)은 사용자의 입력 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활성화된 폴더(1210)가 있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펙트가 제공된다. 그리고 직관성을 고려하여 상기 아이콘(1220)이 원래 위치에서 이탈될 시 반투명 형태의 아이콘(1225)과 같이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상기 아이콘(1220)이 이동되어 상기 폴더(1210)의 위치에 중첩될 시 참조번호 12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콘(1220)이 상기 폴더(1210) 내로 인입되어 사라지는 비주얼 이펙트를 제공한다. 참조번호 12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스크린 내에서 상기 아이콘(1210)이 제거되어 나타나며, 상기 폴더(1210)는 상기 아이콘(1220)을 포함하는 그룹 폴더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앞서와 같은 방법으로 참조번호 1209 내지 참조번호 12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번호 1230의 아이콘, 참조번호 1240의 폴더, 참조번호 1250의 아이콘 각각을 상기 폴더(1210) 내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1230의 아이콘, 참조번호 1240의 폴더, 참조번호 1250의 아이콘 각각을 이동 시 참조번호 1235와 같이 가상의 아이콘을 통해 해당 아이콘(또는 폴더)이 날아가는 것과 같은 비주얼 이펙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번호 12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아이콘들(1260)(1270)(1280)을 멀티터치로 선택한 상태에서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왼손의 손가락으로 참조번호 1260의 아이콘과 참조번호 1270의 아이콘을 선택 지정하고 오른손의 손가락으로 참조번호 1280의 아이콘을 선택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 1260의 아이콘과 참조번호 1270의 아이콘을 선택한 손가락을 위쪽 방향으로 튕기고 참조번호 1280의 아이콘을 선택한 손가락을 아래쪽 방향으로 튕기는 제스처 입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12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콘들(1260)(1270)(1280)이 원래 위치에서 이탈되어 상기 폴더(1210)가 위치한 방향으로 날아가는 비주얼 이펙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아이콘들(1260)(1270)(1280)은 사용자의 입력 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활성화된 폴더(1210)가 있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펙트가 제공된다. 그리고 직관성을 고려하여 상기 아이콘(1220)이 원래 위치에서 이탈될 시 반투명 형태의 아이콘들(1265)(1275)(1285)과 같이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상기 아이콘들(1260)(1270)(1280)이 이동되어 상기 폴더(1210)의 위치에 중첩될 시 참조번호 12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콘들(1260)(1270)(1280)이 상기 폴더(1210) 내로 인입되어 사라지는 비주얼 이펙트를 제공할 수 있다. 참조번호 12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스크린 내에서 상기 아이콘들(1260)(1270)(1280)이 제거되어 나타나며, 상기 폴더(1210)는 상기 아이콘들(1260)(1270)(1280)을 포함하는 그룹 폴더로 구성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3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아이콘(1310)과 제2아이콘(1330)을 이용하여 폴더를 생성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때, 상기 참조번호 13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아이콘(1310)과 제2아이콘(1330)은 각 어플리케이션의 특징에 따라 특정 이미지로 이미지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번호 13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아이콘(1310)과 제2아이콘(1330)을 이용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새로운 폴더 생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하고 제어부(300)는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새로운 폴더를 생성하여 홈스크린의 특정 위치에 배치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1305 또는 참조번호 13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되는 폴더(1350)는 상기 제1아이콘(1310)과 제2아이콘(1330)의 배열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1아이콘(1310)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참조번호 1305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디터 모드로 진입하여 폴더를 생성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1307은 에디터 모드 진입 없이 폴더를 생성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이때, 제어부(300)는 생성된 폴더를 나타낼 시 해당 폴더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1305 또는 참조번호 13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아이콘(1310)과 제2아이콘(1330)의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대표 이미지로 결정하고, 결정된 대표 이미지로 상기 폴더에 대한 폴더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참조번호 1305 및 참조번호 1307에서는 제1아이콘(1310)의 이미지가 대표 이미지(1370)로 나타난 경우를 가정한다.
상기 대표 이미지를 나타내는 기준은 아이콘의 배열 우선순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설정 방식에 따라 마지막에 사용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또는 일정기간 동안 가장 많이 사용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이미지를 대표 이미지로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 13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디터 모드에서는 폴더의 정보 제공 시 해당 폴더 내에 포함된 아이콘 및 폴더의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정보(1390)를 추가적으로 더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에디터 모드 해제 시 상기 숫자정보(1390)의 표시는 생략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에서는 참조번호 1307과 같은 상태에서도 각 폴더에 포함된 아이콘 또는 폴더의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정보를 대표 이미지와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폴더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대표 이미지와 숫자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오브젝트 조합으로 폴더를 생성하고, 각 폴더를 운용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로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표시부 200: 저장부
300: 제어부 600: 폴더 생성 영역
700: 표시영역

Claims (15)

  1.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에 있어서,
    홈스크린에서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조합에 따라 폴더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홈스크린의 특정 영역에 생성된 폴더를 배치하여 나타내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과정은
    멀티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다수개의 오브젝트 조합으로 폴더를 생성하는 과정과,
    싱글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하나의 오브젝트 조합으로 폴더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멀티터치 또는 싱글터치의 사용자 인터랙션에 의한 오브젝트의 조합에 따라 빈 폴더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으로 구성된 그룹 폴더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오브젝트가 빈 영역일 시 상기 빈 폴더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오브젝트가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일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으로 구성된 그룹 폴더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타내는 과정은
    상기 홈스크린의 빈 영역 중 배열 순위가 앞서는 빈 영역에 상기 폴더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타내는 과정은
    상기 홈스크린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발생된 영역에 상기 폴더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 생성 시 대표 이미지를 결정하고, 결정된 대표 이미지로 상기 폴더에 대한 폴더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 정보는
    상기 폴더를 구성하는 아이콘의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제1사용자 인터랙션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제2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상기 폴더의 이동 시 상기 폴더의 이동 경로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상기 폴더 내에 추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에디터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에디터 모드 진입 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오브젝트의 조합에 따라 빈 폴더 또는 그룹 폴더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에디터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과,
    상기 에디터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조합에 따라 빈 폴더 또는 그룹 폴더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하는 과정은
    상기 에디터 모드 진입 시 상기 홈스크린의 빈 영역에 고스트 폴더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고스트 폴더에 사용자 인터랙션 입력 시 상기 고스트 폴더를 상기 빈 폴더 또는 그룹 폴더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전환 시 새로운 고스트 폴더를 상기 홈스크린의 표시영역에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스크린의 임의의 폴더를 활성화하는 과정과,
    상기 홈스크린의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제스처를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제스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상기 활성화된 폴더 내로 이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15. 터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로 구성된 홈스크린을 표시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받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조합에 따라 빈 폴더 또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그룹 폴더를 생성하고, 생성된 폴더를 정해진 룰에 따라 상기 홈스크린의 임의 영역에 배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
KR1020100074547A 2010-08-02 2010-08-02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20012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547A KR20120012541A (ko) 2010-08-02 2010-08-02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및 장치
PCT/KR2011/005651 WO2012018212A2 (en) 2010-08-02 2011-08-01 Touch-sensitive device and touch-based folder control method thereof
CN201180037858XA CN103052936A (zh) 2010-08-02 2011-08-01 触敏设备及其基于触摸的文件夹控制方法
JP2013523092A JP5982369B2 (ja) 2010-08-02 2011-08-01 タッチ感応式デバイスにおけるフォルダー運用方法および装置
AU2011286583A AU2011286583A1 (en) 2010-08-02 2011-08-01 Touch-sensitive device and touch-based folder control method thereof
CA2806348A CA2806348A1 (en) 2010-08-02 2011-08-01 Touch-sensitive device and touch-based folder control method thereof
EP11814812.1A EP2601570A4 (en) 2010-08-02 2011-08-01 TACTILE DEVICE AND ITS METHOD OF CONTROLLING FOLDING RECORDS
BR112013002552A BR112013002552A2 (pt) 2010-08-02 2011-08-01 dispositivo sensível ao toque e método de controle pasta baseado em toque do mesmo
RU2013104411/08A RU2013104411A (ru) 2010-08-02 2011-08-01 Сенс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его способ сенсор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папками
US13/195,930 US9535600B2 (en) 2010-08-02 2011-08-02 Touch-sensitive device and touch-based folder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547A KR20120012541A (ko) 2010-08-02 2010-08-02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541A true KR20120012541A (ko) 2012-02-10

Family

ID=45528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547A KR20120012541A (ko) 2010-08-02 2010-08-02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535600B2 (ko)
EP (1) EP2601570A4 (ko)
JP (1) JP5982369B2 (ko)
KR (1) KR20120012541A (ko)
CN (1) CN103052936A (ko)
AU (1) AU2011286583A1 (ko)
BR (1) BR112013002552A2 (ko)
CA (1) CA2806348A1 (ko)
RU (1) RU2013104411A (ko)
WO (1) WO2012018212A2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874B1 (ko) * 2011-06-14 2013-12-0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아이콘 이동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4062209A1 (en) * 2012-10-17 2014-04-24 Doat Media Ltd. System and methods thereof for dynamically updating the contents of a folder on a device
KR20150091378A (ko) * 2013-01-07 2015-08-10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추가하는 방법 및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
US9372885B2 (en) 2010-06-11 2016-06-21 Doat Media Ltd. System and methods thereof for dynamically updating the contents of a folder on a device
KR20170011009A (ko) * 2015-07-21 201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폴더 내 객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KR20190054130A (ko) * 2016-09-21 2019-05-21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동작 객체 처리 방법 및 장치
US10496258B2 (en) 2013-03-22 2019-12-03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CN114582377A (zh) * 2019-05-22 2022-06-03 谷歌有限责任公司 用于沉浸式环境中对象分组和操纵的方法、***和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33418B (zh) 2010-04-28 2014-12-31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在界面中添加图标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D701880S1 (en) 2010-12-28 2014-04-01 Sony Corporation Display panel or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198097B2 (en) 2011-04-26 2019-02-05 Sentons Inc. Detecting touch input force
US9189109B2 (en) 2012-07-18 2015-11-17 Sentons Inc. Detection of type of object used to provide a touch contact input
US11327599B2 (en) 2011-04-26 2022-05-10 Sentons Inc. Identifying a contact type
US9639213B2 (en) 2011-04-26 2017-05-02 Sentons Inc. Using multiple signals to detect touch input
US9477350B2 (en) 2011-04-26 2016-10-25 Sent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e ultrasonic touch devices
KR101830777B1 (ko) * 2011-05-11 2018-02-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아이템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US9703382B2 (en) * 2011-08-29 2017-07-11 Kyocera Corporatio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with control for terminating a program
CN102999286A (zh) * 2011-09-16 2013-03-2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快速创建文件夹的***及方法
KR20130046482A (ko) * 2011-10-28 2013-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본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1803261B1 (ko) 2011-11-18 2017-11-30 센톤스 아이엔씨. 터치 입력 힘 검출
US10235004B1 (en) 2011-11-18 2019-03-19 Sentons Inc. Touch input detector with an integrated antenna
KR101852549B1 (ko) 2011-11-18 2018-04-27 센톤스 아이엔씨. 국소형 햅틱 피드백
JP6110654B2 (ja) * 2011-12-22 2017-04-05 京セラ株式会社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80179A (ko) * 2012-01-04 2013-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아이콘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873413B1 (ko) 2012-02-17 2018-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2622175B (zh) * 2012-02-24 2019-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在触摸屏设备上新建文件夹的方法及终端
JP5840045B2 (ja) * 2012-03-23 2016-01-06 京セラ株式会社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108745A (ko) * 2012-03-26 2013-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3147871A1 (en) * 2012-03-30 2013-10-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tecting a first and a second touch to associate a data file with a graphical data object
JP5828297B2 (ja) * 2012-04-24 2015-12-0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
US20130290907A1 (en) * 2012-04-30 2013-10-31 Chandar Kumar Oddiraju Creating an object group including object information for interface objects identified in a group selection mode
GB2502957B (en) * 2012-06-08 2014-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apparatus with a GUI
CN102799357A (zh) * 2012-06-20 2012-11-28 华为终端有限公司 在用户界面创建文件夹的方法与终端
JP5502943B2 (ja) * 2012-06-29 2014-05-28 楽天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認証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2830907B (zh) * 2012-07-13 2016-09-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触屏移动终端及其放置图标的方法
CN102789365A (zh) * 2012-07-19 2012-11-21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文件夹创建方法及装置
WO2014019207A1 (zh) * 2012-08-02 2014-02-06 华为终端有限公司 Widget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3699552A (zh) * 2012-09-27 2014-04-02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用于对计算机文件进行管理的方法、装置和设备
JP5858896B2 (ja) * 2012-10-05 2016-02-10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2999249A (zh) * 2012-10-17 2013-03-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具有触摸屏的移动终端的用户界面管理方法及***
CN102981711A (zh) * 2012-11-22 2013-03-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在触摸屏上移动应用图标的方法和***
US20140149901A1 (en) * 2012-11-28 2014-05-29 Motorola Mobility Llc Gesture Input to Group and Control Items
CN103870755B (zh) * 2012-12-10 2016-06-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同一电子装置的多个用户之间转移文件的方法和装置
US20140181744A1 (en) * 2012-12-26 2014-06-26 Derrick Rivers, JR. Method and Software for Bringing the Conscience of a Person to a Physical State
JP2014130396A (ja) * 2012-12-28 2014-07-10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CN103984532B (zh) 2013-02-07 2016-06-2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功能设置键的位置设置方法和装置
DE102013002891A1 (de) * 2013-03-22 2014-09-2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Informationswiedergabesystem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m Bereitstellen von Informationen für den Benutzer eines Fahrzeugs
KR102115397B1 (ko) * 2013-04-01 2020-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재생목록 표시 방법
US9940014B2 (en) * 2013-05-03 2018-04-10 Adobe Systems Incorporated Context visual organizer for multi-screen display
CN103235691B (zh) * 2013-05-14 2015-11-04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一种图标的生成方法、显示方法及终端
CN103294264B (zh) * 2013-05-15 2016-11-16 贝壳网际(北京)安全技术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及装置
US20140344755A1 (en) * 2013-05-16 2014-11-20 Avaya, Inc. Method and system for rotational list based user interface
JP2014238725A (ja) * 2013-06-07 2014-12-18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50006276A (ko) * 2013-07-08 2015-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6059114B2 (ja) * 2013-08-28 2017-01-1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結合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結合制御方法
US9459715B1 (en) 2013-09-20 2016-10-04 Sentons Inc. Using spectral control in detecting touch input
CN103616982B (zh) * 2013-11-22 2017-06-06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在触摸屏设备上新建文件夹的方法及触摸屏设备
JP6300522B2 (ja) * 2013-12-27 2018-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780966B (zh) * 2014-01-17 2017-07-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操作电视应用的方法和装置
CN105320438A (zh) * 2014-06-03 2016-02-10 欧普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触屏设备及其操作方法
US10656784B2 (en) * 2014-06-16 2020-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arranging ic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1631966B1 (ko) * 2014-06-19 2016-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105320395A (zh) * 2014-07-30 2016-02-1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图标整理方法、装置及终端
US10795567B2 (en) * 2014-08-22 2020-10-06 Zoho Corporation Private Limited Multimedia applications and user interfaces
CN104298428B (zh) * 2014-09-24 2018-11-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图标的移动方法及装置
CN105630340A (zh) * 2014-10-30 2016-06-0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图标移动方法及装置
CN105630814A (zh) * 2014-10-31 2016-06-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及终端
KR20160089205A (ko) * 2015-01-19 2016-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템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CN104572119A (zh) * 2015-01-26 2015-04-29 深圳市中兴移动通信有限公司 文件排列方法和***
US20160239200A1 (en) * 2015-02-16 2016-08-18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Touch Gestures
JP6434339B2 (ja) * 2015-02-25 2018-12-05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WO2016137139A1 (en) 2015-02-26 2016-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item
USD765136S1 (en) * 2015-02-27 2016-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4866095B (zh) * 2015-05-18 2019-10-0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桌面管理方法和装置
USD774095S1 (en) * 2015-05-27 2016-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CN112905076B (zh) * 2015-06-30 2023-03-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5205108A (zh) * 2015-08-27 2015-12-30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一种文件夹的解散方法及装置
USD808403S1 (en) * 2015-09-30 2018-01-23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4056S1 (en) * 2015-10-12 2016-12-13 Yahoo!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6896974A (zh) * 2015-12-18 2017-06-27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数据归类的方法和装置
CN105653126B (zh) * 2015-12-28 2019-08-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界面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10908741B2 (en) 2016-11-10 2021-02-02 Sentons Inc. Touch input detection along device sidewall
US10296144B2 (en) 2016-12-12 2019-05-21 Sentons Inc. Touch input detection with shared receivers
US10126877B1 (en) 2017-02-01 2018-11-13 Sentons Inc. Update of reference data for touch input detection
US10585522B2 (en) 2017-02-27 2020-03-10 Sentons Inc. Detection of non-touch inputs using a signature
CN107577397A (zh) * 2017-08-08 2018-01-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相册创建的图片移动方法、装置、移动终端及介质
US11580829B2 (en) 2017-08-14 2023-02-14 Sentons Inc. Dynamic feedback for haptics
US11009411B2 (en) 2017-08-14 2021-05-18 Sentons Inc. Increasing sensitivity of a sensor using an encoded signal
CN107861784B (zh) * 2017-10-27 2019-12-3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桌面图标的整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11460971B2 (en) * 2018-03-26 2022-10-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11602107B (zh) 2018-04-19 2022-02-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退出时的显示方法及终端
CN114722010B (zh) * 2022-06-10 2022-11-29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文件夹处理方法、智能终端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1710A (en) * 1992-03-20 1995-10-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providing a readily distinguishable template and means of duplication thereof in a computer system graphical user interface
US5428734A (en) * 1992-12-22 1995-06-27 Ib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drag and drop manipulation of object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JPH06202841A (ja) * 1992-12-28 1994-07-22 Canon Inc アイコンの表示方法
US6212577B1 (en) * 1993-03-03 2001-04-03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interaction with an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data types and actions performed by the application program
JP3348410B2 (ja) * 1994-10-05 2002-11-2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ジェクトの追加および削除を選択的に行う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5801699A (en) * 1996-01-26 1998-09-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con aggregation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6104393A (en) * 1998-06-11 2000-08-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gration of procedural and object-oriented user interfaces
US6996780B2 (en) * 2000-12-29 2006-02-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place type to be used as a template for other places
JP2002366409A (ja) * 2001-06-06 2002-12-20 Minolta Co Ltd 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ファイル管理方法およびファイル管理装置
JP4284896B2 (ja) * 2001-08-02 2009-06-2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およびファイル管理方法
US7370281B2 (en) * 2002-02-22 2008-05-06 Bea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smart drag-and-drop functionality
US20030222915A1 (en) * 2002-05-30 2003-12-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processor controlled display system with drag and drop movement of displayed items from source to destination screen positions and interactive modification of dragged items during the movement
US20040001094A1 (en) * 2002-06-28 2004-01-01 Johannes Unnewehr Automatic identification of drop zones
US7650575B2 (en) * 2003-03-27 2010-01-19 Microsoft Corporation Rich drag drop user interface
JP2004341886A (ja) 2003-05-16 2004-12-02 Casio Comput Co Ltd ファイル管理装置及びファイル管理方法
US20050060653A1 (en) * 2003-09-12 2005-03-17 Dainippon Screen Mfg. Co., Ltd. Object operation apparatus, object operation method and object operation program
JP4239090B2 (ja) * 2004-01-08 2009-03-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
US20060129945A1 (en) * 2004-12-15 2006-06-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ointer drag path operations
US20060136833A1 (en) * 2004-12-15 2006-06-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ining objects in a pointer drag path
US7665028B2 (en) * 2005-07-13 2010-02-16 Microsoft Corporation Rich drag drop user interface
US7503009B2 (en) * 2005-12-29 2009-03-10 Sap Ag Multifunctional icon in icon-driven computer system
KR20070107892A (ko) 2006-05-04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폴더내용 관리방법
JP4675855B2 (ja) * 2006-07-25 2011-04-27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792366B2 (ja) * 2006-09-29 2011-10-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面表示方法
US8060833B2 (en) * 2007-02-21 2011-11-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mputer folder management
JP4863908B2 (ja) * 2007-03-16 2012-01-25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US8619038B2 (en) * 2007-09-04 2013-12-31 Apple Inc. Editing interface
US20090234721A1 (en) * 2007-12-21 2009-09-17 Bigelow David H Persistent collaborative on-line meeting space
JP5080297B2 (ja) * 2008-01-28 2012-11-2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表示装置
KR101012300B1 (ko) * 2008-03-07 201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그 방법
US8127240B2 (en) * 2008-04-09 2012-02-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amless drag and drop operation with multiple event handlers
JP5171386B2 (ja) 2008-05-19 2013-03-27 キヤノン株式会社 コンテンツ管理装置、コンテンツ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043748B2 (ja) * 2008-05-19 2012-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コンテンツ管理装置、コンテンツ管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090327975A1 (en) * 2008-06-27 2009-12-31 Stedman Roy W Multi-Touch Sorting Gesture
KR100969790B1 (ko) * 2008-09-02 2010-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컨텐츠 합성방법
KR101517509B1 (ko) * 2008-09-08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86627B1 (ko) * 2008-10-06 2016-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터치를 이용한 리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993203B1 (ko) 2008-10-31 2010-11-10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목록 관리방법 및 장치
KR101512770B1 (ko) * 2008-11-21 2015-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20100214571A1 (en) * 2009-02-26 2010-08-26 Konica Minolta Systems Laboratory, Inc. Drag-and-drop printing method with enhanced functions
US20100229129A1 (en) * 2009-03-04 2010-09-09 Microsoft Corporation Creating organizational containers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1853118A (zh) * 2009-04-03 2010-10-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触控***及使用该触控***进行数据编辑的方法
US8407613B2 (en) * 2009-07-13 2013-03-26 Apple Inc. Directory management on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US8692780B2 (en) * 2010-01-06 2014-04-0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information items in folders
US8769443B2 (en) * 2010-02-11 2014-07-01 Apple Inc. Touch inputs interacting with user interface items
US8386950B2 (en) * 2010-04-05 2013-02-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rranging a plurality of icons on a touch sensitive display
US8881061B2 (en) * 2010-04-07 2014-11-0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US8799815B2 (en) * 2010-07-30 2014-08-0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ctivating an item in a folder
US8826164B2 (en) * 2010-08-03 2014-09-0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reating a new folder
US9323442B2 (en) * 2010-09-30 2016-04-26 Apple Inc. Managing items in a user interfac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72885B2 (en) 2010-06-11 2016-06-21 Doat Media Ltd. System and methods thereof for dynamically updating the contents of a folder on a device
US9846699B2 (en) 2010-06-11 2017-12-19 Doat Media Ltd. System and methods thereof for dynamically updating the contents of a folder on a device
KR101335874B1 (ko) * 2011-06-14 2013-12-0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아이콘 이동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4062209A1 (en) * 2012-10-17 2014-04-24 Doat Media Ltd. System and methods thereof for dynamically updating the contents of a folder on a device
KR20150091378A (ko) * 2013-01-07 2015-08-10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추가하는 방법 및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
US10444933B2 (en) 2013-01-07 2019-10-15 Huawei Device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ding application ic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pplication icon
US10496258B2 (en) 2013-03-22 2019-12-03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20170011009A (ko) * 2015-07-21 201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폴더 내 객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KR20190054130A (ko) * 2016-09-21 2019-05-21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동작 객체 처리 방법 및 장치
CN114582377A (zh) * 2019-05-22 2022-06-03 谷歌有限责任公司 用于沉浸式环境中对象分组和操纵的方法、***和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1286583A1 (en) 2013-01-24
BR112013002552A2 (pt) 2017-09-26
EP2601570A2 (en) 2013-06-12
JP5982369B2 (ja) 2016-08-31
RU2013104411A (ru) 2014-08-10
US9535600B2 (en) 2017-01-03
EP2601570A4 (en) 2016-08-03
CN103052936A (zh) 2013-04-17
US20120030628A1 (en) 2012-02-02
WO2012018212A2 (en) 2012-02-09
JP2013540297A (ja) 2013-10-31
CA2806348A1 (en) 2012-02-09
WO2012018212A3 (en)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2541A (ko)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및 장치
US11947782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workspace views
US89386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home screen in touch device
CN108334264B (zh) 在便携式终端中用于提供多点触摸交互的方法和设备
CN110837329B (zh) 用于管理用户界面的方法和电子设备
US96457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portable terminal
EP2503440B1 (en) Mobile terminal and object change support method for the same
TWI570580B (zh) 巡覽一瀏覽器中之複數個內容項目的方法、電腦系統及電腦程式產品
US8698845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interactive popup views
KR101601049B1 (ko)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US20130174179A1 (en) Multitasking method and apparatus of user device
US10877624B2 (en) Method for display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729691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multiple recording of data
KR20110107143A (ko) 멀티 입력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302688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enus in media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