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2252A - 온도 취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용 온도 취득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도 취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용 온도 취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2252A
KR20120012252A KR1020100074295A KR20100074295A KR20120012252A KR 20120012252 A KR20120012252 A KR 20120012252A KR 1020100074295 A KR1020100074295 A KR 1020100074295A KR 20100074295 A KR20100074295 A KR 20100074295A KR 20120012252 A KR20120012252 A KR 20120012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probe
temperature acquisition
duct
acquisi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광원
장철호
채대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00074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2252A/ko
Publication of KR20120012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GHOT GAS OR COMBUSTION-PRODUCT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USE OF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0Profiting from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2Profiting from waste heat of exhaust g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온도 취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용 온도 취득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의 온도를 취득하는 온도 취득 장치에 있어서, 중공 통형의 프로브(probe); 프로브의 내부에 프로브의 높이 별로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 배관; 및 연결 배관과 연결되며 연결 배관으로 유입된 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온도 취득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온도 취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용 온도 취득 시스템{TEMPERATURE ACQUISITION APPARATUS AND TEMPERATURE ACQUISITION SYSTEM OF POWER PLANT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온도 취득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발전소 보일러에 흐르는 배기 가스의 온도 취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합화력발전은 천연 가스나 경유 등의 연료를 사용하여 1차적으로 가스 터빈을 구동하여 동력을 얻고, 가스 터빈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 열을 다시 폐열회수보일러에 통과시켜 생산한 후에 2차로 증기 터빈을 구동시켜 동력을 발전한다.
복합화력발전은 크게 연료를 연소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가스 터빈, 가스 터빈에서 발생한 고온의 연소 가스를 회수하여 고온고압의 스팀을 발생하는 폐열회수보일러, 폐열회수보일러에서 배출되는 고온고압의 스팀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스팀터빈으로 구분된다.
복합화력발전은 덕트를 이용하여 가스 터빈과 폐열회수보일러를 연결시킨다. 폐열회수보일러는 배기 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하고, 발생한 증기를 증기 터빈으로 전달하여 동력을 생산한다. 즉, 복합화력발전과 같이 배기 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동력을 생산하는 발전에서는 배기 가스의 열을 이용해 동력을 생산하기 위해 배기 가스의 온도가 중요하다.
종래의 경우에는 덕트에 하나의 온도 센서를 설치하고, 배기 가스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러나, 배기 가스는 덕트에서 흐르는 깊이에 따라 상이한 온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에는 덕트에 흐르는 배기 가스의 정확한 온도를 측정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배기 가스가 흐르는 덕트의 깊이 별로 배기 가스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취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용 온도 취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배기 가스가 흐르는 덕트에서 탈부착할 수 있는 온도 취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용 온도 취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스의 온도를 취득하는 온도 취득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의 온도를 취득하는 온도 취득 장치에 있어서, 중공 통형의 프로브(probe); 상기 프로브의 내부에 상기 프로브의 높이 별로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 배관; 및 상기 연결 배관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 배관으로 유입된 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온도 취득 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프로브의 일측에는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인출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 배관의 일측은 절곡되어 상기 인출홀을 관통하여 돌출된다.
한편, 상기 연결 배관은 상기 프로브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프로브로부터 돌출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발전소에서 배기 가스의 온도를 취득하는 발전소용 온도 취득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전소에서 배기 가스의 온도를 취득하는 발전소용 온도 취득 시스템에 있어서, 배기 가스가 흐르는 덕트; 및 상기 덕트의 일측에 결합되고,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된 복수의 연결 배관으로 유입된 상기 배기 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온도 취득 장치를 포함하는 발전소용 온도 취득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온도 취득 장치는, 상기 복수의 연결 배관이 형성되며 중공 통형의 프로브; 및 상기 프로브의 일측에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연결 배관 각각이 관통하는 복수의 인출홀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연결 배관 중 하나의 연결 배관은 상기 덕트의 폭 방향의 중앙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연결 배관의 일측은 절곡되어 상기 프로브로부터 돌출된다.
한편, 상기 덕트는 상기 온도 취득 장치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덕트의 일측에는 상기 온도 취득 장치가 고정되는 고정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온도 취득 장치에는 상기 고정 수단과 대응되는 결합 수단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온도 취득 장치는, 상기 프로브의 길이 방향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 수단과 인접하게 형성되는 누출방지 캡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온도 측정 센서는 상기 누출방지 캡의 외측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취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용 온도 취득 시스템은 배기 가스가 흐르는 덕트의 깊이 별로 배기 가스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취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용 온도 취득 시스템은 배기 가스의 정확한 온도를 취득할 수 있으므로 배기 가스의 온도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취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용 온도 취득 시스템은 배기 가스가 흐르는 덕트에서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취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A - A' 따라 절취한 온도 취득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취득 장치가 덕트에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B - B' 따라 절취한 온도 취득 장치 및 덕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취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용 온도 취득 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취득 장치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취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A - A' 따라 절취한 온도 취득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온도 취득 장치(100)는 높이에 따라 가스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프로브(110), 제 1 내지 제 3연결 배관(120, 130, 140) 및 제 1 내지 제 3온도 측정 센서(210, 220, 230)를 포함한다.
프로브(110)는 중공 통형으로 형성된다. 프로브(110)에는 제 1 내지 제 3인출홀(150, 160, 170)이 형성된다. 프로브(110)의 횡단면은 제 1 내지 제 3인출홀(150, 160, 170)이 형성되고 제 1 내지 제 3연결 배관(120, 130, 140)이 형성될 수 있는 형태이면 그 형태는 무관하다. 예를 들어, 프로브(110)의 횡단면은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로브(110)의 횡단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인출홀(150, 160, 170) 각각은 프로브(110)에서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된다. 즉, 제 1 및 제 2인출홀(150, 160)은 프로브(110)의 일측을 폭 방향으로 관통하며 형성된다. 그리고, 제 3인출홀(170)은 프로브(110)의 하부에 형성된다. 이때, 제 1 내지 제 3인출홀(150, 160, 170)이 프로브(110)에서 형성되는 위치는 가스가 흐르는 배관의 깊이 및 인출홀의 개수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다.
여기서 제 3인출홀(170)은 프로브(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및 제 2인출홀(150, 160)과 같이 프로브(110)의 일측을 폭 방향으로 관통하며 형성될 수도 있다.
프로브(110)에는 온도 취득 장치(100)를 고정시키기 위해 결합 수단이 형성된다. 결합 수단은 제 1 및 제 2결합 플랜지(260, 265), 제 1 및 제 2결합홀(280, 285)을 포함한다. 프로브(110)에는 제 1 및 제 2결합 플랜지(260, 265)를 프로브(1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용접 처리하여 제 1 및 제 2연결부(270, 275)가 형성된다.
프로브(110)에는 길이 방향의 일측에 누출방지 캡(250)이 형성된다. 즉, 누출방지 캡(250)은 프로브(110)의 입구측에 형성될 수 있다. 누출방지 캡(250)은 외부로 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연결 배관(120, 130, 140)은 프로브(110)의 내부에 형성되며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된다.
제 1 내지 제 3연결 배관(120, 130, 140)은 제 1 내지 제 3온도 측정 센서(210, 220, 230)에서 가스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제 1 내지 제 3온도 측정 센서(210, 220, 230)로 가스를 전달한다. 즉, 제 1 내지 제 3연결 배관(120, 130, 140)의 일측으로 유입된 가스는 타측에 연결된 제 1 내지 제 3온도 측정 센서(210, 220, 230)로 흘러간다.
제 1 내지 제 3연결 배관(120, 130, 140) 각각의 일측은 제 1 내지 제 3인출홀(150, 160, 170)을 관통하여 프로브(11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타측은 제 1 내지 제 3온도 측정 센서(210, 220, 230) 각각과 연결된다.
이때, 제 1 및 제 2연결 배관(120, 130)은 절곡되어 제 1 및 제 2인출홀(150, 160)을 관통한다. 그리고, 제 3연결 배관(140)은 프로브(1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제 3인출홀(170)을 관통한다.
여기서 제 3연결 배관(140)이 프로브(110)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및 제 2연결 배관(120, 130)과 동일하게 절곡되어 제 3인출홀(170)을 관통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3개의 연결 배관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높이 별로 가스가 유입될 수 있으면 연결 배관의 개수는 무관하다.
제 1 내지 제 3온도 측정 센서(210, 220, 230)는 프로브(110)의 외측에 형성된다. 제 1 내지 제 3온도 측정 센서(210, 220, 230)는 제 1 내지 제 3연결 배관(120, 130, 140) 각각과 연결된다. 제 1 내지 제 3온도 측정 센서(210, 220, 230) 각각은 제 1 내지 제 3연결 배관(120, 130, 140) 각각에서 흐르는 가스의 온도를 측정한다.
여기서는 제 1 내지 제 3온도 측정 센서(210, 220, 230) 각각이 제 1 내지 제 3연결 배관(120, 130, 140) 각각에서 흐르는 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내지 제 3온도 측정 센서(210, 220, 230)가 하나의 온도 측정 센서에 연결되어 가스의 온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용 온도 취득 시스템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취득 장치가 덕트(300)에 결합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B - B' 따라 절취한 온도 취득 장치 및 덕트(3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발전소용 온도 취득 시스템(400)은 덕트(300)와 온도 취득 장치(100)를 포함한다.
덕트(300)는 발전소에서 생성한 배기 가스가 흐른다. 이때, 배기 가스는 덕트(300)의 깊이에 따라 상이한 온도를 나타낸다. 덕트(300)의 단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전소 보일러에 형성된 덕트(300)의 폭은 10~15m, 깊이는 4~6m로 형성될 수 있다.
덕트(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취득 장치(100)가 삽입되는 삽입홀(350)이 형성된다. 이렇게 삽입홀(350)이 덕트(300)에 형성되므로 온도 취득 장치(100)는 덕트(300)에서 탈부착이 용이해질 수 있다.
덕트(300)에는 온도 취득 장치(100)를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 수단이 형성된다. 고정 수단은 배기 가스의 유속으로부터 온도 취득 장치(100)를 고정시키며, 제 1 및 제 2고정 플랜지(310, 315), 제 1 및 제 2고정홀(320, 325)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고정 플랜지(310, 315)의 단면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고정 플랜지(310, 315)는 프로브(110)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제 1 및 제 2고정 플랜지(310, 315)를 프로브(110)와 이격시키는 이유는 프로브(110)가 배기 가스의 온도에 의해 팽창하므로 덕트(300)와 온도 취득 장치(100)가 결합할 때 여유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제 1 및 제 2고정홀(320, 325) 각각은 제 1 및 제 2고정 플랜지(310, 315)에 형성된다.
온도 취득 장치(100)는 덕트(300)의 삽입홀(350)에 삽입되어 덕트(300)에 흐르는 배기 가스의 온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온도 취득 장치(100)는 프로브(110), 결합 수단, 제 1 내지 제 3연결 배관(120, 130, 140), 제 1 내지 제 3온도 측정 센서(210, 220, 230)를 포함한다.
프로브(110)는 중공 통형으로 형성된다. 프로브(110)에는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제 1 내지 제 3인출홀(150, 160, 170)이 형성된다. 제 1 내지 제 3인출홀(150, 160, 170)은 배기 가스가 흐르는 방향(50)과 마주치는 프로브(110)의 일측에 형성된다. 제 1인출홀(150)은 덕트(300)의 상부측에 위치하며, 제 2인출홀(160)은 덕트(300)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제 3인출홀(170)은 덕트(300)의 하부측에 위치한다.
프로브(110)의 일부분은 덕트(300)에 삽입된다. 즉, 덕트(300)에 흐르는 배기 가스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제 1 내지 제 3인출홀(150, 160, 170)은 덕트(300)에 삽입되며, 결합 수단 및 온도 측정 장치는 덕트(30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프로브(110)는 고온 및 유속이 빠른 배기 가스에 견디기 위해 부식에 강하고 감도가 높은 재지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프로브(110)는 스테인레스강 및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 수단은 온도 취득 장치(100)를 덕트(300)에서 흐르는 배기 가스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로브(110)에 형성된다. 즉, 결합 수단은 프로브(110)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결합 플랜지(260, 265), 제 1 및 제 2결합홀(280, 285)을 포함한다. 결합 수단은 덕트(300)의 고정 수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온도 취득 장치(100)와 덕트(300)를 고정시키기 위해 제 1체결 나사(290)는 제 1결합 플랜지(260)에 형성된 제 1결합홀(280) 및 제 1고정 플랜지(310)에 형성된 제 1고정홀(320)에 체결되고, 제 2체결 나사(295)는 제 2결합 플랜지(265)에 형성된 제 2결합홀(285) 및 제 2고정 플랜지(315)에 형성된 제 2고정홀(325)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온도 취득 장치(100) 및 덕트(300)는 제 1 및 제 2체결 나사(290, 295)에 의해 결합되므로 배기 가스가 빠르게 흘러도 온도 취득 장치(100)가 움직이지 않는다.
제 1 내지 제 3연결 배관(120, 130, 140)은 제 1 내지 제 3인출홀(150, 160, 170)을 통해 관통하여 프로브(11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렇게 제 1 내지 제 3연결 배관(120, 130, 140)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이유는 덕트(300)에 흐르는 배기 가스를 유입하여 제 1 내지 제 3온도 측정 센서(210, 220, 230)로 전달하기 위해서이다.
제 1 내지 제 3연결 배관(120, 130, 140)은 프로브(110)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덕트(300)의 깊이 별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 1연결 배관(120)은 덕트(300)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덕트(300)의 상부측에서 흐르는 배기 가스를 제 1온도 측정 센서(210)로 전달한다. 제 2연결 배관(130)은 덕트(300)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덕트(300)의 중앙측에서 흐르는 배기 가스를 제 2온도 측정 센서(220)로 전달한다. 제 3연결 배관(140)은 덕트(300)의 하부측에 위치하면 덕트(300)의 하부측에서 흐르는 배기 가스를 제 3온도 측정 센서(230)로 전달한다.
제 1 내지 제 3온도 측정 센서(210, 220, 230)는 결합 수단과 인접한 곳에 위치하며 프로브(110)의 외측에 형성된다.
제 1 내지 제 3온도 측정 센서(210, 220, 230) 각각은 제 1 내지 제 3연결 배관(120, 130, 140)과 연결되어 배기 가스의 온도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제 1온도 측정 센서(210)는 덕트(300)의 상부측에 흐르는 배기 가스를 제 1연결 배관(120)으로부터 전달받아 상부측에 흐르는 배기 가스의 온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제 2온도 측정 센서(220)는 덕트(300)의 중앙측에 흐르는 배기 가스를 제 2연결 배관(130)으로부터 전달받아 중앙측에 흐르는 배기 가스의 온도를 측정한다. 제 3온도 측정 센서(230)는 덕트(300)의 하부측에 흐르는 배기 가스를 제 3연결 배관(140)으로부터 전달받아 하부측에 흐르는 배기 가스의 온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3온도 측정 센서(210, 220, 230)는 측정한 온도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덕트(300)의 온도를 관리하는 온도 관리 장치 및 저장 장치 등일 수 있다. 이때, 온도 관리 장치는 제 1 내지 제 3온도 측정 센서(210, 220, 230)로부터 수신한 온도의 평균값을 연산하여 덕트(300)에서 흐르는 배기 가스의 온도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온도 취득 장치
110 : 프로브
120, 130, 140 : 연결 배관
150, 160, 170 : 인출홀
210, 220, 230 : 온도 측정 센서
260, 265 : 결합 플랜지
300 : 덕트
310, 315 : 고정 플랜지

Claims (12)

  1. 가스의 온도를 취득하는 온도 취득 장치에 있어서,
    중공 통형의 프로브(probe);
    상기 프로브의 내부에 상기 프로브의 높이 별로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 배관; 및
    상기 연결 배관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 배관으로 유입된 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온도 취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의 일측에는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인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취득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배관의 일측은 절곡되어 상기 인출홀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취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배관은 상기 프로브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프로브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취득 장치.
  5. 발전소에서 배기 가스의 온도를 취득하는 발전소용 온도 취득 시스템에 있어서,
    배기 가스가 흐르는 덕트; 및
    상기 덕트의 일측에 결합되고,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된 복수의 연결 배관으로 유입된 상기 배기 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온도 취득 장치를 포함하는 발전소용 온도 취득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취득 장치는,
    상기 복수의 연결 배관이 형성되며 중공 통형의 프로브; 및
    상기 프로브의 일측에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연결 배관 각각이 관통하는 복수의 인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용 온도 취득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 배관 중 하나의 연결 배관은 상기 덕트의 폭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용 온도 취득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배관의 일측은 절곡되어 상기 프로브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용 온도 취득 시스템.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온도 취득 장치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용 온도 취득 시스템.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일측에는 상기 온도 취득 장치가 고정되는 고정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온도 취득 장치에는 상기 고정 수단과 대응되는 결합 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용 온도 취득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취득 장치는,
    상기 프로브의 길이 방향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 수단과 인접하게 형성되는 누출방지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용 온도 취득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측정 센서는 상기 누출방지 캡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용 온도 취득 시스템.
KR1020100074295A 2010-07-30 2010-07-30 온도 취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용 온도 취득 시스템 KR20120012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295A KR20120012252A (ko) 2010-07-30 2010-07-30 온도 취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용 온도 취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295A KR20120012252A (ko) 2010-07-30 2010-07-30 온도 취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용 온도 취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252A true KR20120012252A (ko) 2012-02-09

Family

ID=4583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295A KR20120012252A (ko) 2010-07-30 2010-07-30 온도 취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용 온도 취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225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082Y1 (ko) * 2013-10-28 2015-05-04 피에스텍주식회사 난방수 관에 적산 열량계용 온도센서의 연결장치
CN105675158A (zh) * 2016-01-06 2016-06-15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同时测量燃气轮机燃烧室出口温度与燃烧产物浓度的装置及方法
KR102146975B1 (ko) * 2020-06-09 2020-08-21 (주)오앤엠 코리아 발전소 보일러 배기가스의 성능시험용 온도측정장치
KR102156321B1 (ko) * 2020-06-09 2020-09-15 (주)오앤엠 코리아 성능시험용 발전소 보일러 배기가스 온도측정장치
CN113039292A (zh) * 2018-11-13 2021-06-25 安赛乐米塔尔公司 具有用于内部气体分析的探针的直接还原竖炉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082Y1 (ko) * 2013-10-28 2015-05-04 피에스텍주식회사 난방수 관에 적산 열량계용 온도센서의 연결장치
CN105675158A (zh) * 2016-01-06 2016-06-15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同时测量燃气轮机燃烧室出口温度与燃烧产物浓度的装置及方法
CN113039292A (zh) * 2018-11-13 2021-06-25 安赛乐米塔尔公司 具有用于内部气体分析的探针的直接还原竖炉
JP2022507271A (ja) * 2018-11-13 2022-01-18 アルセロールミタル 内部ガス分析用のプローブを備えた直接還元シャフト炉
JP7247339B2 (ja) 2018-11-13 2023-03-28 アルセロールミタル 内部ガス分析用のプローブを備えた直接還元シャフト炉
KR102146975B1 (ko) * 2020-06-09 2020-08-21 (주)오앤엠 코리아 발전소 보일러 배기가스의 성능시험용 온도측정장치
KR102156321B1 (ko) * 2020-06-09 2020-09-15 (주)오앤엠 코리아 성능시험용 발전소 보일러 배기가스 온도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7130B2 (en) Heat flux measurement device for estimating fouling thickness
KR20120012252A (ko) 온도 취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소용 온도 취득 시스템
Taler et al. Numerical simulation of convective superheaters in steam boilers
JP4466232B2 (ja) ボイラの劣化診断方法,装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180031401A1 (en) Plant,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velocity of a flow of fluid
Wang et al. Cooling performance analysis of steam cooled gas turbine nozzle guide vane
CN104236917A (zh) 全环微小尺寸回流燃烧室试验器
JP5306561B1 (ja) チューブリーク検知装置、及びチューブリーク検知方法
Grądziel et al. Simulation of heat transfer in combustion chamber waterwall tubes of supercritical steam boilers
JP5415579B2 (ja) チューブリーク検査装置、及びチューブリーク検査方法
Marelli et al. An innovative measurement technique for the direct evaluation of the isentropic efficiency of turbocharger turbines
Clementoni et al. Comparison of carbon dioxide property measurements for an operating supercritical brayton cycle to the refprop physical property database
EP2645074A2 (en) Large diameter flow-through kiel-style probe for high moisture applications
Jang et al. Evaluating the adequacy of dynamic pressure remote sensing method in a model gas turbine combustor
JP2021011992A5 (ko)
Bellani et al. Experimental assessment of an indirect method to measure the post-combustion flue gas flow rate in waste-to-energy plant based on multi-point measurements
Gao et al. Measurement method and influencing factor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of condensed flue gas based on in situ flue gas heat tracing
CN112629685A (zh) 一种锅炉受热面管炉内温度测量装置和方法
CN104776420B (zh) 基于振动信号特征分析的锅炉过热器结渣诊断方法及***
CN105588919A (zh) 注热蒸汽干度测试装置及其干度值计算方法
JP2009168378A (ja) 石炭焚ボイラ内配管のクリンカ分布画像化装置
CN218913933U (zh) 一种余热锅炉蒸汽管道阀门监测装置
JP7206990B2 (ja) 伝熱管損傷検出装置、ボイラシステム及び伝熱管損傷検出方法
Taler et al. Measurements of absorbed heat flux and water-side heat transfer coefficient in water wall tubes
CN213840523U (zh) 一种给水大旁路***的旁路三通阀检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