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0102A -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및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 - Google Patents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및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0102A
KR20120010102A KR1020110034047A KR20110034047A KR20120010102A KR 20120010102 A KR20120010102 A KR 20120010102A KR 1020110034047 A KR1020110034047 A KR 1020110034047A KR 20110034047 A KR20110034047 A KR 20110034047A KR 20120010102 A KR20120010102 A KR 20120010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crotch
pair
crotch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루오 카와노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0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1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2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to the child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 B60N2/287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the back-rest being inclin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과제]
조정 벨트와 가랑이 벨트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고, 좌면이 상하 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육아 기구에 관해 구속 벨트 장치가 유소아의 골반을 구속하기 어렵다는 부적합함을 해소할 수 있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좌석은, 좌부(62) 및 등받이부(63)를 갖는 좌석 본체(61)와, 좌석 본체를 지지하는 좌석 베이스(64)와, 좌석 본체에 착좌한 유소아의 신체를 구속하는 구속 벨트 장치(66)를 구비한다. 그리고 구속 벨트 장치는, 좌부(6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늘어나는 가랑이 벨트(21)와, 가랑이 벨트의 상단에 부착된 버클 요소(70)를 포함한다. 이 가랑이 벨트(21)는, 버클 요소(70)에 접속되는 중앙 부분과, 중앙 부분에서 좌우로 분기되고, 그 선단부가 좌석 베이스(64)의 좌우 측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분기 벨트(21a, 21b)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및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A SEAT STRUCTURE OF A NURSERY APPLIANCE AND CHILD SEAT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나 유모차 등, 유소아가 착좌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는, 승용차 내에서의 유소아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차량용 아동용 좌석으로서 외에, 리클라이닝 기능이나 회전 기능이나 베드 기능 등, 유소아의 승차감 성능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이러한 어린이 시트는, 차량의 좌석에 실려지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지지되고 유소아가 착좌하는 시트부와, 유소아의 신체에 건너 질러지는 구속 벨트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5-162151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어린이 시트는, 구속 벨트로서, 좌우 한 쌍의 어깨 및 허리 벨트와, 시트부의 좌면의 중앙부에서 돌출하여 늘어나는 가랑이 벨트를 구비한다. 그리고 가랑이 벨트는 유소아의 양다리의 대퇴부의 사이를 통과하고 상방으로 늘어나고, 가랑이 벨트의 선단의 버클에 어깨 및 허리 벨트를 고정하여, 유소아를 5점 구속한다. 이에 의해, 유소아의 골반이 좌우의 허리 벨트에 구속된다.
그런데 특허 문헌 1의 어린이 시트에서는, 시트부의 등받이면이 리클라이닝 조정 가능하다. 이 때문에, 리클라이닝 조정의 전후에서, 구속 벨트가 꽉 끼게 되어 유소아를 압박하거나, 역으로 구속 벨트가 헐겁게 되어 유소아의 신체를 적절하게 보호할 수 없게 되는 부적합함을 해결하기 위해, 어깨 벨트의 상단부가 등받이면을 관통하고, 등받이부의 이면에서 조정 벨트와 접속한다. 조정 벨트는, 베이스부에 따라 하방으로 늘어나고, 다음에 전방으로 방향을 바꾸어 늘어나고, 조정 벨트의 전단부가 좌면의 전단에 달하고 있다. 유소아의 보호자는, 조정 벨트의 인출 길이를 조정함에 의해, 구속 벨트의 팽팽한 상태를 적절한 것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 가랑이 벨트는, 시트부의 좌면을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가랑이 벨트의 하단부가 좌면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부재에 접속된다.
또한, 일본 특개2003-226178호 공보(특허 문헌 2)에는, 어깨 벨트의 상단측이 등받이부를 관통하고, 등받이부의 이면 및 좌부의 하면에 따라 더욱 늘어나고, 그 선단이 좌부의 전단에서 인출된다. 유소아의 보호자는, 이 인출 길이를 조정함에 의해, 어깨 벨트의 팽팽한 상태를 적절한 것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10-250426호 공보(특허 문헌 3) 및 일본 특개2003-72435호 공보(특허 문헌 4)에는 등받이면이 후경하여 베드 상태가 되는 좌석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의 문헌에서는, 의자 상태에서는 좌면의 후방측이 전방측보다도 낮아지도록 경사하여 있고, 유소아가 깊게 앉도록 된다. 이 한편으로 베드 상태에서는, 좌면이 거의 수평이 될 때까지 상승하고, 등받이면과 함께 거의 수평한 베드 공간을 제공한다.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5-162151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03-226178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평10-250426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 특개2003-72435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어린이 시트의 좌석에서는, 좌부보다도 하방에서, 가랑이 벨트의 하단이 베이스부의 중앙부에 연결하기 때문에, 조정 벨트가 가랑이 벨트의 하단부와 간섭하지 않도록, 조정 벨트의 우회 경로를 마련할 필요가 있고,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즉,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부(A)보다도 하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늘어나는 샤프트(B) 또는 브래킷을 가설하고, 샤프트(B)에 가랑이 벨트(C)의 하단을 연결하고, 가랑이 벨트(C)가 좌부(A)의 중앙부를 관통하고, 가랑이 벨트(C)의 상단에 마련된 버클(D)을 통하여, 좌우의 어깨 및 허리 벨트(E)를 벗겨냄 가능하게 연결하는 종래의 구성에서는, 등받이부(F)의 이면과 좌부(A)의 하면을 통과하는 조정 벨트(G)가, 가랑이 벨트(C)와 간섭하지 않도록 우회시키는 수단(H)이 필요하였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종래의 가랑이 벨트의 구성을, 특허 문헌 3 및 4에 개시된 좌석에 적용하다고 하면, 새로운 부적합함이 생기는 것을 본 발명자는 발견하였다. 즉,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선의 베드 상태에서 좌부(A)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가랑이 벨트(B)의 돌출 높이(Lb)가 적절하여도, 실선의 의자 상태에서 가랑이 벨트(B)의 돌출 높이(Lc)가 너무 높아 버린다는 문제이다. 이 때문에, 의자 상태에서는, 좌우의 허리 벨트가 유아의 골반을 구속할 수가 없다. 그러면,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로서 유아의 적정한 구속을 실현할 수가 없다. 환언하면, 예를 들어 돌출 높이(Lc)가 적절하여도 이번에는 돌출 높이(Lb)가 너무 낮아 버린다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상기 종래와 같은 어린이 시트에서는, 구속 벨트에 작용하는 충격이 가랑이 벨트(C)의 하단에 집중하여 버린다. 이 때문에, 안전상 더 한층의 개선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1의 목적은, 상술한 실정을 감안하여, 간이한 구조로서, 조정 벨트와 가랑이 벨트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조정에 따라 좌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동하는 육아 기구의 경우에, 가랑이 벨트의 돌출 높이가 변화하여 버린다는 부적합함을 해소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랑이 벨트의 하단부에 충격 하중이 집중하는 것을 회피하여, 안전성능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는, 좌부 및 등받이부를 갖는 좌석 본체와, 좌석 본체를 지지하는 좌석 베이스와, 좌석 본체에 착좌한 유소아의 신체를 구속하는 구속 벨트 장치를 구비한다. 그리고 구속 벨트 장치는, 좌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늘어나는 가랑이 벨트와, 가랑이 벨트의 상단에 부착된 버클 요소를 포함한다. 가랑이 벨트는, 버클 요소에 접속되는 중앙 부분과, 중앙 부분에서 좌우로 분기되고, 그 선단부가 좌석 베이스의 좌우 측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분기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좌부를 관통하는 가랑이 벨트가 좌부보다도 하방에서 좌우로 분기되어 늘어나고, 좌측 선단이 좌석 베이스의 좌측부와 연결하고, 우측 선단이 좌석 베이스의 우측부와 연결하기 때문에, 좌측의 분기부와 우측의 분기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간이한 구조로 조정 벨트와 가랑이 벨트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조정에 응하여 좌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동하는 경우에, 좌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가랑이 벨트 부분이 좌부와 함께 상하 이동한다. 따라서 가랑이 벨트의 돌출 높이가 변화해 버린다는 부적합함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리클라이닝 조절하는 경우라도 가랑이 벨트를 포함하는 구속 벨트 장치가 유소아의 골반을 항상 구속할 수 있다. 또한, 가랑이 벨트의 하단에 걸리는 충격을 좌우로 분산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안전성능이 향상한다.
가랑이 벨트는, 하단측이 분기되는 것이면 좋고, 분기점의 위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가랑이 벨트는 길이 방향 도중 위치에서 분기되고, 상단부터 당해 도중 위치까지의 영역이 묶여지는 것이라도 좋다. 또는 가랑이 벨트는, 상단의 버클 요소로부터 2갈래로 분기된다.
좌석 베이스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또한 좌석 베이스의 측부와 가랑이 벨트의 선단부와의 접속 부분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좌석 베이스는, 좌부의 아래에 위치하는 저벽부와, 저벽부의 좌우 단부에서 상방으로 일어나서 늘어나는 한 쌍의 측벽부를 포함하고, 가랑이 벨트의 한 쌍의 분기 부분의 선단부는, 한 쌍의 측벽부에 연결된다.
본 발명은 구속 벨트 장치가 가랑이 벨트 및 한 쌍의 벨트를 포함하는 3점 구속식이라도 좋고, 가랑이 벨트 및 한 쌍의 벨트(어깨 벨트 및 허리 벨트)를 포함하는 5점 구속식이라도 좋고, 어깨 벨트의 팽팽함은 조정되는 것이 아니라도 좋지만,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구속 벨트 장치는, 버클 요소에 벗겨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어깨 벨트와, 어깨 벨트의 팽팽함을 조정하기 위해 일단이 한 쌍의 어깨 벨트에 접속되고, 타단이 등받이부의 배면 및 좌부의 이면에 따라 늘어나고 좌부의 전방 영역까지 이끌어지는 조정 벨트와, 좌부의 전방 영역에서 상기 조정 벨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조정 벨트는, 가랑이 벨트의 한 쌍의 분기 부분의 사이를 통과한다.
본 발명의 등받이부는 리클라이닝 조정 불가능하게 고정되어도 좋고 리클라이닝 조정 가능하여도 좋지만,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등받이부는, 후경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좌부는, 등받이부의 후경 동작에 응하여 좌면 높이가 높아지도록 마련되어 있고, 좌부의 높이의 변화에 관계없이 좌부의 좌면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가랑이 벨트의 돌출 높이가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가랑이 벨트의 한 쌍의 분기 부분은, 좌부의 이면에 접촉하여 늘어나고 있다.
리클라이닝 조정 각도의 범위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등받이부는 거의 수평의 위치까지 후경 가능하다.
본 발명의 좌석 구조는, 유모차, 옥내용 의자 및 베드 등의 육아 기구에 적용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본 발명의 좌석 구조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랑이 벨트는, 좌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늘어나고, 버클 요소에 접속되는 중앙 부분과, 중앙 부분에서 좌우로 분기되고, 그 선단부가 좌석 베이스의 좌우 측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분기 부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좌부보다도 하방에 조정 벨트를 통과시키는 경우에 조정 벨트와 가랑이 벨트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조정에 응하여 좌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동하는 육아 기구의 경우에, 가랑이 벨트의 돌출 높이가 변화하여 버린다는 부적합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가랑이 벨트의 충격 하중을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져서, 안전성능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가 되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좌석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횡단면도이고, 좌부가 가장 하방 위치가 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동 실시예의 좌석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횡단면도이고, 좌부가 가장 상방 위치가 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종래예의 좌석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가 되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를 구비하는 좌석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동 실시예의 좌석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횡단면도이고, 좌부가 가장 하방 위치가 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동 실시예의 좌석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횡단면도이고, 좌부가 가장 상방 위치가 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좌석 구조는, 유소아가 착좌하는 좌석 본체(61)와, 좌석 본체(61)를 지지하는 좌석 베이스(64)를 구비한다.
좌석 본체(61)는, 거의 수평 방향에 넓어지고 착좌자인 유소아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부(62)와, 좌부의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늘어나고 유소아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63)를 갖는다. 좌부(62)의 상측이 되는 좌면 및 등받이부(63)의 표면이 되는 등받이면에는 쿠션재가 마련되어 있고, 착좌하는 유소아에게 쾌적한 승차감을 제공한다. 등받이부(63)는 리클라이닝 조정이 가능하고, 2점 쇄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거의 수평까지 경사시켜서 베드 상태로 할 수도 있다.
실선으로 표시되는 의자 상태에서 등받이부(63)는 좌부(62)의 후단부에서 일어나고, 좌부(62)는 그 후단부가 전단부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한다. 이에 의해 유소아는 좌석 본체(61)에 깊게 앉을 수 있다. 이에 대해 2점 쇄선으로 표시되는 베드 상태에서는, 등받이부(63)가 그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후경함과 함께, 좌부(62)의 후단부가 상승한다. 등받이부(63)의 하단부는 좌부(62)의 후단부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에 의해 리클라이닝 조정하면, 등받이부(63)의 경사각도에 응하여 좌부(62)의 경사각도도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등받이부(63)를 후방으로 쓰러뜨리면 좌부(62)의 후단부가 상승한다. 반대로 등받이부(63)를 전방으로 일으키면 좌부(62)의 후단부가 하강한다.
이와 같이 좌부(62)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조정되는바, 좌부(62)의 좌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가랑이 벨트(21)도 좌부(62)의 상하 이동 위치에 연동하여 상하 이동한다. 이 점에 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좌부(62)의 좌면 및 등받이부(63)의 등받이면에는, 좌석 본체(61)에 착좌한 유소아의 신체를 구속하는 구속 벨트 장치(66)가 접속한다. 구속 벨트 장치(66)는, 등받이부(63)의 등받이면부터 좌부(62)의 좌면까지 늘어나는 한 쌍의 좌벨트(67) 및 우벨트(68)와, 좌부(62)의 좌면으로부터 돌출하여 늘어나는 가랑이 벨트(21)와, 가랑이 벨트(21)의 상단에 부착되어 이들 벨트(67, 68)와 벗겨냄 가능하게 연결하는 버클 요소(70)를 갖는다.
전방으로 등을 돌리고 후방의 좌석 본체(61)를 향하여 좌측에 위치하는 좌벨트(67)는, 등받이부(63)의 등받이면에서 인출되어 하방으로 늘어나고, 그 하단이 좌부(62) 또는 좌석 베이스(64)의 좌측부와 접속한다. 좌벨트(67)의 상하 방향 중앙 영역의 1점에는 버클 요소(70)와 연결 및 벗겨냄 가능한 잠그개(留具)가 마련된다. 유소아를 좌석 본체(61)에 착좌시키고 이러한 잠그개를 버클 요소(70)에 삽입하면, 좌벨트(67)는 버클 요소(70)를 통하여 유소아의 복부 부근에서 가랑이 벨트(21)와 연결한다. 이렇게 하여 좌벨트(67)는, 이러한 연결 개소보다도 상측(어깨 벨트 부분)에서 유소아의 오른쪽 어깨부(右肩部)를 구속하고, 이러한 연결 개소보다도 하측(허리 벨트 부분)에서 유소아의 오른쪽 허리부(右腰部)를 구속한다.
마찬가지로, 전방으로 등을 돌리고 후방의 좌석 본체(61)를 향하여 우측에 위치하는 우벨트(68)도, 등받이부(63)의 등받이면에서 인출되어 하방으로 늘어나고, 그 하단이 좌부(62) 또는 좌석 베이스(64)의 우측부와 접속한다. 우벨트(68)의 상하 방향 중앙 영역의 1점에는 버클 요소(70)와 연결 및 벗겨냄 가능한 잠그개가 마련된다. 유소아를 좌석 본체(61)에 착좌시키고 이러한 잠그개를 버클 요소(70)에 삽입하면, 우벨트(68)는 버클 요소(70)를 통하여 유소아의 복부 부근에서 가랑이 벨트(21)와 연결한다. 이렇게 하여 우벨트(68)는, 이러한 연결 개소보다도 상측(어깨 벨트 부분)에서 유소아의 왼쪽 어깨부를 구속하고, 이러한 연결 개소보다도 하측(허리 벨트 부분)에서 유소아의 왼쪽 허리부를 구속한다.
따라서 좌우 벨트(67, 68)에서의 잠그개보다도 상측의 영역은 한 쌍의 어깨 벨트를 구성하고, 잠그개보다도 하측의 영역은 한 쌍의 허리 벨트를 구성한다. 또한 도면의 번잡함을 피하기 위해, 도 1에서는 좌우의 벨트(67, 68)의 허리 벨트 부분이 가랑이 벨트(21)와 겹쳐져서 표시되고, 좌우의 벨트(67, 68)의 어깨 벨트 부분이 겹쳐져서 표시된다. 그리고 가랑이 벨트(21)는 유소아의 양각 대퇴(太腿)의 사이를 통과한다. 이에 의해 유소아는, 왼쪽의 어깨 벨트, 오른쪽의 어깨 벨트, 왼쪽의 허리 벨트, 오른쪽의 허리 벨트, 및 가랑이 벨트(21)로 5점 구속된다.
좌벨트(67)의 상단부 및 우벨트(68)의 상단부는, 등받이부(63)에 마련된 좌우 한 쌍의 관통구멍(25)를 관통하고, 등받이부(63)의 이면측에서 공통되는 조정 벨트(23)의 상단과 접속한다. 조정 벨트(23)는, 좌석 본체(61)의 좌우 방향 중앙에서, 등받이부(63)의 이면에 따라 늘어나고, 또한 좌부(62)와 좌석 베이스(64)와의 사이를 통과하여, 하단이 좌석 베이스(64)의 전단보다도 전방으로 인출된다. 조정 벨트(23)의 인출 길이를 조정함에 의해, 좌우 벨트(67, 68)의 팽팽함을 알맞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조정 벨트(23)는, 좌석 베이스(64)와의 로크 기구(42)에 의해 통상에서는 이동 불능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유소아의 착좌중에 좌우 벨트(67, 68)가 느슨해지는 일은 없다.
좌석 베이스(64)는, 좌부(62)의 아래에 위치하는 저벽부(64c)와, 저벽부(64c)의 좌우 단부에서 상방에 일어나 늘어나는 한 쌍의 측벽부(64a, 64b)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들 측벽부(64a, 64b)의 사이에 좌부(62) 및 등받이부(63)를 지지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의 좌석을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에 적용하는 경우, 저벽부(64c)의 하면측에 원형형상의 대좌를 형성하고, 이 대좌를 베이스부재로 지지한다. 도시하지 않은 베이스부재는, 좌석 베이스 저벽부(64c)의 원형 대좌를 받아들이는 기부 및 기부의 후단에서 일어나는 후벽부를 갖기 때문에, 좌우 방향 외측에서 보아 L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석 베이스(64)를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좌석 본체(61) 및 좌석 베이스(64)는 연직 방향으로 늘어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다. 베이스부재는 차량용 좌석에 실려진다.
베이스부재에는, 도시하지 않은 어린이 시트용 벨트 고정구가 마련된다. 차량의 시트 벨트를 베이스부재에 건너지르고, 어린이 시트용 벨트 고정구로 차량의 시트 벨트를 끼워 넣어서 고정함에 의해,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는 차량용 좌석에 부착 고정된다.
가랑이 벨트(21)는, 중앙 부분 및 한 쌍의 분기 부분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랑이 벨트(21)는, 좌부(62)의 중앙부에 마련된 관통구멍(62h)을 관통하고, 좌부(62)보다도 상방으로 돌출하는 중앙 부분이 버클 요소(70)에 접속되고, 중앙 부분의 하측에서 연속하는 분기 부분이 좌부(62)보다도 하방에서 분기되어 좌우로 늘어난다. 분기 부분 중 마주보아 좌측으로 늘어나는 가랑이 벨트(21)의 분기 벨트(21a)는, 그 선단부가 좌측 벽부(64a)에 연결된다. 또한, 분기부분 중 마주보아 우측으로 늘어나는 가랑이 벨트(21)의 분기 벨트(21b)는, 그 선단부가 우측 벽부(64b)에 연결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가랑이 벨트(21)는, 상단에서 버클 요소(70)를 가지며, 버클 요소(70)로부터 분기 벨트(21a, 21b)가 2갈래로 분기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분기 벨트(21a, 21b)의 상단측이 서로 봉착(縫着)되어, 분리 불능한 소정 길이의 중앙 부분을 형성하여도 좋고, 또는 슬리브 등의 소정 길이의 통형상 부재에 통과되어 서로 통합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의 슬리브는 좌부(62)에 지지되고, 좌부(62)보다도 하방으로 용이하게 빠지는 일이 없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랑이 벨트의 구성 요소인 분기 벨트(21a)의 선단부 및 분기 벨트(21b)의 선단부는, 이들 측벽부(64a, 64b)의 상하 방향 중앙 영역과 각각 접속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가랑이 벨트(21)의 좌우단을 측벽부(64a, 64b)의 하단부에 각각 접속하여도 좋다. 조정 벨트(23)는, 가랑이 벨트(21)의 한 쌍의 분기 부분의 사이를 통과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분기 벨트(21a, 21b)가 조정 벨트(23)보다도 상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분기되어 있지만, 분기 벨트(21a, 21b)의 높이는 변화한 것이고, 조정 벨트(23)가 가랑이 벨트(21)의 한 쌍의 분기 부분의 사이를 통과하는 것에는 다름없다고 이해되고 싶다.
좌부를 상하 방향에 이동 조절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가랑이 벨트의 돌출 높이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가랑이 벨트(21)가 좌부(62)를 관통하고, 좌부(62)보다도 상방으로 돌출하는 상단에서 좌우 벨트(67, 68)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고, 좌부(62)보다도 하방에서 분기되어 좌우로 늘어나고, 마주보아 좌측의 분기 벨트(21a)의 선단부가 좌측 벽부(64a)와 연결하고, 마주보아 우측의 분기 벨트(21b)의 선단부가 우측 벽부(64b)와 접속한다. 따라서 조정 벨트(23)를 좌부(62)보다도 하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통하여도, 조정 벨트(23)가 가랑이 벨트(21)에 간섭하는 일이 없다. 이 결과, 조정 벨트(23)를 우회시키는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좌석 베이스(64)의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간이한 구조로서, 조정 벨트(23)와 가랑이 벨트(21)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좌부(62)가 상방으로 이동 조절되면 가랑이 벨트(21)의 상단부도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대로, 좌부(62)가 하방으로 이동 조절되면 가랑이 벨트(21)의 상단부도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하는 좌부(62)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분기 벨트(21a, 21b)를 하방에 압하하기 때문에, 가랑이 벨트(21)가 좌부(62)에 연동하여 상하 이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을 비교하여, 좌부(62)의 상하 방향 위치에 관계없이, 좌부(62)의 좌면으로부터 돌출한 가랑이 벨트(21)의 돌출 높이가 그다지 변하지 않는다. 이 결과, 좌부(62)를 상방 위치에 조절하는 경우에 가랑이 벨트의 돌출 높이가 작아져서 구속 벨트(66)가 유소아의 골반을 구속하기 어렵다는 종래의 부적합함을 해소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좌부(62)를 하방 위치에 조절하는 경우에 가랑이 벨트의 돌출 높이가 커져서 유소아의 골반을 구속하기 어렵다는 종래의 부적합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가랑이 벨트(21)가 분기 벨트(21a, 21b)를 포함하기 때문에, 가랑이 벨트(21)의 하단부에 충격 하중이 집중하는 것을 회피하고, 안전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의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 발명이 되는 좌석 구조는,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 유모차, 실내용 육아 의자 및 베드 등의 육아 기구에 있어서 유리하게 이용된다.
21 : 가랑이 벨트
23 : 조정 벨트
51 : 어린이 시트
61 : 시트 본체
62 : 좌부
63 : 등받이부
64 : 좌석 베이스
64a : 좌측 벽부
64b : 우측 벽부
66 : 구속 벨트
67 : 좌벨트(어깨 벨트 및 허리 벨트)
68 : 우벨트(어깨 벨트 및 허리 벨트)
70 : 버클 요소

Claims (6)

  1. 좌부 및 등받이부를 갖는 좌석 본체와,
    상기 좌석 본체를 지지하는 좌석 베이스와,
    상기 좌석 본체에 착좌한 유소아의 신체를 구속하는 구속 벨트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구속 벨트 장치는, 상기 좌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늘어나는 가랑이 벨트와, 상기 가랑이 벨트의 상단에 부착된 버클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가랑이 벨트는, 상기 버클 요소에 접속되는 중앙 부분과, 상기 중앙 부분에서 좌우로 분기되고, 그 선단부가 상기 좌석 베이스의 좌우 측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분기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베이스는, 상기 좌부의 아래에 위치하는 저벽부와, 상기 저벽부의 좌우 단부에서 상방으로 일어나 늘어나는 한 쌍의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랑이 벨트의 한 쌍의 분기 부분의 선단부는, 상기 한 쌍의 측벽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벨트 장치는, 상기 버클 요소에 벗겨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어깨 벨트와, 상기 어깨 벨트의 팽팽함을 조정하기 위해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어깨 벨트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부의 배면 및 상기 좌부의 이면에 따라 늘어나 상기 좌부의 전방 영역까지 이끌어지는 조정 벨트와, 상기 좌부의 전방 영역에서 상기 조정 벨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조정 벨트는, 상기 가랑이 벨트의 한 쌍의 분기 부분의 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후경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상기 좌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후경 동작에 응하여 좌면 높이가 높아지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좌부의 높이의 변화에 관계없이 좌부의 좌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가랑이 벨트의 돌출 높이가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상기 가랑이 벨트의 한 쌍의 분기 부분은, 상기 좌부의 이면에 접촉하여 늘어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거의 수평의 위치까지 후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6. 제 1항에 기재된 좌석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
KR1020110034047A 2010-07-21 2011-04-13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및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 KR201200101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64201 2010-07-21
JP2010164201A JP5584035B2 (ja) 2010-07-21 2010-07-21 育児器具の座席構造および自動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102A true KR20120010102A (ko) 2012-02-02

Family

ID=45543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047A KR20120010102A (ko) 2010-07-21 2011-04-13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및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84035B2 (ko)
KR (1) KR20120010102A (ko)
CN (1) CN102343845A (ko)
TW (1) TW20121086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17877B2 (ja) * 2018-11-06 2023-02-06 コンビ株式会社 自転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及び自転車
CN114684059B (zh) * 2020-12-25 2024-04-16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安全带调整机构及使用该安全带调整机构的安全座椅
KR20230125819A (ko) * 2021-01-29 2023-08-29 굿베이비 차일드 프로덕츠 컴퍼니 리미티드 아동용 시트 장치 및 아동용품
CN112849255B (zh) * 2021-01-29 2022-04-01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座位装置及儿童用品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8002B2 (ja) * 1997-01-08 2002-06-04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
CA2311304C (en) * 1997-12-16 2006-06-06 Magna Interior Systems Inc. Child restraint seat safety belt assembly
JPH11198694A (ja) * 1998-01-12 1999-07-27 Takata Kk チャイルドシート
AUPQ387299A0 (en) * 1999-11-05 1999-12-02 Igc (Australia) Pty Ltd Improved child restraints
JP4348417B2 (ja) * 2002-07-08 2009-10-21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自動車用子供座席
WO2009088329A1 (en) * 2008-01-09 2009-07-16 Autoliv Development Ab A booster cush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25229A (ja) 2012-02-09
CN102343845A (zh) 2012-02-08
TW201210860A (en) 2012-03-16
JP5584035B2 (ja)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2165B2 (en) Reboard system
US9579996B2 (en) Infant holder for vehicle seat
JP2008272212A (ja) 乳幼児用ベッド
KR950031646A (ko) 직동식 머리 받침대
KR20120010102A (ko)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및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
KR102208169B1 (ko) 차량용 시트
EP2599660A1 (en) Vehicle seat that can be converted into a child seat
JP6676320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WO2006030242A2 (en) Child seat
JP6525604B2 (ja) 座席付き育児器具
JP2021070344A (ja) 子供用育児器具
CN203198779U (zh) 儿童车辆座椅
US20090014619A1 (en) Multi adjustment for motor vehicle restriant positioning device
JP7001339B2 (ja) 育児器具の座席マット
JP4421585B2 (ja) シート着座補助装置
CN106458063A (zh) 约束元件
WO2022160403A1 (zh) 儿童用品的束缚***、儿童用品及儿童汽车安全座椅
JP4523463B2 (ja) シートベルトを備えた育児器具
JP7440249B2 (ja) 乳幼児用座席装置用インナーシート
US9718380B2 (en) Vehicle seat assembly accommodating a rear facing child seat
CN112297970B (zh) 儿童用育儿器具
JP5495610B2 (ja) 育児用椅子
KR101554561B1 (ko) 차량용 안전시트
CN114274853A (zh) 一种具备儿童乘坐保护功能的座椅头枕及车辆
KR20140005046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