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9377A - 싱크대용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9377A
KR20120009377A KR1020100076157A KR20100076157A KR20120009377A KR 20120009377 A KR20120009377 A KR 20120009377A KR 1020100076157 A KR1020100076157 A KR 1020100076157A KR 20100076157 A KR20100076157 A KR 20100076157A KR 20120009377 A KR20120009377 A KR 20120009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trap
drainage
water
s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남
Original Assignee
김종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남 filed Critical 김종남
Priority to KR1020100076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9377A/ko
Priority to KR1020100085114A priority patent/KR20120009380A/ko
Publication of KR20120009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3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6Installations for disinfecting or deodorising waste-water plumbing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1. 기술분야
본 발명은 싱크대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2. 해결과제
본 발명은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장치를 제공하고, 배수조 안쪽의 구조를 개선하여 악취나 세균번식을 억제함은 물론 트랩을 슬림화시켜 설치공간의 제약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한 배수장치를 제공한다. 더하여 선출원한 배수장치에서 오버플로우의 기능이 제한되어 물이 개수대를 넘치는 현상을 해결하고 있다.
3. 해결수단 및 작용효과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배수장치는 기본적으로 배수조와 거름망, 트랩, 배수조에 세척액을 채울 수 있도록 하는 밸브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거름망의 푸시가 밸브와 연결된 토글 기어박스를 작동시켜 배수조 하단 봉수를 여닫게 함으로서 세척액을 채워 배수조 안쪽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푸시의 작동만으로 배수조의 봉수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세척액을 이용하여 배수조를 손쉽게 세척할 수 있다.
더하여 본인이 선출원한 배수장치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으로 밸브가 닫혀있고 수전이 열려 있다면 (오버플러우로) 물이 배수되지 못하여 싱크대를 넘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있다.

Description

싱크대용 배수장치{WASHABLE SINK DRAINAGE}
본 발명은 싱크대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싱크대의 배수조를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더하여 복잡한 배수조 안쪽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배수조 안쪽의 슬러지의 침착과 그로 인한 세균번식과 악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함은 물론 트랩을 슬림화시켜 설치공간의 제약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한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싱크대의 수조는 일정량의 물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그 하부에는 물(오수)을 하수관으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가 설치된다.
악취나 세균번식을 억제하기 위한 가장 이상적인 구조의 배수장치로 봉수나 봉수캡이 없는 형태의 배수장치를 들 수 있다. 이는 배수장치의 안쪽에 구조가 간단하여 슬러지가 침착할 수 있는 면적이 작으며, 하단에 물이 고여있지 않는 구조에 기인한다. 이와 같은 배수구는 트랩을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며, 이는 상당한 설치공간을 요하여 설치공간이 좁다면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봉수가 있는 타입의 배수구가 악취나 세균번식에 취약할 수 있다는 문제점에도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유이다.
배수장치의 배수조의 안쪽은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슬러지 등의 침착으로 인해 세균의 번식이나 악취가 발생하기 십상이지만 그 구조상 세척의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일안으로 본인은 특허출원 제 10-2009-0079052호(고안의 명칭: 싱크대용 배수장치)를 출원한 바가 있으나 거름망을 반복적으로 비우는 과정에서 봉수가 회전하며 밸브가 닫히는 문제점과 밸브가 닫혔을 때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전이 열려있다면 물이 싱크대를 넘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거름망을 반복적으로 비워도 밸브가 닫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밸브가 닫혀있다 하여도 수전이 열려 물이 싱크대로 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더하여 배수조 안쪽의 구조를 개선하여 악취나 세균번식을 억제함은 물론 트랩을 슬림화시켜 설치공간의 제약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한 배수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형태별로 다음과 같은 배수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배수장치는, 배수장치의 기본 요소인 배수조와 거름망, 트랩과 (배수구 안쪽의 세척을 위해) 밸브를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밸브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거름망이 안착된 배수조의 저면 중심에는 하부로 돌출된 중공형의 봉수를 구비하고 있으며, 배수조의 하단에 오버플로우 연결공과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트랩이 장치되어 있다. 전술한 트랩의 하단 중심에 형성되어 있는 밸브 가이드 상단에는 밸브가 장치되며, 밸브의 상단은 배수조의 봉수 중심을 지나 거름망과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에 탄지된 밸브는 배수조 저면 하단 봉수의 안쪽에 설치된 (토글 기어박스의) 회전기어에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기어에는 거름망의 푸쉬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스프링에 탄지된 밸브가 기어박스의 회전기어에 연결되어 있고, 회전기어에 푸쉬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푸쉬의 작동은 밸브의 승하강을 의미하며, 이는 푸쉬의 작동으로 밸브를 여닫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배수장치는 전술한 배수장치와 같은 원리로 작동되나 (제1 관점에서) 배수조 하단에 장치되던 트랩이 배수조와 한 몸으로 구성되며, 배수부와 트랩부의 사이를 중공의 봉수가 형성되어 있는 파티션이 분할하고 있다. 배수부의 안쪽에는 (중심에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거름망이 안착되며, 트랩부 저면에는 오버플로우 연결공과 배수공, 밸브가이드가 구성되어 있으며, 밸브가이드에 안내되는 밸브가 장치되어 있다.
밸브를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밸브의 볼트 수단이 봉수 안쪽에 너트수단과 결합되어 있으며, 밸브의 끝단이 거름망의 스플라인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밸브의 볼트수단이 봉수의 너트수단에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거름망의 회전은 곧 밸브의 승하강을 의미한다. 따라서 거름망의 회전으로 밸브를 여닫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간단한 배수조 구조를 하고 있어 슬러지 침착으로 인한 세균이나 악취의 발생을 억제하고, 트랩을 슬림하게 구성하여 설치공간의 제약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간단한 동작만으로 세척액을 배수조에 채우거나 배출할 수 있으므로 배수조를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다.
더하여 본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 10-2009-0079052호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으로 밸브가 닫혀있고 수전이 열려 있다면 (오버플러우로) 물이 배수되지 못하여 싱크대를 넘칠 수 있는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배수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푸시형 토클 기어박스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수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선출원한 배수장치가 밸브가 닫혀 있을 때 개수대에 물이 공급되면 물이 개수대를 넘치는 것을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수장치가 밸브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개수대에 물이 공급되어도 물이 개수대를 넘치지 않고 오버플러우로 배수되고 있음을 도시한 상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 제1 실시형태 ]
첨부도면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배수장치는 개수대 저면(1)의 구멍(2)에 장치되는 배수조(110)와 이 배수조(110) 내부에 안치되는 거름망(150)과 배수조(110)의 하단에 장착되는 트랩(120)으로 구성된다.
배수조(110)는 고정수단을 통해 구멍(2)에 장착되는데, 예컨대 상기 고정수단은 링(3) 형상으로 외주연에 나사수단이 마련되어 배수조(11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나사수단과 회전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구멍(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배수조(110)의 저면중심에는 중공의 봉수(111)가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봉수(111)의 중심에 리브로 고정된 기어박스 브라켓(112)이 위치한다. 상기 배수조(110)의 외측 하단에는 후술할 트랩(120)을 연결하기 위한 볼트수단(117)이 구비되어 있으며, 트랩(120)과 배수조(110) 사이의 수밀을 위하여 패킹홈(115)에 패킹이 장치된다.
트랩(120)은 오목한 용기 형상으로 트랩(120) 저면에 밸브가이드(123)가 돌출되어 있고, 일측에 오버플로우의 연결구(121)가, 타측에는 댐퍼(125)로 구역이 분할되어 있는 오수구(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댐퍼(125)의 높이는 트랩(120)의 수위를 결정 짖게 된다. 배수조(110) 하단에 봉수(111)의 끝은 (배수조와 트랩이 조립되어 있을 때)트랩(120)의 수위 아래쪽에 위치하여야 하고, 상기 트랩(120)의 상단 내주연에는 너트수단(127)이 구비되어 있어 배수조(110)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제1 실시형태의 밸브 작동수단으로 볼펜 등에 널리 이용되는 공지의 푸시형 토글 기어박스(170, push-type toggle gear box)를 이용한다. 이 기어박스는 기본적으로 기어하우징(171)과 고정기어(175), 회전기어(173)로 구성되어 고정기어(175)가 회전기어(173)를 누를 때마다 회전기어(173)가 회전되면서 내려간 위치 및 원위치로 번갈아 토글되게 한다. 제1 실시형태는 이러한 공지의 기어박스를 이용하여 아래의 설명과 같이 봉수(111)의 개폐 상태를 토글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푸시형 토글 기어박스(170)는 배수조(110)의 봉수(111)의 내벽에 고정된 기어박스 브라켓(112)에 고정된다. 이 기어박스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어하우징(171)과 고정기어(175), 회전기어(173)를 포함한다.
도 2는 기어박스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기어하우징(171) 내측에는 장홈(A)과 단홈(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홈(A)과 단홈(B)은 회전기어(173)의 외주연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삽탈되는 공간으로, 회전기어(173)가 회전될 때마다 고정돌기가 장홈(A)과 단홈(B)에 교번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즉, 고정돌기가 단홈(B)에 위치할 때는 눌려진 상태를 유지하고, 장홈(A)에 위치할 때는 원위치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2에서 부재부호 175은 회전기어(173)를 회전시키는 고정기어(175)이다. 이 고정기어(175)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거름망(150)의 저면 중앙에 중공형 푸시가이드(152)가 형성되어 있다. 푸시가이드(152)의 중공에는 일정 거리로 상하이동 가능한 봉 형태의 푸시(155) 수단이 삽입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의 거름망(150)의 하부에는 전술한 토글 기어박스(170)가 봉수(111) 내측 기어박스 브라켓(112)에 장치되어 있고, 기어박스의 고정기어(175)에 연결된 밸브(177)가 트랩(120)의 밸브가이드(123)에 설치되어 있다. 이 밸브(177)는 봉수(111)의 하단을 개폐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외주연에는 고무패킹(P) 등의 밀페수단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배수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배수장치는 봉수(111)가 개방된 상태로, 회전기어(173)의 고정돌기는 기어박스의 ㄷ단(B)에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거름망(150)의 푸시(155)를 누르면, 푸시(155)의 하단이 고정기어(175)를 밀게 되며, 고정기어(175)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회전기어(173)를 아래로 밀게 된다.
회전기어(173)가 내려감에 따라 회전기어(173)의 고정돌기가 단홈(B)로부터 이탈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이 회전은 고정돌기가 장홈(A)의 하단에 위치하며 멈추게 된다. 이때 푸시(155)의 누름을 해제하면 회전기어(173)는 장홈(A)에 수용되며 밸브(177)가 봉수(111)의 하단을 폐쇠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세척액을 배수조(110)에 채울 수 있게 된다.
세척액을 채워 세척이 완료된 후, 다시 푸시(155)를 누르게 되면 회전기어(173)의 고정돌기가 다시 단홈(B)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밸브(177)가 원위치로 복원하면서 봉수(111)를 개방하고 세척액은 배출된다.
[ 제2 실시형태 ]
도 3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수장치는 개수대 저면(1)의 구멍(2)에 장착되며, 배수구 본체(205)와 본체(205)를 배수부(210)와 트랩부(220)로 분할할 수 있도록 한 파티션(230)과, 배수부(210) 내측의 거름망(250), 거름망(250) 하부에 봉수(211)를 여닫을 수 있도록 한 밸브(270)를 포함하며, 트랩과 배수조가 한 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205)는 내측 상단에 링(3)과 중간 내측에는 파티션(230)을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구조(217)로 되어 있으며, 하단 중앙에 밸브가이드(223)가 돌출되어 있다. 본체(205) 하단 일측에는 오버플러우가 연결되는 연결구(221)가, 타측에 댐퍼(225)로 구역이 구분되어 있는 오수구(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댐퍼(225)의 높이는 트랩 내측의 수위를 결정하게 된다.
파티션(230)은 오목한 형상의 중심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된 중공의 봉수(211)가 형성되어 있으며 봉수(211) 내부에는 리브를 통해 봉수(211) 내벽과 고정되는 너트수단(232)이 구비되어 있다. 파티션(230)의 외측 상부에는 패킹을 장치할 수 있는 패킹홈(215)이 형성되어 있으며, 홈의 하단에는 본체(205)와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구조(237)로 되어 있어 본체(205)를 배수부(210)와 트랩부(220)로 분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봉수(211)의 길이는 본체(205)의 댐퍼(125)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여야 한다.
거름망(150)은 내측 중심에 중공의 봉(252)이 돌출되어 있으며 봉(252)의 내측에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어 밸브(270) 일측에 형성된 외측 스플라인(275)이 삽탈되도록 하고 있다.
밸브(270)의 상단은 거름망(150)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한 스플라인과 회전운동을 수직운동으로 전환 되도록 한 나사부와 전환된 수직운동으로 봉수(211)를 직접 여닫을 수 있도록 한 밸브(270)로 구성되어 있으며, 밸브(270)의 외주연에는 고무패킹(P) 같은 밀폐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밸브(270)가 승하강 함에 있어 자세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밸브(270)의 하측 중심은 실린더 형상을 하고 있으며, 여기에 밸브가이드(223)를 삽입하여 밸브(270)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밸브(270)의 볼트수단이 봉수(211) 너트수단(232)과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거름망(250)의 회전은 곧 밸브(270)의 승하강을 의미한다. 따라서 거름망(250)의 회전으로 밸브(270)를 여닫을 수 있다.
도 3은 밸브(270)가 봉수(211)의 하단을 막지 않은 상태, 즉 개방된 상태이다. 배수구 세척을 위하여 거름망(250)을 CW(Clockwise) 방향으로 회전시켜 밸브(270)가 봉수(211) 하단을 닫아 세척액을 채우고, 세척이 완료되면 거름망(25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봉수(211)를 열면 세척액은 배출된다.
이하 선출원한 배수장치에서 제시되었던 문제점에 관하여 본 발명과 비교하면 하기와 같다.
도 4는 본인이 선출원한 특허등록 10-0952504호의 배수장치가 밸브(57)가 닫혀 있을 때 개수대에 물이 공급된다면 물이 오버플로우(55)로 배수되지 못하고 개수대(50)를 넘치는 것을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수장치가 밸브(57)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개수대에 물이 공급되어도 오버플러우(55)로 물이 배수되고 있음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선출원한 배수장치는 밸브가 닫혀있을 때 수전이 열려 개수대로 물이 유입된다면 오버플로우가 제 기능을 할 수 없는 구조를 하고 있어 물이 개수대를 넘칠 수 뿐이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밸브의 개폐와 관계없이 오버플로우가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 밸브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개수대에 물이 공급되어도 오버플로우로 배수되도록 하고 있다.
제1,2 관점에 따른 배수장치의 밸브를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푸쉬형 토글"과 "나사" 수단으로 제시되어 있으나 상호 밸브의 개폐수단을 바꾸어 장치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 실시형태의 배수장치 110: 배수조
111: 봉수 112: 기어박스 브라켓
115: 패킹홈 117: 볼트수단
120: 트랩 121: 연결구
122: 오수구 123: 밸브가이드
125: 댐퍼 127: 너트수단
150: 거름망 152: 푸시가이드
155: 푸시 170: 토글기어박스
171: 기어하우징 173: 회전기어
175: 고정기어 176: 스프링
177: 밸브 200: 제2 실시형태의 배수장치
205: 본체 210: 배수부
211: 봉수 215: 패킹홈
217, 237: 나사구조 220: 트랩부
221: 연결구 222: 오수구
223: 밸브가이드 225: 댐퍼
230: 파티션 232: 너트수단
250: 거름망 252: 봉
256 내측 스플라인 270: 밸브
275: 외측 스플라인

Claims (4)

  1. 개수대 저면(1)의 구멍(2)에 장치되는 배수조(110)와 이 배수조(110) 내부에 안치되는 거름망(150)과 배수조(110)의 하단에 장착되는 트랩(120)으로 구성된 배수장치에 있어서,
    배수조(110)의 저면 중심에는 중공의 봉수(111)가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배수조(110)의 외측 하단에는 후술할 트랩(120)을 연결하기 위한 볼트수단(117)이 구비되어 있으며, 트랩(120)과 배수조(110) 사이의 수밀을 위하여 패킹홈(115)에 패킹이 장치된다. 트랩(120)은 오목한 용기 형상으로 트랩(120) 일측에 오버플로우의 연결구(121)가, 타측에 댐퍼(125)로 구역이 분할되어 있는 오수구(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댐퍼(125)의 높이는 트랩(120)의 수위를 결정 짖게 된다. 배수조(110) 하단 봉수(111)의 끝단은 (배수조와 트랩이 조립되어 있을 때)트랩(120)의 댐퍼(125) 아래쪽에 위치하여야 하고, 상기 트랩(120)의 상단 내주연에 너트수단(127)이 구비되어 있어 배수조(110)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간단한 배수조(110) 구조로 인하여 세균이나 악취 발생을 억제하고, 슬림한 트랩(120) 구조로 설치공간의 제약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함을 특장점으로 하는 배수장치이다.
  2. 제 1항의 배수장치에 더하여 배수조의 세척을 위하여 봉수를 여닫을 수 있도록 한 밸브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배수장치에 있어서,
    트랩의 저면 중심에 밸브가이드(223)가, 배수조(110) 저면 중심 봉수(111)의 안쪽에 리브로 고정된 기어박스 브라켓(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브라켓(112)에는 토글 기어박스(17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어박스(170)는 기본적으로 기어하우징(171)과 고정기어(175), 회전기어(173)로 구성되어 고정기어(175)가 회전기어(173)를 누를 때마다 회전기어(173)가 회전되면서 내려간 위치 및 원위치로 번갈아 토글되며, 회전기어(173)에는 스프링(176)으로 탄지된 밸브(177)가 연결되어 있어 봉수(111)의 끝을 여닫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고정기어를 누르기 위한 수단으로 거름망(150)의 푸시가이드(152)에 설치되어 있는 푸시(155)가 있으며, 푸시를 눌러 고정기어를 작동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배수조(110) 안쪽을 세척하려 할 때 푸시(155)를 누르면 밸브(177)가 봉수(111)를 닫어 배수조(110) 안쪽에 세척액을 채울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세척이 끝나면 다시 푸시(155)를 눌러 세척액을 배수함으로써 간편하게 배수조(110) 안쪽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이다.
  3. 본체(205)와 본체(205)를 배수부(210)와 트랩부(220)로 분할할 수 있도록 한 파티션(230)과, 배수부(210) 내측의 거름망(250)을 포함한 배수장치에 있어서,
    본체는 내측 중간에 파티션(230)을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구조(217)를 하고 있고, 하단 일측에는 오버플러우가 연결되는 연결구(221)가, 타측에 댐퍼(225)로 구역이 구분되어 있는 오수구(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댐퍼(225)의 높이는 트랩 내부의 수위를 결정하게 된다. 파티션(230)은 오목한 형상의 중심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된 중공의 봉수(211)가 형성되어 있고, 파티션(230)의 외측 상부에는 패킹을 장치할 수 있는 패킹홈(215)이 형성되어 있으며, 홈의 하단에는 본체(205)와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구조(237)로 되어 있어 본체(205)를 배수부(210)와 트랩부(220)로 분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간단한 배수부(210) 구조로 인하여 세균이나 악취 발생을 억제하고, 슬림한 트랩부(220) 구조로 설치공간의 제약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함을 특장점으로 하는 배수장치이다.
  4. 제 3항의 배수장치에 배수조의 세척을 위하여 봉수를 여닫을 수 있도록 한 밸브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배수장치에 있어서,
    트랩부의 저면 중심에 밸브가이드(223)가, 봉수(211) 내부에는 리브를 통해 봉수(211) 내벽과 고정되는 너트수단(232)이 구비되어 있고, 거름망(150)은 내측 중심에 중공의 봉(252)이 돌출되어 있으며 봉(252)의 내측에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어 거름망(150)의 내측 스플라인(256)에 밸브(270) 일측에 형성된 외측 스플라인(275)이 삽탈되도록 하고 있다. 밸브(270)의 상단은 거름망(150)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한 스플라인과 회전운동을 수직운동으로 전환 되도록 한 나사부와 전환된 수직운동으로 봉수(211)를 직접 여닫을 수 있도록 한 밸브(27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술한 밸브(270)가 승하강 함에 있어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밸브(270)의 하측 중심은 실린더 형상을 하고 있어 여기에 밸브가이드(223)를 삽입하여 밸브(270)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거름망(250)의 회전은 곧 밸브(270)의 승하강을 의미하며, 따라서 거름망(250)의 회전으로 밸브(270)를 여닫아 세척액을 채우고 배수할 수 있도록 하여 간편하게 배수부(210) 안쪽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이다.
KR1020100076157A 2010-07-18 2010-08-08 싱크대용 배수장치 KR2012000937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157A KR20120009377A (ko) 2010-07-18 2010-08-08 싱크대용 배수장치
KR1020100085114A KR20120009380A (ko) 2010-07-18 2010-08-31 싱크대용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9275 2010-07-18
KR1020100069275 2010-07-18
KR1020100076157A KR20120009377A (ko) 2010-07-18 2010-08-08 싱크대용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377A true KR20120009377A (ko) 2012-02-01

Family

ID=45854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157A KR20120009377A (ko) 2010-07-18 2010-08-08 싱크대용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93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0006A (zh) * 2017-03-08 2017-08-18 佛山市悍高厨具设备有限公司 一种带有过滤组件的水槽净化器
KR20190086835A (ko) * 2018-01-15 2019-07-24 훈 이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0006A (zh) * 2017-03-08 2017-08-18 佛山市悍高厨具设备有限公司 一种带有过滤组件的水槽净化器
KR20190086835A (ko) * 2018-01-15 2019-07-24 훈 이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0030B1 (ko) 싱크대용 배수장치
WO2011025215A2 (ko) 싱크대용 배수장치
KR20120009377A (ko) 싱크대용 배수장치
KR200410765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20009380A (ko) 싱크대용 배수장치
CN102392479B (zh) 一种水槽去水器
WO2012030107A2 (ko) 싱크대용 배수장치
JP2008303555A (ja) シンクの排水装置
KR20140007695A (ko) 세면기 배수장치
KR100960590B1 (ko) 배수구 개폐장치
CN112575852A (zh) 一种可封水的翻底滤渣篮及其应用的下水器
JP4456961B2 (ja) 浴槽の配管構造に用いられる目皿部材
KR200327222Y1 (ko) 실내 바닥배수장치
CN206328843U (zh) 一种便于取下外漏盖的防臭地漏
CN214423490U (zh) 一种可封水的翻底滤渣篮及其应用的下水器
JP6194507B2 (ja) 封水式排水トラップ
CN216892685U (zh) 一种带防臭功能的水槽下水器
CN216007158U (zh) 一种集成优化的防臭下水器
KR100367229B1 (ko) 수세식 변기의 보조 급수조
JP2009013725A (ja) シンクの排水装置
KR102071549B1 (ko)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
CN221441703U (zh) 一种易于排水的地漏盖
CN217896687U (zh) 一种可拆卸易清理地漏
CN211547909U (zh) 下水器及浴缸
KR20070053082A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