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860A -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860A
KR20120007860A KR1020100068625A KR20100068625A KR20120007860A KR 20120007860 A KR20120007860 A KR 20120007860A KR 1020100068625 A KR1020100068625 A KR 1020100068625A KR 20100068625 A KR20100068625 A KR 20100068625A KR 20120007860 A KR20120007860 A KR 20120007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tunnel
wind
circulation
belt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광의
염예리
김상렬
Original Assignee
염광의
김상렬
염예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광의, 김상렬, 염예리 filed Critical 염광의
Priority to KR1020100068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7860A/ko
Publication of KR20120007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8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5/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영역으로 분리 연결된 건조 터널과, 상기 건조 터널 내부에 제품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부와, 상기 건조터널의 각 영역 마다 설치되어 상기 제품의 상하부에 순환풍을 공급하는 순환풍 시스템 및 상기 건조 터널 내부의 상기 제품이 이동하는 영역의 상하부에 배치된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조 장치{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지/직물분야 및 화이바그라스 등의 건조를 위한 건조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제지, 직물 및 화이바그라스 분야의 건조 장치는 열풍기 등의 풍력시스템과 단일층의 일반히터 및 석영관 시스템을 적용하여, 상단부의 건조는 양호할 수 있으나, 하단부의 건조상태가 취약하여 제품성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했다.
즉, 제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벨트에 닿은 부분의 건조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부에서 불어나오는 바람과 히터이 발열이 상단부에만 집중되어 하단부에 대한 건조보강이 힘들어 효과적인 건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열풍 히터를 사용함에 따라 유류비에 막대한 금액이 소요되었다. 예를 들어 30m 기준 열풍기의 유류비 소모는 평균적으로 연간 약 40,000,000원 규모이다.
대부분의 개발자들이 앞서 언급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나,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듯 보이지만, 기계 구조물의 단위 사이즈도 크거니와 이의 해결을 위해서는 많은 문제의 보강이 필요함은 물론, 시스템의 체계자체도 바뀌어야 하므로 개발이 되지 않고 있는 상태였다. 이에 본출원인은 약 수년간의 연구 기간과 테스트를 거쳐 새로운 기기를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전기를 이용한 순환풍 시스템을 적용하고, 제품의 상하부에 히터를 배치하여 균일한 건조가 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컨베이어 벨트의 변경 등을 통해 건조 효과가 균일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화이바그라스 부분은 물론, 제지분야 및 모직분야 등의 장비에 이를 직,간접적으로 응용할 수 있고, 국내의 기술발전은 물론 수입대체 및 수출효과를 볼 수 있는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영역으로 분리 연결된 건조 터널; 상기 건조 터널 내부에 제품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부; 상기 건조터널의 각 영역 마다 설치되어 상기 제품의 상하부에 순환풍을 공급하는 순환풍 시스템; 및 상기 건조 터널 내부의 상기 제품이 이동하는 영역의 상하부에 배치된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컨베이어부는 다수의 펀칭홀을 갖는 다수의 서스판과, 상기 서스판들을 연결하는 체인 기어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밸트와, 상기 체인 기어에 연결된 구동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베이어 밸트는 체인 기어 방식으로 구동하고, 고온과 순환풍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 레인 및 후드판의 연성과 전성을 감안하여, 유동 벨트 조임 방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순환풍 시스템은 상기 건조 터널의 상부에 배치된 순환팬과, 상기 건조 터널 내부에서 상기 제품이 이동하는 컨베이어부의 상측과 하측에 각기 배치된 상부 및 하부 송풍 덕트와, 상기 순환팬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송풍 덕트에 각기 순환풍을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순환풍 공급부와, 상기 상부 및 하부 송풍 덕트에 공급된 순환풍을 회수하는 순환풍 회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베이어부는 다수의 펀칭홀을 갖는 다수의 서스판과, 상기 서스판들을 연결하는 체인 기어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밸트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 밸트의 수평 연장면을 기준으로 그 상하부의 상기 건조 터널의 측면에 각기 상기 제 1 및 제 2 순환풍 공급부와 연통되는 제 1 및 제 2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에 대향하는 건조 터널의 타측면의 상기 수평 연장면에 상기 순환풍 회풍부와 연통되는 제 3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베이어 밸트는 상기 상품을 이용하는 상부 밸트와 회송되는 하부 밸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송풍 덕트는 상기 상부 밸트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순환풍 공급부로부터 순환풍을 제공받아 상품의 상측으로 공급하고, 상기 하부 송풍 덕트는 상기 하부 밸트와 상부 밸츠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순환풍 공급부로부터 순환풍을 제공받아 상품의 하측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터는 상기 상부 밸트와 상기 상부 송풍 덕트 사이에 배치된 제 1 히터와, 상기 하부 밸트와 상기 하부 송풍 덕트 사이에 배치된 제 2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를 이용한 순환풍 시스템을 적용하고, 제품의 상하부에 히터를 배치하여 균일한 건조가 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밸트를 펀칭홀을 갖는 서스 판으로 제작하여 밸트의 상하부에서 순환풍을 제공하여 그 사이에서 히터를 통해 순환풍을 가열함으로 인해 건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화이바그라스 부분은 물론, 제지분야 및 모직분야 등의 장비에 이를 직,간접적으로 응용할 수 있고, 국내의 기술발전은 물론 수입대체 및 수출효과를 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풍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기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의 일부 영역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풍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기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의 일부 영역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는 다수의 영역으로 분리 연결된 건조 터널(100)과, 상기 건조 터널(100) 내부에 배치되어 제품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부(200)와, 상기 건조 터널(100)의 각 영역 마다 상기 제품의 상하부에 순환풍을 공급하는 순환풍 시스템(300)과, 상기 제품이 이동하는 영역의 상하부에 배치된 히터(400)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 터널(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4개의 영역으로 분리된다. 이 분리된 영역들이 모두 연결되어 하나의 긴 터널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건조 터널(100)을 영역별로 분리하여 건조 터널(100)의 제작이 단순해질 수 있고, 건조 터널(100) 영역별로 가열과 송풍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순환풍 시스템(300)이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영역으로 분리하여 제품에 대한 균일한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 터널(100)의 길이를 30m로 할 경우, 이를 4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이 영역들 각각에 순환풍 시스템(300)을 배치함으로 인해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순환풍 시스템(300)은 약 7m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긴 길이의 건조 터널 내에서 고온과 순환풍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수증기의 배출을 위해 입구부, 출구부 및 중단부에 각기 환기 닥터를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내부의 부식을 없애기 위해 건조 터널(100) 내부 후드등에 서스판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건조 터널(100)은 암면으로 될 수 있다.
컨베이어부(200)는 상기 건조 터널(100) 내부에 배치된 컨베이어 밸트(210)와, 상기 컨베이어 밸트(210)를 이동시키는 이송 수단(220)을 구비한다.
이때, 컨베이어 밸트(210)의 양 끝단 영역은 건조 터널(100) 외부로 배출된다. 즉, 건조 터널(100)의 유입구 영역과 건조 터널(100)의 배출구 영역에 컨베이어 밸트(210)가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컨베이어 밸트(210)는 하부 건조 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해 펀칭홀을 갖는 다수의 서스(SUS)판(211)과 이들을 연결하는 체인 기어(212)를 구비한다.
다수의 서스판(211)은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형태로 제작되고, 그 양단을 제외한 영역에 펀칭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양 단에는 체인 기어(212)와 연결될 결합공이 형성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 기어(212)는 서스판(211)과 연결될 연결부와 연결부에 결합된 체인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송 수단(220)으로는 상기 체인 기어(212)에 연결된 구동 기어(221)와, 상기 구동 기어(221)를 회전시키는 모터(22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건조 터널(100)의 양단부 영역에 구동 기어(221)가 배치되고 이 중 하나의 구동 기어(221)에 모터(222)가 연결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상술한 컨베이어 밸트(210)는 건조 터널(100) 내부에서 무한 괘도 형태로 배치한다. 즉, 제품을 이용하는 상부 컨베이어 밸트(210)와 반송되는 하부 컨베이어 밸트(210)로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펀칭홀을 갖는 컨베이어 밸트(210)가 체인 기어 방식으로 구동한다.
또한, 이러한 컨베이어 밸트(210)가 히터(400)의 고온과 순환풍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 레인 및 후드판의 연성과 전성을 감안하여, 유동 벨트 조임 방식으로 전환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 터널(100)의 각 영역마다, 순환풍 시스템(300)을 배치한다. 도 1에서는 4개의 순환풍 시스템(300)이 배치됨이 도시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보다 많거나 적은 개수의 순환풍 시스템(3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는 건조 터널(100)의 길이와 순환풍 시스템(300)의 출력 등과 같은 다양한 조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순환풍 시스템(300)의 순환 방식은 순환풍의 입구가 상/하로 나뉘어지며, 돌아오는 회풍은 반대방향에서 한군데의 흡입구를 통해 돌아온다.
순환풍 시스템(300) 각각은 상기 건조 터널(100)의 상측면에 배치된 순환팬(310)과, 상기 건조 터널(100) 내부에서 상기 제품이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2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기 배치된 상부 및 하부 송풍 덕트(320, 330)와, 상기 순환팬(310)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송풍 덕트에 각기 순환풍을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순환풍 공급부(340, 350)와, 상기 상부 및 하부 송풍 덕트에 공급된 순환풍을 회수하는 순환풍 회풍부(36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송풍 덕트(32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이 배치되어 이동하는 상부 컨베이어 밸트(210)의 상측 영역에 배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송풍 덕트(320)는 사각 통 형태로 제작되고, 상부 송풍 덕트(320)의 측면에는 송풍 유입구가 배치되고, 이 송풍 유입구는 제 1 순환풍 공급부(340)에 연결된다. 이를 통해 제 1 순환풍 공급부(340)를 통해 공급된 순환풍을 제공 받는다. 그리고, 상부 송풍 덕트(320)의 하측 바닥면에는 순환풍 배출공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제공받은 순환풍을 제품의 상측면에 균일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송풍 덕트(3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이 배치되어 이동하는 상부 컨베이어 밸트(210)의 하측 영역에 배치된다. 도 5에서와 같이 하부 송풍 덕트(330)는 상부와 하부 컨베이어 밸트(210) 사이 영역에 배치된다. 그리고, 앞서와 같이 하부 송풍 덕트(330)는 제 2 순환풍 공급부(350)에 연결되어 순환풍을 제공 받는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하부 송풍 덕트(330)의 상측 상부면에는 순환풍 배출공이 형성되어 제공받은 순환풍을 제품의 하측 영역에 공급한다. 이때, 하부 송풍 덕트(330)로 제공된 순환풍은 컨베이어 밸트(210)의 펀칭홀을 통해 제품의 하부에 공급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건조 터널(100)의 상측에 순환팬(310)이 위치한다. 순환팬(310)은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여 바람을 일으킬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순환팬(310)은 순환풍 공급하는 기능과 순환풍을 회풍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그리고, 건조 터널(100)의 측면에 각기 제 1 및 제 2 순환풍 공급부(340, 350)가 위치한다. 이를 위해 건조 터널(100)의 측면에는 각기 제 1 및 제 2 순환풍 공급부(340, 350)가 접속되는 제 1 및 제 2 관통홀이 마련된다. 제 1 및 제 2 관통홀들은 제품이 이동하는 컨베이어 밸트(210)의 수평 연장면 상하에 위치한다. 제 1 및 제 2 순환풍 공급부(340, 350)는 파이프 형태로 제작된다. 그리고, 이들의 입구는 서로 공유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순환풍 공급부(340, 350)이 위치하는 건조 터널(100)의 측면에 대향되는 타측면 영역에 순환풍 회풍부(360)가 위치한다. 이를 위해 건조 터널(100)의 타측면에 순환풍 회풍부(360)가 접속되는 제 3 관통홀이 형성된다. 이때, 제 3 관통홀은 제품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밸트(210)의 수평 연장면에 위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순환풍이 2개의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어 제품의 상하영역에 모두 제공되고, 하나의 회풍부를 통해 순환풍이 회풍됨으로 인해 순환풍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순환풍 회풍부(360) 또한, 앞선 공급부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품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밸트(210)의 상하부 영역에 다수의 히터(400)가 마련된다. 즉, 다수의 제 1 및 제 2 히터(401, 402)가 위치한다.
이때, 상기 히터(400)로 석영관 히터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적 또는 광학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열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히터(400)는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제 1 히터(401)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 밸트(210)의 상측면과 상부 송풍 덕트(320) 사이 공간에 위치한다. 이를 통해 제 1 히터(401)에 의해 더워진 열기가 상부 송풍 덕트(320)의 순환풍에 의해 컨베이어 밸트(210) 상측의 제품에 제공되어 제품을 건조시킨다. 또한, 제 2 히터(402)는 컨베이어 밸트(210)의 하측면과 하부 송풍 덕트(330) 사이 공간에 위치한다. 이를 통해 제 2 히터(402)에 의해 더워진 열기가 하부 송풍 덕트(320)의 순환풍에 의해 컨베이어 밸트(210) 하측에 제공되고, 밸트의 펀칭홀을 통해 제품의 하측영역을 건조시킨다.
이와 같이 제품을 기준으로 도 7의 A에서와 같이 그 상하부에 석영관 히터(400)를 배치시킴으로 인해 제품을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11,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순환팬부와, 수분 제거 팬부 및 배기 후드를 구비한다.
이는 본 장치에 제공되는 제품의 특성상 수분 함유가 50% 이상이 되기 때문에 초기 과정에서 수분 제거에 의한 수분 배기 모터와 환기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수분 제거 팬부(500)는 도 15에 도시된 수분 제거 펌프(510)와, 이에 결합되어 건조 터널(100)의 일부에 관통 연결된 수분 제거 파이프(520)를 구비한다.
본 장치는 내부 순환팬부(600)를 구비한다. 내부 순환팬부(600)는 건조 터널(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내부 순환 펌프(610)와, 건조 터널(100)과 내부 순환 펌프(610) 사이에 관통 연결된 내부 순환 파이프(620)를 포함한다. 물론 내부 순환 팬(63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건조 터널(100)의 양 단부에는 배기 후드(700)가 마련된다. 또한, 수증기의 배출을 위해 입구부, 출구부 및 중단부에 각기 환기 닥터 즉, 수분 배출구(80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열풍기 시스템을 전기를 이용한 순환풍 시스템으로 전환하여 생산비를 절감하였다. 또한, 순환풍을 제품의 상부 및 하부에서 동시 순환되게 하였고, 석영관 히터를 제품의 상부 및 하부에서 균일하게 히팅하여 건조 성능을 향상시켰다. 또한, 하부건조상태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 이동 컨베이어 벨트를 펀칭홀을 통한 SUS판으로 대체하였으며, 이의 이송을 위해 체인기어방식의 구동형식으로 바꾸었다. 또한, 고온으로 인한 내부 레일 및 후드판의 연성과 전성을 감안하여, 유동벨트조임 방식으로 전환하였다. 그리고, 지속적인 순환층의 동작 시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순환 모터부에 냉각시스템을 도입하였으며, 30M 길이의 연속된 기계 내에서 고온과 순환풍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수증기의 배출을 위해 입구부/ 출구부/ 중단부에 각각 환기닥터를 설치하였다. 또한, 내부의 부식을 없애기 위해 기계내부 및 순환풍 후드에 SUS판을 적용하였으며, 생산제품의 특성상 수분함유가 50% 이상되므로, 초기 과정에서부터 수분제거를 의한, 수분배기모터와 환기시스템 구성을 하였다. 이를 통해 제품의 건조 효과를 향상시킴은 물론 제품의 상부는 물론 하부 영역까지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제품 건조를 위해 소모되었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100 : 건조 터널 200 : 컨베이어부
210 : 컨베이어 밸트 220 : 이송 수단
300 : 순환풍 시스템 310 : 순환팬
320, 330 : 송풍 덕트 340, 350 : 순환풍 공급부
360 : 순환풍 회풍부 400 : 히터부

Claims (7)

  1. 다수의 영역으로 분리 연결된 건조 터널;
    상기 건조 터널 내부에 제품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부;
    상기 건조터널의 각 영역 마다 설치되어 상기 제품의 상하부에 순환풍을 공급하는 순환풍 시스템; 및
    상기 건조 터널 내부의 상기 제품이 이동하는 영역의 상하부에 배치된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는 다수의 펀칭홀을 갖는 다수의 서스판과, 상기 서스판들을 연결하는 체인 기어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밸트와, 상기 체인 기어에 연결된 구동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밸트는 체인 기어 방식으로 구동하고, 고온과 순환풍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 레인 및 후드판의 연성과 전성을 감안하여, 유동 벨트 조임 방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풍 시스템은 상기 건조 터널의 상부에 배치된 순환팬과, 상기 건조 터널 내부에서 상기 제품이 이동하는 컨베이어부의 상측과 하측에 각기 배치된 상부 및 하부 송풍 덕트와, 상기 순환팬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송풍 덕트에 각기 순환풍을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순환풍 공급부와, 상기 상부 및 하부 송풍 덕트에 공급된 순환풍을 회수하는 순환풍 회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는 다수의 펀칭홀을 갖는 다수의 서스판과, 상기 서스판들을 연결하는 체인 기어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밸트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 밸트의 수평 연장면을 기준으로 그 상하부의 상기 건조 터널의 측면에 각기 상기 제 1 및 제 2 순환풍 공급부와 연통되는 제 1 및 제 2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에 대향하는 건조 터널의 타측면의 상기 수평 연장면에 상기 순환풍 회풍부와 연통되는 제 3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밸트는 상기 상품을 이용하는 상부 밸트와 회송되는 하부 밸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송풍 덕트는 상기 상부 밸트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순환풍 공급부로부터 순환풍을 제공받아 상품의 상측으로 공급하고, 상기 하부 송풍 덕트는 상기 하부 밸트와 상부 밸츠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순환풍 공급부로부터 순환풍을 제공받아 상품의 하측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상부 밸트와 상기 상부 송풍 덕트 사이에 배치된 제 1 히터와, 상기 하부 밸트와 상기 하부 송풍 덕트 사이에 배치된 제 2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KR1020100068625A 2010-07-15 2010-07-15 건조 장치 KR201200078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625A KR20120007860A (ko) 2010-07-15 2010-07-15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625A KR20120007860A (ko) 2010-07-15 2010-07-15 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860A true KR20120007860A (ko) 2012-01-25

Family

ID=45613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625A KR20120007860A (ko) 2010-07-15 2010-07-15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786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65178A (zh) * 2016-05-31 2016-08-17 苏州万盛塑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上下加热的传送带
CN105865181A (zh) * 2016-05-31 2016-08-17 苏州万盛塑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加热装置的传送带
CN109795214A (zh) * 2019-01-22 2019-05-24 珠海水丝新材料有限公司 一种膜体的高效烘干***
CN110481143A (zh) * 2019-09-10 2019-11-22 上海华源复合新材料有限公司 一种立体式烘箱循环***
CN115164513A (zh) * 2022-09-06 2022-10-11 东营科创生物化工有限公司 一种聚丙烯酰胺干燥装置及其使用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65178A (zh) * 2016-05-31 2016-08-17 苏州万盛塑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上下加热的传送带
CN105865181A (zh) * 2016-05-31 2016-08-17 苏州万盛塑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加热装置的传送带
CN109795214A (zh) * 2019-01-22 2019-05-24 珠海水丝新材料有限公司 一种膜体的高效烘干***
CN109795214B (zh) * 2019-01-22 2024-05-17 珠海水丝新材料有限公司 一种膜体的高效烘干***
CN110481143A (zh) * 2019-09-10 2019-11-22 上海华源复合新材料有限公司 一种立体式烘箱循环***
CN115164513A (zh) * 2022-09-06 2022-10-11 东营科创生物化工有限公司 一种聚丙烯酰胺干燥装置及其使用方法
CN115164513B (zh) * 2022-09-06 2022-11-08 东营科创生物化工有限公司 一种聚丙烯酰胺干燥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7860A (ko) 건조 장치
CN210220567U (zh) 一种石膏板的干燥设备
CN105344277A (zh) 一种工业用搅拌烘干装置
CN211903645U (zh) 一种基于plc控制的水分烘干装置
CN101535566B (zh) 空气干燥机的末端部、空气干燥机、空气干燥机的末端部中的方法和风扇的应用
CN211782336U (zh) 一种网带式干燥机外置加热温度控制结构
CN104984884A (zh) 一种涂布机烘箱传动机构
CN101303193A (zh) 直燃式纸浆模塑干燥线
CN205980673U (zh) 板连续烘干设备
CN214469916U (zh) 一种网带式对称送风烘干机
CN203336921U (zh) 烘干装置
CN112762688A (zh) 一种网带式对称送风烘干机
CN111854343A (zh) Epp产品烘干用高效烘房
CN112923705A (zh) 烘干结构及拉幅定型机
CN207123145U (zh) 一种热循环化纤干燥装置
CN208124818U (zh) 五金配件用烘干设备
CN207633057U (zh) 一种便于使用的针纺织品烘干机
CN215809940U (zh) 一种水刺无纺布生产用烘干机
CN207849982U (zh) 一种快速摊铺烘干设备
CN220153191U (zh) 一种网带式烘干机送风装置及烘干机
CN111748981B (zh) 一种贯通式烘干设备
CN110017681A (zh) 带式烘干机
CN105066631A (zh) 一种双向通入热风的高效烘茧机
CN217791390U (zh) 一种单层带式蒸汽型坚果食品烘干机
CN220103656U (zh) 一种烘干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